WO2022203114A1 - 농작물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농작물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03114A1
WO2022203114A1 PCT/KR2021/005987 KR2021005987W WO2022203114A1 WO 2022203114 A1 WO2022203114 A1 WO 2022203114A1 KR 2021005987 W KR2021005987 W KR 2021005987W WO 2022203114 A1 WO2022203114 A1 WO 202220311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crop
data
crops
monito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598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윤진
나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누아이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누아이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누아이랩
Publication of WO202220311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0311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p monitoring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n event that may occur in a specific farmland with respect to a plant or crop growing in an actual natural environment, not a crop grown in a facility such as a house, for example. It relates to a crop monitoring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device that enable post-analysis by supplementing the wide range of existing public data by realizing the cultivation environment and variables in the actual cultivation area by monitoring it.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an event that may occur in a specific farmland with an image for a plant or crop growing in an actual natural environment, not a crop grown in a facility such as a house, for example, by specifying the cultivation environment and variables within the actual cultivation area.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rop monitoring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device that complement the wide range of existing public data to enable post-analysis.
  • a crop monitoring apparatus is a storage unit for storing cultivation condition data for a crop grown outdoors, and extracts cultivation environment data as an analysis result by analyzing a photographed image of a cultivation area of the crop,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crop cultivation situation in the cultivation area based on the extracted cultivation environment data and the stored cultivation condition data.
  •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crop cultivation status for each divided area in which the cultivation are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 the controller may divide and analyze the video frame of the captured image into a plurality of regions in order to determine the crop cultivation status in each of the divided regions.
  • the controller may store, as the cultivation condition data, regional climate data and use data of pesticides and fertilizers used in cultivated crops in the storage unit.
  • the control unit as the cultivation environment data, may determine a damage situation that damages the cultivated crops.
  • the controller may recommend the cultivation of other crops that can be cultivated in the cultivation area to the user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crop cultivation situation.
  • the controller may analyze success and failure factors for crop cultivation for one year as the crop cultivation status.
  • the driving method of the crop monitoring apparatus comprises the steps of, by the storage unit, storing cultivation condition data for a crop grown outdoors, and the control unit, analyzing the captured image of the cultivation area of the crop. and extracting cultivation environment data as an analysis result, and determining a crop cultivation situation in the cultivation area based on the extracted cultivation environment data and the stored cultivation condition data.
  • the crop cultivation status may be determined for each divided area in which the cultivated lan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 the video frame of the captured image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analyzed in order to determine the crop cultivation status in each of the divided regions.
  • the driv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as the cultivation condition data, regional climate data and use data of pesticides and fertilizers used in cultivated crops in the storage unit.
  • the determining step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damage situation that damages the cultivated crop as the cultivation environment data.
  • the driv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recommending, to the user terminal device, the cultivation of other crops that can be cultivated in the cultivation area based on the determined crop cultivation situation.
  • success and failure factors for crop cultivation for one year may be analyzed as the crop cultivation status.
  • the process of cultivating the cultivated land and specific crops for one year is particularly captured by CCTV images (eg, by blocking agricultural land, the amount of sunlight (time), wind strength (degree of shaking), birds, beasts for each block. or insect infestation), public data (e.g. local temperature, rainfall, precipitation), and records of farmers (e.g. fertilizer and pesticide use) Success and failure factors can be analyzed compared to optimal cultivation conditions (eg,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 CCTV images eg, by blocking agricultural land, the amount of sunlight (time), wind strength (degree of shaking), birds, beasts for each block. or insect infestation), public data (e.g. local temperature, rainfall, precipitation), and records of farmers (e.g. fertilizer and pesticide use)
  • Success and failure factors can be analyzed compared to optimal cultivation conditions (eg,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 FIG. 1 is a view showing a crop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rop monitoring device of FIG. 1;
  • FIG. 3 is a view showing a crop monito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the crop monitoring device of FIG. 1 .
  • FIG. 1 is a view showing a crop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rop monitoring system 90 includes a photographing device 100, a user terminal device 110, a communication network 120, a crop monitoring device 130, and a third party device.
  • the image analysis device operating as an edge device or a server that analyzes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at an edge end close to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etc. can do.
  • “including some or all” means that some components such as the third-party device 140 are omitted, or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connect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 It means that it can be configured by being integrated into a constituting network device (eg, a wireless switching device, etc.), and will be described as including all in order to help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 a constituting network device eg, a wireless switching device, etc.
  •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may divide and photograph an agricultural land where crops are grown outdoors or outdoors into a plurality of blocks (or areas).
  • dividing into a plurality of areas can be considered to be taken by dividing the cultivated land for cultivating the same crop into a plurality of areas.
  • a camera that performs a photographing operation for each block can be installed and monitored. Since it is possible to do so, there will be no particular limitation on whether to use one camera or a plurality of cameras. However, it may be desirable to divide the territories for cultivation areas where the same crop is grown.
  •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may include a general 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or IP (Internet Protocol) camera as a surveillance camera, and pan, tilt, and zoom operations as well as a fixed camera.
  • This may include a PTZ (Pan-Tilt-Zoom) camera. Therefore, continuous shooting can be made through zooming out for the entire picture of the cultivated land, and the shoo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freely adjusting the magnification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cultivated field to be photographed.
  • this operation can be made under the control of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of FIG. 1 ,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form.
  •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refers to a terminal device of a grower who grows crops in a paddy field or a field in a natural environment.
  •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may include a wearable device worn on the wrist,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a smart phone, or a domestic S company's Galaxy,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speaker provided in the office, etc. may further include.
  •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may receive results of success factors or failure factors for own crop cultivation from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or access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to check related data. .
  •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may receive a recommendation for a cultivated crop suitable for the plantation based on the current state of the plantation or the cultivation status of the plantation monitored according to time change.
  • a recommendation for a cultivated crop suitable for the plantation based on the current state of the plantation or the cultivation status of the plantation monitored according to time change.
  • crop cultivation can be performed, and in this case, it will be possible to reduce difficulties in farming by recommending crops that can be grown in the corresponding cultivation area.
  •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can use a variety of services depending on how the crop monitoring system 90 is designed, but, for example, when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latform, many farmers can use the service by accessing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using their user terminal device 110, and in the process, display various types of user interface (UI) screens, input requested data, etc. can perform a variety of actions.
  • UI user interface
  • contact information is provided in order to receive a recommendation for cultivated crops, and in addition, various data may be provided, such as receiving news related to crop cultivation.
  •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includes bot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a wired/wireless Internet network may be used or interlocked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
  • the wired network includes an Internet network such as a cable network or a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CDMA, WCDMA, GSM, Evolved Packet Core (EPC), Long Term Evolution (LTE), Wibro network, etc. is meant to include
  •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for example, in a cloud computing network under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a 5G network, and the like.
  • the access point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can connect to a switching center of a telephone company, etc., but in the cas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accesses the SGSN or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operated by the communication company to transmit data. or by accessing various repeaters such as a Base Transmissive Station (BTS), NodeB, and e-NodeB to process data.
  • BTS Base Transmissive Station
  • NodeB NodeB
  • e-NodeB e-NodeB
  •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may include an access point (AP).
  • the access point includes a small base station, such as a femto or pico base station, which is often installed in a building. Femto or pico base statio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ximum number of access to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or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etc., in terms of the classification of a small base station.
  • the access point may includ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and Wi-Fi with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or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
  • the access point may use TCP/IP or Real-Time Streaming Protocol (RTSP) for wireless communication.
  • RTSP Real-Time Streaming Protocol
  • short-range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in various standards such as Bluetooth, Zigbee, infrared, radio frequency (RF) such as ultra high frequency (UHF) and very high frequency (VHF), and ultra-wideband communication (UWB) in addition to Wi-Fi.
  • RF radio frequency
  • UHF ultra high frequency
  • VHF very high frequency
  • UWB ultra-wideband communication
  • the access point can extract the location of the data packet, specify the best communication path for the extracted location, and forward the data packet along the designated communication path to the next device, for example,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
  • the access point may share several lines in a general network environment, and includes, for example, a router, a repeater, and a repeater.
  • the crop monitoring apparatus 130 receives a photographed image from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for photographing a field in which crops are grown, analyzes the received photographed image, and determines an event that may occur in the field.
  • judging an event can be viewed as judging the cultivation environment and variables of the actual cultivation area through image analysis. For example, the amount of sunlight, wind strength, and animal infestation can be very different in a growing area. Therefore,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receives the captured images from the plurality of photographing devices 100 that divide each cultivated land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analyzes each area, or captures images through the entire photographing of the corresponding cultivated land. Each region can be analyzed by dividing the .
  •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form.
  • the crop monitoring apparatus 130 receives and analyzes the photographed image stored in a storage medium such as USB, in addition to receiving the photographed image from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installed in the field. Since any number is possibl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specifically limit the method of us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
  •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includes information and public data (eg, the relevant area) that can be checked only in the captured image of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such as CCTV, etc., about the process of cultivation for one year for cultivated land or cultivated land and specific crops.
  • the cultivation process is databased and compared with the optimal cultivation conditions for the crop (eg provided by agricultural technology sensors, etc.) Analyze failure factors.
  • CCTV images eg, sunlight, wind strength, animal intrusion, etc.
  •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may receive (or collect) cultivation condition data for a specific crop from a government agency or a related agency and store it in the DB 130a of FIG. 1 .
  • public data environmental data related to the temperature, rainfall amount, precipitation amount, etc. of the corresponding area may be collected and stored in the DB 130a.
  •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may analyze the captured image of the cultivated land to determine the amount of sunlight, wind strength, and invasion of birds, animals, or insects for each block, that is, each area. Of course, this is judged through video analysis.
  • the amount of sunlight can be determined by the brightness value of the pixel, and in the case of the wind strength, the wind strength can be measured by determining the shaking information of the crop through image analysis.
  •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may specify the cultivation environment and variables by comparing the analysis result with pre-stored cultivation condition data or environmental data. By comparing the analysis result of a specific crop with the reference data,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grower or manager with the success and failure factors of the cultivated crop, such as an analysis result that the cultivated area is not suitable for cultivating the current crop. .
  •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can operate as a kind of platform that provides a service to growers across the country, so when the plantation site is in region A (eg, Gangwon-do), and when the plantation site for cultivating the same crop is in region B ( Example: Gyeonggi-do), the cultivation environment can be very different even for the same crop.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separately classify and store the environmental data or public data of the corresponding regions as public data, and then compare the related data by determining which region is the cultivation area. Of course, even in cultivation areas located within the same Gyeonggi-do,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eastern, western, southern, and northern regions, so it is desirable to use public data in consideration of these details.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use such public data on a one-year cycle.
  • region A eg, Gangwon-do
  • region B Example: Gyeonggi-do
  • the cultivation environment can be very different even for the same crop.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separately classify and store the environmental data
  • climatic conditions that is,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natural environment for growing crops are gradually changing. Therefo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not suitable by analyzing the success factors and failure factors for the crops cultivated by a certain farmer, for example, crop information from the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DB 130a of FIG. may be extracted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
  •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may perform a more precise analysis by applying the deep learning functio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program.
  • AI artificial intelligence
  • the third-party device 140 may include a server or computer operated by a production company of a program operated by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 or a manager device of a manager who operates the service of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
  • the administrator device may also include a computer or the like.
  •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transmits data provided by the third-party device 140 to the user terminal device ( 110), and the like may be performed.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crop monitoring apparatus of FIG. 1 .
  • the crop monitoring apparatus 130 of FIG. 1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200 , a control unit 210 , a crop cultivation management unit 220 , and a storage unit 230 . includes some or all.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200 communicates with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 and the third-party device 14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of FIG. 1 , respectively.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200 may perform various operations such as modulation/demodulation, muxing/demuxing, encoding/decoding, etc., which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further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200 receives a photographed image of an arbitrary crop plantation cultivated in a natural state rather than being cultivated in a facility such as a house.
  • the reception of the photographed image may be provided from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for photographing the corresponding plantation, but since it is possible to receive it through a storage medium such as USB,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form. won't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200 may transmit result data on the success factors or failure factors for the crop cultivation for one year of the user, that is, the grower, who cultivated the crop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0 . . For example, if there is a large amount of fertilizer or pesticide used, it can be notified of this fact, or the fact that the cultivation of the crop is not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of the growing area, etc. can be notified.
  • control unit 210 is responsible for the overall control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200, the crop cultivation management unit 220 and the storage unit 230 of FIG. 2 constituting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of FIG. 1 .
  • a photographed image provided by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of FIG. 1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200, it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230, and then retrieved and provided to the crop cultivation management unit 220 for image analysis, etc. you can request
  • the control unit 210 may further control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200 to provide the results related to crop cultivation for one year from the crop cultivation management unit 220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of FIG. 1 . have.
  • the control unit 21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constructing data for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the crop cultivation management unit 220 .
  • environmental data such as temperature and rainfall of a plantation where crops are grown may be collected and processed as public data by public institutions, and then systematically classified and stored in the DB 130a of FIG. 1 .
  • the crop cultivation management unit 220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o the same crop in which the same crop is grown, of course, it can be seen that the crop cultivation environment and variables for a plurality of blocks, i.e., regions, are specified based on the captured image of the cultivation area.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cultivation environment or variable for each area as a kind of event in the image and compare it with the pre-stored reference data or comparative data to analyze the cultivation environment or variable of the corresponding cultivation area, or the grower's mistake. .
  • the user checks the crops grown on farmland and the current natural state and compares it with the optimal cultivation condition data stored in advance as reference data to have the user change the crop, or to grow the crop due to birds or insects.
  • the crop cultivation management unit 220 may determine if there is an error in the user, that is, the grower's pesticide spraying or fertilizer usage.
  • success or failure factors may be provided by analyzing the frequency, that is, the number of times of spraying pesticides or the number of times of fertilizer use, and whether the timing is appropriate.
  • the crop cultivation management unit 220 provides analysis results by analyzing the success and failure factors related to the cultivation of the corresponding crop based on the captured image of the agricultural process for one year of the novice farmer, and provides analysis results when the crop needs to be changed. can recommend crops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of the growing area.
  • crops eg, potatoes, sweet potatoes, etc.
  • the crop cultivation management unit 220 provides analysis results by analyzing the success and failure factors related to the cultivation of the corresponding crop based on the captured image of the agricultural process for one year of the novice farmer, and provides analysis results when the crop needs to be changed.
  • crops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of the growing area can recommend crops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of the growing area.
  • a plurality of recommended crops may be recommended, and may be provided based on marketability. We can provide more of this information because the purpose of growing the crop is also important to grow a crop that will eventually sell well in the market.
  • the crop cultivation management unit 220 divides one video frame
  • the imag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locks, that is, regions. That is, the received video fram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For example, you can divide into 4 equal parts.
  • the amount of sunlight per hour or day is calculated through pixel analysis of each area.
  • the amount of sunlight is calculated to increase the brightness of the pixel when there is a lot of sunlight.
  • the amount of sunlight corresponding to the brightness value of the pixel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amount of sunlight matching the brightness value of the pixel.
  • each area may calculate the average value of the brightness value and calculate the amount of sunlight based on this.
  • the crop cultivation management unit 22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intrusion of an animal or the like in a specific area of the video.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access road or the like from which the animal intrusion is mad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infestation site of the animal from the image and detect that crop damage caused by the animal invasion has occurred. Of course, it would be possible to generate more information about the time of intrusion of animals, etc.
  • the crop cultivation management unit 220 may calculate the movement of crops grown in the corresponding cultivation area and measure the strength of the wind based thereon.
  • the movement of crops is determined through image analysis. That is, by tracing the vector of a specific part of the crop in the pixel, the value of the wind strength matching the motion vector value can be found, and the wind strength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is.
  • the storage unit 230 stores and outputs various data process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0 .
  • the storage unit 230 receives and stores the captured image of a specific cultivation are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0 , and outputs the received image to be provided to the crop cultivation management unit 220 .
  • the storage unit 230 stores the analysis result analyzed by the crop cultivation management unit 220 , that is, data related to the cultivation environment and variables in the actual cultivation area, and th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0 , the DB 130a of FIG. 1 . ) and can be systematically classified and stored.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200, the control unit 210, the crop cultivation management unit 220 and the storage unit 230 of FIG. 2 may perform various operations, and other detailed information has been sufficiently explained above, so I will substitute those contents.
  • control unit 210 may include a CPU and a memory, and may be formed as a single chip.
  • the CPU includes a control circuit, an arithmetic unit (ALU), an instruction interpreter and a registry
  • the memory may include a RAM.
  • the control circuit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 the operation unit performs an operation operation of binary bit information
  • the instruction interpreter performs an operation of converting a high-level language into a machine language and a machine language into a high-level language, including an interpreter or a compiler.
  • the registry may be involved in software data storage.
  • a program stored in the crop cultivation management unit 220 is copied, loaded into a memory, that is, a RAM, and then executed to speed up the data operation processing speed.
  • FIG. 3 is a view showing a crop monito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rop monitoring apparatus 130 is a server and may receive regional public data ( S300 ).
  • the public data may include environmental data such as regional temperature, rainfall, and precipitation.
  •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may collect and store data on optimal cultivation conditions of specific crops.
  • optimal growing conditions may include environmental data relating to the environment.
  • the optimal cultivation condition data may include data such as the amount, number of times, and time of use of pesticides or fertilizers.
  • the crop monitoring apparatus 130 may analyze the image by receiving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farmland provided through the storage medium such as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of FIG. 1 or USB.
  • an analysis result made by a separate image analysis device may be received, or, for example, an analysis result may be received from an edge device provided adjacent to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and performing an image analysis operation. .
  • the corresponding device eg, an edge device, etc.
  •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may detect the amount of sunlight, wind strength, and daily events of intrusion of birds, animals or insects (S320). Since the detection of an event through image analysis has been sufficiently described above, further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detection result of such an event may be provided to and stored in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
  • the captured image may be blocked (S330), and as mentioned above, a plurality of areas may be divided in a field where the same crop is grown.
  • Substantially dividing a video frame may mean dividing packet data by time, but it may be desirable to divide the corresponding video frame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fter generating a unit video frame through decoding. For example, image analysis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region.
  • the daily amount of sunlight in each area is checked and the inspection result is provided to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S130).
  • the analysis result may be provided to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and systematically classified and then stored in the DB 130a of FIG. 1 .
  • crop monitoring device 130 analyzes success and failure factors based on the pre-stored regional public data and event detection results, and the results of checking the amount of sunlight for each block, and recommends crops according to variables such as the amount of sunlight in each block. That is, crop data for recommendation may be generated (S350), and thereafter, i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used by the user of the crop plantation area.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the crop monitoring device of FIG. 1 .
  •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of FIG. 1 stores cultivation condition data for crops naturally grown outdoors (S400).
  • the cultivation condition data may include environmental data such as temperature, rainfall, and precipitation, and may further include data such as the amount of fertilizer or pesticide used or the number of times used.
  • the crop monitoring device 130 analyzes the captured image of the crop cultivation area, extracts the cultivation environment and variables as an analysis result, and compares the extracted cultivation environment and variable data with the (pre)stored cultivation condition data.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of crop cultivation (S410).
  • the cultivation environment may include climatic conditions such as the amount of sunlight or wind strength in the cultivation area, and may include whether animals or the like have invaded.
  • the variable may include a state such as warming, and the intrusion of the above animals may be a variable.
  • the time of invasion by animals is not well known, and it can be seen that it corresponds to a kind of sudden variable during crop cultivation.
  • the types of animals may vary depending on what kind of crop is grown, and may also vary according to time changes such as seasons, s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 the crop monitoring apparatus 130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and other detailed information has been sufficiently described above, so it will be replaced with the contents.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but a part or all of each component is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functions of the combined component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program modules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 Such a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
  • the above-described programs may be provided by being stor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and the like.
  • photographing device 110 user terminal device
  • control unit 220 crop cultivation management unit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모니터링 장치는, 실외에서 재배되는 작물에 대한 재배 조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작물의 재배지에 대한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로서 재배 환경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재배 환경 데이터 및 저장한 재배 조건 데이터를 근거로 재배지의 작물 재배 상황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작물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본 발명은 농작물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하우스와 같은 시설 재배의 농작물이 아닌 실제 자연 환경에서 생장하는 식물 또는 농작물에 대하여 특정 농경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를 영상으로 감시해 실제 재배 지역 내의 재배 환경 및 변수를 구체화하여 기존의 공적데이터의 광역성을 보완해 사후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농작물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스마트팜 기술은 작물 등의 조건에 따라 물을 주거나 온도를 맞추는 등 최적의 생장 조건을 자동으로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인 하우스 또는 실내 재배가 가능한 식물 또는 농작물에 대해서는 가능한 방식이나 실제 자연 환경에서 생장하는 식물 또는 농작물에 대해서는 적용이 어려운 측면이 있다. 최근 들어 귀농 또는 젊은 청년들이 고향 등으로 유입되면서 새로운 트랜드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럴 때 해당 지역의 농업기술센터나 각종 인터넷을 통해 자신이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 또는 농작물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농업기술센터나 인터넷을 통한 정보는 일반적인 정보에 불과하고 실제 재배 결과와는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이유는 결국 경험에 의한 변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험은 통상 수년간의 재배 기간 동안 성과 및 실수 등을 반복하면서 얻어지는 결과인데 이러한 경험은 단기간에 축적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1년 동안의 재배 과정을 통해 재배 결과에 따라 성공 요인 및 실패 요인을 분석해야 하는데 기존의 농부들은 다년 간의 재배 시간 동안 감각적으로 어떤 문제로 이번에 재배가 성공적이었는지 실패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나, 초년 농부들에게는 현실적으로 그러한 요인을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에는 역부족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귀농 또는 젊은 청년 농부들이 실제 자연 환경에서 생장하는 식물 또는 농작물에 대하여 재배 과정의 성공 및 실패 요인을 제대로 확인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재배에 성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하우스와 같은 시설 재배의 농작물이 아닌 실제 자연 환경에서 생장하는 식물 또는 농작물에 대하여 특정 농경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를 영상으로 감시해 실제 재배 지역 내의 재배 환경 및 변수를 구체화하여 기존의 공적데이터의 광역성을 보완해 사후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농작물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모니터링 장치는, 실외에서 재배되는 작물에 대한 재배 조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작물의 재배지에 대한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로서 재배 환경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재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저장한 재배 조건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재배지의 작물 재배 상황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배지를 복수로 분할한 각 분할 영역마다 상기 작물 재배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분할 영역의 작물 재배 상황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촬영 영상의 비디오 프레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배 조건 데이터로서 지역별 기후 데이터 및 재배 작물에 사용하는 농약 및 비료의 사용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배 환경 데이터로서 재배 작물에 피해를 주는 피해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한 작물 재배 상황을 근거로 상기 재배지에 재배 가능한 다른 작물의 재배를 사용자 단말장치로 권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물 재배 현황으로서 한해 동안의 작물 재배에 대한 성공 및 실패 요인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모니터링 장치의 구동방법은, 저장부가, 실외에서 재배되는 작물에 대한 재배 조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작물의 재배지에 대한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로서 재배 환경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재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저장한 재배 조건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재배지의 작물 재배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재배지를 복수로 분할한 각 분할 영역마다 상기 작물 재배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각 분할 영역의 작물 재배 상황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촬영 영상의 비디오 프레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분석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재배 조건 데이터로서 지역별 기후 데이터 및 재배 작물에 사용하는 농약 및 비료의 사용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재배 환경 데이터로서 재배 작물에 피해를 주는 피해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판단한 작물 재배 상황을 근거로 상기 재배지에 재배 가능한 다른 작물의 재배를 사용자 단말장치로 권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작물 재배 현황으로서 한해 동안의 작물 재배에 대한 성공 및 실패 요인을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경작지 및 특정 농작물에 대해 1년 동안 재배하는 과정을 특히 CCTV 영상(예: 농경지를 블록화하여 각 블록별 일조량(시간), 바람세기(흔들림 정도), 새, 짐승 또는 곤충의 침입 등)에서만 확인할 수 있는 정보, 공적 데이터(예: 해당 지역 온도, 강우량, 강수량), 농부(예: 비료, 농약 사용)의 기록을 기초로 하여 재배 과정을 데이터베이스화해 해당 농작물에 대한 최적의 재배조건(예: 농업기술센터)과 비교하여 성공 및 실패 요인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경작지의 CCTV 영상, 공적 데이터를 통해 차후 성공 가능한 농작물을 추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농작물 모니터링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모니터링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1의 농작물 모니터링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모니터링 시스템(90)은 촬영장치(100), 사용자 단말장치(110), 통신망(120),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 및 서드파티장치(1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촬영장치(100)의 촬영 영상을 촬영장치(100)에 근접하여 에지(Edge) 단에서 분석하는 에지장치나 서버로서 동작하는 영상분석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서드파티장치(14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2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촬영장치(100)는 가령 야외 또는 실외에서 작물이 재배되는 농경지 즉 재배지를 복수의 블록(혹은 영역)으로 구분하여 촬영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은 동일 작물을 재배하는 재배지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촬영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촬영하는 경우 각 블록마다 촬영동작을 수행하는 카메라를 설치하여 감시할 수 있지만, 해당 재배지를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후 영상 분석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분석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하나의 카메라를 사용하느냐 복수의 카메라를 사용하느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동일 작물을 재배하는 재배지에 대한 영역 분할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물론 촬영장치(100)는 감시카메라로서 일반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나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식 카메라뿐 아니라 팬(Pan), 틸트(Tilt) 및 줌(Zoom) 동작이 가능한 PTZ(Pan-Tilt-Zoom)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재배지의 전체 촬영을 위하여 줌 아웃을 통해 지속적인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촬영되는 재배지의 영역에 따라 자유롭게 배율을 조정하여 촬영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동작은 도 1의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자연 환경 상태에서 논이나 밭 등에 작물을 재배하는 재배자의 단말장치를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 국내S사의 갤럭**어와 같이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무실 등에 구비되는 인공지능(AI) 스피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자신의 작물 재배에 대한 성공요인이나 실패요인에 대한 결과를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혹은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에 접속하여 관련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농부들은 다년 간의 재배 시간 동안 감각적으로 어떤 문제로 이번에 재배가 성공적이었는지 실패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초보 농부들에게는 특히 귀농하는 귀농인들의 경우에는 현실적으로 그러한 요인을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따라서, 그러한 초보 농부의 경우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자신이 재배하려는 작물에 대한 재배방법, 그리고 재배 후에는 성공적인 경우 성공요인을, 그리고 실패의 경우에는 실패요인에 대한 결과를 확인해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재배지의 현재 상태, 또는 시간 변화에 따라 모니터링되는 재배지의 재배 현황을 근거로 해당 재배지에 적합한 재배 작물을 추천받을 수도 있다. 통상 농촌에서는 동일 재배지에 동일 작물을 지속적으로 재배하는 경우 특정 병충해 등에 취약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작물 갈이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의 경우에는 해당 재배지에서 재배 가능한 작물을 추천받음으로써 농사에 어려움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농작물 모니터링시스템(90)을 어떠한 형태로 설계하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가 플랫폼의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전국의 많은 농부들이 자신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사용해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의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표시하고, 요청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작물을 추천받기 위하여 연락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분명하며, 이외에도 작물 재배와 관련한 뉴스를 제공받는 등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missive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AP)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촬영장치(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촬영장치(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 등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는 작물을 재배하는 재배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100)로부터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촬영 영상을 분석하며, 재배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를 판단한다. 여기서, 이벤트를 판단한다는 것은 영상 분석을 통해 실제 재배지의 재배 환경 및 변수를 판단한다고 볼 수 있으며, 동일 작물을 재배하는 재배지의 경우에는 영역에 따라 그 분석 결과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조량이나 바람세기, 그리고 동물의 침입 등은 재배지에서 매우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는 각 재배지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촬영하는 복수의 촬영장치(100)로부터 촬영영상을 각각 수신하여 각 영역을 분석하거나, 또는 해당 재배지의 전체 촬영을 통해 촬영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방식으로 각 영역을 분석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촬영장치(100)가 많이 설치되는 등의 관계로 비용이 많이 발생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에서의 연산처리 부담이 증가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재배지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 운영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것 이외에 혼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고, 또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는 현장에 설치되는 촬영장치(100)로부터 촬영영상을 수신하는 것 이외에도 USB 등과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촬영영상을 수신하여 분석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촬영장치(100)를 이용하는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는 재배지 또는 경작지 및 특정 농작물에 대하여 1년 동안 재배하는 과정을 CCTV 등과 같은 촬영장치(100)의 촬영영상에서만 확인할 수 있는 정보, 공적 데이터(예: 해당 지역 온도, 강우량, 강수량 등), 농부(예: 비료, 농약)의 기록을 기초로 하여 재배 과정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해당 농작물에 대한 최적의 재배 조건(예: 농업기술센서 등에서 제공)과 비교하여 성공 및 실패 요인을 분석한다. 또한, 해당 재배지의 CCTV 영상(예: 일조량, 바람세기, 동물의 침입 등), 공적 데이터를 통해 차후 성공 가능한 농작물을 추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배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를 영상으로 감시함으로써 실제 재배지역 내의 재배 환경 및 변수를 구체화함으로써 기존의 공적데이터들의 광역성을 보완하여 사후 분석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는 정부기관이나 유관기관으로부터 특정 농작물에 대한 재배 조건 데이터를 제공받아(혹은 수집하여) 도 1의 DB(130a)에 저장시킬 수 있다. 또한 공적 데이터로서 해당 지역의 온도, 강우량, 강수량 등과 관련되는 환경 데이터도 수집하여 DB(130a)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후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는 재배지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각 블록 즉 영역별로 일조량, 바람세기, 새나 짐승 또는 곤충의 침입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영상 분석을 통해 판단된다. 촬영영상에서 일조량은 화소의 밝기값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바람세기의 경우에는 영상 분석을 통해 작물의 흔들림 정보를 판단하여 바람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멧돼지 등 동물의 침입이 있는 경우에는 어느 쪽에서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저장된 재배 조건 데이터나 환경 데이터 등과 비교하여 재배 환경과 변수를 구체화할 수 있다. 특정 작물에 대한 분석 결과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므로 해당 재배지는 현재의 작물을 재배하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분석 결과를 내거나 하는 등 재배 작물의 성공요인과 실패요인을 재배자나 관리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는 전국의 재배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종의 플랫폼으로서 동작할 수 있으므로, 재배지가 A 지역(예: 강원도)에 있을 때와, 동일 작물을 재배하는 재배지가 B 지역(예: 경기도)에 있을 때 동일 작물이라 하더라도 그 재배 환경이 매우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공공 데이터로서 해당 지역들의 환경 데이터 또는 공적 데이터를 따로 분류하여 저장한 후, 어느 지역의 재배지인지를 판단하여 관련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같은 경기도 내에 위치하는 재배지라 하더라도 동부, 서부, 남부, 북부권에 따라서도 그 재배 환경은 다르므로 이러한 세부 사항을 고려하여 공적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공적 데이터의 활용은 1년을 주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지구온난화 등으로 인해 기후 조건, 즉 작물 재배를 위한 자연 환경의 환경 조건은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어떤 농부의 재배 작물에 대하여 성공요인과 실패요인을 분석하여 만약 환경 조건이 맞지 않다고 판단될 때에는 해당 환경에 부합한 새로운 작물을 가령 도 1의 DB(130a)에 기저장한 데이터에서 작물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제공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작물을 추천함에 있어서도, 물론 다른 경우도 마찬가지지만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는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의 딥러닝 기능을 적용해 보다 정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재배지에서 환경 조건이 변화한 것으로 예측되지만, 수년간의 분석 결과를 더 참조하여 최종 결론을 내리거나, 또는 주변 인접지에서 해당 작물을 통해 성공 경험이 있는 재배자의 데이터를 근거로 가령 초보 농부에게 작물을 추천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서드파티장치(140)는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의 제작회사에서 운영하는 서버나 컴퓨터, 또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의 서비스를 운영하는 관리자의 관리자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관리자 장치도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서드파티장치(140)가 영상분석장치로서 동작하고,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는 서비스 동작만 수행하는 경우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는 서드파티장치(140)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제공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농작물 모니터링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제어부(210), 농작물재배관리부(220) 및 저장부(2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도 1의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촬영장치(100), 사용자 단말장치(110) 및 서드파티장치(140)와 각각 통신한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변/복조, 먹싱/디먹싱, 인코딩/디코딩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하우스와 같은 시설 재배가 아닌 자연 상태에서 재배되는 임의의 작물 재배지에 대한 촬영영상을 수신한다. 물론 촬영영상의 수신은 해당 재배지를 촬영하는 촬영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지만, USB와 같은 저장매체를 통해 제공받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제어부(210)의 제어하에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작물을 재배한 사용자 즉 재배자의 1년 동안의 작물 재배에 대한 성공요인이나 실패요인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료나 농약의 사용량이 많았다면 이의 사실을 통지할 수 있고, 또는 해당 작물의 재배가 재배지의 환경에 적합하지 않다는 등의 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도 1의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를 구성하는 도 2의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농작물재배관리부(220) 및 저장부(2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로부터 도 1의 촬영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촬영영상이 수신된 경우 이를 저장부(230)에 임시 저장한 후 불러내어 농작물재배관리부(220)에 제공하여 영상 분석 등을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나아가 농작물재배관리부(220)로부터 가령 1년 동안의 작물 재배와 관련한 결과가 제공되는 경우 이를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제공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이외에도 농작물재배관리부(220)와 연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위해 데이터를 구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물이 재배되는 재배지의 온도, 강우량 등의 환경 데이터를 공적 데이터로서 공공기관 등에서 수집하여 가공한 후 도 1의 DB(130a)에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농작물재배관리부(220)는 동일 작물이 재배되는, 물론 동일 작물에 특별히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재배지의 촬영영상을 근거로 복수의 블록 즉 영역에 대한 작물의 재배 환경 및 변수를 구체화한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각 영역마다의 재배 환경이나 변수를 일종의 이벤트로서 영상 내에서 감지하고 이를 기저장한 기준 데이터 또는 비교 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당 재배지의 재배 환경이나 변수, 또는 재배자의 실수 등을 분석해 낼 수 있다. 대표적으로 사용자가 농경지에서 재배하는 작물과 현재의 자연 상태를 확인하여 기준 데이터로서 기저장한 최적의 재배 조건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작물을 바꾸도록 하거나, 또는 새나 곤충 등으로 인해 해당 작물의 재배가 실패하였다는 외적 요인을 판단할 수 있다. 물론 농작물재배관리부(220)는 사용자 즉 재배자의 농약 살포나 비료 사용량 등에 있어서, 잘못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판단해 낼 수 있다. 대표적으로, 횟수 즉 농약 살포 횟수나 비료 사용 횟수, 그리고 시기가 적절한지 등을 분석함으로써 성공이나 실패 요인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최초에 가령 초보농부는 인접지에서 재배하는 작물(예: 감자, 고구마 등)을 재배하지만, 이러한 재배작물은 초보농부가 운영하는 현재의 재배지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농작물재배관리부(220)는 초보농부의 1년 동안의 농사 과정에 대한 촬영 영상을 근거로 해당 작물의 재배와 관련한 성공 및 실패 요인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제공하고, 작물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재배지의 환경에 적합한 작물을 추천해 줄 수 있다. 물론 추천 작물은 복수개가 추천될 수 있으며, 시장성을 더 근거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작물 재배의 목적도 결국은 시장에서 잘 팔리는 작물을 재배하는 것도 중요하므로 이러한 정보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농작물재배관리부(220)는 하나의 비디오 프레임을 분할하는 경우, 복수의 블록 즉 영역으로 영상을 분리한다. 즉 수신한 비디오 프레임을 복수의 영역을 분할한다. 가령 4등분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영역의 화소 분석을 통해 시간별, 또는 하루의 일조량을 계산한다. 일조량은 햇빛이 많이 비추는 경우에는 화소의 밝기가 높게 계산된다. 따라서, 화소의 밝기값에 매칭되는 일조량값 등을 근거로 해당 화소의 밝기값에 대응되는 일조량을 계산해 낼 수 있다. 또한 각 영역은 밝기값의 평균값을 계산해 이를 근거로 일조량을 계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농작물재배관리부(220)는 비디오의 특정 영역에서 동물 등의 침입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동물의 침입이 어느쪽에서 이루어지는 진입로 등을 판단해 낼 수 있다. 따라서, 영상에서 해당 동물의 침입 부위를 추출하고 동물의 침입에 의한 농작물 피해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감지해 낼 수도 있다. 물론 동물이 침입하는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더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농작물재배관리부(220)는 해당 재배지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의 움직임을 계산하여 이를 근거로 바람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물론 외부장치(예: 기상청 서버 등)로부터 환경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상의 분석을 통해 농작물의 움직임을 판단한다. 즉 화소에서의 해당 작물의 특정 부위의 벡터를 추적해서 그 움직임 벡터값에 매칭되어 있는 바람세기의 값을 찾아 이를 근거로 바람세기를 판단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제어부(2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 및 출력한다. 저장부(230)는 제어부(210)의 제어하에 특정 재배지의 촬영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한 후 출력하여 농작물재배관리부(220)에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저장부(230)는 농작물재배관리부(220)에서 분석되는 분석 결과를, 즉 실제 재배 지역 내의 재배 환경 및 변수와 관련한 데이터를 저장한 후 제어부(210)의 제어하에 도 1의 DB(130a)로 제공되어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제어부(210), 농작물재배관리부(220) 및 저장부(2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2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 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의 동작 초기에 농작물재배관리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모니터링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는 서버로서, 지역별 공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300). 여기서, 공적 데이터(혹은 공공 데이터)는 지역별 온도, 강우량, 강수량 등의 환경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는 특정 작물들의 최적의 재배 조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물론, 그러한 최적의 재배 조건은 환경과 관련한 환경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최적의 재배 조건 데이터는 농약이나 비료의 사용량이나 횟수, 또 시기 등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는 도 1의 촬영장치(100) 또는 USB 등의 저장매체를 통해 제공되는 재배지의 촬영영상을 수신하여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서와 같이 별도의 영상분석장치에서 이루어진 분석 결과를 수신하거나, 예를 들어, 촬영장치(100)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영상분석 동작을 수행하는 에지장치로부터 분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장치(예: 에지장치 등)나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는 일조량, 바람세기, 새, 짐승 또는 곤충의 침입 일별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S320). 영상의 분석을 통해 이벤트를 감지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벤트의 감지 결과는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로 제공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촬영영상은 블록화될 수 있으며(S330),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동일 작물이 재배되는 재배지를 복수의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비디오 프레임을 실질적으로 쪼갠다는 것은 패킷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시간별로 나누는 것을 의미할 수 있지만, 복호화를 통해 단위 비디오 프레임을 생성한 후 해당 비디오 프레임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가령 해당 영역의 좌표를 기준으로 영상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영역의 일일 일조량 등을 점검하고 점검 결과를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로 제공한다(S130). 다시 말해 영상 분석을 통해 분석 결과는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로 제공되어 체계적으로 분류한 후 도 1의 DB(130a)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는 기저장한 지역별 공적 데이터 및 이벤트 감지결과, 그리고 블록별 일조량 점검 결과 등을 근거로 성공 및 실패 요인을 분석하고, 각 블록 일조량 등 변수에 따른 농작물을 추천할 수 있으며, 즉 추천을 위한 농작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S350), 이후 작물 재배지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도 1의 농작물 모니터링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는 실외에서 자연 재배되는 작물에 대한 재배 조건 데이터를 저장한다(S400). 여기서, 재배 조건 데이터는 온도, 강우량, 강수량 등의 환경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료나 농약의 사용량이나 사용 횟수 등의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는 작물의 재배지에 대한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로서 재배 환경 및 변수를 추출하고, 추출한 재배 환경 및 변수의 데이터를 (기)저장한 재배 조건 데이터와 비교하여 재배지의 작물 재배 현황을 파악한다(S410). 여기서, 재배 환경은 재배지의 일조량이나 바람세기 등의 기후 상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동물 등의 침입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변수라 함은 온난화 등의 상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위의 동물 등의 침입이 변수가 될 수도 있다. 가령 동물 등의 침입은 시기를 잘 알 수 없고, 작물 재배시 일종의 돌발 변수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가령, 어떠한 작물을 재배하는지에 따라 동물의 유형은 다양할 수 있으므로, 또 계절과 같은 시간 변화에 따라서도 다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것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모니터링장치(1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 부호의 설명
100: 촬영장치 110: 사용자 단말장치
120: 통신망 130: 농작물 모니터링장치
140: 서드파티장치 200: 통신 인터페이스부
210: 제어부 220: 농작물재배관리부
230: 저장부

Claims (8)

  1. 실외에서 재배되는 작물에 대한 재배 조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작물의 재배지에 대한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로서 재배 환경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재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저장한 재배 조건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재배지의 작물 재배 상황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농작물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배지를 복수로 분할한 각 분할 영역마다 상기 작물 재배 상황을 판단하는 농작물 모니터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분할 영역의 작물 재배 상황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촬영 영상의 비디오 프레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분석하는 농작물 모니터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배 조건 데이터로서 지역별 기후 데이터 및 재배 작물에 사용하는 농약 및 비료의 사용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농작물 모니터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배 환경 데이터로서 재배 작물에 피해를 주는 피해 상황을 판단하는 농작물 모니터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한 작물 재배 상황을 근거로 상기 재배지에 재배 가능한 다른 작물의 재배를 사용자 단말장치로 권장하는 농작물 모니터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물 재배 현황으로서 한해 동안의 작물 재배에 대한 성공 및 실패 요인을 분석하는 농작물 모니터링 장치.
  8. 저장부가, 실외에서 재배되는 작물에 대한 재배 조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작물의 재배지에 대한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로서 재배 환경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재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저장한 재배 조건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재배지의 작물 재배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농작물 모니터링 장치의 구동방법.
PCT/KR2021/005987 2021-03-22 2021-05-13 농작물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WO202220311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565A KR102338084B1 (ko) 2021-03-22 2021-03-22 농작물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1-0036565 2021-03-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03114A1 true WO2022203114A1 (ko) 2022-09-29

Family

ID=78831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5987 WO2022203114A1 (ko) 2021-03-22 2021-05-13 농작물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38084B1 (ko)
WO (1) WO202220311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9102A (ja) * 2014-08-29 2016-04-11 株式会社リコー 圃場管理システム、圃場管理方法、プログラム
KR20170080825A (ko) * 2015-12-30 2017-07-11 농업회사법인 씨드림 주식회사 작물의 수확량 영향 요인 평가 방법 및 장치
US20180262571A1 (en) * 2016-03-04 2018-09-13 Sabrina Akhtar Integrated IoT (Internet of Things) System Solution for Smart Agriculture Management
KR101936317B1 (ko) * 2017-09-29 2019-04-03 주식회사 그린랩스 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 파밍 방법
KR102152409B1 (ko) * 2019-11-19 2020-09-04 박양승 생육과정기록 통합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0242A (ko) 2012-11-30 2014-06-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지역별 작물 맵핑 시스템 및 방법
KR101412184B1 (ko) 2013-12-30 2014-06-25 나래정보(주) 농작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23508B1 (ko) 2017-06-21 2018-11-30 주식회사 레드서브마린 작물의 재배환경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경분석 시스템
KR102161572B1 (ko) 2018-08-08 2020-10-05 (주)길 소프트 스마트 팜 데이터 통합 수집/분석 및 모니터링/제어/예측 시스템과 그 방법
KR20200064024A (ko)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리테일영 농작물 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1524A (ko) 2019-01-22 2020-07-3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작물 관리 장치
KR20200115717A (ko) 2019-03-12 2020-10-08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작물 추천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9102A (ja) * 2014-08-29 2016-04-11 株式会社リコー 圃場管理システム、圃場管理方法、プログラム
KR20170080825A (ko) * 2015-12-30 2017-07-11 농업회사법인 씨드림 주식회사 작물의 수확량 영향 요인 평가 방법 및 장치
US20180262571A1 (en) * 2016-03-04 2018-09-13 Sabrina Akhtar Integrated IoT (Internet of Things) System Solution for Smart Agriculture Management
KR101936317B1 (ko) * 2017-09-29 2019-04-03 주식회사 그린랩스 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 파밍 방법
KR102152409B1 (ko) * 2019-11-19 2020-09-04 박양승 생육과정기록 통합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8084B1 (ko) 202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22310B (zh) 目标对象的监控方法、装置及系统
US20210350295A1 (en) Estimation of crop pest risk and/or crop disease risk at sub-farm level
US20200057968A1 (en) Method for mapping crop yields
CN106657401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农作物生长监测平台及其监测方法
WO2017105695A1 (en) Property landscap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CN107463958A (zh) 昆虫识别预警方法及系统
CN111479459A (zh) 生长状况或病虫害发生状况的预测系统、方法以及程序
KR20200068052A (ko)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병해충 진단 및 방제 방법
WO2020179961A1 (ko) 식물의 병해충과 동물 및 인간의 감염성 질병 예측 서비스 시스템
CN111354024A (zh) 关键目标的行为预测方法、ai服务器及存储介质
CN108776874A (zh) 一种现代农业监管分析系统
CN115661650A (zh) 一种基于物联网数据监测的农场管理系统
CN111260379A (zh) 农产品视频节点追踪方法
CN114548671A (zh) 基于区块链的农产品溯源系统及方法
Choudhury et al. Precision crop monitoring with affordable iot: Experiences with okra
CN115631421A (zh) 耕地智慧保护方法及保护系统
CN110197381B (zh) 基于农业物联网综合服务管理系统的可追溯信息处理方法
CN114550848A (zh) 作物病害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WO2022203114A1 (ko) 농작물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WO2022114344A1 (ko) 작물 재배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적응형 재배 정보 제공 시스템
CN113377141A (zh) 一种人工智能农业自动管理系统
Jagyasi et al. Event based experiential computing in agro-advisory system for rural farmers
JPWO2020136819A1 (ja) 作物生育支援システム、作物生育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45321B1 (ko)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161970B (zh) 一种农业物联网综合服务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333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9333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