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321B1 -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321B1
KR101445321B1 KR1020120082441A KR20120082441A KR101445321B1 KR 101445321 B1 KR101445321 B1 KR 101445321B1 KR 1020120082441 A KR1020120082441 A KR 1020120082441A KR 20120082441 A KR20120082441 A KR 20120082441A KR 101445321 B1 KR101445321 B1 KR 101445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
partial
user
management
spati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965A (ko
Inventor
임종왕
우영준
우승호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올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올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올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2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321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전체토지 및 상기 전체토지가 구분되어 사용자들에게 배정될 부분토지들에 대한 공간정보를 저장하는 DB,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 수단으로부터 상기 전체토지 중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는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영상획득모듈, 및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전체토지 중 상기 사용자에게 배정된 부분토지를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부분토지에 상응하는 공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획득모듈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부분토지를 타부분토지와 구분되도록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Remote plants managing system using space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에서 사용자들에게 토지 중 일부를 각각 배정해주고, 배정된 토지에서 재배되는 식물 중 특정 사용자에게 배정된 토지에서 재배되는 식물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모니터링과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적절한 관리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토지를 사용자들에게 배정(분양)하고, 사용자가 원격에서 자신의 토지에서 재배되는 식물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원격에서 식물의 재배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식물 중 농작물을 재배하는 환경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농작물이 아닌 모든 농작물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는 식물(예컨대, 농작물)의 재배에 있어서도 자동화된 소정의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농작물의 재배의 적어도 일부를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경우에는 원격에서도 간단한 조작만으로 농작물 재배에 있어서 필요한 관리행위(예컨대, 급수, 일조량 조정 등)를 수행할 수 있어서 인력 절감에 많은 도움이 된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위한 배경기술이 되는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출원번호 10-2011-0080259, "농산물 생육시스템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이 공개된바 있다.
한편, 도시화된 생활환경에서 살수록 사용자들은 친환경 식품 또는 농작물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져 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친환경 식품은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으로 거래가 되고 있으며, 농작물 또한 예외는 아니다. 그리고 보다 적극적으로 친환경 식품 또는 생활을 즐기기 위한 도시인들은 소위 주말농장이라는 방식으로 작은 규모의 토지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배정(분양)받아서 소규모 작농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소규모 작농 방식은 사용자들이 직접 교외에서 작농을 하는 것 자체에 의미를 둘 수는 있을지언정, 농작물 재배의 효율화와는 거리가 먼 실정이다. 또한, 선행기술과 같은 자동화 또는 원격화 가능한 농산물 재배의 기술적 사상 역시 어느 하나의 전체 토지에 대해 일괄적으로 적용될 수는 있을지언정, 전체 토지가 소규모로 구분된 환경 각각이 개별적으로 제어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즉, 소규모의 토지별로 독자적인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기에는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렇게 과도한 비용을 들여도 농작물의 재배효율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토지를 다수의 사용자들에 분양 또는 배정하여 농작물을 재배하는 환경에서도,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사용자별로 배정된 토지에 대해 타인의 토지와 구분되게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농작물을 특정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재배 또는 관리행위를 원격지에서도 일부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토지가 사용자들에게 소규모로 분할되어 배정된 환경에서도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사용자별로 어느 정도의 독립적인 재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토지의 배정시기에 따라 토지 배정의 대가를 달리 책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지주와 사용자들 간에 농작물 재배 및 수확에 따른 리스크를 서로 헤징(hedging)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들 각각에 토지를 배정할 때부터, 사용자가 농작물의 재배 또는 수확 등에 대해 가지는 성향에 따라, 성향이 비슷한 사람들의 토지는 서로 인근에 위치할 수 있도록 그룹핑하여 배정함으로써 재배 또는 수확에 필요한 자원의 소모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전체토지 및 상기 전체토지가 구분되어 사용자들에게 배정될 부분토지들에 대한 공간정보를 저장하는 DB,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 수단으로부터 상기 전체토지 중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는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영상획득모듈, 및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전체토지 중 상기 사용자에게 배정된 부분토지를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부분토지에 상응하는 공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획득모듈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부분토지를 타부분토지와 구분되도록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특정된 상기 부분토지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영상과 상기 타부분토지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영상을 분석하여 비교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비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은 전송된 상기 비교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재배관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관리신호에 상응하는 관리행위가 상기 부분토지에 수행되도록 소정의 관리장치를 제어하거나 상기 관리행위에 상응하는 관리정보를 소정의 관리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관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식물을 상기 부분토지에 심는 시기 및 상기 부분토지의 배정시기에 따라 상기 부분토지의 배정대가를 다르게 책정하기 위한 계약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식물의 재배 또는 수확에 관해 사용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선택옵션에 대한 정보를 정의하고,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옵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토지에서 사용자들 각각에 배정될 부분토지들 각각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배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정모듈은 동일 또는 유사 옵션정보를 선택한 사용자들 각각에 배정될 부분토지들을 상기 전체토지에서 그룹핑(grouping)하여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 제공방법은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이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전체토지 및 상기 전체토지가 구분되어 사용자들에게 배정될 부분토지들에 대한 공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영상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이 수신된 영상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배정된 부분토지를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부분토지에 상응하는 공간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영상에서 상기 부분토지를 타부분토지와 구분하고, 구분한 상기 부분토지에 상응하는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토지 및 사용자들에게 배정되는 부분토지에 대한 공간정보를 이용해 특정 사용자에게 배정된 부분토지를 적은 수의 영상획득 수단을 통해서도 타부분토지와 구분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자신의 농작물만을 구분하여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애착을 가지고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공간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소정의 관리장치(예컨대, 급수장치 또는 일조량 조절 장치 등)도 각각의 부분토지별로 설치하지 않고도, 개별 부분토지별로 관리행위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별로 독립적인 재배환경을 일정 수준 이상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토지의 배정시기에 따라 토지 배정의 대가를 달리 책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지주와 사용자들 간에 농작물 재배 및 수확에 따른 리스크를 서로 헤징(hedging)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농작물의 재배 또는 수확 등에 대해 가질 수 있는 성향 또는 선택사항을 미리 정의하고 이에 따라, 성향이 비슷한 사람들의 토지를 그룹핑함으로써 재배 또는 수확에 필요한 자원의 소모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농작물 관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사용자에 상응하는 부분토지가 타부분토지와 구분될 수 있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사용자의 부분토지가 구분되어 표시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사용자의 부분토지의 농작물과 타부분토지의 농작물의 비교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분토지의 배정시기에 따른 배정대가가 가변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별 토지가 그루핑되어 배정될 수 있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농작물 관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은 식물(예컨대,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토지(10)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 수단(20~23)으로부터 상기 토지(10)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영상을 수신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 수단(20~23)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 수단(20~23)이 획득할 영상을 특정할 수도 있다.
상기 토지(10)는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논, 밭, 또는 비닐하우스 내에 포함된 땅 등일 수 있다.
상기 토지(10)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토지(예컨대, 11, 12, 13)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토지(10)에 포함되는 부분토지의 크기 또는 개수는 상기 토지(10)를 사용자들에게 배정하는 주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획득 수단(20~23) 이외에도 상기 토지(10)에서 재배될 농작물의 자동화 또는 원격 재배를 위한 소정의 장치들(예컨대, 급수장치(30~32), 일조량 제공장치(40~42)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은 농작물 재배의 자동화를 위한 소정의 장치들은 상기 토지(10) 전체에 일괄적으로 영향을 미쳤었다. 따라서, 상기 토지(10)에 포함된 일 영역들 즉, 상기 부분토지들(예컨대, 11~13) 각각에만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각각의 영역마다 상기 장치들(예컨대, 영상획득 수단, 급수장치, 일조량 제공장치 등)이 모두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토지(10) 및 상기 토지(10)에 포함된 부분토지들(11~13) 각각에 대한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적은 수의 장치를 구비하면서도 일정 수준 이상 부분토지별(11~13)로 독립적인 모니터링 환경 및/또는 재배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독립적인 모니터링 환경 및/또는 재배환경은 각각의 부분토지별(11~13)로 완전한 독립적인 모니터링 및/또는 제어가 가능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특정 부분토지(12)를 모니터링할 때에는 주위의 타 부분토지(예컨대, 11, 13)도 같이 모니터링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이처럼 타부분토지가 같이 모니터링 되어도 적어도 상기 특정 부분토지의 사용자는 자신의 부분토지가 어디까지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소정의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일정 수준 이상의 독립적인 모니터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재배환경의 제어 역시 이와 유사하게 어느 특정 부분토지(예컨대, 12)에 대한 제어 즉, 관리행위(예컨대, 급수, 일조량 제공 등)가 타부분토지(예컨대, 11, 13)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독립적인 모니터링 환경 및/또는 재배환경이 제공된다고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위해 구비되는 장치들(예컨대, 20~23, 30~32, 40~42)의 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모니터링 및/또는 관리행위가 상기 토지(10)의 일영역을 구체적으로 특정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위해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토지(10)에 대해 설치된 상기 장치들(예컨대, 20~23, 30~32, 40~42)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들(예컨대, 20~23, 30~32, 40~42)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일정 수준 이상의 지향성을 갖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장치들(예컨대, 20~23, 30~32, 40~42) 의 지향성은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영상획득 수단(20~23)은 CCTV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영상획득 수단(20~23)은 특정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물론,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영상획득 수단은 무지향성으로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획득된 영상 중 원하는 부분만이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에 의해 추출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지향성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급수장치들(예컨대, 30~32) 역시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에 의해 소정의 방식으로 제어되어, 지향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급수장치들(예컨대, 30~32)이 지향성을 갖는다고 함은, 상기 급수장치들(예컨대, 30~32)에 의해 급수되는 지역이 일정 수준 이상 선택가능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조량 제공장치(예컨대, 40~42) 역시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결과 제공되는 빛이 도달하는 지역이 일정 수준 이상 선택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농작물의 모니터링 및/또는 재배를 위한 관리행위에 필요한 장치들(예컨대, 20~23, 30~32, 40~42)에게 지향성을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장치들을 구비하지 않고도 상기 토지(10) 중 선택적으로 일 영역에 모니터링 및/또는 관리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향성은 사용자들에게 배정된 부분토지들(예컨대, 11~13) 중 어느 하나(예컨대, 11)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부분토지들 중 어느 하나(예컨대, 11)에 상응하는 방향은 상기 부분토지에 상응하는 공간정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토지(10) 및 상기 토지(10)에 포함된 부분토지들(예컨대, 11~13)의 공간정보를 모델링하는데 드는 비용이 다소 소모되지만, 부분토지들(예컨대, 11~13) 각각별로 전술한 바와 같은 장치들(예컨대, 20~23, 30~32, 40~42)을 구비하지 않아도, 일정 수준 이상의 모니터링 환경 및/또는 재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자신의 토지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을 특정하여 확인할 수 있으므로, 농작물에 대한 애착을 가질 수 있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적절한 관리행위를 자신이 직접 수행할 수도 있으므로 원격지에서 직접 작농을 하는 듯한 효과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독립적인 모니터링 환경 및/또는 재배환경의 제공은 단순히 토지를 분양받고 분양받은 토지에서 타인이 농작물을 위탁재배하는 것에 비해 훨씬 많은 애착과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는 상기 토지(10)의 일부분들의 배정에 밀접한 연관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독립적인 모니터링 및/또는 재배환경이 부분토지들(예컨대, 11~13) 각각별로 완전한 독립적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는 특징은 후술할 바와 같은 토지 배정의 그루핑과 연관되어 상승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은 제어모듈(110), DB(120), 및 영상획득 모듈(130)을 포함한다.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은 비교모듈(140), 관리모듈(150), 계약모듈(160), 및/또는 배정모듈(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 수단(20~23) 및/또는 관리장치들(예컨대, 30~32, 40~42)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단말기(미도시)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토지(10) 중 어느 하나의 부분토지(예컨대, 11)을 배정받은 사용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미도시)로 상기 토지(10) 중 적어도 일부의 영상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 셋탑박스, 디지털 TV, 스마트 폰, 태블릿(tablet) 등 다양한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은 예컨대, 소정의 웹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10), 상기 DB(120), 상기 영상획득 모듈(130), 상기 비교모듈(140), 상기 관리모듈(150), 상기 계약모듈(160), 및/또는 상기 배정모듈(170)은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모듈(110), 상기 DB(120), 상기 영상획득 모듈(130), 상기 비교모듈(140), 상기 관리모듈(150), 상기 계약모듈(160), 및/또는 상기 배정모듈(170) 등 각각의 모듈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구성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모듈들이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예컨대, 상기 DB(120), 상기 영상획득 모듈(130), 상기 비교모듈(140), 상기 관리모듈(150), 상기 계약모듈(160), 및/또는 상기 배정모듈(170) 등)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토지(10)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영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 수단(20~23)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10)은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 배정된 부분토지(예컨대, 12)를 특정하고, 특정된 부분토지(예컨대, 12)에 상응하는 영상을 타부분토지(예컨대, 11, 13)와 구분되도록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토지에서 재배되고 있는 농작물을 특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황에서 우측에는 특정 사용자의 농작물이 어떤 것인지 전혀 확인할 수 없게 된다.하지만,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110)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부분토지(예컨대, 12)를 타영역과 구분할 수 있는 소정의 구분UI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자신의 토지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을 특정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줌인을 통해 자신의 농작물을 보다 확대하여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단순히 자신의 농작물이 현재 영상을 통해 확인되는 다수의 농작물 사이에 있다는 인식만 존재하는 경우와, 타인의 농작물과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사용자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서비스의 이용도 및 집중도에서 현격한 차이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
또한, 물리적으로 토지(10)에 부분토지들(예컨대, 11, 12, 13)을 구분하는 소정의 경계를 설치하는 것에 비해 설치 비용 및 토지의 사용성 저하라는 측면에서 현저히 효과적일 수 있다. 더구나 농작물이 크는 경우에는 이러한 물리적 경계는 농작물에 의해 가려져서 영상에 의해 인식되지 않을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는데, 본원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어모듈(110)이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배정된 부분토지를 구분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표시하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사용자에 상응하는 부분토지가 타부분토지와 구분될 수 있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영상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0). 상기 제어모듈(110)은 사용자의 단말기가 로그인을 한 경우에는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다(S20). 구현 예에 따라서는,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상기 DB(120)에 사용자별로 대응되는 사용자의 단말기 식별정보(예커대, IP, MAC 어드레스 등)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특정할 수도 있다(S20).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식별정보는 사용자별로 적어도 하나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종류를 파악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는 단말기 식별정보별로 단말기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단말기의 종류에 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가 컴퓨터인지, 모바일 단말기인지, 셋탑박스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종류에 상응하도록 영상의 해상도 또는 사이즈 등을 트랜스코딩(transcoding) 등과 같은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보냄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종류에 무관하게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은 상기 제어모듈(110)에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모듈(110)은 소정의 스트리밍 서버(미도시)를 통해 상기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은 상기 사용자에 배정된 부분토지를 포함하는 영상일 수 있으며, 상기 영상은 적어도 상기 사용자의 부분토지가 다른 영역과 구분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DB(120)에는 사용자별로 배정된 부분토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110)은 영상요청을 한 사용자가 특정되면, 특정된 사용자의 부분토지를 특정할 수 있다(S30).
한편, 상기 DB(120)에는 상기 토지(10) 및 상기 토지(10)에 포함된 부분토지들(예컨대, 11~13)에 대한 공간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공간정보는 상기 토지(10)의 모양뿐만 아니라, 상기 토지(10) 및 상기 부분토지들(예컨대, 11~13)의 위상관계, 면적 등과 같은 다양한 공간 파라미터 및/또는 공간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공간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소정의 위상관계, 면적 등과 같은 공간변수가 연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공간정보는 예컨대, 상기 토지(10) 및 상기 부분토지들(예컨대, 11~13)이 소정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정보 및/또는 GIS(Geometric Information System) 정보 등과 같이 공간을 모델링할 수 있는 소정의 포맷으로 모델링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토지(10) 및 상기 토지(10)가 구획된 상기 부분토지들(예컨대, 11~13)에 대한 정보는 미리 모델링되어 상기 DB(12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부분토지들(예컨대, 11~13) 별로 사용자가 배정되면, 상기 DB(120)는 부분토지들(예컨대, 11~13)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간정보는 모니터링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 수단(예컨대, 20~23)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정보는 상기 관리장치들(예컨대, 30~32, 40~42 등)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획득 수단(예컨대, 20~23)에 대한 정보는 상기 토지(10) 및 상기 토지(10)의 적어도 일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주변 공간상에서 상기 영상획득 수단(예컨대, 20~23)들 각각의 위치 및 촬영방향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줌인 또는 줌아웃을 수행할 때 상기 영상획득 수단(예컨대, 20~23)들 각각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이 상기 공간상에서 어떠한 위치 및/또는 위상관계를 가지는지 알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장치들(예컨대, 30~32, 40~42 등)에 대한 정보 역시 상기 공간 상에서 상기 관리장치들(예컨대, 30~32, 40~42 등)의 설치 위치, 방향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특정되고, 상기 사용자에 배정된 부분토지가 특정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DB(120)에서 특정된 상기 부분토지(예컨대, 12)의 공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40). 상기 부분토지(예컨대, 12)의 공간정보를 추출한다고 함은, 상기 부분토지(예컨대, 12)가 상기 공간정보에 의해 모델링되는 공간 상에서 어떠한 방향 및/또는 어떠한 위치에 존재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영상획득 수단(예컨대, 20~23)을 제어하여 상기 영상획득 수단(예컨대, 20~23)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부분토지(예컨대, 12)에 상응하는 영상을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0, S60). 상기 부분토지(예컨대, 12)에 상응하는 영상은 상기 부분토지(예컨대, 12)만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일 수도 있지만, 상기 부분토지(예컨대, 12) 및 인근의 소정의 영역을 더 포함하는 영상일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영상획득 수단(예컨대, 20~23)의 현재 위치 및/또는 현재의 방향을 항상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영상획득 수단(예컨대, 20~23)의 위치, 방향, 및 촬영배율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획득 수단(예컨대, 20~23)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에 상응하는 공간정보를 특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모듈(110)은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 수단(예컨대, 20~23)에 의해 획득된 영상정보의 공간정보 및 상기 부분토지(예컨대, 12)의 공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부분토지(예컨대, 12)를 타 영역과 구분할 수 있는 소정의 구분 UI를 영상에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S70).
이러한 결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일 예가 도 3에 도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사용자의 부분토지가 구분되어 표시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특정 사용자가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자신에게 배정된 부분토지(예컨대, 12)의 영상요청을 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영상에는 소정의 구분 UI(50)가 도시되며, 상기 구분 UI(50)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부분토지(예컨대, 12)는 특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토지(10)들 중 자신만의 부분토지(예컨대, 12)를 특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만의 부분토지(예컨대, 12)를 보다 확대하여 볼 수도 있고, 이를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로 출력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제어가 관리모듈(150)을 통해 상기 영상획득 수단(예컨대, 20~23)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부분토지(예컨대, 12)가 특정되어 확인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부분토지(예컨대, 12)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을 타부분토지(예컨대, 11, 13)의 농작물과 비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은 비교모듈(14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비교모듈(140)은 촬영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부분토지(예컨대, 12)에 상응하는 농작물과 타부분토지(예컨대, 11, 13)에 상응하는 농작물을 비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비교모듈(140)은 소정의 영상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교모듈(140)은 비교결과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예컨대, 그래프, 수치, 텍스트 등)으로 표현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사용자의 부분토지(예컨대, 12)와 상기 타부분토지(예컨대, 11, 13) 각각에 상응하는 농작물의 재배결과(예컨대, 농작물의 크기, 과실의 크기, 상태 등)가 차이가 날 수 있는 것은,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사용자별로 일정한 수준 이상 재배 및/또는 수확에서 자유도 또는 독립성을 부여하는 것을 가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 예는 도 4에 도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사용자의 부분토지의 농작물과 타부분토지의 농작물의 비교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좌측의 농작물은 상기 사용자의 부분토지(예컨대, 12)에서 자라는 농작물일 수 있고, 우측의 농작물은 상기 타부분토지(예컨대, 11, 13)의 농작물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이처럼 농작물들의 크기 또는 키가 다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부분토지(예컨대, 12)가 타부분토지(예컨대, 11, 13)와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으므로, 자신의 부분토지(예컨대, 12)에서 재배되는 농작물과 타부분토지(예컨대, 11, 13)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의 비교결과를 도 4a에서와 같이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비교모듈(140)은 상기 영상획득 수단(예컨대, 20~23)을 통해 수신되어 상기 영상획득 모듈(130)을 통해 전달받은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타부분토지(예컨대, 11, 13)와 상기 사용자의 부분토지(예컨대, 12) 각각에 상응하는 농작물의 크기 또는 키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결과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보(예컨대, 통계, 표, 텍스트, 수치 등)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비교는 상기 부분토지(예컨대, 12) 중 어느 하나의 농작물의 상태를 기초로 수행될 수도 있고, 농작물의 평균적 상태를 기초로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 소정의 과실이 농작물에 열리는 경우, 과실의 크기, 개수, 선명도 등이 상기 비교모듈(140)에 의해 분석되고, 그 결과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소정의 관리신호 즉, 자신의 부분토지(예컨대, 12)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소정의 관리행위를 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에 포함된 상기 관리모듈(15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관리모듈(150)은 상기 관리신호에 상응하는 관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관리장치들(예컨대, 30~32, 40~42 등)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하고, 특정된 관리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특정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부분토지(예컨대, 12)의 공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토지(예컨대, 12)에 관리행위가 수행될 수 있도록 관리장치들(예컨대, 30~32, 40~42 등)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장치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관리행위는 급수 또는 일조량의 조절 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관리행위는 상기 관리장치들(예컨대, 30~32, 40~42 등)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지만, 일정부분 인력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관리행위를 수행하기 위한 관리정보가 소정의 관리자 단말기(미도시)로 전송될 수 있다. 이 정보를 이용해 인력이 직접 사용자가 원하는 관리행위를 대행해줄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토지(10) 중 일부의 배정에 있어서도 효율적인 배정을 통해 토지주 및 사용자가 일정한 위험을 헷징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한다.
이러한 일 예는 도 5에 도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분토지의 배정시기에 따른 배정대가가 가변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농작물의 파종시기가 결정되고, 결정된 파종시기에 대응되는 수확시기가 결정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의 계약모듈(160)은 사용자의 단말기들이 접속할 수 있는 소정의 웹 사이트 또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토지(10) 중 적어도 일부를 배정받을 시기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파종시기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계약모듈(160)은 상기 파종시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배정할 부분토지(예컨대, 12)의 배정대가(예컨대, 임대료 등)를 가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파종시기 전의 소정의 시기(예컨대, t1, t2)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배정대가가 책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계약모듈(160)은 수확이 가까워갈수록 소정의 비율로 배정대가가 높아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에 따른 배정대가는 실선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배정대가는 자연상태 또는 재배의 진행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예컨대, 자연재해 등에 의해 농작물의 재배가 원할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배정대가는 수확시기가 가까워져도 오히려 낮아질 수도 있다.
따라서, 이처럼 농작물의 가치는 시장상황, 자연환경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리스크를 토지(10)의 주인이 모두 지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시기에 따라 가변되는 배정대가를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리스크를 토지의 주인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분산시키도록 함으로써, 원할한 서비스가 이용되고 사용자들의 관심도 및 이용도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사용자별 및/또는 토지별로 농작물 재배 또는 수확에 있어서 일정한 수준 이상의 자유도를 줄 수 있다. 이러한 자유도는 재배에 들어가는 인력 또는 자원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인력, 시간, 또는 자원의 증가를 효율적으로 컨트롤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이 도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별 토지가 그루핑되어 배정될 수 있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미리 부분토지(예컨대, 12)를 배정받기 전에 농작물의 종류 또는 특성(예컨대, 노란색 파프리카, 파란색 파프리카 등), 수확시기(예컨대, 약간 설익었을 때 수확, 보통의 경우 수확 등과 같은 숙성정도를 결정짓는 시기), 및/또는 일조량 등과 같이 평상시에 수행되는 관리행위의 특성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반적으로 도출될 수 있는 재배 또는 수확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미리 공지할 수 있다.
상기 배정모듈(17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옵션 즉, 선택옵션에 대한 정보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기들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별 옵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배정모듈(170)은 선택한 옵션이 비슷한 사람들이 인근의 부분토지를 배정받도록 그루핑하여 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도 6b에 도시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옵션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사람들의 토지를 그루핑하여 배정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선택의 자유도의 부여에 의한 재배비용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부분토지들(11~14)에 상응하는 사용자는 동일한 종류의 농작물을 선택한 사용자일 수 있다. 그러면, 파종에 있어서 한 번에 적은 이동을 통해 파종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리행위가 동일 또는 유사한 경우, 관리장치들(예컨대, 30~32, 40~42 등)의 제어가 상기 부분토지들(11~14)에 모두 영향을 미쳐도 사용자의 선택에 어긋나지 않으므로, 관리장치들(예컨대, 30~32, 40~42 등)의 숫자 또는 제어를 적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부분토지들(15~18)은 상기 부분토지들(11~14)에 비해 수확시기를 달리 선택한 사용자들의 토지일 수 있다. 그러면, 인근에 모여 있는 상기 부분토지들(15~18)을 한꺼번에 수확할 수 있으므로, 수확에 드는 인력, 자원, 시간의 비용이 줄어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배정할 토지의 위치를 그루핑하여 결정함으로써, 자유도의 증가에 따른 비용의 증가를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전체토지 및 상기 전체토지가 구분되어 사용자들에게 배정될 부분토지들에 대한 공간정보-상기 공간정보는 상기 전체토지와 상기 부분토지들의 위상을 포함하도록 모델링된 정보임-를 저장하는 DB;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 수단으로부터 상기 전체토지 중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는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영상획득모듈; 및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전체토지 중 상기 사용자에게 배정된 부분토지를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부분토지에 상응하는 공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획득모듈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부분토지를 타부분토지와 구분되도록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재배 관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특정된 상기 사용자에게 배정된 상기 부분토지에 관리행위를 할 수 있는 관리장치-상기 관리장치는 복수의 부분토지들에 관리행위를 할 수 있는 장치임-를 상기 공간정보에 포함된 상기 부분토지 및 복수의 관리장치들의 위치 또는 방향에 기초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관리장치의 위치 또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부분토지에 상기 재배 관리 신호에 상응하는 관리행위를 수행하기 위한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특정된 상기 부분토지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영상과 상기 타부분토지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영상을 분석하여 비교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비교모듈을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식물의 재배 또는 수확에 관해 사용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선택옵션에 대한 정보를 정의하고,
    사용자들 각각의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옵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토지에서 사용자들 각각에 배정될 부분토지들 각각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배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정모듈은,
    동일 또는 유사 옵션정보를 선택한 사용자들 각각에 배정될 부분토지들을 상기 전체토지에서 그룹핑(grouping)하여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
  7.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이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전체토지 및 상기 전체토지가 구분되어 사용자들에게 배정될 부분토지들에 대한 공간정보-상기 공간정보는 상기 전체토지와 상기 부분토지들의 위상을 포함하도록 모델링된 정보임-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영상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이 수신된 영상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배정된 부분토지를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부분토지에 상응하는 공간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영상에서 상기 부분토지를 타부분토지와 구분되도록 표시하고, 표시한 상기 부분토지에 상응하는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재배 관리 신호에 응답하여, 특정된 상기 사용자에게 배정된 상기 부분토지에 관리행위를 할 수 있는 관리장치-상기 관리장치는 복수의 부분토지들에 관리행위를 할 수 있는 장치임-를 상기 공간정보에 포함된 상기 부분토지 및 복수의 관리장치들의 위치 또는 방향에 기초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관리장치의 위치 또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부분토지에 상기 재배 관리 신호에 상응하는 관리행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방법.
KR1020120082441A 2012-07-27 2012-07-27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45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441A KR101445321B1 (ko) 2012-07-27 2012-07-27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441A KR101445321B1 (ko) 2012-07-27 2012-07-27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965A KR20140014965A (ko) 2014-02-06
KR101445321B1 true KR101445321B1 (ko) 2014-10-01

Family

ID=50264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441A KR101445321B1 (ko) 2012-07-27 2012-07-27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3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73811A (zh) * 2016-11-25 2017-05-31 山东聚盛联创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北斗的种植智能监控系统
KR101936317B1 (ko) * 2017-09-29 2019-04-03 주식회사 그린랩스 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 파밍 방법
CN114139264B (zh) * 2021-12-02 2024-05-07 中国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基于bim+gis技术的建筑水系统信息化智慧运维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965A (ko) * 2002-04-15 2003-10-22 박대진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원격사육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30082180A (ko) * 2002-04-17 2003-10-22 이인옥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주말농장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100020846A (ko) * 2008-08-13 2010-02-23 김선중 온라인을 통한 실제 농장 경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965A (ko) * 2002-04-15 2003-10-22 박대진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원격사육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30082180A (ko) * 2002-04-17 2003-10-22 이인옥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주말농장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100020846A (ko) * 2008-08-13 2010-02-23 김선중 온라인을 통한 실제 농장 경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965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reshidi Smart sustainable agriculture (SSA) solution underpinned by internet of things (IoT)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KR102260011B1 (ko) 디지털 트윈 기반의 지능형 원격농장 시스템 및 방법
US10028452B2 (en) Horticultural monitoring system
US1017156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oud-based agricultural data processing and management
Hinkel et al. A diagnostic procedure for applying the social-ecological systems framework in diverse cases
US20190188847A1 (en)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captured images to detect agricultural failure
Van Hilten et al. 5G in agri-food-A review on current statu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CN109642795A (zh) 根据视频和地面内传感器数据生成实时传感器地图
JP7411147B2 (ja) 農業管理のためのデバイス
Saha et al. IoT‐enabled agricultural system application, challenges and security issues
CA2921282C (en) Intelligent grounds management system
KR101445321B1 (ko) 공간정보를 활용한 원격 식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hareeda et al. Intelligent drone-based iot technology for smart agriculture system
El Houssaini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s in agricultural applications
US11596118B2 (en) Intelligent horticulture light
Symeonaki et al. Review on the Trends and Challenges of Cloud Computing Technology in Climate-Smart Agriculture.
KR20210149623A (ko) Vr 기반의 실감형 스마트팜 연구 시스템
US113373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overy and control of internet-of-things components for indoor agriculture and controlled environment systems
KR102460814B1 (ko) 뿌리 형태학 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 모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N106857303A (zh) 畜禽散养方法、装置与系统
Abusukhon et al. Water preservation using IoT: A proposed IoT system for detecting water pipeline leakage
Indira et al. Eco-friendly green cloud structure with internet of things for astute agriculture
KR20210121864A (ko) 스마트 농업 현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832300B2 (ja) 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38084B1 (ko) 농작물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