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86573A1 -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 Google Patents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86573A1
WO2022186573A1 PCT/KR2022/002869 KR2022002869W WO2022186573A1 WO 2022186573 A1 WO2022186573 A1 WO 2022186573A1 KR 2022002869 W KR2022002869 W KR 2022002869W WO 2022186573 A1 WO2022186573 A1 WO 202218657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eg
preventing soil
rivers
reinforc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286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기연
우승명
Original Assignee
상록엔비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2958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12995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2958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10868B1/ko
Application filed by 상록엔비텍(주) filed Critical 상록엔비텍(주)
Publication of WO202218657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8657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soil leakage by installing it in a place that receives large external water or large waves in order to prevent soil loss of rivers and coastal slopes. It is about a structure that prevents soil loss of rivers and coastal slopes that can ensure stability and a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 slope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rivers, and the slopes prevent flooding of the river to ensure the safety of residents adjacent to the river, and the slopes connected to the slopes are designed to ensure a comfortable life for residents.
  • the slope of the river is a side in contact with the river, and a retaining wall is installed using concrete, and a sidewalk is installed at the edge in contact with the slope.
  • a sofa block which is installed in a place that receives large waves from a breakwater or a shore for the purpose of dispersing or dissipating wave energy and reducing reflected waves. It refers mainly to blocks made of concrete.
  • a tetrapod having the shape of four horns has been used the most, and Dolos and sealock, which are modified tetrapods, are also being used a lot recently.
  • the tetrapods are covered with a single or double layer on the slope of the breakwater, or a plurality of tetrapods are densely formed when constructing a coastal erosion structure such as Jamje to form a single structure.
  • a breakwater or river bed formed by stacking tetrapods disperses or dissipates wave energy due to the interstitial space between adjacent tetrapods, the uneven shape of the tetrapod itself, and their interlocking.
  • the sofa block must have sufficient stability against wave force, etc., must have sufficient structural strength against external force or self-weight, be easy to lift and construct, and be able to obtain an appropriate porosity when laminated to attenuate wave energy, etc. requirements are required.
  • the method of mounting the sofa block includes a two-layer covering type and a hard stacking type, and the two-layer covering type includes an upright covering type and an inclined covering type, and the upright front-end covering type and the sloped front type for the hard stacking type.
  • the construction is good because it is easy to implement the void ratio and the installation is simple, but the general public sees a huge concrete structure as a messy pile, so the aesthetics is not good.
  • the two-story covering type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ofa blocks are arranged in an orderly manner, so that even if the sofa blocks, which are huge concrete structures, are arranged, the surrounding aesthetics is not greatly impair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nstruction is difficult in that it has to match the direction (angle).
  • the conventional sofa block structure is very difficult to align the sofa block in the initial work because only a mounting method is possible starting from the bottom of the sea and stacking up to the ceiling along the slope.
  • many workers have to go down to the sea floor and align the sofa blocks in the correct position and mount them. ,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on the seabed is also very high.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tructure of the derivation type that can prevent the loss of the embankment in case of a great flood when installed on a river embankment, etc. has a large interlocking phenomenon. and to provide a structure for preventing soil loss of rivers and coastal slopes, and a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with a large structural strength of the block and a function for improving the mountability of the rope on the leg part for stable production and construc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width (W) and height (h) of the reinforcing part with improved tensile stress concentration at the point where each curved surface and the line of the leg part coupled to the body part and two at both ends are at the point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dy made of concret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nected to a plurality of first leg parts arranged on a first plane,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respectivel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 structure for preventing soil eros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leg parts disposed on a second plane perpendicular to the first plane, wherein the first leg part and the second leg part are provided while enclosing the body part to which the second leg part is connected and a first reinforcing part protruding outward; a second reinforcing part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first leg part and protruding outward; and a running water inducing part provided in a channel shape of a shape set by the second reinforcing part to induce a flow of running water.
  •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leg parts may extend while forming an angle s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 running water inducing part may be formed as a cross-shaped channel by the second reinforcing part around the inflection point of the front center of the first leg part to induce the flow of running water.
  • the first reinforcing part may be formed in a closed type or a semi-closed type.
  • it may further include; a lifting protrusion tapered inwardly in the form of a convex wedge on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the extension of the shaft of the body and the leg.
  • the lifting protrusion is formed in a wedge-shaped block model,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by strengthening interlocking.
  • a structure for preventing soil erosion using the structure for preventing soil erosion on rivers and coastal slopes is composed of a body part made of concrete, a leg part, a reinforcement part, and a running water induction part to prevent soil erosion a lifting protrusion forming step of forming at least one lifting protrusion at a set position of the structure; a structure position moving step of moving the structure to a set position by hanging a rope on the lifting protrusions after the lifting protrusion forming step; a structure arrangement step of disposing the water induction part of the structure whose position is being moved through the structure position moving step to face the front of the river and the shore; and a structure stacking step of repeatedly stacking and mounting the structure in the manner of the structure position moving step and the structure arrangement step;
  • the present invention has sufficient stability against wave force when installed on the shore, etc., maintains structural strength against external force or self-weight, is effective in curing and construction, and has a suitable porosity when laminated to attenuate wave energy It is possible to secure workability and stability when the structure is mounted.
  •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the lifting protrusion in the form of a convex wedge in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and the extension line of the trunk shaft and the leg part.
  • the lifting protrusion in the form of a convex wedge in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and the extension line of the trunk shaft and the leg par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ucture for preventing soil loss of rivers and coastal slo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9, 10, 11, and 12 are views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being lifted through the lifting protrusion.
  • 13, 14, 15, and 16 are views showing a second embodiment that is lifted through the lifting protrusion.
  • 17 is a flowchart of a structure mounting method for preventing soil loss of rivers and coastal slop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8 and 19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uctures are stacked and mounted.
  • 20 is a view showing the stress distribution betwee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xisting structure.
  • 21 is a view showing the crack load due to various loads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xisting structure.
  •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 a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 a certain element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 FIGS.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structure for preventing soil loss of rivers and coastal slo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6, 7, and 8 are views showing the specific dimensions of each part of the structure
  • FIGS. 9, 10, 11, and 12 show a first embodiment that is lifted through the lifting protrusion 13 14, 15, and 16 are views showing a second embodiment that is lifted through the lifting protrusion.
  • the body part 110 made of concret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ody part 110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a plurality of first leg parts 120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part 110 disposed on the first plane
  •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It may include a reinforcing unit 140, a second reinforcing unit 150, and an oil flow inducing unit 160, and the plurality of first leg units 120 and second leg units 130 are respectively s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can be extended while forming an angle.
  • the first reinforcing part 140 is provided while a wedge-shaped block model surrounds the joint of the body part 110 to which the first leg part 120 and the second leg part 130 are connected, and may protrude outward. have.
  • the first reinforcing part 140 may be formed in a closed type or a semi-closed type,
  • the second reinforcing part 150 is provided on a part of the first leg part 120 and may protrude outward.
  • the second reinforcing part 150 is provided with four "L"-shaped wedge-shaped block models symmetrically up and down, left and right, respectively, around the inflection point of the front center of the first leg part 120, so as to protrude in a cross shape, One end of each of the block models of the “L”-shaped wedge shape is connected to the first reinforcing part 140 .
  •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parts 140 and 150 are to relieve the concentration of tensile stress
  • W is the width of the reinforcing part
  • h is the height of the reinforcing part
  • E is the diameter (relatively small part) of the body.
  • the reinforcing parts 140 and 150 are composed of one body part 110 and two leg parts 120 and 13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ody part 110, respectively, in the form of a structural spa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uctural strength by structural reinforcement of the tensile stress (compressive strength 1/9 to 1/13) in accordance with and to strengthen the interlocking function of each structure 100.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first reinforcing part 140, an open/close type and a semi-open/close type may be achieved.
  • each of the leg parts 120 and 130 is L, and the angle between the axes of each of the leg parts 120 and 130 is ⁇ , and ⁇ may be 30° or more and 90° or less.
  • the length of the leg parts 120 and 13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tructure 100 is 2Lsin ⁇ , which can be expressed as 2Lsin ⁇ E ⁇ 4 (Equation 3).
  • the length of the leg parts 120 and 130 of the structure 100 can be experimentally calculated.
  • h 0.8 times or less of E
  • w may be 0.7 times or less of E.
  • the flowing water inducing unit 160 may be provided in a channel shape of a shape set by the second reinforcing unit 150 to induce the flow of flowing water through the channel.
  • the running water induction part 160 is formed as a cross-shaped channel by the second reinforcing part 150 around the inflection point of the front center of the first leg part 120 to induce the flow of running water.
  • the running water induction unit 160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econd reinforcement part as a cross-shaped channel by the second reinforcement part 150 protruding in a cross shape around the inflection point to guide the flow of running water up, down, left and right to the sofa. and to prevent soil loss.
  • the flowing water induction unit 160 is formed such that the second reinforcing unit 150 is formed in an asymmetric or asymmetric cross shape around the inflection point, and forms an asymmetric cross-shaped channel to guide the flow of running water in an irregular direction while guiding the flow of water in an irregular direction. can be further improved.
  • the body part 110 and the leg parts 120 and 130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Specifically, the body 110 and the leg parts 120 and 130 have various polygonal shapes, such as hexagons and octagons, in addition to the general circular shapes.
  • manufacturing in the shape of the structure 100 can enhance the interlocking function between each other to enhance the stability when stacking each other.
  • each of the leg parts 120 and 130 or the body part 110 is provided in a general cylindrical shape, or in particular, when it has a cross section of various polygonal shapes such as a tetrahedron, a hexahedron, and an octahedron, mathematical stability, that is, the stability coefficient (K D )
  • K D the stability coefficient
  • the structure 100 having a polygonal shape as above minimizes the flow by wave energy through smooth interlocking while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interlocking structures 100 at the same time. can do it
  • the structure for preventing soil loss of rivers and coastal slopes may further include a lifting protrusion 170 .
  • the lifting protrusion 170 may be a convex wedge shape inwardly taper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and the extension of the shaft of the body 110 and the legs 120 and 130 .
  • the lifting protrusion 170 is formed in a wedge-shaped block model, and interlocking can be strengthened by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each other, respectively.
  • the lifting protrusion 170 formed on the first leg part 12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leg part and protrudes in a straight shape
  • the lifting protrusion part 170 formed on the second leg part 130 is the second leg part. As it is formed at one end, it is possible to form a straight-line shape in a state in which the central part is cut off, and a traction rope or the like is connec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ut part, so that the structure 100 can be more firmly towed.
  • the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x model for improving tensile stress concentration, and in the case of the convex shape in which tensile stress is concentrated, the structural stability is 1.8 times or more, and the interlocking function is excellent, so that it can be repaired The stability coefficient is large.
  • the structural strength analysis test results refer to the Midas structural analysis program.
  • an open/close type, a semi-open/close type, or a closed type in which each other is connected may be formed.
  • the lifting protrusion 170 is connected to the lifting rope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parts 140 and 150 to strengthen the traction force for lifting the structure.
  • the operator can perform a solid traction operation by strengthening the traction force while the rope spanned by the lifting protrusion 170 passes throug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econd reinforcing part 150 .
  • the first reinforcing part 140 and the second reinforcing part 150 are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internal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 the first protruding jaw (not shown) and the second leg part protrude out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leg part 12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leg part 120 .
  •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rotruding jaw (not shown)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eg 13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leg portion 130 .
  • first reinforcing portion 140 and the first protruding jaw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second reinforcing portion 150 and the second protruding jaw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first reinforcing portion 140 and the first protruding jaw ar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jaw and the adjacent first protruding jaw.
  • a second auxiliary jaw (not shown)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leg portion 130 between the two protruding jaws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1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eg portion 130 is formed. may include more.
  • first auxiliary jaw connects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adjacent first protrusion
  • second auxiliary jaw connects the second protrusion and the adjacent second protrusion
  •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The jaw may be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internal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 first auxiliary jaw and the second auxiliary jaw may be manufactured to be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internal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 FIGS. 18 and 19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uctures are stacked and mount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fting protrusion forming step (S100), the structure It may include a position moving step (S200), a structure arrangement step (S300) and a structure stacking step (S400).
  • the lifting protrusion forming step (S100) is composed of a body part 110 made of concrete, leg parts 120, 130, reinforcement parts 140, 150, and a water flow guide part 160 to prevent soil loss.
  • ) is a step of forming at least one lifting protrusion 170 at a set position.
  • the shape of the reinforcing parts 140 and 150 and the calculation of the length of the leg parts 120 and 130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n the structure 100 for preventing soil loss. (Using Equations 1, 2, 3)
  • the operator can connect the rope or the like to the lifting protrusion 170 taper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o lift the structure 100 and then move it to the installation site, and also the lifting protrusions 160 tapered inward to each other.
  • the interlocking function can be strengthened by stacking them to fit each other up and down.
  • the structure position moving step (S200) is a step of moving the structure 100 to a set position by hanging a rope on the lifting protrusions 170 after going through the lifting protrusion forming step (S100).
  • the structure arrangement step (S300) is a step of disposing the water flow guide unit 160 of the structure 100 whose position is being moved through the structure position moving step (S200) to face the front of the river and the coast.
  • the structure stacking step (S400) is a step of stacking and mounting the structure 100 repeatedly in the manner of the structure position moving step (S200) and the structure arrangement step (S300).
  • the present invention has sufficient stability against wave force when installed on the shore, etc., maintains structural strength against external force or self-weight, is effective in curing and construction, and has a suitable porosity when laminated to attenuate wave energy can be obtained, so that workability and stability can be secured when the structure 100 is mounted.
  •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the lifting protrusion 170 in the form of a convex wedge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and the extension of the axis of the body 110 and the leg portions 120 and 130, so that in the case of a convex shape, the strength of the structure 100 is It can be used without damage, is safe during construction, and can be constructed with excellent bonding properties.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100 with a large weight,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safety accidents due to mounting and reducing the cost b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 FIG. 20 is a view showing the stress distribution betwee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xisting structure
  • FIG. 21 is a view showing the crack load due to various loads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xisting structure.
  • the crack load range was about 18.11 tonf to 52.97 tonf, but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 safety factor of at least 1.74 times or more and a maximum of 2.05 times in the crack load due to various loads compared to the existing structure, considering that it has a cracking load range of about 31.58 tonf to 108.40 tonf.
  •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ed on the coast, etc., it has sufficient stability against wave force, maintains structural strength against external force or self-weight, and is effective in curing and construction, and when laminated to attenuate wave energy, an appropriate porosity can be obtained. It is possible to secure workability and stability when the structure is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평면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 1다리부 및 상기 몸통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평면과 수직인 제 2평면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 2다리부를 포함하는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로서, 상기 제 1다리부와 상기 제 2다리부가 연결되는 상기 몸통부를 에워싸면서 구비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제 1보강부; 상기 제 1다리부의 일부분에 구비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제 2보강부; 및 상기 제 2보강부에 의해 설정된 모양의 채널 형상으로 구비되어 유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수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본 발명은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의 큰 물이나 큰 파도를 받는 곳에 설치하여 토사유출되는 것을 방지 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적인 취약성 및 인터락킹을 개선하고 작업성 및 안정성을 확보가 가능한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는 양측면에 법면을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법면은 하천의 범람을 예방하여 하천에 인접한 주민들의 안전을 확보함은 물론, 법면과 연접되어 형성되는 둔치는 주민들의 안락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게 된다.
상기 하천의 법면은, 하천과 접하는 측으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옹벽을 설치하고 법면과 접하는 둔치에는 보도를 설치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하천 법면은 대홍수시 유실에 대한 대책이 없어 우기시 하천 법면이 손쉽게 붕괴되어 대형의 인명사고 및 재산 손실을 가져오는게 우리의 실정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보도에 투척된 각종 오물은 빗물과 함께 하천으로 유입되어 하천이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파블록을 이용하여 토사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데, 소파블록은 파랑의 에너지를 분산 또는 소실(消失)시키고, 반사파를 저감시킬 목적으로 방파제나 호안(護岸)의 큰 파도를 받는 곳에 설치하는 것으로, 주로 콘크리트제의 블록을 말한다.
종래의 소파블록으로는 4개의 뿔 모양으로 생긴 테트라포드가 가장 많이 이용되었으며, 테트라포드를 변형한 돌로스(dolos), 씨락(sealock) 등도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테트라포드는 방파제의 사면에 단층 또는 복층으로 피복되거나, 잠제와 같은 해안침식 구조물 등을 건설시 다수 개가 밀집 형성되어 하나의 구조체를 형성한다. 테트라포드를 적층하여 형성된 방파제 또는 하천 바닥 등은 인접하는 테트라포드 사이의 틈새 공간과 테트라포드 자체의 울퉁불퉁한 형상, 그리고 이들의 엇물림에 의하여 파랑 에너지를 분산 또는 소실시킨다.
소파블록은 파력 등에 대해 충분한 안정성을 가질 것, 외력이나 자중에 대하여 충분한 구조 강도를 가질 것, 양중 및 시공이 용이할 것, 파랑 에너지를 감쇄할 수 있도록 적층하였을 때 적당한 공극률을 얻을 수 있을 것 등의 요건이 요구된다.
한편, 소파블록을 거치하는 방법에는 2층피복 형식과 난적 형식 등이 있고, 2층피복 형식에는 직립제피복형식과 경사제피복형식이 있으며, 난적 형식에는 직립제 전단면 피복 형식과 경사제 전단면 피복 형식이 있다.
난적 형식은 공극율을 구현하기 쉽고 거치가 간단하여 시공성이 좋은 반면, 일반인들에게는 거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난잡하게 쌓여 있는 것으로 비춰지기 때문에 미관이 좋지 않다.
반면, 2층피복 형식은 소파블록이 정연하게 배치되어 거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인 소파블록이 배열되어 있어도 주변 미관을 그다지 해치지 않는 점에서 유리하지만, 수십톤에 달하는 소파블록을 하나씩 거치할 때마다 위치는 물론 방위(각도)까지 맞춰야 하는 점에서 시공이 까다롭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소파블록의 형태가 어떻든, 종래의 소파블록 구조는 해저면에서부터 시작하여 사면을 따라 천단면까지 쌓아나가는 거치 방법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초기 작업에 소파블록을 정렬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웠다. 즉 해저면 에서 소파블록을 정렬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부들이 해저에 내려가 소파블록을 정위치로 정렬하며 거치해야 하는 데, 이는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해저면에서 인부들의 숙련도에 의지하는 작업이어서 작업 자체가 어렵고, 해저 에서 안전 사고가 발생할 위험도 매우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천 제방 등에 설치시 대홍수시 제방의 유실문제를 방지 할 수 있는 도출 형태의 구조는 맞물림 현상이 크게 하고, 블록의 구조적인 강도가 크게 하며 안정적인 제작 및 시공을 위한 다리부분에 로프의 장착성 향상을 위한 기능이 구비된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장응력집중을 개선한 보강부의 폭(W), 높이(h)로 상기 몸통부 및 양단에 각각 두 개씩 결합된 다리부의 각 곡면과 선이 인점하는 곳에 설치하여 인터락킹 및 구조적인 강도를 개선한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평면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 1다리부 및 상기 몸통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평면과 수직인 제 2평면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 2다리부를 포함하는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로서, 상기 제 1다리부와 상기 제 2다리부가 연결되는 상기 몸통부를 에워싸면서 구비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제 1보강부; 상기 제 1다리부의 일부분에 구비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제 2보강부; 및 상기 제 2보강부에 의해 설정된 모양의 채널 형상으로 구비되어 유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수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제 1다리부 및 제 2다리부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각도를 이루면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수유도부는, 상기 제 1다리부 정면 중앙의 변곡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 2보강부에 의해 십자가 형상의 채널로 형성되어 유수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보강부는 폐쇄형이나 반폐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부 하단 및 몸통부 축의 연장선과 상기 다리부에 볼록 모양의 쐐기 형태로 내측으로 테이퍼진 형상의 인양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양돌기부는 쐐기 형태의 블록모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간의 상, 하부가 각각 연결됨에 의해 인터록킹을 강화할 수 있다.
전술한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를 이용한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의 거치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몸통부, 다리부, 보강부, 유수유도부로 구성되어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상기 구조체의 설정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인양돌기부를 형성하는 인양돌기부 형성단계; 상기 인양돌기부 형성단계를 거친 후 상기 인양돌기부들에 로프를 걸어서 상기 구조체를 인양하여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는 구조체 위치 이동단계; 상기 구조체 위치 이동단계를 통해서 위치가 이동 중인 상기 구조체의 상기 유수유도부를 하천 및 해안의 정면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구조체 배치단계; 및 상기 구조체 위치 이동단계와 구조체 배치단계의 방식으로 반복하여 상기 구조체를 적층하여 거치하는 구조체 적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해안 등에 설치시 파력 등에 대해 충분한 안정성을 가지고, 외력이나 자중에 대하여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며 양생 및 시공이 효과적이며, 파랑에너지를 감쇄 할 수 있도록 적층하였을 때 적당한 공극률을 얻을 수 있어 구조체 거치시 작업성 및 안정성의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몸통부 하단 및 몸통부 축의 연장선과 다리부에 볼록 모양의 쐐기 형태로 인양돌기부를 설치하므로 볼록 모양의 경우 구조체 강도의 훼손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시공시 안전하며 우수한 결합성으로 시공할 수 있으며 큰 중량의 구조체인 경우 거치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 및 공사 기간 단축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가 크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구조체 보다 구조적 강도를 1.7∼2.3배 이상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인터락킹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5, 도 6, 도 7, 도 8은 상기 구조체의 각 부분의 치수를 특정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도 10, 도 11, 도 12는 상기 인양돌기부를 통해서 인양되는 제 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도 14, 도 15, 도 16은 상기 인양돌기부를 통해서 인양되는 제 2실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거치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8, 도 19는 상기 구조체가 적층하여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와 기존 구조체의 응력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와 기존 구조체의 다양한 하중에 의한 균열하중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 도 3,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조체의 사시도이며, 도 5, 도 6, 도 7, 도 8은 상기 구조체의 각 부분의 치수를 특정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도 10, 도 11, 도 12는 상기 인양돌기부를 통해서 인양되는 제 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 도 14, 도 15, 도 16은 상기 인양돌기부를 통해서 인양되는 제 2실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몸통부(110), 몸통부(110)의 일단에 연결되고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평면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 1다리부(120) 및 몸통부(110)의 타단에 연결되고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평면과 수직인 제 2평면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 2다리부(130)를 포함하는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100)로서, 본 발명은 제 1보강부(140), 제 2보강부(150) 및 유수유도부(160)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제 1다리부(120) 및 제 2다리부(130)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각도를 이루면서 연장될 수 있다.
제 1보강부(140)는 쐐기 형상의 블록모형이 제 1다리부(120)와 제 2다리부(130)가 연결되는 몸통부(110)의 이음부를 에워싸면서 구비되고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보강부(140)는 폐쇄형이나 반폐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보강부(150)는 제 1다리부(120)의 일부분에 구비되고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2보강부(150)는 제 1다리부(120)의 정면 중앙의 변곡점을 중심으로 4개의 "ㄱ" 자형 쐐기 형상의 블록모형이 상하 좌우로 각각 대칭되게 구비되어 십자 형상으로 돌출형성되고, "ㄱ" 자형 쐐기 형상의 블록모형은 각각 일 단이 제 1보강부(140)와 연결된다.
제1, 2보강부(140,150)는 인장응력의 집중을 완화하기 위해서,
W ≤ E × 0.7 - (식 1)
h ≤ E × 0.8 - (식 2) 로 나타낼 수 있다.
(단, W는 상기 보강부의 폭, h는 상기 보강부의 높이, E는 상기 몸통부의 직경(상대적으로 작은 부분)각각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보강부(140,150)는 하나의 몸통부(110) 및 몸통부(110)의 양단에 각각 두 개씩 결합된 다리부(120,130)로 구성되어 있어 구조적인 스판(SPAN) 형태이며, 무근에 따른 인장응력(압축강도 1/9∼1/13)의 구조적인 보강으로 구조적인 강도를 증대시키며 각 구조체(100)의 인터락킹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특히, 제 1보강부(140)의 경우에는 개폐형과 반 개폐형을 이룰 수 있다.
각각 다리부(120,130)의 길이를 L, 각각의 다리부(120,130) 축 간의 각도를 α라 하며, α는 30° 이상 90°이하일 수 있다.
구조체(100)의 양단에 각각 두 개씩 결합된 다리부들(120,130)의 길이를 2Lsinα로 하며, 2Lsinα≥ E × 4(식 3)로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조체(100) 각각의 다리부(120,130)의 길이를 상기와 같은 식으로 결정하도록하여 인장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는 최적 수치의 다리부(120,130)들의 길이를 실험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식 1, 2, 3을 이용한 실제 설계예들을 계산하여 나타내면,
설계 1
α = 65°
∴ L = 1,710/sin65° = 1,887 Y = 3,420, (T = 3850)
∴ M + 1,887 × 2 × cos65° = 3,850 ∴ M = 2,255
(2 × L × sinα)/E ≥ 4.0
∴ E4.0 = 855
설계 2
α = 45°
∴ L = 1,710/sin45° = 2,418 Y = 3,420, (T = 3850)
∴ M + 2,418 × cos45° × 2 = 3,850 ∴ M = 430
(2 × L × sinα)/E ≥ 4.0
∴ E4.0 = 854
<표 1>. 20 Ts 기준
Figure PCTKR2022002869-appb-I000001
여기서, 실험적인 데이터를 통해서 h = E의 0.8 배이하이고, w는 E의 0.7 배 이하일 수 있다.
<표 2>. 돌출부분 크기 (20 Ts 기준)
Figure PCTKR2022002869-appb-I000002
유수유도부(160)는 제 2보강부(150)에 의해 설정된 모양의 채널 형상으로 구비되어 채널을 통해서 유수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유수유도부(160)는 제 1다리부(120) 정면 중앙의 변곡점을 중심으로 제 2보강부(150)에 의해 십자가 형상의 채널로 형성되어 유수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수유도부(160)는 변곡점을 중심으로 십자 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제 2보강부(150)에 의해 십자가 형상의 채널로 제 2보강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유수의 흐름을 상하좌우로 유도하여 소파하고 토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수유도부(160)는 변곡점을 중심으로 제 2보강부(150)가 상하가 대칭이나 비대칭의 십자가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비대칭 십자형상의 채널을 형성하여 유수의 흐름을 불규칙한 방향으로 유도하면서 소파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몸통부(110) 및 다리부(120,130)는 단면이 원형이나 다각형일 수 있다.구체적으로, 몸통부(110) 및 다리부(120,130)의 형상을 일반적인 원형의 형상이외에도 육각이나 팔각 등의 다양한 다각형의 형상으로 제작하여 구조체(100) 상호간의 인터락킹 기능을 향상시켜서 서로간의 적층 시 안정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다리부(120,130)나 몸통부(110)는 일반적인 원통형상으로 구비되거나 특히, 사면체, 육면체, 팔면체 등의 다양한 다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경우 수리적 안정성 즉, 안정계수(KD)를 높일 수 있으므로, 특히, 다수의 구조체(100)의 적재 시 하나의 구조체(100)와 인접한 구조체(100)의 표면 접촉 면적은 원통형상인 경우보다 다각 형상인 경우 더욱 증가하고, 적재된 다수의 구조체(100)는 서로 맞물리면서 유동이 방지되는데, 위와 같이 다각 형상을 갖는 구조체(100)는 서로 맞물리는 구조체(100) 간의 접촉 면적이 커지는 동시에 원활한 인터락킹(interlocking)을 통해 파랑에너지에 의한 유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는, 인양돌기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양돌기부(170)는 몸통부(110) 하단 및 몸통부(110) 축의 연장선과 다리부(120,130)에 볼록 모양의 쐐기 형태로 내측으로 테이퍼진 헝상일 수 있다.
인양돌기부(170)는 쐐기 형태의 블록모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간의 상, 하부가 각각 연결됨에 의해 인터록킹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제 1다리부(120)에 형성된 인양돌기부(170)는 제 1다리부의 하단에 형성되면서 일자형으로 돌출형성되고, 제 2다리부(130)에 형성된 인양돌기부(170)는 제 2다리부의 일측단에 형성되면서 중심부분이 단절된 상태의 일자형으로 형성이 가능하며 단절된 부분을 견인 로프 등이 통과하면서 연결되어 구조체(100)를 보다 견고하게 견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구조체(100)는 인장응력집중(Tensile stress concentration) 개선을 위한 볼록모형으로, 인장응력집중되는 볼록형태의 경우 구조적인 안정성이 1.8배 이상크고, 인터록킹 기능이 우수하여 수리적 안정계수가 크다. 여기서, 구조적 강도 해석 실험결과는 Midas 구조해석 프로그램를 참고한 것이다. 또한, 각각의 제 1보강부(140)의 경우에는 개폐형과 반 개폐형, 또는, 서로가 연결되는 폐쇄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인양돌기부(170)는 제 1, 2보강부(140, 150)와 함께 인양용 로프에 연결되어 구조체의 인양을 위한 견인력을 강화 시킬 수 있다. 특히, 도 9 내지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인양돌기부(170)에 걸쳐진 로프가 제 2보강부(150)의 내외를 거치면서 견인력을 강화하여 견고한 견인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는, 제 1보강부(140) 및 제 2보강부(150)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점차 내부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하향경사지도록 제작 가능하며, 제 1다리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 1다리부(12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일정 거리 이격 구비된 제 1돌출턱(미도시) 및 제 2다리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 2다리부(13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일정거리 이격 구비된 제 2돌출턱(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보강부(140)와 제 1돌출턱은 서로 연결되고, 제 2보강부(150)와 제 2돌출턱은 서로 연결되며, 제 1돌출턱과 인접한 제 1돌출턱 사이에 제 1다리부(12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제 1보강부(140)로부터 제 1다리부(12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구비된 제 1보조턱(미도시) 및 제 2돌출턱과 인접한 제 2돌출턱 사이에 제 2다리부(13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제 2보강부(150)로부터 제 2다리부(13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구비된 제 2보조턱(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보조턱은 제 1돌출턱과 인접한 제 1돌출턱 사이를 연결하고, 제 2보조턱은 제 2돌출턱과 인접한 제 2돌출턱 사이를 연결하며, 제 1돌출턱 및 제 2돌출턱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점차 내부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하향경사지고, 제 1보조턱 및 제 2보조턱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점차 내부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하향경사지게 제작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거치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18, 도 19는 상기 구조체가 적층하여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를 이용한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의 거치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인양돌기부 형성단계(S100), 구조체 위치 이동단계(S200), 구조체 배치단계(S300) 및 구조체 적층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인양돌기부 형성단계(S100)는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몸통부(110), 다리부(120, 130), 보강부(140, 150), 유수유도부(160)로 구성되어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100)의 설정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인양돌기부(17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하, 보강부(140,150)의 형상과 다리부(120,130) 길이의 계산은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100)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식 1, 2 ,3을 이용)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테이퍼진 인양돌기부(170)에 로프 등을 연결하여 구조체(100)를 인양한 뒤에 설치장소로 옮길 수 있으며, 또한, 내측으로 테이퍼진 인양돌기부(160)들을 서로 서로 위아래로 맞추면서 맞물리도록 적층하여 인터락킹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구조체 위치 이동단계(S200)는 인양돌기부 형성단계(S100)를 거친 후 인양돌기부(170)들에 로프를 걸어서 구조체(100)를 인양하여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이다.
구조체 배치단계(S300)는 구조체 위치 이동단계(S200)를 통해서 위치가 이동 중인 구조체(100)의 유수유도부(160)를 하천 및 해안의 정면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단계이다.
구조체 적층단계(S400)는 구조체 위치 이동단계(S200)와 구조체 배치단계(S300)의 방식으로 반복하여 구조체(100)를 적층하여 거치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해안 등에 설치시 파력 등에 대해 충분한 안정성을 가지고, 외력이나 자중에 대하여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며 양생 및 시공이 효과적이며, 파랑에너지를 감쇄 할 수 있도록 적층하였을 때 적당한 공극률을 얻을 수 있어 구조체(100) 거치시 작업성 및 안정성의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몸통부(110) 하단 및 몸통부(110) 축의 연장선과 다리부(120,130)에 볼록 모양의 쐐기 형태로 인양돌기부(170)를 설치하므로 볼록 모양의 경우 구조체(100) 강도의 훼손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시공시 안전하며 우수한 결합성으로 시공할 수 있으며 큰 중량의 구조체(100)인 경우 거치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 및 공사 기간 단축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가 크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구조체 보다 구조적 강도를 1.7∼2.3배 이상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인터락킹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와 기존 구조체의 응력분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와 기존 구조체의 다양한 하중에 의한 균열하중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하중에 의한 균열하중 실험 결과, 종래 구조체인 일본 Sealock Ⅷ의 경우, 약 18.11 tonf ∼ 52.97 tonf 의 균열 하중 범위를 가지나,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의 경우, 약 31.58 tonf ∼ 108.40 tonf 의 균열 하중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보아,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는 기존 구조체 대비 다양한 하중에 의한 균열 하중이 최소 1.74배 이상 최대 2.05배의 안전율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안 등에 설치시 파력 등에 대해 충분한 안정성을 가지고, 외력이나 자중에 대하여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며 양생 및 시공이 효과적이며, 파랑에너지를 감쇄 할 수 있도록 적층하였을 때 적당한 공극률을 얻을 수 있어 구조체 거치시 작업성 및 안정성의 확보가 가능하다.

Claims (7)

  1.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평면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 1다리부 및 상기 몸통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평면과 수직인 제 2평면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 2다리부를 포함하는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로서,
    상기 제 1다리부와 상기 제 2다리부가 연결되는 상기 몸통부를 에워싸면서 구비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제 1보강부;
    상기 제 1다리부의 일부분에 구비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제 2보강부; 및
    상기 제 2보강부에 의해 설정된 모양의 채널 형상으로 구비되어 유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수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 1다리부 및 제 2다리부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각도를 이루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수유도부는,
    상기 제 1다리부 정면 중앙의 변곡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 2보강부에 의해 십자가 형상의 채널로 형성되어 유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보강부는 폐쇄형이나 반폐쇄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 하단 및 몸통부 축의 연장선과 상기 다리부에 볼록 모양의 쐐기 형태로 내측으로 테이퍼진 헝상의 인양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인양돌기부는 쐐기 형태의 블록모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간의 상, 하부가 각각 연결됨에 의해 인터록킹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를 이용한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의 거치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몸통부, 다리부, 보강부, 유수유도부로 구성되어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상기 구조체의 설정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인양돌기부를 형성하는 인양돌기부 형성단계;
    상기 인양돌기부 형성단계를 거친 후 상기 인양돌기부들에 로프를 걸어서 상기 구조체를 인양하여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는 구조체 위치 이동단계;
    상기 구조체 위치 이동단계를 통해서 위치가 이동 중인 상기 구조체의 상기 유수유도부를 하천 및 해안의 정면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구조체 배치단계; 및
    상기 구조체 위치 이동단계와 구조체 배치단계의 방식으로 반복하여 상기 구조체를 적층하여 거치하는 구조체 적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의 거치방법.
PCT/KR2022/002869 2021-03-05 2022-02-28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WO202218657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583 2021-03-05
KR1020210029583A KR102312995B1 (ko) 2021-03-05 2021-03-05 소파블록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KR1020210029582A KR102310868B1 (ko) 2021-03-05 2021-03-05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KR10-2021-0029582 2021-03-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86573A1 true WO2022186573A1 (ko) 2022-09-09

Family

ID=83155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2869 WO2022186573A1 (ko) 2021-03-05 2022-02-28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316165A1 (ko)
WO (1) WO20221865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3195B1 (en) * 2019-05-24 2020-12-02 Koninklijke Bam Groep Nv Crest element for a breakwater, armour layer assembly for a breakwater, breakwater, method of cresting a breakwater, and method of providing an armour on a breakwat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8572A (ja) * 2005-06-15 2006-12-28 Tetra Co Ltd 消波ブロック
KR20170107863A (ko) * 2016-03-16 2017-09-26 송주민 육각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피복공법
KR102085363B1 (ko) * 2019-12-12 2020-03-05 (주)네오테크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WO2020198893A1 (es) * 2019-04-05 2020-10-08 •Data53 Spa Unidad de hormigón para amortiguar el efecto del oleaje y proteger costas, playas, lagos, embalses, puertos y otros, del efecto adverso del oleaje y corrientes hidrodinámicas del agua
KR102310868B1 (ko) * 2021-03-05 2021-10-12 상록엔비텍(주)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KR102312995B1 (ko) * 2021-03-05 2021-10-13 상록엔비텍(주) 소파블록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8572A (ja) * 2005-06-15 2006-12-28 Tetra Co Ltd 消波ブロック
KR20170107863A (ko) * 2016-03-16 2017-09-26 송주민 육각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피복공법
WO2020198893A1 (es) * 2019-04-05 2020-10-08 •Data53 Spa Unidad de hormigón para amortiguar el efecto del oleaje y proteger costas, playas, lagos, embalses, puertos y otros, del efecto adverso del oleaje y corrientes hidrodinámicas del agua
KR102085363B1 (ko) * 2019-12-12 2020-03-05 (주)네오테크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310868B1 (ko) * 2021-03-05 2021-10-12 상록엔비텍(주)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KR102312995B1 (ko) * 2021-03-05 2021-10-13 상록엔비텍(주) 소파블록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ONYMOUS, SANSHO SUIKO KK. SEALOCK SERIES ADVANCE 61. CATALOGUE, July 2018 (2018-07-0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16165A1 (en)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86573A1 (ko)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WO2009113817A2 (ko) 교각 기초 구조물의 세굴 방지 장치
WO2014193170A1 (ko)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선박
WO2020162665A1 (ko) 풍력 발전기 설치,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312995B1 (ko) 소파블록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CN107663865B (zh) 一种斜拉式沉管隧道结构及方法
WO2020209470A1 (ko) 내구성이 향상된 부유체와 이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발전장치
WO2020222479A1 (ko) 분절형 소파블록, 그 거치 방법 및 소파 구조물
WO2016088953A1 (ko) 운동 감쇠 기능을 갖는 해양 구조물용 플랫폼 및 이를 갖는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WO2024090779A1 (ko) 보강 와이어가 구비된 수중 개비온
KR102310868B1 (ko)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WO2020013543A1 (ko) 내진용 파일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WO2016208887A1 (ko) 소파블럭
CN106351208A (zh) 预制地下连续墙竖向拼接结构
WO2022173170A1 (ko) 철선망이 내장된 콘크리트 구조물
KR102610720B1 (ko)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WO2017039254A1 (ko) 오픈 셀 케이슨 구조물 및 시공 방법
CN214143530U (zh) 一种多功能水利工程施工用挡水装置
WO2017082521A1 (ko) 방파용 소파블록
CN213448073U (zh) 一种用于桥梁的桥梁伸缩缝装置
KR20230047647A (ko) 소파블록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CN220284867U (zh) 一种装配式施工电梯基础
KR20210125266A (ko) 법면에 사용되는 안정성이 강화된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CN110714442A (zh) 一种护坡板以及柔性连接护面系统
CN110739651A (zh) 连锁-单体预制块相嵌式抗船锚水下管线保护结构及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635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27635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