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31516A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31516A1
WO2022131516A1 PCT/KR2021/014650 KR2021014650W WO2022131516A1 WO 2022131516 A1 WO2022131516 A1 WO 2022131516A1 KR 2021014650 W KR2021014650 W KR 2021014650W WO 2022131516 A1 WO2022131516 A1 WO 202213151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uide
inlet
sensor
ai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465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송우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21906821.0A priority Critical patent/EP4206549A4/en
Publication of WO202213151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31516A1/ko
Priority to US18/127,863 priority patent/US2023025836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Abstract

공기조화기는 유입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 상기 유입구로 상기 공기를 가이드 하도록 복수로 형성되는 가이드 유로, 상기 복수의 가이드 유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의 흐름이 복수의 상기 가이드 유로로 갈라져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기류 분리면, 실내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기류 분리면을 향하도록 상기 기류 분리면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센서 연결구로서, 센서 연결구를 통하여 상기 센서로 유동되는 센싱 기류를 형성하는 센서 연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본 개시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정 대상 공간의 오염도 측정을 위한 개선된 기류 가이드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공기 조화해서 내보내는 장치이다. 이때, 공기 조화란 실내 공기의 온습도, 청정도, 기류 분포 등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을 말한다. 공기조화기의 종류로는 환기 장치, 냉난방기, 공기 청정기, 가습기 등이 있을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일 예인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여 실내 공기의 청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기이다. 공기청정기는 흡입된 공기 중에 존재하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미세먼지 및 악취의 원인이 되는 화학 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에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로 흡입된 공기는 필터를 통과하면서 오염 물질이 제거되어 깨끗한 공기로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는 공기청정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의 정화 동작을 위하여 정화 대상 공간의 오염도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정화 대상 공간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미립자에 레이저 빔을 조사한 후, 미립자에 의하여 산란된 빔의 양을 통해 오염도를 측정하는 파티클 센서(Particle senser)와 같은 센서가 공기청정기에 적용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센서와 연결된 센서 연결구를 주로 제품 측면을 향하여 형성하였다. 다만 공기조화기의 설치환경에 따라 센서 연결구가 막힐 수 있어 청정 대상 공간의 오염도 측정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연결구 주변에 형성된 압력 분포가 일정하지 않아 청정 대상 공간의 오염도 측정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팬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내, 외부의 주 기류 및 설치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화 대상 공간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유입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 상기 유입구로 상기 공기를 가이드 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유로; 상기 복수의 가이드 유로 중 인접한 가이드 유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의 흐름이 복수의 상기 가이드 유로로 갈라져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기류 분리면; 실내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기류 분리면을 향하도록 상기 기류 분리면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센서 연결구로서, 센서 연결구를 통하여 상기 센서로 유동되는 센싱 기류를 형성하는 센서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본체의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유입구를 커버하는 유입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유로와 상기 기류 분리면은 상기 유입 패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 패널은, 상기 유입구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그릴 및 상기 가이드 그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유로 및 상기 기류 분리면은 상기 가이드 플랜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로는 상기 가이드 플랜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류 분리면은 상기 유입 패널의 표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류 분리면은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센서 연결구 및 상기 센서 연결구와 연결되는 센서는 복수로 마련된 상기 기류 분리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랜지는 상기 가이드 그릴로부터 상기 본체를 향할수록 가이드 플랜지의 둘레에 의하여 형성되는 단면이 작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류 분리면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류 분리면은, 상기 센서 연결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하게 함몰된 가이드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그루브를 통해 유입된 상기 공기의 흐름은 상기 센서 연결구를 통과하여 상기 센서로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다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본체의 일면에 대응되며, 상기 가이드 플랜지는 상기 유입구가 대응된 상기 일면의 모서리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모서리는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유로 각각은 복수의 상기 모서리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류 분리면은 상기 복수의 모서리 중 인접한 모서리가 이어지는 코너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유입 패널 상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센서 연결구의 면적보다 넓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류 분리면은 상기 유입구의 상단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센서를 수용하는 센서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케이스는 상기 센서 연결구가 형성되는 센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 패널과 상기 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가드 플랜지로서, 상기 가이드 플랜지의 외측 둘레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가이드 플랜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유입패널와 상기 본체를 서로 고정하는 가드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드 플랜지는 상기 센서 연결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센서 연결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보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본체의 유입구와 연결되는 복수의 가이드 유로, 가이드 유로 사이에 배치된 기류 분리면 및 기류 분리면을 향하여 마련된 센서 연결구를 통하여 공기조화기 내, 외부의 주 기류 및 설치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화 대상 공간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캐비닛을 제거한 후, 유입 패널을 향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센서 연결구를 포함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본체, 가드 플랜지 및 유입 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본체, 가드 플랜지 및 유입 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유입구, 가이드 유로, 기류 분산면 및 센서 연결구의 관계를 도식화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이드 그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 1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도시된 좌표축을 참조할 때, X축은 전후 방향을 나타내고, Y축은 좌우 방향을 나타내고, Z축은 상하 방향을 나타낸다. 한편,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과 같이 XY평면과 나란한 방향을 수평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XY평면과 나란한 경우 수평하다고 할 수 있다. XY평면과 수직하는 방향을 수직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공기 조화기의 일종인 공기 청정기를 예로 설명하지만 본 개시의 구성은 공기 청정기에 제한되지 않고 공기 조화기에 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청정기와 다른 공기 조화기의 일종인 냉난방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팬이 구동되고 팬에 의해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여 공기를 외부로 송풍하는 유로를 갖는 가전제품이라면 어떠한 가전제품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할 때, 공기조화기(1)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로 마련되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공기 청정기(1)의 본체(10)의 형상은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면체, 원기둥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은 상면 캐비닛(13), 좌면 캐비닛(14), 우면 캐비닛(15), 하면 캐비닛(17)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개방된 본체(10) 전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엣지 패널(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 캐비닛(13), 좌면 캐비닛(14), 우면 캐비닛(15)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면 캐비닛(13), 좌면 캐비닛(14), 우면 캐비닛(15), 하면 캐비닛(17) 순서대로 본체(10)의 상면, 좌면, 우면,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유입 패널(40)은 본체(1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공기조화기(1)의 외부에 분포된 외기가 공기조화기(1)의 내부, 구체적으로는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본체(10)에 형성되는 유입구(12)와,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본체(10)에 형성되는 배출구(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11)와 배출구(12)는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같은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유입구(12)는 본체(10)의 후단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1)는 본체(10)의 전단 측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의 본체(10)는 다면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구(12)는 다면체의 일면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의 본체(10)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유입구(12)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후면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12)의 형상은 대략 사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유입구(12)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입구’는 넓은 의미에서 공기조화기(1)의 외부와 공기조화기(1)의 본체(10) 내부를 연통하는 다양한 개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가이드 그릴(101) 사이의 틈새 또는 가이드 유로(110) 등을 넓은 의미에서 유입구로 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유입구(12)는 유입 패널(100)을 본체(1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되어 공기조화기(1)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 개구를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2
공기조화기(1)는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 유닛(400) 및 팬 어셈블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팬 어셈블리(500)는 공기조화기(1) 외부의 공기를 유입구(12)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흡입하여 필터 유닛(400)을 통과시키며, 필터 유닛(40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배출구(11)를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필터 유닛(400)은 유입구(12)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으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필터 유닛(400)이 장착될 수 있는 필터 케이스(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팬 어셈블리(500)가 수용되고 팬 어셈블리(500)가 고정될 수 있는 팬 케이스(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팬 케이스(200)는 팬 어셈블리(500)에 의해 형성된 기류를 팬 케이스(200)의 전방에 마련된 배출구(11)로 안내하는 송풍 유로(30)를 형성하는 내벽(201)을 포함할 수 있다. 팬(510)은 내벽(201)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300)는 팬 케이스(2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300)와 팬 케이스(200)는 캐비닛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한편, 송풍 유로(30)는 공기조화기(1)의 유입구(12)부터 공기조화기(1)의 배출구(11) 또는 미세 토출구(21)까지 팬 어셈블리(5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흐르는 유로로 정의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500)는 본체(10)의 내부에 기류를 형성하는 팬(510)과, 팬(510)을 구동시키는 모터(520)와, 모터(520)가 수용되고 고정되는 모터커버(101)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520)는 축(521)을 포함하고, 축(521)은 팬(510)과 결합되어 모터(520)의 동력을 팬(510)에 전달할 수 있다. 축(521)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팬(510)은 전후 방향으로 나란한 회전축을(R) 가질 수 있다. 팬(510)은 사류팬을 포함할 수 있다. 팬(510)은 터보팬을 포함할 수 있다. 팬(510)은 후방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11)를 포함할 수 있다. 팬(510)은 복수의 블레이드(112)를 포함할 수 있다. 팬(510)은 전방을 향하여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모터커버(101)는 팬(510)이 팬 케이스(200) 내부에 배치되도록 팬(510)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510)이 결합된 모터(520)가 고정되는 모터커버(101)가 팬 케이스(200)에 고정됨으로써 팬(510)은 모터커버(101)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모터커버(101)는 팬 케이스(200)에 결합되는 커버 브라켓(53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배출구(1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본체(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토출 패널(20)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 패널(20)은 본체(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 패널(20)은 공기조화기(1)의의 외관 중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토출 패널(20)은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 시 배출구(11)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토출 패널(20)은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된 상태에서 다시 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 시 배출구(11)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배출구(11)는 토출 패널(20)과 본체(10) 사이의 간극에 해당될 수 있고, 토출 패널(20)과 본체(10)가 서로 멀어질수록 배출구(11)는 커지고, 토출 패널(20)과 본체(10)가 서로 가까워질수록 배출구(11)는 작아질 수 있다. 토출 패널(20)과 본체(10)가 서로 접하게 되는 경우, 배출구(11)는 폐쇄될 수 있고 공기는 토출 패널(20)에 형성되는 복수의 미세 토출구(21)를 통해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복수의 미세 토출구(21) 각각의 면적은 배출구(11)의 면적보다 작으므로 미세 토출구(21)를 통과하는 공기는 배출구(11)를 통과하는 공기보다 저속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송풍 유로(30)의 전부 또는 일부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송풍 유로(30)의 일부는 본체(10)와 패널 사이(20)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토출 패널(20)은 본체(10)의 전방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될 수 있고, 배출구(11)는 토출 패널(20) 또는 본체(10)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 패널(20)과 본체(10)는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유입구(12)를 커버하는 유입 패널(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입 패널(100)은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유입 패널(100)은 공기조화기(1)의 외관 중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유입 패널(100)은 유입구(12)가 본체(10)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입 패널(100)은 가이드 그릴(101)과 가이드 플랜지(10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그릴(101)은 본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그릴(101)은 공기조화기(1)의 외관 중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그릴(101)은 개방된 유입구(12)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그릴(101)은 유입구(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에서, 가이드 그릴(101)은 유입구(12)에 대응되어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그릴(101)의 구체적 구조에 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다만, 유입 패널(100)은 복수의 얇은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가이드 그릴(101)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평면 패널에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도 있다. 복수의 홀이 일정 패턴을 이루어 마련되어, 사용자가 공기조화기(1)의 외부에서 유입 패널(100)을 바라보았을 때, 소정의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홀을 통하여 유입구(12)와 본체(10)의 외부를 연통시킬 수도 있다.
유입 패널(100)은 가이드 그릴(10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플랜지(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플랜지(103)는 가이드 그릴(101)의 둘레로부터 유입구(12)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유입 패널(100)은 가이드 플랜지(103)에 형성된 체결 구조를 통하여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플랜지(103)는 대략 고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에서, 가이드 플랜지(103)의 고리 형상은 유입구(12) 및 가이드 그릴(101)에 대응되어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플랜지(103)는 가이드 그릴(101)로부터 본체(10)를 향할수록 가이드 플랜지(103)의 둘레에 의하여 형성되는 단면이 작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가이드 플랜지(103)에서 서로 마주 보는 부분 사이의 폭(L, 도 5 참조)이 가이드 그릴(101)로부터 본체(10)를 향할수록 점점 좁혀질 수 있다.
가이드 그릴(101)와 가이드 플랜지(103)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를 메인 유로라고 정의할 수 있다. 메인 유로는 유입구(12)와 공기조화기(1)의 외부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메인 유로의 구조는 가이드 그릴(101)와 가이드 플랜지(103)의 조합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조화기(1)의 외관을 형성하며 본체(10)의 유입구(12)와 공기조화기(1)의 외부를 효과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플랜지(103)는 가이드 유로(110) 및 기류 분리면(1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유로(110)는 메인 유로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유로(1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유로(110) 및 기류 분리면(120)의 구체적 구조 및 기능에 관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유입 패널(100)은 유입 패널(100)과 본체(10) 사이에 배치되는 가드 플랜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드 플랜지(130)는 가이드 플랜지(103)의 외측 둘레로부터 이격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드 플랜지(130)는 가이드 플랜지(10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드 플랜지(130)는 가이드 플랜지(103)의 외측 둘레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드 플랜지(130)는 후술하는 센싱 기류(S2)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센서 연결구(150)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센서 연결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보조 유로(131, 도 6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드 플랜지(130)는, 유입 패널(100)과 본체(10) 사이에 배치되어 유입 패널(100),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플랜지(103)를 본체(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유입 패널(100), 가드 플랜지(130) 및 본체(10)는 후크와 후크에 대응되는 홈 구조를 통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체결 구조는 후크-홈 구조에 제한되지 않으며, 나사 체결과 같은 다양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가드 플랜지(130)는 가이드 플랜지(103)에 대응되어 대략 사각형의 고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에서, 가드 플랜지(130)의 고리 형상은 유입구(12) 가이드 플랜지(103)에 대응되어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캐비닛을 제거한 후, 유입 패널을 향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센서 연결구를 포함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본체, 가드 플랜지 및 유입 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본체, 가드 플랜지 및 유입 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유입구, 가이드 유로, 기류 분산면 및 센서 연결구의 관계를 도식화한 개념도이다.센서의 오염도 측정 결과는 외부의 공기가 센서로 전달되는 센서 유로의 센서 연결구가 공기조화기 내에서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유입구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센서 유로의 센서 연결구는 유입구로부터 떨어진 공기조화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었다. 다만 이러한 구조에서는, 설치환경에 따라 센서 연결구가 막힐 수 있어 청정 대상 공간의 오염도 측정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연결구 주변에 형성된 압력 분포가 일정하지 않아 청정 대상 공간의 오염도 측정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
팬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내, 외부의 주 기류 및 설치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화 대상 공간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유입 패널(100)의 가이드 플랜지(103)는 가이드 유로(110) 및 기류 분리면(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140)와 연결되는 센서 연결구(150)는 기류 분리면(120)을 향하도록 상기 기류 분리면(120)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이드 유로(110), 기류 분리면(120) 및 센서 연결구(150)의 구체적 구조 및 기능에 관하여 서술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정화 대상 공간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140)는 공기중에 포함된 미립자에 레이저 빔을 조사한 후, 미립자에 의하여 산란된 빔의 양을 통해 오염도를 측정하는 파티클 센서(Particle senser)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센서(140)를 수용하는 센서 케이스(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케이스(151)는 내부에 센서(140)가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센서(14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센서 케이스(151)는 센서 연결구(150)가 형성되는 센서 유로(152)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연결구(150)는 후술하는 기류 분리면(120)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센서 연결구(150)는 기류 분리면(12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센서 연결구(150)에 대하여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공기조화기(1)는 본체(10)의 유입구(12)로 공기를 가이드 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유로(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유로(110)는 유입 패널(100)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유로(110)는 가이드 플랜지(103)에 형성될 수 있다.
기류 분리면(120)은 복수의 가이드 유로(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기류 분리면(120)은 유입 패널(100)에 형성될 수 있다. 기류 분리면(120)은 가이드 플랜지(103)에 형성될 수 있다. 기류 분리면(120)은 유입 패널(100)의 표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류 분리면(120)은 가이드 플랜지(103)의 표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유로(110)는 가이드 그릴(101)와 가이드 플랜지(103)에 의하여 형성되는 메인 유로와 별도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메인 유로와 복수의 가이드 유로(110)는 최종적으로 본체(10)의 유입구(12)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유로(110)는 곧바로 유입구(12)와 연결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메인 유로와 연결된 후 메인 유로와 함께 유입구(12)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 유로(110)는 가이드 플랜지(103)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유로(110)는 가이드 플랜지(103)의 둘레를 따라 일정길이의 띠(Band)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유로(110)는 가이드 플랜지(103)의 두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유로(110)는 가이드 플랜지(103)에 길게 절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유로(11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기류 분리면(120)은 인접한 가이드 유로(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기류 분리면(120) 역시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기류 분리면(120)은 인접한 가이드 유로(110) 사이에 배치된 평면 또는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복수의 가이드 유로(110)는 가이드 플랜지(103)의 둘레를 따라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유로(110)가 네 개로 마련되며, 가이드 플랜지(103)의 둘레를 따라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될 경우, 기류 분리면(120)은 인접한 가이드 유로(110) 사이에 배치되므로, 기류 분리면(120) 또한 네 개의 위치(C1, C2, C3, C4)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기류 분리면(120)이 형성되는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입구(12)의 형상이 모서리(E)를 포함한 다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경우, 가이드 플랜지(103)와 기류 분리면(120)의 구조는 아래와 같이 구체화 될 수 있다.
유입구(12)는 다면체 형상으로 마련된 본체(10)의 일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입구(12)의 형상이 모서리(E)를 포함한 다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유입 패널(100)은 유입구(1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므로, 유입 패널(100)의 가이드 그릴(101)과 가이드 플랜지(103) 역시 유입구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플랜지(103)는 유입구(12)가 대응된 본체(10)의 일면의 모서리에 대응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유로(110)는 가이드 플랜지(103)에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가이드 플랜지(103)가 유입구(12)의 형상에 대응되어 다각형으로 형성되었을 때, 복수의 가이드 유로(110) 각각은 복수의 모서리(E)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유로(110)는 상술한 것과 같이 가이드 플랜지(103) 즉, 모서리(E)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기류 분리면(120)은 인접한 가이드 유로(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유로(110) 각각이 복수의 모서리(E)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었을 때, 기류 분리면(120)은 복수의 모서리(E) 중 인접한 모서리(E)가 이어지는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의 본체(10)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유입구(12)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후면에 대응될 수 있음은 상술한 것과 같다. 유입구(12)에 대응되는 가이드 플랜지(103)의 형상도 사각형의 고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이드 플랜지(103)는 네 개의 모서리(E)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유로(110) 또한 네 개로 마련되며, 모서리(E)마다 가이드 유로(110)가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기류 분리면(120)은 복수의 모서리(E) 중 인접한 모서리(E)가 이어지는 코너(C1, C2, C3, C4)마다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팬(510)이 동작하여 유입구(12)를 통하여 본체(10)의 내부에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면, 공기조화기(1)의 외부의 공기는 공기조화기(1)의 후방으로부터 본체(10)의 내부를 향하여 유입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의 외부의 공기는 공기조화기(1)의 전방으로부터 가이드 그릴(101)을 향하여 유입되거나 가이드 플랜지(103)의 둘레 방향 즉, 공기조화기(1)의 상, 하, 좌, 우방으로부터 가이드 유로(110)를 향하여 유입되는 주 기류(S1)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그릴(101) 또는 가이드 유로(11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의 흐름은 유입구(12)를 통하여 본체(10)의 내부에 공기의 흐름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가이드 플랜지(103)의 둘레 방향에서 가이드 유로(110)를 향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은 가이드 플랜지(103)의 기류 분리면(120)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기류 분리면(120)의 인접한 가이드 유로(110)의 사이에 배치되며, 가이드 유로(110)에는 팬(510)에 의한 강한 흡입 기류인 주 기류(S1)가 형성되므로, 기류 분리면(120)을 향하여 형성된 공기의 흐름은 대부분 인접한 가이드 유로(110)로 갈라지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 플랜지(103)의 기류 분리면(120)에는 주 기류(S1)의 영향이 적어지는 센싱 대상 영역(R)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주 기류(S1)의 영향이 적은 센싱 대상 영역(R)이 형성된 기류 분리면(120)을 향하여 개방된 센서 연결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연결구(150)는 센서 연결구(150)는 기류 분리면(120)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센서 연결구(150)는 기류 분리면(12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기류 분리면(120)은 유입구(12)의 상단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기류 분리면(120)의 형성 방향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주 기류(S1)의 영향이 적은 센싱 대상 영역(R)이 형성된 기류 분리면(120)을 향하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유입 패널(100) 상에 형성된 가이드 유로(110)의 단면적은 센서 연결구(150)의 면적보다 넓게 마련될 수 있다. 센서 연결구(150)의 기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기압이 형성된 기류 분리면(120)과의 기압 차이로 인하여, 기류 분리면(120)에서 센서 연결구(150)를 향하는 센싱 기류(S2)가 형성될 수 있다. 센싱 기류(S2)는 센서 연결구(150)및 센서 유로(152)를 통과하여 센서(140)로 유동될 수 있다.
기류 분리면(120)은 센서 연결구(150)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하게 함몰된 가이드 그루브(12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그루브(121)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흐름은 보다 용이하게 센서 연결구(150)를 통과하여 센서(14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이드 그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가이드 그릴(101)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가이드 그릴(101)은 복수의 얇은 블레이드(101a, 101b, 101c, 101d, 101e, 101f)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얇은 블레이드(101a, 101b, 101c, 101d, 101e, 101f)는 일정간격 떨어져 반복 배치되어 가이드 그릴(101)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얇은 블레이드 간의 간격이 미세 흡입구(102)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그릴(101)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무리를 이룬 복수의 얇은 블레이드를 블레이드 군(Ca, Cb, Cc, Cd, Ce, Cf)으로 정의 할 수 있다. 가이드 그릴(101)은 복수의 블레이드 군(Ca, Cb, Cc, Cd, Ce, Cf)이 모여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그릴(101)은 복수의 블레이드 군이 모여 유입구(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가이드 그릴(101)의 경우, 6 개의 복수의 불레이드 군이 모여 가이드 그릴(101)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6 개 이하 또는 이상의 복수의 블레이드 군으로 마련되어 유입구(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가이드 그릴(101)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 군(Ca, Cb, Cc, Cd, Ce, Cf)들 간에 복수의 얇은 블레이드(101a, 101b, 101c, 101d, 101e, 101f)가 연장되는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블레이드군(Ca)의 복수의 얇은 블레이드(101a)는 제1 방향(Ma), 제2 블레이드군(Cb)의 복수의 얇은 블레이드(101b)는 제2 방향(Mb), 제3 블레이드군(Cc)의 복수의 얇은 블레이드(101c)는 제3 방향(Mc), 제4 블레이드군(Cd)의 복수의 얇은 블레이드(101d)는 제4 방향(Md), 제5 블레이드군(Ce)의 복수의 얇은 블레이드(101e)는 제6 방향(Mf), 제6 블레이드군(Cf)의 복수의 얇은 블레이드(101f)는 제6 방향(Mf)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방향(M1) 내지 제6 방향(M6)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블레이드 군 (Ca, Cb, Cc, Cd, Ce, Cf) 중 일부의 블레이드 군의 복수의 얇은 블레이드의 연장 방향은 나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그릴(101)의 블레이드 군의 복수의 얇은 블레이드의 연장 방향이 도 8에 도시된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가 공기조화기(1)의 외부에서 유입 패널(100)을 바라보았을 때, 소정의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그릴(101)은 유입구(12)와 본체(10)의 외부를 연통시키며, 공기조화기(1)의 외관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이드 그릴(101)은 유입구(12)로 흘러 들어오는 공기에 포함된 큰 이물을 일차적으로 걸러내어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된 필터 유닛(400)가 큰 이물들에 의하여 막히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그릴(101)는 복수의 블레이드에 의하여 유입구(12)로 유입되는 기류가 가이드 그릴(101)을 통과한 직후 와류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블레이드 군의 복수의 얇은 블레이드의 연장 방향이 다향하게 형성되므로 상술한 와류의 형성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와류에 의하여 섞이게 된 공기의 기류는 필터 유닛(400)의 전면을 균일하게 통과할 수 있다. 센서 연결구(150)가 향하는 기류 분리면(120)은 주위에 배치된 가이드 유로(110)에 의하여 주 기류(S1)의 영향이 적어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센싱 기류(S2)가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조화기(1)는 내, 외부의 주 기류 및 설치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화 대상 공간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유입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
    상기 유입구로 상기 공기를 가이드 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유로;
    상기 복수의 가이드 유로 중 인접한 가이드 유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의 흐름이 복수의 상기 가이드 유로로 갈라져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기류 분리면;
    실내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기류 분리면을 향하도록 상기 기류 분리면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센서 연결구로서, 센서 연결구를 통하여 상기 센서로 유동되는 센싱 기류를 형성하는 센서 연결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본체의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유입구를 커버하는 유입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유로와 상기 기류 분리면은 상기 유입 패널에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패널은,
    상기 유입구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그릴 및 상기 가이드 그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유로 및 상기 기류 분리면은 상기 가이드 플랜지에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로는 상기 가이드 플랜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분리면은 상기 유입 패널의 표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분리면은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센서 연결구 및 상기 센서 연결구와 연결되는 센서는 복수로 마련된 상기 기류 분리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랜지는 상기 가이드 그릴로부터 상기 본체를 향할수록 가이드 플랜지의 둘레에 의하여 형성되는 단면이 작아지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분리면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분리면은,
    상기 센서 연결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하게 함몰된 가이드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그루브를 통해 유입된 상기 공기의 흐름은 상기 센서 연결구를 통과하여 상기 센서로 전달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다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본체의 일면에 대응되며,
    상기 가이드 플랜지는 상기 유입구가 대응된 상기 일면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공기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는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유로 각각은 복수의 상기 모서리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류 분리면은 상기 복수의 모서리 중 인접한 모서리가 이어지는 코너에 대응되는 공기조화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패널 상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센서 연결구의 면적보다 넓게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분리면은 상기 유입구의 상단 일측에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센서를 수용하는 센서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케이스는 상기 센서 연결구가 형성되는 센서 유로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패널과 상기 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가드 플랜지로서, 상기 가이드 플랜지의 외측 둘레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가이드 플랜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유입패널와 상기 본체를 서로 고정하는 가드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드 플랜지는 상기 센서 연결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센서 연결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보조 유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CT/KR2021/014650 2020-12-17 2021-10-20 공기조화기 WO2022131516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906821.0A EP4206549A4 (en) 2020-12-17 2021-10-20 AIR CONDITIONER
US18/127,863 US20230258363A1 (en) 2020-12-17 2023-03-29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899 2020-12-17
KR1020200177899A KR20220087319A (ko) 2020-12-17 2020-12-17 공기조화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8/127,863 Continuation US20230258363A1 (en) 2020-12-17 2023-03-29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1516A1 true WO2022131516A1 (ko) 2022-06-23

Family

ID=8205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4650 WO2022131516A1 (ko) 2020-12-17 2021-10-20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58363A1 (ko)
EP (1) EP4206549A4 (ko)
KR (1) KR20220087319A (ko)
WO (1) WO20221315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875B1 (ko) * 2023-06-23 2023-11-24 주식회사 아웃비스트 휴대용 일산화탄소 가스 자동 배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822A (ja) * 1994-07-26 1996-02-06 Toshiba Corp 空気清浄器
KR20050087231A (ko) * 2004-02-26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1006820B1 (ko) * 2008-07-22 2011-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JP2015124914A (ja) * 2013-12-25 2015-07-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清浄機
US20190301761A1 (en) * 2016-05-27 2019-10-03 Koninklijke Philips N.V. Air purifi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3793A (ko) * 2016-01-11 2017-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먼지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80084415A (ko) * 2017-01-17 2018-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102580541B1 (ko) * 2019-01-21 202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822A (ja) * 1994-07-26 1996-02-06 Toshiba Corp 空気清浄器
KR20050087231A (ko) * 2004-02-26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1006820B1 (ko) * 2008-07-22 2011-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JP2015124914A (ja) * 2013-12-25 2015-07-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清浄機
US20190301761A1 (en) * 2016-05-27 2019-10-03 Koninklijke Philips N.V. Air purifi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206549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58363A1 (en) 2023-08-17
EP4206549A1 (en) 2023-07-05
EP4206549A4 (en) 2024-04-03
KR20220087319A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26761A1 (ko) 공기청정기
WO2018236122A1 (ko) 상이한 토출 방향의 양방향 팬들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WO2022131516A1 (ko) 공기조화기
WO2021261752A1 (ko) 공기 청정기
WO2021095964A1 (ko) 호환 가능한 하부바디를 포함하는 공기정화 장치
WO2018043793A1 (ko) 국소배기장치용 흡입장치
WO2021145528A1 (en) Air cleaner
JP5095511B2 (ja) エアシャワー装置
WO2017022989A1 (ko) 슬림형 공기처리장치
WO2021149935A1 (ko) 매립형 공기청정장치
WO2022071653A1 (ko) 공기 청정기
WO2022102969A1 (ko) 공기조화기
WO2022102938A1 (ko) 공기조화기
WO2021085959A1 (en) Diffuser, diffuser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TWI609156B (zh) 清淨空氣吹出裝置
JP2004181434A (ja) 安全キャビネット
WO2022035042A1 (ko) 공기청정기
WO2021132828A1 (ko) 모듈형 공기 청정기
WO2021091154A1 (en) Ventilation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EP4145057A1 (en) Air conditioner
WO2023234655A1 (ko)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WO2022097900A1 (ko) 천장형 공기청정기
WO2020149585A1 (ko) 공기 청정기
WO2020045781A1 (ko)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WO2024071691A1 (ko) 공기 살균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068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9068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329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