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24543A1 -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24543A1
WO2022124543A1 PCT/KR2021/013526 KR2021013526W WO2022124543A1 WO 2022124543 A1 WO2022124543 A1 WO 2022124543A1 KR 2021013526 W KR2021013526 W KR 2021013526W WO 2022124543 A1 WO2022124543 A1 WO 202212454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ternal connection
abutment
wall
body part
dental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352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광범
안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to EP21903590.4A priority Critical patent/EP4260831A4/en
Priority to CN202180083111.1A priority patent/CN116634965A/zh
Priority to US18/266,263 priority patent/US20240041568A1/en
Publication of WO202212454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245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8/0039Details of the shape in the form of hollow cylinder with an open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plant fixtur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or damage at the inlet side as in the past when the tool is used frequently, as well as to prevent the contact area with the abutment from being reduce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absorb the load applied from the abutment as it is, and this relates to a dental implant fixture that can prevent a decrease in mastication function.
  • An implant originally refers to a replacement that restores human tissue when it is lost, but in dentistry, it refers to a series of procedures that implant artificially made teeth.
  • a fixture made of titanium, etc. which does not have a negative reaction to the human body, is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from which the tooth has escaped, and then the function of the tooth is restored by fixing the artificial tooth. It is a procedure to do.
  • Artificial teeth treatment also called implant or implant procedure
  • Implants enhance the function of dentures for partially and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s as well as single-missing tooth restorations, improve the aesthetics of dental prosthetic restorations, and further dissipate excessive stress on the surrounding supporting bone tissue. It also helps in stabilizing the teeth.
  • These implants generally include a fixture placed as an artificial tooth root, an abutment coupled to the fixture, and an abutment screw for fixing the abutment to the fixture, It includes an artificial tooth that engages the abutment.
  • the healing abutment (not shown) is coupled to the fixture to maintain the coupled state.
  • a fixture which is one component of an implant, is a structure that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during an implant procedure, and actually plays the role of an artificial tooth root. Therefore, the fixture must be firmly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As such, in order to implant the fixture in the alveolar bone, and to adjust the position by lifting a part of the implanted fixture from the alveolar bone, a tool suitable for it, for example, a tool such as a screwdriver, must be connected to the fixture to work.
  • a part to which the tool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inner wall of the fixture for example, a tool connection groove, etc., must be machined, and it can be easily considered to process this part at the entrance of the fixture. .
  • the flesh thickness of the inlet side is relatively thinner than other places, so if the part where the tool is connected here is machin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fixture may be deformed or damaged at the inlet side when the tool is used frequently.
  • the fixture is coupled to the fixture while being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portion of the inner wall at the entrance. As this is reduced, the load applied from the abutment to the fixture can be reduced, which can lead to a problem of lowering of the masticatory function. There is a need for technological development.
  •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or damage at the inlet side as in the past when the tool is frequently used, as well as the load applied from the abutment by prevent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abutment from being reduced It is to provide a dental implant fixture that can be absorbed as it is, thereby preventing a decrease in mastication function.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or damage at the inlet side as in the past when the tool is used frequently, as well as to absorb the load applied from the abutment as it is by prevent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abutment from being reduced. And, this can prevent a decrease in the mastication func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implant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1 ;
  • FIG. 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FIG. 1 ;
  • FIG. 4 is a view in which the screw fastening part area is processed with dotted lines to emphasize the abutment contact support part in FIG. 3 .
  • FIG. 5 is a plan view of FIG. 1 ;
  • FIG.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
  • FIG. 7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abutment is coupled to FIG. 6 .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implant fix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FIG. 8 .
  • FIG. 10 is a view in which a screw fastening portion area is treated with a dotted line in order to emphasize the abutment contact support portion in FIG. 9 .
  • FIG. 11 is a plan view of FIG. 8 .
  • the body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wall screw portion for implantation in the alveolar bone; an abutment contact support portion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inlet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coupled while an abutment is supported in contact; And it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body portion in the region where the abutment contact support portion end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portion is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and has a non-circular cross-section so that a predetermined tool for handling rotation of the body portion is selectively connected.
  • Dental implant fixture comprising an internal connection part (internal connection part) to form can be provided.
  • a screw fastening part to which the abutment or an abutment screw for fixing the abutment is fastened may be formed inside the body part, and the internal connection part is a region between the abutment contact support part and the screw fastening part can be placed in
  • a vertical wall portion formed in parallel with a direction in which the body portion is implanted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body portion in a region between the abutment contact support portion and the screw fastening portion.
  • the abutment contact support portion may form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gradually smaller toward the screw fastening portion, but the internal connection portion may be disposed to span the abutment contact support portion and the vertical wall portion.
  • the internal connection part, the inclined wall side groove part processed in the form of a groove (groove) on the side of the abutment contact support; and a vertical wall-side groove connected to the inclined wall-side groove and machined in the form of a groove toward the vertical wall.
  • a plurality of the internal connection parts may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body part to form a semicircular shape.
  • the number of the internal connection units may be six, and the six internal connection units may form a torrox structure.
  • connection wall part connecting between the internal connection parts may form the same curvature as an inner wall of the body part.
  • a plurality of the internal connection parts may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body part to form a non-circular angled shape.
  • the number of the internal connection units may be six, and the six internal connection units may form a hexa structure.
  • a connection wall part connecting between the internal connection parts may form the straight lin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implant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 Figure 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 Figure 4 is an abutment in Figure 3 It is a view in which the screw fastening part area is treated with a dotted line in order to emphasize the contact support part
  • FIG. 5 is a plan view of FIG. 1
  •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to be.
  • the dental implant fixture 100 when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or damage at the entrance side as in the past when the tool is frequently used, as well as the abutment 160, By prevent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abutment from being reduced, the load applied from the abutment can be absorbed as it is, thereby preventing a decrease in the mastication function.
  • the dental implant fixture 100 includes a body portion 110 in which a screw portion 111 for implantation in alveolar bone is formed on the outer wall, and the body portion 110 It takes a form in which the following components are provided for each location.
  • the body part 110 is a part constituting a skeleton in the fix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a configuration or pattern such as an entry direction guide portion 114 , a cutting edge portion 115 including the screw portion 111 may be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110 for each position.
  • the body portion 110 Since the fixture 100 is a structure in the form of a screw to be implanted into the alveolar bone, the body portion 110 has an outer surface that is taper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gradually smaller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placed so that the implantation can be facilitated, and the screw portion 111 on the outer surface ) is formed.
  • the body portion 110 of the fixture 1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lumnar-type straight-line structure or a middle pear-shaped structure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diame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body part 110 has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is gradually reduced as it goes along the implantation direction, that is, toward the entry direction guide part 114 ,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mplantation can be facilitated.
  • the body portion 110 may be tapered to have the same inclination over the entire outer surface area, or the body portion 110 is tapere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 the slope may be formed differently.
  •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0 may be tapered.
  • the s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110 to the central region forms a tapered inclination, and the remaining part may be machined in a straight shape such as a cylinder, which facilitates initial implantation while I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strong fixing force.
  • the screw portion 111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body portion 110 has no relation to any shape, such as a triangular screw, a square screw, or a mixed screw.
  • a bevel part 116 is formed in the entrance-side corner area of the body part 110 .
  • the bevel part 116 refers to an inlet-side end region of the body part 110 .
  • This bevel part 116 provides a relatively larger contact area than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110, that is, the position of the entry direction guide 114, etc., so that a strong fixing force with the abutment 160 can be provided. do.
  • the entry direction guide 114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side of the body 110 , that is,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
  • the entry direction guide part 114 is formed by a predetermined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110 from the front end of the body part 110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part 110 is implanted. It serves to guide the direction of implantation entry. Accordingly, the entry direction guide 114 may have a narrow width and a sharp wall shape.
  • a cutting edge portion 115 (cutting edge portion) is further formed around the entry direction guide portion 11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10 .
  • the cutting edge portion 115 is not necessarily formed, but when the cutting edge portion 115 is formed, since the cutting edge portion 115 forms a cutting edge shape, the fixture 100 is very helpful in being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becomes this
  • One such cutting edge portion 115 may be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body portion 110, or a plurality of such cutting edge portions 115 may be form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plurality of cutting edge portions 115 are form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tting edge portions 115 may be arranged concentrically and at equal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110 .
  • the following configuration or pattern is formed on the inside or the inner wall of the body 110 . That is, the abutment contact support part 120 that is coupled while the abutment 160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inside or the inner wall of the body part 110 and a predetermined tool for handling the body part 110 are selectively connected. Screw fastening in which an internal connection part 130 (internal connection part)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is formed and an abutment 160 or an abutment screw (not shown) for fixing the abutment 160 is fastened The portion 113 is provided for each location.
  • These configurations or patter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
  • the screw fastening part 113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female screw on the inside of the body part 110 to provide a place where the abutment 160 or an abutment screw (not shown) for fixing the abutment 160 is fastened.
  • the abutment 160 is coupled to the body part 110 of the fixture 100 as shown in the drawing, that is, after being fitted, a separate abutment screw is fastened to the screw coupling part 113 by the abutment 160 . and the fixture 100 can be made into one body.
  • the abutment contact support part 120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inlet side of the body part 110, and forms a place where the abutment 160 is contact-supported as shown in FIG.
  • the abutment 160 is used as shown in FIG. 7 until the fixture 100 is osseointegrated to the alveolar bone.
  • the sub-region is coupled to the body part 110 of the fixture 100 in a state supported by the abutment contact support part 120 as shown in FIG. 7 .
  • the abutment contact support part 120 has a screw fastening part 113 at the end of the body part 110 inlet side. It forms a sloping slope whos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progressively smaller as it goes toward the side.
  • a vertical wall part 122 formed in parallel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part 110 is implanted is formed.
  • the vertical wall part 122 forms a place where a part of the internal connection part 130 is formed.
  • the internal connection part 130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body part 110 in the area where the abutment contact support part 120 end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part 110 is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 is a pattern in which a cross section forms a non-circular structure so that a predetermined tool (not shown) for rotation handling is selectively connected.
  • a separate tool that is, the body 110
  • the internal connection unit 130 is responsible for this.
  • the abutment 160 is coupled to the fixture 100 as shown in FIG. 7 .
  •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xture 100 and the abutment 160 is reduced, so that the load applied from the abutment 160 to the fixture 100 can be reduced, which is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the mastication function. may lead to
  • the internal connection part 130 is disposed in the area between the abutment contact support part 120 and the screw fastening part 113 .
  • the internal connection part 130 is 1.3 mm adjacent to the screw fastening part 113. It can be machined by length l2.
  • the internal connection part 130 is disposed to span the abutment contact support part 120 and the vertical wall part 122 .
  • This internal connection part 130 is connected to the inclined wall side groove part 131 processed in the form of a groove on the abutment contact support part 120 side, and the inclined wall side groove part 131 and connected to the vertical wall part ( 122) side may include a vertical wall-side groove portion 132 processed in the form of a groove (groove).
  • the internal connection part 130 provided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the inclined wall-side groove part 131 and the vertical wall-side groove part 132 has a semicircular shape when the body part 110 is viewed in a plan view.
  • a plurality of pieces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wall.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are six internal connection units 130 , but the six internal connection units 130 form a torrox structure.
  • connection wall portion 140 connecting between the internal connection portions 130 forms the same curvature as the inner wall of the body portion 110 , and by applying this structure, stable coupling of the tool is achieved. It can be pulled out, and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bond strength by 20% or more.
  • implant surgery can be performed by combining the abutment 160 as shown in FIG. 7 , in this case , due to the internal connection unit 130, the fixture 100 can be stably and powerfully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as well as the load applied from the abutment 160 to the fixture 100 is reduced, resulting in mastication This can be done so that the function does not deteriorate.
  • this embodiment which operates with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or damage at the inlet side as before when the tool is used frequently, as well as prevent the contact area with the abutment 160 from being reduced. It is possible to absorb the load applied from the abutment as it is, thereby preventing a decrease in the mastication func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implant fix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FIG. 8
  • FIG. 10 is a screw fastening area to emphasize the abutment contact support in FIG. 9
  • FIG. 11 is a plan view of FIG. 8 .
  • the dental implant fixture 200 also includes a body portion 210 having a screw portion 111 formed on the outer wall, and an internal connection to the inner wall of the body portion 210 .
  • the part 230 takes the form to be machined.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fore, duplicate explanations are avoided.
  • the internal connection unit 230 has a non-circular angled shape when the body 210 is viewed in a plan view.
  • the fact that a plurality of internal connection units 230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inner wall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unit 210 is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connection wall part 240 connecting between the internal connection parts 230 forms a straight line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the internal connection unit 13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a torrox structure
  • the internal connection unit 23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hexa structure, only the structure or pattern is different.
  • its functions and roles are the same.
  • the internal connection unit 230 having a hexa structur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or damage at the entrance side as in the past when the tool is frequently used, as well as to prevent it from being damaged with the abutment 160 .
  • the load applied from the abutment can be absorbed as it is, thereby preventing a decrease in the mastication function.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dent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치조골에 식립되기 위한 나사부가 외벽에 형성되는 몸체부; 몸체부의 입구 쪽 내벽에 형성되되 어버트먼트(abutment)가 접촉 지지되면서 결합하는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 및 몸체부가 치조골에 식립되는 방향에 대하여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가 끝나는 영역의 몸체부 내벽에 형성되며, 몸체부의 회전 핸들링을 위한 소정의 공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게 단면이 비원형 구조를 형성하는 인터널 커넥션부(internal connection part)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구의 잦은 사용 시 종전처럼 입구 쪽에서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어버트먼트와의 접촉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어버트먼트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그대로 흡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작기능이 감소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일련의 시술을 가리킨다.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인 픽스츄어(fixture)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해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공치아 시술(임플란트 혹은 임플란트 시술이라고도 함)은, 소정의 드릴을 사용하여 식립위치를 천공한 후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뼈에 골융합시킨 다음, 픽스츄어에 어버트먼트(abutment, 지대주)를 결합시킨 후에, 어버트먼트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완료된다.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키며,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과 아울러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인공 치근으로서 식립되는 픽스츄어(Fixture)와, 픽스츄어 상에 결합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와, 어버트먼트를 픽스츄어에 고정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루(Abutment Screw)와, 어버트먼트에 결합하는 인공치아를 포함한다. 여기서, 어버트먼트를 픽스츄어에 결합시키기 전에, 즉 치조골에 픽스츄어가 골융합되기까지의 기간 동안에 치유 어버트먼트(미도시)가 픽스츄어에 결합하여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도 한다.
임플란트의 한 구성인 픽스츄어(Fixture)는 임플란트 시술 시 치조골에 식립되는 구조물이며, 실질적으로 인공 치근의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픽스츄어는 치조골에 견고히 식립되어야 한다. 이처럼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식립하기 위해, 또한 식립된 픽스츄어를 치조골에서 일부 들어 올려 위치 조정하기 위해서는 그에 적합한 공구, 예컨대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픽스츄어에 연결해서 작업해야 한다.
한편, 공구를 픽스츄어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픽스츄어의 내벽에 공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부분, 예컨대 공구 연결홈 등이 가공되어야 할 것이고, 이러한 부분을 픽스츄어의 입구 쪽에 가공하는 것을 쉽게 고려해볼 수 있다.
그런데, 현존하는 통상적인 픽스츄어는 입구 쪽의 살 두께가 다른 곳보다 상대적으로 얇아 이곳에 공구가 연결되는 부분을 가공하면 잦은 공구의 사용 시 픽스츄어는 입구 쪽에서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할 소지가 크다.
또한, 어버트먼트는 픽스츄어는 입구 쪽 내벽의 경사진 부분에 접촉 지지된 상태로 픽스츄어에 결합하는데, 픽스츄어의 입구 쪽에 공구가 연결되는 부분을 가공하면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 간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어버트먼트에서 픽스츄어로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할 수 있고, 이는 곧 저작기능의 저하 문제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구의 잦은 사용 시 종전처럼 입구 쪽에서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어버트먼트와의 접촉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어버트먼트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그대로 흡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작기능이 감소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구의 잦은 사용 시 종전처럼 입구 쪽에서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어버트먼트와의 접촉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어버트먼트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그대로 흡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작기능이 감소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를 강조하기 위해 스크루 체결부 영역을 점선 처리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어버트먼트가 결합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를 강조하기 위해 스크루 체결부 영역을 점선 처리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치조골에 식립되기 위한 나사부가 외벽에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입구 쪽 내벽에 형성되되 어버트먼트(abutment)가 접촉 지지되면서 결합하는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가 상기 치조골에 식립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가 끝나는 영역의 상기 몸체부 내벽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회전 핸들링을 위한 소정의 공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게 단면이 비원형 구조를 형성하는 인터널 커넥션부(internal connection par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어버트먼트 또는 상기 어버트먼트를 고정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루가 체결되는 스크루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와 상기 스크루 체결부 사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와 상기 스크루 체결부 사이 영역의 상기 몸체부 내벽에는 상기 몸체부가 식립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수직 벽체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는 상기 스크루 체결부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되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와 상기 수직 벽체부에 걸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 쪽에 홈(groove)의 형태로 가공되는 경사 벽체측 홈부; 및 상기 경사 벽체측 홈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 벽체부 쪽에 홈(groove)의 형태로 가공되는 수직 벽체측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를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반원 형상을 이루되 상기 몸체부 내벽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6개이며, 6개의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토록스(torrox)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체부가 상기 몸체부 내벽과 동일한 곡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를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코너가 비원형으로 각진 형상을 이루되 상기 몸체부 내벽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6개이며, 6개의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헥사(hexa)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체부가 상기 직선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를 강조하기 위해 스크루 체결부 영역을 점선 처리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어버트먼트가 결합한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100)를 사용할 경우, 공구의 잦은 사용 시 종전처럼 입구 쪽에서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어버트먼트(160, abutment)와의 접촉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어버트먼트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그대로 흡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작기능이 감소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100)는 치조골에 식립되기 위한 나사부(111)가 외벽에 형성되는 몸체부(110)를 포함하며, 몸체부(110)에 위치별로 아래 구성들이 마련되는 형태를 취한다.
몸체부(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100)에서 골격을 이루는 부분이다. 나사부(111)를 포함해서 진입방향 안내부(114), 커팅 에지부(115, cutting edge portion) 등의 구성 혹은 패턴(pattern)이 몸체부(110)에 각 위치별로 마련될 수 있다.
픽스츄어(100)는 치조골로 식립되는 나사 형태의 구조물이라서, 식립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몸체부(110)는 식립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외면이 테이퍼지게 마련되고 외면에 나사부(111)가 형성된다.
물론, 도면과 달리 픽스츄어(100)의 몸체부(110)가 길이 방향을 따라 그 단면직경이 모두 동일한 원기둥 타입의 일자형 구조이거나 중간의 배불뚝이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처럼 몸체부(110)가 식립되는 방향을 따라 즉 진입방향 안내부(114)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면 식립이 용이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테이퍼 구조로 픽스츄어(100)의 몸체부(110)를 가공함에 있어서, 몸체부(110)는 외면 전 영역에서 동일한 기울기를 갖게 테이퍼질 수도 있고, 혹은 몸체부(110)는 외면에 형성되는 테이퍼 기울기가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몸체부(110)의 외면 일부 구간만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는 도면과 달리, 몸체부(110)의 상단부에서 중앙 영역에 이르는 구간은 테이퍼진 기울기를 형성하고, 그 나머지 부분은 마치 원기둥과 같은 직선 형태로 가공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면 초기 식립을 용이하게 하면서 강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몸체부(110)의 외벽에 형성되는 나사부(111)는 삼각 나사, 사각 나사 혹은 혼합 나사 등 어떠한 형태가 적용되더라도 관계는 없다.
몸체부(110)의 입구 측 코너 영역에는 베벨부(116)가 형성되다. 베벨부(116)는 몸체부(110)의 입구 측 단부 영역을 일컫는다. 이러한 베벨부(116)는 몸체부(110)의 하단부 즉 진입방향 안내부(114) 등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접촉 면적을 제공함으로써 어버트먼트(160, Abutment)와의 강한 고정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몸체부(110)의 입구 측 반대편, 즉 몸체부(110)의 하단부에는 진입방향 안내부(114)가 형성된다.
진입방향 안내부(114)는 몸체부(110)가 식립되는 방향에 대하여 몸체부(110)의 선단부로부터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구간만큼 형성되되 몸체부(110)에 대한 초기의 식립 진입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진입방향 안내부(114)는 폭이 좁고 벽체가 날카로운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진입방향 안내부(114)의 주변에는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커팅 에지부(115, cutting edge portion)가 더 형성된다.
물론, 커팅 에지부(115)가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커팅 에지부(115)가 형성되면 커팅 에지부(115)가 절삭날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픽스츄어(100)가 치조골에 식립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이러한 커팅 에지부(115)는 몸체부(110)의 외벽에 1개 형성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처럼 여러 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처럼 복수 개의 커팅 에지부(115)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몸체부(110)를 기준으로 해서 커팅 에지부(115)들이 동심적으로 또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상 자세히 설명한 몸체부(110)의 외부 구조 외에 몸체부(110)의 내부 혹은 내벽에는 아래의 구성 혹은 패턴이 형성된다. 즉 몸체부(110)의 내부 혹은 내벽에는 어버트먼트(160)가 접촉 지지되면서 결합하는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120)와, 몸체부(110)의 핸들링을 위한 소정의 공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되 단면이 비원형 구조를 형성하는 인터널 커넥션부(130, internal connection part)와, 어버트먼트(160) 또는 어버트먼트(160)를 고정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루(미도시)가 체결되는 스크루 체결부(113)가 위치별로 마련된다. 이들 구성 혹은 패턴(pattern)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해서 자세히 살펴본다.
우선, 스크루 체결부(113)에 대해 먼저 알아본다. 스크루 체결부(113)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암나사의 형태로 마련되되 어버트먼트(160) 또는 어버트먼트(160)를 고정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루(미도시)가 체결되는 장소를 이룬다.
어버트먼트(160)는 도면처럼 픽스츄어(100)의 몸체부(110)에 결합한 후, 즉 끼워진 후, 별도의 어버트먼트 스크루를 스크루 체결부(113)에 체결함으로써 어버트먼트(160)와 픽스츄어(100)가 한 몸체가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도면과 달리, 어버트먼트 스크루 역할을 하는 기능이 어버트먼트(미도시)에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120)는 몸체부(110)의 입구 쪽 내벽에 형성되되 도 7처럼 어버트먼트(160)가 접촉 지지되면서 결합하는 장소를 이룬다.
픽스츄어(100)가 치조골에 식립된 이후 픽스츄어(100)가 치조골에 골융합할 때까지 도 7처럼 어버트먼트(160)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도 7처럼 어버트먼트(160)는 그 일단부 영역이 도 7처럼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120)에 지지된 상태로 픽스츄어(100)의 몸체부(110)에 결합한다.
픽스츄어(100)의 몸체부(110) 입구 쪽에 어버트먼트(160)가 잘 결합해서 지지되기 위해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120)는 몸체부(110) 입구 쪽 단부에서 스크루 체결부(113)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경사진 경사면을 이룬다.
그리고,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120)와 스크루 체결부(113) 사이 영역의 몸체부(110) 내벽에는 몸체부(110)가 식립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수직 벽체부(122)가 형성된다. 수직 벽체부(122)는 인터널 커넥션부(130)의 일부가 형성되는 장소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인터널 커넥션부(130)는 몸체부(110)가 치조골에 식립되는 방향에 대하여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120)가 끝나는 영역의 몸체부(110) 내벽에 형성되되 몸체부(110)의 회전 핸들링을 위한 소정의 공구(미도시)가 선택적으로 연결되게 단면이 비원형 구조를 형성하는 패턴이다.
즉 픽스츄어(100)를 치조골에 나사식으로 식립하거나 식립된 픽스츄어(100)를 일부 들어 올리기 위해서는 픽스츄어(100)의 몸체부(110)에 별도의 공구, 즉 몸체부(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를 선택적으로 연결해야 하는데, 이를 인터널 커넥션부(130)가 담당한다.
다만, 이러한 인터널 커넥션부(130)를 몸체부(110)의 내벽에 가공할 경우, 인터널 커넥션부(130)가 원형의 단면 형상을 이루게 되면 공구가 헛돌 수밖에 없으므로 인터널 커넥션부(130)는 연결되는 공구가 헛돌지 않게 단면이 비원형 구조를 이룬다.
한편, 이러한 인터널 커넥션부(130)를 몸체부(110)의 내벽에 가공함에 있어서 종전처럼 몸체부(110)의 입구 쪽에 가공하면 공구의 반복적인 사용 시 살 두께가 얇은 몸체부(110)의 입구 쪽에서 변형 또는 파손이 일어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인터널 커넥션부(130)를 몸체부(110)의 입구 쪽, 즉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120) 영역에 가공하면 도 7처럼 픽스츄어(100)에 어버트먼트(160)를 결합했을 때,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160) 간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어버트먼트(160)에서 픽스츄어(100)로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할 수 있고, 이는 곧 저작기능의 저하 문제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좀 더 부연 설명한다. 도 7처럼 어버트먼트(160)가 픽스츄어(100)에 결합한 임플란트 시술 중에 음식을 씹으면 이러한 저작에 따라 어버트먼트(160)에 가해지는 하중이 전부 픽스츄어(100)에 전달되어야만 하는데, 만약 본 실시예와 달리 인터널 커넥션부(130)를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120) 영역에 가공하면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160) 간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어버트먼트(160)에서 픽스츄어(100)로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그만큼 저작기능이 저하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다양한 문제, 즉 살 두께가 얇은 몸체부(110)의 입구 쪽에서 변형 또는 파손이 일어나는 문제, 또한 어버트먼트(160)에서 픽스츄어(100)로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하여 저작기능이 저하되는 문제 등을 모두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널 커넥션부(130)를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120)와 스크루 체결부(113) 사이 영역에 배치하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몸체부(110)의 입구 쪽에서 스크루 체결부(113)까지의 길이(L1)가 3.7mm로 가정할 때, 인터널 커넥션부(130)는 스크루 체결부(113)에 이웃한 1.3mm의 길이(l2)만큼 가공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면, 본 실시예에서 인터널 커넥션부(130)는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120)와 수직 벽체부(122)에 걸치게 배치된다.
이러한 인터널 커넥션부(130)는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120) 쪽에 홈(groove)의 형태로 가공되는 경사 벽체측 홈부(131)와, 경사 벽체측 홈부(131)에 연결되고 수직 벽체부(122) 쪽에 홈(groove)의 형태로 가공되는 수직 벽체측 홈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경사 벽체측 홈부(131) 및 수직 벽체측 홈부(132)의 조합 형태로 마련되는 인터널 커넥션부(130)는 몸체부(110)를 평면에서 볼 때, 반원 형상을 이루되 몸체부(110) 내벽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인터널 커넥션부(130)는 6개이되 6개의 인터널 커넥션부(130)는 토록스(torrox) 구조를 이룬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인터널 커넥션부(130)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체부(140)가 몸체부(110) 내벽과 동일한 곡률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공구의 안정적인 결합을 끌어낼 수 있고, 결합 강도가 20%이상 올라가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인터널 커넥션부(130)에 연결해서 픽스츄어(100)를 치조골에 식립한 후, 도 7처럼 어버트먼트(160)를 결합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을 진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인터널 커넥션부(130)로 인해 픽스츄어(100)를 치조골에 안정적으로 또한 힘 있게 식립할 수 있음은 물론, 어버트먼트(160)에서 픽스츄어(100)로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하여 저작기능이 저하되지 않게끔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구의 잦은 사용 시 종전처럼 입구 쪽에서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어버트먼트(160)와의 접촉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어버트먼트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그대로 흡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작기능이 감소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서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를 강조하기 위해 스크루 체결부 영역을 점선 처리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8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200) 역시, 나사부(111)가 외벽에 형성되는 몸체부(210)를 포함하며, 몸체부(210)의 내벽에 인터널 커넥션부(230)가 가공되는 형태를 취한다. 다른 구성들의 역할과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피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인터널 커넥션부(230)는 몸체부(210)를 평면에서 볼 때, 코너가 비원형으로 각진 형상을 이룬다. 물론, 인터널 커넥션부(230)가 몸체부(210) 내벽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배열된다는 점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인터널 커넥션부(230)는 6개이고, 6개의 인터널 커넥션부(230)는 헥사(hexa) 구조를 이룬다. 이때, 인터널 커넥션부(230)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체부(24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직선 라인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의 인터널 커넥션부(130)는 토록스(torrox) 구조를 이룬 반면, 본 실시예의 인터널 커넥션부(230)는 헥사(hexa)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구조 혹은 패턴만 상이할 뿐, 그 기능과 역할은 같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은 헥사(hexa) 구조의 인터널 커넥션부(230)가 적용되더라도 공구의 잦은 사용 시 종전처럼 입구 쪽에서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어버트먼트(160)와의 접촉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어버트먼트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그대로 흡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작기능이 감소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치과 치료 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치조골에 식립되기 위한 나사부가 외벽에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입구 쪽 내벽에 형성되되 어버트먼트(abutment)가 접촉 지지되면서 결합하는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가 상기 치조골에 식립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가 끝나는 영역의 상기 몸체부 내벽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회전 핸들링을 위한 소정의 공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게 단면이 비원형 구조를 형성하는 인터널 커넥션부(internal connection par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어버트먼트 또는 상기 어버트먼트를 고정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루가 체결되는 스크루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와 상기 스크루 체결부 사이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와 상기 스크루 체결부 사이 영역의 상기 몸체부 내벽에는 상기 몸체부가 식립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수직 벽체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는 상기 스크루 체결부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되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와 상기 수직 벽체부에 걸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상기 어버트먼트 접촉 지지부 쪽에 홈(groove)의 형태로 가공되는 경사 벽체측 홈부; 및
    상기 경사 벽체측 홈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 벽체부 쪽에 홈(groove)의 형태로 가공되는 수직 벽체측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를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반원 형상을 이루되 상기 몸체부 내벽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6개이며, 6개의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토록스(torrox)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체부가 상기 몸체부 내벽과 동일한 곡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를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코너가 비원형으로 각진 형상을 이루되 상기 몸체부 내벽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6개이며, 6개의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는 헥사(hexa)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널 커넥션부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체부가 상기 직선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PCT/KR2021/013526 2020-12-09 2021-10-01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WO2022124543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903590.4A EP4260831A4 (en) 2020-12-09 2021-10-01 DENTAL IMPLANT FIXATION
CN202180083111.1A CN116634965A (zh) 2020-12-09 2021-10-01 牙科植体固定装置
US18/266,263 US20240041568A1 (en) 2020-12-09 2021-10-01 Dental implant fix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147 2020-12-09
KR1020200171147A KR20220081547A (ko) 2020-12-09 2020-12-09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24543A1 true WO2022124543A1 (ko) 2022-06-16

Family

ID=81973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3526 WO2022124543A1 (ko) 2020-12-09 2021-10-01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41568A1 (ko)
EP (1) EP4260831A4 (ko)
KR (2) KR20220081547A (ko)
CN (1) CN116634965A (ko)
TW (1) TWI827995B (ko)
WO (1) WO2022124543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573Y1 (ko) * 2005-12-16 2006-04-26 장경삼 치과용 임플란트 유니트
KR20120127692A (ko) * 2011-05-15 2012-11-23 이도상 완충형 임플란트
KR20160051482A (ko) * 2014-11-03 2016-05-11 이도상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160126584A (ko) * 2015-04-24 2016-11-02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치과 임플란트의 상호 호환용 어버트먼트
US20160317253A1 (en) * 2013-12-17 2016-11-03 Epiphanostics GmbH Enossal single tooth implant
KR20170136215A (ko) * 2016-06-01 2017-12-11 와이메디칼네트워크 주식회사 치과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되는 커버 스크류 인서트형 픽스츄어
KR20190065621A (ko) *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27007A1 (de) * 2008-06-06 2009-12-10 Ilja Beilin Verwendung der internen Aussparungen des Zahnimplantats die für die Werkzeuge vorgesehen sind, für die wiederholte Positionierung des zweiteiligen Kopfteils in voller Länge der konischen Verbindung, mit Erhaltung der ununterbrochenen biologischen Abdichtung des Implantats
US8758012B2 (en) * 2008-07-14 2014-06-24 Nobel Biocare Services Ag Compact dental implant
JP5148517B2 (ja) 2009-01-07 2013-02-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風力発電装置
US20120135380A1 (en) * 2009-04-11 2012-05-31 Ady Palti Implant analog
BR112015030009B1 (pt) * 2013-06-10 2021-08-03 Straumann Holding Ag Disposição de soquete de implante dentário
GB2523827A (en) * 2014-03-07 2015-09-09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implant
RU2687575C1 (ru) * 2016-01-29 2019-05-15 Нобель Биокэр Сервисиз Аг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вставки зубного имплантата и комбинация зубного имплантата и инструмента для вставки
EP3398553A1 (en) * 2017-05-02 2018-11-07 Ophir Fromovich Improved dental implant system
KR200493997Y1 (ko) * 2019-05-17 2021-07-13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픽스츄어 시술 커넥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573Y1 (ko) * 2005-12-16 2006-04-26 장경삼 치과용 임플란트 유니트
KR20120127692A (ko) * 2011-05-15 2012-11-23 이도상 완충형 임플란트
US20160317253A1 (en) * 2013-12-17 2016-11-03 Epiphanostics GmbH Enossal single tooth implant
KR20160051482A (ko) * 2014-11-03 2016-05-11 이도상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160126584A (ko) * 2015-04-24 2016-11-02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치과 임플란트의 상호 호환용 어버트먼트
KR20170136215A (ko) * 2016-06-01 2017-12-11 와이메디칼네트워크 주식회사 치과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되는 커버 스크류 인서트형 픽스츄어
KR20190065621A (ko) *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260831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60831A4 (en) 2024-05-15
KR20220081547A (ko) 2022-06-16
US20240041568A1 (en) 2024-02-08
KR20230145309A (ko) 2023-10-17
TWI827995B (zh) 2024-01-01
TW202222272A (zh) 2022-06-16
CN116634965A (zh) 2023-08-22
EP4260831A1 (en) 202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79958A1 (ko) 치과용 임플란트
WO2011132843A2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WO2017204479A1 (ko) 나사풀림방지 구조를 갖춘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WO2010021478A2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WO2011046294A2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WO2017146478A1 (ko)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WO2010098543A2 (ko) 치과용 임플란트
WO2015030281A1 (ko)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WO2022124667A1 (ko)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WO2021215851A1 (ko)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결합조립체
WO2017146335A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WO2013151258A1 (ko) 각도조절과 위치조절이 자유로운 틀니 고정용 어태치먼트
WO2016024681A1 (ko) 임플란트용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용 드릴 장치
WO2010131879A2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WO2011040687A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블록, 가이드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 방법
WO2021020656A1 (ko) 이중 스파이럴 구조의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
WO2022124543A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WO2022010081A1 (ko) 인공치아 가공장치 및 상기 장치로 가공된 인공치아
WO2019124887A1 (ko) 임플란트용 픽스쳐 식립을 위한 방향확인 핀과 가이드 탭 드릴 키트
WO2011027975A2 (en) Dental implant assembly having settlement-preventing step
WO2010090399A2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WO2010126301A2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WO2018106027A1 (ko) 치과용 임플란트
WO2022231182A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구조체
WO2019143096A1 (ko) 볼트형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035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266263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0083111.1

Country of ref document: C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9035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