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92781A2 - 외과용 가운. - Google Patents

외과용 가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92781A2
WO2022092781A2 PCT/KR2021/015143 KR2021015143W WO2022092781A2 WO 2022092781 A2 WO2022092781 A2 WO 2022092781A2 KR 2021015143 W KR2021015143 W KR 2021015143W WO 2022092781 A2 WO2022092781 A2 WO 2022092781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ulk
gown
fastener
string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514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22092781A3 (ko
Inventor
신왕수
Original Assignee
신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왕수 filed Critical 신왕수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4407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20055442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4407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20055443A/ko
Publication of WO2022092781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92781A2/ko
Publication of WO2022092781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92781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gical gown used in an operating room, and in particular, to minimize the exposure while resolving the discomfort caused by string tying in the exaggerated exaggerated wearing and taking off the gown in the operating room.
  • surgical gowns are usually worn in the operating room.
  • the outer skin of the gown is folded so that it does not com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etc.
  • the first tie straps provided on the incision side of the left side and the inner side of the right side respectively, make the left side go to the inside of the right side.
  • Another string provided on the incision side and the corresponding string provided on the front part form a secondary bundle string.
  • the primary and secondary tying straps are tightly tied, so when taking off the surgical gown after surgery, the wearer (medical person) does not untie the ties but takes them off by themselves. Turn it over and throw it in the bin.
  • the reason for this is to minimize contact with medical personnel while the patient's blood or mucus is on the front or arm of the gown during the surgical procedure. If the gown is taken off while tied, the surgical gown is turned over and thrown into the garbage can.
  • one of the primary bundle straps extends to be exposed while being adhered to the inner side of the incision on the left side, and the other is th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right side. It is bonded and extended from the part so that the left side is placed under the right side to make the first bundle, and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The other one is to extend backward while sticking in a zigzag near the armpit of the front part.
  • the second bundling it is to be bundled with the tying string extending from the incision on the right side and the tying muscle attached in a zigzag pattern on the front part.
  • this method ha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adjust it after tying the string onc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separated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and the possibility of arbitrary separation due to a change in adhesive force when a certain time has elapsed for storage. In order to prevent this, ultrasonic bonding is applied to the adhered part.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ight fit while wearing a gown without using a string for bundling, and it is possible to simply take off the clothes when taking off, and it is easy to manufacture as well as manipulate this method .
  • a first male bulk fastener having a long female bulk fastener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side forming the rear surface, and a handle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right side, and a second male bulk fastener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in front of it. It is designed to be provided as close to the incision as possible.
  • the female bulk fastener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left side is provided with an extended pull string to expose it, so that when taking off the clothes, the female bulk fastener is easily peeled off from the gown body by pulling the extension string. It also made it easier to take off and take off.
  • the first male bulk fasteners with a handle so as to be foldable ar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rresponding same line of the right side to be detachably provided with each other, and the state In the outer surface of the right side, a string having one end fixed to the incision is provided to extend a certain length, and on this extension line, a fixing body having a pocket is detachably provided at a portion located on one side of the front part to be detachably provided. The tip of the string is inserted through the pocket so that the surgical gown can be worn.
  • the pocket is to be penetrated to the left and right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ring, or to be penetrated in a zigzag, or to be crossed through to prevent arbitrary fall-out of the string.
  • the tip of the string is made of paper to provide stiffness while providing eco-friendliness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pocket of the fixtur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urgical gown, and after penetrating it, it is optionally lowered to its own weight. This is to prevent phosphorus loss.
  • the front end of the paper-made string is inserted and the entrance of the pocket is inserted wider than the exit, and the paper-made tip is provided with a short string and inserted once by forming a plurality of concavo-convex portions so that it can proceed in only one direction. After that, it was designed to prevent arbitrary omission.
  • a pocket is formed on the fixture to cross the end of the string made of paper to prevent arbitrary pull-out while the end of the string is penetrated. to prevent interference.
  • each bulk fastener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left side and the inner side of the right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mbodiment showing that a pull string is provided on the female bulk fastener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parated by pulling.
  •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provided on the first male bulk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male bulk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dded with a reinforcing cloth on the gown body.
  • FIG 5 is an embodiment of a state in which a band-type string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n embodiment of a state in which the st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body and the tip.
  • 7 a and b are one embodiment of a state in which the concave-convex part is provided on the st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Figure 8 is an embodiment of a state in which the strap is fitted in the pocket of the fix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 9a to 9d are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a pocket is provided in the fix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n embodiment showing the state of the prior art primary bundle
  • 11 is an embodiment showing the state of the conventional secondary sphincter
  • the best form for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own body in which arms are provid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forming a boundary between a closed front part and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overlapping each other, and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 a first male male having a left and right lengthwise female bulk fastener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side forming the back part of the gown body, and having a handle on the inner side of the right side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emale bulk fastener
  • a second bulk claw fastener is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ulk claw fastener.
  • the present invention is a gown body provided with arms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that form a boundary between the front and the back part and the back part, which is opened so that the closed front part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verlap each other, the back part is formed
  • a long female bulk fastener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left side
  • a male bulk fastener with a handle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right side to be detached from the female bulk fastener, and one end of the string is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right side.
  • the fixed body is detachably provided with a pocket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penetrating through the front part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extended string is fitted .
  •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losed front part 110, the left side 121 and the right side 122, which are opened to overlap each other, and the rear part 120 and the front part 110.
  •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forming the boundary between the robe body 100 and the left side 121 forming the back part 120 of the gown body 100 are provided with arms 130 outside.
  • the side surface 121a is provided with long left and right female bulk fasteners 10 of a certain width, and at this time, if possible, it is extended to the vicinity of the wearer's side in the worn state, and the inner side 122a of the right side 122 is A first male crochet fastener 20 provided with a handle 21 that is not adhered to the gown body on one side on the inside, and a second male closure fastener 30 in front of it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ulk cro fastener 20 ) was provided.
  • the length of the female bulk fasteners 10 from left to right is provided with a constant width so that the left side 121 of the back part 120 is positioned inside, and the right side 122 overlaps upwards while forming the gown body 100 .
  • the wearer wears it, it is to enable close wearing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wearer (medical person), and the first male bulk cro fastener 20 detachably provided in the female bulk cro fastener 10 is the right side 122 .
  • the vertical flow occurs when overlapping with the upper side of the left side,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long verticall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emale bulk fastener 10 extending from side to side.
  • one end of the female bulk fastener 10 starts by forming a separation space (a) near the incision side 121b of the left side 121 and extends to the flank region, and the second male bulk fastener ( 30) is provided close to the cut edge 122b of the inner surface 122a of the right side 122 to provide a tight fit in the worn state.
  • the first male bulk fasteners 20 can be securely attached to the female bulk fasteners 10 and can be repeatedly detached according to the wearer's body type or to facilitate repeated detachment when worn.
  • the handle 21 is provided so as to be foldable without being adhered to the gown main body 100 on one side on which the male bulk fastener 20 is located, and hold the handle 21 and then the first male cro fastener 20 is inserted into the arm. It can be simply and repeated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bulk fastener 10 .
  • the handle 21 can be positio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eft and right lengthwise mounting directions of the female bulk fasteners 10 to provide ease of detachment for ease of operation.
  • the handle 21 has the first male crotch fastener 20 removed from the gown body 100 by pulling the handle 21 .
  • the handle 21 is provided while forming the adhesive surface 22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on the outside of the first male bulk fastener 20 .
  • the adhesive surface 22 is exten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male bulk fasteners 20 provided up and down so that external force is not transmitted to the first bulk fasteners 20 even when the handle 21 is pulled. did it
  • the second male bulk fasteners 30, which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ulk fasteners by a certain distance and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re attached to the gown body 100 with the reinforcing fabric 31 overlaid, thereby making the gown body 100 strong. It will be possible to be attached and at the same time to be able to prevent fodder of the gown body (100).
  • the second male bulk fasteners 30 are also provided with vertical length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emale bulk fasteners 10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male bulk fasteners, thereby providing ease of attachment and detachment with the female bulk fasteners. it can be
  • the female bulk fasteners 10 provided long left and right on the outer surface 121a of the left side 121 are provided with a pull string 11 extending to the rear end integrally with the female bulk fasteners and bar means.
  • the female bulk fastener 10 is adhered to and separated from the gown body 100 by the pulling of the pull string 11, and eventually the first, provided on the right side, Since the two male bulk fasteners 20 and 30 are adhered to the female bulk fastener, it is possible to simply take off the clothes.
  • the outer surface 122b of the right side 122 is a band-shaped string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provided with the front end 31 of the string having a constant width and length.
  • One end of (40) is fixedly provided, and in the front part 110 of the gown body 100, the front end 41 of the string is fitte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inlet 51a and the outlet 51b are penetrated so that the inlet 51a and the outlet 51b are penetrated.
  • the fixed body 50 provided with the provided pocket 51 is detachably provided with the gown body 100 by an external force.
  • the fixing body 50 in order for the fixing body 50 to be detachable from the gown body 100, it is adhered with an adhesive that is separated when an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or is detachably fused and fixed by an external force by ultrasonic waves, and is easy to separate during separation.
  • an adhesive that is separated when an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or is detachably fused and fixed by an external force by ultrasonic waves, and is easy to separate during separation.
  • the adhesive line 53 in the form of a dotted line by ultrasonic waves using the padding cloth 1 of a certain area is vertically oriented. While forming, these adhesive lines 53 are ultrasonically bonded to enable poking by an external force to provide a pocket 51 therebetween. ) to overlap the width excluding the sleeve 52, and then to form an adhesive line 43 by ultrasonic bonding to form a pocket 41, and attach the main sheet 2 to the body 100 of the surgical gown. that can be adhered to.
  • the opening hole is formed while forming a separation space (a) at one end of the pocket 51, so that the entry of the front end 41 of the string is formed. Ease of use and tearing after entry can be prevented.
  • the adhesive line 53 is also formed in the front where the pocket 51 is formed. ),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low of the pocket 51 can be prevented when the tip 41 of the string enters, and the pocket 51 forms a strong fixing force on the main sheet 2 .
  • the fixing body 50 when the fixing body 50 is separated by forming a foldable sleeve 52 forming a predetermined area usable as a handle to be separated from the gown body 100 as the upper side on which the adhesive line 53 is formed, that is, When taking off the clothes after wearing the gown 100, the fixing body 5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gown body 100, and at this time, the pocket 51 is attached to the gown body 100 with a padding cloth ( When only 1) is formed, the bonding line 53 by ultrasonic waves must be adhered so that it can be easily cracked by an external force.
  • the fixing body 50 provided with the sleeve 52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gown body 100 , thereby facilitating recycling.
  • the front end 41 of the band is made of paper to utilize the stiffness of the paper, and the backing fabric 1 is easily fitted into the inlet 51a of the pocket 51 that is processed into a non-woven fabric while making it easy to fit the outlet. It makes it easy to pass through to (51b) and considers the ease of separate collection and eco-friendliness when disposing of it for one-time use.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and the paper tip should not limi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ength of the string 40 is pass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pocket 51 with the tip 41 of the string made of paper in a state that is long enough to wrap the waist.
  • the length of the tip 41 of the string made of paper is to be made to a length that enables pulling while penetrating the inlet 51a and the outlet 51b of the minimum pocket 51, and the main body of the string ( 42) is to be folded after the tip 41 of the string made of paper comes out.
  • the body 42 of the string is held at a substantially right angle in a state in which the tip 41 of the string made of paper penetrates the pocket 51 due to flexibility due to the paper load forming the tip 41 of the string. It comes out from the outlet 51b of the pocket 51 and faces downward in the folded state so that the string 40 fitted through the outlet 51b from the inlet 51a of the pocket 51 does not arbitrarily depart from the pocket. will be.
  • FIGS. 9a to 9d show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the pocket 51 is implemented in the fixture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ring 40 from arbitrarily falling out by inserting the tip 41 of the paper string into the pocket 51 formed in the plurality of layers in a zigzag manner so as to be provided in two upper and lower rows.
  • the inlet 51a of each pocket 51 is opened with an oval-shaped opening hole, and the position of the opening hole is a spaced space ( By forming a) to provide, the ease of entry of the tip 41 of the string 40 and the prevention of tearing upon entry.
  • Fig. 9b shows that the outlet through which the pocket is penetrated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tip of the paper-made string, so that the paper-made material is bent and inserted. and the recessed and convex portion 43 is formed in the rear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inlet 41a of the pocket 41, and once inserted, the pocket is formed by the stepped surface 43b As it exits the outlet (51b) of (51), it is caught and can be prevented from arbitrarily falling out.
  • the same effect can be generated even when the concave-convex portion 43 is formed in the main body 42 of the string, and at this time, the string 40 is reinforced to some extent by using a multi-layered layer if possible. It would be good to implement it.
  • the paper tip as the inlet of the pocket 51 While providing the ease of insertion of (41), it is possible to be caught by the tip 41 of the string exiting to the outlet (51b) or the stepped surface (43b) of the main body (42) of the string.
  • the concave-convex portion 43 in multiple stages wi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42 of the string, it can be easily folded at a right angle after exiting the outlet 51b by the concave-convex portion 43.
  • the entrance of the cloth 1 to be padded is curved so that it can be easily entered. it can be done
  • Fig. 9c shows the pocket 51 formed on the fixture 50 so that the string 40 can cross and penetrate in the left and right up and down, so that the tip 41 of the paper string is inserted into the pocket 51. Since it is inserted crosswise in the state,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prevent arbitrary dropout after being inserted once.
  • the pocket 51 in the case of forming the pocket 51, only the square edge of the padded fabric 1 is padded with the fixed body 50 on the gown body 100 and only the padded fabric 1 having four sides is added.
  • the inlet 51a and the outlet 51b of the pocket 51 ar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up and down, respectively, so that the string 40 is crossed and penetrated.
  • Figure 9d shows that the interference of the intersecting string 40 does not occur when the strap 40 passes through the left and right up and down in the pocket 51, and the fixing body 50 is attached to the main sheet 2
  • the double padding fabric (1,1a) is overlapped to form a vertical pocket (51-1) and vertical adhesion A line 53-1 is formed, and at this time, the backing fabric 1a on the outside has a smaller area than the backing fabric 1 on the inside, and a free space 1-1 is provided in the backing fabric 1 on the inside.
  • one side of the padding cloth 1-1 on the inside is to implement an inlet 51a that is processed into an oval-shaped opening hole.
  • the horizontal pocket 51-2 is formed by bonding the main sheet 2 with the horizontal adhesive lines 53-2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by ultrasonic bonding. will make it available.
  • the outside of the horizontal bonding line 53-2 is cut and removed, and in this state, the main sheet 2 is attached to the gown body 100 using an adhesive.
  • the entrance of the vertical pocket 51-1 having a vertical entry direction is provided with a guide surface 54 to form a horizontal pocket 51-2, and the vertical pocket 51- through the guide surface 54 1)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the tip 41 of the string into the inlet 51a, and at this time, the inlet 51a is processed into a curved surface 51a-1 to provide ease of insertion. will be.
  • This assembly structure shows one embodiment, and various methods can be used so as not to interfere when the strings cr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실에서 사용되는 외과용 가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술실에서 가운을 입고 벗는 과정에서 끈 묶음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하면서도 노출을 최소로 한 것으로, 묶음이 없이 끈을 사용치 아니하고 가운을 입고 긴밀한 착용감을 제공하면서도 벗을 경우에 간단하게 뒤집어 벗음이 용이토록 한 것이고, 이러한 방식을 간단하게 제조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외과용 가운.
본 발명은 수술실에서 사용되는 외과용 가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술실에서 가운을 입고 벗는 과장에서 끈 묶음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하면서도 노출을 최소로 한 것이다.
현재 외과용 가운(일명:서지칼 가운)은 통상 수술실에서 입게 되는데 특히 가운의 외피가 피부 등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토록 접혀진 상태에서 내피를 잡고 펼쳐서 양팔을 팔부에 끼워서 입게 되고 입은 이후에 뒷면부가 좌측면과 우측면이 중첩될 수 있게 개구되어진 상태에서 좌측면의 절개변과 우측면의 내측면에 각각 구비되어진 1차 묶음끈으로 좌측면이 우측면의 내측으로 가도록 하면서 뒷면부의 내측에서 1차 묶어준후 우측면의 절개변에 구비된 또 다른 끈과 전면부에 구비된 대응끈으로 2차 묶음끈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럴 경우에 통상 풀림방지를 위하여 견고하게 1차 및 2차 묶음끈을 견고하게 묶어주기 때문에 수술 등을 한 이후에는 외과용의 가운을 벗을 경우에는 착용자(의료인)가 묶어진 것을 풀지 않고 혼자 스스로 벗어서 뒤집어 수거통에 버리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는 수술과정에서 환자의 혈액이나 점액들이 가운의 전면부나 팔부에 묻어 있는 상태에서 최소한으로 의료인과 접촉하지 않토록 하기 위한 것인데 이러한 외과용 가운을 끈을 사용해 상기와 같이 1,2차로 견고하게 묶은 상태에서 가운을 벗을 경우에는 외과용의 가운이 뒤집어 지도록 하여 수거통에 버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위하여 외과용의 가운에 구비되는 묶음끈을 사용하여 묶을 경우에는 외과용 가운의 본체와 분리됨을 방지하고, 외과용의 가운을 벗을 경우에만 끈이 묶여진 상태에서 끈이 가운 본체와 자연적인 분리가 가능토록 해야 하는 가공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끈을 가운 본체에 부착할 경우에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묶음끈의 어느 하나는 좌측면의 절개변의 내측면에 점착되면서 노출되게 연장되고, 다른 하나는 우측면의 내측면의 옆구리부분에서 접착되어 연장되어져 좌측면이 우측면의 아래에 위치된 상태에서 1차 묶음토록 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면의 절개변의 외측면에 어느 하나의 묶음끈이 접착되어지면서 연장되고, 다른 하나는 전면부의 겨드랑이 부근에 지그재그로 점착되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따라서 2차 묶음을 위하여 우측면의 절개변에서 연장된 묶음끈과 전면부의 지그재그로 점착되어진 묶음근으로 묶음토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점착된 상태에서 외과용 가운을 벗을 경우에는 외력이 작용하면서 묶음끈의 반대방향으로 힘이 전달되면서 묶음끈의 점착된 반대방향으로 끈이 당김되면서 점착된 부분에 외력이 전달되면서 외과용 가운의 본체와 끈이 분리되어져 묶음끈을 풀지않으면서도 벗어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묶음끈을 한번 묶은 이후에는 조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고, 또한 보관을 위하여 일정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점착력의 변화에 의한 임의적인 분리가능성과 외력이 전달되어도 분리되지 않은 문제점이 존재하게 되고,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점착된 부분에 초음파 접착을 가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 분리가능토록 하기 위한 초음파 접착의 정밀성이 요구되어 가공에 어려움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묶음을 위한 끈을 사용치 아니하고 가운을 입고 긴밀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탈의할 경우에 간단하게 탈의가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방식을 조작은 물론 제조도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뒷면을 형성하는 좌측면의 외측면에는 암벌크로파스너를 길게 구비하고, 우측면의 내측면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제1 숫벌크로파스너와 그 직전방으로는 이격되어지게 제2 숫벌크로파스너를 가능하면 절개변에 근접하게 구비토록 한 것이다.
또한 좌측면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암벌크로파스너의 일단에는 당김끈을 연장되게 구비토록하여 노출토록 함으로서 탈의를 할 경우에 연장끈의 당김에 의하여 암벌크로파스너가 간단하게 가운본체와 박리되어지면서 탈의도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암벌크로파스너만을 좌우로 길게 구비토록 한 상태에서 우측면의 대응되는 동일선상의 내측면에는 절첩가능하게 손잡이가 구비되는 제1 숫벌크로파스너를 구비토록 하여 서로 탈착가능하게 구비하고, 그 상태에서 우측면의 외측면에는 절개변에 일단이 고정되게 구비되는 끈을 일정길이로 연장되게 구비토록 하고, 이러한 연장선상으로는 전면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부위에는 포켓이 구비되는 고정체를 탈착가능하게 구비하여 상기 끈의 선단을 포켓에 관통되게 끼움토록 하여 외과용가운의 착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상기 포켓은 끈의 진행방향과 좌우로 관통되어 지도록 하거나 또는 지그재그로 관통되게 하거나 또는 교차되게 관통토록 하여 끈의 임의적인 빠짐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끈의 선단에는 빳빳함을 제공하면서 친환경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종이제로 구비토록 하여 외과용의 가운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체의 포켓에 삽입이 용이토록 하면서 관통된 이후에는 자체중량으로 하향되면서 임의적인 빠짐이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종이제로 이루어진 끈의 선단이 삽입되어 끼임되어지는 포켓의 입구를출구보다 확관되게 구비하고, 종이제로 이루어진 선단에는 일방향으로만 진행가능하게 다수의 요철부를 형성토록 함으로서 끈을 짧게 구비하면서 한번 삽입한 이후에는 임의적인 빠짐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고정체에 포켓을 교차되게 형성하여 종이제로 이루어진 끈의 선단이 관통된 상태에서 임의적인 빠짐을 방지토록 하고, 이러한 포켓에 끈의 선단이 교차할 경우에는 2중으로 층을 구비토록 하여 교차되는 끈의 간섭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묶음끈을 가운본체에 구비하지 않게 되면서 끈 묶음작업이 불필요하게 되고, 끈이 하방으로 쳐짐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텍이 불필요하게 됨은 물론 반복적인 탈착의 가능성으로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 착용감도 우수하게 할 수 있는 것이고, 탈의할 경우에도 당김끈이나 고정체만을 외력으로 간단하게 분리하면서 탈의도 가능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끈을 가운본체에 한 가닥만 구비토록 하여 제조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되고, 끈을 묶지 않게 되면서 허리에 감아지도록 하여 착용감도 우수하게 될 수 있어 보수적인 경향을 갖는 의료인에게도 만족감을 제공토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뒷면부의 좌측면의 외측면과 우측면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각각의 벌크로파스너의 장착상태의 일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좌측면에 구비되는 암벌크로파스너에 당김끈이 구비되어 져 당김에 의하여 분리되어짐을 나타낸 일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숫벌크로파스너에 손잡이가 구비되어진 상태의 일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숫벌크로파스너가 가운본체에 보강천에 의하여 덧대어진 상태의 일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우측면에 밴드형의 끈이 구비되어진 상태의 일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끈이 본체와 선단으로 구비되는 상태의 일실시예.
도 7의 a,b는 본 발명의 끈에 요철부가 각각 구비된 상태의 일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체의 포켓에 끈이 끼워진 상태의 일실시예
도9a 내지 도9d는 본 발명의 고정체에 포켓이 구비되는 다양한 일실시예
도10은 종래 1차 묶음끈의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예
도11은 종래 2차 묶음근의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는 막힌 전면부와 좌측면과 우측면이 서로 중첩되게 개구되어진 뒷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뒷면부의 경계를 형성하는 상단좌우에는 팔부가 구비되어지는 가운본체에 있어서, 상기 가운본체의 뒷면부를 형성하는 좌측면의 외측면에는 일정폭을 갖는 암벌크로파스너를 좌우로 길게 구비하고, 상기 암벌크로파스너에 탈착가능하게 우측면의 내측면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제1 숫벌크로파스너와 그 직전방으로는 제1 숫벌크로파스너와 이격되어지게 제2 숫벌크로파스너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막힌 전면부와 좌측면과 우측면이 서로 중첩되게 개구되어진 뒷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뒷면부의 경계를 형성하는 상단좌우에는 팔부가 구비되어지는 가운본체에 있어서, 상기 뒷면부를 형성하는 좌측면의 외측면에는 암벌크로파스너를 길게 구비하고, 우측면의 내측면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숫벌크로파스너가 구비되어 암벌크로파스너와 탈착되어지고, 상기 우측면의 외측면에는 끈의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끈의 선단이 끼움되어지게 전면부에는 좌우로 관통되게 입구와 출구가 구비되는 포켓이 구비되어지는 고정체가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살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막힌 전면부(110)와 좌측면(121)과 우측면(122)이 서로 중첩되게 개구되어진 뒷면부(120)와 상기 전면부(110)와 뒷면부(120)의 경계를 형성하는 상단좌우에는 팔부(130)가 구비되어지는 가운본체(100)와 상기 가운본체(100)의 뒷면부(120)를 형성하는 좌측면(121)의 외측면(121a)에는 일정한 폭으로 이루어진 암벌크로파스너(10)를 좌우로 길게 구비하고, 이때 가능하면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옆구리부근까지 연장토록 하고, 우측면(122)의 내측면(122a)에는 내측으로 일측에 가운본체와 접착되지 않은 손잡이(21)가 구비되는 제1 숫벌크로파스너(20)와 그 직전방으로는 제1숫벌크로파스너(20)와 이격되어지게 제2 숫벌크로파스너(30)를 구비토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암벌크로파스너(10)를 일정한 폭으로 좌우로 길게 구비되는 것은 뒷면부(120)의 좌측면(121)이 내측에 위치되면서 우측면(122)이 상측으로 중첩되면서 가운본체(100)를 착용자가 착용할 경우에 착용자(의료인)의 체형에 따라 긴밀한 착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암벌크로파스너(1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숫벌크로파스너(20)는 우측면(122)이 좌측면의 상측으로 중첩될 경우에 상하 유동되어지는 점을 감안하여 좌우로 연장되는 암벌크로파스너(10)와 직교하는 방향인 상하로 길게 구비되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암벌크로파스너(10)의 일단은 좌측면(121)의 절개변(121b)이 형성된 부근에서 이격공간(a)을 형성하며 출발하여 옆구리부위까지 길게 연장토록 하고, 제2숫벌크로파스너(30)는 우측면(122)의 내측면(122a)의 절개변(122b)에 근접하게 구비됨으로서 착용한 상태에서 긴밀한 착용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1 숫벌크로파스너(20)에는 암벌크로파스너(10)와 견고한 부착이 가능하면서 착용자의 체형에 맞게 반복적인 탈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또는 착용시 반복적인 탈부착을 용의토록 하기 위하여 제1숫벌크로파스너(20)가 위치되는 일측으로 가운본체(100)와 접착되지 않으면서 절첩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21)를 구비토록 하여 손잡이(21)를 잡고 제1 숫벌크로파스너(20)를 암벌크로파스너(10)와 간단하게 반복적으로 탈부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손잡이(21)는 조작의 용이성을 위하여 암벌크로파스너(10)가 좌우로 길게 장착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토록 함으로서 탈착의 용이성을 제공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가운본체(100)와 동일한 재질로 사용함으로서 재활용도 용이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상기 손잡이(21)는 손잡이(21)의 당김에 의하여 제1 숫벌크로파스너(20)가 가운본체(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숫벌크로파스너(20)의 외측에 일정한 폭과 길이로 접착면(22)을 형성하면서 손잡이(21)를 구비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접착면(22)은 상하로 구비되는 제1숫벌크로파스너(2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토록 하여 손잡이(21)를 당김시에도 제1숫벌크로파스너(20)에 외력이 전달되지 않토록 한 것이다.
또한 제1숫벌크로파스너와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동일선상에 위치되어지는 제2숫벌크로파스너(30)는 가운본체(100)에 보강천(31)을 덧댄 상태에서 부착토록 함으로서 가운본체(100)에 견고한 부착이 가능하게 될 수 있는 것이고 동시에 가운본체(100)의 틋어짐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숫벌크로파스너(30)도 제1숫벌크로파스너와 동일하게 암벌크로파스너(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하길이로 구비토록 함으로서 암벌크로파스너와의 탈부착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좌측면(121)의 외측면(121a)에 좌우로 길게 구비되는 암벌크로파스너(10)에는 후단으로 연장되게 당김끈(11)을 암벌크로파스너와 봉재수단등에 의하여 일체로 연장되게 구비토록 하여 외과용 가운(100)을 벗을 경우에 당김끈(11)의 당김에 의하여 암벌크로파스너(10)가 가운본체(100)에서 점착되어져 있다가 분리되어지면서 결국 우측면에 구비된 제1,2숫벌크로파스너(20,30)가 암벌크로파스너와 접착되어있어서 간단하게 탈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5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우측면(122)의 외측면(122b)에는 일정한 폭과 길이로 끈의 선단(31)이 구비되는 일정폭을 갖는 밴드형의 끈(40)의 일단이 고정되게 구비되고, 가운본체(100)의 전면부(110)에는, 끈의 선단(41)이 일방향으로 끼움되어 관통가능하게 입구(51a)와 출구(51b)가 관통되게 구비되는 포켓(51)이 구비되어지는, 고정체(50)가 가운본체(100)와 외력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고정체(50)가 가운본체(100)와 분리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는 외력이 전달되면 분리되어지는 점착제로 접착되어지거나 초음파에 의하여 외력에 의하여 분리가능하게 융착고정되는 것이고, 분리시 분리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고정체(50)의 일측변으로는 손가락으로 잡고 당길 수 있도록 절첩가능한 슬리브(52)가 형성되는 것이고, 이러한 슬리브(52)는 미끄럼도 방지토록 논 슬리브수단(52a)이 구비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체(50)는 가운 본체(100)에 포켓(51)을 구비할 경우에 일정면적의 덧댐천(1)을 사용하여 초음파에 의한 점선의 형태로 접착라인(53)을 상하변으로 형성하면서 이러한 접착라인(53)은 외력에 의하여 틋어짐이 가능하게 초음파 접착하여 그 사이에 포켓(51)을 구비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또 다른 방식으로는 메인시트(2)에 덧댐천(1)을 슬리브(52)를 제외한 폭으로 중첩토록 한 후 초음파 접착에 의하여 접착라인(43)을 형성하면서 포켓(41)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시트(2)를 외과용 가운의 본체(100)에 점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포켓(51)에 형성되는 입구(51a)를 오발형의 개구홀로 형성하면서 상기 개구홀은 포켓(51)의 일단에서 이격공간(a)을 형성하면서 형성하여 끈의 선단(41)의 진입의 용이성과 진입된 이후에 찢어짐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메인시트(2)에 덧댐천(1)을 사용하여 포켓(51)을 형성할 경우에는 접착라인(53)을 포켓(51)이 형성되는 전방에도 형성토록 하여 오발형인 개구홀로 이루어진 입구(51a)에 끈의 선단(41)을 진입시킬 경우에 포켓(51)의 유동이 방지되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고, 포켓(51)이 메인시트(2)에 견고한 고정력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접착라인(53)이 형성되는 상변으로는 손잡이로 사용가능한 일정면적을 형성하는 절첩가능한 슬리브(52)를 가운본체(100)와 분리되게 형성토록 하여 고정체(50)를 분리할 경우에 즉 가운(100)을 착용한 이후에 탈의를 할 경우에 고정체(50)를 가운본체(100)와 분리가 용이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이때 포켓(51)이 가운본체(100)에 덧댐천(1)만으로 형성할 경우 초음파에 의한 접착라인(53)은 외력으로 쉽게 틋어짐이 발생될 수 있게 접착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때에도 슬리브가 형성되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슬리브(52)가 구비되는 고정체(50)는 가운본체(100)와 동일한 재질로 사용함으로서 재활용도 용이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띠의 선단(41)은 종이제로 사용하여 종이제의 빳빳함을 활용한 것으로 덧댐천(1)이 부직포로 가공되어지는 포켓(51)의 입구(51a)로 끼움이 용이토록 하면서 출구(51b)로의 관통조작도 용이토록 하면서도 1회용으로 사용시 폐기할 경우에 분리수거의 용이성과 친환경을 고려한 것이다.
그러나 만일 종이제 선단과 동일한 효능을 발휘하는 다른 재질을 사용할 경우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종이제 선단이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해서는 아니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끈(40)의 길이는 허리를 감아줄 정도의 길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종이제로 이루어진 끈의 선단(41)이 상기 포켓(51)에 끼움되어지면서 관통되는 것이다.
또한 종이제로 이루어진 끈의 선단(41)의 길이는 최소 포켓(51)의 입구(51a)와 출구(51b)를 관통한 상태에서 당김이 가능토록 할 수 잇는 길이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고, 끈의 본체(42)는 종이제로 이루어진 끈의 선단(41)이 빠져나온 이후에 접혀짐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끈의 본체(42)가 유연성으로 인하여 종이제로 이루어진 끈의 선단(41)이 포켓(51)을 관통한 상태에서 거의 직각으로 졉혀져 끈의 선단(41)을 형성하는 종이제의 하중에 의하여 포켓(51)의 출구(51b)에서 빠져나와 접혀진 상태에서 하방으로 향하게 되어 포켓(51)의 입구(51a)에서 출구(51b)를 관통하여 끼워진 끈(40)이 포켓에서 임의적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9a내지 도9d는 본 발명의 고정체(50)에 포켓(51)이 구현되는 다양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켓(51)을 고정체(50)의 상하 2열로 구비토록 하여 종이제로 이루어진 끈의 선단(41)을 상기 복수층으로 형성된 포켓(51)에 지그재그로 삽입토록 함으로서 끈(40)이 임의적으로 빠짐을 방지토록 할 수 잇는 것이다.
이때 포켓(51)의 손상방지와 끼움의 조작용이성을 위하여 각각의 포켓(51)의 입구(51a)는 오발형의 개구홀로 개구토록 하고 개구홀의 위치는 고정체(50)의 내측에 이격공간(a)을 형성하여 구비토록 함으로서 끈(40)의 선단(41)의 진입의 용이성과 진입시 찢어짐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도9b는 포켓이 관통되어지는 출구를 종이제로 이루어진 끈의 선단의 폭보다 좁게 형성토록 하여 종이제가 구부러지면서 삽입토록 하고, 상기 종이제로 이루어진 선단에는 상하변으로 전방으로는 경사면(43a)이 형성되고 후방으로는 단턱면(43b)이 형성되는, 요철부(43)를 형성토록 함으로서 포켓(41)의 입구(41a)로 삽입이 용이토록 하면서 한번 삽입한 이후에는 단턱면(43b)에 의하여 포켓(51)의 출구(51b)에 빠져나가면서 걸림되어져 임의적인 빠짐을 방지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끈의 본체(42)에도 요철부(43)를 형성할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발생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이때 끈(40)은 가능하면 다층으로 중첩된 것을 사용함으로서 어느정도의 보강이 이루어진 상태로 구현토록 하는 것이 좋은 것이다.
또한 포켓(51)의 입구(51a)를 출구(51b)보다 넓게 형성토록 한 후 입구(51a)에서 출구(51b)로 가면서 접차 좁아지는 형태로 구현토록 함으로서 포켓(51)의 입구로 종이제 선단(41)의 삽입의 용이성을 제공하면서 출구(51b)로 빠져나간 끈의 선단(41) 또는 끈의 본체(42)의 단턱면(43b)에 의하여 걸림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끈의 본체(42)의 상하변으로 다단으로 요철부(43)를 형성토록 할 경우에는 이러한 요철부(43)에 의하여 출구(51b)를 빠져나간 이후에 직각으로 접혀짐도 용이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에도 포켓(51)의 입구로 끈의 선단(41)이 진입이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포켓(51)을 형성할 경우에 덧대어지는 천(1)의 입구를 만곡되게 절개토록 함으로서 용이하게 진입이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9c는 고정체(50)에 형성되는 포켓(51)을 끈(40)이 좌우 상하로 교차되며 관통될 수 있게 형성하여 종이제로 이루어진 끈의 선단(41)이 포켓(51)에 삽입된 상태에서 교차되게 삽입됨으로 한번 삽입된 이후에는 임의적인 빠짐을 완벽하게 방지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포켓(51)을 형성할 경우에 고정체(50)를 가운 본체(100)에 4변을 갖는 덧대어지는 천(1)만을 덧대어 상기 덧대여진 천(1)의 사각형의 모서리만을 초음파 접착고정 함으로서 좌우 상하로 포켓(51)의 입구(51a)와 출구(51b)를 각각 형성하여 끈(40)이 교차되게 관통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도9d는 포켓(51)에 끈(40)의 좌우 상하로 관통되게 교차할 경우에는 교차되는 끈(40)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토록 한 것으로, 고정체(50)를 메인시트(2)에 덧대어지는 천(1)을 2중(1,1a)으로 구비토록 하는 것으로, 우선 2중의 덧댐천(1,1a)을 중첩토록 한 후 수직의 포켓(51-1)을 형성하면서 수직의 접착라인(53-1)을 형성하고, 이때 외측에 덧댐천(1a)는 내측에 덧댐천(1)보다 면적이 작은 것을 사용하여 내측의 덧댐천(1)에 여유공간(1-1)을 구비토록 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내측에 덧댐천(1-1)의 일측에는 오발형의 개구홀로 가공되는 입구(51a)를 구현토록 하는 것이다.
그후 내측의 덧댐천(1)의 여유공간(1-1)에는 초음파 접착에 의한 상하변의 수평접착라인(53-2)에 의하여 메인시트(2)와 접착하여 수평의 포켓(51-2)을 구비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그후 메인시트(2)와 접착된 상태에서 수평의 접착라인(53-2)의 외측은 절단하여 제거토록 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점착제를 사용하여 메인시트(2)를 가운본체(100)에 점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수평포켓(51-2)과 수직포켓(51-1)에 끈(40)이 교차되게 삽입되어 관통될 경우에 끈(40)의 간섭을 방지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수직진입방향을 갖는 수직포켓(51-1)의 입구는 수평포켓(51-2)을 형성하는 것과 단이지게 가이드면(54)을 구비토록 하여 가이드면(54)을 통하여 수직포켓(51-1)의 입구(51a)로 끈의 선단(41)의 삽입이 용이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이때 입구(51a)에 만곡면(51a-1)으로 가공토록 함으로서 삽입의 용이성을 제공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조립 구조는 하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끈이 교차할 경우에 간섭되지 않토록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7)

  1. 막힌 전면부와 좌측면과 우측면이 서로 중첩되게 개구되어진 뒷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뒷면부의 경계를 형성하는 상단좌우에는 팔부가 구비되어지는 가운본체에 있어서,
    상기 가운본체의 뒷면부를 형성하는 좌측면의 외측면에는 일정폭을 갖는 암벌크로파스너를 좌우로 길게 구비하고,
    상기 암벌크로파스너에 탈착가능하게 우측면의 내측면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제1 숫벌크로파스너와 그 직전방으로는 제1 숫벌크로파스너와 이격되어지게 제2 숫벌크로파스너를 구비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가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로 구비되는 암벌크로파스너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숫벌크로파스너는 우측면이 좌측면에 중첩될 경우에 상하 유동되어지는 점을 감안하여 암벌크로파스너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하 길이로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가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숫벌크로파스너에 구비되는 손잡이는 암벌크로파스너와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암벌크로파스너의 방향과 동일선상으로 돌출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가운.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가운본체와 동일한 재질로 사용하고, 손잡이의 당김에 의하여 제1 숫벌크로파스너가 가운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숫벌크로파스너의 외측에 일정한 접착면에 의하여 접착되어 연장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가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숫벌크로파스너는 보강천을 가운본체에 덧댄 상태에서 부착토록 하고,
    상기 제2 숫벌크로파스너도 암벌크로파스너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하길이로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가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면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암벌크로파스너의 일단에는 당김끈을 봉재수단등에 의하여 일체로 연장되게 구비토록하여 전면부의 옆구리 족으로 노출되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가운.
  7. 막힌 전면부와 좌측면과 우측면이 서로 중첩되게 개구되어진 뒷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뒷면부의 경계를 형성하는 상단좌우에는 팔부가 구비되어지는 가운본체에 있어서,
    상기 뒷면부(120)를 형성하는 좌측면(121)의 외측면(121a)에는 암벌크로파스너(10)를 길게 구비하고, 우측면(122)의 내측면(122a)에는 손잡이(21)가 구비되는 숫벌크로파스너(20)가 구비되어 암벌크로파스너와 탈착되어지고,
    상기 우측면의 외측면에는 끈의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끈의 선단이 끼움되어지게 전면부에는 좌우로 관통되게 입구와 출구가 구비되는 포켓이 구비되어지는 고정체가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가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길게 구비되는 암벌크로파스너(10)와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숫벌크로파스너(20)는 가운본체의 뒷면부의 우측면이 상하 유동되어지는 점을 감안하여 암벌크로파스너(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하로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가운.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잇어서,
    상기 숫벌크로파스너(20)와 손잡이의 사이에는 암벌크로파스너(10)와 탈착될 경우에 암벌크로파스너(10)의 접착된 부분의 손상방지를 위하여 손잡이가 형성된 바향으로 접착면이 더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가운.
  10. 제9항에 잇어서,
    상기 끈의 선단은 포켓의 입구로 삽입이 용이하게 종이제로 이루어지고 종이제로 이루어진 선단의 중량에 의하여 출구를 관통한 이후에 하방으로 쳐짐이 발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가운.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일측변에는 분리의 용이성을 위하여 슬리브가 가운본체와 이격되어지게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가운.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을 상하 2열로 구비토록 하여 종이제로 이루어진 끈의 선단을 지그재그로 삽입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가운.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의 입구를 출구보다 확관토록 하고, 끈의 선단에는 경사면과 단턱면이 연속되게 요철면을 구비토록 하여 경사면에 의하여 출구를 가압되면서 빠져나가면서 출구를 빠져나간 이후에는 단턱면이 걸림되면서 임의적으로 빠져나감을 방지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가운.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되어지는 포켓을 좌우 상하로 교차되게 형성하기 위하여 가운본체에 덧댐천의 4개의 모서리부분을 초음파로 외력에 의하여 분리가 가능하게 접착하여 고정한 후 끈의 선단이 포켓에 교차되게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가운.
  15. 제7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되어지는 포켓이 교차할 경우에는 2중으로 덧댐천(1,1a)을 구비토록 하여 내측의 덧댐천(1)에는 여부공간을 확보하여 수직포켓을 구비토록 하고,
    상기 여유공간에는 메인시트와 수평의 접착라인을 형성하여 수평포켓을 구비토록 한 메인시트를 가운 본체에 점착고정토록 하여 끈의 선단이 교차할 경우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가운.
  16. 제15항에 잇어서,
    상기 수직포켓에 삽입되는 입구에는 여유공간에 의하여 가이드면을 구비토록 하여 끈의 선단의 삽입이 용이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가운.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의 입구는 이격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오발형의 개구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가운.
PCT/KR2021/015143 2020-10-26 2021-10-26 외과용 가운. WO2022092781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39783 2020-10-26
KR10-2020-0139784 2020-10-26
KR10-2020-0139783 2020-10-26
KR20200139784 2020-10-26
KR1020210144075A KR20220055442A (ko) 2020-10-26 2021-10-26 외과용 가운
KR1020210144076A KR20220055443A (ko) 2020-10-26 2021-10-26 외과용 가운
KR10-2021-0144075 2021-10-26
KR10-2021-0144076 2021-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2781A2 true WO2022092781A2 (ko) 2022-05-05
WO2022092781A3 WO2022092781A3 (ko) 2022-12-22

Family

ID=81382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5143 WO2022092781A2 (ko) 2020-10-26 2021-10-26 외과용 가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2092781A2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3293B2 (ja) * 1996-12-05 2002-08-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KR200421775Y1 (ko) * 2006-05-04 2006-07-14 주식회사 나선통상 모자를 내장한 탈착식 목도리
US7549179B1 (en) * 2008-02-15 2009-06-23 Amgad Samuel Saied Self-donning surgical gown
KR101365593B1 (ko) * 2012-05-29 2014-02-27 (주) 보광직물 착용이 용이한 수술가운
US20170325523A1 (en) * 2016-05-12 2017-11-16 Standard Textile Co., Inc. Front Opening Isolation Gown
KR101896437B1 (ko) * 2016-09-22 2018-09-07 (주)보광직물 방호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2781A3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172B2 (en) Isolation gown with quick waist and neck closures
US6564386B2 (en) Disposable surgical gown of back-closable type
US6049907A (en) Gown tie
US7181773B1 (en) Hospital gown
US4422186A (en) Hospital garment
US5142704A (en) Surgical hood
US4106120A (en) Reversible surgical gown
SK126796A3 (en) A pants-type absorbent article
US4255818A (en) Back opening surgical gown
US11452320B2 (en) Over-the-head disposable contact isolation gown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010091997A (ko) 팬츠형 착용 물품
WO2022092781A2 (ko) 외과용 가운.
KR20150100121A (ko) 방탄복
EP0507607A1 (en) Cuff assembly for protective garment
US4457024A (en) Disposable garment with card tunnel
WO2020145641A1 (ko) 고관절 및 무릎 슬개골 보호기능을 갖는 애견용 의류
US4451931A (en) Disposable garment with card tongue
JP3689864B2 (ja) 医療用防護具セット
US4371986A (en) Disposable garment
KR20220055443A (ko) 외과용 가운
US4369527A (en) Disposable garment with card loop
WO2022098176A1 (ko) 1회용 가운.
CA1171201A (en) Disposable garment with card pocket
WO2014123223A1 (ja) 医療用外衣
CN213370090U (zh) 一种一次性隔离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867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867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