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92562A1 -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92562A1
WO2022092562A1 PCT/KR2021/012550 KR2021012550W WO2022092562A1 WO 2022092562 A1 WO2022092562 A1 WO 2022092562A1 KR 2021012550 W KR2021012550 W KR 2021012550W WO 2022092562 A1 WO2022092562 A1 WO 202209256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moking
sidestream smoke
temperature sensor
removal devic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255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한승규
김재현
김태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US17/802,33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000149A1/en
Priority to CN202180013328.5A priority patent/CN115052491A/zh
Priority to EP21886556.6A priority patent/EP4074196B1/en
Priority to JP2022542793A priority patent/JP2023512173A/ja
Publication of WO202209256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9256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02Cigar or cigarette holders
    • A24F13/08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special devices, e.g. spikes or grippers, for holding the cigars or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02Cigar or cigarette holders
    • A24F13/04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arrangements for cleaning or cooling the smok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02Cigar or cigarette holders
    • A24F13/04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arrangements for cleaning or cooling the smoke
    • A24F13/06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arrangements for cleaning or cooling the smoke with smok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02Cigar or cigarette holders
    • A24F13/14Protecting cas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18Extinguishers for cigars or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24Cigar cutters, slitters, or perforators, e.g. combined with lighters
    • A24F13/26Cigar cutters, slitters, or perforators, e.g. combined with lighters formed as pocke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28Devices for blowing through ciga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26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arrangements for monitoring a plurality of temperatures, e.g. by multiplex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3/00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 G01K3/08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giving differences of values; giving differentiated values
    • G01K3/14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giving differences of values; giving differentiated values in respect of spac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22Supports for holding cigars or cigarettes while smoking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sidestream smok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sidestream smok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hich can promote ease of use and safety by automatically displaying information on smoking progress.
  • a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is a type of smoking aid typically having an enclosed smoking space and a sidestream smoke removal means therein. Users can smoke by inserting a cigarette into a smoking space inside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 users may perform operations such as opening the smoking space or removing and reinserting the cigarette during smoking.
  • the risk of fire may increase rapidly.
  •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through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removing sidestream smoke that can promote convenience and safety by automatically displaying information on smoking progres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includes a housing having a smoking space formed therein, and an opening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housing to insert a smoking article into the smoking space
  • An article inserting unit forming a portion, an ignition unit for igniting a smoking article inserted into the smoking space, a sidestream smoke processing unit for treating sidestream smoke generated from the smoking article inserted into the smoking space, and the temperature of the smoking article inserted into the smoking space
  • a temperature sensor that measures can
  • the temperature sensor is arranged to measure a temperature near the downstream end of the smoking material part constituting the inserted smoking article,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quit smoking based o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 the temperature sensor includes a first temperature sensor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smoking space, and the controller includes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based on the smoking progress may be monitored.
  •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ar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moking article, and the controller compares the measured temperatures of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to proceed with smoking. The degree may be monitored, and information on the smoking progress level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 the temperature sensor has an elongated body and is dispos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ed smoking article, wherein a first portion of the elongate body is a first corresponding portion of a smoking material portion constituting the smoking article.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elongate body is configured to measure a temperature of a second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smoking material por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measure a temperature of the smoking material portion based o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You can monitor the progress.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smoking progress level through the display unit, but to change the length of the display indicating the smoking progress level or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as smoking progresses.
  • a vent hole through which outside air is introduced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 the housing has a vent hole through which outside air is introduced
  • the sidestream smoke processing unit includes an exhaust fan that exhausts the sidestream smoke through rotation
  • the control unit smokes based on the measured temperature. End of smoking may be detected, and the vent hole may be closed and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fan may be stopped in response to detecting the end of smoking.
  • an apparatus for removing sidestream smoke having a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and information on smoking progress may be automatically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unit. Accordingly, the user can directly check the smoking progress without manipulating the devic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use.
  • smoking progress can be easily monitored without an additional monitoring module.
  • a puff event may be easily monitored by measuring a change in temperature
  • a current smoking position of the smoking article may be easily monitored by comparing the temperatures measured by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 vent hole and the exhaust fan may be appropriate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moking progress, and accordingly, the user's smoking satisfaction may be improved.
  •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function may be performed as the end of smoking is detected. Accordingly, the risk of fire and burns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can be minimized.
  • FIG. 1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sidestream smoke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S. 2 to 6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7 is an exemplary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sidestream smok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8 is an exemplary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sidestream smoke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9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current smoking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0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smoking progress display metho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a "smoking article” means any product capable of smoking, whether based on tobacco, tobacco derivatives, expanded tobacco, reconstituted tobacco or tobacco substitutes. or any product capable of providing a smoking experience.
  • smoking articles may include smokeable articles such as cigarettes, cigars, and cigarillos.
  • a “smoking material” may mean a material that generates smoke and/or aerosol or is used for smoking.
  • the smoking material may comprise tobacco material.
  • tobacco material may include, for example, tobacco leaf pieces, tobacco stems or materials processed therefrom, and the like.
  • the tobacco material may include pulverized tobacco leaves, pulverized reconstituted tobacco, expanded cut grass, expanded stems and platelets, and the lik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upstream or upstream direction means a direction away from the user's bend
  • downstream or downstream direction means a direction approaching from the user's bend. can do.
  • upstream and downstream may be used to describe the relative positions of elements constituting a smoking article.
  • the filter unit is positioned downstream or downstream of the smoking material unit, and the smoking material unit is located upstream or upstream of the filter unit.
  • longitudinal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moking article.
  • puff refers to inhalation of the user, and inhalation may refer to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s mouth or nose is drawn into the user's mouth, nasal cavity, or lungs. .
  • FIG. 1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sidestream smoke removal apparatus 1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drawings such as FIG. 1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moking article 30 is inserted.
  •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includes a housing 11 , an article insertion unit 12 , a back cover 13 , an insulating unit 14 , a temperature sensor 20 , and an ignition unit 15 . , it may include a side stream processing unit 16 , a mesh network 17 , a display unit 19 , and a control unit 18 .
  • a side stream processing unit 16 may include a side stream processing unit 16 , a mesh network 17 , a display unit 19 , and a control unit 18 .
  • FIG. 1 only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illustrated in FIG. 1 .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can see that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other than those shown in FIG. 1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al components (eg, the control unit 18, the display unit 19, etc.). Also,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may not b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 That is,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some of the illustrated components are omitted. 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will be described.
  • the housing 11 may form a smoking space inside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 and may form at least a part of an exterior of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
  • 1 shows the housing 11 as referring to the sidewall of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 the housing 11 includes an article inserting unit 12 , a back cover 13 and an insulating unit 14 . It may refer to all of the exterior forming structures.
  • the housing 11 may be preferably made of a solid material.
  • a vent hole 111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11 to smoothly introduce outside air into the smoking space.
  • the vent hole 111 may promote combustion of the smoking article 30 by allowing outside air to flow in during smoking. Accordingly, the smoking function of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may be greatly improved.
  • FIG. 1 illustrates that one vent hole 111 is formed in the housing 11 as an example, the number of the vent hole 111 may be plural.
  • the formation position, size, spacing, etc. of the vent hole 111 may be variously designed. Whether and/or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nt hole 111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7 later.
  • the article insertion part 12 is located at one end (e.g.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1, and may form an opening for the smoking article 30 to be inserted.
  • the user may insert the smoking article 30 into the smoking space in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through the article insertion unit 12 .
  • the article inserting part 12 is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 the article insertion unit 12 has a holder structure capable of holding the smoking article 30 .
  • the article inserting unit 1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ize of the opening can be adjusted.
  • the article inserting unit 1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opening can be tightened or loosely expanded through manual manipulation.
  • the article insert 12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tighten the opening to fit the smoking article 30 .
  • the article inserting unit 1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8, and the controller 18 detects that the smoking article 30 is inserted through a sensor or a user input (e.g. button push) is received. It may be controlled to tighten the opening of the article inserting unit 12 when the product is inserted.
  • the size of the opening is adjusted to fit the smoking article 30 , the shaking phenomenon of the smoking article 30 can be prevented and support stability can be improved. Furthermore, since smoking articles of various sizes can be inserted, the utility of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can be improved.
  • the smoking article 30 may be composed of a filter part located downstream and a smoking material part bordering the upstream end of the filter part.
  • the filter unit may include a filter material capable of filtering smoke
  • the smoking material unit may include a smoking material.
  • Examples of the smoking article 30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 combustion cigarette, and the smoking article 30 may include any article that generates sidestream smoke during smoking.
  • the back cover 13 may be located at the other end (e.g. lower end) of the housing 11 to function as a cover of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
  • a gas discharge passage may be formed in the back cover 13 so that the sidestream smoke treated (purified) through the sidestream smoke processing unit 16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a gas discharge passage such as a micro hole may be formed in the back cover 13 .
  • the heat insulating part 14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low thermal conductivity to block heat from being emitted from the inside of the smoking space to the outside.
  • the insulating part 14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 thereby preventing the risk of burns due to internal heat when the user's bod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e.g. when holding the device 1 for smoking) can play a role
  • the temperature sensor 20 may be disposed in the smoking space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smoking article 30 inserted into the smoking space.
  • the number, shape, arrangement position, arrangement interval, etc. of the temperature sensors 20 may be designed in various ways,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 a temperature sensor 20 may be arranged to measure a temperature near the downstream end of the smoking material portion. In this case, whether or not smoking is terminated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using only the temperature sensor 20 without an additional monitoring module, which can be understood as taking advantage of the fact that smoking is usually terminated when the smoking material part is completely burned.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e.g., when the current smoking position reaches the downstream end of the smoking material unit),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increases and then falls below the reference value. When it decreases (e.g. when the combustion power is weakened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smoking material part), it can be judged that smoking has ended.
  • the reference value e.g., when the current smoking position reaches the downstream end of the smoking material unit
  •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20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within the smoking space.
  •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20 - 1 and 20 - 2 may b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moking article 30 .
  •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20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 FIG. 2 illustrates that two temperature sensors 20-1 and 20-2 are disposed as an example, the number of temperature sensors 20 may be three or more. In this case,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temperature sensor 20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 the smoking progress e.g. smoking progress
  • various monitoring information can be obtained as follows.
  • the onset of smoking may be detected (determined) through a temperature sensor (e.g. 20-2) disposed near the upstream end of the smoking material portion.
  • the controller 18 may determine that smoking has started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sensor (e.g. 20-2)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 the smoking progress (e.g. current smoking (burning) position) of the smoking article 30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measured temperatures of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e.g. 20-1, 20-2)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e.g. 20-1, 20-2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20 are dispos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inserted smoking article 30 or disp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moking article 30 in the smoking space (e.g. at intervals of 90 degrees)
  • Four temperature sensors 20 can be arranged).
  • the degree of inclination (shaking) of the smoking article 30 may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measured temperatures of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20 .
  • the controller 18 may determine that the smoking article 30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the specific temperature sensor is inclined.
  • the controller 18 may determine that the inserted smoking article 30 is shaking.
  • a temperature sensor 20 having an elongated body may be disposed in a smoking space.
  • the elongated temperature sensor 20 may b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moking article 30 .
  • the first part of the elongated body can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rresponding part of the smoking material part constituting the smoking article 30, and the second part is the second part of the smoking material part. 2 It may be implement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corresponding part.
  • the specific implementation method may be any method.
  • the smoking progress may be monitored based o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a specific part of the elongated body.
  • the controller 18 may determine the smoking progress of the smoking article 30 by comparing the measured temperatures of each part of the elongated body.
  • the temperature sensor 20 may be disposed based on a combin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 ignition unit 15 may be disposed in the smoking space to ignite the smoking article 30 inserted into the smoking space.
  • the ignition unit 15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8 , and may provide an ignition function through manual operation of a user.
  • the number, shape, arrangement, etc. of the ignition units 15 may be designed in various ways,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 the ignition unit 15 may be disposed in a fixed position.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 the ignition unit 15 may be arranged to ignite the vicinity of the upstream end of the inserted smoking article 30 . In this case, the structure of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is simplified, and thus the defective rate during manufacturing can be minimized.
  • the ignition unit 15 may be designed and implemented to be movable. No matter what the specific implementation method may be, it is free.
  • the ignition unit 15 may be implemented to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user's manual operation or control of the controller 18 .
  • the control 18 may move the ignition 15 to the upstream end of the smoking article 30 in response to detecting the insertion of the smoking article 30 .
  •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can be universally applied to smoking articles of various lengths, so that the utility of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can be greatly improved.
  • the ignition unit 15 may be coupled to the elastic support unit 21 .
  • the elastic support part 21 is made of an elastic body that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and can perform a function of elastically supporting the upstream end of the inserted smoking article 30 .
  • the ignition part 1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stream end of the smoking article 30 and the elastic support part 21 is contracted by the insertion force to stably support the smoking article 30.
  • at least a portion of the ignition unit 15 may have a sharply protruding shape (e.g. needle shape) in the direction of the article insertion unit 12 .
  • smoking articles e.g. 30
  • various lengths e.g. L1
  • the sidestream smoke processing unit 16 may be disposed in the smoking space to perform various treatments on sidestream smoke generated from the inserted smoking article 30 .
  • the sidestream smoke processing unit 16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inserted smoking article 30 and the back cover 13 to perform a purifying function for sidestream smoke.
  • the sidestream smoke processing unit 16 may further perform an exhaust function so that the purified sidestream smoke is well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detailed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idestream smoke processing unit 16 may be designed in various ways,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 the sidestream smoke processing unit 16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lter structure 161 and an exhaust fan 162 .
  • the filter structure 161 may perform a function of purifying the sidestream smoke
  • the exhaust fan 162 may perform an exhaust function of the sidestream smoke.
  • the exhaust fan 162 may rotate to suck the sidestream smoke toward the filter structure 161 , and allow the sidestream smok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structure 161 to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fan 162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7 and the like.
  • the mesh network 17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idestream smoke processing unit 16 and the back cover 13 to serve as a safety net.
  • the mesh network 17 may prevent a specific object (eg, a part of the filter unit 161 , etc.) inside the smoking space from being sepa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back cover 13 .
  • the display unit 19 may be position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 to display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 .
  • the display unit 19 may display information on smoking progress, device information, smoking history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and the like.
  • the smoking progress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smoking progress information (e.g. all information related to smoking progress, such as smoking progress, current smoking location, number of puffs remaining, smoking time, remaining smoking time, etc.), puff information (e.g. puff) all information related to the puff event, such as the number of times, puff length, puff interval, puff strength, whether or not a puff is in progress,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evice informatio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information such as, for example, a power state, whether there is a failure, a battery state (eg, remaining battery level, whether charging is required, etc.).
  • the smoking history informatio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the cumulative number of cigarettes smoked.
  • the display unit 19 is provided with a visual display means such as an LED display, so that the various information can be visually displayed.
  • a visual display means such as an LED display
  • the specific display means may vary freely.
  • control unit 18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
  • the control unit 18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fan 162 ,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19 , and may also control the operation of other components included in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 can be controlled
  • the control unit 18 may determine the smoking progress of the smoking article 30 , and check the state of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to determine whether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is in an operable state can also be judged. A detailed operation method of the control unit 18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
  • the control unit 18 may be implemen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n array of a plurality of logic gates, 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a general-purpose microprocessor and a memory in which a program executable in the microprocessor is stored.
  • the control unit 18 may be implemented with other types of hardware.
  • control unit 18 shows the control unit 18 as being located outside the housing 11 of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this is only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control unit 18 may be changed. For example, in order to prevent a failure due to an external impact, the control unit 18 may be disposed at a specific position within the housing 11 .
  •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module for providing an audible and/or tactile output.
  •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a vibration module, and the like.
  • the control unit 18 may provid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o the user by further using the illustrated modules.
  • a support part 22 for supporting the side of the smoking article 30 inserted into the smoking space of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may be further disposed.
  •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22 may be disposed to support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point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point of the smoking article 30 .
  •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22 may be disp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moking article 30 (e.g. four support parts 22 dispos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and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 One support 22 may be disposed. As such, the number, arrangement, and shape of the support parts 22 may be design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ways.
  • a cutout 23 may be further disposed in the smoking space.
  • the cutting unit 23 cuts the burning smoking article 30 to prevent additional combustion, thereby providing a safe fire extinguishing function at the user's desired time, and the risk of burns (e.g. direct fire extinguishing) that may occur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The risk of burns due to carelessness) and fire risk can be minimized.
  •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cutting unit 23 may be designed in various ways.
  • the cutout 23 may be configured to be disposed in a fixed position to cut a specific portion of the inserted smoking article 30 .
  • the cutting unit 23 may be fixedly disposed at a position capable of cutting between the filter unit and the smoking material unit. In this case, a safe fire extinguishing function can be ensured regardless of the current smoking (combustion) position of the smoking article 30 , and the structure of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can be simplified.
  • the cutout 23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 the cutting unit 23 may be configured to be moved by an external force (manual operation) of the user, or may be configured to be mov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 .
  • the cutting unit 23 may be automatically moved to the vicinity of the current smoking (burning) position of the smoking article 30 by the control unit 18 . A method for the control unit 18 to determine the current smoking (burning) position of the smoking article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
  • the cut-off part 23 is an operation of a user pressing a push-type button (not shown)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 , an operation of twisting the housing 11 , and extending the housing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ternatively, it may be operated by a contracting operation or the like.
  • the cutting part 23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mechanically interlocked with the housing 11 to be operated by the exemplified operations, and the controller 18 operates the cutting part 23 by the exemplified operations it might be
  •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apparatus 1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
  • the smoking progress can be monitored without an additional monitoring module. can be easily monitored.
  • the convenience of use and safety can be greatly improved.
  • control unit e.g. 18 of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e.g. 1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e.g. 18 of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e.g. 1 .
  • each step of the control method may be implemented with one or more instructions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 the control method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sidestream smoke removal apparatus, but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 control method is performed in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apparatus 1 illustrated in FIGS. 1 to 6 and the description will be continued.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the subject of a specific operation is omitted,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8 of the exemplified apparatus 1 .
  • FIG. 7 is an exemplary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this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ome steps may be added or deleted as needed.
  • control method may be started in step S10 of detecting the start of smoking.
  • step S10 There may be various ways to detect the start of smoking in this step.
  • control unit 18 may detect the start of smoking through a user input (eg, a button input, etc.) for operating the ignition unit 15 .
  • controller 18 may recognize the start of smoking through a user input requesting to start smoking (eg, a button input, etc.) and operate the ignition unit 15 .
  • the controller 18 may detect the start of smoking in response to determining that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 the temperature sensor 20 may be, for example, arrang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near the upstream end of the smoking article 30 in the smoking space.
  • step S20 in response to detecting the start of smoking, the control unit 18 may open the vent hole 111 (e.g. partially open, all open). This is because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vent hole 111 can promote combustion of the smoking article 30 . Also, the controller 18 may operate the exhaust fan 162 . This is because sidestream smoke generated during smoking can be smoothly exhausted as the exhaust fan 162 operates.
  • the controller 18 may control the vent hole 111 and the exhaust fan 162 based on the user's puff event while smoking.
  • the specific control method may be various.
  • the controller 18 may adjust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nt hole 111 based on the puff event.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8 may open the vent hole 111 more during puffing and less open the vent hole 111 during non-puffing. In this case, outside air flows more smoothly during puff, so that combustion of the smoking article 30 can be further promoted. In addition, the problem of leaking of unpurified sidestream smoke through the vent hole 111 during non-puffing can be alleviated. For reference, since a lot of sidestream smoke is not generated during puffing and an airflow path through which gas flows through the vent hole 111 is formed, a problem of sidestream smoke leaking may not occur even if the vent hole 111 is opened.
  • the controller 18 may operate (rotate) the exhaust fan 162 in a reverse direction during puffing and may operate (rotate) the exhaust fan 162 in a forward direction during non-puff.
  • the forward direction may mean a rotational direction in which the sidestream smoke is sucked toward the filter structure 161
  • the reverse direction may mean an opposite rotational direction.
  • the airflow is concentrated toward the upstream end of the smoking article 30 to promote combustion, and during non-puffing, sidestream smoke is sucked in the direction of the filter structure 161 so that the sidestream smoke can be smoothly exhausted.
  • the controller 18 may control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nt hole 111 and/o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xhaust fan 162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puff event (e.g. puff strength, puff interval, puff length, etc.) can be adjusted. For example, when the strength of the puff increases, the length of the puff increases, or the interval between the puffs decreases, the control unit 18 may further open the vent hole 111 . In the opposite case, the control unit 18 may open the vent hole 111 less. This is because the puff strength is highly likely to increase when the smoking article 30 is not smoothly burned.
  • information about the puff event e.g. puff strength, puff interval, puff length, etc.
  • the control unit 18 may increase the rotation speed of the exhaust fan 162 (ie, the rotation speed in the reverse direction) during puffing. . In the opposite case, the controller 18 may reduce the rotation speed of the exhaust fan 162 .
  • control unit 18 may perform control based on a combination of the above-described examples.
  • the method in which the control unit 18 detects the puff may be various.
  • the controller 18 may detect the puff based on a change in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
  • the controller 18 may recognize that the puff has occurred. This may be understood as using a phenomenon in which combustion is accelerated at the upstream end of the smoking article 30 during puffing.
  • the controller 18 may determine the puff strength based on the degree of temperature change.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 may determine that the greater the temperature change, the stronger the puff strength, and the smaller the temperature change, the weaker the puff strength is.
  • step S30 the control unit 18 may detect the end of smoking.
  • the manner in which the control unit 18 detects the end of smoking may vary, which may vary according to embodiments.
  • control unit 18 may detect termination of smoking based o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
  • the temperature sensor 20 may be disposed near the downstream end of the smoking material part of the smoking article 30 , for example. For example,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sensor 2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or the measured temperature increases and then decreases, the controller 18 may determine that smoking has ended.
  • control unit 18 may detect the end of smoking based on the elapsed time since the start of smoking, a puff event, or the like.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 may determine that smoking has ended when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from the start of smoking, when the number of puff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or when puffs are not sensed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a recent puff.
  • a smoking termination condition may be set.
  • the smoking cessation condition may be set based on the number of puffs and the elapsed time of smoking.
  • the control unit 18 may determine quitting smoking in response to the preset smoking termination condition being satisfied.
  • step S40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of smoking cessation, the control unit 18 may perform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function.
  • the control unit 18 may perform various ways in which the control unit 18 performs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function.
  • the controller 18 may close the vent hole 111 and stop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fan 162 . In this case, since the inflow of outside air is stopped by closing the vent hole 111 , the smoking article 30 can be naturally digested due to lack of oxygen.
  • the controller 18 may close the vent hole 111 and stop or continuously operate the exhaust fan 162 after operating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is case, the inflow of outside air is stopped by closing the vent hole 111 , and the inside air is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fan 162 , so that the smoking article 30 can be naturally extinguished.
  • control unit 18 may also perform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function by operating the cutting unit 23 .
  • control unit 18 may perform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function based on a combin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 control unit 18 may include a first fire extinguishing process for closing the vent hole 111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fan 162 , and a second fire extinguishing process for cutting the inserted smoking article 30 through the cutting unit 23 .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function through In this case, the first fire extinguishing process and the second fire extinguis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irrespective of the order.
  • the controller 18 may operate the exhaust fan 162 in the forward direction (ie, in the sucking direc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in response to detecting the end of smoking.
  • smoking by-products such as tobacco ash are collected near the filter structure 161 by the exhaust fan 162 , so that the internal cleaning of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can be made more easily.
  • the controller 18 may adjust the rotation speed of the exhaust fan 162 based on the degree of exhaustion of the smoking article 30 . For example, since there will be more by-products when the smoking article 30 is completely exhausted, the controller 18 may rotate the exhaust fan 162 faster, and vice versa.
  • the degree of exhaustion of the smoking article 30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puffs, the elapsed smoking time, the current smoking position (refer to FIG. 9 ), and the like.
  • the vent hole 111 and the exhaust fan 162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moking progress, so that the user's satisfaction with the device can be improved.
  • the risk of fire and burns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can be minimized.
  • FIG. 8 is an exemplary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this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ome steps may be added or deleted as needed.
  • the control method may be started in step S110 of detecting the start of smoking.
  • the control unit 18 may display an indication indicating the start of smoking through the display unit 19 .
  • step S10 illustrated in FIG. 7 refer to step S10 illustrated in FIG. 7 .
  • the control unit 18 may monitor the smoking progress.
  • the smoking progress status may include all smoking-related situations, such as a smoking progress level and a puff event.
  • the controller 18 accurately determines the smoking progress (or current smoking (burning) position) of the smoking article 30 by comparing the measured temperatures of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20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can judg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 it is assumed that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20 - 1 , 20 - 2 , and 20 - 3 are disposed in the smoking space inside the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n, the control unit 18 compares the measured temperatures of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20-1,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20-2, and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20-3, and the current smoking of the smoking article 30 is performed. Location and smoking progress can be determined.
  •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20-1 is the lowest
  •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20-2 is lower than that of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20-3
  •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20-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3) is the highest, the controller 18 determines that the current smoking position of the smoking article 30 is between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20-2 and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20-3, and 3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is closer to the temperature sensor 20-3.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8 may determine that the great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20-2 and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20-3, the closer to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20-3.
  • step S130 the control unit 18 may display monitoring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19 .
  • the type of monitoring information and a specific display method thereof may be designed in various ways.
  • the control unit 18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smoking progress through the display unit 19 .
  • the control unit 18 displays a display (e.g. a cigarette-shaped object) indicating the smoking article 30 (or the smoking progress), but the display unit 19 so that the length of the display decreases as smoking progresses. ) can be controlled.
  • the control unit 18 displays a display area (e.g. LED lighting area/section) indicating the smoking progress level through the display unit 19, but as smoking progresses, the display The display unit 19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size of the area (e.g. the number of LED lighting areas/sections) is changed. In this case, as smoking progresses,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may increase or decrease.
  • control unit 18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puff event through the display unit 19 .
  • the control unit 18 may display the number of puffs.
  • the control unit 18 may display an indication indicating that the puff is in progress.
  • step S140 the control unit 18 may detect the end of smoking.
  • the control unit 18 may display an indication indicating the end of smoking through the display unit 19 .
  • step S40 illustrated in FIG. 7 .
  • control unit 18 performs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function, and may display an indication indicating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through the display unit 19, or wh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is completed, an indication indicating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completion may be displayed.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for example, a removable recording medium (CD, DVD, Blu-ray disk, USB storage device, removable hard disk) or a fixed recording medium (ROM, RAM, computer-equipped hard disk).
  • the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ransmitted to another computing device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installed in the other computing device, thereby being used in the other comput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Manufacturing Of Cigar And Cigarette Tobacco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제공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부류연 제거 장치는, 내부에 흡연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흡연 공간 내에 삽입된 흡연물품을 점화하는 점화부, 흡연 공간 내에 삽입된 흡연물품에서 발생되는 부류연을 처리하는 부류연처리부, 흡연 공간 내에 삽입된 흡연물품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 및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흡연물품에 대한 흡연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류연 제거 장치는 사용자에게 일련의 흡연 진행 상황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 편의성과 안전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본 개시는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흡연 진행 상황에 관한 정보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 편의성과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류연 제거 장치는 통상적으로 내부에 밀폐된 흡연 공간과 부류연 제거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일종의 흡연 보조 기구이다. 사용자들은 부류연 제거 장치 내부의 흡연 공간에 궐련을 삽입하여 흡연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부류연 제거 장치는 손냄새 저감, 부류연(sidestream smoke) 제거(정화) 등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는 반면, 내부의 흡연 공간에서 흡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치의 사용자들이 흡연 진행 상황을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가령, 사용자들은 점화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흡연 종료 시점에 거의 도달하였는지 등을 확인하기 어렵다.
또한, 때로는, 흡연 진행 상황을 직접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들이 흡연 공간을 개방하거나, 궐련을 제거했다가 다시 삽입하는 등의 조작을 흡연 중에 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조작들이 궐련의 연소 중에 이루어지면 화상과 화재의 위험성이 급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흡연 진행 상황에 관한 정보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 편의성과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부류연 제거 장치는, 내부에 흡연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흡연 공간으로 흡연물품이 삽입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하고 있는 물품삽입부, 상기 흡연 공간 내에 삽입된 흡연물품을 점화하는 점화부, 상기 흡연 공간 내에 삽입된 흡연물품에서 발생되는 부류연을 처리하는 부류연처리부, 상기 흡연 공간 내에 삽입된 흡연물품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흡연물품에 대한 흡연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삽입된 흡연물품을 구성하는 흡연물질부의 하류 말단 부근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 온도에 기초하여 흡연 종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흡연 공간 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1 온도센서와 제2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 및 상기 제2 온도센서의 측정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흡연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온도센서와 상기 제2 온도센서는 상기 흡연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 및 상기 제2 온도센서의 측정 온도를 비교하여 흡연 진행 정도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흡연 진행 정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온도센서는 세장형 바디를 갖고, 상기 삽입된 흡연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세장형 바디의 제1 부분은 상기 흡연물품을 구성하는 흡연물질부의 제1 대응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세장형 바디의 제2 부분은 상기 흡연물질부의 제2 대응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의 측정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흡연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부는 흡연 진행 정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되, 흡연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흡연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의 길이 또는 표시 영역의 크기가 달라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우징에는 외기가 유입되는 벤트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우징에는 외기가 유입되는 벤트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류연처리부는 회전을 통해 상기 부류연이 배기되도록 하는 배기팬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흡연 종료를 감지하고, 상기 흡연 종료가 감지됨에 응답하여 상기 벤트홀을 폐쇄하고 상기 배기팬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부류연 제거 장치가 제공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흡연 진행 상황에 관한 정보가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장치에 대한 조작 없이도 흡연 진행 상황을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과 안전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흡연 공간 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온도센서를 이용하거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세장형의 온도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추가적인 모니터링 모듈 없이도 흡연 진행 상황이 용이하게 모니터링될 수 있다. 가령, 온도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퍼프 이벤트가 용이하게 모니터링될 수 있고, 복수의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를 비교함으로써 흡연물품의 현재 흡연 위치도 용이하게 모니터링될 수 있다.
또한, 흡연 진행 상황에 따라 벤트홀과 배기팬이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흡연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흡연의 종료가 감지됨에 따라 자동 소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화재 위험성과 화상 위험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부류연 제거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부류연 제거 장치의 다양한 변형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부류연 제거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부류연 제거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현재 흡연 위치 판단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진행 정도 디스플레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먼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몇몇 용어들에 대하여 명확하게 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흡연물품"(smoking article)이란, 담배, 담배 파생물, 팽화처리 담배(expanded tobacco), 재생 담배(reconstituted tobacco) 또는 담배 대용물에 기반하느냐에 상관 없이 흡연 가능한 임의의 제품 또는 흡연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제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물품은 궐련, 엽궐련(cigar) 및 작은 엽궐련(cigarillo) 등 같은 흡연 가능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흡연 물질"(smoking material)이란, 연기(smoke) 및/또는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키거나 흡연에 이용되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 물질은 담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담배 물질은 예를 들어 담배 잎 조각, 담배 줄기 또는 이들로부터 가공된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써, 담배 물질은 분쇄된 담배의 잎, 분1쇄된 재생 담배, 팽화각초, 팽화주맥 및 판상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상류"(upstream) 또는 "상류 방향"은 사용자의 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류"(downstream) 또는 "하류 방향"은 사용자의 구부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류 및 하류라는 용어는 흡연물품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상대적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등에 예시된 흡연물품(30)에서, 필터부는 흡연물질부의 하류 또는 하류 방향에 위치하고, 흡연물질부는 필터부의 상류 또는 상류 방향에 위치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은 흡연물품의 길이 방향 축에 상응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퍼프(puff)"는 사용자의 흡입(inhalation)을 의미하며, 흡입이란 사용자의 입이나 코를 통해 사용자의 구강 내, 비강 내 또는 폐로 끌어 당기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부류연 제거 장치(1)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특히, 도 1 등의 도면은 흡연물품(30)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류연 제거 장치(1)는 하우징(11), 물품삽입부(12), 백커버(13), 단열부(14), 온도센서(20), 점화부(15), 부류연처리부(16), 메쉬망(17), 디스플레이부(19) 및 제어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는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개시가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류연 제거 장치(1)는 전기적 구성요소(e.g. 제어부 18, 디스플레이부 19 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부류연 제거 장치(1)의 필수적인 구성요소가 아닐 수도 있다. 즉, 부류연 제거 장치(1)는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생략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부류연 제거 장치(1)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우징(11)은 부류연 제거 장치(1)의 내부에 흡연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부류연 제거 장치(1)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하우징(11)이 부류연 제거 장치(1)의 측벽을 지칭하는 것처럼 도시하고 있으나, 하우징(11)은 물품삽입부(12), 백커버(13) 및 단열부(14)를 포함하는 외관 형성 구조물 전부를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다. 부류연 제거 장치(1)의 내구성을 보장하고 파손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우징(11)은 견고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흡연 공간 내로 외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11)에 벤트홀(1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벤트홀(111)은 흡연 중에 외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흡연물품(30)의 연소를 촉진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부류연 제거 장치(1)의 흡연 기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하우징(11)에 1개의 벤트홀(1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로써 도시하고 있으나, 벤트홀(111)의 개수는 복수개일 수도 있다. 또한, 벤트홀(111)의 형성 위치, 크기, 간격 등도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벤트홀(111)의 개폐 여부 및/또는 개폐 정도는 제어부(18)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추후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물품삽입부(12)는 하우징(11)의 일단(e.g. 상단)에 위치하며, 흡연물품(30)이 삽입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물품삽입부(12)를 통해 부류연 제거 장치(1) 내의 흡연 공간으로 흡연물품(30)을 삽입할 수 있다. 흡연 공간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물품삽입부(12)는 단열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삽입된 흡연물품(3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품삽입부(12)는 흡연물품(30)을 잡아줄 수 있는 홀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물품삽입부(12)가 개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삽입부(12)는 수동 조작을 통해 개구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확장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물품삽입부(12)는 흡연물품(30)에 맞게 자동으로 개구를 조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물품삽입부(12)가 제어부(18)에 의해 제어되고, 제어부(18)가 센서를 통해 흡연물품(30)이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거나 사용자 입력(e.g. 버튼 푸시)이 수신될 때 물품삽입부(12)의 개구를 조이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개구의 크기가 흡연물품(30)에 맞게 조절됨으로써 흡연물품(30)의 흔들림 현상이 방지되고 지지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다양한 크기의 흡연물품이 삽입될 수 있게 되어, 부류연 제거 장치(1)의 활용성도 향상될 수 있다.
흡연물품(30)은 하류에 위치한 필터부와 필터부의 상류 말단과 접경하는 흡연물질부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흡연물품(30)의 세부 구조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필터부는 연기를 여과할 수 있는 필터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흡연물질부는 흡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흡연물품(30)의 예로는 연소형 궐련을 들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흡연물품(30)은 흡연 시에 부류연이 발생되는 임의의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백커버(13)는 하우징(11)의 타단(e.g. 하단)에 위치하여 부류연 제거 장치(1)의 커버로 기능할 수 있다. 부류연 처리부(16)를 통해 처리된(정화된) 부류연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백커버(13)에는 기체 배출 통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커버(13)에는 미세홀 등과 같은 기체 배출 통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단열부(14)는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로 이루어져 흡연 공간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단열부(14)는 하우징(11)의 외면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가 부류연 제거 장치(1)와 닿을 때(e.g. 흡연을 위해 장치 1을 파지하는 경우) 내부 열에 의한 화상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온도센서(20)는 흡연 공간 내에 배치되어 흡연 공간 내에 삽입된 흡연물품(3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센서(20)의 개수, 형상, 배치 위치, 배치 간격 등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20)가 흡연물질부의 하류 말단 부근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추가적인 모니터링 모듈 없이 온도센서(20)만을 이용하여 흡연의 종료 여부가 정확하게 판단될 수 있는데, 이는 통상적으로 흡연물질부가 완전히 연소된 경우에 흡연이 종료되는 점을 이용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8)는 온도센서(20)의 측정 온도가 기준치 이상이거나(e.g. 현재 흡연 위치가 흡연물질부 하류 말단에 도달한 경우), 온도센서(20)의 측정 온도가 증가하다가 기준치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e.g. 흡연물질부의 하류 말단에서 연소력이 약해지는 경우)에 흡연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복수개의 온도센서(20)가 흡연 공간 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가령,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온도센서(20-1, 20-2)가 흡연물품(3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복수개의 온도센서(20)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2개의 온도센서(20-1, 20-2)가 배치된 것을 예로써 도시하고 있으나, 온도센서(20)의 개수는 3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이때, 온도센서(20)의 배치 간격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온도센서(20)가 이용되면, 흡연 진행 상황(e.g. 흡연 진행 정도)이 보다 정확하게 모니터링될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이 다양한 모니터링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흡연물질부의 상류 말단 부근에 배치된 온도센서(e.g. 20-2)를 통해 흡연의 시작이 감지(판단)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8)는 상기 온도센서(e.g. 20-2)의 측정 온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흡연이 시작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온도센서(e.g. 20-1, 20-2)의 측정 온도를 비교하여 흡연물품(30)의 흡연 진행 정도(e.g. 현재 흡연(연소) 위치)가 판단될 수 있다. 본 예에 대해서는 추후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몇몇 예들에서, 복수개의 온도센서(20)가 삽입된 흡연물품(30)의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거나, 흡연 공간 내에서 흡연물품(30)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e.g. 90도 간격으로 4개의 온도센서 20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온도센서(20)의 측정 온도를 비교하여 흡연물품(30)의 기울어짐(흔들림) 정도가 판단될 수 있다. 가령, 특정 온도센서의 측정 온도가 다른 온도센서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18)는 상기 특정 온도센서 방향으로 삽입된 흡연물품(30)이 기울어져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온도센서(20)의 측정 온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변동되는 경우, 제어부(18)는 삽입된 흡연물품(30)이 흔들리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세장형의 바디를 갖는 온도센서(20)가 흡연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가령,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의 온도센서(20)가 흡연물품(3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온도센서(20)는 세장형 바디의 제1 부분이 흡연물품(30)을 구성하는 흡연물질부의 제1 대응 부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제2 부분이 흡연물질부의 제2 대응 부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어떠한 방식이 되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세장형 바디의 특정 부분의 측정 온도에 기초하여 흡연 진행 상황이 모니터링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8)는 상기 세장형 바디의 각 부분의 측정 온도를 비교하여 흡연물품(30)의 흡연 진행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온도센서(20)가 배치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점화부(15)는 흡연 공간 내에 배치되어 흡연 공간 내로 삽입된 흡연물품(30)을 점화할 수 있다. 점화부(15)는 제어부(18)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사용자의 수동 조작을 통해 점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점화부(15)의 개수, 형상, 배치 형태 등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점화부(15)는 고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부(15)는 삽입된 흡연물품(30)의 상류 말단 부근을 점화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부류연 제거 장치(1)의 구조가 간소화되어, 제조 시의 불량률이 최소화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 점화부(15)는 이동 가능하도록 설계 및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어떻게 되더라도 무방하다. 가령, 점화부(15)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 또는 제어부(18)의 제어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몇몇 예에서는, 제어부(18)가 흡연물품(30)의 삽입을 감지함에 응답하여 점화부(15)를 흡연물품(30)의 상류 말단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부류연 제거 장치(1)가 다양한 길이의 흡연물품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되어, 부류연 제거 장치(1)의 활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부(15)가 탄성지지부(21)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탄성지지부(21)는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탄성체로 이루어져, 삽입된 흡연물품(30)의 상류 말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흡연물품(30)이 삽입됨에 따라 점화부(15)가 흡연물품(30)의 상류 말단에 밀착되고 탄성지지부(21)가 삽입력에 의해 수축되면서 흡연물품(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는, 점화부(15)의 적어도 일부가 물품삽입부(12) 방향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형상(e.g. 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흡연물품(30)이 삽입됨에 따라 점화부(15)가 흡연물품(30)의 상류 말단을 관통하게 되어 점화 시에 흡연물품(30)이 보다 강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안정성과 착화안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즉, 점화 시에 흡연물품(30)이 흔들려 점화가 잘 되지 않는 문제가 크게 완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탄성지지부(21)를 통해 다양한 길이(e.g. L1)의 흡연물품(e.g. 30)이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게 되므로, 부류연 제거 장치(1)의 활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부류연처리부(16)는 흡연 공간 내에 배치되어 삽입된 흡연물품(30)에서 발생되는 부류연에 대한 각종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류연처리부(16)는 삽입된 흡연물품(30)과 백커버(13) 사이에 위치하여 부류연에 대한 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부류연처리부(16)는 정화된 부류연이 외부로 잘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 기능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다만, 부류연처리부(16)의 세부 구조 및 동작 방식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부류연처리부(16)가 필터구조물(161)과 배기팬(162)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터구조물(161)은 부류연에 대한 정화 기능을 수행하고, 배기팬(162)은 부류연에 대한 배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배기팬(162)은 회전을 통해 부류연을 필터구조물(161) 쪽으로 빨아당기고, 필터구조물(161)을 통과한 부류연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배기팬(162)의 동작은 제어부(1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7 등의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메쉬망(17)은 부류연 처리부(16)와 백커버(13)의 사이에 배치되어 안전망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메쉬망(17)은 흡연 공간 내부의 특정 물체(e.g. 필터부 161의 일부 조각 등)가 백커버(13)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19)는 하우징(11)의 외면에 위치하여 제어부(18)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9)는 흡연 진행 상황에 관한 정보, 장치 정보, 흡연 이력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흡연 진행 상황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흡연 진행 정보(e.g. 흡연 진행 정도, 현재 흡연 위치, 잔여 퍼프 횟수, 흡연 시간, 잔여 흡연 시간 등과 같이 흡연 진행과 관련된 모든 정보), 퍼프 정보(e.g. 퍼프 횟수, 퍼프 길이, 퍼프 간격, 퍼프 강도, 퍼프 중인지 여부 등과 같이 퍼프 이벤트와 관련된 모든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치 정보는 예를 들어 전원 상태, 고장 여부, 배터리 상태(e.g. 배터리 잔량, 충전 필요 여부 등)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연 이력 정보는 누적 흡연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19)는 LED 디스플레이와 같이 시각적인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그 구체적인 디스플레이 수단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8)는 부류연 제거 장치(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는 배기팬(16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9)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부류연 제거 장치(1)에 포함된 다른 구성요소들의 동작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는 흡연물품(30)에 대한 흡연 진행 상황을 판단할 수 있고, 부류연 제거 장치(1)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부류연 제거 장치(1)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8)의 구체적인 동작 방법에 관하여서는 추후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8)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제어부(18)가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제어부(18)가 부류연 제거 장치(1)의 하우징(11) 외부에 위치한 것처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제어부(18)의 배치 위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가령, 외부 충격에 의한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18)는 하우징(11) 내의 특정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부류연 제거 장치(1)가 청각적 및/또는 촉각적인 출력을 제공하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류연 제거 장치(1)가 스피커, 진동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는 상기 예시된 모듈들을 더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류연 제거 장치(1)의 흡연 공간 내에 삽입된 흡연물품(30)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22)가 더 배치될 수 있다. 가령,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물품(30)의 제1 지점의 측면과 제2 지점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복수의 지지부(22)가 배치될 수 있다. 흡연물품(30)의 특정 지점을 지지하기 위해, 흡연물품(30)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의 지지부(22)가 배치(e.g. 90도 간격으로 4개의 지지부 22 배치)될 수도 있고,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개의 지지부(22)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22)의 개수, 배치 형태, 형상 등은 다양하게 설계 및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 공간 내에 절단부(23)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절단부(23)는 연소 중인 흡연물품(30)을 절단하여 추가적인 연소를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희망 시점에 안전한 소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화상 위험성(e.g. 직접 소화 시 부주의로 인한 화상 위험성)과 화재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절단부(23)의 구현 방식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절단부(23)는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삽입된 흡연물품(30)의 특정 부위를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령, 절단부(23)는 필터부와 흡연물질부의 사이를 절단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흡연물품(30)의 현재 흡연(연소) 위치에 관계없이 안전한 소화 기능을 보장될 수 있으며, 부류연 제거 장치(1)의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다.
다른 몇몇 예들에서, 절단부(23)는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령, 절단부(23)는 사용자의 외력(수동 조작)에 의해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어부(18)의 제어에 의해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절단부(23)는 제어부(18)에 의해 흡연물품(30)의 현재 흡연(연소) 위치 부근으로 자동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제어부(18)가 흡연물품(30)의 현재 흡연(연소) 위치를 판단하는 방식은 도 9의 설명 내용을 참조하도록 한다.
또한, 몇몇 예들에서, 절단부(23)는 사용자가 하우징(11) 외면에 구비된 푸시형 버튼(미도시)을 누르는 동작, 하우징(11)을 비트는 동작, 하우징(11)을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동작 등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절단부(23)는 상기 예시된 동작들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우징(11)과 기계적으로 연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예시된 동작들에 의해 제어부(18)가 절단부(23)를 작동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부류연 제거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흡연 공간 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온도센서(20)를 이용하거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세장형의 온도센서(20)를 이용함으로써, 추가적인 모니터링 모듈 없이도 흡연 진행 상황이 용이하게 모니터링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9)를 통해 흡연 진행 상황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 편의성과 안전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후술될 제어 방법의 각 단계는 부류연 제거 장치(e.g. 1)의 제어부(e.g. 1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방법의 각 단계는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다양한 유형의 부류연 제거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나,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6에 예시된 부류연 제거 장치(1)에서 수행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특정 동작의 주어가 생략된 경우, 상기 예시된 장치(1)의 제어부(18)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단, 이는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방법은 흡연의 시작을 감지하는 단계 S10에서 시작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흡연 시작을 감지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는 점화부(15)를 동작시키는 사용자 입력(e.g. 버튼 입력 등)을 통해 흡연의 시작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는 흡연 시작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e.g. 버튼 입력 등)을 통해 흡연의 시작을 인지하고 점화부(15)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는 온도센서(20)의 측정 온도가 기준치 이상이라는 판단에 응답하여 흡연의 시작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온도센서(20)는 예를 들어 흡연 공간 내에서 흡연물품(30)의 상류 말단 부근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단계 S20에서, 흡연의 시작이 감지됨에 응답하여, 제어부(18)는 벤트홀(111)을 개방(e.g. 일부 개방, 전부 개방)할 수 있다. 이는 벤트홀(111)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흡연물품(30)의 연소를 촉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어부(18)는 배기팬(162)을 가동시킬 수 있다. 이는 배기팬(162)이 동작함에 따라 흡연 중에 발생되는 부류연이 원활하게 배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부(18)는 흡연 중에 사용자의 퍼프 이벤트에 기초하여 벤트홀(111)과 배기팬(162)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그 구체적인 제어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제어부(18)는 퍼프 이벤트에 기초하여 벤트홀(111)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는 퍼프 시에 벤트홀(111)을 더 개방시키고, 비퍼프 시에 벤트홀(111)을 덜 개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퍼프 시에 보다 원활하게 외기가 유입되어 흡연물품(30)의 연소가 보다 촉진될 수 있다. 그리고, 비퍼프 시에 정화되지 않은 부류연이 벤트홀(111)을 통해 새어나가는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참고로, 퍼프 시에는 부류연이 많이 발생하지 않고 벤트홀(111)을 통해 기체가 유입되는 기류 패스가 형성되기 때문에, 벤트홀(111)이 개방되더라도 부류연이 새어나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몇몇 예들에서, 제어부(18)는 퍼프 시에 역방향으로 배기팬(162)을 동작(회전)시키고, 비퍼프 시에 정방향으로 배기팬(162)을 동작(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정방향은 부류연이 필터구조물(161) 쪽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회전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역방향은 그 반대의 회전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퍼프 시에 흡연물품(30)의 상류 말단 쪽으로 기류가 집중되어 연소가 촉진될 수 있고, 비퍼프 시에는 부류연이 필터구조물(161) 방향으로 흡입되어 부류연이 원활하게 배기될 수 있다.
또 다른 몇몇 예들에서, 제어부(18)는 퍼프 이벤트에 관한 정보(e.g. 퍼프 강도, 퍼프 간격, 퍼프 길이 등)에 기초하여 벤트홀(111)의 개폐 정도 및/또는 배기팬(162)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가령, 퍼프 강도가 증가하거나, 퍼프 길이가 길어지거나, 퍼프 간격이 짧아지는 경우, 제어부(18)는 벤트홀(111)을 더 개방시킬 수 있다. 반대의 경우라면, 제어부(18)는 벤트홀(111)을 덜 개방시킬 수 있다. 흡연물품(30)의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퍼프 강도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는, 퍼프 강도가 증가하거나, 퍼프 길이가 길어지거나, 퍼프 간격이 짧아지는 경우, 제어부(18)는 퍼프 시에 배기팬(162)의 회전 속도(즉, 역방향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의 경우라면, 제어부(18)는 배기팬(162)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몇몇 예들에서, 제어부(18)는 전술한 예시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앞선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가 퍼프를 감지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는 온도센서(20)에 의해 측정된 온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는 온도 변화 정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e.g. 흡연물품 30의 연소 온도가 순간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퍼프가 발생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는 퍼프 시에 흡연물품(30)의 상류 말단에서 연소가 가속화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는 온도 변화 정도에 기초하여 퍼프 강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가령, 제어부(18)는 온도 변화 정도가 클수록 퍼프 강도가 강하고, 온도 변화 정도가 작을수록 퍼프 강도가 약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0에서, 제어부(18)는 흡연의 종료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제어부(18)가 흡연 종료를 감지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는 온도센서(20)의 측정 온도에 기초하여 흡연의 종료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온도센서(20)는 예를 들어 흡연물품(30)의 흡연물질부 하류 말단 부근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가령, 제어부(18)는 온도센서(20)의 측정 온도가 기준치 이상이거나, 측정 온도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우, 흡연이 종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는 흡연 시작 후의 경과 시간, 퍼프 이벤트 등을 기초로 흡연의 종료를 감지할 수도 있다. 가령, 제어부(18)는 흡연 시작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퍼프횟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또는 최근 퍼프 후 일정 시간 이상 퍼프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흡연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흡연 종료 조건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가령, 퍼프횟수, 흡연 경과 시간 등에 기초하여 흡연 종료 조건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는 미리 설정된 흡연 종료 조건이 만족됨에 응답하여 흡연의 종료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40에서, 흡연 종료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8)는 자동 소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제어부(18)가 자동 소화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는 벤트홀(111)을 폐쇄하고 배기팬(162)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벤트홀(111) 폐쇄에 의해 외기의 유입이 중단됨으로써, 산소 부족에 의해 자연스럽게 흡연물품(30)이 소화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는 벤트홀(111)을 폐쇄하고 배기팬(162)을 일정 시간 동안 동작 후 정지시키거나 지속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벤트홀(111) 폐쇄에 의해 외기의 유입이 중단되고, 배기팬(162)을 통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기됨으로써 자연스럽게 흡연물품(30)이 소화될 수 있다.
또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는 절단부(23)를 동작시킴으로써 자동 소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자동 소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8)는 벤트홀(111)을 폐쇄하고 배기팬(162)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1 소화 프로세스와 삽입된 흡연물품(30)을 절단부(23)를 통해 절단하는 제2 소화 프로세스를 통해 자동 소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소화 프로세스와 제2 소화 프로세스는 순서에 관계 없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부(18)는 흡연 종료가 감지됨에 응답하여 일정 시간 동안 배기팬(162)을 정방향(즉, 빨아들이는 방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기팬(162)에 의해 담뱃재와 같은 흡연 부산물이 필터구조물(161) 부근에 모이게 되어, 부류연 제거 장치(1)의 내부 청소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는, 제어부(18)가 흡연물품(30)의 소진 정도에 기초하여 배기팬(162)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가령, 흡연물품(30)이 완전 소진된 경우에는 부산물이 더 많을 것이므로, 제어부(18)는 배기팬(162)을 더 빠르게 회전시킬 수 있고, 반대의 경우에는 더 느리게 회전시킬 수 있다. 흡연물품(30)의 소진 정도는 퍼프횟수, 흡연 경과 시간, 현재 흡연 위치(도 9 참조) 등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흡연 진행 상황에 따라 벤트홀(111)과 배기팬(162)이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흡연 종료 시 자동 소화 기능이 수행되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화재 위험성과 화상 위험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개시의 명료함을 위해, 도 7에 예시된 제어 방법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단, 이는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방법은 흡연의 시작을 감지하는 단계 S110에서 시작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제어부(18)는 흡연 시작을 알리는 표시를 디스플레이부(19)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본 단계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도 7에 예시된 단계 S10을 참조하도록 한다.
단계 S120에서, 제어부(18)는 흡연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흡연 진행 상황은 흡연 진행 정도, 퍼프 이벤트 등과 같이 흡연과 관련된 모든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온도센서(20)들의 측정 온도를 비교하여 흡연물품(30)의 흡연 진행 정도(또는 현재 흡연(연소)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온도센서(20-1, 20-2, 20-3)가 부류연 제거 장치(1) 내부의 흡연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제어부(18)는 제1 온도센서(20-1), 제2 온도센서(20-2) 및 제3 온도센서(20-3)의 측정 온도를 비교하여 흡연물품(30)의 현재 흡연 위치와 흡연 진행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가령, 제1 온도센서(20-1)의 측정 온도가 가장 낮고, 제2 온도센서(20-2)의 측정 온도가 제3 온도센서(20-3)보다 낮고, 제3 온도센서(20-3)의 측정 온도가 가장 높은 경우, 제어부(18)는 흡연물품(30)의 현재 흡연 위치가 제2 온도센서(20-2)와 제3 온도센서(20-3)의 사이에 있고, 제3 온도센서(20-3)에 더 가까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는 제2 온도센서(20-2)와 제3 온도센서(20-3) 간에 온도 차이가 클수록 제3 온도센서(20-3)에 더 많이 가까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제어부(18)는 디스플레이부(19)를 통해 모니터링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모니터링 정보의 종류와 그에 대한 구체적인 디스플레이 방식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는 흡연 진행 정도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9)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는 흡연물품(30)(또는 흡연 진행 정도)을 나타내는 표시(e.g. 궐련 형상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되, 흡연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표시의 길이가 감소하도록 디스플레이부(19)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는 흡연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 영역(e.g. LED 점등 영역/구간)을 디스플레이부(19)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되, 흡연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e.g. LED 점등 영역/구간의 개수)가 달라지도록 디스플레이부(19)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흡연이 진행됨에 따라 표시 영역의 크기는 증가할 수도 있고 감소할 수도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는 퍼프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9)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는 퍼프 횟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8)는 퍼프가 감지됨에 응답하여, 퍼프 중임을 나타내는 표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S140에서, 제어부(18)는 흡연의 종료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제어부(18)는 흡연 종료를 나타내는 표시를 디스플레이부(19)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본 단계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도 7에 예시된 단계 S40을 참조하도록 한다.
한편, 흡연 종료가 감지된 경우, 제어부(18)는 자동 소화 기능을 수행하며, 자동 소화를 나타내는 표시를 디스플레이부(19)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자동 소화가 완료된 경우 자동 소화 완료를 나타내는 표시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9)를 통해 흡연 진행 상황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9)를 통해 흡연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과 안전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중 적어도 일부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 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개시가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내부에 흡연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흡연 공간으로 흡연물품이 삽입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하고 있는 물품삽입부;
    상기 흡연 공간 내에 삽입된 흡연물품을 점화하는 점화부;
    상기 흡연 공간 내에 삽입된 흡연물품에서 발생되는 부류연을 처리하는 부류연처리부;
    상기 흡연 공간 내에 삽입된 흡연물품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흡연물품에 대한 흡연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부류연 제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삽입된 흡연물품을 구성하는 흡연물질부의 하류 말단 부근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 온도에 기초하여 흡연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부류연 제거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흡연 공간 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1 온도센서와 제2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 및 상기 제2 온도센서의 측정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흡연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부류연 제거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센서와 상기 제2 온도센서는 상기 흡연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 및 상기 제2 온도센서의 측정 온도를 비교하여 흡연 진행 정도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흡연 진행 정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부류연 제거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세장형 바디를 갖고, 상기 삽입된 흡연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세장형 바디의 제1 부분은 상기 흡연물품을 구성하는 흡연물질부의 제1 대응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세장형 바디의 제2 부분은 상기 흡연물질부의 제2 대응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의 측정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흡연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부류연 제거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흡연 진행 정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되, 흡연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흡연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의 길이 또는 표시 영역의 크기가 달라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부류연 제거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온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퍼프(puff)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퍼프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부류연 제거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외기가 유입되는 벤트홀이 형성되어 있는,
    부류연 제거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외기가 유입되는 벤트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류연처리부는 상기 부류연이 배기되도록 하는 배기팬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흡연 종료를 감지하고, 상기 흡연 종료가 감지됨에 응답하여 상기 벤트홀을 폐쇄하고 상기 배기팬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부류연 제거 장치.
PCT/KR2021/012550 2020-10-27 2021-09-15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2092562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802,337 US20230000149A1 (en) 2020-10-27 2021-09-15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2180013328.5A CN115052491A (zh) 2020-10-27 2021-09-15 侧流烟雾去除装置及其控制方法
EP21886556.6A EP4074196B1 (en) 2020-10-27 2021-09-15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same
JP2022542793A JP2023512173A (ja) 2020-10-27 2021-09-15 副流煙除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214A KR102547780B1 (ko) 2020-10-27 2020-10-27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20-0140214 2020-10-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2562A1 true WO2022092562A1 (ko) 2022-05-05

Family

ID=8138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2550 WO2022092562A1 (ko) 2020-10-27 2021-09-15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00149A1 (ko)
EP (1) EP4074196B1 (ko)
JP (1) JP2023512173A (ko)
KR (1) KR102547780B1 (ko)
CN (1) CN115052491A (ko)
WO (1) WO202209256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811B1 (ko) * 2017-01-03 2017-06-13 이승현 흡연용 보조기구
US20170325501A1 (en) * 2014-11-25 2017-11-16 Philip Morris Products S.A. Extinguisher package for a smoking article
KR20170130689A (ko) * 2016-05-19 2017-11-29 서성용 금연 유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담배 연기 제거기
KR20180085339A (ko) * 2017-01-18 2018-07-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사용 정보를 출력해주는 미세 입자 발생 장치
KR20200071393A (ko) * 2018-12-11 2020-06-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31051C1 (nl) * 2006-01-06 2007-07-09 Gidding Holding B V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filteren van tabaksrook.
CN108741225B (zh) * 2018-07-20 2023-11-07 苏州市彩衣真空科技有限公司 一种卧式香烟无尘抽烟净化器
US11134714B2 (en) 2018-11-15 2021-10-05 Smask, LLC Smoking filtra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25501A1 (en) * 2014-11-25 2017-11-16 Philip Morris Products S.A. Extinguisher package for a smoking article
KR20170130689A (ko) * 2016-05-19 2017-11-29 서성용 금연 유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담배 연기 제거기
KR101746811B1 (ko) * 2017-01-03 2017-06-13 이승현 흡연용 보조기구
KR20180085339A (ko) * 2017-01-18 2018-07-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사용 정보를 출력해주는 미세 입자 발생 장치
KR20200071393A (ko) * 2018-12-11 2020-06-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074196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282A (ko) 2022-05-06
US20230000149A1 (en) 2023-01-05
EP4074196B1 (en) 2024-04-03
CN115052491A (zh) 2022-09-13
EP4074196A1 (en) 2022-10-19
KR102547780B1 (ko) 2023-06-26
EP4074196A4 (en) 2022-12-07
JP2023512173A (ja) 202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71112A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2092561A1 (ko)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2092562A1 (ko)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2092563A1 (ko)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3022370A1 (ko)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3080561A1 (ko) 헤파 필터를 포함하는 부류연 제거 장치
WO2023080558A1 (ko) 플라즈마 이온 필터를 포함하는 부류연 제거 장치
WO2023080563A1 (ko) 활성탄 필터를 포함하는 부류연 제거 장치
JP3034204B2 (ja) 自動喫煙機のたばこの巻の着火不良検出装置
WO2023080554A1 (ko) 흡연 물품 인식부를 포함하는 부류연 제거 장치
KR102668540B1 (ko) 헤파 필터를 포함하는 부류연 제거 장치
KR102630396B1 (ko)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3034205B2 (ja) 自動喫煙機のライターハンドの交換装置
JP2588387B2 (ja) 集塵装置における初期消火方法
JPH08228749A (ja) 紙巻煙草の灰落ち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865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4279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865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715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