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80533A1 -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80533A1
WO2022080533A1 PCT/KR2020/014105 KR2020014105W WO2022080533A1 WO 2022080533 A1 WO2022080533 A1 WO 2022080533A1 KR 2020014105 W KR2020014105 W KR 2020014105W WO 2022080533 A1 WO2022080533 A1 WO 202208053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ectric field
elevator
distortion
potential
conductiv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410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허원무
이희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치엠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치엠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치엠엘리베이터
Priority to PCT/KR2020/01410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80533A1/ko
Priority to KR2020207000065U priority patent/KR20230001043U/ko
Publication of WO202208053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8053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5Proximity switches
    • H03K17/95Proximity switches using a magnetic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8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contact elevator calling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calling and opening/closing operations of an elevator by recognizing a user's hand motion without button manipulation by physical pressure.
  • an elevator that moves people or things in a vertical direction is installed in a building built for residential or business purposes.
  • a platform is provid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a hoistway is formed inside the buildi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 a platform call input button including an ascending and a descending button for a passenger to call the elevator is installed.
  • a call input button installed in a platform is a push button type operated only by a physical contact of a finger. Frequent use of these pushbuttons may cause elevator failure due to deterioration of contact switches.
  • the call input button is easily contaminated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infection by bacteria or viruses.
  • an antibacterial film is attached to the call input button and disinfected, but physical contact is unavoidabl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passenger to control the calling and opening/closing operation of an elevator without physical contact.
  • the elevator non-contact calling device includes a non-conductive substrate for setting a sensing area, a transmitting electrod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non-conductive substrate and receiving power to generate an electric field, and a corn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non-conductive substrate.
  • a motion recognition unit including a receiving electrode each installed to receive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from the transmitting electrode and a potential measuring unit measuring a potential of the receiving electrode, and a potential of the receiving electrode measured by the motion recognition unit in the sensing region 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distortion of the generated electric field.
  •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distortion of the electric field around the corresponding receiving electrode, detects the distortion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over time, and based on the distortion direction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hand movements.
  • the controller outputs a descending call signal of the elevator when the direction of the hand motion i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outputs a rising call signal of the elevator when the direction of the hand motion is from the bottom to the top.
  • control unit outputs a door open signal of the elevator when the direction of the hand motion is from left to right, and outputs a door closing signal of the elevator when the direction of the hand motion is from right to left.
  •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distortion of the electric field, but if the distortion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ime is not dete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of the elevator call signal.
  • the elevator non-contact calling device includes a non-conductive substrate for setting a sensing area, a transmitting electrod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non-conductive substrate and receiving power to generate an electric field, and installed at the corner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non-conductive substrate, respectively.
  • a motion recognition unit including a receiving electrode receiving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from the transmitting electrode and a potential measuring unit measuring the potential of the receiving electrode, an up button for calling an ascending direction of the elevator, and a lowering for calling a descending direction of the elevator
  • a call input button including a button, and by detecting the distortion of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in the sensing area from the potential of the receiving electrode measured by the motion recognition unit,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hand motion based on the distortion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over time
  • the control unit outputs a descending call signal of the elevator while turning on the LED of the down button if the direction of the hand motion is from top to bottom, and turns on the LED of the up button if the direction of the hand motion is from the bottom to the top while outputting the lift call signal while there is distortion of the electric field, but if the distortion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over time is not dete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call signal of the elevator is output without turning on the LED of the call input button do it with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passenger can call the elevator with only a hand gesture without pressing the call input button of the platform.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elevator non-contact ca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contactless ca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tion recogni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ectric field is emitted from the motion recogni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elevator non-contact pa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call input button 30 composed of a location display unit 10, an ascending button 31 and a descending button 33 is installed on the wall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elevator is operated. there is.
  • the elevator non-contact paging device includes a motion recognition unit 20 together with a position display unit 10 and a call input button 30 .
  • the motion recognition unit 20 is disposed between the position display unit 10 and the call input button 30 . That is, the position display unit 10 is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enclosure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elevator non-contact call device, the call input button 30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and the motion recognition unit 20 is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 the motion recognition unit 20 is included in the enclosure constituting the body, but may be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enclosure.
  • the position display unit 10 displays the current position and direction (rising or descending direction) of the elevator.
  • the call input button 30 detects the passenger's button operation.
  • the up button 31 is a button for calling the ascending direction of the elevator, and the down button 33 is a button for calling the descending direction of the elevator.
  • the call input button 30 indicates the direction ?
  • the gesture recognition unit 20 occupies a certain area, and a picture for guiding a hand gesture is displayed.
  • the passenger may control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calls of the elevator by bringing his or her finger close to the gesture recognition unit 20 and taking a hand gesture.
  • the call input button 30 is lit and the passenger can check whether the elevator is called up or down.
  • the motion recognition unit 2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 the operation recognition unit 20 may be disposed above the opening/closing button of the elevator door to occupy a certain area as shown in FIG. 1 . Similarly, when the passenger moves his finger from left to right within the area of the gesture recognition unit 20, an effect of pressing the door open button occurs, and when the passenger moves his finger from right to left, an effect of pressing the door close button occurs.
  • FIG 2 schematically show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levator contactless ca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vator non-contact call device includes a position display unit 10 , an electrode unit 21 , and a motion recognition unit 20 comprising an electrode unit 21 and a potential measuring unit 23 , and a call input button 30 . 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40 , a control unit 50 , and the like.
  • the motion recognition unit 20 generates and emits an electric field through the electrode unit 21 , and detects a change in the electric field by measuring the potential of the electrode unit 21 through the potential measuring unit 23 .
  • FIG. 3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de part of the motion recogni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an electric field is emitted from the electrode part of the motion recogni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ctrode unit 21 includes a non-conductive substrate 1 for setting a sensing area, a transmission (Tx) electrode 2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non-conductive substrate 1, and a non-conductive substrate ( 1) includes a plurality of receiving (Rx) electrodes 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 grounding member 4 disposed under the transmitting electrode 2 , and the like.
  • the receiving electrode 3 is disposed at each corn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non-conductive substrate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when the non-conductive substrate 1 has a rectangular structure, the receiving electrodes 3 may be arranged in the form of a strip or a bar at upper, lower, left, right (east, west, north, south) corners of the non-conductive substrate 1 .
  • a center electrode 7 may be selectively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non-conductive substrate 1 .
  • the center electrode 7 may be used to improve the object distance measurement accuracy in the sensing area or to implement a simple touch function.
  •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 field is emitted from above the electrode part 21, and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 field is distorted when a hand enters the sensing region where the electric field is emitted.
  • the transmitting electrode 2 of the electrode unit 21 generates and emits an electric field by 100 kHz AC power.
  • the electric field is generated by the electric charges and is distributed above the electrode part 21 .
  • the electric field is a space where an electric force is applied, and electric charges can be expressed as lines of electric force 5, which are virtual lines in the electric field.
  • the electric force lines 5 start from the transmitting electrode 2 and spread to the outside, and some of the electric force lines 5 enter the receiving electrode 3 .
  • the transmitting electrode 2 emits the electric field to the outside, and the receiving electrode 3 receives the electric field.
  • the electric field lines 5 connect the parts having the same potential, the equipotential lines 6 are formed.
  • the polarized charges move along the electric field of force in the electric field.
  • the user's hand is a conducting material, so the path of the electric charge changes. That is, the electric field is distorted as the electric field lines are deformed.
  • the receiving electrode 3 detects the distortion of the electric field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user's hand. At this time, when the user moves his/her hand within the electric field, the point where the electric field is distorted also moves.
  • the receiving electrode 3 may determine the movement path of the user's hand based on the distortion occurrence point of the electric field.
  • the potential measuring unit 23 measures the potential at the receiving electrode 3 of the electrode unit 21 and transmits the potential value to the control unit 50 .
  • the control unit 50 determines that the electric field is distorted in the vicinity of the corresponding receiving electrode.
  • the control unit 50 may detect a distortion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ime by continuously receiving a potential value from the potential measuring unit 23 , and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hand motion based on the distortion direction.
  • the control unit 50 outputs a descending call signal of the elevator when the direction of the hand motion i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outputs a rising call signal of the elevator when the direction of the hand motion is from the bottom to the top.
  • control unit 50 when the direction of the hand motion is recognized from top to bottom, the control unit 50 outputs a descending call signal of the elevator while turning on the LED of the down button. When turned on, an elevator call signal is output.
  • control unit 50 outputs a door open signal of the elevator when the direction of the hand motion is from left to right, and outputs a door closing signal of the elevator when the direction of the hand motion is from right to left.
  • the control unit 50 may output a call signal of the elevator.
  • the control unit 50 may output a call signal of the elevator in a state in which the LED of the call input button 30 is not turned on.
  • the elevator call signal is distinguished from the up call signal or the down call signal, and refers to a signal for calling the elevator to the current location in a state where the lift or lowering of the elevator is not determined.
  • the control unit 50 analyzes the potential value of the potential measurement unit 23 and outputs an elevator call signal based on the distortion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the communication unit 40 transmits the elevator call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panel (not shown). do.
  • the conventional push-button method may be concurrently used while controlling the elevator call and door opening/closing operation through the motion recognition unit 20 .
  • control unit 50 may determine whether the elevator call and door opening/closing operation are controlled through the push button method or the operation recognition method.
  • the control unit 50 may check the elevator control method and transmit data related to the elevator control method to the elevator monitoring device (not show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 whenever an elevator call or door opening/closing occurs.
  • the elevator monitoring device may analyze the passenger usage patterns and trends by processing data related to the elevator control method and stating the number of times of passenger contact and non-contact control.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used for non-contact control of devices or facilities operated by physical contact of multiple people, such as an elevator, a common entrance, and a door. Since the motion recogni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egrally mounted on the existing elevator calling device or installed as a separate additional device, various applications are po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리적인 압력에 의한 버튼 조작 없이 사용자의 손 동작을 인식하여 승강기의 호출 및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는 감지 영역을 설정하는 비전도성 기판, 상기 비전도성 기판의 저면에 설치되고 전원을 인가 받아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전극, 상기 비전도성 기판의 상면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송신 전극에서 발생된 전기장을 수신하는 수신 전극 및 상기 수신 전극의 전위를 측정하는 전위 측정부를 포함하는 동작 인식부와, 상기 동작 인식부에서 측정한 수신 전극의 전위로부터 상기 감지 영역 안에서 발생된 전기장의 왜곡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
본 발명은 물리적인 압력에 의한 버튼 조작 없이 사용자의 손 동작을 인식하여 승강기의 호출 및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또는 업무용으로 지어진 건물에는 사람이나 물건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승강기)가 설치되어 있다.
건물의 각 층에는 승강장이 구비되어 있고 건물 내부에는 수직방향을 따라 승강로가 형성되어 엘리베이터가 승강로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 승강장에서 탑승하는 승객을 목적층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는 건물의 각 층 승강장에는 승객이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는 상승 및 하강 버튼을 포함하는 승강장 호출 입력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종래에 승강장에 설치되는 호출 입력버튼은 손가락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서만 동작되는 푸시버튼 방식이다. 이러한 푸시버튼을 빈번하게 사용하게 되면 접점 스위치의 열화로 인해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불특정 다수인이 손으로 접촉하여 작동시키므로 호출 입력버튼에 오염이 쉽게 발생하고 세균이나 바이러스로 인해 전염병에 감염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호출 입력버튼에 항균 필름을 부착하고 소독하고 있으나 물리적 접촉은 피할 수 없다.
특히 병원이나 요양원 등과 같이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취약한 장소에서 불특정 다수인이 사용하는 승강기에서 발생하는 오염 및 바이러스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위생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이 물리적인 접촉 없이도 승강기의 호출 및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는 감지 영역을 설정하는 비전도성 기판, 상기 비전도성 기판의 저면에 설치되고 전원을 인가 받아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전극, 상기 비전도성 기판의 상면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송신 전극에서 발생된 전기장을 수신하는 수신 전극 및 상기 수신 전극의 전위를 측정하는 전위 측정부를 포함하는 동작 인식부와, 상기 동작 인식부에서 측정한 수신 전극의 전위로부터 상기 감지 영역 안에서 발생된 전기장의 왜곡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인식부로부터 입력된 수신 전극의 전위가 기본 전위보다 낮은 경우 해당 수신 전극 주변에서 전기장의 왜곡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시간에 따른 전기장의 왜곡 방향을 검출하여 왜곡 방향에 근거해 손 동작의 방향을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손 동작의 방향이 상에서 하 방향이면 승강기의 하강 호출 신호를 출력하고, 손 동작의 방향이 하에서 상 방향이면 승강기의 상승 호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손 동작의 방향이 좌에서 우 방향이면 승강기의 도어 열림 신호를 출력하고, 손 동작의 방향이 우에서 좌 방향이면 승강기의 도어 닫힘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전기장의 왜곡이 있으나 일정 시간 동안 시간에 따른 전기장의 왜곡 방향이 검출되지 않으면 승강기의 호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는 감지 영역을 설정하는 비전도성 기판, 상기 비전도성 기판의 저면에 설치되고 전원을 인가 받아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전극, 상기 비전도성 기판의 상면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송신 전극에서 발생된 전기장을 수신하는 수신 전극 및 상기 수신 전극의 전위를 측정하는 전위 측정부를 포함하는 동작 인식부와, 승강기의 상승 방향 호출을 위한 상승 버튼 및 승강기의 하강 방향 호출을 위한 하강 버튼을 포함하는 호출 입력 버튼과, 상기 동작 인식부에서 측정한 수신 전극의 전위로부터 상기 감지 영역 안에서 발생된 전기장의 왜곡을 검출하여 시간에 따른 전기장의 왜곡 방향에 근거해 손 동작의 방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손 동작의 방향이 상에서 하 방향이면 상기 하강 버튼의 LED를 온하면서 승강기의 하강 호출 신호를 출력하고, 손 동작의 방향이 하에서 상 방향이면 상기 상승 버튼의 LED를 온하면서 승강기의 상승 호출 신호를 출력하고, 전기장의 왜곡이 있으나 일정 시간 동안 시간에 따른 전기장의 왜곡 방향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호출 입력 버튼의 LED를 온하지 않은 상태에서 승강기의 호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승객이 승강장의 호출 입력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손 동작만으로 승강기를 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강기 내부에서도 도어 개폐 버튼을 누르지 않고 승강기의 도어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두 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와 같이 손으로 버튼을 누를 수 없는 상황에서 승강장의 호출 입력버튼에 신체 일부의 근접 상태를 유지하면 자동으로 승강기를 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인식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인식부에서 전기장이 방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이나 "…부" 또는 "…부재" 등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성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나 역할을 갖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지된 바와 같이 승강기가 운행되는 건물의 각 층 승강장 벽면에는 위치 표시부(10)와 상승 버튼(31) 및 하강 버튼(33)으로 구성되는 호출 입력버튼(30)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는 위치 표시부(10) 및 호출 입력 버튼(30)과 함께 동작 인식부(20)를 포함한다.
동작 인식부(20)는 위치 표시부(10)와 호출 입력 버튼(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외함의 상부에 위치 표시부(10)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호출 입력 버튼(30)이 배치되며, 중앙 부분에 동작 인식부(20)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작 인식부(20)가 몸체를 이루는 외함에 포함되어 있으나, 외함과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위치 표시부(10)는 승강기의 현재 위치 및 방향(상승 또는 하강 방향)을 표시한다. 호출 입력 버튼(30)은 승객의 버튼 조작을 검출한다. 상승 버튼(31)은 승강기의 상승 방향 호출을 위한 버튼이고, 하강 버튼(33)은 승강기의 하강 방향 호출을 위한 버튼이다. 호출 입력 버튼(30)에는 방향을 나타내는 △▽가 표시되어 있고 내부에 LED가 내장되어, 호출 입력 버튼(30)을 누르게 되면 LED가 온 되면서 방향 표시에 불이 들어오게 된다.
동작 인식부(20)는 일정한 면적을 차지하며 손 동작을 안내하는 그림이 표시되어 있다. 승객은 동작 인식부(20)에 손가락을 근접시키고 손 동작을 취하여 승강기의 상승 및 하강 호출을 제어할 수 있다.
승객이 동작 인식부(20)의 면적 안에서 손가락을 아래에서 위로 움직이면 상승 버튼(31)을 누르는 효과가 발생하고, 손가락을 위에서 아래로 움직이면 하강 버튼(33)을 누르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승객이 동작 인식부(20)의 면적 안에서 손 동작을 취하지 않아도 신체의 일부인 얼굴이나 팔을 근접시키고 일정 시간 유지하면 상승 버튼(31) 또는 하강 버튼(33)을 누르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손 동작을 취해 승강기를 호출하게 되면 호출 입력 버튼(30)에 불이 들어와서 승객은 승강기가 상승 호출되었는지 하강 호출이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는 개시되어 있지 않으나, 동작 인식부(20)는 승강기 내부에도 설치될 수 있다.
즉, 승강기 도어의 개폐 버튼의 상부에 동작 인식부(20)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일정한 면적을 차지하며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승객이 동작 인식부(20)의 면적 안에서 손가락을 좌에서 우로 움직이면 도어 열림 버튼을 누르는 효과가 발생하고, 손가락을 우에서 좌로 움직이면 도어 닫힘 버튼을 누르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는 위치 표시부(10), 전극부(21) 및 전위 측정부(23)로 구성된 동작 인식부(20), 호출 입력버튼(30). 통신부(40), 제어부(50) 등을 포함한다.
동작 인식부(20)는 전극부(21)를 통해 전기장을 생성하여 방출하고, 전위 측정부(23)를 통해 전극부(21)의 전위를 측정하여 전기장의 변화를 감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인식부의 전극부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인식부의 전극부에서 전기장이 방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극부(21)는 감지영역을 설정하는 비전도성 기판(1), 비전도성 기판(1)의 저면에 설치된 송신(Tx) 전극(2), 비전도성 기판(1)의 상면에 설치된 복수의 수신(Rx) 전극(3), 송신 전극(2)의 하부에 배치된 접지 부재(4)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전극(3)은 비전도성 기판(1) 상면의 각 모서리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비전도성 기판(1)이 사각형 구조일 때 비전도성 기판(1)의 상하좌우(동서남북) 모서리에 수신 전극(3)이 스트립(strip) 또는 바(bar)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비전도성 기판(1)의 가운데에는 선택적으로 센터 전극(7)이 배치될 수 있다. 센터 전극(7)은 감지영역 내의 물체 거리 측정 정확도를 개선하거나 간단한 터치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a)는 전극부(21)의 상방에서 전기장이 방출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b)는 전기장이 방출되는 감지 영역에서 손이 들어와 전기장이 왜곡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전극부(21)의 송신 전극(2)은 100kHz의 교류 전력에 의해 전기장을 생성하여 방출한다. 전기장은 전하들에 의해 생성되어 전극부(21)의 상방에 분포한다.
전기장은 전기력이 미치는 공간으로 전하들이 전기장 내에서 가상의 선인 전기력선(5)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전극(2)에서 전기력선(5)이 출발하여 외부로 퍼져나가고, 일부의 전기력선(5)은 수신 전극(3)으로 들어간다. 이를 통해 송신 전극(2)이 전기장을 외부로 방출하고, 수신 전극(3)이 전기장을 수신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기력선(5)에서 전위가 같은 부분을 연결하면 등 전위 선(6)이 형성된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장 내에 사용자의 손이 들어오게 되면 전기장이 교란되어 왜곡이 발생한다.
극성을 띤 전하들은 전기장 내에서 전기력선을 따라 이동하는데 이때 사용자의 손은 전기가 통하는 물질이므로 전하의 이동 경로가 변한다. 즉, 전기력선이 변형되면서 전기장이 왜곡된다.
수신 전극(3)은 이러한 전기장의 왜곡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손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때 사용자가 전기장 내에서 손을 이동시키면 전기장의 왜곡이 발생하는 지점도 함께 이동한다. 수신 전극(3)은 이러한 전기장의 왜곡 발생 지점을 토대로 사용자의 손의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위 측정부(23)는 전극부(21)의 수신 전극(3)에서의 전위를 측정하여 전위값을 제어부(50)로 전달한다.
제어부(50)는 전위 측정부(23)로부터 입력된 수신 전극의 전위값이 기본 전위값보다 낮은 경우 해당 수신 전극의 주변에서 전기장의 왜곡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감지 영역인 전기장 내에 사용자의 손 등이 인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된 수신 전극의 전위값이 기본 전위값이 되며, 이후 사용자의 손 등이 인입되면 사용자의 손 등으로 전하가 빠져 나가므로 수신 전극의 전위가 낮아진다. 따라서 수신 전극의 전위가 기본 전위보다 낮게 되면 수신 전극의 주변에서 전기장의 왜곡이 발생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어부(50)는 전위 측정부(23)로부터 전위값을 연속적으로 입력 받음으로써 시간에 따른 전기장의 왜곡 방향을 검출하여 왜곡 방향에 근거해 손 동작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손 동작의 방향이 상에서 하 방향이면 승강기의 하강 호출 신호를 출력하고, 손 동작의 방향이 하에서 상 방향이면 승강기의 상승 호출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어부(50)는 손 동작의 방향이 상에서 하 방향으로 인식되면 하강 버튼의 LED를 온하면서 승강기의 하강 호출 신호를 출력하고, 손 동작의 방향이 하에서 상 방향으로 인식되면 상승 버튼의 LED를 온하면서 승강기의 상승 호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50)는 손 동작의 방향이 좌에서 우 방향이면 승강기의 도어 열림 신호를 출력하고, 손 동작의 방향이 우에서 좌 방향이면 승강기의 도어 닫힘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전기장의 왜곡이 검출되었으나 일정 시간 동안 시간에 따른 전기장의 왜곡 방향이 검출되지 않으면 승강기의 호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는 호출 입력 버튼(30)의 LED를 온하지 않은 상태에서 승강기의 호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강기의 호출 신호는 상승 호출 신호 또는 하강 호출 신호와 구별되며 승강기의 상승 또는 하강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현재 위치로 승강기를 호출하는 신호를 말한다.
제어부(50)가 전위 측정부(23)의 전위값을 분석하여 전기장의 왜곡 방향에 근거해 승강기 호출 신호를 출력하면 통신부(40)는 승강기의 호출 신호를 승강기의 제어반(미도시)으로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작 인식부(20)를 통해 승강기의 호출 및 도어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동시에 종래의 푸시버튼 방식이 병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50)는 승강기의 호출 및 도어 개폐 동작이 푸시버튼 방식을 통해 제어되었는지 동작 인식 방식을 통해 제어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승강기의 제어 방식을 확인하고 승강기의 호출 또는 도어 개폐가 발생할 때마다 승강기의 제어 방식 관련 데이터를 통신부(40)를 통해 승강기 모니터링 장치(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승강기 모니터링 장치는 승강기의 제어 방식 관련 데이터를 처리하여 승객의 접촉 및 비접촉 제어 횟수를 통계냄으로써 승객의 사용 패턴 및 경향을 분석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승강기, 공동현관, 도어 등 다수인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동작하는 장치나 시설을 비접촉으로 제어하는데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인식부는 기존 승강기 호출 장치에 일체형으로 장착되거나 별도의 추가 장치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Claims (7)

  1. 감지 영역을 설정하는 비전도성 기판, 상기 비전도성 기판의 저면에 설치되고 전원을 인가 받아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전극, 상기 비전도성 기판의 상면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송신 전극에서 발생된 전기장을 수신하는 수신 전극 및 상기 수신 전극의 전위를 측정하는 전위 측정부를 포함하는 동작 인식부와,
    상기 동작 인식부에서 측정한 수신 전극의 전위로부터 상기 감지 영역 안에서 발생된 전기장의 왜곡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인식부로부터 입력된 수신 전극의 전위가 기본 전위보다 낮은 경우 해당 수신 전극 주변에서 전기장의 왜곡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에 따른 전기장의 왜곡 방향을 검출하여 왜곡 방향에 근거해 손 동작의 방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손 동작의 방향이 상에서 하 방향이면 승강기의 하강 호출 신호를 출력하고, 손 동작의 방향이 하에서 상 방향이면 승강기의 상승 호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손 동작의 방향이 좌에서 우 방향이면 승강기의 도어 열림 신호를 출력하고, 손 동작의 방향이 우에서 좌 방향이면 승강기의 도어 닫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기장의 왜곡이 있으나 일정 시간 동안 시간에 따른 전기장의 왜곡 방향이 검출되지 않으면 승강기의 호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
  7. 감지 영역을 설정하는 비전도성 기판, 상기 비전도성 기판의 저면에 설치되고 전원을 인가 받아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전극, 상기 비전도성 기판의 상면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송신 전극에서 발생된 전기장을 수신하는 수신 전극 및 상기 수신 전극의 전위를 측정하는 전위 측정부를 포함하는 동작 인식부와,
    승강기의 상승 방향 호출을 위한 상승 버튼 및 승강기의 하강 방향 호출을 위한 하강 버튼을 포함하는 호출 입력 버튼과,
    상기 동작 인식부에서 측정한 수신 전극의 전위로부터 상기 감지 영역 안에서 발생된 전기장의 왜곡을 검출하여 시간에 따른 전기장의 왜곡 방향에 근거해 손 동작의 방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손 동작의 방향이 상에서 하 방향이면 상기 하강 버튼의 LED를 온하면서 승강기의 하강 호출 신호를 출력하고, 손 동작의 방향이 하에서 상 방향이면 상기 상승 버튼의 LED를 온하면서 승강기의 상승 호출 신호를 출력하고, 전기장의 왜곡이 있으나 일정 시간 동안 시간에 따른 전기장의 왜곡 방향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호출 입력 버튼의 LED를 온하지 않은 상태에서 승강기의 호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
PCT/KR2020/014105 2020-10-15 2020-10-15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 WO2022080533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4105 WO2022080533A1 (ko) 2020-10-15 2020-10-15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
KR2020207000065U KR20230001043U (ko) 2020-10-15 2020-10-15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4105 WO2022080533A1 (ko) 2020-10-15 2020-10-15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0533A1 true WO2022080533A1 (ko) 2022-04-21

Family

ID=81209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4105 WO2022080533A1 (ko) 2020-10-15 2020-10-15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01043U (ko)
WO (1) WO202208053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290B1 (ko) * 2011-02-16 2011-09-20 윤일식 비접촉 선택 스위치
US20160103500A1 (en) * 2013-05-21 2016-04-14 Stanley Innov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a human machine interface utilizing near-field quasi-state electrical field sensing technology
KR101613542B1 (ko) * 2015-07-02 2016-04-19 김한준 동작 인식 엘리베이터 호출 장치
KR20180078997A (ko) * 2016-12-30 2018-07-10 에스엘 주식회사 제스처 인식 장치
CN111538269A (zh) * 2020-04-27 2020-08-14 北京他山科技有限公司 一种非接触按钮传感器单元及触发的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290B1 (ko) * 2011-02-16 2011-09-20 윤일식 비접촉 선택 스위치
US20160103500A1 (en) * 2013-05-21 2016-04-14 Stanley Innov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a human machine interface utilizing near-field quasi-state electrical field sensing technology
KR101613542B1 (ko) * 2015-07-02 2016-04-19 김한준 동작 인식 엘리베이터 호출 장치
KR20180078997A (ko) * 2016-12-30 2018-07-10 에스엘 주식회사 제스처 인식 장치
CN111538269A (zh) * 2020-04-27 2020-08-14 北京他山科技有限公司 一种非接触按钮传感器单元及触发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043U (ko)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10791A1 (ko) 비접촉식 버튼 입력 장치
WO2014017749A1 (ko) 자기장의 변화와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 장치
WO2013012130A1 (ko) 모션 감지 스위치
WO2021251202A1 (ja) エレベータ
CN101678997B (zh) 电梯的目的地楼层登记装置
WO2013012216A2 (ko) Esd 기능이 구비된 터치스크린 패널
KR20180115437A (ko) 센서 제어가 가능한 비접촉식 엘리베이터 승강장 호출입력버튼
WO2013176406A1 (ko) 엘리베이터용의 광센서형 층선택 스위치판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층선택 방법
JP6841372B1 (ja) エレベータ用操作装置、及び該エレベータ用操作装置を備えるエレベータ
WO2022065563A1 (ko) 비접촉식 엘리베이터 터치장치 및 그 설정방법
WO2022080533A1 (ko) 승강기 비접촉 호출 장치
WO2019054543A1 (ko) 로드셀 위치 가변형 무게 측정 장치
WO2014054878A2 (ko) 간섭 없이 감도가 향상되는 단일 적층 구조를 갖는 터치스크린 패널
CN111320046A (zh) 一种接触与非接触二合一按键及智能电梯
WO2015115691A1 (ko)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단말용 케이스
WO2017078502A1 (ko) 차폐 구조를 갖는 비접촉식 기저귀용 배변 감지 장치
JP7044190B1 (ja) エレベータ
CN112723064B (zh) 一种空中成像设备的操作方法
WO2017078329A1 (ko) 전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1126173A1 (ko) 디스플레이 메뉴 선택 매칭 버튼을 제공하는 핀 패드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
WO2022010331A1 (ko)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과 접촉과 비접촉 동시 사용 가능한 버튼 장치 및 그 인식 방법
CN212050026U (zh) 适用于传染疫情下的智能电梯及触摸与非触摸二合一按键
WO2022124435A1 (ko) 초음파 소자와 동작인식 센서를 이용한 무접점 엘리베이터 버튼 장치
CN211110485U (zh) 一种自带投影探测功能的电梯外呼
WO2017116082A1 (ko) 하나의 감지 회로로 복수의 모드들을 구현하는 터치 패널용 구동 회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감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577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577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