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59929A1 -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 Google Patents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59929A1
WO2022059929A1 PCT/KR2021/010855 KR2021010855W WO2022059929A1 WO 2022059929 A1 WO2022059929 A1 WO 2022059929A1 KR 2021010855 W KR2021010855 W KR 2021010855W WO 2022059929 A1 WO2022059929 A1 WO 202205992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enture
shape information
edentulous
occlusal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085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송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5256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84790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트
Priority to EP21869552.6A priority Critical patent/EP4215150A1/en
Priority to CN202180064588.5A priority patent/CN116322566A/zh
Priority to US18/027,253 priority patent/US20230360347A1/en
Publication of WO202205992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5992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41Medic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04Aligning objects, relative positioning of par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producing the occlusal diameter for denture produ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reproducing the occlusal diameter for denture production for reproducing the occlusal diameter required for manufacturing dentures using three-dimensional scan data.
  • a state in which there are no teeth in the upper or lower jaw in the oral cavity of the human body is called edentulous.
  • dentures dentures
  • both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are edentulous, dentures are made and worn on both sides, and when only one of the jaws is edentulous, only one denture is worn.
  • the occlusal diameter which is the height of dentures or other teeth, for the maxilla and mandible to be properly engaged and occluded, and to manufacture dentures accordingly.
  • the user does not have any discomfort in masticating, and the user's facial impression is also in a natural state.
  • the conventional denture manufacturing process is mostly made by hand, and many times it is necessary to make a pattern for the patient's edentulous jaw or go through a procedure to adjust the occlusal diameter, so there are many inconveniences not only for the patient but also for the operator.
  • a preliminary impression is obtained by modeling the patient's edentulous jaw using a resin material.
  • the main model for the edentulous jaw is made by making a plaster model using the preliminary impression.
  • a recording image (denture base) is made using resin or wax, and a wax cream (occlusal agent) is placed on it.
  • a wax cream occlusal agent
  • using a device such as an articulator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artificial teeth to be installed on the denture are adjusted while considering the occlusal relationship.
  • wax cream-type dentures are actually inserted into the patient's edentulous jaw several times to check and adjust the occlusal condition.
  • most of the process of arranging artificial teeth on the wax rim is done by hand, so the completeness is greatly affected by the experience and skill of the operator.
  • a patient has to visit the dentist several times, and the operator has to adjust the occlusal diameter and arrangement of the artificial tooth to the wax rim several times, which is cumbersome.
  • the wax-rim dentures are placed in the mold, and the wax-rim is melted and removed with high-temperature water, and then the dentures are filled and cured to complete the denture production.
  • dentures can be manufactured quickly and easily by improving the denture manufacturing process.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iscomfort of the operator.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by accurately calculating the occlusal diameter using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oral cavity, it is easy to manufacture dentures or establish an implant placement or orthodontic plan for an edentulous patien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reproducing the occlusal diameter for the production of dentures that can be made.
  • the method for reproducing the occlusal diameter for denture manufactu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obtaining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which is shape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patient's maxilla and mandible, of an edentulous state; (b) obtaining denture shape information, which is shape information of a denture structure including a corresponding shape that can be engaged with any one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in the edentulous state of the patient; (c) obtaining occlusal shape information, which is shape information of the denture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in a state in which the patient wears the denture structure on the edentulous jaw; (d) aligning and arranging the corresponding surfaces of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and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to the occlusal shape information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nd (e) calculat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xilla and
  • the occlusal height reproduction method for denture prod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number of direct scans of the maxilla and mandible in the patient's edentulous state or occlusal state, while easily grasping the occlusal height for effectively manufacturing new dentures, and dentures in virtual space.
  • the method of reproducing the occlusal diameter for denture prod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patients and operators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dentures compared to the prior art.
  • FIG. 1 is a flow chart for carrying out an example of the occlusal diameter reproduc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occlusal diameter reproduc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3 to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e occlusal diameter reproduc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flow chart for carrying out an example of the occlusal diameter reproduc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occlusal diameter reproduc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3 to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e occlusal diameter reproduc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denture production by obtaining the patient's occlusal diameter in a relatively easy way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denture suitable for the patient's occlusion.
  • the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of reproducing the occlusal diameter for denture prod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ral scanner 10 that can acquire shape information by scanning the patient's teeth, edentulous jaw, dentures, denture structures, etc.
  •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shap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10) is provided.
  • the device for carrying out the occlusal diameter reproduc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dentulous receiving unit 20 that receives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the denture receiving unit 30 that receives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denture structure, and inputs the occlusal shape information Based on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and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aligned in the occlusion receiving unit 40, the alignment unit 50 for aligning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and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and the occlusal shape information, and the aligner 50, between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It has an occlusal diameter calculation unit 60 for calculating the occlusal diameter.
  • the edentulous receiving unit 20 receives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which is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edentulous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of the patient using the oral scanner 10 (step (a); S100).
  • the edentulous part of the patient's maxilla and mandible is scanned with a scanner to obtain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 the edentulous jaw receiver 20 receives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of the edentulous part.
  • the edentulous receiving unit 20 acquires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by scanning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respectively.
  • a method for reproducing the occlusal height for manufacturing den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y taking the case where both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of the patient are edentulous.
  • the edentulous jaw shap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edentulous receiving unit 2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y the display unit 70 as shown in FIG. 3 (step (f); S600).
  • FIG. 3 shows that the edentulous receiving unit 20 displays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of the patient's edentulous maxilla by the display unit 70 in step (a).
  • the denture receiving unit 30 receives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that is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denture structure formed in a corresponding shape that can engage the oral scanner 10 with the maxilla and/or mandible of the edentulous state of the patient ((b) step; S200).
  • the denture structure is a denture or a corresponding structure to be worn on the edentulous portion of a patient.
  • the denture used by the patient may be the denture structure, or the wax rim as an intermediate structure for manufacturing dentures by modeling the edentulous part of the patient may be the denture structure.
  • the reason for using the previously used dentures as a denture structure is to determine the patient's occlusal diameter based on the existing dentures to manufacture new dentures or to manufacture dentures that match the patient's edentulous jaw better than existing dentures.
  • Step (b) is performed by receiving the result of scanning such a denture structure by the oral scanner 10 as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by the denture receiving unit 30 .
  • the denture receiver 30 may acquire denture shape information by accumulating only the scan shots taken of the denture structures using the oral scanner 10, and while referring to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edentulous receiver 20, dentures It is also possible to complete the shape information.
  • the denture receiving unit 30 merges the scan shots of the inner surface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of the denture structure taken from the oral scanner 10 and aligns the dentures with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mplete the shape information. In addition, such a process may be performed in a manner of acquiring denture shape information while accumulating the snapshots of the oral scanner 10 and aligning the scan shots with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in real time.
  •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when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is obtained while aligning the edentulous shape by merging the scan shots of the denture structure for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in real time, more accurately and at the same time,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that is more accurately aligned with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can be completed while optimizing the scan shots based on the already secured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 the denture receiving unit 30 acquires only a portion of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using the scan shot taken by the oral scanner 10 and aligns it with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then outside of the denture structure You can also scan the surface to complete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 the denture structure may be an assembly of an impression and a denture to mimic the patient's edentulous jaw.
  • the impression is reduced by applying pressure to the edentulous jaw with a curable resin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enture.
  • the assembly of the impression and the denture may be the denture structure.
  • the denture receiving unit 30 may receive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by scanning the impression and the denture structure in an assembled state with the oral scanner 10 .
  • the denture receiving unit 30 may acquire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in a way that scans and integrates dentures and impressions, respectively.
  • the receiving unit receives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denture structure as denture shape information It is also possible to acquire
  • the space between the denture and the edentulous jaw can be filled through the impression, so the inner shape of the impression i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patient's edentulous jaw. Therefore, in such a case, it is possible to obtain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indirectly by scanning the inner surface of the impression without directly scanning the edentulous jaw of the patient. That is, after scanning the inner surface shape of the impression in contact with the edentulous jaw,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step (a) to acquire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by inverting it.
  • the denture structure is a wax cream or denture that does not have an impression
  •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denture receiving unit 3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70 on the display device ((f) step; S600).
  • 4 is a view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70 by aligning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of the dentures received by the denture receiving unit 30 in step (b) to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is aligned with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in real time, when the denture structure is scanned while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70,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of the 3D shape implemented by the scan shot is the edentulous shape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70 in a state aligned with the information.
  • the occlusion receiving unit 40 receives the occlusal shape information, which is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denture structure and the oral cavity in a state where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in a state in which the patient wears the denture structure on the edentulous jaw (step (c); S300). If only one of the patient's maxilla and mandible is edentulous, scan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occlusion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with the oral scanner 10 while wearing the denture structure on the edentulous part, and scan the occlusal shape information obtained accordingly. The occlusion receiving unit 40 receives. In this case, one side of the denture structure is worn and the other side acquires occlusal shape information with the patient's actual teeth.
  • Step (c)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in the state where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are occluded by the patient wearing the denture structure.
  • the patient may be in a state of wearing the previously used denture (denture) as a denture structure, or may be in a state of wearing an intermediat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dentu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denture as a denture structure.
  • Step (c) is carried out in a state where the shape of the oral cavity in the state where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are occluded by wearing the denture structure of any structure.
  • the occlusion receiving unit 40 receives the occlusal shape information by wearing the denture structures on both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and scanning them in an occlusal state.
  • the occlusion shap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occlusion receiving unit 4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70 by the display unit (step (f); S600). 5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70 displays occlusal shape information on the display device.
  • the alignment unit 50 arranges and arranges the corresponding surfaces of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and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to be overlapped with the occlusal shape information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aligned with each other (step (d); S400).
  • the alignment unit 50 aligns the corresponding surfaces of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and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by the Iterative Closest Points (ICP) technique, and aligns them to overlap the occlusal shape information again. Since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i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ide (back) of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the ICP method that repeatedly finds and matches the closest points is used to accurately and precisely match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with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It can be placed in dimensional space.
  • ICP Iterative Closest Points
  • the occlusal shape information obtained in step (c) and the lateral shape substantially identically correspond to each other in a relatively high ratio, so as described above
  • the ICP method it is possible to arrange and place exactly so that they overlap each other.
  • the process of finally arranging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to the position of the occlusal state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is completed. That is, it is possible to align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and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to the position of the occlusal state based on the occlusal shape information acquired in step (c).
  •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and the occlusal shape information aligned by the alignment unit 50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70 by the display unit ((f) step; S600).
  • 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70 superimposes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denture shape information, and occlusal shape information on the display device.
  • the display unit 70 may selectively display at least one of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and the occlusal shape information.
  • 7 is a view in which the display unit 70 displays only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on the display device in an occlusal state.
  • the occlusal diameter calculation unit 60 calculates the occlusal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mension of the relative position and direction between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in a state in which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and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are aligned by step (d). ((e) step; S500).
  • the occlusal diameter calculation unit 60 refers to FIG. 7 , and may calculate only the closest distance and the furthest distance between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and calculate the relative position as a concept including both the direction and distance between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may also provide In some case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relative distance and direction between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for each position along the extension path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and provide the results. Also, in some cases, the display unit 70 may provide a tool that calculates and provides a difference in distance and direction for each posi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jaws. In addition, in some cases, the display unit 70 may provide a tool that calculates and provides a difference in the distance and direc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jaws at a point designated by the user through an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 the existing denture as a denture structure to effectively reproduce the occlusal diameter, then adjust the shape of the existing denture or utilize it as basic information for manufacturing a new denture that the patient can wear more comfortably.
  • the present invention when calculating the occlusal diameter of the denture structure wearing the denture structur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denture structure as an intermediate process of denture production such as wax rim, correction of the wax rim (that is, by removing a part of the wax rim You can get the information you need to make teeth). That i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 optimal wax rim while easily confirming whether the occlusal diameter of the wax rim matches the occlusal diameter of the dentures used in the past.
  • the number of direct scans of the patient's oral structure can be minimized, the number of times a patient visits the dentist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dentures can be reduced, and even from the dentist's point of view, the dentures can be used in the edentulous jaw of the patient during the production of dentures.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number of times to directly check whether it fits well with the occlusion and whether the occlusion is appropriate.
  • the occlusal diameter reproduction method for denture prod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enture production process to control the occlusal diameter of the denture and to reduce the number of trials and errors to check the degree of registration with the edentulous jaw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trials and errors for quickly and accurately manufacturing dentures. It can also be used for
  • step (f) of displaying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and the denture shape information on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display device
  • step (f) in some case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occlusal diameter reproduction method for denture production ( It is also possible to omit step f).
  • step (f) even when step (f) is performed, all of the edentulous shape information, denture shape information, and occlusal shap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and only some of this information or overlapped with each other may be displayed in various other methods not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carry out step (f) to display the shape of the oral cavity and dentures.
  • the occlusal shap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occlusal receiving unit 40 through step (c) above is described as information about the shape of the denture structure and the oral cavity in a state where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are occluded while the patient wears the denture structure on the edentulous jaw.
  • the denture structure is worn on both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of the patient, only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denture structure in the occlusal state may be received by the occlusion receiving unit as occlusal shape information in step (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치를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교합고경을 계산하기 위한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은, 환자의 무치악 상태나 교합 상태의 상악 및 하악의 직접적인 스캔 횟수를 최소화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새로운 의치를 제작하기 위한 교합고경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가상 공간상에 의치 또는 의치 구조물을 착용한 환자 구강의 교합 상태를 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은 의치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환자와 시술자의 불편을 종래에 비해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본 발명은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치를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교합고경을 재현하기 위한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구강 중 상악이나 하악에 치아가 없는 상태를 무치악이라고 칭한다. 이와 같이 상악이나 하악 중 적어도 한쪽이 무치악인 경우에는 의치(틀니, denture)를 제작하여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상악과 하악이 모두 무치악인 경우에는 양쪽 모두에 의치를 제작하여 착용하고, 한쪽만 무치악인 경우에는 한쪽만 의치를 착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의치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악과 하악이 적절히 맞물려 교합된 상태가 되기 위한 의치 또는 다른 치아의 높이인 교합고경을 파악하고 그에 맞게 의치를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합고경에 맞도록 의치가 제작되어야 사용자가 저작활동을 하는 데에 불편함이 없고, 사용자의 얼굴 인상도 자연스러운 상태가 된다.
또한, 상학과 하악 중 어느 한쪽만이 무치악인 경우에 교합고경을 고려한 적절한 크기와 형상의 의치를 제작하여야만, 무치악이 아닌 반대쪽 상악 또는 하악에 인공치를 식립하거나 교정 치료를 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종래의 의치 제조 과정은 대부분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여러 차례 환자의 무치악에 대한 본을 뜨거나 교합고경을 조절하는 절차를 거쳐야 했기 때문에 환자뿐만 아니라 시술자에게도 불편한 점이 많았다.
종래의 의치 제조 과정을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환자의 무치악을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본을 떠서 예비 인상을 획득한다. 예비 인상을 이용하여 석고 모델을 제작함으로써 무치악에 대한 주모형을 제작한다.
이와 같은 주모형 위에 레진이나 왁스를 이용하여 기록상(의치상)을 만들고 그 위에 왁스림(교합제)을 배치한다. 이와 같은 왁스림에 인공치를 절적한 위치와 방향 및 높이로 배열한다. 이때 교합기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교합 관계를 고려하면서 의치에 설치될 인공치의 위치와 방향 등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왁스림 형태의 의치를 여러 차례 실제로 환자의 무치악에 끼워서 교합 상태 등을 확인하고 조정하는 절차를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왁스림에 인공치를 배열하는 과정은 거의 대부분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그 완성도가 작업자의 경험과 숙련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또한, 왁스림 상태의 의치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환자가 여러 차례 치과에 방문하여야 하고 시술자도 여러 차례 교합고경과 인공치의 왁스림에 대한 배치를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많다.
이와 같이 왁스림 상태의 의치 제작이 완료되면, 왁스림 의치를 틀에 넣고 고온의 물로 왁스림을 녹여서 제거한 후에 왁스림을 대체하는 수치를 채우고 경화시켜 의치 제작을 완료하게 된다.
환자의 구강 구조와 의치 구조물을 스캔하여 가상으로 3차원 공간상에서 환자의 교합고경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다면, 의치를 제작하는 과정을 개선하여 빠르고 쉽게 의치를 제작할 수 있으며, 의치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환자 및 시술자의 불편함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환자의 구강에 대한 3차원 정보를 이용하여 교합고경을 정확하게 계산함으로써 의치를 제작하거나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식립 또는 치아 교정 계획을 용이하게 수립할 수 있는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은, (a) 환자의 상악과 하악 중 적어도 하나의 무치악 상태의 형상 정보인 무치악 형상 정보를 얻는 단계; (b) 상기 환자의 무치악 상태의 상악과 하악 중 어느 하나에 맞물릴 수 있는 대응 형상을 포함하는 의치 구조물의 형상 정보인 의치 형상 정보를 얻는 단계; (c) 상기 환자가 무치악에 상기 의치 구조물을 착용한 상태에 상악과 하악이 교합한 상태의 상기 의치 구조물의 형상 정보인 교합 형상 정보를 얻는 단계; (d) 상기 무치악 형상 정보와 의치 형상 정보의 대응하는 면을 서로 정렬한 상태에서 상기 교합 형상 정보에 정렬하여 배치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 의해 상기 무치악 형상 정보와 의치 형상 정보와 교합 형상 정보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상악과 하악 사이의 위치 관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은, 환자의 무치악 상태나 교합 상태의 상악 및 하악의 직접적인 스캔 횟수를 최소화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새로운 의치를 제작하기 위한 교합고경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가상 공간상에 의치 또는 의치 구조물을 착용한 환자 구강의 교합 상태를 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은 의치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환자와 시술자의 불편을 종래에 비해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의 일례를 실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을 실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의 일례를 실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을 실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환자의 교합에 적절한 의치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교합고경을 비교적 용이한 방법으로 획득하여 의치 제작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의 일례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의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는, 환자의 치아, 무치악, 의치, 의치 구조물 등을 스캔하여 그 형상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구강 스캐너(10)와 그 구강 스캐너(10)를 통해 얻은 형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는 무치악 형상 정보를 입력 받는 무치악 수신부(20), 의치 구조물의 형상 정보를 입력 받는 의치 수신부(30), 교합 형상 정보를 입력 받는 교합 수신부(40), 무치악 형상 정보와 의치 형상 정보와 교합 형상 정보를 정렬하는 정렬부(50) 및 정렬부(50)에서 정렬된 무치악 형상 정보와 의치 형상 정보를 바탕으로 상악과 하악 사이의 교합고경을 계산하는 교합고경 계산부(60)를 구비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의 실시를 위한 장치의 구체적인 작동과 본 발명에 따른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구강 스캐너(10)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악과 하악 중 적어도 하나의 무치악 상태의 형상 정보인 무치악 형상 정보를 무치악 수신부(20)가 수신한다((a) 단계; S100). 환자의 치아 구조 및 상태에 따라 환자의 상악과 하악 중 무치악인 부분을 스캐너로 스캔하여 무치악 형상 정보를 얻는다. 상악과 하악 중 어느 한쪽만 무치악인 경우에는 무치악인 부분의 무치악 형상 정보를 무치악 수신부(20)가 수신한다. 환자의 상악과 하악이 모두 무치악인 경우에는 상악과 하악을 각각 스캔하여 무치악 수신부(20)가 무치악 형상 정보를 취득한다. 이하에서는 환자의 상악과 하악이 모두 무치악인 경우를 예로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와 같이 무치악 수신부(20)가 수신한 무치악 형상 정보는 표시부(70)가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표시 장치에 표시한다((f) 단계; S600). 도 3은 (a) 단계에서 무치악 수신부(20)가 환자의 무치악 상태 상악의 무치악 형상 정보를 표시부(70)가 표시한 것이다.
다음으로, 구강 스캐너(10)를 환자의 무치악 상태의 상악 및/또는 하악에 맞물릴 수 있는 대응 형상으로 형성된 의치 구조물의 형상 정보인 의치 형상 정보를 의치 수신부(30)가 수신한다((b) 단계; S200). 의치 구조물은 환자의 무치악 부분에 착용하는 의치 또는 그에 상응하는 구조물이다. 환자가 기존에 사용하던 의치(denture)가 의치 구조물이 될 수도 있고 환자의 무치악 부분에 본을 떠서 의치를 제작하기 위한 중간 과정의 구조물로써의 왁스림(wax rim)이 의치 구조물이 될 수도 있다. 기존에 사용하던 의치를 의치 구조물로 사용하는 이유는, 기존 의치를 기준으로 환자의 교합고경을 파악하여 새로운 의치를 제작하거나 기존 의치보다 환자의 무치악에 더욱 잘 정합되는 의치를 제작하기 위해서이다.
구강 스캐너(10)에 의해 이와 같은 의치 구조물을 스캔한 결과를 의치 형상 정보로서 의치 수신부(30)가 수신함으로써 (b)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의치 수신부(30)는 구강 스캐너(10)를 이용하여 의치 구조물을 촬영한 스캔샷만을 누적하여 의치 형상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고, 무치악 수신부(20)가 수신한 무치악 형상 정보를 참고하면서 의치 형상 정보를 완성할 수도 있다.
즉, 의치 수신부(30)는 구강 스캐너(10)에서 촬영된 의치 구조물의 안쪽 면(무치악 형상 정보에 대응하는 면)의 스캔샷들을 머징(merging)하여 무치악 형상 정보의 대응하는 면에 정렬하면서 의치 형상 정보를 완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과정은 구강 스캐너(10)의 스캣샷들을 누적하면서 그 스캔샷들을 실시간으로 무치악 형상 정보에 정렬하면서 의치 형상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무치악 형상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한 의치 구조물의 스캔샷들을 실시간으로 머징하여 무치악 형상에 정렬하면서 의치 형상 정보를 얻는 경우, 더욱 정확하고 동시에 무치악 형상 정보에 더욱 정확하게 정렬되는 의치 형상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이미 확보된 무치악 형상 정보를 기준으로 스캔샷들을 최적화하면서 의치 형상 정보를 완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의치 수신부(30)가 구강 스캐너(10)에서 촬영된 스캔샷을 이용하여 무치악 형상 정보에 대응하는 면의 일부분만 획득하여 무치악 형상 정보에 대해 정렬한 후, 의치 구조물의 바깥 면을 스캔하여 의치 형상 정보를 완성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환자의 무치악을 본뜨기 위한 임프레션과 의치의 조립체가 의치 구조물이 될 수도 있다. 환자의 무치악과 의치 사이의 공간을 채우기 위해 리라이닝(re-ling) 또는 리베이싱(re-basing)을 하는 경우 경화성 수지를 의치의 안쪽면에 도포한 상태로 무치악에 압박함으로써 임프레션(impression)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임프레션과 의치의 조립체가 의치 구조물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임프레션과 의치가 서로 조립된 상태의 의치 구조물을 구강 스캐너(10)로 스캔하여 의치 수신부(30)가 의치 형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의치와 임프레션을 각각 스캔하여 통합하는 방법으로 의치 형상 정보를 의치 수신부(30)가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임프레션의 안쪽면(무치악과 접하는 면)을 스캔한 후 이어서 의치의 바깥면(인공치가 노출되는 부분)을 스캔하여 ICP 등의 방법으로 조합함으로써 의치 구조물의 형상 정보를 의치 형상 정보로서 수신부가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임프레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의치와 무치악 사이의 공간을 임프레션을 통해 채울 수 있기 때문에 임프레션의 안쪽 형상은 환자의 무치악 형상과 극히 유사한 형상이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환자의 무치악을 직접 스캔하지 않고 임프레션의 안쪽면을 스캔하는 방법으로 간접적으로 무치악 형상 정보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즉, 무치악과 접하는 임프레션의 안쪽면 형상을 스캔한 후 이를 반전시키는 방법으로 의치 형상 정보를 취득하도록 (a) 단계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의치 구조물이 임프레션을 구비하지 않는 왁스림이나 의치인 경우에도 의치 구조물의 안쪽면 스캔 정보를 뒤집어서 안쪽과 바깥쪽을 반전시키는 방법으로 무치악 형상 정보를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의치 구조물의 안쪽면을 스캔한 후 그 부분의 안쪽과 바깥쪽을 뒤집으면(반전시키면) 무치악 형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의치 수신부(30)가 수신한 의치 형상 정보는 표시부(70)가 표시 장치에 표시한다((f) 단계; S600). 도 4는 (b) 단계에서 의치 수신부(30)가 수신한 의치의 의치 형상 정보를 무치악 형상 정보에 정렬하여 표시부(70)가 표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전술한대로 의치 형상 정보는 무치악 형상 정보에 실시간으로 정렬되므로, 표시부(70)에 무치악 형상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의치 구조물을 스캔하면 스캔샷에 의해 구현된 3차원 형상의 의치 형상 정보가 무치악 형상 정보에 정렬된 상태로 표시부(70)에 표시된다.
다음으로 교합 수신부(40)는 환자가 무치악에 의치 구조물을 착용한 상태에 상악과 하악이 교합한 상태의 의치 구조물과 구강의 형상 정보인 교합 형상 정보를 수신한다((c) 단계; S300). 환자의 상악과 하악 중 한쪽만 무치악인 경우에는 무치악인 부분에 의치 구조물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악과 하악이 교합한 상태의 형상 정보를 구강 스캐너(10)로 스캔하고 그에 따라 취득된 교합 형상 정보를 교합 수신부(40)가 수신한다. 이 경우 한쪽은 의치 구조물이 착용된 상태이고 다른 한쪽은 환자의 실제 치아가 있는 상태로 교합 형상 정보를 취득하게 된다.
환자가 의치 구조물을 착용하여 상악과 하악이 교합된 상태의 상악과 하악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c) 단계를 실시한다. 이때, 환자는 기존에 사용하던 의치(틀니, denture)를 의치 구조물로서 착용한 상태일 수도 있고 의치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의치에 상응하는 중간 구조물을 의치 구조물로 착용한 상태일 수도 있다. 어떠한 구조이든 그 의치 구조물을 착용하여 상악과 하악이 교합된 상태의 구강의 형상을 파악할 수 있는 상태에서 (c) 단계를 실시하게 된다.
상악과 하악이 모두 무치악인 환자인 경우에는 상악과 하악에 모두 의치 구조물을 착용하고 교합된 상태로 스캔하여 교합 형상 정보를 교합 수신부(40)가 수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교합 수신부(40)가 수신한 교합 형상 정보는 표시부(70)가 표시 장치에 표시한다((f) 단계; S600). 도 5는 표시부(70)가 표시 장치에 교합 형상 정보를 표시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다음으로, 정렬부(50)는 무치악 형상 정보와 의치 형상 정보의 대응하는 면을 서로 정렬한 상태에서 교합 형상 정보에 중첩되도록 정렬하여 배치한다((d) 단계; S400).
정렬부(50)는 ICP(Iterative Closest Points) 기법에 의해 무치악 형상 정보와 의치 형상 정보의 대응하는 면을 서로 정렬하고, 이를 다시 교합 형상 정보에 중첩되도록 정렬한다. 무치악 형상 정보는 의치 형상 정보의 안쪽면(뒷면)과 대응하는 형상이므로, 근접점(closest points)을 반복적으로 찾아 대응시키는 ICP 방법에 의해 정확하고 정교하게 무치악 형상 정보와 의치 형상 정보를 대응시켜 3차원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서로 정렬된 "무치악 형상 정보와 의치 형상 정보"는 (c) 단계에서 취득한 교합 형상 정보와 외측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대응하는 부분이 비교적 높은 비율로 존재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ICP 방법으로 정확하게 서로 중첩되도록 정렬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최종적으로 무치악 형상 정보를 3차원 공간상에 교합 상태의 위치로 배치하는 과정이 완료된다. 즉, (c) 단계에서 취득한 교합 형상 정보를 기준으로 무치악 형상 정보와 의치 형상 정보를 교합 상태의 위치에 정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정렬부(50)가 정렬한 무치악 형상 정보, 의치 형상 정보 및 교합 형상 정보는 표시부(70)가 표시 장치에 표시한다((f) 단계; S600). 도 6은 표시부(70)가 표시 장치에 무치악 형상 정보와 의치 형상 정보와 교합 형상 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부(70)는 무치악 형상 정보와 의치 형상 정보와 교합 형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표시부(70)가 교합 상태에서 상악과 하악의 무치악 형상 정보만을 표시 장치에 표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교합고경 계산부(60)는, (d) 단계에 의해 무치악 형상 정보와 의치 형상 정보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악과 하악 사이의 상대적 위치와 방향의 치수에 해당하는 교합고경을 계산한다((e) 단계; S500).
교합고경 계산부(60)는 도 7을 참조하며, 상악과 하악의 가장 가까운 거리와 가장 먼 거리만을 계산할 수도 있고, 상악과 하악 사이의 방향과 거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계산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악과 하악의 연장 경로를 따라서 위치별도 상악과 하악 사이의 상대적 거리와 방향을 계산하여 결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표시부(70)는 상악과 하악 사이의 위치별로 거리와 방향의 차이를 계산하여 제공하는 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표시부(70)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지점의 상악과 하악 사이의 거리와 방향의 차이를 계산하여 제공하는 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환자의 무치악이나 교합 상태의 상악 및 하악의 직접적인 스캔 횟수를 최소화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새로운 의치를 제작하기 위한 교합고경을 용이하게 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기존에 사용하던 의치를 의치 구조물로 사용하여 교합고경을 효과적으로 재현한 후 기존 의치의 형상을 조정하거나 환자가 더욱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새로운 의치를 제작하기 위한 기초 정보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왁스림과 같은 의치 제작의 중간 과정으로서의 의치 구조물에 대해 본 발명을 이용하여 그 의치 구조물을 착용한 상태의 교합고경을 계산하면, 왁스림의 수정(즉, 왁스림의 일부를 제거하여 인공치아 제작)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즉, 왁스림에 의한 교합고경이 기존에 사용하던 의치의 교합고경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하면서 최적의 왁스림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의 구강 구조에 대한 직접적인 스캔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의치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환자가 치과에 내원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치과 의사의 입장에서도 의치 제작 과정에서 의치가 환자의 무치악에 잘 맞는지 여부와 교합이 적절한지 여부를 직접 확인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은 종래의 의치 제작 과정에 비해 의치의 교합고경을 조절하고 무치악과의 정합 정도를 확인하는 시행착오의 횟수를 줄이면서 빠르고 정확하게 의치를 제작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 (a) 단계 내지 (c) 단계는 구강 스캐너(10)를 이용하여 취득한 형상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구강 스캐너(10)가 아닌 다른 일반적인 스캐너나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취득한 형상 정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앞에서 표시 장치를 사용하여 무치악 형상 정보와 의치 형상 정보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f) 단계를 실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f) 단계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f) 단계를 실시하는 경우에도 무치악 형상 정보, 의치 형상 정보, 교합 형상 정보를 모두 표시할 수도 있고 이 정보들 중 일부만 표시하거나 서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등 앞에서 설명하지 않는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 환자의 구강과 의치에 대한 형상을 표시하도록 (f) 단계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앞에서 (c) 단계를 통해 교합 수신부(40)가 수신하는 교합 형상 정보는 환자가 무치악에 의치 구조물을 착용한 상태에 상악과 하악이 교합한 상태의 의치 구조물과 구강의 형상 정보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환자의 상악과 하악에 모두 의치 구조물을 착용한 경우에는 교합한 상태의 의치 구조물의 형상 정보만을 교합 형상 정보로서 교합 수신부가 (c) 단계에 수신할 수도 있다.

Claims (18)

  1. (a) 환자의 상악과 하악 중 적어도 하나의 무치악 상태의 형상 정보인 무치악 형상 정보를 얻는 단계;
    (b) 상기 환자의 무치악 상태의 상악과 하악 중 어느 하나에 맞물릴 수 있는 대응 형상을 포함하는 의치 구조물의 형상 정보인 의치 형상 정보를 얻는 단계;
    (c) 상기 환자가 무치악에 상기 의치 구조물을 착용한 상태에 상악과 하악이 교합한 상태의 상기 의치 구조물의 형상 정보인 교합 형상 정보를 얻는 단계;
    (d) 상기 무치악 형상 정보와 의치 형상 정보의 대응하는 면을 서로 정렬한 상태에서 상기 교합 형상 정보에 정렬하여 배치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 의해 상기 무치악 형상 정보와 의치 형상 정보와 교합 형상 정보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상악과 하악 사이의 위치 관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b) 단계는, 스캐너를 이용하여 획득한 스캔샷을 상기 무치악 형상 정보에 정렬하면서 상기 의치 형상 정보를 얻는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b) 단계는, 스캐너를 이용하여 획득한 복수의 스캔샷을 머징(merging)하여 얻고, 상기 의치 형상 정보에서 상기 무치악 형상 정보에 대응하는 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캔 샷은 상기 의치 형상 정보에 정렬하는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의치 형상 정보에서 상기 무치악 형상 정보에 대응하는 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캔 샷은 취득과 동시에 상기 의치 형상 정보에 정렬하는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의치 형상 정보는 상기 무치악 형상 정보에 대응하는 면의 일부만 얻는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상악과 하악 사이의 상대적 위치와 방향의 차이를 더 계산하는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환자의 상악과 하악 중 무치악인 부분을 스캐너로 스캔하여 상기 무치악 형상 정보를 얻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의치 구조물을 스캐너로 스캔하여 상기 의치 형상 정보를 얻는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의치 구조물을 스캐너로 스캔하여 상기 의치 형상 정보를 얻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b) 단계에서 얻은 의치 형상 정보의 의치 구조물의 무치악과 접하는 안쪽면의 형상을 반전시켜서 상기 무치악 형상 정보를 얻는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의치 구조물에서 무치악과 접하는 안쪽면을 스캐너로 스캔하여 상기 무치악 형상 정보를 얻는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의치 구조물에서 무치악과 접하는 안쪽면을 스캐너로 스캔하여 얻은 상기 무치악 형상 정보를 반전하는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의치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환자의 무치악의 형상에 대응하는 임프레션을 사용하는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의치 구조물은 상기 환자의 무치악을 본뜨기 위한 임프레션과 의치의 조립체인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의치 구조물의 임프레션의 안쪽면과 상기 의치 구조물의 의치의 바깥면을 스캔한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의치 형상 정보를 얻는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14.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상기 의치 구조물은 의치와 왁스림 중의 하나인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15.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환자의 상악과 하악이 모두 무치악인 경우에는 상악과 하악의 무치악 형상 정보를 각각 얻고, 상기 환자의 상악과 하악 중 어느 한쪽만 무치악인 경우에는 무치악인 쪽의 무치악 형상 정보를 얻으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환자의 상악과 하악이 모두 무치악인 경우에는 상악과 하악의 상기 의치 구조물의 의치 형상 정보를 각각 얻고, 상기 환자의 상악과 하악 중 어느 한쪽만 무치악인 경우에는 무치악인 쪽의 상기 의치 구조물의 의치 형상 정보를 얻는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16.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f) 상기 무치악 형상 정보와 의치 형상 정보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무치악 형상 정보와 의치 형상 정보가 상기 교합 형상 정보에 정렬된 상태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무치악 형상 정보와 의치 형상 정보와 교합 형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PCT/KR2021/010855 2020-09-21 2021-08-17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WO2022059929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869552.6A EP4215150A1 (en) 2020-09-21 2021-08-17 Occlusal vertical dimension reproduc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teeth
CN202180064588.5A CN116322566A (zh) 2020-09-21 2021-08-17 用于制造人工牙的咬合垂直尺寸再现方法
US18/027,253 US20230360347A1 (en) 2020-09-21 2021-08-17 Occlusal vertical dimension reproduc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tee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777 2020-09-21
KR20200121777 2020-09-21
KR1020200152563A KR102484790B1 (ko) 2020-09-21 2020-11-16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KR10-2020-0152563 2020-11-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9929A1 true WO2022059929A1 (ko) 2022-03-24

Family

ID=8077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0855 WO2022059929A1 (ko) 2020-09-21 2021-08-17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60347A1 (ko)
EP (1) EP4215150A1 (ko)
CN (1) CN116322566A (ko)
WO (1) WO202205992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07059A (ja) * 2014-12-05 2016-06-20 ディオ コーポレーションDio Corporation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施術のための手術ガイドおよび植立物の製造方法
KR101799873B1 (ko) * 2010-10-01 2017-11-22 쓰리세이프 에이/에스 의치의 모형 제작 및 제작
KR20190013216A (ko) * 2017-08-01 2019-02-11 서울대학교병원 무치악 환자를 대상으로 한 완전틀니의 제조 방법
KR102114015B1 (ko) * 2011-12-21 2020-05-25 쓰리세이프 에이/에스 맞춤형 치료용 지대치의 가상 설계
KR20200100448A (ko) * 2019-02-18 2020-08-2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임플란트 진단용 영상 정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873B1 (ko) * 2010-10-01 2017-11-22 쓰리세이프 에이/에스 의치의 모형 제작 및 제작
KR102114015B1 (ko) * 2011-12-21 2020-05-25 쓰리세이프 에이/에스 맞춤형 치료용 지대치의 가상 설계
JP2016107059A (ja) * 2014-12-05 2016-06-20 ディオ コーポレーションDio Corporation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施術のための手術ガイドおよび植立物の製造方法
KR20190013216A (ko) * 2017-08-01 2019-02-11 서울대학교병원 무치악 환자를 대상으로 한 완전틀니의 제조 방법
KR20200100448A (ko) * 2019-02-18 2020-08-2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임플란트 진단용 영상 정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ANG SE-HA, JEONG SEUNG-MI, SHIN JAE-OK, FANG JEONG-WHAN, KIM DAE-HWAN, CHOI BYUNG-HO: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dental implant utilizing 3D digital image and CAD/CAM system: case report",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vol. 31, no. 2, 30 June 2015 (2015-06-30), pages 158 - 168, XP055912665, ISSN: 2233-4084, DOI: 10.14368/jdras.2015.31.2.15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15150A1 (en) 2023-07-26
CN116322566A (zh) 2023-06-23
US20230360347A1 (en)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85797B1 (en) Method for using a dynamic virtual articulator for simulating occlusion when designing a dental prosthesis for a patient, and data carrier
EP24324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US11229503B2 (en) Implant surgery guiding method
EP2775956B1 (en) Method for producing a dental element or aid for adjusting the teeth
WO2014073818A1 (ko) 임플란트 영상 생성방법 및 임플란트 영상 생성 시스템
US89986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WO2019151740A1 (ko) 디지털보철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91847A (ko)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방법
WO2020091115A1 (ko)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시스템
WO2019172636A1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WO2022045453A1 (ko)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KR102484790B1 (ko)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WO2016175545A1 (ko) 치아 정밀 시술 방법 및 시스템
WO2022059929A1 (ko) 의치 제작을 위한 교합고경 재현 방법
WO2010013986A2 (ko) 연조직배열 변환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치과용기구
WO2019124846A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가이드장치,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가이드장치 제작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WO2023013805A1 (ko) 자연 두부 위치에서 촬영된 3차원 cbct 영상에서 기계 학습 기반 치아 교정 진단을 위한 두부 계측 파라미터 도출방법
KR102221475B1 (ko)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WO2019124845A1 (ko) 임플란트 진단용 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방법
AU2013100527A4 (en) Dental restoration
JPH09206319A (ja) 有床義歯設計支援装置
WO2022234898A1 (ko) 치아수복물 설계를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
WO2022103141A1 (ko) 교합 정렬 방법 및 교합 정렬 장치
CN116672109A (zh) 一种个性化牙合托模型构建方法及制备方法
CN116492081A (zh) 一种颌骨缺损患者口内印模制取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695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695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