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55294A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55294A1
WO2022055294A1 PCT/KR2021/012335 KR2021012335W WO2022055294A1 WO 2022055294 A1 WO2022055294 A1 WO 2022055294A1 KR 2021012335 W KR2021012335 W KR 2021012335W WO 2022055294 A1 WO2022055294 A1 WO 202205529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tent
sound
volume
volume value
audio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233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희란
김용덕
배무공
이봉석
하남수
한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205529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5529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volume of content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provides a uniform volume without separate manipulation even if the contents outputting sound among a plurality of contents displayed in a multi-view state are changed, and control thereof to provide a method.
  • a display device includes a receiving unit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display displaying an image, an audio output unit outputting sound, and different contents through the receiving unit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to simultaneously display a plurality of imag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ontents provided from a source, and controlling the audio output unit to output a sound corresponding to one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set the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unit to a second volume value when the content outputted with sound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is changed to the second content while the audio output unit outputs the sound of the first content as the first volume value.
  • the audio output unit is controlled to change to , and the volume of the sound of the second content output as the second volume value corresponds to the volume of the sound of the first content output as the first volume value.
  • the content to be sound output is changed from the first content received from the first content source to the second content received from the second content source, it is included in th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ntent source obtained an input volume value, and based on the input volume value of the second content source, the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device to output the sound of the second content at a volum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volume of the first content can be changed
  • the processor obtains the input volume value as a 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LKFS) valu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btained LKFS value and the LKFS value of the output volume of the first conte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 the audio output device may be controlled to output the sound of the second content by applying the changed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device to the input volume value of the second content source.
  • the processor may change the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device so that the LKFS value of the output volume of the second content becomes -24 dB.
  • th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memory, and the processor stores the changed volume value in the memory, and when the content to be sound output from the audio output device is changed, the volum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content is displayed in the memory. It is possible to obtain from a memory and change the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device to a volum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content.
  • the processor may obtain statu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determine whether contents to be sound output from the audio output device have been changed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 th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content layou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sound output information of the content.
  •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display to display a volume UI indicating the changed volume value.
  •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apparatus includes simultaneously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ontents provided from different content sources through a receiving unit, and the plurality of contents through an audio output unit. and outputting a sound corresponding to one of the contents, wherein the outputting of the sound includes outputting the sound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audio output unit outputs the sound of the first content as a first volume value. and changing the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unit to a second volume value when the content to be used is changed to the second content, wherein the volume of the sound of the second content output as the second volume value is the first volume value It corresponds to the volume of the sound of the first content output as .
  • the step of outputting the sound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sound from the second content source when the content to be output is changed from the first content received from the first content source to the second content received from the second content source. obtaining an input volume value included in an input signal and outputting the audio so that the sound of the second content is output at a volum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volume of the first content based on the input volume value of the second content source changing the volume value of the device.
  • the step of obtaining the input volume value includes obtaining the input volume value as a 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LKFS) value, and the step of outputting the sound includes the obtained LKFS value and the secon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LKFS values of the output volume of the first conte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sound of the second content may be output by applying the changed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device to the input volume value of the second content source.
  • LKFS 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 the changing of the volume value may include changing the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device so that the LKFS value of the output volume of the second content becomes -24 dB.
  • control method the step of storing the changed volume value in a memory
  • the method further includes obtaining, from the memory, a volum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content when the content to be sound output is changed in the audio output device, wherein the changing of the volume value includes a volum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content.
  • the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device may be changed.
  • control method further includes obtaining status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determining whether contents to be sound output from the audio output device have been changed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can do.
  • th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content layou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sound output information of the content.
  •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volume UI indicating the changed volume value on the display.
  •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olume curve grap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 plurality of content and volume UIs are displayed on a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 plurality of contents and a volume UI reflecting the changed volume value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when the contents outputting sound are changed.
  •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utomatically changing a volume value of a display device when content is changed.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each step should be understood as non-limiting unless the preceding step must be logically and temporally performed before the subsequent step. In other words, except for the above exceptional cases, even if the process described as the subsequent step is performed before the process described as the preceding step, the essence of the disclosure is not affected,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also be defined regardless of the order of the steps.
  • expressions such as “have,” “may have,” “include,” or “may include” indicate the presence of a corresponding characteristic (eg, a numerical value,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such as a part).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additional features.
  •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 the present specification describes components necessary for the description of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ccordingly, some components may be changed or omitted, and other components may be added. In addition, they may be distributed and arranged in different independent devices.
  •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a display system 10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100 and a content source 200 .
  • the display device 100 is a device capable of receiving content from the content source 200 and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devices such as a TV, a PC, a laptop computer, a tablet, and a smart phone.
  • the content source 200 is a subject that provides content to the display device 100 .
  • the content source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tent providing device and a content provider.
  •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may be implemented as a set-top box 210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 a Blu-ray player (not shown), a mobile device 220 , etc.
  • the content provider provides the display device 100 .
  • Content may be provided through a server using an installed application (eg, You Tube TM , Netflix TM , etc.).
  • the level of sound heard by the user may be different for each content source.
  • the user may simultaneously display broadcast content and an image mirrored from the mobile device on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multi-view function, and reproduce the sound of the broadcast content.
  • the volume of the sound heard by the user is smaller than before,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volume value. It may be necessary to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to increase the .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device 110 , a display 120 , an audio output device 130 , and a processor 140 .
  •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transmit/receive various data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receive content from the content source 200 .
  •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include a receiver for receiving variou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LAN), an Internet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s well as BT (Bluetooth), BLE (Bluetooth Low Energy), It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I-FI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Fidelity Direct), Zigbee, NFC, and the like.
  •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include various communication modules for performing network communication.
  •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include a Bluetooth chip, a Wi-Fi chip,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and the like.
  • the display 120 is a configuration for displaying an image of content, and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liquid crystal on silicon (LCoS), a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and a quantum dot (QD). )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display panel.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 LCDoS liquid crystal on silicon
  •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 QD quantum dot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display various contents through the display 120 .
  • the content may be a concep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simultaneously display a plurality of content as well as one content on the display 120 .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simultaneously display different contents on the display 120 using various layouts. A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hereto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5 to 6 .
  • the audio output device 130 has a configuration capable of outputting various sounds, and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such as a speaker.
  • the audio output device 130 may output an audio signal provided by the content reproduced by the display device 100 .
  • the audio output device 130 may output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based on the currently set volume value.
  • the volume value is a volume level unit displayed on the volume UI on the display 120, and this volume level unit means a value set by the manufacturer by converting the volume size (eg, decibel) into a preset number. do.
  • this volume level unit means a value set by the manufacturer by converting the volume size (eg, decibel) into a preset number. do.
  • “15” is a volume level unit and represents a currently set volume value.
  •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device 130 A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o the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device 1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
  • the audio output apparatus 130 may simultaneously output the sou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but corresponds to one content designated by the user. It can output only sound.
  • the input volume of the first content source providing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providing volume 2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input volume of the content source. In this case, even if the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device 130 is the same, the volume of the sound provided to the user may vary due to a difference in input volume for each content source.
  • the processor 1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 the display 120 , and the audio output device 130 , and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
  • the processor 140 may be implemented as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 microprocessor, or a time controller (TCON) for processing a digital signal.
  •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 MCU micro controller unit
  • MPU micro processing unit
  • AP application processor
  • CP communication processor
  • ARM processor Artificial Intelligence
  • AI Artificial Intelligence
  • the processor 140 is a SoC (System on Chip (SoC) processing algorithm is built-in. ), may be implemented in large scale integration (LSI), or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 SoC System on Chip
  •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 the processor 140 executes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50 . By doing so, various functions can be performed.
  • the processor 140 controls the display 120 to simultaneously display a plurality of imag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ed from different content sources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 and one content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
  • the audio output device 130 may be controlled to output a sound corresponding to .
  • the processor 140 when the content to be sound output is changed in the audio output device 130 , the processor 140 outputs the sound of the content changed to a volum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output volume of the audio output device 130 so that the audio output device 130 outputs the sound. ) can be controlled.
  • the processor 140 may generate the second content sourc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input volume value included in an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 the processor 140 may change the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device 130 so that the sound of the second content is output at a volum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volume of the first content based on the input volume value of the second content source.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by providing a uniform volume to the user even if the sound output content is changed.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device 110 , a display 120 , an audio output device 130 , a processor 140 , a memory 150 , an input interface 160 , and a microphone 170 .
  • a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includ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2 among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3 will be omitted.
  • the processor 140 may include a status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41 , a status information analysis unit 142 , and a volume control unit 143 .
  • the processor 140 may acquire status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through the status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41 .
  • the status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ayout status of a plurality of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a type of displayed contents and a display position of each contents on the display 120 .
  • the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content currently outputting sound from the audio output device 130 .
  • the stat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41 may include a screen state acquisition unit 141-1, a volume acquisition unit 141-2, and a content sourc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41-3.
  • the screen state acquisition unit 141-1 may acquire state information of a screen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120 .
  • the screen state acquisition unit 141-1 may determine whether the screen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120 is currently in a normal viewing mode or a multi-view state, the number of split screens, and what content is currently sounded. information can be obtained.
  • the volume acquisition unit 141 - 2 may acquire volume information for each content.
  • the volume acquisition unit 141 - 2 may acquire an input volume value included in an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a content source that provides each content.
  • the volume acquisition unit 141 - 2 may acquire the input volume value as a 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LKFS) value.
  • LKFS means a standard unit of a volume valu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human auditory perception characteristics.
  • the content sourc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41-3 may acquire information on various content sources currently connected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based on an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source.
  • the content sourc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41-3 may acquire content source information including connection status, execution stat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etc. of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hrough HDMI or screen mirroring, a 3rd party or internal application, etc. can
  • the state information analyzer 142 may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state information acquirer 141 and adjust the output volume. For example, the state information analyzer 142 determines whether the content to be sound output has changed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to be sound output has changed, the volume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content value can be calculated.
  • the volume controller 143 may control to change the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device 130 to a volum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content.
  • the memory 1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140 and may store data necessary fo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memory 15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emory embedded in the display apparatus 100 o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emory that is detachable from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urpose of data storage. For example, data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100 is stored in a memory embedded in the display device 100 , and data for an extended func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detachable from the display device 100 . It can be stored in any available memory.
  • a volatile memory eg, dynamic RAM (DRAM), static RAM (SRAM), or synchronous dynamic RAM (SDRAM)
  • a non-volatile memory Examples: one time programmable ROM (OTPROM), programmable ROM (PROM),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flash memory (such as NAND flash or NOR flash, etc.) ), a hard drive, or a solid state drive (SSD), and in the case of a memory that is detachable from the display device 100, a memory card (eg, compact flash (CF), SD ( secure digital), Micro-SD (micro secure digital), Mini-SD (mini secure digital), xD (extreme digital), MMC (multi-media card), etc.), external memory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USB port (e.g., USB memory) and the like.
  • CF compact flash
  • SD secure digital
  • Micro-SD micro secure digital
  • Mini-SD mini
  • the processor 140 may store in the memory 150 a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device 130 changed according to a change in content to be sound output. Then, when the content to be sound output is changed in the audio output device 130, a volum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content is obtained from the memory 150 and the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device 130 is obtained as a volum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content. can be changed
  • the input interface 160 is configured to receive various user commands and information.
  • the processor 140 may execute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interface 160 , or may stor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interface 160 in the memory 150 .
  • the input interface 160 may receive a content change command to output sound, a volume value change command of the audio output device 130 , and the like from a user.
  • the input interface 160 may include a microphone 170 to receive a user command in the form of a voice, or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touch screen)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through a touch.
  • the display 12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hat forms a layer structure with the touch pad.
  • the touch screen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touch input position and area as well as a touch input pressure.
  • the microphone 170 may receive sound information generated around the display apparatus 100 .
  • the microphone 170 may receive a user's voice.
  • the user's voice may be a voice for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 for example, a voice for changing a content outputting sound.
  • the processor 140 may analyze the user's voice through a speech to text (STT) algorithm and determine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voice.
  • STT speech to text
  •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olume curve grap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processor 140 may change the volume value currently set in the audio output device 130 to a volume value set for the changed content.
  • the volume value may be provided based on decibels (dB), which is a value related to the actual sound level.
  • a change of a volume value (volume level) from 1 to 10 and a change from 50 to 60 are the same 10 level difference, but there is a big differ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ctual listening user.
  • volume level volume level
  • the difference in decibels may become narrower, and as the volume level is relatively large, the difference in decibel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volume level may decrease. Accordingly, even if a new volume value is provided according to a change in content to be sound output, natural usability may be provided to the user.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 plurality of content and volume UIs are displayed on a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display the first content on the first area 511 on the display 120 and display the second content on the second area 512 .
  • An indicator for displaying what content is currently outputting sound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
  • an indicator indicati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content with a thick line is displayed.
  • a volume UI 520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 volume value of the current audio output device 13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 Referring to FIG. 5 , it can be seen that the current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device 130 is 15.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 plurality of contents and a volume UI reflecting the changed volume value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when the contents outputting sound are changed.
  • FIG. 6 shows that the content currently being reproduced is changed from the first content displayed in the first area 611 to the second content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612 .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change the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130 according to a change in sound output content. For example, when the changed input volume value of the second content source providing the second content is smaller than the input volume value of the first content source providing the first content, the display apparatus 100 displays the output volume of the first content In order to output the sound of the second content at a volume corresponding to , the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device 130 may be increased. Referring to the volume UI 620 of FIG. 6 , it can be seen that the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device 130 is changed to 25 and the volume value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case of playing the first content.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by providing a uniform volume to the user even if the sound output content is changed.
  •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utomatically changing a volume value of an audio output device when content is changed.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obtain the current content source and volume value ( S710 ), and determine whether the content to be sound output has been changed ( S720 ).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determin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 S730 ). For example, based on information such as the layout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content currently outputting sound, and the input volume value of each content source providing a plurality of content, the audio output device 130 ),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a change to the volume value is necessary.
  • the display apparatus 100 determine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volume value of the currently playing content and the input volume value of the content to be chang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the display apparatus 100 displays the sound of the content to be changed to a volum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volume of the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 the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device 130 may be changed to be output.
  • an input volume value of the second content source is obtained as an LKFS value, 2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LKFS value of the content source and the LKFS value of the output volume of the first conte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the audio output device 130 outputs the sound of the second content at a volum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volume of the first content You can change the volume value of .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simultaneously display a plurality of imag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ed from different content sources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10 ( S810 ). In this case, a plurality of image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output a sound corresponding to one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through the audio output apparatus 130 ( S820 ).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output the sound of the content changed to a volum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output volume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130 ( S830 ). there is.
  • the display apparatus 100 obtains statu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ntents to be sound output from the audio output device 130 have been changed based on the obtained status information. can judge
  • the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content layou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and sound output information of the content.
  • the display apparatus 100 When the content to be sound output is changed from the first content received from the first content source to the second content received from the second content source, the display apparatus 100 generates an input volume included in an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ntent source. A value may be obtained, and the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device 130 may be changed so that the sound of the second content is output at a volum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volume of the first content based on the input volume value of the second content source.
  • the volume value is a volume level unit displayed on the volume UI on the display 120, and this volume level unit means a value set by the manufacturer by converting the volume size (eg, decibel) into a preset number. do.
  • the display apparatus 100 obtains the input volume value of the second content as a 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LKFS) valu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btained LKFS value and the LKFS value of the output volume of the first conte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 the sound of the second content may be output by applying the changed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device 130 to the input volume value of the second content source.
  • the display device 100 stores the changed volume value in the memory 150, and when the content to be sound output is changed in the audio output device 130, the volum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content is obtained from the memory 150, , the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device 130 may be changed to a volum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content.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display a volume UI indicating the changed volume value on the display 120 . Accordingly, the user may be notified that the volume value of the audio output device 130 has been chan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사운드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및 통신 장치를 통해 서로 다른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 받은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상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오디오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가 변경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의 현재 출력 음량에 대응되는 음량으로 변경된 컨텐츠의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오디오 출력 장치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의 볼륨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본 출원은 2020년 9월 10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0-0116137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출원의 모든 내용은 그 전체가 본 출원에 레퍼런스로 포함된다.
근래에는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여러 개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멀티 뷰(Multi-View)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모든 컨텐츠에 대한 사운드가 동시에 재생되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므로,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사운드만 재생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 중 사운드가 출력되는 컨텐츠가 변경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볼륨 레벨은 동일함에도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소스에 따라 서로 다른 음량이 제공되어, 컨텐츠 변경 전후 균일한 음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별도의 볼륨 조작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멀티 뷰 상태에서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 중 사운드가 출력되는 컨텐츠가 변경되더라도 별도의 조작 없이 균일한 음량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수신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사운드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서로 다른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 받은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상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가 제1 볼륨 값으로 제1 컨텐츠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사운드 출력되는 컨텐츠가 제2 컨텐츠로 변경되면,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볼륨 값을 제2 볼륨 값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볼륨 값으로 출력되는 제2 컨텐츠의 사운드의 음량은 상기 제1 볼륨 값으로 출력되는 제1 컨텐츠의 사운드의 음량에 대응된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가 제1 컨텐츠 소스로부터 수신한 제1 컨텐츠에서 제2 컨텐츠 소스로부터 수신한 제2 컨텐츠로 변경되면, 상기 제2 컨텐츠 소스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입력 음량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컨텐츠 소스의 입력 음량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컨텐츠의 출력 음량에 대응되는 음량으로 상기 제2 컨텐츠의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음량 값을 LKFS(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값으로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LKFS 값과 상기 제1 컨텐츠의 출력 음량의 LKFS 값의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제2 컨텐츠 소스의 입력 음량 값에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변경된 볼륨 값을 적용하여 상기 제2 컨텐츠의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컨텐츠의 출력 음량의 LKFS 값이 -24dB이 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경된 볼륨 값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가 변경되면, 변경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볼륨 값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변경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볼륨 값으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 레이아웃 정보 및 컨텐츠의 사운드 출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경된 볼륨 값을 나타내는 볼륨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수신부를 통해 서로 다른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 받은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 및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가 제1 볼륨 값으로 제1 컨텐츠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사운드 출력되는 컨텐츠가 제2 컨텐츠로 변경되면,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볼륨 값을 제2 볼륨 값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볼륨 값으로 출력되는 제2 컨텐츠의 사운드의 음량은 상기 제1 볼륨 값으로 출력되는 제1 컨텐츠의 사운드의 음량에 대응된다.
이 경우, 상기 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가 제1 컨텐츠 소스로부터 수신한 제1 컨텐츠에서 제2 컨텐츠 소스로부터 수신한 제2 컨텐츠로 변경되면, 상기 제2 컨텐츠 소스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입력 음량 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컨텐츠 소스의 입력 음량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컨텐츠의 출력 음량에 대응되는 음량으로 상기 제2 컨텐츠의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입력 음량 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음량 값을 LKFS(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값으로 획득하고, 상기 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LKFS 값과 상기 제1 컨텐츠의 출력 음량의 LKFS 값의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제2 컨텐츠 소스의 입력 음량 값에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변경된 볼륨 값을 적용하여 상기 제2 컨텐츠의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볼륨 값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컨텐츠의 출력 음량의 LKFS 값이 -24dB이 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변경된 볼륨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가 변경되면, 변경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볼륨 값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륨 값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볼륨 값으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 레이아웃 정보 및 컨텐츠의 사운드 출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변경된 볼륨 값을 나타내는 볼륨 UI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 커브 그래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컨텐츠 및 볼륨 UI가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사운드가 출력되는 컨텐츠가 변경된 경우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컨텐츠 및 변경된 볼륨 값을 반영한 볼륨 UI가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컨텐츠 변경 시 디스플레이 장치의 볼륨 값이 자동으로 변경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설명에 있어서 각 단계의 순서는 선행 단계가 논리적 및 시간적으로 반드시 후행 단계에 앞서서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각 단계의 순서는 비제한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위와 같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후행 단계로 설명된 과정이 선행단계로 설명된 과정보다 앞서서 수행되더라도 개시의 본질에는 영향이 없으며 권리범위 역시 단계의 순서에 관계없이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의 각 실시 예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설명한 것이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일부 구성요소는 변경 또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독립적인 장치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개시가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컨텐츠 소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소스(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로서 TV, 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 폰 등으로 다양한 타입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컨텐츠 소스(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체이다. 컨텐츠 소스(200)는 컨텐츠 제공 기기 및 컨텐츠 제공 업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제공 기기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되는 셋탑 박스(210), 블루레이 플레이어(미도시), 모바일 기기(220)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컨텐츠 제공 업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230, 예를 들어, You TubeTM, 넷플릭스TM 등)을 이용하여 서버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동일한 볼륨 값이 설정되더라도 컨텐츠 소스 별로 사용자에게 들리는 소리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멀티 뷰 기능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방송 컨텐츠 및 모바일 기기로부터 미러링한 영상을 동시에 표시하고, 방송 컨텐츠의 사운드를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가 셋탑 박스로부터 수신한 방송 컨텐츠의 사운드에서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의 사운드로 변경되면, 이전에 비해 사용자에게 들리는 소리의 크기가 작아 사용자는 볼륨 값을 증가시키는 별도의 조작을 해야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운드가 출력될 컨텐츠가 변경되는 경우 이전 컨텐츠의 출력 음량에 대응되는 음량으로 변경된 컨텐츠의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볼륨을 변경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장치(110), 디스플레이(120), 오디오 출력 장치(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1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10)는 컨텐츠 소스(200)로부터 컨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다. 통신 장치(110)는 외부 장치로부터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110)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인터넷 네트워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BT(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Wireless Fidelity Direct), Zigbee, NFC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 등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장치(110)는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10)는 블루투스 칩, 와이파이 칩, 무선 통신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LP(Digital Light Processing), QD(quantum dot)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에 하나의 컨텐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레이아웃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120)에 서로 다른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도 5 내지 6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오디오 출력 장치(130)는 다양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구성으로, 스피커와 같은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해 재생되는 컨텐츠가 제공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30)는 현재 설정된 볼륨 값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볼륨 값은 디스플레이(120) 상의 볼륨 UI에 표시되는 볼륨 레벨 단위이며, 이러한 볼륨 레벨 단위는 제조사가 볼륨의 크기(예를 들어, 데시벨)를 기설정된 숫자로 변환하여 설정한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볼륨 UI(520)를 참고하면, “15”는 볼륨 레벨 단위이며 현재 설정된 볼륨 값을 나타낸다.
오디오 출력 장치(130)의 볼륨 값과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도 4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하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30)는 복수의 컨텐츠 각각의 사운드를 동시에 출력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지정한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사운드만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130)에서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가 제1 컨텐츠에서 제2 컨텐츠로 변경되는 경우, 제1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1 컨텐츠 소스의 입력 음량과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2 컨텐츠 소스의 입력 음량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30)의 볼륨 값이 동일하여도 컨텐츠 소스 별 입력 음량 차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사운드의 음량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사운드 출력되는 컨텐츠가 변경되더라도 사용자에게 균일한 음량을 제공하기 위해 오디오 출력 장치(130)의 볼륨 값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130)의 볼륨 값 변경과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프로세서(140)는 통신 장치(110), 디스플레이(120) 및 오디오 출력 장치(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AI(Artificial Intelligence)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를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통신 장치(110)를 통해 서로 다른 컨텐츠 소스(200)로부터 제공 받은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상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하고,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오디오 출력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오디오 출력 장치(130)에서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가 변경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130)의 현재 출력 음량에 대응되는 음량으로 변경된 컨텐츠의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오디오 출력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오디오 출력 장치(130)에서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가 제1 컨텐츠 소스로부터 수신한 제1 컨텐츠에서 제2 컨텐츠 소스로부터 수신한 제2 컨텐츠로 변경되면, 제2 컨텐츠 소스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입력 음량 값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제2 컨텐츠 소스의 입력 음량 값에 기초하여 제1 컨텐츠의 출력 음량에 대응되는 음량으로 제2 컨텐츠의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오디오 출력 장치(130)의 볼륨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운드 출력되는 컨텐츠가 변경되더라도 사용자에게 균일한 음량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장치(110), 디스플레이(120), 오디오 출력 장치(130), 프로세서(140), 메모리(150), 입력 인터페이스(160) 및 마이크(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 중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40)는 상태 정보 취득부(141), 상태 정보 분석부(142) 및 볼륨 제어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상태 정보 취득부(141)를 통해 디스플레이(120) 상에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태 정보란 디스플레이(120) 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의 레이아웃 상태와 관련한 정보, 예컨대 표시된 컨텐츠의 종류 및 각 컨텐츠의 디스플레이(120) 상에서의 표시 위치와 같은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태 정보는 현재 오디오 출력 장치(130)에서 사운드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정보 취득부(141)는 화면 상태 취득부(141-1), 음량 취득부(141-2) 및 컨텐츠 소스 정보 취득부(141-3)를 포함할 수 있다.
화면 상태 취득부(141-1)는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제공하는 화면의 상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상태 취득부(141-1)는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제공하는 화면이 현재 일반 시청 모드인지, 멀티 뷰 상태인지, 분할 화면의 개수, 현재 사운드 출력되는 컨텐츠는 무엇인지 등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음량 취득부(141-2)는 각각의 컨텐츠에 대한 음량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량 취득부(141-2)는 각각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소스로부터 전송 받은 입력 신호에 포함된 입력 음량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음량 취득부(141-2)는 입력 음량 값을 LKFS(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값으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LKFS란 사람의 청각 인지 특성을 고려하여 계산된 볼륨 값의 표준 단위를 의미한다.
컨텐츠 소스 정보 취득부(141-3)는 컨텐츠 소스로부터 전송 받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다양한 컨텐츠 소스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소스 정보 취득부(141-3)는 HDMI 또는 스크린 미러링 등으로 연결된 외부 장치, 3rd Party 혹은 내부 어플리케이션 등의 연결 상태, 실행 상태,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 소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태 정보 분석부(142)는 상태 정보 취득부(141)를 통해 획득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여 출력 음량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정보 분석부(14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가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변경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볼륨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볼륨 제어부(143)는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가 변경되면 변경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볼륨 값으로 오디오 출력 장치(130)의 볼륨 값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프로세서(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등), USB 포트에 연결 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의 변경에 따라 변경된 오디오 출력 장치(130)의 볼륨 값을 메모리(15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 장치(130)에서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가 변경되면, 변경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볼륨 값을 메모리(150)로부터 획득하여 변경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볼륨 값으로 오디오 출력 장치(130)의 볼륨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6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 및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구성이다. 프로세서(140)는 입력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거나, 입력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메모리(15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60)는 사운드가 출력될 컨텐츠 변경 명령, 오디오 출력 장치(130)의 볼륨 값 변경 명령 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60)는 사용자 명령을 음성 형태로 수신하기 위해 마이크(170)를 포함하거나, 사용자 명령을 터치로 입력 받기 위한 디스플레이(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20)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170)는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음성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음성, 예컨대 사운드가 출력되는 컨텐츠를 변경하기 위한 음성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마이크(185)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면, STT(Speech to text)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기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 커브 그래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오디오 출력 장치(130)에서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가 변경되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현재 오디오 출력 장치(130)에서 설정된 볼륨 값을 변경된 컨텐츠에 대하여 설정되는 볼륨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급격하게 볼륨 값이 변화하면 오디오 출력 장치(130)를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가 부자연스럽게 인식되거나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사운드의 크기에 관한 값인 데시벨(dB)을 기준으로 볼륨 값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륨 값(볼륨 레벨)이 1에서 10으로의 변화와 50에서 60으로의 변화는 같은 10 레벨의 차이지만 실제 듣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차이가 크다. 상술한 볼륨 커브 그래프를 이용하는 경우 볼륨 레벨이 클수록 데시벨의 차이는 좁아져서, 볼륨 레벨이 상대적으로 클수록 볼륨 레벨의 변화에 따른 데시벨의 차이는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의 변경에 따른 새로운 볼륨 값이 제공되더라도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7을 참고하여,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가 변경되는 경우 이전 컨텐츠의 출력 음량에 대응되는 음량으로 변경된 컨텐츠의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자동으로 오디오 출력 장치의 볼륨 값을 변경하는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컨텐츠 및 볼륨 UI가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 상의 제1 영역(511)에 제1 컨텐츠를 표시하고, 제2 영역(512)에 제2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에는 현재 사운드 출력 중인 컨텐츠가 무엇인지 표시하기 위한 지시자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1 영역(511)에 표시된 제1 컨텐츠가 재생 중이므로 제1 컨텐츠의 주변을 굵은 선으로 표시하는 지시자를 표시하였다.
또한, 디스플레이(120)에는 현재 오디오 출력 장치(130)의 볼륨 값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볼륨 UI(520)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현재 오디오 출력 장치(130)의 볼륨 값은 15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사운드가 출력되는 컨텐츠가 변경된 경우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컨텐츠 및 변경된 볼륨 값을 반영한 볼륨 UI가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가 제1 영역(611)에 표시된 제1 컨텐츠에서 제2 영역(612)에 표시된 제2 컨텐츠로 변경된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운드 출력되는 컨텐츠가 변경됨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130)의 볼륨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경된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2 컨텐츠 소스의 입력 음량 값이 제1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1 컨텐츠 소스의 입력 음량 값보다 작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컨텐츠의 출력 음량에 대응되는 음량으로 제2 컨텐츠의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해 오디오 출력 장치(130)의 볼륨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의 볼륨 UI(620)를 참고하면, 오디오 출력 장치(130)의 볼륨 값이 25로 변경되어, 제1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 비해 볼륨 값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운드 출력되는 컨텐츠가 변경되더라도 사용자에게 균일한 음량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컨텐츠 변경 시 오디오 출력 장치의 볼륨 값이 자동으로 변경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컨텐츠 소스 및 볼륨 값을 획득(S710)하고,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720)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가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판단(S73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컨텐츠의 레이아웃, 현재 사운드 출력 중인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 복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각각의 컨텐츠 소스의 입력 음량 값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130)의 볼륨 값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입력 음량 값과 변경될 컨텐츠의 입력 음량 값의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출력 음량에 대응되는 음량으로 변경될 컨텐츠의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오디오 출력 장치(130)의 볼륨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가 제1 컨텐츠 소스로부터 수신한 제1 컨텐츠에서 제2 컨텐츠 소스로부터 수신한 제2 컨텐츠로 변경되면, 제2 컨텐츠 소스의 입력 음량 값을 LKFS 값으로 획득하고, 제2 컨텐츠 소스의 입력 LKFS 값과 제1 컨텐츠의 출력 음량의 LKFS 값의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이면, 제1 컨텐츠의 출력 음량에 대응되는 음량으로 제2 컨텐츠의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오디오 출력 장치(130)의 볼륨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장치(110)를 통해 서로 다른 컨텐츠 소스(200)로부터 제공 받은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상을 동시에 표시(S810)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영상은 디스플레이(12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 장치(130)를 통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출력(S820)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 장치(130)에서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가 변경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130)의 현재 출력 음량에 대응되는 음량으로 변경된 컨텐츠의 사운드를 출력(S83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 상에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130)에서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태 정보는 디스플레이(120)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 레이아웃 정보 및 컨텐츠의 사운드 출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가 제1 컨텐츠 소스로부터 수신한 제1 컨텐츠에서 제2 컨텐츠 소스로부터 수신한 제2 컨텐츠로 변경되면, 제2 컨텐츠 소스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입력 음량 값을 획득하고, 제2 컨텐츠 소스의 입력 음량 값에 기초하여 제1 컨텐츠의 출력 음량에 대응되는 음량으로 제2 컨텐츠의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오디오 출력 장치(130)의 볼륨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볼륨 값은 디스플레이(120) 상의 볼륨 UI에 표시되는 볼륨 레벨 단위이며, 이러한 볼륨 레벨 단위는 제조사가 볼륨의 크기(예를 들어, 데시벨)를 기설정된 숫자로 변환하여 설정한 값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컨텐츠의 입력 음량 값을 LKFS(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값으로 획득하고, 획득한 LKFS 값과 제1 컨텐츠의 출력 음량의 LKFS 값의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이면 제2 컨텐츠 소스의 입력 음량 값에 오디오 출력 장치(130)의 변경된 볼륨 값을 적용하여 제2 컨텐츠의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변경된 볼륨 값을 메모리(150)에 저장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130)에서 사운드 출력될 컨텐츠가 변경되면, 변경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볼륨 값을 메모리(150)로부터 획득하여, 변경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볼륨 값으로 오디오 출력 장치(130)의 볼륨 값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변경된 볼륨 값을 나타내는 볼륨 UI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130)의 볼륨 값이 변경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수신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사운드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서로 다른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 받은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상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가 제1 볼륨 값으로 제1 컨텐츠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사운드 출력되는 컨텐츠가 제2 컨텐츠로 변경되면,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볼륨 값을 제2 볼륨 값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볼륨 값으로 출력되는 제2 컨텐츠의 사운드의 음량은 상기 제1 볼륨 값으로 출력되는 제1 컨텐츠의 사운드의 음량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운드 출력되는 컨텐츠가 제1 컨텐츠 소스로부터 수신한 제1 컨텐츠에서 제2 컨텐츠 소스로부터 수신한 제2 컨텐츠로 변경되면, 상기 제2 컨텐츠 소스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입력 음량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컨텐츠 소스의 입력 음량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컨텐츠의 출력 음량에 대응되는 음량으로 상기 제2 컨텐츠의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볼륨 값을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음량 값을 LKFS(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값으로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LKFS 값과 상기 제1 컨텐츠의 출력 음량의 LKFS 값의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제2 컨텐츠 소스의 입력 음량 값에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변경된 볼륨 값을 적용하여 상기 제2 컨텐츠의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컨텐츠의 출력 음량의 LKFS 값이 -24dB이 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볼륨 값을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경된 볼륨 값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서 사운드 출력되는 컨텐츠가 변경되면, 변경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볼륨 값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변경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볼륨 값으로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볼륨 값을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서 사운드 출력되는 컨텐츠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 레이아웃 정보 및 컨텐츠의 사운드 출력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경된 볼륨 값을 나타내는 볼륨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수신부를 통해 서로 다른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 받은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 및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가 제1 볼륨 값으로 제1 컨텐츠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사운드 출력되는 컨텐츠가 제2 컨텐츠로 변경되면,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볼륨 값을 제2 볼륨 값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볼륨 값으로 출력되는 제2 컨텐츠의 사운드의 음량은 상기 제1 볼륨 값으로 출력되는 제1 컨텐츠의 사운드의 음량에 대응되는,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 출력되는 컨텐츠가 제1 컨텐츠 소스로부터 수신한 제1 컨텐츠에서 제2 컨텐츠 소스로부터 수신한 제2 컨텐츠로 변경되면, 상기 제2 컨텐츠 소스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입력 음량 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컨텐츠 소스의 입력 음량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컨텐츠의 출력 음량에 대응되는 음량으로 상기 제2 컨텐츠의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볼륨 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음량 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음량 값을 LKFS(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값으로 획득하고,
    상기 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LKFS 값과 상기 제1 컨텐츠의 출력 음량의 LKFS 값의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제2 컨텐츠 소스의 입력 음량 값에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변경된 볼륨 값을 적용하여 상기 제2 컨텐츠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볼륨 값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컨텐츠의 출력 음량의 LKFS 값이 -24dB이 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볼륨 값을 변경하는,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볼륨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서 사운드 출력되는 컨텐츠가 변경되면, 변경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볼륨 값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륨 값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볼륨 값으로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볼륨 값을 변경하는, 제어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서 사운드 출력되는 컨텐츠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 레이아웃 정보 및 컨텐츠의 사운드 출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PCT/KR2021/012335 2020-09-10 2021-09-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205529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137A KR20220033818A (ko) 2020-09-10 2020-09-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20-0116137 2020-09-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5294A1 true WO2022055294A1 (ko) 2022-03-17

Family

ID=80632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2335 WO2022055294A1 (ko) 2020-09-10 2021-09-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33818A (ko)
WO (1) WO202205529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945B1 (ko) * 2013-04-03 2015-01-16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그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KR101695840B1 (ko) * 2015-11-19 2017-01-13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라우드니스 기반의 디지털 tv 음량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29978B1 (ko) * 2017-02-21 2017-04-25 (주) 케이투이 Uhd 4k 멀티 뷰어장치
KR101964359B1 (ko) * 2017-11-14 2019-04-01 네오컨버전스 주식회사 딥러닝용 오디오 데이터 생성방법 및 장치
KR20190125219A (ko) * 2018-04-27 2019-11-06 가우디오랩 주식회사 라우드니스 레벨을 제어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945B1 (ko) * 2013-04-03 2015-01-16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그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KR101695840B1 (ko) * 2015-11-19 2017-01-13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라우드니스 기반의 디지털 tv 음량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29978B1 (ko) * 2017-02-21 2017-04-25 (주) 케이투이 Uhd 4k 멀티 뷰어장치
KR101964359B1 (ko) * 2017-11-14 2019-04-01 네오컨버전스 주식회사 딥러닝용 오디오 데이터 생성방법 및 장치
KR20190125219A (ko) * 2018-04-27 2019-11-06 가우디오랩 주식회사 라우드니스 레벨을 제어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818A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73493A1 (en) Changing companion communication device behavior based on status of wearable device
WO20161637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camera
WO20131223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mart voice recognition
WO2019022539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SPEAKER
US201500619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content
WO2017119682A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3042968A2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음향기기의 특성에 대한 보상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40739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an output device between multimedia device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O2017039255A1 (ko) 이어셋, 이어셋 시스템 및 이어셋 제어방법
US1141234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80069576A (ko) 영상제공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영상제공시스템
WO2022030893A1 (ko) 오디오 공유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22032996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903176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2055294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26817B1 (ko) 콘텐츠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2021001911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013046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164326A1 (ko) 실시간 콘텐트 데이터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WO2019035617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HEREFOR
WO2019059492A1 (en) ELECTRONIC APPARATUS, ITS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22092535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111243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TWI828241B (zh) 增強音頻信號之方法及裝置及相關的非暫時性電腦可讀媒體
WO2020262823A1 (ko) 영상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671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671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