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50576A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50576A1
WO2022050576A1 PCT/KR2021/010040 KR2021010040W WO2022050576A1 WO 2022050576 A1 WO2022050576 A1 WO 2022050576A1 KR 2021010040 W KR2021010040 W KR 2021010040W WO 2022050576 A1 WO2022050576 A1 WO 202205057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outlet
air
panel
guide
guid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004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준
권형진
김진백
박규태
변나영
서용호
윤성현
조은성
한동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205057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50576A1/ko
Priority to US18/110,50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19412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9Ax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 F24F1/0284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with horizontally arranged fan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the Coanda effect

Definitions

  • the first rib part guides the air guided by the guide panel to the right
  • the second rib part guides the air guided by the guide panel downward
  • the third rib part guides the guide panel It is possible to guide the air guided by the to the lef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1 taken along the leader line V-V'.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7 along the leader line VIII-VIII'.
  •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section taken along the leader line XIV-XIV' of th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13 .
  • FIG. 16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13 includes a guide pane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 the terms “front”, “rear”, “left” and “right”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hape and position of each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se terms.
  • the direction (X) in which the guide panel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is defined forward, and the rearward, left-right direction, and up-down direction are defined based on this.
  • the housing 10 includes a body frame 12 accommodating the blower 3 , the heat exchanger 2 , and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and is disposed in front of the body frame 12 to provide a front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1 . It may include a front frame 11 forming a part of. The front frame 11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body frame 12 .
  • 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guide panel 100 that forms a front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1 and is disposed in front of the blower 3 to cover the blower 3 .
  • the guide panel 1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opening 14 of the front frame 11 .
  • the guide panel 100 may form the outlet 4 of the air conditioner 1 together with the front frame 11 .
  •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pening 14 and the guide panel 100 may correspond to the outlet (4). Since the guide panel 100 is spaced forward from the blower hole 13, the air discharged forward by the blower 3 is blown through the blower passage 5 formed between the blower hole 13 and the guide panel 100 (Fig. 5). reference) an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er 1 through the outlet 4 .
  • the guide panel 100 is disposed behind the outer panel 110 and the outer panel 110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1 , and is disposed on the outer panel 110 . It is coupled and may include an inner panel 120 on which a coupling hook 150 for fixing the guide panel 100 to the front frame 11 is formed.
  • the outer panel 110 may include a front plate 111 forming the front exterior of the air conditioner 1 and a first inner wall 112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late 111
  • the inner panel 120 may include a rear plate 121 forming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panel 100 and a second inner wall body 122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plate 121 .
  • Each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arts 122b may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corresponding coupling part 112b.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parts 112b may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corresponding coupling part 122b.
  • the coupling part 122b protrude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uct wall 122a or the coupling part 112b protrude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uct wall 112a
  • the coupling part 122b and the coupling part 112b are coupled.
  • the first inner wall 112 and the second inner wall 12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duct wall 112a and the second duct wall 122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first inner wall 112 and the second inner wall 12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only at the fastening portion 112b and the connecting portion 122b, respectively, and the remaining portion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Z) of the first inner wall body 112 may be smaller than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Z) of the front plate 111 .
  •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Z) of the second inner wall 122 may be smaller than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Z) of the rear plate 121 .
  • the first to third gap portions 131a - c may be provided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to third gap portions 131a - c may be partitioned so as not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 each of the first to third gap portions 131a - c may correspond to one inlet 131
  • the guide panel 100 may be viewed as having a plurality of inlet 131 .
  • a first through hole 122c may be formed in the second inner wall 122
  • a second through hole 121a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122c may be formed in the rear plate 121
  • a third through hole 140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hrough hole 121a may be formed in the outlet duct 140 .
  • the first to third through holes 122c , 121a and 140a are integral through holes penetrating the inner panel 120 and the outlet duct 140 .
  • a suction flow path formed by a part of the suction flow path 130 formed by the first inner wall body 112 and the second inner wall body 122 and the outlet duct 140 A portion of 13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s 122c, 121a, and 140a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22c, 121a, and 140a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outlet ducts 140 .
  • the outlet duct 140 may be disposed behind the rear plate 121 , and may be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plate 121 .
  • the rear plate 121 may include a duct fixing groove 121b into which the outlet duct 140 is inserted and fixed, and the outlet duct 140 is inserted into the duct fixing groove 121b to be coupled.
  • Through-holes 122c, 121a, 140a may be formed in one surface of the duct fixing groove 121b.
  • the front plate 111 is a guide curved surface ( 113) may be included.
  • One side of the guide curved surface 113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 131 , and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outlet 4 .
  • the guide curved surface 113 may extend along the inlet 131 .
  • the guide curved surface 113 may extend along the outlet 4 .
  • the air heat-exchanged with the heat exchanger 2 may be discharged to the outlet 4 by the blower 3 .
  • the guide panel 100 may chang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4 by sucking a portion of the air around the outlet 4 .
  •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haust air flow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through the outlet 4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fan 141 acting o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outlet 4 through the suction flow path 130 is When the suction fan 141 is not operated, it may be switch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haust air flow proceeds.
  • the outlet 4 includes a first area 4a adjacent to the left end of the guide panel 100 , a second area 4b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guide panel 100 , and the guide panel 100 . It may include a third region 4c adjacent to the right end, and the guide panel 100 includes an airflow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region 4a, an airflow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region 4b, and a third region ( Each of the airflows discharged through 4c) can be guided in different directions.
  • the first region 4a may be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guide panel 100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Z in parallel with the guide panel 100
  • the second region 4b is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panel 100
  • the third region 4c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guide panel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 Z) can be extended.
  • One end of the first region 4a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region 4b
  • one end of the third region 4c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gion 4b .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to third regions 4a - c may be partitioned so as not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guide panel 100 operates and the suction flow path ( By sucking air into the interior of 130 , the guide panel 100 may chang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exhaust airflow in the first region 4a to the A2 direction. In other words, some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region 4a may be sucked into the suction passage 130 through the first gap portion 131a, and the exhaust airflow discharged forward from the first region 4a. may be switched to face right.
  • the first curved portion 113a may also guide the exhaust airflow discharged from the first region 4a to the right.
  • the guide panel 100 may chang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exhaust airflow in the third region 4c to the B2 direction. In other words, some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region 4c may be sucked into the suction passage 130 through the third gap portion 131c, and the exhaust airflow discharged forward from the third region 4c. may be switched to face left.
  • the third curved portion 113c may also guide the exhaust airflow discharged from the third region 4c toward the left.
  • the guide panel 100 operates and the suction flow path ( By sucking air into the interior of 130 , the guide panel 100 may chang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exhaust airflow in the second region 4b to the C2 direction. In other words, some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region 4b may be sucked into the suction passage 130 through the second gap portion 131b, and the exhaust airflow discharged forward from the second region 4b. may be switched to face downward.
  • the second curved portion 113b may also guide the exhaust airflow discharged from the second region 4b downward.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flow path 130 through the first to third gaps 131a-c is discharged into the housing 10 through the outlet 132, and then moves again to the blower flow path 5 to the outlet.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4).
  • the main frame 12 and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main frame 12 are used as they are and only the front frame 11 and the guide panel 100 are separately mounted, so that th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1 ( 1) can be manufactured, so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 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1 includes a guide pane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7 along the leader line VIII-VIII'.
  •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eader line IX-IX' of th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7 .
  • the guide panel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ction passages 130a - c.
  • the plurality of suction passages 130a-c include a first suction passage 130a connected to the first gap portion 131a, a second intake passage 130b connected to the second gap portion 131b, and a third It may include a third suction flow path 130c connected to the gap portion 131c.
  • the first suction flow path 130a and the third suction flow path 130c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Z), and the second suction flow path 130b may exte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Y).
  • the guide panel 2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ner wall body 212 and the second inner wall body 222 and includes a first suction flow path 130a, a second suction flow path 130b, and a third suction flow path 130c. It may include a flow path wall 223 forming a.
  • the flow path wall 223 includes a first flow path wall 223a that forms a first suction flow path 130a together with the first inner wall body 212 and the second inner wall body 222, and a first inner wall body ( 212 ) and a second flow path wall 223b forming a second suction flow path 130b together with the second inner wall body 222 , and a third together with the first inner wall body 212 and the second inner wall body 222 .
  • a third flow path wall 223c forming the suction flow path 130c may be included.
  • the auxiliary outlet 7 may include a first auxiliary outlet 7a formed at the left end of the housing 10 and a second auxiliary outlet 7b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housing 10 .
  • the housing 10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10a, which partitions a first auxiliary outlet 7a and a first area 4a of the outlet 4, and a second auxiliary outlet ( 7b) and the third region 4c of the outlet 4 may be partitioned. Accordingly, the auxiliary outlet 7 can be separated from the outlet 4 .
  • the partition wall 10a may form a first auxiliary outlet 7a and a second auxiliary outlet 7b.
  • the partition wall 10a may form a part of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8a and a part of the second auxiliary flow path 9a.
  • the fan driving unit 6b may drive the blowing fan 6a and may include a motor.
  • the fan body case 6c may be fixed inside the housing 10 and may cover the blowing fan 6a.
  • the fan body case 6c may include a fan inlet (not shown)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a fan outlet 6ca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first duct 8 that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and divides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8a and the blowing flow path 5 .
  • the first duct 8 may be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blower 3 ,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have a cross-section of approximately the same shap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 a first auxiliary flow path 8a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duct 8 .
  • first auxiliary flow path 8a may include a flow path connecting the second blower 6 and the first auxiliary outlet 7a.
  • the first duct 8 may gu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blown by the second blower 6 to the first auxiliary outlet 7a. In other words, a part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blower 6 may flow along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8a an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er through the first auxiliary outlet 7a.
  •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second duct 9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and divides the second auxiliary flow path 9a and the blowing flow path 5 .
  • the second duct 9 may be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blower 3 ,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have a cross-section of approximately the same shap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 a second auxiliary flow path 9a may be formed inside the second duct 9 .
  •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distribution device 2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flow rate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uxiliary outlet 7a and the second auxiliary outlet 7b.
  • the dispensing device 20 may be disposed adjacent the fan outlet 6ca.
  • the distribution device 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8a and the second auxiliary flow path 9a.
  • the first blower 3 and the suction fan 141 of the guide panel 100 are operated, and the second blower 6 is not operated.
  • the first blower 3 sucks air outside the housing 10 through an inlet (not shown)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 , and the air sucked into the housing 10 is inside the housing 10 .
  • Heat is exchang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2) to be disposed, and the first blower (3) flows the air heat-exchanged with the heat exchanger (2) through the air flow path (5)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through the outlet (4).
  • the air behind the first blower 3 may be discharged toward the front of the first blower 3 to be discharged.
  • the first blower 3 and the second blower 6 are operated, and the suction fan 141 of the guide panel 100 is not operated.
  • the first blower 3 sucks air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into the housing 10 through an inlet (not shown) as in the first mode, and the heat exchanger 2 inside the housing 10 and The heat-exchanged air is discharged toward the outlet (4). Since the suction fan 141 is not operated, the exhaust air flow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4 may proceed approximately toward the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without being changed by the guide panel 100 .
  • the second blower 6 sucks air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into the housing 10 through an inlet (not shown)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 ,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 . may be discharged to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8a and the second auxiliary flow path 9a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lowing flow path 5 by the second blower 6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blower 6 .
  • the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blower 3 and the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blower 6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air moved to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8a and the second auxiliary flow path 9a moves upward on each of the auxiliary flow paths 8a and 9a, and then the first auxiliary outlet 7a and the second auxiliary outlet 7b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through the
  • the exhaust air flow discharged through the auxiliary outlet 7 may proceed approximately toward the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and may be mixed with the exhaust air flow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4 to move together.
  • the second blower 6 When the air conditioner is driven in the third mode, the second blower 6 is operated, and the first blower 3 and the suction fan 141 of the guide panel 100 are not operated.
  • the second blower 6 sucks air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through an inlet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 ,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is the second blower After passing through (6), it may be discharged to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8a and the second auxiliary flow path 9a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lower flow path 5 by the second blower 6 .
  • the air moved to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8a and the second auxiliary flow path 9a moves upward on each of the auxiliary flow paths 8a and 9a, and then the first auxiliary outlet 7a and the second auxiliary outlet 7b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through the The exhaust air flow discharged through the auxiliary outlet 7 may proceed toward the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 the air conditioner can blow air that has not been heat-exchanged, so it can simply circulate indoor air or provide strong wind to the user.
  •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guide rib 310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frame 11 and guiding the exhaust airflow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4 .
  • the guide rib 310 protrudes from the left end of the front frame 11 and includes a first rib part 310a covering the left edge of the guide panel 300, and the guide panel (310)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front frame 11 ( It may include a second rib part 310b covering the upper edge of 300 , and a third rib part 310c protruding from the right end of the front frame 11 and covering the right edge of the guide panel 300 .
  • At least two of the first to third rib parts 310a - c may be integrally fo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to third rib parts 310a-c may be provided to be all separated.
  • the outlet 4 may include a spaced apart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s 310aa , 310ba and 310ca of the guide rib 310 and the outer surface 300a of the guide panel 300 .
  • the first region 4a of the outlet 4 may include a spaced apart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310aa of the first guide rib 310a and the outer surface 300a of the guide panel 300
  • the outlet 4 may include a spaced apart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310ba of the second guide rib 310b and the outer surface 300a of the guide panel 300
  • the third area ( 4c) may include a spaced apart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310ca of the third guide rib 310c and the outer surface 300a of the guide panel 300 .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 된 공기를 전방을 향해 토출하는 송풍기 및 상기 송풍기를 전방에서 커버하고, 상기 하우징과 함께 상기 송풍기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아웃렛을 형성하며, 상기 아웃렛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를 흡입하여 나머지가 하방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패널은 외측 패널 및 상기 외측 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외측 패널과 함께 상기 아웃렛 주변의 공기 중 일부가 흡입되는 흡입 유로를 형성하는 내측 패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본 개시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기류제어 구조를 가진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도록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 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반대 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킬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는 냉방 기능과 함께 제습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에서 제공하는 제습기능에는 냉방효과가 수반되는데, 순수한 제습만을 원하는 사용자들의 요구에 맞추어 냉방효과가 수반되지 않는 제습기능의 구현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를 통한 공기의 토출 속도를 최대한 낮게 하여 공기조화기의 냉방 풍속을 거의 느낄 수 없게 하면서 실내의 쾌적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냉방 풍속을 느끼지 않도록 하면서도 실내의 쾌적 온도 또는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부품들을 이용함으로써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 된 공기를 전방을 향해 토출하는 송풍기; 및 상기 송풍기를 전방에서 커버하고, 상기 하우징과 함께 상기 송풍기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아웃렛을 형성하며, 상기 아웃렛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를 흡입하여 나머지가 하방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패널은 외측 패널; 및 상기 외측 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외측 패널과 함께 상기 아웃렛 주변의 공기 중 일부가 흡입되는 흡입 유로를 형성하는 내측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패널은 상기 흡입 유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유로 내부에 기류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석션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패널은 상기 외측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외측 패널과 상기 내측 패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 유로는 상기 아웃렛과 연통되어 상기 아웃렛 주변의 공기 중 일부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토출하는 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는 상기 가이드 패널의 좌측단과, 상단과, 우측단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는 복수의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입구 각각은 상기 가이드 패널의 좌측단과, 상단과, 우측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유로는 복수의 흡입 유로로서, 각각의 흡입 유로는 상기 복수의 유입구 각각에 대응되고, 상기 석션팬은 복수의 석션팬으로서, 각각의 석션팬은 상기 복수의 흡입 유로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아웃렛은 상기 가이드 패널의 좌측단과, 상단과, 우측단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측 패널은 상기 송풍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기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아웃렛을 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아웃렛은 상기 가이드 패널의 좌측단과 인접하는 제1 영역과, 상기 가이드 패널의 상단과 인접하는 제2 영역과, 상기 가이드 패널의 우측단과 인접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패널은 상기 제1 영역을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유입구로 유입하여 나머지가 우방을 향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제2 영역을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유입구로 유입하여 나머지가 하방을 향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제3 영역을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유입구로 유입하여 나머지가 좌방을 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외측 패널은 상기 유입구와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아웃렛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외측 패널의 중심부로 안내하는 안내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렛은 상기 가이드 패널의 좌측단과 인접하는 제1 영역과, 상기 가이드 패널의 상단과 인접하는 제2 영역과, 상기 가이드 패널의 우측단과 인접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곡면은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우방을 향하도록 안내하는 제1 곡면부와,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하방을 향하도록 안내하는 제2 곡면부와, 상기 제3 영역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좌방을 향하도록 안내하는 제3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석션팬은 상기 내측 패널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패널은 상기 내측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흡입 유로의 일부가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유출구가 마련되는 유출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석션팬은 상기 유출 덕트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패널은 상기 내측 패널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결합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의 전방에 배치되는 가이드 패널로서, 상기 송풍기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가이드 패널의 모서리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패널; 상기 가이드 패널과 함께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가이드 패널의 모서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패널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패널의 내면은 상기 송풍기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가이드 리브로 안내하고,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가이드 패널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상기 가이드 패널의 외면의 중심을 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가이드 패널의 좌측 모서리를 커버하고 상기 하우징의 좌측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리브부와, 상기 가이드 패널의 상단 모서리를 커버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리브부와, 상기 가이드 패널의 우측 모서리를 커버하고 상기 하우징의 우측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3 리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부는 상기 가이드 패널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우방을 향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제2 리브부는 상기 가이드 패널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하방을 향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제3 리브부는 상기 가이드 패널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좌방을 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가이드 패널의 중심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패널의 외면은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구부러지거나, 후방을 향해 오목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아웃렛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가이드 패널에 의해 안내되어 공기조화기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직접적인 냉방 풍속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실내의 온도 또는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 본체 프레임 및 본체 프레임 내부의 구성들은 그대로 이용하고 전면 프레임과 가이드 패널만을 별도로 장착함으로써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그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이드 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가이드 패널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지시선 Ⅴ-Ⅴ'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지시선 Ⅵ-Ⅵ'에서의 단면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지시선 Ⅷ-Ⅷ'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지시선 Ⅸ-Ⅸ'에서의 단면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지시선 XI- XI'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지시선 XII- XII'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14은 도 1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지시선 XIV-XIV'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지시선 XV-XV'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패널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어 나가는 방향(X)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이를 기준으로 후방,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정의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공기조화기를 이루는 냉동사이클을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져 있다. 냉동사이클은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고, 고온의 공기가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 후 저온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압축기는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며, 배출된 냉매가스는 응축기로 유입된다. 응축기는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고, 응축 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팽창밸브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킨다. 증발기는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킨다. 증발기는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피 냉각 물체와 열교환에 의하여 냉동효과를 달성하고, 저온저압 상의 냉매가스를 압축기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사이클을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 온도를 조절 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냉동사이클 중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부분을 말한다. 팽창밸브는 실내기나 실외기 중 어느 한 곳에 있을 수 있고, 실내 열교환기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다.
본 발명은 실내공간을 냉방시키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것으로,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로,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로 역할한다. 이하 편의상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내기를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 열교환기를 열교환기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할 때, 공기조화기(1)는 인렛(미도시)이 후면에 형성되고 아웃렛(4)이 전면에 형성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인렛을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2, 도 5 참조)와, 열교환기(2)와 열교환 된 공기를 아웃렛(4)을 향해 토출하는 송풍기(3)를 포함한다. 송풍기(3)는 열교환기(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기(3)는 송풍기(3)의 후방에 위치한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기(3)의 전방으로 토출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공기조화기(1)의 상하면, 좌우면, 후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전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은 송풍기(3), 열교환기(2) 및 각종 전장부품이 수용되는 본체 프레임(12)과, 본체 프레임(12)의 전방에 배치되어 공기조화기(1)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11)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프레임(11)은 본체 프레임(1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전면 프레임(11)은 본체 프레임(12)의 내부에 배치된 송풍기(3)와 대응되고, 송풍기(3)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송풍 홀(13)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프레임(11)의 전면에는 후술하는 가이드 패널(100)이 내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하여 개방된 개구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전면 프레임(11)은 후술하는 가이드 패널(100)의 결합 후크(150, 도 4 참조)가 결합되는 후크홈(15)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공기조화기(1)의 전면을 형성하고, 송풍기(3)의 전방에 배치되어 송풍기(3)를 커버하는 가이드 패널(10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100)은 전면 프레임(11)의 개구부(14)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패널(100)은 전면 프레임(11)과 함께 공기조화기(1)의 아웃렛(4)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부(14)의 외주연과 가이드 패널(100) 사이의 이격 공간이 아웃렛(4)에 해당될 수 있다. 가이드 패널(100)은 송풍 홀(13)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송풍기(3)에 의해 전방으로 토출된 공기는 송풍 홀(13)과 가이드 패널(100) 사이에 형성된 송풍 유로(5, 도 5 참조)를 지나 아웃렛(4)을 통해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패널(100)은 아웃렛(4)을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를 가이드 패널(100)의 내부로 흡입하여 나머지가 공기조화기(1)의 하방을 향하여 흐르도록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웃렛(4)에서 배출된 공기는 공기조화기(1)의 전방, 상방 및 측방이 아닌 공기조화기(1)의 하방을 향하여 이동되므로 사용자가 공기조화기(1)의 냉방 풍속을 느끼지 않도록 하면서도 실내의 쾌적 온도 또는 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이드 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가이드 패널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지시선 Ⅴ-Ⅴ'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지시선 Ⅵ-Ⅵ'에서의 단면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가이드 패널의 구조 및 작동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할 때, 가이드 패널(100)은 공기조화기(1)의 전면을 형성하는 외측 패널(110)과, 외측 패널(1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외측 패널(110)에 결합되며 가이드 패널(100)을 전면 프레임(11)에 고정시키는 결합 후크(150)가 형성되는 내측 패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100)은 결합 후크(15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후크(150)는 내측 패널(12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후방을 향해 연장된 후 하방을 향해 절곡되어 'ㄱ'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 후크(150)가 전면 프레임(11)에 형성된 후크홈(15)에 위에서 아래로 삽입됨에 따라 가이드 패널(100)은 전면 프레임(11)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패널(100)은 아웃렛(4)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흡입될 수 있는 흡입 유로(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 유로(130)는 외측 패널(110)과 내측 패널(120)이 결합됨에 따라 외측 패널(110)과 내측 패널(1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흡입 유로(130)는 외측 패널(110)과 내측 패널(120)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측 패널(110)은 공기조화기(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111) 및 전면 플레이트(111)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1 내벽체(112)를 포함할 수 있고, 내측 패널(120)은 가이드 패널(10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플레이트(121) 및 후면 플레이트(121)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2 내벽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벽체(112)와 제2 내벽체(122)는 서로 이격되고, 제1 내벽체(112)와 제2 내벽체(122)에 의하여 제1 내벽체(112)와 제2 내벽체(122) 사이에 흡입 유로(13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벽체(112)는 제1 덕트벽(112a)과, 제1 덕트벽(112a)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체결부(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벽체(122)는 제2 덕트벽(122a)과, 복수의 체결부(112b)와 대응되고 제2 덕트벽(122a)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결합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유로(130)는 제1 덕트벽(112a)과 제2 덕트벽(122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흡입 유로(130)는 제1 덕트벽(112a)과 제2 덕트벽(122a)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부(122b) 각각은 대응되는 체결부(112b)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체결부(112b) 각각은 대응되는 결합부(122b)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22b)가 제2 덕트벽(122a)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체결부(112b)가 제1 덕트벽(112a)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므로 결합부(122b)와 체결부(112b)가 결합되면 제1 덕트벽(112a)과 제2 덕트벽(122a)이 서로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제1 내벽체(112)와 제2 내벽체(122)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1 내벽체(112)와 제2 내벽체(122)는 각각 체결부(112b)와 결합부(122b)에서만 서로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은 서로 이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 내벽체(112)의 상하 방향(Z) 길이는 전면 플레이트(111)의 상하 방향(Z)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내벽체(122)의 상하 방향(Z) 길이는 후면 플레이트(121)의 상하 방향(Z)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내벽체(112)와 전면 플레이트(111)가 서로 결합되어 외측 패널(1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벽체(122)와 후면 플레이트(121)가 서로 결합되어 내측 패널(12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면 플레이트(111)와 제1 내벽체(1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후면 플레이트(121)와 제2 내벽체(1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 패널(110)과 내측 패널(12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패널(100)은 흡입 유로(130)의 입구에 해당되는 유입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131)는 가이드 패널(100)의 좌측단과, 상단과, 우측단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유입구(131)는 아웃렛(4)에 대응되도록 아웃렛(4)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패널(100)의 좌측단을 따라 연장되는 유입구(131)의 부분과 가이드 패널(100)의 우측단을 따라 연장되는 유입구(131)의 부분은 각각 가이드 패널(100)의 상하 방향(Z) 길이보다 작거나 같은 상하 방향(Z)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구(131)는 외측 패널(110)의 좌측부 모서리와 내측 패널(120)의 좌측부 모서리 사이의 이격 공간인 제1 간극부(131a)와, 외측 패널(110)의 상부 모서리와 내측 패널(120)의 상부 모서리 사이의 이격 공간인 제2 간극부(131b)와, 외측 패널(110)의 우측부 모서리와 내측 패널(120)의 우측부 모서리 사이의 이격 공간인 제3 간극부(13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간극부(131a-c)는 서로 연결된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내지 제3 간극부(131a-c)는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구획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3 간극부(131a-c) 각각은 하나의 유입구(131)에 해당될 수 있으며, 가이드 패널(100)은 복수의 유입구(131)를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이드 패널(100)은 흡입 유로(130)의 출구에 해당되는 유출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출구(132)는 가이드 패널(100)의 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유출구(132)는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송풍팬(3)의 영향을 적게 받기 위하여 후방이 아닌 상방, 하방, 좌방 또는 우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흡입 유로(130) 내부의 공기는 유출구(132)를 통하여 하우징(10) 내부로 유출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흡입 유로(130)는 유출구(132)에서 송풍 유로(5)와 연통될 수 있다. 유출구(132)는 복수의 유출구(13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100)은 흡입 유로(130)에 기류를 형성하는 석션팬(141)을 포함할 수 있다. 석션팬(141)은 복수의 석션팬(141)을 포함할 수 있다. 석션팬(141)이 작동될 때 아웃렛(4) 주변의 공기 중 일부는 유입구(131)를 통해 흡입 유로(1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유입구(13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가이드 패널(100)의 유출구(132)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석션팬(141)은 흡입 유로(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석션팬(141)은 흡입 유로(130)가 내부에 형성되고 내측 패널(120)의 후면에 배치되는 유출 덕트(1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패널(100)은 석션팬(141)이 수용되고 가이드 패널(100)의 유출구(132)를 형성하는 유출 덕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출 덕트(140)의 일단에 가이드 패널(100)의 유출구(132)가 형성됨에 따라 유출 덕트(140)의 일단은 하우징(10) 내부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고, 유출 덕트(140)의 타단은 흡입 유로(130)에 해당하는 제1 내벽체(112)와 제2 내벽체(122) 사이의 이격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내벽체(122)에는 제1 관통홀(122c)이 형성될 수 있고, 후면 플레이트(121)에는 제1 관통홀(122c)과 대응되는 제2 관통홀(12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유출 덕트(140)에는 제2 관통홀(121a)과 대응되는 제3 관통홀(140a)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 패널(120)의 후면에 유출 덕트(140)가 결합됨에 따라 제1 내지 제3 관통홀(122c,121a,140a)은 내측 패널(120)과 유출 덕트(140)를 관통하는 일체의 관통홀(122c,121a,140a)을 형성하게 되며, 제1 내벽체(112) 및 제2 내벽체(122)에 의해 형성되는 흡입 유로(130)의 일부와 유출 덕트(140)에 의해 형성되는 흡입 유로(130)의 일부는 관통홀(122c,121a,140a) 지나 서로 연통되게 된다. 관통홀(122c,121a,140a)은 복수의 유출 덕트(140)에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유출 덕트(140)는 후면 플레이트(12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후면 플레이트(121)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면 플레이트(121)는 유출 덕트(14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덕트 고정홈(121b)을 포함할 수 있고, 유출 덕트(140)는 덕트 고정홈(121b)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덕트 고정홈(121b)의 일면에는 관통홀(122c,121a,140a)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출 덕트(140)는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석션팬(141)은 전면 플레이트(111)와 후면 플레이트(121)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석션팬(141)은 제1 내벽체(112)와 제2 내벽체(122)에 의해 형성되는 흡입 유로(13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관통홀(122c)과 제2 관통홀(121a)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관통홀(122c,121a)은 유출구(132)에 해당될 수 있다.
전면 플레이트(11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석션팬(141)의 흡입력에 의하여 방향이 전환된 배출 기류를 코안다 효과에 의하여 기설정된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전면 플레이트(111)의 전면에 형성되는 안내 곡면(113)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 곡면(113)은 일측이 유입구(131)와 연결될 수 있고, 아웃렛(4)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안내 곡면(113)은 유입구(131)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안내 곡면(113)은 아웃렛(4)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안내 곡면(113)은 제1 간극부(131a)와 연결되는 제1 곡면부(113a)와, 제2 간극부(131b)와 연결되는 제2 곡면부(113b)와, 제3 간극부(131c)와 연결되는 제3 곡면부(113c)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 플레이트(121)는 송풍기(3)의 전방에 배치되어 송풍기(3)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공기의 진행을 차단하고, 후면 플레이트(111)의 후면은 송풍기(3)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가이드 패널(100)을 둘러싸고 있는 아웃렛(4)을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패널(100)의 상단 모서리부, 좌측단 모서리부, 우측단 모서리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열교환기(2)와 열교환 된 공기는 송풍기(3)에 의해 아웃렛(4)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패널(100)은 아웃렛(4) 주변의 공기의 일부를 흡입하여 아웃렛(4)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흡입 유로(130)를 매개로 아웃렛(4)을 지나가는 공기에 작용하는 석션팬(141)의 흡입력에 의해 아웃렛(4)을 통해 하우징(10)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기류의 진행 방향은 석션팬(141)이 작동하지 않을 때의 배출 기류의 진행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웃렛(4)은 가이드 패널(100)의 좌측단과 인접하는 제1 영역(4a)과, 가이드 패널(100)의 상단과 인접하는 제2 영역(4b)과, 가이드 패널(100)의 우측단과 인접하는 제3 영역(4c)을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 패널(100)은 제1 영역(4a)을 통해 배출되는 기류, 제2 영역(4b)을 통해 배출되는 기류 및 제3 영역(4c)을 통해 배출되는 기류 각각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1 영역(4a)은 가이드 패널(100)의 좌방에 배치되어 가이드 패널(100)과 나란하게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영역(4b)은 가이드 패널(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가이드 패널(100)과 나란하게 좌우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3 영역(4c)은 가이드 패널(100)의 우방에 배치되어 가이드 패널(100)과 나란하게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영역(4a)의 일단은 제2 영역(4b)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고, 제3 영역(4c)의 일단은 제2 영역(4b)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내지 제3 영역(4a-c)은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구획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가이드 패널(100)이 작동하지 않을 때 제1 영역(4a)에서 배출되는 배출 기류의 진행 방향이 A1 방향이라면, 가이드 패널(100)이 작동하여 A1 방향의 우측에서 흡입 유로(130)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가이드 패널(100)은 제1 영역(4a)의 배출 기류의 진행 방향을 A2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1 영역(4a)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는 제1 간극부(131a)를 통해 흡입 유로(130)로 흡입될 수 있고, 제1 영역(4a)에서 전방으로 배출되는 배출 기류의 진행 방향은 우방을 향하도록 전환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1 곡면부(113a) 역시 제1 영역(4a)으로부터 배출된 배출 기류가 우방을 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패널(100)이 작동하지 않을 때 제3 영역(4c)에서 배출되는 배출 기류의 진행 방향이 B1 방향이라면, 가이드 패널(100)이 작동하여 B1 방향의 좌측에서 흡입 유로(130)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가이드 패널(100)은 제3 영역(4c)의 배출 기류의 진행 방향을 B2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3 영역(4c)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는 제3 간극부(131c)를 통해 흡입 유로(130)로 흡입될 수 있고, 제3 영역(4c)에서 전방으로 배출되는 배출 기류의 진행 방향은 좌방을 향하도록 전환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3 곡면부(113c) 역시 제3 영역(4c)으로부터 배출된 배출 기류가 좌방을 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가이드 패널(100)이 작동하지 않을 때 제2 영역(4b)에서 배출되는 배출 기류의 진행 방향이 C1 방향이라면, 가이드 패널(100)이 작동하여 C1 방향의 하측에서 흡입 유로(130)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가이드 패널(100)은 제2 영역(4b)의 배출 기류의 진행 방향을 C2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2 영역(4b)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는 제2 간극부(131b)를 통해 흡입 유로(130)로 흡입될 수 있고, 제2 영역(4b)에서 전방으로 배출되는 배출 기류의 진행 방향은 하방을 향하도록 전환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2 곡면부(113b) 역시 제2 영역(4b)으로부터 배출된 배출 기류가 하방을 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간극부(131a-c)를 통해 흡입 유로(13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유출구(132)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토출된 후 다시 송풍 유로(5)를 이동하여 아웃렛(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웃렛(4)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가이드 패널(100)에 의해 안내되어 가이드 패널(100)의 외측 중심부로 이동되게 되고, 제2 영역(4b)에서 배출되어 하방으로 안내되는 공기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공기조화기(1)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직접적인 냉방 풍속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실내의 온도 또는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 본체 프레임(12) 및 본체 프레임(12) 내부의 구성들은 그대로 이용하고 전면 프레임(11)과 가이드 패널(100)만을 별도로 장착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1)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그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지시선 Ⅷ-Ⅷ'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지시선 Ⅸ-Ⅸ'에서의 단면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패널(200)은 복수의 흡입 유로(130a-c)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흡입 유로(130a-c)는 제1 간극부(131a)와 연결되는 제1 흡입 유로(130a)와, 제2 간극부(131b)와 연결되는 제2 흡입 유로(130b)와, 제3 간극부(131c)와 연결되는 제3 흡입 유로(13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입 유로(130a)와 제2 흡입 유로(130b) 사이, 제2 흡입 유로(130b)와 제3 흡입 유로(130c) 사이에는 차단판(200a)이 배치됨에 따라 제1 내지 제3 흡입 유로(130a-c)는 각각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구획될 수 있다. 차단판(200a)은 제1 내벽체(112)와 제2 내벽체(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흡입 유로(130a)와 제3 흡입 유로(130c)는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흡입 유로(130b)는 좌우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패널(200)은 제1 흡입 유로(130a) 상에 배치되는 제1 석션팬(141a)과, 제2 흡입 유로(130b) 상에 배치되는 제2 석션팬(141b)과, 제3 흡입 유로(130c) 상에 배치되는 제3 석션팬(141c)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패널(200)은 내부에 제1 흡입 유로(130a)가 형성되는 제1 유출 덕트(240a)와, 내부에 제2 흡입 유로(130b)가 형성되는 제2 유출 덕트(240b)와, 내부에 제3 흡입 유로(130c)가 형성되는 제3 유출 덕트(240c)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석션팬(141a)은 제1 유출 덕트(240a) 내부에 배치되고, 제2 석션팬(141b)은 제2 유출 덕트(240b) 내부에 배치되고, 제3 석션팬(141c)은 제3 유출 덕트(240c) 내부에 배치된다. 각각의 유출 덕트(240a-c)에는 유출구(132)가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유출 덕트(240a-c)는 각각의 유출 덕트(240a-c)에 대응되는 덕트 고정홈(221b)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패널(200)은 제1 내벽체(212)와 제2 내벽체(22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흡입 유로(130a)와, 제2 흡입 유로(130b)와, 제3 흡입 유로(130c)를 형성하는 유로벽(22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로벽(223)은 제1 내벽체(212) 및 제2 내벽체(222)와 함께 제1 흡입 유로(130a)를 형성하는 제1 유로벽(223a)과, 제1 내벽체(212) 및 제2 내벽체(222)와 함께 제2 흡입 유로(130b)를 형성하는 제2 유로벽(223b)과, 제1 내벽체(212) 및 제2 내벽체(222)와 함께 제3 흡입 유로(130c)를 형성하는 제3 유로벽(22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로벽(223a)과 제3 유로벽(223c)은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유로벽(223b)은 좌우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로벽(223a), 제2 유로벽(223b) 및 제3 유로벽(223c)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내벽체(212) 또는 제2 내벽체(2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벽(223a), 제2 유로벽(223b) 및 제3 유로벽(223c) 중 적어도 둘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유로벽(223)과 차단판(200a)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흡입 유로(130a-c) 각각에 하나씩 석션팬(141a-c)이 배치되고 흡입 유로(130a-c) 각각은 서로 분리됨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석션팬(141a-c) 중 원하는 석션팬만을 작동시킬 수 있고, 제1 영역(4a)에서 배출되는 배출 기류, 제2 영역(4b)에서 배출되는 배출 기류 및 제3 영역(4c)에서 배출되는 배출 기류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흡입 유로(130a)와 제2 흡입 유로(130b) 사이의 차단판(200a)이 생략되어 제1 흡입 유로(130a)와 제2 흡입 유로(130b)가 일체로 연결되거나, 제2 흡입 유로(130b)와 제3 흡입 유로(130c) 사이의 차단판(200a)이 생략되어 제2 흡입 유로(130a)와 제3 흡입 유로(130b)가 일체로 연결되거나, 차단판(200a)이 모두 생략되어 제1 내지 제3 흡입 유로(130a-c)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지시선 XI- XI'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지시선 XII- XII'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할 때 공기조화기는 하우징(10)의 전면에 형성되는 보조 배출구(7)를 포함할 수 있고, 보조 배출구(7)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배출 기류를 토출하는 제2 송풍기(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송풍기(6)는 제1 송풍기(3)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배출구(7)는 하우징(10)의 좌측단에 형성되는 제1 보조 배출구(7a)와, 하우징(10)의 우측단에 형성되는 제2 보조 배출구(7b)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구획벽(10a)을 포함할 수 있고, 구획벽(10a)은 제1 보조 배출구(7a)와 아웃렛(4)의 제1 영역(4a)을 구획하고, 제2 보조 배출구(7b)와 아웃렛(4)의 제3 영역(4c)을 구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배출구(7)는 아웃렛(4)과 분리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구획벽(10a)은 제1 보조 배출구(7a)와 제2 보조 배출구(7b)를 형성할 수 있다. 구획벽(10a)은 제1 보조 유로(8a)의 일부와 제2 보조 유로(9a)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획벽(10a)은 생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웃렛(4)과 보조 배출구(7)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송풍기(6)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아웃렛(4)을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된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송풍기(6)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제1 보조 유로(8a)를 따라 제1 영역(4a)에 도달하여 하우징(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제2 보조 유로(9a)를 따라 제3 영역(4c)에 도달하여 하우징(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송풍기(6)는 송풍팬(6a)과, 팬 구동부(6b)와, 팬 바디 케이스(6c)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6a)은 원심 팬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10)에 형성되는 흡입구(미도시)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다시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동시키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일례로 송풍팬(6a)은 크로스팬, 터보팬, 또는 시로코팬일 수 있다. 제2 송풍기(6)의 송풍팬(6a)에 관한 설명은 제1 송풍기(3)의 송풍팬에도 적용될 수 있다.
팬 구동부(6b)는 송풍팬(6a)을 구동시킬 수 있으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팬 바디 케이스(6c)는 하우징(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송풍팬(6a)을 커버할 수 있다. 팬 바디 케이스(6c)는 공기가 유입되는 팬 유입구(미도시)와, 공기가 배출되는 팬 배출구(6ca)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 보조 유로(8a)와 송풍 유로(5)를 구획하는 제1 덕트(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덕트(8)는 제1 송풍기(3)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을 따라 대략 동일한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덕트(8)의 내부에는 제1 보조 유로(8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덕트(8)는 일단이 제2 송풍기(6)의 팬 배출구(6ca)와 연통될 수 있고, 타단이 제1 보조 배출구(7a)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보조 유로(8a)는 제2 송풍기(6)와 제1 보조 배출구(7a)를 연결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덕트(8)는 제2 송풍기(6)가 송풍한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제1 보조 배출구(7a)로 안내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2 송풍기(6)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일부는 제1 보조 유로(8a)를 따라 흘러 제1 보조 배출구(7a)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2 보조 유로(9a)와 송풍 유로(5)를 구획하는 제2 덕트(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덕트(9)는 제1 송풍기(3)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을 따라 대략 동일한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덕트(9)의 내부에는 제2 보조 유로(9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덕트(9)는 일단이 제2 송풍기(6)의 팬 배출구(6ca)와 연통될 수 있고, 타단이 제2 보조 배출구(7b)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보조 유로(9a)는 제2 송풍기(6)와 제2 보조 배출구(7b)를 연결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덕트(9)는 제2 송풍기(6)가 송풍한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제2 보조 배출구(7b)로 안내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2 송풍기(6)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일부는 제2 보조 유로(9a)를 따라 흘러 제2 보조 배출구(7b)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 송풍기(3)가 열교환기(2)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함에 따라 아웃렛(4)을 통해 열교환기(2)와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하고, 제2 송풍기(6)가 열교환기(2)와 열교환되지 않은 공기를 토출함에 따라 보조 배출구(7)를 통해 열교환기(2)를 거치지 않은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송풍기(6)가 열교환기(2)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함에 따라 보조 배출구(7)를 통해 열교환기(2)와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제1 송풍기(3)와 제2 송풍기(6)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송풍기(3)와 제2 송풍기(6)의 회전 속도는 서로 상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어 제1 보조 배출구(7a) 및 제2 보조 배출구(7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분배 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장치(20)는 팬 배출구(6ca)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분배 장치(20)는 제1 보조 유로(8a)와 제2 보조 유로(9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분배 장치(20)는 제1 덕트(8) 및 제2 덕트(9)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댐퍼(21)와, 댐퍼 구동원(22)과, 동력 전달 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 구동원(22)은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21)는 랙을 포함하고, 동력 전달 부재(23)는 피니언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배 장치(20)는 댐퍼(21)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여러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댐퍼(21)는 동력 전달 부재(23)를 매개로 댐퍼 구동원(22)의 동력을 전달받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덕트(8)보다 제2 덕트(9)로 더 많은 공기가 흐르도록 댐퍼(21)는 좌방으로 이동하여 제1 보조 유로(8a)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할 수 있고, 제2 덕트(9)보다 제1 덕트(8)로 더 많은 공기가 흐르도록 댐퍼(21)는 우방으로 이동하여 제2 보조 유로(9a)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구동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기조화기는 아웃렛(4)만을 통해 열교환기(2)와 열 교환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렇게 구동되는 것을 제1 모드라고 할 수 있다. 아웃렛(4)으로 배출되는 배출 기류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패널(100)에 의하여 안내될 수 있으므로, 실내는 전체적으로 공기조화가 천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아웃렛(4)을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기류는 가이드 패널(100)에 마련되는 석션팬(141)의 흡입력의 영향을 받게 됨에 따라 전방으로의 풍속이 저감되고 전체적으로 하우징(10)의 하방을 향해 진행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직접적으로 배출 기류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고, 사용자는 쾌적함을 느끼는 상태에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제1 모드로 구동될 때, 제1 송풍기(3) 및 가이드 패널(100)의 석션팬(141)이 작동되고, 제2 송풍기(6)는 작동되지 않는다. 제1 송풍기(3)는 하우징(10)의 후면에 형성되는 인렛(미도시)을 통해 하우징(10)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하우징(1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2)를 통과하며 열 교환 되고, 제1 송풍기(3)는 열교환기(2)와 열교환된 공기가 송풍 유로(5)를 흘러 아웃렛(4)을 통해 하우징(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1 송풍기(3) 후방의 공기를 제1 송풍기(3) 전방을 향해 토출할 수 있다.
송풍 유로(5) 내부를 흐르는 공기는 아웃렛(4)에 도달할 수 있으며, 아웃렛(4)을 통해 하우징(10)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는 가이드 패널(100)의 석션팬(141)에 의하여 가이드 패널(100)의 흡입 유로(130) 내부로 흡입될 수 있고, 그 나머지는 가이드 패널(100)에 의해 진행방향이 안내되는 상태로 하우징(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제2 송풍기(6)는 구동되지 않으므로, 보조 배출구(7)를 통해서는 공기가 배출되지 않는다.
한편, 제1 모드에서 제1 송풍기(3) 및/또는 석션팬(141)의 구동력을 변경시킴에 따라 공기조화기에서 배출되는 냉기 또는 온기는 다양한 거리 및/또는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송풍기(3)의 구동력이 일정할 때 석션팬(141)의 구동력이 약해질수록 아웃렛(4)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 기류의 진행 방향이 변경되는 정도는 작아질 수 있고, 석션팬(141)의 구동력이 일정할 때 제1 송풍기(3)의 구동력이 강해질수록 아웃렛(4)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 기류의 진행 방향이 변경되는 정도는 작아질 수 있다. 이때, 아웃렛(4)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 기류의 진행 방향이 변경되는 정도가 작아진다 함은 배출 기류가 공기조화기의 전방을 향해 진행하려는 경향성이 커짐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송풍기(3) 및/또는 석션팬(141)의 구동력을 조절함으로써 배출 기류가 하방을 향하도록 공기조화기를 제어하거나, 배출 기류가 수직하방과 수평전방 사이에 위치하는 일방향을 향하도록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아웃렛(4) 및 보조 배출구(7)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렇게 구동되는 것을 제2 모드라고 할 수 있다. 제2 모드일 때 가이드 패널(100)의 작동은 중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웃렛(4) 및 보조 배출구(7)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 기류의 직진성이 증가하게 되고 공기조화기는 제1 모드로 구동될 때보다 제2 모드로 구동될 때 냉기 또는 온기를 더 멀리까지 배출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직접적으로 배출 기류와 접촉될 수 있고, 제1 모드보다 빠르게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제2 모드로 구동될 때, 제1 송풍기(3) 및 제2 송풍기(6)가 작동되고, 가이드 패널(100)의 석션팬(141)은 작동되지 않는다. 제1 송풍기(3)는 제1 모드일 때와 같이 인렛(미도시)을 통해 하우징(10) 외부의 공기를 하우징(10) 내부로 흡입하고, 하우징(10) 내부의 열교환기(2)와 열교환 된 공기를 아웃렛(4)을 향해 토출한다. 석션팬(141)이 작동되지 않으므로 아웃렛(4)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 기류는 가이드 패널(100)에 의하여 진행 방향이 변경되지 않고 대략 공기조화기의 전방을 향해 진행할 수 있다.
제2 송풍기(6)는 하우징(10)의 후면에 형성되는 인렛(미도시)을 통해 하우징(10) 외부의 공기를 하우징(10) 내부로 흡입하고,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2 송풍기(6)를 통과한 후 제2 송풍기(6)에 의해 송풍 유로(5)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1 보조 유로(8a) 및 제2 보조 유로(9a)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송풍기(3)와 연통되는 인렛과 제2 송풍기(6)와 연통되는 인렛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제1 보조 유로(8a) 및 제2 보조 유로(9a)로 이동된 공기는 각각의 보조 유로(8a,9a) 상에서 상방으로 이동한 후 제1 보조 배출구(7a) 및 제2 보조 배출구(7b)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보조 배출구(7)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 기류는 대략 공기조화기의 전방을 향해 진행할 수 있으며, 아웃렛(4)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 기류와 혼합되어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2 모드일 때 공기조화기는 열 교환된 공기와 실내공기가 혼합된 쾌적한 냉기 또는 온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공기조화기는 제1 송풍기(3) 및/또는 제2 송풍기(6)의 구동력을 변경시킴에 따라 냉기 또는 온기를 다양한 거리에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송풍기(3)는 아웃렛(4)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또는 풍속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송풍기(6)는 보조 배출구(7)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또는 풍속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보조 배출구(7)만을 통해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렇게 구동되는 것을 제3 모드라고 할 수 있다. 보조 유로(8a,9a) 상이나, 제2 송풍기(6)의 후방에는 열교환기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고,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제3 모드로 구동될 때, 제2 송풍기(6)는 작동되고, 제1 송풍기(3)와 가이드 패널(100)의 석션팬(141)은 작동되지 않는다. 제2 송풍기(6)는 하우징(10)의 후면에 형성되는 인렛을 통해 하우징(10) 외부의 공기를 하우징(10) 내부로 흡입하고,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2 송풍기(6)를 통과한 후 제2 송풍기(6)에 의해 송풍 유로(5)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1 보조 유로(8a) 및 제2 보조 유로(9a)로 토출될 수 있다. 제1 보조 유로(8a) 및 제2 보조 유로(9a)로 이동된 공기는 각각의 보조 유로(8a,9a) 상에서 상방으로 이동한 후 제1 보조 배출구(7a) 및 제2 보조 배출구(7b)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보조 배출구(7)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 기류는 대략 공기조화기의 전방을 향해 진행할 수 있다.
제3 모드에서 제1 송풍기(3)는 작동되지 않으므로, 아웃렛(4)을 통해서는 공기가 배출되지 않는다. 제3 모드에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되지 않은 공기를 송풍할 수 있으므로 단순히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강한 바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14은 도 1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지시선 XIV-XIV'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지시선 XV-XV'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할 때 공기조화기는 전면 프레임(11)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아웃렛(4)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 기류를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3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310)는 전면 프레임(1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물로 형성되어 전면 프레임(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가이드 리브(310)는 가이드 패널(300)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가이드 패널(300)의 좌측 모서리, 상단 모서리 및 우측 모서리를 커버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310)는 하우징(10)의 전면에 돌출되지 않거나 일부만 돌출되도록 하우징(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으며, 필요 시에 하우징(10)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어 하우징(10)의 전면에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리브(310)는 가이드 리브(310)에 대응되고 전면 프레임(11)에 형성되는 인입홈(11a)으로 인입될 수 있으며, 필요 시에 인입홈(11a)으로부터 인출되어 전면 프레임(11)의 전면에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310)의 인출입은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동력장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가이드 리브(310)는 전면 프레임(11)의 좌측단으로부터 돌출되고 가이드 패널(300)의 좌측 모서리를 커버하는 제1 리브부(310a)와, 전면 프레임(11)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고 가이드 패널(300)의 상단 모서리를 커버하는 제2 리브부(310b)와, 전면 프레임(11)의 우측단으로부터 돌출되고 가이드 패널(300)의 우측 모서리를 커버하는 제3 리브부(31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리브부(310a-c) 중 적어도 둘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내지 제3 리브부(310a-c)는 전부 분리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리브부(310a)는 전면 프레임(11)으로부터 돌출된 후 가이드 패널(300)의 외면(300a)의 좌측 모서리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우방을 향해 구부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제2 리브부(310b)는 전면 프레임(11)으로부터 돌출된 후 가이드 패널(300)의 외면(300a)의 상단 모서리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하방을 향해 구부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제3 리브부(310c)는 전면 프레임(11)으로부터 돌출된 후 가이드 패널(300)의 외면(300a)의 우측 모서리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좌방을 향해 구부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가이드 리브(310)는 가이드 패널(300)의 중심을 향하여 구부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패널(300)의 외면(300a)이란 도 11을 기준으로 가이드 패널(300)의 전면(300a)에 해당되고, 가이드 패널(300)의 내면(300b)이란 도 11을 기준으로 가이드 패널(300)의 후면(300b)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가이드 리브(310)의 내면(310aa,310ba,310ca)이라 함은 도 14를 기준으로 가이드 리브(310)의 후면을 지칭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300)의 내면(300b)은 송풍기(3) 전방에 배치되어 송풍기(3)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 패널(300)의 모서리측으로 안내하고, 가이드 패널(300)의 외면(300a)은 아웃렛(4)에서 배출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도 14와 같이 가이드 패널(300)의 외면(300a)과 가이드 패널(300)의 내면(300b)은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6과 같이, 가이드 패널(400)의 외면(400a)과 가이드 패널(400)의 내면(400b)은 후방을 향해 오목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가이드 패널(300)의 외면(300a)은 전방을 향해 볼록하나 내면(300b)은 후방을 향해 오목하게 구부러지거나, 외면(300a)은 후방을 향해 오목하나 내면(300b)은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구부러질 수도 있다.
아웃렛(4)은 가이드 리브(310)의 내면(310aa,310ba,310ca)과 가이드 패널(300)의 외면(300a) 사이의 이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웃렛(4)의 제1 영역(4a)은 제1 가이드 리브(310a)의 내면(310aa)과 가이드 패널(300)의 외면(300a) 사이 이격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아웃렛(4)의 제2 영역(4b)은 제2 가이드 리브(310b)의 내면(310ba)과 가이드 패널(300)의 외면(300a) 사이 이격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아웃렛(4)의 제3 영역(4c)은 제3 가이드 리브(310c)의 내면(310ca)과 가이드 패널(300)의 외면(300a) 사이 이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웃렛(4)의 제1 영역(4a)은 우방을 향해 개방되어 우방을 향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고, 아웃렛(4)의 제2 영역(4b)은 하방을 향해 개방되어 하방을 향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으며, 아웃렛(4)의 제3 영역(4c)은 좌방을 향해 개방되어 좌방을 향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1 가이드 리브(310a)는 제1 영역(4a)의 배출 기류를 좌방을 향하도록 안내하고, 제2 가이드 리브(310b)는 제2 영역(4b)의 배출 기류를 하방을 향하도록 안내하고, 제3 가이드 리브(310c)는 제3 영역(4c)의 배출 기류를 좌방을 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별도의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가이드 패널(300)과 가이드 리브(310)를 이용하여 아웃렛(4)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을 전체적으로 공기조화기의 하방으로 전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직접적인 냉방 풍속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실내의 온도 또는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가이드 패널(100) 이나 도 7에 도시된 가이드 패널(200)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1)도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가이드 리브(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 된 공기를 전방을 향해 토출하는 송풍기; 및
    상기 송풍기를 전방에서 커버하고, 상기 하우징과 함께 상기 송풍기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아웃렛을 형성하며, 상기 아웃렛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를 흡입하여 나머지가 하방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패널은
    외측 패널; 및
    상기 외측 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외측 패널과 함께 상기 아웃렛 주변의 공기 중 일부가 흡입되는 흡입 유로를 형성하는 내측 패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패널은
    상기 흡입 유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유로 내부에 기류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석션팬;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패널은 상기 외측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외측 패널과 상기 내측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로는
    상기 아웃렛과 연통되어 상기 아웃렛 주변의 공기 중 일부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토출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가이드 패널의 좌측단과, 상단과, 우측단을 따라 연장되는 공기조화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복수의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입구 각각은 상기 가이드 패널의 좌측단과, 상단과, 우측단에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로는 복수의 흡입 유로로서, 각각의 흡입 유로는 상기 복수의 유입구 각각에 대응되고,
    상기 석션팬은 복수의 석션팬으로서, 각각의 석션팬은 상기 복수의 흡입 유로 각각에 대응되는 공기조화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렛은
    상기 가이드 패널의 좌측단과, 상단과, 우측단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측 패널은
    상기 송풍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기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아웃렛을 향하도록 안내하는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렛은
    상기 가이드 패널의 좌측단과 인접하는 제1 영역과, 상기 가이드 패널의 상단과 인접하는 제2 영역과, 상기 가이드 패널의 우측단과 인접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패널은
    상기 제1 영역을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유입구로 유입하여 나머지가 우방을 향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제2 영역을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유입구로 유입하여 나머지가 하방을 향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제3 영역을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유입구로 유입하여 나머지가 좌방을 향하도록 안내하는 공기조화기.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패널은
    상기 유입구와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아웃렛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외측 패널의 중심부로 안내하는 안내 곡면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렛은
    상기 가이드 패널의 좌측단과 인접하는 제1 영역과, 상기 가이드 패널의 상단과 인접하는 제2 영역과, 상기 가이드 패널의 우측단과 인접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곡면은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우방을 향하도록 안내하는 제1 곡면부와,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하방을 향하도록 안내하는 제2 곡면부와, 상기 제3 영역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좌방을 향하도록 안내하는 제3 곡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팬은 상기 내측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패널은
    상기 내측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흡입 유로의 일부가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유출구가 마련되는 유출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석션팬은 상기 유출 덕트 내부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패널은
    상기 내측 패널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결합 후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CT/KR2021/010040 2020-09-01 2021-08-02 공기조화기 WO202205057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110,502 US20230194122A1 (en) 2020-09-01 2023-02-16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201A KR20220029186A (ko) 2020-09-01 2020-09-01 공기조화기
KR10-2020-0111201 2020-09-0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8/110,502 Continuation US20230194122A1 (en) 2020-09-01 2023-02-16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0576A1 true WO2022050576A1 (ko) 2022-03-10

Family

ID=80491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0040 WO2022050576A1 (ko) 2020-09-01 2021-08-02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94122A1 (ko)
KR (1) KR20220029186A (ko)
WO (1) WO20220505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040A1 (ja) * 2022-03-31 2023-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作動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42288A1 (en) * 2004-08-24 2006-03-02 Hussmann Corporation Refrigerated merchandiser with fan-powered rear discharge
KR20160131841A (ko) * 2015-05-07 2016-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EP3330620A1 (en) * 2015-10-30 2018-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101916127B1 (ko) * 2015-09-30 2018-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36840A (ko) * 2017-09-28 2019-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42288A1 (en) * 2004-08-24 2006-03-02 Hussmann Corporation Refrigerated merchandiser with fan-powered rear discharge
KR20160131841A (ko) * 2015-05-07 2016-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916127B1 (ko) * 2015-09-30 2018-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EP3330620A1 (en) * 2015-10-30 2018-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20190036840A (ko) * 2017-09-28 2019-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040A1 (ja) * 2022-03-31 2023-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作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186A (ko) 2022-03-08
US20230194122A1 (en)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69883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8212609A1 (en) Air conditioner
WO2018080082A1 (en) Air conditioner
EP3631307A1 (en) Air conditioner
WO2019017610A1 (en) AIR CONDITIONER
WO2020130286A1 (ko) 공기조화기
WO2017119672A1 (ko) 공기조화기
WO2020060322A1 (en) Air conditioner
EP3610201A1 (en) Air conditioner
WO2019143009A1 (en) Air conditioner
WO2019139268A1 (en) Air conditioner
WO2022050576A1 (ko) 공기조화기
WO2018070648A1 (ko) 공기조화기
WO2021080191A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2154340A1 (ko) 공기조화기
WO2018040550A1 (zh) 导风装置、空调柜机及其送风方法
EP3714213A1 (en) Air conditioner
WO2022050582A1 (ko) 공기조화기
WO2020045878A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9117520A1 (ko) 공기조화기
WO2019066189A1 (ko) 공기조화기
WO2020071857A1 (en) Air conditioner
WO2019022333A1 (ko) 공기조화기
WO2022164063A1 (ko) 공기조화기
WO2022139255A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6453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6453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