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45681A1 -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 - Google Patents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45681A1
WO2022045681A1 PCT/KR2021/011118 KR2021011118W WO2022045681A1 WO 2022045681 A1 WO2022045681 A1 WO 2022045681A1 KR 2021011118 W KR2021011118 W KR 2021011118W WO 2022045681 A1 WO2022045681 A1 WO 202204568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rill
output shaft
grinder
input shaf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111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주용
Original Assignee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filed Critical 김주용
Publication of WO202204568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4568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12Adapters for drills or chucks; Tapered sleeves
    • B23B51/126Tool elong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2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driven by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8Drills combined with tool parts or tools for performing additional wo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6Grinders for cutting-off
    • B24B27/08Grinders for cutting-off being portable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동드릴을 이용하여 그라인더 기능을 수행시 충분한 회전속도를 가질 수 있어 작업효율이 증대되도록, 전동드릴에 구비된 드릴척에 장착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외측에 위치하는 끝단에 그라인더날이 장착되는 출력축이 구비된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내부에 입력축 대비 출력축의 회전을 증가시키는 가속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
본 발명은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동드릴을 통해 그라인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드릴은 드릴척에 장착된 비트를 회전시켜서 목재나 금속 등에 구멍을 뚫는 용도의 공구이며, 유선드릴과 무선인 충전드릴로 나뉜다. 유선드릴은 충전드릴에 비해 힘이 강하기는 하나, 편의성 측면에서 근래 충전드릴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전동드릴은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저속의 높은 토크로 변환시키는 감속기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그라인더(연삭기)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공작물의 면을 연마하거나 공작물을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공구이며, 전기그라인더, 충전그라인더, 에어그라인더로 나뉜다. 특히, 충전그라인더는 간편하게 사용이 가능하지만 충전드릴에 비해 가격이 비싸 일반 사용자가 구입하여 사용하기에는 부담이 따른다.
이에 따라, 전동드릴의 드릴척에 그라인더날을 장착하기 위한 어댑터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판매되고 있는 상기 어댑터는 단순히 전동드릴에 그라인더날이 장착될 수 있도록만 하게끔 구성되어 있는바, 상기 어댑터를 통해 장착된 그라인더날은 전동드릴의 회전속도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별도의 제품인 그라인더가 전동드릴에 비해 높은 회전속도를 가짐을 고려하였을 때, 전동드릴에 어댑터를 통해 장착된 그라인더날은 충분한 회전속도를 가지지 못하여 작업의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동드릴을 이용하여 그라인더 기능을 수행시 충분한 회전속도를 가질 수 있어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는, 전동드릴에 구비된 드릴척에 장착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외측에 위치하는 끝단에 그라인더날이 장착되는 출력축이 구비된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내부에 입력축 대비 출력축의 회전을 증가시키는 가속수단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속수단은, 입력축 상에 결합되어 입력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베벨기어와, 베벨기어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출력축에 결합되면서 베벨기어와 맞물려 출력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벨기어와 입력축 사이에는 입력축이 일방향으로의 회전시에만 베벨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 클러치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관통하는 출력축 일부가 내측에 위치되는 출력축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출력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축 수용공간에는, 출력축을 둘러싸면서 전동드릴의 정방향 회전 구동시에만 출력축이 회전되도록 하는 제2 클러치베어링이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출력축의 반대편으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릴척과 본체 사이에서 본체와 일단이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전동드릴의 하부에 결합되면서 지지대의 타단이 전동드릴의 하부 전방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된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속수단에 의해 입력축 대비 출력축의 회전이 증가되므로, 그라인더 기능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회전속도를 얻을 수 있는바, 그라인더날을 통한 연마 또는 절삭 작업을 진행함에 작업효율이 증대된다.
또한, 제1 클러치베어링을 통해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손잡이를 통해 작업환경이나 안전,편의 등을 고려하여 그라인더날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을 이용하여 본체가 전동드릴에 대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그라인더날을 통한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인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의 외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인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에 적용되는 본체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절개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에 적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와 전동드릴이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에 적용되는 제1 클러치베어링이 입력축 및 베벨기어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에 적용되는 손잡이에 의해 그라인더날의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에 누름버튼이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에 적용된 누름버튼이 눌러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인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에 적용되는 브라켓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인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에 적용되는 본체, 브라켓 및 전동드릴이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인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에 적용되는 본체, 브라켓 및 전동드릴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인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에 적용되는 브라켓에 고정끈이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인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에 적용되는 고정끈에 의해 전동드릴이 고정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전동드릴을 이용하여 그라인더 기능을 수행시 충분한 회전속도를 가질 수 있어 작업효율이 증대되도록, 전동드릴에 구비된 드릴척에 장착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외측에 위치하는 끝단에 그라인더날이 장착되는 출력축이 구비된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내부에 입력축 대비 출력축의 회전을 증가시키는 가속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6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통형의 본체(100)를 포함하며, 본체(100)에는 입력축(110)과 출력축(120), 가속수단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축(110)과 출력축(120)이 모두 관통되는 입력본체(310)와, 출력축(120)만이 관통되는 출력본체(32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축(11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태로 형성되며,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외벽을 형성하는 면 중 하나인 제1면을 관통하여 일부는 본체(100)의 내측에 위치하고, 나머지 일부는 본체(10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입력축(110)의 일단은 입력축(110)이 관통한 제1면과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면에 구비된 베어링의 내측에 끼워질 수 있으며, 입력축(110) 중 제1면과 인접한 부분에도 베어링이 구비되어 입력축(110)이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입력축(1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드릴(10)의 전방측에서 비트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된 드릴척(11)에 장착되며, 구체적으로 입력축(110) 중 본체(100)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드릴척(11)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입력축(110)의 끝단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50)이 구비될 수 있다. 자석(50)은 드릴척(11) 내에서 전동드릴(10)의 구성과 자력에 의해 소정의 결합력을 가질 수 있는바, 드릴척(11)의 불량으로 입력축(110)의 조임이 임의로 풀려 입력축(110)이 드릴척(11)으로부터 의도치 않게 분리되어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출력축(120)은 입력축(110)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태로 형성되며, 입력축(11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된다. 일 예로, 출력축(12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축(110)에 대하여 직교하게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력축(110)이 관통한 본체(100)의 제1면과 직교하는 제3면을 관통하여 일부는 본체(100)의 내측에 위치하고, 나머지 일부는 본체(10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출력축(120)은 본체(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끝단이 입력축(110)과 소정의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본체(100) 내 구비되는 베어링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출력축(120) 중 본체(100)의 외측에 위치하는 끝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 또는 절삭이 가능한 그라인더날(20)이 장착되며, 그라인더날(20)의 손쉬운 장착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축(120)은, 일단이 입력본체(310)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일단에 후술할 피니언기어(140)가 결합되고, 출력본체(320)를 관통하면서, 출력본체(320)의 외측에 위치하는 타단에 그라인더날(20)의 장착을 위한 출력회전볼트(121)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축(120)은, 일단과 인접한 지점이 출력본체(320)와 맞닿는 입력본체(310)의 일면에 구비된 베어링을 관통하고, 타단과 인접한 지점이 상기 입력본체(310)의 일면과 마주하는 출력본체(320)의 일면에 구비된 베어링을 관통한다. 또한, 출력본체(320)에서, 출력축(120)의 일단 및 타단과 인접한 지점이 관통하는 두 개의 베어링 사이에는, 출력축(120)이 관통되는 출력축 수용공간(321)이 마련될 수 있으며, 출력축 수용공간(321)은, 출력축(120)의 직경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게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출력회전볼트(121)에는, 그라인더날(20)을 고정시키기 위한 휠와셔(370)와 휠너트(380)가 나사결합될 수 있는바, 그라인더날(20)은 휠와셔(370)와 휠너트(38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더불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인더날(20)의 일부를 감쌀 수 있는 보호커버(30)가 출력축(120)과 본체(100) 사이에 위치하는 출력축(120)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보호커버(30)는 종단면이 반원 형태를 이루게끔 형성되고 사용자가 위치하는 전동드릴(10) 측을 향하는 그라인더날(20)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됨으로써, 작업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특히, 그라인더날(20)을 이용한 절단과정에서 불꽃이나 절단대상의 일부가 사용자에게 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속수단은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입력축(110) 대비 출력축(120)의 회전을 증가시킨다. 즉, 입력축(110)은 드릴척(11)에 장착되므로 전동드릴(10)의 구동시 회전하게 되며, 출력축(120)은 상기 가속수단에 의해 입력축(110)과 연동되어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가속수단은 입력축(110)이 회전되는 속도에 비해 출력축(120)이 회전되는 속도가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가속수단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축(110) 상에 결합되어 입력축(110)과 일체로 회전하는 베벨기어(130)와, 출력축(120)에 결합되면서 베벨기어(130)와 맞물려 베벨기어(13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체를 이루는 출력축(120)을 회전시키는 피니언기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피니언기어(140)는 베벨기어(130)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도록 형성되는바, 베벨기어(130)에 비해 회전수가 증가하게 된다.
상술한 베벨기어(130)와 피니언기어(140)로 구성된 가속수단으로 인해, 출력축(120)에 장착된 그라인더날(20)은 연마 또는 절삭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끔 충분한 회전속도를 얻을 수 있는바, 전동드릴(20)을 이용하여 연마 또는 절삭 작업을 진행함에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벨기어(130)와 입력축(110) 사이에는 입력축(110)이 일방향으로의 회전시에만 베벨기어(130)를 회전시키는 제1 클러치베어링(15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클러치베어링(150)은 원웨이 베어링이라도 불리우며, 일 예로 전동드릴(10)이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에만 베벨기어(130)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클러치베어링(150)은 구체적인 일 예로 원통 형태를 이루는 베어링본체 내측에 다수의 니들베어링핀이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어, 입력축(110)이 정방향으로 회전시 니들베어링핀이 베어링본체 내측의 경사면을 따라 내려와 내경이 좁아져 입력축(110)을 조이게 되어 입력축(110)의 회전과 함께 베벨기어(130)가 회전되는 반면, 입력축(110)이 역방향으로 회전시 니들베어링핀이 경사면을 따라 내려오지 않게되므로 입력축(110)과 니들베어링핀 사이에 유격이 생기므로 입력축(110)이 회전하더라도 베벨기어(130)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제1 클러치베어링(150)은 전동드릴(10)이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 베벨기어(13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역반동으로 인한 충격을 방지하므로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역전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동드릴(10)의 모터도 보호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클러치베어링(150)을 통해, 전동드릴(10)의 역방향 회전 구동시 베벨기어(130)가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출력축(120)이 회전되지 않으나, 전동드릴(10)의 RPM이 높을 경우 전동드릴(10)의 RPM보다 현저히 낮은 속도이기는 하지만 베벨기어(130)의 역회전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드릴(10)의 역방향 회전 구동시 베벨기어(130)의 역회전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도록, 제2 클러치베어링(330)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클러치베어링(330)은, 출력축수용공간(321)에서 이를 관통하는 출력축(120)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클러치베어링(330)은 제1 클러치베어링(150)과 마찬가지로, 제1 클러치베어링(150)은 원웨이 베어링이라도 불리우며, 일 예로 전동드릴(10)이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에만 출력축(120)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클러치베어링(330)은 구체적인 일 예로 원통 형태를 이루는 베어링본체 내측에 다수의 니들베어링핀이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전동드릴(10)이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시 제2 클러치베어링(330)의 니들베어링핀이 베어링본체 내측의 경사면을 따라 내려오지 않게 되어 출력축(120)과 니들베어링핀 사이에 유격이 생겨 출력축(120)이 회전되는 반면, 전동드릴(10)이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 제2 클러치베어링(330)의 니들베어링핀이 베어링본체 내측의 경사면을 따라 내려와 내경이 좁아져 출력축(120)을 조이게 되고, 제2 클러치베어링(330)은 출력축 수용공간(321)에서 고정되게 구비되는바, 출력축(120)이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제2 클러치베어링(330)을 출력축 수용공간(321) 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축 수용공간(321)에는, 중공에 제2 클러치베어링(330)과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와셔(340)가 구비되고, 고정와셔(340)의 상측에 제1 고정홀더(350)가 구비되며, 고정와셔(340)의 하측에 제2 고정홀더(3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홀더(350) 및 제2 고정홀더(360)는 상하가 관통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출력축 수용공간(321)에 억지끼워질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홀더(350)는 출력본체(320)에 구비된 베어링과 일면이 접하고, 타면이 고정와셔(340)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홀더(360)는 입력본체(310)에 구비된 베어링과 접하고 타면이 고정와셔(340)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축(120)의 반대편, 즉 상기 제3면과 마주하는 제4면 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60)가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160)는 일 예로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본체(100)와 분리가능하게끔 결합될 수 있다. 즉, 본체(100)의 제4면과 손잡이(160)의 일단은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160)는 본 발명을 이용한 작업을 함에 있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상 또는 작업환경에 따라 그라인더날(20)의 방향을 전환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그리고 본체(10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면 및 제2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제5면에 탄성적인 누름이 가능한 고정버튼(170)이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버튼(170)의 하방으로 고정핀(181)이 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벨기어(130)에는 고정버튼(170)에 의해 눌러지지 않은 고정핀(181)과 인접하면서도 맞닿지 않게끔 통형의 고정부(182)가 입력축(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82)에는 고정핀(181)과 대응되는 지점에 내측으로 함입된 고정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고정버튼(170)을 눌러 고정핀(181)이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할 시 입력축(110)은 회전할 수 없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는 그라인더날(20)을 교체하고자 할 시 출력축(120)과 연동된 입력축(110)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그라인더날(20)을 교체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160)를 이용하여 그라인더날(20)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100)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본체(100)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10)와 고정프레임(220)을 포함하는 브라켓(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21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드릴척(11)과 본체(100) 사이에서 위치하게끔 본체(100)와 결합되며, 타단은 고정프레임(22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대(2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판 형태를 이루면서 본체(100)와 결합되는 결합부(211)와,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bar) 형태를 이루면서 일단에 결합부(211)가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고정프레임(220)과 결합되는 지지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에서 결합부(211)와 결합되는 면은 상기 제1면, 즉 입력축(110)이 관통하는 면인바, 결합부(211)에는 입력축(11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면과 결합부(21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면 또는/및 결합부(211)에는 자석(40)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22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드릴(10)의 하부에 결합되면서 지지대(210)의 타단이 전동드릴(10)의 하부 전방에 결합된다. 전동드릴(10)이 충전드릴일 경우, 하부에 배터리(12)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배터리(12)와 결합된다. 구체적인 일 예로, 고정프레임(22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드릴(10)의 하부 폭과 대응되거나 전동드릴(10)의 하부 폭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면서 종단면이 'ㄷ'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두 개의 제1 프레임부(221)와, 전동드릴(10)의 하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위치할 수 있게끔 이격배치된 두 개의 제1 프레임부(221)을 연결하면서 전동드릴(10)의 하부 측면을 감싸는 두 개의 제2 프레임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드릴(10)의 하부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1 프레임부(221)와 두 개의 제2 프레임부(222)에 의해 전후양측면이 감싸진 형태를 이루면서 고정프레임(220)과 결합된다.
제2 프레임부(222)는 일 예로, 전동드릴(10) 하부의 전후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면서 횡단면이 'ㄷ'자 형태를 이루고 일단이 전동드릴(10)의 하부 전방에 위치하는 제1 프레임부(221)에 결합되며 타단이 전동드릴(10)의 하부 후방에 위치하는 제1 프레임부(2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부(222)는 제1 프레임부(221)와 결합됨에 있어 양 측방으로 이동가능하게끔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프레임부(221)에는 측방향으로 조절홀(223)이 관통형성되고, 조절홀(223)을 관통하면서 제2 프레임부(222)의 끝단과 결합되는 고정볼트(22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드릴(10)의 하부 폭에 따라 제2 프레임부(222)를 이동시킨 후 고정볼트(224)를 조임으로써 제2 프레임부(222)가 전동드릴(10) 하부의 양측을 견고히 파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부(222)에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드릴(10) 하부를 보다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고정끈(230)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끈(230)은 전동드릴(10)의 하부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한바퀴 이상 감은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고정끈(230)은 벨크로, 버튼 등과 같은 고정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전동드릴(10)의 하부를 한바퀴 이상 감싼 후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브라켓(200)을 이용하여 본체(100)가 전동드릴(10)에 대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그라인더날(20)을 통한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부호의 설명]
10 : 전동드릴 11 : 드릴척
12 : 배터리 20 : 그라인더날
30 : 보호커버 40 : 자석
50 : 자석
100 : 본체 110 : 입력축
120 : 출력축 121 : 출력회전볼트
130 : 베벨기어 140 : 피니언기어
150 : 제1 클러치베어링 160 : 손잡이
170 : 고정버튼 181 : 고정핀
182 : 고정부
200 : 브라켓 210 : 지지대
211 : 결합부 222 : 지지부
220 : 고정프레임 221 : 제1 프레임부
222 : 제2 프레임부 223 : 조절홀
224 : 고정볼트 230 : 고정끈
310 : 입력본체 320 : 출력본체
321 : 출력축 수용공간 330 : 제2 클러치베어링
340 : 고정와셔 350 : 제1 고정홀더
360 : 제2 고정홀더 370 : 휠와셔
380 : 휠너트

Claims (6)

  1. 전동드릴(10)에 구비된 드릴척(11)에 장착되는 입력축(110)과, 상기 입력축(11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외측에 위치하는 끝단에 그라인더날(20)이 장착되는 출력축(120)이 구비된 본체(1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는 내부에 입력축(110) 대비 출력축(120)의 회전을 증가시키는 가속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수단은, 입력축(110) 상에 결합되어 입력축(110)과 일체로 회전하는 베벨기어(130)와, 베벨기어(130)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출력축(120)에 결합되면서 베벨기어(130)와 맞물려 출력축(120)과 일체로 회전하는 피니언기어(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130)와 입력축(110) 사이에는 입력축(110)이 일방향으로의 회전시에만 베벨기어(130)를 회전시키는 제1 클러치베어링(1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관통하는 출력축(120) 일부가 내측에 위치되는 출력축 수용공간(321)이 내부에 형성된 출력본체(320)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축 수용공간(321)에는, 출력축(120)을 둘러싸면서 전동드릴(10)의 정방향 회전 구동시에만 출력축(120)이 회전되도록 하는 제2 클러치베어링(330)이 고정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출력축(120)의 반대편으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척(11)과 본체(100) 사이에서 본체(100)와 일단이 결합되는 지지대(210)와, 상기 전동드릴(10)의 하부에 결합되면서 지지대(210)의 타단이 전동드릴(10)의 하부 전방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220)으로 구성된 브라켓(2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
PCT/KR2021/011118 2020-08-26 2021-08-20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 WO202204568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053A KR102208476B1 (ko) 2020-08-26 2020-08-26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
KR10-2020-0108053 2020-08-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45681A1 true WO2022045681A1 (ko) 2022-03-03

Family

ID=74238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1118 WO2022045681A1 (ko) 2020-08-26 2021-08-20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8476B1 (ko)
WO (1) WO2022045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476B1 (ko) * 2020-08-26 2021-01-27 김주용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
KR102565818B1 (ko) * 2021-11-11 2023-08-11 박창욱 파이프의 디버링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858Y1 (ko) * 2001-08-29 2001-12-13 주영용 클러치 베어링을 가진 모터식 드럼 회전장치
KR200267183Y1 (ko) * 2001-11-29 2002-03-09 허부용 전동톱
KR20050037961A (ko) * 2003-10-20 2005-04-25 아이디얼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동력식 드릴 케이블 커터
KR100644844B1 (ko) * 2006-05-19 2006-11-15 김성우 회전식 바비큐 장치
KR20100058394A (ko) * 2009-03-24 2010-06-03 정석주 다기능전동드릴
KR102208476B1 (ko) * 2020-08-26 2021-01-27 김주용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335B1 (ko) 2017-09-27 2019-08-1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드릴용 그라인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858Y1 (ko) * 2001-08-29 2001-12-13 주영용 클러치 베어링을 가진 모터식 드럼 회전장치
KR200267183Y1 (ko) * 2001-11-29 2002-03-09 허부용 전동톱
KR20050037961A (ko) * 2003-10-20 2005-04-25 아이디얼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동력식 드릴 케이블 커터
KR100644844B1 (ko) * 2006-05-19 2006-11-15 김성우 회전식 바비큐 장치
KR20100058394A (ko) * 2009-03-24 2010-06-03 정석주 다기능전동드릴
KR102208476B1 (ko) * 2020-08-26 2021-01-27 김주용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476B1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45681A1 (ko) 그라인더 전환용 드릴 어댑터
EP1595655A1 (en) Auxiliary handle for a portable power tool
EP2181786B1 (en) Handheld power tool
JPH04217473A (ja) バッテリ駆動式手工具
GB0306486D0 (en) Cordless hand held power tool with power accessory
WO2011099698A2 (ko) 원터치식 면취량 조절이 가능한 용접 비드면 가공용 면취기
CN104668615B (zh) 多功能钻类工具系统及用于该多功能钻类工具系统的辅助附件
DE59914426D1 (de) Elektrisch betreibbares Handgerät
US20030094294A1 (en) Hand grip for an electrical hand tool
JPH03202283A (ja) 電動工具
CA2652784A1 (en) A power tool and chuck release tool
WO2010101341A1 (ko) 나사지지수단을 구비하는 나사드라이버 비트 및 나사드라이버
JP5463907B2 (ja) 電動工具
NO995515L (no) Festeanordning-drivende tilbehør for roterende drivverktøy
CN111331177A (zh) 工作刀头可伸缩手持工具及其工作刀头的调整方法
JP7423424B2 (ja) 携帯用切断機
DE69803817D1 (de) Bohrhammer
CN219402432U (zh) 一种带有双重保险的锂电钻
JP2000343454A5 (ko)
JP2008005679A (ja) 回転操作工具
CN211278188U (zh) 一种新型冲击扳手
JP2023074912A (ja) 回転工具及び回転工具用スタンド、回転工具用スタンド付き回転工具
CN212169065U (zh) 工作刀头可伸缩手持工具
CN212170298U (zh) 自带刀头存储空间的手持工具
CN212601560U (zh) 多类型工作刀头通用手持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619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619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