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25322A1 - 조립식 완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25322A1
WO2022025322A1 PCT/KR2020/010084 KR2020010084W WO2022025322A1 WO 2022025322 A1 WO2022025322 A1 WO 2022025322A1 KR 2020010084 W KR2020010084 W KR 2020010084W WO 2022025322 A1 WO2022025322 A1 WO 202202532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s
toy
female
hexahed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008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경화
Original Assignee
박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화 filed Critical 박경화
Priority to CN202080104687.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6113479A/zh
Priority to JP2023504793A priority patent/JP2023542602A/ja
Priority to PCT/KR2020/010084 priority patent/WO2022025322A1/ko
Priority to US18/016,075 priority patent/US20230271098A1/en
Priority to EP20946860.2A priority patent/EP4190420A4/en
Publication of WO202202532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2532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2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7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using screws, bolts, nails, rivets,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toy,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toy including a male block and a female block.
  • Prefabricated toys such as Lego assemble small blocks using recesses and iron parts molded to fit each other so that you can play to make buildings, passenger objects, and robots.
  • Red-eye toys allow people to play by stacking up small blocks to create various sculptures such as buildings.
  • the method using the concave-convex part is evaluated to have the advantage of being much more free to shape and easy to disassemble.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126909 (Invention Title: Assembly Toy Unit with Built-in Double Magnetized Magnet) shows that several hexahedral blocks can be assembled with each other through a magnet. By stacking these blocks through magnetic bonding, you can play to create a sculpture of a desired shape.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783296 shows a prefabricated toy designed to be assembled into a target shape for a magnetically coupled red-eye toy, for example, a large hexahedral shape. You can check the magnet parts for coupling between the blocks, and the pillars and mount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uneven parts.
  • the difficulty of assembly is low because the number of assembly cases varies considerably. Considering only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lumn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art and the mount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main part, a user who is proficient at a certain level can easily adjust it to the target shape.
  •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after long research and trial and error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fabricated toy capable of creating a target shape by assembling one of numerous combinations.
  • a prefabricated toy includes: a first toy including a first hexahedral block, wherein one or more first male blocks are moun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hexahedral block; A second toy including a second hexahedral block, wherein one or more first female blocks are moun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econd hexahedral block -
  • the first female block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first male block -; and a pair of interfacing hexahedron blocks, wherein one or more second male blocks are moun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one block of the pair of hexahedral blocks, and one or more second female blocks are moun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other block.
  • a third toy to be used wherein the second female block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first male block.
  • the receiving groove of the second female block may have the same size as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irst female block.
  • the second male block may have the same size as the first male block.
  • Each of the pair of hexahedron blocks may have the same size as the first hexahedral block and the second hexahedral block.
  • the pair of hexahedral blocks face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 the one block and the second male block face each other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 the other block and the second female block They may be interviewed in a thir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with each other.
  • a fourth toy including a third female block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having the same size as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irst female block or the receiving groove of the second female block; and a fifth toy including a rod block penetrating at least one of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irst female block, the receiving groove of the second female block, and the receiving groove of the third female block.
  • One or more third male blocks are moun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econd female block, the pair of hexahedral blocks face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one block and the second male block are in the first direction with each other Interviewed in a second intersecting direction, the other block and the second female block intersect each other in a thir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wherein the second female block and the third male block are The interview may be conducted in the third direction.
  • the present technology can provide a prefabricated toy that can be assembled in one of numerous combinations to create a single target shape.
  • the present technology can provide a prefabricated toy that can be assembled in various combinations.
  • this technology can be combined in various ways,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efabricated toy that can enhance the creativity of the user and help develop thinking.
  • FIG. 1 is a view showing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first toy, the second toy, and the third toy constituting the prefabricated to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for illustrating a third to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in comparison with FIG. 2 .
  • FIG. 4 is a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fourth toy and the fifth toy constituting the prefabricated to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mbodiment in which second to fifth toys are assem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state in which assembling is in progress.
  • FIG. 6 is an embodiment in which second to fifth toys are assem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assembly is completed.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hird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third to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third to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showing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to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fabricated toy 10 includes several blocks. By assembling several blocks with a certain direction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form a single large hexahedral structure as a target.
  • the prefabricated toy shown in FIG. 1 corresponds to a state immediately before assembly is completed, and when the toy indicated by reference number 300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is assembled into an empty seat, assembly may be completed in a target shape.
  • the target shape is a preset shape, and as shown in the drawing, may be a 4X4X4 hexahedral struc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a larger number of blocks are assembled, a 5X5X5 hexahedral structure is also possible,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is also possible.
  • a plurality of blocks may be assembled in any one of the first direction (I), the second direction (II), and the third direction (III) to form a hexahedral structure having a target shape.
  • Bl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hexahedral blocks HA, HB, PHA, and PHB, male blocks M1 and M2, and female blocks F1 and F2.
  •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only some blocks, bu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assigned to other blocks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assembly between the blocks can be made by magnetic force.
  • a magnet component is referenced in the drawings by reference numerals m, s, and c.
  • the component referenced by reference numeral m may be a magnet (such as a permanent magnet), and the component referenced by reference numeral s may be a structure that accommodates the magnet therein, but has a toothed structure for delivering a sense of tightness to the user, , the component referenced by reference numeral c may be a structure that is directly mounted on a block and accommodates the above components.
  • the magnet component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783296 may be provided in the bl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magnetic coupling method used in various types of toys may be applied.
  • the assembly between the blocks may also be made by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le blocks and the female blocks.
  • the male blocks M1 and M2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female blocks F1 and F2.
  • the female blocks F1 and F2 have an accommodation groove structure capable of completely accommodating the male blocks M1 and M2.
  • the receiving grooves AH1 and AH2 ar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emale block.
  • the receiving groove may be formed on all surfaces of the female block. That is, by inserting the male block into the receiving groove, the male block and the female block can be assembled with each other.
  • the structure of the pillar part and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hol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783296 may be applied.
  • the female blocks (F1, F2) may have receiving grooves (AH1, AH2) formed on all surfaces thereof, and thus, the male blocks (M1, M2) are in the first direction (I) in the drawing ) and can be accommodated in the female block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 it may be accommodated in the female block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in the second direction (II) indicated in the drawing.
  • it may be accommodated in the female block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in the third direction (III) indicated in the drawing. That is, the receiving direction may be fre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s will or according to the coupling position between the toys.
  • the female block may have a surface on which the receiving groove is not formed (ie, a closed surface), and since the male block cannot be accommodated on the closed surface, the difficulty of assembly can be adjust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first direction (I), the second direction (II), and the third direction (III) intersect each other, and may preferably be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 the magnet component may also be provided in the male blocks M1 and M2. Accordingly, the male blocks may be assembled to other adjacent blocks (eg, a hexahedral block or other male blocks) via the female blocks. That is, the male block may be coupled to another adjacent block in a state in which the female block is accommodated.
  • adjacent blocks eg, a hexahedral block or other male blocks
  • the magnet component may also be provided in the female blocks. That is, when the female block has one or more closed faces, it may be provided on the closed faces.
  • assembly by magnetic force is basically described when assembling between block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assembly by magnetic force can be omitted. That is, even if there is no fastening force due to magnetic force (that is, even if there is no magnetic part),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coupling force for maintaining the overall shape by the structural coupling between the male blocks and the female blocks.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the first toy 100 , the second toy 200 , and the third toy 300 constituting the prefabricated to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for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third toy 30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mparison with FIG. 2 .
  • toys except for the third toy in FIG. 3 are the same as those shown in FIG. 2 .
  • the first toy 100 includes a first hexahedral block HA, and one or more first toys moun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hexahedral block HA. It includes male blocks M1.
  • FIG. 2 it may include a total of two male blocks mount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hexahedral block.
  • the first toy will be mainly described in an embodiment including one hexahedral block and two male blocks arranged in a line in the third direction (III),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r number does not
  • one or three or more male blocks may be mounted on one hexahedral block, or two or more hexahedral blocks may be connected by interviewing each other instead of one.
  • the two male blocks may be arranged to be orthogonal rather than in a line (such as one male block is arranged in the third direction and the other male block is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 the second toy 200 includes a second hexahedral block HB, and one or more first female blocks F1 moun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econd hexahedral block HB. ) is included.
  • FIG. 2 including two second hexahedron blocks, on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any one of the second hexahedron blocks (eg, the hexahedron block shown on the left in the drawing)
  • One first female block and one second female block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another second hexahedral block may include a total of two female blocks. .
  • the second toy includes two hexahedral blocks and one female block mounted on each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r number.
  • two or more female blocks may be mounted on one hexahedral block, or one or three or more hexahedral blocks may be connected by interviewing each other instead of two.
  • the two female blocks may be arranged in a line instead of being arranged to be orthogonal to one hexahedral block (as if both female blocks are arranged in the third direction).
  • the third toy 300 includes a pair of hexahedral blocks PH to be interviewed, and one or more hexahedral blocks moun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one side block PHA among the pair of hexahedral blocks. It includes two male blocks M2 and one or more second female blocks F2 moun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other block PHB.
  • two second male blocks mounted on the seat and back surfaces of one block may include one second female block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 two second male block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one block may include one second female block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 the third toy includes two hexahedron blocks forming a pair, two male blocks mounted on one hexahedral block, and one female block mounted on the other hexahedral block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r the number.
  • one or three or more male blocks may be mounted on one hexahedral block
  • two or more female blocks may be mounted on the other hexahedral block instead of one, or three hexahedral blocks are also mounted on the other hexahedral block.
  • More than one dog may be connected by interviewing each other.
  • the first toy 100 may be assembled into a second toy us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its own male block M1 and the female block F1 of the second toy 200 . 2 and 3 , it may be assembled by moving in the third direction III.
  • the first toy and the second toy may have an arrangement between blocks having a shape other than the arrangement shown in the drawings, and even in this case, they may be mutually assembled us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le block and the female block. Finally, it can be assembled in various directions that can be assembled into a target shape.
  • the third toy 300 may be assembled as a second toy by us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its own male block M2 and the female block F1 of the second toy 200 . 2 and 3 , it may be assembled by moving in the second direction II.
  • the third toy and the second toy may have an arrangement between blocks having a shape other than the arrangement shown in the drawings, and even in this case, they may be assembled with each other us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le block and the female block. Finally, it can be assembled in various directions that can be assembled into a target shape.
  • first toy is assembled as a second toy
  •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toy may be assembled as a third toy.
  • the female blocks F1 and F2 may all have the same structure.
  • the receiving grooves AH1 and AH2 formed in the female blocks may have the same size.
  • the male blocks M1 and M2 may have the same structure.
  • the male blocks M1 and M2 may have the same size.
  • the hexahedral block (HA) provided in the first toy may all have the same structure as each other.
  • the hexahedral blocks HA, HB, PHA, and PHB may have the same size.
  • the third toy 300 Compared to the first toy 100 or the second toy 200 , the third toy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not only a hexahedral block but also a male block and a female block. This greatly increases the difficulty when assembling a prefabricated toy into a target shape,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creative power and creativity of the user.
  • the male block and the female block of the third toy are provided in a multi-layer structure rather than a single-layer structure. That is, the hexahedral block, the male block, and the female block of the third toy are arranged in all of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third direction.
  • the third toy 300 when two hexahedral blocks PHA and PHB forming a pair are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II, the one-sided hexahedral block PHA ), at least one of the second male blocks M2 mounted in the first direction (I) is arranged.
  • the second female block F2 mounted on the other hexahedral block PHB is arranged in the third direction III.
  • the pair of hexahedral blocks PHA and PHB, the second male block M2, and the second female block F2 constituting the third toy 300 ar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I), the second direction ( II) and in the third direction (III).
  • the block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hen a pair of hexahedral blocks PHA and PHB face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II, the one-sided hexahedral block PHA and the second male block It can be seen that at least one of the M2 faces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I), and the other hexahedral block (PHB) and the second female block face each other in the third direction (III).
  • the second female block is arranged on a different layer from the other blocks PHA, PHB, and M2 except for itself. If the layer on which the second female block is disposed is an upper layer, the layer on which the other blocks except for the second female block are disposed may be referred to as a lower layer.
  • the same description is applicable to FIG. 3 as well. That is, in the third toy 300 ′, when two hexahedral blocks PHA and PHB forming a pair ar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I, the second male block is mounted on one hexahedral block PHA. At least one of the fields M2 is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II. In addition, the second female block F2 mounted on the other hexahedral block PHB is arranged in the third direction III.
  • the pair of hexahedral blocks PHA and PHB constituting the third toy 300 ′, the second male block M2 and the second female block F2 ar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I and the second direction. arranged in both (II) and the third direction (III).
  • the block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hen a pair of hexahedral blocks PHA and PHB face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I, the one-sided hexahedral block PHA and the second male block It can be seen that at least one of the M2 faces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II, and the other hexahedral block PHB and the second female block face each other in the third direction III.
  • the second female block is arranged on a different layer from the other blocks PHA, PHB, and M2 except for itself. If the layer on which the second female block is disposed is an upper layer, the layer on which the other blocks except for the second female block are disposed may be referred to as a lower layer.
  • the third toy having the multi-layer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difficulty in assembling the toys in the target shape can be greatly improved.
  • a structure such as a third toy equipped with both male and female blocks to one toy, the number of cases of assembling reaching the final shape is reduced, thus , the creative power of the user can be greatly improved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ys and the target shape.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the fourth toy 400 and the fifth toy 500 constituting the prefabricated to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ourth toy 400 includes a single third female block F3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aforementioned female blocks F1 and F2 .
  • the receiving groove AH3 formed in the third female block F3 and the aforementioned receiving grooves AH1 and AH2 may all have the same size.
  • the fifth toy 500 includes a single bar block RO passing through at least one of the receiving grooves AH1 , AH2 , and AH3 of the female blocks F1 , F2 , and F3 .
  • the outer diameter of the bar block RO may have the same siz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male block M1 or the second male block M2 described above.
  • the difficulty of assembling may be further increased.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cases of assembling into the target shape is further limited.
  • FIGS. 5 to 6 An embodiment of the assembly is shown in FIGS. 5 to 6 .
  • FIG. 5 and 6 show an embodiment in which second to fifth toys are assem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assembly is in progress
  •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assembly is completed.
  • the fifth toy 500 may be assembled to the second toy 200 ′ and the third toy 300 in the first direction I.
  • the fifth toy 500 moves to the second toy in the first direction I by us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its own rod block RO and the first female block F1 of the second toy 200'.
  • the second toy 200 ′ includes a second hexahedral block HB, and is shown in that it includes one or more first female blocks F1 moun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econd hexahedral block HB.
  • the fifth toy 500 can be assembled to the third toy in the first direction I by us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its own bar block RO and the second female block F2 of the third toy 300 .
  • the third toy 300 is the same as the third toy described in FIG. 2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other third toys having a different arrangement direction or number between blocks may be applied.
  • the fourth toy 400 may be assembled to the fifth toy in the first direction I by us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its own female block F3 and the bar block RO of the fifth toy 500 .
  •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to fifth toys can be assembled in various directions that can be assembled into a final target shape, and is not limited to the direction or arrangement shown in the drawings.
  • the long rod block (RO) formed to pass through the four female blocks further increases the difficulty of assembling the prefabricated toy. This is because only one or more of the first to third female blocks among the above-described blocks may be located as a position where the bar block is assembled, so that the number of cases of assembling reaching the final shape is very limited. As shown in the figure, only the female block of the second toy, the female block of the third toy, and the female block of the fourth toy may be located as positions where the bar blocks are assembled.
  • a portion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6 shows that any female block among the first to third female blocks can be located, and as such, a bar block having a length penetrating through the four female blocks is located. Since only the first to third female blocks can be assembled, the difficulty of assembly can be increased.
  • the fourth toy may play a role of lowering the difficulty relatively. Since the fourth toy is formed of only one single female block regardless of the interview with any other blocks such as the first to third toys, it serves as a single female block to offset the male block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ron part between assembly. because you can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hird toy 3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nother example of the third to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third to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cond female block F2′′ constituting the third toy 3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surface is blocked. That is, the second female block may have a surface (ie, a closed surface) CF on which the receiving groove is not formed.
  • the closed face CF of the second female block of the third toy increases the difficulty of assembling the prefabricated toy.
  • the above-described male blocks M1 and M2 can be coupled on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among the five surfaces of the second female block F2”, and cannot be coupl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losed side CF is formed. Therefore, since the user has to assemble in consideration of the assembly direction limited by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closed surface, the difficulty is increased.
  • on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emale block is illustrated as being block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ther surface may be blocked or two or more surfaces may be blocked.
  • the closed surface functions the same as the one surface of the hexahedral block described above in the assembly between the blocks. That is, it enables assembly between blocks by magnetic force.
  • One side of another hexahedral block is interviewed as a closed side, and at this time,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y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by the magnet parts provided for each.
  • the assembly by magnetic force ie, the magnetic part
  • the assembly by magnetic force may be omitted.
  • the closed surface also serves as the basis of a structure that further increases the difficulty, as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third male block M3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closed surface CF.
  • one third male block M3 may be mounted on the closed surface.
  • one or more third male blocks may be mounted on one or more of the closed faces.
  • At least one of the one or more third male blocks M3 is preferably arrang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male blocks M2 provided in the third toy are arranged.
  • the third male block M3 is the third It can be arranged in direction (III).
  • the third male block ( M3) may be arranged in the third direction (III). That is, the third male blocks M3 may be arrang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male blocks M2 .
  • the third male block may be arranged on a different layer from the other blocks (PHA, PHB, M2, F2”') except for itself. If the layer on which the third male block is disposed is an upper layer, the second female block may be referred to as an intermediate layer, and a layer on which blocks other than the third male block and the second female block are disposed may be referred to as a lower layer.
  • PH a pair of hexahedral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조립식 완구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조립식 완구는, 제1 육면체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육면체 블록의 적어도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수형 블록들이 장착되는 제1 완구; 제2 육면체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육면체 블록의 적어도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암형 블록들이 장착되는 제2 완구-상기 제1 암형 블록에는 상기 제1 수형 블록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마련됨-; 및 면접하는 한 쌍의 육면체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육면체 블록들 중 일측 블록의 적어도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2 수형 블록들이 장착되고, 타측 블록의 적어도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2 암형 블록들이 장착되는 제3 완구-상기 제2 암형 블록에는 상기 제1 수형 블록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마련됨-;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완구
본 발명은 조립식 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형 블록과 암형 블록을 포함하는 조립식 완구에 관한 것이다.
조립식 완구의 종류는 다양하다.
레고와 같은 조립식 완구는 작은 블록들을 서로 꼭 들어맞게 성형된 요부와 철부를 이용하여 조립하여 건물, 승용물, 로봇 등을 만드는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적목 완구는 작은 블록들을 쌓아올려 건물 등의 여러 조형물을 만드는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쌓아올리는 방식에 비해, 요철부를 이용한 방식은 조형이 훨씬 자유롭고 분해도 쉬운 장점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적목 완구에 조형과 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도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6909호(발명명칭: 이중 착자 자석이 내장된 조립완구 유닛)는 자석을 통해 여러 육면체 블록들이 서로 조립 가능함을 보여준다. 이들 블록들을 자석 결합을 통해 쌓아가며 원하는 형상의 조형물을 만드는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의 창의력을 더욱 고취시키기 위해, 요철부들를 마련해두고 요철부들간의 간섭을 해결해가면서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조립하는 방식도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3296호(발명명칭: 조립식 완구)는 자석 결합이 가능한 적목 완구를 목표로 하는 형상, 예를 들어, 커다란 육면체 형상으로 조립하도록 된 조립식 완구를 보여준다. 블록들간 결합을 위한 자석부품들과, 요철부에 해당하는 기둥부와 장착홀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행특허는 조립의 경우의 수가 상당히 다양하여 조립의 난이도는 낮다. 철부에 해당하는 기둥부와 요부에 해당하는 장착홀간 결합관계만을 고려하면 일정 수준으로 숙달된 사용자는 쉽게 목표 형상으로 맞추어낼 수 있다.
여기서, 보다 높은 난이도의 조립식 완구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가 존재한다. 즉, 사용자는 보다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욕구를 갖는다.
조립식 완구를 공급하는 공급자의 입장에서도 사용자의 이러한 니즈를 해결하고, 동시에 보다 사용자의 창의력과 창작력을 고취시킬 수 있는 조립식 완구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상존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많은 조합 중 하나로 조립하여 목표로 하는 형상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조립식 완구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는, 제1 육면체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육면체 블록의 적어도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수형 블록들이 장착되는 제1 완구; 제2 육면체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육면체 블록의 적어도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암형 블록들이 장착되는 제2 완구-상기 제1 암형 블록에는 상기 제1 수형 블록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마련됨-; 및 면접하는 한 쌍의 육면체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육면체 블록들 중 일측 블록의 적어도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2 수형 블록들이 장착되고, 타측 블록의 적어도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2 암형 블록들이 장착되는 제3 완구-상기 제2 암형 블록에는 상기 제1 수형 블록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마련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암형 블록의 수용홈은 상기 제1 암형 블록의 수용홈과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수형 블록은 상기 제1 수형 블록과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육면체 블록들 각각은 상기 제1 육면체 블록 및 제2 육면체 블록과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육면체 블록들은 서로 제1 방향으로 면접하고, 상기 일측 블록과 상기 제2 수형 블록은 서로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면접하며, 상기 타측 블록과 상기 제2 암형 블록은 서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에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면접할 수 있다.
상기 제1 암형 블록의 수용홈 또는 상기 제2 암형 블록의 수용홈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수용홈이 마련된 제3 암형 블록을 포함하는 제4 완구; 및 상기 제1 암형 블록의 수용홈, 상기 제2 암형 블록의 수용홈 및 상기 제3 암형 블록의 수용홈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는 막대 블록을 포함하는 제5 완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암형 블록의 적어도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3 수형 블록들이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육면체 블록들은 서로 제1 방향으로 면접하고, 상기 일측 블록과 상기 제2 수형 블록은 서로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면접하며, 상기 타측 블록과 상기 제2 암형 블록은 서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에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면접하되, 상기 제2 암형 블록과 상기 제3 수형 블록은 상기 제3 방향으로 면접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수많은 조합 중 하나로 조립하여 목표로 하는 하나의 형상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조립식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여러 가지 조합으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이 가능해 사용자의 창의력을 증진시키고, 사고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조립식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의 전체적인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를 구성하는 제1 완구, 제2 완구 및 제3 완구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와 대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완구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를 구성하는 제4 완구 및 제5 완구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 내지 제5 완구들이 조립되는 일 실시예로서, 조립이 진행 중인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 내지 제5 완구들이 조립되는 일 실시예로서,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완구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완구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완구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10)의 전체적인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완구(10)는 여러 개의 블록들을 포함한다. 여러 개의 블록들이 서로 일정한 방향성을 갖고 조립됨으로써 목표로 하는 최종적인 하나의 커다란 육면체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완구는 조립이 완료되기 직전의 상태에 해당하며, 도면부호 300번으로 표시된 완구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빈자리로 조립되면 목표로 하는 형상으로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목표로 하는 형상은 기설정된 형상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X4X4의 육면체 구조물일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더욱 많은 수의 블록들이 조립되는 경우 5X5X5의 육면체 구조물도 가능하고, 10X5X5와 같은 직육면체 구조물도 가능하다.
여러 개의 블록들이 제1 방향(I), 제2 방향(II) 및 제3 방향(III)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조립됨으로써 목표 형상의 육면체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들은 육면체 블록들(HA, HB, PHA, PHB), 수형 블록들(M1, M2) 및 암형 블록들(F1, F2)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일부 블록들에 대해서만 도면부호가 매겨져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다른 블록들에 대해서도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매겨질 수 있다.
기본적으로, 블록들간 조립은 자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록들에는 자석부품이 마련된다. 자석부품이 도면에서 도면부호 m, s, c로 참조된다. 도면부호 m으로 참조되는 구성요소는 자석(영구자석과 같은)일 수 있고, 도면부호 s로 참조되는 구성요소는 자석을 내부에 수용하되 사용자에게 체결감을 전달하기 위한 톱니 구조를 가진 구조물일 수 있고, 도면부호 c로 참조된 구성요소는 블록에 직접 장착되어 위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고 있는 구조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3296호에 개시되어 있는 자석부품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들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의 완구에 사용되는 자석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블록들간 조립은 수형 블록들과 암형 블록들간 결합 관계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형 블록들(M1, M2)은 암형 블록들(F1, F2) 내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암형 블록들(F1, F2)은 수형 블록들(M1, M2)을 완전히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 구조를 갖는다. 수용홈(AH1, AH2)은 암형 블록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은 암형 블록의 모든 면들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용홈으로 수형 블록이 삽입됨으로써 수형 블록과 암형 블록이 서로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3296호에 개시되어 있는 기둥부의 구조와 장착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암형 블록(F1, F2)은 그 모든 면들에 수용홈(AH1, AH2)이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수형 블록(M1, M2)은 도면상 제1 방향(I)으로 수용홈을 통해 암형 블록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상 표시된 제2 방향(II)으로 수용홈을 통해 암형 블록에 수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상 표시된 제3 방향(III)으로 수용홈을 통해 암형 블록에 수용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또는 완구들간 결합 위치에 따라 수용 방향이 자유롭게 결정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목표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는 다양한 방향으로 수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암형 블록은 수용홈이 형성되지 않은 면(즉, 닫힌 면)을 가질 수도 있으며, 닫힌 면으로는 수형 블록이 수용되지 못하므로 조립의 난이도 조절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방향(I), 제2 방향(II) 및 제3 방향(III)은 서로 교차하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들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부품은 수형 블록들(M1, M2)에도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수형 블록들은 암형 블록들을 매개로 하여 인접하는 다른 블록들(예를 들어, 육면체 블록이나 다른 수형 블록)에 조립될 수 있다. 즉, 수형 블록이 암형 블록이 수용된 상태로 인접하는 다른 블록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자석부품은 암형 블록들에도 마련될 수 있다. 즉, 암형 블록이 하나 이상의 닫힌 면을 갖는 경우, 그 닫힌 면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블록들간 조립시 자력에 의한 조립을 기본으로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육면체 구조물 형성을 위해서는 구조적으로 수형 블록들과 암형 블록들간 결합 관계에 의한 조립도 가능하기 때문에, 자력에 의한 조립은 생략도 가능하다. 즉, 자력에 의한 체결력이 없더라도(즉, 자석부품이 없더라도) 수형 블록들과 암형 블록들간 구조적인 결합에 의해 그 전체 형상을 유지하는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10)를 구성하는 제1 완구(100), 제2 완구(200) 및 제3 완구(300)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와 대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완구(300')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서 제3 완구를 제외한 완구들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것을 도시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완구(100)는 제1 육면체 블록(HA)을 포함하고, 제1 육면체 블록(HA)의 적어도 일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제1 수형 블록들(M1)을 포함한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육면체 블록의 위아래 면들에 장착된 총 2개의 수형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완구가 1개의 육면체 블록과 제3 방향(III)으로 일렬로 배열된 2개의 수형 블록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하나, 배열 방향이나 개수에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형 블록은 하나의 육면체 블록에 1개 또는 3개 이상이 장착될 수도 있고, 또는 육면체 블록도 1개가 아닌 2개 이상이 서로 면접하여 연결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2개의 수형 블록들은 일렬이 아닌 직교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어느 하나의 수형 블록이 제3 방향으로 배열되고, 다른 하나의 수형 블록이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과 같이).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완구(200)는 제2 육면체 블록(HB)을 포함하고, 제2 육면체 블록(HB)의 적어도 일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제1 암형 블록들(F1)을 포함한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2 육면체 블록들을 포함하고, 그 중 어느 하나의 제2 육면체 블록(예를 들어, 도면상 좌측에 도시된 육면체 블록)의 윗면에 장착된 1개의 제1 암형 블록과, 다른 하나의 제2 육면체 블록(예를 들어, 도면상 우측에 도시된 육면체 블록)의 앞면에 장착된 1개의 제1 암형 블록 해서 총 2개의 암형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완구가 2개의 육면체 블록들과 각각에 장착된 하나씩의 암형 블록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하나, 배열 방향이나 개수에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암형 블록은 하나의 육면체 블록에 2개 이상이 장착될 수도 있고, 또는 육면체 블록도 2개가 아닌 1개 또는 3개 이상이 서로 면접하여 연결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2개의 암형 블록들은 하나의 육면체 블록을 기준으로 직교하도록 배열되는 것이 아닌 일렬로 배열될 수도 있다(두 암형 블록들이 모두 제3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완구(300)는 면접하는 한 쌍의 육면체 블록들(PH)을 포함하고, 한 쌍의 육면체 블록들 중 일측 블록(PHA)의 적어도 일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제2 수형 블록들(M2)과, 타측 블록(PHB)의 적어도 일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제2 암형 블록들(F2)을 포함한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블록(도면상 좌측에 도시된 육면체 블록)의 좌면과 뒷면에 장착된 2개의 제2 수형 블록들과, 타측 블록(도면상 우측에 도시된 육면체 블록)의 윗면에 장착된 1개의 제2 암형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블록(도면상 좌측에 도시된 육면체 블록)의 좌면과 우면에 장착된 2개의 제2 수형 블록들과, 타측 블록(도면상 우측에 도시된 육면체 블록)의 윗면에 장착된 1개의 제2 암형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3 완구가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육면체 블록들과, 그 중 일측 육면체 블록에 장착된 두 개의 수형 블록들, 그리고, 타측 육면체 블록에 장착된 한 개의 암형 블록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하나, 배열 방향이나 개수에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형 블록은 일측 육면체 블록에 1개 또는 3개 이상이 장착될 수도 있고, 암형 블록은 타측 육면체 블록에 1개가 아닌 2개 이상이 장착될 수도 있으며, 또는 육면체 블록도 2개가 아닌 3개 이상이 서로 면접하여 연결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완구(100)는 자신의 수형 블록(M1)과 제2 완구(200)의 암형 블록(F1)간 결합 관계를 이용하여 제2 완구로 조립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방향(III)으로 이동하여 조립될 수 있다.
제1 완구와 제2 완구는 도면에 도시된 배열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의 블록들간 배열을 가질 수도 있고, 이 경우에도 수형 블록과 암형 블록간 결합 관계를 이용하여 상호간 조립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목표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는 다양한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제3 완구(300)는 자신의 수형 블록(M2)과 제2 완구(200)의 암형 블록(F1)간 결합 관계를 이용하여 제2 완구로 조립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II)으로 이동하여 조립될 수 있다.
제3 완구와 제2 완구는 도면에 도시된 배열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의 블록들간 배열을 가질 수도 있고, 이 경우에도 수형 블록과 암형 블록간 결합 관계를 이용하여 상호간 조립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목표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는 다양한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제1 완구가 제2 완구로 조립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완구가 제3 완구로 조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완구에 마련되는 암형 블록(F1)이던 제3 완구에 마련되는 암형 블록(F2)이던, 암형 블록들(F1, F2)은 서로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암형 블록들에 형성되는 수용홈들(AH1, AH2)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완구에 마련되는 수형 블록(M1)이던 제3 완구에 마련되는 수형 블록(M2)이던, 수형 블록들(M1, M2)은 서로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수형 블록들(M1, M2)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완구에 마련되는 육면체 블록(HA)이던, 제2 완구에 마련되는 육면체 블록(HB)이던 또는 제3 완구에 마련되는 육면체 블록들(PHA, PHB)이던, 육면체 블록들(HA, HB, PHA, PHb)은 서로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육면체 블록들(HA, HB, PHA, PHB)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계속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완구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완구(300)는 제1 완구(100)나 제2 완구(200) 대비, 육면체 블록뿐만 아니라, 수형 블록과 암형 블록을 모두 갖는다. 이는 조립식 완구를 갖고서 목표로 하는 형상으로 조립하고자 할 때 난이도를 크게 높이며, 따라서, 사용자의 창작력과 창의력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제3 완구의 수형 블록과 암형 블록은 단층 구조가 아닌 복층 구조로 마련된다. 즉, 제3 완구의 육면체 블록, 수형 블록 및 암형 블록은 제1 방향, 제2 방향 및 제3 방향 모두로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완구(300)는,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육면체 블록들(PHA, PHB)이 제2 방향(II)으로 배열될 때, 일측 육면체 블록(PHA)에 장착되는 제2 수형 블록들(M2)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방향(I)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타측 육면체 블록(PHB)에 장착되는 제2 암형 블록(F2)이 제3 방향(III)으로 배열된다.
즉, 제3 완구(3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육면체 블록들(PHA, PHB), 제2 수형 블록(M2) 및 제2 암형 블록(F2)은 제1 방향(I), 제2 방향(II) 및 제3 방향(III) 모두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들은 서로 면접하도록 배열되므로, 한 쌍의 육면체 블록들(PHA, PHB)이 제2 방향(II)으로 서로 면접할 때, 일측 육면체 블록(PHA)과 제2 수형 블록들(M2)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방향(I)으로 서로 면접하고, 타측 육면체 블록(PHB)과 제2 암형 블록이 제3 방향(III)으로 서로 면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제3 완구(300)에서 제2 암형 블록은 자신을 제외한 나머지 블록들(PHA, PHB, M2)과 다른 층에 배열된다. 제2 암형 블록이 배치된 층이 윗 층이라면, 제2 암형 블록을 제외한 나머지 블록들이 배치된 층은 아랫 층이라 할 수 있다.
도 3에서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 가능하다. 즉, 제3 완구(300')는,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육면체 블록들(PHA, PHB)이 제1 방향(I)으로 배열될 때, 일측 육면체 블록(PHA)에 장착되는 제2 수형 블록들(M2)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방향(II)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타측 육면체 블록(PHB)에 장착되는 제2 암형 블록(F2)이 제3 방향(III)으로 배열된다.
즉, 제3 완구(3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육면체 블록들(PHA, PHB), 제2 수형 블록(M2) 및 제2 암형 블록(F2)은 제1 방향(I), 제2 방향(II) 및 제3 방향(III) 모두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들은 서로 면접하도록 배열되므로, 한 쌍의 육면체 블록들(PHA, PHB)이 제1 방향(I)으로 서로 면접할 때, 일측 육면체 블록(PHA)과 제2 수형 블록들(M2)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방향(II)으로 서로 면접하고, 타측 육면체 블록(PHB)과 제2 암형 블록이 제3 방향(III)으로 서로 면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제3 완구(300')에서 제2 암형 블록은 자신을 제외한 나머지 블록들(PHA, PHB, M2)과 다른 층에 배열된다. 제2 암형 블록이 배치된 층이 윗 층이라면, 제2 암형 블록을 제외한 나머지 블록들이 배치된 층은 아랫 층이라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복층 구조의 제3 완구를 이용하면, 목표 형상으로 완구들을 조립함에 있어서 난이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단순히 완구들간 수블록과 암블록을 결합하는 것에서 나아가, 하나의 완구에 수블록과 암블록이 모두 구비된 제3 완구와 같은 구조가 더해짐으로써, 최종 형상에 이르는 조립의 경우의 수가 감소되고, 따라서, 완구들간 결합관계 및 목표 형상으로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창작력이 크게 증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10)를 구성하는 제4 완구(400) 및 제5 완구(500)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4 완구(400)는 상술한 암형 블록들(F1, F2)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단일의 제3 암형 블록(F3)을 포함한다. 일례로, 제3 암형 블록(F3)에 형성되는 수용홈(AH3)과 상술한 수용홈들(AH1, AH2)은 모두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5 완구(500)는 상기 암형 블록들(F1, F2, F3)의 수용홈들(AH1, AH2, AH3)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는 단일의 막대 블록(RO)을 포함한다. 일례로, 막대 블록(RO)의 외경은 상술한 제1 수형 블록(M1) 또는 제2 수형 블록(M2)의 외경과 모두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앞서 도 2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제3 완구에 더하여 제4 완구 및 제5 완구가 더해지면 조립의 난이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목표 형상으로 조립하는 경우의 수가 더욱 제한되기 때문이다.
조립의 실시예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 내지 제5 완구들이 조립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가 조립이 진행 중인 상태를, 도 6이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완구(500)는 제2 완구(200') 및 제3 완구(300)에 제1 방향(I)으로 조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5 완구(500)는 자신의 막대 블록(RO)과 제2 완구(200')의 제1 암형 블록(F1)간 결합 관계를 이용하여 제2 완구에 제1 방향(I)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제2 완구(200')는 제2 육면체 블록(HB)을 포함하고, 제2 육면체 블록(HB)의 적어도 일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제1 암형 블록들(F1)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2 내지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으며, 단지 블록들간 배열 방향이나 개수에 차이만 있을 뿐임을 주목한다.
또한 제5 완구(500)는 자신의 막대 블록(RO)과 제3 완구(300)의 제2 암형 블록(F2)간 결합 관계를 이용하여 제3 완구에 제1 방향(I)으로 조립될 수 있다. 제3 완구(3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서 상술한 제3 완구와 동일한 것을 도시하며, 블록들간 배열 방향이나 개수에 차이가 있는 다른 제3 완구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4 완구(400)는 자신의 암형 블록(F3)과 제5 완구(500)의 막대 블록(RO)간 결합 관계를 이용하여 제5 완구에 제1 방향(I)으로 조립될 수 있다.
제2 내지 제5 완구들간 결합 관계는 최종 목표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는 다양한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방향이나 배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암형 블록들 4개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긴 막대 블록(RO)은 조립식 완구의 조립 난이도를 더욱 높인다. 막대 블록이 조립되는 위치로는 상술한 블록들 중 제1 내지 제3 암형 블록들 중 하나 이상만이 위치할 수 있으므로, 최종 형상으로 도달하는 조립의 경우의 수가 매우 제한되기 때문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 블록이 조립되는 위치로는 제2 완구의 암형 블록, 제3 완구의 암형 블록 및 제4 완구의 암형 블록만이 위치될 수 있다.
도 6에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제1 내지 제3 암형 블록들 중 임의의 암형 블록이 위치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이와 같이, 4개의 암형 블록들을 관통하는 길이를 갖는 막대 블록이 위치하는 곳으로는 제1 내지 제3 암형 블록들만이 조립될 수 있으므로, 조립의 난이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조립의 전체적인 관점에서 제5 완구가 난이도를 높이는 것이라면 상대적으로 제4 완구는 난이도를 낮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4 완구는 제1 내지 제3 완구들과 같은 어떠한 다른 블록들과의 면접하는 관계 없이 단일의 암형 블록 하나만으로 형성되므로, 조립간 철부에 해당하는 수형 블록 부분을 상쇄시키는 단일의 암형 블록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많은 조합 중 하나로 조립하여 목표로 하는 하나의 형상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조립식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창의력을 증진시키고, 사고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완구(300”)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완구의 다른 일례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완구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완구(300”)를 구성하는 제2 암형 블록(F2”)은 그 일면이 막힌 구조일 수 있다. 즉, 제2 암형 블록은 수용홈이 형성되지 않은 면(즉, 닫힌 면)(CF)을 가질 수 있다.
제3 완구의 제2 암형 블록의 닫힌 면(CF)은 조립식 완구의 조립 난이도를 높인다. 상술한 수형 블록들(M1, M2)은 제2 암형 블록(F2”의 5개의 면들 중 수용홈이 형성된 방향으로만 결합이 가능하며, 닫힌 면(CF)이 형성된 방향으로는 결합이 불가한 결합 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닫힌 면의 형성 위치에 의해 제한되는 조립 방향을 고려하여 조립해야 하므로, 그 난이도가 높아진다.
도면에서는 제2 암형 블록의 윗면 하나가 막힌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면이 막히거나 2 이상의 면들이 막히는 막힐 수도 있다.
이때, 닫힌 면은 블록들간 조립에 있어서 상술한 육면체 블록의 일면과 같은 기능을 한다. 즉, 자력에 의해 블록들간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다. 닫힌 면으로 다른 육면체 블록의 일면이 면접하고, 이때 각각에 마련된 자석부품에 의해 자력으로 서로 조립됨을 생각하면 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식 완구의 블록들간 조립에 있어서, 자력(즉, 자석부품)에 의한 조립은 생략도 가능하다.
한편, 닫힌 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난이도를 더욱 높이는 구조의 기초가 되기도 한다.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면(CF)상에 제3 수형 블록(M3)이 더욱 장착될 수도 있다.
이때, 제2 암형 블록(F2”')에서 닫힌 면이 하나인 경우, 그 닫힌 면에 하나의 제3 수형 블록(M3)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암형 블록에서 닫힌 면이 2개 이상인 경우에는, 그 닫힌 면들 중 1개 이상의 면마다 하나 이상의 제3 수형 블록들이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제3 수형 블록들(M3) 중 적어도 하나는 제3 완구에 마련되는 다른 수형 블록들(M2)이 배열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육면체 블록(PHA)에 장착되는 제2 수형 블록들(M2)이 제2 방향(II)으로 배열될 때, 제3 수형 블록(M3)은 제3 방향(III)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육면체 블록(PHA)에 장착되는 제2 수형 블록들(M2)이 제1 방향(I)과 제2 방향(II)으로 배열될 때, 제3 수형 블록(M3)은 제3 방향(III)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제3 수형 블록(M3)은 제2 수형 블록(M2)의 배열 방향에 직교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완구에서 제3 수형 블록은 자신을 제외한 나머지 블록들(PHA, PHB, M2, F2”')과 다른 층에 배열될 수 있다. 제3 수형 블록이 배치된 층이 윗 층이라면, 제2 암형 블록은 중간 층, 그리고, 제3 수형 블록과 제2 암형 블록을 제외한 나머지 블록들이 배치된 층은 아랫 층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제3 완구에서 제3 수형 블록까지 형성시킴으로써 가장 난이도 높은 조립식 완구를 설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다른 블록들과의 결합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설계가 가능하다. 수형 블록과 암형 블록을 무작위로 형성시키는 것이 아닌 결합 방향의 일관성을 고난이도에서도 일관성 있게 유지함으로서, 저난이도에 고난이도에 이르는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조립식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 조립식 완구
100 : 제1 완구
HA : 제1 육면체 블록
M1 : 제1 수형 블록
200 : 제2 완구
HB : 제2 육면체 블록
F1 : 제1 암형 블록
300 : 제3 완구
PH : 한 쌍의 육면체 블록들
M2 : 제2 수형 블록
F2 : 제2 암형 블록
400 : 제4 완구
F3 : 제3 암형 블록
500 : 제5 완구
RO : 막대 블록

Claims (7)

  1. 제1 육면체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육면체 블록의 적어도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수형 블록들이 장착되는 제1 완구;
    제2 육면체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육면체 블록의 적어도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암형 블록들이 장착되는 제2 완구-상기 제1 암형 블록에는 상기 제1 수형 블록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마련됨-; 및
    면접하는 한 쌍의 육면체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육면체 블록들 중 일측 블록의 적어도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2 수형 블록들이 장착되고, 타측 블록의 적어도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2 암형 블록들이 장착되는 제3 완구-상기 제2 암형 블록에는 상기 제1 수형 블록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마련됨-;를 포함하는, 조립식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암형 블록의 수용홈은 상기 제1 암형 블록의 수용홈과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조립식 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형 블록은 상기 제1 수형 블록과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조립식 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육면체 블록들 각각은 상기 제1 육면체 블록 및 제2 육면체 블록과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조립식 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육면체 블록들은 서로 제1 방향으로 면접하고, 상기 일측 블록과 상기 제2 수형 블록은 서로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면접하며, 상기 타측 블록과 상기 제2 암형 블록은 서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에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면접하는, 조립식 완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형 블록의 수용홈 또는 상기 제2 암형 블록의 수용홈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수용홈이 마련된 제3 암형 블록을 포함하는 제4 완구; 및
    상기 제1 암형 블록의 수용홈, 상기 제2 암형 블록의 수용홈 및 상기 제3 암형 블록의 수용홈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는 막대 블록을 포함하는 제5 완구;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암형 블록의 적어도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3 수형 블록들이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육면체 블록들은 서로 제1 방향으로 면접하고, 상기 일측 블록과 상기 제2 수형 블록은 서로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면접하며, 상기 타측 블록과 상기 제2 암형 블록은 서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에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면접하되,
    상기 제2 암형 블록과 상기 제3 수형 블록은 상기 제3 방향으로 면접하는, 조립식 완구.
PCT/KR2020/010084 2020-07-30 2020-07-30 조립식 완구 WO2022025322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104687.7A CN116113479A (zh) 2020-07-30 2020-07-30 组装式玩具
JP2023504793A JP2023542602A (ja) 2020-07-30 2020-07-30 組立式玩具
PCT/KR2020/010084 WO2022025322A1 (ko) 2020-07-30 2020-07-30 조립식 완구
US18/016,075 US20230271098A1 (en) 2020-07-30 2020-07-30 Assembly-type toy
EP20946860.2A EP4190420A4 (en) 2020-07-30 2020-07-30 ASSEMBLY TOY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0084 WO2022025322A1 (ko) 2020-07-30 2020-07-30 조립식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25322A1 true WO2022025322A1 (ko) 2022-02-03

Family

ID=80036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0084 WO2022025322A1 (ko) 2020-07-30 2020-07-30 조립식 완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71098A1 (ko)
EP (1) EP4190420A4 (ko)
JP (1) JP2023542602A (ko)
CN (1) CN116113479A (ko)
WO (1) WO2022025322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2924U (ja) * 2006-04-17 2006-06-29 博 岡野 積み木
KR20110126909A (ko) 2010-05-18 2011-11-24 주식회사 선우엔터테인먼트 이중 착자 자석이 내장된 조립완구 유닛
KR101414360B1 (ko) * 2013-04-29 2014-07-01 강화업 조립식 완구블록
KR20150145829A (ko) * 2014-06-19 2015-12-31 시스매트릭스 주식회사 완구 블록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
KR20160150441A (ko) * 2015-06-22 2016-12-30 박민순 조립식 완구
WO2018009975A1 (en) * 2016-07-15 2018-01-18 Trimiti Moebius Design Pty Ltd Three-dimensional logic puzzle
KR20200097980A (ko) * 2019-02-11 2020-08-20 박민순 조립식 완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0545B2 (en) * 2010-02-06 2013-09-24 Boaz Leicht Interconnectible building elements for intellectual challenge games
WO2015111823A1 (ko) * 2014-01-23 2015-07-30 시스매트릭스 주식회사 완구 블록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
RU194656U1 (ru) * 2019-07-24 2019-12-18 Хуэйчжи Цзян Куб-головоломк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2924U (ja) * 2006-04-17 2006-06-29 博 岡野 積み木
KR20110126909A (ko) 2010-05-18 2011-11-24 주식회사 선우엔터테인먼트 이중 착자 자석이 내장된 조립완구 유닛
KR101414360B1 (ko) * 2013-04-29 2014-07-01 강화업 조립식 완구블록
KR20150145829A (ko) * 2014-06-19 2015-12-31 시스매트릭스 주식회사 완구 블록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
KR20160150441A (ko) * 2015-06-22 2016-12-30 박민순 조립식 완구
KR101783296B1 (ko) 2015-06-22 2017-09-29 박민순 조립식 완구
WO2018009975A1 (en) * 2016-07-15 2018-01-18 Trimiti Moebius Design Pty Ltd Three-dimensional logic puzzle
KR20200097980A (ko) * 2019-02-11 2020-08-20 박민순 조립식 완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190420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71098A1 (en) 2023-08-31
EP4190420A1 (en) 2023-06-07
EP4190420A4 (en) 2024-04-17
CN116113479A (zh) 2023-05-12
JP2023542602A (ja) 202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14636C2 (ru) Модули для создания сборок с магнитным креплением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сборки
WO2011074922A2 (ko) 자석장착용 부품 및 자석완구
WO2022025322A1 (ko) 조립식 완구
ATE159182T1 (de) Tridimensionale puzzlekonstruktion
WO2013119055A1 (ko) 조립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조립용 완구
US11406909B2 (en) Magnetic building block
US8348279B2 (en) Magnetic house puzzle
WO2015160060A1 (ko) 자석완구의 자석 장착구
WO2019004516A1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WO2021010592A1 (ko) 6-웨이 커넥터모듈
WO2021118236A1 (ko) 가구조립용 연결구와 이에 의해 조립된 가구
WO2013077513A1 (ko) 유아용 변형완구
JPH09500288A (ja) 磁石式積み木
WO2020204569A1 (ko) 스티로폼을 결합한 기능성 벽돌 제조방법
GB1581145A (en) Toy construction kits
KR102282815B1 (ko) 조립식 완구
WO2022055084A1 (ko)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
ES2131429T3 (es) Conjunto de clave de boveda.
KR200198228Y1 (ko) 조립식 입체 판블록
WO2018074816A1 (ko) 자석 완구
WO2018135931A1 (ko) 변신 자동차 완구
US3585752A (en) Blocks with laterally apertured connecting plugs
WO2015076628A1 (ko) 수납장 조립체 및 수납장
WO2011083950A2 (ko) 폴딩 구조체
JP2006000619A (ja) 立体迷路形成用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468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0479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9468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9468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228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