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10027A1 - Iot 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Iot 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10027A1
WO2022010027A1 PCT/KR2020/011083 KR2020011083W WO2022010027A1 WO 2022010027 A1 WO2022010027 A1 WO 2022010027A1 KR 2020011083 W KR2020011083 W KR 2020011083W WO 2022010027 A1 WO2022010027 A1 WO 202201002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battery
battery module
unit
digita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108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영조
Original Assignee
김영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조 filed Critical 김영조
Publication of WO202201002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1002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58Feeding by batt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2Induction for charging or current transform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05B2047/0086Emergency release, e.g. key or electromagn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7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cluding means for monitoring voltage, e.g. for indicating low battery stat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door lock, and in particular, replaces a battery (primary battery), a disposable consumable used as a battery of a digital door lock, has a large capacity, can be used for a long time (rechargeable about 1000 times), and has an Internet of Things (IoT) function It is possible and relates to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that prevents the door lock from working due to battery discharge.
  • a battery primary battery
  • IoT Internet of Things
  • the digital door lock becomes inoperable.
  • the user or manager of the digital door lock purchases a 9V square battery and supplies current to the external emergency charging terminal of the digital door lock to temporarily operate the digital door lock (this is a method that is not well known), or a key maker You'll have to pay travel expenses to a repairman such as a retailer and get the digital door lock to work.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place batteries (primary batteries), which are disposable consumables used as batteries for digital door locks, and can be used for a long time (rechargeable around 1000 times), and can be recharged without frequent recharging compared to the same rechargeable battery capacity.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that can be employed in a digital door lock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thereof.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capable of enabl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function and preventing the door lock from failing due to battery discharg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IoT Internet of Thing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oT-based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capable of unlocking the lock state of the digital door lock using a smart phone without conventional emergency measures even in an inoperable state due to battery discharg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s in providing.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capable of controlling locking and unlocking of a digital door lock using a smart phone and implementing an additional function guiding the carrying of personal belonging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s in
  • a battery module case for a digital door lock having a charging terminal contactable to a battery connection terminal of a battery storage box of the digital door lock body is a digital door lock It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indoor side of the body;
  •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module case A rechargeable battery pack, a USB input unit for connecting the charging power received through the mobile phone charging USB cable to the battery pack, and a charging circuit unit for charging the charging power applied through the USB input unit to the battery pack; A battery condition check unit that checks the discharge state, an external operation reques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user's operation request from the outside of the battery module case for the digital door lock installed in the digital door lock body, and the output power of the battery pack to the digital door lock body
  • a mobile device having a battery power supply switch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 a fire temperature detection switch that conducts by sensing the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an indoor fire to conduct the battery power supply switch, and a mobile app for managing the door lock battery module and controlling the door lock
  •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d a battery modul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attery power supply switch to be non-conductive to the digital door lock body so that the battery power is not supplied, and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whether one or more detections that can be included in
  • the battery module case for the digital door lock having a charging terminal that can be contacted to the battery connection terminal of the battery storage box of the digital door lock body is provided on the indoor side of the digital door lock body. Configured to be mounted on;
  •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module case A rechargeable battery pack, a USB input unit for connecting the charging power received through the mobile phone charging USB cable to the battery pack, and a charging circuit unit for charging the charging power applied through the USB input unit to the battery pack; A battery condition check unit that checks the discharge state, an external operation reques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user's operation request from the outside of the battery module case for a digital door lock installed in the digital door lock body, and a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an indoor fire A fire temperature detection unit, a battery power supply switch that selectively connects the output power of the battery pack to the digital door lock body, and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device having a mobile app for door lock battery module management and door lock control And,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battery level of the battery pack is exhausted, but a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becomes a cut-off threshold value for emergency power us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activated and the battery power supply switch unit is de-conducted to digitally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turns on the battery power supply switch in response to an emergency start request for the door lock through the mobile app of the mobile device and remains in the battery pac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inoperable state of the door lock body is released by supplying the door lock power of the spare part for emergency power use to the door lock body.
  • the battery module controller uses the power switch to turn on the battery power supply switch as a preset non-use time elaps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dule control unit and related operation units are configured to be deactivated.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is the battery replacement standard level value corresponding to the alarm occurrence time notifying the battery replacement in the digital door lock body. According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figuration for removing the battery replacement alarm sound in the digital door lock body by controlling the battery power supply switch unit to return to the conductive state after switching to the non-conductive state.
  • the battery residual amount warning threshold value of the battery pack for providing a battery residual amount warning alarm to the user and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battery is exhausted, but is reserved for battery emergency power use Further comprising a threshold valu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blocking threshold value of the standard,
  • the battery power supply switch unit is de-conducted to make the door lock body inoperable state
  • the battery power supply switch unit is turned 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releasing the inoperable state of the door lock body by supplying the door lock power of the spare part for emergency power to the door lock body is performed.
  • the external operation request detec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one or more of an acoustic sensor, a vibration sensor, and a touch sensor.
  • a belongings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person's belongings possessed; belongings detection unit; It consists of an object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the belongings of an outsider, a human body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outsider from the inside of the door, and a limit switch that detects the contact of a mobile device near the inside of the insertion door for smartphones is characterized by
  • the object detection sensor is one of the belongings, and it can be fitted on the hook of the mask,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reed switch that detects the magnetic field of the sensing piece having a magnet embedded therein.
  • the battery module case further comprises an audio output unit for outputting audio including at least one alarm and voice guidance under the control of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voice guidance on/off button for selecting whether to provide voice guidance to a person going out to take their belongings.
  • a charging-related indicator lamp for displaying a charging state and a charging necessary state is further provided, and a belongings recognition indicator lamp for displaying the belongings recognition state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to go out is further provided.
  •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t least one of a Bluetooth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device and a Wi-Fi module capable of connecting the device through a network.
  • a button-operated actuator for operating the door unlock button located on the indoor side of the door lock body, and an actuator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button-operated actuator under the control of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are provided.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nual operation handle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manual operation handle located on the indoor side of the door lock body under the control of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attery module case for a digital door lock having a charging terminal contactable to a battery connection terminal of a battery storage box of the digital door lock body to be mounted on the indoor side of the digital door lock body;
  •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module case A rechargeable battery pack, a battery state check unit for checking the charge/discharge state of the battery pack, a battery power supply switch unit for selectively supplying the output power of the battery pack to the digital door lock body, door lock battery module management and door lock control
  • a door lock control method in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for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device having a mobile app, and a battery modul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part of the battery module case door lock power from the battery pack as the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battery pack checked through the battery condition check unit is in a state that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battery is exhausted, but exceeds the cutoff threshold value reserved for battery emergency power The process of supplying to the door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except for the sensing unit in the battery module case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lock power supplied to the door lock body is maintained as the non-use time preset by the digital door lock including the battery module device elapses,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except for the sensing unit in the battery module cas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has a process of deactivating the relevant operation unit.
  • the battery replacement alarm sound is generated in the door lock body as the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battery pack checked through the battery condition check unit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the battery replacement reference level value corresponding to the alarm generation time to inform the battery replacement in the door lock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has a process of supplying again after cutting off the battery power applied from the battery pack to the door lock body for remova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 of popping up a battery module management screen window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as a mobile device having a mobile app for door lock battery module management and door lock control is wirelessly connected through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an inoperable state of the door lock body; , As the door lock start request is input to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below the cut-off threshold,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s below the cut-off threshold.
  • the process of holding for the emergency standby time, and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door lock start request as the preset emergency standby time elapses and supplying the door lock power from the battery pack to the door lock body to release the inoperable state of the door lock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mor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rt-range wireless connection so that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can wirelessly connect to a mobile device by detecting a user's operation request from the outside of the battery module case in a state in which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of the battery pack exceeds the cut-off threshol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rocess of activating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process of generating and displaying the remaining battery amount and a door unlock button on the battery module management screen window of the mobile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person has belongings or not through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from the indoor side and providing a voice guidance according to the missing belonging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device having a battery status check unit for checking the charge/discharge status of the battery stored in the door lock body of the digital door lock, and a mobile app for door lock battery module management and door lock control.
  •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that can be based on IoT with The process of blocking the supply power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state exceeding the set cut-off threshold to prevent battery consumption due to the activation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the battery pack checked through the battery state check unit
  • the process of disabling the operation panel of the door lock body and supplying power to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activat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s the state is below the cutoff threshold, door lock battery module management and door lock control mobile
  • the mobile device having the app is wirelessly connected through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rocess of popping up the battery module management screen window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so that the door lock start request using the mobile device is possibl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 of notifying a battery discharge emergency through the mobile device as a door lock start request is inputted to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and counting the preset emergency waiting time while withholding the door lock start request at the same time, and the count expir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rocess of accepting the pending door lock start request and enabling the operation panel of the door lock body as the preset emergency waiting time elapses.
  •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the supply power to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a human body outside the door on which the door lock body is mounted in a state in which the remaining battery amount of the battery pack checked through the battery condition check unit exceeds the cut-off threshold value.
  • the process of enabl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be activated and as a mobile device having a mobile app for door lock battery module management and door lock control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digital door lock body through the activated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door lock battery module management and door lock control mobile app
  • the process of wirelessly transmitting the door lock password set to the digital door lock body, and the digital door lock body unlocks the door lock and deactivates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s the door lock password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matches the door lock password pre-stored in the door lock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has a process of making it.
  • the present invention replaces the disposable consumable battery (primary battery) used as the battery of the digital door lock, has a large capacity, can be used for a long time (rechargeable about 500 times), and does not require frequent recharging compared to the same rechargeable battery capacity.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function and preventing the door lock from being inoperable due to battery discharge.
  • IoT Internet of Things
  • the digital door lock can be unlocked using a phone.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venient additional function to provide a guide to take belongings such as a smart phone or mask to a person going out, and has an advantage of automatically unlocking the door when detecting a smart phone or a mask.
  • FIG. 1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in which a battery module case for a digital door lock is installed on an inbody side of a digital door lock in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for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 FIG. 3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attery module case for the digital door lock shown in FIG. 1;
  • FIG. 4 is a rear perspective configuration view of FIG. 3;
  • FIG. 5 is a diagram related to an actuator for operating the door release button of the digital door lock in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for the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 6a and 6b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circuit in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for minimizing battery standby power of a battery module case for a digital door lock in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circuit of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implemented in the door lock body of the digital door lock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n emergency control flowchart in a battery discharge state in the battery module device implemented in the door lock body as shown in FIG. 14;
  • 16 is an exemplary view of a battery module management screen window screen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7 is an exemplary view of a setting mode screen window entered through a battery module management screen window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detecting a smartphone among the belongings of an outing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9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for detecting a mask among the belongings of an outing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0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view of a piece to be sensed in the form of a decorative bead fitted to the mask hanger shown in FIG. 19;
  •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ly controlled battery module device that can replace batteries (primary batteries) accommodated in a digital door lock, which can be charged and used semi-permanently.
  • the battery used in the wirelessly controlled battery module device employs a lithium-ion battery or a lithium polymer battery that can be realized with a large capacity and can be recharged.
  • the door lock power supply has to boost the voltage. Therefore, the efficiency is not good compared to the same battery capacity without power consumption by the step-up circuit unit, so it is reluctant to adopt a digital door lock for a rechargeable battery such as a lithium-ion battery or a lithium polymer battery.
  • the reality is that it is not easy to adopt a lithium-ion battery or a lithium polymer battery that can be used in a large capacity and can be recharged as a battery of the digital door lock.
  • 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se practical problems, and in addition to a large-capacity lithium battery (lithium-ion battery or lithium-polymer battery) that can be charged instead of a battery, a Bluetooth module, a charging circuit, a fire temperature detection switch or fir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sound
  • the battery module case for the digital door lock with a built-in circuit board equipped with an external operation request detection unit such as a sensor or vibration sensor, and a belonging detection unit is installed on the inner body side of the digital door lock, It is also implemented to manage and control the battery, and furthermore, it is implemented so that the digital door lock can be opened as an emergency measure using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even when the door lock is inoperable due to battery discharge.
  • FIG. 1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in which a battery module case 10 for a digital door lock is installed on the inbody side of a digital door lock in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for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a digital door lock shown in FIG. 1
  • FIG.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3 .
  • the door lock body 2 shown in FIGS. 1 to 4 it is a typical internal body structure having a battery receiving groove 4 that can accommodate four batteries, and four 1.5V batteries are connected in series to supply a 6V door lock power. to provide.
  • the door lock body (2) there is a typical internal body structure in the form of a battery storage groove that can accommodate 8 batteries.
  • Battery storage groove that can accommodate 8 batteries.
  • Four 1.5V batteries (6V provided) in the right two row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provide 6V door lock power.
  •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a digital door lock has a charging terminal 12 contactable to the battery connection terminal 6 of the battery storage box 4 of the door lock body 2, and the door lock body 2 ) to be installed on the indoor side where the inner body is located.
  •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a digital door lock is preferably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inner body of the door lock body 2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if necessary, the accompanying drawings Unlike the battery storage box (4) side storage space portion or can be mounted on the top of the storage space.
  •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a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el having a charging terminal 12 that can be contacted to the battery connection terminal 6 of the battery storage box 4 of the door lock body 2 of the digital door lock as shown in FIG.
  • a battery 11 is provided.
  • the charging terminal 12 of the model battery 11 is in contact with the battery connection terminal 6 of the battery storage box 4, and the The extension wire 13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12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circuit board 16 of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the digital door lock.
  •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hargeable battery pack 14 and a circuit board 16 for controlling the battery module for digital door lock.
  • the battery pack 14 is composed of a lithium ion battery or a lithium polymer battery having a large capacity several times or more compared to a battery (primary battery) of the same size, and is a rechargeable battery.
  • Lithium-ion batteries have a large capacity compared to the size of the battery, so they are widely used in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It does not decrease, so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rechargeable about 500 times).
  • a lithium polymer battery (battery) is thinner than a lithium ion battery (battery) and is a rechargeable battery with less risk of explosion.
  • it is more stable and lighter than a lithium ion battery (battery), can be used for a longer time than a lithium ion battery (rechargeable about 1000 times), and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is in increasing trend. The risk of explosion is minimal, and there is no electrolyte leakage, as well as less natural discharge and no memory effect.
  • the rechargeable battery pack 14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for example, an 18650 lithium-ion battery, and in the case of a high-capacity high-discharge capacity, a 2600mAh capacity and a full charge voltage of 4.2V and a rated voltage of 3.7V.
  • the external of the battery module cas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B for connecting the charging power input through the mobile phone charging USB cable to the internal battery pack 14 through the charging circuit unit 20
  • the battery charge-related display unit such as the LED dot or LED chip-type charging status indicator lamp 20a and the charging need indicator lamp 20b together with the input unit 18, the belongings recognition indicator lamp 20c related to the user's belongings confirmation is provided.
  • an insertion door 58 for a smartphone installed in the insertion port and a voice guidance on/off button 6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battery module case 10 .
  •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the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utton operation actuator 22 for pressing the door unlock button 8 provided in the digital door lock body 2 .
  • the button-operated actuator 22 can be configured with an eccentric cam 22a and a button-operated lever 22b axially connected to the geared motor 21a, which is an example of the actuator driving unit 21. .
  • the eccentric cam 22a is installed in the battery module case 10 to operate the door unlock button 8 provided in the digital door lock body 2 and the actuator 22 composed of the button operation lever 22b and the related configuration are shown.
  • a torque spring 62 for restoring the initial state of the button operation lever 22b is installed on the lever shaft of the button operation lever 22b, and the front end of the button operation lever 22b faces the door unlock button 8 A pressing protrusion 23 is provided.
  • the eccentric cam 22a As the eccentric cam 22a, which was in the initial state, operates by the drive of the geared motor 21a, the lever movement of the button operation lever 22b causes the pressing protrusion 23 of the button operation lever 22b to become the door lock release button. (8) is pressed, and then, when the eccentric cam 22a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as shown in FIG. 5, the door lock release button ( 8) returns to a state where the pressing protrusion 23 is spaced apart from the door unlock button 8 .
  • buttons-actuated actuator 22 may be a rack and pinion gear structure connected to a geared motor.
  • the pinion gear is engaged with the geared motor shaft and the rack that pushes the door lock release button (8) from the side is geared to the pinion gear and can be configured.
  • a ceramic material may be configured as a piezoelectric actuator in which both surfaces of the metal are covered.
  • the piezoelectric actuator uses a bi-morph principle to maintain a flat state in a state where no driving power is applied, and turns into a bent shape when driving power is applied, and presses the door unlock button 8.
  •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a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68 for directly determining whether the digital door lock is opened or closed. That is, a reed switch 64 is mounted near the pressing part 23 of the button operation lever 22b, and a magnet 66 is attached to the inner door lock body 2 side facing the reed switch 64. Thus,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68 is constituted.
  • the user presses the button surface located on the back of the pressing protrusion 23 of the button operation lever 22b facing the door unlock button 8. Accordingly, the door lock release button 8 for unlocking the door is pressed by the pressing protrusion 23, and at the same time, the reed switch 64 of the button operation lever 22b is attached to the inner door lock body (2) surface. As close to the magnet 66, the reed switch 64 outputs a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door.
  • the signal line 69 of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68 composed of the reed switch 64 and the magnet 66 is connected to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the digital door lock together with the extension wire 13 of the model battery 11. configured to be imported.
  • 6A and 6B are diagrams of a control circuit block in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6 for controlling the battery module of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the digital door lock.
  •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a digital door lock is equipped with a large-capacity battery pack 14 that can be charged inside the case, and the circuit board 16 for controlling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osted with door lock power to be supplied to the digital door lock.
  • the step-up circuit section is configured to be omitted.
  • the omitted boosting circuit unit is a boosting means for boosting the battery power to a voltage level for the digital door lock to operate normally, but consumes considerable battery current even in normal times.
  •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experiments, for example, when supplying battery power to the digital door lock with a high-discharge high-capacity battery (eg, 18650 lithium-ion battery, etc.) such as a full-charge voltage of 4.2V, a rated voltage of 3.7V, and a capacity of 3000mAh, It was confirmed that the digital door lock operates sufficiently normally within the range of 4.2V to 3.43V even without the step-up circuit that consumes current.
  • a high-discharge high-capacity battery eg, 18650 lithium-ion battery, etc.
  •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such as the Bluetooth module 28a or the Wi-Fi module 28b must be built in the battery module case 10.
  •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such as the Bluetooth module 28a or the Wi-Fi module 28b is always operated, it causes battery current consumption, thereby reducing the battery efficiency of the large-capacity battery pack 14 .
  •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is absolutely necessary by supplying the battery power (Vcc). It is only activated when
  •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is activated only when there is a pre-operation request for using the mobile device 40 such as a smart phone outside the door.
  • the digital door lock is switched to an inoperable state to inform the user that the battery is in a discharged state.
  • the digital door lock activates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so that the inoperable state of the digital door lock becomes a release action through short-distance wireless connection using a mobile device 40 such as a smart phone.
  • the cut-off thresh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ference value for recognizing that battery power is still remaining in the battery pack 14, but is reserved for emergency power use, and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battery is in a discharged state.
  • the battery power of the battery pack 14 is supplied to the door lock body 2 so that there is no problem in the normal operation of the door lock body 2 .
  • the control circuit mounted on the battery module control circuit board 16 of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module case 10 includes a large-capacity rechargeable battery pack 14,
  • a battery condition check unit 24 for checking the remaining battery level, a battery power supply switch unit 26 that selectively connects the output power of the battery pack 14 to the digital door lock body 2,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possible
  •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responsible for overall control related to the battery module device, and the external operation request detection for detecting the user's operation request from the outside of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the digital door lock
  • the unit 32, the belongings detection unit 50 for checking whether the person is carrying belongings such as a smartphone or a mask, and the door unlock button 8 located on the indoor side of the door lock body 2 are operated
  • the manual operation handle driving unit 38 for driving the manual operation handle 9 located on the indoor side of the door lock body 2
  • the battery is non-conductive due to a battery shortage situation (when the battery is less than the cut-off threshold) so that the door lock body 2 can automatically perform the door opening operation when the digital door lock itself detects a fire (60 °C)
  • a means for detecting an indoor fire initial condition for turning on the power supply switch unit 26 is provided.
  • the switch when the fire initial critical temperature (eg, 55° C.) is reached without the involvement of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as shown in FIG. 6A , the switch itself conducts immediately and the battery power supply switch unit 26 conducts.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ire temperature detection switch 34 that allows It can also be provided in the form of As shown in FIG. 6b , when the fire temperature detection unit 34a detects the initial critical temperature of the fire,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conducts the battery power supply switch unit 26 to supply battery power to the door lock body 2 . .
  • the fire initial critical temperature eg, 55° C.
  • the external operation request detection unit 32 detects an external sound, vibration, or pad touch in advance so that the user can open the door using the pad of the digital door lock, and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It is a means for activat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under the control of.
  • an example of the external operation request detection unit 32 includes an acoustic sensor 32a,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32b, a touch sensor 32c, and the like, and other input units having similar functions are also possible.
  • the acoustic sensor 32a or the vibration sensor 32b is preferably built into the bottom side of the battery module case 10 so as to be close to the door lock body 2, and in the case of the touch sensor 32c, the outside of the digital door lock It is preferable to install it on the outer body side by transparently attaching it on the body side pad, etc., and to connect the battery module case 10 with a wire.
  • the belongings detection unit 50 is a means for confirming whether a user (outer) who wants to go out for belongings such as a smartphone or a mask carries, the limit switch 52, the object detection sensor (54), it can be configured as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6).
  • the limit switch 52 is located inside the insertion hole of the insertion door 58 for a smartphone installed in the battery module case 10, as in the example of FIGS. 58) provides a smart phone detection signal to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as it is inserted and touched into the insertion hole.
  • the object detection sensor 54 is located on or near the front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example, on the surface of the smartphone insertion door 58, as in the example of FIGS.
  • An article detection signal is provided to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and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reed switch or an infrared sensor.
  •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6 is located on the front of the battery module case 10 as in the example of FIGS. Provides a human body detection signal.
  •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belongings detection unit 50 including the limit switch 52, the object detection sensor 54 and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6 is provided to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and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Based on the provided detection signals, a notice is sent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36 and the speaker (SPK) to the user who wants to open the door and go out from the inside of the door lock body (2) to take things such as a smartphone or a mask. do.
  • SPK the audio output unit 36 and the speaker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drives the actuator driving unit 21 based on two or more detection signals from the belongings detection unit 50 so that the button operation actuator 22 presses the door unlock button 8 so that the user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door lock can be released without pressing the door unlock button 8 .
  • the battery module is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30 .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belongings recognition indicator lamp 20c to emit light as the smart phone detection signal is applied as well as the human body detection signal by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6, and at the same time controls the geared motor 21a.
  • the door lock release button 8 By driving the door lock release button 8 to be pressed by the eccentric cam 22a and the button operation lever 22b, the door lock is released immediately.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alarm corresponding to the unlocking of the door to be output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38 and the speaker SPK.
  • FIG. 19 is an exemplary view for detecting the mask 88, which is a belonging as an example of the object detection sensor 54 among the belongings detection unit 50, and FIG. 94)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ensing target piece 92.
  • the object detection sensor 54 for detecting the mask 88 which is a belonging, it may be configured as a reed switch for detecting the magnetism of the piece 92 to be sensed, and a magnet 96. has an embedded sensing target piece 92 .
  • the sensing piece 92 is in the form of a decorative bead 94 that allows the hanging string 88a of the mask 88 to be fitted and fixed to the fitting groove 98 as shown in FIG. 19 .
  • the magnet 96 is embedded in the sensing piece 92 in the form of a decorative bead 94, so that the object detecting sensor 54 made of a reed switch is the sensing piece in which the magnet 96 is embedded.
  • the mask 88 with 92 can be perceived as belongings.
  • the voice guidance on/off button 58 is located on the front of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the digital door lock as shown in FIGS. 1 to 3, and the voice guidance on/off button (Fig. 1 to FIG. 58 of FIG. 3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whether or not to provide voice guidance for the announcement through the speaker SPK.
  • the battery pack 14 may be provided with a PCM (Protection Circuit Module for rechargeable battery) protection circuit 14a to prevent overcharging and discharging. Instead, it may be provided in the 20 , or it may be provided together with the battery pack 14 and the charging circuit unit 20 .
  • PCM Protection Circuit Module for rechargeable battery
  •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a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anual operation handle driving unit 38 for driving the manual operation handle 9 located on the interior side of the door lock body 2 .
  • the manual operation handle driving unit 38 may be composed of a driving motor, a pinion gear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and an arc-shaped rack structure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ircular bracket for fitting the manual operation handle 9 .
  •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the digital door lock includes the manual operation handle driving unit 38,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igital door lock can be opened even if the main circuit part of the digital door lock 2 is broken, and also Even when the door lock is normal, the user can open the door lock without the involvement of the main circuit part of the digital door lock.
  •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a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the remaining battery pack amount, charging time, etc. using a mobile app (that is, a smartphone application), and can provide alarm functions such as fire alarm or door open/close. It is provided wit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so that.
  •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Bluetooth module 28a capable of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40 and a Wi-Fi module 28b capable of connecting the device through a network.
  • a Bluetooth module 28a capable of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40
  • a Wi-Fi module 28b capable of connecting the device through a network.
  • the user can remotely manage the door lock battery module and control the door lock by connecting to the Internet through the Wi-Fi module 28b, and the door lock battery module i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40 such as a smartphone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28a.
  • the mobile app 42 for management and door lock control, the remaining battery level, charging time notification, and emergency charging control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can be performed.
  • battery operating power Vcc is selectively supplied under the control of the battery module controller 30 so that it can be deactivated in normal tim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Switches 29a and 29b are provided correspondingly.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has a threshold value storage unit 31 for battery power management according to the remaining battery amount checked through the battery state check unit 24 .
  • the threshold value storage unit 31 stores memory set values for 'warning threshold', 'blocking threshold', and 'battery replacement reference level value', and 'door lock actual inoperability level' 'Values' are shown for reference.
  • the 'warning threshold' is a threshold for alerting the user that the battery needs to be charged, and may be, for example, 3.7V.
  • the 'blocking threshold' is a threshold value at which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of the battery pack is recognized by the user as the battery is exhausted, bu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reserved for the purpose of battery emergency power. becomes this
  • the cutoff threshold is, for example, 3.49V.
  • the 'battery replacement reference level value' is a reference level value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replacement alarm time used in the existing digital door lock and is used to remove the battery replacement alarm sound generated by the door lock body (2).
  • FIG. 7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for minimizing battery standby power of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a digital door lock in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and related operation parts of FIGS. is deactivated
  •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32b for detecting vibrations such as knocks inside and outside the door
  • the limit switch 52 for detecting the insertion of a smart phone
  • object detection for detecting an object such as a mask
  • the battery operating voltage (Vcc) is always applied to the sensor 54,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6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at the door entrance, and the reed switch 64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unit 68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If there is a detection in at least one of them, the power switch 70 is turned on to turn on the operating voltage (Vcc) connected to the battery pack 14 in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and the relevant operating unit in the battery module case 10 ) is approved.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turns off the power switch 70 again when a preset non-use time elapses when there is no detection sensor or various controls, and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of the battery module case 10 . ) and related operating parts are deactivated.
  • the battery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pack 14 can be reduced to the maximum while the battery module device is not in use by controlling the battery power on/off of the battery pack 14 using the power switch 70 .
  • FIG. 8 is a schematic control flow diagram of a door lock battery power management in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turns off the power switch 70 as shown in FIG. 7 when a preset non-use time (1 minute to 10 minutes) of the battery module device for the digital door lock has elapsed to turn off the battery module for the digital door lock.
  • a preset non-use time (1 minute to 10 minutes) of the battery module device for the digital door lock has elapsed to turn off the battery module for the digital door lock.
  • battery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standby state is prevented (step 100 in FIG. 8 ). That is, to minimize the battery standby power of the battery module device for digital door lock.
  • various operating units such as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are deactivated except for the sensing mean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 .
  • the battery power supply switch unit 26 maintains the default state of the switch ON, so that the battery power is supplied to the door lock body 2 .
  • the power switch 70 is immediately turned on to wake up the battery module controller 30 (step 102 in FIG. 8 ).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detects the door open through the reed switch 64, and the battery corresponding to the alarm generation time notifying the battery replacement in the digital door lock body.
  • the battery power supply switch unit 26 is switched to a non-conductive state (switch OFF) and then controlled to return to a conduction state (switch ON) (step 104 in FIG. 8 ). So, the effect of removing the battery replacement alarm sound generated from the digital door lock body (2) is achieved.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activate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when there is an external operation request from the external operation request detection unit 32 as a user's prior action for wireless connection of the mobile device 40, and After the communication unit 28 is activated, if there is no link connection from the mobile device 40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is deactivated again to minimize battery power consumption (step 106 in FIG. 8 ).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conducts whe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battery pack 14 checked through the battery condition check unit 24 falls to the cut-off threshold value reserved for the emergency power use of the battery, although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battery is exhausted.
  • the battery power supply switch unit 26 in the state is not conducted to make the door lock body 2 inoperable,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controls the supply power (Vcc) to be applied to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is controlled to be activated (step 108 in FIG. 8 ).
  • FIG. 9 is a door lock emergency control flow chart in the door lock battery discharge state in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periodically uses the battery state check unit 24 to check the remaining battery level (step 200 in FIG. 9 ).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deactivate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such as the Bluetooth module 28a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exceeds the cutoff threshold value (eg, 3.49V) of the threshold value storage unit 31 ( FIG. 9 ). 202 step). This normally prevents battery consumption due to the activation of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and it is not yet a door lock emergency control situation according to the battery discharge state.
  • the cutoff threshold value eg, 3.49V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determines whether the remaining battery amount checked through the battery state check unit 24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warning threshold value (eg, 3.7V) stored in the threshold value storage unit 31 of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 to judge If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s less than the warning threshold, a battery level warning alarm notifying that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s insufficient is transmitted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36 and the speaker SPK of the battery module case 10, and a charge required indicator lamp 20b is displayed. A light emitting display is performed (step 204 in FIG. 9).
  • the warning threshold value eg, 3.7V
  • the battery level warning threshold value (eg 3.7V) of the digital door lock and the blocking threshold value that the user recognizes as battery exhaustion (eg 3.49V) ) is stored.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is the battery power supply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checked through the battery state check unit 24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cutoff threshold value (eg 3.49V) stored in the threshold value storage unit 31 of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
  • the cutoff threshold value eg 3.49V
  • the supply switch unit 26 By turning off the supply switch unit 26 to cut off the supply of battery power to the door lock body 2 and at the same time to apply the operating voltage (Vcc) to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9,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such as the Bluetooth module 28a ) is activated (step 206 in FIG. 9 ).
  • the door lock body 2 is made inoperable and the mobile device ( ) is in a state where wireless link connection is possible (step 208 in FIG. 9 ).
  • the user has a mobile app 42 for managing the door lock battery module and controlling the door lock, such as a smart phone (40) It is possible to perform door lock emergency control using only
  • the mobile device 40 In the inoperable state of the door lock body 2 below the blocking threshold value recognized by the user as battery exhaustion, the mobile device 40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28a or Wi-Fi module 28b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 the battery module controller 30 confirms that the emergency start request is below the cutoff threshold, and then turns on the battery power supply switch 26 to switch on the door lock body ( 2) supplies the door lock power for emergency power use (step 210 in FIG. 9). So, the inoperable state of the door lock body 2 is released (step 212 in FIG. 9 ). That is, it makes the digital door lock operable.
  • FIG. 10 is a control flowchart of a door lock emergency start request subroutine performed in step 210 of FIG. 9 .
  • the user In the inoperable state of the door lock body (2), the user has a mobile device (40) having a mobile app (42) for door lock battery module management and door lock control and approaches the door installed in the digital door lock to detect an external operation request (32) At the same time as making an external operation request using A management screen window is popped up (step 220 in FIG. 10).
  • the battery module management screen window is provided with a remaining battery state and a start request button.
  • the mobile device 40 When the user inputs a door lock start request through the battery module management screen of the mobile device 40 , the mobile device 40 transmits it to the battery module case 10 by short-distance wireless transmission, and the In response to a door lock start-up request from the mobile device 40,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checks the remaining battery level through the battery state check unit 24 (step 222 in FIG. 10).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notifies the battery discharge emergency with the remaining battery level status display through the mobile app 42 of the mobile device 40, and at the same time suspends the door lock start request. However, a preset emergency waiting time (eg, 10 seconds to 3 minutes) is counted (step 224 in FIG. 10 ).
  • a preset emergency waiting time eg, 10 seconds to 3 minutes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accepts the door lock start request as the emergency standby time preset by the count expires elapses and turns on the battery power supply switch unit 26
  • the door lock power is supplied to the door lock body 2 (step 226 in FIG. 10).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sets a longer count value of the emergency standby time, and notifies this to the mobile device 40 (step 228 in FIG. 10 ).
  • the preset initial emergency standby time count value is, for example, 2 minutes
  • the emergency standby time can be set by adding 2 minutes to increase the emergency standby time to 4 minutes, and this is notified to the mobile device 40 .
  • 11 is a fire monitoring emergency control flow chart in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turns off the battery power supply switch 26 whe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s less than the cutoff threshold to operate the door lock body 2 Make it disabled (step 300 in FIG. 11).
  • the remaining battery level exceeds the cutoff threshold, battery power is supplied to the door lock body (2), so the existing built-in fire detection function can be performed in the door lock body (2), and the fire detection function on the door lock body (2) Even without this, the battery module cas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erform a fire detection function.
  • the fire temperature detection switch 34 when the residual battery level is below the cutoff threshold, when the fire initial threshold temperature (for example, 55° C.) is reached, as in FIG. 6a , the fire temperature detection switch 34 without the involvement of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When the battery power supply switch unit 26 is forcibly switched 'on' as is conducted, or as in FIG. 6b , the fire temperature sensing unit 34a detects the fire initial critical temperature (eg, 55° C.), and the battery module The control unit 30 forces the battery power supply switch unit 26 to be switched 'on' (step 302 in FIG. 11 ).
  • the fire initial threshold temperature for example, 55° C.
  • the battery power of the battery pack 14 is transferred to the door lock body 2 through the battery power supply switch unit 26. It is applied as the door lock power (step 304 in FIG. 11). That is, door lock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module case 10 to the door lock body 2 .
  • the door lock body 2 supplied with the door lock power unlocks the door lock when it detects a preset fire threshold temperature (eg, 60° C.) in a conventional manner (step 306 in FIG. 11 ).
  • a preset fire threshold temperature eg, 60° C.
  • FIG. 12 is a flowchart related to an interface with a battery module using a mobile device 40 such as a smartphone in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unlocking the door lock.
  • a mobile device 40 such as a smartphone in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unlocking the door lock.
  • the user has a mobile device 40 having a mobile app 42 for managing the door lock battery module and controlling the door lock, and detecting an external operation request while approaching the battery module case 10 installed in the digital door lock.
  • the mobile device 40 is wirelessly connected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28b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of the battery module case 10 and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40 . pops up the battery module management screen (step 400 in FIG. 12).
  • the mobile device 40 displays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on the battery module management screen window 80 of the mobile device 40.
  • a start request button or a door unlock button
  • a door state, etc. are displayed (step 402 in FIG. 12 ).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remaining battery level through the battery module management screen window 80 of the mobile device 40, so that the battery management of the battery pack 14 for the door lock is very easy.
  • the setting mode screen window 82 As shown in FIG. 17 is provided so that the mobile device user can set the same password as the door lock password, and also The user can also set the alarm volume to be adjusted along with the confirmation of the warning alarm voltage threshold in the device 40 . If there is a password setting in the mobile device 40, the password for unlocking the door lock through the battery module device is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of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of the battery module case 10 as well as the internal memory of the mobile device 40 will save
  • the mobile device 40 generates and displays the door unlock button on the pop-up battery module management screen window 80 whe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exceeds the blocking threshold, and furthermore, the remaining battery level exceeds the blocking threshold, but is below the warning threshold
  • a battery warning alarm is provided to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40 through the back mobile app 42 (step 404 in FIG. 12 ).
  • the mobile device 40 When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40 presses the activated door unlock button in a state exceeding the blocking threshold, the mobile device 40 displays the password set through the setting mode window 82 of the management screen window 80.
  • the included door unlock request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side.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compares it with a password preset in the internal memory and, if it matches, unlocks the door in the battery module device (FIG. 12) step 406). That is, under the control of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the door lock release button 8 is pressed using the actuator driving unit 21 and the button operation actuator 22, or the manual operation handle using the manual operation handle driving unit 38. 9) works.
  • the battery module case 10 includes a button-operated actuator 22 and either an actuator driving unit 21 or a manually operated handle driving unit 38, and using a mobile device 40, the door lock body 2 The door lock is unlocked without the involvement of the corresponding control unit.
  • This control allows the door lock body 2 to be used like a high-end type even if it is an entry-level type, and the user can unlock the door lock more conveniently using a mobile device 40 such as a smartphone without the involvement of the door lock body 2 It can be useful even if you want to.
  •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battery module control or door lock control using a mobile device 40 such as a smartphone is possible, but also remote control through a network using the Wi-Fi module 28b is possible. shall.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remaining battery level, charging time, etc.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and information such as a fire alarm or door open/close can also be obtained through a mobile device or a remote terminal.
  • the battery module case 10 can be operated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 IoT Internet of Things
  • the battery module case 10 is connected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real-time data generated from the battery module case 10 or the mobile device 40 can be exchanged between the Internet or each other without human intervention.
  • FIG. 13 is a control flowchart related to an additional function for guiding a person going out to carry personal belongings in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carry the belongings of an outsider in the interior of the door through the belongings detection unit 50 including the limit switch 52, the object detection sensor 54 and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6, , a guide to take things such as a smartphone or a mask is provided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36 and the speaker (SPK) when a person who goes out is not instructed to smile (step 500 in FIG. 13 ).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0 enters the smartphone through the insertion door 58 for the smartphone in a state where the human body is detected by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6 and the limit switch 52 is pressed or the human body by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6 When there is detection of belongings such as a mask by the object detection sensor 54 in a state where there is detec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person going out has the belongings.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drives the actuator driving unit 21 based on the belongings detection signal from the belongings detection unit 50 so that the button operation actuator 22 presses the door unlock button 8 to unlock the door. is made automatically (step 502 in FIG. 13). This eliminates the trouble of an outsider pressing the door lock release button 8 separately because the person who goes out only needs to check the carry-on of their belongings.
  • FIG. 14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circuit of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implemented in the door lock body 2 of the digital door lock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reference number "15” is a battery accommodated in the battery compartment of the digital door lock, and may be a cylindrical primary battery or a rechargeabl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nd reference number "60" is exposed on the outer front surface of the digital door lock It is an operation panel where the user can enter a password, etc.
  • both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having the Bluetooth module 28a or the Wi-Fi module 28b are implemented in the door lock body 2 of the digital door lock.
  •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84 for detecting a human body outside the door is provided.
  • 15 is an emergency control flowchart in a state of discharging the door lock battery in the battery module device implemented in the battery body 2 as shown in FIG. 14 .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periodically uses the battery condition check unit 24 to check the remaining battery level (step 600 of FIG. 15 ).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deactivate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such as the Bluetooth module 28a whe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exceeds the cutoff threshold value (eg, 3.49V) of the threshold value storage unit 31 ( FIG. 15 ). step 602). This prevents battery consumption in the normal activation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
  • the cutoff threshold value eg, 3.49V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compares the remaining battery amount checked through the battery state check unit 24 with a warning threshold value (eg, 3.7V) stored in the threshold value storage unit 31 of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and is less than judge cognition. If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warning threshold, a remaining battery level warning alarm notifying that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s insufficient is transmitted through the alarm output unit built into the door lock body 2 (step 604 in FIG. 15 ).
  • a warning threshold value eg, 3.7V
  • the remaining battery level exceeds the warning threshold and is critical It goes down to the cut-off threshold of the value storage unit 31 (eg, 3.49V).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determines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15 checked through the battery state check unit 24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cutoff threshold value stored in the threshold value storage unit 31 of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eg, 3.7V).
  • the operation panel 90 is disabled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is activated at the same time (step 606 in FIG. 15 ). Accordingly, the user cannot make any input for opening the door through the operation panel 90 of the door lock body 2 .
  • the user performs door lock emergency control using a mobile device 40 such as a smartphone having a mobile app 42 for door lock battery module management and door lock control.
  • a mobile device 40 such as a smartphone having a mobile app 42 for door lock battery module management and door lock control.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by the human body sensor 84 and then activate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such as the Bluetooth module 28a to communicate with the mobile device 40 wirelessly.
  • the mobile device 40 wirelessly connects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28b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of the door lock body 2, the battery module management screen window pops up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40. (Step 608 in FIG. 15).
  • the control unit 30 checks the remaining battery level through the battery state check unit 24 (step 610 in FIG. 15).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notifies that the battery discharge emergency is through the mobile app 42 of the mobile device 40 and at the same time suspends the door lock start request, but a preset emergency situation
  • the waiting time eg, 2 minutes is counted (step 614 in FIG. 15 ).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approves the door lock start request as the emergency standby time preset by the count expires elapses, and the operation panel 90 of the door lock body 2 is enabled to allow the user to input a password, etc. (step 614 in FIG. 15 ).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0 sets a longer count value of the emergency standby time, and notifies this to the mobile device 40 (step 616 in FIG. 16 ). For example, if the preset initial emergency standby time count value is 2 minutes, 2 minutes may be added to increase the emergency standby time to 4 minutes.
  • This extended emergency standby time informs the user who tries emergency control of the door lock in the state of battery discharge through the mobile app 42 of the mobile device 40 such as a smartphone,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access the door lock body (2). Forces replacement of the existing battery (15).
  • the warning threshold and the cut-off threshold of the memory set value were exemplified on the basis of the high-discharge high-capacity battery (18650 lithium-ion battery, etc.) in which the battery 15 is rechargeable, a consumable primary battery
  • the warning threshold and the blocking threshold may be different when using .
  • the warning threshold value and the blocking threshold value may be set to the values described in the brackets [] behind the warning threshold and blocking threshold numbers shown in FIG. 15 .
  •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lace the battery of the digital door lock and can be used for battery management in place of the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도어락에 사용하는 건전지 대신에 충전가능한 대용량의 리튬배터리(리튬-이온배터리나 리튬-폴리머 배터리)와 아울러, 블루투스모듈, 충전회로부,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 화재온도 감지스위치나 화재온도감지센서, 음향센서나 진동감지센서, 인체감지센서 등과 같은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를 탑재한 회로기판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를 디지털 도어락본체의 건전지함에 건전지 개수 만큼에 상당하는 외형상이 되게 하여 디지털도어락에 장착하며, 배터리모듈케이스의 제어부 및 관련 작동부의 전원제어나 블루투스모듈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부의 적절한 활성화/비활성화를 통해서 대기전력을 최소하여서 충전가능한 배터리의 사용효율을 높혔으며 사용자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모바일앱으로도 배터리 관리 및 제어를 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 더욱이 배터리 방전에 따른 도어락 동작불능에서도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상조치로 도어락을 열 수 있고 화재에도 문제없이 도어락 잠금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외출자에게 스마트폰이나 마스크와 같은 소지품을 챙겨가라는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편리한 부가기능을 가지며 외출자의 스마트폰이나 마스크를 감지시에 도어잠금해제를 자동으로 해줄 수도 있다.

Description

IOT 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로 사용되는 일회용 소모품인 건전지(1차 전지)를 대신하며 대용량이고 오랫동안(1000번 내외로 재충전 가능) 사용할 수 있으며 IoT(Internet of Things)기능이 가능하고 건전지 방전에 따른 도어락 동작불능을 방지하는 디지털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에는 출입문에 디지털 도어락을 상당히 많이 사용하고 있다. 디지털도어락은 열쇠를 들고 다니는 번거로움은 물론 분실에 대한 우려가 없어 사용자에게 무척 편리하다.
또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연동해 문열림 기능을 제공하는 디지털 도어락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고, 터치패드에 있는 흔적을 없애기 위한 허수 입력이나 손바닥 터치, 스마트폰 연동으로 출입한 사람을 파악하는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기능 등 보안을 한층 강화한 디지털 도어락 제품도 시중에 나오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디지털도어락은 배터리로서 대부분 배터리인 건전지(1차 전지)를 사용하고 있는데, 도어락이 있는 출입문의 잦은 사용과 IoT기능이나 블루투스 연동기능의 사용으로 인해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 소모가 더욱 빠르게 발생하고 있다.
즉 디지털도어락 제품은 대개가 건전지를 4개 내지 8개 내장을 하는데, 하루에 10번 동작시키면 6~10개월 정도만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출입자가 많아 하루에 더 잦은 사용을 하거나 IoT기능이나 블루투스 연동기능이 부가되어 있는 디지털 도어락 제품은 사용자나 관리자가 수시로 배터리 교체 걱정을 해야 한다.
또 도어락 배터리의 교체 시기가 되어 경고알람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교체가 제때 이루어지질 않아 건전지가 완전 방전이 되면 디지털 도어락은 동작불능 상태가 된다. 이런 난처한 상황이 되면 디지털 도어락의 사용자나 관리자는 9V의 사각형 건전지를 구입해서 디지털 도어락 외부 비상충전단자에 전류를 공급하여 디지털 도어락을 임시 작동시키거나(일반적으로는 잘 알지 못하는 방법이다), 열쇠업자와 같은 수리업자에게 출장비를 지불하고 디지털 도어락이 작동되도록 해야한다.
이러한 일은 여간 번거롭고 불편하며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일이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망된다.
또한 재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디지털도어락의 건전지수납함에 넣는 전지를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전원을 생성하기 위해 승압을 해주어야하므로 배터리 소모를 유발시켜 2차 전지의 잦은 재충전을 해주어야 하므로 일반 사용자들이 그 사용을 꺼리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개선도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로 사용되는 일회용 소모품인 건전지(1차 전지)를 대신하며 대용량이고 오랫동안(1000번 내외로 재충전 가능) 사용할 수 있으며 충전 가능한 동일 배터리용량 대비 잦은 재충전을 하지 않으면서도 디지털 도어락에 채용할 수 있는 디지털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및 그의 도어락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oT(Internet of Things)기능이 가능하고 건전지 방전에 따른 도어락 동작불능을 방지하는 디지털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 방전에 의한 동작불능상태에도 통상적인 비상조치없이 스마트폰을 이용해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해제되게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 및 해제 제어를 할 수 있으며 개인 소지품 휴대를 안내하는 부가기능이 구현될 수 있는 디지털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 있어서, 디지털도어락 본체의 건전지수납함의 건전지접속단자에 접촉 가능한 충전단자를 가지는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가 디지털도어락 본체의 실내측에 장착되게 구성하되;
상기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팩과, 휴대폰충전 USB케이블을 통해 인입된 충전전원을 배터리팩으로 연결하는 USB입력부와, 상기 USB입력부를 통해 인가된 충전전원을 배터리팩으로 충전하는 충전회로부와, 상기 배터리팩의 충방전상태를 체크하는 배터리상태 체크부와, 디지털 도어락본체에 장치된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의 외부에서의 사용자의 작동요구를 감지하는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와, 배터리팩의 출력전원을 디지털 도어락본체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와, 실내 화재에 대응된 온도를 감지함에 따라 도통되어서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를 도통시키는 화재온도감지스위치와,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을 갖는 모바일기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상기 배터리팩의 배터리잔량이 사용자가 배터리 소진상태로 인식하지만 배터리 비상전력 용도로 배터리잔량이 예비되어 있는 차단임계값이 됨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활성화하고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를 비도통시켜서 디지털 도어락본체에 배터리전원이 미공급되게 제어하는 배터리모듈 제어부와, 상기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에서의 외부 작동요구 감지가 포함 가능한 하나 이상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모듈 제어부 및 배터리모듈케이스내 관련 작동부에 상기 배터리팩과 연결된 동작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되는 파워스위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 있어서, 디지털도어락 본체의 건전지수납함의 건전지접속단자에 접촉 가능한 충전단자를 가지는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가 디지털도어락 본체의 실내측에 장착되게 구성하되;
상기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팩과, 휴대폰충전 USB케이블을 통해 인입된 충전전원을 배터리팩으로 연결하는 USB입력부와, 상기 USB입력부를 통해 인가된 충전전원을 배터리팩으로 충전하는 충전회로부와, 상기 배터리팩의 충방전상태를 체크하는 배터리상태 체크부와, 디지털 도어락본체에 장치된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의 외부에서의 사용자의 작동요구를 감지하는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와, 실내 화재에 대응된 온도를 감지하는 화재온도감지부와, 배터리팩의 출력전원을 디지털 도어락본체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와,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을 갖는 모바일기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상기 배터리팩의 배터리잔량이 사용자가 배터리 소진상태로 인식하지만 배터리 비상전력 용도로 배터리잔량이 예비되어 있는 차단임계값이 됨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활성화하고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를 비도통시켜서 디지털 도어락본체에 배터리전원이 미공급되게 제어하며, 상기 화재온도감지부의 화재온도감지에 따라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를 도통시키는 배터리모듈 제어부와, 상기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에서의 외부 작동요구 감지가 포함 가능한 하나 이상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모듈 제어부 및 배터리모듈케이스내 관련 작동부에 상기 배터리팩과 연결된 동작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되는 파워스위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 있어, 상기 배터리모듈 제어부는 모바일기기의 모바일앱을 통해 도어락 비상 기동요구가 있음에 따라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를 도통시켜 배터리팩에 남아 있는 비상전력용도 예비분의 도어락전원을 도어락본체에 공급하여서 도어락본체의 동작불능상태가 해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 있어, 배터리모듈 제어부는 미리 설정한 비사용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를 도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파워스위치를 이용하여 배터리모듈 제어부 및 관련 작동부를 비활성화시키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 있어, 상기 배터리모듈 제어부는 배터리잔량이 디지털 도어락본체에서의 건전지 교체를 알리는 알람발생 시기에 대응된 건전지교체 기준레벨값 이하가 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를 비도통상태로 전환 후 도통상태로 복귀되게 제어하여서 디지털 도어락본체에서의 건전지교체 알람음을 제거하는 구성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는, 사용자에게 배터리잔량 경고알람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팩의 배터리잔량 경고임계값과 사용자가 배터리 소진으로 인식하되 배터리 비상전력 용도로 예비된 기준의 차단임계값을 저장하는 임계값 저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모듈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상태 체크부를 통해 읽은 배터리모듈케이스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임계값 저장부의 경고임계값까지 내려옴에 따라 상기 배터리잔량 경고알람을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의 외부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상태 체크부를 통해 읽은 배터리팩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경고임계값을 지나쳐 임계값 저장부의 차단임계값까지 내려옴에 따라 상기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를 비도통시켜 도어락본체가 동작불능상태로 되게 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배터리소진으로 인식하는 차단임계값 이하의 도어락본체의 동작불능상태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매개로 모바일기기의 모바일앱을 통해 도어락 비상 기동요구가 있음에 따라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를 도통시켜 도어락본체에 비상전력용도 예비분의 도어락전원을 공급하여서 도어락본체의 동작불능상태를 해제시키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는 음향센서 및 진동감지센서, 터치센서 중의 하나 이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외출자의 소지품 소지여부를 감지하는 소지품 감지부를 더 구비하되; 소지품 감지부는; 외출자의 소지물품을 감지하는 물체감지센서와, 도어 실내측에서 외출자의 인체 움직임 감지를 위한 인체감지센서와, 스마트폰용 삽입도어의 내부 근처에서 모바일기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물체감지센서는 소지물품중 하나로서 마스크의 걸이끈에 끼움 가능하며 마그네트가 매립된 피감지편을 자성감지하는 리드스위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 있어, 배터리모듈 제어부의 제어 하에 알람 및 음성안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출력부를 배터리모듈 케이스에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은 외출자에게 소지품을 챙기라고 음성안내의 제공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음성안내 온/오프버튼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충전중 상태 및 충전필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충전관련 표시램프를 더 구비하고, 사용자가 외출하려고 도어개방작동 시에 소지품 인식상태를 표시하는 소지품인식 표시램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는, 모바일기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블루투스모듈과 기기 간을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는 와이파이모듈 중의 하나 이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어락본체의 실내측에 위치한 도어잠금해제버튼을 작동시키는 버튼작동 액추에이터와, 상기 배터리모듈 제어부의 제어 하에 버튼작동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 구동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모듈 제어부의 제어 하에 도어락본체의 실내측에 위치한 수동조작핸들을 구동시키는 수동조작핸들 구동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도어락 본체의 건전지수납함의 건전지접속단자에 접촉 가능한 충전단자를 가지는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가 디지털도어락 본체의 실내측에 장착되게 구성하되; 상기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팩과, 상기 배터리팩의 충방전상태를 체크하는 배터리상태 체크부와, 배터리팩의 출력전원을 디지털 도어락본체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와,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을 갖는 모바일기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배터리모듈케이스의 각부를 제어하는 배터리모듈 제어부를 갖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의 도어락 제어방법에 있어서, 배터리상태 체크부를 통해 체크한 상기 배터리팩의 배터리잔량이 사용자가 배터리 소진상태로 인식하지만 배터리 비상전력 용도로 배터리잔량이 예비되어 있는 차단임계값을 초과하는 상태임에 따라 배터리팩으로부터의 도어락전원이 도어락본체에 공급되게 하고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비활성화하여 근거리 무선통신부의 활성화에 따른 배터리 소모가 방지되게 하는 과정과, 배터리상태 체크부를 통해 체크한 배터리팩의 배터리잔량이 상기 차단임계값 이하의 상태가 됨에 따라 배터리팩으로부터 도어락본체로 공급되는 도어락전원을 차단하여 도어락락본체가 동작불능상태로 되게 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활성화되게 하여 모바일기기와의 무선접속을 가능케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배터리모듈장치를 포함한 디지털도어락이 미리 설정한 비사용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상기 도어락본체로 공급되는 도어락전원이 유지되게 한 상태에서 배터리모듈케이스에서의 감지부를 제외한 배터리모듈 제어부 및 관련 작동부를 비활성화시키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상태 체크부를 통해 체크한 배터리팩의 배터리잔량이 도어락본체에서의 건전지교체를 알리는 알람발생시기에 대응된 건전지교체 기준레벨값 이하가 됨에 따라 도어락본체에서 발생되는 건전지교체 알람음 제거를 위해 배터리팩으로부터 도어락본체로 인가되는 배터리전원을 차단후 다시 공급되게 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락본체의 동작불능상태에서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을 갖는 모바일기기가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 접속됨에 따라 모바일기기의 화면으로 배터리모듈관리 화면창을 팝업시키는 과정과, 상기 차단임계값 이하에서 모바일기기의 화면으로 도어락 기동요구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 잔량이 차단임계값 이하임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통해 배터리방전 비상상황임을 알림과 동시에 도어락 기동요구를 보류하되 미리 설정된 비상상황대기시간동안 보류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설정된 비상상황 대기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도어락 기동요구를 승낙하고 배터리팩으로부터의 도어락전원을 도어락본체에 공급하여 도어락본체의 동작불능상태가 해제되게 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팩의 배터리잔량이 상기 차단임계값을 초과하는 상태에서 배터리모듈케이스의 외부에서의 사용자의 작동요구를 감지함에 따라 배터리모듈 제어부에서 모바일기기와의 무선접속이 가능하도록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모바일기기의 배터리모듈관리 화면창으로 배터리잔량 표시 및 도어잠금해제버튼을 생성표시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실내측에서의 도어개폐에 따라 다수 감지부를 통해 외출자의 소지품 여부를 판단하고 소지품 미소지에 따른 음성안내를 제공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도어락의 도어락 본체에 수납된 배터리의 충방전상태를 체크하는 배터리상태 체크부와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을 갖는 모바일기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갖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배터리상태 체크부를 통해 체크한 상기 배터리팩의 배터리잔량이 사용자가 배터리 소진상태로 인식하지만 배터리 비상전력 용도로 배터리잔량이 예비되어 있는 차단임계값을 초과하는 상태임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의 공급전원을 차단하여 근거리 무선통신부의 활성화에 따른 배터리 소모가 방지되게 하는 과정과, 배터리상태 체크부를 통해 체크한 배터리팩의 배터리잔량이 상기 차단임계값 이하의 상태가 됨에 따라 도어락본체의 조작패널을 디스에이블시킴과 함께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에는 공급전원을 인가하여서 근거리 무선통신부가 활성화되게 하는 과정과,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을 갖는 모바일기기가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 접속됨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기동요구가 가능하도록 모바일기기의 화면으로 배터리모듈관리 화면창을 팝업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의 화면으로 도어락 기동요구가 입력됨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통해 배터리방전 비상상황임을 알림과 동시에 도어락 기동요구를 보류하되 미리 설정된 비상상황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과정과, 카운트만료로 미리 설정된 비상상황 대기시간을 경과함에 따라 보류된 도어락 기동요구를 승낙하고 도어락본체의 조작패널을 인에이블시키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상태 체크부를 통해 체크한 배터리팩의 배터리잔량이 상기 차단임계값을 초과한 상태에서 도어락본체가 장착된 문 밖에서의 인체감지가 있음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에 공급전원을 인가하여서 근거리 무선통신부가 활성화되게 하는 과정과,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을 갖는 모바일기기가 활성화된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디지털 도어락본체와 무선 접속됨에 따라 상기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에 설정된 도어락 비밀번호가 디지털 도어락본체로 무선송출되게 하는 과정과, 디지털 도어락본체는 모바일기기에서 무선송출된 도어락 비밀번호가 도어락본체에 기저장된 도어락비밀번호와 일치함에 따라 도어락 잠금을 해제하고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비활성화시키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로 사용되는 일회용 소모품인 건전지(1차 전지)를 대신하며 대용량이고 오랫동안(500번 내외로 재충전 가능) 사용할 수 있으며 충전 가능한 동일 배터리용량 대비 잦은 재충전을 하지 않으면서도 디지털 도어락에 채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oT(Internet of Things)기능이 가능하고 건전지 방전에 따른 도어락 동작불능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더욱이 디지털도어락의 배터리 방전에 의한 동작불능상태에도 통상적인 비상조치없이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출자에게 스마트폰이나 마스크와 같은 소지품을 챙겨가라는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편리한 부가기능을 갖고 있으며 스마트폰이나 마스크를 감지시에 도어잠금해제를 자동으로 해주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가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몸체(inbody)측에 설치된 사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의 사시 구성도,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 디지털 도어락의 도어해제버튼을 작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관련 구성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의 제어회로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의 배터리 대기전력을 최소화를 위한 회로 구성도,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의 각종 제어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디지털도어락의 도어락본체에 구현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의 제어회로 블록 구성도,
도 15는 도 14와 같이 도어락본체에 구현된 배터리모듈장치에 있어 배터리방전상태에서의 비상제어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의 배터리모듈 관리화면창 화면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의 배터리모듈 관리화면창을 통해 진입한 설정모드 화면창의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라 외출자의 소지품중 스마트폰을 감지하는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라 외출자의 소지품중 마스크를 감지하기 위한 예시 구성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마스크 걸이끈에 끼워진 장식비드형태의 피감지편의 단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도어락에 수납되는 건전지(1차 전지)를 대용할 수 있는 무선 제어형 배터리모듈장치로서 충전이 가능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무선 제어형 배터리모듈장치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대용량 구현 및 재충전이 가능한 리튬-이온 배터리나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채용한다.
그런데 리튬-이온 배터리나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디지털도어락의 배터리로서 사용하려면 도어락전원으로 승압을 해주어야하는데, 승압을 위한 에너지 소모가 30%가량이나 된다. 그러므로 승압회로부에 의한 전력소모가 없는 동일 배터리용량에 대비해서 효율이 좋지 못하게 되는바 리튬-이온 배터리나 리튬 폴리머 배터리와 같은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에 대한 디지털도어락에서의 채용을 꺼린다.
즉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로서 대용량 사용이 가능하고 재충전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 리튬-이온 배터리나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채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를 극복하며, 건전지 대신 충전가능한 대용량의 리튬배터리(리튬-이온배터리나 리튬-폴리머 배터리)와 아울러, 블루투스모듈, 충전회로부, 화재온도 감지스위치나 화재온도감지센서, 음향센서나 진동감지센서 등의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 소지품 감지부 등을 탑재한 회로기판을 내장한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를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몸체 측에 장착하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모바일앱으로도 배터리 관리 및 제어를 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 더욱이 배터리 방전에 따른 도어락 동작불능상태에서도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상조치로 디지털도어락을 열 수 있도록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가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몸체(inbody)측에 설치된 사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의 사시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도어락본체(2)의 일예에서는 건전지 4개 수용 가능한 건전지 수납홈(4)을 갖은 통상의 내부몸체 구조로서, 1.5V짜리 건전지 4개가 직렬연결되어서 6V의 도어락전원을 제공한다.
또한 도어락본체(2)의 다른 예시로는 건전지 8개 수용 가능한 건전지 수납홈 형태의 통상적 내부몸체 구조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서로 직렬 연결된 좌측 2열의 1.5V짜리 건전지 4개(6V제공)와 서로 직렬연결된 우측 2열의 1.5V짜리 건전지 4개(6V제공)가 병렬 연결되어서 6V의 도어락전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는 도어락본체(2)의 건전지수납함(4)의 건전지접속단자(6)에 접촉 가능한 충전단자(12)를 가지며, 도어락본체(2)의 내부몸체가 있는 실내측에 장착되게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락본체(2)의 내부몸체와는 별도로 장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첨부도면과는 달리 건전지수납함(4)측 수납공간부나 그 수납공간 상부에 탑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는 도 2에서와 같이 디지털도어락의 도어락본체(2)의 건전지수납함(4)의 건전지접속단자(6)에 접촉 가능한 충전단자(12)를 갖는 모형건전지(11)를 구비한다. 모형건전지(11)가 건전지수납함(4)에 끼움됨에 의해 모형건전지(11)의 충전단자(12)는 건전지수납함(4)의 전건지접속단자(6)와 접촉되며, 모형건전지(11)의 충전단자(12)에 연결된 연장전선(13)은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의 회로기판(16)의 단자부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에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팩(14)과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 제어용의 회로기판(16)이 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14)은 동일사이즈의 건전지(1차 전지)에 대비해 수배이상 대용량인 리튬이온전지나 리튬폴리머전지로 구성되며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다.
리튬이온 전지(배터리)는 배터리 크기에 비해 용량이 큰 편이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기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동일 크기의 니켈 카드뮴 배터리보다 용량이 약 3배 높고 메모리 현상이 없는 관계로 배터리의 용량이 줄어들지 않아 오랫동안(500번 내외로 재충전 가능함)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리튬폴리머 전지(배터리)는 리튬이온 전지(배터리)보다 얇고 폭발 위험이 적은 충전지이다. 또 리튬이온 전지(배터리)보다 더 안정적이며 가볍고 리튬이온 전지보다 더 오랫동안 사용가능(1000번 내외로 재충전이 가능함)하고 특히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이점이 있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더 비싸지만 그 사용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폭발 위험성도 가장 적으며 전해질의 누액 현상도 없음은 물론이고 자연방전이 적으며 메모리효과도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팩(14)은 예컨대 18650 리튬이온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고방전용 대용량일 경우 2600mAh용량과 아울러 완전 충전시 전압이 4.2V이며 정격전압은 3.7V가 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케이스(10)의 외부에는 휴대폰충전 USB케이블을 통해 인입된 충전전원을 충전회로부(20)를 통해 내부의 배터리팩(14)으로 연결하는 USB입력부(18)와 함께 LED도트나 LED칩형태의 충전상태 표시램프(20a) 및 충전필요 표시램프(20b)과 같은 배터리충전 관련 표시부와 아울러 사용자의 소지품 확인에 관련된 소지품인식 표시램프(20c)가 구비된다. 또한 배터리모듈 케이스(10)의 외부에는 삽입구에 설치된 스마트폰용 삽입도어(58)와 음성안내 온/오프버튼(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에는 디지털 도어락본체(2)에 구비된 도어잠금해제버튼(8)을 눌려주기 위한 버튼작동 액추에이터(22)가 구비된다.
버튼작동 액추에이터(22)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구동부(21)의 일예인 기어드모터(21a)에 축연결된 편심캠(22a)과 버튼작동 레버(22b)로 구성 가능하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 디지털 도어락본체(2)에 구비된 도어잠금해제버튼(8)을 작동시키기 위해 배터리모듈 케이스(10)에 장치된 것으로 편심캠(22a)과 버튼작동 레버(22b)로 구성된 액추에이터(22)에 관련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버튼작동 레버(22b)의 레버축에는 버튼작동 레버(22b)의 초기상태 복귀를 위한 토크스프링(62)이 축설치되며, 버튼작동 레버(22b)의 선단부에는 도어잠금해제버튼(8)과 마주하는 가압돌부(23)가 마련된다.
기어드모터(21a)의 구동에 의해서 초기상태로 있던 편심캠(22a)이 캠작동을 하면서 버튼작동 레버(22b)의 지렛대 운동으로 버튼작동 레버(22b)의 가압돌부(23)가 도어잠금해제버튼(8)을 누르게 되며, 그후 도 5에서와 같이 편심캠(22a)이 초기상태로 돌아가면 버튼작동 레버(22b)의 레버축에 설치된 토크스프링(62)의 바이어스력에 의해서 도어잠금해제버튼(8)의 가압돌부(23)가 도어잠금해제버튼(8)로부터 이격되는 상태로 돌아간다.
버튼작동 액추에이터(22)의 다른 예시로는 기어드모터에 연결된 래크와 피니언기어 구조물이 될 수 있다. 기어드모터 축에 피니언기어가 물리고 도어잠금해제버튼(8)을 옆에서 밀어주는 래크가 피니언기어에 기어 연결되게 하여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버튼작동 액추에이터(22)의 또 다른 예시로는 세라믹물질이 금속의 양면을 덮은 형태의 압전 액추에이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압전 액추에이터는 바이모프(bi-morph) 원리를 이용해서 구동전원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구동전원이 가해지면 굽힘형태가 되면서 도어잠금해제버튼(8)을 누르게 된다.
도 5를 계속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는 디지털도어락이 설치된 문의 개폐여부를 직접 판단하기 위한 도어 개폐감지부(68)를 구비한다. 즉 버튼작동레버(22b)의 가압부(23) 근처에 리드스위치(reed switch)(64)가 탑재되며 리드스위치(64)에 마주하는 내부의 도어락본체(2)면에는 마그네트(66)가 부착되어서 도어 개폐감지부(68)를 구성한다.
사용자는 디지털도어락이 설치된 문을 내측에서 열기 위해서는 도어잠금해제버튼(8)에 마주하고 있는 버튼작동 레버(22b)의 가압돌부(23) 등부분에 위치된 버튼면을 누르게 된다. 그에 따라 문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도어잠금해제버튼(8)이 가압돌부(23)에 의해서 눌러짐과 동시에 버튼작동 레버(22b)의 리드스위치(64)가 내부측 도어락본체(2)면에 부착된 마그네트(66)에 밀접근하게 되면서 리드스위치(64)가 문 개방에 대응된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리드스위치(64)와 마그네트(66)로 구성된 도어 개폐감지부(68)의 신호선(69)은 모형건전지(11)의 연장전선(13)과 함께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의 내부로 인입되게 구성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의 제어회로블록 구성도로서,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의 배터리모듈 제어용 회로기판(16)에 탑재된다.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는 충전가능한 대용량 배터리팩(14)을 케이스 내부에 장치하며,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 제어용 회로기판(16)에서는 디지털 도어락에 공급할 도어락전원으로 승압하기 위한 승압회로부는 생략되게 구성한다. 생략되는 승압회로부는 배터리전원을 디지털 도어락이 정상 동작하기 위한 전압레벨로 승압시켜주는 승압수단이지만 평상시에도 상당한 배터리전류를 소모시킨다.
본원 발명자는 실험을 통해서 예컨대 완충전 전압 4.2V, 정격전압 3.7V, 용량 3000mAh와 같은 고방전용 대용량 배터리(예컨대 18650리튬이온배터리 등)로 디지털도어락에 배터리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승압을 위해 많은 상당한 전류소모가 있던 승압회로부가 없어도 디지털 도어락이 4.2V ~ 3.43V 범위 내에서 충분히 정상적으로 작동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디지털도어락이 설치된 문을 사용자가 하루 1O번 출입하는 것으로 가정한 후 실험해본 결과 용량 3000mAh와 같은 고방전용 대용량 배터리(18650 리튬이온배터리 1개 채용한 경우)의 배터리 전원전압이 0.01V 낮아지는데 소요되는 기간이 10일로 나타내는 등 고방전용 대용량 배터리로 된 배터리팩(14)을 승압회로를 생략한 채로 장기간(하루 10번 사용 경우에는 이론상으로는 770일) 사용하여도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 본 발명에서 배터리 전류소모를 최소화하도록 함에 있어 해결해야 하는 것으로 근거리 무선통신부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도어락에서의 배터리 방전에 따른 동작불능상태에도 통상적인 비상조치(9V의 사각형 건전지를 구입해서 디지털 도어락 외부 비상충전단자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도어락 수리업자를 불러오는 등의 행위)없이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을 이용해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이를 위해서는 블루투스모듈(28a)이나 와이파이모듈(28b)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부(도 6a,b의 28)를 배터리모듈 케이스(10)에 내장해야 한다.
그런데 블루투스모듈(28a)이나 와이파이모듈(28b)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부(28)는 항시 작동을 하게되면 배터리전류 소모를 야기므로 대용량 배터리팩(14)의 배터리 효율을 떨어뜨린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근거리 무선통신부(28)의 상시 작동으로 인해 배터리팩(14)의 전류소모 방지 내지 최소화를 해야 하는데, 그 대책으로 배터리전원(Vcc)의 공급으로 근거리 무선통신부(28)를 꼭 필요할 경우에만 활성화시킨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문밖에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40)를 이용하기 위한 사전 작동요구 행위가 있을 경우에만 근거리 무선통신부(28)를 활성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팩(14)의 배터리 잔량이 거의 소진중임을 알리는 경고알람 이후도 지속적으로 차단임계값까지 사용자가 디지털도어락을 사용하면 디지털도어락을 동작불능상태로 전환시켜서 사용자에게 배터리 방전상태임을 인식시켜주며, 이와 동시에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40)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접속으로 디지털도어락의 동작불능상태가 해제조치가 되도록 근거리 무선통신부(28)를 활성화시킨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차단임계값은 배터리팩(14)에 배터리 전원이 여전히 남아있지만 비상전력 용도로 예비된 것이고 사용자에게는 배터리 방전상태임을 인식시켜주는 기준값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도어락본체(2)를 포함한 배터리모듈장치가 평상시 미리 설정한 비사용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외부 감지를 위한 감지수단을 제외하고는 배터리모듈 제어부(30)를 포함한 모듈케이스(10)내 거의 모든 관련 작동부가 비활성화되게 한다[도 7 및 도 8과 함께 후술될 것임]. 하지만 경우에는 배터리팩(14)의 배터리전원은 도어락본체(2)로는 공급이 이루어지게 하여서 도어락본체(2)의 정상 작동에 문제가 없도록 한다.
도 6a 및 도 6b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의 배터리모듈 제어용 회로기판(16)에 탑재된 제어회로는, 대용량의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팩(14)과, 휴대폰충전 USB케이블을 통해 인입된 충전전원을 배터리팩(14)으로 연결하는 USB입력부(18)와, USB입력부(18)로 인가된 외부의 상용전원인 충전입력전압을 출력 부하변동에도 일정 정전압(예컨대 4.2V)으로 유지하여 배터리팩(14)에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부(20)와, 충전회로부(20)에 연결되어서 현재 충전하고 있는 배터리의 충전중 상태나 만충전상태를 색상으로 발광표시하기 위한 충전상태표시램프(20a)와, 체크한 배터리에 충전필요할 경우에 발광표시하는 충전필요 표시램프(20b)와, 소지품인식시 발광표시하는 소지품인식 표시램프(20c)와, 배터리팩(14)의 배터리잔량 상태를 체크하는 배터리상태 체크부(24)와, 배터리팩(14)의 출력전원을 디지털 도어락본체(2)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26)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부(28)와, 배터리모듈장치에 관련된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배터리모듈 제어부(30)와,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의 외부에서의 사용자의 작동요구를 감지하는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32)와, 스마트폰이나 마스크와 같은 소지품에 대한 외출자의 휴대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소지품 감지부(50)와, 도어락본체(2)의 실내측에 있는 도어잠금해제버튼(8)을 작동시키는 버튼작동 액추에이터(22)를 구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구동부(21)와, 도어락본체(2)의 실내측에 있는 수동조작핸들(9)을 구동시키기 위한 수동조작핸들 구동부(38)와, 배터리모듈 제어부(30)의 제어 하에 알람출력이나 음성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출력부(36) 및 스피커(SPK)와, 디지털도어락이 설치된 문의 개폐여부를 직접 판단하기 위한 도어 개폐감지부(68)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장치는 도어락본체(2)가 디지털 도어락 자체가 화재감지시(60℃) 도어열림 작동을 자동 수행할 수 있게끔 배터리 부족상황(차단임계값 이하일 경우)에 의해 비도통되어진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26)를 도통시키는 실내 화재초기상황 감지를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도 6a에서와 같이 배터리모듈 제어부(30)의 관여없이 화재초기 임계온도(예컨대 55℃)가 되면 자체 스위치가 바로 도통되면서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26)가 도통되게 하는 화재온도감지스위치(34)의 형태로 구비할 수 있으며, 도 6b에서와 같이 화재초기 임계온도(예컨대 55℃)를 감지하면 배터리모듈 제어부(30)로 인가하는 화재온도감지부(34a)의 형태로도 구비할 수 있다. 도 6b에서와 같이 화재온도감지부(34a)가 화재초기 임계온도를 감지하면 배터리모듈 제어부(30)가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26)를 도통시켜서 도어락본체(2)에 배터리전원이 공급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장치에서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32)는 사용자가 디지털 도어락의 패드를 이용해서 문을 열 수 있게끔 외부의 소리나 진동, 패드터치 등을 미리 감지하여 배터리모듈 제어부(30)의 제어하에 근거리 무선통신부(28)를 활성화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32)의 일예로는 음향센서(32a), 진동감지센서(32b), 터치센서(32c) 등이 있으며, 그외 유사한 기능의 입력부도 가능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음향센서(32a)나 진동감지센서(32b)는 도어락본체(2)에 근접되게끔 배터리모듈 케이스(10)의 바닥측에 내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터치센서(32c)의 경우는 디지털 도어락의 외측몸체측 패드 위에 투명하게 부착하는 등으로 외측몸체 측에 설치하고 배터리모듈 케이스(10)와 전선 연결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장치에서 소지품 감지부(50)는 스마트폰이나 마스크와 같은 소지품에 대해서 외출하려는 사용자(외출자)의 휴대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리미트스위치(52), 물체감지센서(54), 인체감지센서(56)로 구성할 수 있다.
리미트스위치(52)는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에서와 같이 배터리모듈 케이스(10)에 설치된 스마트폰용 삽입도어(58)의 삽입구 내측에 위치되며, 외출하려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스마트폰용 삽입도어(58)가 있는 삽입구로 삽입 및 접촉함에 따라 스마트폰 감지신호를 배터리모듈 제어부(30)에 제공한다.
물체감지센서(54)는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에서와 같이 배터리모듈 케이스(10)의 전면 예컨대 스마트폰 삽입도어(58) 표면이나 근처에 위치되어서 마스크와 같은 외출자의 소지물품이 접촉되면 소지물품 감지신호를 배터리모듈 제어부(30)에 제공하며, 예컨대 리드스위치나 적외선센서로 구현 가능하다.
인체감지센서(56)는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에서와 같이 배터리모듈 케이스(10)의 전면에 위치하며 도어 실내측에서의 인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인체 움직임 감지 시에 배터리모듈 제어부(30)로 인체감지신호를 제공한다.
리미트스위치(52), 물체감지센서(54) 및 인체감지센서(56)를 포함하는 소지품 감지부(50)에서의 감지신호는 배터리모듈 제어부(30)로 제공되며, 배터리모듈 제어부(30)에서는 제공된 감지신호들을 근거로 해서 문의 도어락본체(2) 실내측에서 문을 열고 외출하려는 사용자에게 스마트폰이나 마스크와 같은 물건을 챙겨가라는 안내방송을 오디오출력부(36)과 스피커(SPK)를 통해서 송출한다.
또한 배터리모듈 제어부(30)는 소지품 감지부(50)에서의 두가지 이상의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액추에이터구동부(21)를 구동하여서 버튼작동 액추에이터(22)가 도어잠금해제버튼(8)을 눌러주어서 사용자가 도어잠금해제버튼(8)을 누르지 않아도 도어잠금이 해제될 수 있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8에서는 외출자가 본인의 소지품으로서 스마트폰(86)을 배터리모듈 케이스(10)의 스마트폰용 삽입도어(58)가 있는 삽입구에 밀어넣어줌으로써 내측의 리미트스위치(52)가 스마트폰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배터리모듈 제어부(30)로 제공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배터리모듈 제어부(30)는 인체감지센서(56)에 의한 인체감지신호와 아울러 상기 스마트폰 감지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소지품 인식 표시램프(20c)가 발광표시되게 제어함과 동시에 기어드모터(21a)를 구동시켜 편심캠(22a)과 버튼작동레버(22b)에 의해서 도어잠금해제버튼(8)이 눌러지게 함으로써 도어잠금의 해제가 바로 이루어지게 해준다. 또한 배터리모듈 제어부(30)는 도어잠금 해제에 대응된 알람을 오디오출력부(38)와 스피커(SPK)를 통해서 출력되게 제어한다.
도 19는 소지품 감지부(50)중 물체감지센서(54)의 일예로서 소지품인 마스크(88)를 감지하는 예시도이고, 도 20은 마스크(88)의 걸이끈(88a)에 끼워진 장식비드(94)형태의 피감지편(92)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소지품인 마스크(88)를 감지하기 위한 물체감지센서(54)의 일예로서 피감지편(92)의 자성을 감지하는 리드스위치로 구성할 수 있으며 마그네트(96)가 매립된 피감지편(92)을 구비한다. 피감지편(92)은 마스크(88)의 걸이끈(88a)이 도 19에서와 같이 끼움홈(98)에 끼움고정되게 해주는 장식비드(bead)(94)형태이다.
장식비드(94) 형태의 피감지편(92)내에는 도 20에서와 같이 마그네트(96)가 매립되게 구성하여서 리드스위치로 된 물체감지센서(54)가 마그네트(96)가 매립된 피감지편(92)을 갖는 마스크(88)를 소지품으로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 음성안내 온/오프버튼(58)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의 전면에 위치하며 음성안내 온/오프버튼(도 1 내지 도 3의 58)가 구비되어서, 스피커(SPK)를 통한 안내방송의 음성안내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
또 도 6a 및 도 6b에서 배터리팩(14)은 과충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PCM(Protection Circuit Module for rechargeable battery)보호회로(14a)가 함께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PCM보회로(14a)는 충전회로부(20)내에 대신 구비되거나 배터리팩(14)과 충전회로부(20)에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 케이스(10)는 도어락본체(2)의 실내측에 위치한 수동조작핸들(9)을 구동시키는 수동조작핸들 구동부(38)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수동조작핸들 구동부(38)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피니언기어와 수동조작핸들(9)을 끼움하는 원형브라켓의 원주면에 형성된 원호형 래크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 케이스(10)가 수동조작핸들 구동부(38)를 구비하게 되면, 디지털 도어락(2)의 본체회로부가 고장난 경우에도 디지털도어락을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 디지털 도어락이 정상적인 경우에라도 디지털도어락의 본체회로부의 관여없이도 사용자가 도어락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 케이스(10)는 배터리팩 잔량, 충전시기 등을 모바일 앱(즉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확인 가능하고 화재경보나 문 열림/닫힘 등 알람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근거리 무선통신부(28)를 구비한다.
근거리 무선통신부(28)는 모바일기기(4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블루투스모듈(28a)과 기기 간을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는 와이파이모듈(28b)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케이스(10)에 내장할 경우에는 블루투스모듈(28a)과 와이파이모듈(28b)중 하나만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중에서도 블루투스모듈(28a)의 내장이 우선순위에서 앞선다.
와이파이모듈(28b)을 통해서는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를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고, 블루투스모듈(28a)을 통해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40)에 도어락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42)을 다운로드하여서 배터리 잔량, 충전시기 알림, 배터리 방전시 비상충전 제어 등을 수행할 수가 있다.
또 평상시 배터리 전류소모를 많이 일으키는 블루투스모듈(28a)과 와이파이모듈(28b)에는 본 발명에 따라 평상시에는 비활성화될 수 있도록 배터리모듈 제어부(30)의 제어 하에 배터리 동작전원(Vcc)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위치(29a)(29b)가 대응 설치된다.
배터리모듈 제어부(30)는 배터리상태 체크부(24)를 통해 확인한 배터리 잔량에 따른 배터리전원관리를 위해서 임계값 저장부(31)를 갖는다.
임계값 저장부(31)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고임계값'과 '차단 임계값', '건전지교체 기준레벨값'에 대한 메모리 설정값이 저장되며, '도어락 실제 동작불능 레벨값'은 참고를 위해 표시되었다.
'경고임계값'은 사용자에게 배터리 충전필요가 있음을 경고알람하기 위한 임계값으로서, 예컨대 3.7V가 될 수 있다.
'차단 임계값'은 배터리팩의 배터리잔량이 사용자가 배터리 소진상태로 인식하지만 배터리 비상전력 용도로 배터리잔량이 예비되어 있는 임계값으로서, 디지털도어락을 비활성화시키고 근거리 무선통신부(28)를 활성화시키는 기준이 된다. 차단 임계값은 예컨대 3.49V이다.
'건전지교체 기준레벨값'은 디지털도어락에서의 기존 사용하는 건전지 교체 알람시기에 대응된 기준레벨값으로서 도어락본체(2)에 의해서 발생되는 건전지 교체 알람음 제거하는데에 이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 디지털 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의 배터리 대기전력을 최소화를 위한 회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에 내장된 배터리팩(14)의 배터리전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도 6a 및 도 6b의 배터리모듈 제어부(30) 및 관련 작둥부들은 사용자의 출입이 없는 동안에는 비활성화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문 내외부에서의 노크 등과 같은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감지센서(32b), 스마트폰의 삽입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52), 마스크와 같은 물건을 감지하기 위한 물체감지센서(54), 실내 문입구의 인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56), 도어개폐감지를 위한 도어개폐감지부(68)의 리드스위치(64)에는 배터리동작전압(Vcc)이 항상 인가되어 있으며, 그중 하나 이상에서 감지가 있으면 파워스위치(70)를 턴온(turn on)시켜서 배터리모듈 제어부(30) 및 배터리모듈케이스(10)내 관련 작동부에 배터리팩(14)에 연결된 동작전압(Vcc)을 인가한다.
그리고 배터리모듈 제어부(30)는 감지센서 등이나 각종 제어가 없는 시점에서 미리 설정한 비사용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파워스위치(70)를 다시 턴오프시켜서 배터리모듈케이스(10)의 배터리모듈 제어부(30) 및 관련 작동부들을 비활성화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파워스위치(70)를 이용한 배터리팩(14)의 배터리전원 온오프 제어를 통해서 배터리모듈장치 미사용중 배터리팩(14)의 배터리 전력소모를 최대로 줄일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의 각종 제어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의 도어락 배터리 전원관리하는 개략적인 제어흐름도이다.
평상시 배터리모듈 제어부(30)는 디지털 도어락용 배터리모듈장치가 미리 설정된 비사용시간(1분 내지 10분)이 경과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워스위치(70)를 오프시켜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장치의 비사용시 대기상태에 따른 배터리 소모가 방지되게 한다(도 8의 100단계). 즉 디지털 도어락용 배터리모듈장치의 배터리 대기전력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도 7과 함께 전술한 감지수단을 제외하고 배터리모듈 제어부(30)와 아울러 근거리 무선통신부(28) 등의 각종 작동부가 비활성화된다. 다만 이때에도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26)가 스위치 온(switch ON)의 디폴트(default)상태를 유지하여서 도어락본체(2)에는 배터리전원이 공급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 7과 함께 전술한 감지수단중 하나 이상에서의 감지가 있게 되면 파워스위치(70)가 즉각적으로 턴온되어서 배터리모듈 제어부(30)를 깨운다(도 8의 102단계).
그리고 배터리모듈 제어부(30)가 깨어있는 상태에서 배터리모듈 제어부(30)는 리드스위치(64)를 통한 도어오픈 감지가 있고 배터리잔량이 디지털 도어락본체에서의 건전지 교체를 알리는 알람발생 시기에 대응된 건전지교체 기준레벨값이 되면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26)를 비도통상태(switch OFF)로 전환 후 다시 도통상태(switch ON)로 복귀되게 제어한다(도 8의 104단계). 그래서 디지털 도어락본체(2)에서 발생되는 건전지교체 알람음의 제거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배터리모듈 제어부(30)는 모바일기기(40)의 무선 접속을 위한 사용자의 사전 행위로서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32)로부터의 외부 작동요구가 있으면 근거리 무선통신부(28)를 활성화시키고, 근거리 무선통신부(28)가 활성화된 후에는 모바일기기(40)로부터의 링크접속이 일정시간 내에 없게 되면 근거리 무선통신부(28)를 다시 비활성화시켜서 배터리전원 소모를 최소화시킨다(도 8의 106단계).
또한 배터리모듈 제어부(30)는 배터리상태 체크부(24)를 통해 체크한 배터리팩(14)의 배터리잔량이 사용자가 배터리 소진상태로 인식하지만 배터리 비상전력 용도로 예비되어 있는 차단임계값까지 떨어지면 도통상태의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26)를 비도통시켜 도어락본체(2)를 동작불능상태가 되게 하고, 근거리 무선통신부(28)에는 공급전원(Vcc)이 인가되게 제어하여서 근거리 무선통신부(28)가 활성화되게 제어한다(도 8의 108단계).
도 9는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의 도어락 배터리 방전상태에서의 도어락 비상제어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배터리모듈 제어부(30)는 주기적으로 배터리상태 체크부(24)를 이용해서 배터리 잔량상태를 확인한다(도 9의 200단계).
배터리모듈 제어부(30)에서는 배터리 잔량이 임계값 저장부(31)의 차단임계값(예컨대 3.49V)을 초과하는 상태이면 블루투스모듈(28a)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부(28)를 비활성화시킨다(도 9의 202단계). 이는 평소 근거리 무선통신부(28)의 활성화에 배터리 소모가 방지되게 하며, 아직 배터리방전상태에 따른 도어락 비상제어상황이 아니다.
배터리모듈 제어부(30)는 배터리상태 체크부(24)를 통해 확인한 배터리 잔량이 배터리모듈 제어부(30)의 임계값저장부(31)에 저장된 경고임계값(예컨대 3.7V)과 비교해서 그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배터리 잔량이 경고임계값 이하이면 배터리모듈케이스(10)의 오디오출력부(36)와 스피커(SPK)를 통해서 배터리잔량이 부족함을 알리는 배터리잔량 경고알람을 송출하고 충전필요 표시램프(20b)로 발광 표시를 한다(도 9의 204단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모듈 제어부(30)의 임계값 저장부(31)에서는 디지털도어락의 배터리잔량 경고임계값(예컨대 3.7V) 및 사용자가 배터리소진으로 인식하는 차단임계값(예컨대 3.49V)을 저장하고 있다.
사용자가 배터리모듈케이스(10)의 배터리 잔량이 임계값 저장부(31)의 경고임계값까지 내려와 배터리잔량 경고알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배터리충전 없이 계속 사용하게 되면 배터리잔량은 경고임계값을 지나쳐 임계값 저장부(31)의 차단임계값까지 내려온다.
그러면 배터리모듈 제어부(30)는 배터리상태 체크부(24)를 통해 확인한 배터리 잔량이 배터리모듈 제어부(30)의 임계값저장부(31)에 저장된 차단임계값(예컨대 3.49V) 이하가 되면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26)를 오프시켜서 도어락본체(2)로의 배터리전원 공급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근거리 무선통신부(29)에 동작전압(Vcc)이 인가되게 하여서 블루투스모듈(28a)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부(28)를 활성화시킨다(도 9의 206단계).
그래서 도어락본체(2)가 동작불능상태로 되게 하고 모바일기기()가 무선링크 접속이 가능한 상태가 되게 한다(도 9의 208단계).
이렇게 사용자가 배터리소진으로 인식하는 차단임계값 이하로 내려와서 도어락 동작불능상태가 되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42)을 갖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40)만을 이용해서 도어락 비상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배터리소진으로 인식하는 차단임계값 이하에서의 도어락본체(2)의 동작불능상태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부(28)의 블루투스모듈(28a)이나 와이파이모듈(28b)를 매개로 모바일기기(40)의 모바일앱(42)을 통해 사용자가 도어락 비상 기동요구를 하게 되면 배터리모듈 제어부(30)는 차단임계값 이하에서의 비상 기동요구임을 확인하고선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26)를 스위치 온시켜 도어락본체(2)에 비상전력용도 예비분의 도어락전원을 공급한다(도 9의 210단계). 그래서 도어락본체(2)의 동작불능상태가 해제되게 한다(도 9의 212단계). 즉 디지털 도어락이 동작가능상태가 되게 한다.
도 10은 도 9의 210단계에서 수행하는 도어락 비상 기동요구 서브루틴 제어흐름도이다.
도어락본체(2)의 동작불능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42)을 갖는 모바일기기(40)를 갖고 디지털 도어락에 장치된 문에 접근하여서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32)를 이용한 외부 작동요구를 함과 동시에 모바일기기(40)가 배터리모듈 케이스(10)내 근거리 무선통신부(28)의 블루투스모듈(28a)을 통해 무선 접속됨에 따라 모바일기기(40)의 화면으로 배터리모듈 관리화면창을 팝업시킨다(도 10의 220단계).
상기 배터리모듈 관리화면창에는 배터리잔량 상태 및 기동요구버튼 등이 구비된다.
사용자가 모바일기기(40)의 배터리모듈 관리화면창을 통해 도어락 기동요구를 입력하게 되면 모바일기기(40)에서는 이를 배터리모듈 케이스(10)로 근거리 무선전송을 하게 되며, 배터리모듈 케이스(10)의 배터리모듈 제어부(30)에서는 모바일기기(40)로부터 도어락 기동요구가 있음에 따라 배터리상태 체크부(24)를 통해 배터리 잔량을 체크한다(도 10의 222단계).
만약 체크한 배터리 잔량이 차단임계값 이하이면 배터리모듈 제어부(30)는 모바일기기(40)의 모바일앱(42)을 통해 배터리잔량 상태 표시와 함께 배터리방전 비상상황임을 알리며, 동시에 도어락 기동요구를 보류하되 미리 설정된 비상상황 대기시간(예컨대 10초 내지 3분)을 카운트한다(도 10의 224단계).
그에 따라 사용자는 비상상황 대기시간을 기다려주어야 하며, 배터리모듈 제어부(30)에서는 카운트 만료로 미리 설정된 비상상황 대기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도어락 기동요구를 승낙하고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26)를 도통시켜 도어락본체(2)에 도어락전원이 공급되게 한다(도 10의 226단계).
또한 배터리모듈 제어부(30)에서는 비상상황 대기시간의 카운트값을 더 길게 설정하며, 이를 모바일 기기(40)로 통보한다(도 10의 228단계). 예컨대, 미리 설정된 초기의 비상상황대기시간 카운트값이 예컨대 2분이라면 2분을 더 추가해서 비상상황 대기시간을 4분으로 늘려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모바일 기기(40)로 통보하는 것이다.
이렇게 자꾸만 길어지는 비상상황 대기시간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40)의 모바일앱(42)을 통해서 배터리 방전상태에서 도어락 비상제어를 시도하는 사용자에게 알려지게 되며, 사용자로 하여금 더 이상 미루지 않고 도어락용 배터리팩(14)을 충전하도록 강제시킨다.
도 11은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의 화재감시 비상제어 흐름도이다.
도 11과 도 6a,도 6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터리모듈 제어부(30)에서는 배터리잔량이 차단임계값 이하가 되면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26)를 오프하여서 도어락본체(2)가 동작불능상태가 되게 한다(도 11의 300단계). 그런데 배터리잔량이 차단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어락본체(2)로 배터리전원이 공급되므로 도어락본체(2)에서 기존 내장된 화재감지기능이 수행될 수 있고, 도어락본체(2)에 화재감지기능이 없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 케이스(10)에서도 화재감지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다.
배터리잔랑이 차단임계값 이하 상태에서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장치에서는 화재초기 임계온도(예컨대 55℃)가 되면 도 6a에서와 같은 경우에는 배터리모듈 제어부(30)의 관여없이 화재온도 감지스위치(34)가 도통되면서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26)를 강제 스위칭 '온'시키거나, 도 6b에서와 같은 경우에는 화재온도감지부(34a)가 화재초기 임계온도(예컨대 55℃)를 감지함에 따라 배터리모듈 제어부(30)가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26)를 강제 스위칭 '온'시킨다(도 11의 302단계).
그에 따라 배터리모듈 케이스(10)의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26)의 스위칭 '온' 전환에 따라 배터리팩(14)의 배터리전원이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26)를 통해 도어락본체(2)로 도어락 전원으로서 인가된다(도 11의 304단계). 즉 배터리모듈 케이스(10)에서 도어락 본체(2)로 도어락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도어락 전원을 공급받은 도어락 본체(2)에서는 통상적인 방식으로서 미리 설정된 화재임계온도(예컨대 60℃)를 감지하면 도어락 잠금해제를 하게 된다(도 11의 306단계).
도 12는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40)를 이용한 배터리모듈와의 인터페이스 및 도어락 잠금해제에 관련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42)을 갖는 모바일기기(40)를 갖고 디지털 도어락에 장치된 배터리모듈 케이스(10)측에 접근한 상태에서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32)로부터의 작동요구 감지가 있으면, 모바일기기(40)는 배터리모듈 케이스(10)의 근거리 무선통신부(28)의 블루투스모듈(28b)을 통해 무선 접속되고 모바일기기(40)의 화면으로는 배터리모듈 관리화면창을 팝업시킨다(도 12의 400단계).
모바일 기기(40)는 배터리모듈 케이스(10)의 배터리모듈 제어부(30)와의 무선 교신을 통해서 도 16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모바일 기기(40)의 배터리모듈 관리화면창(80)에 배터리잔량, 기동요구버튼(또는 도어잠금해제버튼), 도어 상태 등을 표시한다(도 12의 402단계). 그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기기(40)의 배터리모듈 관리화면창(80)을 통해 배터리잔량을 확인할 수 있어 도어락용 배터리팩(14)의 배터리 관리가 매우 수월하다.
배터리모듈 관리화면창(80)에서 '설정'버튼을 눌러 설정모드로 들어가면 도 17에서와 같은 설정모드 화면창(82)이 제공되어서 모바일기기 사용자가 도어락 비밀번호와 동일한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모바일기기(40)에서의 경고알람전압 임계값 확인과 함께 알람 볼륨의 조절 설정도 사용자가 할 수 있다. 모바일기기(40)에서의 비밀번호 설정이 있으면 모바일기기(40)의 내부메모리는 물론이고 배터리모듈케이스(10)의 배터리모듈 제어부(30)에서도 내부 메모리에 배터리모듈장치를 통한 도어락 잠금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저장하게 된다.
한편 모바일기기(40)는 배터리잔량이 차단임계값을 초과하면 팝업된 배터리모듈 관리화면창(80)에 도어잠금해제버튼을 생성 표시하며, 더욱이 배터리 잔량이 차단임계값을 초과하지만 경고 임계값 이하이면 모바일앱(42)을 통해 배터리 경고알람을 모바일기기(40)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도 12의 404단계).
모바일기기(40)의 사용자는 차단임계값을 초과하는 상태에서 활성화된 도어잠금해제버튼을 누르게 되면 모바일기기(40)는 관리화면창(80)의 설정모드창(82)을 통해 설정해둔 비밀번호가 포함된 도어잠금해제요구를 배터리모듈 제어부(30)측으로 무선 전송한다.
배터리모듈 제어부(30)는 모바일기기(40)로부터 비밀번호가 포함된 도어잠금해제요구가 있으면 내부메모리에 기설정된 비밀번호와 비교한 후 일치하면 배터리모듈장치에서의 도어잠금해제를 수행한다(도 12의 406단계). 즉 배터리모듈 제어부(30)의 제어 하에 액추에이터 구동부(21)와 버튼작동 액추에이터(22)를 이용해서 도어잠금해제버튼(8)이 눌려지게 하거나 수동조작핸들 구동부(38)를 이용해서 수동조작핸들(9)이 작동되게 한다.
본 발명에서 배터리모듈 케이스(10)가 버튼작동 액추에이터(22) 및 액추에이터 구동부(21)나 수동조작 핸들구동부(38)중 하나를 구비하며, 모바일기기(40)를 이용해서 도어락 본체(2)내 구비된 해당 제어부의 관여없이도 도어락 잠금해제를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는 도어락본체(2)가 보급형이라도 고급형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며, 도어락본체(2)의 관여없이 사용자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40)를 이용해서 좀 더 편리하게 도어락 잠금해제를 하고 싶은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40)를 이용한 배터리모듈 제어나 도어락 제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와이파이모듈(28b)을 이용해서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 제어도 가능함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잔량, 충전시기 등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확인 가능하고, 화재경보나 문 열림/닫힘 등의 정보도 모바일기기나 원격 단말을 통해서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는 배터리모듈 케이스(10)를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에 기반해서 운용 가능하다. 배터리모듈 케이스(10)를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하고 배터리모듈 케이스(10)나 모바일기기(40)에서 발생하는 실시간 데이터를 사람의 개입 없이 인터넷이나 상호간에 주고받을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 외출자의 개인소지품 휴대를 안내하는 부가기능에 관련한 제어흐름도이다.
배터리모듈 제어부(30)는 리미트스위치(52), 물체감지센서(54) 및 인체감지센서(56)를 포함하는 소지품 감지부(50)를 통해 도어 실내측에 있는 외출자의 소지품 휴대 여부를 판단하며, 외출자의 소지품 미소지시에는 스마트폰이나 마스크와 같은 물건을 챙겨가라는 안내방송을 오디오출력부(36)과 스피커(SPK)를 통해 제공한다(도 13의 500단계). 배터리모듈 제어부(300)는 인체감지센서(56)에 의한 인체감지가 있는 상태에서 스마트폰용 삽입도어(58)로 스마트폰이 들어와 리미트스위치(52)가 눌러지거나 인체감지센서(56)에 의한 인체감지가 있는 상태에서 물체감지센서(54)에서의 마스크와 같은 소지물품의 감지가 있는 경우에 외출자가 소지품을 소지한 것으로 판정한다.
또 배터리모듈 제어부(30)는 소지품 감지부(50)에서의 소지품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액추에이터 구동부(21)를 구동하여 버튼작동 액추에이터(22)가 도어잠금해제버튼(8)을 눌러주어 도어잠금 해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한다(도 13의 502단계). 이는 외출자가 소지품 휴대 체크만 해주어도 되므로 도어잠금해제버튼(8)을 외출자가 별도로 누르는 수고로움을 없애준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디지털도어락의 도어락본체(2)에서도 배터리 비상제어가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터리모듈 케이스(10)에서의 비상제어에 관련해서 도 9 및 도 10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락본체(2)에서의 비상제어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디지털도어락의 도어락본체(2)에 구현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의 제어회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4에서, 참조번호 "15"는 디지털도어락의 건전지수납함에 수용되는 배터리로서 원통형의 1차 전지이거나 충전가능한 원통형의 2차전지가 될 수 있으며, 참조번호 "60"은 디지털 도어락의 외부 전면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비밀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패널이다. 그리고, 배터리모듈 제어부(30)와, 블루투스모듈(28a)이나 와이파이모듈(28b)를 갖는 근거리 무선통신부(28) 모두는 디지털도어락의 도어락 본체(2)에 구현된다. 또한 문밖에 있는 인체감지를 위한 인체감지센서(84)도 구비한다.
도 15는 도 14와 같이 배터리 본체(2)에 구현된 배터리모듈장치에 있어 도어락배터리 방전상태에서의 비상제어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배터리모듈 제어부(30)는 주기적으로 배터리상태 체크부(24)를 이용해서 배터리 잔량상태를 확인한다(도 15의 600단계).
배터리모듈 제어부(30)에서는 배터리 잔량이 임계값 저장부(31)의 차단임계값(예컨대 3.49V)을 초과하는 상태이면 블루투스모듈(28a)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부(28)를 비활성화시킨다(도 15의 602단계). 이는 평소 근거리 무선통신부(28)의 활성화에 배터리 소모가 방지되게 한다.
또 배터리모듈 제어부(30)는 배터리상태 체크부(24)를 통해 확인한 배터리 잔량이 배터리모듈 제어부(30)의 임계값저장부(31)에 저장된 경고임계값(예컨대 3.7V)과 비교해서 그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배터리 잔량이 경고임계값 이하이면 도어락본체(2)에 내장된 알람출력부를 통해서 배터리잔량이 부족함을 알리는 배터리잔량 경고알람을 송출한다(도 15의 604단계).
사용자가 배터리(15)의 잔량이 상기 임계값 저장부(31)의 경고임계값까지 내려와 배터리잔량 경고알람이 울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배터리 교환없이 계속 사용하게 되면 배터리잔량은 경고임계값을 지나쳐 임계값 저장부(31)의 차단임계값(예컨대 3.49V)까지 내려온다.
그러면 배터리모듈 제어부(30)는 배터리상태 체크부(24)를 통해 확인한 배터리(15)의 잔량이 배터리모듈 제어부(30)의 임계값저장부(31)에 저장된 차단임계값(예컨대 3.7V) 이하가 되면 조작패널(90)을 디스에이블시키고 동시에 근거리 무선통신부(28)를 활성화시킨다(도 15의 606단계). 그에따라 도어락본체(2)의 조작패널(90)을 통해서는 사용자가 문 개방을 위한 어떠한 입력도 할 수 없게 한다.
이렇게 조작패널(90)이 사용 불능상태가 되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42)을 갖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40)를 이용해서 도어락 비상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락본체(2)의 조작패널(90)의 사용 불능상태에서 문 외부에 있는 사용자가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42)을 갖는 모바일기기(40)를 갖고 디지털 도어락의 도어락본체(2) 측에 가까이 가게 되면 배터리모듈 제어부(30)는 인체감지센서(84)에 의한 인체 움직임을 감지한 다음 블루투스모듈(28a)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부(28)를 활성화시켜서 모바일 기기(40)와 무선접속되게 하고, 모바일기기(40)에서는 도어락본체(2)의 근거리 무선통신부(28)의 블루투스모듈(28b)을 통해 무선 접속됨에 따라 모바일기기(40)의 화면으로 배터리모듈 관리화면창을 팝업시킨다(도 15의 608단계).
사용자가 모바일기기(40)의 배터리모듈 관리화면창을 통해 도어락 기동요구를 입력하게 되면 모바일기기(40)에서는 이를 도어락 본체(2)로 근거리 무선전송을 하게 되며, 도어락 본체(2)의 배터리모듈 제어부(30)에서는 모바일기기(40)로부터 도어락 기동요구가 있음에 따라 배터리상태 체크부(24)를 통해 배터리 잔량을 체크한다(도 15의 610단계).
만약 체크한 상기 배터리 잔량이 차단임계값 이하이면 배터리모듈 제어부(30)는 모바일기기(40)의 모바일앱(42)을 통해 배터리방전 비상상황임을 알림과 동시에 도어락 기동요구를 보류하되 미리 설정된 비상상황 대기시간(예컨대 2분)을 카운트한다(도 15의 614단계).
그에 따라 사용자는 비상상황 대기시간을 기다려주어야 하며, 배터리모듈 제어부(30)에서는 카운트 만료로 미리 설정된 비상상황 대기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도어락 기동요구를 승낙하고 도어락본체(2)의 조작패널(90)을 인에이블시켜 주어 사용자의 비밀번호 입력 등을 허용한다(도 15의 614단계).
또한 배터리모듈 제어부(30)에서는 비상상황 대기시간의 카운트값을 더 길게 설정하며, 이를 모바일 기기(40)로 통보한다(도 16의 616단계). 예컨대, 미리 설정된 초기의 비상상황대기시간 카운트값이 2분이라면 2분을 더 추가해서 비상상황 대기시간을 4분으로 늘려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더 길게 늘여진 비상상황 대기시간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40)의 모바일앱(42)을 통해서 배터리 방전상태에서 도어락 비상제어를 시도하는 사용자에게 알려주어서 사용자가 바로 도어락본체(2)에 있는 배터리(15)를 교체하도록 강제시킨다.
도 15와 함께 전술한 예시에서는 배터리(15)가 재충전가능한 고방전용 대용량 배터리(18650 리튬이온배터리 등)을 기준으로하여서 메모리 설정값의 경고임계값과 차단임계값을 예시하였는데, 소모형인 1차 전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경고임계값과 차단임계값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컨대 도 15에 도시된 경고임계값과 차단임계값 숫자 뒤에 있는 블라켓[]내에 기재된 값으로 경고임계값과 차단임계값이 설정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의 건전지를 대용할 수 있으며 건전지 대용하는 배터리 관리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5)

  1.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 있어서,
    디지털도어락 본체의 건전지수납함의 건전지접속단자에 접촉 가능한 충전단자를 가지는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가 디지털도어락 본체의 실내측에 장착되게 구성하되;
    상기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팩과,
    휴대폰충전 USB케이블을 통해 인입된 충전전원을 배터리팩으로 연결하는 USB입력부와,
    상기 USB입력부를 통해 인가된 충전전원을 배터리팩으로 충전하는 충전회로부와,
    상기 배터리팩의 충방전상태를 체크하는 배터리상태 체크부와,
    디지털 도어락본체에 장치된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의 외부에서의 사용자의 작동요구를 감지하는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와,
    배터리팩의 출력전원을 디지털 도어락본체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와,
    실내 화재에 대응된 온도를 감지함에 따라 도통되어서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를 도통시키는 화재온도감지스위치와,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을 갖는 모바일기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상기 배터리팩의 배터리잔량이 사용자가 배터리 소진상태로 인식하지만 배터리 비상전력 용도로 배터리잔량이 예비되어 있는 차단임계값이 됨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활성화하고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를 비도통시켜서 디지털 도어락본체에 배터리전원이 미공급되게 제어하는 배터리모듈 제어부와,
    상기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에서의 외부 작동요구 감지가 포함 가능한 하나 이상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모듈 제어부 및 배터리모듈케이스내 관련 작동부에 상기 배터리팩과 연결된 동작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되는 파워스위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2.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 있어서,
    디지털도어락 본체의 건전지수납함의 건전지접속단자에 접촉 가능한 충전단자를 가지는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가 디지털도어락 본체의 실내측에 장착되게 구성하되;
    상기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팩과,
    휴대폰충전 USB케이블을 통해 인입된 충전전원을 배터리팩으로 연결하는 USB입력부와,
    상기 USB입력부를 통해 인가된 충전전원을 배터리팩으로 충전하는 충전회로부와,
    상기 배터리팩의 충방전상태를 체크하는 배터리상태 체크부와,
    디지털 도어락본체에 장치된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의 외부에서의 사용자의 작동요구를 감지하는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와,
    실내 화재에 대응된 온도를 감지하는 화재온도감지부와,
    배터리팩의 출력전원을 디지털 도어락본체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와,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을 갖는 모바일기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상기 배터리팩의 배터리잔량이 사용자가 배터리 소진상태로 인식하지만 배터리 비상전력 용도로 배터리잔량이 예비되어 있는 차단임계값이 됨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활성화하고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를 비도통시켜서 디지털 도어락본체에 배터리전원이 미공급되게 제어하며, 상기 화재온도감지부의 화재온도감지에 따라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를 도통시키는 배터리모듈 제어부와,
    상기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에서의 외부 작동요구 감지가 포함 가능한 하나 이상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모듈 제어부 및 배터리모듈케이스내 관련 작동부에 상기 배터리팩과 연결된 동작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되는 파워스위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 제어부는 모바일기기의 모바일앱을 통해 도어락 비상 기동요구가 있음에 따라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를 도통시켜 배터리팩에 남아 있는 비상전력용도 예비분의 도어락전원을 도어락본체에 공급하여서 도어락본체의 동작불능상태가 해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 제어부는 미리 설정한 비사용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를 도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파워스위치를 이용하여 배터리모듈 제어부 및 관련 작동부를 비활성화시키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 제어부는 배터리잔량이 디지털 도어락본체에서의 건전지 교체를 알리는 알람발생 시기에 대응된 건전지교체 기준레벨값 이하가 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를 비도통상태로 전환 후 도통상태로 복귀되게 제어하여서 디지털 도어락본체에서의 건전지교체 알람음을 제거하는 구성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배터리잔량 경고알람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팩의 배터리잔량 경고임계값과 사용자가 배터리 소진으로 인식하되 배터리 비상전력 용도로 예비된 기준의 차단임계값을 저장하는 임계값 저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모듈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상태 체크부를 통해 읽은 배터리모듈케이스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임계값 저장부의 경고임계값까지 내려옴에 따라 상기 배터리잔량 경고알람을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의 외부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상태 체크부를 통해 읽은 배터리팩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경고임계값을 지나쳐 임계값 저장부의 차단임계값까지 내려옴에 따라 상기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를 비도통시켜 도어락본체가 동작불능상태로 되게 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배터리소진으로 인식하는 차단임계값 이하의 도어락본체의 동작불능상태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매개로 모바일기기의 모바일앱을 통해 도어락 비상 기동요구가 있음에 따라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를 도통시켜 도어락본체에 비상전력용도 예비분의 도어락전원을 공급하여서 도어락본체의 동작불능상태를 해제시키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는 음향센서 및 진동감지센서, 터치센서 중의 하나 이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출자의 소지품 소지여부를 감지하는 소지품 감지부를 더 구비하되;
    소지품 감지부는;
    외출자의 소지물품을 감지하는 물체감지센서와,
    도어 실내측에서 외출자의 인체 움직임 감지를 위한 인체감지센서와,
    삽입도어의 내부 근처에서 모바일기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감지센서는 소지물품중 하나로서 마스크의 걸이끈에 끼움 가능하며 마그네트가 매립된 피감지편을 자성감지하는 리드스위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배터리모듈 제어부의 제어 하에 알람 및 음성안내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출력부를 배터리모듈 케이스에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출자에게 소지품을 챙기라고 음성안내의 제공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음성안내 온/오프버튼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충전중 상태 및 충전필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충전관련 표시램프를 더 구비하고, 사용자가 외출하려고 도어개방작동 시에 소지품 인식상태를 표시하는 소지품인식 표시램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는,
    모바일기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블루투스모듈과 기기 간을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는 와이파이모듈 중의 하나 이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도어락본체의 실내측에 위치한 도어잠금해제버튼을 작동시키는 버튼작동 액추에이터와, 상기 배터리모듈 제어부의 제어 하에 버튼작동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 구동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배터리모듈 제어부의 제어 하에 도어락본체의 실내측에 위치한 수동조작핸들을 구동시키는 수동조작핸들 구동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16. 디지털도어락 본체의 건전지수납함의 건전지접속단자에 접촉 가능한 충전단자를 가지는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가 디지털도어락 본체의 실내측에 장착되게 구성하되; 상기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팩과, 상기 배터리팩의 충방전상태를 체크하는 배터리상태 체크부와, 배터리팩의 출력전원을 디지털 도어락본체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배터리전원 공급스위치부와,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을 갖는 모바일기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배터리모듈케이스의 각부를 제어하는 배터리모듈 제어부를 갖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의 도어락 제어방법에 있어서,
    배터리상태 체크부를 통해 체크한 상기 배터리팩의 배터리잔량이 사용자가 배터리 소진상태로 인식하지만 배터리 비상전력 용도로 배터리잔량이 예비되어 있는 차단임계값을 초과하는 상태임에 따라 배터리팩으로부터의 도어락전원이 도어락본체에 공급되게 하고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비활성화하여 근거리 무선통신부의 활성화에 따른 배터리 소모가 방지되게 하는 과정과,
    배터리상태 체크부를 통해 체크한 배터리팩의 배터리잔량이 상기 차단임계값 이하의 상태가 됨에 따라 배터리팩으로부터 도어락본체로 공급되는 도어락전원을 차단하여 도어락락본체가 동작불능상태로 되게 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활성화되게 하여 모바일기기와의 무선접속을 가능케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의 도어락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배터리모듈장치를 포함한 디지털도어락이 미리 설정한 비사용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상기 도어락본체로 공급되는 도어락전원이 유지되게 한 상태에서 배터리모듈케이스에서의 감지부를 제외한 배터리모듈 제어부 및 관련 작동부를 비활성화시키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의 도어락 제어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배터리상태 체크부를 통해 체크한 배터리팩의 배터리잔량이 도어락본체에서의 건전지교체를 알리는 알람발생시기에 대응된 건전지교체 기준레벨값 이하가 됨에 따라 배터리모듈 제어부는 도어락본체에서 발생되는 건전지교체 알람음 제거를 위해 배터리팩으로부터 도어락본체로 인가되는 배터리전원을 차단후 다시 공급되게 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의 도어락 제어방법.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도어락본체의 동작불능상태에서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을 갖는 모바일기기가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 접속됨에 따라 모바일기기는 모바일기기의 화면으로 배터리모듈관리 화면창을 팝업시키는 과정과,
    상기 차단임계값 이하에서 모바일기기의 화면으로 도어락 기동요구가 입력됨에 따라 배터리모듈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잔량이 차단임계값 이하임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통해 배터리방전 비상상황임을 알림과 동시에 도어락 기동요구를 보류하되 미리 설정된 비상상황대기시간동안 보류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설정된 비상상황 대기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배터리모듈 제어부는 도어락 기동요구를 승낙하고 배터리팩으로부터의 도어락전원을 도어락본체에 공급하여 도어락본체의 동작불능상태가 해제되게 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의 도어락 제어방법.
  20.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배터리팩의 배터리잔량이 상기 차단임계값을 초과하는 상태에서 배터리모듈케이스의 외부에서의 사용자의 작동요구를 감지함에 따라 배터리모듈 제어부는 모바일기기와의 무선접속이 가능하도록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배터리모듈 제어부와 무선접속된 모바일기기는 배터리모듈관리 화면창으로 배터리잔량 표시 및 도어잠금해제버튼을 생성표시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의 도어락 제어방법.
  21.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배터리모듈 제어부는 소지품 감지부를 통해 도어 실내측에 있는 외출자의 소지품 휴대 여부를 판단하고 외출자의 소지품 미소지에 따른 음성안내를 제공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의 도어락 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배터리모듈 제어부는 소지품 감지부에서의 소지품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액추에이터구동부를 구동하여 버튼작동 액추에이터가 도어잠금해제버튼을 눌러주어 도어잠금 해제가 이루어지게 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의 도어락 제어방법.
  23. 디지털도어락의 도어락 본체에 수납된 배터리의 충방전상태를 체크하는 배터리상태 체크부와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을 갖는 모바일기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갖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도어락본체는 배터리상태 체크부를 통해 체크한 배터리의 배터리잔량이 사용자가 배터리 소진상태로 인식하지만 배터리 비상전력 용도로 배터리잔량이 예비되어 있는 차단임계값을 초과하는 상태임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의 공급전원을 차단하여 근거리 무선통신부의 활성화에 따른 배터리 소모가 방지되게 하는 과정과,
    도어락본체는 배터리상태 체크부를 통해 체크한 배터리의 배터리잔량이 차단임계값 이하의 상태가 됨에 따라 도어락본체의 조작패널을 디스에이블시킴과 함께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을 갖는 모바일기기가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 접속됨에 따라 모바일기기는 도어락 기동요구가 가능하도록 모바일기기의 화면으로 배터리모듈관리 화면창을 팝업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의 도어락 제어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모바일기기의 화면으로 도어락 기동요구가 입력되고 모바일기기로부터 무선 전송됨에 따라 도어락본체에서는 모바일기기를 통해 배터리방전 비상상황임을 알림과 동시에 도어락 기동요구를 보류하되 미리 설정된 비상상황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과정과,
    도어락본체는 카운트만료로 미리 설정된 비상상황 대기시간을 경과함에 따라 보류된 도어락 기동요구를 승낙하고 도어락본체의 조작패널을 인에이블시키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의 도어락 제어방법.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도어락본체는 배터리상태 체크부를 통해 체크한 배터리의 배터리잔량이 상기 차단임계값을 초과한 상태에서 도어락본체가 장착된 문 밖에서의 인체감지가 있음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부가 활성화하는 과정과,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을 갖는 모바일기기가 활성화된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도어락본체와 무선 접속됨에 따라 모바일기기는 상기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에 설정된 도어락 비밀번호를 도어락본체로 무선송출하는 과정과,
    도어락본체는 모바일기기에서 무선송출된 도어락 비밀번호가 도어락본체에 기저장된 도어락비밀번호와 일치함에 따라 도어락 잠금을 해제하고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비활성화시키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의 도어락 제어방법.
PCT/KR2020/011083 2020-07-09 2020-08-20 Iot 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WO202201002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916 2020-07-09
KR1020200084916A KR102277821B1 (ko) 2020-07-09 2020-07-09 IoT 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0027A1 true WO2022010027A1 (ko) 2022-01-13

Family

ID=77150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1083 WO2022010027A1 (ko) 2020-07-09 2020-08-20 Iot 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7821B1 (ko)
WO (1) WO20220100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6918B (zh) * 2021-12-24 2023-06-27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远程操控装置
KR102628839B1 (ko) 2022-07-22 2024-01-24 (주)솔리티 1차전지를 사용하는 도어락에서 얼굴인식모듈의 전력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375Y1 (ko) * 2003-05-01 2003-08-09 주식회사 케이. 디. 티 디지털 도어록장치
KR20080030221A (ko) * 2006-09-29 2008-04-04 주식회사 아이레보 전원 차단 기능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 교환시기를 알려주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06560A (ko) * 2013-07-09 2015-01-19 주식회사 에스원 디지털 도어 락의 소비 전력 감소를 통한 배터리 수명 연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101887978B1 (ko) * 2017-04-26 2018-08-13 우용성 IoT 모듈을 포함하는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8204393A (ja) * 2017-06-08 2018-12-27 美和ロック株式会社 第1の電気錠および第2の電気錠の施錠および解錠の少なくとも一方を実行する方法、電気錠セット、および、上記の方法を実行する携帯型端末のための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844Y1 (ko) 2004-04-22 2004-07-19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 락의 기능확장용 배터리팩 및 그를 구비한 도어 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375Y1 (ko) * 2003-05-01 2003-08-09 주식회사 케이. 디. 티 디지털 도어록장치
KR20080030221A (ko) * 2006-09-29 2008-04-04 주식회사 아이레보 전원 차단 기능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 교환시기를 알려주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06560A (ko) * 2013-07-09 2015-01-19 주식회사 에스원 디지털 도어 락의 소비 전력 감소를 통한 배터리 수명 연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101887978B1 (ko) * 2017-04-26 2018-08-13 우용성 IoT 모듈을 포함하는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8204393A (ja) * 2017-06-08 2018-12-27 美和ロック株式会社 第1の電気錠および第2の電気錠の施錠および解錠の少なくとも一方を実行する方法、電気錠セット、および、上記の方法を実行する携帯型端末のための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821B1 (ko) 202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10027A1 (ko) Iot 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WO2014148843A1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and control methods
CN100481669C (zh) 充电装置和电子设备及其电池残余量检测方法和显示控制方法
KR102166635B1 (ko) IoT 기반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용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04134305A (zh) 基于光传感器和磁感应器的报警方法及装置
WO2021201375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sensing contact of user to activate heat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0475171B (zh) 无线耳机组件和耳机盒组件
WO2015072701A1 (ko) 보조배터리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용 대용량형 배터리 케이스장치
WO2008119997A1 (en) Power saving circuit
WO2018008816A1 (ko) 충전기 및 이의 구동 방법
JPH1127873A (ja) 携帯用電子機器
WO2021242077A1 (ko)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2067336A1 (ko) 정전보상 엘이디조명 장치 및 보조 카메라 서비스 방법
TWI293825B (ko)
WO2021010526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JP2001008267A (ja) 携帯電話機およびその発着信制御方法
KR102367440B1 (ko)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및 그를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 방법
US6044230A (en) Apparatus having a battery-saving feature
CN112653957A (zh) 耳机盒、耳机装置、移动终端及无线耳机的充电方法
WO2023153531A1 (ko) 이어버드의 충전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이어버드의 연결 방법
CN217216832U (zh) 一种蓝牙可调音量无线话咪
CN217985350U (zh) 无线耳机组件
WO2024029713A1 (ko) 복수의 배터리들을 포함하는 무선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66854A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JP3400619B2 (ja) 電源投入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446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446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