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35659A1 - 아토피 피부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토피 피부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35659A1
WO2021235659A1 PCT/KR2021/002796 KR2021002796W WO2021235659A1 WO 2021235659 A1 WO2021235659 A1 WO 2021235659A1 KR 2021002796 W KR2021002796 W KR 2021002796W WO 2021235659 A1 WO2021235659 A1 WO 202123565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atopic dermatitis
presen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279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남종현
Original Assignee
남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종현 filed Critical 남종현
Priority to MX2022005910A priority Critical patent/MX2022005910A/es
Priority to EP21807638.8A priority patent/EP4154897A1/en
Priority to JP2022535233A priority patent/JP7383821B2/ja
Priority to CN202180006463.7A priority patent/CN114728031A/zh
Priority to CA3164950A priority patent/CA3164950A1/en
Publication of WO202123565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35659A1/ko
Priority to US17/747,347 priority patent/US20220273746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9Convolvulaceae (Morning-glory family), e.g. bind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1Crassulaceae (Stonecrop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and also to a functional foo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 Atopic dermatitis is a recurrent chronic skin disease that occurs frequently from infancy to infancy, but may persist into adulthood or may develop newly in adulthood, and its prevalence is increasing recently (Kor J Pharmacogn., 43:59- 65, 2012).
  • Atopic dermatitis is characterized by symptoms such as pruritus, dry skin, hyperfollicular hyperplasia, cheilitis, lichenification, and eczema-like lesions (Korean J Invest Dermatol., 14:67-72, 2007).
  • steroids that suppress the inflammatory response and cytokine production are mainly used as a treatment for atopic dermatitis, but when administe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causes various side effects such as skin atrophy or growth delay, and the use of non-steroids is increasing recently.
  • nonsteroidal drugs also have various side effects such as symptoms such as erythema, itchiness, edema, erosion and lichenification and weakening of immunity, making it difficult to treat fundamental atopic dermatitis (Arellano FM et al., J Invest Dermatol. 2007 Apr. ;127(4):808-16.).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o find substances with excellent therapeutic effects from natural products with relatively high safety.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can be easily ingested and can be easily consumed by anyone, regardless of age or gender, and can be conveniently used in daily life,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prevent a disease before the onset of the disease, and a health that can improve the disease through continuous intake even after the onset of the disease To provide functional foo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at has no side effects and can be easily prevented before the onset of the disease because there is no objection to ingestion, and can improve or treat the disease due to continuous ingestion even after the onset.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which contains an extract of baekbongseonhwa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extract is preferably an extract of water, ethan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 the first raw material is an extract of baekbongseonhwa
  • the second raw material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adishes, pears and wormwood.
  • the extract of the first raw material and the second raw material is preferably mixed in a weight ratio of 1: 0.2 to 1.5.
  •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health functional food is a natural tea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inhibit the proliferation of bronchial smooth muscle cells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so it is effective a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disease, comprising an extract of baekbongseonhwa as an active ingredient.
  • Impatiens arguta is an annual herb distributed in India, Malaysia, and China, belonging to the family Balsaminaceae, and has an effect on rheumatoid arthritis. Stems, leaves, seeds and flowers are available.
  • extract refers to the stem, leaf, fruit, flower, root, or mixture thereof of a plant to be extracted with water, lower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methanol, ethanol, butanol, etc.), methylene chloride, ethylene, Acetone, hexane,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 butyl acetate, N,N-dimethylformamide (DMF), methylsulfoxide (DMSO), 1,3-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is used.
  • lower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methanol, ethanol, butanol, etc.
  • methylene chloride ethylene
  • Acetone hexane
  • ether chloroform
  • ethyl acetate butyl acetate
  • DMF N,N-dimethylformamide
  • DMSO methylsulfoxide
  • 1,3-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or a
  • the extraction method is cold immersion, reflux, Any method such as heating, ultrasonic radiation, or supercritical extraction may be applied.
  • a fractionated extract a fraction obtained by suspending the extract in a specific solvent and mixing and standing still with a solvent having a different polarity, and adsorbing the crude extract to a column filled with silica gel, etc. It is meant to include the fraction obtained as a mobile phase.
  • the meaning of the extract includes a concentrated liquid extract or solid extract from which the extraction solvent is removed by freeze drying, vacuum drying, hot air drying, spray drying, or the like.
  • it means an extract obtained by using water, ethan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as an extraction solvent, and more preferably an extract obtained by using a mixed solvent of water and ethanol as an extraction solvent.
  • active ingredient refers to a component capable of exhibiting the desired activity by itself or in combination with a carrier having no activity by itself.
  • atopic dermatitis is defined as including all diseases classified as atopic dermatitis in the art due to an overactive immune reaction regardless of the direct or indirect cause of its occurrence.
  • atopic dermatitis is classified into infantile atopic dermatitis, juvenile atopic dermatitis, adult atopic dermatitis, and maternal atopic dermatitis according to the onset time or subject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topic dermatitis includes all these types of atopic dermatitis. .
  • improvement is meant to include treatment,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atopic dermatitis (relief of symptoms).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the active ingredient in any amount (effective amount) as long as it can exhibit the intended treatment for atopic dermatitis improvement activity depending on the use, formulation, purpose of formulation, etc. It will be determined within the range of 0.001 wt % to 15 wt % on a basis.
  • the term "effective amount" refers to the intended medical and pharmacological effects, such as atopic dermatitis improvement effect, whe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to a mammal, preferably a human subject, during the administration period as suggested by a medical professional. It refers to the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includ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effective amounts can be determined empirically within the ordinary ability of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nvenience in taking or ingestion through addition of similar activities such as skin protection activity (suppression of skin damage caused by ultraviolet rays, skin moisturizing, etc.)
  • skin protection activity suppression of skin damage caused by ultraviolet rays, skin moisturizing, etc.
  • it may further include any compound or natural extract that has already been tested for safety in the art and known to have the corresponding activity.
  • Such compounds or extracts include compounds or extracts, drugs listed in compendial documents such as pharmacopeias of each country (“Korean Pharmacopoeia” in Korea) and health functional food regulations of each country (“health functional food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 Korea).
  • pharmacopeias of each country Kelvin Pharmacopoeia
  • health functional food regulations of each country health functional food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 Korea.
  • Each country's laws governing the manufacture and sale of compounds, extracts, and health functional foods that have been approved for items in accordance with the laws of each country (the "Pharmaceutical Act” in Korea) that regulate the manufacture and sale of '), compounds or extracts whose functionality is recognized are included.
  • Enterococcus faecalis heat-treated dry powder which has been individually recognized for its functionality as 'alleviating hypersensitivity immune response' according to Korea's ⁇ Health Functional Food Act ⁇ , complexes such as guava leaf extract, Actinidia extract, leaf extract, picaopreto powder, etc. compound of PLAG (1-palmitoyl-2-linoleoyl-3-acetyl-rac-glycerol), L. sakei Probio 65, individually recognized for its 'improving sensitive skin condition', oil containing gamma-linolenic acid, lactic acid bacteria derived from fruits and vegetables L. plantarum CJLP133, probiotic ATP, etc. would be such compounds or extracts.
  • One or more of these compounds or natural extracts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active ingredient.
  • the composition of this invention can be grasped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dentified as a food composition, its use may be understood to inhibit skin hypersensitivity reaction.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ny form, for example, beverages such as tea, juice, carbonated beverages, and ionic beverages, processed oils such as milk and yogurt, gums, rice cakes, Korean sweets, bread, confectionery, noodles, etc. Foods, tablets, capsules, pills, granules, liquids, powders, flakes, pastes, syrups, gels, jellies, and health functional food preparations such as bars can be prepared.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y product classification as long as it conforms to the enforcement regulations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in legal and functional classification.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food additives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s thereof.
  • Food additives can be generally understood as substances that are added to and mixed with or infiltrated into food in manufacturing, processing, or preserving food.
  • Food additives with guaranteed safety are limited in terms of ingredients or functions in the Food Additives Ordinance in accordance with the laws of each country that regulates the manufacture and distribution of food (“Food Sanitation Act” in Korea).
  • Food Additives Code Food Additive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notifi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food additives are classified into chemically synthetic products, natural additives, and mixed preparations in terms of ingredients. It is classified into an agent, a preservative, an emulsifier, an acidulant, and a thickener.
  • the sweetener is used to impart appropriate sweetness to food, and both natural and synthetic ones may be us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a natural sweetener is used.
  • sugar sweeteners such as corn syrup solids, honey, sucrose, fructose, lactose, and maltose.
  • Flavoring agents may be used to improve taste or aroma, and both natural and synthetic ones may be used. Preferably, it is a case where a natural thing is used. In the case of using a natural one, the purpose of nutritional enhancement in addition to flavor may be concurrently used.
  • the natural flavoring agent may be obtained from apples, lemons, tangerines, grapes, strawberries, peaches, or the like, or obtained from green tea leaves, horseradish leaves, bamboo leaves, cinnamon, chrysanthemum leaves, jasmine, and the like. In addition, those obtained from ginseng (red ginseng), bamboo shoots, aloe vera, ginkgo biloba, etc. can be used.
  • the natural flavoring agent may be a liquid concentrate or a solid extract.
  • a synthetic flavoring agent may be used, and the synthetic flavoring agent may include esters, alcohols, aldehydes, terpenes, and the like.
  • sodium calcium sorbate, sodium sorbate, potassium sorbate, calcium benzoate, sodium benzoate, potassium benzoate, 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tc. can be used, and as an emulsifier, acacia gum, carboxymethylcellulose, xanthan gum, Pectin etc. are mentioned, and acidulant, malic acid, fumaric acid, adipic acid, phosphoric acid, gluconic acid, tartaric acid, ascorbic acid, acetic acid, phosphoric acid, etc. can be used as an acidulant. Acidulant may be added so that the food composition has an appropriate acidity for the purpose of inhibit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taste.
  • a suspending agent a suspending agent, a settling agent, a gel-forming agent, a bulking agent,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in addition to the food additives as described above,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or minerals known in the art for the purpose of supplementing and reinforcing functionality and nutrition and guaranteed stability as food additives.
  •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examples include catechins contained in green tea and the like, vitamins such as vitamin B1, vitamin C, vitamin E, and vitamin B12, tocopherol, dibenzoylthiamine, and the like.
  • vitamins such as vitamin B1, vitamin C, vitamin E, and vitamin B12
  • tocopherol dibenzoylthiamine, and the like.
  • Magnesium preparations such as iron preparations, such as iron citrate, chromium chloride, potassium iodide, selenium, germanium, vanadium, zinc, etc. are mentioned.
  • the food additives as described above may be included in an appropriate amou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addi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product.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dentifi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as an oral dosage form or a parenteral dosage form according to the route of administration by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includ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 the route of administration may be any suitable route including topical route, oral route, intravenous route, intramuscular route, and direct absorption through mucosal tissue, and two or more rout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 An example of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routes is a case in which two or more formulations of drugs according to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re combined. For example, one drug is first administered by an intravenous route and the other drug is secondarily administered by a local route.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re well known in the art depending on the route of administration or formulation, and specifically,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pharmacopeias of each country including the "Korea Pharmacopoeia”.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as an oral dosage form, powders, granules, tablets, pills, dragees, capsules, liquids, gels, syrups, suspensions, wafers, together with a suitable carrier according to methods known in the art.
  • suitable carriers include sugars such as lactose, glucose, sucrose, dextrose, sorbitol, mannitol, and xylitol, starches such as corn starch, potato starch, wheat starch, cellulose, methylcellulose, ethylcellulose,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Cellulose such as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magnesium stearate, mineral oil, malt, gelatin, talc, polyol, vegetable oil, ethanol, grease Serol etc. are mentioned.
  • sugars such as lactose, glucose, sucrose, dextrose, sorbitol, mannitol, and xylitol
  • starches such as corn starch, potato starch, wheat starch, cellulose, methylcellulose, ethylcellulose,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 Cellulose such as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polyvinylpyrroli
  • binders include starch, magnesium aluminum silicate, starch ferrist, gelatin, methylcellulose,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glucose, corn sweetener, sodium alginate, polyethylene glycol, wax, and the like, and oleic acid as lubricant.
  • the disintegrant is starch, methyl cellulose , agar, bentonite, xanthan gum, starch, alginic acid or its sodium salt.
  • the diluent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mannitol, sorbitol, cellulose, glycine, and the lik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for parenteral use, it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injections, transdermal administrations, nasal inhalants and suppositories together with suitable carriers according to methods known in the art.
  • an aqueous isotonic solution or suspension may be used as a suitable carrier, and specifically,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containing triethanolamine, sterile water for injection, or isotonic solution such as 5% dextrose may be used.
  •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 sterile water for injection or isotonic solution such as 5% dextrose
  • isotonic solution such as 5% dextrose
  • transdermal administration it can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ointments, creams, lotions, gels, external solutions, pasta agents, liniment agents, air rolls, and the like.
  • nasal inhalants it can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an aerosol spray using a suitable propellant such as dichlorofluoromethane, trichlorofluoromethane, dichlorotetrafluoroethane, carbon dioxide, and the like.
  • a suitable propellant such as dichlorofluoromethane, trichlorofluoromethane, dichlorotetrafluoroethane, carbon dioxide, and the like.
  • tween 61 polyethylene glycols, cacao fat, laurin fat, 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s, polyoxyethylene stearate, sorbitan fatty acid esters, and the like can be used.
  • a preferred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range of 0.001 mg/kg to 10 g/kg per day, preferably 0.001 mg/kg to 1 g, depending on the patient's condition, weight, sex, age, patient's severity, and administration route. It can be in the range /kg. Administration may be performed once or divided into several times a day. Such dosag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respect.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dentified as a cosmetic composition.
  • a cosmetic composition its use can be understood as a use for inhibiting skin troubles such as erythema, dryness, lichenification, erosion, dryness, and bleeding caused by skin hypersensitivity or abnormal immunity.
  • the cosmetic composition can be classified into any product in terms of its use or by law, and specifically functional cosmetics, non-functional products having uses such as improvement of skin troubles and improvement of atopic dermatitis It may be general cosmetics and the like.
  • the product form may also take any product form, specifically solution, suspension, emulsion, paste, gel, cream, lotion, powder, soap,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oil, powder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It can take the form of products such as foundation and spray.
  • it may be in the form of a flexible lotion, a nourishing lotion, a nourishing cream, a massage cream, an essence, an eye cream, a cleansing cream, a cleansing foam, a cleansing water, a pack, a spray, or a powder.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compon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for example, conventional adjuvants such as stabilizers, solubilizers, surfactants, vitamins, pigments and fragrances, and carriers.
  • conventional adjuvants such as stabilizers, solubilizers, surfactants, vitamins, pigments and fragrances, and carriers.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canth,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or zinc oxide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pray, additional chlorofluorohydrocarbon, propane /may contain propellants such as butane or dimethyl ether.
  • a solvent, solubilizer or emulsifier is used as a carrier component, specifically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3-butyl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fatty acid ester of sorbitan, etc. may be used.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spension
  • a liquid diluent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 a suspending agent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s Sex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agent
  • Ether sulfate, alkylamidobetaine, fatty alcohol, fatty acid glyceride, fatty acid diethanolamide, vegetable oil, lanolin derivative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according to a method for preparing a cosmetic composition conventionally performed in the art, except that it contains an active ingredient that exhibits atopic dermatitis improving activity or skin immune hypersensitivity reaction suppression activity.
  • Artemisia wormwood is above ground, and the stem is cylindrical, branched from the top, and has a length of 30-80cm and a diameter of 0.2-0.6cm.
  • the outer surface is yellow-green to yellow-brown, and there are vertical ridges.
  • the vagina is hard and well cut, and there is a number in the middle of the cut surface.
  • the leaves are opposite, dark green to greenish-brown, and easy to break. Intact ones, when unfolded, are deep in the upper right three times, and the lobes and small lobes are round or long oval, and both sides are covered with short hair. It has a characteristic aroma and the taste is slightly bitter. It is also used as an antipyretic, hemostatic, and skin disease treatment. In addition, it is known for its antibacterial, antiviral and antioxidant action, and has recently been proven to have anticancer effects on breast cancer cells.
  • Bongseonhwa Baek and Artemisia Artemisia extract in a weight ratio of 1: 0.05 to 2.0.
  • the first raw material is an extract of baekbongseonhwa
  • the second raw material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adishes, pears and wormwood.
  • the radish extract is prepared by going through the step of recovering the liquid component from the pulverized product of the radish as a radish extract.
  • the extract of the first raw material and the second raw material is preferably mixed in a weight ratio of 1: 0.2 to 1.5.
  • the extract is used as a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product.
  • the lactic acid bacteria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acidophillu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amylophillus, Lactobacillus fermentum, Lactobacillus curvatus,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lactis, Bifidobacterium breve, Lactobacillus gasseri, etc. may be used.
  • Lactobacillus curvatus is preferable, and more preferably, Lactobacillus amylophillus, Bifidobacterium breve, or a mixture of these two types can be used more advantageously.
  • the lactic acid bacteria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ll well-known and commercially available bacteria that are commonly readily available, so there is no difficulty in obtaining the lactic acid bacteria.
  •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health functional food is a natural tea composition.
  • An extract of baekbongseonhwa (extraction site: leaf) was prepared and the activity of improving lung disease was confirmed.
  • the extract was obtained as a powder by adding 10 times the weight of 70% ethanol to the dry powder of balsam balsam leaf, extracting twice at 50° C. for 6 hours, filtration, concent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nd freeze-drying.
  • Mugwort wormwood was prepared in the same way as baekbongseonhwa extract and obtained in powder form.
  • Radish and pear extracts were filtered through a 3M filter pulverized with a blender, and liquid extracts and solid components were separated.
  • the liquid component was autoclaved at 120°C at 1.5 atm for 15 minutes, cooled at room temperature, titrated to pH 6.2-6.6, and stored at 4°C.
  • Extracts of jujube, omija, gugija, alder, tosaja, and honggyeongcheon were used in the same manner as for baekbongseonhwa leaves to obtain powders, respectively.
  • Nc/Nga mice Japanese fancy mice, Nishiki-Nezumi, Japan
  • the extract was treated in an atopic dermatitis induced animal model, and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a clinical visual evaluation method.
  • the control group was treated with 30% 1,3-butylene glycol
  •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200ul of the compos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wice a day for 8 weeks, and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clinical visual evaluation at intervals of 2 weeks.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 remarkable effect in alleviating the symptoms in an atopic animal model.
  • the powder was prepared by filling in an airtight cloth.
  • tablets were prepared by tableting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for manufacturing tablets.
  • the resulting solution is filtered and acquired in a sterilized 1l container, sealed and sterilized, then refrigerated. It is used to prepare the health drink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 composition ratio is a composition that is relatively suitable for a beverage of preference in a preferred embodiment
  • the mixing ratio may be arbitrarily modified according to regional and ethnic preferences such as demand class, demand country, and use purpose.
  • a softening lotion for atopic skin containing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in the cosmetic field by mixing as follows.
  • citric acid 0.02% by w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또한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식품 및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백봉선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아토피 피부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또한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식품 및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재발성 만성 피부질환으로, 영유아기에서 영유아기에서 흔히 발생하지만 성인까지도 지속되거나 성인이 되어서 새롭게 발병할 수도 있으며 최근 그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Kor J Pharmacogn., 43:59-65,2012). 아토피 피부염은 소양감, 피부 건조증, 모낭 주위 항진, 구순염, 태선화, 습진 양병변 등의 증상을 특징적으로 나타낸다(Korean J Invest Dermatol., 14:67-72, 2007).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으나, IgE의 비정상적 증가, 세포 면역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T 세포의 수적 감소와 기능 저하, 단핵구와 대식세포의 침윤, 비만세포와 호산구의 수적 증가, CD4+ T 림프구 등의 수적 증가 등의 면역학적 요인이 보고되어 있으며(J Invest Dermatol., 96:523-526, 1991; J Invest Dermatol., 97:389-394, 1991; Immunol., 11:81-88, 1999; Curr Drug Targets Inflamm Allergy.,2:199-120, 2003; J Allergy Clin Immunol., 107:871-877, 2001; Adv Immunol., 78:57, 2001; International Immunology, 14(7):767-773, 2002; Pediatr Allergy Immunol., 19:605-613, 2008), 특히 Th1 세포에 비해 Th2 세포의 수적 증가로 인한 Th1/Th2 불균형이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Kor J Pharmacogn, 43:59-65, 2012).
최근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 TARC와 MDC의 혈청 농도가 현저히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고(J Allergy Clin Immunol., 113(2):334-340),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TARC와 MDC의 피부발현이 증가된다는 보고가 있으며,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 물질로 사용되는 사이크로스포린 A나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게 투여하였을 때는 MDC 및 TARC의 혈청 농도가 감소한다는 보고가 있다(J Dermatol Sci., 34:201-208, 2004). 또한 시험관내 실험에서 인간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 세포에 INF-γ나 TNF-α를 처리하였을 때 MDC 및 TARC가 다량 발현되는데 이러한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은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음이 제시된 바 있다(Int Immunol., 14(7):767-773, 2002).
현재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로 염증 반응과 cytokine 생산을 억제 하는 스테로이드제가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장기간 투여 할 경우 피부의 위축이나 성장 지연 가능성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을 초래하여 최근에는 비스테로이드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비스테로이드제 역시 홍반, 가려움, 부종, 짓무름 및 태선화 등의 증상과 면역력 약화 등의 다양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어 근본적인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가 어려운 실정이다(Arellano FM et al., J Invest Dermatol. 2007 Apr;127(4):808-16.). 따라서 상대적으로 안전성이 높은 천연물로부터 치료 효과가 우수한 물질을 찾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이 없고, 섭취에 거부감이 없어 질환이 발병하기 전에 용이하게 예방할 수 있고, 발병 후에도 지속적인 섭취로 인하여 질환을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이하게 섭취 가능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섭취하고 일상 생활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 질환 발병 전에 용이하게 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발병 후에라도 지속적인 섭취로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작용이 없고, 섭취에 거부감이 없어 질환이 발병하기 전에 용이하게 예방할 수 있고, 발병 후에도 지속적인 섭취로 인하여 질환을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백봉선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의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개똥쑥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원료로는 백봉선화 추출물이고, 제2원료로는 무, 배 및 개똥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원료 및 제2원료의 추출물은 1: 0.2~1.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대추, 오미자, 구기자, 오리나무, 토사자 및 홍경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벌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건강기능식품이 천연차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질환 예방,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 질환 환자의 기관지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유의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아토피 피부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효과적이다.
또한 천연물질을 이용한 것으로 부작용이 없고, 음용이 용이하여 지속적으로 음용할 수 있어 물을 마시는 것과 같이 일상 생활에서 음용하여 아토피 피부염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백봉선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백봉선화(Impatiens arguta)는 봉선화과(Balsaminaceae)에 속하는 것으로 인도, 말레이시아, 중국 등에 분포하는 한해살이 풀이로서, 풍습성관절염 등에 효능이 있다. 줄기, 잎, 종자 및 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이란 추출 대상인 식물의 줄기, 잎, 열매, 꽃, 뿌리, 이들의 혼합물 등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이산화탄소, 펜탄 등 초임계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의미하며, 추출방법은 활성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정치시켜 얻은 분획물, 상기 조추출물을 실리카겔 등이 충진된 칼럼에 흡착시킨 후 소수성 용매,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의미에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더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아토피 피부염"은 그 발생의 직·간접적인 원인을 불문하고 과민 면역 반응을 수반하여 당업계에서 아토피 피부염로 분류되는 모든 질환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통상 아토피 피부염은 그 발병 시기 또는 그 발명 대상에 따라 유아형 아토피 피부염, 소아형 아토피 피부염, 성인형 아토피 피부염 그리고 임산부 아토피 피부염으로 분류되는데, 본 명세서에서 아토피 피부염은 이러한 모든 유형의 아토피 피부염을 포함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개선"은 아토피 피부염 치료, 예방 및 개선(증상의 경감)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치료를 의도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15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그 적용 대상인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사람에게 의료 전문가 등의 제언에 의한 투여 기간 동안 본 발명의 조성물이 투여될 때,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등 의도한 의료적·약리학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 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의 상승·보강 등을 위하여 또는 피부 보호 활성(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 피부 보습 등) 등 유사활성의 부가를 통한 복용이나 섭취의 편리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당업계에서 이미 안전성이 검증되고 해당 활성을 갖는 것으로 공지된 임의의 화합물이나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 또는 추출물에는 각국 약전(한국에서는 "대한민국약전"), 각국 건강기능식품공전(한국에서는 식약처 고시인 "건강기능식품 기준 및 규격"임) 등의 공정서에 실려 있는 화합물 또는 추출물, 의약품의 제조·판매를 규율하는 각국의 법률(한국에서는 "약사법"임)에 따라 품목 허가를 받은 화합물 또는 추출물, 건강기능식품의 제조·판매를 규율하는 각국 법률(한국에서는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임)에 따라 기능성이 인정된 화합물 또는 추출물이 포함된다. 예컨대 한국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라 '과민 면역반응 완화'로 개별적으로 기능성을 인정받은 Enterococcus faecalis 가열 처리 건조 분말, 구아바 잎 추출물 등의 복합물, 다래 추출물, 소엽 추출물, 피카오프레토 분말 등의 복합물, PLAG(1-palmitoyl-2-linoleoyl-3-acetyl-rac-glycerol) 등과, '과민피부상태 개선'으로 개별적으로 기능성을 인정받은 L. sakei Probio 65, 감마리놀렌산 함유 유지, 과채 유래 유산균인 L.plantarum CJLP133, 프로바이오틱스 ATP 등이 이러한 화합물 또는 추출물에 해당할 것이다.
이러한 화합물 또는 천연 추출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그 유효성분과 함께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파악될 경우 그 용도는 피부 과민 반응 억제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차, 쥬스, 탄산음료, 이온음료 등의 음료류, 우유, 요구르트 등의 가공 유류, 껌류, 떡, 한과, 빵, 과자, 면 등의 식품류,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 분말,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바 등의 건강기능식품 제제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법률상·기능상의 구분에 있어서 제조·유통 시점의 시행 법규에 부합하는 한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다. 예컨대 한국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이거나, 한국 「식품위생법」의 식품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의 기준 및 규격」)상 각 식품유형에 따른 과자류, 두류, 다류, 음료류, 특수용도식품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식품첨가물은 일반적으로 식품을 제조, 가공 또는 보존함에 있어 식품에 첨가되어 혼합되거나 침윤되는 물질로서 이해될 수 있는데, 식품과 함께 매일 그리고 장기간 섭취되므로 그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식품의 제조·유통을 규율하는 각국 법률(한국에서는 「식품위생법」임)에 따른 식품첨가물공전에는 안전성이 보장된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또는 기능 면에서 한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한국 식품첨가물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첨가물 기준 및 규격」)에서는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화학적 합성품, 천연 첨가물 및 혼합 제제류로 구분되어 규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식품첨가물은 기능 면에 있어서는 감미제, 풍미제,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으로 구분된다.
감미제는 식품에 적당한 단맛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 모두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또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으며,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 이외에, 기능성과 영양성을 보충, 보강할 목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고 식품첨가물로서 안정성이 보장된 생리활성 물질이나 미네랄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생리활성 물질로서는 녹차 등에 포함된 카테킨류, 비타민 B1,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B12 등의 비타민류, 토코페롤, 디벤조일티아민 등을 들 수 있으며, 미네랄류로서는 구연산 칼슘 등의 칼슘 제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의 마그네슘 제제, 구연산철 등의 철 제제, 염화 크롬, 요오드칼륨, 셀레늄, 게르마늄, 바나듐,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이 제품 유형에 따라 그 첨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적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의 식품첨가물과 관련하여서는 각국 식품공전이나 식품첨가물 공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용 제형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투여 경로는 국소 경로, 경구 경로, 정맥 내 경로, 근육 내 경로, 및 점막 조직을 통한 직접 흡수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경로일 수 있으며, 두 가지 이상의 경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두 가지 이상 경로의 조합의 예는 투여 경로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제형의 약물이 조합된 경우로서 예컨대 1차로 어느 한 약물은 정맥 내 경로로 투여하고 2차로 다른 약물은 국소 경로로 투여하는 경우이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투여 경로나 제형에 따라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대한민국약전"을 포함한 각국의 약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적합한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덱스트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등의 당류,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등의 전분류,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맥아, 젤라틴, 탈크, 폴리올, 식물성유, 에탄올, 그리세롤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활 경우 필요에 따라적절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착색제, 희석제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적절한 결합제로서는 전분,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리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스,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글루코스, 옥수수 감미제, 소듐 알지네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 등을 들 수 있고, 윤활제로서는 올레산나트륨, 스테아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벤조산나트륨, 초산나트륨, 염화나트륨, 실리카, 탈쿰, 스테아르산, 그것의 마그네슘염과칼슘염, 폴리데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붕해제로서는 전분, 메틸 셀룰로스, 아가(agar), 벤토나이트, 잔탄 검, 전분, 알긴산 또는 그것의 소듐 염 등을 들 수 있다. 또 희석제로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소비톨, 셀룰로스, 글라이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주사제, 경피 투여제, 비강 흡입제 및 좌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제로 제제화할 경우 적합한 담체로서는 수성 등장 용액 또는 현탁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나 주사용 멸균수, 5% 덱스트로스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피투여제로 제제화할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비강 흡입제의 경우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등의 적합한 추진제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좌제로 제제화할 경우 그 담체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폴리에틸렌글리콜류, 카카오지, 라우린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제화와 관련하여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 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성별, 연령, 환자의 중증도, 투여 경로에 따라 1일 0.001mg/kg ~ 10g/kg 범위, 바람직하게는 0.001mg/kg ~ 1g/kg 범위일 수 있다. 투여는 1일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품 조성물로 파악될 경우 그 용도는 피부 과민 면역 또는 비정상 면역에 의한 홍반, 건조, 태선화, 짓무름, 건조, 출혈 등의 피부 트러블 억제 등의 용도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파악될 경우에도 그 화장료 조성물은 그 용도상, 법률상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피부 트러블 개선, 아토피 피부염 개선 등의 용도를 가진 기능성 화장품, 비기능성 일반 화장품 등일 수 있다. 제품 형태에 있어서도 임의의 제품 형태를 띨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등의 제품 형태를 띨 수 있다. 구체적인 제품 형태에 있어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계면활성제, 비타민, 색소 및 항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는데,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 개선 활성 또는 피부 면역 과민 반응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그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행해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개똥쑥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똥쑥은 지상부로 줄기는 원기둥모양이고 위쪽에서 분지되었으며 길이 30~80cm, 지름 0.2~0.6cm이다. 겉은 황록색~황갈색이고 세로 능선이 있다. 질은 단단하고 잘 절단되며 절단면의 가운데에는 수(髓)가 있다. 잎은 마주나고 진한 녹색~녹갈색이며 부서지기 쉽다. 온전한 것은 펴면 3회 우상으로 심열하고 열편 및 소열편은 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양면에는 단모가 덮여 있다. 특유한 향기가 있고 맛은 약간 쓰다. 해열제, 지혈제, 피부병 치료제로도 이용되며, 그 외에 항균, 항바이러스 및 항산화 작용등도 알려져 있고 최근에는 유방암 세포에 대한 항암효과가 입증되어 있다.
백봉선화와 개똥쑥 추출물은 1: 0.05~2.0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원료로는 백봉선화 추출물이고, 제2원료로는 무, 배 및 개똥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무 추출물은 무의 분쇄물로부터 액상성분을 무 추출물로 회수하는 단계를 거쳐 무 추출물을 준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원료 및 제2원료의 추출물은 1: 0.2~1.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대추, 오미자, 구기자, 오리나무, 토사자 및 홍경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물은 유산균 발효산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산균은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acidophillus, Lactobacillus plantarum,Lactobacillus amylophillus, Lactobacillus fermentum, Lactobacillus curvatus,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lactis, Bifidobacterium breve, Lactobacillus gasseri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Lactobacillus curvatus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미로필루스(Lactobacillus amylophillus),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Bifidobacterium breve) 또는 이들 2종의 혼합 균이 더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산균은 모두 통상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널리 알려진 공지의 균이거나 시판되고 있는 균들이므로 그 유산균의 입수에는 아무런 어려움이 없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벌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건강기능식품이 천연차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시료 준비
백봉선화(추출 부위: 잎)의 추출물을 제조하여 폐질환 개선 활성을 확인하였다. 추출물은 백봉선화 잎의 건조 분말에 10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가하여 50℃에서 6시간씩 2회 반복 추출하여 여과한 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으로 얻었다.
개똥쑥은 백봉선화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분말상으로 얻었다.
무와 배 추출물은 믹서기로 분쇄한 3M 필터로 여과하고, 액상 추출물과 고형성분을 분리하였다. 액상 성분을 120℃에서 1.5기압으로 15분 동안 가압 멸균하고 상온에서 냉각하여 pH 6.2~6.6으로 적정하여 4℃에서 보관하였다.
대추, 오미자, 구기자, 오리나무, 토사자 및 홍경천의 추출물을 백봉선화 잎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분말상을 각각 얻었다.
벌꿀은 시중에서 판매하는 지리산 천연 벌꿀(지리산 모향골 농장)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상기 추출물들을 이용하여 하기 표 1와 같이 조성물을 얻었다.
(단위 중량%)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백봉선화 90 45 40
개똥쑥 45 25 45 90
25 45
대추 5 5 5 5 5
오미자 3 3 3 3 3
2 2 2 2 2
총합 100 100 100 100 100
<제조예> 아토피 피부염 동물 모델 제조
아토피 피부염에 효과가 있는지 동물 모델에서 확인하기 위하여, 아토피 피부염이 유발된 동물 모델을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5~6주령이 된 Nc/Nga 마우스(Japanese fancy mice,Nishiki-Nezumi, Japan)의 등 부위를 깨끗하게 제모하고, 제모가 끝난 피부의 미세 상처가 치유되도록 24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1% DNCB용액(아세톤:올리브오일=3:1) 200ul를 등 부위에 도포하여 피부염을 일으켰다. 4일후, 1주일에 2~3번씩 0.2% DNCB용액 150ul를 등 부위에 4~5주 도포하여 피부염이 충분히 유발되어 등 부위의 가피가 모두 벗겨져 치료 약물의 투과가 용이해지고, 새로운 피부염이 형성되면서 긁는 행동이 심화되면 DNCB 처리 중단하고, 아토피 피부염 동물 모델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아토피 동물모델에서 추출물의 항아토피 효과
<1> 관능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항아토피 효과를 아토피 동물모델에서 확인하기 위하여, 아토피 피부염이 유도된 동물 모델에 추출물을 처리하고, 임상적 육안 평가법을 이용하여 관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이 유도된 제조예 1의 동물 모델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 처리를 종료한 10일 후부터, 대조군은 30% 1,3-부틸렌 글리콜(1,3-butylene glycol)을, 실험군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200ul씩 하루에 2번, 8주 동안 원액 도포하여, 2주 간격으로 임상적 육안 평가법을 이용하여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육안평가 결과는 홍반(erythema), 가려움과 건조피부(Pruritus & Dry Skin), 부종과 혈종(Edema & escoriation), 짖무름(Erosion), 그리고 태선화(Lichenification)로 나누어지는 5가지 평가항목을 각각 평가한 점수의 총 합으로 나타내었다. 이 각각의 항목은 없음(0), 약함(1), 중증도(2), 심함(3)으로 채점되어, 최소 0점에서, 최고 15점사이의 점수를 얻을 수 있고, 일반적으로 DNCB를 이용해 피부염을 유발할 경우, 약 12~13점이면 피부염이 최고조에 달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 결과, 무처리군 및 부틸렌 글리콜만 단독 처리한 대조군 또는 비교예의 조성물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조성물 모두에서 아토피 상태를 호전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아토피 동물 모델에서 그증상을 호전시키는데 현저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20 ㎎
유당 2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1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건강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100 ㎎
구연산 100 ㎎
올리고당 100 ㎎
매실농축액 2 ㎎
타우린 100 ㎎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5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1 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조예 3> 화장품의 제조
<유연화장수(스킨)>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용 유연화장수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의 조성물 20중량%
1,3-부틸렌글리콜 3.0중량%
글리세린 5.0중량%
폴리옥시에틸렌(60) 경화피마자유 0.2중량%
에탄올 8.0중량%
구연산 0.02중량%
구연산나트륨 0.06중량%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To 100

Claims (11)

  1. 백봉선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질환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개똥쑥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제1원료로는 백봉선화 추출물이고, 제2원료로는 무, 배 및 개똥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료 및 제2원료의 추출물은 1: 0.2~1.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대추, 오미자, 구기자, 오리나무, 토사자 및 홍경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벌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이 천연차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21/002796 2020-05-20 2021-03-08 아토피 피부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235659A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MX2022005910A MX2022005910A (es) 2020-05-20 2021-03-08 Composicion para la prevencion, alivio, o tratamiento de la enfermedad de la dermatitis atopica.
EP21807638.8A EP4154897A1 (en) 2020-05-20 2021-03-08 Composition for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disease
JP2022535233A JP7383821B2 (ja) 2020-05-20 2021-03-08 アトピー皮膚炎疾患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CN202180006463.7A CN114728031A (zh) 2020-05-20 2021-03-08 用于预防、缓解或治疗特应性皮炎疾病的组合物
CA3164950A CA3164950A1 (en) 2020-05-20 2021-03-08 Composition for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disease
US17/747,347 US20220273746A1 (en) 2020-05-20 2022-05-18 Composition for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dise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273 2020-05-20
KR1020200060273A KR102408103B1 (ko) 2020-05-20 2020-05-20 아토피 피부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7/747,347 Continuation US20220273746A1 (en) 2020-05-20 2022-05-18 Composition for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dise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5659A1 true WO2021235659A1 (ko) 2021-11-25

Family

ID=78707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2796 WO2021235659A1 (ko) 2020-05-20 2021-03-08 아토피 피부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273746A1 (ko)
EP (1) EP4154897A1 (ko)
JP (1) JP7383821B2 (ko)
KR (1) KR102408103B1 (ko)
CN (1) CN114728031A (ko)
CA (1) CA3164950A1 (ko)
MX (1) MX2022005910A (ko)
WO (1) WO202123565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9161A (ja) * 1999-02-19 2000-09-05 Toyoya Kato アレルギー疾患治療剤
KR20070121333A (ko) * 2006-06-22 2007-12-27 권애영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치료 또는 예방 조성물
KR20100046605A (ko) * 2008-10-27 2010-05-07 다이나믹(주)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97336A (ko) * 2014-02-18 2015-08-26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개똥쑥으로부터 아토피 치료 및 예방 능을 갖는 유효성분 추출방법 및 그 방법으로 추출된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치료 및 예방 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4462B1 (ko) * 2017-12-22 2018-07-05 한국 한의학 연구원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54761T3 (es) * 1987-10-16 1994-08-16 Lorenz Wilfried Medio terapeutico que contiene un extracto de impatiens capensis.
JP2006143659A (ja) * 2004-11-19 2006-06-08 Opasu:Kk 皮膚外用剤
KR101226758B1 (ko) * 2010-09-28 2013-01-25 한국 한의학 연구원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658561A4 (en) * 2010-12-03 2015-01-07 Sinil Pharmaceutical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COMPRISING A TRACHELOSPERMI CAULIS EXTRACT AND A PAEONIA SUFFRUTICOSA ANDREWS EXTRACT,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1510595B1 (ko) * 2013-10-24 2015-04-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유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9161A (ja) * 1999-02-19 2000-09-05 Toyoya Kato アレルギー疾患治療剤
KR20070121333A (ko) * 2006-06-22 2007-12-27 권애영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치료 또는 예방 조성물
KR20100046605A (ko) * 2008-10-27 2010-05-07 다이나믹(주)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97336A (ko) * 2014-02-18 2015-08-26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개똥쑥으로부터 아토피 치료 및 예방 능을 갖는 유효성분 추출방법 및 그 방법으로 추출된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치료 및 예방 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4462B1 (ko) * 2017-12-22 2018-07-05 한국 한의학 연구원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harmaceutical Sciences", 1995
ADV IMMUNOL., vol. 78, 2001, pages 57
ARELLANO FM ET AL., J INVEST DERMATOL., vol. 127, no. 4, April 2007 (2007-04-01), pages 808 - 16
CURR DRUG TARGETS INFLAMM ALLERGY., vol. 2, 2003, pages 199 - 120
IMMUNOL., vol. 11, 1999, pages 81 - 88
INT IMMUNOL., vol. 14, no. 7, 2002, pages 767 - 773
INTERNATIONAL IMMUNOLOGY, vol. 14, no. 7, 2002, pages 767 - 773
J ALLERGY CLIN IMMUNOL., vol. 107, 2001, pages 871 - 877
J ALLERGY CLIN IMMUNOL., vol. 113, no. 2, pages 334 - 340
J DERMATOL SCI., vol. 34, 2004, pages 201 - 208
J INVEST DERMATOL., vol. 97, 1991, pages 389 - 394
KOR J PHARMACOGN, vol. 43, 2012, pages 59 - 65
KOR J PHARMACOGN., vol. 43, 2012, pages 59 - 65
KOREAN J INVEST DERMATOL., vol. 14, 2007, pages 67 - 72
PEDIATR ALLERGY IMMUNOL., vol. 19, 2008, pages 605 - 6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09324A (ja) 2023-03-08
KR20210143968A (ko) 2021-11-30
CA3164950A1 (en) 2021-11-25
CN114728031A (zh) 2022-07-08
EP4154897A1 (en) 2023-03-29
JP7383821B2 (ja) 2023-11-20
MX2022005910A (es) 2022-06-27
KR102408103B1 (ko) 2022-06-14
US20220273746A1 (en)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24863A1 (ko)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62266B1 (ko) 순비기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WO2022119230A1 (ko) 개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항알러지용 조성물
KR20190043317A (ko)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560220B1 (ko) 가는장구채 추출물과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이용한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1999374B1 (ko) 감 발효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WO2021235659A1 (ko) 아토피 피부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44890B1 (ko) 고욤나무 잎 메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20043054A (ko) 여뀌바늘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용 조성물
KR102106440B1 (ko) 블루베리 및 흑미 추출물 배양 유산균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92024B1 (ko) 콤브레툼 콰드란굴라레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WO2021235637A1 (ko)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119229A1 (ko) 솔방울고랭이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WO2019078606A2 (ko)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또는 감태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 항알레르기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190060631A (ko) 감태 추출물과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972076B1 (ko) 카레야 아르보레아 추출물에서 분리한 활성성분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445679B1 (ko) 누에 번데기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513132B1 (ko) 은사시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462914B1 (ko) 참개싱아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104955B1 (ko) 세토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85026A (ko) 큰기름새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190055030A (ko) 감태 추출물과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230085025A (ko) 삼립국화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230085027A (ko) 청나래고사리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220082951A (ko) 넓은잎외잎쑥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 조성물과 항알러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0763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3523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3164950

Country of ref document: C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07638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