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30435A1 - 헤어드라이어 - Google Patents

헤어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30435A1
WO2021230435A1 PCT/KR2020/012330 KR2020012330W WO2021230435A1 WO 2021230435 A1 WO2021230435 A1 WO 2021230435A1 KR 2020012330 W KR2020012330 W KR 2020012330W WO 2021230435 A1 WO2021230435 A1 WO 202123043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as
discharge
unit
flow path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233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안광운
오현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123043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3043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122Diffusers, e.g. for variable air fl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Abstract

헤어드라이어(HAIR DRYER)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는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기체토출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토출부는 기체가 토출되는 복수의 토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토출영역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부터 기체가 토출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헤어드라이어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기체유입부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가 기체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을 젖은 상태에서 원하는 만큼 물기를 제거하거나, 현재 모양으로부터 원하는 모양으로 스타일링하는 경우, 기체토출부를 통해 기체를 토출하는 헤어드라이어가 이용될 수 있다.
헤어드라이어 내부에는 기체를 유동시키기 위한 팬유닛 등이 내장될 수 있고, 이러한 내부 구성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를 자체 하중 등을 고려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한편, 한국 등록 특허 문헌 KR 10-1494686건에는 본체부로부터 토출되는 기체의 송풍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조절관을 상기 본체부에 결합하여 이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위와 같이,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풍향 조절 등 다양한 유동 특성을 가지는 기체의 제공을 원할 수 있으며, 다만 상기 문헌 KR 10-1494686건에 개시된 헤어드라이어는 별도의 방향조절관을 필요에 따라 탈부착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풍향 조절 외에도 사용 상황에 따라 유동 단면적을 조절하거나 풍속을 조절하여 헤어드라이어를 사영하고자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헤어드라이어의 본체부에 별도의 구성을 부착시키지 않으면서 기체의 특성을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변화시켜 제공하여 사용성을 개선하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체부로부터 토출되는 기체 특성을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기체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토출영역을 통해 사용자에게 기체를 토출할 수 있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유로가 효과적으로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유로를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헤어드라이어는 모발 상태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노즐을 교체하여 원하는 바람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노즐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모발 상태 또는 사용 목적이 변할 때마다 상기 노즐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손쉽게 토출되는 바람의 형태나 특성을 바꿀 수 있도록 복수의 토출영역을 가지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헤어드라이어의 기체토출부는 적어도 3가지의 토출영역 및 토출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기체토출부의 환형 토출영역은 본체부 내부의 히터를 통과한 후 유동이 직진성을 유지하면서 얇은 환형 슬릿을 통해 토출될 수 있다. 기체토출부의 원판 토출영역은 기체가 히터를 통과한 후 상기 환형 토출영역과 연통되는 유로의 내측에 형성되는 또 다른 유로를 통해 미세홀이 형성된 원판을 통해 토출될 수 있다.
기체토출부는 환형 토출영역이 선택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만큼, 예컨대 90도 등으로 회전되어 원판 토출영역이 선택될 수 있다.
기체토출부의 중앙집중 토출영역은 원판 토출부에서 중앙의 사각형 노즐부를 가압하여 위치를 변화시켜 선택될 수 있다. 중앙집중 토출영역은 기체가 히터를 통과한 후 상기 원판토출부와 연결되는 유로의 내측에 별도로 형성된 유로를 통해 유동되어 상기 노즐부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체부에 마련되는 기체토출부를 사용자가 간단한 방식으로 조작함으로써 간편하게 기체 유동 형태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노즐 교체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적어도 3가지의 서로 다른 기체 특성을 가지는 기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복수의 토출영역을 구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우선, 환형으로 기체가 토출되는 유로를 중앙으로 방향 전환하기 위해 환형유로의 중간에 몇 개의 홀을 생성할 수 있다.
환형유로의 홀과 맞닿고 환형 유로의 홀을 막거나 여는 형상을 가진 별도의 회전형 중앙 유로 구조물을 부착할 수 있다. 회전형 중앙 유로 구조물은 회전이 가능하며, 회전 각도에 따라 환형 유로의 홀을 막고 중앙 유로로 유로방향을 바꿀 수 있다.
회전형 중앙 유로 구조물의 내부에는 직선형 중앙 유로 구조물이 있으며, 직선형 중앙 유로 구조물은 직선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고 그 위치에 따라 회전형 중앙 유로로 들어온 유동의 방향을 바꾸어 더 안쪽으로 유로를 만들 수 있다. 직선형 중앙 유로 구조물은 직선 방향 이동과 정지를 가능하게 하는 별도의 기구물과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는 본체부 및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본체부는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기체토출부를 포함한다. 손잡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마련된다.
상기 기체토출부는 기체가 토출되는 복수의 토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토출영역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부터 기체가 토출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복수의 토출영역은 본체부의 전방면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링 형상으로 마련되는 외측영역 및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방면에 위치되고 상기 외측영역의 내측에 위치되는 내측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체토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전면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방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토출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영역은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토출베이스부의 상기 전면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내측영역은 상기 토출베이스부의 상기 전면부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영역은 상기 전면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면을 통해 기체가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기체토출부는 상기 토출베이스부의 변위 형성에 따라 상기 외측영역 및 상기 내측영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기체가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토출베이스부는 상기 본체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외측영역 및 상기 내측영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내측영역은 상기 전면부의 중앙에 위치되는 제1내측영역 및 상기 전면부에 마련되며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제1내측영역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제2내측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체토출부는 상기 외측영역, 상기 제1내측영역 및 상기 제2내측영역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부터 기체가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체토출부는 상기 토출베이스부에 의해 상기 내측영역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내측영역 또는 상기 제2내측영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기체가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체토출부는 상기 토출베이스부에 삽입되어 전단부가 상기 전면부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내측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내측영역은 상기 내측선택부의 상기 전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내측영역은 상기 토출베이스부의 상기 전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체토출부는 상기 내측선택부의 변위 형성에 따라 상기 제1내측영역 및 상기 제2내측영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기체가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토출베이스부는 상기 본체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내측선택부는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기체토출부는 상기 토출베이스부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외측영역 및 상기 내측영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내측선택부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내측영역 및 상기 제2내측영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영역은 상기 내측선택부의 상기 전단부에 마련되는 개구로부터 기체가 토출되고, 상기 제2내측영역은 상기 토출베이스부의 상기 전면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관통구로부터 기체가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내측선택부는 상기 내측선택부의 상기 전단부에 마련되고, 전방을 향할수록 내경이 증가되도록 마련되는 유동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토출영역은 본체부의 전방면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링 형상으로 마련되는 외측영역,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방면 중앙측에 위치되는 제1내측영역 및 상기 제1내측영역과 상기 외측영역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내측영역을 둘러싸는 제2내측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체부로부터 토출되는 기체 특성을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기체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토출영역을 통해 사용자에게 기체를 토출할 수 있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유로가 효과적으로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유로를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기체토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에서 외측유로가 선택된 기체토출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에서 제2내측유로가 선택된 기체토출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에서 제1내측유로가 선택된 기체토출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에서 외측유로가 선택된 개폐부의 회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에서 내측유로가 선택된 개폐부의 회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에서 기체토출부가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에서 베이스수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베이스수용부에 토출베이스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토출베이스부에 내측선택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헤어드라이어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와 손잡이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부(10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기체가 토출되는 기체토출부(3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기체가 유동하는 기체유로(150)가 형성될 수 있다. 기체유로(150)는 본체부(100)에 마련되거나, 손잡이부(200)로부터 본체부(100)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체유로(150)는 본체부(100)의 내부 또는 본체부(100)의 내부와 손잡이부(200)의 내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기체유입부(220)로부터 기체토출부(300)까지 연장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기체유입부(220)가 본체부(100)에 마련된 경우에는 기체유로(15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고, 기체유입부(220)가 손잡이부(200)에 마련된 경우에는 기체유로(150)가 손잡이부(200) 및 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에는 기체유로(150)를 따라 유동되는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기체토출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기체토출부(300)의 기체 토출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는 기체유입부(220)를 통해 유입되며, 기체유입부(220)는 본체부(100) 또는 손잡이부(2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2와 같이 기체유입부(220)가 손잡이부(200)에 구비된 경우, 기체유로(150)가 손잡이부(200)로부터 본체부(100)까지, 구체적으로 기체유로(150)는 기체유입부(220)로부터 기체토출부(300)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 또는 손잡이부(200)에 마련되는 기체유입부(220)를 통해 외부로부터 기체가 유입되고,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는 상기 기체유로(150)를 따라 유동되어 본체부(100)에 마련되는 기체토출부(30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1 내지 2를 참고하면, 본체부(100)의 일측에서 대략 하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200)가 도시되어 있다. 손잡이부(200)의 길이방향은 다양할 수 있으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과 서로 교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로부터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부(200)가 본체부(100)와 별개로 제조되어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경우,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의 대한 길이방향이 고정되거나 가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부(200)는 힌지결합부를 가지며 본체부(100)에 결합되어 손잡이부(200)의 길이방향이 변화 가능하도록, 즉 본체부(100)에 대해 접힐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2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부위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립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부(100)는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전방측에 기체토출부(300)가 마련될 수 있고, 손잡이부(200)가 대략 하방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방 및 후방은 기체토출부(300)의 기체 토출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기체토출부(300)는 전방으로 기체가 토출될 수 있고, 본체부(100)는 기체토출부(300)가 전방측에 마련되어 전후방향과 나란한 길이방향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은 기체토출부(300)의 기체 토출방향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므로, 기체토출부(300)는 반드시 본체부(100)의 전방측에 마련되지 않을 수 있고, 본체부(100)의 길이방향과 전후방향이 반드시 나란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체의 토출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을 정의하며, 본체부(100)의 전방측에 기체토출부(300)가 마련되고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이 전후방향과 나란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한편, 도 2를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는 기체를 유동시키고 기체토출부(300)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기체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팬유닛(250)을 포함한다. 팬유닛(250)은 기체유로(150)상에 배치되어 기체를 유동시키며, 본체부(100)의 내부 또는 손잡이부(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기체유입부(220)가 손잡이부(200)에 배치된 경우, 기체유로(150)는 손잡이부(200)의 기체유입부(220)로부터 본체부(100)의 기체토출부(300)까지 연장될 수 있고, 팬유닛(250)은 손잡이부(200)에 위치되는 기체유로(150)상에 배치될 수 있다.
기체유입부(200)는 복수의 기체유입홀(222)을 포함할 수 있다. 기체유입홀(222)은 헤어드라이어의 외부와 헤어드라이어 내부의 기체유로(150)를 연통시키며, 팬유닛(250)의 작동에 의해 기체유입부(200) 외부의 기체는 기체유입부(200)의 기체유입홀(222)을 통해 기체유로(15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토출기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유닛(160)이 구비될 수 있다. 온도조절유닛(160)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된 온도조절유닛(160)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온도조절유닛(160)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온도조절유닛(160)은 코일 형태의 저항체에 전류를 제공하여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기체를 가열하는 방식일 수 있다.
다만, 온도조절유닛(160)의 저항체가 반드시 코일 형태가 아닐 수 있고, 열전소자를 이용하는 등 기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작동방식을 기체 유동과 함께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본체부(100) 또는 손잡이부(200)에 배치되는 전원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 전원버튼이 온 상태가 되면, 팬유닛(250)이 작동되면서 기체가 기체유입부(220)를 통해 헤어드라이어의 내부로 유입된다.
기체유입부(220)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는 팬유닛(250)에 의해 기체유로(150)를 따라 유동되어 기체토출부(300)를 향하고, 기체토출부(300)에서는 토출기체가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 과정에서, 기체유로(150)상의 기체는 팬유닛(250)에 의해 유동속도가 조절될 수 있고, 온도조절유닛(160)에 의해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팬유닛(250), 온도조절유닛(160), 전원버튼 및 조작부 등과 연결되어 상기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유닛(250) 및 온도조절유닛(160)의 운전상태 조절은 사용자가 조작부를 조작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 운전모드에 따라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부(100)에 마련되는 기체토출부(300)를 외부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헤어드라이어는 본체부(100) 및 손잡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기체토출부(300)가 마련되고, 손잡이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체토출부(300)는 기체가 토출되는 복수의 토출영역(31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토출영역(310)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부터 기체가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토출영역(310)이 마련되는 기체토출부(300)가 도시되어 있다.
기체토출부(300)의 토출영역(310)은 기체가 토출되는 영역을 의미하며, 상기 복수의 토출영역(310)은 서로 분리된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토출영역(310) 중 어느 하나의 토출영역(310)을 통해 기체가 선택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영역(310)은 서로 구분되어 분리된 영역에 해당되고, 각각의 토출영역(310)으로부터 토출되는 기체는 서로 다른 기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토출영역(310)은 서로 다른 유동단면적을 가질 수 있고, 서로 다른 유동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토출영역(310)에서 토출되는 기체는 서로 다른 유동단면적을 가질 수 있고, 서로 다른 직경의 유동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토출영역(310)이 가지는 단면적의 차이는 결국 토출영역(310)별로 토출되는 기체의 속도가 서로 상이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유동 단면 형상이나 유동 직경의 차이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체의 볼륨감이나 집중도에서 서로 상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체토출부(300)는 상기 복수의 토출영역(31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기체가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복수의 토출영역(310)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은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헤어드라이어는 조작부에 마련되는 선택버튼을 통해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토출영역(310)을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되거나, 사용자가 기체토출부(300)에 물리적인 변화를 주어 어느 하나의 토출영역(310)을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물리적인 변화는, 예컨대 사용자가 기체토출부(300)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키거나, 가압하거나, 직선 이동시키는 등의 행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토출영역(310)은 유동단면적이나 유동 직경 외의 기체 특성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체 특성이란 기체의 속도, 온도, 유동단면적, 유동 직경, 유동 단면 형상, 난류성과 연관되는 유동안정성 등 기체 유동에 대한 다양한 특성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토출영역(310) 중 어느 하나는 온도조절유닛(160)으로부터 제공되는 기체가 토출되어 기체의 온도가 조절되거나, 내부의 기체유로(150)가 토출영역(310)을 향할수록 좁아지게 마련되어 기체가 집중된 형태로 토출되거나, 내부의 기체유로(150)가 토출영역(310)을 향할수록 넓어지게 마련되어 기체가 확산된 형태로 토출되는 등, 다양한 기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체부(100)에 기체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결합하지 않더라도, 본체부(100)에 마련되는 기체토출부(300)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토출영역(310)을 통해 기체가 토출되도록 하여 사용 목적에 따른 기체를 효과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토출영역(310)은 외측영역(312) 및 내측영역(314)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영역(312)은 본체부(100)의 전방면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내측영역(314)은 상기 본체부(100)의 상기 전방면에 위치되고 상기 외측영역(312)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외측영역(312) 및 내측영역(314)은 본체부(100)의 전방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전방면은 기체토출부(3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기체토출부(300)는 본체부(100)의 전방면을 구성할 수 있다.
외측영역(312)은 본체부(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링 형상이란 내부에 폐단면이 형성되는 폐곡선 형상을 의미한다. 링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부(100)의 전방면에서 본체부(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지는 외측영역(312)이 도시되어 있다.
내측영역(314)은 본체부(100)의 전방면에서 외측영역(312)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내측영역(314)은 외측영역(312)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위치될 수 있다. 내측영역(314)은 상기 외측영역(312)에 의해 정의되는 내측의 폐단면에 해당될 수 있다.
외측영역(312) 및 내측영역(314)은 서로 분리되어 어느 하나에서 기체가 토출될 수 있다. 외측영역(312)에서 토출되는 기체는 내측영역(314)의 기체와 비교할 때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유동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내측영역(314)보다 작은 유동단면적을 가지므로 빠른 기체 속도를 가질 수 있다.
반면, 내측영역(314)에서 토출되는 기체는 외측영역(312)과의 비교에서 더 넓은 유동단면적을 가지면서 기체속도가 더 느리게 제공될 수 있고, 외측영역(31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유동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외측영역(312) 또는 내측영역(31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토출영역(310), 즉 외측영역(312) 및 내측영역(314)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기체가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헤어드라이어의 기체토출부(300)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9 내지 12에는 기체토출부(300)의 분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체토출부(300)는 토출베이스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베이스부(4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전면부(410)가 상기 본체부(100)의 상기 전방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토출베이스부(400)는 서로 분리되어 기체가 유동되는 복수의 토출유로(320)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체토출부(300)는 상기 복수의 토출유로(32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기체가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토출유로(320)는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토출영역(310) 중 서로 다른 토출영역(310)을 통해 기체가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베이스부(400)는 본체부(100)의 전방면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토출베이스부(400)는 본체부(100)의 내부, 예컨대 본체부(100)의 전방측에 삽입되어 전면부(410)가 본체부(100)의 전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토출베이스부(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측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토출베이스부(400)는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개방면을 통해 본체부(1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9에는 기체토출부(300)에서 분리된 토출베이스부(400)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체부(100) 내부에 삽입된 토출베이스부(400)가 도시되어 있다.
토출베이스부(400)는 복수의 토출유로(320)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토출유로(320)는 서로 분리된 기체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토출유로(320)는 서로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유로(320)는 각각 서로 다른 토출영역(310)과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토출영역(310)은 복수의 토출유로(320) 각각의 단부에 대응될 수 있다. 기체토출부(300)는 어느 하나의 토출유로(320)를 유동하는 기체는 어느 하나의 토출영역(31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기체토출부(300)는 복수의 토출유로(320) 중 어느 하나의 토출유로(320)를 통해 기체가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체토출부(300)는 복수의 토출영역(310) 중 어느 하나의 토출영역(310)을 통해 기체가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체의 토출영역(310)은 물론 기체의 토출유로(320) 또한 복수로 마련되는 바, 토출영역(310)의 유동단면적 및 유동 형상이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 기체의 유동 특성이 상이한 토출유로(320)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토출유로(320) 중 어느 하나는 토출베이스부(400)의 전면부(410)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증가되어 기체가 확산되고 유속이 감소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상기 전면부(410)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감소되어 유속이 증가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토출베이스부(400)에 의해 서로 구획되어 상호간의 기체 교류가 없는 복수의 토출유로(320)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토출유로(32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기체가 유동되어 토출되므로, 다양한 유동 특성을 가지는 기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체부(100)의 전방면에 위치되는 외측영역(312) 및 내측영역(314)이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상기 외측영역(312)과 연통되는 외측유로(322)를 통해 기체가 유동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내지 6에는 상기 내측영역(314)과 연통되는 내측유로(324)를 통해 기체가 유동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외측영역(312)은 상기 토출베이스부(400)의 상기 전면부(410)를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내측영역(314)은 상기 토출베이스부(400)의 상기 전면부(410)상에 위치될 수 있다.
외측영역(312)은 토출베이스부(400)의 전면부(410)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술할 내용과 같이 외측영역(312)은 토출베이스부(400)의 전면부(410)와 본체부(100)의 외벽(17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면을 통해 기체가 토출될 수 있다.
즉, 외측영역(312)은 토출베이스부(400)의 전면부(410)와 본체부(100)의 외벽(170) 사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해당 영역에 형성되는 개방면을 통해 기체가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방면은 후술할 내용과 같이 본체부(100) 내부의 외측유로(322)와 연통될 수 있다.
한편, 내측영역(314)은 토출베이스부(400)의 전면부(410)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토출베이스부(400)는 전면부(410)에 상기 내측영역(314)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영역(314)은 토출베이스부(400)의 전면부(410)를 통해 기체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토출베이스부(400)는 후술할 내용과 같이 전면부(410)에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를 통해 기체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구는 전면부(410)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고, 따라서 내측영역(314)을 통해 토출되는 기체는 상기 전면부(410)와 대응되는 기체 유동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후술할 내용과 같이 내측영역(314)은 다시 제1내측영역(316) 및 제2내측영역(318)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에서 상기 복수의 토출유로(320)는 외측유로(322) 및 내측유로(324)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유로(322)는 상기 토출베이스부(4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외벽(170)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외측영역(312)을 통해 기체가 토출될 수 있다.
내측유로(324)는 상기 토출베이스부(40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토출베이스부(400)의 전면부(410)에 위치되는 내측영역(314)을 통해 기체가 토출될 수 있다.
외측유로(322)는 토출베이스부(400)와 본체부(100)의 외벽(17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외측유로(322)는 토출베이스부(400)의 외벽과 본체부(100)의 외벽(17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외측유로(322)는 전단부가 본체부(100)의 전방면에 위치되는 외측영역(312)과 연결되어 상기 외측영역(312)을 통해 기체가 토출될 수 있다.
내측유로(324)는 토출베이스부(4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베이스부(400)는 내부에 상기 내측유로(324)가 위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외측유로(322) 및 내측유로(324)는 토출베이스부(400)의 외벽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내측유로(324)는 전단부가 토출베이스부(400)의 전면부(410)에 위치되는 내측영역(314)과 연결되어 상기 내측영역(314)을 통해 기체가 토출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11에는 토출베이스부(400)에 의해 분리되는 외측유로(322) 및 내측유로(324)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체토출부(300)는 상기 토출베이스부(400)의 변위 형성에 따라 상기 외측영역(312) 및 상기 내측영역(314)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기체가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토출베이스부(400)를 조작하여 변위를 형성할 수 있고, 토출베이스부(400)는 변위에 따라 외측영역(312) 및 내측영역(314)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토출베이스부(400)는 변위에 따라 외측유로(322) 및 내측유로(324)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기체가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베이스부(4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외측영역(312) 및 상기 내측영역(314)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마련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베이스부(4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외측유로(322) 및 상기 내측유로(324) 중 어느 하나에 기체가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토출베이스부(4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토출베이스부(400)를 필요에 따라 회전시킬 수 있다. 토출베이스부(400)는 회전 변위, 즉 회전된 위치에 따라 외측영역(312) 및 내측영역(314) 중 어느 하나, 즉 외측유로(322) 및 내측유로(324)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기체가 유동되고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토출베이스부(400)는 회전된 위치에 따라 본체부(100) 내부의 기체유로(150)와 연통되는 토출유로(320)가 결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토출베이스부(400)가 제1위치에 위치되도록 회전되면, 본체부(100) 내부의 기체유로(150)가 외측유로(322)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토출베이스부(400)가 상기 제1위치와 상이한 제2위치에 위치되도록 회전되면, 본체부(100) 내부의 기체유로(150)가 내측유로(324)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의 위치는 각도상 다양한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토출베이스부(400)는 제1위치로부터 90도 회전되면 제2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1위치 및 제2위치의 회전각도 차이는 30도, 45도 60도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토출베이스부(400)의 회전된 위치와 기체유로(150)와의 연통 관계는 개폐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개폐부는 후술할 내용과 같이 제1외측개폐부(420), 제2외측개폐부(430), 제1내측개폐부(440) 및 제2내측개폐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부(100)의 기체유로(150)가 외측유로(322)와 연통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5 내지 6에는 본체부(100)의 기체유로(150)가 내측유로(324)와 연통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체토출부(300)는 제1외측개폐부(420) 및 제2외측개폐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외측개폐부(420)는 상기 토출베이스부(400)로부터 상기 본체부(100)의 상기 외벽(170)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토출베이스부(400)를 둘러싸며, 제1외측홀(4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외측개폐부(430)는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토출베이스부(400)를 둘러싸며, 상기 제1외측개폐부(420)와 접촉되고 제2외측홀(4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베이스부(400)는 상기 제1외측홀(422)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외측홀(432)과 중첩되도록 회전되어 상기 외측유로(322)를 통해 기체가 유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외측개폐부(420) 및 제2외측개폐부(430)는 토출베이스부(400)의 외벽과 본체부(100)의 외벽(17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외측개폐부(420) 및 제2외측개폐부(430)는 상기 외측유로(322)상에 마련되어 상기 외측유로(322)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외측개폐부(420) 및 제2외측개폐부(430)는 본체부(100) 또는 토출베이스부(4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링 형상 또는 디스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외측개폐부(420) 및 제2외측개폐부(430)는 상기 외측유로(322)를 폐쇄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외측개폐부(420)는 토출베이스부(400)에 마련되어 상기 토출베이스부(4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1외측개폐부(420)는 토출베이스부(400)로부터 본체부(100)의 외벽(170)까지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외측개폐부(420)는 토출베이스부(400)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개로 제조되어 토출베이스부(4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외측개폐부(430)는 본체부(100)의 외벽(170) 중 상기 토출베이스부(400)를 향하는 내주면상에 마련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2외측개폐부(430)는 본체부(100)의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토출베이스부(400)의 외벽까지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외측개폐부(430)는 본체부(100) 외벽(170)과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개로 제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외측개폐부(420)는 제1외측홀(422)에 의해 외측유로(322)의 연장방향을 따라 관통될 수 있고, 제2외측개폐부(430)는 제2외측홀(432)에 의해 외측유로(322)의 연장방향을 따라 관통될 수 있다.
제1외측개폐부(420)와 제2외측개폐부(430)는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외측개폐부(420)와 제2외측개폐부(430)는 서로 마주보는 일면이 접촉되도록 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외측개폐부(420)와 제2외측개폐부(430)는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도 4 내지 6에는 제1외측개폐부(420)가 제2외측개폐부(430)의 전방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1외측개폐부(420)가 제2외측개폐부(430)의 후방에 위치될 수도 있다.
참고적으로,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부(100) 내부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2외측개폐부(430)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토출베이스부(400)에 마련되는 제1외측개폐부(42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체토출부(300)는 토출베이스부(400)가 회전되어 제1외측홀(422)과 제2외측홀(432)이 연통되면 외측유로(322)로 기체가 유동될 수 있다. 즉, 제1외측홀(422)의 적어도 일부가 제2외측홀(432)과 전후방향 또는 외측유로(322)상의 기체 유동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면, 외측유로(322)를 통해 기체가 유동될 수 있다.
이를 도 4 내지 6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는 제1외측홀(422)과 제2외측홀(432)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된 상태, 즉 제1외측홀(422)과 제2외측홀(432)이 서로 연통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1외측홀(422)이 형성된 제1외측개폐부(420)는 토출베이스부(4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 5 내지 6과 같이 제1외측홀(422)과 제2외측홀(432)이 서로 중첩되지 않고 본체부(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는, 제1외측개폐부(420) 및 제2외측개폐부(430)에 의해 외측유로(322)로 기체가 유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도 4와 같이 제1외측홀(422) 및 제2외측홀(432)이 서로 연통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는 본체부(100)의 내부의 기체유로(150)와 외측유로(322)가 상기 제1외측홀(422) 및 제2외측홀(432)을 통해 상호 연통됨으로써, 외측유로(322)로 기체가 유동될 수 있다.
도 7 및 8에는 제1외측개폐부(420) 및 제2외측개폐부(430)의 위치 관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제1외측홀(422)과 제2외측홀(432)이 서로 마주보도록 토출베이스부(400)가 회전된 상태가 개략적으로 표현되어 있고, 도 8에는 제1외측홀(422)과 제2외측홀(432)이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토출베이스부(400)가 회전된 상태가 개략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체토출부(300)는 제1내측개폐부(440) 및 제2내측개폐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내측개폐부(440)는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토출베이스부(400)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토출베이스부(400)의 외부와 상기 내측유로(324)를 연통시키는 제1내측홀(44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내측개폐부(450)는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토출베이스부(400)를 둘러싸며, 상기 제1내측개폐부(440)와 접촉되고 제2내측홀(45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내측개폐부(450)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제1내측개폐부(440)가 도시되어 있다.
제1내측개폐부(440) 및 제2내측개폐부(450)는 본체부(100) 또는 토출베이스부(4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링 형상 또는 디스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내측개폐부(440)는 토출베이스부(400)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토출베이스부(400)는 외벽 중 일부가 상기 제1내측개폐부(440)에 해당될 수 있다. 즉, 토출베이스부(400)는 외벽에 상기 제1내측개폐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내측개폐부(440)에는 제1내측홀(442)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베이스부(400)의 내부와 외부는 상기 제1내측홀(442)에 의해 연통될 수 있다. 즉, 토출베이스부(400) 내부의 내측유로(324)는 제1내측홀(442)을 통해 외부, 예컨대 본체부(100)의 기체유로(150)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제1내측홀(442)의 형상 및 개수는 다양할 수 있고,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내측홀(442)이 도시되어 있다.
제2내측개폐부(450)는 본체부(100)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내측개폐부(440)를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내측개폐부(450)는 일면이 상기 제1내측개폐부(440)와 접촉 및 밀착되도록 본체부(10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2내측개폐부(450)는 상기 제2외측개폐부(430)와 연결되거나 별도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2내측개폐부(450)는 내측유로(324)와 본체부(100) 내부의 기체유로(150)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2내측홀(4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내측개폐부(440)와 제2내측개폐부(450)는 기체유로(150)와 내측유로(32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측유로(324)를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토출베이스부(400)는 상기 제1내측홀(442)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내측홀(452)과 중첩되도록 회전되어 상기 내측유로(324)를 통해 기체가 유동될 수 있다.
도 4에는 제1외측홀(422)과 제2외측홀(432)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외측유로(322)와 기체유로(150)가 상호 연통되고, 제1내측홀(442)과 제2내측홀(452)은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내측유로(324)가 기체유로(150)로부터 폐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6에는 제1외측홀(422)과 제2외측홀(432)이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외측유로(322)가 기체유로(150)로부터 폐쇄되고, 제1내측홀(442)과 제2내측홀(452)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내측유로(324)와 기체유로(150)가 서로 연통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측유로(322) 및 내측유로(324)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기체가 유동되므로, 외측유로(322) 및 내측유로(324) 중 어느 하나가 본체부(100) 내부의 기체유로(150)와 연통되면 나머지 하나는 상기 기체유로(150)로부터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 관계는 제1외측홀(422), 제2외측홀(432), 제1내측홀(442) 및 제2내측홀(452)간의 위치관계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를 도 7 및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외측홀(422)이 마련되는 제1외측개폐부(420) 및 제1내측홀(442)이 마련되는 제1내측개폐부(440)는 토출베이스부(400)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거나 토출베이스부(400)와 결합되어 상기 토출베이스부(4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 7에는 제1외측홀(422)과 제2외측홀(432)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제1내측홀(442)과 제2내측홀(452)은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제1외측홀(422)과 제1내측홀(442)은 전후방향, 즉 기체 토출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외측홀(422)은 제1내측홀(442)로부터 둘레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2외측홀(432)과 제2내측홀(452)은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외측홀(422)과 제2외측홀(432)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면 제1내측홀(442)과 제2내측홀(452)은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위와 반대로, 제1외측홀(422)과 제2외측홀(432)이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내측홀(442)과 제2내측홀(452)이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 및 8과 같이 제1외측홀(422)과 제2외측홀(432)이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제1내측홀(442)과 제2내측홀(452)이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위치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7에서는 제1외측홀(422)과 제2외측홀(432)이 서로 마주보게 되어 외측유로(322)와 기체유로(150)가 서로 연통되고, 제1내측홀(442)과 제2내측홀(452)이 서로 이격되어 내측유로(324)와 기체유로(150)가 서로 격리될 수 있다.
도 7과 대응되는 연통 관계는 도 4에 해당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토출베이스부(400)는 기체유로(150)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외측개폐부(420) 및 제2외측개폐부(430)는 외측유로(322)와 기체유로(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내측개폐부(440) 및 제2내측개폐부(450)는 기체유로(150)와 내측유로(3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서 기체유로(150)는 토출베이스부(400)와 본체부(100)의 외벽(170) 사이에서 상기 제1외측개폐부(420) 및 제2외측개폐부(43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외측유로(322)는 토출베이스부(400)와 본체부(100)의 외벽(170) 사이에서 제1외측개폐부(420) 및 제2외측개폐부(43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에는 토출베이스부(400)가 회전되어 제1외측홀(422) 및 제2외측홀(432)이 서로 연통되어 기체유로(150)와 외측유로(322)가 서로 연통되고, 제1내측홀(442) 및 제2내측홀(452)은 서로 이격되어 기체유로(150)와 내측유로(324)는 상호 격리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도 7로부터 토출베이스부(400)가 회전되어 제1외측홀(422) 및 제2외측홀(432)이 서로 이격되고, 제1내측홀(442)과 제2내측홀(452)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외측유로(322)는 기체유로(150)로부터 폐쇄되고, 내측유로(324)는 기체유로(150)와 연통될 수 있다.
도 8과 대응되는 연통 관계는 도 5 및 6에 해당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고하면, 제1내측개폐부(440) 및 제2내측개폐부(450)는 기체유로(150)와 내측유로(3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기체유로(150)는 제1내측개폐부(440) 및 제2내측개폐부(450)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고, 내측유로(324)는 제1내측개폐부(440) 및 제2내측개폐부(45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도 5 및 6에는 토출베이스부(400)가 회전되어 제1외측홀(422) 및 제2외측홀(432)이 서로 이격되어 외측유로(322)가 기체유로(150)로부터 폐쇄되고, 제1내측홀(442) 및 제2내측홀(452)이 서로 연통되어 내측유로(324)가 기체유로(150)와 연통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체토출부(300)는 상기 제1외측홀(422)이 상기 제2외측개폐부(43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내측홀(442)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내측홀(452)과 중첩되고, 상기 제1내측홀(442)이 상기 제2내측개폐부(45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1외측홀(422)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외측홀(432)과 중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체토출부(300)는 토출베이스부(400)의 회전에 따라 내측유로(324) 및 외측유로(322) 중 어느 하나가 본체부(100)의 기체유로(150)와 연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체의 토출영역(310)에 해당되는 외측영역(312) 및 내측영역(314)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기체가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체토출부(300)는 베이스수용부(470) 및 회전결합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수용부(47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회전결합부(460)는 상기 토출베이스부(400)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수용부(47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9 및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부(100) 내부에 고정 배치되는 베이스수용부(470)가 도시되어 있고, 도 9 및 11에는 상기 베이스수용부(47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및 수용되는 회전결합부(460)가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수용부(47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수용부(470)는 전술한 제2외측개폐부(430) 및 제2내측개폐부(450)와 일체로 마련되거나 별개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수용부(470)는 내부에 회전결합부(46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회전결합부(460)가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베이스수용부(470)는 본체부(100)의 외벽(170)과 이격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외벽(170)과의 사이에 기체유로(150)의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회전결합부(460)는 토출베이스부(400)의 일부에 해당될 수 있다. 회전결합부(460)는 토출베이스부(400)와 일체로 마련되거나 별개로 제조되어 토출베이스부(400)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결합부(460)는 베이스수용부(47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회전결합부(460)와 베이스수용부(470) 사이에는 베어링 등이 마련될 수 있으며, 회전결합부(460)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거나 모터 등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토출베이스부(400)는 상기 회전결합부(460)가 상기 베이스수용부(470)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됨에 따라, 상기 회전결합부(460)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0 내지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결합부(460)는 토출베이스부(400)의 후방측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수용부(47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베이스수용부(47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외측개폐부(430)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기 외벽(170)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내측개폐부(450)는 상기 제2외측개폐부(430)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수용부(470)는 상기 제2내측개폐부(450)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1외측개폐부(420) 및 제2외측개폐부(430)는 본체부(100)의 전방면과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고, 제1내측개폐부(440) 및 제2내측개폐부(450)는 전방을 향할수록 직경이 증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외측개폐부(430)는 본체부(100)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내측개폐부(450)는 제2외측개폐부(43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베이스수용부(470)는 제2내측개폐부(450)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외벽(170), 제2외측개폐부(430), 제2내측개폐부(450) 및 베이스수용부(470)는 함께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고, 각각 별도로 제조되어 상호 결합 관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2외측개폐부(430), 제2내측개폐부(450) 및 베이스수용부(470)는 각각의 고정수단이 없더라도 상호간의 연결관계를 통해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체유입부(220)가 상기 손잡이부(200)에 마련되고, 외부로부터 기체가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체유로(150)는 상기 기체유입부(220)로부터 상기 기체토출부(300)까지 연장되어 기체가 유동될 수 있다. 팬유닛(250)은 상기 손잡이부(200)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기체유로(150)상에 배치되어 기체를 유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위와 같이 팬유닛(250) 및 기체유입부(220)가 손잡이부(200)에 마련됨에 따라, 본체부(100) 내부에서 상기 토출베이스부(400) 및 베이스수용부(470)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온도조절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고, 온도조절유닛(160)은 상기 회전결합부(460)와 상기 본체부(100)의 상기 외벽(170) 사이에 마련되어 기체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온도조절유닛(160)은 복수의 토출유로(320) 중 어느 하나 또는 각각에 마련되지 않고 상기 복수의 토출유로(320)와 연결되는 기체유로(150)상에 마련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토출유로(320)를 통해 유동되는 기체의 온도를 전체로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수용부(470)의 외주면상에 온도조절유닛(160)이 마련되어 공간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토출영역(310) 중 하나에 해당되는 내측영역(314)은 제1내측영역(316) 및 제2내측영역(3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내측영역(316)은 토출베이스부(400)의 상기 전면부(410)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고, 제2내측영역(318)은 상기 전면부(410)에 마련되며 상기 제1내측영역(316)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체토출부(300)는 상기 외측영역(312), 상기 제1내측영역(316) 및 상기 제2내측영역(318)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부터 기체가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측영역(312), 제2내측영역(318) 및 제1내측영역(316)이 순서대로 배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내측영역(314)은 토출베이스부(400)의 전면부(410)에 마련되고, 제1내측영역(316)은 상기 전면부(410)의 중앙측에 위치되며, 제2내측영역(318)은 전면부(410)에서 상기 제1내측영역(316)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내측영역(316)은 제2내측영역(318)에 의해 본체부(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둘러싸이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1내측영역(316) 및 제2내측영역(318)은 외측영역(312)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내측영역(316)은 전면부(410)의 중앙에서 제2내측영역(318)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위치되는 바, 복수의 토출영역(310) 중 가장 단면적이 작고 유속이 증가된 기체를 토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 목적이나 사용 의도에 따라 외측영역(312), 제1내측영역(316) 및 제2내측영역(318)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기체가 토출되도록 기체토출부(300)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토출영역(310)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측유로(324)는 제1내측유로(326) 및 제2내측유로(328)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토출부(300)는 상기 외측유로(322), 상기 제1내측유로(326) 및 상기 제2내측유로(328)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기체가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내측유로(326), 제2내측유로(328) 및 외측유로(322)는 기체의 유동 특성이 서로 다르도록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기체 특성을 가지는 기체를 토출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체토출부(300)가 상기 토출베이스부(400)에 의해 상기 내측영역(314)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내측영역(316) 또는 상기 제2내측영역(318)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기체가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기체토출부(300)는 복수의 토출영역(310)에서 외측영역(312) 및 내측영역(314)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내측영역(314)이 선택된 상태에서 다시 제1내측영역(316) 및 제2내측영역(318)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체토출부(300)는 복수의 토출유로(320)에서 외측유로(322) 및 내측유로(324)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내측유로(324)가 선택된 상태에서 다시 제1내측유로(326) 및 제2내측유로(328)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체토출부(300)는 내측선택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측선택부(500)는 상기 토출베이스부(4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전단부(510)가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유로(326)는 상기 내측선택부(5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내측유로(328)는 상기 내측선택부(500)와 상기 토출베이스부(40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내측영역(316)은 상기 내측선택부(500)의 상기 전단부(510)에 마련되며, 상기 제2내측영역(318)은 상기 토출베이스부(400)의 상기 전면부(410)에 마련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선택부(500)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토출베이스부(400)의 내부에 내측선택부(500)가 삽입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내측선택부(500)는 토출베이스부(4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전단부(510)가 토출베이스부(400)의 전면부(410)에 배치되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내측선택부(500)는 내부에 제1내측유로(326)가 형성될 수 있고, 전단부(510)에 상기 제1내측유로(326)로부터 기체가 토출되는 제1내측영역(316)이 위치될 수 있다.
내측선택부(500)와 토출베이스부(400)의 외벽 사이에는 제2내측유로(328)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내측유로(326) 및 제2내측유로(328)는 내측선택부(500)의 외벽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제2내측유로(328)는 내측선택부(500)와 토출베이스부(400)의 외벽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내측유로(328)와 연통되어 기체가 토출되는 제2내측영역(318)은 토출베이스부(400)에서 내측선택부(500)의 전단부(51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즉, 토출베이스부(400)의 내부에서 내측선택부(500)와 토출베이스부(400) 사이의 제2내측유로(328)를 따라 유동되는 기체는 토출베이스부(400)의 전면부(410)에 형성되는 제2내측영역(318)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1내측유로(326)는 내측선택부(5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선택부(5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내측유로(326)를 따라 유동되는 기체는 상기 내측선택부(500)의 전단부(510)에 마련되는 제1내측영역(316)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내측개폐부(440)가 회전되어 제1내측홀(442)이 제2내측홀(452)과 마주보는 경우, 기체유로(150)를 통해 유동된 기체는 상기 제1내측홀(442) 및 제2내측홀(452)을 통해 토출베이스부(4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토출베이스부(4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는 다시 제1내측유로(326) 및 제2내측유로(328)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선택적으로 유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체토출부(300)는 상기 내측선택부(500)의 변위 형성에 따라 상기 제1내측영역(316) 및 상기 제2내측영역(318)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기체가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내측선택부(500)는 토출베이스부(400)의 내부에서 회전되거나 직선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내측영역(316) 및 제2내측영역(318)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기체가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베이스부(4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내측선택부(500)는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기체토출부(300)는 상기 토출베이스부(400)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외측영역(312) 및 상기 내측영역(314)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내측선택부(500)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내측영역(316) 및 상기 제2내측영역(318)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토출베이스부(400)를 회전시켜 외측유로(322) 및 내측유로(32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내측유로(324)를 선택한 상태에서 다시 내측선택부(5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내측유로(326) 및 제2내측유로(328)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위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토출영역(310)은 외측영역(312), 내측영역(314)의 제1내측영역(316) 및 내측영역(314)의 제2내측영역(318)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영역(312)은 상기 토출베이스부(400)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전면부(410)와 상기 본체부(100)의 상기 외벽(17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외측유로(322)의 기체가 토출될 수 있다.
제1내측영역(316)은 상기 내측선택부(500)의 상기 전단부(510)에 위치되고, 상기 제1내측유로(326)의 기체가 토출될 수 있다. 제2내측영역(318)은 상기 토출베이스부(400)의 상기 전면부(410)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2내측유로(328)의 기체가 토출될 수 있다.
외측영역(312)은 본체부(100)의 외벽(170)과 토출베이스부(400)의 전면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면을 통해 기체가 토출될 수 있고, 상기 제1내측영역(316)은 상기 내측선택부(500)의 상기 전단부(510)에 마련되는 개구로부터 기체가 토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내측영역(318)은 상기 토출베이스부(400)의 상기 전면부(410)에 마련되는 복수의 관통구로부터 기체가 토출될 수 있다.
기체토출부(300)는 토출베이스부(400)의 회전된 위치에 따라 외측영역(312) 및 내측영역(314)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기체가 토출될 수 있고, 내측영역(314)이 선택된 상태에서 내측선택부(500)의 직선 이동 위치에 따라 제1내측영역(316) 및 제2내측영역(318)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기체가 토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선택부(500)는 상기 토출베이스부(40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내측유로(326) 및 상기 제2내측유로(328) 중 어느 하나에 기체가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베이스부(400)는 유로연결홀(4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연결홀(480)은 상기 토출베이스부(400)의 내부에서 상기 제2내측유로(328)와 상기 제1내측홀(442)을 연통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내측선택부(500)는 유로연장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연장부(520)는 상기 전단부(51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로연결홀(480)을 관통하고, 내부에 상기 제2내측유로(328)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선택부(500)는 홀폐쇄부(5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홀폐쇄부(530)는 상기 유로연장부(520)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유로연결홀(480)을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체토출부(300)는 상기 내측선택부(500)가 이동되어 상기 홀폐쇄부(530)에 의해 상기 유로연결홀(480)이 차폐되면, 상기 제2내측유로(328)가 폐쇄되고 상기 제1내측유로(326)로 기체가 유동될 수 있다.
유로연결홀(480)은 토출베이스부(40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토출베이스부(400)의 내부에는 제1내측홀(442)과 전면부(410)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격벽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격벽상에는 상기 유로연결홀(48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기체토출부(300)는 제1내측홀(442)과 제2내측홀(452)이 연통되면, 본체부(100)의 기체유로(150)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가 토출베이스부(400)의 내부에서 상기 유로연결홀(480)을 지나 제2내측유로(328)로 유입되어 제2내측영역(318)을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로연결홀(480)이 폐쇄된 상태에서, 기체토출부(300)는 본체부(100)의 기체유로(150)로부터 유입되는 기체가 상기 격벽에 의해 제2내측유로(328)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체유로(150)로부터 전달되는 기체가 토출베이스부(400)의 내부에서 유로연결홀(480)을 통과하여 제2내측유로(328)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유로연장부(520)는 전후방향, 즉 기체 토출방향 또는 본체부(1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내측선택부(500)는 유로연장부(520)가 전단부(51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로연결홀(480)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로연결홀(480)이 개방된 상태에서, 기체유로(150)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는 유로연결홀(480)의 내주면과 상기 유로연장부(520) 사이로 유동되어 제2내측유로(328)로 유입될 수 있다.
유로연장부(520)는 내부에 제1내측영역(316)의 개구와 연통되는 제1내측유로(326)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연장부(520)는 후술할 내용과 같이 유로연결홀(480)과 제1내측홀(442) 사이의 일 지점에서 제1내측유로(326)가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폐쇄부(530)는 유로연장부(52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홀폐쇄부(530)는 유로연장부(520)로부터 유로연장부(52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토출베이스부(4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링 형상 또는 디스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홀폐쇄부(530)는 유로연장부(520)와 일체로 마련되거나 별개로 제조되어 상기 유로연장부(520)에 결합될 수 있다. 홀폐쇄부(530)는 유로연장부(520)와 함께 전후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폐쇄부(530)는 위치에 따라 유로연결홀(480)을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홀폐쇄부(530)는 단면의 직경이 상기 유로연결홀(480)의 직경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내측선택부(500)는 상기 홀폐쇄부(530)가 상기 유로연결홀(480)을 차폐하도록, 또는 상기 유로연결홀(480)이 형성되는 격벽에 접촉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측선택부(500)의 이동에 따라 홀폐쇄부(530)가 선택적으로 유로연결홀(480)을 차폐할 수 있고, 유로연결홀(480)이 차단되면 제2내측유로(328)가 폐쇄되며 제1내측유로(326)를 통해 기체가 유동되어 제1내측영역(316)을 통해 기체가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측선택부(500)가 이동되어 홀폐쇄부(530)가 유로연결홀(480)과 이격되어 제2내측유로(328)를 통해 기체가 유동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내측선택부(500)가 이동되어 홀폐쇄부(530)에 의해 유로연결홀(480)이 차폐되어 제2내측유로(328)가 폐쇄되고 제1내측유로(326)를 통해 기체가 유동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참고적으로,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토출베이스부(400)의 내부에서 제1내측홀(442)과 제2내측유로(328)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 및 상기 격벽에 마련되는 유로연결홀(480)이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내측선택부(500)의 유로연장부(520) 및 홀폐쇄부(530)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5 및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홀폐쇄부(530)는 상기 유로연결홀(480)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유로연장부(520)는 상기 홀폐쇄부(530)의 후방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1내측유로(326)와 연통되는 유로개구(5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베이스부(400)는 유로폐쇄부(4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폐쇄부(490)는 상기 유로개구(540)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내측선택부(5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유로개구(540)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체토출부(300)는 상기 내측선택부(500)가 이동되어 상기 유로폐쇄부(490)에 의해 상기 유로개구(540)가 차폐되면, 상기 제1내측유로(326)가 폐쇄되고 상기 제2내측유로(328)로 기체가 유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로연장부(520)는 내측선택부(500)의 전단부(51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후단부가 유로연결홀(480)보다 후방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유로연장부(520)는 홀폐쇄부(530)의 후방으로 제1내측유로(326)를 개방시키는 유로개구(5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내측유로(326)는 상기 유로개구(540)를 통해 토출베이스부(40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고, 유로개구(540)는 상기 유로연결홀(480) 및 홀폐쇄부(53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유로폐쇄부(490)는 토출베이스부(400)의 내부에 마련되고, 유로개구(54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유로개구(540)는 후방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내측선택부(500)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유로개구(540)와 유로폐쇄부(490)가 접촉되면, 제1내측유로(326)는 폐쇄되고 제2내측유로(328)는 개방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내측유로(326)는 폐쇄되고 제2내측유로(328)가 기체유로(150)와 연통되어 제2내측영역(318)을 통해 기체가 토출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내측선택부(500)는 유로폐쇄부(490)에 의해 유로개구(540)가 폐쇄되도록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내측선택부(500)가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유로연결홀(480)의 후방에 위치되는 홀폐쇄부(530)는 상기 유로연결홀(480) 또는 격벽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도 5에는 유로개구(540)가 유로폐쇄부(490)에 의해 차폐되어 제1내측유로(326)가 폐쇄되고, 홀폐쇄부(530)가 유로연결홀(480)로부터 이격되어 제2내측유로(328)를 통해 기체가 유동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유로폐쇄부(490)는 판상으로 마련되어 유로개구(540)와 접촉되어 상기 유로개구(540)를 차폐하도록 마련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폐쇄부(530)의 후방에서 상기 홀폐쇄부(530)에 의해 격리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유로폐쇄부(490)는 전방에 홀폐쇄부(530)가 밀착되어 공간이 밀폐되고, 상기 공간 내에 위치되는 유로개구(540) 또한 기체유로(150)와의 관계예서 폐쇄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내측유로(328)는 폐쇄되고 제1내측유로(326)가 기체유로(150)와 연통되어 제1내측영역(316)을 통해 기체가 토출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내측선택부(500)는 홀폐쇄부(530)에 의해 유로연결홀(480)이 차폐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내측선택부(500)가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유로폐쇄부(490)의 전방에 위치되는 유로개구(540)는 상기 유로폐쇄부(490)의 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도 6에는 유로연결홀(480)이 홀폐쇄부(530)에 의해 차폐되어 제2내측유로(328)가 폐쇄되고, 유로개구(540) 또는 홀폐쇄부(530)가 유로폐쇄부(490)로부터 이격되어 제1내측유로(326)를 통해 기체가 유동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참고적으로,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토출베이스부(400)에 마련되는 유로폐쇄부(490)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내측선택부(500)에 마련되는 유로개구(540)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5 및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체토출부(300)는 위치조절부(5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조절부(590)는 상기 회전결합부(460)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후방향에 따른 상기 내측선택부(50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내측선택부(500)는 내측이동부(550) 및 내측연결부(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측이동부(550)는 상기 회전결합부(46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위치조절부(590)에 의해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내측연결부(560)는 상기 내측이동부(550)와 상기 유로연장부(52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위치조절부(590)는 토출베이스부(400)의 회전결합부(46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위치조절부(590)는 토출베이스부(400)의 후단부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회전결합부(460)는 베이스수용부(470) 내부에 위치되고, 위치조절부(590)는 회전결합부(46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9에는 회전결합부(460)로부터 분리된 위치조절부(590)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회전결합부(460) 내부에 구비된 위치조절부(590)가 도시되어 있다.
위치조절부(590)는 내측선택부(50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위치조절부(590)는 전후방향 또는 본체부(100)의 길이방향 또는 기체 토출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위치조절부(590)는 내측선택부(500)를 직선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위치조절부(590)는 내측선택부(500)를 전방으로 가압 및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탄성부재에 의해 내측선택부(500)는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위치조절부(590)는 내측선택부(5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내측선택부(500)를 후방으로 가압 및 이동시킬 수 있고, 후방으로 이동된 내측선택부(500)는 위치조절부(590)의 고정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추가 조작에 따라 고정부에 의한 고정이 풀리면서 탄성부재에 의해 내측선택부(500)가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위치조절부(590)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내측선택부(500) 사이에 마련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는 고정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는 후크식 또는 홈으로 마련될 수 있고, 후방으로 이동된 내측선택부(50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는 가압부재가 후크 또는 홈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내측선택부(500)가 직접 고정부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고정부가 후크식 또는 홈 등의 형상을 포함하는 경우, 가압부재 또는 위치조절부(590)가 상기 고정부의 후크 또는 홈 등으로부터 고정이 해제됨에 따라, 탄성부재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가압부재가 내측선택부(5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선택부(500)는 사용자가 전방 및 후방으로 직접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제1위치에 고정되거나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내측이동부(550)는 내측선택부(500)의 유로연장부(520) 또는 홀폐쇄부(530)보다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위치조절부(59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내측선택부(500)는 상기 본체결합부 내부에 배치되는 내측이동부(550)가 위치조절부(590)의 탄성부재 또는 가압부재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유로연장부(520) 및 홀폐쇄부(530) 또한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내측이동부(550)는 위치조절부(590)와 결합되어 상기 위치조절부(590)로부터 전달되는 이동력을 내측선택부(500)로 제공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측선택부(500)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위치조절부(590)의 탄성부재가 압축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내측선택부(500)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위치조절부(590)의 탄성부재가 탄성 복원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위치조절부(590)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조절부(590)는 내측선택부(500)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모터 또는 기타 다양한 종류의 것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내측연결부(560)는 상기 내측이동부(550)와 상기 유로연장부(52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내측연결부(560)는 홀폐쇄부(530) 또는 유로연장부(52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내측연결부(56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홀폐쇄부(530) 또는 유로연장부(52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바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내측연결부(560)가 도시되어 있으며, 내측연결부(560)의 후단부에 내측이동부(550)가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내측연결부(56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본체부(100) 또는 토출베이스부(4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유로연장부(520)에 마련되는 유로개구(540)에 기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측선택부(500)는 유동가이드부(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동가이드부(570)는 상기 내측선택부(500)의 상기 전단부(510)에 마련되고, 상기 개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전방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측선택부(500)의 전단부(510)에 마련되는 유동가이드부(570)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토출베이스부(400)의 전면부(410)에서 전방으로 노출되는 유동가이드부(570)가 도시되어 있다.
유동가이드부(570)는 제1내측영역(316)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내측영역(316)은 내측선택부(500)의 전단부(510)에서 상기 유동가이드부(57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유동가이드부(570)는 내측선택부(500)의 전단부(510)에 마련되는 개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구로부터 토출되는 기체의 유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동가이드부(570)는 전방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증가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내측영역(316)으로 토출되는 기체는 유동가이드부(570)에 의해 기체 유동이 점차 확산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내측선택부(500)의 전단부(510)에 마련되는 개구보다 넓은 면적의 기체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측영역(312), 제1내측영역(316) 및 제2내측영역(318)을 통해 서로 다른 기체 특성을 가지는 기체를 사용자에게 토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토출영역(310)과 대응되도록 외측유로(322), 제1내측유로(326) 및 제2내측유로(328)가 마련됨에 따라 서로 다른 기체 특성을 가지는 기체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토출베이스부(400) 및 내측선택부(500)가 본체부(100)에 마련됨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노즐 등을 본체부(100)에 탈부착하는 번거러움이 없이 다양한 종류의 기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토출베이스부(400) 및 내측선택부(500)를 이용하여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한정된 공간을 활용하여 복수의 토출유로(320)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토출베이스부(400) 및 내측선택부(500)의 단순 조작을 통해 어느 하나의 토출영역(310) 및 토출유로(320)를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부 150 : 기체유로
160 : 온도조절유닛 200 : 손잡이부
220 : 기체유입부 222 : 기체유입홀
250 : 팬유닛 300 : 기체토출부
310 : 토출영역 312 : 외측영역
314 : 내측영역 316 : 제1내측영역
318 : 제2내측영역 320 : 토출유로
322 : 외측유로 324 : 내측유로
326 : 제1내측유로 328 : 제2내측유로
400 : 토출베이스부 420 : 제1외측개폐부
422 : 제1외측홀 430 : 제2외측개폐부
432 : 제2외측홀 440 : 제1내측개폐부
442 : 제1내측홀 450 : 제2내측개폐부
452 : 제2내측홀 460 : 회전결합부
470 : 베이스수용부 480 : 유로연결홀
490 : 유로폐쇄부 500 : 내측선택부
520 : 유로연장부 530 : 홀폐쇄부
540 : 유로개구 550 : 내측이동부
560 : 내측연결부 570 : 유동가이드부
590 : 위치조절부

Claims (14)

  1.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기체토출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토출부는 기체가 토출되는 복수의 토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토출영역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부터 기체가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헤어드라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토출영역은,
    본체부의 전방면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링 형상으로 마련되는 외측영역; 및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방면에 위치되고 상기 외측영역의 내측에 위치되는 내측영역;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토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전면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방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토출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영역은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토출베이스부의 상기 전면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내측영역은 상기 토출베이스부의 상기 전면부상에 위치되는 헤어드라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영역은 상기 전면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면을 통해 기체가 토출되는 헤어드라이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토출부는 상기 토출베이스부의 변위 형성에 따라 상기 외측영역 및 상기 내측영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기체가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헤어드라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베이스부는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외측영역 및 상기 내측영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마련되는 헤어드라이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영역은,
    상기 전면부의 중앙에 위치되는 제1내측영역; 및
    상기 전면부에 마련되며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제1내측영역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제2내측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토출부는 상기 외측영역, 상기 제1내측영역 및 상기 제2내측영역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부터 기체가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헤어드라이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토출부는 상기 토출베이스부에 의해 상기 내측영역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내측영역 또는 상기 제2내측영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기체가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헤어드라이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토출부는,
    상기 토출베이스부에 삽입되어 전단부가 상기 전면부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내측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내측영역은 상기 내측선택부의 상기 전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내측영역은 상기 토출베이스부의 상기 전면부에 마련되는 헤어드라이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토출부는 상기 내측선택부의 변위 형성에 따라 상기 제1내측영역 및 상기 제2내측영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기체가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헤어드라이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베이스부는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내측선택부는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기체토출부는 상기 토출베이스부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외측영역 및 상기 내측영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내측선택부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내측영역 및 상기 제2내측영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마련되는 헤어드라이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영역은 상기 내측선택부의 상기 전단부에 마련되는 개구로부터 기체가 토출되고,
    상기 제2내측영역은 상기 토출베이스부의 상기 전면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관통구로부터 기체가 토출되는 헤어드라이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선택부는,
    상기 내측선택부의 상기 전단부에 마련되고, 전방을 향할수록 내경이 증가되도록 마련되는 유동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토출영역은,
    본체부의 전방면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둘레방향를 따라 연장된 링 형상으로 마련되는 외측영역;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방면 중앙측에 위치되는 제1내측영역; 및
    상기 제1내측영역과 상기 외측영역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내측영역을 둘러싸는 제2내측영역;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PCT/KR2020/012330 2020-05-12 2020-09-11 헤어드라이어 WO202123043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545 2020-05-12
KR1020200056545A KR102366466B1 (ko) 2020-05-12 2020-05-12 헤어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0435A1 true WO2021230435A1 (ko) 2021-11-18

Family

ID=7851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2330 WO2021230435A1 (ko) 2020-05-12 2020-09-11 헤어드라이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96105B2 (ko)
KR (1) KR102366466B1 (ko)
WO (1) WO202123043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1800Y2 (ja) * 1991-05-23 1997-04-09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ヘアードライヤ
KR20100086409A (ko) * 2009-01-22 2010-07-30 장선숙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장치
KR20160052719A (ko) * 2013-09-26 2016-05-12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휴대용 기구
KR20160096888A (ko) * 2015-02-06 2016-08-17 탁월한아이디어발전소 협동조합 헤어드라이기
KR20190072170A (ko) * 2017-12-15 2019-06-25 이창희 헤어 드라이기의 송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5841U (ja) 1983-11-18 1985-06-1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サブマウント
US5157757A (en) * 1991-05-14 1992-10-20 China Pacific Trade Ltd. Hand held hair dryer with selectively positionable baffle for varying the distribution of air from the dryer
GB9124609D0 (en) * 1991-11-20 1992-01-08 Parkinson James W A diffuser
AU6509394A (en) 1993-04-16 1994-11-08 Beautronix (Hong Kong) Limited Hairdryers
FR2714580B1 (fr) * 1993-12-30 1996-02-09 Seb Sa Accessoire de coiffure pour appareil à sécher les cheveux.
US6038782A (en) * 1998-02-04 2000-03-21 Vital Hair Tools, Llc Blow dryer having airflow control means
US6199295B1 (en) * 1999-12-06 2001-03-13 Conair Corporation Variable-configuration hair dryer and nozzle
KR101059069B1 (ko) 2009-07-03 2011-08-26 민해정 사이클론 송풍관 헤어드라이어의 구조
WO2011100711A2 (en) * 2010-02-12 2011-08-18 Farouk Systems, Inc. Hair dryer
GB201205683D0 (en) 2012-03-30 2012-05-16 Dyson Technology Ltd A hand held appliance
EP2713806B1 (en) * 2012-08-09 2015-03-04 Koninklijke Philips N.V. Hair dryer with a device at the air outlet for changing the flow of air
GB2516478B (en) 2013-07-24 2016-03-16 Dyson Technology Ltd An attachment for a handheld appliance
KR101494686B1 (ko) 2014-10-15 2015-02-23 주식회사 신성산업 송풍방향 조절형 헤어드라이어
GB2538562B (en) * 2015-05-22 2018-04-18 Dyson Technology Ltd A hand held appliance
GB2539431B (en) * 2015-06-16 2018-01-03 Dyson Technology Ltd Diffuser
GB2539432B (en) * 2015-06-16 2019-01-09 Dyson Technology Ltd Diffuser
KR101946420B1 (ko) 2017-07-05 2019-05-08 유닉스전자 주식회사 풍속 변환 장치 및 헤어 드라이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1800Y2 (ja) * 1991-05-23 1997-04-09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ヘアードライヤ
KR20100086409A (ko) * 2009-01-22 2010-07-30 장선숙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장치
KR20160052719A (ko) * 2013-09-26 2016-05-12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휴대용 기구
KR20160096888A (ko) * 2015-02-06 2016-08-17 탁월한아이디어발전소 협동조합 헤어드라이기
KR20190072170A (ko) * 2017-12-15 2019-06-25 이창희 헤어 드라이기의 송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96105B2 (en) 2024-02-13
KR20210138335A (ko) 2021-11-19
US20210353030A1 (en) 2021-11-18
KR102366466B1 (ko)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06232A1 (ko) 헤어드라이어
WO2021206229A1 (ko)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WO2021071063A1 (ko) 헤어 드라이어
WO2021206234A1 (ko) 헤어드라이어
WO2021235646A1 (ko) 헤어 드라이어
WO2021206231A1 (ko)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WO2021206235A1 (ko)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WO2020145718A1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WO2021206230A1 (ko)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EP3058561A1 (en) Display apparatus
WO2021206233A1 (ko)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CN100535703C (zh) 透镜系统及使用该透镜系统的投影机
WO2021071061A2 (ko) 헤어 드라이어
WO2021071065A1 (ko) 헤어 드라이어
WO2021091228A1 (ko) 헬멧용 프론트 커버, 헬멧용 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헬멧
WO2020101408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WO2021235645A1 (ko) 헤어 드라이어
WO2021071062A1 (ko) 헤어 드라이어
WO2021071064A2 (ko)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방법
WO2021230435A1 (ko) 헤어드라이어
WO2021230433A1 (ko) 헤어드라이어
AU2019381567B2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WO2022158939A1 (ko) 헤어 드라이어
WO2020004839A1 (ko) 양 방향 토출 유로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WO2019194326A1 (ko) 웨이퍼 수납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353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353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