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72649A1 - 이산화염소 서방출 방법 - Google Patents

이산화염소 서방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72649A1
WO2021172649A1 PCT/KR2020/004032 KR2020004032W WO2021172649A1 WO 2021172649 A1 WO2021172649 A1 WO 2021172649A1 KR 2020004032 W KR2020004032 W KR 2020004032W WO 2021172649 A1 WO2021172649 A1 WO 202117264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hlorine dioxide
tablet
moisture
providing
desicc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403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정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그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그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그널
Publication of WO202117264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72649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8Vapour or smoke emitting compositions with delayed or sustain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2Oxides of chl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2Oxides of chlorine
    • C01B11/022Chlorine dioxide (ClO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product that releases chlorine dioxide. Specifically, in order to release chlorine dioxide slowly, the present invention mixes substances that react with moisture to generate chlorine dioxide, compresses them into one tablet, and mixes them with a substance that absorbs moisture and packs them. how to create it.
  • Chlorine dioxide is a very strong oxidizing agent and is excellent as a disinfectant or disinfectant.
  • chlorine dioxide exists as a gas in a natural state, and there is a risk of explosion even if it is only 10% in the atmosphere. Therefore, it is useful to make and use low-concentration chlorine dioxide gas in the field by using precursors and active materials that have stable chemical reactions.
  • a precursor sodium chlorite is representative.
  • the active material is mainly acid. That is, the precursor reacts with the acid to give ClO2 -.
  • Weak acids are mainly used to produce low-concentration chlorine dioxide gas.
  • alkali metals or alkaline earth metal chlorites continuously react with precursors such as sodium chlorite to generate chlorine dioxide.
  • the U.S. Department of Labor has set a chlorine dioxide concentration of 0.1 ppm/L, which is not harmful to workers who work 40 hours a week. And it is important to generate chlorine dioxide at a low concentration because most of the bacteria were killed within a few minutes to 24 hours at 0.01 ⁇ 0.05ppm as a result of various experiments. And since chlorine dioxide gas has a very strong property of being dissolved in water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water, it is dissolved in the alveoli through human respiration and kills bacteria attached to the alveoli or floating in the lungs. In the case of an adult, since the respiratory rate is 6-7 liters per minute, chlorine dioxide gas is eliminated by the user.
  • conventional products that generate chlorine dioxide generally separate and store chlorite and organic acid and mix them when using, or separate and store chlorite and persulfate with a thickener and absorbent resin and mix to generate chlorine dioxide. is composed
  • these conventional products generate excessive chlorine dioxide at the beginning of use, causing rejection by the smell of chlorine dioxide and safety problems due to excessive exposure to chlorine dioxide. Since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at the beginning and the second half is quite large, the effect of chlorine dioxide is hardly obtained in the second half of use.
  • Patent Publication Nos. 10-2019-0084395 and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0816 a method of absorbing chlorine dioxide into an adsorbent or a gel composition and packaging it in a porous film has been proposed, but these methods are also Since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emission amount of chlorine uniformly, the emission amount of chlorine dioxide is not uniform, so excessive chlorine dioxide is released at the beginning of use and the amount is insignificant at the end of use.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continuously expect it over a long period of time.
  • At least one precursor material, a reactant material, and a buffer materia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gel to cause a reaction, and contact is not made, and the reaction is provided from the beginning to obtain sustained release for a desired period.
  • a material providing chlorine dioxide and a reactant such as a solid acid that reacts with it to generate chlorine dioxide, a buffer material that controls acidity, or a preservation material that increases the period of content in water of chlorine dioxide, etc. Compress and make a tablet using a device, mix it with a substance that absorbs moisture, and use it to release chlorine dioxide.
  • Chlorine dioxide gas is used as a disinfectant, disinfectant, and deodorant.
  • a product that generates chlorine dioxide gas in any space, at any concentration, and for any period, so the application is infinite. Through this, it can be used not only in human health, but also in the fields of veterinary quarantine and distribution of fresh food.
  •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all methods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 An example is the reaction of sodium chlorate with a hydrogen chloride-based acid.
  • the component to be produced through this invention is chlorine dioxide gas, and this gas is typically used as a disinfectant, disinfectant, and deodorant.
  • the content component is chlorine dioxide water of any concentration.
  • the content component is a precursor component that produces chlorine dioxide and a component that reacts therewith to activate chlorine dioxide production.
  • a desiccant capable of absorbing moisture is provided.
  • the desiccant items include the most common silica gel, calcium chloride, etc., dry cellulose such as wood pulp, dehydrated polymer such as polyamide, xantham, agar, alginate, guar, etc. Any material that can absorb moisture is included.
  • the principle of action of the desiccant is that it absorbs moisture and supplies moisture to the tablets mixed together, and at the same time absorbs chlorine dioxide gas first. In addition, if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from the tablet is reduced, chlorine dioxide is also released from the desiccant at the same time, and the sustained release property is increased.
  • a component that becomes a gel upon absorption of moisture such as calcium chloride, is more effective.
  • Preferred content components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 precursor component that generates chlorine dioxide and a component that reacts with the precursor component to activate chlorine dioxide production. Mix these substances well and make a tablet by high-pressure compression, and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a desiccant, in this case, the tablet meets moisture and reacts slowly to generate chlorine dioxide, some of which is released into the air, and some of it is added to the desiccant. It is absorbed and then released into the air when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as generated is reduced in the future purification. In other words, due to the nature of the tablet to generate chlorine dioxide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water, all reactions do not occur at once, and as time goes by, as the desiccant absorbs moisture, the content components are gradually released. It is one of the key technologies to emit.
  • a substan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rate/stability of a chemical reaction acts as a buffer. This is for the control of pH, that is, acidity.
  • Alkaline phosphate is representative, disodium hydrogen phosphate, trisodium phosphate, tetrasodium pyrophosphate, sodium hexameta phosphate, sodium triphosphate tripolyphosphate), sodium dihydrogen phosphate, etc. are commonly used, and solid acids are also included. buffer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 a highly preferred container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V protected.
  • the opaque container shall be made of a barrier material. This is regardless of whether an opaque material that does not pass UV is used, or a material that blocks UV in the form of paint on top of a material that passes UV, surrounds it in the form of a film/film, or is attached through an adhesive.
  • UV protection methods UV reduces the chlorine dioxide gas that has already been generated.
  • the pH in the container is about 1.5 to about 5, preferably about 2 to about 4, more preferably about 2.5 to about 3.5 is preferred.
  • Sodium chlorite in this case is preferably a commercial grade 80% formulation.
  • the pH is preferably 2-3.
  • reaction formula of alkali metal and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 is as fo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는 방법은, 이산화염소 공급물질과 활성화 반응 물질로 이루어진, 내용물 성분을 제공하는 단계, 각각의 내용물 성분을 압축하여 정제를 형성하는 단계,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제를 제공하는 단계, 이렇게 제공된 정제와 흡습제를 함께 섞어서 사용하는 단계를 갖는다. 이러한 정제와 흡습제를 함께 섞으면, 공기 중 수분을 서서히 흡수하면서 수분과 정제가 반응하여 이산화염소 가스를 서서히 방출하는 제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이산화염소 서방출 방법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를 서방출하는 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를 서서히 방출시키기 위해, 수분과 반응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하는 물질들을 서로 혼합하고, 압축하여 하나의 정제로 만든 다음, 수분을 흡수하는 물질과 섞어서 포장함으로써 이산화염소를 생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산화염소는 아주 강력한 산화제로서 살균제나 소독제로 탁월하다. 그러나 이산화염소는 자연상태에서 가스로 존재하는데, 대기중 10%만 되어도 폭발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그래서 평상시 화학반응이 안정적인 전구체와 활성물질을 활용하여 저농도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현장에서 만들어 사용하는 편이 유용하다. 이러한 전구체로는 아염소산나트륨이 대표적이다. 활성물질은 산이 주로 사용된다. 즉, 전구체는 산과 반응하여 ClO2-를 제공한다. 저농도의 이산화염소 가스 생성을 위해서는 약산이 주로 이용된다. 산 뿐만이 아니라 알칼리메탈(alkali metal) 혹은 알칼리 토금속 클로라이트(alkaline earth metal chlorite) 등도 아염소산나트륨 등의 전구체와 지속적인 반응을 하며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킨다.
미국 노동부에서는 주 40시간 근무자에게 해롭지 않은 이산화염소 가스 농도를 0.1ppm/L으로 정했다. 그리고 각종 실험 결과 0.01~0.05ppm에서 수 분에서 24시간 이내에 대부분의 균이 사멸되었기 때문에 저농도로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산화염소 가스는 물과 만나면 물 속으로 용존되는 성질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사람의 호흡을 통해 폐포에 용존되어서 폐포에 부착되거나 폐속에 부유중인 균을 죽인다. 보통 성인의 경우 분당 호흡량이 6~7리터이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이산화염소 가스가 없어지기 때문에 공간내 적정 수준의 가스 농도 유지를 위해서는 공간의 크기, 발생량, 소모량 등 다양한 변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한편, 종래의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는 제품들은 일반적으로 아염소산염과 유기산을 분리 보관하여 사용시 이들을 혼합하거나 또는 아염소산염과 과황산염을 증점제 및 흡수성 수지와 분리보관하여 사용시 혼합하여 이산화염 소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품들은 사용초반에는 이산화염소가 과다하게 발생되어 이산화염소의 냄새에 의한 거부감과 이산화염소의 과다 노출에 의한 안전성의 문제를 일으키며, 사용 후반에는 이산화염소의 발생량이 급격하게 감소되어 사용초반과 후반의 이산화염소의 발생량의 차이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사용 후반에는 이산화염소의 효과를 거의 얻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19-0084395호 및 공개특허 제10-2015-010816호와 같이 이산화염소를 흡착제나 겔상 조성 물에 흡수시켜서 다공성 필름으로 포장하는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방법들 역시 이산화염소의 방출량을 균일하게 제어하기 곤란하여 이산화염소의 방출량이 균일하지 않아 사용초반에는 과량의 이산화염소가 방출되고 사용후반에는 발생량이 미미하기 때문에 이산화염소에 의한 항균, 소취효과 및 포름알데히드 제거효과를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기대하기 곤란한 단점을 가진다.
공개특허 제10-2019-0084395호의 경우, 기존 이산화염소를 발생하는 방법들은 고체형 담체에 이산화염소 공급물질을 담았다가 활성화 반응 물질과 반응을 일으켜서 사용하려고 했기 때문에 혼합물에 물을 부어야 했고, 액체 상태의 물질의 안정성을 위해 겔화제를 첨가하여야 하였고, 액체 상태의 안정성을 위해 밀폐 포장을 한 후 그 내부에 이산화염소 공급물질을 따로 보관하였다가 사용시 분리막 혹은 분리체를 파괴하여 물질들이 혼합하면서 이산화염소 가스를 발생하도록 했지만, 이마저도 반응의 속도 조절에 한계가 있어서 발생량이 균일하지 않았다. 또한 담체에 코팅을 하는 등의 기술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대략 5~10%의 전구물질이 활용되었기 때문에 무게/부피에 비해 사용기간은 길지 않다.
공개특허 제10-2015-010816호의 경우, 아염소산나트륨용액과 완충용액(약산)을 한데 섞은 후 겔 속에 주입을 하여 부직포 등에 넣어서 사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되면 이미 반응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 부직포의 기체 통과 면적을 통해 이산화염소가 통과하는 양을 조절하여 이산화염소의 사용량을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는 완충용액이라고 불렀지만, 이는 본 특허에서 말하는 반응물질에 불과하며, 별도의 완충물질을 사용함이 없이, 반응물질의 함유량을 조절하는 것만으로 반응을 일으키고 있어서, 다양한 경우에 가스의 발생량과 기간의 변동에 대처할 수 없다. 즉, 전구체 물질과 반응 물질, 완충물질은 적어도 하나 이상 겔 속에서 서로 분리가 되어서 반응을 일으켜 가면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고, 처음부터 반응이 시작된 상태로 제공이 되어서 원하는 기간에 원하는 만큼 서방출성을 얻을 수 없다.
공개번호 제10-2009-0122269호의 경우에도, 미리 전구물질과 반응물질을 반응시켜 이산화염소수를 제조한 후 이를 고분자화합물(겔)에 흡수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산화염소를 제공하는 물질과 이와 반응하여 이산화염소를 생성시키는 고체산 등 반응물질, 산도를 조절하는 완충물질 혹은 이산화염소의 수분내 함유기간을 늘려주는 보존물질 등을 잘 배합한 후 고압 장치를 이용하여 압축하고 정제를 만들고, 이를 수분을 흡수하는 물질과 섞어서 사용을 하게 하여 이산화염소를 서방출하도록 한다.
즉, 이산화염소를 발생하시키는 각종 반응의 단계의 물질들이 분말의 상태 혹은 물과 교반이 되는 상태에서는 전방위적으로 이산화염소를 발생하기 때문에 서방출을 제어하기 곤란한데, 이를 고압을 이용하여 정제로 만들어서 수분과 만나서 반응을 할 수 있는 표면적을 줄여서 서서히 반응이 일어나도록 한다. 다만, 정제 자체만으로 반응을 일으키려면 습도만이 반응의 변수로 작용하기에 저습도 상태에서는 이산화염소의 발생이 미미하여 살균력과 탈취력이 소기의 성과를 얻지 못할 수 있다. 그러므로 흡습제를 함께 섞어서 사용하게 되면 이를 극복하고 이산화염소를 서방출하게 된다.
이산화염소 가스는 살균제, 소독제, 탈취제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임의의 공간에, 임의의 농도로, 임의의 기간 동안 이산화염소 가스를 발생하는 제품을 만들 수 있기에 그 활용은 무궁무진하다. 이를 통해 인체의 건강은 물론 수의검역, 신선식품의 유통 등의 분야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본원 명세서에서의 모든 온도는,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섭씨(℃) 온도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한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최종 결과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기타 단계, 성분, 요소 등이 부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용어는 "이루어진" 및 "본질적으로 이루어진"이라는 용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가 현실과 다르더라도 본 발명의 진의를 파악하는데 방해를 주지 않고,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은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는 모든 방법을 포괄한다.
즉, 이산화염소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로서, 염소를 산화하는 방법(Oxidation of chlorite)은 대체로
2 NaClO 2 + Cl 2 → 2 ClO 2 + 2 NaCl
2 NaClO 2 + 2 HCl + NaOCl → 2 ClO 2 + 3 NaCl + H 2O
5 NaClO 2 + 4 HCl → 5 NaCl + 4 ClO 2 + 2 H 2O
4 ClO 2- + 2 H 2SO 4 → 2 ClO 2 + HClO 3 + 2 SO 42- + H 2O + HCl
이중 액체로 존재하는 물질의 경우, 섬유나 겔 등에 흡습시키고 말리는 등의 방법을 통해서 고형화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도 본 특허에 포함된다.
염소를 환원하는 방법(Reduction of chlorate)은 대체로
2 KClO 3 + 2 H 2C 2O 4 → K 2C 2O 4 + 2 ClO 2 + 2 CO 2 + 2 H 2O
2 KClO 3 + H 2C 2O 4 + 2 H 2SO 4 → 2 KHSO 4 + 2 ClO 2 + 2 CO 2 + 2 H 2O
그리고 아래의 방법도 널리 알려져 있는데,
chlorate + acid + reducing agent → chlorine dioxide + by-products
그 예시로 염소산나트륨(sodium chlorate)을 염화수소계열의 산과의 반응이 있다.
여기서 이산화염소가 생성되는 반응만 추려보면, 아래와 같다.
2 ClO 3- + 2 Cl- + 4 H+ → 2 ClO 2 + Cl 2 + 2 H 2O
그 외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은 반응식이 있다.
2 NaClO 2 + 2 H 2O → 2 ClO 2 + 2 NaOH + H 2
2 NaClO 2 + Cl 2 → 2 ClO 2 + 2 NaCl
여기에 나열되지 않더라도 압축하여 정제화하는 모든 경우가 본 발명에 포함된다.
즉, 이러한 발명을 통해 생성하려는 성분은 이산화염소 가스이며, 이 가스는 전형적으로 살균제, 소독제, 탈취제로 활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 내용물 성분은 임의의 농도의 이산화염소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내용물 성분은 이산화염소를 생성하는 전구체 성분과 이와 반응하여 이산화염소 생성을 활성화시키는 성분이다.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흡습제가 제공된다. 흡습제 품목은, 가장 흔한 실리카겔, 염화칼슘 등을 포함하여, 목재펄프 등 건조 셀룰로오스, 폴리아마이드 등 탈수 고분자폴리머, 크산툼, 한천, 알기네이트, 구아 등 겔을 만드는 물질 등등 현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 공지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모든 물질이 포함된다. 흡습제의 작용 원리는 수분을 흡수하여 함께 섞여 있는 정제에 수분을 공급하게 되고, 동시에 발생한 이산화염소 가스를 먼저 흡수하게 된다. 또한 정제에서 발생하는 이산화염소의 양이 줄어들게 되면 동시에 흡습제에서도 이산화염소를 방출하게 되어, 서방출성이 높아진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흡습제 품목은 염화칼슘처럼 수분을 흡수하면 겔형이 되는 성분이 더 유효하다.
다수의 보다 많은 이러한 예는 당업계 종사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향후 새로운 성분이 나오더라도 이 특허에서 주장하는 원리에 부합한다면, 이 특허에서 주장하는 겔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내용물 성분은 이산화염소를 생성하는 전구체 성분과 이와 반응하여 이산화염소 생성을 활성화시키는 성분이다. 이러한 물질들을 잘 섞어서 고압 압축의 방법으로 정제를 만들어서, 흡습제와 접촉시키면, 이 경우 정제는 수분과 만나서 서서히 반응을 통해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중 일부는 공기 중으로 방출되고, 이중 일부는 흡습제에 흡수되었다가 향후 정제에서 이산화염소가스의 발생량이 줄게 되면 공기 중으로 방출되게 된다. 즉, 정제가 수분과 닿아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는 특성상 한 번에 모든 반응이 일어나지 않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흡습제가 수분을 흡수함에 따라 서서히 내용 성분을 방출하게 되고, 이러한 성질이 이산화염소를 서방출하는 핵심 기술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 화학반응 속도/안정성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은 완충제(buffer)로 작용한다. 이는 pH, 즉 산도의 조절을 위해서이다. 알칼리 인산(alkaline phosphate)이 대표적이며, 인산수소2나트륨(disodium hydrogen phosphate), 인산삼나트륨(trisodium phosphate), 피로인산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헥사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 phosphate), 삼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인산2수소나트륨 등이 흔히 쓰이며, 고체산도 포함된다. 당업계 종사자에게 공지된 완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매우 바람직한 용기는 UV를 차단해야 한다. 불투명 용기를 차단물질로 만들어져야 한다. 이는 UV가 통과하지 못하는 불투명 재질을 사용하든, UV가 통과하는 재질이라면 그 위에 페인트형태로 UV를 차단하는 물질을 칠하든, 필름/막의 형태로 둘러싸든, 필름/막이 접착제를 통해 접착이 되든 당업계에 알려진 UV를 차단하는 방법에 따른다. UV는 이미 발생한 이산화염소 가스를 줄어들게 만든다.
이산화염소의 발생의 안정성, 겔 안정성 및/또는 염료 안정성의 개선을 위하여, 아염소산나트륨을 사용할 경우 용기 내 pH는 약 1.5 내지 약 5,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4,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아염소산나트륨은 바람직하게 상업 등급인 80% 제제를 사용한다. 알칼리메탈과 알칼리토금속클로라이트를 활성화물질로 사용할 때는 pH는 2~3이 바람직하다.
알칼리메탈과 알칼리토금속클로라이트의 작용 반응식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2ClO 2- + Cl 2 -> 2Cl- + 2ClO 2
당 업계에 공지된 기타 임의 물질이 혼합물, 겔 품목 또는 본 발명의 공정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인용된 모든 문헌은 관련 부분에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며, 어떠한 문헌의 인용도 이 문헌이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 기술이라는 것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가 참고로 포함된 문헌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와 상충되는 범위 내에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에 부여된 의미 또는 정의가 우선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형태가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다른 변경과 수정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 없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변경과 수정을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포함하고자 한다.
상시 공간방역
없음.

Claims (3)

  1. 서로 접촉하여 이산화염소를 생성할 수 있는, 이산화염소 제공물질(a')이와 반응하여 이산화염소를 생성시키는 활성화물질(a'')로 구성되는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A)
    위 물질들을 압축하여 정제를 제공하는 단계(B) 및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제를 제공하는 단계(C) 및
    정제와 흡습제를 한 용기에 제공하는 단계(D)를 포함하여 이산화염소 가스를 발생하는 제품을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내용물 성분 (a')과 (a'')는 각각 1 개 이상의 물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압축하여 정제를 형성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위 화학반응 속도/안정성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을 제공하는 방법.
PCT/KR2020/004032 2020-02-24 2020-03-25 이산화염소 서방출 방법 WO202117264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600 2020-02-24
KR1020200022600A KR20210107498A (ko) 2020-02-24 2020-02-24 이산화염소 서방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2649A1 true WO2021172649A1 (ko) 2021-09-02

Family

ID=77491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4032 WO2021172649A1 (ko) 2020-02-24 2020-03-25 이산화염소 서방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07498A (ko)
WO (1) WO202117264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7401A (zh) * 2022-04-25 2022-07-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抽屉、冰箱以及冰箱抽屉的湿度控制方法
CN114777401B (zh) * 2022-04-25 2024-05-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抽屉、冰箱以及冰箱抽屉的湿度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6213A (ja) * 1997-03-03 2001-09-25 エンゲルハード・コーポレーシヨン 二酸化塩素ガスの制御された放出を行うための方法、組成物及びシステム
KR20020050194A (ko) * 2002-04-29 2002-06-26 (주)에스케이 아쿠아테크 이산화염소의 장기 보존 및 미량 서방형 발생 장치 및제조 방법
KR20090013414A (ko) * 2007-08-01 2009-02-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이산화염소 용액 생성 고체 조성물
WO2013045649A1 (en) * 2011-09-30 2013-04-04 Kemira Oyj Production of chlorine dioxide release material
JP2013518799A (ja) * 2010-02-02 2013-05-23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カプセル化二酸化塩素発生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0394A (zh) 2007-03-15 2015-07-15 大幸药品株式会社 纯二氧化氯液剂、含有其的凝胶状组合物及发泡性组合物
KR101519205B1 (ko) 2013-07-18 2015-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캔드 모터 펌프
KR102008823B1 (ko) 2018-01-08 2019-08-08 곽일환 서방형 이산화염소 발생제형 및 이를 이용한 서방형 이산화염소 발생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6213A (ja) * 1997-03-03 2001-09-25 エンゲルハード・コーポレーシヨン 二酸化塩素ガスの制御された放出を行うための方法、組成物及びシステム
KR20020050194A (ko) * 2002-04-29 2002-06-26 (주)에스케이 아쿠아테크 이산화염소의 장기 보존 및 미량 서방형 발생 장치 및제조 방법
KR20090013414A (ko) * 2007-08-01 2009-02-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이산화염소 용액 생성 고체 조성물
JP2013518799A (ja) * 2010-02-02 2013-05-23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カプセル化二酸化塩素発生剤
WO2013045649A1 (en) * 2011-09-30 2013-04-04 Kemira Oyj Production of chlorine dioxide release materi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7401A (zh) * 2022-04-25 2022-07-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抽屉、冰箱以及冰箱抽屉的湿度控制方法
CN114777401B (zh) * 2022-04-25 2024-05-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抽屉、冰箱以及冰箱抽屉的湿度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498A (ko)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66406A (zh) 一种接触式二元二氧化氯缓释凝胶及制备方法
KR102008823B1 (ko) 서방형 이산화염소 발생제형 및 이를 이용한 서방형 이산화염소 발생팩
EP2716599B1 (en) Chlorine dioxide-containing product and method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AU723103B2 (en) Sustained release biocidal powders
ES2265645T3 (es) Composiciones biocidas transparentes de liberacion prolongada.
TWI466635B (zh) 不具細胞毒性之二氧化氯流體
WO2014064782A1 (ja) 二酸化塩素ガス発生剤パック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保存方法
US20060039840A1 (en) Device and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chlorine dioxide vapor
KR20080097415A (ko) 이산화염소 발생 조성물
CA2640291A1 (en) Thickened fluid composition comprising chlorine dioxide
JP5662244B2 (ja) 二酸化塩素ガス発生剤パック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保存方法
KR102470703B1 (ko) 이산화염소 가스의 발생 방법, 액체 조성물, 겔상 조성물 및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키트
JPH04164005A (ja) 環境浄化組成物
CN111226979A (zh) 反应型二氧化氯固体制剂及其制备方法
WO2021172649A1 (ko) 이산화염소 서방출 방법
CN113662004A (zh) 一种以沸石为载体的缓释型二氧化氯消毒卡片
CN113083171A (zh) 一种复合光触媒的ClO2缓释凝胶的制备方法
JP2746928B2 (ja) 二酸化塩素ガス発生器
CN105010389B (zh) 一种缓释型二氧化氯粉剂及其制备方法
KR20210011770A (ko)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선도유지제와 이의 제조방법
JPH044283B2 (ko)
KR20110074402A (ko) 이산화염소 발생 조성물
CN113812419A (zh) 一种二氧化氯泡腾消毒锭片
JPH04349104A (ja) 粉末又は粒状環境浄化組成物
KR20210107490A (ko) 이산화염소의 발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224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224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224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18/10/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