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67312A1 - 라이다 센서를 구비한 터치 인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라이다 센서를 구비한 터치 인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67312A1
WO2021167312A1 PCT/KR2021/001945 KR2021001945W WO2021167312A1 WO 2021167312 A1 WO2021167312 A1 WO 2021167312A1 KR 2021001945 W KR2021001945 W KR 2021001945W WO 2021167312 A1 WO2021167312 A1 WO 202116731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ouch object
coordinates
touch
frame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194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기환
구경모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픽셀스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픽셀스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픽셀스코프
Priority to CN202180027951.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5668113A/zh
Priority to US17/801,043 priority patent/US11868567B2/en
Publication of WO202116731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67312A1/ko
Priority to US18/522,853 priority patent/US2024011138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a touch having a lidar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a touch object using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lidar sensor.
  • the method of using the piezoelectric sensor is similar to the method of the DDR pump machine found in the arcade, and since the sensor must be installed below the location where the touch actually occurs, the difficulty of recognizing the touch around the sensor and the failure of the sensor due to touch There is a problem that this easily occurs.
  • the method using 3D image information can acquir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and distance of the touch moment, but there is a technical difficulty in tha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a person in the image and track it in order to recognize a touch in the image informa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to recognize a touch using a lidar senso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a state of a touch object using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a lidar sensor, and to recognize a user's movement.
  •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a method in which a server recognizes a touch of an object, a step of extracting the coordinates of the object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bject sensed through a lidar sensor; Step b of calculating the first touch object of the first frame and the first coordinates of the first touch object by performing clustering on the coordinates of the object extracted from the first frame, the first touch object and the first touch object Step c of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first touch object by using first coordinates, Step d of converting the first coordinates into real coordinates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coordinates are located in a preset effective area, and the second step and a step e of displaying the first touch object at the actual coordinate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touch object is located in the effective area.
  • a sensor unit generating sensing information by detecting at least one object through a lidar sensor, a coordinate extracting unit extracting coordinates of the object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a first A data manager configured to perform clustering on the coordinates of the object extracted from the frame to extract the first touch object of the first frame and the first coordinates of the first touch object, the first touch object, and the first coordinates a stat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state of the first touch object using 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the first touch object at the actual coordinates when the touch object is located in the effective area.
  •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user's movement by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touch object using th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lidar sensor.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ense of reality to a user using the content by providing a touch recognition technology with high accuracy in a technology related to body motion recognition such as AR and VR content.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uch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recognizing a touch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a touch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touch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each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processor, respectively, the above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into one hardware processor, or the above component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hardware processors.
  • the touch recognition device includes a sensor unit 100 , a coordinate extraction unit 200 , a data management unit 300 , a state determination unit 400 , a conversion unit 500 , a motion recognition unit 600 , and A display unit 700 may be included.
  • the sensor unit 100 may detect at least one object through a lidar sensor and generate sensing information for each object.
  • LiDAR sensor is a technology that calculates the distance based on the time it takes for the light to return by recognizing that it is reflected off an object after emitting light. LiDAR sensors are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utonomous vehicle driving, construction, and aerial surveying. The lidar sensor may acquire relatively accurate distance information compared to other distance sensors.
  • the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tance to an object, a direction, a speed, a temperature, a material distribution and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or 3D image information.
  • the sensor unit 100 senses the floor at a distance of about 4.6 m at an angle of 180 degrees in front, so that it can recognize a motion of the user touching the floor in the sensingable area.
  • the sensingable area may depend on the performance of the lidar sensor used.
  • the coordinate extraction unit 200 may extract the coordinates of the object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for all frames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00 .
  • the coordinate extraction unit 200 will extract coordinates only for the recognized touch object within a preset angle range.
  • the coordinate extraction unit 200 may extract the coordinates of the object by using the distance and the direction included in the sensing information.
  • the coordinates of the object extracted by the coordinate extraction unit 200 mean not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an actual area, but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a two-dimensional distance map having the location where the sensor unit 100 is installed as an origin.
  • the coordinate extractor 200 may display the object for each frame in a planar coordinate system that is a two-dimensional distance map according to coordinates.
  • the coordinate extractor 200 may display the object included in the first frame at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of the first planar coordinate system, and may display the object included in the second frame at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of the second planar coordinate system. In this way, the coordinate extraction unit 200 will allocate a planar coordinate system for each frame.
  • the data management unit 300 may perform clustering on at least one or more objects displayed in a planar coordinate system to extract a touch object and its coordinates from each frame.
  • the data manager 300 may extract the first touch object of the first frame and the first coordinates of the first touch object by using a planar coordinate system in which objects belonging to the first frame are displayed.
  • the data management unit 300 calculates a first distance between coordinates of an object extracted from the first frame, and performs clustering to form a cluster according to the distance.
  • the data manager 300 sets the cluster generated by performing clustering by comparing the first distance with a preset first distance threshold as the first touch object.
  • the data manager 300 may view at least one or more objects included in the cluster,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s extracted from the first fram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distance threshold, as the first touch object. If there are a plurality of clusters in the first frame, the data management unit 300 may also set a plurality of first touch objects. The data management unit 300 may form at least one cluster based on the coordinates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in the first frame.
  • the data management unit 300 When the data management unit 300 sets the first touch object, it will extract the first coordinates of the first touch object.
  • the first coordinate may be a point or an area.
  • the touch object list may include the first touch object, the first coordinates of the first touch object, and the number of objects belonging to the first touch object.
  • the data manager 300 may determine noise from the first touch object included in the touch object list by using the number of object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object.
  • the data manager 300 may determine the first touch object as noise when the number of object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objec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level.
  • the predetermined level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administrator.
  • the data management unit 300 will remove the first touch object determined as noise from the touch object list.
  • the process of removing the first touch object determined as noise from the touch object list may be performed before or after adding information on the first touch object to the touch object list.
  •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400 will determine the state of the first touch object by using the first touch object and the first coordinates of the first frame extracted from the data management unit 300 included in the touch object list. Referring to FIG. 4 , in order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first touch object, the state determiner 400 may consider a second frame that is a previous frame continuous with the first frame, and a third frame that is a next frame.
  • the state determiner 400 will check whether the second touch object exists in the second frame. According to (1) of FIG. 4 , if the second touch object does not exist in the second frame, the state determiner 400 may determine the first touch object as the enter state. This means that there is no sensing information in the previous frame, but a new touch object is sensed, and the new touch object is recognized.
  • the enter state is similar to pressing the mouse button.
  • the state determiner 400 may calculate a second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ordinates and the second coordinates of the second touch object in the second frame. According to (2) of FIG. 4 ,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400 compares the second distance with a preset second distance threshold value, and when the second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second distance threshold value, the first touch object enters the enter state. can judge The state determiner 400 may determine that a new touch object is recognized because the first touch object is located in a different area from the second touch object.
  •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400 may determine the first touch object as a stay state.
  • the stay state may provide information that a touch object having already sensed information continues to exist.
  • the state determining unit 400 determines that the first coordinate and the second coordinate are not the same, and when the second distance is less than the second distance threshold, the first A touch object may be determined as a move state.
  • the move state is similar to the state of dragging the mouse.
  • the state determiner 400 may determine the first touch object as an exit state. This means that the first touch object no longer exists in the third frame, and the exit state is similar to the state in which the mouse button is released.
  • the state determiner 400 calculates a third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ordinates and the third coordinates of the third touch object in the third frame. can do.
  •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400 may compare the third distance with a preset second distance threshold, and if the third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second distance threshold, determine the first touch object as an exit state. Since the first touch object and the third touch object are located in different regions, the state determiner 400 may determine that the first touch object disappears and a new third touch object is recognized.
  •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400 may determine the first touch object as a stay state or a move state when the third distance is smaller than the second distance threshold value.
  • the state determiner 400 may determine the state of the first touch object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various cases as at least one touch object exists for each frame.
  • the transform unit 500 may convert the first coordinates into real coordinates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touch object is located in a preset effective area.
  • the effective area may be the entire sensing area or an area obtained by dividing the entire sensing area. In the touch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tting an effective area, it can be confirmed that a touch object enters a specific area or that the touch object is recognized at a specific location.
  • the motion recognizer 600 may recognize the movement of the touch object located in the effective area.
  • the motion recognition unit 600 measures the speed of a user's footsteps based on the touch object located in the effective area, or analyzes information of the touch object recognized in the effective area to sequentially move the area or stay in a specific area. time can be measured.
  • the motion recognition unit 600 may use the actual coordinates of the touch object and the time at which the touch object is recognized in order to recognize the above-described movement of the touch object.
  • the motion recognition unit 600 detects the recognized touch object for 1 minute and 10.09 seconds. It will be judged that it stayed in the effective area.
  • the motion recognition unit 600 may measure a touch count such as a jump within the effective area.
  • the motion recognition unit 600 may determine the number of jumps by determining that the user is jumping when the first touch object repeatedly appears at the same first coordinate in several consecutive frames.
  • the motion recognizer 600 may track the movement of the user using the first recognized touch object, the last recognized touch object, and a touch object existing therebetween in the effective area. In addition, the motion recognition unit 600 may also track a motion of lifting or dragging an object located at a specific location.
  • the touch recogni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module including a depth camera and/or a 3D camera to simultaneously photograph the same area as the sensor unit 100 .
  • the motion recognition unit 600 may recognize not only the movement of the touch object, but also the entire user's movement from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Since the motion of the touch object can only detect the motion of simply touching the floor,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information on how the user's body is moving by further including a camera module.
  • the display unit 700 may display a touch object for the effective area.
  • the beam projector may be used to display the screen on which the touch objec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700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actual coordinates, that is, in the effective area of the sensor.
  • the display unit 700 may induce the user to touch the target position by not only displaying the touch object, but also displaying the target position where the touch object should be located. At this time, the target location will be display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ser's body information.
  • the display unit 700 may set the same effective area in each area to induce multi-touch. Also, the display unit 700 may induce the user to touch a specific section reciprocally.
  • the display unit 700 may induce a user's movement by displaying the target location.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the touch recogni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guide a user to an appropriate exercise posture. The user may correct the exercise posture by checking the target posi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700 and touching the target position with a hand and/or a foot.
  • the touch recognition device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rver.
  • the server may detect at least one object from the lidar sensor and generate sensing information for each object.
  • the sens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istance, direction, speed, temperature, material distribution and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from the sensor to the object, or 3D image information.
  • the lidar sensor may recognize a motion of the user touching the floor.
  • the server may extract the coordinates of the object based on all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lidar sensor.
  • the server may extract coordinates only for the recognized touch object within the preset angle range. More specifically, the server may extract the coordinates of the object by us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included in the sensing information.
  • the coordinates of the object mean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two-dimensional distance map having the location where the sensor is installed as the origin.
  • the server may display the coordinates of the extracted object in a planar coordinate system.
  • the server may perform clustering on at least one or more objects displayed in the planar coordinate system to extract the first touch object of the first frame and the first coordinates of the first touch object.
  • the server calculates a first distance between coordinates of each object in a plane coordinate system in which an object for the first frame is displayed, and performs clustering to form a cluster according to the distance.
  • the server may view at least one or more objects included in the cluster having the first distance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distance threshold value as the first touch object.
  • a plurality of clusters are formed in the first frame, a plurality of first touch objects may also be formed. In this case, sensing information of an object not included in the first touch object will be deleted.
  • the server may extract the first coordinates of the first touch object.
  • the first coordinate may be a point or an area.
  • the server will determine the state of the first touch object by using the first touch object and its first coordinates. In order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first touch object, the server may consider a previous frame (second frame) and a next frame (third frame) that are continuous with the first frame.
  • the server may determine the first touch object as an enter state.
  • the server may calculate a second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ordinates and the second coordinates of the second touch object. In this case, if the second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second distance threshold, the server may determine the first touch object as an enter state.
  • the server puts the first touch object in a stay state, and if the first coordinates and the second coordinates are not the same, the first touch An object can be judged as a move state.
  • the server may determine the first touch object as an exit state.
  • the server may calculate a third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ordinates and the third coordinates of the third touch object. In this case, if the third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third distance threshold, the first touch object may be determined as an exit state, otherwise, it may be determined as a stay state or a move state.
  • the effective area may be the entire sensing area or an area obtained by dividing the entire sensing area.
  • the server will display the first touch object on the display unit.
  • the display unit may use a beam projector capable of displaying the screen on which the touch object is display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ctual coordinates, ie,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다 센서를 구비한 터치 인식 방법 및 장치로, 라이다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를 인식 및 터치의 모션을 판단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라이다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객체의 좌표를 추출하는 a 단계, 제1 프레임에서 추출된 상기 객체의 좌표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제1 터치 객체 및 상기 제1 터치 객체의 제1 좌표를 연산하는 b 단계, 상기 제1 터치 객체 및 상기 제1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터치 객체의 상태를 판단하는 c 단계, 상기 제1 좌표를 실제 좌표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좌표가 기 설정된 유효 영역에 위치하는 지 판단하는 d 단계, 및 상기 제1 터치 객체가 상기 유효 영역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실제 좌표에 상기 제1 터치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e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라이다 센서를 구비한 터치 인식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라이다 센서를 구비한 터치 인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라이다 센서를 통해 수집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객체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터치와 같은 모션을 인식하는 데에는, 압전 센서를 사용하는 방법과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키넥트, 인텔사의 리얼센스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여 3차원 영상 정보를 사용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압전 센서를 사용하는 방법은, 오락실에서 볼 수 있는 DDR 펌프 기계의 방식과 유사하여, 실제로 터치가 발생하는 위치 아래에 센서가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센서 주변부의 터치 인식의 어려움과 터치로 인한 센서의 고장이 쉽게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3차원 영상 정보를 사용하는 방법은, 터치 순간의 위치, 거리 등의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영상 정보에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영상에서 사람을 인식하고 이를 추적해야 한다는 기술적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라이다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를 인식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라이다 센서로부터 획득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객체의 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버가 객체의 터치를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라이다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객체의 좌표를 추출하는 a 단계, 제1 프레임에서 추출된 상기 객체의 좌표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제1 터치 객체 및 상기 제1 터치 객체의 제1 좌표를 연산하는 b 단계, 상기 제1 터치 객체 및 상기 제1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터치 객체의 상태를 판단하는 c 단계, 상기 제1 좌표를 실제 좌표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좌표가 기 설정된 유효 영역에 위치하는 지 판단하는 d 단계, 및 상기 제1 터치 객체가 상기 유효 영역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실제 좌표에 상기 제1 터치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e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객체의 터치를 인식하는 장치에 있어서, 라이다 센서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감지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객체의 좌표를 추출하는 좌표 추출부, 제1 프레임에서 추출된 상기 객체의 좌표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제1 터치 객체 및 상기 제1 터치 객체의 제1 좌표를 추출하는 데이터 관리부, 상기 제1 터치 객체 및 상기 제1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터치 객체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상기 제1 좌표를 실제 좌표로 변환하여, 상기 제1 터치 객체가 기 설정된 유효 영역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변환부 및 상기 제1 터치 객체가 상기 유효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실제 좌표에 상기 제1 터치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라이다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를 인식할 수 있어, 큰 장비 없이 소형 센서 설치만으로 터치를 인식할 수 있어 공간 구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라이다 센서로부터 획득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객체의 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R, VR 컨텐츠와 같은 신체 동작 인식과 관련된 기술에서 높은 정확도의 터치 인식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실재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인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터치 객체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터치 객체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되며,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모든 조합은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식으로 규정하지 않는 한, 단수에 대한 언급은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단수 표현에 대한 언급은 또한 복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예시적 실시 예들을 설명할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한정할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단수적 표현들은 또한, 해당 문장에서 명확하게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용어 "및/또는," "그리고/또는"은 그 관련되어 나열되는 항목들의 모든 조합들 및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포함하고 있는", "구비하는", "갖는", "가지고 있는" 등은 내포적 의미를 갖는 바, 이에 따라 이러한 용어들은 그 기재된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컴포넌트를 특정하며,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컴포넌트,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혹은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의 단계 들, 프로세스들, 동작들은, 구체적으로 그 수행 순서가 확정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이들의 수행을 논의된 혹은 예시된 그러한 특정 순서로 반드시 해야 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추가적인 혹은 대안적인 단계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는 각각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위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위 구성요소들이 서로 조합되어 복수 개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인식 장치의 대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터치 인식 장치는 센서부(100), 좌표 추출부(200), 데이터 관리부(300), 상태 판단부(400), 변환부(500), 모션 인식부(600), 그리고 디스플레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00)는 라이다 센서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감지하여, 객체 별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라이다 센서(LiDAR) 센서는 빛을 방출한 후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것을 인식하여 빛이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통해 거리를 연산하는 기술이다. 라이다 센서는 차량의 자율주행 분야, 건설 분야, 항공측량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라이다 센서는 다른 거리 센서와 대비하여 비교적 정확한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부(100)를 통해 생성된 센싱 정보는 객체 까지의 거리, 방향, 속도, 온도, 물질 분포 및 농도 특성 또는 3D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00)는 전방 180도 각도로 약 4.6m의 거리의 바닥을 센싱함으로써, 센싱 가능 영역에서 사용자가 바닥을 터치하는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센싱 가능 영역은 사용되는 라이다 센서의 성능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좌표 추출부(200)는 센서부(100)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프레임에 대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객체의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좌표 추출부(200)는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인식된 터치 객체에 대해서만 좌표를 추출할 것이다.
좌표 추출부(200)는 센싱 정보에 포함된 거리와 방향을 이용하여 객체의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좌표 추출부(200)에서 추출되는 객체의 좌표는 실제 영역에 대응되는 좌표가 아닌, 센서부(100)가 설치된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2차원 거리맵에 대응되는 좌표를 의미한다.
좌표 추출부(200)는 각 프레임 별 객체를 좌표에 따라 2차원 거리맵인 평면 좌표계에 표시할 수 있다. 좌표 추출부(200)는 제1 프레임에 포함된 객체를 제1 평면 좌표계의 해당 좌표에 표시할 수 있고, 제2 프레임에 포함된 객체를 제2 평면 좌표계의 해당 좌표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표 추출부(200)는 프레임마다 평면 좌표계를 할당할 것이다.
데이터 관리부(300)는 평면 좌표계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각 프레임에서 터치 객체 및 그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300)는 제1 프레임에 속한 객체를 표시한 평면 좌표계를 이용하여 제1 프레임의 제1 터치 객체 및 제1 터치 객체의 제1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300)는 제1 프레임에서 추출한 객체의 좌표들 간의 제1 거리를 연산하여, 거리에 따라 군집을 형성하는 클러스터링을 수행할 것이다. 데이터 관리부(300)는 제1 거리와 기 설정된 제1 거리 임계 값을 비교하여 클러스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군집을 제1 터치 객체로 설정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관리부(300)는 제1 프레임에서 추출된 객체들 간의 거리가 제1 거리 임계 값 이하인, 군집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제1 터치 객체로 볼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300)는 제1 프레임에 군집이 복수 개 있으면, 제1 터치 객체도 복수 개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300)는 제1 프레임에서 센싱 정보에 따른 좌표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군집을 형성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300)는 제1 터치 객체를 설정하면, 제1 터치 객체의 제1 좌표를 추출할 것이다. 이 때, 제1 좌표는 한 점일 수도 있고 영역일 수도 있다. 이 때, 터치 객체 리스트는 제1 터치 객체, 제1 터치 객체의 제1 좌표, 제1 터치 객체에 속하는 객체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관리부(300)는 터치 객체 리스트에 포함된 제1 터치 객체에서, 제1 터치 객체에 포함된 객체의 수를 이용하여 노이즈를 판단할 것이다. 데이터 관리부(300)는 제1 터치 객체에 포함된 객체의 수가 일정 수준 미만이면 제1 터치 객체를 노이즈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일정 수준은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300)는 노이즈라고 판단된 제1 터치 객체를 터치 객체 리스트에서 제거할 것이다.
노이즈라고 판단된 제1 터치 객체를 터치 객체 리스트에서 제거하는 과정은, 제1 터치 객체에 대한 정보를 터치 객체 리스트에 추가하기 이전에 수행될 수도,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상태 판단부(400)는 터치 객체 리스트에 포함된 데이터 관리부(300)로부터 추출된 제1 프레임의 제1 터치 객체 및 제1 좌표를 이용하여, 제1 터치 객체의 상태를 판단할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태 판단부(400)는 제1 터치 객체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제1 프레임과 연속하는 이전 프레임인 제2 프레임과 다음 프레임인 제3 프레임을 고려할 수 있다.
상태 판단부(400)는 제2 프레임에 제2 터치 객체가 존재하는 지 확인할 것이다. 도 4의 (1)에 따르면, 상태 판단부(400)는 제2 프레임에 제2 터치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1 터치 객체를 enter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이전 프레임에서 센싱 정보가 없다가 새로운 터치 객체가 센싱된 것으로, 새로운 터치 객체가 인식되었음을 의미한다. enter 상태는 마우스 버튼을 누르는 상태와 유사하다.
상태 판단부(400)는 제2 프레임에 제2 터치 객체가 존재하면, 제1 좌표와 제2 프레임에서의 제2 터치 객체의 제2 좌표 사이의 제2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도 4의 (2)에 따르면, 상태 판단부(400)는 제2 거리와 기 설정된 제2 거리 임계 값을 비교하여, 제2 거리가 제2 거리 임계 값보다 크면 제1 터치 객체를 enter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상태 판단부(400)는 제1 터치 객체가 제2 터치 객체와는 다른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새로운 터치 객체가 인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4의 (3)에 따르면, 상태 판단부(400)는 제1 좌표와 제2 좌표가 동일하면 제1 터치 객체를 stay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stay 상태는 이미 센싱 정보가 있는 터치 객체가 계속하여 존재한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4의 (4)에 따르면, 상태 판단부(400)는 상태 판단부(400)는 제1 좌표와 제2 좌표가 동일하지 않고, 제2 거리가 제2 거리 임계 값보다 작으면, 제1 터치 객체를 move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제2 프레임에 센싱 정보가 존재하나, 제1 프레임에서는 같은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서 센싱된 것으로, 터치 객체가 이동하였음을 의미한다. move 상태는 마우스를 드래그하는 상태와 유사하다.
도 4의 (5)에 따르면, 상태 판단부(400)는 제3 프레임에 제3 터치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1 터치 객체를 exit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제1 터치 객체가 제3 프레임에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exit 상태는 마우스 버튼을 떼는 상태와 유사하다.
도 4에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태 판단부(400)는 제3 프레임에 제3 터치 객체가 존재하면, 제1 좌표와 제3 프레임에서 제3 터치 객체의 제3 좌표 사이의 제3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상태 판단부(400)는 제3 거리와 기 설정된 제2 거리 임계 값을 비교하여, 제3 거리가 제2 거리 임계 값 보다 크면 제1 터치 객체를 exit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상태 판단부(400)는 제1 터치 객체와 제3 터치 객체가 다른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 터치 객체가 사라지고 새로운 제3 터치 객체가 인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태 판단부(400)는 제3 거리가 제2 거리 임계 값보다 작으면 제1 터치 객체를 stay 상태 또는 move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상태 판단부(400)는 제1 터치 객체를 판단함에 있어서, 일 프레임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객체가 존재함에 따라, 다양한 경우의 수를 고려하여 제1 터치 객체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변환부(500)는 제1 좌표를 실제 좌표로 변환하여 제1 터치 객체가 기 설정된 유효 영역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유효 영역은 전체 센싱 영역일 수 있고, 전체 센싱 영역을 분할한 영역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인식 방법은, 유효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특정 영역 내에 터치 객체가 진입하거나 특정 위치에서 터치 객체가 인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모션 인식부(600)는 유효 영역에 위치한 터치 객체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모션 인식부(600)는 유효 영역에 위치한 터치 객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뛰는 발걸음의 속도를 측정하거나, 유효 영역에서 인식되는 터치 객체의 정보를 분석하여 영역을 순차적으로 움직이는 동작이나 특정 영역에 머무르는 시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모션 인식부(600)는 상술한 터치 객체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해 터치 객체의 실제 좌표와 터치 객체가 인식된 시간을 이용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유효 영역에서 터치 객체가 12시 24분 31.44초에 처음 인식되고, 12시 25분 41.53초에 마지막으로 인식되면, 모션 인식부(600)는 인식된 터치 객체가 1분 10.09초동안 유효 영역에 머물렀다고 판단할 것이다.
모션 인식부(600)는 유효 영역 내에서 점프와 같은 터치 카운트를 측정할 수 있다. 모션 인식부(600)는 여러 개의 연속되는 프레임에서, 제1 터치 객체가 동일한 제1 좌표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면 사용자가 점프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점프 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
모션 인식부(600)는 유효 영역에서 처음 인식된 터치 객체와 마지막으로 인식된 터치 객체, 그리고 그 사이에 존재하는 터치 객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선을 추적할 수 있다. 또한 모션 인식부(600)는 특정 위치에 위치한 물체를 들어서 혹은 끌어서 옮기는 모션에 대한 추적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터치 인식 장치는 깊이 카메라 및/또는 3D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더 구비하여, 센서부(100)와 동일한 영역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 모션 인식부(600)는 터치 객체의 움직임 뿐 아니라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된 영상으로 사용자 움직임 전체를 파악할 수 있다. 터치 객체의 움직임은 단순히 바닥을 터치하는 동작만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더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신체를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 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700)는 유효 영역에 대한 터치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700)로 터치 객체가 표시된 화면을 실제 좌표와 대응하는 위치, 즉 센서의 유효 영역에 표시되도록 빔 프로젝터를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00)는 터치 객체를 표시할 뿐 아니라, 터치 객체가 위치해야 할 타겟 위치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타겟 위치를 터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 때, 타겟 위치는 사용자의 신체정보에 따라 상이하게 표시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700)는 전체 센싱 영역을 특정 개수로 분할하여 사용할 경우, 각 영역에 동일한 유효 영역을 설정하여 멀티 터치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700)는 특정 구간을 왕복으로 터치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700)는 타겟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상, 본 발명의 터치 인식 장치는 사용자에게 적절한 운동 자세를 가이드 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700)로부터 표시되는 타겟 위치를 확인하고 타겟 위치를 손 및/또는 발로 터치함으로써 운동 자세를 바로잡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터치 인식 방법을 설명한다. 터치 인식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터치 인식 장치와 중복되는 세부 실시 예는 생략될 수 있다. 터치 인식 장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서버로 명명한다.
단계 100에서, 서버는 라이다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감지하여, 객체 별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센싱 정보는 센서로부터 객체까지의 거리, 방향, 속도, 온도, 물질 분포 및 농도 특성 또는 3D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 센서는 바닥을 센싱함으로써, 사용자가 바닥을 터치하는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단계 200에서, 서버는 라이다 센서로부터 수집한 모든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객체의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는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인식된 터치 객체에 대해서만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센싱 정보에 포함된 거리와 방향을 이용하여 객체의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객체의 좌표는 센서가 설치된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2차원 거리맵에 대응하는 좌표를 의미한다. 서버는 추출한 객체의 좌표를 평면 좌표계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300에서, 서버는 평면 좌표계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제1 프레임의 제1 터치 객체 및 제1 터치 객체의 제1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는 제1 프레임에 대한 객체가 표시된 평면 좌표계에서, 각 객체의 좌표들 간의 제1 거리를 연산하여 거리에 따라 군집을 형성하는 클러스터링을 수행할 것이다.
서버는 제1 거리가 제1 거리 임계 값 이하인, 군집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제1 터치 객체로 볼 수 있다. 이 때, 제1 프레임에 군집이 복수 개 형성되면, 제1 터치 객체도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터치 객체에 포함되지 않는 객체의 센싱 정보는 삭제될 것이다.
서버는 제1 터치 객체를 설정하면, 제1 터치 객체의 제1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제1 좌표는 한 점일 수도 있고 영역일 수도 있다.
단계 400에서, 서버는 제1 터치 객체와 그 제1 좌표를 이용하여 제1 터치 객체의 상태를 판단할 것이다. 서버는 제1 터치 객체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제1 프레임과 연속하는 이전 프레임(제2 프레임)과 다음 프레임(제3 프레임)을 고려할 수 있다.
서버가 제1 터치 객체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에 있어서,
(1) 서버는 제2 프레임에 제2 터치 객체가 존재하지 않고, 제1 프레임에 제1 터치 객체가 존재하면 제1 터치 객체를 enter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2) 서버는 제2 프레임에 제2 터치 객체가, 제1 프레임에 제1 터치 객체가 존재하면, 제1 좌표와 제2 터치 객체의 제2 좌표 사이의 제2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이 때, 제2 거리가 제2 거리 임계 값 보다 크면, 서버는 제1 터치 객체를 enter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3) 제2 거리가 제2 거리 임계 값 보다 작고, 제1 좌표와 제2 좌표가 동일하면 서버는 제1 터치 객체를 stay 상태로, 제1 좌표와 제2 좌표가 동일하지 않으면 제1 터치 객채를 move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4) 서버는 제1 프레임에 제1 터치 객체가 존재하고, 제3 프레임에 제3 터치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1 터치 객체를 exit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5) 서버는 제1 프레임에 제1 터치 객체가, 제3 프레임에 제3 터치 객체가 존재하면, 제1 좌표와 제3 터치 객체의 제3 좌표 사이의 제3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이 때, 제3 거리가 제3 거리 임계 값 보다 크면 제1 터치 객체를 exit 상태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stay 상태 또는 move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500에서, 제1 좌표를 실제 좌표로 변환하여, 제1 터치 객체가 기 설정된 유효 영역 내에 존재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유효 영역은 전체 센싱 영역일 수도 있고, 전체 센싱 영역을 분할한 영역일 수도 있다.
단계 600에서, 제1 터치 객체가 유효 영역 내에 존재하면, 서버는 제1 터치 객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객체가 표시된 화면을 실제 좌표와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되도록, 즉 센싱 영역에 대응되도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빔 프로젝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1)

  1. 서버가 객체의 터치를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라이다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객체의 좌표를 추출하는 a 단계;
    제1 프레임에서 추출된 상기 객체의 좌표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제1 터치 객체 및 상기 제1 터치 객체의 제1 좌표를 연산하는 b 단계;
    상기 제1 터치 객체 및 상기 제1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터치 객체의 상태를 판단하는 c 단계;
    상기 제1 좌표를 실제 좌표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좌표가 기 설정된 유효 영역에 위치하는 지 판단하는 d 단계;
    상기 제1 터치 객체가 상기 유효 영역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실제 좌표에 상기 제1 터치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e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인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객체의 좌표는 2차원 좌표이며,
    상기 객체의 좌표를 프레임 별로 평면 좌표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인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프레임에 대응하는 평면 좌표계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객체의 좌표 간의 제1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1 거리와 기 설정된 제1 거리 임계 값을 비교하여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클러스터링 하여 생성된 군집을 상기 제1 터치 객체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인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객체, 상기 제1 터치 객체의 제1 좌표, 및 상기 제1 터치 객체에 포함된 상기 객체의 수를 이용하여 터치 객체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터치 객체 리스트에서, 상기 객체의 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하인 제1 터치 객체가 존재하면, 상기 터치 객체 리스트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인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연속하는 이전 프레임인 제2 프레임에 제2 터치 객체가 존재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터치 객체가 존재하면, 상기 제1 좌표와 상기 제2 터치 객체의 제2 좌표 사이의 제2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2 거리와 기 설정된 제2 임계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터치 객체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인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연속하는 다음 프레임인 제3 프레임에 제3 터치 객체가 존재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3 터치 객체가 존재하면 상기 제1 좌표와 상기 제3 터치 객체의 제3 좌표 사이의 제3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3 거리와 기 설정된 제2 임계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터치 객체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인식 방법.
  7. 객체의 터치를 인식하는 장치에 있어서,
    라이다 센서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감지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객체의 좌표를 추출하는 좌표 추출부;
    제1 프레임에서 추출된 상기 객체의 좌표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제1 터치 객체 및 상기 제1 터치 객체의 제1 좌표를 추출하는 데이터 관리부;
    상기 제1 터치 객체 및 상기 제1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터치 객체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상기 제1 좌표를 실제 좌표로 변환하여, 상기 제1 터치 객체가 기 설정된 유효 영역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변환부; 및
    상기 제1 터치 객체가 상기 유효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실제 좌표에 상기 제1 터치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터치 인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객체의 좌표 간의 제1 거리를 연산하고, 상기 제1 거리와 기 설정된 제1 거리 임계 값을 비교하여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며, 생성된 군집을 제1 터치 객체로 설정하는 터치 인식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연속하는 이전 프레임인 제2 프레임에 제2 터치 객체가 존재하는 지 판단하여,
    상기 제2 터치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1 터치 객체를 enter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제2 터치 객체가 존재하면, 상기 제1 좌표와 상기 제2 터치 객체의 제2 좌표 사이의 제2 거리를 연산하여, 상기 제2 거리가 상기 제2 거리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제1 터치 객체를 enter 상태로 판단하는 터치 인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제1 좌표와 상기 제2 좌표가 동일하면 상기 제1 터치 객체를 stay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좌표와 상기 제2 좌표가 동일하지 않고, 상기 제2 거리가 기 설정된 제2 거리 임계 값 이하이면 상기 제1 터치 객체를 move 상태로 판단하는 터치 인식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연속하는 다음 프레임인 제3 프레임에 제3 터치 객체가 존재하는 지 판단하여,
    상기 제3 터치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1 터치 객체를 exit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제3 터치 객체가 존재하면, 상기 제1 좌표와 상기 제3 터치 객체의 제3 좌표 사이의 제3 거리를 연산하여, 상기 제3 거리가 상기 제2 거리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제1 터치 객체를 exit 상태로 판단하는 터치 인식 장치.
PCT/KR2021/001945 2020-02-19 2021-02-16 라이다 센서를 구비한 터치 인식 방법 및 장치 WO2021167312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80027951.6A CN115668113A (zh) 2020-02-19 2021-02-16 具有激光雷达传感器的触摸识别方法和装置
US17/801,043 US11868567B2 (en) 2020-02-19 2021-02-16 Touch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having LiDAR sensor
US18/522,853 US20240111382A1 (en) 2020-02-19 2023-11-29 Touch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having lidar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301A KR102340281B1 (ko) 2020-02-19 2020-02-19 라이다 센서를 구비한 터치 인식 방법 및 장치
KR10-2020-0020301 2020-02-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7/801,043 A-371-Of-International US11868567B2 (en) 2020-02-19 2021-02-16 Touch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having LiDAR sensor
US18/522,853 Continuation US20240111382A1 (en) 2020-02-19 2023-11-29 Touch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having lidar sen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7312A1 true WO2021167312A1 (ko) 2021-08-26

Family

ID=77391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1945 WO2021167312A1 (ko) 2020-02-19 2021-02-16 라이다 센서를 구비한 터치 인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868567B2 (ko)
KR (1) KR102340281B1 (ko)
CN (1) CN115668113A (ko)
WO (1) WO20211673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127B1 (ko) * 2021-10-29 2023-03-07 (주)아이원 라이더를 이용한 가상 터치 스크린 장치
KR102400435B1 (ko) * 2022-03-03 2022-05-20 주식회사 에이치아이엔티 라이다 기반 실시간 감지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를 가속화하는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543A (ko) * 2007-07-12 2009-01-15 주식회사 토비스 광을 이용한 터치 센싱 방법 및 그에 따른 터치패널 장치와시스템
KR20110057146A (ko) * 2008-08-07 2011-05-31 오웬 드럼 광학 터치 감응 장치에서 멀티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방법 및 기구
KR20140098282A (ko) * 2013-01-30 2014-08-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인식 장치 및 터치 인식 방법
KR20170114045A (ko) * 2016-03-31 2017-10-13 주식회사 아이유플러스 이미지 센서 및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타겟의 궤적을 추적하는 장치 및 방법
CN109656457A (zh) * 2017-10-10 2019-04-19 北京仁光科技有限公司 多指触控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726B1 (ko) * 2009-06-30 2015-10-16 네이버 주식회사 링크에 따른 시드를 이용한 클러스터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143760B1 (ko) * 2013-12-02 2020-08-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추적방법
EP3360119B1 (en) * 2015-10-05 2023-07-26 Zurface Group ApS A hygiene nudging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543A (ko) * 2007-07-12 2009-01-15 주식회사 토비스 광을 이용한 터치 센싱 방법 및 그에 따른 터치패널 장치와시스템
KR20110057146A (ko) * 2008-08-07 2011-05-31 오웬 드럼 광학 터치 감응 장치에서 멀티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방법 및 기구
KR20140098282A (ko) * 2013-01-30 2014-08-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인식 장치 및 터치 인식 방법
KR20170114045A (ko) * 2016-03-31 2017-10-13 주식회사 아이유플러스 이미지 센서 및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타겟의 궤적을 추적하는 장치 및 방법
CN109656457A (zh) * 2017-10-10 2019-04-19 北京仁光科技有限公司 多指触控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68567B2 (en) 2024-01-09
US20240111382A1 (en) 2024-04-04
KR102340281B1 (ko) 2021-12-17
KR20210105618A (ko) 2021-08-27
CN115668113A (zh) 2023-01-31
US20230062630A1 (en)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3103441A5 (ko)
WO2021167312A1 (ko) 라이다 센서를 구비한 터치 인식 방법 및 장치
WO2012023639A1 (ko) 다수의 센서를 이용하는 객체 계수 방법 및 장치
WO2015080431A1 (ko) 골프 시뮬레이터, 및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WO2016122069A1 (ko) 타이어 마모도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CN110428449B (zh) 目标检测跟踪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18079903A1 (ko) 장애물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JP2009143722A (ja) 人物追跡装置、人物追跡方法及び人物追跡プログラム
WO2020138782A1 (ko) 울트라 와이드 밴드 레이더를 이용한 차량내 승객 감지 시스템 및 방법
US20140044342A1 (en) Method for generating 3d coordinates and mobile terminal for generating 3d coordinates
JPH10334207A (ja) 人流計測装置
WO2023027421A1 (ko) 작업 공간에서의 관심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센싱 장치
US20080225131A1 (en) Image Analysis System and Image Analysis Method
WO2015099249A1 (ko) 의료 영상의 병변 유사도 판단 장치 및 방법
US20170228602A1 (en) Method for detecting height
WO2016175579A1 (en) User interface control using impact gestures
WO2016209029A1 (ko) 입체 영상 카메라와 로고를 이용한 광학 호밍 시스템 및 방법
WO2013133624A1 (ko) 모션 인식을 통한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0054975A1 (ko)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H0546771A (ja) 運動物体検出装置
WO2021241920A1 (ko) 피트니스 센터 내 운동 지도 서비스 및 시스템
WO2018131729A1 (ko) 단일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에서 움직이는 객체 검출 방법 및 시스템
WO2015064991A2 (ko) 비접촉 동작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비접촉 동작 제어 방법
KR101355206B1 (ko) 영상분석을 이용한 출입 계수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2077909A2 (ko) 근전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지화 인식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563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7563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3.01.2023)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7563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