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206B1 - 영상분석을 이용한 출입 계수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분석을 이용한 출입 계수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206B1
KR101355206B1 KR1020120025130A KR20120025130A KR101355206B1 KR 101355206 B1 KR101355206 B1 KR 101355206B1 KR 1020120025130 A KR1020120025130 A KR 1020120025130A KR 20120025130 A KR20120025130 A KR 20120025130A KR 101355206 B1 KR101355206 B1 KR 101355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anagement computer
sensing
entrance
recogni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4018A (ko
Inventor
고덕현
Original Assignee
(주)유인프라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인프라웨이 filed Critical (주)유인프라웨이
Priority to KR1020120025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206B1/ko
Publication of KR20130104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48Infrared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영상인식센서를 이용한 출입 계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설정된 출입 계수 영역에 위치한 적어도 한 명의 사람을 감지하여 3D감지영상과 칼라촬영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3D영상인식센서와; 상기 3D영상인식센서로부터 3D감지영상 및 칼라촬영영상을 수신하여 3D감지영상에서 출입자를 계수하여 저장하고 들어오는 자의 칼라촬영영상에서 사람이미지를 캡쳐하여 저장하기 위한 관리컴퓨터를 포함하는 3D영상인식센서를 이용한 출입 계수 시스템 및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영상분석을 이용한 출입 계수시스템 및 그 방법{A count system of coming and going using image analysi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분석을 통한 출입자 계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특정 장소의 출입구에 감지대상이 거리 정보로 입체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동시에 감지대상의 영상을 확보할 수 있는 3D영상인식센서를 설치하여 감지되는 출입자의 영상을 분석하여 출입자를 정확하게 계수하기 위한 영상분석을 통한 출입 계수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장소의 게이트를 통하여 출입하는 방문자의 계수는, 게이트에 근접센서를 설치하고 방문자의 출입 여부를 계측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리적인 센서를 사용하여 방문자를 감지하는 방법은 방문자 등의 유사 보행 패턴에 대한 검출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복수의 방문자 인식, 보행이 아닌 다른 행동 등에 대한 인식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출입자의 계수 정확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03-0018487호(공개일 2003년3월6일)의 “영상을 이용한 출입 이동물체 계수방법 및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 발명은, 출입구를 통과하여 출입하는 인원을 계수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수 장치는 상기 출입구를 위에서 아래로 촬영함으로써 상기 출입구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 데이터로 전송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는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레퍼런스 영상과 비교함으로써 출입 객체의 출현을 감지하고 상기 출입 객체의 이동을 추적함으로써 출입 인원을 계수하는 출입 인원 계수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중앙 연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에 설치된 출입 인원 계수 응용 프로그램은 실시간으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실시간 영상 획득 모듈; 획득된 영상을 현재 영상 저장 버퍼와 레퍼런스 영상을 이전 영상 저장 버퍼에 각각 저장하고 업데이트하는 레퍼런스 영상 획득 및 업데이트 모듈; 현재 입력되는 영상과 이전 영상의 Y 성분 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 영상 데이터 값이 선정된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출입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차이 연산 모듈; 현재 입력되는 영상과 레퍼런스 영상의 Cb 및 Cr 성분을 픽셀 단위로 서로 비교하여, 대응 픽셀 사이에 Cb 및 Cr 값의 차이가 선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해당 픽셀을 1로 세팅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영으로 세팅함으로써 세그멘트 영상을 산출하여 바운딩 박스의 형태로 출입 객체를 분리하는 객체 분리 모듈; 이전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객체 분리 모듈이 추출한 객체들과 새로운 프레임에서 추출된 객체들 사이에 링크를 결정하고, 이전 프레임 객체들의 이동 방향과 속도 데이터 및 객체의 칼라 정보값을 이용하여 출입 객체의 아이디를 결정함으로써, 서로 다른 프레임에서 상기 출입 객체들의 이동을 추적하는 움직이는 객체 트랙킹 모듈; 및 영상 내에 상위 출입 판단 라인과 하위 출입 판단 라인을 설정하여 상기 상위 및 하위 출입 판단 라인의 좌표와 이동하는 출입 객체의 중심 위치값 좌표를 비교하여 상기 출입 객체의 출입(in/out)을 판단하는 객체 출입 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공개발명은 출입구에 감지된 물체의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되어 있는 레퍼런스 영상과 비교하여 차영상을 추출하고, 그림자제거, 잡음 제거 등의 일련의 복잡한 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출입자가 손을 잡는다든지 어깨동무를 할 경우 이를 분리하여 출입자를 계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개발명은 출입자의 정밀 계수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영상분석을 통한 출입 계수에 있어서, 출입자의 3D 감지영상정보와 칼라촬영영상(VGA)정보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물체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몸통뼈를 표현하는 영상과 움직임방향인식 방법을 이용하여 복수방문자, 손이나 어깨를 서로 잡은 방문자 등에 대해서도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출입 계수를 할 수 있고, 칼라촬영영상정보를 획득하여 고객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는 영상분석을 이용한 출입 계수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발명이 요망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03-0018487호(공개일 2003년3월6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분석을 통한 출입 계수에 있어서, 출입자의 3D 감지영상정보와 칼라촬영영상정보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물체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몸통뼈를 표현하는 영상과 움직임방향인식 방법을 이용하여 복수방문자, 손이나 어깨를 서로 잡은 방문자 등에 대해서도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출입 계수를 할 수 있고, 칼라촬영영상정보를 획득하여 고객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는 영상분석을 이용한 출입 계수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관점으로, 특정 장소의 출입구에 설정된 출입 계수 영역의 물체를 감지하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3D영상인식센서와; 상기 3D영상인식센서로부터 감지된 물체감지신호와 촬영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감지된 사람의 개체별로 인식하고 인식된 개체의 뼈구조 영상을 추출하여 개체별로 메모리맵을 생성하기 위한 객체분석라이브러리부와, 감지된 개체의 상기 출입 계수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출입 계수 영역의 이탈여부를 판단하고, 이탈 방향을 계산하기 위한 움직임방향인식라이브러리부와, 상기 움직임방향인식라이브러리부에서 계산된 결과로 들어오는 자와 나가는 자를 계수하여 저장하기 위한 계수 및 저장부와, 상기 개체 중 들어오는 자의 VGA영상을 캡쳐하여 저장하기 위한 사람이미지캡쳐부와, 상기 출입 계수 영역과 상기 3D영상신식센서의 거리 등을 설정하기 위한 환경설정부를 포함하는 3D영상인식센서를 이용한 출입 계수 시스템이 제시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으로, 3D영상인식센서가 인식하고자 하는 출입 계수 영역이 설정되는 단계와; 3D영상인식센서에서 설정된 출입 계수 영역 내에서의 동작을 감지하고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에서 3D영상인식센서로부터 감지신호 및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의 객체분석라이브러리부에서 상기 감지된 사람의 개체별로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의 객체분석라이브러리부에서 인식된 개체의 뼈 구조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의 객체분석라이브러리부에서 개체별 메모리맵을 생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의 객체분석라이브러리부에서 상기 개체의 추출된 뼈 구조에서 몸통 뼈 부분만을 추출하기 위한 필터링 단계와; 상기 3D영상인식센서에서 상기 출입 계수 영역에서의 상기 개체를 계속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의 움직임방향인식라이브러리부에서 상기 개체가 상기 출입 계수 영역을 이탈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영역 이탈 판단 단계에서 상기 개체가 상기 출입 계수 영역을 이탈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컴퓨터의 움직임방향인식라이브러리부에서 상기 개체의 이탈 방향성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개체의 이탈 방향성 계산 결과로 들어오는 것(IN)인지 나가는 것(OUT)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의 움직임방향인식라이브러리부에서 판단된 개체의 이탈 방향성이 나가는 것으로 판단되면 아웃(OUT) 카운트를 증가시켜 저장하고 상기 개체별 메모리맵을 삭제시키고, 상기 관리컴퓨터의 움직임방향인식라이브러리부에서 판단된 개체의 이탈 방향성이 들어오는 것으로 판단되면 인(IN) 카운트를 증가시켜 저장하고 상기 개체별 메모리맵을 삭제시키는 단계와; 상기 인 카운트가 증가된 대상 개체에 해당하는 영상에서 사람이미지를 캡쳐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D영상인식센서를 이용한 출입 계수 방법에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분석을 통한 출입 계수에 있어서, 출입자의 3D 감지영상정보와 칼라촬영영상정보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물체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몸통뼈를 표현하는 영상과 움직임방향인식 방법을 이용하여 복수방문자, 손이나 어깨를 서로 잡은 방문자 등에 대해서도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출입 계수를 할 수 있고, 칼라촬영영상정보를 획득하여 고객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3D영상인식센서를 이용한 출입 계수 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3D영상인식센서를 이용한 출입 계수 시스템의 구성인 3D영상인식센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3D영상인식센서를 이용한 출입 계수 시스템의 구성인 관리컴퓨터의 객체분석라이브러리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3D영상인식센서를 이용한 출입 계수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3D영상인식센서를 이용한 출입 계수 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D영상인식센서를 이용한 출입 계수 시스템은, 특정 장소의 출입구에 설정된 출입 계수 영역의 물체를 감지하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3D영상인식센서(100)와; 상기 3D영상인식센서(100)로부터 감지된 물체감지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3D 감지영상과 촬영된 칼라촬영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3D 감지영상으로부터 감지된 사람의 개체별로 인식하고 인식된 개체의 뼈구조 영상을 추출하여 개체별로 메모리맵을 생성하기 위한 객체분석라이브러리부(210)와, 감지된 개체의 상기 출입 계수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출입 계수 영역의 이탈여부를 판단하고, 이탈 방향을 계산하기 위한 움직임방향인식라이브러리부(220)와, 상기 움직임방향인식라이브러리부(220)에서 계산된 결과로 들어오는 자와 나가는 자를 계수하여 저장하기 위한 계수 및 저장부(230)와, 상기 개체 중 들어오는 자의 칼라촬영영상에서 사람이미지를 캡쳐하여 저장하기 위한 사람이미지캡쳐부(240)와, 상기 출입 계수 영역과 상기 3D영상인식센서의 거리 등을 설정하기 위한 환경설정부(250)를 구비하는 관리컴퓨터(2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출입 계수 영역(400)은 출입구(600)의 특정 영역을 상기 3D영상인식센서(100)와의 거리 등의 관계 설정으로 상기 3D영상인시센서(100)의 감지 영역 내에서 출입구의 외측과 내측으로 영역을 나타내는 라인을 상기 관리컴퓨터(200)의 환경설정부(250)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3D영상인식센서를 이용한 출입 계수 시스템은 상기 계수 데이터 및 사람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부(30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3D영상인식센서를 이용한 출입 계수 시스템의 구성인 3D영상인식센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D영상인식센서(100)는 상기 설정된 출입 계수 영역에 나타나는 물체에 적외선을 투사하기 위한 적외선투광부(110)와, 상기 적외선투광부(110)로부터 투사된 적외선이 물체에 반사되어 오는 것을 수신하기 위한 적외선수광부(120)와, 상기 출입 계수 영역에서 감지된 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칼라영상촬영부(130)와, 상기 적외선수광부(120)로 수신된 적외선신호를 기초로 거리를 계산하여 3D감지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칼라영상촬영부(130)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영상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제어부(140)와 상기 3D감지데이터 및 상기 영상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15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적외선투광부(110)는 상기 설정된 출입 계수 영역(400) 전체에 해당하는 면적에 조밀한 정도로 적외선 빔을 투사한다. 예를 들면, 상기 출입 계수 영역(400)에 사람이 위치하면, 그 사람 신체 전체에 적외선 빔이 조밀하게 투사될 수 있을 정도의 많은 수의 적외선을 투사된다. 사람 신체에 투사된 적외선이 반사되어 상기 적외선수광부(120)로 수광되고, 상기 제어부(140)는 사람의 신체에서 반사되어 상기 수광된 각각의 적외선 빔으로부터 거리를 계산하여 계산된 거리에 따른 형상을 생성하여 이를 감지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메모리부(150)에 일시 저장시킨다. 상기 제어부(140)에서 생성된 감지영상데이터는 상기 감지된 사람의 신체 외곽선 뿐만 아니라 신체 각 부위가 색상을 제외한 입체적 영상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3D영상인식센서(100)가 상기 출입 계수 영역(400)에 위치한 사람(500)을 3D 감지영상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상기 3D영상인식센서(100)는 상기 출입 계수 영역(400)의 감지 대상 사람(500)을 실시간으로 계속 감지 및 3D 감지영상데이터로 구현시킴으로써, 3D 감지 동영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3D영상인식센서(100)는 상기 설정된 출입 계수 영역(400)의 넓이 따라 최대 10명까지 출입자를 동시에 감지해 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3D영상인식센서를 이용한 출입 계수 시스템의 구성인 관리컴퓨터의 객체분석라이브러리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객체분석라이브러리부(210)는, 상기 3D영상인식센서에서 전송된 3D감지영상데이터에서 사람을 개체별로 인식하여 각각 ID를 부여하기 위한 개체인식부(211)와, 상기 인식된 개체의 뼈 구조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뼈구조추출부(212)와, 상기 인식된 개체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개체별 메모리맵을 생성하기 위한 메모리맵생성부(213)와, 상기 메모리맵에 저장된 개체별 뼈구조에서 몸통뼈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부(214)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뼈구조추출부(212)에서 개체별 뼈구조를 추출하는 것은 상기 3D 감지영상데이터에 사람의 뼈 구조에 대응하는 부분에 예를 들면 굵은 선으로 표시함으로써 개체의 뼈구조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링부(214)에서는 상기 메모리맵에 저장된 개체의 뼈구조영상에서 몸통에 해당하는 뼈구조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뼈구조를 제거한다. 이는 복수의 사람이 붙어있거나 할 경우 개체의 수를 분별하기 곤란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개체의 몸통 뼈구조만을 추출하여 개체를 분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렇게 하여 복수방문자 및 서로 붙어 있는 방문자에 대해서도 정확한 출입 계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뼈구조추출부(212) 및 필터링(214)를 두어 우선 상기 3D 감지영상데이터에서 뼈구조를 추출하고, 그 뼈구조에서 몸통 부분의 뼈구조영상을 획득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뼈구조추출부(212)와 상기 필터링부(214)를 분리하지 않고, 상기 뼈구조추출부(212)만을 두어 상기 3D 감지영상데이터에서 몸통부분의 뼈구조 영상만을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움직임방향인식라이브러리부(220)는 상기 출입 계수 영역(400)에서 감지되고 있는 개체의 움직임을 계속 감시하고, 개체가 상기 출입 계수 영역(400)을 이탈하는지를 감시하여 개체가 상기 출입 계수 영역(400)의 외측 라인 방향으로 이탈하는지 또는 내측 라인으로 이탈하는지를 판단한다. 이 경우 감지 대상 개체가 외측 또는 내측 라인을 이탈하면 상기 계수 및 저장부(230)에서 들어오는 자 또는 나가는 자의 카운트를 증가시켜 저장한다. 상기 카운트의 증가는 상기 개체가 라인을 이탈하는 즉시 수행될 수도 있고, 상기 개체가 라인을 이탈한 후 일정시간 대기한 후에 상기 카운트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방향인식라이브러리부(220)에서 상기 개체의 이탈방향성을 인식하는 방법은 개체의 이동에 따른 계산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출입 계수 영역(400)의 외측라인과 내측라인과 개체의 관계설정을 미리 정해, 상기 개체가 이탈 전에 있던 위치와 상기 라인을 벗어나는 위치 관계를 기초로 개체의 이탈 방향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움직임방향인식라이브러리부(220)는 상기 개체가 상기 출입 계수 영역(400)에서 외측 라인 또는 내측 라인을 벗어나면 상기 계수 및 저장부(230)에 나가는 자 카운트 또는 들어오는 자의 카운트를 증가시키는 신호를 전하고 상기 개체의 메모리맵을 삭제한다. 상기 계수 및 저장부(230)에서 나가는 자 또는 들어오는 자의 카운트를 증가시켜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사람이미지캡쳐부(240)에서는 상기 들어오는 자 카운트가 증가된 개체에 대한 상기 칼라촬영영상에서 사람이미지의 캡쳐를 수행하여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3D 감지동영상의 획득으로 인한 개체의 행동패턴을 획득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람이미지캡쳐부(240)에서 캡쳐한 이미지를 결합하여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시스템 설치 장소와 관련된 고객 패턴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3D영상인식센서를 이용한 출입 계수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D영상인식센서를 이용한 출입계수 방법은, 관리컴퓨터에서 출입자를 계수하기 위한 특정 장소의 출입구에 감지하고자 하는 출입 계수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100)와; 3D영상인식센서에서 상기 설정된 출입 계수 영역에 위치하는 사람을 감지하고 3D 감지영상 및 칼라촬영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01)와; 상기 3D영상인식센서에서 상기 감지된 사람의 3D 감지영상과 칼라촬영영상을 상기 관리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S102)와; 상기 관리컴퓨터에서 상기 수신된 3D 감지영상에서 사람을 개체별로 인식할 수 있도록 각각 ID를 부여하는 단계(S103)와; 상기 관리컴퓨터에서 상기 각각 ID가 부여된 개체로부터 뼈구조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S104)와; 상기 관리컴퓨터에서 상기 인식된 개체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개체별 메모리맵을 생성시키는 단계(S105)와; 상기 메모리맵에 저장된 개체의 뼈구조 영상에서 신체의 몸통부분에 해당하는 뼈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제거하는 뼈구조 필터링 단계(S106)와; 상기 관리컴퓨터에서 수신되는 개체의 3D감지영상의 움직임을 계속 감시하는 단계(S107)와; 상기 관리컴퓨터에서 상기 개체가 상기 출입 계수 영역을 이탈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08)와; 상기 관리컴퓨터에서 상기 개체가 출입 계수 영역을 이탈하면 이탈 방향성을 인식 또는 계산하는 단계(S109)와; 상기 관리컴퓨터에서 상기 개체의 이탈 방향성의 인식 또는 계산 단계의 결과를 기초로 개체가 상기 출입 계수 영역에서 나가는 것인지 또는 들어오는 것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10)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개체가 상기 출입 계수 영역에서 나가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컴퓨터에서 상기 개체의 나가는 카운트를 증가시켜 저장하고 상기 개체의 메모리맵을 삭제하는 단계(S111)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개체가 상기 출입 계수 영역에서 들어오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컴퓨터에서 상기 개체의 들어오는 카운트를 증가시켜 저장하고 상기 개체의 메모리맵을 삭제하는 단계(S112)와; 상기 개체의 들어오는 카운트가 증가되면 상기 들어오는 개체의 칼라촬영영상에서 사람이미지를 캡쳐하여 저장하는 단계(S113)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출입 계수 영역에서 3D 감지영상과 칼라촬영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3D영상인식센서와, 상기 3D 감지영상을 수신하여 개체별로 ID를 부여하고 각각의 개체에서 몸통부분의 뼈구조영상을 획득하여 개체의 출입을 계수하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 3D영상인식센서
110 : 적외선투광부
120 : 적외선수광부
130 : 칼라영상촬영부
140 : 제어부
150 : 메모리부
200 : 관리컴퓨터
210 : 객체분석라이브러리부
220 : 움직임방향인식라이브러리부
230 : 계수 및 저장부
240 : 사람이미지캡쳐부
250 : 환경설정부
300 : 데이터베이스부
400 : 출입 계수 영역
500 : 감지 대상 출입자
600 : 출입구

Claims (8)

  1. 출입구의 출입 계수 시스템에 있어서,
    설정된 출입 계수 영역에 위치한 감지대상에게 적외선 빔을 투사하는 적외선투광부와, 상기 감지대상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신하는 적외선수광부와, 상기 출입 계수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대상을 촬영하는 칼라영상촬영부와, 상기 반사광에 의해 상기 감지대상과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감지대상에 대한 3D감지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칼라영상촬영부에서 촬영된 칼라촬영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3D영상인식센서; 그리고
    상기 3D감지영상에서 상기 감지대상에 대해 개체별로 ID를 부여하는 개체인식부와, 상기 3D감지영상에서 상기 ID가 부여된 개체별로 뼈구조영상을 추출하는 뼈구조추출부와, 상기 개체별로 추출된 뼈구조영상을 임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맵을 생성하는 메모리맵생성부와, 상기 메모리맵에 저장된 상기 개체별 뼈구조영상에서 상기 감지대상의 몸통에 해당하는 영상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상부분을 제거하는 필터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관리컴퓨터를 포함하되,
    상기 3D영상인식센서는 상기 3D감지영상과 상기 칼라촬영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관리컴퓨터는 상기 필터링부에서 생성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감지대상을 계수하여 저장하고, 상기 칼라촬영영상에서 상기 감지대상의 이미지를 캡쳐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영상인식센서를 이용한 출입 계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출입구의 출입 계수 방법에 있어서
    3D영상인식센서로부터 출입 계수 영역에 위치하는 사람을 감지하고 3D 감지영상 및 칼라촬영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3D영상인식센서에서 상기 감지된 사람의 3D 감지영상과 칼라촬영영상을 관리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에서 상기 수신된 3D 감지영상에서 사람을 개체별로 인식할 수 있도록 각각 ID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에서 상기 각각 ID가 부여된 개체로부터 뼈구조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에서 상기 인식된 개체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개체별 메모리맵을 생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에서 상기 개체가 상기 출입 계수 영역을 이탈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에서 상기 개체가 출입 계수 영역을 이탈하면 이탈 방향성을 인식 또는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컴퓨터에서 상기 개체의 이탈 방향성의 인식 또는 계산 단계의 결과를 기초로 상기 개체가 상기 출입 계수 영역에서 나가는 것인지 또는 들어오는 것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개체가 상기 출입 계수 영역에서 나가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컴퓨터에서 상기 개체의 나가는 카운트를 증가시켜 저장하고 상기 개체의 메모리맵을 삭제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개체가 상기 출입 계수 영역에서 들어오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컴퓨터에서 상기 개체의 들어오는 카운트를 증가시켜 저장하고 상기 개체의 메모리맵을 삭제하는 단계와; 상기 개체의 들어오는 카운트가 증가되면 상기 들어오는 개체의 칼라촬영영상에서 사람이미지를 캡쳐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D영상인식센서를 이용한 출입 계수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컴퓨터는,
    상기 감지대상에 대해 상기 개체별로 상기 출입 계수 영역을 이탈하는지를 판단하고, 특정 개체가 출입 계수 영역을 이탈하면 이탈 방향성을 인식 또는 계산하고, 상기 개체의 이탈 방향성의 인식 결과 또는 계산 결과를 기초로 해당 개체가 상기 출입 계수 영역에서 나가는 것인지 또는 들어오는 것 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영상인식센서를 이용한 출입 계수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컴퓨터는,
    상기 출입 계수 영역에서 해당 개체가 나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해당 개체의 나가는 카운트를 증가시켜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맵생성부에서 생성된 해당 개체의 메모리맵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영상인식센서를 이용한 출입 계수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컴퓨터는,
    상기 출입 계수 영역에서 해당 개체가 들어오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해당 개체의 들어오는 카운트를 증가시켜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맵생성부에서 생성된 해당 개체의 메모리맵을 삭제하고, 상기 칼라촬영영상에서 사람 이미지를 캡쳐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영상인식센서를 이용한 출입 계수 시스템.
KR1020120025130A 2012-03-12 2012-03-12 영상분석을 이용한 출입 계수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55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130A KR101355206B1 (ko) 2012-03-12 2012-03-12 영상분석을 이용한 출입 계수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130A KR101355206B1 (ko) 2012-03-12 2012-03-12 영상분석을 이용한 출입 계수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018A KR20130104018A (ko) 2013-09-25
KR101355206B1 true KR101355206B1 (ko) 2014-01-28

Family

ID=49452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130A KR101355206B1 (ko) 2012-03-12 2012-03-12 영상분석을 이용한 출입 계수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2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524B1 (ko) * 2014-03-03 2014-04-04 정태웅 영상을 이용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8012A1 (de) * 2018-11-08 2020-05-14 DILAX Intelcom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Unterscheidung und Zählung von Personen und Gegenständen
KR102305955B1 (ko) * 2020-10-12 2021-09-28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인력계수 기능이 내장된 비상 유도등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인원 관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4959A (ja) * 1998-12-28 2000-07-14 Makomu:Kk カメラ搭載赤外線センサ装置
JP2006241682A (ja) * 2005-02-28 2006-09-14 Art:Kk 出入管理装置
KR101064927B1 (ko) * 2010-08-10 2011-09-16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영상 분석을 이용한 방문자 계수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4959A (ja) * 1998-12-28 2000-07-14 Makomu:Kk カメラ搭載赤外線センサ装置
JP2006241682A (ja) * 2005-02-28 2006-09-14 Art:Kk 出入管理装置
KR101064927B1 (ko) * 2010-08-10 2011-09-16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영상 분석을 이용한 방문자 계수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524B1 (ko) * 2014-03-03 2014-04-04 정태웅 영상을 이용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018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9695B2 (en) System and process for detecting, tracking and counting human objects of interest
US10445563B2 (en) Time-in-store estimation using facial recognition
US8254633B1 (en) Method and system for finding correspondence between face camera views and behavior camera views
US82386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racking and counting human objects of interest
US20170154424A1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position detec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448391B1 (ko) 피플 카운팅 시스템
KR20130066438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KR101448392B1 (ko) 피플 카운팅 방법
US11417134B2 (en) Image analysis device, image analysi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0936859B2 (en) Techniques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secondary objects in a stereo-optical counting system
JP6503079B2 (ja) 特定人物検知システム、特定人物検知方法および検知装置
KR20160035121A (ko) 깊이 영상정보에서 추출된 위치정보를 이용한 개체계수 방법 및 장치
CN111670456A (zh) 信息处理装置、追踪方法和追踪程序
KR101355206B1 (ko) 영상분석을 이용한 출입 계수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580708B (zh) 一种快速移动检测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101334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racking and counting human objects of interest with an improved height calculation
JP2010262527A (ja) 通行者計数装置、通行者計数方法および通行者計数プログラム
JP6180906B2 (ja) 顔認識ゲートシステム
JP6339708B2 (ja) 顔認識ゲートシステム、管理装置及び顔認識プログラム
JP2005140754A (ja) 人物検知方法、監視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0250571A (ja) 人物計数装置
KR102161342B1 (ko) 스트림 리즈닝 그룹이탈 감시 시스템
KR102147678B1 (ko) 영상병합 스트림 리즈닝 감시방법
JP7374855B2 (ja) 人物識別装置、人物識別システム、人物識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61344B1 (ko) 스트림 리즈닝 감시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스트림 리즈닝 감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