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37332A1 - 주행성능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고부하안정성을 갖는 자전거 리어허브용 회전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리어허브 - Google Patents

주행성능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고부하안정성을 갖는 자전거 리어허브용 회전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리어허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37332A1
WO2021137332A1 PCT/KR2019/018833 KR2019018833W WO2021137332A1 WO 2021137332 A1 WO2021137332 A1 WO 2021137332A1 KR 2019018833 W KR2019018833 W KR 2019018833W WO 2021137332 A1 WO2021137332 A1 WO 202113733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ub
rear hub
driving
bicycle
centering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883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숙태
Original Assignee
김숙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숙태 filed Critical 김숙태
Priority to PCT/KR2019/01883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137332A1/ko
Publication of WO202113733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3733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2Hubs adapted to be rotatably arranged on axl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tion control device for a bicycle rear hub that maximizes driving performance and at the same time has high load stability.
  • a rotation control device for a rear hub that minimizes frictional resistance in the rear hub of normal driving and improves driving performance by minimizing resistance to rotational force generated even during free driving without pedaling.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tion control device for a rear hub that maximizes driving performance and at the same time can withstand a sudden shock applied to the rear hub when driving at high speed or on a steep slop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hub for a bicycle having a high load function using the above-described rotation control device.
  • a bicycle is composed of a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freely rotating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frame, a pedal generating power by the foot of the occupant,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rear wheel by the rotation of the pedal.
  •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composed of a main sprocket to the pedal side, and a driven sprocket having a ratchet means so that power is transmitted only in one direction to the rear wheel side, and a chain connecting the main sprocket and the driven sprocket.
  • the driven sprocket is equipped with a ratchet mechanism such as a clutch that transmits power only in one direction to the rear wheel.
  • a part of the rear hub that replaces the ratchet mechanism by using a one-way bearing with the unique function of the ratchet mechanism is provided.
  • th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stopper and the inner and outer rings increases the frictional resistance due to the aging of the grease used for the inner and outer rings of the bearing and the intrusion of fine foreign substances, and the free running distance is gradually reduced. This reduction in mileage eventually leads to differences in the riding performance of bicycles.
  • the present inventors as shown in FIG. 1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34207-00-00, "the hub shaft 50 connected with the rim and fork of the rear wheel of the bicycle, freely rotating on the hub shaft.
  • a one-way bearing that blocks and transmits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body between the hub body and the hub shaft;
  • a driving body that is fastened with the inner ring of the one-way bearing to transmit power to the rear wheel;
  • a rear hub for a bicycle that maximizes driving performance and includes a hub body having a key groove that functions as a locking function during reverse rotation through the driving body and the key,
  • the one-way bearing includes a circular rolling ball, a centering bearing portion comprising an annular inner ring and an outer ring in contact with the rolling ball,
  • a one-way bearing part comprising stoppers forming an upper convex surface and a lower convex surface to contact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and the stoppers are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toward the inner ring, and a tangent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stoppers toward the inner ring;
  • a rear hub for a bicycle that maximizes driving perform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ring includes an inner ring fastening part and an outer ring fastening part that are fastened to the driving body that rotates by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chain at the same time as the bicycle rear hub shaft is inserted into the inner ring.” has been developed.
  • the driving performance was improved by almost two times or more compared to the bicycle using the general ratchet-type hub mechanism.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tation control device optimized for a rear hub for a bicycle that minimizes the loss of power generated by manpower by minimizing friction between the inner and outer rings generated by the one-way bearing in a bicycle in which power is generated only by manpower. would like to provide
  •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more provides a rear hub equipped with a rotation control device that can prevent a possible safety accident by exhibiting a stable power cut-off function even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withstand only abrupt frictional drag applied during high-speed driving on a mountain or steep slope. .
  •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rear hub that maximizes driving performance by minimizing frictional resistance with inner and outer wheels that do not change the original driving performance even though it has stable resistance to sudden high-speed and high-strength shocks applied during high-speed steep driving. do.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ntering bearing part that holds the center of motion between the hub shaft and the driving body of the bicycle rear hub and the hub body,
  • a power control unit that prevents reverse rotation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body
  • Inner layer part for installing the centering bearing part and the power interruption part along the outer periphery
  • a rotation control device for a bicycle rear hub that maximizes driving performance and has high load stability including a spacer that holds the rolling ball arrangement of the centering bearing part was develop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b shaft (50) connected to the rim and fork of a rear wheel of a bicycle, a hub body (51) rotatably mounted to the hub shaft, and friction reducing members disposed between the hub shaft at both ends of the hub body (52) (53), in the rear hub comprising a driving body (55) that is rotatably installed by being fastened with a transmission at one end of the hub chamber,
  • a centering bearing part that holds the center of motion between the hub shaft of the rear hub of the bicycle, the driving body, and the hub body,
  • a power control unit that prevents reverse rotation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body
  • Inner layer part for installing the centering bearing part and the power interruption part along the outer periphery
  •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frictional resistance generated in the friction bearing part of the rear hub body even during normal driving in which the vehicle is driven by pedaling, so that the driver can more easily drive even during normal driving.
  • the present invention also minimizes frictional contact even during free running without stepping on the pedal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stopper installed in the one-way bearing, particularly the outer ring, so that the free running distance is also extended, so that the running distance can be greatly increas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ntering bearing and a power control unit even when subjected to an instantaneous impact under extreme driving conditions such as steep slopes and mountains,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e rear hub that maximizes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inventor's pre-registration No. 10-1834207-00-00.
  • the stable centering and stop function of the system maximized driving performance in various adverse conditions.
  • the actual product sample driving resul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 a slight decrease in driving performance compared to the pre-registration No. 10-1834207-00-00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driving performance is almost twice that of a general bicycle.
  • the performance effect was maintained, and in particular, it was excellent in stability, so it was expected to play a role as a safe rear hub for driving in mountains and high-speed driving on steep slopes.
  • FIG. 1 is an exploded assembly state diagram of a conventional rear hub of the present inventor
  • FIG. 2 is a wirefram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or's conventional rear hub
  • FIG. 3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reverse stop function operation of the one-way bearing of the conventional rear hub of the present inventor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re frame in an assembled state of the rear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ploded state wireframe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ar hub assembly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 7a, 7b, 7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perspective and rolling ball assembly state of only the spac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8a and 8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assembled and assembled state of the power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 9a and 9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entering bearing and stoppers of the inner layer of the power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a and 10b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ower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various examples of the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ntering bearing part that holds the center of motion between the hub shaft and the driving body of the bicycle rear hub and the hub body,
  • a power control unit that prevents reverse rotation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body
  • Inner layer part for installing the centering bearing part and the power interruption part along the outer periphery
  • a rotation control device for a bicycle rear hub that maximizes driving performance and has high load stability including a spacer that holds the rolling ball arrangement of the centering bearing part was developed.
  • FIG. 4 is an exploded assembly state diagram of the rear hub in which the rotation control device is installed
  • FIG. 5 is a wire frame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ar hub assembly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ploded state wire frame side view of the rear hub assembly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7a, 7b, 7c and 7d are a front view, a side view, a perspective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layer for installing the centering bearing part and the power intercep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erspective view of an exploded state of the tanji shaft, 8a, 8b, 8c are the rolling ball by the spacer
  • FIGS. 10a and 10b are an assembled state perspective view of the centering bearing part and a power contro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ssembled state perspective view of the elastic shaft
  • FIGS. 10a and 10b are the p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explain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intermittent unit.
  • the rear hub as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ceives the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body 55 by a power transmission device such as a chain for power generated from the pedal operation of a bicycle rider, and is transmitted to the rear wheel through a shifting means that converts it to an appropriate speed.
  • a power transmission device such as a chain for power generated from the pedal operation of a bicycle rider
  • a shifting means that converts it to an appropriate speed.
  • FIGS. 4, 5 and 6 The rear hub of the bicycle in which the rotation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s shown in FIGS. 4, 5 and 6,
  •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centering bearing unit 20 that holds the center of motion between the hub shaft and the driving body of the rear hub of the bicycle and the hub body;
  • Power control unit 30 to prevent reverse rotation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body
  • Inner layer part 36 for installing the centering bearing part and the power interruption part along the outer periphery
  • a rotation control device for a bicycle rear hub that maximizes running performance and at the same time has high load stability, including an outer layer (33) encompassing the centering bearing part and the power control part.
  • the rotation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entering bearing unit and the power intermittent unit are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layer unit with the inner layer unit 36 as the same axis.
  • the inner layer part receives the power delivered by being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36a with the driving body 55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 56 to the inner layer to hold the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and simultaneously to power the inner layer. pass it on to the
  • the inner layer forms a retainer groove (33a) for seating the rolling ball of the centering bearing part along the outer periphery so that the centering bearing part and the power interruption part can be installed at the same time, and the stopper 35 of the power cutoff part can be freely rotated at a certain distance.
  • a stopper flow part 33f was formed so as to do so.
  • the stopper flow part is configured to allow the stopper to rotate forward and backward as shown by the arrow of FIG. 7b while receiving the elastic support of the elastic shaft from the inclined part 37b of the stop protrusion.
  • the centering bearing unit 20 The centering bearing unit 20,
  • It consists of a spacer 24 for arranging the rolling ball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the centering bearing part hold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hub shaft passing through the center.
  • a centering retainer portion 24a is formed between the mountain-shaped holders 24c having a sharp upper portion so as to rotatably arrange the rolling ball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width d1 of the holder of the centering retainer and the width of the spacer 24 are smaller than the diameter d2 of the rolling ball for friction reduction. Furthermore, by configuring the holder in a sharp shape, the contact area with the rolling ball was configured as small as possible. Therefore, it effectively discharges the high heat caused by friction between the rolling ball and the holder of the spacer during high-speed rotation and at the same time secures durability with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triangular structure.
  • the contact area with the rolling ball is a triangular surface, so the effective area of direct contact between the rolling ball and the holder is minimized to minimize friction loss.
  • the rolling ball only needs to faithfully hold the center between the center of the hub shaft and the rotation control device. If the retainer and the spacer hold the rolling ball too strongly, the rolling ball can be held by the spacer's holding motion. resistance during rotation, that is, friction force. Unlike a device that is operated by the power of a motor, which is generally used, since a bicycle obtains power only by human power, even a slight resistance force acts as a burden on the riding occupant.
  • the power control unit is composed of a stop body (37), a stopper (35) and a shaft (38).
  • the stop body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mountain protruding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outer ring, and is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layer 36. And between the stop body and the adjacent stop body is formed a slope portion (37b) connected between the apex (37d) of one stop body and the lower tanji shaft insertion portion (37a) of the other stop body.
  • the stopper 35 exemplifies a cylindrical shape in the present invention
  • any shape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does not affect rotation, and as shown in FIG. 11 , a conical shape. Multiple cone types can be used, and cooking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bicycle to be used and the load speed.
  • the stopper rotates freely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line portion 33e of the direction control bearing portion.
  •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pper is installed so that the tip end of the elastic shaft is in contact, and the elastic shaft is always attached to the elastic shaft by a spring-like elastic means to the elastic shaft insertion part 37a of the stop body 37 protruding in the shape of a mountain. It is configured to protrude elastically toward the
  • a stopper 35 is arranged to be movable along the inclined portion,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shaft inserted into the elastic shaft insertion portion of the stop body.
  • the interval betwee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stopbody and the inner layer becomes narrower toward the vertex 37d of the stopbody along the inclination. Therefore, when the stopper moves toward the apex along the inclined portion, the stopp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layer and the inclined portion to generate a strong resistance between the inner layer and the outer ring, and the rotation of the inner layer is blocked by this resistance.
  • FIGS. 10A and 10B When riding a bicycle, the power to step on the pedal is transmitted to the driven sprocket and the driving body through the chain, resulting in normal driving.
  • a transmission device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driving body, and the transmission device receives power transmitted from the pedal by a chain and provides rotational force. Interruption of this rotational force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is enabled by the power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otate only in the forward direction during normal driving (when driving by pedaling), and the reverse rotation during free driving without pedaling is blocked. .
  • the hub shaft rotates freely in the center of the rotation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heel rotates even if the occupant does not step on the pedal.
  • the stopper has a minute gap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ing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top body of the inner layer, so there is no resistance to free rotation and rotation in a no-load state is made.
  • no-load driving for example, when a occupant performs an abrupt opposite pedal operation while running on a steep slope or a mountain slope,
  • the stopper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ue to the reverse rotation of the inner layer in which the tanji axis elastically supporting the stopper 35 is engaged with the hub axis. That is, as the stopper advances to the inclined portion 37a, the stoppe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hile moving between the narrow outer ring and the inner layer. This close contact prevents the rotation of the inner layer and prevents the rotation of the hub shaft connected to the inner layer, and blocks the transmission of strong reverse rotational power.
  • 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s the driving performance to the same degree as the prior patent of the inventor of the prior art, and at the same time exhibits the positive and negative power blocking function as it is, while minimizing the resistance, thereby improving the driving efficiency by minimizing the resistance received by the cyclist. With the maximization, it became possible to safely drive even on bicycles subjected to high-load shock such as mountain bikes and high-speed racing bikes.
  • Test method Free running time (with a rear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the rear wheel of a bicycle owned by the inventor and a general rear hub (the hub used is made by Shimano, Japan) rotated at 70 ⁇ 1 km/h) The time for free driving without a person on board) was measured 5 times each.
  • the size of the rear wheel used is 26 inches, and the weight of each wheel is 2.12 kg for the rear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2.06 kg for the conventional general rear hub.
  • the wheel installed with the rear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eavier by 0.06 kg, it is within the error range of ⁇ 5% as a general statistical evaluation standard, and it is difficult to arrange a wheel of the same mass.
  • panoram V12 (trade name) manufactured by Topeak, Japan in 2014 was used.
  • the time until the pedal operation stops and the rotation stops when the pedal reaches 70 km/h by manually turning the pedal and the results of 5 times in total are as follows.
  • an error of about 1 km/h up and down was allowed because it was difficult to measure the moment when the speed of 70 km/h was reached by rotating the pedal by hand and instantaneously changing speedometer.
  • Measurement result Free running time of the rear hub installed wheel of the present invention Free running time of wheels with conventional rear hub installed
  • Test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ommon herbs Average initial speed and free running time 70.92 km/h Approx. 2 minutes 56.8 seconds Average initial speed and free running time 70.64 km/h Approx. 1 minute 30.6 seconds
  •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evelopment of a rear hub that minimizes unnecessary frictional resistance generated during driving in a bicycle driven by manpower, thereby eliminating user fatigue in long-distance driving, and greatl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bicycle by improving driving performance.
  • 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s driving performance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rotation control device for a rear hub with constant durability that can withstand a sharp shock applied to the rear hub when driving at high speed or steep slope, and is optimal in the bicycle market by manpower. It became possible to develop a bicycle with the driving performance 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자의 한국특허등록 10-1834207-00-00호에의한 주행성능 최대화한 리어허브의 단점인 고속, 급경사, 산악 주행시에 받는 급격한 충격과 고속의 충격에도 견디면서 본래의 주행성능 최대화 기능은 최대한 살린 리어허브용 회전제어장치와 이를 이용한 리어허브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더나아가서, 자전거 리어허브의 허브축과 구동체 그리고 허브보디간의 동작중심을 잡아주는 센터링 베어링부, 구동체로부터 전달되는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동력단속부, 상기 센터링 베어링부와 동력단속부를 외주를 따라 설치하는 인너레이어부, 상기 센터링 베어링부와 동력단속부를 포괄하는 아웃레이어부, 그리고 센터링베어링부의 구름볼의 배치를 잡아주는 스페이서를 포함는 자전거 리어허브도 개발하였다.

Description

주행성능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고부하안정성을 갖는 자전거 리어허브용 회전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리어허브
본 발명은 주행성능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고부하안정성을 갖는 자전거 리어허브용 회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정상주행의 리어허브에서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페달을 밟지 않고 자유 주행시에도 발생한 회전력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하여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리어허브를 위한 회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주행성능의 최대화와 동시에 고속 혹은 급경사지 주행시에 가해지는 리어허브에 대한 급격한 충격에도 견딜수 있는 내구성이 항상된 리어허브를 위한 회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회전제어장치를 이용한 고부하기능을 갖춘 자전거용 리어허브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후레임의 전, 후방에 자유롭게 회전하는 전륜과 후륜, 탑승자의 발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페달, 이 페달의 회전으로 후륜측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로 구성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페달측에 주동 스프라켓이, 그리고 후륜측에 일방향으로만 동력이 전달되도록 라쳇(rachet)수단을 갖는 종동스프라켓, 그리고 이 주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구성되어있다. 종동스프라켓에는 후륜과 일방향으로만 동력이 전달하는 일종의 클러치와 같은 라쳇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통상의 자전거는 페달을 일방향, 즉 전진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킬 때 주동스프라켓의 동력이 체인에 의하여 종동 스프라켓을 통하여 후륜측으로 전달되어 자전거가 전진방향으로만 주행이 이루어 진다.
페달을 밟을 때만 힘을 전달하고 공회전(자유주행 = 무부하 주행)일 때는 페달을 밟지 않고 있어도 발을 페달에 얹은 상태로 주행가능하게 하는 라쳇 기구는 폴(pawl)을 사용하는 형태와 다른 형태의 부속을 쓰는 형태로 대별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자전거는 폴을 사용함에 따라 리어허브 바디를 분리하면 일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라쳇 걸림부에 폴이 걸리면 동력을 전달하고 공회전시에는 특유의 라쳇음을 내면서 페달을 밟지 않아도 회전이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라쳇기구가 갖는 특유의 기능을 원웨이 베어링을 이용하여 라쳇기구를 대체하는 리어허브가 일부 제공되고 있다.
라쳇기구를 대신한 원웨이(one way) 베어링(이하 일방향 베어링으로 한다)는 일방향으로 회전시에는 내부에 장치한 스토퍼들과 인렛레이어(=내륜=인너레이어)간의 마찰만이 있고 아웃레이어(외륜)와의 접촉은 차단되는 구조이다. 즉, 스토퍼와 인렛레이어의 사이에는 항시 접촉상태를 이루어야만 목적한 일방향으로의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스토퍼와 인렛레이어간의 접촉으로 인한 동력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즉, 종래 기계적구조의 라쳇장치에 비하면 동력손실이 현저히 낮아지는 효과는 거두고 있으나, 상기한 마찰에 의한 동력손실은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스토퍼와 내외륜과의 마찰 저항이 자전거의 사용기간이 오래되고, 베어링의 내외륜에 사용한 그리스의 노화 그리고 미세한 이물질의 침입으로 마찰저항이 심해지면서 자유주행거리가 점차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주행거리의 축소는 결국 자전거의 주행성능의 차이로 이어지고 있다.
상기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본 발명자는 한국특허등록 10-1834207-00-00호에서 도 1에 도시하듯이 "자전거의 뒷바퀴의 림과 포크로 연결한 허브축(50), 상기 허브축에 회전자유롭게 장착한 허브보디(51), 상기 허브보디의 양단부에서 상기 허브축의 사이에 배치된 마찰저감부재들(52)(53), 상기 허브실의 일단측에서 변속장치와 체결되어져 회전자유롭게 설치한 구동체(55)를 포함하는 리어허브에 있어서,
상기 허브보디와 허브축사이에서 구동체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의 전달과 차단하는 일방향 베어링,
상기 일방향 베어링의 내륜과 체결되어 뒷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체,
상기 구동체와 키를 매개로 역회전시 걸림기능을 하는 키홈을 형성한 허브보디를 구비한 주행성능을 최대화한 자전거용 리어허브로서,
상기 일방향 베어링은 원형의 구름볼, 상기 구름볼과 접하는 환형의 내륜과 외륜으로 이루어진 센터링 베어링부,
상볼록면와 하볼록면을 형성하여 내륜과 외륜과 접하는 스토퍼들, 상기 상기 스토퍼들을 내륜을 향하여 환형으로 배치하되, 상기 스토퍼들을 내륜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압박하는 탄지구로 이루어진 일방향 베어링부,
그리고 내륜에는 자전거 리어허브축이 삽입되는 동시에 체인으로 전달된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체와 체결하는 내륜체결부와 외륜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성능을 최대화한 자전거용 리어허브."를 개발하였다.
상기 발명에 의하여 종래 자전거에 비하여 무부하 주행 시험시 일반 라쳇형 허브 기구를 사용한 자전거에 비하여 거의 2배이상의 주행 성능 향상을 이루는 효과를 거두었다.
상기한 효과에 의하여 다양한 주행코스를 주행하면서, 주행성능이 향상된 반면에 산악 혹은 급경사지에서 주행시에 급격한 브레이킹동작이 발생하면, 원웨이 주행을 위한 일방향 베어링부에서 오동작의 문제가 일부 발생하게 되었다. 즉, 스토퍼들과 내륜간의 마찰력이 적어짐에 따라 급격한 브레이킹이나 급경사 하강시에 약간의 슬립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기한 특허에 의하여 주행시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하여 라쳇기어의 단속적인 까르륵 소리와 그에 따른 에너지 소비를 줄여 상기 표1과 같이 무부하 주행시 거의 2배에 이르는 주행성능 향상을 보이는 반면, 본 발명자 등이 상기 특허 허브를 장착하여 평지가 아닌 급경사 혹은 산악과 같이 심한 충격과 순간적인 고부하를 가할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의 본 발명자의 선등록 특허에 도시하듯이, 스토퍼(7)과 외륜(30)의 사이에 배치한 스토퍼(7)가 부분확대도의 화살표 C의 상태에서 D의 상태로 되면서 스토퍼와 외륜사이의 마찰저항력의 발생으로 역방향의 동력전달을 차단한다. 도시하듯이, 스토퍼와 외륜사이의 마찰저항만에 의지하여 동력전달차단기능을 발휘하는 기능이, 고속주행 특히 급경사지에서 고속주행과 자전거의 무게 그리고 탑승자의 무게와 합하여 충격을 주는 경우, 상기하듯이 화살표 D의 상태와 같은 마찰항력으로는 견디기 힘들어 동력차단을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내부저항의 손실로 인하여 자칫 탑승자에게 심한 사고를 유발할 수 있게 될 위험이 너무 크게 되었다. 평지 혹은 급하지 않은 경사지 주행시에는 마찰 접착 저항이 충분히 견디기는 하지만, 상기하듯이 예기치 못한 비상상황에서 충분한 일방향 제어의 효과를 갖춘 허브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오로지 인력에 의하여만 동력이 발생하는 자전거에 있어, 일방향 베어링에서 발생하는 내외륜과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인력에 의하여 발생한 동력의 손실이 극소화한 자전거용 리어허브에 최적화한 회전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서 산악이나 급경사지 혹은 고속 주행시에 가해지는 급격한 마찰항력만으로는 견디기 힘든 상황에서도 안정된 동력차단 기능을 발휘하여 발생가능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회전제어장치를 갖춘 리어허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서 고속 급경사 주행시 가해지는 급격한 고속 고강도의 충격에 대한 안정된 저항성을 갖는다 하여도 본래의 주행성능에는 변함이 없는 내외륜과의 마찰저항성도 최소화로 주행성능도 극대화한 리어허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자전거 리어허브의 허브축과 구동체 그리고 허브보디간의 동작중심을 잡아주는 센터링 베어링부,
구동체로부터 전달되는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동력단속부,
상기 센터링 베어링부와 동력단속부를 외주를 따라 설치하는 인너레이어부,
상기 센터링 베어링부와 동력단속부를 포괄하는 아웃레이어부,
그리고 센터링베어링부의 구름볼의 배치를 잡아주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행성능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고부하안정성을 갖는 자전거 리어허브용 회전제어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자전거의 뒷바퀴의 림과 포크로 연결한 허브축(50), 상기 허브축에 회전자유롭게 장착한 허브보디(51), 상기 허브보디의 양단부에서 상기 허브축의 사이에 배치된 마찰저감부재들(52)(53), 상기 허브실의 일단측에서 변속장치와 체결되어져 회전자유롭게 설치한 구동체(55)를 포함하는 리어허브에 있어서,
자전거 리어허브의 허브축과 구동체 그리고 허브보디간의 동작중심을 잡아주는 센터링 베어링부,
구동체로부터 전달되는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동력단속부,
상기 센터링 베어링부와 동력단속부를 외주를 따라 설치하는 인너레이어부,
상기 센터링 베어링부와 동력단속부를 포괄하는 아웃레이어부,
그리고 센터링베어링부의 구름볼의 배치를 잡아주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회전제어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성능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고부하안정성을 갖는 자전거 리어허브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페달을 밟아서 주행하는 정상주행시에도 리어허브 보디의 마찰 베어링부에서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최소화하여 정상주행시에도 운전자가 보다 용이하게 운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또한 일방향 베어링에서 설치하는 스토퍼의 일부, 특히 외륜과 접하여 페달을 밟지 않고 자유주행시에도 마찰 접촉을 최소화함에 따라 자유주행의 거리도 확장되어 주행거리를 크게 늘릴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특히 본 발명자의 선등록 10-1834207-00-00호의 주행성능 최대화한 리어허브의 단점인 급경사지, 산간과 같은 과격한 주행조건하에서 받는 순간적인 충격을 받을 경우에도 센터링 베어링과 동력단속부에 의한 안정된 센터링과 스톱기능으로 다양한 악조건에서도 주행성능을 최대화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 제품 샘플 주행 결과는 표 의 실험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선등록 10-1834207-00-00호에 비하여 약간의 주행성능의 저하는 있으나 일반 자전거에 비하여는 거의 2배에 이르는 주행 성능효과는 유지하였으며, 특히 안정성이 뛰어나, 산간 주행, 급경사 고속주행 등에도 안전한 리어허브로서 역활을 기대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주행성능의 최대화에 있어서는 약간의 손실이 있으나 여전히 일반 자전거에 비하여서는 거의 2배에 가까운 무부하 주행성능을 보이면서, 안정성도 함께 확보하였다. 따라서 주행성능확대와 내구성의 증대라는 서로 상반되는 기능을 함께 구현하여 종래 자전거에 비하여 획기적 주행성능과 내구성의 확보라는 2가지 효과를 거두게 되었다.
도 1 은 본 발명자의 종래 리어허브의 분해 조립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자의 종래 리어허브의 와이어프레임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자의 종래 리어허브의 일방향 베어링의 역방향 스톱기능 동작 설명을 위한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리어허브의 분해 조립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리어허브 조립상태의 와이어프레임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리어허브 조립상태의 분해상태 와이어프레임 단면도,
도 7a, 7b, 7c 는 본 발명의 스페이서만의 정면, 사시 그리고 구름볼 조립상태 사시도,
도 8a와 8b 본 발명의 동력단속부의 분해 및 조립상태 사시도,
9a 와 9b는 본 발명의 동력단속부의 인너레이어의 센터링베어링과 스토퍼들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0.01.2020] 
도 10a, 10b 는 본 발명의 동력단속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분해사시도와 부분확대도,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0.01.2020] 
도 11 은 본 발명의 스토퍼의 다양한 예시를 보여주는 사시도임.
본 발명은 자전거 리어허브의 허브축과 구동체 그리고 허브보디간의 동작중심을 잡아주는 센터링 베어링부,
구동체로부터 전달되는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동력단속부,
상기 센터링 베어링부와 동력단속부를 외주를 따라 설치하는 인너레이어부,
상기 센터링 베어링부와 동력단속부를 포괄하는 아웃레이어부,
그리고 센터링베어링부의 구름볼의 배치를 잡아주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행성능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고부하안정성을 갖는 자전거 리어허브용 회전제어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대표적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에서 명명하는 장치, 부(部), 구(具)로 명명하는 것은 단일의 혹은 다수의 부품들이 어셈블리된 구조로, 이러한 구성의 예시로 인한 기술적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로지 기술적 설명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자유주행 혹은 무부하 주행이란, 자전거의 페달을 발로 밟지 않은 상태로 현재의 주행력을 그대로 이용하여 전진하는 것을 정의하는 것으로 본발명의 기술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정의로 인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이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주행성능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고부하안정성을 갖는 자전거 리어허브용 회전제어장치의 대표적 실시예를 대표적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 4 는 회전제어장치가 설치된 리어허브의 분해 조립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리어허브 조립상태의 와이어프레임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리어허브 조립상태의 분해상태 와이어프레임 측면도, 도 7a, 7b, 7c 그리고 7d는 본 발명의 센터링베어링부와 동력단속부를 설치하는 인너레이어의 정면도, 측면도, 사시도 및 탄지축 분해상태 사시도, 8a, 8b, 8c 는 스페이서에 의한 구름볼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사시도, 및 조립상태 사시도, 도 9a와 9b는 본 발명의 센터링베어링부와 동력단속부의 조립상태 사시도와 탄지축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10a, 10b 는 본 발명의 동력단속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와 부분확대도이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리어허브는 일반적으로 자전거 탑승자의 페달 동작으로 부터 발생한 동력을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장치에 의하여 구동력을 구동체(55)로 부터 전달받아 적절한 속도로 변환하는 변속수단을 거쳐 후륜에 대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장치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변속장치를 제외하고 설명하며, 기재한 부분이외의 구성부품에 대한 설명은 발명의 요부가 아니므로 생략한다.
본 발명의 회전제어장치 설치된 자전거의 리어허브는 도 4와 5 그리고 도 6에 도시하며,
자전거의 뒷바퀴와 회전불능하게 장착한 허브축(50), 상기 허브축에 회전자유롭게 장착한 허브보디(51), 상기 허브보디의 양단부에서 상기 허브축의 사이에 배치된 베어링부재들(52)(53), 상기 허브실의 일단측에서 변속장치와 체결되어져 회전자유롭게 설치한 구동체(55) 그리고 센터링과 일방향제어 및 마찰저감을 위한 회전제어부로 이루어진 자전거용 리어허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서,상기 자전거 리어허브의 허브축과 구동체 그리고 허브보디간의 동작중심을 잡아주는 센터링 베어링부(20),
구동체로부터 전달되는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동력단속부(30),
상기 센터링 베어링부와 동력단속부를 외주를 따라 설치하는 인너레이어부(36)
그리고 상기 센터링 베어링부와 동력단속부를 포괄하는 아웃레이어(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행성능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고부하안정성을 갖는 자전거 리어허브용 회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회전제어장치는, 센터링베어링부와 동력단속부가 인너레이어부(36)를 동일축으로 하여 인너레이어부의 외주에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 인너레이어부는 도 7a ~ 7d 에 도시하듯이, 구동체(55)와 연결돌기(56)로 체결홈(36a)으로 체결되어 전달되는 동력을 인너레이어로 전달받아 회전축의 중심을 잡는 동시에 동력을 휘일에 전달한다.
상기 인너레이어는 상기 센터링베어링부와 동력단속부를 동시에 설치할 수 있도록 외주를 따라 센터링베어링부의 구름볼을 안착하는 리테이너홈(33a)을 형성하며, 동력차단부의 스토퍼(35)를 일정거리에서 자유회전가능하도록 스토퍼 유동부(33f)를 형성하였다. 상기 스토퍼 유동부는 스토퍼를 스톱돌기의 경사부(37b)에서 탄지축의 탄력적인 지지를 받아 회전과 동시에 도 7b의 화살표와 같이 전후진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센터링베어링부(20)는,
아웃레이어(33)의 내측에 형성된 리테이어너홈(33a)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배치한 다수의 구름볼(25),
상기 구름볼들을 일정한 위치에 배치하는 스페이서(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센터링 베어링부은 중앙을 관통하는 허브축의 회전 중심을 잡아준다.
상기 스페이서의 대표적 실시예는 도 8a, 8b, 8c 에 도시한다.
스페이서에는 상기 구름볼을 일정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배치하도록 상부가 첨예한 형태의 산형의 홀더(24c)의 사이에 센터링리테이너부(24a)가 형성되어진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센터링 리테이너부의 홀더의 폭(d1)과 스페이서(24)의 폭은 마찰저감용인 구름볼의 직경(d2)보다 작게 형성한다. 더나아가서 상기 홀더를 첨예한 형태로 구성하여, 구름볼과의 접촉면적을 가능한 적게 구성하였다. 따라서 고속 회전시 구름볼과 스페이서의 홀더간에 발생하는 마찰에 의한 고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동시에 삼각형 구조의 갖는 구조적 안정성으로 내구성을 확보한다. 그리고 구름볼과의 접촉면적이 삼각형의 면으로 가능한 구름볼과 홀더간의 직접적인 접촉 유효면적을 최소화하여 마찰손실을 최소화하였다. 이러한 특성으로 구름볼은 허브축의 중심과 회전제어장치간의 중심을 정확히 잡아주는 목적만 충실히 하면 되는 것으로, 리테이너와 스페이서가 구름볼을 너무 강하게 잡아주는 경우, 스페이서의 구름볼 잡아주는 동작에 의하여 구름볼의 회전시의 저항, 즉 마찰력을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동기의 동력으로 동작하는 장치와 달리 자전거는 사람의 힘으로만 동력을 얻는 관계로 미세한 저항력이라 하여도 주행중인 탑승자에 대한 부담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이렇게 접촉면적을 최소화하고 단지 구름볼의 위치고정의 동작만 겨우 가능할 정도로 스페이서를 형성하였다. 자전거에 의한 회전은 수천 rpm의 원동기와 달리 불과 수십에서 수백 rpm에 불과하므로 스페이서에서 잡아주는 표면적을 적게 하여도 고속에서의 구름볼과 달리 위치 이탈과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동력단속부는 스톱보디(37), 스토퍼(35) 그리고 탄지축(38)으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스톱보디는 9a, 9b 그리고 9c에 도시하듯이, 외륜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산(山)형태로 구성되어져, 인너레이어(36)의 외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스톱보디와 인접한 스톱보디의 사이에는 일측의 스톱보디의 정점(37d)과 타측 스톱보디의 하측 탄지축 삽입부(37a)의 사이가 연결된 경사부(37b)를 형성한다.
상기 스토퍼(35)가 본발명에서는 원통형을 예시하지만, 회전에 영향을 주지않는 한 어떠한 형태라도 제한은 없으며, 도 11에 도시하듯이, 원뿔형. 다중의 원뿔형 등이 사용가능하며, 사용할 자전거의 종류와 부하 속도 등에 맞추어 취사 선택가능하다. 스토퍼는, 방향제어베이링부의 인너라인부(33e)에 접한 채 자유회전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의 외주면은 탄지축의 선단부가 접촉토록 설치하고, 이 탄지축은 산형으로 돌출한 스톱보디(37)의 탄지축 삽입부(37a)에 탄지축이 스프링과 같은 탄력수단에 의하여 항시 스토퍼를 향하여 탄력돌출토록 구성한다.
상기 경사부에는 예시하듯이 스토퍼(35)가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스톱보디의 탄지축삽입부에 삽입된 탄지축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스톱보디의 경사부와 인너레이어간의 간격은 경사를 따라 스톱보디의 정점(37d)를 향하여 갈수록 좁아진다. 따라서 스토퍼가 경사부를 따라 정점을 향하여 이동할 경우 스토퍼는 인너레이어와 경사부의 사이에 밀착되면서 인너레이어와 외륜간의 강한 저항력을 발생하며, 이러한 저항력으로 인너레이어의 회전이 차단되어진다.
이상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동작을 도 10a 와 10b에 도시한 도면으로 설명한다. 자전거를 주행하면, 페달을 밟는 동력이 체인을 통하여 종동스프로킷, 구동체로 전달되어 정상주행이 된다. 상기 구동체에는 미도시한 변속장치가 설치되며, 이 변속장치는 페달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체인에 의하여 전달받아, 회전력을 부여한다. 이 회전력의 전진방향 후진방향의 단속을 본 발명의 동력단속부에 의하여 정상주행시(페달을 밟아 주행하는 경우) 정방향만의 회전이 가능하고, 페달을 밟지 않은 자유주행시의 역방향의 회전은 차단토록 한다. 이 상태에서 허브축은 본 발명의 회전제어장치의 중앙에 자유회전이 이루어져, 탑승자가 페달을 밟지 않아도 바퀴는 회전한다. 또한 동력단속부는 도 10a에 원형A에 도시하듯이, 스토퍼가 외륜의 내측면과 인너레이어의 스톱보디의 경사면과 미세한 간극을 갖고 있어 자유회전에 대한 저항이 없이 무부하 상태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무부하 주행중에, 예를 들면, 급경사지 혹은 산간 비탈길 등을 달리다 탑승자가 급격한 반대되는 페달동작이 이루어지는경우,
도 10b의 A 부분 확대도에 도시하듯이 스토퍼(35)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던 탄지축이 허브축과 물려진 인너레이어의 역회전 동작으로 화살표방향으로 스토퍼가 이동한다. 즉, 경사부(37a)로 스토퍼가 전진하면서 폭이 좁은 외륜과 인너레이어간의 사이로 이동하면서 스토퍼가 밀착되어진다. 이러한 밀착동작은 결국 인너레이어의 회전을 방해하고, 이어서 인너레이어와 연결된 허브축의 회전도 못하게 하면서, 강한 역회전 동력의 전달을 차단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종래 본 발명자의 도 3에 도시한 마찰력만으로 인한 스톱기능보다 강한 차단 기능을 발휘하며, 이러한 차단 기능은 산형의 스톱보디의 파손이나 스토퍼의 파손이 없는 한 강한 저항력을 발휘하게 되며, 급경사지, 산악 주행 등의 고부하 위험구간에서도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따라서 종래 본 발명자의 선등록 특허와 같은 정도의 주행성능의 최대화를 이루는 동시에 정역(正逆) 동력차단기능은 그대로 발휘하면서 저항은 최소화하여, 자전거 운전자가 받는 저항감을 최소화함으로써 주행 효율의 극대화와 함께 산악자전거, 고속 주행 경주 자전거와 같은 고부하 주행 충격을 받는 자전거에도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상 본 발명의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실제 제작품을 이용한 자전거 장착후의 마찰저항 감소효과에 대한 실험 결과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 장착 실험은 리어허브에 대한 표준화된 시험장치, 시험 표준이 없는 관계로 발명자 임의로 설정하여 시험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정상주행, 즉 페달을 밟아 주행하는 시험은 자전기 운행자의 운행습관, 체력에 따라 주행속도에 많은 차이를 보이므로 시험의 객관성을 담보하기 어려워 삭제하고, 자유 주행의 시험만 하였다.
시험 일자 : 2018년 7월 02일
시험 방법 : 발명자 소유의 자전거의 뒷바퀴에 본 발명의 리어허브를 설치한 것과 일반 리어허브(사용허브는 일본 시마노사 제품)를 설치한 것을 70 ±1 ㎞/h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자유 주행 시간 (사람이 탑승하지 않고 자유주행하는 시간)을 각각 5회에 걸쳐 측정하였음. 사용한 뒷바퀴의 크기 26인치이며, 각각의 바퀴 중량은 본 발명의 리어허브 설치한 것은 2.12㎏, 종래 일반 리어허브 설치한 것은 2.06 ㎏이다. 본 발명의 리어허브 설치된 바퀴가 0.06 ㎏이 더 무겁지만 일반적인 통계학적 평가기준으로 오차범위 ±5% 범위 이내이고, 동일질량의 바퀴의 수배가 어려워 그대로 진행하였다.
실험에는 속도측정장치 : panoram V12 (상표명) 일본 topeak 사 2014년 제작을 사용하였다.
측정방법은 수동으로 페달을 돌려 70 ㎞/h에 도달시 페달 동작을 멈추고 회전이 멈출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총 5회의 실시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시험에 있어 사람의 손으로 페달을 회전시키고 순간적으로 변화하는 속도계에서 정확한 70 ㎞/h의 속도에 도달한 순간을 잡아서 측정하기 어려워 상하 1 ㎞/h 정도의 오차는 허용하였다.
측정 결과
본 발명의 리어허브 설치된 바퀴의 자유 주행 시간 종래 리어허브 설치된 바퀴의 자유 주행 시간
1 초기속도 70.4 ㎞/h로 2분 45초 간 자유 주행 초기속도 70.7 ㎞/h로 1분30초간 자유 주행
2 초기속도 71.3 ㎞/h로 2분 58초간 자유주행 초기속도 70.5 ㎞/h로 1분 29초간 자유 주행
3 초기속도 70.8 ㎞/h로 3분 0초간 자유 주행 초기속도 71.7 ㎞/h로 1분 35초간 자유 주행
4 초기속도 71.2 ㎞/h로 3분 02초간 자유 주행 초기속도 71.2 ㎞/h로`1분 35초간 자유 주행
5 초기속도 70.9 ㎞/h로 2분 59초간 자유 주행 초기속도 71.4 ㎞/h로 1분 초간 자유 주행
시험 결과
본 발명 일반 허브
평균 초기 속도와자유 주행 시간 70.92 ㎞/h약 2분 56.8 초 평균 초기 속도와자유 주행시간 70.64 ㎞/h약 1분 30.6 초
상기 시험 결과가 정확한 표준 기구와 시험 방법에 의한 것은 아니지만 위 결과표에 나오듯이 종래의 리어허브는 1분 30.6초의 자유주행시간을 기록한 반면, 본 발명은 2분 56.8초를 주행하였다. 본 발명자의 선등록은 3분 17.2초와 비교시 약 20초의 자유주행 속도 저하는 있으나 ,일반적인 허브에 비하여 획기적인 주행성능을 보였다. 즉, 2배에 가까운 자유주행거리 증대를 여전히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실제 주행시 자전거 운행자가 받는 저항이 그만큼 감소한다는 것으로 주행성능이 획기적으로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무부하 주행에 있어 약간의 주행성능하락을 보이지만, 일반 허브에 비하여서는 월등한 주행성능을 보인다. 즉, 무부하 주행성능은 거의 그대로 유지하는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구조적으로 스톱보디부의 파손이 없는한 역주행시의 급격한 충격을 완벽하게 흡수할 수 있으므로, 안정성과 주행성능의 2가지를 함께 성취한 효과를 보이고 있다.본 발명은 종래 주행성능 최대화의 효과와 함께 고부하로 가해지는 순간적인충격에도 강한 회전제어장치와 허브를 개발함에 있어, 주행성능에 있어서는 약간의 손실이 있으나 그 손실에 비하여 고충격과 고부하에 견디는 내구성은 크게 향상되는 장점을 함께 이루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인력에 의하여 주행하는 자전거에 있어서, 주행중 발생하는 불필요한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는 리어허브의 개발로, 장거리 주행에 있어 사용자의 피로감을 없애고, 주행성능의 향상으로 자전거의 내구성도 크게 향상시켰다.
특히 본 발명은 주행성능의 최대화와 동시에 고속 혹은 급경사지 주행시에 가해지는 리어허브에 대한 급격한 충격에도 견딜수 있는 내구성이 항상된 리어허브를 위한 회전제어장치를 제공하여, 인력에 의한 자전거 시장에 있어 최적의 주행성능을 갖는 자전거의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다.

Claims (3)

  1. 자전거 리어허브의 허브축과 구동체 그리고 허브보디간의 동작중심을 잡아주는 센터링 베어링부,
    구동체로부터 전달되는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동력단속부,
    상기 센터링 베어링부와 동력단속부를 외주를 따라 설치하는 인너레이어부,
    상기 센터링 베어링부와 동력단속부를 포괄하는 아웃레이어부,
    그리고 센터링베어링부의 구름볼의 배치를 잡아주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행성능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고부하안정성을 갖는 자전거 리어허브용 회전제어장치로서,
    상기 스페이서는,
    구름볼을 일정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배치하도록 상부가 첨예한 형태의 산형의 홀더의 사이에 센터링리테이너부를 형성하며,
    상기 센터링 리테이너부의 홀더의 폭(d1)과 스페이서의 폭은 마찰저감용인 구름볼의 직경(d2)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성능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고부하안정성을 갖는 자전거 리어허브용 회전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단속부는,
    외륜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산(山)형태로 구성되어져, 인너레이어의 외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배치한 스톱보디,
    스톱보디와 인접한 스톱보디의 사이에는 일측의 스톱보디의 정점과 타측 스톱보디의 하측 탄지축 삽입부의 사이가 연결된 경사부에 회전자유롭게 배치한 스토퍼,
    상기 스톱보디에 인너레이의 외륜에 접선방향으로 설치한 탄지축 삽입부에 탄력적으로 삽입한 탄지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성능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고부하안정성을 갖는 자전거 리어허브용 회전제어장치.
  3. 자전거의 뒷바퀴의 림과 포크로 연결한 허브축(50), 상기 허브축에 회전자유롭게 장착한 허브보디(51), 상기 허브보디의 양단부에서 상기 허브축의 사이에 배치된 마찰저감부재들(52)(53), 상기 허브실의 일단측에서 변속장치와 체결되어져 회전자유롭게 설치한 구동체(55)를 포함하는 리어허브에 있어서,
    자전거 리어허브의 허브축과 구동체 그리고 허브보디간의 동작중심을 잡아주는 센터링 베어링부,
    구동체로부터 전달되는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동력단속부,
    상기 센터링 베어링부와 동력단속부를 외주를 따라 설치하는 인너레이어부,
    상기 센터링 베어링부와 동력단속부를 포괄하는 아웃레이어부,
    그리고 센터링베어링부의 구름볼의 배치를 잡아주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회전제어장치를 설치하되,
    상기 스페이서는,
    구름볼을 일정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배치하도록 상부가 첨예한 형태의 산형의 홀더의 사이에 센터링리테이너부를 형성하며,
    상기 센터링 리테이너부의 홀더의 폭(d1)과 스페이서의 폭은 마찰저감용인 구름볼의 직경(d2)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성능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고부하안정성을 갖는 자전거 리어허브.
PCT/KR2019/018833 2019-12-31 2019-12-31 주행성능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고부하안정성을 갖는 자전거 리어허브용 회전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리어허브 WO2021137332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8833 WO2021137332A1 (ko) 2019-12-31 2019-12-31 주행성능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고부하안정성을 갖는 자전거 리어허브용 회전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리어허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8833 WO2021137332A1 (ko) 2019-12-31 2019-12-31 주행성능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고부하안정성을 갖는 자전거 리어허브용 회전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리어허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7332A1 true WO2021137332A1 (ko) 2021-07-08

Family

ID=76686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8833 WO2021137332A1 (ko) 2019-12-31 2019-12-31 주행성능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고부하안정성을 갖는 자전거 리어허브용 회전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리어허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1137332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3504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원웨이 클러치
JP2002295520A (ja) * 2001-03-29 2002-10-09 Ntn Corp 一方向クラッチ
US20140274519A1 (en) * 2011-07-14 2014-09-18 Karsten Bettin Rear-wheel drive
KR101477484B1 (ko) * 2012-12-24 2014-12-31 (주)일지테크 자전거 변속레버장치
KR20170138236A (ko) * 2016-06-07 2017-12-15 김숙태 주행성능을 최대화한 자전거용 리어허브
KR102096857B1 (ko) * 2018-07-04 2020-04-03 김숙태 주행성능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고부하안정성을 갖는 자전거 리어허브용 회전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리어허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3504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원웨이 클러치
JP2002295520A (ja) * 2001-03-29 2002-10-09 Ntn Corp 一方向クラッチ
US20140274519A1 (en) * 2011-07-14 2014-09-18 Karsten Bettin Rear-wheel drive
KR101477484B1 (ko) * 2012-12-24 2014-12-31 (주)일지테크 자전거 변속레버장치
KR20170138236A (ko) * 2016-06-07 2017-12-15 김숙태 주행성능을 최대화한 자전거용 리어허브
KR102096857B1 (ko) * 2018-07-04 2020-04-03 김숙태 주행성능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고부하안정성을 갖는 자전거 리어허브용 회전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리어허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8564B1 (en) Hub, especially for bicycles and the like
JP5162649B2 (ja) 自転車用ハブアセンブリ
US5626401A (en) Spoked wheel hub
TWI739870B (zh) 特別是用於自行車的輪轂
US5964332A (en) Rear hub drive engagement mechanism
US9182016B2 (en) Drive hub
US5611556A (en) Speed change mechanism
US11220133B2 (en) Bicycle component for an at least partially muscle-powered bicycle
WO2010016673A2 (ko) 주행속도 향상을 위한 자전거용 가속장치
WO2011004988A2 (ko) 무체인 자전거용 동력전달장치
US10625540B2 (en) Hub, in particular for bicycles
US6557684B1 (en) Free-wheeling hub
CN1177069A (zh) 内装有离合器之轮毂
US4711331A (en) Freewheel overrunning clutch, particularly for a two-wheel vehicle
WO2021137332A1 (ko) 주행성능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고부하안정성을 갖는 자전거 리어허브용 회전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리어허브
TWI720244B (zh) 特別適用於自行車的輪轂
WO2013015486A1 (ko) 기존 바퀴의 측면 탈부착 구조를 갖는 원반장치
WO2015056832A1 (ko) 회전비를 증가시키는 크랭크 조립체
US11485173B2 (en) Hub for an at least partially muscle-powered bicycle
WO2024021884A1 (zh) 中置电机以及电动车
KR20200004720A (ko) 주행성능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고부하안정성을 갖는 자전거 리어허브용 회전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리어허브
WO2014084560A1 (ko) 자전거 변속장치
CN114132427A (zh) 一种集成化双重离心离合组件及应用其的自动变速花鼓
US3203519A (en) Freewheeling hub with coaster brake
KR20170138236A (ko) 주행성능을 최대화한 자전거용 리어허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587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587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