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25764A1 -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25764A1
WO2021125764A1 PCT/KR2020/018393 KR2020018393W WO2021125764A1 WO 2021125764 A1 WO2021125764 A1 WO 2021125764A1 KR 2020018393 W KR2020018393 W KR 2020018393W WO 2021125764 A1 WO2021125764 A1 WO 202112576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ayer
display device
detachable
pattern
composit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839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5178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37333B1/ko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ublication of WO202112576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2576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Definitions

  • the functional coating layer 10, the window 11, the transparent adhesive layer 12, the printed patterns 13 and 14, and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15 may be applied as long as they are known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tachable layer 20 preferably has an adhesive strength of about 0.05gf/25mm to 500gf/25mm, and more preferably 0.2gf/25mm to 50gf/25mm. This is smaller than 1,500 gf/25 mm, which is a typical adhesive force of a conventional adhesive layer, and thus is distinguished from a conventional adhesive layer.
  • the detachable layer 20 is optically transparent, and is cured to a semi-solid state by thermal curing or UV curing.
  • the adhesion control layer 30 may be an adhesion control pattern in the form of a pattern formed by treatment with curing, corona, vapor deposition, plasma, or a combination thereof, as shown in FIG. 3 .
  • the sha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dhesion control pattern can be stably attached regardless of the shape by freely adjusting the adhesive force according to the position like the detachable pattern. That is, at least one of the detachable pattern and the adhesion control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band shape, a grid shape, an island shape, a fence shape,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detachable pattern and the adhesion control pattern have a difference in the adjusted adhesive strength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achable layer 20 and the adhesion control layer 30 , respectively.
  • the thin glass 45 is preferably chemically strengthened optical glass, and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50 to 300 ⁇ m. As the thin glass 45 becomes thinner, the degree of bending increases. In addition, the thin glass 45 is superior in flatness compared to the prior art, and has a high restoring force and stiffness (stiffness). Since the flatness of the thin glass 45 is excellent, the flatness of the first composite cover layer 40 and the adhesion control layer 30 is also increased. When the flatness is high, when the detachable layer 2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adhesion control layer 30, the generation of air bubbles can be blocked and can be uniformly attached. If the thin glass 45 has high restoring force and rigidity, it is used flexibly.

Abstract

평탄도가 우수하고, 복원력 및 경직도가 높으며, 두께가 얇은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를 제시한다. 그 장치는 윈도우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터치스크린이 선택적으로 포함되어 이루어진 표시장치에 있어서, 윈도우,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의 어느 하나에 위치하고 접착력이 0.1gf/25mm 내지 500gf/25mm인 탈부착층 및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중의 어느 하나에 부착하고 탈부착층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점착조절층이 존재하는 복합커버층을 포함하고, 복합커버층은 고분자필름 및 고분자필름이 부착된 박막유리를 포함하고 고분자필름 상에는 점착조절층이 존재한다.

Description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탄도가 충분하게 확보된 복합커버층을 이용하여, 두께가 얇아지고 휘어지는 표시장치의 추세에 적합한 탈부착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소자(LC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마이크로 LED, 전기영동표시장치(EPD)와 같은 디스플레이가 화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각종 영상화면 장치에 적용된다. 한편, 상기 장치는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을 채용한다. 터치스크린의 전면에는 강화유리 또는 투명 고분자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윈도우가 배치된다. 윈도우는 중심부에의 화면부와 테두리에의 베젤부로 나뉘며, 외부의 충격이나 접촉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터치스크린을 보호한다. 최근에는 플렉시블 및 휘어진 디스플레이의 등장으로 그에 부응하는 윈도우도 출현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574923호는 탈부착이 가능한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탈부착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허는 손상된 윈도우의 분리가 간단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단가가 낮으며,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한편, 윈도우 또는 터치스크린을 다양한 형상, 용도 및 환경에 부합하기 위해서, 탈부착이 되는 피착재의 표면은 평탄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종래의 피착재는 터치스크린이나 디스플레이 등은 각종 패턴이나 부품 등으로 인하여 표면이 평탄하지 못하다. 이렇게 되면, 탈부착의 접착력 조절, 이물질의 부착 방지, 지문 방지, 용이한 기포 제거, 곡면 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의 원활한 적용 등과 같은 특성을 개선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커버층이 필요하다.
도 1은 종래의 표시장치(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의하면, 종래의 표시장치(100)는 기능성 코팅층(101), 윈도우(102), 투명접착층(103), 비산방지필름(106) 및 탈부착층(110)을 포함한다. 이때, 윈도우(102)의 하면 및 비산방지필름(106)의 상면의 베젤부는 인쇄패턴(104, 105)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조절층(120)은 탈부착층(110)에 대향하여 커버층(130)에 배치되며, 커버층(130)은 투명접착층(131)에 의해 터치스크린(140)에 접착된다. 터치스크린(140)은 디스플레이(150)에 부착된다. 탈부착층(110) 및 점착조절층(120)이 탈부착되는 과정은 국내등록특허 제10-1574923호를 참조하기로 한다.
최근, 디스플레이(150)는 OLED, 폴더블(foldable), 롤러블(rollable)으로 갈수록 두께는 점점 얇아지고 있다. 디스플레이(150)에 부착된 점착조절층(120), 커버층(130) 및 터치스크린(140)은 두께가 얇아질수록 평탄도가 중요해지고 있다. 점착조절층(120) 및 탈부착층(110)의 탈부착 과정은, 접착에 비하여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특히 커버층(130)의 평탄도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평탄도가 높으면 탈부착하는 과정에서 기포발생이 적고, 균일하게 부착된다. 그런데, 디스플레이(150)의 두께가 얇아지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하여, 커버층(130) 두께를 얇게 하면 평탄도뿐 아니라 복원력 및 경직도가 나빠진다. 평탄도와 더불어 복원력 및 경직도를 높이기 위하여, 커버층(130) 두께를 크게 하면 표시장치(100)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진다. 이에 따라, 평탄도 및 복원력이 우수하고, 경직도가 높으며, 두께가 얇은 커버층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평탄도가 우수하고, 복원력 및 경직도가 높으며, 두께가 얇은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는 윈도우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터치스크린이 선택적으로 포함되어 이루어진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의 어느 하나에 위치하고 접착력이 0.1gf/25mm 내지 500gf/25mm인 탈부착층 및 상기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중의 어느 하나에 부착하고 상기 탈부착층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점착조절층이 존재하는 복합커버층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합커버층은 고분자필름 및 상기 고분자필름이 부착된 박막유리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필름 상에는 상기 점착조절층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필름은 상기 박막유리에 열융착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필름은 상기 박막유리의 일측 또는 양측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박막유리의 두께는 50~3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층 또는 상기 점착조절층 또는 양쪽의 층은 평탄층 및 패턴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턴층은 하드코팅층, 디지털프린팅층, 접촉각도를 조절하는 코팅층, 증착층, 미세요철을 포함하는 미세요철층 또는 표면개질층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패턴층은 상기 탈부착층 또는 상기 점착조절층에 대하여 위치에 따라 접착력이 다를 수 있다. 상기 패턴층은 띠 형태, 격자 형태, 섬 형태, 울타리 형태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턴층은 투명층 또는 반투명층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패턴층은 문자, 로고, 마크 또는 이미지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평면 또는 곡면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폴더블, 롤러블 또는 플렉시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에 의하면, 박막유리를 포함하는 복합커버층을 적용함으로써, 평탄도가 우수하고 복원력 및 경직도가 높으며 두께가 얇다.
도 1은 종래의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탈부착층 패턴의 사례를 제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들에 있어서, 막(층, 패턴)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막(층, 패턴)이 다른 막(층, 패턴)의 상, 상부, 하부, 일면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층, 패턴)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다른 막(층, 패턴)이 개재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박막유리를 포함하는 복합커버층을 적용함으로써, 평탄도가 우수하고 복원력 및 경직도가 높으며, 두께가 얇은 탈부착 표시장치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복합커버층에 의하여 탈부착을 위한 물성이 개선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커버층은 윈도우가 터치스크린에 탈부착되는 탈부착 표시장치에 한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표시장치는 모바일 기기, 정보처리 단말기 및 텔레비전 등을 모든 영상처리 기기를 말한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같은 핸드폰, 스마트폰, 태블릿 등이 있고, 상기 정보처리 단말기는 ATM, 키오스크 등이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평탄 또는 평탄하지만 휘어진 것도 포함하고, 플렉시블(flexible)하기도 한다. 상기 영상처리 기기는 윈도우,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는 모바일 기기의 윈도우, 정보처리 단말기의 윈도우, 텔레비전 등의 모든 영상처리 기기의 윈도우를 통칭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도 모든 영상처리 기기에 적용되는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지칭한다.
표시장치는 평면, 곡면 또는 그들이 혼합된 형태를 이룬다. 표시장치는 윈도우의 형상에 따라, 2D(평면), 2.5D(전면 테두리 곡면, 배면 평면), 3D(곡면, 엣지)으로 발전되어 왔다. 최근에는 접거나 펼칠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표시장치와, 와인딩이 가능한 롤러블(rollable) 표시장치가 등장하고 있다. 폴더블 및 롤러블 표시장치는 플렉시블(flexible) 표시장치의 일종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표시장치는 2D, 2.5D, 3D, 플렉시블, 폴더블, 롤러블 등과 같이 평면 또는 곡면 또는 그들이 혼합된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복합커버층(40)이 적용되는 제1 표시장치(2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도 2에 의하면, 제2 표시장치(200)는 기능성 코팅층(10), 윈도우(11), 투명접착층(12), 비산방지필름(15) 및 탈부착층(20)을 포함한다. 이때, 윈도우(11)의 하면 및 비산방지필름(15)의 상면의 베젤부는 인쇄패턴(13, 14)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패턴(13, 14)은 투명, 반투명 또는 칼라 등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코팅을 적용할 수 있다. 점착조절층(30)은 탈부착층(20)에 대향하여 제1 복합커버층(40)에 배치되며, 제1 복합커버층(40)은 투명접착층(42)에 의해 터치스크린(50)에 접착된다. 터치스크린(50)은 디스플레이(60)에 부착된다. 탈부착층(20)은 점착조절층(30)에 탈부착된다.
기능성 코팅층(10), 윈도우(11), 투명접착층(12), 인쇄패턴(13, 14) 및 비산방지필름(15)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공지된 것이면 모두 적용할 수 있다. 탈부착층(20)은 접착력이 약 0.05gf/25mm 내지 500gf/25mm가 적절하며, 0.2gf/25mm 내지 50gf/25mm가 더욱 좋다. 이는 종래의 접착층의 통상적인 접착력인 1,500gf/25mm보다 작으므로, 종래의 접착층과 구별된다. 탈부착층(20)은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열경화 또는 UV 경화되어 반고체 상태로 경화된다. 탈부착층(20)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아크릴계 중합체, 실리콘계 중합체, 우레탄계 중합체, 자외선 경화형 수지와 가교제가 혼합된 접착제 또는 그들의 혼합물 또는 그들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탈부착층에, 실리카겔, 나노입자 및 대전방지제와 같은 기능성 물질을 혼합하여, 탈부착층의 물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 나아가, 탈부착층에 양자점(quantum dot)을 이루는 입자를 첨가하여 광학적인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탈부착층(20)은 도 3과 같이 경화, 코로나, 증착 또는 플라즈마 또는 그들의 조합의 처리에 의해 이루어진 패턴 형태의 탈부착 패턴일 수 있다. 도 3에 의하면, 패턴배열(a, b, c, d)은 탈부착층(20)을 전체적으로 개질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개질한 것이다. 즉, 탈부착층(20)에는 패턴배열(a, b, c, d)가 존재한다. 패턴배열(a, b, c, d)은 평면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띠 형태이면서 패턴배열(a, b, c, d)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A 패턴, A패턴과 같은 형태이면서 접착력이 다른 B 패턴, 단독이면서 섬(island) 형태인 C 패턴, 복수개의 섬 형태인 D 패턴, C 패턴이 확장된 형태의 E 패턴, E 패턴과 같은 형태이면서 접착력이 다른 F 패턴, 울타리 형태의 G 패턴, 울타리 형태이면서 G 패턴과 접착력이 다른 H 패턴, 패턴배열(a, b, c, d)의 코너에 배치되는 I 패턴 등이 있다. 상기 접착력은 표면을 개질하는 정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탈부착 패턴은 경화 처리에 의한 경화 패턴, 코로나 처리에 의한 코로나 패턴,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플라즈마 패턴, 증착에 의한 증착 패턴의 배열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위치에 따라 접착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착되면, 탈리가 일어나지 않고 기포의 제거가 쉽다. 상기 경화 패턴은 열경화성 점착층 또는 자외선 경화성 점착층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코로나 처리는 코로나 방전기술을 이용하여 처리대상이 되는 탈부착층의 표면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대기압 플라즈마, 감압 플라즈마, 코로나 플라즈마 등의 플라즈마 방식을 이용한다. 상기 증착 처리는 금속 또는 합금 또는 이들의 산화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단층이나 다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로나 패턴, 플라즈마 패턴 및 증착 패턴은 메카니즘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접착력이 다르게 구현된다. 접착력을 조절한다는 관점에서, 상기 코로나 패턴, 플라즈마 패턴 및 증착 패턴은 서로 동일한 기능을 한다. 하지만, 상기 코로나 패턴, 플라즈마 패턴 및 증착 패턴 각각은 접착력의 관점에서는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은 탈부착층의 접착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코로나 패턴, 플라즈마 패턴 및 증착 패턴은 각각의 접착력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코로나 패턴, 플라즈마 패턴 및 증착 패턴은 서로 균등하다고 볼 수 없다. 다시 말해, 탈부착층(20)과 상기 코로나 패턴, 탈부착층(20)과 상기 플라즈마 패턴 및 탈부착층(20)과 상기 증착 패턴의 조합은 서로 다른 접착력을 가진다.
점착조절층(30)은 마찰력을 낮게 하여 슬립성(slip property)을 증대시킨다. 점착조절층(30)에 의해 탈부착층(20)이 용이하게 탈부착된다. 점착조절층(30)은 불소계 수지이나 실리콘계 수지의 코팅재를 사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점착조절층(30)은 티타니아(TiO2) 혹은 실리카(SiO2)를 커버층에 증착시킨 후, 증착된 터치스크린 상에 불소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를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불소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는 ECC(Easy Cleaning Coating) 방식으로 형성시킬 있다. 점착조절층(30)을 적용하면, 탈부착층(20)을 부착할 때 기포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점착조절층(30)에 의해, 구매자가 별도의 도구 없이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점착조절층(30)은 하드코팅, 디지털프린팅, 접촉각도 조절, 증착, 미세요철 또는 표면개질 또는 그들의 조합의 처리에 의하여 이루어진 패턴 형태의 점착조절 패턴일 수 있다.
점착조절층(30)은 도 3과 같이 경화, 코로나, 증착 또는 플라즈마 또는 그들의 조합의 처리에 의해 이루어진 패턴 형태의 점착조절 패턴일 수 있다. 상기 점착조절 패턴의 형상 및 특징은 탈부착 패턴과 같이 위치에 따라 접착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탈부착 패턴 및 점착조절 패턴 중의 적어도 하나는 띠 형태, 격자 형태, 섬 형태, 울타리 형태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탈부착 패턴 및 상기 점착조절 패턴은 각각 탈부착층(20) 및 점착조절층(30)의 자체 특성에 따라, 조절되는 접착력에는 차이가 있다.
상기 점착조절 패턴은 문자, 로고, 마크 또는 이미지와 같은 문양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문양은 표시장치가 오프(OFF)될 때는 시야에 나타나고, 온(ON)하면 시야에서 사라지는 반투명 미러 또는 또는 반투명 컬러 인쇄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문양은 표시장치가 온(ON) 및 오프(OFF) 상태에도 모두 시야에 나타나는 미러 또는 컬러 인쇄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문양은 형광으로 처리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문양은 전지, 태양광, 열, 자기장, 전자파와 같은 물리량을 활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50)은 금속 산화물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절연층의 일측 또는 양측에 도전패턴이 형성된 것이다. 디스플레이(60)는 액정표시소자(LCD), 발광다이오드(L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마이크로 LED, 전기영동표시장치(EPD) 등이 있으며, 양자점을 활용하기도 한다. 배면커버(70)는 윈도우(11)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60)를 보호하며, 투명한 강화유리, 불투명한 플라스틱 등과 같이 재질이 가능하다. 배면커버(70)는 예컨대 5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는 통신방식을 위하여, 강화유리, 사파이어, 석영 등과 같이 5세대 통신의 주파수 파장이 통과될 수 있는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제1 복합커버층(40)은 고분자필름(41), 투명접착층(42), 박막유리(45) 및 투명접착층(46)을 포함한다. 박막유리(45) 양측의 투명접착층(42)은 위치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물질, 기능은 투명접착층(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때, 투명접착층(42) 각각에는 공지의 인쇄패턴(43, 44)이 존재할 수 있다. 고분자필름(41)은 투명한 고분자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EN(PolyEthyleneNaphthalate), PES(PolyetherSulfone), PI(PolyImide), CPI(Crystalline PolyImide), PAR(PolyARylate),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MethAcrylate) 또는 COC(CycloOlefin Copolymer)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이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고분자필름(41)의 두께는 10~200㎛가 바람직하며, 박막유리(45)에 비해 점착조절층(30)의 코팅이 유리하다. 도면에서는 표현되지 않았으나, 제1 복합커버층(40)은 편광필름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박막유리(45)는 화학적으로 강화시킨 광학용 유리가 바람직하고, 두께는 50~300㎛가 좋다. 박막유리(45)는 두께가 얇아질수록 휘어지는 정도가 커진다. 또한, 박막유리(45)는 종래에 비해 평탄도가 우수하고, 복원력 및 경직도(stiffness)가 높다. 박막유리(45)의 평탄도가 우수하므로, 제1 복합커버층(40) 및 점착조절층(30)의 평탄도도 높아진다. 상기 평탄도가 높으면, 탈부착층(20)을 점착조절층(30)에 탈부착할 때, 기포의 발생을 차단하고 균일하게 부착할 수 있다. 박막유리(45)는 복원력 및 경직도가 높으면, 플렉시블하게 활용된다. 즉, 제1 복합커버층(40)은 플렉시블, 폴더블, 롤러블 등과 같이 사용할 때 굽어지거나 휘어지는 제1 표시장치(200)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박막유리(45)의 두께는 사용할 때 굽어지거나 휘어지는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물성 유지를 위한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박막유리(45)의 두께는 상기 기술적 사상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한 반복실험을 통하여 획득될 수 없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복합커버층(80)이 적용된 제2 표시장치(3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제2 표시장치(300)는 제2 복합커버층(80)을 제외하고 제1 표시장치(200)와 동일하다.
도 4에 의하면, 제2 복합커버층(80)은 고분자필름(41), 투명접착층(42), 박막유리(45), 투명접착층(42), 고분자필름(41) 및 투명접착층(46)을 포함한다. 제2 복합커버층(80)의 고분자필름(41), 투명접착층(42, 46) 및 박막유리(45)는 각각 제1 복합커버층(40)의 고분자필름(41), 투명접착층(42, 46) 및 박막유리(45)와 재질 및 기능이 동일하다. 제2 복합커버층(80)은 박막유리(45)에 크랙이 일어나도 외부에서는 크랙이 보이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제2 복합커버층(80)은 크랙이 일어난다고 해도, 상기 크랙이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탈부착을 구현한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부호의 설명
200, 300; 제1 및 제2 표시장치
10; 기능성 코팅층 11; 윈도우
12, 42, 46; 투명접착층
13, 14, 43, 44; 인쇄층
15; 비산방지필름 20; 탈부착층
30; 점착조절층
40, 80; 제1 및 제2 복합커버층
41; 고분자필름 45; 박막유리
50; 터치스크린 60; 디스플레이
70; 배면커버

Claims (11)

  1. 윈도우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터치스크린이 선택적으로 포함되어 이루어진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의 어느 하나에 위치하고, 접착력이 0.1gf/25mm 내지 500gf/25mm인 탈부착층; 및
    상기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중의 어느 하나에 부착하고, 상기 탈부착층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점착조절층이 존재하는 복합커버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커버층은,
    고분자필름 및 상기 고분자필름이 부착된 박막유리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필름 상에는 상기 점착조절층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필름은 상기 박막유리에 열융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필름은 상기 박막유리의 일측 또는 양측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유리의 두께는 50~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층 또는 상기 점착조절층 또는 양쪽의 층은 평탄층 및 패턴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턴층은 하드코팅층, 디지털프린팅층, 접촉각도를 조절하는 코팅층, 증착층, 미세요철을 포함하는 미세요철층 또는 표면개질층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은 상기 탈부착층 또는 상기 점착조절층에 대하여 위치에 따라 접착력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은 띠 형태, 격자 형태, 섬 형태, 울타리 형태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은 투명층 또는 반투명층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은 문자, 로고, 마크 또는 이미지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평면 또는 곡면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폴더블, 롤러블 또는 플렉시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PCT/KR2020/018393 2019-12-20 2020-12-16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WO202112576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347 2019-12-20
KR20190171347 2019-12-20
KR10-2020-0151784 2020-11-13
KR1020200151784A KR102437333B1 (ko) 2019-12-20 2020-11-13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25764A1 true WO2021125764A1 (ko) 2021-06-24

Family

ID=76476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8393 WO2021125764A1 (ko) 2019-12-20 2020-12-16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112576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290A (ko) * 2013-07-31 2015-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70082430A (ko) * 2016-01-06 2017-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20180037108A (ko) * 2016-10-03 2018-04-11 김영수 탈부착 패턴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US20190004642A1 (en) * 2017-06-29 2019-01-03 Hannstar Display (Nanjing) Corporation Flexible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90057473A (ko) * 2017-11-20 2019-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290A (ko) * 2013-07-31 2015-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70082430A (ko) * 2016-01-06 2017-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20180037108A (ko) * 2016-10-03 2018-04-11 김영수 탈부착 패턴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US20190004642A1 (en) * 2017-06-29 2019-01-03 Hannstar Display (Nanjing) Corporation Flexible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90057473A (ko) * 2017-11-20 2019-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4560B2 (en) Apparatus of display having detachable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EP3521982B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fine bump for adjust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675225B1 (ko) 탈부착층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46151B1 (ko) 표면개질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46150B1 (ko) 탈부착 패턴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37088A (ko) 탈부착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3686715B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dhesion reduction layer having micro protrusion pattern
KR102241276B1 (ko) 일체형 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US11324133B2 (en) Attachable/detach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polarizing film
WO2021125764A1 (ko)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WO2019103439A1 (ko) 편광필름을 포함하는 탈부착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26830A (ko) 탈부착층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37333B1 (ko)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JP2020507794A (ja) 携帯機器に適用される微細凹凸を有する透明部材
KR20180073420A (ko) 보호시트를 부착하기 위한 곡면 휴대기기
KR20180037103A (ko)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6330871B2 (ja) 着脱層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Apparatus of display having detachable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WO2018101672A1 (ko) 휴대기기에 적용되는 미세요철을 포함하는 투명부재
KR102144652B1 (ko) 탈부착 패턴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066853A1 (ko) 탈부착 조절을 위한 미세돌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8117460A1 (ko) 보호시트를 부착하기 위한 곡면 휴대기기
KR102491041B1 (ko) 차광 테이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9221460A1 (ko) 점착조절층을 이용한 표시장치
WO2018066854A1 (ko)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16018A (ko) 표면개질된 탈부착층을 이용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0261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0261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