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25732A1 - 콧물 시료를 이용한 경도 인지 장애의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도 인지 장애의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콧물 시료를 이용한 경도 인지 장애의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도 인지 장애의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25732A1
WO2021125732A1 PCT/KR2020/018301 KR2020018301W WO2021125732A1 WO 2021125732 A1 WO2021125732 A1 WO 2021125732A1 KR 2020018301 W KR2020018301 W KR 2020018301W WO 2021125732 A1 WO2021125732 A1 WO 202112573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gnitive impairment
mild cognitive
protein
gene encoding
diagn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830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문제일
김소연
손고운
유승준
이선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7235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10544B1/ko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EP20903935.3A priority Critical patent/EP4024049A4/en
Publication of WO202112573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2573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N33/6896Neurological disorders, e.g. Alzheimer's dise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46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G01N2333/47Assays involving proteins of known structure or function as defined in the subgroups
    • G01N2333/4701Details
    • G01N2333/4709Amyloid plaque core prote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46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G01N2333/47Assays involving proteins of known structure or function as defined in the subgroups
    • G01N2333/4701Details
    • G01N2333/4727Calcium binding proteins, e.g. calmodul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8Neurological disorders
    • G01N2800/2814Dementia; Cognitive disord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diagnos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for non-invasive in vitro diagnosis and a kit comprising the same, and specifically, to a non-invasive biological sample, an isolated runny nose sample, S100A9 protein or a gene encoding the same.
  • the biomarker composition and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iagnose mild cognitive impairment with only a small amount of runny nose, so it is very excellent in terms of convenience and economics, and it can distinguish betwee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t can be effectively used to make a treatment plan for a disorder.
  • Degenerative brain disease is a disease that occurs in the brain as we age.
  • cranial nerve cell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in the cranial nervous system, problems with the formation or function of synapses that transmit information between cranial nerve cells and cranial nerve cells, or It is known to be caused by an ideal increase or decrease in electrical activity of cranial nerves.
  • Degenerative brain diseases can be classified by considering the main symptoms that appear and the brain regions being invaded. Compared to other brain diseases, Alzheimer's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are characterized by disease-specific protein expression and death of specific cell groups and specific symptoms. do.
  • Mild cognitive impairment corresponds to an intermediate stage in the cognitive function extension line linking normality and dementia, and the basic concept is 'a state in which cognitive decline is more severe than expected but not enough to be called dementia'.
  • Adults over the age of 85 are at one-third of the risk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early diagnosis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prevent cognitive impairment from leading to dementia.
  • Alzheimer's disease has not been identified with a clear cure so far, so most researchers are paying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re at high risk for Alzheimer's, but at the same time, they can restore normal cognitive function, drawing attention as an important point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Therefore, the concept was established at the same time as an effort to prevent confusion between the existing mild Alzheimer's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the concept was recognized as two different diseases. The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are also great.
  • mild cognitive impairment does not simply mean a pre-stage Alzheimer's disease, nor does it necessarily mean a memory deficit.
  • the type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are broadly divided into amnestic type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non-amnestic type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more detail, it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type with only memory deficits (Amnestic Type), the type with memory and other cognitive deficits (Multiple domains, mild impairment Type), and the type with non-memory deficits (Single non). -memory domain typ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mild cognitive impairment with amnesia is more likely to progress to Alzheimer's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without amnesia is more likely to progress to non-Alzheimer's dementia such as Lewy body dementia or frontotemporal degeneration.
  • GDS 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 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 MRI scans MRI scans
  • brain imaging is performed for patients with suspected Alzheimer's disease.
  • Another existing representative diagnostic method is to diagnose spinal fluid, and to diagnose early Alzheimer's by measuring the change in the amount of beta-amyloid protein in the cerebrospinal fluid.
  • the method of cerebrospinal cord examination itself is not only too painful for the patient, but also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examination is accompanied by risks.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ried to develop a biomarker and diagnostic composition capable of diagnos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with excellent diagnostic sensitivity through non-invasive in vitro diagnosi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S100A9 protein was increased from the runny nose sample of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that the expression of S100A9 protein decreased and beta-amyloid oligomer protein increased in the case of Alzheimer's dementia patient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by finding that a patient with a disability can be easily selected and diagnos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omarker composition for diagnos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comprising an agent capable of measuring the expression or activity level of S100A9 protein in an isolated runny nose sample, a mild cognitive impairment diagnostic kit comprising the same, and mil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diagnosis of cognitive impairm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omarker composition for diagnos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from an isolated runny nose sample, which is a non-invasive biological sample, comprising the S100A9 protein or a gene encod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ild cognitive impairment diagnostic kit comprising the diagnostic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measuring the expression or activity level of S100A9 protein in the isolated runny nose sample; and (b) comparing the expression or activity level of the S100A9 protein in the sample of step (a) with the normal control sample, and diagnosing the patient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hen the expression level of the normal control i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control sample.
  •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a diagnosis is provided.
  • composition for diagnos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it is possible to diagnose mild cognitive impairment, which is difficult to diagnose early, only with a runny nose sample collected by a non-invasive method.
  • the transition from mild cognitive impairment to mild Alzheimer's can be tracked, so it can be effectively used to plan a treatment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 beta-amyloid oligomer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specific biomarker protein S100A9 are proteins expressed by all Alzheimer's patients, respectively, from runny nose samples collected from normal group, mild cognitive impairment patient group, and Alzheimer's patient group.
  • the expression level was quantified and presented graphically ( **P ⁇ 0.01, ***P ⁇ 0.001 ).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iagnostic kit capable of diagnos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progression from a runny nose sample.
  •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revealing that the S100A9 protein from the isolated runny nose sample can be usefully used as a composition for diagnos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through non-invasive in vitro diagnosis.
  • the S100A9 protein concentration level by measuring the S100A9 protein concentration level,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can be diagnosed and identified, and when the beta-amyloid oligomer protein concentration is measured and compared together, it is possible to identify a patient group with Alzheimer's disease and a patient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a patient who has already been diagnosed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t is possible to track the transition from mild cognitive impairment to mild Alzheimer's stage, so that it can be effectively used to establish a treatment plan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re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did i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omarker composition for diagnos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from an isolated runny nose sample, which is a non-invasive biological sample, containing the S100A9 protein or a gene encoding the same.
  • MCI Mild cognitive impairment
  • Diagnosis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determining the susceptibility of an individual to a particular disease or condition, determining whether an individual currently has a particular disease or disorder, or an individual suffering from a particular disease or condition determining the prognosis of, or therametrics (eg, monitoring a subject's condition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reatment efficac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it for diagnos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comprising an agent capable of detecting S100A9 protein or a gene encoding the same from a runny nose sample, which is a non-invasive biological sampl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agent may include a primer or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S100A9 gene; Or it may be an antibody, peptide, aptamer or compound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S100A9 protein.
  •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gent capable of detecting a beta amyloid oligimer protein or a gene encoding the same.
  • the agent may include a primer or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beta-amyloid oligomer gene; Or it may be an antibody, peptide, aptamer or compound that specifically binds to beta-amyloid oligomeric protein.
  • primer refers to a short nucleic acid sequence that can form a base pair with a complementary template as a nucleic acid sequence having a short free hydroxyl group and functions as a starting point for template strand copying.
  • the prim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emically synthesized using methods known in the art, such as, for example, phosphoramidite solid support method.
  • probe refers to a nucleic acid fragment such as RNA or DNA consisting of several to hundreds of bases capable of specifically binding to mRNA, and is labeled to confirm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pecific mRNA.
  • the probe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n oligonucleotide probe, a single-stranded DNA probe, a double-stranded DNA probe, an RNA probe, etc., and may be labeled with biotin, FITC, rhodamine, DIG, or the like, or labeled with a radioisotope.
  • antibody is a term known in the art and refers to a specific immunoglobulin directed against an antigenic site.
  • the antibody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n antibody that specifically binds to S100A9 or beta-amyloid oligom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ntibody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in the art.
  • the form of the antibody includes polyclonal antibodies or monoclonal antibodies, and all immunoglobulin antibodies are included.
  • the antibody refers to a complete form having two full-length light chains and two full-length heavy chains.
  • the said antibody also includes special antibodies, such as a humanized antibody.
  • peptide has the advantage of high binding strength to the target material, and does not undergo denaturation even during heat/chemical treatment.
  • the molecular size is small, it can be attached to other proteins and used as a fusion protein. Specifically, it can be used as a diagnostic kit and drug delivery material because it can be used by attaching it to a polymer protein chain.
  • aptamer refers to a special type of single-stranded nucleic acid (DNA, RNA or modified nucleic acid) having a stable tertiary structure by itself and having high affinity and specificity to bind to a target molecule. It refers to a kind of polynucleotide composed of As described above, the aptamer can specifically bind to an antigenic substance in the same way as an antibody, but has higher stability than a protein, has a simple structure, and is composed of a polynucleotide that is easy to synthesize, so it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an antibody. can
  • kit refers to an antibody that specifically binds to a marker component, a secondary antibody conjugate to which a label that develops color by reaction with a substrate is conjugated, a chromogenic substrate solution to react with the label, a washing solution, and It may include an enzyme reaction stop solution, and the like, and may be manufactured as a plurality of separate packaging or compartments containing the reagent components used.
  • the kit may be a kit including essential elements necessary for performing RT-PC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test tube or other suitable container in addition to each primer pair specific for a marker gene, a test tube or other suitable container, reaction buffer, deoxynucleotides (dNTPs), Taq-polymerase and reverse transcriptase, DNase, RNase inhibitors , DEPC-water, sterile water, and the like.
  • the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kit for detecting a gene for diagnosis of liver cancer including essential elements necessary for performing a DNA chip.
  • the DNA chip kit may include a substrate to which cDNA corresponding to a gene or fragment thereof is attached as a probe, and the substrate may include cDNA corresponding to a quantitative control gene or fragment thereof.
  • the kit measures the expression level of the S100A9 protein or the gene encoding it and the beta amyloid oligomer protein or the expression level of the gene encoding it, respectively, and based on these results, the S100A9 protein or the encoding the same compared to a normal control.
  • beta-amyloid oligomer protein or a gene encoding it When only the expression level of the gene is increased, it is determined as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 beta-amyloid oligomer protein or a gene encoding it; and S100A9 protein or a gene encoding it; All can be determined as Alzheimer's when the expression level is increased.
  • the kit is determined to be mild cognitive impairment when only the expression level of the S100A9 protein or the gene encoding it increases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and the beta-amyloid oligomer protein or the gene encoding it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and the S100A9 protein or the encoding it a gene; All may contain instructions directing the determination of Alzheimer's disease if the expression level is increased.
  • the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n immobilized state using a suitable carrier or various known methods on a support.
  • suitable carriers or supports include agarose, cellulose, nitrocellulose, dextran, sephadex, sepharose, liposome, carboxymethyl cellulose, polyacrylamide, polyesterin, gabbro, filter paper, ion exchange resin, plastic film, plastic tube. , glass, polyamine-methyl vinyl-ether-maleic acid copolymer, amino acid copolymer, ethylene-maleic acid copolymer, nylon, cups, flat packs and the like.
  • Other solid substrates include cell culture plates, ELISA plates, tubes and polymeric membranes.
  • the support may have any possible shape, for example spherical (bead), cylindrical (test tube or well inner surface), planar (sheet, test strip).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measuring the expression or activity level of S100A9 protein in the isolated runny nose sample; and (b) comparing the expression or activity level of the S100A9 protein in the sample of step (a) with the normal control sample, and diagnosing the patient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hen the expression level of the normal control i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control sample.
  •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a diagnosis is provided. When the measured expression or activity level of the S100A9 protein is higher than that of a normal control sample, it may be determined as mild cognitive impairment.
  • the step of measuring the expression or activity level of the S100A9 protein in the isolated runny nose sample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various quantitative or qualitative immunoassay protocols developed in the prior art. Specifically, the measurement of the expression or activity level is immunoprecipitation assay (Immunoprecipitation Assay), complement fixation assay (Complement Fixation Assay), flow cytometry (Fluorecence Activated Cell Sorter, FACS), or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rotein chip (protein chip) It may be performed using one or mor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step (a) may further include measuring the expression or activity level of the beta-amyloid oligomer together with measuring the expression or activity level of the S100A9 protein.
  • the step (b) is diagnosed as mild cognitive impairment when only the expression level of the S100A9 protein or the gene encoding it increases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and the beta-amyloid oligomer protein or the gene encoding it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and S100A9 protein or a gene encoding it;
  • the expression level is increased,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isease by diagnosing Alzheimer's.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pression or activity level of the beta amyloid oligomer and the S100A9 protein is measured alternately, mild cognitive impairment can be diagnosed more accurately.
  • the present invention can diagnose and identify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by measuring the S100A9 protein concentration level from an isolated runny nose sample, which is a non-invasive biological sample.
  • S100A9 protein concentration level from an isolated runny nose sample, which is a non-invasive biological sample.
  • beta-amyloid oligomer protein concentration By separately measuring the beta-amyloid oligomer protein concentration and comparing it with S100A9 protein expression, it is possible to discriminate between a group of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a patient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hich can be effectively used to plan a treatment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 Example 1 Subject selection and body fluid odor
  • NINCDS/ADRDA neuropsychological examination
  • patients with mild Alzheimer's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NINCDS/ADRDA diagnostic criteria.
  • Patients were selected according to Patien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are those who have deterioration in two or more cognitive domains, including memory, those who have been identified as having problems with their daily life due to cognitive decline, not other causes, through neuropsychological tests, and other exclusion criteria I chose someone who doesn't.
  • Exclusion criteria were those who have no structural problems in the brain through brain imaging (MRI or CT), those who do not have other degenerative brain diseases, those who do not have cerebrovascular diseases that can cause cognitive dysfunction, and those who have thyroid disease.
  • MRI or CT brain imaging
  • those without metabolic brain disease including those without alcohol or drug addiction, and those without head trauma or psychiatric disorders.
  • neuropsychological examination and imaging examination were performed at one visit for normal people and patients, and after confirming the examination results, the selected subjects' runny noses were collected. The selected subjects visited a total of two times.
  •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orough information management through randomization and blindfolding so that information about normal people and patients was not exposed to those who collect samples and those who conduct the experiment.
  • the subject's runny nose was collected by the following protocol. First, saline solution was sprayed into the nose, and then the nasal passages were collected using a nasal inhaler and stored in a 50ml tube. When the above method failed, saline was poured into the eye, and then the runny nose was collected and stored in a 50ml tube. Stored in a -20°C refrigerator until analysis.
  • the S100A9 protein expression level for the diagnosi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was analyzed in the runny nose sample of the patient collected in Example 1 through Western blot.
  • a frozen patient sample was placed in a cell lysis buffer containing a protease inhibitor and reacted at 4° C. for 30 minutes.
  • the reaction mixture was separated using a centrifuge at 13,000 rpm for 30 minutes, then only the supernatant was extracted, and the proteins extracted from the tissues were separated using 12% SDS-PAGE.
  • the separated proteins were transferred to a nitrocellulose membrane (Schleicher & Schuell, Dassel, Germany), which was mixed with a blocking buffer [TBS-T with 1% skim milk (10 mM Tris-HCl, 0.15 M NaCl; pH 7.4)] at room temperature 1 blocked for time.
  • the membrane was washed 3 times with TBS-T buffer for 10 minutes and then reacted with the primary antibody.
  • polyclonal rabbit Anti-S100A9 (abcam ab63818)(1:1000) was mixed in TBS-T buffer containing 3% BSA and reacted at 4°C for 6 hours.
  • -Rabbit IgG (1:5000) was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Each reaction was washed 3 times for 15 minutes using TBS-T to remove non-specific reactions, and was confirmed using ECL (Amersham).
  • S100A9 and beta-amyloid oligomer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in runny nose samples from normal control group (normal), mild cognitive impairment group (MCI), and mild Alzheimer's disease group (AD), respectively. Specifically, it was carried out using an antibody against S100A9, and an antibody against beta amyloid oligomer,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1 .
  • beta-amyloid oligomer was characteristically expressed in different lanes according to the stage of Alzheimer's disease, but was expressed in all Alzheimer's patient groups, but was not expressed in normal controls and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the S100A9 protein was not expressed in the general public and patients with mild Alzheimer's, but was expressed at a high level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That is, it was found that the S100A9 protein is expressed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but does not show a significant level of expression change in patien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Therefore, the S100A9 protein can be used as a biomarker for diagnos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 the S100A9 protein was not expressed in the general public and patients with mild Alzheimer's, but was expressed at a high level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That is, it was found that the S100A9 protein is expressed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but does not show a significant level of expression change in patien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Therefore, the S100A9 protein can be used as a biomarker for diagnosing mild cognitive
  • beta-amyloid oligomer is expressed in all Alzheimer's patients regardless of the progression stage of Alzheimer's disease, it was found that it can be utilized as a biomarker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 beta-amyloid oligomer and S100A9 protein are crosswise measured, mild cognitive impairment can be diagnosed more accurate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ell B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침습적 체외진단을 위한 경도 인지 장애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비침습적 생물학적 시료인 분리된 콧물 시료를 이용한 S100A9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경도 인지 장애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경도 인지 장애 진단용 키트, 및 경도 인지 장애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키트는 소량의 콧물만으로도 경도 인지 장애를 진단할 수 있어 간편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우수하고, 알츠하이머 질병을 가진 환자 군과 경도 인지 장애 환자를 식별할 수 있어 경도인지장애의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콧물 시료를 이용한 경도 인지 장애의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도 인지 장애의 진단 방법
본 발명은 비침습적 체외진단을 위한 경도 인지 장애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비침습적 생물학적 시료인 분리된 콧물 시료를 이용한 S100A9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경도 인지 장애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경도 인지 장애 진단용 키트, 및 경도 인지 장애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키트는 소량의 콧물만으로도 경도 인지 장애를 진단할 수 있어 간편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우수하고, 알츠하이머 질병을 가진 환자 군과 경도 인지 장애 환자를 식별할 수 있어 경도인지장애의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세계적으로 평균수명이 늘어나고 노인 인구가 증가하는 고령화 사회로의 변화에서, 알츠하이머병으로 대표되는 노인성 치매, 뇌졸중 또는 파킨슨병과 같은 뇌신경 질환의 발병률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보건사회연구원 조사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노인 인구는 2000년에 7%를 넘어 고령사회에 진입한 이래 2003년 397만 명으로 노인 인구의 비율이 8.3%에 이르렀고 2019년에는 14.4%에 이르러 완전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퇴행성 뇌질환(degenerative brain disease)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뇌에서 발생하는 질환을 뜻한다. 현재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원인으로 뇌에서 특정 뇌세포군이 서서히 그 기능을 잃고 뇌신경계의 정보전달에 가장 중요한 뇌신경세포의 사멸, 뇌신경세포와 뇌신경세포 사이의 정보를 전달하는 시냅스의 형성이나 기능상의 문제 또는 뇌신경의 전기적 활동성의 이상적 증가나 감소로 인하여 야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퇴행성 뇌질환은 나타나는 주요 증상과 침범되는 뇌 부위를 고려하여 구분할 수 있으며, 알츠하이머병과 경도 인지 장애는 다른 뇌질환과 비교하여 질환 특이적 단백질 발현, 특이적 세포군의 사멸과 이를 통한 특이적 증상이 확인된다.
경도 인지 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는 정상과 치매를 연결하는 인지기능 연장선에서 중간 단계에 해당하며, 기본 개념은 '인지기능 감퇴가 예상보다 심하지만 치매라고 할 정도는 아닌 상태'이다. 85세 이상의 성인이라면 삼분의 일의 확률로 경도인지장애의 위험이 있으며, 빠른 진단이 인지 장애가 치매로 향하는 것을 가장 효과적으로 막는 방법이다.
경도 인지 장애와 알츠하이머병의 spherical harmonics(SPHARM)을 이용한 연구결과에서 해마 세포의 형상 차이가 확연한 점, 경도 인지 장애를 진단받은 사람들이 반드시 알츠하이머 병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고, 10-15% 정도만이 알츠하이머로 진행되며, 20%는 1-2년 후 인지 기능을 회복하고, 40-70%의 환자는 10년 후에도 치매로 진행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양자는 구분된다.
알츠하이머 병은 지금까지 뚜렷한 치료법이 확인되지 않았고, 따라서 대부분의 학자들도 예방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있다. 경도 인지 장애 환자들은 알츠하이머 고 위험군이지만, 동시에 정상 인지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알츠하이머 병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 중요한 시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경도 알츠하이머와 경도 인지 장애의 개념의 혼동을 막으려는 노력과 동시에 개념 정립이 이루어져 두 개의 다른 병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경도 인지 장애에서 미리 진단받아 더 적은 경제적 노력으로 적극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다는 사회적, 경제적 실익 또한 크다.
또한 경도 인지 장애는 단순히 알츠하이머병의 전 단계를 의미하지는 않으며, 반드시 기억적인 결함만을 의미하지도 않는다. 경도 인지 장애의 유형에는 크게 기억상실형 경도 인지 장애와, 비기억상실형 경도 인지 장애가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세 유형으로 분류되는데, 기억적인 결함만을 가지는 유형(Amnestic Type), 기억적인 결함과 다른 인지 결함까지 포함하는 유형(Multiple domains, mild impairment Type), 비기억적 결함을 가지는 유형(Single non-memory domain type)이 그것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기억상실형 경도 인지 장애 유형의 경우 알츠하이머 병으로 진행될 확률이 높고, 비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의 경우 레비소체치매나 전두측두엽변성 같은 비알츠하이머 치매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
모든 경도 인지 장애가 알츠하이머병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기존의 경도 인지 장애 진단법은 알츠하이머 진단의 연장선인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존재하는 방법들도 침습적이거나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대표적으로, 노인 우울 척도(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또는 간이 정신 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나 특화된 MRI 촬영과 같은 방법들이 그것이다. 더불어 기존의 진단 방법 중 고해상도 뇌영상 촬영장치를 이용한 뇌영상 촬영 기법의 경우, 알츠하이머병 의심환자를 대상으로 뇌 촬영을 실시하는 방법이다. 조기에도 진단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러한 영상기반 진단 방법은 환자에게 고비용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이미 뇌수축 또는 손상이 진행된 상태에서 판별이 이루어지므로 병의 탐지가 늦게 된다.
또 다른 기존의 대표적 진단 방법으로는 척수액을 진단하는 것으로서 뇌척수 내의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양의 변화를 측정하여 조기 알츠하이머를 진단하는 것이 있다. 하지만 뇌척수 검사방법 자체가 환자에게는 너무나 고통스러운 방법일 뿐만 아니라, 검사시 위험성이 동반된다는 한계가 있다.
이렇듯 최근 알츠하이머의 치료보다는 예방에 집중하면서 경도 알츠하이머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는 경도 인지 장애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을 뿐 아니라, 일부 경도 인지 장애가 알츠하이머로 진행할 수 있지만 동시에 일부는 정상으로 회복된다는 점에서 경도 인지 장애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경도 인지 장애를 특이적으로 진단하는 비침습적이고 간편하며 정확한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비침습적 체외진단을 통해 진단 예민도도 우수한 경도 인지 장애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및 진단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경도 인지 장애 환자의 콧물 시료로부터 S100A9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고,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경우 S100A9 단백질 발현이 감소하고 베타 아밀로이드 올리고머 단백질이 증가함을 확인함으로써, 단순한 콧물 감사만으로 경도 인지 장애 환자를 쉽게 선별 및 진단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리된 콧물 시료에서 S100A9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경도 인지 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경도 인지 장애 진단 키트, 및 경도 인지 장애의 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S100A9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비침습적 생물학적 시료인 분리된 콧물 시료로부터 경도 인지 장애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도 인지 장애 진단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분리된 콧물 시료에서 S100A9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시료 내 S100A9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정상 대조군 시료와 비교하여 정상 대조군의 발현 수준보다 높은 경우에 경도 인지 장애 환자로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도 인지 장애의 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에 따른 경도 인지 장애 진단용 조성물에 의하면, 비침습적인 방법인 채취된 콧물 시료만으로 조기 진단이 어려운 경도 인지 장애를 진단할 수 있다. 더불어 경도 인지 장애를 이미 진단받은 환자의 경우 경도 인지 장애에서 경도 알츠하이머 단계로 넘어가는 것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여 경도 인지 장애의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모든 알츠하이머 환자가 발현하는 단백질인 베타 아밀로이드 올리고머와 경도인지장애 특이 바이오마커 단백질 S100A9를 정상군, 경도인지장애 환자군, 및 알츠하이머 환자군으로부터 채취한 콧물 시료에서 각각 정량 분석한 결과로, 각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정량화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 **P < 0.01, ***P < 0.001 ).
도 2는 콧물 시료에서 경도 인지 장애 진단 및 알츠하이머 진행 단계를 진단 할 수 있는 진단 키트의 도식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분리된 콧물 시료에서 S100A9 단백질이 비침습적 체외진단을 통해 경도 인지 장애 진단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냄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세하게, S100A9 단백질 농도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경도인지 장애 환자를 진단하여 식별할 수 있으며, 베타아밀로이드 올리고머 단백질 농도를 함께 측정하여 비교하는 경우 알츠하이머 질병을 가진 환자 군과 경도 인지 장애 환자를 식별할 수 있는 바, 경도 인지 장애를 이미 진단받은 환자의 경우 경도 인지 장애에서 경도 알츠하이머 단계로 넘어가는 것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여 경도 인지 장애의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S100A9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비침습적 생물학적 시료인 분리된 콧물 시료로부터 경도 인지 장애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경도 인지 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는 치매의 존재와 반드시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닌, 경증 상태이지만 사고 능력의 측정 가능한 장애에 의해 특징화되는 증상이다. 경도 인지 장애는 반드시는 아니지만 빈번히 알츠하이머 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단"은 특정 질병 또는 질환에 대한 한 개체의 감수성(susceptibility)을 판정하는 것, 한 개체가 특정 질병 또는 질환을 현재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 특정 질병 또는 질환에 걸린 한 개체의 예후(prognosis)를 판정하는 것, 또는 테라메트릭스(therametrics)(예컨대, 치료 효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체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침습적 생물학적 시료인 콧물 시료로부터 S100A9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검출할 수 있는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도 인지 장애 진단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제제는 S100A9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 또는 S100A9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펩타이드, 앱타머 또는 화합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키트는 베타아밀로이드 올리고머(beta amyloid oligimer)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검출할 수 있는 제제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베타아밀로이드 올리고머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 또는 베타아밀로이드 올리고머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펩타이드, 앱타머 또는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프라이머”는 짧은 자유 수산화기를 가지는 핵산서열로서 상보적인 템플레이트와 염기쌍을 형성할 수 있고 템플레이트 가닥 복사를 위한 시작 지점으로 기능하는 짧은 핵산서열을 말한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는 예를 들면, 포스포르아미다이트 고체 지지체 방법과 같은 당 분야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프로브”는 mRNA와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수개 내지 수백 개의 염기로 이루어진 RNA 또는 DNA 등의 핵산 단편을 의미하며 라벨링되어 있어 특정 mRNA의 존재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브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로브, 단쇄 DNA 프로브, 이중쇄 DNA 프로브, RNA 프로브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비오틴, FITC, 로다민, DIG 등으로 표지되거나 방사선 동위 원소 등으로 표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항체”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용어로서 항원성 부위에 대하여 지시되는 특이적인 면역 글로불린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항체는 본 발명의 S100A9 또는 베타아밀로이드 올리고머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의미하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항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항체의 형태는 폴리클로날 항체 또는 모노클로날 항체를 포함하며, 모든 면역글로불린 항체가 포함된다. 상기 항체는 2개의 전체 길이의 경쇄 및 2 개의 전체 길이의 중쇄를 갖는 완전한 형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항체는 인간화 항체 등의 특수 항체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펩타이드"는 표적 물질에 대한 결합력 높은 장점이 있으며, 열/화학 처리시에도 변성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분자 크기가 작기 때문에 다른 단백질에 붙여서 융합 단백질로의 이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고분자 단백질 체인에 붙여서 이용이 가능하므로 진단 키트 및 약물전달 물질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앱타머(aptamer)"는, 그 자체로 안정된 삼차 구조를 가지면서 표적 분자에 높은 친화성과 특이성으로 결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특별한 종류의 단일가닥 핵산(DNA, RNA 또는 변형핵산)으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일종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앱타머는 항체와 동일하게 항원성 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면서도, 단백질보다 안정성이 높고, 구조가 간단하며, 합성이 용이한 폴리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항체를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키트”는 마커 성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기질과의 반응에 의해서 발색하는 표지체가 접합된 2차 항체 접합체(conjugate), 상기 표지체와 발색 반응할 발색 기질 용액, 세척액 및 효소반응 정지용액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시약 성분을 포함하는 다수의 별도 패키징 또는 컴파트먼트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키트는 RT-PCR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키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서 RT-PCR 키트의 경우, 마커 유전자에 대한 특이적인 각각의 프라이머 쌍 외에도 테스트 튜브 또는 다른 적절한 컨테이너, 반응 완충액, 데옥시뉴클레오티드(dNTPs), Taq-중합효소 및 역전사효소, DNase, RNase 억제제, DEPC-물(DEPC-water), 멸균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키트는 DNA 칩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간암의 진단용 유전자를 검출하기 위한 키트일 수 있다. DNA 칩 키트는 유전자 또는 그의 단편에 해당하는 cDNA가 프로브로 부착되어 있는 기판을 포함하고 기판은 정량 대조군 유전자 또는 그의 단편에 해당하는 cDNA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분리된 콧물 시료로 부터 베타 아밀로이드 올리고머와 S100A9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교차로 측정하는 경우, 경도 인지 장애를 더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키트는 S100A9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과 베타아밀로이드 올리고머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각각 측정하고, 이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상 대조군에 비해 S100A9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만 증가하는 경우 경도 인지 장애로 결정하고, 정상 대조군에 비해 베타아밀로이드 올리고머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S100A9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 모두 발현 수준이 증가하는 경우 알츠하이머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키트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S100A9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만 증가하는 경우 경도 인지 장애로 결정하고, 정상 대조군에 비해 베타아밀로이드 올리고머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S100A9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 모두 발현 수준이 증가하는 경우 알츠하이머로 결정하는 것을 지시하는 설명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키트는 진단의 신속도 및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적합한 담체 또는 지지체상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고정화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적합한 담체 또는 지지체의 예로는 아가로스, 셀룰로즈, 니트로셀룰로즈, 덱스트란, 세파덱스, 세파로즈, 리포솜, 카복시메틸 셀룰로즈,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스테린, 반려암, 여과지, 이온교환 수지, 플라스틱 필름, 플라스틱 튜브, 유리, 폴리아민-메틸 비닐-에테르-말레산 공중합체, 아미노산 공중합체, 에틸렌-말레산 공중합체, 나일론, 컵, 플랫 팩(flat packs) 등이 포함된다. 그 외의 다른 고체 기질로는 세포배양 플레이트, ELISA 플레이트, 튜브 및 폴리머성 막이 있다. 상기 지지체는 임의의 가능한 형태, 예를 들어 구형(비드), 원통형(시험관 또는 웰 내면), 평면형(시트, 시험 스트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분리된 콧물 시료에서 S100A9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시료 내 S100A9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정상 대조군 시료와 비교하여 정상 대조군의 발현 수준보다 높은 경우에 경도 인지 장애 환자로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도 인지 장애의 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측정된 S100A9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이 정상 대조군 시료와 비교하여 높은 경우 경도 인지 장애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콧물 시료에서 S100A9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는 종래에 개발된 다양한 정량적 또는 정성적 면역분석 프로토콜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의 측정은 면역침전분석법(Immunoprecipitation Assay), 보체 고정 분석법(Complement Fixation Assay), 유세포분석(Fluorecence Activated Cell Sorter, FACS), 또는 단백질 칩(protein chi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S100A9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측정과 함께 베타 아밀로이드 올리고머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측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S100A9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만 증가하는 경우 경도 인지 장애로 진단하고, 정상 대조군에 비해 베타아밀로이드 올리고머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S100A9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 모두 발현 수준이 증가하는 경우 알츠하이머로 진단함으로써 경도 인지 장애와 알츠하이머 환자를 구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베타 아밀로이드 올리고머와 S100A9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교차로 측정하는 경우, 경도 인지 장애를 더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침습적 생물학적 시료인 분리된 콧물 시료로부터 S100A9 단백질 농도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경도인지 장애 환자를 진단하여 식별할 수 있다. 베타아밀로이드 올리고머 단백질 농도를 별도로 측정하여 S100A9 단백질 발현과 비교함으로써 알츠하이머 질병을 가진 환자 군과 경도 인지 장애 환자를 식별할 수 있어, 경도 인지 장애의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피험자 선정 및 체액 체취
정상 대조군은 신경심리검사(SNSB)상 정상 인지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기타 제외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만 60세 이상의 사람을 선택하였고, 경도의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와 경도 인지 장애 환자는 NINCDS/ADRDA 진단 기준에 따른 환자를 선택하였다. 경도의 알츠하이머 환자는 기억력을 포함한 두 가지 이상의 인지영역에서의 저하가 있는 사람, 신경심리검사를 통해 다른 원인이 아닌, 인지기능저하로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사람, 기타 제외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을 선택하였다. 제외 기준은 뇌영상 (MRI나 CT) 검사를 통해 뇌의 구조적인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사람, 다른 퇴행성 뇌질환이 없는 사람, 인지기능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뇌혈관질환이 없는 사람, 갑상선 질환을 포함한 대사성 뇌질환이 없는 사람, 알코올이나 약물중독이 없는 사람 및 두부외상이나 정신과적 질환이 없는 사람이다.
외래 방문 시, 정상인과 환자를 대상으로 1회 내원 시 신경심리검사, 영상검사를 시행하였고, 검사결과를 확인한 후 선정된 피험자의 콧물을 채취하였다. 선정된 피험자는 총 2회 방문하였다. 또한, 피험자의 샘플을 채취하는 자 및 실험을 진행하는 자에게 정상인과 환자에 대한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무작위배정과 눈 가림법으로 정보관리를 철저히 하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피험자의 콧물은 다음과 같은 프로토콜로 채취하였다. 먼저, 식염수를 콧속에 스프레이한 후, 콧물 흡입기를 이용하여 콧물을 채취하고 이를 50ml 튜브에 저장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실패했을 시, 식염수를 눈에 흘려보낸 후, 흐르는 콧물을 채취 하여, 50ml 튜브에 저장하였다. 분석시까지 -20℃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실험 시, 시료 50 μl를 10초간 음파처리하고, 웨스턴 블롯 및 ELISA를 통하여 타겟하는 단백질을 검출하여 양적인 비교를 통해 진단하였다.
실시예 2. 경도 인지 장애의 진단
웨스턴 블롯을 통해 상기 실시예 1에서 채취한 환자의 콧물 시료에서 경도인지 장애의 진단을 위한 S100A9 단백질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다.
웨스턴블롯을 수행하기 위하여 우선 동결 보관되어 있던 환자 샘플을 프로테아제 억제제가 포함된 세포 용해 버퍼에 넣고 4℃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시킨 혼합액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30분 동안 13,000 rpm으로 분리한 다음 상층액만 추출하고, 조직으로부터 추출된 단백질을 12% SDS-PAGE를 이용하여 단백질들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백질들을 nitrocellulose membrane(Schleicher & Schuell, Dassel, Germany)에 옮기고, 이를 차단 버퍼[1% 스킴 밀크가 포함된 TBS-T(10mM Tris-HCl, 0.15 M NaCl; pH 7.4)]로 상온에서 1시간 동안 차단시켰다. 차단이 끝난 후 TBS-T 버퍼로 10분 동안 3번 멤브레인을 세척한 다음 1차 항체와 반응시켰다. 1차 항체로는 polyclonal rabbit Anti- S100A9 (abcam ab63818)(1:1000)를 3% BSA가 함유된 TBS-T 버퍼에 혼합하여 4℃에서 6시간 반응시킨 후, 2차 항체는 HRP가 연결된 항-토끼 IgG(1:5000)를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각 반응은 모두 TBS-T를 이용하여 15분간 3회 세척하여 비특이반응을 제거하였으며, ECL(Amersham)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상 대조군(normal), 경도 인지 장애 환자군(MCI), 및 경도 알츠하이머 환자군(AD)의 콧물 시료에서 S100A9 및 베타 아밀로이드 올리고머를 각각 정량 분석 하였다. 구체적으로, S100A9에 대한 항체, 및 베타 아밀로이드 올리고머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베타 아밀로이드 올리고머는 알츠하이머 질환의 진행 단계에 따라 서로 다른 레인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지만 모든 알츠하이머 환자군에서 발현되나, 정상 대조군과 경도 인지 장애 환자에게는 발현되지 않았다. S100A9 단백질의 경우, 일반인과 경도 알츠하이머 환자에게는 발현되지 않으나, 경도 인지 장애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었다. 즉, S100A9 단백질은 경도 인지 장애 환자에서는 발현되나, 경도 알츠하이머 환자에서는 유의적인 수준의 발현 변화가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S100A9 단백질은 경도 인지 장애를 진단하는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베타 아밀로이드 올리고머는 알츠하이머 질환의 진행 단계에 상관없이 모든 알츠하이머 환자에서 발현되므로, 알츠하이머를 진단하는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베타 아밀로이드 올리고머와 S100A9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교차로 측정하는 경우, 경도 인지 장애를 더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Claims (10)

  1. S100A9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비침습적 생물학적 시료인 분리된 콧물 시료를 이용한 경도 인지 장애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2. 비침습적 생물학적 시료인 콧물 시료로부터 S100A9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검출할 수 있는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도 인지 장애 진단 진단용 키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S100A9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 또는 S100A9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펩타이드, 앱타머 또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경도 인지 장애 진단용 키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베타아밀로이드 올리고머(beta amyloid oligimer)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검출할 수 있는 제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경도 인지 장애 진단용 키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베타아밀로이드 올리고머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 또는 베타아밀로이드 올리고머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펩타이드, 앱타머 또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경도 인지 장애 진단용 키트.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S100A9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과 베타아밀로이드 올리고머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정상 대조군에 비해 S100A9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만 증가하는 경우 경도 인지 장애로 결정하고,
    정상 대조군에 비해 베타아밀로이드 올리고머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S100A9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 모두 발현 수준이 증가하는 경우 알츠하이머로 결정하는 것을 지시하는 설명서를 포함하는, 경도 인지 장애 진단용 키트.
  7. (a) 분리된 콧물 시료에서 S100A9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시료 내 S100A9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정상 대조군 시료와 비교하여 정상 대조군의 발현 수준보다 높은 경우에 경도 인지 장애 환자로 진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경도 인지 장애의 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S100A9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측정과 함께 베타 아밀로이드 올리고머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측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경도 인지 장애의 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S100A9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만 증가하는 경우 경도 인지 장애로 진단하고,
    정상 대조군에 비해 베타아밀로이드 올리고머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S100A9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 모두 발현 수준이 증가하는 경우 알츠하이머로 진단하는 것인, 경도 인지 장애의 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의 측정은 면역침전분석법(Immunoprecipitation Assay), 보체 고정 분석법(Complement Fixation Assay), 유세포분석(Fluorecence Activated Cell Sorter, FACS), 또는 단백질 칩(protein chi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경도 인지 장애의 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PCT/KR2020/018301 2019-12-19 2020-12-15 콧물 시료를 이용한 경도 인지 장애의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도 인지 장애의 진단 방법 WO2021125732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903935.3A EP4024049A4 (en) 2019-12-19 2020-12-15 BIOMARKER COMPOSITION FOR DIAGNOS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USING NASAL FLUID SAMPLE AND METHOD FOR DIAGNOS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031 2019-12-19
KR20190171031 2019-12-19
KR1020200172354A KR102410544B1 (ko) 2019-12-19 2020-12-10 콧물 시료를 이용한 경도 인지 장애의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도 인지 장애의 진단 방법
KR10-2020-0172354 2020-1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25732A1 true WO2021125732A1 (ko) 2021-06-24

Family

ID=7647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8301 WO2021125732A1 (ko) 2019-12-19 2020-12-15 콧물 시료를 이용한 경도 인지 장애의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도 인지 장애의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4024049A4 (ko)
WO (1) WO202112573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283A (ko) * 2014-06-13 2015-12-2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콧물 시료를 이용한 뇌신경 질환의 진단용 조성물
JP5850374B2 (ja) * 2012-01-27 2016-02-03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株式会社 アルツハイマー病の診断補助方法、及び診断システム
KR20180011331A (ko) * 2015-06-12 2018-01-31 오리존 지노믹스 에스.에이. Lsd1 억제제와 관련된 바이오마커 및 그의 용도
KR20190038257A (ko) * 2018-04-12 2019-04-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콧물 시료를 이용하여 경도 및 중도 알츠하이머 질환을 구분하여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554B1 (ko) * 2017-09-29 2018-07-2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콧물 시료를 이용한 알츠하이머 질환의 진행 단계 스크리닝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0374B2 (ja) * 2012-01-27 2016-02-03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株式会社 アルツハイマー病の診断補助方法、及び診断システム
KR20150144283A (ko) * 2014-06-13 2015-12-2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콧물 시료를 이용한 뇌신경 질환의 진단용 조성물
KR20180011331A (ko) * 2015-06-12 2018-01-31 오리존 지노믹스 에스.에이. Lsd1 억제제와 관련된 바이오마커 및 그의 용도
KR20190038257A (ko) * 2018-04-12 2019-04-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콧물 시료를 이용하여 경도 및 중도 알츠하이머 질환을 구분하여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키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ORVATH ISTVAN, JIA XUEEN, JOHANSSON PER, WANG CHAO, MOSKALENKO ROMAN, STEINAU ANDREAS, FORSGREN LARS, WÅGBERG THOMAS, SVENSSON JO: "Pro-inflammatory S100A9 Protein as a Robust Biomarker Differentiating Early Stages of Cognitive Impairment in Alzheimer’s Disease", ACS CHEMICAL NEUROSCIENCE, vol. 7, 9 November 2015 (2015-11-09), pages 34 - 39, XP055822308, ISSN: 1948-7193, DOI: 10.1021/acschemneuro.5b0026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24049A1 (en) 2022-07-06
EP4024049A4 (en) 202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4311B1 (ko) 리포칼린-2를 이용한 혈관성 치매의 진단방법
AU2010291933A1 (en) Micro-RNA, autoantibody and protein markers for diagnosis of neuronal injury
JP7457337B2 (ja) アルツハイマー病バイオマーカー
KR101868343B1 (ko) 콧물 시료의 베타 아밀로이드 올리고머를 이용한 알츠하이머 질환의 진행 단계 스크리닝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알츠하이머 질환의 진행 단계 스크리닝 방법
KR101945348B1 (ko) 혈액 내 chi3l1 발현 수준을 이용한 정상압 수두증 진단용 조성물과 진단 마커 검출 방법
US20030152919A1 (en) Method and compositions for use in diagnosing and characterizing chronic immune disease
WO2021125732A1 (ko) 콧물 시료를 이용한 경도 인지 장애의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도 인지 장애의 진단 방법
US20040132113A1 (en) Diagnostic screens for alzheimer&#39;s disease
KR102562614B1 (ko) 비침습적 방법을 이용한 치주 질환 진단용 키트
KR102410544B1 (ko) 콧물 시료를 이용한 경도 인지 장애의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도 인지 장애의 진단 방법
KR101297309B1 (ko) 폐암 진단용 조성물 및 폐암 진단키트
WO2021025412A1 (ko) 보체 성분 c8 감마를 이용한 알츠하이머병의 진단방법
KR20190038257A (ko) 콧물 시료를 이용하여 경도 및 중도 알츠하이머 질환을 구분하여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키트
KR20140056501A (ko) 염증성 관절염의 신규 바이오마커 및 그의 용도
KR101576586B1 (ko) 신장독성 평가용 바이오마커 akr7a1 및 이를 이용한 신장독성 평가방법
JP2019007759A (ja) 老化度を評価する方法及び老化度の評価用キット
KR102078500B1 (ko) 알츠하이머병의 진단용 조성물
KR101365206B1 (ko) 심장근육병 진단용 마커 Orai1
KR101880554B1 (ko) 콧물 시료를 이용한 알츠하이머 질환의 진행 단계 스크리닝 방법
JP2009513960A (ja) 神経変性疾患を診断するためのinvitro方法
KR20220112204A (ko) 뇌의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 인자를 이용한 알츠하이머병의 진단 방법
CN108414765A (zh) 用G72蛋白质与SLC7A11mRNA作为生物标记来诊断与治疗阿兹海默氏症的方法
KR101509641B1 (ko) 아포지단백질 m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용 마커 조성물
KR102494928B1 (ko) Mrgprx2를 이용한 즉시형 과민 반응 환자를 판별하는 방법
KR102200475B1 (ko) 알코올 사용 장애의 진단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알코올 사용 장애의 진단을 위한 스핑고신 1-인산염 수용체 1의 검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039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9039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330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