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85875A1 - 신규한 가돌리늄계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mri 조영제 - Google Patents

신규한 가돌리늄계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mri 조영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85875A1
WO2021085875A1 PCT/KR2020/013347 KR2020013347W WO2021085875A1 WO 2021085875 A1 WO2021085875 A1 WO 2021085875A1 KR 2020013347 W KR2020013347 W KR 2020013347W WO 2021085875 A1 WO2021085875 A1 WO 202108587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gadolinium
based compound
bran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334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용민
김소연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1462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86595B1/ko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EP20881219.8A priority Critical patent/EP4067364A4/en
Priority to US17/755,143 priority patent/US20220380386A1/en
Publication of WO202108587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8587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6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 A61K49/08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 A61K49/085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conjugat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6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 A61K49/08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 A61K49/10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6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 A61K49/08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 A61K49/10Organic compounds
    • A61K49/101Organic compounds the carrier being a complex-forming compound able to form MRI-active complexes with paramagnetic metals
    • A61K49/106Organic compounds the carrier being a complex-forming compound able to form MRI-active complexes with paramagnetic metals the complex-forming compound being cyclic, e.g. DOTA
    • A61K49/108Organic compounds the carrier being a complex-forming compound able to form MRI-active complexes with paramagnetic metals the complex-forming compound being cyclic, e.g. DOTA the metal complex being Gd-DOT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59/00Introduction of isotopes of elements into organic compounds ; Labelled organic compounds per se
    • C07B59/004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gadolinium-based compou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n MRI contrast medium contain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gadolinium-based compoun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gadolinium complex and Rose Bengal are bonded through a linking group,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n MRI contrast agent containing the same.
  • Degenerative brain diseases include Parkinson's disease, vascular dementia, and Alzheimer's disease, and neurotoxicity due to overexpression of glutamate is considered as one of the causes of the disease.
  • Magnetic Resonance Image is a method of obtaining anatomic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information images of the body by using the phenomenon that the distribution of hydrogen atoms is different between tissues in the body and the hydrogen atoms are relaxed in a magnetic field. .
  • MRI does not use harmful radiation to the human body, and generates images inside the body using the gradient of the magnetic field and radio waves under a strong magnetic field, so it is non-invasive, has high resolution, and is excellent for soft tissue examination.
  • a contrast agent is injected into an object to obtain an MRI image.
  • the contrast between tissues on the MRI image is a phenomenon that occurs because the relaxation of the water molecule nuclear spins in the tissues to return to equilibrium is different for each tissue.
  • Contrast agents use a material having paramagnetic or superparamagnetic properties to influence the relaxation action to widen the difference in relaxation degree between tissues and to induce a change in MRI signal to sharpen the contrast between tissues.
  • contrast agent is a contrast agent based on gadolinium (Gd) chelate.
  • Gd-DTPA Magneticnevist®
  • Gd-DOTA Dotaram®
  • Gd(DTPA-BMA) Omniscan®
  • Gd(DO3A-HP) ProHance®
  • Gd(BOPTA) MultiHance®
  • most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contrast media are non-specific contrast media distributed in the extracellular fluid (ECF).
  • ECF extracellular fluid
  • a specific contrast agent a liver specific contrast agent is being us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dolinium-based compound that can be used as an MRI contrast material, and in particular, has specificity for degenerative brain disease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MRI contrast medium containing the compoun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paring the compound.
  • a gadolinium-based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is provided:
  • A represents *-(CH 2 ) n -A 1 -*
  • n any integer from 0 to 5
  • a 1 represents *-COO-*, *-CO-*, *-NR 1 -*, *-CH 2 -*, *-CONH-*, or *-O-*,
  • Linker is *-L 1 -NHCO-L 2 -*, *-L 1 -OR 2 -OL 2 -*, *-L 1 -CH 2 -L 2 -*, *-L 1 -NR 3 -L 2 -*, or *-L 1 -COO-L 2 -*,
  • R 1 and R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hydrogen or linear or branched (C1-C10)alkyl
  • R 2 represents linear or branched (C1-C20)alkyl
  • RB represents the following formula (2):
  • an MRI contrast medium containing the gadolinium-based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 L 2 is the same as previously defined in Chemical Formula 1.
  • PT represents a protecting group
  • step (d) reacting the compound obtained in step (c) with gadolinium hydrate to obtain a compound of formula (1).
  • novel gadolinium-based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has sufficient self-relaxing properties and can be used as an MRI contrast material, but also can be combined with VGLUT, especially VGLUT1, and thus has an MRI contrast enhancement effect in the presence of VGLUT. It can be used for the diagnosis of related diseases, specifically degenerative brain diseases.
  • FIG. 3A is an NMR spectrum of Compound 3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of a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B is an HR-FAB-MS spectrum of Compound 3.
  • FIG. 5A is an HR-ESI-MS spectrum of the compound Gd-RB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of the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B is an HPLC chromatogram of the compound Gd-RB.
  • Figure 6a is a control (control), the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d-RB8), and the MR phantom (Phantom) image obtained when using the commercial contrast agent Gadovist
  • Figure 6b is the compound Gd-R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mercial This is a graph showing the intensity of the phantom signal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each contrast agent Gadovist.
  • Figure 8a is a view showing the brain MR image obtained through an in vivo animal experiment by color mapping after "post-pre” processing
  • Figure 8b is an image obtained by immunofluorescence staining of the brain extracted from an animal model after in vivo binding test to be.
  • FIG. 9 is a graph showing the cell viability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each of the compounds Gd-RB and Gadovist.
  • the gadolinium-based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 A represents *-(CH 2 ) n -A 1 -*
  • a 1 represents *-COO-*, *-CO-*, *-NR 1 -*, *-CH 2 -*, *-CONH-*, or *-O-*, specifically *-CONH Can represent -*,
  • Linker is *-L 1 -NHCO-L 2 -*, *-L 1 -OR 2 -OL 2 -*, *-L 1 -CH 2 -L 2 -*, *-L 1 -NR 3 -L 2 -*, or *-L 1 -COO-L 2 -*,
  • L 1 and L 2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linear or branched (C1-C30)alkyl, specifically L 1 is a linear or branched (C1-C10)alkyl, more specifically linear or branched May be (C1-C5)alkyl, specifically L 2 may be linear or branched (C2-C20)alkyl, more specifically linear or branched (C2-C10)alkyl,
  • R 1 and R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hydrogen or a linear or branched (C1-C10)alkyl, specifically hydrogen or a linear or branched (C1-C5)alkyl, more specifically hydrogen,
  • R 2 represents linear or branched (C1-C20)alkyl, specifically linear or branched (C1-C10)alkyl, more specifically linear or branched (C1-C5)alkyl, and ,
  • RB represents the following formula (2):
  • n in Formula 1 may represent an integer from 1 to 5, and A 1 may represent *-CONH-*.
  • gadolinium may be coordinated with at least one water molecule.
  • gadolinium may coordinate with one or two water molecules.
  • an oxygen atom may form a coordination bond with gadolinium.
  • Formula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iety derived from Rose bengal (4,5,6,7-tetrachloro-2',4',5',7'-tetraiodofluorescein).
  • the rose bengal is generally used as a dye, and in particular, it has been used as an eye drop to check for damage by staining conjunctival and corneal cells.
  • the use as an MRI contrast medium with VGLUT targeting function has not been considered to date.
  • the gadolinium-based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pecifically bind to a mammalian vesicular glutamate transporter (VGLUT), as shown in Examples to be described later.
  • VGLUT mammalian vesicular glutamate transporter
  •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water solubility and has a self-relaxing property by coordinating with at least one water molecule, it is possible to improve image contrast by increasing the relaxation rate of at least one water molecule and hydrogen atom in the human body. And, thus, it can be used as an MRI contrast material.
  •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hibit a magnetic relaxation degree of 5 mM -1 s -1 or more in 3T magnetic resonance images, for example.
  • an MRI contrast agent containing a gadolinium-based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is provided.
  • the MRI contrast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cally, diseases associated with VGLUT, more specifically, degenerative brain diseases, for example, Parkinson's disease, vascular dementia, Alzheimer's disease, etc. It can be used to diagnose degenerative brain disease.
  • a specific MRI contrast agent for diagnosis of degenerative brain diseases containing the compound of Formula 1 may be provided.
  • the MRI contrast agent containing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targeting VGLUT can be a specific MRI contrast agent for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particularly early diagnosis.
  • the gadolinium-based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 step (d) reacting the compound obtained in step (c) with gadolinium hydrate to obtain a compound of formula (1).
  • the salt of Rose Bengal is an alkali metal salt of Rose Bengal, for example, a sodium salt
  • the halogen-substituted alkanoic acid is linear or branched ( It may be an alkanoic acid derived from a C1-C30)alkane and substituted by one halogen, wherein the halogen is chlorine, fluorine, bromine, or iodine.
  • PT represents a protecting group, and may be a protecting group commonly used for protecting the -COOH group, for example, methyl, benzyl, tert-butyl, and the like.
  • 1,4,7-tris(tert-butoxycarbonylmethyl)-1,4,7,10-tetraazacyclododecane ⁇ HBr (2.53 g, 4.25 mmol) was added to acetonitrile (ACN) (50 mL). Dissolved. Then, KHCO 3 (1.29 g, 12.9 mmol) and ethyl bromoacetate (518 ⁇ L, 4.68 mmol) were sequentially added to the solution, followed by heating at 60° C. for 24 hours to reflux.
  • VGLUT1 vesicular glutamate transporter 1
  • Compound Gd-RB obtained in the above Preparation Example was dissolved in dimethyl sulfoxide (DMSO)/Water (5:5) at a concentration of 10 mM, and then diluted with water to prepare five concentration samples between 0 and 1 mM. It was made into sets of dogs, and these were used to obtain MRI images.
  • the relaxation rate was measured using MRI of 3.0 T and 9.4 T, respectively, and the T1 value was performed by the inversion recovery method. Specifically, the range of 50 to 1800 msec with a fast spin echo-inversion recovery (FSE-IR) sequence at 3.0 T and 85 to 7000 msec with an IR-RARE (inversion recovery-rapid imaging with refocused echoes) sequence at 9.4 T.
  • FSE-IR fast spin echo-inversion recovery
  • IR-RARE inversion recovery-rapid imaging with refocused echoes
  • T2 measurement was performed using different echo time (TE) values by applying a CPMG (Carr-Purcell-Meiboon-Gill) pulse sequence to a multiple spin-echo measurement.
  • TE echo time
  • CPMG Carr-Purcell-Meiboon-Gill
  • the T2 is measured using 10 or more different TEs ranging from 3.0 T to T2 MAP sequence in the range of 8.5 to 135 msec and from 9.4 T to the MSME (multi slice multi echo) sequence in the range of 10 to 700 msec.
  • T1 and T2 relaxation times were obtained from the non-linear least squares method of mean pixel values for multiple spin-echo measurements of each echo time.
  • relaxation was calculated as the inverse of relaxation time per mM.
  • the calculated relaxation time (T1 and T2) and relaxation (R1 and R2) were finally image-worked to create relaxation time maps and relaxation rate maps, respectively, and relaxation rates (r1 and r2) were obtained.
  • the results are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1].
  • the obtained cells were 7 ⁇ 10 6 cells per E-tube and suspended in neurobasal media containing 1 ⁇ N2 supplement, 1 ⁇ B27, 4 mM L-glutamine, and 1% antibiotic.
  • Gd-RB or Gadovist was added to each E-tube at a concentration of 0, 50, 100, 200, 400 ⁇ M, and reacted at 37° C. in shaker for 24 hours. After 24 hours, centrifuge at 4000 rpm for 5 minutes at 4°C to remove the supernatant, add 1 mL of PBS to loosen the cells by pipetting, and repeat centrifugation 3 times under the same conditions to bind to the cells. The unused material was washed off. RIPA solution (150 uL) was added and vortexed at 4° C.
  • the MR phantom image performed in 2)-(1) is shown in FIG. 6A, and the change of the phantom signal intensity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each of the compound GD-RB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mercial contrast agent Gadovist is graphed in FIG. 6B. Indicated.
  • the control is for a sample containing only cells and not mixed with other contrast agents.
  • FIGS. 6A and 6B when Gadovist was treated with a certain number of cells,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brightness according to the treated Gd concentration.
  • the compound Gd-R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treated by Gd concentr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brightness of the phantom was also brightened as the treated Gd concentration increased.
  • the compound Gd-RB binds to VGLUT1 when VGLUT1 is present, and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binding further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concentration of the compound Gd-RB.
  • the change in signal intensity according to the Gd concentration processed by measuring the signal intensity in each phantom is expressed as a graph.
  • the primary cultured cells were 4*10 ⁇ 5 per well in Cell Culture Slide 4wells (cat. No. 30104, SPL) based on NeurobasalTM Medium (cat. No. 21103049, Gibco) containing 4mM L-glutamine. Was seeded. After incubation for 24 hours, the light-shielded state is maintained based on NeurobasalTM Medium that does not contain L-glutamine, and the compound Gd-RB is treated at concentrations of 0, 100, 200, 400 uM, respectively, for 10 minutes, and 3 with DPBS buffer. Washed twice.
  • VGLUT1 Polyclonal Antibody (Cat.No. 48-2400, invitrogen) was diluted in a ratio of 1:250 with TBS buffer containing 5% NGS and 5% BSA, reacted overnight at 4 o C, and reacted for 15 minutes with TBS buffer for 3 minutes. After washing twice, dilute the secondary antibody, Goat anti-Rabbit Alexa Fluor 488 (Cat. No.
  • the color-mapped image was expressed as a signal intensity value through equation (1).
  • Human-derived neuroblastoma cells were cultured in MEM (Minimum Essential Mediu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FBS), 4 mM glutamine, and 1% antibiotic at 1 ⁇ 10 4 per well of a 96 well plate. I did. After attaching and stabilizing the cells for 24 hours, Gd-RB and Gadovist were diluted to a concentration of 0, 50, 75, 100, 150, 200, 400 ⁇ M in 100 ⁇ l of growth medium per well and incubated for 22 hours. I did. Afterwards, 10 ⁇ l of a CCK-8 (Cell Counting Kit-8, Dojindo Laboratories, Kumamoto, Japan) solution was added to each well, followed by further incubation for 2 hours. The plate on which the culture was completed was measured for absorbance at 450 nm using a microplate reader.
  • MEM Minimum Essential Medium
  • FBS Fetal bovine serum
  • 4 mM glutamine 1% antibiotic at 1 ⁇ 10 4 per well of a 96 well plate. I did.
  • A Absorbance value measured in the well of the control gro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가돌리늄계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MRI 조영제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A 및 Linker는 연결기이고, RB 는 로즈 벵갈에서 유래된 부분이다.

Description

신규한 가돌리늄계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MRI 조영제
본 발명은 신규한 가돌리늄계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MRI 조영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연결기를 통해 가돌리늄 착물과 로즈 벵갈(Rose Bengal)이 결합된 구조를 갖는 신규한 가돌리늄계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MRI 조영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구의 고령화로 인하여 퇴행성 뇌질환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질병에 대한 조기 발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퇴행성 뇌질환으로는 파킨슨병, 혈관성 치매, 알츠하이머병 등이 있고, 해당 질환의 발생 원인 중 하나로 글루타메이트(glutamate)의 과발현으로 인한 신경 독성이 고려되고 있다.
인간의 뇌에서 흥분성 신호전달의 70% 이상을 담당하는 글루타메이트는 학습, 기억, 운동능력, 및 감정을 조절하는 중요 아미노산이다. 시냅스에서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흥분성 신호 전달은 여러 글루타메이트 수송체 및 수용체에 의해 엄격하게 조절되고 있다. 소포성 글루타메이트 수송체(vesicular glutamate transporter)(VGLUT)는 뉴런 세포에서 글루타메이트의 저장과 농도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평상시 시냅스 간극에서의 글루타메이트의 농도는 1-3 μM이지만 소포 내에 저장되어 있던 글루타메이트가 방출되면 농도는 수백~수천 μM 이상으로 올라간다. 따라서 VGLUT에 이상이 발생하면 소포에 저장되어 있던 글루타메이트가 비정상적으로 과량 분비되고,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와 같이 글루타메이트 농도가 증가되면 신경아교세포에 의한 재흡수가 감소하여 글루타메이트가 신경 연접 부위에 축적되어 독성을 유발하고, 활성 산소종의 생성 및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하여 신경 세포의 손상을 초래한다고 한다.
또한, 최근에는, 알츠하이머병이 발병되는 초기에 뇌이랑(gyrus)이나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에서 글루타메이트 농도가 증가하였다가 알츠하이머가 진행되면서 신경세포가 손상을 입어 그 수가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온바 있다. 따라서, 글루타메이트의 농도 변화를 감지하는 것은 퇴행성 뇌질환의 조기 진단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한편,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e, 이하, MRI)은 체내 조직간 수소 원자의 분포가 다르고 자기장 안에서 수소 원자가 이완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신체의 해부학적, 생리학적, 생화학적 정보 영상을 얻는 방법이다. MRI 는 CT 나 PET 과는 다르게 인체에 유해한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고, 강한 자기장 하에서 자기장의 기울기 및 라디오파를 사용하여 신체 내부의 이미지를 생성하므로 비침습적이고 해상도가 높으며 연부 조직 검사에 뛰어나다.
이러한 MRI 장비를 좀 더 정밀하게 활용하기 위해서, 조영제(contrast agent)를 대상체에 주입하여 MRI 영상을 얻는다. MRI 이미지 상에서의 조직들 사이의 대조도(contast)는, 조직 내의 물분자 핵스핀이 평형상태로 돌아가는 이완(relaxation) 작용이 조직별로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조영제는 상자성을 띄거나 초상자성을 띄는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이완 작용에 영향을 끼쳐 조직 간의 이완도 차이를 벌리고 MRI 신호의 변화를 유발하여 조직 간의 대조를 보다 선명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 임상적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조영제는 가돌리늄(Gd) 킬레이트에 기반을 둔 조영제이다. 현재는 Gd-DTPA (Magnevist®), Gd-DOTA (Dotaram®), Gd(DTPA-BMA) (Omniscan®), Gd(DO3A-HP) (ProHance®), Gd(BOPTA) (MultiHance®)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용화되어 있는 조영제의 대부분이 세포 외공간(extracellular fluide, ECF)으로 분포되는 비특이적 조영제이다. 특이적 조영제로는 특별하게 간 특이적 조영제가 사용되고 있을 따름이다. 최근의 연구는 특정 표적성을 가지거나 생리적 활성 (pH 변화, 효소 활성) 에 의해 신호 증강을 나타낼 수 있는 조영제의 개발이 추진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특정 표적성을 가지는 MRI 조영제, 특히, 퇴행성 뇌질환에 대한 특이적 MRI 조영제에 대해 충분한 결과가 얻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MRI 조영 물질로 사용될 수 있고, 특히, 퇴행성 뇌질환에 특이성이 있는 가돌리늄계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MRI 조영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가돌리늄계 화합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
Figure PCTKR2020013347-appb-img-0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CH 2) n-A 1-*를 나타내고,
n은 0 내지 5 중 임의 정수를 나타내고,
A 1 은 *-COO-*, *-CO-*, *-NR 1-*, *-CH 2-*, *-CONH-*, 또는 *-O-*를 나타내고,
Linker는 *-L 1-NHCO-L 2-*, *-L 1-O-R 2-O-L 2-*, *-L 1-CH 2-L 2-*, *-L 1-NR 3-L 2-*, 또는 *-L 1-COO-L 2-* 를 나타내고,
L 1 및 L 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30)알킬을 나타내고,
R 1 및 R 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10)알킬을 나타내고,
R 2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20)알킬을 나타내고,
RB는 하기 화학식 2를 나타내고:
[화학식 2]
Figure PCTKR2020013347-appb-img-000002
* 은 연결 자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가돌리늄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MRI 조영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가돌리늄계 화합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a) 로즈 벵갈의 염을 할로겐-치환된 알카노산(halogen-substituted alkanoic acid)와 함께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화학식 1-1]
Figure PCTKR2020013347-appb-img-000003
상기 화학식 1-1 에서,
L 2는 앞서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b) 상기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1-2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3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화학식 1-2]
Figure PCTKR2020013347-appb-img-000004
[화학식 1-3]
Figure PCTKR2020013347-appb-img-000005
상기 화학식 1-2 및 1-3 에서,
PT는 보호기를 나타내고,
L 1, A, Linker, 및 RB는 앞서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c) 상기 화학식 1-3의 화합물에서 보호기(PT)를 제거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수득한 화합물을 가돌리늄 수화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가돌리늄계 화합물은 충분한 자기 이완 특성을 가져서 MRI 조영 물질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VGLUT, 특히 VGLUT1과 결합할 수 있어, VGLUT 의 존재 하에 MRI 조영 증강 효과를 가지므로, VGLUT 와 연관된 질환, 구체적으로 퇴행성 뇌질환의 진단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예에서 제조된 화합물 1의 LC-MS 스펙트럼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예에서 제조된 화합물 2의 LC-MS 스펙트럼이다.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예에서 제조된 화합물 3의 NMR 스펙트럼이고, 도 3b 는 상기 화합물 3의 HR-FAB-MS 스펙트럼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예에서 제조된 화합물 4의 HR-FAB-MS 스펙트럼이다.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예에서 제조된 화합물 Gd-RB 의 HR-ESI-MS 스펙트럼이고, 도 5b 는 상기 화합물 Gd-RB 의 HPLC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6a 는 대조군(control),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Gd-RB8), 및 상용 조영제인 Gadovist를 사용했을 때 얻어진 MR 팬텀(Phantom) 이미지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Gd-RB 및 상용 조영제인 Gadovist 각각의 사용 농도에 따른, 팬텀 신호 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a는 면역형광 염색법에 의한 in vitro 결합 시험에서의 형광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화합물 Gd-RB의 농도에 따른 형광 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a는 in vivo 동물 실험을 통해 얻은 뇌 MR 영상을 “후-전”처리 이후에 컬러맵핑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in vivo 결합 시험 후 동물모델에서 적출한 뇌를 면역형광염색하여 얻은 이미지이다.
도 9는 화합물 Gd-RB와 Gadovist 각각의 농도에 따른 세포 생존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가돌리늄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0013347-appb-img-0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CH 2) n-A 1-*를 나타내고,
n은 0 내지 5 중 임의 정수를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1 내지 5 중 임의 정수를 나타내고, 더 구체적으로는 1 내지 3 중 임의 정수일 수 있고,
A 1 은 *-COO-*, *-CO-*, *-NR 1-*, *-CH 2-*, *-CONH-*, 또는 *-O-*를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CONH-*를 나타낼 수 있고,
Linker는 *-L 1-NHCO-L 2-*, *-L 1-O-R 2-O-L 2-*, *-L 1-CH 2-L 2-*, *-L 1-NR 3-L 2-*, 또는 *-L 1-COO-L 2-* 를 나타내고,
L 1 및 L 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30)알킬을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L 1 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10)알킬, 더욱 구체적으로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5)알킬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L 2 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2-C20)알킬, 더욱 구체적으로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2-C10)알킬일 수 있고,
R 1 및 R 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10)알킬, 구체적으로는 수소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5)알킬, 더 구체적으로는 수소를 나타내고,
R 2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20)알킬을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10)알킬, 더 구체적으로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5)알킬일 수 있고,
RB는 하기 화학식 2를 나타내고:
[화학식 2]
Figure PCTKR2020013347-appb-img-000007
* 은 연결 자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5 중 임의 정수를 나타내고, A 1 은 *-CONH-*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L 1 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10)알킬을 나타내고, L 2 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2-C20)알킬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가돌리늄계 화합물에서, 가돌리늄은 적어도 1 이상의 물 분자와 배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1의 가돌리늄계 화합물에서 가돌리늄은 1개 또는 2개의 물 분자와 배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가돌리늄계 화합물에서, A 1 이 *-COO-*, *-CO-*, 또는 *-CONH-* 인 경우, 산소원자가 가돌리늄과 배위 결합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2는 로즈 벵갈(Rose bengal) (4,5,6,7-tetrachloro-2',4',5',7'-tetraiodofluorescein)에서 유래된 부분이다. 상기 로즈 벵갈은 일반적으로 염료로 사용되는데, 특히, 결막 및 각막 세포를 염색하여 손상을 확인하기 위한 안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VGLUT 표적 기능을 가진 MRI 조영제로서의 사용은 현재까지 고려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가돌리늄계 화합물은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포유동물의 소포성 글루타메이트 수송체(vesicular glutamate transporter)(VGLUT)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은 수용성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 분자와 배위 결합하여 자기 이완 특성을 가지므로, 인체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 분자와 수소 원자 이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영상 대조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MRI 조영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3T 자기공명 영상에서 5 mM -1s -1 이상의 자기 이완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가돌리늄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MRI 조영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VGLUT 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상기 MRI 조영제는 구체적으로, VGLUT 와 연관된 질환, 더 구체적으로 퇴행성 뇌질환, 예를 들어, 파킨슨병, 혈관성 치매, 알츠하이머병 등의 퇴행성 뇌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진단을 위한 특이적 MRI 조영제가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초기에는 글루타메이트가 과발현하고, 병의 진행에 따라 신경 세포의 손상에 의해 글루타메이트의 농도가 감소한다. 따라서, VGLUT을 표적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MRI 조영제는 알츠하이머병의 진단, 특히 조기 진단을 위한 특이적 MRI 조영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가돌리늄계 화합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 로즈 벵갈의 염을 할로겐-치환된 알카노산(halogen-substituted alkanoic acid)와 함께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상기 화학식 1-2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1-3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화학식 1-3의 화합물에서 보호기(PT)를 제거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수득한 화합물을 가돌리늄 수화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로즈 벵갈의 염은 로즈 벵갈의 알칼리 금속 염, 예를 들어 나트륨 염이고, 상기 할로겐-치환된 알카노산은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30)알칸에서 유래되고 1개의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알카노산일 수 있고, 여기서 상기 할로겐은 염소, 불소, 브롬, 또는 요오드이다.
상기 화학식 1-1 및 1-3에서, PT는 보호기를 나타내고, -COOH 기의 보호를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호기, 예를 들어, 메틸, 벤질, tert-부틸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세한 이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대표 화합물을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MRI 조영제의 특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1.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예
Figure PCTKR2020013347-appb-img-000008
1) 트리- tert -부틸 2,2’,2“-(10-(2-((2-아미노에틸)아미노)-2-옥소에틸)-1,4,7,10-테트라아자시클로- 도데칸-1,4,7,10-트리일)트리아세테이트 (화합물 1 )의 제조
1,4,7-트리스(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1,4,7,10-테트라아자시클로도데칸·HBr (2.53 g, 4.25 mmol) 을 아세토니트릴(ACN) (50 mL) 에 용해시켰다. 그 후, 상기 용액에 KHCO 3 (1.29 g, 12.9 mmol), 에틸 브로모아세테이트 (518 μL, 4.68 mmol)를 차례로 넣고, 60℃에서 24 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상기 반응 후, 염을 필터하여 걸러내고, 용매를 감압 건조한 후, 잔류물을 메탄올 (15 mL) 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에틸렌디아민 (10 mL)을 첨가하여 4일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박막 크로마토그래피(TLC) 로 반응의 종료 여부를 확인한 후, 용매를 감압 건조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이동상: DCM/MeOH = 97/3) 를 통해 밝은 노란 색의 거품 형태 물질 (화합물 1)을 수득하였다. 상기 화합물 1의 LC-MS 스펙트럼을 도 1에 나타낸다. 수득률: 2.02 g (77 %), LC-MS: m/z: 614 [M+H] +
2) 8-((2,3,4,5-테트라클로로-6-(6-하이드록시-2,4,5,7-테트라요오도-3-옥소-3 H -잔텐-9-일)벤조일)옥시)옥타노산 (화합물 2 )의 합성
로즈 벵갈의 나트륨 염 (0.5 g, 0.49 mmol), 8-브로모옥타노산 (0.68 g, 3.05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DMF) (10 mL) 에 용해시킨 후, 80℃에서 24 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상기 반응 후, 용매를 감압 건조한 후, 반응물을 메탄올(MeOH) (1 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과량의 디에틸 에테르 (100 mL) 에 천천히 첨가하여 침전물을 얻었다. 상기 침전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3회 세척한 후, 감압 건조하여, 가루형태의 보라색 고형물 (화합물 2)을 얻었다. 상기 수득한 화합물 2의 LC-MS 스펙트럼을 도 2에 나타낸다. 수득률: 0.51 g (90%), LC-MS: m/z: 1113.60 [M+H] +
3) 트리- tert -부틸 2,2’,2“-(10-(2-옥소-2-((2-(8-((2,3,4,5-테트라클로로-6-(6-하이드록시-2,4,5,7-테트라요오도-3-옥소-3 H -잔텐-9-일)벤조일)옥시)옥타노아미도)에틸)아미노)에틸)-1,4,7,10-테트라아자시클로도데칸-1,4,7-트리)트리아세테이트 (화합물 3 )의 합성
상기 수득한 화합물 2 (0.25 g, 0.22 mmol)을 디클로로메탄(DCM) (20 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0.07 g, 0.32 mmol)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용액에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0.04 g, 0.32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0분 더 교반 한 후, 상기 수득한 화합물 1 (0.14 g, 0.22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8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후, 생성된 침전물을 필터하여 제거하고, 용매를 감압 여과하고,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EA) (20 mL)에 용해시킨 후, 수득된 용액을 KHCO 3 수용액으로 세 번 세척하였다. 유기 층에 MgSO 4를 넣어 탈수한 후, 용매를 제거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이동상: DCM/MeOH = 98:2)을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검붉은색의 고체물질 (화합물 3)을 얻었다. 상기 수득한 화합물 3의 NMR 스펙트럼 및 HR-FAB-MS 스펙트럼을 각각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다. 수득률: 0.1 g (26 %)
1H NMR (500 MHz, DMSO-d 6): δ = 1.04 1.72 ( m, 37H, tBu, CH 2), 2.15 ( m, 2H, CH 2), 2.64 - 2.95 ( m, 4H, CH 2), 3.18 3.33 ( m, 24H, CH 2, CH 2 in the cyclen ring), 4.37 ( s, CH 2), 7.49 ( s, 1H, rose bengal), 7.65 ( s, 1H, rose bengal), 7.85 ( d, 1H, NH), 8.08 ( d, 1H, NH)
HR-FAB-MS ( m/z): calculated for C 58H 74C 14N 6O 13NaI 4 = 1733.0145 [M+Na] +; found, 1733.0151 [M+Na] +
4) 2,2',2"-(10-(2-옥소-2-((2-(8-((2,3,4,5-테트라클로로-6-(6-하이드록시-2,4,5,7-테트라요오도-3-옥소-3H-잔텐-9-일)벤조일)옥시)옥탄아미도)에틸)아미노)에틸)-1,4,7,10-테트라아자시클로도데칸-1,47-트리일)트리아세트산 (화합물 4 )의 합성
상기 수득한 화합물 3 (0.36 g, 0.21 mmol)을 테트라플루오로아세트산(TFA) (15 mL)에 용해시킨 후,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의 종료 여부를 TLC 로 확인한 후, CHCl 3 와 MeOH를 20 mL 씩 첨가하여 감압건조하기를 세 번 반복하여 TFA를 제거하였다. 상기 용매의 제거 후, 건조하고, 수득한 붉은 오일의 crude를 DMF(3mL)에 용해시키고, 아세톤(130 mL)을 첨가하였고,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상기 생성된 침전물을 원심분리하여 수득하고, 아세톤으로 세 번 더 세척한 후, 그 결과물을 질량 분석으로 확인 후, 생성된 화합물 4 를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상기 수득한 화합물 4의 HR-FAB-MS 스펙트럼을 도 4에 나타낸다.
HR-FAB-MS ( m/z): calculated for C 58H 74C 14N 6O 13NaI 4 = 1542.8447 [M+Na] +; found, 1542.8452 [M+Na] +
5) 화합물 Gd-RB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합성
화합물 4 (0.66 g, 0.043 mmol)를 DMF (10 mL)에 용해하고, Gd(OAc) 3·4H 2O (0.16 g, 0.47 mmol) 을 첨가하였다. 80℃에서 12 시간 동안 가열한 후, TLC 로 반응 경과를 확인하였다. 반응 완료후, 용매를 감압 여과하여 제거한 후, 플래시 칼럼(이동상: Water/MeOH = 28/72)을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검붉은색의 고체물질 (화합물 Gd-RB)를 얻었다. 상기 수득한 화합물 Gd-RB의 HR-ESI-MS 스펙트럼 및 HPLC 크로마토그램을 각각 도 5a 및 도 5b 에 나타낸다. 수득률 : 0.2 g (18 %)
HR-ESI-MS (m/z): calculated for C 46H 46N 6O 13Cl 4I 4Gd = 1695.7297 [M-H] +; found, 1695.7301 [M-H] +, 분석용 HPLC를 이용하여 순도 분석 : 97.18 %
이하에서는, 상기 제조한 본 발명의 대표 화합물을 사용하여, MRI 조영 물질로서 사용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글루타메이트 수송체의 하나인 VGLUT1(vesicular glutamate transporter 1)에 표적능력이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2.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특성 평가 방법 및 결과
1) 이완율(relaxivity)에 대한 평가
상기 제조예에서 수득한 화합물 Gd-RB 을 10 mM 농도로 디메틸술폭시드(DMSO)/물(Water)(5:5) 에 용해시킨 후, 물로 희석하여 0에서 1 mM 사이의 다섯개 농도 샘플을 3개 세트로 만들었고, 이들을 MRI 영상을 얻는데 사용하였다. 이완율은 3.0 T 와 9.4 T 의 MRI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하였고, T1 값은 반전회복법(Inversion recovery method) 으로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3.0 T 에서 FSE-IR(fast spin echo-inversion recovery) sequence 로 50에서 1800 msec 범위의, 9.4 T 에서는 IR-RARE (inversion recovery-rapid imaging with refocused echoes) sequence 로 85에서 7000 msec 범위의 10개 이상의 서로 다른 반전시간(inversion time, TI)을 이용하였다. T2 측정은 CPMG (Carr-Purcell-Meiboon-Gill) 펄스 서열을 다중 스핀-에코(multiple spin-echo) 측정에 적용시켜 서로 다른 에코 시간(TE) 값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T2는 3.0 T 에서 T2 MAP sequence 로 8.5 내지 135 msec 범위의, 9.4 T에서 MSME(multi slice multi echo) sequence 로 10에서 700 msec 범위의 10 개 이상의 서로 다른 TE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T1, T2 이완시간은 각 에코 시간의 다중 스핀-에코 측정에 대한 평균 픽셀 값(mean pixel values)의 비-선형 최소제곱법으로부터 구하였다. 그런 다음, 이완성(R1 및 R2)은 mM 당 이완시간의 역으로 계산하였다. 계산된 이완시간(T1 및 T2) 및 이완성(R1 및 R2)으로 최종적으로 이미지-작업하여 각각 이완시간 지도 및 이완율 지도를 만들었고 이완율(r1 및 r2)을 얻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r 1 (mM -1s -1) r 2 (mM -1s -1)
3 T 5.42 9.14
9.4 T 2.78 14.44
2) 초대 배양에 의한 in vitro 결합 테스트
2)-(1). 실험 방법
① 쥐 뇌 신경세포 초대 배양
임신 18~9일 된 쥐 (Sprague Dawley rats)는 대한바이오링크에서 구입하였다. 임신 쥐를 안정화 시킨 후, 이소플루레인(isoflurane)을 이용하여 호흡 마취하고, 태아를 모체로부터 분리하였다. 태아의 뇌를 분리하여 막을 제거하고, 해마와 대뇌피질만을 분리 선택하여 잘게 잘라 HBSS 완충제에 넣어 4번 수세하였다 (원심분리 1000rpm, 3분). 마지막 수세 후, HBSS를 제거하고, 트립신이 첨가된 HBSS 완충제를 첨가(세포 부피: 트립신 HBSS = 1:1)하여 항온 수조 (37℃)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10% FBS가 든 HBSS 완충제를 첨가((세포부피+trypsin HBSS): 10% FBS HBSS = 1:1)하여 트립신의 효소 반응을 중지시키고, 4겹의 lens paper에 통과시켜 단일 세포로 만들었다. HBSS 완충제로 원심분리하여 4회 수세하고, 단일 세포로 분리된 세포만을 획득하였다.
② 팬텀 연구(Phantom study)
획득한 세포는 E-tube당 7×10 6 개의 세포로 1×N2 supplement, 1×B27, 4 mM L-glutamine, 1% 항생제가 든 neurobasal media에 부유시키고. 각 E-tube에 Gd-RB 또는 Gadovist를 0, 50, 100, 200, 400 μM의 농도로 첨가하여 37℃, shaker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24 시간 후, 4000 rpm, 4℃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PBS 1 mL 을 첨가하여 피펫팅하여 세포를 풀어 준 후, 같은 조건으로 원심분리를 3회 반복하여 세포와 결합하지 않은 물질들을 씻어 내었다. RIPA 용액 (150 uL)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4℃, 15분 간격으로 vortex하여 세포를 파쇄 하였다. 파쇄된 세포에 350 uL 의 PBS를 추가하여 총 500 uL 의 샘플을 만들고 이 상태로 MR 촬영하였다. MRI 는 3T에서 촬영되었으며 Fast spin echo sequence로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256*256 matrix size; number of acquisition (NEX) = 4; phase field of view (FOV) = 0.8; repetition time (TR) = 400 ms; echo time (TE) = 13.2 ms; echo train length (ETL) = 3; field of view (FOV) = 12 mm; slice thickness = 2.5 mm; spacing = 0. MRI 강도는 Image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2)-(2). 실험 결과
상기 2)-(1)에서 실시한 MR 팬텀(Phantom) 이미지를 도 6a에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GD-RB8 및 상용 조영제 Gadovist 각각의 농도에 따른 팬텀 신호 강도의 변화를 도 6b에서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여기서, 대조군(control)은 세포만 있고 다른 조영제를 섞지 않은 샘플에 대한 것이다. 도 6a 및 6b 에서 보는 바와 같이, Gadovist를 일정 개수의 세포에 처리하였을 경우, 처리한 Gd 농도에 따른 밝기 차이가 거의 없었다. 이에 반해, 상기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Gd-RB 을 Gd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처리한 Gd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팬텀의 밝기도 밝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VGLUT1 이 존재할 때 화합물 Gd-RB 은 VGLUT1 과 결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화합물 Gd-RB 의 농도에 비례하여 결합이 더 증가한다는 사실도 또한 확인하였다. 오른쪽은 각 팬텀에서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여 처리한 Gd 농도에 따른 신호 강도의 변화를 그래프로 표현하였다.
3) 면역형광 염색법(Immunofluorescence staining)에 의한 in vitro 결합 테스트
3)-(1). 실험 방법
초대 배양한 세포를 4mM L-글루타민을 포함한 Neurobasal™ Medium (cat. No. 21103049, Gibco)를 기반으로 하여 Cell Culture Slide 4well (cat. No. 30104, SPL)에 각 well 당 4*10^5개를 seeding 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 후 L-글루타민이 포함되지 않은 Neurobasal™ Medium을 기초로 하여 차광된 상태를 유지하며 화합물 Gd-RB 을 각각 0, 100, 200, 400 uM 농도로 10분간 처리하고, DPBS 완충제로 3회 수세하였다.
세포는 4% 파라포름알데히드(PFA) 에 15분간 고정 시킨 뒤, TBS 완충제로 5분간 3회 수세하고, 5% normal gout serum (NGS) 과 5% bovine serum albumin (BSA) 를 포함한 TBS 완충제로 1시간 동안 blocking을 실시하였다. VGLUT1 Polyclonal Antibody (Cat. No. 48-2400, invitrogen)는 5% NGS 와 5% BSA 를 포함한 TBS buffer와 1:250의 비율로 희석하여 4 oC에서 하룻밤 동안 반응시키고, TBS 완충제로 15분간 3회 수세한 뒤, 2차 항체인 Goat anti-Rabbit Alexa Fluor 488 (Cat. No. A-11008, invitrogen)을 5% NGS 와 5% BSA가 포함된 TBS 완충제와 1:500의 비율로 희석하여, 25 oC에서 1시간 30분간 암 반응하였다. TBS 완충제로 10분간 3회 수세한 뒤, VECTASHIELD® Hardset™ Antifade Mounting Medium with DAPI (Cat. No. H-1500 VECTOR) 로 Mounting을 실시하고, lionhart 장비를 사용하여 형광 염색된 세포의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렌즈는 20x 대물렌즈를 사용하고, 형광 강도는 lionhart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ROI 값을 분석하였다.
화합물 Gd-RB 는 형광현미경에서 595nm (적색) 파장에서 검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VGLUT1(도 7a에서 "VGLUT1"이라는 표시 하에 도시한 도면)과 Gd-RB 의 사진 (도 7a에서 "Rose Bengal"이라는 표시 하에 도시한 도면)을 병합(merge)하여 co-localization (도 7a에서 "Merged"이라는 표시 하에 도시한 도면)되는 값을 분석하였다 (도 7a 및 도 7b 참조). 도 7a는 형광 이미지를 나타내고, 도 7b는 화합물 Gd-RB 농도에 따른 각 형광 강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3)-(2). 실험 결과
도 7a를 참조하면, 로즈 벵갈의 형광 (도 7a에서 "Rose Bengal"이라는 표시 하에 도시한 도면)을 관측하고 VGLUT1 에 대한 항체의 형광 (도 7a에서 "VGLUT1"이라는 표시 하에 도시한 도면)을 관측하여 두 이미지를 겹쳐 보았을 때 (도 7a에서 "Merged"이라는 표시 하에 도시한 도면), 두 영상이 서로 겹쳐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Gd-RB)은 VGLUT 를 잘 표적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VGLUT에 대한 표적성 MRI 조영제로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볼 수 있다.
4) 면역형광 염색법(Immunofluorescence staining)에 의한 in vivo 결합 테스트
4)-(1). in vivo MR 이미징
5XFAD 유전자삽입 AD 마우스 모델 및 대조군으로서 야생-형 C57BL/6 마이스를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DGMIF)의 동물실험윤리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Committee)의 승인에 의해 사용했고 모든 in vivo 실험을 승인된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했다. in vivo MR 이미징을 위해, 12개월 수컷 5XFAD 마이스 및 C57BL/6 마이스를 이소플루레인(isoflurane)으로 마취했다. 선-이미지 습득 이후, DMSO 내 50 mM Gd-RB를 0.1 mmol/kg 의 투여량으로 뇌실 내 (ICV) 주사했고 3시간 동안 이미지화했다. 9.4 T 스캐너 (Bruker, BioSpin, Germany)를 사용하여 도 8a의 in vivo 동물 실험을 통해 얻은 뇌 MR 영상을 “후-전”처리 이후에 컬러맵핑하여 나타낸 도면을 얻었다. T1-가중치 이미지에 대한 이미징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다: TR = 700 ms; TE = 7 ms; 20 mm FOV; 128 x 128 매트릭스 크기; 0.5 mm 슬라이스 두께.
4)-(2). 이미지 분석
MATLAB 소프트웨어 (R2015a, MathWorks Inc., Natick, MA, USA)를 사용하여 in vivo 이미지 감산 및 컬러 맵핑을 수행했다.
컬러 맵핑된 이미지를 식 (1)을 통해 신호 강도 값으로 표시했다.
ΔSI = SI post - SI pre (1)
4)-(3). 사후 뇌 절편의 면역조직화학
in vivo MR 이미지 습득 다음, 주사로부터 3 시간 이후 마우스 뇌를 적출했다. OCT 화합물 (Tissue-Tek, Sakura Finetek, USA) 내에서 조직을 완전히 동결시켰을 때, 동결 마이크로톰 (Leica Biosystems, Wetzlar, Germany)을 사용하여 약 20 μm 두께의 조직 절편으로 몇몇의 부분 동결-절편으로 조직을 박절했고 현미경 유리 슬라이드 상에 마운트했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위해 뇌 당 해마를 포함하는 평균 6-8의 절편을 사용했고 연구자가 블라인드로 분석했다. 해마를 포함하는 모든 절편을 0.1% 소듐 아지드를 함유하는 DPBS 용액 내 수집했고, 4°C에서 저장했다. 뇌 절편을 0.1% Triton X-100을 포함하는 TBS 및 3% 염소 혈청 (Gibco Co., Grand Island, NY, USA)으로 블로킹했고 25°C에서 2시간 동안 1차 항체 (항-VGLUT1)로 배양했다. 그 다음 뇌 절편을 TBS로 세척했고 Alexa Fluor (Cell Signaling Technology Inc., Beverly, MA, USA)와 함께 IgG-라벨링된 2차 항체의 존재 하에서 1 시간 동안 배양했다. DAPI 용액 내 절편을 10 분 동안 마운트했고 그 다음 형광 현미경 (ECLIPSE Ti, Nikon, NY, USA)으로 관찰했다. NIS-Elements Basic Research 이미징 소프트웨어 (버전 4.50)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분석했다.
4)-(4). 실험 결과
12개월의 후기 치매 모델과 같은 개월수의 정상 쥐에 Gd-RB를 뇌실 내 주사하여 2시간 30분 후 얻은 MR 영상을 매트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후 - 전” 이미지를 얻고 컬러 맵핑을 하였다. 도 8a를 통해 치매 쥐에 비해 정상 쥐에서 더 많은 영역에서 신호 강도 변화가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3시간 후 뇌 적출 후 면역형광염색을 시행한 후 얻은 결과인 도 8b에서도 같은 결과 (즉, 정상 쥐에서 더 많은 영역에 신호 강도 변화가 있음; 예를 들어 도 8b에서 "Merge"라는 표시 하에 도시한 도면에서 강도 차이 나는 부분을 흰색 화살표로 표시하였고 정상 쥐에서 흰색 화살표가 더 많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도 8b에서 또한 면역형광염색 결과에서 VGLUT1 항체(도 8b에서 "VGLUT1 antibody"라는 표시 하에 도시한 도면)와 Gd-RB (도 8b에서 "Gd-RB"라는 표시 하에 도시한 도면)의 신호가 겹쳐지는 것을 통해 in vivo 실험에서도 Gd-RB 의 VGLUT1 표적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세포 생존도(viability) 테스트
5)-(1). 세포 배양 및 세포 독성 실험
인간 유래 신경모세포종 세포(SH-SY5Y)를 96 well 플레이트의 1 well 당 1×10 4 개수로 10% FBS(Fetal bovine serum), 4mM 글루타민, 1% 항생제가 들어있는 MEM(Minimum Essential Medium)에 배양하였다. 세포를 24시간 동안 부착 및 안정화 시킨 후, 각 well당 성장 배지 100 μl에 Gd-RB과 Gadovist를 0, 50, 75, 100, 150, 200, 400 μM의 농도로 희석하여 처리하고 2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각 well에 CCK-8 (Cell Counting Kit-8, Dojindo Laboratories, Kumamoto, Japan) 용액을 10 μl씩 첨가하여 2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플레이트는 microplate reader기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도의 계산]
A : 대조군의 well에서 측정된 흡광도 값
B : 약물이 들어간 well에서 측정된 흡광도 값
세포 생존도 (%) = B/A × 100
그래프 그리기: 계산된 값은 GraphPad Prism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그래프를 그렸다. 나온 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은 일원 분산 분석 (One-way ANOVA with Dunnett’s multiple comparison test)을 통해 확인하였다. * p<0.05 ** p< 0.01, *** p<0.001 vs. 대조군의 유의성을 가짐을 나타낸다. 상기 계산법에 따라 구해진 세포 생존도를, 화합물 Gd-RB와 Gadovist 각각의 농도에 따른 그래프로 하여 도 9에 나타내었다.
5)-(2). 실험 결과
도 9를 참조하면, 화합물 Gd-RB 과 Gadovist를 농도별로 SH-SY5Y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두 군에서의 세포 생존 정도가 유사하게 측정되었다. 이로써, 본 발명의 화합물 Gd-RB의 세포 독성은 상용 조영제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돌리늄계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20013347-appb-img-000009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CH 2) n-A 1-*를 나타내고,
    n은 0 내지 5 중 임의 정수를 나타내고,
    A 1 은 *-COO-*, *-CO-*, *-NR 1-*, *-CH 2-*, *-CONH-*, 또는 *-O-*를 나타내고,
    Linker는 *-L 1-NHCO-L 2-*, *-L 1-O-R 2-O-L 2-*, *-L 1-CH 2-L 2-*, *-L 1-NR 3-L 2-*, 또는 *-L 1-COO-L 2-*를 나타내고,
    L 1 및 L 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30)알킬을 나타내고,
    R 1 및 R 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10)알킬을 나타내고,
    R 2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20)알킬을 나타내고,
    RB는 하기 화학식 2를 나타내고:
    [화학식 2]
    Figure PCTKR2020013347-appb-img-000010
    * 은 연결 자리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n은 1 내지 5 중 임의 정수를 나타내고, A 1 은 *-CONH-*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돌리늄계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L 1 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10)알킬을 나타내고, L 2 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2-C20)알킬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돌리늄계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돌리늄이 적어도 1 이상의 물 분자와 배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돌리늄계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의 소포성 글루타메이트 수송체(vesicular glutamate transporter)(VGLUT)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돌리늄계 화합물.
  6. 제1항에 따른 가돌리늄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조영제.
  7. 제6항에 있어서, 퇴행성 뇌질환의 진단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조영제.
  8. 제7항에 있어서, 알츠하이머병의 진단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조영제.
  9. (a) 로즈 벵갈의 염을 할로겐-치환된 알카노산(halogen-substituted alkanoic acid)와 함께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화학식 1-1]
    Figure PCTKR2020013347-appb-img-000011
    상기 화학식 1-1에서,
    L 2 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b) 상기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1-2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3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화학식 1-2]
    Figure PCTKR2020013347-appb-img-000012
    [화학식 1-3]
    Figure PCTKR2020013347-appb-img-000013
    상기 화학식 1-2 및 1-3에서,
    PT는 보호기를 나타내고,
    L 1, A, Linker, 및 RB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c) 상기 화학식 1-3의 화합물에서 보호기(PT)를 제거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수득한 화합물을 가돌리늄 수화물과 반응시켜 제1항에 기재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가돌리늄계 화합물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로즈 벵갈의 염은 로즈 벵갈의 알칼리 금속 염이고, 상기 할로겐-치환된 알카노산은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30)알칸에서 유래되고 1개의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알카노산인, 제조 방법.
PCT/KR2020/013347 2019-10-29 2020-09-29 신규한 가돌리늄계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mri 조영제 WO2021085875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881219.8A EP4067364A4 (en) 2019-10-29 2020-09-29 NEW GADOLINIUM-BASED COMPOUND, PROCESS OF PRODUCTION AND MRI CONTRAST AGENT THEREOF
US17/755,143 US20220380386A1 (en) 2019-10-29 2020-09-29 Novel gadolinium-based compou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mri contrast agent contain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992 2019-10-29
KR20190134992 2019-10-29
KR1020200114620A KR102386595B1 (ko) 2019-10-29 2020-09-08 신규한 가돌리늄계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mri 조영제
KR10-2020-0114620 2020-09-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5875A1 true WO2021085875A1 (ko) 2021-05-06

Family

ID=7571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3347 WO2021085875A1 (ko) 2019-10-29 2020-09-29 신규한 가돌리늄계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mri 조영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80386A1 (ko)
EP (1) EP4067364A4 (ko)
WO (1) WO202108587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5896A (ko) * 2013-04-18 2014-10-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o3a-디아미노바이페닐 화합물 및 이를 리간드로 포함하는 가돌리늄 착물
CN106986920A (zh) * 2017-03-09 2017-07-28 北京市心肺血管疾病研究所 四型胶原作为靶点在早期诊断主动脉瘤/夹层中的应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5896A (ko) * 2013-04-18 2014-10-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o3a-디아미노바이페닐 화합물 및 이를 리간드로 포함하는 가돌리늄 착물
CN106986920A (zh) * 2017-03-09 2017-07-28 北京市心肺血管疾病研究所 四型胶原作为靶点在早期诊断主动脉瘤/夹层中的应用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IMITRIOS STEFANAKIS, IOANNIS SEIMENIS ,DEMETRIOS GHANOTAKIS: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gadolinium nanosheets with bound rose bengal: potential use in photodynamic therapy and MRI", JOURNAL OF NANOPARTICLE RESEARCH, vol. 16, no. 11, 2964, 15 October 2014 (2014-10-15), pages 1 - 9, XP035382712, ISSN: 1388-0764, DOI: 10.1007/s11051-014-2694-6 *
PIETRANCOSTA, N, KESSLER, A.,FAVRE-BESSE, F.C ,TRIBALLEAU, N ,QUENTIN, T, GIROS, B, MESTIKAWY, S.E, ACHER, F.C: "Rose Bengal analogs and vesicular glutamate transporters (VGLUTs)",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vol. 18, no. 18, 15 September 2010 (2010-09-15), pages 6922 - 6933, XP027252794, ISSN: 0968-0896, DOI: 10.1016/j.bmc.2010.06.069 *
See also references of EP4067364A4 *
VICTORIA S. R. HARRISON , CHRISTIANE E. CARNEY , KEITH W. MACRENARIS ,THOMAS J. MEADE: "A multimeric MR-optical contrast agent for multimodal imaging", CHEMICAL COMMUNICATIONS, vol. 50, no. 78, 14 August 2014 (2014-08-14), pages 11469 - 11471, XP055808172, ISSN: 1359-7345, DOI: 10.1039/C4CC05651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67364A1 (en) 2022-10-05
US20220380386A1 (en) 2022-12-01
EP4067364A4 (en)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919915A1 (de) Aminoalkylmaleimide und davon abgeleitete hapten- und antigenderivate sowie konjugate mit peptiden oder proteinen
JP2017128572A (ja) 光撮像プローブ
CA2994178C (en) Nitroxide containing amyloid binding agents for imaging and therapeutic uses
EP0399409A2 (de) Fluorogene Verbindungen und ihre Verwendung
WO2021085875A1 (ko) 신규한 가돌리늄계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mri 조영제
KR102386595B1 (ko) 신규한 가돌리늄계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mri 조영제
EP4095142A1 (en) Novel gadolinium-based compou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mri contrast agent containing same
WO2014011005A1 (ko) 시아닌계 형광 프로브, 이를 이용한 아연 이온 검출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50052A1 (ko) 신규한 가돌리늄계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mri 조영제
US20150369812A1 (en) Flavonoid compounds of low toxicity for biological imaging applications
WO2001051095A2 (de) Paramagnetische dota-derivate, diese enthaltende pharmazeutische mittel,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für das nekrose- und infarkt-mr-imaging
WO2019182393A1 (ko) 신규한 구조를 갖는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항염증제 및 기질 금속 단백질분해효소-9 억제제
WO2021150049A1 (ko) 신규한 가돌리늄계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mri 조영제
EP0447013B1 (de) Fluorbenzolsulfonamide
JP2019528080A (ja) 組織サンプルにおける癌細胞を検出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EP3551637B1 (en) A compound for the detection of hno in biological systems
Vithanarachchi et al. Myelin‐targeted, texaphyrin‐based multimodal imaging agent for magnetic resonance and optical imaging
Kim et al. Rose bengal conjugated gadolinium complex as a new multimodal imaging agent targeting presynaptic vesicular glutamate transporters
KR20210068973A (ko) 신규한 가돌리늄계 화합물, 이를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mri 조영 조성물
DE2926895C2 (de) Selen- oder Tellurderivate von Gallensäuren und deren Salzen
KR102668430B1 (ko) 글루타티온 감응형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의학적 용도
WO2019182395A1 (ko) 신규한 구조를 갖는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항염증제 및 시클로옥시게나아제-2 억제제
CN106045986A (zh) 一种新型吩噻嗪衍生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23003409A1 (ko) 가돌리늄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mri 조영제
KR102515875B1 (ko) 신규한 가돌리늄계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mri 조영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812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812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