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75824A1 -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75824A1
WO2021075824A1 PCT/KR2020/013940 KR2020013940W WO2021075824A1 WO 2021075824 A1 WO2021075824 A1 WO 2021075824A1 KR 2020013940 W KR2020013940 W KR 2020013940W WO 2021075824 A1 WO2021075824 A1 WO 202107582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rbon monoxide
boiler
alarm
leak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394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영환
하성안
장정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2826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95203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켐
Priority to CN202080086784.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787563B/zh
Priority to US17/768,989 priority patent/US20240105044A1/en
Priority to EP20876035.5A priority patent/EP4047284A4/en
Publication of WO202107582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7582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F23N5/242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1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control
    • F24H15/12Preventing or detecting fluid leak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2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inp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3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output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to be controlled
    • F24H15/345Control of fans, e.g. on-off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3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output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to be controlled
    • F24H15/395Information to users, e.g. al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4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s
    • F24H15/414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s using electronic processing, e.g. computer-based
    • F24H15/45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s using electronic processing, e.g. computer-based remotely acc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F24H9/2042Preventing or detecting the return of combustion ga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7Details of data content structure of message packets; data protoco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70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900/05001Measuring CO content in flue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2Carbon mon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 F24F2221/183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combined with a hot-water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4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s
    • F24H15/414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s using electronic processing, e.g. computer-based
    • F24H15/421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s using electronic processing, e.g. computer-based using pre-stored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5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a hierarchy of available destinations, e.g. if hospital does not answer send to police st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bon monoxide emiss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carbon monoxide leak alarm device, and in more detail, by operating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 (IoT), carbon monoxide (CO) caused by damage to the boiler communication
  • IoT Internet of Thing
  • CO carbon monoxide
  • It relates to a carbon monoxide emiss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carbon monoxide leak alarm device that directly notifies a user of a CO leak.
  • a boiler burns fuels such as coal, kerosene, and diesel containing carbon components to control water and indoor temperature.
  • Boilers generate carbon monoxide (CO) in the process of burning fuel containing carbon components.
  • CO is a colorless, odorless, tasteless, non-irritating gas that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 a boiler communication system which is an exhaust pipe connected from the boiler to the outside, is formed in the boiler to discharge the generated CO to the outside.
  • CO When CO is leaked, it is a colorless, odorless, tasteless, and non-irritating gas, so it is difficult for a person to recognize the leakage of CO, and when a person inhales it, it binds with hemoglobin in red blood cells and prevents oxygen from being transported to each tissue. It is a dangerous gas that can take your life away.
  • CO is measured inside and around the boiler as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07826 [Boiler Combined Alarm System], and alarms when it exceeds a certain threshold.
  •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07826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07826 [Boiler Combined Alarm System], and alarms when it exceeds a certain threshold.
  • a variety of CO leak detection devices that generate a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 the conventional CO leak detection device generates a CO alarm when the reference tim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measured CO value is exceeded. Therefore, the conventional CO leak detection device generates an alarm only when the reference time according to the level is exceeded, so even if a sudden large amount of CO leakage due to the breakage of the communication, the alarm is generated only when the corresponding reference time is exceeded, so that the user may be in danger. There was a problem.
  • the conventional CO leak detection device since the conventional CO leak detection device is installed in a location separate from the space where the user liv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larm may not be heard even when the alarm goes off, and the alarm may not be recognized before being poisoned by CO while sleeping. If the alarm function of the leak detection device fails, there is a problem that it may be poisoned by CO as it is.
  • the conventional CO leak detection device generates an alarm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CO leakage or only shuts down the operation of the boiler, so in order to remove the CO that has already spread in the user's living space, the user has to open a window in the living space and directly ventilate it. There was a problem, which could endanger users who are confused by exposure to CO.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carbon monoxide (CO) leakage due to breakage of the boiler communication of the boiler, and to alarm through at least two of the carbon monoxide leakage alarm device, boiler controller, wall pad, etc.
  • the objective is to provide a carbon monoxide emiss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carbon monoxide leak alarm device that automatically performs ventilation and directly notifies the relevant organizations and users of the CO leakage.
  • a carbon monoxide emission system using a carbon monoxide leak alarm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urner and a boiler communication for discharging gas generated during combustion of the burner to the outside, and receiving carbon monoxide leakage notification information
  • a carbon monoxide leak alarm device for generating an alarm according to whether or not carbon monoxide is leaked due to departure from the boiler communication and transmitting the carbon monoxide leak notification information;
  • a ventilation system for ventilating the indoor air by circulating indoor air and outdoor air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external air ventilation control;
  • a wall pad for generating an alarm upon reception of the carbon monoxide leakage no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ing the carbon monoxide leakage notification information as a ventilation request signal, and performing a request for external air ventilation control to the ventilation system.
  • the boiler The boiler, the burner; The boiler communication; A boiler ventilator for discharging the gas present in the burner and the boiler communication to the outside by performing a post purge; A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perform a post purge by controlling the boiler ventilator in the post purge mode; And an output means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boil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 module, an input means and an alarm means for operating the boiler by a user, provided in each room of the room, and receiving carbon monoxide leakage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module.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n alarm through the alarm means.
  • the carbon monoxide leak alarm device includes a carbon monoxide measuring sensor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iler communication, and a carbon monoxide measuring unit measuring and outputting an amount of carbon monoxide leaking from the boiler through the carbon monoxide measuring sensor; A collision detection unit that is attached to the boiler communication and detects a collision and an impact applied to the communication, and outputs an impact intensity value according thereto; An alarm alarm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And determining whether carbon monoxide is leaked due to departure of the boiler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impact of the boiler through the collision detection unit and the amount of carbon monoxide input to the carbon monoxide measuring unit, and controlling the alarm alarm unit according to whether carbon monoxide is leaked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boiler communic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larm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 the alarm control unit may include a collision monitoring unit that monitors whether a collision is detected in the communication through the collision detection unit, and obtains and outputs an impact intensity value due to the collision when the collision is detected; A carbon monoxide monitoring unit that monitors whether carbon monoxide is detected through the carbon monoxide measurement unit, and obtains and outputs the amount of carbon monoxide when the carbon monoxide is detected; And a carbon monoxide leak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carbon monoxide is leaked due to separation and breakage of the boiler communication due to the impact intensity value and the amount of carbon monoxid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carbon monoxide leakage due to the separation and breakage of the boiler communication, the alarm unit generates an alarm.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 the carbon monoxide leak alarm device includes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of the boiler including a boiler ventilator for ventilating a combustion engine inside the boiler by post purge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boiler ventilator to execute a post purge mode.
  • the alarm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n interface unit, wherein, when it is determined that carbon monoxide is leaked due to separation and breakage of the boiler through the carbon monoxide leak determination unit, the boiler is post-purged by outputting a post purge request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through the connection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oiler leak processing unit to perform the purge mode.
  • the carbon monoxide leakage alarm device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wired/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by either wired or wireless, and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wall pad connected to a ventilation system through the wired/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alarm control unit comprise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arbon monoxide leakage is caused by the breakdown or breakage of the boiler communication through the carbon monoxide leak determination unit, the communication unit requests to generate an alarm according to the carbon monoxide leakage through the wall pad, and drives the ventilation system to air in the indoor space where the boiler is install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entilation leak processing unit for ventilating the air in the indoor space by outputting a ventilation request signal requesting to ventilate with external air.
  • the carbon monoxide leak alarm device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wired/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by either wired or wireless, and connected to a user mobile terminal of a pre-registered user who uses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wired/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 the alarm control unit transmits a carbon monoxide leak message to a user's mobile terminal of a user registered in advan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arbon monoxide leak is due to the breakdown and breakage of the boiler through the carbon monoxide leak determination unit, and the carbon monoxide leak messag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eak notification unit to cause the user mobile terminal to generate an alarm.
  • a carbon monoxide leak alarm device is u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but the carbon monoxide discharge method is:
  • the carbon monoxide leak alarm device detects the impact applied to the boiler communication of the boiler, and detects the amount of carbon monoxide generated by the boiler. It is measured, and determines whether carbon monoxide is leaked due to departure of the boiler communication by the impact intensity value and the amount of carbon monoxide when the impact of the boiler communication is detected, generates an alarm according to whether carbon monoxide is leaked due to the departure of the boiler communication, and notifies the carbon monoxide leakage.
  • Carbon monoxide leak alarm process to transmit information;
  • a post purge performing process in which a boiler recognizes the carbon monoxide leak notification information as a post purge request signal when receiving the carbon monoxide leak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performs a post purge;
  • a ventilation control request process in which an alarm is generated when the wall pad receives the carbon monoxide leak no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s the carbon monoxide leakage notification information as a ventilation request signal, and outputs an outdoor ventilation control request signal;
  • an indoor air ventilation process in which the ventilation system receives the external air ventilation control request signal and circulates indoor air and outdoor air to ventilate the indoor air.
  •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alarm through not only an alarm device but also a wall pad or a boiler controller installed in each room, so that the user can be more accurately informed of CO leakage.
  • the present invention stops the operation of the boiler when CO leakage is detected, and then operates in a post purge mode to discharge the gas inside the boiler, thereby minimizing the leakage of CO remaining inside the boiler into the user's indoor space. have.
  • post-spreading may not be performed when determining the communication breakage.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user's CO poisoning by driving the indoor ventilation system through the wall pad when detecting CO leakage to ventilate the air in the user's indoor space to the outside.
  • an alarm is generated by notifying a mobile terminal such as a user's smartphone, so that a user can be notified of a CO leak quickly.
  • the present invention notifies the relevant organizations when detecting CO leakage, so there is an effect that can quickly rescue users addicted to CO.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rbon monoxide emission system using a carbon monoxide leak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arbon monoxide leak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discharging carbon monox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a carbon monoxide leak alarm method of the carbon monoxide leak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notifying related organizations among the methods of discharging carbon monox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rbon monoxide emission system using a carbon monoxide leak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carbon monoxide emission system using a carbon monoxide leak alarm device includes a carbon monoxide (CO) leak alarm device 100 and a boiler 200, 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wall pad 300, ventilation A system 400, a user mobile terminal 500, and a related institution server 600 may be further included.
  • CO carbon monoxide
  • the CO leakage alarm device 100, the boiler 200, the wall pad 300, the user mobile terminal 500, and the related institution server 600 are connected to a wired 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1 by wired 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is performed.
  • the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1 is an Internet network including a Wi-Fi network and a local area network (LA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3 Generation (3G), 4G, 5G, etc. Any one or more of them may be a combined data communication network.
  • LAN local area network
  • 3G 3 Generation
  • 4G 4G
  • 5G 5th Generation
  • the CO leak alarm device 100 detects an impact applied to the boiler communication 201 of the boiler 200, measures the amount of carbon monoxide generated by the boiler 200, and measures the amount of carbon monoxide generated by the boiler 200. When the impact is detected, it is estimated whether the boiler communication 201 is separated by the impact intensity value and the measured amount of carbon monoxide, so that carbon monoxide is leaked or is leaked from another part (boiler internal connection part, etc.). That is, the CO leakage warning device 100 estimates whether the leakage is due to an impact or a natural aging and installation error.
  • the CO leakage alarm device 100 generates an alarm according to whether carbon monoxide is leaked due to the separation and damage of the boiler communication 201 when it is estimated that carbon monoxide is leaked due to the departure of the boiler communication 201 and notifies the carbon monoxide leakage.
  •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boiler 200, 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wall pad 300, the user mobile terminal 500, and the related institution server 600.
  • the CO leakage warning device 100 distinguishes between general CO leakage and CO leakage due to separation and breakage of the boiler communication 201, and notifying that CO leakage due to separation and damage of the boiler communication 201 is more dangerous. Hazards It would be desirable to have an alarm that is louder than that of a typical CO leak.
  • the boiler 200 includes a boiler body 210 and at least one controller 220 installed for each room of an indoor space in which the boiler 200 is installed.
  • the main body 210 includes a burner (not shown) for burning fuel, a boiler ventilation unit 212 performing pre-purge and post-purge for discharging gas generated before and after combustion in the burner through the boiler communication 201, and And a control module 21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oiler and controlling the boiler ventilation unit 212 to perform one of pre-purge and post-purge.
  • the control module 211 may be connected to the wired 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1 by either wired or wireless.
  • the boiler ventilation unit 212 will include a ventilator (not shown).
  • the controller 220 is installed for each room of the indoor space in which the boiler 200 is installed, and includes an output means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boil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 module, an input means for operating the boiler by a user, and an alarm means.
  • the carbon monoxide leak no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module 211 and an alarm is generated through the alarm means.
  • the wall pad 300 is connected to the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1 by either wired or wireless, and the control module 211 of the boiler 200, the CO leakage alarm device 100, the user's mobile terminal 500, and the related institution server It will be able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600.
  • the wall pad 300 is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system (Energy Recovery Ventilation: ERV) 400 to provide a user with operation means (not shown) and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ventilation system 4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all pad 300. It may include a display means (not shown) or the like to display.
  • ERV Expogy Recovery Ventilation
  • the wall pad 300 includes an alarm means (not shown) capable of generating an alarm by an alarm, flashing of the display means, etc., and an alarm through the alarm means upon reception of carbon monoxide leakage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O leakage alarm device 100 Is generated, and the ventilation system 400 is controlled to perform an operation of exchanging air in the indoor space in which the ventilation system 400 is configured with external air to ventilate the air in the indoor space.
  • an alarm means capable of generating an alarm by an alarm, flashing of the display means, etc., and an alarm through the alarm means upon reception of carbon monoxide leakage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O leakage alarm device 100 Is generated, and the ventilation system 400 is controlled to perform an operation of exchanging air in the indoor space in which the ventilation system 400 is configured with external air to ventilate the air in the indoor space.
  • Ventilation system 400 is a general ERV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o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 the user mobile terminal 500 is a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a smart pad that can access the wired/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1, and is a terminal such as a manager who lives in an indoor space where the boiler 200 is installed or manages the indoor space. I will be able to.
  • the user mobile terminal 500 receives the carbon monoxide leak no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 leak alarm device 100 through an application server (not shown) directly from the CO leak alarm device 100 or through an installed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Generates an alarm.
  • the alarm may be a sound such as an alarm or voice, may be a vibration, may be a flashing of a display means (not shown), and may be a sound, a vibration, and two or more flashes.
  • the carbon monoxide leak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push messag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pplication server, or short message service (SMS), long message service (LMS), and multimedia message service.
  • MMS mobile mobile communication message
  • MMS mobile communication message
  • the related organization server 600 is a server configured in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119 rescue teams and police stations, and generates an alarm upon reception of the carbon monoxide leakage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carbon monoxide leakage notification information.
  • the carbon monoxide leak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geographic location in which the boiler is installed.
  • FIG. 2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arbon monoxide leak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 leak alarm device 100 includes an alarm storage unit 110, a carbon monoxide measurement unit 150, a collision detection unit 160, an alarm alarm unit 170, and an alarm control unit 180.
  • a display unit 115, an input unit 120, a communication unit 130, and an interface unit 140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alarm storage unit 110 includes a program area for storing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 leakage alarm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mporary area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execution of the control program, and the control And a data area for semi-permanently storing at least one of data generated during program execution and data required to execute the control program.
  • the data area may store wall pad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r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organiz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for the wall pad 300.
  • the wall pad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network address information of the wall pad, phone number, etc.
  • the user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the phone number of the user mobile terminal 500
  • the related organization information is network address information, text message, etc. And a phone number capable of receiving data.
  • the display unit 115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CO leakage alarm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tons for operation, etc. on the screen in one or more of text, graphic, and the like.
  • the input unit 120 is a key input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for setting connection information for connection with the wall pad 300, a phone number of the user mobile terminal 500, and the like,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15. It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 touch pad that is integrally configured and outputs a posi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position.
  • the communication unit 130 includes a wired communication unit 131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by wired connection to a wired/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1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2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by wirelessly connecting to the wired/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1 Includes.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2 may be a wireles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reless LAN) device, and may be connected to a WiFi network of the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1 to perform wireless data communication.
  • Wired LAN wireles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 the interface unit 140 is a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ART) communication unit 141 and a control module of the boiler 200, which is connected to the wall pad 300 by wire as a communication means to perform serial data communication.
  • 211) includes a connection unit 142 directly connected to the wall pad 300 and the alarm control unit 180 to perform communication, and the control module 211 and the alarm control unit 180 can perform communication. To be there.
  • the carbon monoxide measurement unit 150 measures the amount of carbon monoxide through a carbon monoxide measurement sensor install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iler 200 and the boiler communication 201 and outputs it to the alarm controller 180.
  • the collision detection unit 160 includes a collision detection sensor connected to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boiler communication 201, detects whether a collision occurs in the boiler communication 201, and measures an impact intensity value according to the collision detection, and an alarm control unit Output as (180).
  •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may be an acceleration sensor or the like.
  • the alarm alarm unit 170 generates an alarm under the control of the alarm controller 180.
  • the alarm control unit 180 includes a collision monitoring unit 181, a carbon monoxide monitoring unit 182, a carbon monoxide leak determining unit 183, a boiler leak processing unit 184, a ventilation leak processing unit 185, and a leak notification unit 186.
  • a collision monitoring unit 181 a carbon monoxide monitoring unit 182
  • a carbon monoxide leak determining unit 183 a carbon monoxide leak determining unit 183
  • a boiler leak processing unit 184 a ventilation leak processing unit 185
  • a leak notification unit 186 a leak notification unit
  • the collision monitoring unit 181 monitors whether an impact intensity value is input through the collision detection unit 160, and outputs the impact intensity value to the carbon monoxide leak determination unit 183 when the impact intensity value is input.
  • the carbon monoxide monitoring unit 182 monitors whether the carbon monoxide amount value is input through the carbon monoxide measurement unit 150 to continuously monitor whether carbon monoxide is detected, and when the carbon monoxide amount value is input, the carbon monoxide leakage determination unit 183 outputs it.
  • the carbon monoxide leak determination unit 183 receives an impact intensity value input from the collision monitoring unit 181 and a carbon monoxide amount value from the carbon monoxide monitoring unit 182, and the boiler communication 201 according to the impact intensity value and the carbon monoxide amount value. Determine whether it is deviated or damaged. For example, when the carbon monoxide leakage determination unit 183 has an impact intensity of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intensity, and the carbon monoxide value exceeds the first reference carbon monoxide value, the boiler communication 201 is deviated by 10% due to the shock, or an area of X% is damaged.
  • the boiler pipe 201 is departed by 20%. Or it can be judged as damage (hole occurrence) of Y% area.
  • the first reference strength, the first reference carbon monoxide amount value, the second reference carbon monoxide amount value, and the like may be determined by experiment.
  • the carbon monoxide leak determination unit 183 may determine that the boiler communication 201 is deviated due to a boiler communication connection defect or the like. Even in this case, the carbon monoxide leak determination unit 183 will process the same as when the boiler communication 201 is separated or damaged due to an impact.
  • the carbon monoxide leak determination unit 183 generates an alarm through the alarm alarm unit 17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oiler communication 201 is separated or damaged, and carbon monoxide is leaking.
  • the boiler leak processing unit 185 controls the boiler 20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4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oiler communication 201 is separated or damaged by the carbon monoxide leakage determination unit 183 and thus carbon monoxide is leaking. It is transmitted to the module 211.
  • the control module 211 of the boiler 200 having received the carbon monoxide leak no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s the carbon monoxide leak notification information as a post purge request signal, and controls the boiler ventilator 212 to perform post purge.
  • the ventilation leak processing unit 185 transmits the carbon monoxide leakag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wall pad 300 through the UART communication unit 141. Transfer to.
  • the wall pad 300 generates an alarm through an alarm means and controls the ventilation system 400 to ventilate the air in the indoor space in which the boiler 200 is installed with external air.
  • the leak notification unit 186 transmits the carbon monoxide leakag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alarm storage unit 110. It transmits to one or more of the user mobile terminal 500 and the related institution server 600.
  • the carbon monoxide leak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date, time, whether or not the boiler communication is damaged, and a carbon monoxide amount value, as described above.
  • the user mobile terminal 500 and the related institution server 600 Upon receiving the carbon monoxide leakage notification information, the user mobile terminal 500 and the related institution server 600 will generate an alarm and display the carbon monoxide leakage no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means (not shown).
  • FIG. 3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discharging carbon monox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alarm controller 180 of the carbon monoxide leak alarm device 100 monitors whether carbon monoxide leakage due to separation and breakage of the boiler communication 201 is detected (S111).
  • the alarm controller 180 transmits the carbon monoxide leak notification information as a post purge request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211 of the boiler 200, and as a ventilation request signal. It is transmitted to the wall pad 300 (S113, S115).
  • the control module 211 of the boiler 200 generates an alarm notifying that carbon monoxide leakage has occurred when a boiler ventil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at is, when carbon monoxide leakag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an alarm generating means (not shown) of the boiler itself or a controller installed in each room. An alarm is generated through (220) (S115).
  • control module 211 controls the boiler ventilation unit 212 to perform post purge, and the burner (not shown), pipe (not shown) and the boiler communication 201 of the boiler 200 The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117).
  • the wall pad 300 generates a carbon monoxide leak alarm through an alarm means (not shown) (S121), and controls the ventilation system 400 to perform an external ventilation mode (S123).
  • the alarm controller 180 of the carbon monoxide leak alarm device 100 may transmit the carbon monoxide leak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related institution server 600 and the user mobile terminal 500 (S125, S127).
  • the related institution server 200 receives the carbon monoxide leakage notification information, the related institution server 200 generates an alarm to the relevant department of the related institution and displays the carbon monoxide leakage notification information (S127).
  • the user mobile terminal 500 receiving the carbon monoxide leak notification information will also generate an alarm (S131).
  • the user mobile terminal 500 may also be configured to display carbon monoxide leak notification information.
  • FIG. 4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alarming a carbon monoxide leak in a carbon monoxide leak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carbon monoxide leak due to breakage of an exhaust port in a carbon monoxide leak alarm device.
  • the alarm controller 180 monitors whether a collision is detected through the collision detection unit 160 (S211).
  • the alarm controller 180 may check whether the boiler is driven through the control module 211 of the boiler 200 (S213).
  • the alarm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boiler is running (S215), and if the boiler is not running, sets a collision occurrence flag indicating that a collision has occurred (S217).
  • the alarm controller 180 measures the amount of carbon monoxide through the carbon monoxide measurement unit 150 (S219).
  • the alarm controller 180 checks whether the measured amount of carbon monoxide exceeds the reference amount of carbon monoxide (S221).
  • the alarm controller 180 measures the amount of carbon monoxide through the carbon monoxide measurement unit 150 (S225).
  • the alarm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d carbon monoxid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amount of carbon monoxide (S227).
  • the alarm controller 180 examines the collision occurrence flag and determines whether a collision has occurred before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based on whether the collision occurrence flag is set to three (S229). ).
  • the alarm control unit 180 estimates that carbon monoxide leaks due to damage to the boiler communication (S231).
  • the alarm controller 180 estimates that the boiler communication 201 is naturally damaged or carbon monoxide leaks due to an installation error (S233).
  • FIG. 5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notifying related organizations among carbon monoxide emission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a carbon monoxide leak alarm device 100, a control module 211, a wall pad 300, and a user mobile terminal 500
  • This is a flow chart that can be performed in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escription is limited to the case performed by the user mobile terminal 500.
  • the user mobile terminal 500 checks whether an alarm event occurs due to reception of the carbon monoxide leak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arbon monoxide leak alarm device 100 (S311).
  • the user mobile terminal 500 When an alarm event occurs, the user mobile terminal 500 generates an alarm (S313).
  • the user mobile terminal 500 counts the agency notification time (S315), and checks whether the counted agency notification time exceeds a preset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S317), and whether the alarm is released befor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Do (S319).
  • the process is terminated, and if the alarm is not released until the agency notification time exceeds the reference time, the carbon monoxide leak is notified to the pre-set related agency server 600.
  •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S321).
  • CO leak alarm device 110 alarm storage unit
  • UART communication unit 142 connection unit
  • alarm alarm unit 180 alarm control unit
  • boiler body 211 control module
  • boiler ventilation 220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 IoT) 기반으로 동작하여, 보일러 연통의 파손에 의한 일산화탄소(Carbon monoxide: CO)의 누출을 검출하고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 보일러 제어기, 월패드(Wall Pad) 등 중 둘 이상을 통해 경보하고, 누출 결정 시 보일러 환기, 실내 공기 환기를 자동 수행하고, CO 누출에 대한 해당 유관기관 및 사용자에게 CO 누출을 직접 통지하는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 IoT) 기반으로 동작하여, 보일러 연통의 파손에 의한 일산화탄소(Carbon monoxide: CO)의 누출을 검출하여,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 보일러 제어기, 월패드(Wall Pad) 등 중 둘 이상을 통해 경보하고, 누출 결정 시 보일러 환기, 실내 공기 환기를 자동 수행하고, CO 누출에 대한 해당 유관기관 및 사용자에게 CO 누출을 직접 통지하는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탄소성분이 함유된 석탄, 등유, 경유 등과 같은 연료를 연소시켜 물 및 실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보일러는 탄소성분이 함유된 연료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일산화탄소(CO)를 발생시킨다. CO는 무색, 무취, 무미, 비자극성의 가스로, 사람의 인체에 해로운 가스이다.
따라서 보일러에는 발생되는 CO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보일러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배기관인 보일러 연통이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보일러 연통이 실내에서 파손되거나, 연결을 잘못한 경우, 배기관 연결 틈 및 파손된 틈으로 CO가 누출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CO는 누출되는 경우 무색, 무취, 무미, 비자극성의 가스이므로 사람이 CO의 누출을 인식하기 어렵고, 이를 사람이 흡입하는 경우 적혈구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가 각 조직으로 운반될 수 없도록 하므로 저산소증에 의해 생명을 빼앗아갈 수 있는 위험한 가스이다.
실제로, 보일러 연통의 잘못된 연결 및 노후화로 CO가 누출되어 다수의 사상자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보일러에서의 CO 누출을 감지 및 차단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7826호 [보일러 복합식 경보 시스템] 등과 같이 보일러 내부 및 보일러 주위에 CO를 측정하고, 일정 기준치를 초과하면 경보를 발생하는 다양한 CO 누출 감지장치들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통상 종래 CO 누출 감지장치는 측정되는 CO 값의 레벨에 따른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CO 경보를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 CO 누출 감지장치는 레벨에 따른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경보를 발생하므로 연통의 파손 등에 의한 갑작스러운 대량의 CO 누출에도 해당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야만 경보를 발생하므로 사용자가 위험에 놓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CO 누출 감지장치는 사용자가 생활하는 공간과는 구분되는 위치에 설치되므로 알람이 울려도 듣지 못할 수 있으며, 잠을 자는 동안에는 CO에 중독되기 전에 알람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CO 누출 감지장치의 알람 기능이 고장 난 경우에는 그대로 CO에 중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CO 누출 감지장치의 알람을 듣고 보일러의 구동을 종료하거나 CO 누출 감지장치에 의해 보일러의 구동이 자동 종료된 후에도 보일러 내에 CO가 남아 보일러 내부의 CO가 사용자의 생활공간으로 누출될 수 있으므로 여전히 사용자에게 위해를 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CO 누출 감지장치는 CO의 누출 감지에 따른 경보를 발생하거나 보일러의 구동만을 종료하므로 이미 사용자의 생활공간에 퍼진 CO를 없애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생활공간 내의 창문을 개방하여 직접 환기를 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는 CO에 노출되어 정신이 혼미한 사용자를 지속해서 위험하게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일러의 보일러 연통의 파손에 의한 일산화탄소(CO)의 누출을 검출하여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 보일러 제어기, 월패드 등 중 둘 이상을 통해 경보하고, 누출 결정 시 보일러 환기, 실내 공기 환기를 자동 수행하고, CO 누출에 대한 해당 유관기관 및 사용자에게 CO 누출을 직접 통지하는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시스템은: 버너 및 상기 버너의 연소 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보일러 연통을 포함하고,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정보의 수신 시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정보를 포스트 퍼지 요청 신호로 인지하여 포스트 퍼지를 수행하는 보일러; 상기 보일러 연통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상기 보일러에 의해 발생되는 일산화탄소량을 측정하며, 상기 보일러 연통의 충격 감지 시 충격 세기값 및 일산화탄소량에 의해 상기 보일러 연통 이탈에 의한 일산화탄소 유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보일러 연통 이탈에 의한 일산화탄소 유출 여부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정보를 전송하는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 외기 환기 제어 요청을 받아 실내의 공기와 외기를 순환시켜 상기 실내의 공기를 환기하는 환기시스템; 및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정보의 수신 시 경보를 발생하고,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정보를 환기 요청 신호로 인지하여 상기 환기시스템으로 외기 환기 제어 요청을 수행하는 월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일러는, 상기 버너; 상기 보일러 연통; 포스트 퍼지를 수행하여 상기 버너 및 보일러 연통에 존재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보일러 환기부; 상기 포스트 퍼지 모드에서 상기 보일러 환기부를 제어하여 포스트 퍼지를 수행시키는 제어모듈; 및 상기 실내의 각 방마다 구비되어 제어모듈의 동작상태에 따른 보일러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수단, 사용자의 보일러 조작을 위한 입력수단 및 경보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경보수단을 통해 경보를 발생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는, 상기 보일러 연통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일산화탄소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일산화탄소 측정센서를 통해 상기 보일러에서 누출되는 일산화탄소량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일산화탄소 측정부; 상기 보일러 연통에 부착되어 연통에 가해지는 충돌 및 충격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충격 세기값을 출력하는 충돌 감지부; 알람을 발생하는 경보기 알람부; 및 상기 충돌 감지부를 통한 상기 보일러의 연통 충격 및 일산화탄소 측정부로 입력되는 일산화탄소량에 의해 상기 보일러 연통 이탈에 의한 일산화탄소 유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보일러 연통 이탈에 의한 일산화탄소 유출 여부에 따라 상기 경보기 알람부를 제어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경보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보기 제어부는, 상기 충돌 감지부를 통해 연통에 충돌이 감지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충돌 감지 시 충돌에 의한 충격 세기값을 획득하여 출력하는 충돌 모니터링부; 상기 일산화탄소 측정부를 통해 일산화탄소의 검출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일산화탄소의 검출 시 일산화탄소량을 획득하여 출력하는 일산화탄소 모니터링부; 및 상기 충격 세기값 및 일산화탄소량에 의한 보일러 연통 이탈 및 파손에 의한 일산화탄소 유출인지를 판단하고, 보일러 연통 이탈 및 파손에 의한 일산화탄소 유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경보기 알람부를 통해 알람을 발생시키는 일산화탄소 누출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는, 포스트 퍼지에 의한 보일러 내부의 연소기관을 환기하는 보일러 환기부 및 상기 보일러 환기부를 제어하여 포스트 퍼지 모드를 실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보일러의 상기 제어모듈에 연결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경보기 제어부는,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판단부를 통해 보일러 연통 이탈 및 파손에 의한 일산화탄소 유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 포스트 퍼지 요청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보일러가 포스트 퍼지 모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보일러 누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에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고,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환기시스템과 연결되는 월패드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경보기 제어부는,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판단부를 통해 보일러 연통 이탈 및 파손에 의한 일산화탄소 유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월패드로 일산화탄소 누출에 따른 경보를 발생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환기시스템을 구동하여 상기 보일러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공기를 외부 공기로 환기할 것을 요청하는 환기 요청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공기를 환기하는 환기 누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에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고,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상기 실내 공간을 이용하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사용자 모바일단말기와 연결되어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경보기 제어부는,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판단부를 통해 보일러 연통 이탈 및 파손에 의한 일산화탄소 유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사용자 모바일단말기로 일산화탄소 유출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일산화탄소 유출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모바일단말기가 경보를 발생하도록 하는 누출 통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하나 일산화탄소 배출방법은: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가 보일러의 보일러 연통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상기 보일러에 의해 발생되는 일산화탄소량을 측정하며, 상기 보일러 연통의 충격 감지 시 충격 세기값 및 일산화탄소량에 의해 상기 보일러 연통 이탈에 의한 일산화탄소 유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보일러 연통 이탈에 의한 일산화탄소 유출 여부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정보를 전송하는 일산화탄소 누출 경보 과정; 보일러가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정보의 수신 시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정보를 포스트 퍼지 요청 신호로 인지하여 포스트 퍼지를 수행하는 포스트 퍼지 수행 과정; 월패드가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정보의 수신 시 경보를 발생하고,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정보를 환기 요청 신호로 인지하여 외기 환기 제어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환기 제어 요청 과정; 및 환기시스템이 외기 환기 제어 요청 신호를 수신받아 실내의 공기와 외기를 순환시켜 상기 실내의 공기를 환기하는 실내공기 환기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일러 연통의 파손 여부에 의한 CO 누출 여부를 판단하므로 연통 파손 판단 시 빠르게 경보를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중독되기 전에 좀 더 빠르게 CO 누출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보장치뿐만 아니라 각 방에 설치되는 월패드 또는 보일러 제어기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하게 CO의 누출을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O 누출 감지 시 보일러의 동작을 정지시킨 후 포스트 퍼지 모드로 동작시켜 보일러 내부의 가스를 배출시키므로 보일러 내부에 남아 있는 CO가 사용자의 실내 공간으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 연통의 파손 판단 시 포스트 퍼지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CO 누출 감지 시 월패드를 통해 실내의 환기시스템을 구동하여 사용자의 실내 공간의 공기를 외기로 환기시키므로 사용자의 CO 중독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O 누출 감지 시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단말기로 통지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므로 사용자에게 CO 누출을 빠르게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O 누출 감지 시 유관기관으로 통지하므로 CO에 중독된 사용자를 빠르게 구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배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의 일산화탄소 누출 경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배출방법 중 유관기관 통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 및 일산화탄소 배출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장치에서의 일산화탄소 누출 경보방법 및 일산화탄소 배출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시스템은 일산화탄소(CO) 누출경보장치(100) 및 보일러(20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월패드(300), 환기시스템(400), 사용자 모바일단말기(500) 및 유관기관 서버(60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CO 누출경보장치(100), 보일러(200), 월패드(300), 사용자 모바일단말기(500) 및 유관기관 서버(600)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에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은 와이파이(WiFi)망 및 근거리무선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을 포함하는 인터넷망, 3세대(3 Generation: 3G), 4G, 5G 등의 이동통신망, 와이브로망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된 데이터통신망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CO 누출경보장치(100)는 상기 보일러(200)의 보일러 연통(201)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상기 보일러(200)에 의해 발생되는 일산화탄소량을 측정하며, 상기 보일러 연통(201)의 충격 감지 시 충격 세기값 및 측정되는 일산화탄소량에 의해 상기 보일러 연통(201)이 이탈되어 일산화탄소가 유출되는지 다른 부분(보일러 내부 연결부분 등)에서 유출되는 것인지를 추정한다. 즉 CO 누출경보장치(100)는 충격에 의한 유출인지 자연적인 노후화 및 설치 오류에 의한 유출인지를 추정한다.
상기 CO 누출경보장치(100)는 보일러 연통(201)의 이탈에 의한 일산화탄소가 유출되는 것으로 추정되면 상기 보일러 연통(201)의 이탈 및 파손에 의한 일산화탄소 유출 여부에 따른 알람을 발생시키고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 정보를 보일러(200)로 전송하고, 실시예에 따라 월패드(300), 사용자 모바일단말기(500) 및 유관기관 서버(600)로 전송한다.
상기 CO 누출경보장치(100)는 일반적인 CO 누출과 보일러 연통(201)의 이탈 및 파손에 의한 CO 누출을 구분하고, 보일러 연통(201)의 이탈 및 파손에 의한 CO 누출이 더 위험함을 통지하기 위해 일반적인 CO 누출 시의 알람보다 더 큰 알람을 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보일러(200)는 보일러 본체(210) 및 보일러(200)가 설치되는 실내 공간의 방마다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기(220)를 포함한다.
본체(210)는 연료를 연소하는 버너(미도시), 버너에서 연소 전 및 연소 후 발생되는 가스를 보일러 연통(201)을 통해 배출하는 프리 퍼지 및 포스트 퍼지를 수행하는 보일러 환기부(212) 및 상기 보일러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보일러 환기부(212)를 제어하여 프리 퍼지 및 포스트 퍼지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211)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모듈(211)은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보일러 환기부(212)는 배풍기(미도시)를 포함할 것이다.
상기 제어기(220)는 보일러(200)가 설치되는 실내 공간의 방마다 설치되고, 제어모듈의 동작 상태에 따른 보일러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수단, 사용자의 보일러 조작을 위한 입력수단 및 경보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제어모듈(211)로부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경보수단을 통해 경보를 발생한다.
월패드(300)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에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어 보일러(200)의 제어모듈(211), CO 누출경보장치(100), 사용자 모바일단말기(500) 및 유관기관 서버(60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월패드(300)는 환기시스템(Energy Recovery Ventilation: ERV)(400)과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조작수단(미도시) 및 월패드(300)의 동작에 따른 환기시스템(400)의 동작 상태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수단(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월패드(300)는 알람, 표시수단의 점멸 등에 의해 경보를 발생할 수 있는 경보수단(미도시)을 포함하고, CO 누출경보장치(100)로부터의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 정보의 수신 시 경보수단을 통해 경보를 발생하며, 환기시스템(400)을 제어하여 상기 환기시스템(400)이 구성된 실내 공간의 공기를 외부의 공기와 교환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실내 공간의 공기를 환기한다.
환기시스템(400)은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일반적인 ERV이므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사용자 모바일단말기(500)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에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단말기로 상기 보일러(200)가 설치되는 실내 공간에 거주하거나 상기 실내 공간을 관리하는 관리자 등의 단말기일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모바일단말기(500)는 본 발명에 따라 CO 누출경보장치(100)로부터 직접 또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어플리케이션 서버(미도시)를 통해 CO 누출경보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 정보를 수신하고, 경보를 발생한다. 상기 경보는 알람, 음성 등의 소리일 수도 있고, 진동일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수단(미도시)의 점멸일 수도 있고, 소리, 진동 및 점멸 둘 이상일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 정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종류에 따라 푸시 메시지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고, 단문메시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장문메시지서비스(Log Message Service: LMS), 멀티미디어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메시지 등의 이동통신메시지 등으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상기 푸시 메시지 및 이동통신메시지로 전송되는 경우 푸시 메시지 및 이동통신메시지를 발송한 발송자 정보에 의해 경보를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유관기관 서버(600)는 119 구조대, 경찰서 등의 유관기관에 구성되는 서버로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 정보의 수신 시 경보를 발생하고,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통지정보에는 상기 보일러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CO 누출경보장치(100)는 경보기 저장부(110), 일산화탄소 측정부(150), 충돌 감지부(160), 경보기 알람부(170) 및 경보기 제어부(18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5), 입력부(120), 통신부(130) 및 인터페이스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경보기 저장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CO 누출경보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및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월패드(300)에 대한 월패드 식별정보, 사용자 모바일단말기 식별정보, 유관기관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월패드 식별정보는 월패드의 네트워크 주소정보, 전화번호 등 될 수 있고, 사용자 모바일단말기 식별정보는 사용자 모바일단말기(500)의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으며, 유관기관 정보는 네트워크 주소정보, 문자 및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15)는 본 발명에 따른 CO 누출경보장치(100)의 동작상태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 조작을 위한 버튼 등을 텍스트, 그래픽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화면에 표시한다.
입력부(120)는 월패드(300)와 연결하기 위한 접속정보, 사용자 모바일단말기(500)의 전화번호 등을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키들을 구비하는 키입력장치, 상기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에 일체로 구성되어 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터치패드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통신부(130)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에 유선으로 접속하여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유선통신부(131) 및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32)는 무선 근거리무선통신(Wireless LAN)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의 와이파이(WiFi)망에 연결되어 무선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인터페이스부(140)는 통신수단으로 월패드(3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직렬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범용비동기송수신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ART) 통신부(141) 및 보일러(200)의 제어모듈(211)에 직접 연결되는 접속부(142)를 포함하여 월패드(300)와 경보기 제어부(180) 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제어모듈(211)과 경보기 제어부(180)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일산화탄소 측정부(150)는 보일러(200) 및 보일러 연통(201)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설치되는 일산화탄소 측정 센서를 통해 일산화탄소량을 측정하여 경보기 제어부(180)로 출력한다.
충돌 감지부(160)는 보일러 연통(201)의 임의 위치에 연결되는 충돌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보일러 연통(201)에 충돌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충돌 감지에 따른 충격 세기값을 측정하여 경보기 제어부(180)로 출력한다. 상기 충돌 감지 센서는 가속도 센서 등이 도리 수 있을 것이다.
경보기 알람부(170)는 경보기 제어부(180)의 제어를 받아 알람을 발생한다.
경보기 제어부(180)는 충돌 모니터링부(181), 일산화탄소 모니터링부(182), 일산화탄소 누출 판단부(183), 보일러 누출 처리부(184), 환기 누출 처리부(185) 및 누출 통지부(186)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CO 누출경보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충돌 모니터링부(181)는 충돌 감지부(160)를 통해 충격 세기값이 입력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충격 세기값이 입력되면 일산화탄소 누출 판단부(183)로 출력한다.
일산화탄소 모니터링부(182)는 일산화탄소 측정부(150)를 통해 일산화탄소량값이 입력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일산화탄소의 검출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일산화탄소량값이 입력되면 일산화탄소 누출 판단부(183)로 출력한다.
일산화탄소 누출 판단부(183)는 상기 충돌 모니터링부(181)로부터 입력되는 충격 세기값 및 일산화탄소 모니터링부(182)로부터 일산화탄소량값을 입력받고, 상기 충격 세기값 및 일산화탄소량값에 따른 보일러 연통(201)의 이탈 및 파손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일산화탄소 누출 판단부(183)는 충격 세기가 제1기준 세기 이상이고, 일산화탄소량값이 제1기준 일산화탄소량값을 초과하면 충격에 의한 보일러 연통(201) 10% 이탈 또는 면적 X%의 파손 발생 등으로 판단할 수 있고, 충격 세기값이 제1기준세기를 초과하고 일산화탄소량값이 제2기준 일산화탄소량값(제2기준 일산화탄소량값>제1기준 일산화탄소량값)을 초과하면 보일러 연통(201) 20% 이탈 또는 면적 Y%의 파손(홀 발생) 등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기준 세기, 및 제1기준 일산화탄소량값, 제2기준 일산화탄소량값 등은 실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충격이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충격 세기가 제1기준 세기 이상이면 일산화탄소 누출 판단부(183)는 보일러 연통 연결 결함 등에 의한 보일러 연통(201) 이탈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도 일산화탄소 누출 판단부(183)는 충격에 의한 보일러 연통(201) 이탈 및 파손 시와 동일하게 처리할 것이다.
일산화탄소 누출 판단부(183)는 보일러 연통(201)이 이탈 및 파손되고, 일산화탄소가 누출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기 알람부(170)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킨다.
보일러 누출 처리부(185)는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판단부(183)에서 보일러 연통(201)이 이탈 및 파손되어 일산화탄소가 누출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 정보를 접속부(142)를 통해 보일러(200)의 제어모듈(211)로 전송한다.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 정보를 수신한 보일러(200)의 제어모듈(211)은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 정보를 포스트 퍼지 요청 신호로 인지하여 보일러 환기부(212)를 제어하여 포스트 퍼지를 수행할 것이다.
환기 누출 처리부(185)는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판단부(183)에서 보일러 연통(201)이 이탈 및 파손되어 일산화탄소가 누출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 정보를 UART 통신부(141)를 통해 월패드(3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월패드(300)는 경보수단을 통해 경보를 발생하고 환기시스템(400)을 제어하여 상기 보일러(200)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공기를 외부공기로 환기시킬 것이다.
누출 통지부(186)는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판단부(183)에서 보일러 연통(201)이 이탈 및 파손되어 일산화탄소가 누출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 정보를 경보기 저장부(110)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사용자 모바일단말기(500) 및 유관기관 서버(60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한다.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일러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 날짜, 시간, 보일러 연통 파손 여부 및 일산화탄소량값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모바일단말기(500) 및 유관기관 서버(600)는 경보를 발생하고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미도시)을 통해 표시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배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100)의 경보기 제어부(180)는 보일러 연통(201) 이탈 및 파손에 의한 일산화탄소 누출이 감지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111).
보일러 연통(201)의 이탈 및 파손에 의한 일산화탄소 누출이 감지되면 경보기 제어부(180)는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 정보를 포스트 퍼지 요청 신호로써 보일러(200)의 제어모듈(211)로 전송하고, 환기 요청 신호로써 월패드(300)로 전송한다(S113, S115).
보일러(200)의 제어모듈(211)은 보일러 환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즉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 정보가 수신되면 일산화탄소 누출이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경보를 보일러 자체의 경보 발생수단(미도시) 또는 방마다 설치되는 제어기(220)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킨다(S115).
경보를 발생시킨 후 제어모듈(211)은 보일러 환기부(212)를 제어하여 포스트 퍼지를 수행하여 보일러(200)의 버너(미도시), 배관(미도시) 및 보일러 연통(201)에 존재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킨다(S117).
반면, 월패드(300)는 경보수단(미도시)을 통해 일산화탄소 누출 경보를 발생하고(S121), 환기시스템(400)을 제어하여 외부환기모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S123).
또한, 실시예에 따라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100)의 경보기 제어부(180)는 유관기관 서버((600) 및 사용자 모바일단말기(500)로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S125, S127).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 정보를 수신한 유관기관 서버(200)는 유관기관의 해당 부서에 경보를 발생시키고,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 정보를 표시할 것이다(S127).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모바일단말기(500) 또한 경보를 발생시킬 것이다(S131). 사용자 모바일단말기(500) 또한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의 일산화탄소 누출 경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에서의 배기구 파손에 의한 일산화탄소 누출 결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경보기 제어부(180)는 충돌 감지부(160)를 통해 충돌이 감지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211).
충돌이 감지되면 경보기 제어부(180)는 보일러(200)의 제어모듈(211)을 통해 보일러의 구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S213).
보일러의 구동 여부 확인 후 경보기 제어부(180)는 보일러가 구동 중인지를 판단하고(S215), 보일러가 구동 중이지 않으면 충돌 발생이 있었음을 알리는 충돌 발생 플래그를 설정한다(S217).
반면, 보일러가 구동 중이라면 경보기 제어부(180)는 일산화탄소 측정부(150)를 통해 일산화탄소량을 측정한다(S219).
일산화탄소량이 측정되면 경보기 제어부(180)는 측정 일산화탄소량이 기준 일산화탄소량을 초과하는지를 검사한다(S221).
상기 측정 일산화탄소량이 기준 일산화탄소량을 초과하는 경우 보일러 연통(201)의 파손에 의한 일산화탄소 누출을 결정한다.
상기 설명에서는 보일러 연통(201)의 파손 여부 및 하나의 일산화탄소량 기준치에 의해서만 보일러 연통(201)의 파손 여부에 의한 일산화탄소 누출 여부를 판단하였으나, 충돌 세기값 및 일산화탄소량값을 서로 다른 기준 충돌 세기값 및 일산화탄소량값을 가지는 다수의 기준 레벨들과 비교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보일러 연통의 일탈 정도 및 파손 정도를 세밀하게 추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반면, 보일러 연통(201)에서 충돌이 감지되지 않으면 경보기 제어부(180)는 일산화탄소 측정부(150)를 통해 일산화탄소량을 측정한다(S225).
상기 일산화탄소량의 측정 후 경보기 제어부(180)는 측정 일산화탄소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일산화탄소량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227).
측정 일산화탄소량이 기준 일산화탄소량 이상이면 경보기 제어부(180)는 상기 충돌 발생 플래그를 조사하여 상기 충돌 발생 플래그가 셋으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일정 기준 시간 이전에 충돌이 발생한 적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229).
일정 시간 이내에 충돌이 발생한 적이 있으면 경보기 제어부(180)는 보일러 연통 파손에 의한 일산화탄소 누출로 추정한다(S231).
그러나 일정 시간 이내에 충돌이 발생한 적이 없으면 경보기 제어부(180)는 보일러 연통(201) 자연 파손 또는 설치 오류에 의한 일산화탄소 누출로 추정한다(S23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배출방법 중 유관기관 통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100), 제어모듈(211), 월패드(300) 및 사용자 모바일단말기(5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수행될 수 있는 흐름도이다. 그러나 이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 모바일단말기(500)에서 수행되는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모바일단말기(500)는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100)로부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 정보의 수신에 의한 경보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311).
경보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용자 모바일단말기(500)는 경보를 발생한다(S313).
경보 발생 후 사용자 모바일단말기(500)는 기관통지시간을 카운트하고(S315), 카운트되는 기관통지시간이 미리 설정된 일정 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S317), 상기 일정 기준시간 이전에 경보가 해제되는지를 검사한다(S319).
상기 기관통지시간이 상기 기준시간을 초과하기 전에 경보가 해제되면 과정을 종료하고, 기관통지시간이 상기 기준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경보가 해제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유관기관 서버(600)로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 정보를 전송한다(S321).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부호의 설명]
100: CO 누출 경보장치 110: 경보기 저장부
115: 디스플레이부 120: 입력부
130: 통신부 131: 유선통신부
132: 무선통신부 140: 인터페이스부
141: UART 통신부 142: 접속부
150: 일산화탄소 측정부 160: 충돌감지부
170: 경보기 알람부 180: 경보기 제어부
181: 충돌 모니터링부 182: 일산화탄소 모니터링부
183: 일산화탄소 누출 판단부 184: 보일러 누출 처리부
185: 환기 누출 처리부 186: 누출 통지부
200: 보일러 201: 보일러 연통
210: 보일러 본체 211: 제어모듈
212: 보일러 환기부 220: 제어기
300: 월패드 400: 환기시스템
500: 사용자 모바일단말기

Claims (8)

  1. 버너 및 상기 버너의 연소 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보일러 연통을 포함하고,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정보의 수신 시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정보를 포스트 퍼지 요청 신호로 인지하여 포스트 퍼지를 수행하는 보일러;
    상기 보일러 연통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상기 보일러에 의해 발생되는 일산화탄소량을 측정하며, 상기 보일러 연통의 충격 감지 시 충격 세기값 및 일산화탄소량에 의해 상기 보일러 연통 이탈에 의한 일산화탄소 유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보일러 연통 이탈에 의한 일산화탄소 유출 여부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정보를 전송하는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
    외기 환기 제어 요청을 받아 실내의 공기와 외기를 순환시켜 상기 실내의 공기를 환기하는 환기시스템; 및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정보의 수신 시 경보를 발생하고,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정보를 환기 요청 신호로 인지하여 상기 환기시스템으로 외기 환기 제어 요청을 수행하는 월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는,
    상기 버너;
    상기 보일러 연통;
    포스트 퍼지를 수행하여 상기 버너 및 보일러 연통에 존재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보일러 환기부;
    상기 포스트 퍼지 모드에서 상기 보일러 환기부를 제어하여 포스트 퍼지를 수행시키는 제어모듈; 및
    상기 실내의 각 방마다 구비되어 제어모듈의 동작상태에 따른 보일러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수단, 사용자의 보일러 조작을 위한 입력수단 및 경보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경보수단을 통해 경보를 발생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는,
    상기 보일러 연통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일산화탄소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일산화탄소 측정센서를 통해 상기 보일러에서 누출되는 일산화탄소량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일산화탄소 측정부;
    상기 보일러 연통에 부착되어 연통에 가해지는 충돌 및 충격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충격 세기값을 출력하는 충돌 감지부;
    알람을 발생하는 경보기 알람부; 및
    상기 충돌 감지부를 통한 상기 보일러의 연통 충격 및 일산화탄소 측정부로 입력되는 일산화탄소량에 의해 상기 보일러 연통 이탈에 의한 일산화탄소 유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보일러 연통 이탈에 의한 일산화탄소 유출 여부에 따라 상기 경보기 알람부를 제어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경보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기 제어부는,
    상기 충돌 감지부를 통해 연통에 충돌이 감지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충돌 감지 시 충돌에 의한 충격 세기값을 획득하여 출력하는 충돌 모니터링부;
    상기 일산화탄소 측정부를 통해 일산화탄소의 검출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일산화탄소의 검출 시 일산화탄소량을 획득하여 출력하는 일산화탄소 모니터링부; 및
    상기 충격 세기값 및 일산화탄소량에 의한 보일러 연통 이탈 및 파손에 의한 일산화탄소 유출인지를 판단하고, 보일러 연통 이탈 및 파손에 의한 일산화탄소 유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경보기 알람부를 통해 알람을 발생시키는 일산화탄소 누출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는,
    포스트 퍼지에 의한 보일러 내부의 연소기관을 환기하는 보일러 환기부 및 상기 보일러 환기부를 제어하여 포스트 퍼지 모드를 실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보일러의 상기 제어모듈에 연결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경보기 제어부는,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판단부를 통해 보일러 연통 이탈 및 파손에 의한 일산화탄소 유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 포스트 퍼지 요청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보일러가 포스트 퍼지 모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보일러 누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에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고,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환기시스템과 연결되는 월패드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경보기 제어부는,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판단부를 통해 보일러 연통 이탈 및 파손에 의한 일산화탄소 유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월패드로 일산화탄소 누출에 따른 경보를 발생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환기시스템을 구동하여 상기 보일러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공기를 외부 공기로 환기할 것을 요청하는 환기 요청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공기를 환기하는 환기 누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에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고,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상기 실내 공간을 이용하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사용자 모바일단말기와 연결되어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경보기 제어부는,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판단부를 통해 보일러 연통 이탈 및 파손에 의한 일산화탄소 유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사용자 모바일단말기로 일산화탄소 유출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일산화탄소 유출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모바일단말기가 경보를 발생하도록 하는 누출 통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시스템.
  8.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가 보일러의 보일러 연통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상기 보일러에 의해 발생되는 일산화탄소량을 측정하며, 상기 보일러 연통의 충격 감지 시 충격 세기값 및 일산화탄소량에 의해 상기 보일러 연통 이탈에 의한 일산화탄소 유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보일러 연통 이탈에 의한 일산화탄소 유출 여부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정보를 전송하는 일산화탄소 누출 경보 과정;
    보일러가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정보의 수신 시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정보를 포스트 퍼지 요청 신호로 인지하여 포스트 퍼지를 수행하는 포스트 퍼지 수행 과정;
    월패드가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정보의 수신 시 경보를 발생하고, 상기 일산화탄소 누출 통지정보를 환기 요청 신호로 인지하여 외기 환기 제어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환기 제어 요청 과정; 및
    환기시스템이 외기 환기 제어 요청 신호를 수신받아 실내의 공기와 외기를 순환시켜 상기 실내의 공기를 환기하는 실내공기 환기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방법.
PCT/KR2020/013940 2019-10-16 2020-10-13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시스템 및 방법 WO2021075824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86784.8A CN114787563B (zh) 2019-10-16 2020-10-13 利用一氧化碳泄漏报警装置的一氧化碳排放系统及方法
US17/768,989 US20240105044A1 (en) 2019-10-16 2020-10-13 System and method for discharging carbon monoxide by using carbon monoxide leakage alarm device
EP20876035.5A EP4047284A4 (en) 2019-10-16 2020-10-13 SYSTEM AND METHOD FOR CARBON MONOXIDE DISCHARGE USING A CARBON MONOXIDE LEAK ALARM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265A KR102095203B1 (ko) 2019-10-16 2019-10-16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 및 방법
KR10-2019-0128265 2019-10-16
KR10-2019-0144687 2019-10-16
KR1020190144687A KR102274638B1 (ko) 2019-10-16 2019-11-13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75824A1 true WO2021075824A1 (ko) 2021-04-22

Family

ID=75537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3940 WO2021075824A1 (ko) 2019-10-16 2020-10-13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105044A1 (ko)
EP (1) EP4047284A4 (ko)
KR (1) KR102274638B1 (ko)
CN (1) CN114787563B (ko)
WO (1) WO2021075824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837A (ko) * 1994-10-20 1996-05-22 배순훈 가스보일러의 배기가스 제어방법
JPH09264548A (ja) * 1996-03-26 1997-10-07 Sanden Corp 暖房給湯装置
KR20090007826U (ko) 2008-01-29 2009-08-03 이호균 보일러 복합식 경보 시스템
JP2009216407A (ja) * 2008-03-07 2009-09-24 Panasonic Corp ガスメータ及びガス保安システム
KR20110061695A (ko) * 2009-12-02 2011-06-10 한국가스안전공사 건물 내 무선통신을 이용한 가스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70066906A (ko) * 2015-12-07 2017-06-15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보일러의 연통 이탈 감지장치
KR102095203B1 (ko) * 2019-10-16 2020-05-26 주식회사 나노켐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3141B2 (en) * 1997-08-20 2003-01-07 Julio Shtanko Carbon monoxide venting system
US7651034B2 (en) * 2000-08-04 2010-01-26 Tjernlund Products, Inc. Appliance room controller
US8172153B1 (en) * 2004-12-30 2012-05-08 Kennedy Metal Products & Buildings, Inc. Energy usage control for a building
WO2011034987A1 (en) * 2009-09-17 2011-03-24 Daydream Believers, Llc Carbon monoxide safety system and method
CN202003488U (zh) * 2011-02-16 2011-10-05 黄晓华 燃气泄漏警报和通风装置
KR101536814B1 (ko) * 2013-08-21 2015-07-1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연소장치
US10670302B2 (en) * 2014-03-25 2020-06-02 Ademco Inc. Pilot light control for an appliance
US20160321899A1 (en) * 2015-04-28 2016-11-03 Garfield Ron Mingo Safety detector system
CN206191593U (zh) * 2016-10-19 2017-05-24 佛山高富中石油燃料沥青有限责任公司 一种锅炉燃烧天然气运行的安全保护装置
KR101845856B1 (ko) * 2016-12-13 2018-04-06 주식회사 귀뚜라미 가스 감지 및 지진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보일러 및 그 제어 방법
KR101941912B1 (ko) * 2016-12-22 2019-01-2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급기온도와 송풍팬 전류치를 이용한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US10388144B2 (en) * 2017-02-10 2019-08-20 Ademco Inc. Fluid leak detector alarm mechanism
US11187434B2 (en) * 2017-03-15 2021-11-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pump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US10755544B2 (en) * 2017-03-16 2020-08-25 CoEvac, LLC Automatic smoke/carbon monoxide evacuation power switch method and system
US10928084B2 (en) * 2017-04-14 2021-02-2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ulti-function thermostat with intelligent supply fan control for maximizing air quality and optimizing energy usage
KR102017450B1 (ko) * 2019-01-22 2019-09-02 강수철 일산화탄소 감지기를 이용한 보일러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837A (ko) * 1994-10-20 1996-05-22 배순훈 가스보일러의 배기가스 제어방법
JPH09264548A (ja) * 1996-03-26 1997-10-07 Sanden Corp 暖房給湯装置
KR20090007826U (ko) 2008-01-29 2009-08-03 이호균 보일러 복합식 경보 시스템
JP2009216407A (ja) * 2008-03-07 2009-09-24 Panasonic Corp ガスメータ及びガス保安システム
KR20110061695A (ko) * 2009-12-02 2011-06-10 한국가스안전공사 건물 내 무선통신을 이용한 가스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70066906A (ko) * 2015-12-07 2017-06-15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보일러의 연통 이탈 감지장치
KR102095203B1 (ko) * 2019-10-16 2020-05-26 주식회사 나노켐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047284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47284A1 (en) 2022-08-24
EP4047284A4 (en) 2023-05-03
KR102274638B1 (ko) 2021-07-08
CN114787563B (zh) 2024-03-05
CN114787563A (zh) 2022-07-22
US20240105044A1 (en) 2024-03-28
KR20210045266A (ko) 2021-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75825A1 (ko)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 및 방법
WO2011068273A1 (ko) 건물 내 무선통신을 이용한 가스 안전 관리 시스템
US8791828B2 (en) Carbon monoxide detector, system and method for signaling a carbon monoxide sensor end-of-life condition
WO2013115438A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스검출 시스템 및 가스검출 방법
KR101104519B1 (ko) 비접촉식 통합 화재 감지 시스템
WO2018110813A1 (ko) 가스 감지 및 지진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보일러 및 그 제어 방법
CN203287793U (zh) 一种基于物联网的燃气安全控制系统
CN208655009U (zh) 一种智能燃气系统
CN107301757A (zh) 一种厨房燃气报警检测装置及其报警检测方法
CN109028455A (zh) 一种可燃气体泄漏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719854A (zh) 一种移动通信终端的火灾警报装置及其方法
KR20190094672A (ko) 무선 화재경보시스템 및 방법
WO2019059439A1 (ko) 재난경보 및 재난훈련 기능을 구비한 엘이디 조명등 시스템
WO2021075824A1 (ko)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시스템 및 방법
WO2012030011A1 (ko) 무선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가스 및 화재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WO2018101726A1 (ko) 부유식 오염물질측정 장치
CN214679797U (zh) 一种消防钢瓶间气体监测的保护系统
CN213276923U (zh) 一种家用燃气监控系统
CN212719234U (zh) 一种气体泄漏远程监测及定位装置
CN106054064A (zh) 空调器的故障检测方法、故障检测装置及空调器
KR20070081473A (ko) 경보메시지 송신 장치 및 방법
JP6399572B1 (ja) 火災用無線通信装置及び火災報知システム
KR20080028157A (ko) 공기환경 제어기 및 공기환경 제어 방법
JP2020013620A (ja) 火災報知設備の感知器試験システム
CN213211259U (zh) 一种主动式电缆隧道环境安全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760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7768989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760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