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66237A1 -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66237A1
WO2021066237A1 PCT/KR2019/013148 KR2019013148W WO2021066237A1 WO 2021066237 A1 WO2021066237 A1 WO 2021066237A1 KR 2019013148 W KR2019013148 W KR 2019013148W WO 2021066237 A1 WO2021066237 A1 WO 202106623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de
mobile terminal
electronic content
scree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314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북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북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북이오
Publication of WO202106623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6623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7Shopping or accessing services according to a time-limi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7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using secure elements embedded in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Definitions

  • the disclosed technology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for users visiting a site to use electronic content with a limited use time.
  • a technology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space in which the kiosk is installed using a device such as a kiosk provided in an unmanned store is being used. For example, when a user approaches a kiosk installed in a large shopping mall, the smartphone and the kiosk are connected via Bluetooth, so that information on the large shopping mall can be received from the kiosk. As the number of unmanned stores and exhibition halls continues to increase, the form of information delivery in this manner is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6-0018324 name of the invention: digital content service method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 the content is provided to a terminal that actually enters the place where the device is installed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 This technology has a problem in that the content received by the user is arbitrarily delivered to others, so that users outside the place where the device is actually installed can use the content or copy the content without permission.
  • the disclosed technology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to a site terminal in order for users visiting a site to use electronic content with a limited use time.
  • a first aspec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the step of scanning a QR code output on the screen of the on-site terminal within an area in which the user's mobile terminal is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n-sit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is the QR code.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code to the on-site terminal within the valid tim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when the on-site terminal matches the QR code previously being output on the screen and the QR cod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is sent to the mobile terminal. It is to provide an authentication method for using electronic content with limited use time, including transmitting electronic content with limited use time.
  • the second aspec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task is to output the QR code and the valid time of the QR code through a screen, and when the valid time passes, change the QR cod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update the valid time.
  • Use time including a mobile terminal that scans the QR code and downloads electronic content with limited usage time by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QR code within an area wher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n-site terminal is possible within the effective time. It is to provide an authentication system for using this restricted electronic content.
  • Embodimen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advantages. However, since it does not mean that embodimen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include all of them,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limited thereby.
  • an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electronic content with a limited use time has an effect of preventing a user from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a QR code to others because authentication must be performed within an effective time.
  • 1 is a flowchart of an authentication method for using electronic content with limited usage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authentication system for using electronic content with limited usage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 3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entire system.
  •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QR code and an effective time displayed on the screen of a site terminal.
  • 5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information of a QR code.
  • FIG. 6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information of a QR code.
  •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database stor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contents.
  • Terms such as 1st, 2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 terms, an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Is only used.
  •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 each of the constituent units to be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nstituent units in addition to its own main function, and some of the main functions of each constituent unit are differen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can also be performed exclusively by. Therefo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ch component described thr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have to be functionally interpreted.
  • an authentication method for using electronic content with limited usage time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 the mobile terminal scans the QR cod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on-site terminal within an area wher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n-site terminal is possible.
  • the mobile terminal refers to a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held by general users
  • the on-site terminal refers to various types of terminals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such as a subway or a museum.
  • the on-site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 kiosk, an electric sign, a billboard, and a TV.
  • various types of on-site terminals are provided with a screen that can output a QR code in common, although each type is different. Users can use their mobile terminal to scan the QR code being output on the screen of the on-site terminal.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can the QR code by driving a camera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to take a picture from the front of the QR code or by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that can extract information stored in the QR code.
  •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QR code to the on-site terminal within the valid time displayed on the screen.
  • the on-site terminal outputs a QR code through the screen, and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valid time for the currently printed QR code on the screen together.
  • one display can output a QR code and the other display can output an effective time.
  • a QR code and expiration time can be displayed by randomly dividing the area within a single display.
  • the valid time it is desirable to set the valid time to be output like a QR code as short as possible.
  • the purpose since the purpose is to transmit electronic content only to the mobile terminal of the user who actually visited the place where the on-site terminal is installed,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scanned QR code to a remote third party by some users.
  • it is possible to set a short effective time so that the information on the QR code scanned by the on-site user can be sent directly to the on-site terminal.
  • the on-site terminal may determine that the mobile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user is located nearby when the scanned information of the QR code currently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is transmitted.
  • the information on the QR code scanned by the mobile terminal here includes an image generated by scanning the QR code or at least one data extracted from the QR code.
  • the mobile terminal may photograph a QR code that is output on the screen of the on-site terminal and transmit the captured image to the on-site terminal.
  • information such as a specific image, video, text, or symbol stored in the data area of the QR code may be transmitted to the on-site terminal as information about the QR code according to the scan.
  • the on-site terminal changes the QR code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valid time for the QR code exceeds.
  • Changing the QR code here means changing the data recorded in the QR code or changing the pattern of the QR code to something else. For example, it may be that the on-site terminal generates an OTP, and outputs a QR code changed every valid time on a screen.
  • the on-site terminal compares the QR code already displayed on the screen with the QR cod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 the on-site terminal performs authentication by comparing the two QR codes that match each other. If the two QR codes match each other, electronic content with limited usage tim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If the same QR code as the QR code being printed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within the valid time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the on-site terminal is deemed to have transmitted the QR code from a location adjacent to the location where the on-site terminal is installed. That is,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a person who actually visited the place where the on-site terminal is installed, and the electronic conten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of the user.
  • the use time of electronic content provided by the on-site terminal is limited. For example, after being downloaded from a site terminal, it can be used on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when the usage time elapses, it may be converted into a state that cannot be used or may be automatically deleted on the terminal.
  • Electronic content includes e-books, mobile magazines, newspapers, etc. operating on the user's mobile terminal, and may include images, audios, documents, and videos with a capacity that can be stored in a QR code.
  • an access address such as a URL that can be accessed only for a limited time so that such content can be used.
  • users can download mobile newspapers through the display board installed on the platform before boarding the subway and read newspapers only during the time of boarding the subway, or receive brochures that can only be used during museum viewing hours through a kiosk installed in the museum. You may.
  • the on-site terminal transmits a specific electronic content matched to the QR code being output on the screen among a plurality of electronic contents stored in the database to the mobile terminal.
  • the field terminal includes a database stor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contents. Various types of electronic contents are stored in the database in a state matched to different QR codes. In other words, each electronic content is matched with a QR code that is not duplicated, and when the QR code matched with one electronic content is changed over the expiration time, change the QR code so that the QR code matched with other electronic content does not overlap. You can separately manage the information about.
  • the on-site terminal may provide electronic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by requesting the electronic content from an external server.
  • the on-site terminal may request a specific electronic content matching the QR code displayed on the screen to a server stor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contents.
  • the on-site terminal and the serv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ire or wireless, and the on-site terminal performs the role of authenticating the QR code transmitted from the user's mobile terminal, and the server transmits specific electronic content from among a plurality of electronic contents stored at the request of the on-site terminal. You can play a role. Accordingly, the on-site terminal can deliver the specific electronic content received from the server to the mobile terminal.
  • the on-site terminal may transmit an access address for viewing electronic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 the access address may take the form of a URL, and the access time may be limited.
  • the on-site terminal discards the access address, it can create a new access address for providing electronic content.
  • a URL including a random value may be generated so that the access address cannot be easily inferred from the outside.
  • the on-site terminal requests the mobile terminal to retransmit the QR code when the time when the QR code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exceeds the valid time.
  • the on-sit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QR code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has been transmitted within the valid time before comparing whether the QR cod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matches the QR code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If the validity time is exceeded, the on-site terminal may request retransmission of the QR code to the mobile terminal without determining whether the QR code matches.
  • the on-site terminal transmits the electronic content matched to the QR code to the mobile terminal.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transmission failure notifica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out of the communication available area.
  • the on-site terminal may determine that the user's mobile terminal scans and transmits the QR code within a communicable area. That is, it is regarded as a state in which the field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can transmit and receive electronic content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 a notification according to a transmission failure may be provided so that the electronic content can be completely transmitted.
  • an authentication system for using electronic content with limited usage time includes a field terminal 210 and a mobile terminal 220.
  • the on-site terminal 210 outputs the QR code and the valid time of the QR code through the screen, and when the valid time passes, changes the QR cod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updates the valid time.
  • the field terminal 21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210a, a display 210b, a processor 210c, and a database 210d. Then, the communication module 210a is used to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s mobile terminal.
  • the communication module 210a may be a Bluetooth module.
  • the on-site terminal 210 outputs a QR code and an effective time using the display 210b. Then, the QR code and the valid time are updated using the processor 210c. A plurality of electronic contents are stored in the database 210d, and if the QR cod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is sung within the valid time, it is compared with the QR cod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contents stored in the database 210d, Sends specific electronic content matching the QR code.
  • the on-site terminal can be implemented in at least one of a communication module, a display, a kiosk including a processor and a database, an electronic signboard, a billboard, and a TV, and serves to provide various types of electronic content according to the purpose or function of the installed place. do.
  • the database 210d may be included in the on-site terminal 210 or may be included in an external server in some cases.
  • the on-site terminal 210 changes the QR code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effective time passes and updates the effective time.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make the effective time as short as possible. For example, a time limit is set so that the user who photographed the QR code of the on-site terminal 210 cannot transmit the QR code to the mobile terminal 220 of another user who is not in the field, so that electronic content is provided only to users who actually visit the site. You can do it.
  • the on-site terminal 210 if the QR code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220 and the QR code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match, a specific value matched to the QR code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among a plurality of electronic contents stored in the database (210d).
  • the electronic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220.
  • the on-site terminal 210 may first authenticate the QR code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220 and, according to the result, request a specific electronic content to the server and transmit it to the mobile terminal 220.
  • the on-site terminal 210 may provide electronic content by transmitting an access address for viewing electronic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if the QR code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220 matches the QR code being output on the screen, an access address for viewing specific electronic content may be transmitted. Here, when the use time of the electronic content ends, the on-site terminal may discard the previously transmitted access address and generate a new access address for providing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content.
  • the mobile terminal 220 scans the QR code being output on the screen of the on-site terminal 210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QR code within an area in whi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n-site terminal is possible within an effective time. 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 220 transmits the scanned QR code within the valid time, so that the authentication for the use of electronic content can be performed without providing separate personal information.
  • the on-site terminal may request retransmission of the QR code to the mobile terminal.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operation by determining whether the validity time is exceeded before comparing whether the QR code matches. If the QR code is received within the valid time, the on-site terminal can compare the two QR codes to see if they match each other.
  • the mobile terminal 22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220a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on-site terminal 210. And it includes a camera (220b) capable of scanning the QR code. Further, it includes a processor 220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220 and a memory 220d for storing the downloaded electronic content.
  • the mobile terminal 220 scans the QR code using a camera and transmits the scanned image itself to the on-site terminal 210 as information on the QR code, and data such as images, voice, text, etc. extracted from the QR code Can also be transmitted.
  • a mobile terminal that has successfully authenticated using a QR code can download a specific electronic content matched with the QR code through the on-site terminal.
  • the on-site terminal 21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kiosk that transmits a morning newspaper according to a result of authenticating a QR code transmitted from each user's mobile terminal.
  • the field terminal 210 has a communication area 301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 an area 301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mobile terminal may be formed in a manner such as Bluetooth, NFC, or RFID.
  • the on-site terminal 210 may broadcast a beacon.
  • communication is possible with the user's mobile terminal 220 existing in the area, and communication with the user's mobile terminal 220' existing outside the area is not possible. Therefore, the on-site terminal 210 may ignore the QR code even if it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220'.
  •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QR code and an effective time displayed on the screen of a site terminal.
  • the on-site terminal outputs a QR code and valid time through the screen.
  • one screen may be divided into an arbitrary area to output the QR code and the valid time, or the QR code 403 and the valid time 402 may be output on each screen as shown in FIG. 4.
  • the content name 401 may be output together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type of electronic content.
  • the on-site terminal may change electronic content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order to provide different types of electronic content. For example, if the valid time is updated a certain number of times, the electronic content currently being provided can be changed to other content. For example, if the valid time is updated three times, the morning newspaper can be changed to a magazine, and if the valid time is renewed three times, it can be returned to the morning newspaper or changed to other electronic content.
  • the information of the QR code may be an image of the QR code output on the screen of the on-site terminal 210 itself. That is, the user may photograph the QR code output on the screen using the camera of the mobile terminal 220 and transmit the generated image to the on-site terminal.
  • the information of the QR code may be obtained by extrac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area of the QR code.
  • images and texts that can identify electronic content can be extracted, and other types of information that can be stored in a QR code can also be used as QR code information.
  •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database stor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contents.
  • content information 701, QR code information 702, and information 703 about valid time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in the form of a list.
  • the content information 701 means a title or type of electronic content.
  • the information 702 of the QR code means uniqu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QR code. For example, a serial number assigned when generating a QR code may be used, or a unique number stored in the QR code may be used as the information 702 of the QR code.
  • the information 703 about the valid time is set by the administrator of the system, and as described above, the QR code is set to a value as short as possible so that it can be used only for authentication.
  • a plurality of different electronic contents are stored in the database, and a plurality of QR codes are matched to each electronic contents.
  • the plurality of QR codes may be updated every valid time.
  • each of the QR codes may be rotated every 3 minutes of validity time.
  • the QR codes used here do not overlap with the QR codes matched with other electronic contents, and the remaining electronic contents can also change the QR code every valid time in the same manner.
  • a timer for providing specific electronic content may be present in the on-site terminal. For example, if the electronic content is a morning newspaper, an internal timer can be set to serve only from 7 am to 10 am. That is, during this time, the QR code is rotated every 3 minutes, so that the electronic content can be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that has successfully authenticat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개시된 기술은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현장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영역 안에서 상기 현장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QR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QR코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화면에 출력되는 유효시간 이내에 상기 현장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장 단말기가 상기 화면에 기 출력중인 QR코드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QR코드가 서로 일치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자 콘텐츠에 대한 사용시간을 제한하여 전송된 전자 콘텐츠가 무단으로 복제되거나 2차 가공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개시된 기술은 현장을 방문한 사용자들이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인매장에 구비된 키오스크와 같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해당 키오스크가 설치된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가령, 사용자가 대형 쇼핑몰에 설치된 키오스크에 접근하면 스마트폰과 키오스크가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키오스크로부터 대형 쇼핑몰에 대한 안내자료를 수신할 수 있다. 계속해서 무인으로 운영되는 매장이나 전시장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이러한 방식의 정보전달 형태도 계속해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종래의 종이책이나 신문, 잡지의 경우에도 점차 디지털화되어 현재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통해 열람할 수 있는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사용자는 정기구독이나 개별구매를 통해 이러한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를 배포하는 입장에서는 최대한의 홍보효과를 이루기 위하여 최대한 많은 수의 사용자들에게 콘텐츠를 배포할 수 있도록 별다른 사용제약이나 가격을 책정하지 않는 대신 일부의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불법적으로 이용하는 것만 막을 수 있도록 각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이후에 콘텐츠를 무료로 배포하는 경우가 아직까지는 주류를 이루고 있다. 즉, 콘텐츠 자체는 무료로 제공하지만 사용자들의 연락처나 개인정보 등을 이용하여 추후에 마케팅이나 다른 상품에 대한 홍보를 계획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민감한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이어서 이러한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 예상치 못한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 공개특허 10-2016-0018324호(발명의 명칭 :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방법)를 참조하면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기기가 설치된 장소에 실제로 진입한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사용자가 수신한 콘텐츠를 타인에게 임의로 전달하여 실제 기기가 설치된 장소 밖에 사용자들도 콘텐츠를 이용하게 되거나 콘텐츠를 무단으로 복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개시된 기술은 현장을 방문한 사용자들이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하여 현장 단말기에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 1 측면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현장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영역 안에서 상기 현장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QR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QR코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화면에 출력되는 유효시간 이내에 상기 현장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장 단말기가 상기 화면에 기 출력중인 QR코드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QR코드가 서로 일치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 2 측면은 화면을 통해 QR코드 및 상기 QR코드의 유효시간을 출력하고 상기 유효시간이 도과하면 상기 화면에 출력되는 QR코드를 변경하고 상기 유효시간을 갱신하는 현장 단말기 및 상기 QR코드를 스캔하고 상기 유효시간 이내에 상기 현장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영역 안에서 상기 QR코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은 유효시간 이내에 인증을 수행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QR코드에 대한 정보를 타인에게 전송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 콘텐츠에 대한 사용시간을 제한하여 전송된 전자 콘텐츠가 무단으로 복제되거나 2차 가공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장 단말기의 화면으로 출력되는 QR코드와 유효시간을 이용하여 실제로 현장 단말기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에게만 전자 콘텐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전체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현장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QR코드 및 유효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QR코드의 정보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QR코드의 정보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복수개의 전자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11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기는 현장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영역 안에서 현장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QR코드를 스캔한다. 여기에서 모바일 단말기는 일반 사용자들이 소지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의미하며 현장 단말기는 지하철이나 박물관과 같이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를 의미한다. 예컨대, 현장 단말기는 키오스크, 전광판, 광고판 및 TV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현장 단말기들은 제각기 형태는 다를지라도 공통적으로 QR코드를 출력할 수 있는 화면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현장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중인 QR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구동하여 QR코드의 정면에서 사진을 촬영하거나 QR코드에 저장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QR코드를 스캔할 수도 있다.
12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기는 QR코드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출력되는 유효시간 이내에 현장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장 단말기는 화면을 통해 QR코드가 출력되는데 현재 출력중인 QR코드에 대한 유효시간을 함께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각각 구분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로는 QR코드를 출력하고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로는 유효시간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안에서 임의로 영역을 구분하여 QR코드와 유효시간을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QR코드와 같이 출력되는 유효시간은 가능한 한 짧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장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에 실제로 방문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만 제한적으로 전자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일부의 사용자가 스캔한 QR코드를 원격지의 제3자에게 전송하는 것에 대비해서 가급적 현장의 사용자가 스캔한 QR코드에 대한 정보를 바로 현장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도록 짧은 유효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유효시간에 따라 현장 단말기는 현재 화면으로 출력중인 QR코드를 스캔한 정보가 전송되면 해당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주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모바일 단말기가 스캔한 QR코드에 대한 정보는 QR코드를 스캔하여 생성된 이미지 또는 QR코드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컨대, 모바일 단말기는 현장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QR코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현장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스캔에 따라 QR코드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특정한 이미지나, 동영상, 텍스트, 기호 등의 정보를 QR코드에 대한 정보로 현장 단말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현장 단말기는 QR코드에 대한 유효시간이 도과하면 화면에 출력되는 QR코드를 변경한다. 여기에서 QR코드를 변경한다는 것은 QR코드에 기록된 데이터를 변경하거나 QR코드의 패턴을 다른 것으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령, 현장 단말기가 OTP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유효시간마다 변경된 QR코드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130 단계에서 현장 단말기는 화면에 기 출력중인 QR코드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QR코드를 비교한다. 현장 단말기는 두 QR코드가 서로 일치하는 것을 비교함으로써 인증을 수행한다. 만약 두 QR코드가 서로 일치하면 모바일 단말기에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전송한다. 현장 단말기는 화면으로 출력중인 유효시간 이내에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기 출력중인 QR코드와 동일한 QR코드가 전송되면 해당 모바일 단말기가 현장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QR코드를 전송한 것으로 간주한다. 즉, 사용자가 현장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에 실제로 방문한 사람인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전자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현장 단말기가 제공하는 전자 콘텐츠는 사용시간이 제한되어 있다. 예컨대, 현장 단말기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이후 일정 시간 동안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시간이 도과하면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로 변환되거나 단말기 상에서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다. 전자 콘텐츠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동작하는 이북(E-book)이나 모바일 잡지, 신문 등을 포함하며 QR코드에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의 이미지나 오디오, 문서 및 동영상도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한된 시간동안만 접속할 수 있는 URL과 같은 접속주소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단계에 따라 사용자는 지하철을 탑승하기 전에 플랫폼에 설치된 전광판을 통해 모바일 신문을 다운로드하여 지하철을 탑승하는 시간 동안만 신문을 보거나 박물관에 설치된 키오스크를 통해 박물관 관람시간 동안만 사용이 가능한 안내책자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현장 단말기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한 QR코드와 화면에 출력중인 QR코드가 일치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개의 전자 콘텐츠들 중 화면에 출력중인 QR코드에 매칭된 특정 전자 콘텐츠를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한다. 현장 단말기는 복수개의 전자 콘텐츠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에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 콘텐츠들이 각각 서로 다른 QR코드에 매칭된 상태로 저장된다. 즉, 각각의 전자 콘텐츠들은 중복되지 않은 QR코드에 매칭되며, 하나의 전자 콘텐츠에 매칭된 QR코드가 유효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때 타 전자 콘텐츠에 매칭된 QR코드가 중복되지 않도록 QR코드 변경에 대한 정보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현장 단말기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전자 콘텐츠를 요청하는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에 전자 콘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현장 단말기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한 QR코드와 화면에 출력중인 QR코드가 일치하면 복수개의 전자 콘텐츠를 저장하는 서버에 화면에 출력중인 QR코드에 매칭되는 특정 전자 콘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현장 단말기와 서버는 서로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현장 단말기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QR코드를 인증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서버는 현장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복수개의 전자 콘텐츠들 중에서 특정 전자 콘텐츠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장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특정 전자 콘텐츠를 모바일 단말기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현장 단말기는 데이터베이스나 서버에 저장된 전자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 이외에도 전자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접속주소를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예컨대, 현장 단말기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한 QR코드와 화면에 출력중인 QR코드가 일치하면 전자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접속주소를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접속주소는 URL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접속할 수 있는 시간이 제한되어 있을 수 있다. 즉, URL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통해 게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되 사용시간이 종료되면 접속주소를 폐기하는 방식으로 전자 콘텐츠의 사용시간을 제한할 수 있다. 현장 단말기는 접속주소를 폐기하면 전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접속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외부에서 접속주소를 쉽게 유추하지 못하도록 랜덤한 값을 포함하는 URL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현장 단말기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QR코드를 전송한 시간이 유효시간을 초과하면 모바일 단말기에 QR코드의 재전송을 요청한다. 현장 단말기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송한 QR코드가 화면에 출력중인 QR코드와 일치하는지 비교하기에 앞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QR코드가 유효시간 이내에 전송된 것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유효시간을 초과하면 현장 단말기는 QR코드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모바일 단말기에 QR코드의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현장 단말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송된 QR 코드와 화면으로 출력중인 QR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QR코드에 매칭된 전자 콘텐츠를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영역을 벗어나면 전송 실패 알림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 현장 단말기는 동일한 QR코드가 유효시간 이내에 전송되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영역 이내에서 QR코드를 스캔하여 전송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현장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자 콘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간주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통신 가능한 영역을 이탈하거나 일시적으로 음영구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자 콘텐츠가 완전히 전송될 수 있도록 전송실패에 따른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전체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은 현장 단말기(210) 및 모바일 단말기(220)를 포함한다.
현장 단말기(210)는 화면을 통해 QR코드 및 QR코드의 유효시간을 출력하고 유효시간이 도과하면 화면에 출력되는 QR코드를 변경하고 유효시간을 갱신한다. 현장 단말기(210)는 통신모듈(210a), 디스플레이(210b), 프로세서(210c) 및 데이터베이스(210d)를 포함한다. 그리고 통신모듈(210a)를 이용하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예컨대, 통신모듈(210a)는 블루투스 모듈일 수 있다.
한편, 현장 단말기(210)는 디스플레이(210b)를 이용하여 QR코드와 유효시간을 출력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10c)를 이용하여 QR코드와 유효시간을 갱신한다. 데이터베이스(210d)에는 복수개의 전자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QR코드가 유효시간 이내에 전성되면 화면에 출력중인 QR코드와의 일치여부를 비교하여 데이터베이스(210d)에 저장된 복수개의 전자 콘텐츠 중 QR코드에 매칭된 특정한 전자 콘텐츠를 전송한다. 현장 단말기는 통신모듈,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전광판, 광고판 및 TV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치된 장소의 목적이나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전자 콘텐츠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데이터베이스(210d)는 경우에 따라 현장 단말기(210)에 포함되거나 외부의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현장 단말기(210)는 유효시간이 도과하면 화면에 출력되는 QR코드를 변경하고 유효시간을 갱신한다. 이때, 유효시간은 될 수 있으면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현장 단말기(210)의 QR코드를 촬영한 사용자가 현장에 있지 않은 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20)에 QR코드를 전송하지 못하도록 시간적인 제한을 두어 실제 현장에 방문한 사용자들에게만 전자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현장 단말기(210)는 모바일 단말기(220)에서 수신한 QR코드와 화면에 출력중인 QR코드가 일치하면 데이터베이스(210d)에 저장된 복수개의 전자 콘텐츠들 중 화면에 출력중인 QR코드에 매칭된 특정 전자 콘텐츠를 모바일 단말기(220)에 전송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현장 단말기(210)가 먼저 모바일 단말기(220)로부터 수신한 QR코드를 인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서버로 특정 전자 콘텐츠를 요청하여 모바일 단말기(22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현장 단말기(210)는 전자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접속주소를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으로 전자 콘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모바일 단말기(220)에서 수신한 QR코드와 화면에 출력중인 QR코드가 일치하면 특정 전자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접속주소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현장 단말기는 전자 콘텐츠의 사용시간이 종료되면 기 전송한 접속주소를 폐기하고 해당 전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접속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20)는 현장 단말기(210)의 화면에 출력중인 QR코드를 스캔하고 유효시간 이내에 현장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영역 안에서 QR코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기(220)는 스캔한 QR코드를 유효시간 안에 전송하는 것으로 별도의 개인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전자 콘텐츠 이용을 위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모바일 단말기에서 QR코드를 전송한 시간이 유효시간을 초과하면 현장 단말기가 모바일 단말기에 QR코드의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는 QR코드의 일치여부를 비교하기 전에 유효시간의 초과 여부를 판단하여 동작을 간소화할 수 있다. 만약 유효시간 이내로 QR코드가 수신되면 현장 단말기는 두 개의 QR코드가 서로 일치하는지 비교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기(220)는 현장 단말기(21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220a)를 포함한다. 그리고 QR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카메라(220b)를 포함한다. 그리고 단말기(2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220c)와 다운로드 된 전자 콘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220d)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기(22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QR코드를 스캔하고 스캔한 이미지 자체를 QR코드에 대한 정보로서 현장 단말기(210)에 전송할 수도 있고, QR코드로부터 추출된 이미지나, 음성, 텍스트 등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QR코드를 이용한 인증에 성공한 모바일 단말기는 현장 단말기를 통해 QR코드에 매칭된 특정 전자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때, 현장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영역 이내에 존재하는 모바일 단말기만 전자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현장 단말기(210)는 각 사용자들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QR코드를 인증한 결과에 따라 조간신문을 전송하는 키오스크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현장 단말기(2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영역(301)이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블루투스나 NFC, RFID와 같은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영역(3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서 현장 단말기(210)는 비콘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영역 안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20)과는 통신이 가능한 상태이고 영역 밖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20‘)와는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현장 단말기(210)는 모바일 단말기(220’)에서 QR코드가 전송되더라도 이를 무시할 수 있다.
도 4는 현장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QR코드 및 유효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장 단말기는 화면을 통해 QR코드와 유효시간을 출력한다. 이때 하나의 화면을 임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QR코드와 유효시간을 출력할 수도 있고 도 4와 같이 각각의 화면에 QR코드(403)와 유효시간(402)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전자 콘텐츠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콘텐츠 이름(401)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현장 단말기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전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 일정한 간격으로 제공하는 전자 콘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유효시간을 일정 횟수 갱신하면 현재 제공중인 전자 콘텐츠를 타 콘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가령, 유효시간이 3회 갱신되면 조간신문을 잡지로 변경하고 다시 유효시간이 3회 갱신되면 조간신문으로 되돌리거나 다른 전자 콘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QR코드의 정보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QR코드의 정보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QR코드의 정보는 현장 단말기(210)의 화면에 출력된 QR코드를 촬영한 이미지 자체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22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화면에 출력된 QR코드를 촬영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현장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QR코드의 정보는 QR코드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정보를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이미지 및 텍스트가 추출될 수 있으며 이밖에 QR코드에 저장이 가능한 다른 형태의 정보들 또한 QR코드의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도 7은 복수개의 전자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에는 콘텐츠 정보(701), QR코드 정보(702) 및 유효시간에 대한 정보(703)이 리스트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콘텐츠 정보(701)는 전자 콘텐츠의 제목이나 종류를 의미한다. 그리고 QR코드의 정보(702)는 각 QR코드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정보를 의미한다. 가령, QR코드를 생성할 때 부여된 시리얼넘버를 이용하거나 QR코드에 저장되는 고유한 넘버를 QR코드의 정보(702)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유효시간에 대한 정보(703)는 시스템의 관리자로부터 설정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QR코드가 인증에만 이용될 수 있도록 가급적 짧은 값으로 설정된다.
한편, 데이터베이스에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전자 콘텐츠가 저장되며 각각의 전자 콘텐츠에는 복수개의 QR코드가 매칭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QR코드들은 유효시간마다 갱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7과 같이 하나의 전자 콘텐츠에 3개의 QR코드가 매칭되는 것이라 가정하면, 각 QR코드들이 유효시간 3분마다 로테이션될 수 있다. 물론 여기에서 이용되는 QR코드들은 다른 전자 콘텐츠에 매칭된 QR코드와는 중복되지 않으며 나머지 전자 콘텐츠들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유효시간마다 QR코드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현장 단말기에는 내부적으로 특정 전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타이머가 존재할 수 있다. 가령, 전자 콘텐츠가 조간신문이라면 오전 7시부터 10시까지만 제공하도록 내부적인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이 시간 동안에는 3분마다 QR코드가 로테이션되면서 인증에 성공한 모바일 단말기에 전자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현장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영역 안에서 상기 현장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QR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QR코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화면에 출력되는 유효시간 이내에 상기 현장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장 단말기가 상기 화면에 기 출력중인 QR코드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QR코드가 서로 일치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단말기는 키오스크, 전광판, 광고판 및 TV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단말기는 상기 유효시간이 도과하면 상기 화면에 출력되는 QR코드를 변경하고 상기 유효시간을 갱신하는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QR코드를 전송한 시간이 상기 유효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QR코드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한 QR코드와 상기 화면에 출력중인 QR코드가 일치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개의 전자 콘텐츠들 중 상기 화면에 출력중인 QR코드에 매칭된 특정 전자 콘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한 QR코드와 상기 화면에 출력중인 QR코드가 일치하면 복수개의 전자 콘텐츠를 저장하는 서버에 상기 화면에 출력중인 QR코드에 매칭되는 특정 전자 콘텐츠를 요청하고 상기 특정 전자 콘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달하는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한 QR코드와 상기 화면에 출력중인 QR코드가 일치하면 상기 전자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접속주소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단말기는 상기 전자 콘텐츠의 사용시간이 종료되면 상기 접속주소를 폐기하고 상기 전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접속주소를 생성하는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영역 안에 실제로 존재하지 판단하기 위해서 상기 유효시간을 짧게 조절하는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단말기는 상기 전자 콘텐츠를 전송하는 중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영역을 벗어나면 전송 실패 알림을 전송하는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한 QR코드의 정보는 상기 QR코드를 스캔하여 생성된 이미지 또는 상기 QR코드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
  12. 화면을 통해 QR코드 및 상기 QR코드의 유효시간을 출력하고 상기 유효시간이 도과하면 상기 화면에 출력되는 QR코드를 변경하고 상기 유효시간을 갱신하는 현장 단말기; 및
    상기 QR코드를 스캔하고 상기 유효시간 이내에 상기 현장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영역 안에서 상기 QR코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단말기는 키오스크, 전광판, 광고판 및 TV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단말기는 상기 유효시간이 도과하면 상기 화면에 출력되는 QR코드를 변경하고 상기 유효시간을 갱신하는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QR코드를 전송한 시간이 상기 유효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QR코드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단말기는 복수개의 전자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한 QR코드와 상기 화면에 출력중인 QR코드가 일치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개의 전자 콘텐츠들 중 상기 화면에 출력중인 QR코드에 매칭된 특정 전자 콘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단말기는 복수개의 전자 콘텐츠를 저장하는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한 QR코드와 상기 화면에 출력중인 QR코드가 일치하면 상기 화면에 출력중인 QR코드에 매칭되는 특정 전자 콘텐츠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한 QR코드와 상기 화면에 출력중인 QR코드가 일치하면 상기 전자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접속주소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단말기는 상기 전자 콘텐츠의 사용시간이 종료되면 상기 접속주소를 폐기하고 상기 전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접속주소를 생성하는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영역 안에 실제로 존재하지 판단하기 위해서 상기 유효시간을 짧게 조절하는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단말기는 상기 전자 콘텐츠를 전송하는 중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영역을 벗어나면 전송 실패 알림을 전송하는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한 QR코드의 정보는 상기 QR코드를 스캔하여 생성된 이미지 또는 상기 QR코드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
PCT/KR2019/013148 2019-10-01 2019-10-08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WO202106623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308 2019-10-01
KR1020190121308A KR20210039030A (ko) 2019-10-01 2019-10-01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66237A1 true WO2021066237A1 (ko) 2021-04-08

Family

ID=75338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3148 WO2021066237A1 (ko) 2019-10-01 2019-10-08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39030A (ko)
WO (1) WO20210662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658B1 (ko) * 2022-06-21 2023-10-10 뭉클웍스 주식회사 Qr코드와 손글씨를 이용한 디지털 포스팅과 스마트 사이니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7581A (ja) * 2012-07-06 2014-01-30 Sharp Corp デジタルサイネージシステム及びそのデジタルサイネージシステムに用いるサーバ装置
KR20140017731A (ko) * 2012-07-31 2014-02-12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스캔 콘텐츠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KR20150105501A (ko) * 2014-03-06 2015-09-17 한혜운 오프라인 광고와 결합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모바일 장치 및 마케팅 서버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5252A (ko) * 2015-09-22 2017-03-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비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17188824A (ja) * 2016-04-07 2017-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サイネージ再生装置およびデジタルサイネージ再生装置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7581A (ja) * 2012-07-06 2014-01-30 Sharp Corp デジタルサイネージシステム及びそのデジタルサイネージシステムに用いるサーバ装置
KR20140017731A (ko) * 2012-07-31 2014-02-12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스캔 콘텐츠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KR20150105501A (ko) * 2014-03-06 2015-09-17 한혜운 오프라인 광고와 결합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모바일 장치 및 마케팅 서버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5252A (ko) * 2015-09-22 2017-03-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비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17188824A (ja) * 2016-04-07 2017-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サイネージ再生装置およびデジタルサイネージ再生装置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030A (ko) 2021-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37396A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영지식 증명 기반의 인증서 서비스 방법, 이를 이용한 인증 지원 서버 및 사용자 단말
WO2014137046A1 (ko) 사운드 신호 기반의 로컬 인터랙티브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로컬 인터랙티브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208188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32690A (ko) 오프라인 광고 이벤트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1066237A1 (ko)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EP26292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scannable codes, and code for use therein
WO2017175904A1 (ko) 잠금 화면을 이용한 메시지 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0131832A1 (en) A system for safe money transfer
EP1424645A2 (en) Method and system for gathering questionnaire information in an event hall
WO2018097400A1 (ko) 와이파이 식별자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WO2017111506A1 (ko) 본인 대면 확인 검증 시스템 장치
WO2022186527A1 (ko) 증강현실 기반 사진 앨범 제공 방법
WO2022231192A1 (ko) 블록체인 did 기반 증명서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9221309A1 (ko) 티켓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15080337A1 (ko) 온라인 명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4748523B2 (ja) 窓口申請交付システムおよび窓口申請交付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18016841A1 (ko)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및 제공방법
WO2019203500A1 (ko) 기준 영역에 의해 결정되는 우선순위에 따라 배너 광고를 콘텐츠 페이지에 삽입하여 제공하는 광고 서비스 시스템
WO2010036083A2 (ko) 카드거래 승인 정보를 이용한 가맹점 상세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176987B1 (ko) 페이퍼리스 전시회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WO2019117557A1 (ko) 기준 영역에 의해 배너 광고별 우선순위가 결정되는 배너 광고 서비스 시스템
WO2014112692A1 (ko) 콘텐츠 인지시간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WO2012005508A2 (ko) 네트워크상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웹서버
CN104202326A (zh) 一种手机与触摸屏的交互方式及其交互系统
WO2022130636A1 (ja) 訪問者応対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479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8.09.2022)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479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