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658B1 - Qr코드와 손글씨를 이용한 디지털 포스팅과 스마트 사이니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Qr코드와 손글씨를 이용한 디지털 포스팅과 스마트 사이니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658B1
KR102586658B1 KR1020220075241A KR20220075241A KR102586658B1 KR 102586658 B1 KR102586658 B1 KR 102586658B1 KR 1020220075241 A KR1020220075241 A KR 1020220075241A KR 20220075241 A KR20220075241 A KR 20220075241A KR 102586658 B1 KR102586658 B1 KR 102586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writing
user terminal
handwriting data
serv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구철
Original Assignee
뭉클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뭉클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뭉클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5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6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optical sc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QR코드와 손글씨를 이용한 디지털 포스팅 및 스마트 사이니지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한 손글씨 데이터를 서버에서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수신한 손글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기기에 맞게 변환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손글씨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QR코드와 손글씨를 이용한 디지털 포스팅과 스마트 사이니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MART SIGNAGE BASED AND DIGITAL POSTING ON QR CODE AND HANDWRITING}
본 발명은 QR코드와 손글씨를 이용한 디지털 포스팅과 스마트 사이니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손글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타자기, 휴대폰과 같은 디지털 입력 장치가 대중화되기 전에는 대부분의 데이터를 수기로 입력해야 했으며, 손글씨에 따라 정보의 정확성과 작성자의 감정 등을 다르게 표현할 수 있었다.
특히, 친근한 관계의 사용자들은 서로 손글씨로 적은 편지를 주고받거나(예, 펜팔)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쉽고 간단하게 주요 내용을 전달하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하지만, 키보드, 키패드와 같은 디지털 입력 장치가 일상 생활에 보편화되면서, 손글씨를 찾아보는 경우는 드물게 되었다. 유명 식당이나 명소에나 가야 유명 인사나 방문객들의 사인(sign)을 접할 수 있을 정도로 손글씨는 일상 생활에서 접할 기회가 적어지게 되었다.
다만, 손글씨에서 오는 정감과 같은 아날로그적 표현에 대해서는 디지털이 대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감성적인 표현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손글씨를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있으며, 예를 들어 캘리그래피(calligraphy)와 같은 형식으로 사용자들 간에 손글씨의 감성 공유를 유지하고 있다.
손글씨의 독특한 표현 방식이 존재하기 때문에, 손글씨를 디지털 기기에서도 쉽고 간편하게 입력 또는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본 개시에서는 QR코드와 손글씨를 이용한 디지털 포스팅과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손글씨를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비대면(contactless, untact) 상황에서도 사용자들 간의 감성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 스캐닝하는 QR 코드가 일정 주기로 갱신됨으로써 현장감 있는 손글씨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과잉 디지털 환경에서 차별화된 손글씨 데이터로 차별화하여 감성 마케팅의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손글씨를 활용함으로써 서버에서 매스미디어 및 개인 미디어 모두 접근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행 중인 사용자의 포스팅 태그에 따른 방문지 동선을 빅데이터로 분석하여, 여행자들에게 선제적으로 지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손글씨 기반의 스마트 사이니지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한 손글씨 데이터를 서버에서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수신한 손글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기기에 맞게 변환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손글씨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QR 코드를 스캐닝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손글씨 배경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QR 코드는 기설정된 시간 주기로 서버에서 재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단계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입체 구조,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치 구조,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원 스펙에 따라서, 상기 수신한 손글씨 데이터를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한 손글씨 데이터를 글자로 판독하여, 판독된 글자의 언어 종류, 글자의 의미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한 손글씨 데이터를 저장하는 손글씨 저장부; 상기 수신한 손글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기기에 맞게 변환하는 손글씨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손글씨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QR 코드를 스캐닝하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QR 접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QR 코드를 스캐닝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손글씨 배경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QR 코드는 기설정된 시간 주기로 서버에서 재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글씨 변환부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입체 구조,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치 구조,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원 스펙에 따라서, 상기 수신한 손글씨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글씨 변환부는, 상기 수신한 손글씨 데이터를 글자로 판독하여, 판독된 글자의 언어 종류, 글자의 의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의 사용 언어, 국적, 현재 위치정보에 근거한 기설정된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때,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손글씨를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비대면(contactless, untact) 상황에서도 사용자들 간의 감성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때, 사용자 단말에서 스캐닝하는 QR 코드가 일정 주기로 갱신됨으로써, 사용자들의 실시간 사용정보(시간, 동선 등)에 따른 할인쿠폰 제공과 예약 등의 연계가능한 맞춤형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때, 과잉 디지털 환경에서 차별화된 손글씨 데이터로 차별화하여 감성 마케팅의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때, 사용자 손글씨를 활용함으로써 서버에서 매스미디어 및 개인 미디어 모두 접근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때, 여행 중인 사용자의 포스팅 태그에 따른 방문지 동선을 빅데이터로 분석하여, 여행자들에게 선제적으로 지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은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스마트 사이니지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서버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스플레이 기기에서의 표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서버(200) 및 디스플레이 기기(3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로 서버(200) 및 또는 디스플레이 기기(300)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PC, MAC 등의 단말로서, 사용자의 손글씨를 입력할 수 있는 단말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에 손 또는 디지털 펜을 이용하여 손글씨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직접 사용자 단말(100)에 손글씨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뿐만 아니라, 미리 작성된 손글씨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 또는 타 사용자 단말에서 촬영 또는 스캐닝(scanning)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버(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PC, MAC 등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된 손글씨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서버이면 충분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스플레이 기기(300)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PC, MAC 등 손글씨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기기이면 충분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스플레이 기기(300)는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 기기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타 사용자 단말이 디스플레이 기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스플레이 기기(300)에는 기존의 2D, 커브드(curved), 3D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입체 구조로서 아나몰픽(Anamorphic) 기법을 이용할 수 있는 기기, 360도 표시가 가능한 기기도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스플레이 기기(300)는 단일 기기에서 다수의 손글씨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단일 기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스플레이 기기(300)는 복수의 기기들의 배치, 구조의 효과를 이용하여 하나의 손글씨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기기일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3은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스마트 사이니지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들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한 손글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210). 서버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홈페이지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손글씨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서버는 사용자 단말별 또는 사용자 계정별로 손글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화면 비율에 따라 서버에서 손글씨 공간의 배치 또는 배경 이미지를 다르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서버는 수신한 손글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기기에 맞게 변환할 수 있다(S220).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손글씨 데이터의 표시를 희망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식별된 디스플레이 기기의 입체 구조,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치 구조,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원 스펙에 따라서, 손글씨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서버는 변환된 손글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S230). 디스플레이 기기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손글씨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에서 손글씨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기 이전에,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손글씨 배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00). 이때,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QR 코드를 스캐닝하여 서버에 접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QR 코드는 관광지, 유명 맛집, 공연장 또는 박물관 등에 표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로써 QR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손글씨 배경에 손글씨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주도 유명 식당에서 QR 코드를 스캐닝하는 경우, 서버는 식당 로고가 결합된 제주 배경의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에서는 이러한 배경 이미지 상에 사용자의 손글씨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명 식당에서의 연예인 등의 방명록은 식당의 홍보 마케팅에 주요한 영향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식당에서도 적극적으로 이러한 방명록을 누적 관리하기 위하여 방송 출연이나 유튜브 크리에이터 유치 등에 힘쓰고 있다. 또한, 유튜브 크리에이터나 관광객들도 유명 맛집에 대한 방문 인증의 수단으로써, 해당 장소에 대한 촬영이나 위치 인증(예, GPS)을 하는 경우들이 많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연예인의 콘서트 현장에서 팬클럽 회원들에게만 제공하는 콘텐츠가 있기 때문에, 콘서트에 참석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 과정이 팬심 표현에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장 인증에 대한 조작 인증이나 어뷰징(abusing)이 늘어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현장에서의 인증을 담보하기 위한 과정으로, 서버에서 QR 코드를 일정 주기로 재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QR 코드를 일정 주기로 재생성함으로써, 서버는 QR 코드를 스캐닝하는 사용자들에게 시간대에 매칭된 배경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야경이 유명한 관광지에서 낮에 QR 코드를 스캐닝할 때에는 밝은 경치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에 손글씨 배경 이미지로 제공하고, 밤에는 야경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는 QR 코드를 스캐닝하는 시각으로부터 일정 범위에 촬영된 이미지를 손글씨 배경 이미지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눈이 오거나, 비가 오는 경우에도 현장의 모습을 손글씨 배경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손글씨를 작성하는 당시의 장면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손글씨 배경 이미지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의 손글씨 배경 이미지는 손글씨를 작성하려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촬영된 이미지일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서버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서버(200)는 손글씨 저장부(210), 손글씨 변환부(220) 및 통신부(230)를 포함한다. 도 4에는 미도시되었지만, 입출력부, 제어부, 전원부, 저장부 등이 서버(200)의 원활한 동작 수행을 위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손글씨 저장부(2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손글씨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손글씨 저장부(210)는 사용자 단말별 또는 사용자 계정별로 손글씨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화된 사용자의 손글씨 데이터는 친필 확인의 방법으로 사용자의 식별에 이용될 수 있으며, 또는 손글씨의 필기압, 필기 속도 등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감정을 파악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손글씨 저장부(210)는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손글씨 데이터를 손글씨 영상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손글씨 저장부(210)는 손글씨를 입력하기 시작한 시간부터 손글씨를 종료한 시간까지를 하나의 영상으로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글씨 감성 표현의 수단으로 삼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글씨를 입력하다가 지운 글자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손글씨를 이용한 감성 전달에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손글씨 변환부(220)는 손글씨 저장부(210)에 저장된 손글씨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손글씨 변환부(220)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입체 구조,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치 구조,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원 스펙(화면 비율 등)에 따라서, 상기 수신한 손글씨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손글씨 변환부(220)는 손글씨 데이터 자체의 의미 파악을 위하여 손글씨 데이터를 글자로 판독하여, 판독된 글자의 언어 종류, 글자의 의미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한글이 아닌 외국어로 손글씨를 남길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손글씨 변환부(220)는 외국어의 경우에도 영어인지 중국어인지 일본어인지 등을 구별할 수 있다. 구별하는 방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손글씨 변환부(220)는 손글씨 데이터의 문맥(context)을 파악하여, 사용자의 감정을 파악할 수 있다. 앞서 손글씨 저장부(210)에서 손글씨의 내용(단어), 필기압, 필기 속도 등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감정을 파악하는 것과 함께, 사용자의 감정을 결정함으로써,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배경 이미지 또는 이모티콘 등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랑”이라는 단어가 입력되는 경우,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하트 이미지를 배경 이미지 또는 이모티콘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글자의 크기에 비례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통신부(23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손글씨 데이터를 수신하며, 손글씨 변환부(220)에서 변환된 손글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통신부(23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손글씨 데이터를 수신하기 이전에, 손글씨 배경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스플레이 기기에서의 표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5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기(500a, 500b 및 500c)에서 손글씨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의 디스플레이 기기는 단일 기기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기기가 일정 형태(예, 가로 또는 세로)로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스플레이 기기는 하나의 손글씨 데이터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동일하게 표시할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손글씨 데이터를 분할하여 서로 다른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 때, 표시되는 손글씨 데이터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일정 시간 별로 표시되는 손글씨 데이터를 시프트(shift) 함으로써, 전광판 안내문과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최근에는 아나몰픽(Anamorphic) 착시 효과를 유도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손글씨를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기기들을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디스플레이 기기들의 식별 정보 및 배치 위치 정보를 기저장하고 있어, 디스플레이 기기에 맞게 손글씨 데이터를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기(600)에 손글씨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으며, 서버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손글씨 데이터 표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손글씨 데이터의 글자 크기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기기를 시청하는 사용자와의 거리를 계산하여, 가독성 있는 크기로 결정하여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손글씨 데이터를 온전히 표시하기 위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기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는 모두 동일 크기의 기기일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크기의 기기일 수 있기 때문에, 서버는 기기별 표시 크기를 고려하여 손글씨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글씨 데이터는 서버에서 판독할 수 있으며,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별로 필기체가 다르며, 필기체 별로 가독력이 달라지기 때문에, 서버는 손글씨를 일반적인 글씨체로 변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기(700)에는 변환된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되기 까지는 사용자의 텍스트 변환 요청(710)이 입력되어, 서버에서 변환을 수행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되는 단계에서 손글씨 데이터와 변환된 텍스트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텍스트 변환 요청(710)은 디스플레이 기기(700) 상의 터치 입력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기기(700)에 대한 음성 입력이나 별도의 명령 정보로 입력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되는 텍스트는 외국어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810) 등으로 번역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기기(800)에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외국어로 작성된 손글씨가 다른 외국어로 번역되는 것도 가능하다.
서버는 단일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표시되는 손글씨 데이터를 일대일 매칭하여 시간대별로 하나의 손글씨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손글씨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고, 가장 최신의 손글씨 데이터(910)가 최상단에 표시되도록 연출할 수 있다.
현실 공간에서의 방명록 등은 시간 순서로 스택(stack)되기 때문에, 서버는 각각의 손글씨 데이터에 대한 디스플레이 요청 시간 정보를 손글씨 저장부에서 저장하여, 시간별 손글씨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에서는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표시되는 손글씨 데이터에 대한 검색 및 변경 표시 요청을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일정 시간동안(예, 2022-05-18부터 2022-06-18) 서버로 전송된 손글씨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사용자 계정별(예, BTS 뷔의 손글씨)가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표시되도록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서버는 사용자의 손글씨 데이터가 SNS 상에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서버는 손글씨 데이터가 입력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손글씨 데이터와 함께 위치 데이터를 메타 데이터로서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복수의 손글씨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각각의 위치 정보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동선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동선을 분석하여 예상되는 이동 장소를 통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대 여성 2인이 경주 여행을 하는 경우, 오후에 첨성대 및 황리단길에 위치하는 경우, 저녁시간(7-9시)에 동궁과 월지에 가는 확률이 70%라고 결정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에 동궁과 월지와 관련된 여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는 단순히 여행지의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여행지 주변의 높은 평점의 식당에서의 저녁 식사에 대한 메뉴 추천 및 할인쿠폰 정보와 함께 실시간 좌석예약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에서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사용자의 손글씨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을 중점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 기기는 사용자의 손글씨 데이터 외에도 다양한 데이터(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예를 들면, 20대 여성 2인의 동선이 점차 동궁과 월지에 가까워진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는 동궁과 월지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OOO님의 방문을 환영합니다”와 같은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되는 손글씨 데이터에 대하여 사용자의 이용 동의 전제로 SNS 상에서 공유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정 사용자의 이동 동선을 추적/기록하게 하는 콘텐츠로 제공할 수 있다. 당사자로서는 본인의 여행 기록의 수단이 될 수 있으며, 타 사용자들에게는 여행 계획에 참고할 수 있는 정보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서버는 특정 장소에 작성된 손글씨 데이터에 대해서 특정 장소에 위치한 사용자들에게만 표시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손글씨 데이터에 대하여 다른 타 사용자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서버는 선택된 타 사용자만 사용자의 손글씨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보안 기능(예, 비밀번호)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의 손글씨 정보는 특정 위치와 연동되어 메타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마케팅에 활용하는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QR 코드를 스캐닝함으로써, 또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기능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서 스캐닝하는 QR 코드는 서버에 기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와 매칭되어 있기 때문에, 서버는 정확하게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는 손글씨를 작성하려는 사용자 단말에 해당 지역과 관련된 콘텐츠(쿠폰, 상품권,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사용자가 손글씨 배경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손글씨 배경 이미지 중에 광고 또는 쿠폰 이미지를 배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특수한 공간의 경우에는 손글씨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항이나 기차역과 같은 공간에 키오스크를 설치하거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출발 또는 도착을 알리는 손글씨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탑승 대기시에 본인이 선택한 이미지 또는 서버에서 제공하는 이미지에 손글씨를 작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서버를 통해 온라인 상으로 사용자 단말(SNS 공유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에 제공되거나, 실물 인쇄물로 출력되어 사용자 주소로 배송되는 등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단말
200: 서버
210: 손글씨 저장부
220: 손글씨 변환부
230: 통신부

Claims (10)

  1. 손글씨 기반의 스마트 사이니지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서 QR 코드를 스캐닝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손글씨 배경 정보를 전송하는 제1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한 손글씨 데이터를 서버에서 수신하는 제2 단계;
    상기 수신한 손글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기기에 맞게 변환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손글씨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한 손글씨 데이터를 글자로 판독하여, 판독된 글자의 언어 종류, 글자의 의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사용 언어, 국적, 현재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글자에 기설정된 이미지 또는 이모티콘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손글씨 데이터가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동선에 기초하여 여행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손글씨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식별된 디스플레이 기기의 입체 구조,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치 구조,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원 스펙에 따라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되도록 기기별 표시 크기를 고려하여 손글씨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4 단계는,
    복수의 손글씨 데이터가 시간 순서로 스택(stack)되어, 각각의 손글씨 데이터에 대한 디스플레이 요청 시간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단계이고,
    상기 손글씨 배경 정보는 복수의 손글씨 배경 이미지 중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배경 정보이며,
    상기 제4 단계 이후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손글씨 데이터의 텍스트 변환 요청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손글씨 데이터를 분석된 텍스트로 병기 표시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이니지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는 기설정된 시간 주기로 서버에서 재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이니지 제공 방법.
  4. 삭제
  5. 삭제
  6.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한 손글씨 데이터를 저장하는 손글씨 저장부;
    수신한 손글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기기에 맞게 변환하는 손글씨 변환부;
    상기 변환된 손글씨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QR 코드를 스캐닝하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QR 접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QR 코드를 스캐닝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손글씨 배경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는 상기 수신한 손글씨 데이터를 글자로 판독하여, 판독된 글자의 언어 종류, 글자의 의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사용 언어, 국적, 현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글자에 기설정된 이미지 또는 이모티콘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손글씨 데이터가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동선에 기초하여 여행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손글씨 변환부는,
    상기 손글씨 변환부에서 손글씨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식별된 디스플레이 기기의 입체 구조,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치 구조,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원 스펙에 따라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되도록 기기별 표시 크기를 고려하여 손글씨 데이터를 변환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손글씨 데이터의 텍스트 변환 요청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손글씨 데이터를 분석된 텍스트로 병기 표시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통신부는,
    복수의 손글씨 데이터가 시간 순서로 스택(stack)되어, 각각의 손글씨 데이터에 대한 디스플레이 요청 시간 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손글씨 배경 정보는 복수의 손글씨 배경 이미지 중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배경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는 기설정된 시간 주기로 서버에서 재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이니지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075241A 2022-06-21 2022-06-21 Qr코드와 손글씨를 이용한 디지털 포스팅과 스마트 사이니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586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241A KR102586658B1 (ko) 2022-06-21 2022-06-21 Qr코드와 손글씨를 이용한 디지털 포스팅과 스마트 사이니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241A KR102586658B1 (ko) 2022-06-21 2022-06-21 Qr코드와 손글씨를 이용한 디지털 포스팅과 스마트 사이니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6658B1 true KR102586658B1 (ko) 2023-10-10

Family

ID=8829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241A KR102586658B1 (ko) 2022-06-21 2022-06-21 Qr코드와 손글씨를 이용한 디지털 포스팅과 스마트 사이니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6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458B1 (ko) * 2007-04-02 2008-02-0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필기 메시지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필기 메시지 전송 방법
KR20150024262A (ko) * 2013-08-26 2015-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필기 컨텐츠를 작성하는 사용자 기기 및 방법
KR20160066866A (ko) * 2014-12-03 2016-06-13 (주) 애드캐스팅 전자식 알림 보드 및 이를 이용하여 마케팅 관련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KR102202840B1 (ko) * 2019-11-28 2021-01-14 (주)아바비젼 크로마키와 qr코드를 이용한 합성사진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210039030A (ko) * 2019-10-01 2021-04-09 주식회사 북이오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458B1 (ko) * 2007-04-02 2008-02-0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필기 메시지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필기 메시지 전송 방법
KR20150024262A (ko) * 2013-08-26 2015-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필기 컨텐츠를 작성하는 사용자 기기 및 방법
KR20160066866A (ko) * 2014-12-03 2016-06-13 (주) 애드캐스팅 전자식 알림 보드 및 이를 이용하여 마케팅 관련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KR20210039030A (ko) * 2019-10-01 2021-04-09 주식회사 북이오 사용시간이 제한된 전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2202840B1 (ko) * 2019-11-28 2021-01-14 (주)아바비젼 크로마키와 qr코드를 이용한 합성사진 제공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9488B2 (en) Intelligent virtual keyboards
US9400806B2 (en) Image triggered transactions
CN103460233A (zh) 用于地理社交网络系统的基于广告的位置排序
CN102356405A (zh) 将所呈现的广告与数字内容相关联
KR20140072786A (ko) 이미지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 웹사이트 상에 메시지를 포스팅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aters QR codes for dummies
Nesbitt-Ahmed Reclaiming African literature in the digital age: An exploration of online literary platforms
KR20130030434A (ko) 온라인 상에 게재된 웹 문서 기반 상권 분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Tagg et al. Mobile messaging and resourcefulness: A post-digital ethnography
Katlav QR code applications in tourism
JP5492029B2 (ja) 情報処理装置、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方法およ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用プログラム
KR102586658B1 (ko) Qr코드와 손글씨를 이용한 디지털 포스팅과 스마트 사이니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9121200A (ja) 旅行支援装置並びに旅行者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rakash et al. Smart destination marketing in the digital age
KR102344982B1 (ko) 해외 신용카드 결제가능 매장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50120728A1 (en) E-book service provision system, e-book service provis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evic et al. The role of social media in contemporary tourism business
JP645611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20908B1 (ko) 팜플렛의 추가 컨텐츠를 휴대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Maurya et al. Application of Google Lens to Promote Information Services beyond the Traditional Techniques
Johnsen Multilingual Digital Marketing
Chang et al. Examining the provision of railway transit information to foreign visitors in the Tokyo metropolitan area and strategies for improvement
Ghanem The Adoption of Web1. 0 and Web2. 0 Technologi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op Ten Destinations in Africa and the Middle East
Labudová Possibilities of Using Online Tool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City Marketing
KR20140067423A (ko) 색상코드에 의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인식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