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66232A1 - 인체공학적인 신발용 안창 - Google Patents

인체공학적인 신발용 안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66232A1
WO2021066232A1 PCT/KR2019/012986 KR2019012986W WO2021066232A1 WO 2021066232 A1 WO2021066232 A1 WO 2021066232A1 KR 2019012986 W KR2019012986 W KR 2019012986W WO 2021066232 A1 WO2021066232 A1 WO 202106623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sole
polygonal
wall portion
shoe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298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럼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럼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럼이스
Publication of WO202106623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66232A1/ko
Priority to US17/466,617 priority Critical patent/US112192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09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alveolar or honeycomb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ith heel or toe c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Definitions

  • the insole for sho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insole and a shoe for improving the comfort of walking by distributing the load concentrated on the back of the sole of the shoe wearer.
  • the foot is a human body for walking and is an important part of the human body that touches the ground during walking or exercise to support the body, and shoes are always worn outdoors to protect these feet.
  • an insole that plays a role of adjusting height or cushioning for shock absorption is usually plac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shoes.
  • the function of the shoe is limited to the function of simply protecting the foot from the outside, if the insole is not placed, the foot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shock is transmitted through the sole as it is, and the foot is easily fatigued.
  • a protrusion or a stimulation part on the upper surface of a specific area so that acupressure can be applied to the sole of the foot, or by forming a hole to impart breathability, there is a method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odor.
  • the insole formed with such a honeycomb structure there is a shoe insole having a hexagonal multi-cell type buffering means in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90595, and the insole for shoes having a hexagonal multi-cell type buffering means is basically shock absorbing.
  • a hexagonal hole is formed in the insole made of a material so that the wall between the hole and the hole forms a honeycomb structure, and an insole equipped with a buffer part of hexagonal multi-cells having a honeycomb structure is used.
  • the inside of the honeycomb structure that is, the inside of the cell
  • This honeycomb structure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insole or may be partially formed.
  •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e insole made of impact-absorbing material is additionally stacked and fixed on the insole of the honeycomb structure is also provided.
  • the air filled in (inside) absorbs the impact, and the honeycomb structur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insoles distributes the impact.
  • the air layer in the shoe insol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effect is insufficient in terms of shock absorption because the air layer does not sufficiently absorb the shock.
  • the insole for sh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ncrease the fit by dispersing the pressure applied locally to the foot of the shoe wearer.
  • An insole for threading is to provide a solid and comfortable shoe insole by forming a honeycomb structure on the lower surface.
  • a plurality of first polygonal grooves formed and arranged in a hexagonal shape on a lower surface of the insole; A first wall portion forming an edge of the first polygonal groove; And a second polygonal groove on which an edge is formed including a second wall portion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wall portion, disposed in the pressure distributing portion, which is a part of the inner and lower surface of the insole.
  • a plurality of second polygonal grooves are formed, and an edge of the plurality of second polygonal grooves includes a first wall portion; And a second polygonal groove configured to connect the first wall portion and the second wall portion to each other, and further comprising a third wall portion having a slope lowering from the height of the first wall portion to the height of the second wall portion.
  • a plurality of second polygonal grooves are formed, and one of the plurality of wall portions forming an edge of the plurality of second polygonal grooves is omitted to open the second polygonal grooves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sole for a shoe, including a groove.
  • two second polygonal groove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middle of the pressure distribution unit, and a plurality of open second polygonal grooves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two second polygonal grooves, and an insole for shoes can be provided. .
  • first polygonal groove and the second polygonal groove may be formed in the same pattern with each other having a hexagonal shap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hoe insole.
  • the shap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nsole may be provided with a round shape at the rear and a square shape at the front, but the pressure dispersing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and a shoe insole may be provided.
  • the heel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rear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sole, and the heel support portion includes a downward slope formed inclined portion whose inclination becomes steeper from the rear of the insole to the front, providing an insole for shoes can do.
  • a plurality of first polygonal grooves formed and arranged in a polygonal shap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A first wall portion forming an edge of the first polygonal groove; And a second polygonal groove formed with an edge including a second wall portion disposed in a pressure distribution portion that is a portion of the inner and lower surface of the insole and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wall portion.
  • the insole for a shoe includes a pressure dispersing unit to distribute pressure applied locally to a wearer's foot to increase a fit.
  • the insole for threading may provide a solid and comfortable shoe insole by forming a honeycomb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hexagonal grooves and second hexagonal grooves on a lower surface.
  • the pressure dispersing part of the insole is formed in a position that is skewed from the center to the inner part of the foot, the center point of the foot contacting the ground when the user walks while wearing the insole may shift mainly to the inner part of the foot.
  • both feet can be gathered in the inner direction of each other, providing a comfortable fit for users who mainly wear out the outer part of the shoe due to poor gait and also an effect that can correct the gait. do.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nderside of a pair of shoe inso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surface of a pair of shoe inso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surface of the insole for sh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ssure distribution unit of the insole for sh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bottom view showing a pressure distribution unit of the insole for sh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n upper surface of an insole for a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side surface of an insole for a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surface 20 of a pair of shoe insole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surface 10 of a pair of shoe insole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surface 20 of the insole 1 for sh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sole 1 for a shoe has a round shape in the rear part disposed adjacent to the user's heel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middle part of the user's foot.
  • the front portion of which is formed may have a square shape with rounded corners.
  • the shape of the lower surface 20 of the insole may be similar to a shape in which a horizontal straight line is draw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etter U (just like a horseshoe shape).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essure distribution unit 30 of the insole (1) for sh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pressure dispersing unit 30 of the insole 1 for sh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sole 1 for shoes includes a first polygonal groove 21, a first wall 22, a pressure distribution unit 30, and a second polygon.
  • a groove 31, a second wall portion 32, and a third wall portion 33 may be included.
  • the first polygonal groove 21 may be a plurality of hexagonal grooves formed and arranged in a hexagonal shape on the lower surface 20 of the insole. Five first polygonal grooves 21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horizontally of the insole. The plurality of first polygonal grooves 21 may b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lower surface 20 of the insole and may be arranged in a honeycomb structure having a honeycomb shape as a whole. In addition, the first polygonal groove 21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pentagon, a heptagon, and an octagon as well as a hexagonal shape. Further, adjacent polygonal shapes may have the same shape, but may have different polygonal shapes.
  • the first polygonal groove 21 has a hexagonal shape.
  • the first wall portion 22 may be a partition wall member forming an edge of the first polygonal groove 21.
  • the plurality of first polygonal grooves 21 may be formed with one first wall portion 22 interposed therebetween. That is, the first polygonal grooves 21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wall portion 22 is shared as one side of a hexagon.
  • the pressure distribution unit 30 may be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20 formed inside the insole.
  • the pressure dispersing unit 30 may be formed in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20 of the insole.
  • the part where the heel of the foot is disposed is the rear of the insole, the opposite side is the front, the part where the outer blade of the foot (the blade in the direction adjacent to the little toe) is disposed is the outside of the insole, and the inside of the foot It may be the inside of the insole where the blade (the blade in the direction adjacent to the thumb foot) is placed. That is, the pressure distribution unit 30 is disposed at a position slightly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blade of the foot from the center of the insole.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structure of the pressure distribution uni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oot may be concentrated toward the pressure distribution unit when the user walks.
  • the second polygonal groove 31 is disposed in the pressure distribution unit 30 and may be a groove formed with an edge including the second wall portion 32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wall portion 22.
  • the second polygonal groove 31 has a hexagonal shape and may be formed in the same pattern as the first polygonal groove 21.
  • the second polygonal groove 31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pentagon, a heptagon, and an octagon as well as a hexagonal shape.
  • the second polygonal groove 31 has a hexagonal shape.
  • the second polygonal groove 31 may include a second wall portion 32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wall portion 22 to have an edge.
  • the second polygonal groove 31 connects the first wall portion 22 and the second wall portion 32 to each other, and has a slope that decreases from the height of the first wall portion 22 to the height of the second wall portion 32.
  • the branch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third wall portion 33.
  • the second polygonal groove 31 is surrounded by three first wall portions 22 and two second wall portions 32 and connects the first wall portion 22 and the second wall portion 32 to the first wall portion. It may be formed including the three-wall portion 33.
  • all six sides of the second polygonal groove 31 may be formed as the second wall portion 32.
  • one of the plurality of wall portions forming the rim of the plurality of second polygonal grooves 31 is omitted, so that an open second polygon that is open to the other adjacent second polygonal grooves 31 is omitted.
  • a groove 34 may be formed.
  • the second wall portion 32 blocking the two second polygonal grooves 31 may be omitted so that the open second polygonal groove 34 in a ten-shaped shape may be formed.
  • the wall portion is omitted, the hardness of the pressure distribution unit 30 is weakened, and when the weight of the shoe wearer is applied to the pressure distribution unit 30, the pressure distribution unit 30 may be more flexibly deformed.
  • the pressure distribution unit 30 may have a shape in which several second polygonal grooves 31 and open second polygonal grooves 34 are gathered as a whole.
  • two second polygonal grooves 31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middle of the pressure distribution unit 30, and a plurality of open second polygonal grooves 34 are adjacent to the two second polygonal grooves 31.
  • the pressure distribution unit 30 may be formed by a combination of a total of four second polygonal grooves 31 and three open type second polygonal grooves 34.
  •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upper surface 10 of the shoe inso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insole 1 for sh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heel support part 1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0 of the shoe inso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eel support 11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ar edge of the upper surface 10 of the insole to support the heel of the foot.
  • the heel support portion 11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111 having a downward slope form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of the insole.
  • the inclined portion 111 may be for allowing the shoe insole 1 to be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shoe without a sense of foreignness.
  • the inclination (deg) of the inclined portion 111 may be formed to be steeper toward the front from the rear of the insole.
  • the upper surface 10 of the insole may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rear to the front.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insole is lowered from the back of the shoe to the front, and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height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shoe to the front of the insole, so that the comfort of the shoe can be improved.
  • the insole 1 for shoes includes the pressure dispersing unit 30 to distribute pressure applied locally to the wearer's feet to increase a fit.
  • the insole 1 for threading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olygonal grooves 21 and second polygonal grooves 31 on the lower surface 20 to form a honeycomb structure to form a solid and comfortable shoe.
  • Dragon insoles can be provid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공학적인 신발용 안창에 있어서, 안창의 아랫면에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배열된 복수개의 제1다각형홈; 제1다각형홈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1벽부; 및 안창의 안쪽이자 아랫면의 일부분인 압력분산부에 배치되고, 제1벽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제2벽부를 포함하여 테두리가 형성된 제2다각형홈을 포함하는, 신발용 안창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인체공학적인 신발용 안창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안창은 신발 착용자의 발바닥 뒷부분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보행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한 신발용 안창 및 신발에 관한 것이다.
발은 보행을 위한 인체 기관으로 보행이나 운동시에 지면에 접촉되어 몸을 받쳐주는 인체의 중요한 부분이며, 실외에서는 이러한 발을 보호하기 위해 항상 신발을 착용한다.
신발의 착용시 신발 내측 바닥면에는 보통 높이 조절의 역할이나 충격 흡수를 위한 쿠션 역할을 수행하는 안창(insole)을 깔아주게 된다.
신발의 기능은 단순히 외부로부터 발을 보호하는 기능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깔창을 깔아주지 않는 경우 발바닥이 지면에 접촉되면서 충격이 그대로 발바닥을 통해 전해져서 발이 쉽게 피로해진다.
또한 신발에 안창이 없다면 발에서 발생한 땀으로 인해 신발에서 악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안창을 신발 안에 깔아준 뒤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발바닥과 접촉하는 안창이 보행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 착용자의 발을 보호함과 동시에 피로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높이 조절, 충격 흡수 등의 기본적인 기능 외에 피로 회복, 건강 증진 기능, 특수 치료 기능, 냄새 제거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춘 기능성 안창들이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특정 부위의 상면에 돌기 또는 자극부를 형성하여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도록 하거나, 홀을 형성하여 통기성을 부여함으로써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 등이 있다.
또한 안창의 기능 중 발을 보호하고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측면에서 재질, 구조 등을 개선하는 여러 시도가 있었으며, 그 중에서 벌집 구조를 형성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안창이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벌집 구조를 형성한 깔창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0595호 육각 다중셀형의 완충수단을 가지는 신발용 깔창이 있으며, 상기 육각 다중셀형의 완충수단을 가지는 신발용 깔창은 기본적으로 충격흡수 소재로 된 깔창에 육각형 모양의 홀을 형성하여 홀과 홀 사이의 벽이 벌집 구조를 이루도록 한 것으로, 벌집 구조를 가진 육각 다중 셀(cell)의 완충부를 구비한 깔창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깔창을 신발 내측에 깔아준 뒤 착용자가 신발을 신게 되면, 벌집 구조의 내부, 즉 셀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서 공기가 채워진 공간에서 충격흡수층이 만들어지고, 발바닥과 직접 접촉하는 벌집 구조의 벽이 충격을 분산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벌집 구조는 깔창의 전체 면적에 형성되거나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벌집 구조의 깔창 위에 충격흡수소재로 제작된 별도의 깔창을 추가로 적층 고정한 구조도 제공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 역시 벌집 구조의 하부 깔창 위에 별도의 상부 깔창이 적층되면서 벌집 구조의 내부(셀의 내부)에 채워진 공기가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상, 하부 깔창 사이 벌집 구조의 벽이 충격을 분산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부 깔창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신발 깔창에는 공기층이 충분한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여 충격 흡수 측면에서 효과가 미흡한 단점이 있다.
또한 깔창이 노후화되며 벌집 구조가 쉽게 무너져서 충격을 분산하는 효과가 현저히 낮아지며, 셀 내부에 채워진 공기에 탄성력이 거의 없으므로 기능성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일정 방향으로 반복적인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이를 충분히 지지하지 못하여 하중이 가해진 방향으로 지지체들이 쓰러지거나 뜨거운 온도에 의해 가열된 상태에서 지지력을 잃고 변형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안창은 신발 착용자의 발에 국소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켜 착용감을 높이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발용 안창은 아랫면에 허니콤 구조를 형성하여 견고하면서도, 편안한 신발용 안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공학적인 신발용 안창에 있어서, 안창의 아랫면에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배열된 복수개의 제1다각형홈; 제1다각형홈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1벽부; 및 안창의 안쪽이자 아랫면의 일부분인 압력분산부에 배치되고, 제1벽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제2벽부를 포함하여 테두리가 형성된 제2다각형홈을 포함하는, 신발용 안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다각형홈은 복수개 형성되고, 복수개의 제2다각형홈 중에 그의 테두리가 제1벽부; 및 제1벽부와 제2벽부를 서로 연결하고, 제1벽부의 높이로부터 제2벽부의 높이로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는 제3벽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다각형홈을 포함하는, 신발용 안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다각형홈은 복수개 형성되고, 복수개의 제2다각형홈 중에 그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벽부 중에 어느 하나가 생략되어 인접한 다른 제2다각형홈과 서로 개방되는 개방형 제2다각형홈을 포함하는, 신발용 안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압력분산부의 가운데에 제2다각형홈이 인접하여 두개 배치되고, 두개의 제2다각형홈에 인접하게 복수개의 개방형 제2다각형홈이 배치되는, 신발용 안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다각형홈과 제2다각형홈은 육각형 형상을 가지는 서로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된, 신발용 안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안창의 아랫면의 형상은 뒤쪽이 둥근형상이고 앞쪽이 사각형상을 가지되, 압력분산부는 아랫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신발용 안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안창의 윗면 뒤쪽 테두리에 돌출 형성되는 뒤꿈치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뒤꿈치받침부는 안창의 뒤쪽에서 앞쪽으로 갈수록 경사도가 가파르게 되는 하향경사가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신발용 안창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바닥면에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배열된 복수개의 제1다각형홈; 상기 제1다각형홈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1벽부; 및 상기 안창의 안쪽이자 아랫면의 일부분인 압력분산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벽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제2벽부를 포함하여 테두리가 형성된 제2다각형홈을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안창은 압력분산부를 포함하여 착용자의 발에 국소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켜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발용 안창은 아랫면에 제1육각홈 및 제2육각홈을 복수개 포함하여 허니콤 구조를 형성하여 견고하면서도, 편안한 신발용 안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창의 압력분산부가 중심에서 발의 안쪽부분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안창을 착용하여 보행할 때에 지면과 맞닿는 발의 중심점이 주로 발의 안쪽 부분으로 옮겨가게 될 수 있다. 즉, 보행시 양 발을 서로 발의 안쪽 방향으로 모아줄 수 있게 되어, 보행자세가 좋지 않아 신발의 바깥쪽 부분이 주로 닳게 되는 사용자들에게는 편한 착용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보행자세를 교정시켜줄 수 있는 효과까지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신발용 안창의 아랫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신발용 안창의 윗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안창의 아랫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안창의 압력분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안창의 압력분산부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안창의 윗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안창의 옆면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공학적인 신발용 안창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한편, 아래에서는 신발용 안창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창 뿐만 아니라, 신발의 바닥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신발용 안창(1)의 아랫면(2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신발용 안창(1)의 윗면(1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안창(1)의 아랫면(2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안창(1)은 전체적인 형상이 사용자의 발 뒤꿈치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뒤쪽 부분이 둥근형상이고 사용자의 발 중간 부분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앞쪽 부분이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안창의 아랫면(20)의 형상은 알파벳 U의 상부에 수평 직선이 그려진 형상과 유사(마치 말발굽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안창(1)의 압력분산부(3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안창(1)의 압력분산부(30)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안창(1)은 제1다각형홈(21), 제1벽부(22), 압력분산부(30), 제2다각형홈(31), 제2벽부(32), 제3벽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다각형홈(21)은 안창의 아랫면(20)에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배열된 복수개의 육각형 형상의 홈일 수 있다. 제1다각형홈(21)은 안창의 가로로 5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다각형홈(21)은 안창의 아랫면(20)에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벌집형태인 허니콤(Honeycomb)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다각형홈(21)은 육각형 형상 뿐만 아니라 오각형, 칠각형, 팔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이웃하는 다각형 형상이 서로 동일한 형상일수도 있으나, 서로 다른 다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1다각형홈(21)이 육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제1벽부(22)는 제1다각형홈(21)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격벽부재일 수 있다. 복수개의 제1다각형홈(21)은 하나의 제1벽부(22)를 사이에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다각형홈(21)들은 제1벽부(22)를 육각형의 일변으로서 공유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보행할 때 체중이 그의 발의 뒤쪽과 바깥쪽에 집중되는데, 발의 안쪽에 위치되는 압력분산부(30)는 이러한 체중의 집중을 압력분산부(30)쪽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발의 전체에 걸쳐 보행시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압력분산부(30)는 안창의 안쪽에 형성된 아랫면(20)의 일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분산부(30)는 안창의 아랫면(20)의 안쪽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의 뒤꿈치가 배치되는 부분이 안창의 뒤쪽이고, 그 반대편이 앞쪽이고, 발의 바깥쪽 날(새끼 발가락과 인접한 방향의 날)이 배치되는 부분이 안창의 바깥쪽이고, 발의 안쪽 날(엄지 발까락과 인접한 방향의 날)이 배치되는 안창의 안쪽일 수 있다. 즉, 압력분산부(30)는 안창의 중심에서 발의 안 쪽 날에 대응되는 측방향으로 약간 이동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압력분산부의 위치 및 구조에 따라, 사용자가 보행시 압력분산부 쪽에 발의 무게중심이 쏠리게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보행시 사용자의 발의 안쪽 부분에 힘이 실리거나, 무게중심이 발의 안쪽 부분으로 이동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보행자세가 잘못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정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일 예로, 보행자세가 잘못되어 있어, 걸을 때 지면과 발의 바깥쪽이 주로 맞닿게 되는 경우, 신발 바닥면 중의 바깥쪽에 대응하는 면이 빨리 닳을 수 있다. 이러한 사람들에게 본 발명의 안창 또는 신발 바닥면 구조를 제공할 경우, 지면과 맞닿는 신발 바닥면을 교정해줄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보행자세를 교정시켜 줄 수 있다.
제2다각형홈(31)은 압력분산부(30)에 배치되며, 제1벽부(22)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제2벽부(32)를 포함하여 테두리가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제2다각형홈(31)은 육각형의 형상을 가져서 상기 제1다각형홈(21)과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또한, 제2다각형홈(31)은 육각형 형상 뿐만 아니라 오각형, 칠각형, 팔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2다각형홈(31)이 육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제2다각형홈(31)은 제1벽부(22) 보다 높이가 낮은 제2벽부(32)를 포함하여 테두리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다각형홈(31)은 제1벽부(22)와 제2벽부(32)를 서로 연결하고, 제1벽부(22)의 높이로부터 제2벽부(32)의 높이로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는 제3벽부(3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다각형홈(31)은 3개의 제1벽부(22)와 2개의 제2벽부(32)로 둘러싸이고 제1벽부(22)와 제2벽부(32)를 연결하는 1개의 제3벽부(33)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다각형홈(31)은 6개의 변이 모두 제2벽부(32)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압력분산부(30)에는 복수개의 제2다각형홈(31) 중에 그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벽부 중에 어느 하나가 생략되어 인접한 다른 제2다각형홈(31)과 서로 개방되는 개방형 제2다각형홈(3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다각형홈(31) 두개를 가로막는 제2벽부(32)가 생략되어 10각형 모양의 개방형 제2다각형홈(34)이 형성될 수 있다. 벽부가 생략됨에 따라서, 압력분산부(30)의 경도가 약해지고, 신발 착용자의 체중이 압력분산부(30)에 가해지면 압력분산부(30)가 더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압력분산부(30)는 전체적으로 여러 개의 제2다각형홈(31) 및 개방형 제2다각형홈(34)이 모여진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분산부(30)의 가운데에 제2다각형홈(31)이 인접하여 두개 배치되고, 두개의 제2다각형홈(31)에 인접하게 복수개의 개방형 제2다각형홈(34)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압력분산부(30)는 총 4개의 제2다각형홈(31)과 3개의 개방형 제2다각형홈(34)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안창(1)의 윗면(10)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안창(1)의 옆면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안창(1)의 윗면(10)에는 뒤꿈치받침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뒤꿈치받침부(11)는 안창의 윗면(10) 뒤쪽 테두리에 돌출 형성되어 발의 뒤꿈치를 받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뒤꿈치받침부(11)는 안창의 뒤쪽에서 앞쪽으로 갈수록 하향경사가 형성된 경사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111)는 신발의 내측에 신발용 안창(1)이 이질감 없이 장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경사부(111)의 경사도(deg)는 안창의 뒤쪽에서 앞쪽으로 갈수록 가파르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창의 윗면(10)은 뒤쪽에서 앞쪽으로 하향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신발의 뒤쪽으로부터 앞쪽으로 갈수록 안창의 높이가 낮아지고 안창의 맨 앞쪽은 신발의 안쪽 바닥과 높이 차이가 거의 없게 되어 신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안창(1)은 압력분산부(30)를 포함하여 착용자의 발에 국소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켜 착용감을 높이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발용 안창(1)은 아랫면(20)에 제1다각형홈(21) 및 제2다각형홈(31)을 복수개 포함하여 허니콤 구조를 형성하여 견고하면서도, 편안한 신발용 안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신발용 안창
10: 윗면
11: 뒤꿈치받침부
111: 경사부
20: 아랫면
21: 제1다각형홈
22: 제1벽부
30: 압력분산부
31: 제2다각형홈
32: 제2벽부
33: 제3벽부
34: 개방형 제2다각형홈

Claims (7)

  1. 인체공학적인 신발용 안창에 있어서,
    상기 안창의 아랫면에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배열된 복수개의 제1다각형홈;
    상기 제1다각형홈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1벽부; 및
    상기 안창의 안쪽이자 아랫면의 일부분인 압력분산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벽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제2벽부를 포함하여 테두리가 형성된 제2다각형홈을 포함하는, 신발용 안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다각형홈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다각형홈 중에 그의 테두리가 상기 제1벽부; 및
    상기 제1벽부와 상기 제2벽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1벽부의 높이로부터 상기 제2벽부의 높이로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는 제3벽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다각형홈을 포함하는, 신발용 안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다각형홈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다각형홈 중에 그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벽부 중에 어느 하나가 생략되어 인접한 다른 제2다각형홈과 서로 개방되는 개방형 제2다각형홈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분산부의 가운데에 상기 제2다각형홈이 인접하여 두개 배치되고, 상기 두개의 제2다각형홈에 인접하게 복수개의 상기 개방형 제2다각형홈이 배치되는, 신발용 안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각형홈과 상기 제2다각형홈은 육각형 형상을 가지는 서로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된, 신발용 안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창의 아랫면의 형상은 뒤쪽이 둥근형상이고 앞쪽이 사각형상을 가지되, 상기 압력분산부는 상기 아랫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신발용 안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창의 윗면 뒤쪽 테두리에 돌출 형성되는 뒤꿈치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뒤꿈치받침부는 상기 안창의 뒤쪽에서 앞쪽으로 갈수록 경사도가 가파르게 되는 하향경사가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신발용 안창.
  7. 인체공학적인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바닥면에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배열된 복수개의 제1다각형홈;
    상기 제1다각형홈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1벽부; 및
    상기 안창의 안쪽이자 아랫면의 일부분인 압력분산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벽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제2벽부를 포함하여 테두리가 형성된 제2다각형홈을 포함하는, 신발.
PCT/KR2019/012986 2019-10-04 2019-10-04 인체공학적인 신발용 안창 WO2021066232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66,617 US11219272B1 (en) 2019-10-04 2021-09-03 Insole for ergonomic sho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752A KR102221319B1 (ko) 2019-10-04 2019-10-04 인체공학적인 신발용 안창
KR10-2019-0122752 2019-10-0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7/466,617 Continuation US11219272B1 (en) 2019-10-04 2021-09-03 Insole for ergonomic sho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66232A1 true WO2021066232A1 (ko) 2021-04-08

Family

ID=75151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2986 WO2021066232A1 (ko) 2019-10-04 2019-10-04 인체공학적인 신발용 안창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19272B1 (ko)
KR (1) KR102221319B1 (ko)
WO (1) WO20210662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92088B2 (en) * 2021-05-31 2024-05-28 Chadrian T. Johnson Breathable ergonomic shoe insole
US20230151517A1 (en) * 2021-11-18 2023-05-18 Hurdle Apparel Inc. Sock and a method of knitting a sock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511U (ja) * 1993-12-28 1995-07-18 美津濃株式会社 カップインソール
KR100647108B1 (ko) * 2005-10-10 2006-11-23 남시호 신발
KR101033522B1 (ko) * 2010-04-19 2011-05-09 주식회사 삼우티씨씨 기능성 신발 깔창
KR20110094777A (ko) * 2010-02-16 2011-08-24 김광욱 충격 흡수용 패드가 장착된 신발
KR20140104207A (ko) * 2013-02-20 2014-08-28 주식회사 네오메드 신발용 기능성 뒷굽 깔창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7256A (en) * 1990-11-29 1991-11-26 Darco International Inc. Acupressure heel cup
US5329705A (en) * 1993-02-16 1994-07-19 Royce Medical Company Footgear with pressure relief zones
US6178662B1 (en) * 1999-02-02 2001-01-30 David K. Legatzke Dispersed-air footpad
KR200290595Y1 (ko) 2002-06-18 2002-10-04 최진홍 육각 다중셀형의 완충수단을 가지는 신발용 깔창
US6792699B2 (en) * 2002-09-09 2004-09-21 Royce Medical Company Low shear customized footgear
WO2008106427A2 (en) * 2007-02-28 2008-09-0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polygon lug sole pattern
US8201346B2 (en) * 2008-06-30 2012-06-19 Darco International, Inc. Medical shoe system
US20120317843A1 (en) * 2011-06-20 2012-12-20 Thomas Bove Shoe sole system providing a negative ion environment
WO2015042214A1 (en) * 2013-09-18 2015-03-26 Ossur Hf Insole for an orthopedic device
US11019879B2 (en) * 2015-11-18 2021-06-01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Extruded components for articles of footwea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561197B2 (en) * 2016-06-23 2020-02-18 Darco International, Inc. Medical shoe having multi-density overmolding
US20180332926A1 (en) * 2017-05-18 2018-11-22 Hyman Kramer Footwear inser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511U (ja) * 1993-12-28 1995-07-18 美津濃株式会社 カップインソール
KR100647108B1 (ko) * 2005-10-10 2006-11-23 남시호 신발
KR20110094777A (ko) * 2010-02-16 2011-08-24 김광욱 충격 흡수용 패드가 장착된 신발
KR101033522B1 (ko) * 2010-04-19 2011-05-09 주식회사 삼우티씨씨 기능성 신발 깔창
KR20140104207A (ko) * 2013-02-20 2014-08-28 주식회사 네오메드 신발용 기능성 뒷굽 깔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19272B1 (en) 2022-01-11
US20210392996A1 (en) 2021-12-23
KR102221319B1 (ko)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28036A2 (ko)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
WO2013032164A2 (ko) 충격 흡수성과 분산성 및 유연성이 강화된 신발창
WO2010027235A2 (en) Midsole for a shoe which has the shock-dispersing function and the same foot rolling function
EP2566361B1 (en) High foot mobility shoe
WO2019245281A1 (ko) 요가용 쿠션 패드 양말
KR100881769B1 (ko) 신발깔창
WO2012077945A2 (ko) 충격분산과 구름보행을 위한 추진식 신발창
WO2021066232A1 (ko) 인체공학적인 신발용 안창
WO2013169063A1 (ko) 기능성 신발물품
WO2012115343A1 (ko) 이종 경도에 의한 다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WO2012002621A1 (ko) 신발 밑창
WO2012067286A1 (ko) 조립 슬리퍼
KR20130126877A (ko) 기능성 신발깔창
WO2014157773A1 (ko) 개선된 구조의 통기성 신발밑창
WO2013077642A1 (ko) 기능성 신발물품
WO2014061862A1 (ko)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WO2013105703A1 (ko) 쿠션부재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된 신발용 인솔 및 그 제조방법
WO2019182311A1 (ko) 조립형 인솔
KR101509711B1 (ko) 길이조절이 용이한 신발 깔창
WO2012108589A1 (en) Spring cushioned shoe
CA2052070A1 (en) Power insole component concept
WO2010134776A2 (ko) O형 또는 x형 다리를 예방하고 사용자 체중에 맞는 쿠션을 제공하는 인체균형신발
WO2013151267A1 (ko) 기능성 신발물품
KR101760432B1 (ko) 기능성 신발 하부 구조체
WO2017022980A1 (ko) 기능성 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475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475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475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1/09/2022)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475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