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61862A1 -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 Google Patents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61862A1
WO2014061862A1 PCT/KR2012/010828 KR2012010828W WO2014061862A1 WO 2014061862 A1 WO2014061862 A1 WO 2014061862A1 KR 2012010828 W KR2012010828 W KR 2012010828W WO 2014061862 A1 WO2014061862 A1 WO 201406186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idsole
shock absorbing
shock
sides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1082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하용호
Original Assignee
Ha Yong-H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Ha Yong-Ho filed Critical Ha Yong-Ho
Priority to US13/869,127 priority Critical patent/US8732984B2/en
Publication of WO201406186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6186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43B13/127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the midsole being multi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ing shoe having a triangle shock absorbing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ck absorbing shoe having a triangle shock absorbing unit having a stable and balanced shock absorbing unit having a triangle shock absorbing unit on both sides of the shoe. will be.
  • a shoe protects a person's foot. When a shoe is running or walking, the shoe is blocked from the outside and the foot is protected.
  • the simplest way to develop a shoe for absorbing impact on the sole is to lower the hardness of the shoe. If we define the cushion as simply reducing the maximum force, a good cushion can be defined as absorbing the shock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overwhelm the skeletal muscle system. However, in addition to cushioning, propuls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athletic performance, so it is not good for a given force to be completely absorbed by the cushioning system. After all, this is a complex problem and it is not easy to define the optimal shoe hardness for the shock shock absorption of skeletal muscle against repeated impact forces. Because you need to know information about the magnitude of the force.
  • Figure 1 schematically shows the weight impact site close to the sole of the foot during walking, as shown in Fig. 1 (a) during the initial 20-30ms when the foot touches the ground, the impact force is greater than the weight, that is, the weight of The impact was 2.2 times, and as shown in FIG. 1 (b), when the soles all touched the ground, the body weight was larger than the supporting force, and as shown in FIG. The force generated during the 100ms until the forefoot touches the ground and reaches the ground is reported that the driving force is greater than the weight, that is, the load is 2.8 times the weight.
  • shock absorbers for example, cushioning members such as air bags or sponge foams.
  • cushioning members such as air bags or sponge foams.
  • the shock absorber is somewhat effective.
  • the better the shock absorber the lower the repulsive force, and the more the fatigue is accumulated when walking or running for a long time.
  • the shock absorption to be reduced when stepping on the foot and the rebound elasticity to be increased when the foot is symmetrical are symmetrical, and when one satisfies one, there is a double problem of sacrificing the other.
  •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has a problem in that the durability of the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impact portion and the lower impact portion is weak.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ck-absorbing shoe having a durable triangle shock absorber that absorbs the maximum impact when the foot of the shoe wearer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running. There is a purpose.
  • the front and rear of the midsole is provided with a shock absorbing portion that can absorb the shock is to absorb the shock when the shock is applied to the front side of the shoe.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ck absorbing shoe having a triangle shock absorbing part having a shock or a shock feeling on both sides of the shock.
  • the midsole is an upper midsole in which a plurality of upper seating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corresponding to the arch of the sole, and the lower side to both sides.
  • the upper inclined portion is divided into a lower midsol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the body member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upper midsole and the lower midsole, and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member, the upper inclined portion to be accommodated in the upper seating groove And a shock absorbing means comprising a lower inclin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 be accommodated in the lower seating groove, and a wing member configured to connect the upper inclined portion and the lower inclined portion, wherein the upper inclined portion and the lower inclined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are provid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iangular shock absorbing portion.
  • the lower incline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ortion is further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to surround the lower side of the lower midsole.
  • shock absorb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formed between the upper midsole and the lower midsole in the corresponding front of the arch portion of the sole.
  • shock absorbing means located in the front and rear between the upper midsole and the lower midsole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ans.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n optimal sense of stability to the wearer by making a shock absorbing quickly in the heel where the load of the foot is most applied.
  •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is contacted between the midsole of the shoe increases the durability of the shoe.
  • 1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weight impact site that is closed to the sole of the foot when walking.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ock absorbing means of the shock absorbing shoes having a triangle shock absorb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ock absorbing shoe having a triangle shock absorb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ck absorbing shoe having a triangle shock absorb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ock absorbing means of the shock absorbing shoe with a triangle shock absorb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hock absorbing shoe with a triangle shock absorb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A perspective view of a shock absorbing shoe having a triangle shock absorb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midsole 10 is the upper seating groove in the corresponding rear both sides of the arch portion of the sole
  • the upper midsole 2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22) is divided into the lower midsole 3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lower seating grooves 32 on both sides, between the upper midsole 20 and the lower midsole 30
  • Body member 110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inclined portion 122 and the lower seating grooves 32 which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member 110, ar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to be accommodated in the upper seating groove 22
  • Impact absorbing means 100 made of a lower member 126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wing member 120 consisting of a connecting portion 124 connecting the upper inclined portion 122 and the lower inclined portion 126.
  • the upper slope portion 122, the lower slope portion 126 and the connecting portion 124 is provided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triangular shock absorbing portion 129 to be made.
  • the midsole 10 is divided into an upper midsole 20 and a lower midsole 30 so that the impact absorbing means 100 is formed between the upper midsole 20 and the lower midsole 30.
  • the upper midsole 20 is in contact with the insole of the shoe, and the lower midsole 30 is in contact with the outsole 40 of the shoe.
  • the upper midsole 20 has a plurality of upper seating grooves 22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 the upper seating groove 22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midsole 10 corresponding to the arch portion of the sole when wearing shoes.
  • the upper seating grooves 22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both sides to meet at the rear side of the upper midsole 20.
  • the thickness of the upper seating groove 22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of the upper inclined portion 122 of the wing member 120, but is usually about 5mm, the height is preferably recessed higher than the center of the upper midsole 20 side. .
  • the hard sol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lower seating grooves 32 on both sides.
  • the lower seating groove 32 is also formed at the rear of the midsole 10 corresponding to the arch portion of the sole when the shoe is worn like the upper seating groove 22.
  • the lower seating grooves 32 are also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both sides and meet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midsole 30, and the thickness and height are also reces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upper seating grooves 22.
  • the lower midsole 30 has a support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rtion 128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 shock absorbing mean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support groove by the support portion 128 is the midsole ( 10).
  • the upper seating groove 22 and the lower seating groove 32 may be, in some cases, the shock absorbing means 100 in front of the upper midsole 20 and the lower midsole 30 corresponding to the arch portions. Once formed, it may be recessed.
  • the shock absorbing means 100 is a material is a polyurethane and a reinforced plastic is mixed to use a material having high strength and hardness and high physical properties of elasticity.
  • the material of the impact absorbing means 100 is not limited to polyurethane or reinforced plastics, of course, various materials having high strength and hardness and good resilience may be used.
  • the shock absorbing mean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body member 110, a wing member 120.
  • the body member 11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between the upper midsole 20 and the lower midsole 30 so that the wing member 120 is formed on both sides.
  • the body member 110 may be considered as a ban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 wing member 120 is formed at both sid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wing member 12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member 110 and a plurality of the wing member 120 is position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eating groove 22 and the lower seating groove 32.
  • the wing member 120 is composed of a total of three configurations of the upper inclined portion 122, the lower inclined portion 126 and the connecting portion 124.
  • the upper inclined portion 122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seating groove 22
  • the lower inclined portion 126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seating groove 32
  • the connecting portion 124 is the upper inclined portion ( 122) and the end of the lower inclined portion 126 to form a space of the triangular shock absorbing portion 129.
  • the upper inclination portion 122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side of the body member 110, so that the end portion is positioned around 60 ° in the upward direction based on the horizontal plane of the body member 110.
  • the upper inclination portion 12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irectly to the body member 110, may be bent inclined after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horizontal direction.
  • the upper inclined portion 122 may be curved or straight in shape that is bent along the upper seating groove 22.
  • the lower inclined portion 126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side of the body member 110, so that the end portion is positioned around 60 ° in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the horizontal plane of the body member 110.
  • the lower inclined portion 126 may also be formed to be inclined directly to the body member 110, like the upper inclined portion 122, or may be bent inclined after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horizontal direction.
  • the lower inclined portion 126 may be curved or straight in shape that is bent along the lower seating groove 32.
  • the connecting portion 124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upper inclined portion 122 facing upward and the end of the lower inclined portion 126 facing downward so that the shock absorbing portion 129 is formed in a closed space.
  • the shape of the shock absorbing portion 129 is to be made of a substantially triangular. This is because when a triangular shaped cushion member is fitted under a heavy object, progressive impact mitigation is possible from the center to both sides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object.
  • the shape of the shock absorbing portion 129 is triangular in shape so as to be intuitive, the sides of the triangle may be seen as a slight bend or round.
  • the wing member 120 is formed between the upper midsole 20 and the lower midsole 30, the space in the shock absorbing portion 129 acts as a cushion when walking wearing shoes. .
  • the wing member 120 is formed on both sides, the impact relief is made stable and balanced, so it is preferable for walking habits and walking correction.
  • the lower inclined portion 126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upport portion 128 is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so as to surround the lower half of the midsole 30 is preferably formed.
  • shock absorbing unit 129 may prevent the position deformation between the upper midsole 20 and the lower midsole 30, so that the support part is prevented.
  • 128 is formed in the lower inclined portion 126.
  • the support portion 128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member 110 at the end of the lower inclined portion 126 so as to be formed in the support groove of the lower midsole 30 so as to surround the lower side of the lower midsole 30.
  • the shock absorbing means 100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upper midsole 20 and the lower midsole 30 in front of the arch portion of the sole.
  • the impact may be further transmitted to the back portion of the arch portion of the sole, or may be further transmitted to the front portion.
  • the shock absorbing means 100 is formed between the upper midsole 20 and the lower midsole 30 to the front, the structure of the above-mentioned upper seating groove 22, the lower seating groove 32 It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idsole 10 structure.
  • the shock absorbing means 100 located in the front and rear between the upper midsole 20 and the lower midsole 30 is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ans 300. This is because, when the shock absorbing means 100 located between the upper midsole 20 and the lower midsole 30 is separated, the position of the shock absorbing may occur over time, so that the connection means to compensate for this. It is to be connected by (300).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ing shoe having a triangle shock absorbing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ck absorbing shoe field having a triangle shock absorbing unit having a stable and balanced shock absorbing unit having a triangle shock absorbing unit on both sides of the shoe. Avail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웃솔과 미드솔을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은 발바닥의 아치부의 대응되는 후방 양측으로 상안착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상미드솔과, 양측으로 하안착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하미드솔로 나뉘어지고, 상기 상미드솔과 상기 하미드솔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바디부재와, 상기 바디부재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상안착홈에 수용되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경사부와 상기 하안착홈에 수용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경사부와 상기 상경사부와 상기 하경사부의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날개부재로 이루어지진 충격흡수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상경사부와 상기 하경사부 및 상기 연결부가 삼각형의 충격흡수부를 이루어져, 발의 하중이 가장 많이 작용되는 발뒤꿈치에서 충격흡수를 신속하게 이루어져 착용자에게 최적의 안정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본 발명은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 양측으로 삼각형의 충격흡수부를 구비하여 안정감있고 균형적으로 충격흡수가 가능한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람의 발을 보호하는 것으로, 신발을 신고 뛰거나 걷는 경우에 발을 외부와 차단시킴과 동시에 발을 보호시킨다.
체중 약 60kg의 사람이 하루 평균 6000보를 걷는다면 발에는 약 432ton의 하중이 걸리는 것이 되고 이는 국제선 취항의 점보기의 무게(약 400ton)를 넘는 하중이다.
이와 같이, 발바닥에 전해지는 충격흡수를 위하여 신발을 개발하는데 가장 간단한 방법은 신발의 경도를 낮추는 것이다. 만일 쿠션을 단순히 최대 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정의한다면 좋은 쿠션이란 골격근계에 무리가 가지 않을 정도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쿠션 외에도 추진력은 운동수행능력에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주어진 힘이 쿠션시스템에 의해 완전히 흡수되는 것도 좋지 않다. 결국 이것은 복잡한 문제로서 반복된 충격력에 대해여 골격근의 반응 충격흡수를 위한 최적의 신발 경도에 대하여 정의하기는 쉽지 않다. 힘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압력판을 이용하여 런닝 중의 지면반발력을 분석한 결과 지면과 발 사이에서의 수직력의 크기는 체중의 2-3배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런닝시 양쪽발이 지면과 접촉하는 횟수가 100m당 1000회 정도 된다고 한다면, 체중의 2-3배 크기의 힘이 반복적인 부하로서 작용될 때, 충분한 충격흡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관절에 퇴행적인 변화가 일어나며, 또한 요통과도 관련이 있다고 한다. 따라서 무조건 충격흡수가 잘 이루어지는 쿠션이 좋은 운동화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보행시의 발바닥에 닫는 체중 충격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1(a)과 같이 후족(後足)이 지면에 닿는 초기 20-30ms 동안 충격력은 체중보다 크게 나타나는데, 즉 몸무게의 2.2배의 충격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 1(b)과 같이 그 후 발바닥이 모두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는 지지력보다 체중이 크게 나타났으며, 도 1(c)과 같이 다음 런닝을 위해 추진을 하기 위해 전족(前足)이 지면에 닿고, 이지할 때까지의 100ms동안 발생하는 힘은 추진력이 체중보다 크게 나타나는데, 즉 몸무게의 2.8배의 하중을 받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보행이나 런닝에 있어서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량은 생각 이상으로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충격흡수체, 예를 들면 에어백 또는 스펀지폼 등의 완충부재 등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충격흡수체를 사용할 경우 충격흡수에는 어느 정도 효용성이 있으나 반대로 충격흡수력이 좋을수록 지면반발력을 감소시켜 장시간 보행이나 런닝을 했을 때 피로감이 더욱더 쌓인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신발의 구조에 있어서 발을 디딜 때 감소시켜야 하는 충격흡수와 발을 땔때 증대시켜야 하는 반발탄성은 상호 대칭적인 것으로 어느 하나를 만족시킬 경우 다른 하나를 희생하여야 하는 이중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발바닥에 가해지는 큰 충격량에 의해 충격흡수체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사용자가 전방으로 무게중심이 쏠릴 경우 충격이 흡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상기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인은 "내구성이 뛰어난 충격흡수수단을 구비한 신발" 대한민국 등록번호 10-1166466을 출원하여 등록받았다.
그러나, 전술한 발명은 상부충격부와 하부충격부를 이어지는 부분의 내구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충격흡수수단으로 전달되는 충격이 양사이드보다는 중앙으로 충격완화를 시켜 균형감이나 안정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주행시 신발 착용자의 발이 지면과 접촉할 때 가해지는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는 내구성이 뛰어난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미드솔 전방, 후방에 모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부를 구비하여 신발의 전측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 충격을 흡수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충격을 양사이드로 충격완화시켜 안정감이나 균형감이 있는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웃솔과 미드솔을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은 발바닥의 아치부의 대응되는 후방 양측으로 상안착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상미드솔과, 양측으로 하안착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하미드솔로 나뉘어지고, 상기 상미드솔과 상기 하미드솔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바디부재와, 상기 바디부재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상안착홈에 수용되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경사부와 상기 하안착홈에 수용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경사부와 상기 상경사부와 상기 하경사부의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날개부재로 이루어지진 충격흡수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상경사부와 상기 하경사부 및 상기 연결부가 삼각형의 충격흡수부를 이루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경사부는 단부에 상기 하미드솔을 하측을 감싸도록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발바닥의 아치부의 대응되는 전방에 상기 상미드솔과 상기 하미드솔 사이에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미드솔과 상기 하미드솔 사이에 전방과 후방에 위치한 충격흡수수단은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의 하중이 가장 많이 작용되는 발뒤꿈치에서 충격흡수를 신속하게 이루어져 착용자에게 최적의 안정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발의 미드솔 사이에 충격흡수부가 접촉되면서 신발의 내구성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신발의 전후방으로 충격이 흡수되므로 착용자가 균형적으로 충격이 흡수되게 된다.
도 1은 보행시의 발바닥에 닫는 체중 충격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의 충격흡수수단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의 충격흡수수단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아웃솔(40)과 미드솔(10)을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10)은 발바닥의 아치부의 대응되는 후방 양측으로 상안착홈(22)이 복수개 형성되는 상미드솔(20)과, 양측으로 하안착홈(32)이 복수개 형성되는 하미드솔(30)로 나뉘어지고, 상기 상미드솔(20)과 상기 하미드솔(30)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바디부재(110)와, 상기 바디부재(110)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상안착홈(22)에 수용되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경사부(122)와 상기 하안착홈(32)에 수용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경사부(126)와 상기 상경사부(122)와 상기 하경사부(126)의 연결하는 연결부(124)로 이루어지는 날개부재(120)로 이루어지진 충격흡수수단(100)을 구비하여, 상기 상경사부(122)와 상기 하경사부(126) 및 상기 연결부(124)가 삼각형의 충격흡수부(129)를 이루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드솔(10)은 상미드솔(20)과 하미드솔(30)로 나뉘어져 상기 상미드솔(20)과 상기 하미드솔(30) 사이에 상기 충격흡수수단(100)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미드솔(20)은 신발의 인솔과 접촉되며, 상기 하미드솔(30)은 신발의 아웃솔(40)과 접촉되게 된다.
상술하면, 상기 상미드솔(20)은 양측으로 복수개의 상안착홈(22)이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안착홈(22)은 신발을 착용시 발바닥의 아치부분에 대응되는 미드솔(10) 후방에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안착홈(22)은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미드솔(20)의 후측면에서 만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안착홈(22)의 두께는 상기 날개부재(120)의 상경사부(122)의 두께에 대응되나 보통 5mm 전후가 되게 되며, 높이는 상미드솔(20) 측면 중앙보다는 높게 함몰되는 것이 좋다.
상기 하드솔은 양측으로 복수개의 하안착홈(32)이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안착홈(32)도 상기 상안착홈(22)과 마찬가지로 신발을 착용시 발바닥의 아치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미드솔(10) 후방에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안착홈(32)도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미드솔(30)의 후측면에 만나게 되며, 두께와 높이 또한 상기 상안착홈(22)과 동일하게 함몰되게 된다.
특히, 상기 하미드솔(30)은 하부면에 상기 지지부(128)에 대응되는 지지홈이 형성되어 본발명의 충격흡수수단(100)이 상기 지지부(128)에 의해 지지홈에 결합되어 상기 미드솔(10)에 감싸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안착홈(22)과 상기 하안착홈(32)은 경우에 따라서, 아치부분에 해당되는 위치의 상미드솔(20)과 하미드솔(30) 전방으로 상기 충격흡수수단(100)이 형성되면 함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수단(100)은 소재가 폴리우레탄과 강화플라스틱이 혼합되어 강도와 경도가 높으며 탄성력이 강한 물리적 특성이 높은 재질을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충격흡수수단(100)의 소재를 폴리우레탄이나 강화플라스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강도와 경도가 높으며 반발 탄성력이 좋은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발의 충격흡수수단(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바디부재(110), 날개부재(120)로 나뉘어진다.
상기 바디부재(110)는 상기 상미드솔(20)과 상기 하미드솔(30) 사이에 중앙에 길이방향에 형성되는 것으로 양측으로 상기 날개부재(120)가 형성되게 된다.
보통, 상기 바디부재(110)는 일정 폭을 지닌 띠 형상으로 생각하면 되며, 일정간격으로 양측으로 상기 날개부재(120)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날개부재(120)는 상기 바디부재(110)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안착홈(22)과 상기 하안착홈(32)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날개부재(120)는 상경사부(122), 하경사부(126) 및 연결부(124)의 총 3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경사부(122)는 상기 상안착홈(22)에 수용되게 되고, 상기 하경사부(126)는 상기 하안착홈(32)에 수용되게 되며, 상기 연결부(124)는 상기 상경사부(122)와 상기 하경사부(126)의 단부를 연결하여 삼각형의 충격흡수부(129)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상경사부(122)는 상기 바디부재(110)의 측면에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끝단부가 바디부재(110)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60°전후 위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상경사부(122)는 상기 바디부재(110)에 직접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수도 있으며, 일정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후 경사지게 절곡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경사부(122)는 상기 상안착홈(22)에 따라 절곡되는 형상이 곡선 또는 직선이 나타날수 있다.
상기 하경사부(126)는 상기 바디부재(110) 측면에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끝단부가 바디부재(110)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60°전후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하경사부(126)도 상기 상경사부(122)와 마찬가지로 상기 바디부재(110)에 직접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수도 있으며, 일정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후 경사지게 절곡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경사부(126)는 상기 하안착홈(32)에 따라 절곡되는 형상이 곡선 또는 직선이 나타날수 있다.
상기 연결부(124)는 상방향으로 향한 상경사부(122)의 끝단과 하방향으로 향한 하경사부(126)의 끝단을 이어지게 하여 폐쇄적 공간이 충격흡수부(129)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충격흡수부(129)의 형상은 대략적으로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는, 무거운 물체 밑으로 삼각형 형상이 쿠션부재를 끼울경우, 물체에 하중을 가하면 중앙에서 양측으로 점진적 충격완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충격흡수부(129)의 형상은 직관하기에 삼각형 형상이며, 삼각형의 변들은 약간의 굴곡이나 라운드로 보일 수도 있다.
즉, 상기 날개부재(120)가 상기 상미드솔(20)과 상기 하미드솔(30) 사이에 형성되어, 신발일 착용하여 도보를 할경우 상기 충격흡수부(129)에 공간이 큐션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날개부재(120)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충격완화가 안정감있고 균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도보습관과 도보교정에 바람직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경사부(126)는 단부에 상기 하미드솔(30)을 하측을 감싸도록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28)가 더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충격흡수부(129)로 많은 하중이 전달되며 상기 충격흡수수단(100)이 상기 상미드솔(20)과 상기 하미드솔(30)사이에서 위치 변형이 발생할 수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128)가 상기 하경사부(126)에 형성되게 된다.
상기 지지부(128)는 상기 하미드솔(30)의 지지홈에 형성되도록, 상기 하경사부(126) 끝단부에서 상기 바디부재(110)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미드솔(30)의 하측에서 감싸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격흡수수단(100)은 발바닥의 아치부의 대응되는 전방에 상기 상미드솔(20)과 상기 하미드솔(30) 사이에 더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사용자의 걸음걸이의 습관이 다르므로, 발바닥의 아치부위 뒷부분에 충격이 더 전달될 수도 있고, 앞부분으로 더 전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충격흡수수단(100)이 상기 상미드솔(20)과 상기 하미드솔(30) 사이에 전방으로 형성되게 되며, 그 구조는 전술한 상안착홈(22), 하안착홈(32)의 미드솔(10)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미드솔(20)과 상기 하미드솔(30) 사이에 전방과 후방에 위치한 충격흡수수단(100)은 연결수단(300)에 의해 연결되게 된다. 이는, 상기 상미드솔(20)과 상기 하미드솔(30) 사이에 위치한 충격흡수수단(100)이 분리될 경우, 충격흡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위치 이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수단(300)에 의해 연결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미드솔 사이에 삼각형 형상을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 양측으로 삼각형의 충격흡수부를 구비하여 안정감있고 균형적으로 충격흡수가 가능한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분야에 이용가능하다.

Claims (4)

  1. 아웃솔(40)과 미드솔(10)을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10)은 발바닥의 아치부의 대응되는 후방 양측으로 상안착홈(22)이 복수개 형성되는 상미드솔(20)과, 양측으로 하안착홈(32)이 복수개 형성되는 하미드솔(30)로 나뉘어지고,
    상기 상미드솔(20)과 상기 하미드솔(30)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바디부재(110)와;
    상기 바디부재(110)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상안착홈(22)에 수용되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경사부(122)와 상기 하안착홈(32)에 수용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경사부(126)와 상기 상경사부(122)와 상기 하경사부(126)의 연결하는 연결부(124)로 이루어지는 날개부재(120)로 이루어지진 충격흡수수단(100)을 구비하여, 상기 상경사부(122)와 상기 하경사부(126) 및 상기 연결부(124)가 삼각형의 충격흡수부(129)를 이루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경사부(126)는 단부에 상기 하미드솔(30)을 하측을 감싸도록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28)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수단(100)은,
    발바닥의 아치부의 대응되는 전방에 상기 상미드솔(20)과 상기 하미드솔(30) 사이에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미드솔(20)과 상기 하미드솔(30) 사이에 전방과 후방에 위치한 충격흡수수단(100)은 연결수단(30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PCT/KR2012/010828 2012-10-16 2012-12-13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WO2014061862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69,127 US8732984B2 (en) 2012-10-16 2013-04-24 Shock absorbing shoes with triangle shock absorbing sp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966A KR101251572B1 (ko) 2012-10-16 2012-10-16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KR10-2012-0114966 2012-10-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3/869,127 Continuation US8732984B2 (en) 2012-10-16 2013-04-24 Shock absorbing shoes with triangle shock absorbing sp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1862A1 true WO2014061862A1 (ko) 2014-04-24

Family

ID=48442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10828 WO2014061862A1 (ko) 2012-10-16 2012-12-13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51572B1 (ko)
WO (1) WO20140618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5775A1 (en) * 2016-07-19 2018-01-25 Stückle Rolf Multifunctional multilayered integrated anatomic and orthopedic inso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643B1 (ko) * 2013-04-23 2014-11-24 하용호 날개흡수수단을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KR101625917B1 (ko) * 2014-06-13 2016-06-01 (주)지원에프알에스 기능성 신발물품
KR101714893B1 (ko) * 2015-08-25 2017-03-09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밑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98861A2 (en) * 1998-11-05 2000-05-10 Springco Ltd. Shock-absorbing insole
WO2010077033A2 (ko) * 2008-12-29 2010-07-08 Ha Yongh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능성 신발
KR101166466B1 (ko) * 2011-08-05 2012-07-19 하용호 내구성이 뛰어난 충격흡수수단을 구비한 신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923B1 (ko) * 2010-07-28 2011-01-10 (주)지원에프알에스 신발 중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98861A2 (en) * 1998-11-05 2000-05-10 Springco Ltd. Shock-absorbing insole
WO2010077033A2 (ko) * 2008-12-29 2010-07-08 Ha Yongh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능성 신발
KR101166466B1 (ko) * 2011-08-05 2012-07-19 하용호 내구성이 뛰어난 충격흡수수단을 구비한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5775A1 (en) * 2016-07-19 2018-01-25 Stückle Rolf Multifunctional multilayered integrated anatomic and orthopedic ins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1572B1 (ko) 201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28036A2 (ko)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
WO2010077033A2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능성 신발
CN104287285B (zh) 具有脚跟缓冲系统的鞋类物品
WO2012077945A2 (ko) 충격분산과 구름보행을 위한 추진식 신발창
WO2012115343A1 (ko) 이종 경도에 의한 다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KR100887625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이루어지는 탄성바닥재 및 이를구비한 신발
US8732984B2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triangle shock absorbing space
KR101047352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력을 강화시킨 신발창
KR101166466B1 (ko) 내구성이 뛰어난 충격흡수수단을 구비한 신발
WO2014061862A1 (ko)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WO2014208962A1 (ko) 기능성 신발물품
WO2013077642A1 (ko) 기능성 신발물품
WO2014084459A1 (ko) 보행 안정성을 강화시킨 기능성 신발창
WO2014042380A1 (ko) 기능성 깔창
WO2021066232A1 (ko) 인체공학적인 신발용 안창
WO2012108589A1 (en) Spring cushioned shoe
KR101880228B1 (ko) 신발
WO2013151267A1 (ko) 기능성 신발물품
WO2010137769A1 (ko) 쿠션공간부가 형성된 후방터널돌기형 마사이워킹용 신발밑창
CN2468326Y (zh) 弹性气垫鞋
KR101063735B1 (ko) 헬스 워킹 샌들
KR101760432B1 (ko) 기능성 신발 하부 구조체
KR101464643B1 (ko) 날개흡수수단을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KR101288036B1 (ko)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
CN214509778U (zh) 一种拱形减震鞋底及其制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868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868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