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893B1 - 밑창 - Google Patents

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893B1
KR101714893B1 KR1020150119504A KR20150119504A KR101714893B1 KR 101714893 B1 KR101714893 B1 KR 101714893B1 KR 1020150119504 A KR1020150119504 A KR 1020150119504A KR 20150119504 A KR20150119504 A KR 20150119504A KR 101714893 B1 KR101714893 B1 KR 101714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upled
sole
support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4347A (ko
Inventor
이정호
김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50119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893B1/ko
Publication of KR20170024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1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with a part of the sole being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밑창에 관한 것으로, 발바닥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이고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몸체 및 일단은 상기 몸체의 측면 중단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몸체의 측면 상단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대 및 일단은 상기 몸체의 하단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제1지지대의 타단의 외측면에 결합하는 제2지지대를 구비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밑창 {Sole}
본 발명은 신발의 밑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목의 외번(Inversion) 또는 내번(Eversion)을 감소시키는 신발의 밑창에 관한 것이다.
신발의 밑창(Sole)은 안창(Insole), 겉창(Outsole) 및 중창(Midsole)으로 이루어진다. 안창은 발바닥이 닿는 면으로 갑피(Upper)에 결합하며, 겉창은 지면에 닿는 면이다. 중창은 안창과 겉창 사이에서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여 발과 발목 및 무릎을 보호하며, 이를 위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EVA)와 같이 부드럽고, 유연성이 뛰어난 소재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소재의 특성상 보행 중 지면에 형성된 요철을 밟거나 신체의 불균형으로 중심을 잃는 경우 발목에 외번 또는 내번이 발생하기 쉬워 부상을 당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KR 10-2014-0126487 A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면서도 발목의 외번 또는 내번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밑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밑창은 발바닥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이고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몸체 및 일단은 상기 몸체의 측면 중단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몸체의 측면 상단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대 및 일단은 상기 몸체의 하단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제1지지대의 타단의 외측면에 결합하는 제2지지대를 구비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지대 또는 제2지지대의 일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몸체에 결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지지대 또는 제2지지대의 일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의 외면에 접착됨으로써 상기 몸체에 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몸체의 측면에 접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는 일단과 타단 사이가 적어도 한 번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몸체의 외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제1지지대의 타단이 끝나는 지점에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몸체의 측면에서 외부로 이격된 지점에서부터 상기 제1지지대의 타단이 끝나는 지점까지 연장되되, 상기 몸체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대는 일단과 타단 사이가 적어도 두 번 휘어진 밑창.
이때, 상기 제1지지대 또는 제2지지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열가소성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 또는 제2지지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측면에서 봤을 때 상하단이 각각 전방을 향하도록 가운데가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복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배치되며, 이웃하는 상기 보강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밑창은 지지대가 밑창의 몸체에 해당하는 부분의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외번 또는 내번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밑창의 몸체에 해당하는 부분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재차 지지하는 다른 지지대를 더 구비함으로써, 외번 또는 내번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지지대가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굽힘 변형이 일어남으로써, 외번 또는 내번에 의해 밑창에 작용하는 힘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지지대는 측면에서 봤을 때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를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거나 커지도록 변형됨으로써, 보행 시 발과 지면이 닿을 때 충격을 완화시키고, 발과 지면이 떨어질 때 다음 보행을 위해 발을 지면에서 떼어 앞으로 향하기 수월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밑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밑창의 폭 방향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밑창에서 보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밑창에서 제1지지대가 몸체에 결합하는 방식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밑창에서 제1지지대가 몸체에 결합하는 방식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밑창의 폭 방향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밑창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밑창에서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밑창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의 폭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에서 보강부재(1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밑창(100)은 몸체(110) 및 보강부재(12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착용자의 발바닥에 대응하는 형상이고, 특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1 및 2에서, 몸체(110)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졌다가 다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몸체(110)의 형상이 반드시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몸체(110)의 형상이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면 보다 안정적인 보행 자세를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사람의 발바닥은 폭 방향이 일자형으로 납작한 것이 아니라 가운데 부분이 둥글기 때문에 족궁(足弓: 발바닥의 오목한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외한다면, 체중에 의해 몸체(110)에 가해지는 하중은 양 측면보다 가운데 부분이 더 크다. 따라서, 몸체(110)는 가운데 부분이 수직 방향으로 더 많이 압축되어 정면에서 봤을 때 상면이 'U'자 또는 'V'자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의 피로도가 가중될 뿐만 아니라 보행 자세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하지만, 몸체(110)의 형상이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면 몸체(110)가 상면에서 하면까지 일정하게 형성된 경우보다 양 측면이 작은 하중에도 수직 방향으로 더 많이 압축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양 측면과 가운데 부분이 수직 방향으로 비슷하게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10)는 정면에서 봤을 때 상면을 수평하게 유지할 수 있어 발의 피로도가 경감되며, 안정적인 보행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보강부재(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이루어지고, 몸체(110)의 측면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보강부재(120)는 대략 띠 형상의 제1지지대(121) 및 제2지지대(122)를 포함한다.
제1지지대(121)는 몸체(110)의 측면에 설치된다. 제1지지대(121)는 일단(121a)이 몸체(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몸체(110)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몸체(110)는 외번 또는 내번에 의해 상부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곳에 편중된 힘이 작용하면 하부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우로 변형되며, 이때 변위는 일반적으로 몸체(110)의 좌측 또는 우측면 상부에서 가장 크게 일어난다. 또한, 몸체(110)가 좌측으로 변형될 때 몸체(110)의 좌측 상부에는 왼쪽 아래로 향하는 힘이 작용하고, 몸체(110)가 우측으로 변형될 때 몸체(110)의 우측 상부에는 오른쪽 아래로 향하는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제1지지대(121)의 타단(121b)은 몸체(110)의 측면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면, 외번 또는 내번에 의해 몸체(110)에 변형이 일어날 때 변위가 가장 큰 몸체(110)의 측면 상부가 지지되어, 제1지지대(121)가 외번 또는 내번에 의한 몸체(110)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대(121)의 타단(121b)은 몸체(110)의 외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면, 제1지지대(121)의 타단(121b)이 형성된 방향과 앞서 설명한 외번 또는 내번에 의해 몸체(110)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서로 교차되어, 제1지지대(121)에 굽힘(Bending) 변형이 일어남으로써 상기 힘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대(121)의 일단(121a)과 타단(121b)의 사이는 적어도 한 번 휘어진 형상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면, 제1지지대(121)의 휘어진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어 제1지지대(121)에 휘어진 부분을 중심으로 굽힘 변형이 일어나도록 유도할 수 있어 충격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향상되고, 제1지지대(121)의 내구성을 사전에 예측하여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대(121)의 타단(121b)은 몸체(110)의 측면을 따라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면, 외번 또는 내번에 의해 몸체(110)에 작용하는 힘이 제1지지대(121)의 타단(121b)의 보다 넓은 면적에 걸쳐 작용하므로 상기 힘에 의한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제1지지대(121)는 일단(121a)에 의해서만 몸체(110)에 결합하여 타단(121b) 자체는 몸체(110)에 결합하지 않은 상태일 수도 있고, 타단(121b)도 몸체(110)에 접착되는 방식 등에 의해 결합할 수도 있다.
제1지지대(121)는 외번 또는 내번에 의해 몸체(110)에 작용하는 힘에 따른 변형으로부터의 복원력을 통해 몸체(110)의 측면을 지지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이 우수하고, 보행 시 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가벼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대(121)는 열가소성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 Urethane, TPU)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밑창(200)에서 제1지지대(221)가 몸체(210)에 결합하는 방식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밑창(300)에서 제1지지대(321)가 몸체(310)에 결합하는 방식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지지대(221)는 일단(221a)이 몸체(2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이 아니라 몸체(210)의 외면에 접착되어 몸체(21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대(221)의 타단(221a)은 몸체(210)에 결합하지 않은 상태일 수도 있고, 몸체(210)에 접착되는 방식 등에 의해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제1지지대(321)는 일단(321a)과 타단(321b) 사이의 적어도 일부가 몸체(310)의 내부로 삽입되어 몸체(21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대(321)의 일단(321a) 또는 타단(321b)은 몸체(321)에 결합하지 않은 상태일 수도 있고, 몸체(321)에 접착되는 방식 등에 의해 결합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제2지지대(122)를 설명하면 제2지지대(122)는 일단(122a)이 몸체(110)에 결합한다. 도 2에는 제2지지대(122)의 일단(122a)이 몸체(110)의 외면에 접착되어 몸체(110)에 결합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으나 몸체(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몸체(110)에 결합할 수도 있다.
제2지지대(122)의 타단(122b)은 제1지지대(121)의 타단(121b)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제1지지대(121)의 타단(121b)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대(122)의 타단(122b)은 제1지지대(121)의 타단(121b)이 끝나는 지점에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면, 몸체(110)에서 외번 또는 내번에 의한 변위가 가장 큰 몸체(110)의 측면 상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121)의 타단(121b)을 제2지지대(122)의 타단(122b)이 재차 지지함으로써 외번 또는 내번에 의한 몸체(110)의 변형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대(122)의 타단(122b)은 몸체(110)의 측면에서 외부로 이격된 지점에서부터 제1지지대(121)의 타단(121b)이 끝나는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고, 이때 몸체(1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대(122)의 타단(122b)은 길이가 단면의 폭보다 길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굽힘 변형보다 압축(Compression) 변형이 더 일어나기 어렵다. 따라서, 위와 같이 형성되면 제2지지대(122)의 타단(122b)이 형성된 방향과 외번 또는 내번에 의해 몸체(110)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또는 제1지지대(121)에 굽힘 변형이 일어날 때 타단(121b)의 이동 방향)이 같아, 제2지지대(122)의 타단(122b)이 제1지지대(121)의 타단(121b)을 효과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외번 또는 내번에 의한 몸체(110)의 변형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대(121)에 굽힘 변형이 일어날 때 제1지지대(121)의 타단(121b)이 이동하는 방향과 제2지지대(122)의 타단(122b)이 형성된 방향이 서로 이루는 각도(θ)는 6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각도(θ)가 60° 이하이면, 제2지지대(122)의 타단(122b)에 작용하는 굽힘 변형을 일으키는 힘과 압축 변형을 일으키는 힘을 합한 전체 힘에 대한 제2지지대(122)의 타단(122b)에 압축 변형을 일으키는 힘의 비율을 적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제2지지대(122)의 과도한 굽힘 변형에 따라 외번 또는 내번에 의한 몸체(110)의 변형이 감소되는 효과가 지나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지지대(122)도 제1지지대(121)와 마찬가지 이유로 열가소성폴리우레탄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지지대(122)의 타단(122b)은 제1지지대(121)에 결합할 수 있다. 제2지지대(122)의 타단(122b)이 제1지지대(121)에 결합하면, 제2지지대(122)의 타단(122b)이 제1지지대(121)의 타단(121b)의 변형에 의한 이동을 구속하여 지지하는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제1지지대(121)와 제2지지대(122)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1지지대(121)와 제2지지대(122) 간에 이음부(Seam)가 없어 보강부재(120)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보강부재(120)를 제조하는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밑창(400)의 폭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지지대(422)는 일단(422a)과 타단(422b)의 사이가 적어도 두 번 휘어진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면, 제2지지대(422)에 휘어진 부분을 중심으로 굽힘 변형이 일어남으로써 충격을 완화시키는 효과도 함께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밑창(500)의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보강부재(520)는 측면에서 봤을 때 상하단(522a,522b)(521a,521b는 미도시)이 각각 전방을 향하도록 가운데가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자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면, 보행 시 발과 지면이 닿을 때 '>'자를 이루는 각도가 작아졌다가 발과 지면이 떨어질 때 탄성에 의해 '>'자를 이루는 각도가 커지면서 지면을 후방 아래로 밀어준다.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밑창(500)은 전방 위로 힘을 받기 때문에 다음 보행을 위해 발을 지면에서 떼어 앞으로 향하도록 하기 수월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밑창에서 보강부재(6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보강부재(6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에서 몸체(110)의 측면에 설치된 각각의 보강부재(120)가 복수로 이루어지고,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배치되며, 이웃하는 보강부재(120)는 연결부(623)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면, 보강부재(620)를 제조하거나 지지대(620)를 몸체(110)에 결합시키는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보강부재(120)는 발의 전방, 후방, 외측 또는 내측 중 어디에 해당하는 곳에 설치되는지에 따라 신체적인 구조에 맞게 구체적인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Claims (13)

  1. 발바닥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이고,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몸체 및
    일단은 상기 몸체의 측면 중단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몸체의 측면 상단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대 및 일단은 상기 몸체의 하단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제1지지대의 타단의 외측면에 결합하는 제2지지대를 구비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몸체의 측면에서 외부로 이격된 지점에서부터 상기 제1지지대의 타단이 끝나는 지점까지 연장되며, 또한 상기 제2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몸체의 가운데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가 상기 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서 봤을 때, 상기 제1지지대 또는 상기 제2지지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상하단이 각각 상기 몸체의 전방을 향하도록 가운데가 절곡된 밑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 또는 제2지지대의 일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몸체에 결합하는 밑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 또는 제2지지대의 일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의 외면에 접착됨으로써 상기 몸체에 결합하는 밑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몸체의 측면에 접하도록 연장되는 밑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는 일단과 타단 사이가 적어도 한 번 휘어진 밑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몸체의 외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연장되는 밑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제1지지대의 타단이 끝나는 지점에서 결합하는 밑창.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대는 일단과 타단 사이가 적어도 두 번 휘어진 밑창.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 또는 제2지지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열가소성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밑창.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밑창.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복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배치되며, 이웃하는 상기 보강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밑창.
KR1020150119504A 2015-08-25 2015-08-25 밑창 KR101714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504A KR101714893B1 (ko) 2015-08-25 2015-08-25 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504A KR101714893B1 (ko) 2015-08-25 2015-08-25 밑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347A KR20170024347A (ko) 2017-03-07
KR101714893B1 true KR101714893B1 (ko) 2017-03-09

Family

ID=58402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504A KR101714893B1 (ko) 2015-08-25 2015-08-25 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8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179B1 (ko) * 2021-04-13 2023-02-06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신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651B1 (ko) 2008-12-29 2009-06-15 하용호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능성 신발
KR101006923B1 (ko) 2010-07-28 2011-01-10 (주)지원에프알에스 신발 중창
KR101166466B1 (ko) 2011-08-05 2012-07-19 하용호 내구성이 뛰어난 충격흡수수단을 구비한 신발
KR101251572B1 (ko) * 2012-10-16 2013-04-08 하용호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643B1 (ko) 2013-04-23 2014-11-24 하용호 날개흡수수단을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651B1 (ko) 2008-12-29 2009-06-15 하용호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능성 신발
KR101006923B1 (ko) 2010-07-28 2011-01-10 (주)지원에프알에스 신발 중창
KR101166466B1 (ko) 2011-08-05 2012-07-19 하용호 내구성이 뛰어난 충격흡수수단을 구비한 신발
KR101251572B1 (ko) * 2012-10-16 2013-04-08 하용호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347A (ko)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2601B2 (en) Footwear with flexible cage and wedge
US10470521B2 (en) Sole structure for shoes and shoe with the sole structure
JP4886774B2 (ja) 強化構造を備えた靴底および緩衝構造を備えた靴底
CN102438478B (zh) 用于增加不稳定性的鞋底
US7886461B2 (en) Midfoot structure of a sole assembly for a shoe
ES2251349T3 (es) Diseño y construccion de suela intermedia para calzado deportivo.
JP4923081B2 (ja) 強化構造を備えた靴底および緩衝構造を備えた靴底
JP6630306B2 (ja) シューズ用ソール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ューズ
BRPI0519565B1 (pt) estrutura de sola para um sapato
CN103313622A (zh) 具有细长振动吸收后跟系统的鞋类物件
US9750303B2 (en) Cambered sole
US20190053571A1 (en) Cambered sole
US20210186150A1 (en) Article of footwear
JP2022136233A (ja) シューズ用ソールの衝撃緩衝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シューズ
US20070062065A1 (en) Shoe sole with energy return plate
KR101714893B1 (ko) 밑창
JPH0747003A (ja) 靴 底
US20210186144A1 (en) Article of footwear
KR101251572B1 (ko)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KR20130128372A (ko) 신발
US8069585B2 (en) Shoe, in particular sports shoe
US20220104581A1 (en) Plate, shoe sole, and shoe
JP7115860B2 (ja) シューズ用ソールの衝撃緩衝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シューズ
KR101251586B1 (ko) 충격흡수 및 충격분산기능이 구비된 신발밑창
JP3479611B2 (ja) 靴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