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45299A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45299A1
WO2021045299A1 PCT/KR2019/013567 KR2019013567W WO2021045299A1 WO 2021045299 A1 WO2021045299 A1 WO 2021045299A1 KR 2019013567 W KR2019013567 W KR 2019013567W WO 2021045299 A1 WO2021045299 A1 WO 202104529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ce
guide
cold air
evaporato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356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창민
장성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0920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028014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0919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028013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Priority to US17/624,17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357093A1/en
Publication of WO202104529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4529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25D2317/0671Inlet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25D2317/0672Outlet ducts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후측벽에 개구가 형성되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부에 제빙실과 냉장실을 제공하고 하부에 냉동실을 제공하는 내부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제빙실에 연통되는 냉기토출구와 냉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에 연통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는 증발기케이스;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설치공간 내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빙실에 냉기를 제공하는 증발기;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설치공간 내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빙실과 상기 설치공간 간의 냉기 순환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증발기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컴팩트하게 구성된 가이드부를 증발기케이스에 설치하여 제빙실과 설치공간 간의 냉기 순환을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고, 흡입안내유로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하나의 가이드부 자체에 토출안내유로와 흡입안내유로가 마련되므로 냉기의 순환을 위한 유로가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컴팩트하게 구성된 가이드부를 증발기케이스에 설치하여 제빙실과 설치공간 간의 냉기 순환을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고, 흡입안내유로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하나의 가이드부 자체에 토출안내유로와 흡입안내유로가 마련되므로 냉기의 순환을 위한 유로가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에 식품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가전기기로서, 통상적으로 식품을 저온의 냉장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냉장실과 식품을 얼려서 냉동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을 구비한다.
또한, 냉장고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얼음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빙실이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제빙실에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취출할 수 있도록 디스펜서가 마련될 수 있다.
최근에 출시되는 냉장고는 냉동실보다 비교적 자주 사용하는 냉장실을 본체의 상부에 제공하고, 상대적으로 냉장실보다 덜 사용하는 냉동실을 본체의 하부에 제공하는 추세이며, 특히, 최근에는 본체의 좌우측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회동형 도어에 의해 냉장실이 개폐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서랍형 도어에 의해 냉동실이 개폐되는 프렌치도어 타입의 냉장고가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프렌치도어 타입의 냉장고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점점 대형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인데,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미국 등록특허공보 7337620 B2에 게재된 것이 있다.
종래의 냉장고는 바닥에 장착되는 냉동실과 도어가 있는 냉장실을 상하로 구비하고, 상기 냉장실 내의 제빙실로써 내부 케이스 및 외부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냉장실은 라이너를 갖고, 상기 제빙실의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라이너 내에 일체로 형성되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상기 내부 케이스과 상기 외부 케이스 사이의 단열재와, 상기 내부 케이스 내에 장착된 제빙기와, 상기 제빙실를 닫고 얼음저장부 및 상기 제빙기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전면 덮개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냉동실의 내부 후방 측에 설치되어 상기 냉장실과 상기 냉동실을 냉각시키고, 덕트를 통해 제빙실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증발기와 제빙실 간의 냉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덕트가 복잡하고 길게 형성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냉장고는 덕트 내부를 청소하는 등의 유지보수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냉장고는 덕트가 냉기가 흐르는 유로 역할 밖에 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냉장고는 증발기와 제빙실 간의 냉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별도의 흡입 덕트와 토출 덕트가 구비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냉장고는 순환되는 냉기가 증발기의 일단과 타단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흡입 덕트와 토출 덕트를 각각 개별적으로 증발기측에 설치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0001) 미국 등록특허공보 7337620 B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컴팩트하게 구성된 가이드부를 증발기케이스에 설치하여 제빙실과 설치공간 간의 냉기 순환을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고, 흡입안내유로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하나의 가이드부 자체에 토출안내유로와 흡입안내유로가 마련되므로 냉기의 순환을 위한 유로가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후측벽에 개구가 형성되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부에 제빙실과 냉장실을 제공하고 하부에 냉동실을 제공하는 내부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제빙실에 연통되는 냉기토출구와 냉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에 연통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는 증발기케이스;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설치공간 내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빙실에 냉기를 제공하는 증발기;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설치공간 내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빙실과 상기 설치공간 간의 냉기 순환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증발기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는 일단이 상기 냉기토출구에 연통되는 토출안내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는 일단이 상기 냉기흡입구에 연통되는 흡입안내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제1가이드몸체;와, 상기 제1가이드몸체에 대해 형합 또는 분리 가능한 제2가이드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안내유로는 상기 제1가이드몸체에 형성된 제1흡입안내유로와 상기 제2가이드몸체에 형성된 제2흡입안내유로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몸체의 후면에 결합되는 전도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증발기케이스에는 가이드부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몸체에는 체결부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도판에는 나사투입공이 형성되되, 상기 나사투입공에 삽입된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부삽입공에 삽입된 가이드부체결부에 체결되어 상기 증발기케이스와 상기 가이드부가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몸체와 상기 제2가이드몸체는 스티로폼재질로 이루어져 냉기를 안내하는 동시에 단열벽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안내유로의 타단은 상기 증발기의 상단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흡입안내유로의 타단은 상기 증발기의 하단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안내유로는 상기 증발기의 하단에서 상단을 통과하여 생성되는 냉기를 상기 냉기토출구로 안내하여 상기 제빙실로 토출되게 하고, 상기 제빙실에서 상기 냉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냉기를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된 상기 증발기의 하단부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안내유로는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스티로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컴팩트하게 구성된 가이드부를 증발기케이스에 설치하여 제빙실과 설치공간 간의 냉기 순환을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가이드부가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로 분리 가능하여 흡입안내유로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가이드부가 냉기를 안내하는 유로의 역할과 냉장실과 제빙실 및 설치공간 간의 단열벽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하나의 가이드부 자체에 토출안내유로와 흡입안내유로가 마련되므로 냉기의 순환을 위한 유로가 컴팩트하게 구성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가이드부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토출안내유로와 흡입안내유로가 함께 설치되므로 냉기의 순환을 위한 유로를 설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회동형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회동형 도어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도어포켓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 부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내상에서 걸림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수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케이스에서 서랍형 도어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배면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바스켓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분해시시도.
도 11은 도 9에서 측벽커버를 제거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도 9의 가이드롤러의 중심을 전후 방향으로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도 9의 저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실이 형성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B-B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C-C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도 14의 D-D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도 14에서 제빙실을 형성하는 구성들을 제거하여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구획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구획벽을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구획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구획벽을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입구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설치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5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획벽, 입구벽, 설치벽 및 내부케이스가 서로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체발포공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체발포공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3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상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실측 선반이 탈거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실측 선반이 구획벽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실측 선반을 구획벽에 거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얼음저장용 버킷을 도시한 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얼음저장용 버킷을 배면측에서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동부 팬 덕트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동부 팬 덕트조립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3은 도 42를 배면에서 도시한 배면분리사시도.
도 4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실도어에 형성된 손잡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절취하여 도시한 수직단면도.
도 4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케이스 및 내부케이스에서 증발기케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분리사시도.
도 46은 도 45에서 내부케이스에 증발기케이스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47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증발기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7 (b)는 도 47 (a)의 배면사시도.
도 48 (a)는 도 47 (a)의 정면도이고, 도 48 (b)는 도 47 (a)의 배면도.
도 4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열커버가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분리사시도.
도 5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열커버, 증발기조립체 및 가이드부가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분리사시도.
도 5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증발기조립체를 도시한 배면분해사시도.
도 5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배면분해사시도.
도 53은 도 52를 정면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열커버의 중심을 기준으로 절취하여 외부커버와 내부커버로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수평단면도.
도 5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열커버에서 제1패킹 및 제2패킹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상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상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전후좌우상하의 방향은 모두 도면 1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직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케이스(200)를 포함한다.
외부케이스(100)는 본체(10)의 외관, 즉,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의 일측 상단에는 개구(101)가 형성된다.
개구(101)는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개구(101)는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 좌측 상단 모서리 측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후술할 제빙실(60)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발기조립체(1100)를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 후방 측에서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개구(101)는 외부케이스(100)의 전방에 배치되는 후술할 증발기케이스(1000)의 설치공간(10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케이스(100)에는 내부케이스(200)가 결합된다.
내부케이스(200)는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조립됨으로써 외부케이스(100)와 결합되고, 각종 배선의 수용 및 후술할 단열재(110)가 주입되어 발포될 수 있도록 외부케이스(100)와의 사이에 공간부(102)를 마련한 채 외부케이스(100)와 결합된다.
내부케이스(200)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복수 개의 저장실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저장실은 각각 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냉장 하냉동의 프렌치도어타입의 냉장고로서, 상기 복수 개의 저장실은 내부케이스(200)의 상부에 마련되는 냉장실(11) 및 냉장실(11)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내부케이스(200)의 하부에 마련되는 냉동실(12)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저장실 전면측에는 각각 도어가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이 상기 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저장실 중 일부 개는 회동형 도어(3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저장실 중 나머지 일부 개는 서랍형 도어(4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냉장실(11)이 회동형 도어(300)에 의해 개폐되고, 본체(10)의 하부, 즉, 냉장실(11)의 하부에 배치된 특화실(13) 및 특화실(13)의 하부에 배치된 냉동실(12)이 각각 서랍형 도어(400)에 의해 개폐되며, 이하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제1회동형 도어(310)와 제2회동형 도어(320)는 본체(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1회동형 도어(310)는 제1회동형 도어(3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도어외상(310a) 및 제1도어외상(310a)의 후단에 결합되는 제1도어내상(310b)을 포함한다.
또한, 제2회동형 도어(320)는 제2회동형 도어(32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도어외상(320a) 및 제2도어외상(320a)의 후단에 결합되는 제2도어내상(320b)을 포함한다.
회동형 도어(300)에는 디스펜서(330)가 설치된다.
디스펜서(330)는 회동형 도어(30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회동형 도어(300)를 열지 않고 급수탱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물 또는 제빙실(60)에 저장되어 있는 얼음을 취출구를 통해 냉장고의 외부로 취출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디스펜서(330)는 본체(10)의 좌측에 설치된 제1회동형 도어(310)에 마련된다.
디스펜서(330)는 제1회동형 도어(310)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취출구와 연통되는 얼음이송덕트(331)를 포함하고, 제1회동형 도어(310)가 닫혀 있을 경우 얼음이송덕트(331)의 상단부는 제빙실(60)과 연통됨으로써 디스펜서(330)의 취출구와 제빙실(60)이 연통되어 제1회동형 도어(310)가 닫힌 상태에서도 제빙실(60)에 저장된 얼음이 디스펜서(330)의 취출구를 통해 외부로 취출 가능하게 된다.
얼음이송덕트(331)의 상단 둘레에는 얼음이송덕트(331)와 제빙실(60)이 연통되어 있을 때 제빙실(60)과 냉장실(11)간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가스켓(332)이 설치된다.
가스켓(332)은 상부면이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스켓(332)은 상단부 전단측이 후단측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전체적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스켓(332)은 상단 전둘레에서 가스켓(332)의 중심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스켓(332)에 형성된 경사는 제1회동형 도어(310)의 닫힘 시, 후술할 접촉부(6119)와의 스무스한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 준다.
디스펜서(330)에는 버튼, 레버 등과 같은 조작부(333)가 마련되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조작부(333)를 조작함으로써 급수탱크(미도시)에 저장된 물 또는 제빙실(60)에 저장된 얼음을 디스펜서(330)를 통해 취출할 수 있다.
제1회동형 도어(310)의 후면 우측 단부에는 밀폐바(340)가 설치된다.
밀폐바(34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의 일면에 밀폐면(341)이 마련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제1회동형 도어(310)와 제2회동형 도어(320)가 닫혀 있는 상태일 경우 제1회동형 도어(310)와 제2회동형 도어(320) 간의 이격 공간을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밀폐면(341)은 스틸재질로 이루어져 도어가스켓(미도시)의 자석에 밀착된다. 또한, 밀폐면(341) 자체가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동형 도어(300)의 도어내상(310b, 320b)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317, 351)가 마련된다.
한 쌍의 걸림돌기(317, 351)는 회동형 도어(300)에 마련된 디스펜서(330)의 하단부 측 도어내상(310b, 320b)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도어내상(310b)의 양측부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된 좌측돌출벽(316)과 우측돌출벽(315)이 형성되고, 한 쌍의 걸림돌기(317, 351)는 우측돌출벽(315)의 외부 좌측면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1걸림돌기(317)와 좌측돌출벽(316)의 외부 우측면에서 우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2걸림돌기(351)로 구성된다.
여기서, 좌측돌출벽(316)은 우측돌출벽(315)에 비해 후방측으로 더 돌출되어 있고, 이에 따라, 좌측돌출벽(316)에 마련된 제2걸림돌기(351)는 우측돌출벽(315)에 마련된 제1걸림돌기(317)보다 더 후방측이 배치된다.
한 쌍의 걸림돌기 중 제1걸림돌기(317)는 제1도어내상(310b)의 우측돌출벽(315)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걸림돌기 중 제2걸림돌기(351)는 제1도어내상(310b)과 별도로 구비되어 좌측돌출벽(316)에 결합되는 걸림부재(350)에 일체로 형성되고, 좌측돌출벽(316)에 형성된 걸림돌기수용홀(318)을 통해 좌측돌출벽(316)의 우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된다. 물론, 제2걸림돌기(351)는 제1도어내상(310b)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쌍의 걸림돌기(317, 351)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한 쌍의 걸림돌기(317, 3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절개홈(351a)이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절개홈(351a)은 제2걸림돌기(351)에 형성된다.
절개홈(351a)은 제2걸림돌기(351)의 전면 및 상면에 걸쳐서 절개된 홈으로서, 전방측과 상부측이 개방되어 있다.
한편, 회동형 도어(300)의 후면, 즉, 제1회동형 도어(310)의 제1도어내상(310b)에는 도어포켓(360)이 설치된다.
도어포켓(360)은 각종 병류, 비닐 포장된 식품, 자주 이용하는 식품 등을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용기의 형태로 형성된다.
도어포켓(360)은 일측부가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도어포켓(360)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포켓부(361) 및 제1포켓부(361)의 우측부에서 전방측으로 절곡된 제2포켓부(362)로 구성된다.
도어포켓(360)은 제1회동형 도어(310)에 마련된 디스펜서(330)의 하단부에 장착되는데, 이때, 제1포켓부(361)는 디스펜서(330)의 후방측에 지지되고, 제2포켓부(362)는 디스펜서(330)와 우측돌출벽(315)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어 장착된다.
도어포켓(360)의 양측벽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317, 351)에 대응하는 한 쌍의 포켓홈(363)이 형성된다.
포켓홈(363)은 걸림돌기(317, 351)에 끼워져 도어포켓(360)이 제1회동형 도어(310)에 장착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포켓홈(363)은 도어포켓(360)의 좌측벽과 우측벽에 각각 형성되고, 내측 수평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폐쇄된 홈이며, 도어포켓(360)의 좌측벽과 우측벽, 보다 구체적으로, 제1포켓부(361)의 좌측벽과 제2포켓부(362)의 우측벽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되어 한 쌍을 이룬다.
한 쌍의 포켓홈(363)은 한 쌍의 걸림돌기(317, 351)에 대응하여 끼워진다.
이때, 제1포켓부(361)의 좌측벽에 형성된 포켓홈(363)은 제2걸림돌기(351)에 끼워지고, 제2포켓부(362)의 우측벽에 형성된 포켓홈(363)은 제1걸림돌기(317)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켓홈(363)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 상면이 걸림돌기(317, 351)의 상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포켓홈(363)에는 포켓홈(363)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걸림돌기(317, 351)가 끼워지게 되고, 걸림돌기(317, 351)의 라운드진 상면이 포켓홈(363)의 라운드진 내부 상면을 지지하게 되며, 걸림돌기(317, 351)의 전면과 후면이 포켓홈(363) 내부 전면과 후면에 걸리게 됨으로써 도어포켓(360)이 제1회동형 도어(310)에 장착된다.
포켓홈(363)의 내부 일측에는 절개홈(351a)에 삽입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이탈방지부(364)가 일체로 형성된다.
포켓홈(363)과 걸림돌기(317, 351)의 결합으로 도어포켓(360)은 후방 및 하부 이탈이 방지됨은 물론, 이탈방지부(364)와 절개홈(351a)의 결합으로 외부 충격으로 인한 포켓홈(363)으로부터 걸림돌기(317, 351)의 이탈이 방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저장실에는 서랍형 도어(400)가 설치된다.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서랍형 도어(400)는 저장실 중에서 특히, 특화실(13) 및 냉동실(12)의 개방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체(10)의 내부케이스(200)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서랍형 도어(400)는 도어부(410)와 바스켓부(420)를 포함한다.
도어부(410)의 상면에는 제어패널(411)이 마련될 수 있다.
제어패널(411)은 야채, 과일, 육류, 생선, 음료, 와인 등의 특정 물품을 알맞은 상태로 저장실에 보관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여 설정 가능한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특화실(13)에 설치된 서랍형 도어(400)의 도어부(410) 상면측에 마련되나, 냉동실(12)에 설치된 서랍형 도어(400)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제어패널(411)은 본체(10)의 내부케이스측 전선(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설정에 따라 저장실이 제어될 수 있다.
도어부(410)에는 제1연결프레임(412)이 설치된다.
제1연결프레임(412)은 도어부(410)와 제2연결프레임(413) 및 레일조립체(46)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L”형 프레임이고, 도어부(410)의 후면 양단부에 좌우 대칭되는 형태로 각각 체결되어 고정된다.
제1연결프레임(412)에는 제2연결프레임(413)이 결합된다.
제2연결프레임(413)은 도어부(410)의 후방측에 바스켓부(420)를 마련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전단부가 도어부(410)에 고정된 두 개의 제1연결프레임(412) 후단에 각각 체결되어 고정된다.
제2연결프레임(413)의 전방측 상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고 수평 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구속홈(4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연결프레임의 전방측과 후방측에는 각각 관통부(415)가 존재하고, 상기 관통부(415)의 내부 상단에는 고정편(416)이 하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제2연결프레임(413)의 후방측에 형성된 고정편(416)은 하단부가 후방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2연결프레임(413)의 내측면에는 접속부재(430)가 결합된다.
접속부재(430)는 제어패널(411)에 연결된 제어패널측 전선(미도시)과 내부케이스(200)의 외부에서 특화실(13)의 내부로 인출된 내부케이스측 전선(미도시)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2연결프레임(413)의 내측면 하부에 끼움결합 및 나사체결을 통해 고정된다.
접속부재(430)의 내부에는 제어패널측 전선(미도시)과 본체(10)의 내부케이스측 전선(미도시)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선(미도시)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선의 양단은 접속부재(43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마련된 제1커넥터(미도시)와 제2커넥터(미도시)에 접속된다.
도어부(410)의 후면에는 바스켓부(420)가 마련된다.
바스켓부(420)는 내부에 식품 등을 보관하기 위한 저장공간(420a)이 마련된 수납부로서,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된다.
바스켓부(420)의 양측벽에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롤러홈(424)이 형성된다.
롤러홈(424)은 바스켓부(420)의 전측벽과 후측벽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후술할 칸막이(440)에 고정된 가이드롤러(450)가 수용되는 홈이다.
바스켓부(420)에서 롤러홈(424)이 형성된 부분의 상부는 별도의 측벽커버(426)로 이루어져 바스켓부(420)의 전측벽과 후측벽 상단에 각각 체결되어 고정된다.
바스켓부(420)의 하면에는 보강지지부(427)가 형성된다.
보강지지부(427)는 바스켓부(420)의 하면을 보강하여 저장공간(420a)에 보관되는 식품 등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바스켓부(420)의 하면 중앙부에 전후 이격된 상태로 두 개가 각각 돌출형성되며,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바스켓부(420)에는 저장공간(420a)에 보관되는 식품 등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보강부재(428)가 설치된다.
보강부재(428)는 보강지지부(427)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된다.
바스켓부(420)의 내부에는 저장공간(420a)을 구획하는 칸막이(440)가 구비된다.
칸막이(440)는 저장공간(420a) 내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수직하게 기립된 형태로 배치되며, 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칸막이(440)의 일측과 타측, 즉, 전후에는 각각 가이드롤러(450)가 설치된다.
가이드롤러(450)는 칸막이(440)가 저장공간(420a)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롤러홈(424)에 수용되어 안내되는 구성으로서, 칸막이(440)의 전단 상부측에 한 개가 설치되고, 칸막이(440)의 후단 상부측에 한 개가 설치된다.
즉, 가이드롤러(450)는 전후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한 쌍이 칸막이(440)의 양단 상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가이드롤러(450)는 롤러브라켓(451)과 롤러(454)를 포함한다.
롤러브라켓(451)은 칸막이(440)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고정된다.
롤러브라켓(451)에는 롤러(454)가 설치된다.
롤러(454)는 롤러홈(424)에 수용된 채 롤러홈(424)의 안내에 따라 이동하는 구성이다.
롤러(454)는 수직축(455)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롤러브라켓(451)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복수 개가 설치될 경우 롤러홈(424)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롤러브라켓(451)에 설치된다.
이때, 롤러(454)는 롤러홈(424)의 입구측 내면(전방측 롤러홈의 내부 후면 및 전방측 롤러홈의 내부 전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브라켓(451)에 두 개의 롤러(454)가 설치되어 있다.
두 개의 롤러(454) 중 한 개는 롤러브라켓(451)의 하부 좌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 한 개는 롤러브라켓(451)의 하부 우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두 개의 롤러(454)는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칸막이(440)에 고정된 가이드롤러(450)가 롤러홈(424)에 수용될 경우 두 개의 롤러(454)는 롤러홈(424)의 입구측 내면에 접촉되고, 이 상태로 사용자에 의해 칸막이(440)에 힘이 가해질 경우 두 개의 롤러(454)는 가해진 힘의 방향에 따라 롤러홈(424)의 입구측 내면을 타고 롤러홈(424)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칸막이(440)에 가해지는 힘이 칸막이(440)의 어느 일측으로 편중되거나 강하게 작용하더라도 수직축(455)에 의해 회전 가능한 가이드롤러(450)의 롤러(454)는 구름면이 항상 롤러홈(424)의 입구측 내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바스켓부(420)의 저장공간(420a) 내에서 칸막이(440)가 뒤틀림없이 매우 쉽게 슬라이딩이동할 수 있다.
한편, 서랍형 도어(400)의 후면측 양단부는 각각 레일조립체(46)에 의해 본체(10)의 양측벽에 연결된다.
레일조립체(46)는 서랍형 도어(400)를 본체(10)의 내부케이스(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저장실에 대해 서랍형 도어(400)를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하고, 서랍형 도어(400)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레일조립체(46)는 서랍형 도어(400)에 고정되는 도어레일(480), 본체(10)의 내부케이스(200)에 고정되는 고정레일(460) 및 도어레일(480)과 고정레일(460)을 연결하는 연결레일(470)을 포함한다.
한편, 내부케이스(200)의 일측 내면에는 제1비드부(210)가 형성되고, 내부케이스(200)의 타측 내면에는 제2비드부(220)가 형성된다.
도 14 내지 30을 참조하면, 제1비드부(210)는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 내면에서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동시에 내부케이스(200)의 후측벽 내면에서부터 전방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비드부(220)는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 내면에서 우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동시에 내부케이스(200)의 후측벽 내면에서부터 전방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1비드부(210)와 제2비드부(220)는 내부케이스(200)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제1비드부(210)는 제2비드부(220)에 비해 긴 길이로 형성된다.
제1비드부(210)와 제2비드부(220)는 내부케이스(200)의 내측으로 볼 때 볼록한 형상을 가지나, 내부케이스(200)의 외측으로 볼 때 오목한 형상을 가진다.
즉, 제1비드부(210)와 제2비드부(220)는 내부케이스(200)의 내면에 대해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고, 내부케이스(200)의 외면에 대해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를 가진다.
제1비드부(210)의 전방측 단부는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비드부(220)의 전방측 단부는 좌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제1비드부(210)의 우측부에는 제1단차부(211)가 형성되어 후술할 단턱부(6132)를 지지하고, 제2비드부(220)의 하부에는 제2단차부(221)가 형성되어 후술할 외부구획벽(610)의 제1하판(611) 좌측단부를 지지한다.
제1비드부(210)는 제빙실(60)을 형성하는 후술할 구획벽(600)의 우측부와 함께 제빙실(60) 우측의 단열벽 일부분을 이루고, 제2비드부(220)는 제빙실(60)을 형성하는 후술할 구획벽(600)의 하측부와 함께 제빙실(60) 하측의 단열벽 일부분을 이룬다.
한편, 내부케이스(200)의 일측 상부 구석에는 구획벽(600)이 설치된다.
구획벽(600)은 일측에 제1비드부(210)와 형합되는 제1오목부(6131)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2비드부(220)와 형합되는 제2오목부(6241)가 형성된다.
구획벽(600)은 내부케이스(200)의 좌측 상부 구석에 결합되어 제빙실(60)을 형성시키기 위한 우측단열벽과 하측단열벽 역할을 하는 벽체로서, 우측 상단에 형성된 제1오목부(6131)가 내부케이스(200)의 제1비드부(210)와 형합되어 결합되고, 하부 좌측단에 형성된 제2오목부(6241)가 내부케이스(200)의 제2비드부(220)와 형합되어 결합됨으로써 내부에 제빙실(60)을 형성한다.
즉, 구획벽(600)은 제빙실(60)을 냉장실(11)과 별도의 단열공간으로 구획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 및 좌측벽과 더불어 제빙실(60)을 둘러싸는 제빙실케이스의 역할을 한다.
구획벽(600)의 내부에는 단열재수용공간(601)이 마련된다.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케이스(200)의 사이 공간부(102) 및 구획벽(600)의 단열재수용공간(601) 적어도 일부분에는 단열재(110)가 주입되어 일체 발포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구획벽(600)에 의해 제빙실(60)을 형성함에 있어서, 구획벽(600)과 더불어 입구벽(630) 및 설치벽(640)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구획벽(600)은 외부구획벽(610)과, 외부구획벽(610)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부구획벽(620)으로 이루어진다.
외부구획벽(610)은 제빙실(60)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제1하판(611), 제1하판(611)의 우측단 전체에 걸쳐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측판(612), 제1측판(612)의 상단 일부분에 걸쳐 좌측으로 연장되는 제1결합판(613),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과 우측단이 각각 제1하판(611)의 전단과 제1측판(612)의 전단 전체에 걸쳐 일체로 형성되는 제1전판(614) 및 제1하판(611)과 제1측판(612)과 제1결합판(613)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후판(615)을 포함한다.
제1하판(611)은 외부구획벽(610)의 바닥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하판(611)의 좌측단부는 제2비드부(2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후단에서 전방 일측까지 우측으로 함몰되어 있고, 내부케이스(200)와 구획벽(600)의 결합 시 제2단차부(221)에 의해 지지된다.
제1하판(611)은 전방측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 경사판(6111)으로 형성되고, 경사판(6111)의 후방측이 수평판(6112)으로 형성된다.
제1하판(611)의 전방측, 즉, 경사판(611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얼음토출구(6113)가 후술할 제1전판(614)의 전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얼음토출구(6113)는 후술할 제빙기(700)에서 생성되어 얼음저장용 버킷(800)에 저장된 얼음이 토출되는 구멍으로서, 후술할 제빙실도어(810)의 후방측에 이격배치되도록 구획벽(600)의 하부에 마련된다.
얼음토출구(6113)가 구획벽(600)의 하부에 마련됨에 따라 제빙실도어(810)와 구획벽(600) 간의 이음부분, 즉, 제빙실도어(810)와 구획벽(600) 간의 개폐를 위한 착탈부분은 얼음토출구(6113)의 전방측에 얼음토출구(6113)와 이격되도록 위치하여 얼음저장용 버킷(800)에 저장된 얼음의 이동경로 상 냉기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얼음토출구(6113)의 하단부 테두리에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접촉부(6119)가 형성된다.
접촉부(6119)는 구획벽(600)의 하면, 즉, 제1하판(611)의 경사판(6111) 하면에 형성되며, 얼음토출구(6113)의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된다.
접촉부(6119)는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접촉부(6119)는 디스펜서(330)에 형성된 얼음이송덕트(331)의 상단부에 마련된 가스켓(332)과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가스켓(332)에 집중적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게 한다.
접촉부(6119)는 제1회동형도어(310)가 본체(10)에 닫힐 경우, 가스켓(332)에 형성된 경사를 타고 스무스(smooth)하게 가스켓(332)의 상단 전둘레를 가압하는 동시에 가스켓(332)의 상단 전둘레에 밀착되어 제빙실(60)과 냉장실(11) 간의 기밀을 유지시켜준다.
또한, 가스켓(332)의 경사에 의해 가스켓(332)에 별도의 윤활소재의 첨가 없이도 가스켓(332)의 뒤틀림이나 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하판(611)의 상면, 보다 구체적으로 수평판(6112)의 상면에는 평면상으로 볼 때 “ㄷ”자의 형태를 갖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턱(6114)이 형성되고, 제1돌출턱(6114)의 상단에는 제1돌출턱(6114)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절곡된 플랜지(6115)가 형성된다.
제1돌출턱(6114) 및 플랜지(6115)는 제1하판(611)의 전측, 후측 및 좌측 테두리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플랜지(6115)의 좌측부에는 제1체결부(6116)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1체결부(6116)는 외부구획벽(610), 후술할 내부구획벽(620) 및 설치벽(640) 간의 결합을 위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제1체결부(6116)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1하판(611)의 하면에는 제2체결부(6117)가 형성된다.
제2체결부(6117)에는 선반거치대(616)가 체결된다.
선반거치대(616)와 제1하판(611) 사이에는 유격공간(6162)이 형성되며, 유격공간(6162)에는 이웃한 제빙실측 선반(250)이 기립된 상태로 끼움결합되어 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빙실측 선반(250)의 하측에 배치된 좌측선반(230)에 높이가 높은 물품을 수용할 수 있다.
제1측판(612)의 상단에는 제1결합판(613)이 일체로 형성된다.
제1결합판(613)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1측판(612)의 상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제1하판(611)과 대향한다.
제1결합판(613)의 좌우 폭은 제1하판(611)의 좌우 폭보다 짧게 형성되고, 제1결합판(613)의 전후 방향 길이는 제1하판(611) 및 제1측판(612)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즉, 제1결합판(613)은 제1하판(611)의 수평판(6112)과 대략 유사한 전후 방향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1결합판(613)의 전단은 후술할 제1전판(614)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결합판(613)의 우측부에는 내부케이스(200)의 제1비드부(210)와 형합되는 제1오목부(6131)가 형성된다.
제1오목부(6131)는 제1비드부(210)가 수용되어 형합될 수 있도록 제1결합판(613)의 우측부에 하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오목부(6131)는 구획벽(600)을 내부케이스(200)에 결합할 경우 제1비드부(210)와의 형합을 통해 구획벽(600)이 정확한 위치에 조립될 수 있게 한다.
제1오목부(6131)의 전방측 단부는 제1오목부(6131)에 대해 상측으로 솟아 있다.
제1오목부(6131)의 우측단에는 단턱부(6132)가 형성된다.
단턱부(6132)는 제1측판(612)의 상단이 제1오목부(6131)에 대해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으로서, 내부케이스(200)와 구획벽(600)의 결합 시 단턱부(6132)는 제1단차부(211)에 지지된다.
제1결합판(613)에는 삽입돌기(6133) 및 제4삽입공(6134)이 복수 개 형성된다.
삽입돌기(6133)는 제1결합판(613)의 상면 좌측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제1결합판(613)의 우측부, 즉, 제1오목부(6131)에는 제3체결공(6135)이 형성된다.
제1하판(611)과 제1측판(612)의 전단에는 제1전판(614)이 일체로 형성된다.
제1전판(614)은 정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과 우측단이 각각 제1하판(611)의 전단과 제1측판(612)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제1전판(614)은 제1결합판(613)과 이격되어 있다.
제1전판(614)에는 후술할 얼음저장용 버킷(800)이 제빙실(60)로 인입되거나 제빙실(60)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제1개구부(6141)가 형성된다.
제1개구부(6141)는 후술할 입구벽(630)의 제2개구부(6301)와 연통되어 제빙실(60)의 전면이 개방되게 한다.
제1전판(614)의 상단과 좌측단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된 돌출편(6142)이 각각 형성되고, 돌출편(6142)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끼움공(6143)이 형성된다.
또한, 제1전판(614)의 좌측 하단 후면에는 체결편(6144)이 형성된다.
제1하판(611)과 제1측판(612)과 제1결합판(613)의 후단에는 제1후판(615)이 일체로 형성된다.
제1후판(615)은 배면에서 볼 때 “L”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과 우측단과 상단이 각각 제1하판(611)과 제1측판(612)과 제1결합판(613)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1결합판(613)의 하부에는 제1측판(612)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절곡판(6122)이 형성된다.
절곡판(6122)은 좌측단이 하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절곡판(6122)의 좌측단은 제1결합판(613)의 좌측단보다 제1측판(612)에 대해 좌측으로 덜 튀어 나와 있다.
제1결합판(613)과 절곡판(6122) 사이에는 제1끼움홈(6123)이 형성된다.
제1끼움홈(6123)은 제1결합판(613)과 절곡판(6122) 사이의 전방측, 좌측 및 후방측에 걸쳐서 형성되어 전방측, 좌측 및 후방측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제1하판(611)과 플랜지(6115) 사이에는 제2끼움홈(6118)이 형성된다.
제2끼움홈(6118)은 제1하판(611)과 플랜지(6115) 사이의 전방측, 좌측 및 후방측에 걸쳐서 형성되어 전방측, 좌측 및 후방측이 개방되어 있다.
제1끼움홈(6123)과 제2끼움홈(6118)에는 후술할 내부구획벽(620)의 제1끼움부(623)와 제2끼움부(625)가 끼워지게 된다.
제1하판(611), 제1측판(612) 및 제1결합판(613)에는 제1실링부재(618)가 마련된다.
제1실링부재(618)는 제1하판(611)의 전방측 상면에서부터 제1측판(612)의 전방측 좌측면을 거쳐 제1결합판(613)의 전단부 하면을 두르도록 배치되어, 외부구획벽(610)에 후술할 내부구획벽(620) 및 후술할 입구벽(630)이 결합될 때 내부구획벽(620)의 제2전판(626) 외측 테두리 및 입구벽(630)의 후방테두리판(633) 외측 테두리가 제1실링부재(618)에 밀착될 수 있다.
제1실링부재(618)는 스펀지로 제작되어 제1하판(611), 제1측판(612) 및 제1결합판(613)에 접착될 수 있다.
제1실링부재(618)는 외부구획벽(610)과 내부구획벽(620) 사이 및 외부구획벽(610)과 입구벽(630)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구획벽(610)의 전방부, 내부구획벽(620)의 전단부 및 입구벽(630)의 후단부 간의 이음부를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제1측판(612)에는 제2실링부재(619)가 마련된다.
제2실링부재(619)는 제1측판(612)의 후단부 좌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외부구획벽(610)에 내부구획벽(620)이 결합될 때 내부구획벽(620)의 제2후판(627) 우측단이 제2실링부재(619)에 밀착될 수 있다.
제2실링부재(619)는 제1실링부재(618)와 마찬가지로 스펀지로 제작되어 제1측판(612)에 접착될 수 있다.
제2실링부재(619)는 외부구획벽(610)과 내부구획벽(620)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구획벽(610)의 후단부와 내부구획벽(620)의 후단부 간의 이음부를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외부구획벽(610)에는 내부구획벽(620)이 결합된다.
내부구획벽(620)은 외부구획벽(610)과의 사이에 본체(10)의 외부로부터 공간부(102)에 주입된 단열재(110)가 주입될 수 있는 단열재수용공간(601)이 구비되도록 외부구획벽(610)과 결합된다.
내부구획벽(620)은 외부구획벽(6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제빙실(60)의 하부 내면과 우측 내면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제2하판(621), 제2하판(621)의 우측단 전체에 걸쳐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측판(622), 제2측판(622)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끼움부(623), 제2하판(621)의 좌측단 전제에 걸쳐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결합판(624), 제2결합판(624)의 하단 전체에 걸쳐 우측으로 연장되는 제2끼움부(625), 제2하판(621)과 제2측판(622)과 제1끼움부(623)와 제2결합판(624)과 제2끼움부(625)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전판(626) 및 제2하판(621)과 제2측판(622)과 제1끼움부(623)와 제2결합판(624)과 제2끼움부(625)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후판(627)을 포함한다.
제2하판(621)은 제빙실(60)의 내부 바닥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2하판(621)의 후단 좌우측에는 제4체결부(6211)가 각각 형성된다.
두 개의 제4체결부(6211)는 후술할 증발기케이스(1000)와의 체결을 위한 구성이다.
제2하판(621)의 우측단에는 제2측판(622)이 일체로 형성된다.
제2측판(622)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2하판(621)의 우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기립한 형태를 가진다.
제2측판(622)은 상단 중앙부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측판(622)의 상단부 좌측면, 즉, 제2측판(622)의 돌출된 부분의 좌측면에는 제5체결부(6221)와 제1제빙기지지부(6222)가 형성된다.
제1제빙기지지부(6222)는 후술할 제빙기(700)의 일측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두 개가 서로 이격형성된다.
제2측판(622)의 후단에는 제6체결부(6223)가 형성된다.
제6체결부(6223)는 제4체결부(6211)와 더불어 후술할 증발기케이스(1000)와의 체결을 위한 구성으로서, 제2하판(621)의 후단 우측에 형성된 제4체결부(6211)의 직상방에 위치한다.
제2측판(622)의 상단에는 제1끼움부(623)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1끼움부(623)는 제2측판(622)의 돌출된 부분 상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1끼움부(623)의 우측 중앙부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동시에 우측이 개방되어 있다.
제1끼움부(623)의 절개되지 않은 전방부와 후방부는 제2측판(622)보다 우측으로 더 튀어 나오도록 형성된다.
제1끼움부(623)는 전방측 단부가 그 후방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는데, 다시 말해서 제1끼움부(623)는 전방측 단부보다 그 후방부가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외부구획벽(610)과의 결합 시 제1오목부(6131)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2하판(621)의 좌측단에는 제2결합판(624)이 일체로 형성된다.
제2결합판(624)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2하판(621)의 좌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결합판(624)에는 내부케이스(200)의 제2비드부(220)와 형합되는 제2오목부(6241)가 형성된다.
제2오목부(6241)는 제2비드부(220)가 수용되어 형합될 수 있도록 제2결합판(624)에 우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2오목부(6241)는 제1오목부(6131)와 더불어 구획벽(600)을 내부케이스(200)에 결합할 경우 제2비드부(220)와의 형합을 통해 구획벽(600)이 정확한 위치에 조립될 수 있게 한다.
제2오목부(6241)는 제2비드부(220)와 대응되도록 전방측 단부면이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우측에서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제2비드부(220)와의 형합이 용이해진다.
제2오목부(6241)에는 제7체결부(6242) 및 제5삽입공(6243)이 형성된다.
제2결합판(624)의 하단에는 제2끼움부(625)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2끼움부(625)는 제2결합판(624)의 하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끼움부(625)의 우측 중앙부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동시에 우측이 개방되어 있다.
제2끼움부(625)의 절개되지 않은 전방부와 후방부는 제2측판(622)보다 우측으로 더 튀어 나오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끼움부(625)의 절개되지 않은 전방부와 후방부의 우측단은 제1끼움부(623)의 절개되지 않은 전방부와 후방부의 우측단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한다.
제2하판(621)과 제2측판(622)과 제1끼움부(623)와 제2결합판(624)과 제2끼움부(625)의 전단에는 제2전판(626)이 일체로 형성되며, 후단에는 제2후판(627)이 일체로 형성된다.
외부구획벽(610)과 내부구획벽(620)은 결합되어 내부에 단열재수용공간(601)을 마련한 채 구획벽(600)을 이루며, 구획벽(600)은 제1비드부(210)에 제1오목부(6131)가 끼워져 형합되고, 제2비드부(220)에 제2오목부(6241)가 끼워져 형합된 채 내부케이스(200)에 체결됨으로써 제빙실(60)을 형성한다.
한편, 제1비드부(210)와 제1오목부(6131) 중 어느 하나에는 제1관통공(6136a)이 형성된 제1돌출부(6136)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제1돌출부(6136)가 삽입되는 제1주입구(210a)가 형성되되, 제2비드부(220)와 제2오목부(6241) 중 어느 하나에는 제2관통공(6244a)이 형성된 제2돌출부(6244)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제2돌출부(6244)가 삽입되는 제2주입구(220a)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비드부(210)에 제1주입구(210a)가 형성되고, 제2비드부(220)에 제2주입구(220a)가 형성되며, 제1오목부(6131)에 제1돌출부(6136)가 형성되고, 제2오목부(6241)에 제2돌출부(6244)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1비드부(210)에는 제1주입구(210a)가 형성된다.
제1주입구(210a)는 제1비드부(210)를 상하로 관통하는 직사각형상의 구멍으로, 전후로 이격되게 두 개가 형성되며, 제1주입구(210a)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주입구(210a)는 외부케이스(100)의 상측벽과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 사이의 공간부(102) 및 구획벽(600)의 상부 우측 단열재수용공간(601) 사이에 배치되어 공간부(102)와 단열재수용공간(601)을 연통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제2비드부(220)에는 제2주입구(220a)가 형성된다.
제2주입구(220a)는 제2비드부(220)를 좌우로 관통하는 직사각형상의 구멍으로, 전후로 이격되게 두 개가 형성되며, 제1주입구(210a)와 마찬가지로 제2주입구(220a)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주입구(220a)는 외부케이스(100)의 좌측벽과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 사이의 공간부(102) 및 구획벽(600)의 하부 좌측 단열재수용공간(601) 사이에 배치되어 공간부(102)와 단열재수용공간(601)을 연통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제1오목부(6131)에는 제1주입구(210a)에 삽입되는 제1돌출부(6136)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1돌출부(6136)는 제1오목부(6131)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제1주입구(210a)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전후로 이격되게 두 개가 형성되며, 제1돌출부(6136)의 개수는 제1주입구(210a)의 개수가 달라질 경우 이에 대응하여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돌출부(6136)의 전면에는 좌우로 이격된 두 개의 제1리브(6137)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1돌출부(6136)를 보강해준다.
제1돌출부(6136)의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제1관통공(6136a)이 형성된다.
제1관통공(6136a)은 구획벽(600)의 내부 공간, 즉, 제1측판(612)과 제2측판(622) 사이의 단열재수용공간(601)에 연통된다.
제1관통공(6136a)은 제1주입구(210a)와 마찬가지로 외부케이스(100)의 상측벽과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 사이의 공간부(102)를 구획벽(600)의 제1측판(612)과 제2측판(622) 사이의 단열재수용공간(601)과 연통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즉, 제1비드부(210)와 제1오목부(6131)의 형합 시, 각각의 제1돌출부(6136)는 대응되는 각각의 제1주입구(210a)에 삽입되고, 외부케이스(100)의 상측벽과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 사이의 공간부(102)는 제1주입구(210a)와 제1관통공(6136a)을 통해 제1측판(612)과 제2측판(622) 사이의 단열재수용공간(601)과 연통되는 것이다.
제2오목부(6241)에는 제2주입구(220a)에 삽입되는 제2돌출부(6244)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2돌출부(6244)는 제2오목부(6241)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제2주입구(220a)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전후로 이격되게 두 개가 형성되며, 제2돌출부(6244)의 개수는 제2주입구(220a)의 개수가 달라질 경우 이에 대응하여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돌출부(6244)의 전면에는 상하로 이격된 두 개의 제2리브(6245)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2돌출부(6244)를 보강해준다.
제2돌출부(6244)의 내부에는 좌우로 관통하는 제2관통공(6244a)이 형성된다.
제2관통공(6244a)은 구획벽(600)의 내부 공간, 즉, 제1하판(611)과 제2하판(621) 사이의 단열재수용공간(601)에 연통된다.
제2관통공(6244a)은 제2주입구(220a)와 마찬가지로 외부케이스(100)의 좌측벽과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 사이의 공간부(102)를 구획벽(600)의 제1하판(611)과 제2하판(621) 사이의 단열재수용공간(601)과 연통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즉, 제2비드부(220)와 제2오목부(6241)의 형합 시, 각각의 제2돌출부(6244)는 대응되는 각각의 제2주입구(220a)에 삽입되고, 외부케이스(100)의 좌측벽과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 사이의 공간부(102)는 제2주입구(220a)와 제2관통공(6244a)을 통해 제1하판(611)과 제2하판(621) 사이의 단열재수용공간(601)과 연통되는 것이다.
한편, 제1비드부(210)에는 제1결합공(212)이 형성된다.
제1결합공(212)은 제1비드부(210)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구멍으로서, 내부케이스(200) 및 구획벽(600) 간의 체결을 위하여 제1비드부(210)에 총 네 개가 형성되고, 각 제1주입구(210a)의 전후측에 한 개씩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2비드부(220)에는 제2결합공(222)이 형성된다.
제2결합공(222)은 제2비드부(220)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구멍으로서, 내부케이스(200), 구획벽(600) 및 후술할 설치벽(640) 간의 체결을 위하여 제2비드부(220)에 총 네 개가 형성되고, 각 제2주입구(220a)의 전후측에 한 개씩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에는 제3결합공(213)이 형성된다.
제3결합공(213)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구멍으로서, 내부케이스(200), 후술할 입구벽(630) 및 후술할 설치벽 간의 체결을 위하여 제1비드부(210)의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에 한 개가 형성된다.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에는 제4결합공(223)이 형성된다.
제4결합공(223)은 좌우 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구멍으로서, 내부케이스(200), 후술할 입구벽(630) 및 후술할 설치벽 간의 체결을 위하여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 상부에 두 개가 상하로 이격형성된다.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 후방 좌측부에는 제1제빙수유입홀(214)이 형성된다.
제1제빙수유입홀(214)은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급수탱크(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제빙수를 후술할 제빙기(700)로 유입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에는 하니스하우징설치홀(224)이 형성된다.
하니스하우징설치홀(224)은 하니스하우징(205)이 장착되는 구멍으로서, 제4결합공(223)의 후방측에 형성된다.
한편, 구획벽(600)의 전방부에는 입구벽(630)이 결합된다.
입구벽(630)은 제빙실(60)의 입구 부분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제2개구부(6301)가 형성되어 있다.
입구벽(630)은 외부구획벽(610)의 제1전판(614)과 내부구획벽(620)의 제2전판(626) 사이에 결합된다.
입구벽(630)은 둘레판(631), 둘레판(631)의 전단에 형성되는 전방테두리판(632), 둘레판(631)의 후단에 형성되는 후방테두리판(633)을 포함한다.
둘레판(631)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직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둘레판(631)은 전방측 둘레면이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
둘레판(631)의 상부벽 상면에는 전방테두리판(632)의 후면과 후방테두리판(633)의 전면을 연결하는 제1연결판(6311)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1연결판(6311)의 상단에는 전방테두리판(632)의 상단과 후방테두리판(633)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2연결판(6312)이 일체로 형성된다.
제1연결판(6311)은 둘레판(631)의 상측부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기립된 상태로 형성되고, 제2연결판(6312)은 제1연결판(6311)의 상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2연결판(6312)은 둘레판(631)의 상측부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제2연결판(6312)의 상면 전단부에는 제1끼움편(6313)이 형성되고, 둘레판(631)의 좌측 외면 전단부에는 제2끼움편(6314)이 형성된다.
제2연결판(6312)의 상면 중앙부에는 제3끼움편(6315)이 형성되고, 제3끼움편(6315)의 좌측에는 제4체결공(6318)이 형성된다.
또한, 제2연결판(6312)의 상면에는 제8체결부(6316)가 형성되고, 둘레판(631)의 좌측부 좌측면에는 제9체결부(6317)가 형성된다.
둘레판(631)의 하측부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얼음안내부(6319)가 형성된다
얼음안내부(6319)의 하단부는 제1하판(611)의 경사판(6111)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얼음안내부(6319)는 내부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상단부가 제2개구부(6301)와 연통되고, 하단부가 얼음토출구(6113)와 연통된다.
얼음안내부(6319)는 입구벽(630)이 구획벽(600)에 결합될 경우 하단부가 구획벽(600)의 얼음토출구(6113)에 삽입된다.
둘레판(631)의 전단에는 전방테두리판(632)이 일체로 형성된다.
전방테두리판(632)은 둘레판(631)의 전단에서 둘레판(631)의 전단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전방테두리판(632)은 둘레판(631)에 대해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전방테두리판(632)의 전면에는 자석수용홈(6321)이 형성된다.
자석수용홈(6321)은 전방테두리판(632)의 전면에서 후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으로서, 내부에 자석이 구비된다.
입구벽(630)이 구획벽(600)에 결합될 경우 전방테두리판(632)은 자석수용홈(6321)에 자석(미도시)을 구비한 채 구획벽(600)의 제1전판(614) 후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자석수용홈(6321)에 구비된 자석은 후술할 얼음저장용 버킷(800)의 제빙실도어(810)에 구비된 자석과의 인력에 의해 제1전판(614)에 후술할 얼음저장용 버킷(800)의 제빙실도어(810)가 쉽게 부착되도록 해준다.
둘레판(631)의 후단에는 후방테두리판(633)이 일체로 형성된다.
후방테두리판(633)은 둘레판(631)의 후단에서 둘레판(631)의 후단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후방테두리판(633)은 둘레판(631)에 대해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전방테두리판(632)과 후방테두리판(633)의 사이에는 단열재삽입공간(6302)이 형성된다.
단열재삽입공간(6302)은 입구벽(630)이 후술할 설치벽(640)과 결합되기 전에 제빙실(60) 전방측의 단열을 위한 입구벽단열재(634)가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둘레판(63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입구벽단열재(634)는 둘레판(631)의 외주면 전체를 덮도록 단열재삽입공간(6302)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구벽(630)의 제1끼움편(6313)이 구획벽(600)의 제1끼움공(6143)에 끼워져 입구벽(630)이 구획벽(600)에 고정되면, 전방테두리판(632)의 전면과 후방테두리판(633)의 후면은 각각 제1전판(614)의 후면과 제2전판(626)의 전면에 각각 밀착된 채 고정된다.
한편, 서로 결합된 구획벽(600) 및 입구벽(630)에는 설치벽(640)이 결합된다.
설치벽(640)은 각종 구동부와 연결되는 하니스의 설치, 얼음저장용 버킷(800)의 인출과 인입에 대한 가이드 및 제빙기(700)의 설치를 위한 구성으로서, 구획벽(600)에 결합된 채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 내면 및 좌측벽 내면에 체결되어 결합된다.
설치벽(640)의 일측은 구획벽(600)의 일측과 입구벽(630)의 일측을 덮고, 설치벽(640)의 타측은 구획벽(600)의 타측과 입구벽(630)의 타측을 덮도록 배치된다.
설치벽(640)은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 내면에 결합되는 상부설치판(641) 및 상부설치판(641)의 좌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부설치판(643)을 포함한다.
상부설치판(641)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으로서, 구획벽(600)의 제1결합판(613)을 덮는 동시에 입구벽(630)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구획벽(600)의 제1오목부(6131)는 상부설치판(641)에 의해 덮이지 않는다.
상부설치판(641)의 전방측 우측단에는 우측으로 돌출된 돌출판(642)이 일체로 형성된다.
돌출판(642)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사각형상의 제2끼움공(6421)이 형성되고, 제2끼움공(6421)의 전방 좌측에는 제6삽입공(6422)이 형성된다.
제2끼움공(6421)은 구획벽(600)에 결합된 입구벽(630)의 제3끼움편(6315)이 끼워지는 구성으로서, 구획벽(600) 및 입구벽(630)에 설치벽(640)을 체결하기 전에 설치벽(640)의 체결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7삽입공(6411)은 구획벽(600)의 삽입돌기(6133)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제2끼움공(6421)과 마찬가지의 역할을 한다.
상부설치판(641)의 후방 좌측부에는 제2제빙수유입홀(6413)이 형성된다.
제2제빙수유입홀(6413)은 제1제빙수유입홀(214)과 연통되도록 상부설치판(641)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급수탱크(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제빙수를 후술할 제빙기(700)로 유입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설치판(641)의 전방측에는 제빙기장착홈(6414)이 형성된다.
제빙기장착홈(6414)은 제빙실(60)에 후술할 제빙기(700)의 설치 시 제빙기(700)에 형성된 탄성편(713)이 끼워져 장착되는 구성이다.
상부설치판(641)의 좌측단에는 측부설치판(643)이 일체로 형성된다.
측부설치판(643)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으로서, 상부설치판(641)의 좌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측부설치판(643)은 구획벽(600)의 제2결합판(624)을 덮는 동시에 입구벽(630)의 좌측부를 덮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측부설치판(643)은 구획벽(600)의 제2오목부(6241)를 포함하여 제2결합판(624) 전체를 덮도록 배치된다.
측부설치판(643)의 하단부에는 개재부(6431)가 형성된다.
개재부(6431)는 제2비드부(220)와 제2오목부(6241)의 형합 시 제2비드부(220)와 제2오목부(6241) 사이에 개재되는 구성으로서, 좌측면으로 볼 때 오목하게 형성되고, 우측면으로 볼 때 볼록하게 형성되어 좌측면이 제2비드부(220)에 형합되는 동시에 우측면이 제2오목부(6241)에 형합된다.
개재부(6431)에는 내부케이스(200)의 제2주입구(220a)와 동일한 형상의 개재홀(6431a)이 형성되고, 개재홀(6431a)은 제2주입구(220a)와 대응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두 개가 이격형성된다.
개재부(6431)에는 제9삽입공(6432) 및 제10삽입공(6433)이 형성된다.
측부설치판(643)의 전단부 하단에는 제11삽입공(6434)이 형성된다.
측부설치판(643)에는 제11삽입공(6434)의 상부 후방측에 배치되도록 제12삽입공(6435)이 형성된다.
측부설치판(643)의 상측 중앙부에는 제2제빙기지지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제2제빙기지지부(미도시)는 후술할 제빙기(700)의 타측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측부설치판(643)의 우측면에서 우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두 개가 이격형성된다.
측부설치판(643)의 중앙부에는 하니스설치홀(6437)이 형성된다.
하니스설치홀(6437)은 전기적으로 연결이 필요한 제빙실(60) 내 각 구성들의 하니스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이다.
하니스설치홀(6437)에는 하니스커버(644)가 마련된다.
하니스커버(644)는 하니스설치홀(6437)을 마감하는 동시에 제빙실(60)에 대해 인출 및 인입되는 얼음저장용 버킷(800)의 전후 슬라이딩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하니스커버(644)는 일측이 하니스설치홀(6437) 후방의 측부설치판(643) 좌측면에 걸려 지지되고, 타측이 하니스설치홀(6437) 전방의 측부설치판(643) 우측면에 체결됨으로써 설치벽(640)에 고정된다.
한편, 설치벽(640)은 구획벽(600) 및 입구벽(630)과 서로 결합된 채 내부케이스(200)에 결합됨으로써 제빙실(60)을 형성하는데, 서로 결합된 구획벽(600), 입구벽(630) 및 설치벽(640)은 내부케이스(200)에 결합되기 전 제3실링부재(650)가 마련되어 내부케이스(2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3실링부재(650)는 설치벽(640)의 상면, 구획벽(600)의 상면, 구획벽(600)의 후면, 설치벽(640)의 좌측면에 걸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제3실링부재(650)는 스펀지로 제작되어 구획벽(600) 및 설치벽(640)에 접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3실링부재(650)는 구획벽(600)과 내부케이스(200) 사이 및 설치벽(640)과 내부케이스(200)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배치되어,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 내면, 후측벽 내면 및 좌측벽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서로 결합된 구획벽(600) 및 설치벽(640)과 내부케이스(200) 간의 마주하는 이음부를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3실링부재(650)는 제1돌출부(6136)와 제2돌출부(6244)를 둘러싼 채 구획벽(600)과 내부케이스(200) 사이 및 설치벽(640)과 내부케이스(200)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배치되어 실링이 이루어지므로, 본체(10)의 외부로부터 공간부(102)로 주입된 후 제1돌출부(6136)의 제1관통공(6136a)과 제2돌출부(6244)의 제2관통공(6244a)을 통해 단열재수용공간(601)에 주입되는 단열재(110)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내부케이스(200), 외부구획벽(610), 내부구획벽(620), 입구벽(630) 및 설치벽(640)을 조립하여 제빙실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25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외부구획벽(610) 및 내부구획벽(620)을 서로 가고정시켜서 구획벽(600)을 마련한다.
이때, 구획벽단열재(602), 제1실링부재(618) 및 제2실링부재(619)는 외부구획벽(610)과 내부구획벽(620)의 가고정 전 외부구획벽(610)에 미리 접착되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후, 외부구획벽(610)의 제1끼움홈(6123)에는 내부구획벽(620)의 제1끼움부(623)가 끼워지고, 외부구획벽(610)의 제2끼움홈(6118)에는 내부구획벽(620)의 제2끼움부(625)가 끼워지며, 외부구획벽(610)의 제4삽입공(6134)에는 내부구획벽(620)의 제5체결부(6221)가 끼워지고, 외부구획벽(610)의 제1체결부(6116)의 좌측면에는 내부구획벽(620)의 제5삽입공(6243)의 우측부가 밀착되어 외부구획벽(610) 및 내부구획벽(620)이 서로 가고정된 상태로 구획벽(600)이 형성된다.
다음, 입구벽(630)에 입구벽단열재(634)가 마련되고, 서로 가고정된 외부구획벽(610) 및 내부구획벽(620)에 입구벽단열재(634)가 마련된 입구벽(630)을 가고정시킨다.
이때, 입구벽(630)에 형성된 단열재삽입공간(6302)에는 입구벽(630)의 외주면을 따라 입구벽단열재(634)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후, 외부구획벽(610)의 제1전판(614) 상측에 형성된 제1끼움공(6143)에는 입구벽(630)의 제1끼움편(6313)이 끼워지고, 외부구획벽(610)의 제1전판(614) 좌측에 형성된 제1끼움공(6143)에는 입구벽(630)의 제2끼움편(6314)이 끼워져 구획벽(600)의 전방측에 입구벽(630)이 가고정되는 것이다.
다음, 서로 가고정된 외부구획벽(610), 내부구획벽(620) 및 입구벽(630)에 설치벽(640)을 가고정시킨다.
이때, 외부구획벽(610)의 삽입돌기(6133)에는 설치벽(640)의 제7삽입공(6411)이 끼워지고, 내부구획벽(620)의 제7체결부(6242)에는 설치벽(640)의 제10삽입공(6433)이 끼워지며, 입구벽(630)의 제8체결부(6316)에는 설치벽(640)의 제6삽입공(6422)이 끼워지고, 입구벽(630)의 제3끼움편(6315)에는 설치벽(640)의 제2끼움공(6421)이 끼워지며, 입구벽(630)의 제9체결부(6317)에는 설치벽(640)의 제12삽입공(6435)이 끼워져 서로 가고정된 외부구획벽(610), 내부구획벽(620) 및 입구벽(630)에 설치벽(640)이 가고정된다.
다음, 서로 가고정된 외부구획벽(610), 내부구획벽(620), 입구벽(630) 및 설치벽(640)을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설치벽(640)의 제9삽입공(6432)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내부구획벽(620)의 제5삽입공(6243)을 통해 외부구획벽(610)의 제1체결부(6116)에 체결되고, 설치벽(640)의 제8삽입공(6412)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외부구획벽(610)의 제4삽입공(6134)에 삽입된 내부구획벽(620)의 제5체결부(6221) 및 입구벽(630)의 제4체결공(6318)에 체결되며, 설치벽(640)의 제11삽입공(6434)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외부구획벽(610)의 체결편(6144)에 체결됨으로써 서로 가고정된 외부구획벽(610), 내부구획벽(620), 입구벽(630) 및 설치벽(640)이 서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렇게 서로 고정되는 외부구획벽(610), 내부구획벽(620), 입구벽(630) 및 설치벽(640)은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된다.
다음, 본체(10)의 내부케이스(200)의 제1비드부(210)에 구획벽(600)의 제1오목부(6131)를 형합 배치시키고, 내부케이스(200)의 제1비드부(210)에 설치벽(640)의 개재부(6431) 및 구획벽(600)의 제2오목부(6241)를 형합 배치시켜 정확한 조립위치를 설정한 후 서로 고정된 외부구획벽(610), 내부구획벽(620), 입구벽(630) 및 설치벽(640)을 내부케이스(200)에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내부케이스(200)와 구획벽(600) 사이 및 내부케이스(200)와 설치벽(640) 사이에는 제3실링부재(650)가 개재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케이스(200)의 제1결합공(212)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외부구획벽(610)의 제3체결공(6135)에 체결되고, 내부케이스(200)의 제2결합공(222)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설치벽(640)의 제10삽입공(6433)을 통해 내부구획벽(620)의 제7체결부(6242)에 체결되며, 내부케이스(200)의 내부케이스(200)의 제3결합공(213)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설치벽(640)의 제6삽입공(6422)을 통해 입구벽(630)의 제8체결부(6316)에 체결되고, 내부케이스(200)의 제4결합공(223)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설치벽(640)의 제12삽입공(6435)을 통해 입구벽(630)의 제9체결부(6317)에 체결됨으로써 서로 고정된 외부구획벽(610), 내부구획벽(620), 입구벽(630) 및 설치벽(640)이 내부케이스(200)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제1비드부(210)와 제1오목부(6131)는 서로 형합된 상태로 내부케이스(200)에 고정되고, 제2비드부(220)와 제2오목부(6241)는 서로 형합된 상태로 내부케이스(200)에 고정되며, 개재부(6431)는 제2비드부(220)와 제2오목부(6241) 사이에 개재되어 제2비드부(220)와 제2오목부(6241)에 형합된 상태로 내부케이스(200)에 고정된다.
다음, 도 3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110)가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케이스(200) 사이의 공간부(102)에 주입된다.
이때, 단열재(110)는 본체(10)의 외부로부터 공급되어 공간부(102)로 주입되며, 공간부(102)에 주입된 단열재(110)는 공간부(102) 내에서 유동하게 된다.
다음, 도 3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102) 내에서 유동하는 단열재(110)가 제1주입구(210a) 및 제1관통공(6136a)을 통해 구획벽(600)의 단열재수용공간(601)으로 주입되고, 제2주입구(220a) 및 제2관통공(6244a)을 통해 구획벽(600)의 단열재수용공간(601)으로 주입된다.
다음, 단열재(110)에 대한 일체발포공정이 실시되어 단열재(110)가 팽창하여 굳게 된다.
이때, 단열재(110)는 공간부(102)와 단열재수용공간(601)에 걸쳐서 일체로 발포되어 본체(10)와 구획벽(600)을 일체와 같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단열재(110)의 일체발포 후 구획벽(600)은 본체(10)에서 분리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구획벽(600), 입구벽(630) 및 설치벽(640)은 체결부재에 의해 내부케이스(200)에 체결되어 고정설치되고, 이렇게 내부케이스(200)에 고정설치된 구획벽(600), 입구벽(630) 및 설치벽(640)은 내부케이스(200)의 상부 좌측 구석에 냉장실(11)과 별도의 단열공간으로 구획되는 제빙실(60)을 형성한다.
한편,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케이스(200)의 사이 및 구획벽(600)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단열재(110)가 주입되어 일체 발포된다.
단열재(110)는 본체(10)의 외부로부터 본체(10)의 공간부(102), 즉,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케이스(200) 사이의 공간부(102)에 주입되고, 공간부(102)에 주입된 단열재(110)는 공간부(102)를 유동하다가 구획벽(600) 내부의 단열재수용공간(601)의 적어도 일부분에 주입되며, 이후 공간부(102)와 단열재수용공간(601)에 주입된 단열재(110)는 일체 발포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획벽(6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비드부(210)와 제2비드부(220)에 각각 제1오목부(6131)와 제2오목부(6241)가 형합되도록 체결부재에 의해 내부케이스(200)에 조립된다.
이때, 제1돌출부(6136)와 제2돌출부(6244)는 각각 제1주입구(210a)와 제2주입구(220a)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로, 본체(10)의 공간부(102)에는 내부케이스(200)의 내부(제빙실, 냉장실, 냉동실 및 특화실) 및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본체의 외부) 간의 단열을 위해 우레탄 등과 같은 액상 발포액인 단열재(110)가 본체(10)의 외부로부터 주입된다.
이렇게 본체(10)의 공간부(102)에 주입된 단열재(110)는 공간부(102)를 따라 유동하다가 제1주입구(210a)와 제1관통공(6136a)을 통해 제1측판(612)과 제2측판(622) 사이의 단열재수용공간(601)에 주입되고, 더불어 제2주입구(220a)와 제2관통공(6244a)을 통해 제1하판(611)과 제2하판(621) 사이의 단열재수용공간(601)으로도 주입됨으로써 구획벽(600)의 단열재수용공간(601)의 적어도 일부분에 단열재(110)가 주입되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열재(110)는 일체 발포되어 팽창함으로써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케이스(200)의 사이 공간부(102)에서부터 구획벽(600)의 단열재수용공간(601)의 적어도 일부분까지 일체로 굳어져 채워지게 되고, 이로 인해 구획벽(600)은 본체(10)와 분리 불가능한 일체형인 상태가 되어 제빙실(60)이 냉장실(11)과 별도의 단열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이다.
한편, 도 31을 참조하면, 구획벽(600)의 단열재수용공간(601) 일부분에는 단열재(110)가 주입되기 전에 구획벽단열재(602)가 미리 삽입될 수 있는데, 이때, 구획벽단열재(602)는 외부구획벽(610)과 내부구획벽(620)의 결합 전에 미리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획벽단열재(602)는 단열재수용공간(601)에서 단열재(110)가 주입될 일정 공간을 비워둔 채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획벽단열재(602)는 단열재수용공간(601) 중 구획벽(600)의 하부 우측 구석측을 포함하여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케이스(200)에 구획벽(600)이 체결되기 전, 구획벽(600)에는 단열재수용공간(601) 중 제1측판(612)과 제2측판(622) 사이 상단부 일부분이 비워진 상태로 제1관통공(6136a)과 연통하는 제1공백영역(601a)이 마련되고, 단열재수용공간(601) 중 제1하판(611)과 제2하판(621) 사이 좌측단부 일부분이 비워진 상태로 제2관통공(6244a)과 연통하는 제2공백영역(601b)이 마련되도록 구획벽단열재(602)가 미리 단열재수용공간(601)에 삽입된다.
즉, 구획벽(600)에는 단열재수용공간(601)에서 구획벽단열재(602)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인 제1공백영역(601a)과 제2공백영역(601b)이 마련되는 것이다.
이후, 도 3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벽(600)은 내부에 구획벽단열재(602)를 구비한 채 내부케이스(200)에 체결되고, 구획벽(600)이 내부케이스(200)에 체결된 상태에서 본체(10의 공간부(102)에는 본체(10)의 외부로부터 단열재(110)가 주입되며, 공간부(102)에 주입된 단열재(110)는 공간부(102)를 유동한다.
이후, 도 3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백영역(601a)에는 본체(10)의 공간부(102)에 주입된 단열재(110)가 공간부(102)를 유동하다가 제1주입구(210a)에 삽입된 제1돌출부(6136)의 제1관통공(6136a)을 통해 주입되고, 도 3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공백영역(601b)에는 본체(10)의 공간부(102)에 주입된 단열재(110)가 공간부(102)를 유동하다가 제2주입구(220a)에 삽입된 제2돌출부(6244)의 제2관통공(6244a)을 통해 주입된다.
이후, 공간부(102), 제1공백영역(601a) 및 제2공백영역(601b)에 주입된 단열재(110)는 일체 발포됨으로써 단열재수용공간(601)에 구획벽단열재(602)가 마련됨과 더불어 단열재(110)가 공간부(102)와 단열재수용공간(601)에 걸쳐 일체마련되는 것이다.
한편, 도 32를 참조하면, 구획벽(600)의 단열재수용공간(601)은 미리 삽입되는 구획벽단열재(602) 없이 본체(10)의 외부로부터 공간부(102)로 주입되는 단열재(110)로만 전부 채워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벽(600)은 내부케이스(200)에 체결되기 전에 단열재수용공간(601)이 모두 비워져 있는 상태이다.
즉, 단열재수용공간(601)은 구획벽단열재(602)가 존재하지 않는 빈 공간인 상태인 것이다.
이후, 도 3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벽(600)은 내부케이스(200)에 체결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10)의 공간부(102)에는 본체(10)의 외부로부터 단열재(110)가 주입되어 유동한다.
이후, 도 3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수용공간(601)에는 본체(10)의 공간부(102)에 주입된 단열재(110)가 공간부(102)를 유동하다가 제1주입구(210a)에 삽입된 제1돌출부(6136)의 제1관통공(6136a)을 통해 주입되고, 제2주입구(220a)에 삽입된 제2돌출부(6244)의 제2관통공(6244a)을 통해 주입되어 단열재수용공간(601)이 단열재(110)로 채워지게 된다.
이때, 단열재수용공간(601)에 주입되는 단열재(110)는 이후에 발포됨을 감안하여 발포 후 팽창된 단열재(110)가 단열재수용공간(601)을 모두 채울 수 있을 정도로만 적정량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공간부(102)와 단열재수용공간(601)에 주입된 단열재(110)는 일체 발포됨으로써 단열재(110)가 공간부(102)와 단열재수용공간(601)의 전체에 일체마련되는 것이다.
한편, 저장실의 내부에는 선반(230, 240, 250)이 마련된다.
도 33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선반(230, 240, 250)은 저장실 중 냉장실(11)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냉장실(11)의 내부에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 후면의 좌측부, 중앙부 및 우측부 각각에는 좌측브라켓홀더(202), 중앙브라켓홀더(203) 및 우측브라켓홀더(204)가 구비되고, 선반(230, 240, 250)에는 이에 결합되어 거치되는 행거브라켓이 구비되어 고정설치된다.
이러한 선반(230, 240, 250)은 좌측선반(230), 우측선반(240) 및 제빙실(60)에 이웃한 제빙실측 선반(250)을 포함한다.
제빙실측 선반(250)은 일측이 구획벽(600)의 우측면에 설치된 선반지지편(617)에 장착되고, 타측이 중앙브라켓홀더(203)에 장착되어 본체(10)의 내부인 냉장실(11)의 좌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빙실측 선반(250)의 장착 및 거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빙실측 선반(250)은 좌측단부에 제1행거브라켓(251)이 구비되고, 우측단부에 제2행거브라켓(252)이 구비된다.
제빙실측 선반(250)의 사용시에는 제1행거브라켓(251)과 제2행거브라켓(252)에 의해 제빙실(60)의 측면에 수평으로 거치된다. 그리고, 제빙실측 선반(250)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빙실측 선반(250)을 분리하고 제2행거브라켓(251)이 제빙실(60) 하면에 구비되는 선반거치대(616)의 유격공간(6162)에 끼움결합되어 기립된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빙실측 선반(250) 하부에 위치한 좌측선반(230)의 상부로는 높이가 높은 병 등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빙실(60)에는 제빙기(700)와 얼음저장용 버킷(800)이 마련된다.
도 14 내지 도 17, 도 37, 도 38 및 도 44를 참조하면, 제빙기(700)는 얼음을 생성하는 구성으로서, 제빙실(60)의 상부에 설치된다.
제빙기(700)는 상부하우징(710), 구동장치(720), 제빙용 몰드(730), 이젝터(740), 가이더(750), 이빙히터(미도시) 및 하부하우징(7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710)에는 제1거치편(711)과 제2거치편(미도시)이 형성되어 내부구획벽(620)의 제1제빙기지지부(6222)와 제2제빙기지지부(미도시)에 올려져 제빙실(60)의 내부 상부에 설치된다.
상부하우징(710)의 전단부에는 탄성편(713)이 형성된다.
탄성편(713)은 상부하우징(710)의 전단 중앙에 상측으로 돌출된 후크의 형태로 형성된다.
탄성편(713)은 제빙기(700)가 제빙실(60)에 설치될 때, 설치벽(640)의 제빙기장착홈(6414)에 끼워져 장착됨으로써 제빙기(700)가 제빙실(60) 내에 고정된다.
상부하우징(710)의 상부 후방측에는 제빙수안내부(714)가 형성된다.
상부하우징(710)의 하부에는 상호 일체로 형성된 구동장치(720)와 제빙용 몰드(730)가 구비되고, 상부하우징(710)의 전방부는 구동장치(720)와 결합되고, 후방부는 제빙용 몰드(730)와 후크 결합된다.
구동장치(720)는 후술할 이젝터(740)의 구동 및 후술할 이빙히터(미도시)의 제어 등에 필요한 구성품들이 구비된 장치일 수 있다.
제빙용 몰드(730)는 급수탱크(미도시)로부터 제빙수안내부(714)를 통해 제빙수를 공급받아 소정 형상의 얼음으로 생성하는 구성으로서, 하측으로 오목한 공간을 갖는 복수 개의 단위 몰드(731)를 포함한다.
구동장치(720)와 제빙용 몰드(730)의 후단부 사이에는 이젝터(740)가 설치된다.
이젝터(740)는 제빙용 몰드(730)의 각 단위 몰드(731)에 생성된 얼음을 이빙시키는 구성으로서, 구동장치(720)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전단이 구동장치(720)에 결합되고, 후단이 제빙용 몰드(730)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젝터(740)는 이젝터축(741) 및 이젝터축(741)에 형성되고, 단위 몰드(731)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 구비되는 이젝터핀(742)을 포함한다.
이젝터축(741)은 제빙용 몰드(730)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구동장치(72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축으로서, 전단이 구동장치(7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단이 제빙용 몰드(730)의 후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젝터핀(742)은 이젝터축(74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단위 몰드(731)에 생성된 얼음을 단위 몰드(731)에서 밀어내어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빙용 몰드(730)의 우측부에는 가이더(750)가 설치된다.
가이더(750)는 우측벽 하부가 제빙용 몰드(730)의 우측벽 상단에 끼워짐으로써 제빙용 몰드(730)에 결합된다.
가이더(750)는 우측벽의 상단에서 좌측 상부로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안내부(751)를 포함하고, 경사안내부(751)는 가이더(750)의 우측벽 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서로 이격 형성된다.
서로 가장 인접한 두 개의 경사안내부(751) 사이의 이격 간격은 단위 몰드(731)에 생성된 얼음의 전후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서로 가장 인접한 두 개의 경사안내부(751) 사이로 얼음이 빠져 나갈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경사안내부(751)는 각각의 이젝터핀(742) 사이마다 배치되어 각각의 이젝터핀(742)과 겹치지 않게 서로 어긋나 있는데, 이러한 이유는 경사안내부(751)가 이젝터핀(742)의 회전동작을 방해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경사안내부(751)는 이젝터핀(742)의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단위 몰드(731)에서 분리된 얼음을 제빙기(700)의 하부에 배치된 얼음저장용 버킷(800)의 버킷부(830)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제빙용 몰드(730)의 하부에는 이빙히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빙히터(미도시)는 제빙용 몰드(730)의 하면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제빙용 몰드(730)에 얼어 붙어 있는 얼음이 제빙용 몰드(73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제빙용 몰드(730)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제빙용 몰드(730)의 하부에는 하부하우징(760)이 결합된다.
하부하우징(760)은 제빙기(700)의 하부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제빙용 몰드(730)의 하부에 후크 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하부하우징(760)의 후단에는 냉기유입덕트(762)가 형성된다.
냉기유입덕트(762)는 내부에 냉기유입유로(762a)가 마련되고,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점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냉기유입덕트(762)의 상부는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냉기유입덕트(762)의 하부는 편평한 형태로 형성된다.
냉기유입덕트(762)는 후술할 냉기토출덕트(930)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를 내부의 냉기유입유로(762a)로 받아들여 하부하우징(760)의 냉기유로(764)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하부하우징(760)의 하측판 상면, 즉, 하부하우징(760)의 내부 바닥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차단벽(763)이 상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양측 차단벽(763) 사이에는 냉기유로(764)가 마련된다.
양측 차단벽(763)은 하부하우징(760)의 양측벽과 이격되도록 하부하우징(760)의 양측벽 내부에 형성된다.
차단벽(763)은 하부하우징(760)의 좌측벽과 좌측 차단벽(763) 사이 상부 및 하부하우징(760)의 우측벽과 우측 차단벽(763) 사이 상부에 배치된 이빙히터(미도시)의 가동 시, 이빙히터(미도시)의 열이 냉기유로(764)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냉기유로(764)는 하부하우징(760) 내부의 양측 차단벽(763) 사이에 형성되어 냉기유입덕트(762)를 통해 유입된 냉기가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흐르게 하는 유로로서, 제빙용 몰드(7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빙용 몰드(730)에 공급된 제빙수를 얼려 얼음이 생성되게 한다.
냉기유로(764)는 제빙용 몰드(730)의 하면과 냉기유로(764)의 내부 바닥면 사이로 냉기의 흐름을 안내함으로써 제빙용 몰드(730)에 공급된 제빙수에 냉기가 직접적으로 분사되지 않게 하고, 이를 통해 제빙용 몰드(730)에서 생성되는 얼음의 빙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냉기유로(764)의 내부 바닥면에는 올록볼록한 형태의 흐름저지부(765)가 형성된다.
흐름저지부(765)는 냉기유로(764) 내에서 유동하는 냉기의 흐름에 와류를 발생시켜 냉기유로(764) 내에서의 냉기 흐름을 지연시킴으로써 제빙용 몰드(730)의 하부에 냉기가 머물도록 하고, 이로 인해 제빙용 몰드(730)에 공급된 제빙수는 신속히 얼게 된다.
하부하우징(760)의 하측판 전단에는 냉기유출구(766)가 형성된다.
냉기유출구(766)는 냉기유로(764)의 내부 바닥면 전단에 형성되어 냉기유로(764)의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유동하는 냉기를 하측으로 유출시켜 제빙기(700)의 하부에 배치된 얼음저장용 버킷(800)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빙실(60)의 하부에는 얼음저장용 버킷(800)이 설치된다.
도 14 내지 도 17, 도 39, 도 40 및 도 44를 참조하면, 얼음저장용 버킷(800)은 제빙기(700)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구성으로서, 제빙기(7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빙실(60)에 대해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설치된다.
얼음저장용 버킷(800)은 제빙실도어(810), 얼음분쇄부(820), 버킷부(830) 및 오거(8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빙실도어(810)는 구획벽(600)의 전면에 착탈됨으로써 제빙실(60)의 개방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빙실도어(810)는 얼음저장용 버킷(800)을 제빙실(60)에서 인출시킬 경우 구획벽(600)의 전면에서 이격되어 제빙실(60)의 전면을 개방하고, 얼음저장용 버킷(800)을 제빙실(60)에 완전히 인입시킬 경우 구획벽(600)의 전면에 밀착되어 제빙실(60)의 전면을 폐쇄한다.
얼음저장용 버킷(800)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811)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손잡이(811)는 제빙실도어(810)의 전면 하부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얼음저장용 버킷(800)을 제빙실(60)에 대해 인출 및 인입시킬 때, 사용자가 손잡이(811)를 파지한 채 얼음저장용 버킷(800)을 손쉽게 당기거나 밀 수 있게 해준다.
종래의 경우, 얼음저장용 버킷을 인출 및 인입시키기 위해서는 얼음저장용 버킷의 하면에 형성된 얼음토출구 등에 손을 넣어 얼음저장용 버킷을 당기거나 밀어야 하므로 비위생적이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제빙실도어(810)에 손잡이(81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얼음토출구(6113)가 오염될 문제가 없을 뿐더러 간편하고 손쉽게 얼음저장용 버킷(800)의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것이다.
제빙실도어(810)의 후면에는 제빙실(60)의 기밀 유지를 위한 직사각형상의 제빙실도어가스켓(812)이 마련된다.
제빙실도어가스켓(812)은 얼음분쇄부(820)의 전단부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빙실도어(810)의 후면에 설치되어 얼음분쇄부(82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빙실도어가스켓(812)은 제빙실도어(810)가 제빙실(60)의 전면을 폐쇄할 경우, 구획벽(600)의 단차진 제1개구부(6141) 내주면에 밀착되어 제빙실(60)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제빙실도어(810)의 후면에는 제빙실(60)의 기밀 유지를 위한 직사각형상의 제빙실도어실링부재(813)가 더 마련된다.
제빙실도어실링부재(813)는 제빙실도어가스켓(812)의 전단부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빙실도어(810)의 후면에 설치되고, 제빙실도어실링부재(813)의 일측은 끊어져 있을 수 있다.
제빙실도어(810)의 내부에는 제빙실도어단열재(814)가 마련될 수 있다.
제빙실도어단열재(814)는 제빙실도어(8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빙실(60)과 제빙실(60) 외부 간을 단열시킬 수 있다.
제빙실도어(810)의 좌측단 상하측 내부과 우측단 상측 내부에는 각각 자석(미도시)이 마련되어 제빙실도어(810)가 제빙실(60)의 전면을 폐쇄할 경우, 입구벽(630)에 마련된 자석(미도시)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제빙실도어(810)의 후면이 구획벽(600)의 제1전판(614) 전면에 달라 붙음으로써 쉽게 밀착된다.
제빙실도어(810)의 후면에는 얼음분쇄부(820)가 결합된다.
얼음분쇄부(8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얼음을 분쇄시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서, 제빙실도어(810)의 후면에 후방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고, 하부가 개방되어 얼음토출구(6113)와 연통되어 있다.
얼음분쇄부(820)는 제빙실도어(810)와 버킷부(830) 사이에 배치되어 제빙실도어(810)와 버킷부(830)를 연결한다.
얼음분쇄부(820)는 크러셔(821), 지지부재(822) 및 작동축(8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버킷부(830)는 제빙기(7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보관되는 용기로서, 내부얼음을 얼음토출구(6113)로 이송시키는 오거(840)가 구비된다. 오거(840)는 후술되는 제2구동부(912)에 의해 작동되어 얼음을 이송시키며, 크러셔(821)는 오거(840)와 연동된다.
즉, 오거(840)의 회전에 의해 얼음을 얼음토출구(6113)측으로 이송하고, 크러셔(821)의 회전에 의해 얼음이 취출된다. 이때, 얼음토출구(6113)에 구비되는 지지부재(822)의 지지여부에 따라 원형그대로의 얼음 또는 분쇄된 얼음을 디스펜서(330)로 취출할 수 있다.
버킷부(830)의 하면 좌우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리브(832)가 각각 형성된다.
슬라이딩리브(832)는 제빙실(60)에 대한 얼음저장용 버킷(800)의 인출 및 인입 시 제빙실(60)의 바닥면을 타고 전후 슬라이딩을 함으로써 얼음저장용 버킷(800)의 인출 및 인입을 안정적으로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제빙실도어(810), 얼음분쇄부(820), 버킷부(830) 및 오거(8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된 상태로서, 제빙실도어(810)의 개폐에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제빙실(60)에 대해 인출 및 인입 가능하다.
한편, 얼음저장용 버킷(800)의 후방측에는 구동부 팬 덕트조립체(900)가 마련된다.
도 41 내지 44를 참조하면, 구동부 팬 덕트조립체(900)는 얼음저장용 버킷(800)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얼음저장용 버킷(800)의 작동축(823)과 오거(840)를 작동시키는 구동부조립체(910), 얼음저장용 버킷(800)과 후술할 증발기조립체(1100) 사이에 배치되어 증발기조립체(1100)에 의해 제공되는 냉기를 후술할 증발기케이스(1000)의 냉기흡입구(1002) 및 냉기토출구(1001)를 통해 순환시키는 팬조립체(920) 및 후술할 증발기케이스(1000)의 냉기토출구(1001)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를 받아들여 제빙기(700)로 안내하는 냉기토출덕트(930)가 모듈화되어 마련된다.
구동부 팬 덕트조립체(900)는 구동부조립체(910)의 후방부에 팬조립체(920)가 결합되고, 구동부조립체(910)의 상부에 냉기토출덕트(930)이 결합되어 모듈화된다.
구동부조립체(910)는 제1구동부(911), 제2구동부(912) 및 구동부하우징(9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하우징(913)은 구동부조립체(910)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전방측에 형성되어 하면이 개방된 제1구동부수용부(913a)와 제1구동부수용부(913a)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구동부수용부(913b)를 포함한다.
구동부하우징(913)의 제2구동부수용부(913b) 후방부에는 사각형상의 제1결합플랜지(910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사각형상의 제2결합플랜지(9102)가 형성된다.
제2구동부수용부(913b)의 후단 양측, 보다 구체적으로 제1결합플랜지(9101)의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각각 제1착탈공(9131)이 두 개씩 형성된다.
또한, 제2구동부수용부(913b)의 상단 양측, 보다 구체적으로 제2결합플랜지(9102)의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각각 제1착탈돌기(9132)가 두 개씩 형성된다.
제1착탈공(9131)과 제1착탈돌기(9132)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착탈공(9131)은 후술할 팬조립체(920)의 제2착탈돌기(9213)와 끼움결합 가능하여 팬조립체(920)가 구동부하우징(9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착탈돌기(9132)는 후술할 냉기토출덕트(930)의 제2착탈공(932)과 끼움결합 가능하여 냉기토출덕트(930)가 구동부하우징(9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하우징(913)의 제2구동부수용부(913b)는 전면 하부에 복수 개의 제1냉기유동슬릿(9133)이 형성되고, 후면이 개방되며, 개방된 후면측에 제2냉기유동슬릿(9135)이 형성된 끼움판(9134)이 양측 내벽에 끼워져 결합된다.
제1냉기유동슬릿(9133)은 후술할 팬조립체(920)의 작동 시 얼음저장용 버킷(800)측의 냉기를 구동부하우징(913)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하는 구멍이고, 제2냉기유동슬릿(9135)은 구동부하우징(913)으로 유입된 냉기를 팬조립체(920)로 흡입될 수 있게 하는 구멍이다.
구동부하우징(913)의 일측에는 제1구동부(911)가 설치된다.
제1구동부(911)는 구동부하우징(913)의 전방부에 설치된다.
제1구동부(911)는 상하 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솔레노이드밸드로 구성되어 구동부하우징(913)의 전방 우측에 돌출된 제1구동부수용부(913a)에 수용되어 설치되며, 얼음을 분쇄할 경우 얼음을 지지하기 위한 작동축(823) 및 지지부재(822)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부하우징(913)의 타측에는 제2구동부(912)가 설치된다.
제2구동부(912)는 제1구동부(911)의 후방측에 설치된다.
제2구동부(912)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구성되어 제1구동부수용부(913a)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제2구동부수용부(913b)의 내부에 수용되어 설치되며, 버킷부(830)의 얼음저장공간(831)에 저장된 얼음의 이송을 위한 오거(840) 및 얼음을 분쇄하기 위한 크러셔(821)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부하우징(913)의 일측에는 팬조립체(920)가 설치된다.
팬조립체(920)는 구동부하우징(913)의 후단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고, 제빙실(60)과 증발기케이스(1000) 사이에 배치되며, 원심팬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팬조립체(920)는 팬하우징(921), 임펠러(922) 및 회전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팬하우징(921)은 팬조립체(920)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전면 중앙에 냉기흡입덕트(9211)가 일체로 마련되고, 하부 후방에 냉기배출덕트(9212)가 일체로 마련된다.
냉기흡입덕트(9211)는 내부에 제빙실(60)에 연통되는 냉기흡입유로(9211a)가 마련되어 팬조립체(920)의 작동 시 제빙실(60)의 하부 전방측, 즉, 얼음저장용 버킷(800)측의 냉기를 제1냉기유동슬릿(9133) 및 제2냉기유동슬릿(9135)을 통해 흡입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냉기배출덕트(9212)는 내부에 후술할 증발기케이스(1000)의 설치공간(1010)에 연통되는 냉기배출유로(9212a)가 마련되어 냉기흡입유로(9211a)를 통해 흡입된 냉기를 증발기케이스(1000)의 냉기흡입구(1002)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팬조립체(920)는 팬하우징(921) 자체만으로 냉기흡입덕트(9211) 및 냉기배출덕트(9212)를 일체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팬하우징(921)에 별도로 덕트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라는 장점이 있다.
팬하우징(921)의 하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팬하우징(921)의 내부에는 스크롤(Scroll) 형상의 공간이 마련되고, 팬하우징(921) 내부의 스크롤 형상의 공간은 냉기흡입덕트(9211)와 냉기배출덕트(9212) 사이에 형성되어 연통된다.
팬조립체(920)의 팬하우징(921) 전방부에는 사각형상의 제3결합플랜지(9201)가 형성된다.
제3결합플랜지(9201)는 팬조립체(920)를 구동부조립체(910)에 결합시킬 경우, 제1결합플랜지(9101)의 내부에 끼워져 외주면이 제1결합플랜지(9101)의 내주면에 밀착된 채 결합되고, 이로 인해 결합되는 부위의 기밀성이 향상되어 구동부조립체(910) 및 팬조립체(92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제1결합플랜지(9101)와 제3결합플랜지(9201)는 서로 끼워져 밀착되며, 후크결합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팬하우징(921)의 전단 양측, 즉, 제3결합플랜지(9201)의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각각 제2착탈돌기(9213)가 두 개씩 형성된다.
제2착탈돌기(9213)는 필요에 따라 개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부하우징(913)의 제1착탈공(9131)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제1결합플랜지(9101)와 제3결합플랜지(9201)가 서로 끼워져 밀착된 채 고정된다.
또한, 제2착탈돌기(9213)는 구동부하우징(913)의 제1착탈공(9131)에 끼움결합되거나 끼움해제됨에 따라 팬하우징(921)이 구동부하우징(913)에 착탈 가능할 수 있다.
팬하우징(921)의 냉기배출덕트(9212) 하단면 테두리에는 스펀지 재질의 제1실링재(9214) 및 제1실링재(9214)가 접착된다.
제1실링재(9214))는 팬조립체(920)가 후술할 팬수용부(1020)에 수용될 경우 팬수용부(1020)의 내부 하면이 밀착되어 팬조립체(920)와 팬수용부(1020) 간의 하부 이음부를 실링할 수 있다.
팬하우징(921)의 후면에는 회전모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을 안내하는 전선안내부(9216)가 마련된다.
팬하우징(921)의 내부에는 임펠러(922)가 설치된다.
임펠러(922)는 팬하우징(921) 내부의 스크롤 형상의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한다.
임펠러(922)는 회전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게 될 경우 냉기흡입덕트(9211)의 냉기흡입유로(9211a)를 통해 얼음저장용 버킷(800)측의 냉기를 흡입한 후 냉기배출덕트(9212)의 냉기배출유로(9212a)를 통해 후술할 증발기케이스(1000)의 냉기흡입구(1002)로 냉기를 배출한다.
임펠러(922)는 위와 같이 냉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것을 통해 증발기조립체(1100)에 의해 제공되는 냉기를 제빙실(60과 증발기케이스(1000) 간에서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부하우징(913)의 타측에는 냉기토출덕트(930)가 설치된다.
냉기토출덕트(930)는 후술할 증발기케이스(1000)의 냉기토출구(1001)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받아들여 제빙기(700)의 냉기유입덕트(762)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구동부하우징(913)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고, 제빙기(700)와 증발기케이스(1000)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냉기토출덕트(930)의 전단은 제빙기(700)의 냉기유입덕트(762) 후단에 밀착되고, 냉기토출덕트(930)의 후단은 증발기케이스(1000)의 냉기토출구(1001) 테두리에 밀착된다.
냉기토출덕트(930)는 내부에 냉기토출유로(931)가 마련되고,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점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냉기토출덕트(930)의 내부에 마련된 냉기토출유로(931) 역시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점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냉기토출덕트(930)의 상부는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냉기토출덕트(930)의 후단면 테두리에는 스펀지 재질의 제2실링재(933)가 접착되어 냉기토출덕트(930)와 후술할 증발기케이스(1000) 간의 이음부를 실링한다.
냉기토출덕트(930)의 하부에는 사각형상의 제4결합플랜지(9301)가 형성된다.
제4결합플랜지(9301)는 냉기토출덕트(930)를 구동부조립체(910)에 결합시킬 경우, 제2결합플랜지(9102)가 내부에 끼워져 내주면이 제2결합플랜지(9102)의 외주면에 밀착된 채 결합된다.
냉기토출덕트(930)의 하단 양측, 즉, 제4결합플랜지(9301)의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각각 제2착탈공(932)이 두 개씩 형성된다.
제2착탈공(932)은 필요에 따라 개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부하우징(913)의 제1착탈돌기(9132)가 끼움결합됨으로써 제2결합플랜지(9102)와 제4결합플랜지(9301)가 서로 끼워져 밀착된 채 고정된다.
또한, 제2착탈공(932)은 구동부하우징(913)의 제1착탈돌기(9132)가 끼움결합되거나 끼움해제됨에 따라 냉기토출덕트(930)가 구동부하우징(913)에 착탈 가능할 수 있다.
제2결합플랜지(9102)와 제4결합플랜지(9301)는 서로 끼워져 밀착되며, 후크결합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설명한 구동부조립체(910), 팬조립체 및 냉기토출덕트(930)는 서로 끼움결합으로 조립되어 하나의 조립체인 구동부 팬 덕트조립체(900)로 마련되고, 이로 인해 구동부조립체(910), 팬조립체(920) 및 냉기토출덕트(930)는 각각 개별적으로 제빙실(60)에 설치할 필요없이 하나의 조립체로 모듈화된 구동부 팬 덕트조립체(900)의 상태로 한 번의 설치과정을 통해 제빙실(60)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구동부 팬 덕트조립체(900)를 구성하는 구동부조립체(910), 팬조립체(920) 및 냉기토출덕트(930)는 서로 끼움결합 외에 별도로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4 내지 도 55를 참조하여 증발기케이스 및 이와 관련된 구성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4 내지 도 55를 참조하면, 내부케이스(200)에는 장착부(260)가 마련된다.
장착부(260)는 내부케이스(200)의 상부벽, 후측벽 및 좌측벽에 걸쳐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형성된 공간으로써, 제빙실(60)의 직후방에 형성된다.
즉, 장착부(260)는 내부케이스(200)의 상부 후방 좌측 모서리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형성된 공간인 것이다.
장착부(260)는 후술할 증발기케이스(1000)가 수용되어 장착되는 공간이고, 장착부(260)의 내부 전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연통홀(261a)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260)의 내부에는 제1장착면(261), 제2장착면(262) 및 이격면(263)이 형성되어 있다.
제1장착면(261)은 장착부(260)의 내부 전면이고, 제2장착면(262)은 장착부(260)의 내부 우측면이며, 이격면(263)은 장착부(260)의 내부 바닥면이다.
제1장착면(261)에는 전술한 연통홀(261a)이 형성되어 있고, 이격면(263)은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사를 가진다.
장착부(260)의 전방측 내부케이스(200) 측면에 마련된 하니스하우징설치홀(224)에는 각종 하니스를 처리하기 위한 하니스하우징(205)이 장착된다.
하니스하우징(205)은 하니스하우징설치홀(224)을 완전히 덮도록 하니스하우징설치홀(224)에 끼워져 장착된다.
한편,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과 내부케이스(200)의 후측벽 사이에는 증발기케이스(1000)가 마련된다.
증발기케이스(1000)는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에 형성된 개구(101)를 통해 설치되는 증발기조립체(1100)가 수용되는 구성으로서, 증발기조립체(1100)는 증발기케이스(1000)를 통해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과 내부케이스(200)의 후측벽 사이에 설치되며, 제빙실(60)의 후방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증발기케이스(1000)는 내부케이스(200)의 후측벽에 형성된 장착부(260)에 전방부가 수용된 채 장착되고,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 내면에 후방단부가 체결되어 본체(10)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증발기케이스(1000)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한다.
증발기케이스(1000)는 전체적으로 사각 박스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며, 증발기케이스(1000)의 상하 높이는 장착부(260)의 상하 높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증발기케이스(1000)의 전면 상단에는 전방측으로 돌출된 제1장착플랜지(1003)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증발기케이스(1000)의 전면 좌측단에는 전방측으로 돌출된 제2장착플랜지(1004)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증발기케이스(1000)의 우측면 상단에는 우측으로 돌출된 제3장착플랜지(1005)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증발기케이스(1000)의 우측면 중앙부에는 우측으로 돌출된 제4장착플랜지(1006)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각각 내부케이스(200)의 외면에 지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장착플랜지(1003), 제2장착플랜지(1004), 제3장착플랜지(1005) 및 제4장착플랜지(1006)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증발기케이스(1000)에 일체로 마련되고, 증발기케이스(1000)의 전면 상단에 마련된 제1장착플랜지(1003)의 좌측단에는 제2장착플랜지(1004)가 제1장착플랜지(1003)에 대해 하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마련되며, 증발기케이스(1000)의 전면 상단에 마련된 제1장착플랜지(1003)의 우측단에는 제3장착플랜지(1005)가 제1장착플랜지(1003)에 대해 후방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마련되며, 제3장착플랜지(1005)의 후단에는 제4장착플랜지(1006)가 제3장착플랜지(1005)에 대해 하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마련된다.
증발기케이스(1000)가 장착부(260)에 수용되어 장착될 경우, 제1장착플랜지(1003)는 장착부(260)의 제1장착면(261) 상단 모서리를 덮은 채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 외면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제2장착플랜지(1004)는 장착부(260)의 제1장착면(261) 좌측단 모서리를 덮은 채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 외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며, 제3장착플랜지(1005)는 장착부(260)의 제2장착면(262) 상단 모서리를 덮은 채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 외면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제4장착플랜지(1006)는 장착부(260)의 제2장착면(262) 후단 모서리를 덮은 채 내부케이스(200)의 후측벽 외면에 밀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증발기케이스(1000)가 장착부(260)에 수용되어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증발기케이스(1000)의 전면은 제1장착면(261)에 밀착되고, 증발기케이스(1000)의 우측면은 제2장착면(262)에 밀착된다.
또한, 증발기케이스(1000)의 하단부는 장착부(260)의 이격면(263)과 이격되어 증발기케이스(1000)의 하단부에 드레인부재(1101)가 결합될 수 있다.
증발기케이스(1000)의 제1장착플랜지(1003)에는 제1비드대응부(1003a)가 형성되고, 증발기케이스(1000)의 제2장착플랜지(1004)에는 제2비드대응부(1004a) 형성된다.
제1비드대응부(1003a)는 증발기케이스(1000)가 장착부(260)에 장착될 경우,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에 형성된 제1비드부(210)에 끼워져 장착되고, 제2비드대응부(1004a)는 증발기케이스(1000)가 장착부(260)에 장착될 경우,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에 형성된 제2비드부(220)가 끼워져 장착됨으로써 증발기케이스(1000)를 보다 견고히 장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케이스(200)의 장착부(260)에 장착된 증발기케이스(1000)는 전면에 형성된 제1나사투입공(1007)을 통해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구획벽(600)에 형성된 제4체결부(6211) 및 제6체결부(6223)에 체결됨으로써 내부케이스(200) 및 구획벽(600)에 고정된다.
증발기케이스(1000)의 좌측 외주면에는 격자리브(1008)가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케이스(1000)의 후단 테두리에는 둘레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플랜지(1030)가 형성된다.
지지플랜지(1030)는 내부케이스(200)에 장착된 증발기케이스(1000)의 후단측에 외부케이스(100)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후면이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 내면에 밀착된다.
이를 통해 증발기케이스(1000)는 내부케이스(200)와 외부케이스(100)의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지지플랜지(1030)에는 커버체결부(1031)가 형성된다.
커버체결부(1031)는 지지플랜지(103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며,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커버체결부(1031)는 지지플랜지(1030)의 상부, 하부, 좌측부 및 우측부에 각각 세 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케이스(100) 및 후술할 단열커버(1300)를 증발기케이스(10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플랜지(1030)의 내주면측에는 지지플랜지(1030)에 대해 후방측으로 돌출된 외측가압부(1032)가 형성된다.
외측가압부(1032)는 지지플랜지(1030)의 내주면 전체에 걸쳐 후방측으로 돌출형성되며, 후술할 단열커버(1300)가 증발기케이스(1000)에 체결되어 고정될 경우 후술할 제2패킹(1340)을 가압하여 보다 확실하게 증발기케이스(1000) 내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해 준다.
외측가압부(1032)는 외부케이스(100)의 개구(101)에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끼워져 개구(101)의 후방측으로 튀어나오도록 위치한다.
증발기케이스(1000)의 내주면에는 단차면(1040)이 형성된다.
단차면(1040)은 증발기케이스(1000)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 면으로서, 증발기케이스(1000)의 내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단차면(1040)은 지지플랜지(1030)에 대해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
단차면(1040)에는 내측가압부(1041)가 형성된다.
내측가압부(1041)는 단차면(1040)의 내측 테두리 전둘레에 걸쳐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후술할 단열커버(1300)가 증발기케이스(1000)에 체결되어 고정될 경우 제1패킹(1330)을 가압하여 보다 확실하게 증발기케이스(1000) 내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해 준다.
증발기케이스(1000)에는 설치공간(1010) 및 팬수용부(1020)가 형성된다.
설치공간(1010)은 후술할 증발기조립체(1100) 및 가이드부(1200)가 설치되는 공간으로서, 증발기케이스(1000)의 내부에 마련된다.
설치공간(1010)은 후면이 개방되어 있고, 설치공간(1010)의 후면 개방부는 외부케이스(100)의 개구(101)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설치공간(1010)은 개구(101)의 바로 앞에 위치하여 개구(101)에 연통된다.
설치공간(1010)의 내부 하면에는 드레인홀(1012)이 형성되고, 드레인홀(1012)에는 드레인부재(1101)가 삽입되며, 드레인부재(1101)에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드레인홀(1012)의 내주면에 형성된 구멍(미도시)에 끼움결합됨으로써 드레인홀(1012)에 드레인부재(1101)가 고정장착된다.
드레인부재(1101)는 제상히터(1120)의 가동에 의해 증발기조립체(1100)에 착상된 성에가 녹아서 발생되는 제상수를 하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설치공간(1010)의 내부 전방측 중앙부에는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후술할 팬수용부(1020)로 인해 볼록부(1013)가 형성된다.
볼록부(1013)의 좌측부는 설치공간(1010)의 좌측 내면과 일체로 붙어있고, 볼록부(1013)의 우측부는 설치공간(1010)의 우측 내면과 서로 이격되어 있다.
볼록부(1013)의 우측부와 설치공간(1010)의 우측 내면 사이에는 작업공간(1014)이 마련되어 설치공간(1010) 내부에 설치되는 후술할 증발기(1110)의 용접과 같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볼록부(1013)에는 가이드부체결부(1011)가 형성된다.
가이드부체결부(1011)는 후술할 가이드부(1200)를 증발기케이스(1000)에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설치공간(1010)의 내부 전방측에는 후술할 가이드부(1200)가 수용되어 설치되고, 설치공간(1010)의 내부 후방측에는 후술할 증발기조립체(1100)가 수용되어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치공간(1010)의 전방부에는 후술할 냉기흡입구(1002)를 통해 제빙실(60)에서 설치공간(1010) 내로 흡입되는 냉기의 흐름을 증발기조립체(1100)의 하단부로 유도하는 가이드부(1200)가 조립되고, 설치공간(1010)의 후방부 즉, 가이드부(1200)의 후방측에는 냉동사이클에 의한 열교환을 통해 제빙실(60)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증발기조립체(1100)가 설치된다.
이때, 증발기조립체(1100)는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에 형성된 개구(101)를 통해 설치공간(1010) 내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공간적인 제약과 같은 장애없이 매우 용이하게 증발기조립체(1100)를 설치공간(1010) 내에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증발기조립체(1100)에 대한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설치공간(1010)에 설치되는 증발기조립체(1100) 및 가이드부(1200)에 관한 설명은 이후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증발기케이스(1000)의 전면측에는 제1장착면(261)에 형성된 연통홀(261a)을 통해 제빙실(60)과 연통되는 냉기토출구(1001)와 냉기흡입구(1002)가 형성되고, 냉기흡입구(1002) 측에는 팬조립체(920)가 구비된다.
냉기토출구(1001)는 증발기케이스(1000)의 전면측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설치공간(1010)과 제빙실(60)을 연통시키고, 냉기흡입구(1002)는 증발기케이스(1000)의 전면측 중앙부의 경사면, 즉, 후술할 팬수용부(1020) 내부의 경사진 하면에 상하로 관통형성되어 설치공간(1010)과 제빙실(60)을 연통시킨다.
냉기토출구(1001)는 냉기토출덕트(930)에 연결되어 설치공간(1010) 내의 증발기조립체(1100)에 의해 열교환된 냉기가 제빙실(60)의 상부에 설치된 제빙기(700)로 흐르도록 하는 구성이고, 냉기흡입구(1002)는 냉기배출덕트(9212)에 연결되어 제빙기(700)와 얼음저장용 버킷(800)을 거친 냉기가 증발기케이스(1000)의 설치공간(1010) 내로 흐를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냉기흡입구(1002)를 통해 설치공간(1010)으로 흡입된 냉기는 후술할 가이드부(1200)의 안내에 따라 설치공간(1010)의 중앙부 부근에서 하부측으로 유도되어 증발기조립체(1100)의 하단부에서부터 상단부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증발기케이스(1000)의 전면 중앙부에는 후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팬수용부(1020)가 형성된다.
냉기흡입구(1002)는 팬수용부(1020) 내부의 경사진 하면에 형성되고, 팬수용부(1020)는 냉기흡입구(1002)와 연통된다.
팬수용부(1020)에는 증발기조립체(1100)의 열교환에 의해 제공되는 냉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팬조립체(920)가 냉기흡입구(1002)측, 보다 구체적으로 냉기흡입구(1002)의 바로 위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팬조립체(920)의 냉기배출덕트(9212)는 냉기흡입구(1002)의 상단에 밀착되어 냉기배출유로(9212a)와 냉기흡입구(1002)가 기밀하게 연통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증발기케이스(1000)에는 증발기조립체(110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1010)과 팬조립체(920)가 설치되는 팬수용부(1020)가 함께 마련되어 있으므로, 증발기조립체(1100) 및 팬조립체(920)를 조립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고, 각 구성들을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증발기케이스(1000)에는 발열수단(1050)이 설치된다.
발열수단(1050)은 결로현상으로 인해 외부케이스(100), 단열커버(1300) 및 증발기케이스(1000)의 둘레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증발기케이스(1000)의 후방측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된다.
발열수단(1050)은 발열선(1051)과 접착부재(10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열선(1051)은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증발기케이스(1000)의 후방측 외주면 상에 배치된다.
발열선(1051)은 커버체결부(1031)의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증발기케이스(1000)의 후방측 외주면을 따라 마련된다.
발열선(1051)은 두 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증발기케이스(1000)의 외주면을 두르도록 마련되며, 필요에 따라 한 줄로 형성되거나, 세 줄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증발기케이스(1000)의 외주면에 마련된 발열선(1051)은 접착부재(1052)에 의해 증발기케이스(1000)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접착부재(1052)는 발열선(1051)이 증발기케이스(1000)의 외주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는 역할은 하는 구성이다.
접착부재(1052)는 발열선(1051)을 덮은 채 증발기케이스(1000)의 외주면에 접착되는 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발열수단(1050)은 외부케이스(100), 단열커버(1300) 및 증발기케이스(1000)에 맺힌 물방울을 제거 또는 외부케이스(100), 단열커버(1300) 및 증발기케이스(1000)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시 가동되어 열을 발생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주기적으로 가동되어 열을 발생시킬 수도 있으며, 외부케이스(100), 단열커버(1300) 및 증발기케이스(1000)에 맺히는 물방울을 감지하여 감지된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가동되어 열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한편, 증발기케이스(1000)에는 증발기조립체(1100)가 수용되어 설치된다.
증발기조립체(1100)는 제빙실(60) 내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증발기조립체(1100)는 증발기케이스(1000)의 설치공간(1010) 후방측에 수용되며, 증발기조립체(1100)가 설치공간(1010)에 수용되기 전에 설치공간(1010)에는 후술할 가 미리 수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발기조립체(1100)는 설치공간(1010) 내에서 냉기를 발생시켜 증발기케이스(1000)에 형성된 냉기토출구(1001)로 냉기를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증발기조립체(1100)는 증발기(1110), 제상히터(1120), 핀(1130) 및 제1전도판(1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증발기(1110)는 증발기조립체(1100)의 핵심구성으로서, 설치공간(1010) 내에서 조립되어 설치된다.
증발기(1110)는 압축기(미도시), 응축기(미도시) 및 팽창수단(미도시)과 연계되어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구성이고, 이러한 냉동사이클을 통해 증발기(1110)는 증발기케이스(1000)의 설치공간(1010) 내에서 내부의 냉매와 증발기(1110) 주위의 공기 간의 열교환을 행하여 냉기를 생성하게 된다.
증발기(1110)와 인접한 위치에는 제상히터(1120)가 배치된다.
제상히터(1120)는 증발기(1110)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배치되는데, 이때 증발기(1110)는 제상히터(1120)의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에 삽입된 형태로 배치된다.
제상히터(1120)는 증발기(1110)에 착상되는 성에를 녹여서 제상수로 흘려보내기 위한 구성이다.
제상히터(1120)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열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열이 증발기(1110)에 가해져 증발기(1110)에 착상되는 성에를 녹임으로써 증발기(1110)에 착상된 성에가 제거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증발기(1110) 및 제상히터(1120)는 핀(1130)에 끼워져 결합된다.
핀(1130)은 증발기(1110)의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좌우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배치되어 마련된다.
복수 개의 핀(1130) 중 가장 외측, 즉, 가장 좌측과 우측에 배치된 핀(1130)에는 클립부(1131)가 형성된다.
클립부(1131)는 제1전도판(1140)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제1전도판(1140)은 제상히터(1120)의 가동 시 제상히터(1120)에서 발생되는 열이 전도되어 증발기(1110)에 고루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전도판(1140)의 후면에는 전방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클립수납면(1141)이 형성된다.
클립수납면(1141)은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제1전도판(1140)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두 개씩이 형성된다.
각각의 클립수납면(1141)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느다란 클립홀(1142)이 형성된다.
클립홀(1142)은 좌측에 배치된 두 클립수납면(1141)의 우측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우측에 배치된 두 클립수납면(1141)의 좌측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핀(1130)에 형성된 클립부(1131)와 대응한다.
각각의 클립홀(1142)에는 대응하는 각각의 클립부(1131)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증발기조립체(1100)의 증발기(1110)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는 팬조립체(920)의 작동에 의해 순환되는 흐름을 가지며, 이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증발기(1110)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는 증발기(1110)의 상단부에서 후술할 가이드부(1200)의 토출안내유로(1213)를 거쳐 냉기토출구(1001)를 통해 토출된다.
냉기토출구(1001)를 통해 토출된 냉기는 냉기토출유로(931)로 안내되어 냉기유입유로(762a)로 유입된다.
냉기유입유로(762a)로 유입된 냉기는 제빙기(700)에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도록 제빙용 몰드(730) 하부의 냉기유로(764)를 후방에서 전방측으로 유동한 후 냉기유출구(766)를 통해 하방으로 유출된다.
냉기유출구(766)를 통해 하방으로으로 유출된 냉기는 얼음분쇄부(820) 및 버킷부(830)의 전방부를 거쳐 버킷부(830)의 후방부측으로 유동한다.
버킷부(830)의 후방부측으로 유동한 냉기는 제1냉기유동슬릿(9133)을 통해 구동부하우징(913)의 내부 하부로 유입되고, 구동부하우징(913)의 내부 하부로 유입된 냉기는 제2냉기유동슬릿(9135)을 통해 구동부하우징(913)의 외부로 유출된다.
제2냉기유동슬릿(9135)을 통해 유출된 냉기는 냉기흡입유로(9211a)로 흡입되고, 냉기흡입유로(9211a)로 흡입된 냉기는 냉기배출유로(9212a)를 통해 배출된다.
냉기배출유로(9212a)를 통해 배출된 냉기는 냉기흡입구(1002)를 통해 후술할 가이드부(1200)의 흡입안내유로(1212, 1222)로 흡입되어 흡입안내유로(1212, 1222)의 안내에 따라 설치공간(1010)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1100)의 하단부로 안내된다.
증발기(1110)의 하단부로 안내된 냉기는 증발기(1110)를 상측으로 통과하여 증발기(1110)의 상단부까지 유동함으로써 전체적인 냉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증발기케이스(1000)에는 가이드부(1200)가 수용되어 설치된다.
가이드부(1200)는 제빙실(60)과 증발기케이스(1000)의 설치공간(1010) 간의 냉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가이드부(1200)는 증발기케이스(1000)의 설치공간(1010) 전방측에 수용되어 증발기조립체(1100)의 전방에 배치되며, 증발기조립체(1100)가 설치공간(1010)에 수용되기 전에 설치공간(1010)에 미리 수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설치공간(1010) 내의 볼록부(1013)는 가이드부(1200)의 전방 중앙에 형성된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지며, 전체적으로 설치공간(1010)의 전방측 형상은 가이드부(1200)의 전체적인 형상에 대응된다.
가이드부(1200)에는 토출안내유로(1213)가 형성되어 설치공간(1010) 내의 증발기(1110)에서 생성된 냉기를 제빙실(60)측으로 안내할 수 있고, 흡입안내유로(1212, 1222)가 형성되어 제빙실(60)측에서 팬조립체(920)에 의해 흡입되는 냉기를 설치공간(1010)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이하, 가이드부(12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가이드부(1200)는 제1가이드몸체(1210), 제2가이드몸체(1220) 및 제2전도판(1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가이드몸체(1210)는 가이드부(1200)의 상부 및 후방부를 이루는 구성이다.
제1가이드몸체(1210)의 우측부 중앙에는 제1공간차단벽(1211)이 형성되어 설치공간(1010) 내에 마련된 작업공간(1014)에 끼워짐으로써 작업공간(1014)을 메우게 된다.
제1가이드몸체(1210)의 상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토출안내유로(1213)가 마련된다.
토출안내유로(1213)는 설치공간(1010)의 후방부, 즉, 설치공간(1010)에서 증발기조립체(1100)가 설치된 공간과 냉기토출구(1001) 사이에 개재되어 연통된다.
토출안내유로(1213)는 전단이 냉기토출구(1001)에 연통되고, 후단이 증발기(1110)의 상단 전방에 위치한다.
토출안내유로(1213)의 전단측 테두리는 냉기토출구(1001)의 후단측 테두리에 밀착되어 토출안내유로(1213)와 냉기토출구(1001)가 기밀하게 연통되며, 토출안내유로(1213)의 후단측은 증발기(1110)의 상단부에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설치공간(10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하여 증발기(1110)를 통과하는 냉기가 토출안내유로(1213)로 유입될 수 있다.
제1가이드몸체(1210)의 하부에는 전면이 개방되고,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며, 후면 하부 일부가 개방된 제1흡입안내유로(1212)가 마련된다.
제1흡입안내유로(1212)는 후술할 제2흡입안내유로(1222)와 더불어 흡입안내유로(1212, 1222)를 구성한다.
제1가이드몸체(1210)의 전면 중앙 우측에는 체결부삽입공(1214)이 형성되어 증발기케이스(1000)에 형성된 가이드부체결부(1011)가 삽입된다.
체결부삽입공(1214)에 삽입된 가이드부체결부(1011)에는 후술할 제2전도판(1230)의 제2나사투입공(1232)을 통해 삽입된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증발기케이스(1000)에 가이드부(1200)가 고정될 수 있다.
제1가이드몸체(1210)의 중앙부에는 설치공간(1010) 내의 볼록부(1013)가 수용된다.
제1가이드몸체(1210)의 하부에는 제2가이드몸체(1220)가 배치된다.
제2가이드몸체(1220)는 제1가이드몸체(1210)의 하부에 형합되어 가이드부(1200)를 구성하며, 제1가이드몸체(1210)와 제2가이드몸체(1220)는 설치공간(1010)의 전방측에 정합되어 수용된다.
이때, 제2가이드몸체(1220)는 볼록부(1013)와 설치공간(1010)의 내부 하면 사이에 끼워진다.
제2가이드몸체(1220)의 우측부 상부에는 제2공간차단벽(1221)이 형성되어 제1공간차단벽(1211)과 더불어 설치공간(1010) 내에 마련된 작업공간(1014)에 끼워짐으로써 작업공간(1014)을 메우게 된다.
제2가이드몸체(1220)의 후방부에는 상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개방된 제2흡입안내유로(1222)가 형성된다.
제2흡입안내유로(1222)는 제1가이드몸체(1210)와 제2가이드몸체(1220)가 형합되어 결합됨에 따라 제1흡입안내유로(1212)와 결합되어 흡입안내유로(1212, 1222)를 구성한다.
제1가이드몸체(1210)와 제2가이드몸체(1220)의 형합 시 제1흡입안내유로(1212)에서 개방된 전면은 제2가이드몸체(1220)의 전방부에 의해 폐쇄되고, 제2흡입안내유로(1222)에서 개방된 후면은 제1가이드몸체(1210)의 후방부에 의해 하부 일부를 제외하고 폐쇄된다.
이를 통해, 흡입안내유로(1212, 1222)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면이 개방되고, 후면 하부가 일부 개방된 유로로 마련된다.
흡입안내유로(1212, 1222)는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 유로이다.
흡입안내유로(1212, 1222)는 설치공간(1010)의 후방부, 즉, 설치공간(1010)에서 증발기조립체(1100)가 설치된 공간과 냉기흡입구(1002) 사이에 개재되어 연통된다.
흡입안내유로(1212, 1222)는 상단이 냉기흡입구(1002)에 연통되고, 하단이 증발기(1110)의 하단 전방에 위치한다.
즉, 흡입안내유로(1212, 1222)의 상단측 테두리는 냉기흡입구(1002)의 하단측 테두리에 밀착되어 흡입안내유로(1212, 1222)와 냉기흡입구(1002)가 기밀하게 연통되며, 흡입안내유로(1212, 1222)의 하부 후단측은 증발기(1110)의 하단부에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설치공간(1010)에 유입되는 냉기가 설치공간(1010)에 설치된 증발기(1110)의 하단부를 먼저 통과하여 상측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제빙실(60) 및 냉기흡입구(1002)가 증발기(1110)의 하단부보다 높게 위치하여도 흡입안내유로(1212, 1222)를 통해 냉기를 증발기(1110)의 하단부로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제1가이드부(1200)와 제2가이드부(1200)는 스티로폼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가이드부(1200)는 냉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냉장실(11) 및 제빙실(60)과 설치공간(1010) 간의 단열벽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가이드부(1200)는 별체의 제1가이드몸체(1210)와 제2가이드몸체(12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흡입안내유로(1212, 1222) 내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흡입안내유로(1212, 1222) 내의 청소가 필요할 경우, 형합된 제1가이드몸체(1210)와 제2가이드몸체(1220)를 서로 분리하여 제1흡입안내유로(1212)와 제2흡입안내유로(1222)를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
제2가이드몸체(1220)가 형합된 제1가이드몸체(1210)의 후면에는 제2전도판(1230)이 결합된다.
제2전도판(1230)은 제1전도판(1140)과 마찬가지로 제상히터(1120)의 가동 시 제상히터(1120)에서 발생되는 열이 전도되어 증발기(1110)에 고루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전도판(1230)은 제1가이드몸체(1210)의 후면 중앙부에서 하단까지를 덮는 형태로 마련되고, 우측부 일부가 전방측으로 절곡되어 제1가이드몸체(1210)의 우측면 일부도 덮는 형태로 마련된다.
제2전도판(1230)의 하단부에는 냉기흡입유로(1212, 1222)의 하단부 후방측에 연통되는 복수 개의 냉기흡입슬릿(1231)이 형성되어 냉기흡입유로(1212, 1222)를 통해 안내되는 냉기가 냉기흡입슬릿(1231)을 거쳐 증발기(1110)의 하단부로 안내될 수 있다.
제1가이드몸체(1210), 제2가이드몸체(1220) 및 제2전도판(1230)은 중앙 상부와 하부가 각각 별도의 접착테이프(1240)로 감긴 채 접착되어 서로 고정되고, 이로 인해 제1가이드몸체(1210)와 제2가이드몸체(1220)가 형합된 상태 및 제1가이드몸체(1210)의 후면을 제2전도판(1230)이 덮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으로 가이드부(1200)가 이루어진다.
접착테이프(1240)는 가이드부(1200)가 설치공간(1010)에 수용되기 전에 가이드부(1200)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전도판(1230)의 우측부에는 제2나사투입공(1232)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제2전도판(1230)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제2나사투입공(1232)을 통해 삽입된 체결부재가 제1가이드몸체(1210)의 체결부삽입공(1214)에 삽입된 증발기케이스(1000)의 가이드부체결부(1011)에 체결됨으로써 제1가이드몸체(1210), 제2가이드몸체(1220) 및 증발기케이스(1000)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외부케이스(100)의 개구(101)에는 설치공간(1010)의 후방부에 정합되는 단열커버(1300)가 설치된다.
단열커버(1300)는 외부케이스(100)의 개구(101) 및 설치공간(1010)을 본체(10)의 외부로부터 밀폐시키기 위해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 및 증발기케이스(1000)에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열커버(1300)는 후술할 제3나사투입공(1324b)을 통해 삽입된 체결부재가 개구(101)의 테두리를 따라 외부케이스(100)에 형성된 커버체결공(101a)에 삽입된 후, 개구(101)에 외측가압부(1032)가 끼워진 상태로 증발기케이스(1000)의 커버체결부(1031)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제3나사투입공(1324b), 커버체결공(101a) 및 커버체결부(1031)는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복수 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커버(1300)는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에 장착 또는 탈거됨으로써 개구(101) 및 설치공간(1010)의 개폐가 가능하다.
단열커버(1300)는 외부커버(1310) 및 외부커버(1310)에 결합되는 내부커버(1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부커버(1310)는 개구(101) 및 설치공간(1010)의 개방된 후면과 동일한 형상의 후면부에 테두리를 따라 전방측으로 돌출된 측벽부를 갖는 외부커버몸체(1311)와, 외부커버몸체(1311)의 후단 외주면을 따라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된 외부커버플랜지(1312)로 이루어진다.
외부커버몸체(1311)의 측벽부에는 제3패킹(1350)이 삽입되고, 외부커버몸체(1311)의 측벽부 내주면에는 억지끼움홈(1311a)이 마련되며, 외부커버플랜지(1312)에는 후방측으로 오목한 돌출부수용홈(1312a)이 형성된다.
제3패킹(1350)은 외부커버몸체(1311)의 측벽부 전둘레에 걸쳐 끼워지고, 억지끼움홈(1311a)은 외부커버몸체(1311)의 측벽부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형성되며, 돌출부수용홈(1312a)는 외부커버플랜지(1312)의 전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전방측이 개방된다.
외부커버(1310)에는 내부커버(1320)가 결합된다.
내부커버(1320)는 개구(101) 및 설치공간(1010)의 개방된 후면과 동일한 형상의 전면부에 테두리를 따라 후방측으로 돌출된 측벽부를 갖는 내부커버몸체(1321)와, 내부커버몸체(1321)의 후단 외주면을 따라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커버몸체(1321)의 전면에 대해 단차지게 형성된 내부커버플랜지(1324)로 이루어진다.
내부커버몸체(1321)의 전면부 테두리에는 전방측으로 개방된 패킹홈(1321a)이 내부커버몸체(1321)의 전면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패킹홈(1321a)에는 내부에 빈 공간이 마련된 제1패킹(1330)이 삽입된다.
제1패킹(1330)은 일부분이 패킹홈(1321a)의 외부 전방측으로 돌출되고, 단열커버(1300)가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에 결합되면 내측가압부(1041)에 의해 눌러져 패킹홈(1321a) 내부 양측 둘레면 및 패킹홈(1321a) 내부 후면에 압착된다.
이때, 증발기케이스(1000)의 단차면(1040)과 패킹홈(1321a)의 외측 둘레벽 전단 사이는 제1패킹(1330)에 의해 밀폐되어 설치공간(1010)과 본체(10) 외부 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내부커버몸체(1321)의 내주면 후방측에는 외부커버(1310)와의 고정을 위한 억지끼움돌기(1322)가 형성되고, 억지끼움돌기(1322)의 전방측 내부커버몸체(1321) 내주면에는 패킹삽입리브(1323)가 형성된다.
억지끼움돌기(1322)와 패킹삽입리브(1323)는 내부커버몸체(1321)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형성되고, 패킹삽입리브(1323)의 후단에는 후방측으로 개방된 패킹끼움부(1323a)가 형성된다.
억지끼움돌기(1322)는 억지끼움홈(1311a)에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억지끼움홈(1311a)에 끼워져 외부커버(1310)와 내부커버(1320)가 서로 끼움결합됨으로써 단열커버(1300)을 구성한다.
이때, 외부커버몸체(1311)의 측벽부에 끼워진 제3패킹(1350)은 억지끼움돌기(1322)에 의해 밀려서 억지끼움돌기(1322)와 함께 억지끼움홈(1311a)에 일부가 끼워지고, 또한, 외부커버몸체(1311)의 측벽부에 끼워진 제3패킹(1350)의 전방부는 외부커버몸체(1311)의 측벽부와 함께 패킹끼움부(1323a)에 끼워지게 된다.
내부커버플랜지(1324)의 전면 둘레 내측부에는 후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전면이 개방된 패킹밀착홈(1324a)이 형성되고, 단열커버(1300)의 후방부 외주면, 즉, 내부커버몸체(1321)의 측벽부 후방 외주면에는 제2패킹(1340)이 맞닿도록 삽입된다.
패킹밀착홈(1324a)은 내부커버플랜지(1324)의 전면 전둘레에 걸쳐 형성되고, 내부커버몸체(1321)의 측벽부에 끼워진 제2패킹(1340)은 일부분, 즉 제2패킹(1340)의 후면 둘레 외측부가 내부커버플랜지(1324)의 전면에 밀착되며, 내부커버몸체(1321)의 측벽부에 끼워진 제2패킹(1340)의 나머지 부분, 즉, 제2패킹(1340)의 후면 둘레 내측부가 패킹밀착홈(1324a)의 개방된 전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제2패킹(1340)은 단열커버(1300)가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에 결합되면 내부커버플랜지(1324)와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에 의해 압착되는 동시에 외측가압부(1032)에 의해 눌러져 패킹밀착홈(1324a)에 억지로 삽입되어 제1패킹(1330)과 더불어 설치공간(1010)과 본체(10) 외부 간의 기밀을 이중으로 단속하여 유지할 수 있다.
내부커버플랜지(1324)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제3나사투입공(1324b)이 형성된다.
제3나사투입공(1324b)은 단열커버(1300)를 외부케이스(100) 및 증발기케이스(10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으로서, 내부커버플랜지(1324)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이격형성되며, 패킹밀착홈(1324a)의 외측에 마련된다.
단열커버(1300)가 개구(101)를 통해 설치공간(1010)에 정합된 상태에서 제3나사투입공(1324b)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고, 제3나사투입공(1324b)에 삽입된 체결부재는 외부케이스(100)의 커버체결공(101a)을 거쳐 증발기케이스(1000)의 커버체결부(1031)에 체결됨으로써 단열커버(1300), 외부케이스(100) 및 증발기케이스(1000)가 서로 견고히 고정된다.
내부커버플랜지(1324)의 후면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되고, 단열커버(13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 끝단에 대칭하여 형성되는 커버손잡이(1325)가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손잡이(1325)는 단열커버(1300)의 후면 좌측 하부인 내부커버플랜지(1324)의 후면 좌측 하부에 하나, 단열커버(1300)의 후면 우측 상부인 내부커버플랜지(1324)의 후면 우측 상부에 하나가 마련되어 단열커버(1300)의 개폐 시 사용자가 커버손잡이(1325)를 파지한 채 용이하게 단열커버(1300)를 개폐할 수 있게 한다.
단열커버(1300)의 내부, 즉, 서로 결합된 외부커버(1310)와 내부커버(1320) 사이의 공간에는 커버단열재(1301)가 구비되어 증발기케이스(1000)의 설치공간(1010)과 본체(10) 외부 간의 단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내부커버몸체(1321)의 측벽부 후단 테두리에는 후방측으로 연장된 커버돌출부(1326)가 전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커버돌출부(1326)는 외부커버(1310)와 내부커버(1320)의 결합 시 돌출부수용홈(1312a)에 삽입되어 외부커버(1310)와 내부커버(1320)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단열커버(1300)의 전면 우측에는 공간차단부(1327)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간차단부(1327)는 내부커버몸체(1321)의 전면 우측부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공간(1010)에서 가이드부(1200)와 증발기조립체(1100)가 설치된 공간 외에 남는 공간인 설치공간(1010) 우측부에 삽입되어 불필요한 공간을 메꿔줌으로써 불필요한 공간까지 냉기가 순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단열커버(1300)는 제1패킹(1330) 및 제2패킹(1340)을 통해 증발키케이스(1000)에 이중으로 실링되어 본체(10) 외부에 대한 개구(101) 및 설치공간(1010)의 기밀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빙실(60)을 형성하는 구획벽(600) 및 증발기케이스(1000)에 설치되는 증발기조립체(1100)가 본체(10)의 상부 좌측 모서리 측에 적용되는 것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반대로 본체(10)의 상부 우측 모서리 측에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부호의 설명]
10 : 본체, 46 : 레일조립체
60 : 제빙실, 100 : 외부케이스
200 : 내부케이스, 300 : 회동형도어
400 : 서랍형도어, 600 : 구획벽
700 : 제빙기, 800 : 얼음저장용 버킷
900 : 구동부 팬 덕트조립체, 1000 : 증발기케이스
1100 : 증발기조립체, 1200 : 가이드부
1300 : 단열커버

Claims (10)

  1. 후측벽에 개구가 형성되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
    어 상부에 제빙실과 냉장실을 제공하고 하부에 냉동실을 제공하는 내부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빙실에 연통되는 냉기토출구와 냉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에 연통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는 증발기케이스;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설치공간 내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빙실에 냉기를 제공하는 증발기;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설치공간 내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빙실과 상기 설치공간 간의 냉기 순환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증발기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는 일단이 상기 냉기토출구에 연통되는 토출안내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는 일단이 상기 냉기흡입구에 연통되는 흡입안내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제1가이드몸체;
    상기 제1가이드몸체에 대해 형합 또는 분리 가능한 제2가이드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흡입안내유로는 상기 제1가이드몸체에 형성된 제1흡입안내유로와 상기 제2가이드몸체에 형성된 제2흡입안내유로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몸체의 후면에 결합되는 전도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증발기케이스에는 가이드부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몸체에는 체결부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도판에는 나사투입공이 형성되되,
    상기 나사투입공에 삽입된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부삽입공에 삽입된 가이드부체결부에 체결되어 상기 증발기케이스와 상기 가이드부가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몸체와 상기 제2가이드몸체는 스티로폼재질로 이루어져 냉기를 안내하는 동시에 단열벽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토출안내유로의 타단은 상기 증발기의 상단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흡입안내유로의 타단은 상기 증발기의 하단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토출안내유로는 상기 증발기의 하단에서 상단을 통과하여 생성되는 냉기를 상기 냉기토출구로 안내하여 상기 제빙실로 토출되게 하고,
    상기 제빙실에서 상기 냉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냉기를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된 상기 증발기의 하단부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흡입안내유로는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스티로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PCT/KR2019/013567 2019-09-03 2019-10-16 냉장고 WO202104529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624,175 US20220357093A1 (en) 2019-09-03 2019-10-16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200 2019-09-03
KR1020190109200A KR20210028014A (ko) 2019-09-03 2019-09-03 냉장고
KR10-2019-0109199 2019-09-03
KR1020190109199A KR20210028013A (ko) 2019-09-03 2019-09-03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5299A1 true WO2021045299A1 (ko) 2021-03-11

Family

ID=7485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3567 WO2021045299A1 (ko) 2019-09-03 2019-10-16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357093A1 (ko)
WO (1) WO202104529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086U (ko) * 1996-10-30 1998-07-25 김광호 냉장고
KR19980083661A (ko) * 1997-05-16 1998-12-05 윤종용 냉장고용 제빙 장치
JP2008190815A (ja) * 2007-02-07 2008-08-21 Sharp Corp 冷却庫
KR101645731B1 (ko) * 2010-06-16 201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20180087814A1 (en) * 2016-09-29 2018-03-2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1186B (zh) * 2018-11-28 2019-11-01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独立制冰系统的冰箱
KR20200140512A (ko) * 2019-06-07 2020-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086U (ko) * 1996-10-30 1998-07-25 김광호 냉장고
KR19980083661A (ko) * 1997-05-16 1998-12-05 윤종용 냉장고용 제빙 장치
JP2008190815A (ja) * 2007-02-07 2008-08-21 Sharp Corp 冷却庫
KR101645731B1 (ko) * 2010-06-16 201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20180087814A1 (en) * 2016-09-29 2018-03-2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57093A1 (en)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08754A2 (en) Refrigerator and cooling apparatus
WO2017039334A1 (ko) 냉장고
WO2011081498A2 (en) Refrigerator
WO2011081500A2 (en) Refrigerator
WO2019045318A1 (en) HOUSEHOLD DEVICE
EP3619384A1 (en) Home appliance
WO2021045295A1 (ko) 냉장고
WO2021045294A1 (ko)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
WO2021045299A1 (ko) 냉장고
WO2023282639A1 (en) Storehouse
WO2021045298A1 (ko) 냉장고
WO2021045297A1 (ko) 냉장고
WO2021045300A1 (ko) 냉장고
WO2021045301A1 (ko) 냉장고
WO2021045296A1 (ko) 냉장고
WO2020101369A1 (ko)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WO2023282636A1 (en) Storehouse
WO2023282646A1 (en) Storehouse
WO2023128386A1 (ko) 저장고
WO2023128385A1 (ko) 저장고
WO2021006585A1 (ko) 냉장고
WO2023282645A1 (en) Storehouse
WO2023282643A1 (en) Storehouse
WO2023282641A1 (en) Storehouse
WO2023282649A1 (en) Store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445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445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