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29673A1 - 나노입자 및 환경 유래 미세입자의 독성 저해 조성물 - Google Patents

나노입자 및 환경 유래 미세입자의 독성 저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29673A1
WO2021029673A1 PCT/KR2020/010687 KR2020010687W WO2021029673A1 WO 2021029673 A1 WO2021029673 A1 WO 2021029673A1 KR 2020010687 W KR2020010687 W KR 2020010687W WO 2021029673 A1 WO2021029673 A1 WO 202102967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anoparticles
glutathione
citric acid
nano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068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광
신태환
강엽
곽종영
이다연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9430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65434B1/ko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7/635,12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395552A1/en
Publication of WO202102967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2967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6Tripeptides
    • A61K38/063Glutathi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1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gluc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6Tr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that inhibits toxicity to nanoparticles and microparticles generated in the environment.
  • nanoparticles have grown rapidly and has been applied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such as industry, medical care, food, and cosmetics.
  • fine particles such as black carbon, fine dust, and fine plastic may be generated through combustion and physical decomposition in the environment, and may exist in air or water.
  • the exposure routes of nanoparticles and microparticles to the human body become diverse and the frequency may also increase (Angew. Chem. Int Ed Engi, 2011, Arch Toxicol, 2017).
  • nanoparticles generally mean particles with an average diameter in the range of 1-100 nm, which has a very large specific surface area per volume than a material of large particles. Accordingly, the reactivity occurring on the surface is quite high, and it has uniqu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These unique properties are industrially useful, but can be potentially toxic in terms of safety.
  • nanoparticles introduced into the human body are distributed in all organs and may cause diseases in each organ (Biointerphases, 2007).
  • composition has not been developed to excellently reduce the toxicity of the nanoparticles and microparticl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ano-toxicity inhibitory composition
  • a nano-toxicity inhibitory composition comprising a ki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eptide-based compound and an organic acid or a mixture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health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ytotoxicity induced by nano or fine substances comprising the nano-toxicity inhibitory composi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nano-toxicity inhibitory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leviate intracellular ATP reduction, cell viability reduction, inflammatory morphology change and cellular activity induced by nanoparticles or environment-derived microparticles.
  •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ytotoxicity caused by nanoparticles or environmentally-derived microparticles by including the composi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image is a diagram showing the actually observed luminescence (*P ⁇ 0.05, vs. control, #P ⁇ 0.05, vs. 0.1 ⁇ g/ ⁇ l of MNPs@SiO 2 (RITC) treated only).
  •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cell morphological analysis with an optical microscope after treatment with glutathione, citric acid,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for 24 hours on microglia to which particles are not treated.
  • FIG 3 is a result of performing cell morphological analysis by fluorescence and optical microscopy after treating microglia with 0.1 ⁇ g/ ⁇ l of MNPs@SiO 2 (RITC) for 24 hours with a mixture of glutathione, citric acid, and glutathione and citric acid. It is a figure showing (red color shows RITC fluorescence of MNPs@SiO 2 (RITC)).
  • Figure 4 is a microglia treated with 0.1 ⁇ g/ ⁇ l of silica nanoparticles (SiO 2 , average diameter 50 nm)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citric acid and glutathione and citric acid for 24 hours, and then cell morphological analysis with an optical microscope It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 of the performance.
  • silica nanoparticles SiO 2 , average diameter 50 nm
  • Figure 5 is a microglia treated with 0.1 ⁇ g/ ⁇ l silver nanoparticles (Ag, average diameter of 20 nm)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citric acid, and glutathione and citric acid for 24 hours, and then performing cell morphological analysis with an optical microscope. It is a figure showing the result.
  • FIG. 6 is a diagram showing cell morphological analysis with an optical microscope after treating microglia with 0.1 ⁇ g/ ⁇ l of gold nanoparticles (Au, average diameter 10 nm)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citric acid, and glutathione and citric acid for 24 hours to be.
  • Au gold nanoparticles
  • FIG. 7 shows cell morphological analysis by fluorescence and optical microscopy after treating microglia with 0.1 ⁇ g/ ⁇ l of quantum dot nanoparticles (CdSe, average diameter 10 nm) with glutathione, citric acid,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for 24 hours. It is a diagram shown (green indicates the self-fluorescence of quantum dot nanoparticles (CdSe, average diameter 10 nm)).
  • FIG. 8 is a diagram showing cell morphological analysis with an optical microscope after treating microglia with 0.1 ⁇ g/ ⁇ l polystyrene microplastic (PS, average diameter 2 ⁇ m) for 24 hours with glutathione, citric acid,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
  • PS polystyrene microplastic
  • FIG. 9 is a diagram showing cell morphological analysis with an optical microscope after treatment with a mixture of glutathione, citric acid, and glutathione and citric acid with 0.1 ⁇ g/ ⁇ l of polystyrene microplastic (PS, average diameter 100 nm) on microglia for 24 hours to be.
  • PS polystyrene microplastic
  • FIG. 10 shows cell morphological analysis with an optical microscope after treating microglia with 0.1 ⁇ g/ ⁇ l of urban particulate matter (UPM, NIST 1648A) with glutathione, citric acid,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for 24 hours. It is a figure shown.
  • UPM urban particulate matter
  • Figure 11 is a microglia for 24 hours 0.1 ⁇ g / ⁇ l of silica nanoparticles (SiO 2 , A diagram showing cell morphological analysis with an optical microscope after treatment with glutathione, citric acid,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with an average diameter of 30 nm).
  • Figure 13 shows the cell morphological analysis with an optical microscope after treatment with a mixture of glutathione, citric acid and glutathione and citric acid with 0.1 ⁇ g/ ⁇ l of silica carbon nanotubes (MWCNT, average diameter 25 nm) in microglia for 24 hours. It is a drawing.
  • MWCNT silica carbon nanotubes
  • MNPs@SiO 2 (RITC) (average diameter 50 nm), silica nanoparticles (SiO 2 , average diameter 50 nm), silver nanoparticles (Ag, average diameter 20 nm), gold nanoparticles (Au, average diameter 10 nm), quantum dot nanoparticles (CdSe, average diameter 10 nm), polystyrene microplastic (PS, average diameter 2 ⁇ m and 100 nm), Urban particulate matter; UPM, NIST 1648A), silica nanoparticles (SiO 2 , average diameter 30 nm), titanium oxide nanoparticles (TiO 2 , average diameter 40 nm), carbon nanotubes (MWCNT, average diameter 25 nm), glutathione, citric acid and It is a diagram showing the cell viability after treatment with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P ⁇ 0.05, vs. control,
  • FIG. 15 shows the distribution of MNPs@SiO 2 (RITC) distributed in the hippocampus of the mouse brain and the degree of activation of microglia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MNPs@SiO 2 (RITC)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into a mouse model. It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P ⁇ 0.05, vs. control group, #P ⁇ 0.05, vs. MNPs@SiO 2 (RITC) treated group).
  • Figure 16 is a mouse model by intraperitoneally injecting MNPs@SiO 2 (RITC)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to measure the distribution of MNPs@SiO 2 (RITC) distributed in the brain thalamus of the mouse and the degree of activation of microglia It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P ⁇ 0.05, vs. control group, #P ⁇ 0.05, vs. MNPs@SiO 2 (RITC) treated group).
  • Figure 17 is a mouse model intraperitoneally injecting MNPs@SiO 2 (RITC)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to measure the distribution of MNPs@SiO 2 (RITC) distributed in the cerebral cortex of the mouse and the degree of activation of microglia It is a diagram showing one result (*P ⁇ 0.05, vs. control group, #P ⁇ 0.05, vs. MNPs@SiO 2 (RITC) treated group).
  • FIG. 19 is a measurement of the distribution of MNPs@SiO 2 (RITC) distributed in the brain cerebellum of mice and the degree of activation of microglia by intraperitoneally injecting MNPs@SiO 2 (RITC)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into a mouse model. It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P ⁇ 0.05, vs. control group, #P ⁇ 0.05, vs. MNPs@SiO 2 (RITC) treated group).
  • the present inventors have prepared a nano-toxicity inhibitory composition comprising glutathione (GSH) and citric acid as active ingredients, which reduces intracellular ATP induced by nanoparticles and microparticles, decreases cell viability, and causes inflammation.
  • GSH glutathione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finding that it can alleviate morphological changes and cellular activit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anotoxicity inhibitory composition
  • a nanotoxicity inhibitory composition comprising a ki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eptide-based compound and an organic acid or a mixture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eptide (peptide)-based compound is glutathione (glutathione; GSH), the organic acid is characterized in that citric acid (citric acid), the composition is a peptide (peptide)-based compound and an organic acid (0.05 to 10): It may be included in a concentration ratio of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nano-toxicity inhibitory composition inhibits intracellular toxicity induced by nanoparticles or environmentally-derived microparticles, and may reduce intracellular ATP, decrease cell viability, and alleviate inflammatory form changes and cellular activity of cells. .
  • the reduction of intracellular ATP by the nanoparticles may be alleviated by glutathione, citric acid,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 the nanoparticles mean particles with an average diameter in the range of 1-100 nm
  • particulate matter refers to particles with an average diameter of 10 ⁇ m (PM 10 ) and an average diameter of 2.5 ⁇ m (PM 2).
  • a is classified as a ultrafine particle
  • the nanoparticle or the environment resulting microparticle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gnetic nanoparticles, inorganic nanoparticles, metal nanoparticles, quantum dot nanoparticles, carbon nanotubes, fine plastic, shown microparticles Can be.
  • silica-coated magnetic nanoparticles [MNPs@SiO 2 (RITC)] containing chemically bound rhodamine B isocyanate, silica nanoparticles, silver nanoparticles, gold nanoparticles, CdSe quantum dot nanoparticles, polystyrene microparticles Plastic, urban particulate matter (UPM, NIST 1648A), titanium oxide nanoparticles, and carbon nanotubes may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ny nanoparticles or fine particles may be used.
  • the MNPs@SiO 2 (average diameter 50 nm), silica nanoparticles (SiO 2 , average diameter 50 nm), silver nanoparticles (Ag, average diameter 20 nm), gold Nanoparticles (Au, average diameter 10 nm), quantum dot nanoparticles (CdSe, average diameter 10 nm), polystyrene microplastic (PS, average diameter 2 ⁇ m and 100 nm), urban particulate matter (UPM, NIST 1648A) , Silica nanoparticles (SiO 2 , average diameter 30 nm), titanium oxide nanoparticles (TiO 2 , average diameter 40 nm), and carbon nanotubes (MWCNT, average diameter 25 nm).
  • GEM MNPs@SiO 2
  • silica nanoparticles SiO 2 , average diameter 50 nm
  • silver nanoparticles Ag, average diameter 20 nm
  • gold Nanoparticles Au, average diameter 10 nm
  • the MNPs@SiO 2 (average diameter 50 nm), silica nanoparticles (SiO 2 , average diameter 50 nm), silver nanoparticles (Ag, average diameter 20 nm), gold nanoparticles (Au, average diameter 10 nm), quantum dot nanoparticles (CdSe, average diameter 10 nm), polystyrene microplastics (PS, average diameter 2 ⁇ m and 100 nm), urban particulate matter (UPM, NIST 1648A), silica nanoparticles (SiO 2 , Average diameter 30 nm), titanium oxide nanoparticles (TiO 2 , average diameter 40 nm), carbon nanotubes (MWCNT, average diameter 25 nm) decrease the cell viability of microglia by glutathione, citric acid, glutathione and citric acid mixtu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lleviated by
  • the MNPs@SiO 2 (average diameter 50 nm), silica nanoparticles (SiO 2 , average diameter 50 nm), silver nanoparticles (Ag, average diameter 20 nm), gold nanoparticles (Au, average diameter 10 nm), quantum dot nanoparticles (CdSe, average diameter 10 nm), polystyrene microplastics (PS, average diameter 2 ⁇ m and 100 nm), urban particulate matter (UPM, NIST 1648A), silica nanoparticles (SiO 2 , Average diameter 30 nm), titanium oxide nanoparticles (TiO 2 , average diameter 40 nm), carbon nanotubes (MWCNT, average diameter 25 nm) decrease the filament length of microglia and increase with cell activation (Iba1, CD40, CD11b)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crease in the expression level can be alleviated by glutathione, citric acid,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 the cel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icroglia, nerve cells, star glial cells, and oligodendrocyt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ytotoxicity induced by nano- or micro-materials comprising the nano-toxicity inhibitory composi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n active ingredient such as glutathione (GSH) or citric acid or mixtures thereof, as well as conventional adjuvants such a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fragrances, And it may include a carrier.
  •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 conventionally prepared in the art, for example, hair tonic, hair conditioner, hair essence, hair lotion, hair nutrition lotion, hair shampoo, hair rinse, hair treatment Ment, hair cream, hair nutrition cream, hair moisture cream, hair massage cream, hair wax, hair aerosol, hair pack, hair nutrition pack, hair soap, hair cleansing foam, hair oil, hair dryer, hair preservation agent, hair dye, hair wave
  • hair bleaching agent hair gel, hair glaze, hairdresser, hair lacquer, hair moisturizer, hair mousse, hair spray,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ormula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cant,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or zinc oxide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
  • lactose When the formulation is a powder or spray,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Or a propellant such as dimethyl ether.
  • a solvent, a solubilizing agent or an emulsifying agent is used as a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3 -Butyl 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fatty acid ester of sorbitan.
  • a liquid diluent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s a carrier component, an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a suspending agent such as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line cellulose ,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 and the like may be us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ytotoxicity induced by nano or fine substances comprising the nano-toxicity inhibitory composi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as a cream, gel, patch, spray, ointment, warning agent, lotion, liniment, pasta and cataplasma.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and suc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is commonly used i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starch, gum acacia, calcium phosphate, alginate, gelatin, calcium silicat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cellulose, water, syrup, methyl cellulose,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mineral oil,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lubricant, a wetting agent, a sweetening agent, a flavoring agent, an emulsifying agent, a suspend
  • the method of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symptoms, and a topical administration method is usually preferred.
  • the dosage of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route of administration,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age, sex, and weight of the patient, and may be administered once to several times a da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ytotoxicity induced by nano or fine substances comprising the nano-toxicity inhibitory composi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health food composi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 tablet, capsule, syrup, or beverage, and the health food composition is glutathione (GSH) or citric ac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or its In addition to the mixture, it is used with other foods or food additives, and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for exampl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 the effective dose of glutathione (GSH) or citric acid or a mixture thereof contained in the health food composition may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effective dos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but for health and hygiene purposes or for health control In the case of the intended long-term intake, it may be less than the above range, and sinc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used in an amount above the above range.
  • the main toxicity of nanoparticles and microparticles is caused by an increase in free radicals and a decrease in energy metabolism due to mitochondrial damage.
  • a composition was developed that effectively inhibits toxicity.
  • a decrease in ATP, apoptosis, changes in cell morphology, and cell activity were observed in rat primary microglia derived from rat brain tissue treated with the nanoparticles and microparticles, which are glutathione, citric aci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increases intracellular ATP, increases cell viability, and decreases cell activation, so that it can be used as a reducing material for toxicity of the nanoparticles and microparticles.
  • MNPs@SiO 2 (RITC)] average diameter 50 nm
  • BITERIALS(Korea) silica nanoparticles
  • silver nanoparticles (Ag, average diameter 20 nm) were obtained by Kim et al, 2006a; In Seo & Kim, 2007, gold nanoparticles (Au, average diameter of 10 nm) were analyzed by Kim et al, 2006a; In Seo & Kim, 2007, quantum dot nanoparticles (CdSe, average diameter 10 nm) were analyzed by Kim et al, 2006a; In Seo & Kim, 2007, polystyrene microplastics (PS, average diameter of 2 ⁇ m and 100 nm) were from Sigma-Aldrich (USA), and urban particulate matter (UPM, NIST 1648A) was from Sigma-Aldrich (USA).
  • POM urban particulate matter
  • Example 1 MNPs@SiO2( RITC ) Measurement of ATP (Adenosine triphosphate) in microglia treated
  • the cells were suspended in MEM (Minimum Essential Medium Eagle)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100 units/ml penicillin, and 100 ng/ ⁇ l streptomycin. Then, 5% CO 2 was cultured in an incubator at 37°C.
  • MEM Minimum Essential Medium Eagle
  • Microglia in culture were treated with 0.01 ⁇ g/ ⁇ l or 0.1 ⁇ g/ ⁇ l of MNPs@SiO 2 (RITC) (average diameter 50 nm) for 24 hours.
  • glutathione, citric acid, and glutathione and citric acid mixture groups were treated with nanoparticles.
  • the number of cells was measured and adjusted to the same number of cells. These cells were emit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ATP using a luciferin-based ATP emission measurement kit (Promega, USA), and the degree of emission was measured with a luminometer (LMaxII384; Molecular Devices, USA), and ChemiDocTM Touch Gel Imaging System ( Bio-Rad) was used.
  • the black image on the bar graph of FIG. 1 was generated by collecting the actually observed luminescence, and the closer to black, the higher the amount of ATP.
  • glutathione or citric acid glutathione When added together with the citric acid mixture, it was confirmed that ATP reduction was prevented.
  • MNPs@SiO 2 (average diameter 50 nm), silica nanoparticles (SiO 2 , Average diameter 50 nm), silver nanoparticles (Ag, average diameter 20 nm), gold nanoparticles (Au, average diameter 10 nm), quantum dot nanoparticles (CdSe, average diameter 10 nm), polystyrene microplastic (PS, average diameter) 2 ⁇ m and 100 nm), urban particulate matter (UPM, NIST 1648A), silica nanoparticles (SiO 2 , Average diameter 30 nm), titanium oxide nanoparticles (TiO 2 , Average diameter 40 nm), carbon nanotubes (MWCNT, average diameter 25 nm) were treated for 24 hours, and then photographed using a fluorescence and optical microscope (Axio Vert 200M fluorescence microscopy, Zeiss, Jena, Germany).
  • Fluorescent MNPs@SiO 2 (RITC) (average diameter 50 nm) and quantum dot nanoparticles (CdSe, average diameter 10 nm) were also photographed with fluorescence. Changes in the number of nanoparticles and microglia treated with microparticles, and normal morphology (cell branch outstretched state), inflammation-inducing form (circular form state), and abnormal form (embedded form in particles) were observed.
  • MNPs@SiO 2 MNPs@SiO 2
  • FIG. 3 MNPs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cells due to @SiO 2 (RITC) was alleviated by glutathione or citric aci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ost alleviating effect was shown in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FIG. 3).
  • microglia were treated with 0.1 ⁇ g/ ⁇ l of silica nanoparticles (SiO 2 , average diameter 50 nm)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citric acid, and glutathione and citric acid for 24 hours, followed by cell morphological analysis with an optical microscope.
  • silica nanoparticles SiO 2 , average diameter 50 nm
  •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cells due to silica nanoparticles (SiO 2 , average diameter 50 nm) was alleviated by glutathione or citric aci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ost alleviating effect was shown in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FIG. 4).
  • microglia were treated with 0.1 ⁇ g/ ⁇ l silver nanoparticles (Ag, average diameter of 20 nm) with glutathione, citric acid,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for 24 hours, and then subjected to cell morphological analysis with an optical microscope.
  • the reduction in cell number due to silver nanoparticles (Ag, average diameter 20 nm) was alleviated by glutathione or citric acid, and the most alleviating effect was found in the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Morphologic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glutathione and citric acid mixture became inactive (normal) in the treated group (FIG. 5).
  • microglia was treated with a mixture of glutathione, citric acid, and glutathione and citric acid with 0.1 ⁇ g/ ⁇ l of polystyrene microplastic (PS, average diameter 2 ⁇ m) for 24 hours, and then cell morphological analysis with an optical microscope, The decrease in cell number due to microplastic (PS, average diameter 2 ⁇ m) was alleviated by glutathione or citric acid, and the most alleviating effect was found with glutathione and citric acid mixture. The morphologically inactive (normal) state was observed in the group treated with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FIG. 8).
  • PS polystyrene microplastic
  • microglia was treated with 0.1 ⁇ g/ ⁇ l polystyrene microplastic (PS, average diameter 100 nm) for 24 hours with glutathione, citric acid,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and then cell morphological analysis with an optical microscope ,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cells due to the microplastic (PS, average diameter 100 nm) was alleviated by glutathione or citric acid, and the most alleviating effect was shown in the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FIG. 9).
  • PS polystyrene microplastic
  • silica nanoparticles SiO 2 , average diameter 30 nm
  • glutathione, citric acid,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for 24 hours, and then subjected to cell morphological analysis with an optical microscope
  • Silica nanoparticles SiO 2 , average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cells due to a diameter of 30 nm) was alleviated by glutathione or citric acid,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showed the greatest relaxation effect.
  • the morphologically inactive (normal) state was observed in the group treated with the glutathione and citric acid mixture (FIG. 11).
  • Microglia were treated with 0.1 ⁇ g/ ⁇ l of silica titanium oxide nanoparticles (TiO 2 , average diameter 40 nm) with glutathione, citric acid,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for 24 hours, and then cell morpholog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cells due to titanium oxide nanoparticles (TiO 2 , average diameter 40 nm) was alleviated by glutathione or citric acid,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showed the greatest alleviation effect. It was observed in the group treated with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that the morphologically also appeared clearly inactive (normal) state (FIG. 12).
  • microglia were treated with a mixture of glutathione, citric acid, and glutathione and citric acid with 0.1 ⁇ g/ ⁇ l of silica carbon nanotubes (MWCNT, average diameter 25 nm) for 24 hours, and then subjected to cell morphological analysis with an optical microscope,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cells due to carbon nanotubes (MWCNT, average diameter 25 nm) was alleviated by glutathione or citric acid, and glutathione and citric acid mixture showed the greatest alleviation effect. It was observed in the group treated with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that appeared morphologically inactive (normal) state (FIG. 13).
  • MNPs@SiO 2 (average diameter 50 nm), silica nanoparticles (SiO 2 , Average diameter 50 nm), silver nanoparticles (Ag, average diameter 20 nm), gold nanoparticles (Au, average diameter 10 nm), quantum dot nanoparticles (CdSe, average diameter 10 nm), polystyrene microplastic (PS, average diameter) 2 ⁇ m and 100 nm), urban particulate matter (UPM, NIST 1648A), silica nanoparticles (SiO 2 , Average diameter 30 nm), titanium oxide nanoparticles (TiO 2 , A kit that analyzes cell viability based on the activity of succinic dehydrogenase after treating carbon nanotubes (MWCNT, average diameter 25 nm) for 24 hours (CellTilter 96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Promega
  • MNPs@SiO 2 (RITC)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into a mouse model to measure the distribution of MNPs@SiO 2 (RITC) and the degree of activation of microglia in the mouse brain.
  • ICR mice 8-week-old ICR mice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with 100 mg/kg of MNPs@SiO 2 (RITC)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1000 mg/kg) and citric acid (200 mg/kg) and perfused with paraformaldehyde after 5 days. After that, the brain was removed and separated into cortex, striatum, hippocampus, thalamus, cerebellum, and immunohistochemistry (IHC) and immunoblot. It was analyzed (Fig. 15A).
  • the extracted brain tissue was frozen sectioned, and blocking was performed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with 1% bovine serum albumin and 10% donkey serum.
  • Anti-Iba1 polyclonal goat antibody (1:100) was bound to the blocked tissue at 4° C. for 16 hours.
  • Alexa Fluor 488-conjugated anti-goat IgG antibody (1:100) was combined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 the tissue was washed with phosphate buffered saline containing 0.4% Triton X-100, and then sealed with a cover glass using an inclusion agent containing DAPI.
  • the stained tissue was observed and Z-stack scanned using a slide scanner (Axio Scan Z1, Zeiss, Germany) or a confocal microscope (Nikon A1R HD25, Japan).
  • a 3D rendering model was constructed from the scanned images through the Imaris 9.2 (Bitplane, Zurich, Switzerland) program. In the constructed model, the lengths of filaments of microglia were quantified.
  • FIG. 15B is an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the morphology of MNPs@SiO 2 (RITC) and microglia distributed in the brain hippocampus of mice injected with MNPs@SiO 2 (RITC)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Co-administrated) It is the result. Microglia were detected with Iba1, a protein marker. For the morphology of microglia stained with Iba1, a 3D rendering model was constructed through the Imaris 9.2 (Bitplane, Zurich, Switzerland) program, and the decrease in filament length (activation of microglia) was quantitatively analyzed (Fig. 15c).
  • Figure 16a is an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the morphology of MNPs@SiO 2 (RITC) and microglia distributed in the brain thalamus of mice injected with MNPs@SiO 2 (RITC)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Co-administrated) It is the result. As MNPs@SiO 2 (RITC) was treated, the decrease in filament length was quantitatively analyzed (Fig. 16b).
  • Figure 17a is MNPs@SiO 2 (RITC)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injected (Co-administrated) MNPs@SiO 2 (RITC) and immunohistochemistry for the morphology of microglia distributed in the cerebral cortex of the mouse This is the result of the analysis.
  • the reduction in filament length was quantitatively analyzed by treatment with MNPs@SiO 2 (RITC) (Fig. 17b).
  • FIG. 18A is an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the morphology of MNPs@SiO 2 (RITC) and microglia distributed in the brain striatum of mice injected with MNPs@SiO 2 (RITC)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Co-administrated) It is the result. As MNPs@SiO 2 (RITC) was treated, the decrease in filament length was quantitatively analyzed (Fig. 18b).
  • FIG. 19A is an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the morphology of MNPs@SiO 2 (RITC) and microglia distributed in the brain cerebellum of mice injected with MNPs@SiO 2 (RITC) and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Co-administrated) It is the result.
  • the reduction in filament length was quantitatively analyzed by treatment with MNPs@SiO 2 (RITC) (Fig. 19b).
  • the extracted brain tissue was separated into cerebral cortex, striatum, hippocampus, thalamus, and cerebellum, and 20 mM Tris-HCl pH 7.5, 150 mM NaCl, 1 mM Na2 EDTA, 1 mM EGTA, 1% NP-40, 1% sodium deoxycholate, It was dissolved in a solution of 2.5 mM sodium pyrophosphate, 1 mM ⁇ -glycerophosphate, 1 mM Na3VO4, and 1 ⁇ g/ml leupeptin. The protein concentration of the dissolved tissue was quantified with the BCA Kit (Thermo Fisher Scientific, USA).
  • 15D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amount of expression of proteins (Iba1, CD40, CD11b) that increases with activation of microglia in mouse brain tissue. It was confirmed that the three proteins were inhibited by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brain hippocampus of mice treated with MNPs@SiO 2 (RITC) only (FIGS. 15e-g).
  • proteins Iba1, CD40, CD11b
  • 16C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amount of expression of proteins (Iba1, CD40, CD11b) that increases with activation of microglia in mouse brain tissue. It was confirmed that the three proteins were inhibited by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brain thalamus of mice treated with only MNPs@SiO 2 (RITC) (Fig. 16d-f).
  • 17C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amount of expression of proteins (Iba1, CD40, CD11b) that increases with activation of microglia in mouse brain tissue. It was confirmed that the three proteins were inhibited by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erebral cortex of the mice treated with only MNPs@SiO 2 (RITC) (Fig. 17d-f).
  • proteins Iba1, CD40, CD11b
  • 18C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amount of expression of proteins (Iba1, CD40, CD11b) that increases with activation of microglia in mouse brain tissue. It was confirmed that the three proteins were inhibited by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brain striatum of mice treated with only MNPs@SiO 2 (RITC) (Fig. 18d-f).
  • 19C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amount of expression of proteins (Iba1, CD40, CD11b) that increases according to the activation of microglia in mouse brain tissue. It was confirmed that the three proteins were inhibited by a mixture of glutathione and citric acid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brain cerebellum of mice treated with MNPs@SiO 2 (RITC) only (Fig. 19d-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입자 및 환경에서 발생되는 미세입자에 대한 독성을 저해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나노입자 또는 환경 유래 미세 입자로 유발된 세포 내 ATP 감소, 세포 생존율 감소, 세포의 염증 유발성 형태 변화 및 세포의 활성화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의해 저해되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상기 조성물은 나노입자 및 미세입자의 독성에 대한 저감 물질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Description

나노입자 및 환경 유래 미세입자의 독성 저해 조성물
본 발명은 나노입자 및 환경에서 발생 되는 미세입자에 대한 독성을 저해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나노입자에 대한 기술은 급격한 성장을 거두어 공업, 의료, 식품, 화장품 등 여러 산업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또한, 환경에서 연소, 물리적 분해를 통하여 블랙카본, 미세먼지, 미세플라스틱과 같은 미세입자들이 생성되어 공기, 물에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나노입자의 응용 범위가 넓어지고, 환경 유래 미세입자의 생성이 증가할수록 인체에 대한 나노입자 및 미세입자의 노출 경로는 다양해지고, 빈도 또한 잦아질 수 있다(Angew. Chem. Int Ed Engi, 2011, Arch Toxicol, 2017).
이에 따라, 세계적으로 나노입자 및 미세입자에 대한 독성 저감 물질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나노입자는 일반적으로 평균 지름이 1-100 nm의 범위에 속하는 입자를 뜻하며, 이는 큰 입자의 소재보다 부피당 비표면적이 매우 넓다. 이에 따라 표면에서 일어나는 반응성이 상당히 높으며, 고유한 물리, 화학적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고유 특성들은 산업적으로 유용하지만, 안전성 측면에서는 잠재적으로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나노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더욱 유해하고 활성산소 생성으로 인한 세포의 사멸 및 염증과 같은 반응을 유발한다고 보고되었다(J. Control Release, 2013). 게다가, 나노입자를 구성하는 물질에 따라서도 독성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심지어 동일 물질, 동일 크기라 하더라도 구조와 형태 및 존재 환경에 따라 독성이 달라질 수 있다(Environ Health Perspect, 2006).
나노입자의 유입 경로는 흡입, 섭취, 피부가 주된 경로로 알려져 있으며, 인체에 유입된 나노입자는 모든 장기에 분포하게 되고 각각의 장기에 대한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Biointerphases, 2007).
그러나 상기 나노입자 및 미세입자의 독성을 탁월하게 저감하는 조성물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나노입자 및 환경에서 발생 되는 미세입자에 대해 독성을 저해시킬 수 있는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나노입자 및 환경 유래 미세입자로 유도된 세포 내 ATP 감소 및 세포 생존율 감소, 세포의 염증 유발성의 형태학적 변화 및 세포 활성을 완화 시킬 수 있는 나노 독성 저해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펩타이드(peptide)계 화합물 및 유기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일종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 독성 저해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나노 독성 저해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 또는 미세 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 독성 저해 조성물은 나노입자 또는 환경 유래 미세 입자로 유발된 세포 내 ATP 감소, 세포 생존율 감소, 세포의 염증 유발성 형태 변화 및 세포 활성을 완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여 나노입자 또는 환경 유래 미세 입자로 유발된 세포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0.01 μg/μl 혹은 0.1 μg/μl의 MNPs@SiO2(RITC) (평균 지름 50 nm)가 24시간동안 처리된 미세아교세포 내 ATP의 양을 분석한 결과이며, 막대 그래프 위의 검은 이미지는 실제로 관찰된 발광을 포집하여 나타낸 도면이다(*P < 0.05, vs. 대조군, #P < 0.05, vs. 0.1 μg/μl의 MNPs@SiO2(RITC)만 처리된 그룹).
도 2는 입자가 처리되지 않은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형태학적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0.1 μg/μl의 MNPs@SiO2(RITC)와 함께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형광 및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형태학적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붉은색은 MNPs@SiO2(RITC)의 RITC 형광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0.1 μg/μl의 실리카 나노입자(SiO2, 평균 지름 50 nm)와 함께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형태학적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0.1 μg/μl의 은 나노입자(Ag, 평균 지름 20 nm)와 함께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형태학적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0.1 μg/μl의 금 나노입자(Au, 평균 지름 10 nm)와 함께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형태학적 분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0.1 μg/μl의 양자점 나노입자(CdSe, 평균 지름 10 nm)와 함께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형광 및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형태학적 분석을 나타낸 도면이다(초록색은 양자점 나노입자(CdSe, 평균 지름 10 nm)의 자체 형광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0.1 μg/μl의 폴리스티렌 미세 플라스틱(PS, 평균 지름 2μm)와 함께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형태학적 분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0.1 μg/μl의 폴리스티렌 미세 플라스틱(PS, 평균 지름 100 nm)와 함께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형태학적 분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0.1 μg/μl의 도시 미세입자(Urban particulate matter; UPM, NIST 1648A)와 함께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형태학적 분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0.1 μg/μl의 실리카 나노입자(SiO2, 평균 지름 30 nm)와 함께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형태학적 분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0.1 μg/μl의 실리카 티타늄옥사이드 나노입자(TiO2, 평균 지름 40 nm)와 함께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형태학적 분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0.1 μg/μl의 실리카 탄소나노튜브(MWCNT, 평균 지름 25 nm)와 함께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형태학적 분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0.1 μg/μl의 MNPs@SiO2(RITC) (평균 지름 50 nm), 실리카 나노입자(SiO2, 평균 지름 50 nm), 은 나노입자(Ag, 평균 지름 20 nm), 금 나노입자(Au, 평균 지름 10 nm), 양자점 나노입자(CdSe, 평균 지름 10 nm), 폴리스티렌 미세 플라스틱(PS, 평균 지름 2μm 및 100 nm), 도시 미세입자(Urban particulate matter; UPM, NIST 1648A), 실리카 나노입자(SiO2, 평균 지름 30 nm), 티타늄옥사이드 나노입자(TiO2, 평균 지름 40 nm), 탄소나노튜브(MWCNT, 평균 지름 25 nm) 와 함께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도면이다(*P < 0.05, vs. 대조군, #P < 0.05, vs. 0.1 μg/μl의 MNPs@SiO2(RITC)만 처리된 그룹).
도 15는 마우스 모델에 MNPs@SiO2(RITC)와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복강 내 주입하여 마우스의 뇌 해마 부분에 분포하는 MNPs@SiO2(RITC)의 분포와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P < 0.05, vs. 대조군, #P < 0.05, vs. MNPs@SiO2(RITC)만 처리된 그룹).
도 16은 마우스 모델에 MNPs@SiO2(RITC)와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복강 내 주입하여 마우스의 뇌 시상 부분에 분포하는 MNPs@SiO2(RITC)의 분포와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P < 0.05, vs. 대조군, #P < 0.05, vs. MNPs@SiO2(RITC)만 처리된 그룹).
도 17은 마우스 모델에 MNPs@SiO2(RITC)와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복강 내 주입하여 마우스의 뇌 대뇌 피질 부분에 분포하는 MNPs@SiO2(RITC)의 분포와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P < 0.05, vs. 대조군, #P < 0.05, vs. MNPs@SiO2(RITC)만 처리된 그룹).
도 18은 마우스 모델에 MNPs@SiO2(RITC)와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복강 내 주입하여 마우스의 뇌 선조체 부분에 분포하는 MNPs@SiO2(RITC)의 분포와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P < 0.05, vs. 대조군, #P < 0.05, vs. MNPs@SiO2(RITC)만 처리된 그룹).
도 19는 마우스 모델에 MNPs@SiO2(RITC)와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복강 내 주입하여 마우스의 뇌 소뇌 부분에 분포하는 MNPs@SiO2(RITC)의 분포와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P < 0.05, vs. 대조군, #P < 0.05, vs. MNPs@SiO2(RITC)만 처리된 그룹).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글루타치온(glutathione, GSH)과 시트르산(citr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 독성 저해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는 나노입자 및 미세입자로 유도된 세포 내 ATP 감소 및 세포 생존율 감소, 염증 유발성의 형태학적 변화 및 세포 활성을 완화할 수 있음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펩타이드(peptide)계 화합물 및 유기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일종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 독성 저해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펩타이드(peptide)계 화합물은 글루타치온(glutathione; GSH)이며, 상기 유기산은 시트르산(citric ac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성물은 펩타이드(peptide)계 화합물과 유기산을 (0.05 내지 10) : 1 의 농도비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나노 독성 저해 조성물은 나노입자 또는 환경 유래 미세입자로 유도된 세포 내 독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세포 내 ATP 감소, 세포 생존율 감소, 세포의 염증 유발성 형태 변화 및 세포 활성을 완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나노입자에 의한 세포 내 ATP 감소는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에 의해 완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나노입자는 평균 지름이 1-100 nm의 범위에 속하는 입자를 뜻하며, 미세입자(Particulate matter, PM)는 평균 지름이 10 μm (PM10) 인 입자와 평균 지름이 2.5 μm (PM2. 5)인 초미세입자로 분류되며, 상기 나노입자 또는 환경 유래 미세입자는 자성 나노입자, 무기 나노입자, 금속 나노입자, 양자점 나노입자, 탄소나노튜브, 미세 플라스틱, 도시 미세입자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학적으로 결합된 로다민B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실리카-코팅된 자성 나노입자[MNPs@SiO2(RITC)], 실리카 나노입자, 은 나노입자, 금 나노입자, CdSe 양자점 나노입자, 폴리스티렌 미세 플라스틱, 도시 미세입자(Urban particulate matter; UPM, NIST 1648A), 티타늄옥사이드 나노입자, 탄소나노튜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나노입자 또는 미세입자라면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MNPs@SiO2(RITC) (평균 지름 50 nm), 실리카 나노입자(SiO2, 평균 지름 50 nm), 은 나노입자(Ag, 평균 지름 20 nm), 금 나노입자(Au, 평균 지름 10 nm), 양자점 나노입자(CdSe, 평균 지름 10 nm), 폴리스티렌 미세 플라스틱(PS, 평균 지름 2μm 및 100 nm), 도시 미세입자(Urban particulate matter; UPM, NIST 1648A), 실리카 나노입자(SiO2, 평균 지름 30 nm), 티타늄옥사이드 나노입자(TiO2, 평균 지름 40 nm), 탄소나노튜브(MWCNT, 평균 지름 25 nm)에 의한 미세아교세포의 염증 유발성의 형태학적 변화가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에 의해 완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MNPs@SiO2(RITC)(평균 지름 50 nm), 실리카 나노입자(SiO2, 평균 지름 50 nm), 은 나노입자(Ag, 평균 지름 20 nm), 금 나노입자(Au, 평균 지름 10 nm), 양자점 나노입자(CdSe, 평균 지름 10 nm), 폴리스티렌 미세 플라스틱(PS, 평균 지름 2μm 및 100 nm), 도시 미세입자(Urban particulate matter; UPM, NIST 1648A), 실리카 나노입자(SiO2, 평균 지름 30 nm), 티타늄옥사이드 나노입자(TiO2, 평균 지름 40 nm), 탄소나노튜브(MWCNT, 평균 지름 25 nm)에 의한 미세아교세포의 세포 생존율 감소가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에 의해 완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상기 MNPs@SiO2(RITC) (평균 지름 50 nm), 실리카 나노입자(SiO2, 평균 지름 50 nm), 은 나노입자(Ag, 평균 지름 20 nm), 금 나노입자(Au, 평균 지름 10 nm), 양자점 나노입자(CdSe, 평균 지름 10 nm), 폴리스티렌 미세 플라스틱(PS, 평균 지름 2μm 및 100 nm), 도시 미세입자(Urban particulate matter; UPM, NIST 1648A), 실리카 나노입자(SiO2, 평균 지름 30 nm), 티타늄옥사이드 나노입자(TiO2, 평균 지름 40 nm), 탄소나노튜브(MWCNT, 평균 지름 25 nm)에 의한 미세아교세포의 filament 길이 감소 및 세포의 활성화에 따라 증가하는 단백질(Iba1, CD40, CD11b) 발현양의 증가가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에 의해 완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세포는 미세아교세포, 신경세포, 별 아교세포 및 희돌기교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나노 독성 저해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 또는 미세 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인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글루타치온(glutathione, GSH) 또는 시트르산(citric acid) 또는 이의 혼합물 외에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및 헤어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상기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나노 독성 저해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 또는 미세 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인 경우, 약학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약품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증상 정도에 따라 투여 방법이 결정되는데, 통상적으로는 국소 투여 방식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 중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나노 독성 저해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 또는 미세 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 또는 음료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본 발명에 따른 글루타치온(glutathione, GSH) 또는 시트르산(citric acid) 또는 이의 혼합물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에 함유된 글루타치온(glutathione, GSH) 또는 시트르산(citric acid) 또는 이의 혼합물의 유효 용량은 상기 약학 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나노입자 및 미세입자의 주된 독성은 활성산소의 증가 및 미토콘드리아 손상으로 인한 에너지 대사의 저하에 의해 나타나는데, 글루타치온의 항산화 효과와 시트르산의 에너지 대사 촉진 및 금속이온 킬레이트 작용의 동반 상승 효과로 인해 본 발명에서 효율적으로 독성을 저해하는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나노입자 및 미세입자가 처리된 백서 뇌 조직 유래 미세아교세포 (rat primary microglia)에서 ATP의 감소와 세포사멸 및 세포 형태의 변화 및 세포 활성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에 의해 세포 내 ATP가 증가되고,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며, 세포의 활성화가 저감되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상기 나노입자 및 미세입자의 독성에 대한 저감물질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참고예> 실험재료
화학적으로 결합된 로다민B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실리카-코팅된 자성 나노입자[Silica-coated magnetic nanoparticles contanining chemically bound rhodamine B isothiocyanate; MNPs@SiO2(RITC)] (평균 지름 50 nm)는 BITERIALS(Korea)에서, 실리카 나노입자(SiO2, 평균 지름 50 nm)는 Seo H, Kim S-W (2007) In Situ Synthesis of CdTe/CdSe Core-Shell Quantum Dots. Chemistry of Materials 19: 2715-2717; Kim J, Lee JE, Lee J, Jang Y, Kim S-W, An K, Yu JH, Hyeon T (2006a) Generalized Fabrication of Multifunctional Nanoparticle Assemblies on Silica Spheres. Angew Chem 45: 4789-4793 에서, 은 나노입자(Ag, 평균 지름 20 nm)는 Kim et al, 2006a; Seo & Kim, 2007 에서, 금 나노입자(Au, 평균 지름 10 nm)는 Kim et al, 2006a; Seo & Kim, 2007에서, 양자점 나노입자(CdSe, 평균 지름 10 nm)는 Kim et al, 2006a; Seo & Kim, 2007에서, 폴리스티렌 미세 플라스틱(PS, 평균 지름 2μm 및 100 nm)은 Sigma-Aldrich(USA) 에서, 도시 미세입자(Urban particulate matter; UPM, NIST 1648A)는 Sigma-Aldrich(USA)에서, 실리카 나노입자(SiO2, 평균 지름 30 nm)는 US Research Nanomaterials(USA)에서, 티타늄옥사이드 나노입자(TiO2, 평균 지름 40 nm)는 US Research Nanomaterials(USA)에서, 탄소나노튜브(MWCNT, 평균 지름 25 nm)는 US Research Nanomaterials(USA)에서 수득하였다.
< 실시예 1> MNPs@SiO2( RITC )가 처리된 미세아교세포 내 ATP(Adenosine triphosphate) 측정
1. 세포배양
생후 1일 된 백서의 뇌 조직을 적출하여, 적출된 뇌 조직으로부터 미세아교 세포만 분리하였다.
상기 세포를 10% 태아소혈청 및 100 units/ml 페니실린, 100 ng/μl 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MEM(Minimum Essential Medium Eagle)에 부유시켰다. 이후 5% CO2, 37 ℃ 인큐베이터에서 배양 하였다.
2. 세포 내 ATP측정
배양 중인 미세아교세포에 0.01 μg/μl 혹은 0.1 μg/μl의 MNPs@SiO2(RITC) (평균 지름 50 nm)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때,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 그룹의 경우, 나노입자와 함께 처리하였다. 세포를 부유시킨 후 세포 수를 측정하여 동일세포 수로 맞추었다. 이 세포들은 루시퍼린 기반 ATP 발광 측정 키트 (Promega, USA)을 이용하여 ATP의 양에 따라 발광시켰고, 그 발광 정도를 luminometer (LMaxII384; Molecular Devices, USA)로 측정하였으며, ChemiDoc™ Touch Gel Imaging System (Bio-Rad)를 이용하여 이미지화 하였다.
그 결과, 배양 중인 미세아교세포에 0.01 μg/μl 혹은 0.1 μg/μl의 MNPs@SiO2(RITC) (평균 지름 50 nm)만을 처리한 그룹과 비교하여, 글루타치온 또는 시트르산을,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 함께 첨가했을 때, ATP 감소를 막아줌을 확인하였으며, 0.1 μg/μl의 MNPs@SiO2(RITC) (평균 지름 50 nm)만을 처리한 그룹과 비교하여, 각각 30%, 30%, 45% 만큼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상기 도 1의 막대 그래프 위의 검은 이미지는 실제로 관찰된 발광을 포집하여 생성된 것이며, 검은색에 가까울수록 ATP의 양이 높음을 의미하는 바, 막대 그래프 상의 결과와 잘 일치하여 글루타치온 또는 시트르산,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 함께 첨가했을 때 ATP 감소를 막아줌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2> 나노입자 및 미세입자가 처리된 미세아교세포의 형태학적 분석
1. 형태학적 분석
상기 실시예 1의 세포배양 방법으로 배양한 미세아교세포에 0.1 μg/μl의 MNPs@SiO2(RITC) (평균 지름 50 nm), 실리카 나노입자(SiO2, 평균 지름 50 nm), 은 나노입자(Ag, 평균 지름 20 nm), 금 나노입자(Au, 평균 지름 10 nm), 양자점 나노입자(CdSe, 평균 지름 10 nm), 폴리스티렌 미세 플라스틱(PS, 평균 지름 2μm 및 100 nm), 도시 미세입자(Urban particulate matter; UPM, NIST 1648A), 실리카 나노입자(SiO2, 평균 지름 30 nm), 티타늄옥사이드 나노입자(TiO2, 평균 지름 40 nm), 탄소나노튜브(MWCNT, 평균 지름 25 nm)를 24시간 처리한 후, 형광 및 광학현미경(Axio Vert 200M fluorescence microscopy, Zeiss, Jena, Germany)을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형광을 띄는 MNPs@SiO2(RITC) (평균 지름 50 nm) 및 양자점 나노입자(CdSe, 평균 지름 10 nm)는 형광도 함께 촬영하였다. 나노입자 및 미세입자가 처리된 미세아교세포의 수의 변화 및 정상적인 형태(세포 가지를 뻗은 상태)와 염증 유발성의 형태(동그란 모양의 상태), 비정상적인 형태(입자에 파묻힌 형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입자가 처리되지 않은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형태학적 분석을 한 경우, 세포 수의 변화나 형태학적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또한,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0.1 μg/μl의 MNPs@SiO2(RITC)와 함께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형광 및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형태학적 분석을 한 경우, MNPs@SiO2(RITC)로 인한 세포 수의 감소가 글루타치온 혹은 시트르산에 의해 완화되었으며,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에서 가장 완화 효과가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도 3).
또한,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0.1 μg/μl의 실리카 나노입자(SiO2, 평균 지름 50 nm)와 함께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형태학적 분석을 한 경우, 실리카 나노입자(SiO2, 평균 지름 50 nm)로 인한 세포 수의 감소가 글루타치온 혹은 시트르산에 의해 완화되었으며,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에서 가장 완화 효과가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도 4).
또한,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0.1 μg/μl의 은 나노입자(Ag, 평균 지름 20 nm)와 함께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형태학적 분석을 한 경우, 은 나노입자(Ag, 평균 지름 20 nm)로 인한 세포 수의 감소가 글루타치온 혹은 시트르산에 의해 완화되었으며,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에서 가장 완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형태학적으로도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이 처리된 그룹에서 비활성(정상) 상태가 됨을 확인하였다(도 5).
또한,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0.1 μg/μl의 금 나노입자(Au, 평균 지름 10 nm)와 함께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형태학적 분석을 한 경우, 금 나노입자(Au, 평균 지름 10 nm)로 인한 세포 수의 감소가 글루타치온 혹은 시트르산에 의해 완화되었으며,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에서 가장 완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형태학적으로도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이 처리된 그룹에서 비활성(정상) 상태가 됨을 확인하였다(도 6).
또한,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0.1 μg/μl의 양자점 나노입자(CdSe, 평균 지름 10 nm)와 함께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형광 및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형태학적 분석을 한 경우, 양자점 나노입자(CdSe, 평균 지름 10 nm)로 인한 세포 수의 감소가 글루타치온 혹은 시트르산에 의해 완화되었으며,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에서 가장 완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형태학적으로도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이 처리된 그룹에서 비활성(정상) 상태가 됨을 확인하였다(도 7).
또한,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0.1 μg/μl의 폴리스티렌 미세 플라스틱(PS, 평균 지름 2μm)와 함께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형태학적 분석을 한 경우, 미세 플라스틱(PS, 평균 지름 2μm)로 인한 세포 수의 감소가 글루타치온 혹은 시트르산에 의해 완화되었으며,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에서 가장 완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형태학적으로도 비활성(정상) 상태로 나타나는 것을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이 처리된 그룹에서 관찰하였다(도 8).
또한,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0.1 μg/μl의 폴리스티렌 미세 플라스틱(PS, 평균 지름 100 nm)와 함께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형태학적 분석을 한 경우, 미세 플라스틱(PS, 평균 지름 100 nm)으로 인한 세포 수의 감소가 글루타치온 혹은 시트르산에 의해 완화되었으며,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에서 가장 완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도 9).
또한,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0.1 μg/μl의 도시 미세입자(Urban particulate matter; UPM, NIST 1648A)와 함께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형태학적 분석을 한 경우, 미세 플라스틱도시 미세입자(Urban particulate matter; UPM, NIST 1648A)로 인한 세포 수의 감소가 글루타치온 혹은 시트르산에 의해 완화되었으며,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에서 가장 완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도 10).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0.1 μg/μl의 실리카 나노입자(SiO2, 평균 지름 30 nm)와 함께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형태학적 분석을 한 경우, 실리카 나노입자(SiO2, 평균 지름 30 nm)로 인한 세포 수의 감소가 글루타치온 혹은 시트르산에 의해 완화되었으며,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에서 가장 완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형태학적으로도 비활성(정상) 상태로 나타나는 것을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이 처리된 그룹에서 관찰하였다(도 11).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0.1 μg/μl의 실리카 티타늄옥사이드 나노입자(TiO2, 평균 지름 40 nm)와 함께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형태학적 분석을 한 경우, 티타늄옥사이드 나노입자(TiO2, 평균 지름 40 nm)로 인한 세포 수의 감소가 글루타치온 혹은 시트르산에 의해 완화되었으며,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에서 가장 완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형태학적으로도 뚜렷하게 비활성(정상) 상태로 나타나는 것을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이 처리된 그룹에서 관찰하였다(도 12).
미세아교세포에 24시간 동안 0.1 μg/μl의 실리카 탄소나노튜브(MWCNT, 평균 지름 25 nm)와 함께 글루타치온, 시트르산 및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처리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형태학적 분석을 한 경우, 탄소나노튜브(MWCNT, 평균 지름 25 nm)로 인한 세포 수의 감소가 글루타치온 혹은 시트르산에 의해 완화되었으며,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에서 가장 완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형태학적으로도 비활성(정상) 상태로 나타나는 것을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이 처리된 그룹에서 관찰하였다(도 13).
< 실시예 3> 나노입자 및 미세입자가 처리된 미세아교세포의 세포 생존율 측정
1. 세포 생존율 분석
상기 실시예 1의 세포배양 방법으로 배양한 미세아교세포에 0.1 μg/μl의 MNPs@SiO2(RITC) (평균 지름 50 nm), 실리카 나노입자(SiO2, 평균 지름 50 nm), 은 나노입자(Ag, 평균 지름 20 nm), 금 나노입자(Au, 평균 지름 10 nm), 양자점 나노입자(CdSe, 평균 지름 10 nm), 폴리스티렌 미세 플라스틱(PS, 평균 지름 2μm 및 100 nm), 도시 미세입자(Urban particulate matter; UPM, NIST 1648A), 실리카 나노입자(SiO2, 평균 지름 30 nm), 티타늄옥사이드 나노입자(TiO2, 평균 지름 40 nm), 탄소나노튜브(MWCNT, 평균 지름 25 nm)를 24시간 처리한 후, succinic dehydrogenase의 활성을 기반으로 세포 생존율을 분석하는 키트(CellTilter 96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Promega Corporation, Madison, WI)를 혼합하여, 세포의 생존율에 따른 formazan 형성 정도를 490 nm 흡광도를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나노입자 및 미세입자에 의한 세포 생존율의 감소가 글루타치온 혹은 시트르산에 의해 완화되었으며,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에서 가장 완화 효과가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도 14).
< 실시예 4> 나노입자가 처리된 마우스의 뇌에서의 미세아교세포 활성화 측정
마우스 모델에 MNPs@SiO2(RITC)와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을 복강 내 주입하여 마우스 뇌에서 MNPs@SiO2(RITC)의 분포와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8주령의 ICR 마우스에 100 mg/kg의 MNPs@SiO2(RITC) 및 글루타치온(1000 mg/kg)과 시트르산(200 mg/kg) 혼합물을 복강 내에 주입한 뒤, 5일 후에 파라포름알데하이드로 관류한 뒤, 뇌를 적출하여 대뇌 피질(cortex), 선조체(striatum), 해마(hippocampus), 시상(thalamus), 소뇌(cerebellum)으로 분리하여 면역조직화학 (Immunohistochemistry, IHC) 및 면역 블롯(immunoblot)으로 분석하였다(도 15a).
1. 면역조직화학 분석
적출된 뇌 조직을 동결절편하여 1% 소혈청알부민 및 10% 당나귀 혈청으로 blocking을 상온에서 2시간하였다. blocking된 조직에 항-Iba1 다클론성 염소 항체(1:100)를 4 ℃에서 16시간 결합시켰다. 조직을 0.4% Triton X-100이 포함된 인산완충식염수로 세척한 뒤, Alexa Fluor 488이 결합된 항-염소 IgG 항체(1:100)을 상온에서 2시간 결합시켰다. 조직을 0.4% Triton X-100이 포함된 인산완충식염수로 세척한 뒤, DAPI가 포함된 봉입제를 이용하여 커버글라스로 봉입하였다. 염색된 조직은 슬라이드 스캐너(Axio Scan Z1, Zeiss, Germany) 혹은 공초점 현미경(Nikon A1R HD25, Japan)을 이용하여 관찰 및 Z-stack 스캔하였다. 스캔된 이미지들을 Imaris 9.2 (Bitplane, Zurich, Switzerland) 프로그램을 통하여 3D rendering 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델에서 미세아교세포의 filament들의 길이를 정량하였다.
도 15b는 MNPs@SiO2(RITC)와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이 주입된(Co-administrated) 마우스의 뇌 해마 부분에 분포하는 MNPs@SiO2(RITC)와 미세아교세포의 형태에 대한 면역조직화학분석 결과이다. 미세아교세포는 단백질 마커인 Iba1으로 검출하였다. Iba1으로 염색된 미세아교세포의 형태는 Imaris 9.2 (Bitplane, Zurich, Switzerland) 프로그램을 통하여 3D rendering 모델을 구축하였고, 이에 따른 filament 길이의 감소(미세아교세포 활성화)를 정량분석 하였다(도 15c).
대조군(control)에 비하여 MNPs@SiO2(RITC)만 처리된 마우스의 뇌 해마 부분에 분포하는 미세아교세포의 filament 길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감소는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이 함께 처리된 마우스(Co-administrated)에서 완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16a는 MNPs@SiO2(RITC)와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이 주입된(Co-administrated) 마우스의 뇌 시상 부분에 분포하는 MNPs@SiO2(RITC)와 미세아교세포의 형태에 대한 면역조직화학분석 결과이다. MNPs@SiO2(RITC)를 처리함에 따라 filament 길이의 감소를 정량분석 하였다(도 16b).
대조군(control)에 비하여 MNPs@SiO2(RITC)만 처리된 마우스의 뇌 시상 부분에 분포하는 미세아교세포의 filament 길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감소는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이 함께 처리된 마우스(Co-administrated)에서 완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17a는 MNPs@SiO2(RITC)와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이 주입된(Co-administrated) 마우스의 뇌 대뇌 피질 부분에 분포하는 MNPs@SiO2(RITC)와 미세아교세포의 형태에 대한 면역조직화학분석 결과이다. MNPs@SiO2(RITC)를 처리함에 따라 filament 길이의 감소를 정량분석 하였다(도 17b).
대조군(control)에 비하여 MNPs@SiO2(RITC)만 처리된 마우스의 뇌 대뇌 피질 부분에 분포하는 미세아교세포의 filament 길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감소는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이 함께 처리된 마우스(Co-administrated)에서 완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18a는 MNPs@SiO2(RITC)와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이 주입된(Co-administrated) 마우스의 뇌 선조체 부분에 분포하는 MNPs@SiO2(RITC)와 미세아교세포의 형태에 대한 면역조직화학분석 결과이다. MNPs@SiO2(RITC)를 처리함에 따라 filament 길이의 감소를 정량분석 하였다(도 18b).
대조군(control)에 비하여 MNPs@SiO2(RITC)만 처리된 마우스의 뇌 선조체 부분에 분포하는 미세아교세포의 filament 길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감소는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이 함께 처리된 마우스(Co-administrated)에서 완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19a는 MNPs@SiO2(RITC)와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이 주입된(Co-administrated) 마우스의 뇌 소뇌 부분에 분포하는 MNPs@SiO2(RITC)와 미세아교세포의 형태에 대한 면역조직화학분석 결과이다. MNPs@SiO2(RITC)를 처리함에 따라 filament 길이의 감소를 정량분석 하였다(도 19b).
대조군(control)에 비하여 MNPs@SiO2(RITC)만 처리된 마우스의 뇌 소뇌 부분에 분포하는 미세아교세포의 filament 길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감소는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이 함께 처리된 마우스(Co-administrated)에서 완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2. 면역 블롯 분석
적출된 뇌 조직을 대뇌 피질, 선조체, 해마, 시상, 소뇌로 분리하여 20 mM Tris-HCl pH 7.5, 150 mM NaCl, 1 mM Na2 EDTA, 1 mM EGTA, 1% NP-40, 1% sodium deoxycholate, 2.5 mM sodium pyrophosphate, 1 mM β-glycerophosphate, 1 mM Na3VO4, 및 1 μg/ml leupeptin의 용액으로 용해하였다. 용해된 조직의 단백질 농도를 BCA Kit (Thermo Fisher Scientific, USA)으로 정량하였다. 동일 농도로 맞추어진 시료들을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전기 영동법(SDS-PAGE)으로 크기에 따라 분리한 뒤, 단백질들을 nitrocellulose 막에 흡착시켰다. 단백질이 포함된 막은 3% 탈지유가 포함된 트리스완충식염수로 blocking 하였다. blocking된 막은 각각 항 Iba1, 항 CD40, 항 CD11b, 항 beta-actin 의 1차 항체들을 결합시켰다. 막을 0.1% Tween-20이 포함된 트리스완충식염수로 세척한 뒤, 각 1차 항체에 맞는 Horseradish peroxidase (HRP)가 결합된 2차 항체를 결합시켰다. 1% Tween-20이 포함된 트리스완충식염수로 세척한 뒤, 화학 발광용액과 반응시켜 나타나는 발광을 X-ray firm에 인화하였다. 나타난 단백질 밴드의 크기를 Image J 프로그램(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SA)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도 15d는 마우스 뇌 조직에서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에 따라 증가하는 단백질(Iba1, CD40, CD11b)의 발현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상기 세 가지 단백질들이 MNPs@SiO2(RITC)만 처리된 마우스의 뇌 해마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되는 것이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5e-g).
도 16c는 마우스 뇌 조직에서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에 따라 증가하는 단백질(Iba1, CD40, CD11b)의 발현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상기 세 가지 단백질들이 MNPs@SiO2(RITC)만 처리된 마우스의 뇌 시상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되는 것이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6d-f).
도 17c는 마우스 뇌 조직에서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에 따라 증가하는 단백질(Iba1, CD40, CD11b)의 발현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상기 세 가지 단백질들이 MNPs@SiO2(RITC)만 처리된 마우스의 뇌 대뇌 피질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되는 것이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7d-f).
도 18c는 마우스 뇌 조직에서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에 따라 증가하는 단백질(Iba1, CD40, CD11b)의 발현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상기 세 가지 단백질들이 MNPs@SiO2(RITC)만 처리된 마우스의 뇌 선조체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되는 것이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8d-f).
도 19c는 마우스 뇌 조직에서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에 따라 증가하는 단백질(Iba1, CD40, CD11b)의 발현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상기 세 가지 단백질들이 MNPs@SiO2(RITC)만 처리된 마우스의 뇌 소뇌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되는 것이 글루타치온과 시트르산 혼합물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9d-f).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펩타이드(peptide)계 화합물 및 유기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일종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 독성 저해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peptide)계 화합물은 글루타치온(glutathione; GSH)이며,
    상기 유기산은 시트르산(citric ac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독성 저해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펩타이드(peptide)계 화합물을 0.1 내지 0.5 mM의 농도로, 유기산은 0.5 내지 2 mM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독성 저해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peptide)계 화합물과 유기산은 (0.05 내지 10) : 1 의 농도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독성 저해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독성 저해 조성물은,
    나노입자 또는 환경 유래 미세입자로 유도된 세포 내 독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독성 저해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독성 저해 조성물은,
    나노입자 또는 환경 유래 미세입자로 유도된 세포 내 ATP 감소, 세포 생존율 감소, 세포의 염증 유발성 형태 변화 및 세포 활성을 완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독성 저해 조성물.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 또는 환경 유래 미세입자는,
    자성 나노입자, 무기 나노입자, 금속 나노입자, 양자점 나노입자, 탄소나노튜브, 미세 플라스틱, 도시 미세입자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독성 저해 조성물.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미세아교세포, 신경세포, 별 아교세포 및 희돌기교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독성 저해 조성물.
  9. 제 1항에 따른 나노 독성 저해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 또는 미세 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 1항에 따른 나노 독성 저해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 또는 미세 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1. 제 1항에 따른 나노 독성 저해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 또는 미세 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
PCT/KR2020/010687 2019-08-14 2020-08-12 나노입자 및 환경 유래 미세입자의 독성 저해 조성물 WO2021029673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635,127 US20220395552A1 (en) 2019-08-14 2020-08-12 Composition for inhibiting toxicity of nanoparticles and environmentally-derived fine part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363 2019-08-14
KR20190099363 2019-08-14
KR10-2020-0094306 2020-07-29
KR1020200094306A KR102465434B1 (ko) 2019-08-14 2020-07-29 나노입자 및 환경 유래 미세입자의 독성 저해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9673A1 true WO2021029673A1 (ko) 2021-02-18

Family

ID=7457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0687 WO2021029673A1 (ko) 2019-08-14 2020-08-12 나노입자 및 환경 유래 미세입자의 독성 저해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395552A1 (ko)
WO (1) WO202102967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6535A (ko) * 2013-10-22 2015-04-3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Nanosize TiO₂독성에 의한 DNA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46617B1 (ko) * 2015-02-17 2016-08-0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이토케미컬 유래 유기산을 포함하는 은나노입자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6535A (ko) * 2013-10-22 2015-04-3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Nanosize TiO₂독성에 의한 DNA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46617B1 (ko) * 2015-02-17 2016-08-0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이토케미컬 유래 유기산을 포함하는 은나노입자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KTER MAHMUDA, SIKDER MD. TAJUDDIN, RAHMAN MD. MOSTAFIZUR, ULLAH A.K.M. ATIQUE, HOSSAIN KANIZ FATIMA BINTE, BANIK SUBRATA, HOSOKAW: "A systematic review on silver nanoparticles-induced cytotoxicity: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erspectives", JOURNAL OF ADVANCED RESEARCH, ELSEVIER, AMSTERDAM, NL, vol. 9, 1 January 2018 (2018-01-01), AMSTERDAM, NL, pages 1 - 16, XP055780093, ISSN: 2090-1232, DOI: 10.1016/j.jare.2017.10.008 *
KWON DA, CHA HEE-JAE, LEE HYESOOK, HONG SU-HYUN, PARK CHEOL, PARK SHIN-HYUNG, KIM GI-YOUNG, KIM SUHKMANN, KIM HEUI-SOO, HWANG HYE-: "Protective Effect of Glutathione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Cytotoxicity in RAW 264.7 Macrophages through Activating the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2/Heme Oxygenase-1 Pathway", ANTIOXIDANTS, vol. 8, no. 4, pages 82, XP055780090, DOI: 10.3390/antiox8040082 *
RADU MIHAELA, MUNTEANU MARIA CRISTINA, PETRACHE SORINA, SERBAN ANDREEA IREN, DINU DIANA, HERMENEAN ANCA, SIMA CORNELIA, DINISCHIOT: "Depletion of intracellular glutathione and increased lipid peroxidation mediate cytotoxicity of hematite nanoparticles in MRC-5 cells INTRODUCTION", ACTA BIOCHIMICA POLONICA, vol. 57, no. 3, pages 355 - 360, XP05578009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95552A1 (en)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52671A2 (ko) 라말린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0079978A2 (ko) Abh 항원을 이용한 염증질환 개선용 조성물
WO2021256793A1 (ko) 락토바실러스 속 세균 유래 소포를 포함하는 대사질환 또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261903A1 (ko) 자연살해 세포 배양액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US20130131121A1 (en) Anti-viral agent
WO2018070706A1 (ko) 데칸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90013575A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20040432A1 (ko)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7061769A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WO2021029673A1 (ko) 나노입자 및 환경 유래 미세입자의 독성 저해 조성물
JP2002179592A (ja) 異常蛋白質除去用組成物
WO2020138834A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096190A1 (ko) C-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US20210177925A1 (en) A synergistic composition as a promoter of autophagy
KR102465434B1 (ko) 나노입자 및 환경 유래 미세입자의 독성 저해 조성물
WO2018030560A1 (ko) 디옥시콜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11540A1 (ko) 안토시아닌-폴리사카라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1977748A1 (en) Compounds having neuroprotective properties
WO2019151585A1 (ko) 5-아이오도튜베르시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WO2018194261A1 (ko) 4&#39;-o-메틸알피눔 이소플라본의 치료적 용도
WO2019059485A1 (ko) 휴매닌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WO2023128255A1 (ko) 폴리갈라테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Z309633B6 (cs) Fenolické dihydrobenzofuranové deriváty, léčebné a kosmetické přípravky obsahující tyto deriváty a jejich použití
WO2023136407A1 (ko) 두충 잎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폐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36406A1 (ko) 두충 잎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526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526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