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62781A1 -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62781A1
WO2020262781A1 PCT/KR2019/017643 KR2019017643W WO2020262781A1 WO 2020262781 A1 WO2020262781 A1 WO 2020262781A1 KR 2019017643 W KR2019017643 W KR 2019017643W WO 2020262781 A1 WO2020262781 A1 WO 202026278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alue
control output
output signal
health index
time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764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공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공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공간
Publication of WO202026278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62781A1/ko
Priority to US17/558,827 priority Critical patent/US11977372B2/en
Priority to US17/558,778 priority patent/US2022011371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1Preprocessing measurements, e.g. data collection rate adjustment; Standardization of measurements; Time series or signal analysis, e.g. frequency analysis or wavelets; Trustworthiness of measurements; Indexes therefor; Measurements using easily measured parameters to estimate parameters difficult to measure; Virtual sensor creation; De-noising; Sensor fusion; Unconventional preprocessing inherently present in specific fault detection methods like PCA-based metho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4Process history based detection method, e.g. whereby history implies the availability of large amounts of data
    • G05B23/0227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 G05B23/0235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based on a comparison with predetermined threshold or range, e.g. "classical methods", carried out during normal operation; threshold adaptation or choice; when or how to compare with the threshol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4Process history based detection method, e.g. whereby history implies the availability of large amounts of data
    • G05B23/0227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 G05B23/0237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based on parallel systems, e.g. comparing signals produced at the same time by same type systems and detect faulty ones by noticing differences among their respons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2Confirmation of fault detection, e.g. extra checks to confirm that a failure has indeed occurr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cting a health index of a device through a control output sig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lth reference value set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normal device and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device before a failure occurs. After establishing a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based on the defective reference value, time information collected in real time from the device is applied to the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and a health index value representing the health of the device is output and provided to the manager in real tim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cting the health index of a device through a control output signal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los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t a sound standard value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normal device and a defect standard set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device before a failure occurs.
  • time information collected in real time from the device is applied to the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and the health index value representing the health of the device is output and provided to the manager in real time.
  • the method of detecting a health index of a device through a control output signal is provided by a controller so that a device operating by receiving a control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repeatedly performs an operation in a normal state.
  • Sound information collecting step (S10) of measuring and collecting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output control output signal and the next control output signal, and the operation is repeated in a state before a failure occurs in the device operating by receiving the control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 the detection step (S40) includes a partitioning process (S41) of dividing a section between a sound reference value and a bad reference value for a time interval between control output signals set in the setting step (S30) into at least two or more sections.
  • the divided section between the reference value and the defective reference value is sequentially from the sound reference value to the first section, the second section, ... ,
  • a detection process (S43) of detecting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time interval value by applying it to the first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and extracting a health index value of the detected section may be included.
  • the time consumed from the start of the operation to the end of the operation in the device receiving the control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is further measured and collected. can do.
  • the setting step (S30)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consumed in one operation of the device collected in the sound information collecting step (S10) and the defective information collecting step (S20), You can set the sound reference value and the defect reference value.
  • the detection step (S40) the time value consumed from the start of the device operation to the end point in real time is measured and collected, and the collected time value and the time spent in one operation set in the setting step (S30)
  • the soundness index value of the device may be detected by comparing the sound reference value for and the bad reference value.
  • the detection step (S40) includes a partitioning process (S41) of dividing a section between a sound reference value and a bad reference value for a time spent in one operation of the device set in the setting step (S30) into at least two or more sections, The segmented section between the sound reference value and the bad reference value for the time spent in one operation of the device is sequentially from the sound reference value to the first section, the second section, ...
  • a detection process S43 of detecting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time value by applying it to the second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and extracting a health index value of the detected section may be included.
  • a health index value for a time value consumed in one operation of the device detected in real time and a health index value for a time interval value between the control output signal transmitted to the device may be independently output. I can.
  • one average is obtained by averaging a health index value for a time value consumed in one operation of the device detected in real time and a time interval value between the control output signal transmitted to the device. It is detected as a soundness index value, and in the output step (S50), the one average soundness index value may be outputted alone.
  • the sound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 and the defect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20) instead of measuring and collecting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control output signal repeatedly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and the next control output signal, an operation performed by the device is started. It is possible to measure and collect more time intervals from the point of time to the start of the next operation.
  • the setting step (S30) based on the time interval information between the start of one operation of the device collected in the sound information collecting step (S10) and the defective information collecting step (S20) to the start of the next operation. As a result, a sound reference value and a failure reference value for a time interval between one operation of the device and the start of the next operation can be set.
  • a time interval value between the start of one operation of the device and the start of the next operation in real time is measured and collected, and the collected time interval value and the setting step (S30)
  • the health index value of the device may be detected by comparing a sound reference value and a failure reference value for a time interval between a set operation of the device and the start of the next operation.
  • a third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is constructed for the time interval between one operation of the device and the start of the next operation, and the next operation starts from the time when one operation of the device starts.
  • a health reference value set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normal device and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device before a failure occurs.
  • time information collected in real time from the device is applied to the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and a health index value representing the health of the device is output and provided to the manager in real time.
  • FIG. 1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etecting a health index of a device through a control output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ime interval between a control output signal output from a control unit and a next control output signal so that an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in a normal state of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ime interval between a control output signal output from a control unit and a next control output signal so that an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in a state before a failure occurs in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tion between a sound reference value and a defective reference value is di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llustrates a first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constructed through setting a health index value for each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llustrates a process of extracting a health index value using a first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ime consumed from a start point to an end point of an operation in a device in a normal state operating by receiving a control output signal output from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time consumed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an operation in a device in a state before a failure occurs in which a control output signal output from a control unit is received and operat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tion between a sound reference value and a bad reference value with respect to time consumed in one operation of a device is divid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constructed through setting a health index value for each s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extracting a health index value using a second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extracting and outputting a health index value using a first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and a second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3 is a measurement of a time interval from a point in time when one operation of a device starts to a point in time when another operation star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llustrates a process of extracting a health index value using a third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method for detecting a health index of a device through a control output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thod 100 for detecting a health index of a device through a control output signal includes a sound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 a defect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20), and a setting step. (S30), a detection step (S40), and an output step (S50).
  • the sound information collecting step (S10) measures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control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and the next control output signal so that the operating device receives the control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and repeatedly performs the operation in a normal state. It is the stage of collecting.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ime interval between a control output signal output from a control unit and a next control output signal so that an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in a normal state of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ound information collecting step (S10) repeats the operation in a normal state of the device.
  •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control output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is collected, and the time interval information between the control output signals collected in this way is a sound reference value set to detect the health of the device in the setting step (S30) to be described later. It becomes the basis of
  • FIG. 2 shows a drilling machine in a normal state that repeatedly performs an operation of continuously drilling a hole by receiving a control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and the waveform shown in FIG. 2 is consumed in the process of the device performing an operation. It shows the energy (power) value over time.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ime interval between a control output signal output from a control unit and a next control output signal so that an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in a state before a failure occurs in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ailure information collecting step (S20) includes a control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in a state before a failure occurs in a device operating by receiving a control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In this step,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control output signals is measured and collected.
  • the time interval information between the control output signals measured and collected in the defect information collecting step S20 is the basis of the defective reference value set to detect the health of the device in the setting step S30.
  •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control output signals output from the controll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vice shown in FIG. 3 is less than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control output signals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vice shown in FIG. It can be seen that it takes longer, and it can be assumed that the time required for an operation performed by the device gradually increases as the state of the device becomes worse, so that the time between the control output signals output from the controller naturally increases as well.
  • the setting step (S30) is to set a sound reference value and a defect reference value for a time interval between control output signals based on the time interval information between the control output signals collected in the sound and defect information collecting steps (S10, S20). Step.
  • the sound reference value is set based on time interval information between control output signals collected in the sound information collecting step (S10), and the defective reference value is a control output signal collected in the defective information collecting step (S20). It is set based on the time interval values that abnormally change (increase) before a device failure occurs based on the time interval information.
  • the detection step (S40) measures and collects a time interval value between a control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and a next control output signal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device is repeatedly performed in real time, and the collected time interval value and the setting step (
  • the health index value of the device is detected by comparing the health and defect reference values set in S30), and consists of a division process (S41), a setting process (S42), and a detection process (S43).
  • the partitioning process (S41) is a process of dividing a section between a sound reference value and a bad reference value for a time interval between control output signals set in the setting step (S30) into at least two sections.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tion between a sound reference value and a defective reference value is di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number of divisions between the healthy reference value and the defective reference value is set according to how precisely the integrity of the device is to be detected in the detection process (S43) to be described later.
  • the healthy reference value and the defective reference valu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ct the soundness of the device by dividing it into 100 sections compared to dividing the reference values into 10 sections.
  • the section between the sound reference value and the bad reference value is divided into 10 sections, but it is not limited to these numbers.
  • the divided section between the sound reference value and the bad reference value is sequentially from the sound reference value to a first section, a second section, ... ,
  •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first soundness index reference table by setting a soundness index value for each interval while setting it as the nth sectio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first soundness index reference table by setting a soundness index value for each interval while setting it as the nth section.
  • FIG. 5 illustrates a first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constructed through setting a health index value for each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vided section is divided into a first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from the healthy reference value. section, ... ,
  • the first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is established by setting the health index value for each segment.
  • the health index The range of the value is limited from 10 to 100, and the limited health index value is assigned to each section to detect the health of the device.
  • the health index value is limited to a range of 10 to 100, and if the value of the health index is large, the state of the device is healthy, and if the value of the health index decreases, the state of the device is set to be poo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limiting and setting of the range of the index value is arbitrarily determined to illustrate an example, and the soundness index value may be set in various ranges and settings.
  • a time interval value between control output signals measured and collected by a device in real time is applied to the first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to detect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time interval value, and the soundness of the detected section This is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exponential value.
  • FIG. 6 illustrates a process of extracting a health index value using a first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time interval value between control output signals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is measured and collected, and the measured time interval value is applied to the first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 a corresponding section is detected, and a health index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ection is extracted (acquired).
  • the output step (S50) is a step of outputting the health index value of the device detected in the detection step (S40) and providing it to the manager.
  • the extracted health index value is output as an image through a normal monitor so that the manager clearly recognizes the health status of the device. Depending on the health of the device, the manager is encouraged to respond effectively (check/repair).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ime consumed from a start point to an end point of an operation in a device in a normal state operating by receiving a control output signal output from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time consumed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an operation in a device in a state before a failure occurs in which a control output signal output from a control unit is received and operat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 a device that operates by receiving a control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is consumed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an operation. You can collect more time measurements.
  • the time when the energy value increases above a predetermined value that is arbitrarily set is the starting point and the point at which it decreases below the predetermined value ends is the time consumed for one operation of the device.
  • time is measured and collected, it is not limited in this way to measure the time consumed for the operation of the device.
  • a sound reference value and a defect criterion for the time consumed in one operation of the device Set the value.
  • the time value consumed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the device operation in real time is measured and collected, and the collected time value and the time spent in one operation set in the setting step (S30)
  • the health index value of the device is detected by comparing the standard value for soundness and the standard value for failure.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tion between a sound reference value and a bad reference value with respect to time consumed in one operation of a device is divid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ction between the sound reference value and the defective reference value for the time spent in one operation of the device set in the setting step (S30)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sections. do.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constructed through setting a health index value for each s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vided section between the sound reference value and the defective reference value for the time spent in one operation of the device is sequentially selected from the sound reference value.
  • Section 2 the second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is constructed by setting the nth section and setting the health index value for each section.
  • the second soundness index reference table is divided into sections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oundness index reference table, and a soundness index value is set, but the second soundness index reference table is also the same as the first soundness index reference tabl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can be set in various intervals and health index values.
  •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extracting a health index value using a second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time value consumed for one operation measured and collected by a device in real time is applied to the second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to detect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time value, and , Extracting the value of the soundness index of the detected section.
  • the manager clearly recognizes the health status of the device and induces effective management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health of the device.
  •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extracting and outputting a health index value using a first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and a second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tection step (S40) includes a device health index value according to a second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to which a time value consumed for one operation of the device detected in real time is applied, and a control output signal transmitted to the device.
  • Each of the health index values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to which the time interval value is applied is detected, and independently output through the output step (S50), or by averaging each of the detected health index values. It can be detected as the average health index value of and outputted alone through the output step (S50) and provided to the manager.
  • the health of the device can be detected in various ways, excellent reliability of the soundness of the detected device can be secured, and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evice health is output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condition) in which the device is operated. It can be provided to secure the versatility of use of the method for detecting a health index of the present invention.
  • 13 is a measurement of a time interval from a point in time when one operation of a device starts to a point in time when another operation star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llustrates a process of extracting a health index value using a third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tection step (S40) measures and collects a time interval value between the start of one operation of the device and the start of the next operation in real time, and the collected time interval value and The health index value of the device is detected by comparing the health reference value and the failure reference value for a time interval between a time interval between one operation of the device set in the setting step S30 and the start of the next operation.
  • the detection step (S40) is a third soundness index for a time interval between the start of one operation of the device and the next operation in place of the first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through the division process (S41) and the setting process (S42). Establish a reference table, measure and collect the time interval value between the start of one operation of the device and the start of the next operation in real time in the detection process (S43), and collect the collected time interval value as the third Apply to the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to detect the health index value of the device.
  •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third health index reference table based on the time interval value between the start of one operation of the device and the start of the next opera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and second health index reference tables described above. Since it is constructed a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method 100 for detecting the health of the device through the control output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health reference value set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normal device and the device before the failure. After constructing a soundness index reference table based on the defective reference value set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manager outputs the soundness index value representing the health of the device in real time by applying the time information collected in real time from the device to the soundness index reference table.
  • the manager can clearly recognize the real-time health of the device through the soundness index and establish a plan for the inspection or management of the device on its own, so that the overall management of the device is performed very actively and stably, and sudden failure of the devi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safety accidents and financial losses caused by.
  • the method 100 for detecting the health index of a device through the control output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control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device, but the technology is applied based on the control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and input to the device. Even if it does, of course, the same effect can be exp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동작하는 기기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와 다음 제어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을 측정 수집하는 건전 정보 수집단계(S10),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동작하는 기기가 고장이 발생하기 전 상태에서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와 다음 제어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을 측정 수집하는 불량 정보 수집단계(S20), 상기 건전 정보 수집단계(S10) 및 상기 불량 정보 수집단계(S20)에서 수집된 제어 출력신호 간의 시간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 출력신호 간의 시간 간격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을 설정하는 설정단계(S30), 실시간으로 기기의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와 다음 제어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 값을 측정 수집하고, 그 수집되는 시간 간격 값과 상기 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건전 및 불량 기준 값을 비교하여 기기의 건전성 지수 값을 검출하는 검출단계(S40), 및 상기 검출단계(S40)에서 검출되는 건전성 지수 값을 출력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출력단계(S50)를 포함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본 발명은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상적인 기기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건전 기준 값과 고장 발생 전의 기기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불량 기준 값을 기반으로 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구축한 후, 기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시간 정보를 건전성 지수 기준표에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기기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건전성 지수 값을 출력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 관리자는 건전성 지수를 통해 기기의 실시간 건전성을 명확하게 인지하여 기기의 점검이나 관리에 대한 계획을 자체적으로 수립할 수 있어 기기의 전반적인 관리를 매우 능동적이고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기기의 갑작스런 고장으로 인한 안전사고 및 금전적인 손실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비의 자동화 공정을 위해 사용되는 각종 기기들은 안정적인 작동이 매우 중요하다.
일 예로, 대규모 생산 공장의 설비에는 수십, 수백 개의 기기가 설치되어 서로 연동 동작하면서 제품을 연속 생산하게 되는데, 만약 다수의 기기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기가 고장이 발생하면 설비의 동작이 전체적으로 중단되는 엄청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는 기기의 고장으로 인한 다운 타임의 발생으로 기기의 수리비용뿐만 아니라, 설비가 중단되는 동안 낭비되는 운영비와 비즈니스 효과에 의해 엄청난 손실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
최근 고용노동부와 산업안전 관리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연간 산업 안전사고로 인한 사상자는 총 10만 명 수준으로 집게 되고 있으며, 이를 비용으로 환산시 연간 18조원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고 집계되고 있다.
이러한 예기치 않은 다운 타임 비용을 피하기 위해 기기의 실시간 상태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기기의 고장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점검 및 수리를 수행하여 기기의 효율적인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이 시급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정상적인 기기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건전 기준 값과 고장 발생 전의 기기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불량 기준 값을 기반으로 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구축한 후, 기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시간 정보를 건전성 지수 기준표에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기기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건전성 지수 값을 출력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 관리자는 건전성 지수를 통해 기기의 실시간 건전성을 명확하게 인지하여 기기의 점검이나 관리에 대한 계획을 자체적으로 수립할 수 있어 기기의 전반적인 관리를 매우 능동적이고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기기의 갑작스런 고장으로 인한 안전사고 및 금전적인 손실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기기에서 건전성을 검색하기 위해 다양한 검출조건을 제시하고, 그 검출조건을 기반으로 기기의 건전성을 검출함으로, 기기의 건전성을 매우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출된 기기의 건전성에 대한 우수한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은,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동작하는 기기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와 다음 제어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을 측정 수집하는 건전 정보 수집단계(S10),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동작하는 기기가 고장이 발생하기 전 상태에서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와 다음 제어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을 측정 수집하는 불량 정보 수집단계(S20), 상기 건전 정보 수집단계(S10) 및 상기 불량 정보 수집단계(S20)에서 수집된 제어 출력신호 간의 시간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 출력신호 간의 시간 간격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을 설정하는 설정단계(S30), 실시간으로 기기의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와 다음 제어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 값을 측정 수집하고, 그 수집되는 시간 간격 값과 상기 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건전 및 불량 기준 값을 비교하여 기기의 건전성 지수 값을 검출하는 검출단계(S40), 및 상기 검출단계(S40)에서 검출되는 건전성 지수 값을 출력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출력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단계(S40)는, 상기 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제어 출력신호 간의 시간 간격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 사이의 구간을 적어도 둘 이상의 구간으로 구획하는 구획과정(S41), 상기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 사이의 구획된 구간을 상기 건전 기준 값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1구간, 제2구간, …, 제n구간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구간에 대한 건전성 지수 값을 설정하여 제1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구축하는 설정과정(S42), 및 실시간으로 기기에서 측정 수집되는 제어 출력신호 간의 시간 간격 값을 상기 제1건전성 지수 기준표에 적용시켜 측정된 시간 간격 값이 해당하는 구간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구간의 건전성 지수 값을 추출하는 검출과정(S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전 정보 수집단계(S10) 및 상기 불량 정보 수집단계(S20)에서는,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동작하는 기기에서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끝나는 시점까지 소모된 시간을 더 측정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설정단계(S30)에서는, 상기 건전 정보 수집단계(S10) 및 상기 불량 정보 수집단계(S20)에서 수집된 기기의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기기의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검출단계(S40)에서는, 실시간으로 기기의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끝나는 시점까지 소모되는 시간 값을 측정 수집하고, 그 수집되는 시간 값과 상기 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을 비교하여 기기의 건전성 지수 값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검출단계(S40)는, 상기 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기기의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 사이의 구간을 적어도 둘 이상의 구간으로 구획하는 구획과정(S41), 기기의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 사이의 구획된 구간을 상기 건전 기준 값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1구간, 제2구간, …, 제n구간으로 설정하는 동시에, 각각의 구간에 대한 건전성 지수 값을 설정하여 제2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구축하는 설정과정(S42), 실시간으로 기기에서 측정 수집되는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 값을 상기 제2건전성 지수 기준표에 적용시켜 측정된 시간 값에 해당하는 구간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구간의 건전성 지수 값을 추출하는 검출과정(S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단계(S50)에서는,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기기의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 값에 대한 건전성 지수 값과, 기기로 전송되는 제어 출력신호 간의 시간 간격 값에 대한 건전성 지수 값을 각각 독립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검출단계(S40)에서는,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기기의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 값에 대한 건전성 지수 값과, 기기로 전송되는 제어 출력신호 간의 시간 간격 값에 대한 건전성 지수 값을 평균하여 하나의 평균 건전성 지수 값으로 검출하고, 상기 출력단계(S50)에서는, 상기 하나의 평균 건전성 지수 값을 단독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건전 정보 수집단계(S10) 및 상기 불량 정보 수집단계(S20)에서는, 제어부에서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와 다음 제어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을 측정 수집하는 것을 대신하여 기기에서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다음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을 더 측정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설정단계(S30)에서는, 상기 건전 정보 수집단계(S10) 및 상기 불량 정보 수집단계(S20)에서 수집된 기기의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다음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기기의 한 동작과 다음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 간의 시간 간격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검출단계(S40)에서는, 실시간으로 기기의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다음 한 동작이 시작하는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 값을 측정 수집하고, 그 수집되는 시간 간격 값과 상기 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기기의 한 동작과 다음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을 비교하여 기기의 건전성 지수 값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검출단계(S40)는 기기의 한 동작과 다음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 간의 시간 간격에 대한 제3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구축하고, 실시간으로 기기의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다음 한 동작이 시작하는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 값을 측정 수집하고, 그 수집되는 시간 간격 값을 상기 제3건전성 지수 기준표에 적용시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값을 검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에 의하면, 정상적인 기기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기반을 설정되는 건전 기준 값과 고장 발생 전의 기기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불량 기준 값을 기반으로 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구축한 후, 기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시간 정보를 건전성 지수 기준표에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기기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건전성 지수 값을 출력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 관리자는 건전성 지수를 통해 기기의 실시간 건전성을 명확하게 인지하여 기기의 점검이나 관리에 대한 계획을 자체적으로 수립할 수 있어 기기의 전반적인 관리를 매우 능동적이고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기기의 갑작스런 고장으로 인한 안전사고 및 금전적인 손실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기에서 건전성을 검색하기 위해 다양한 검출조건을 제시하고, 그 검출조건을 기반으로 기기의 건전성을 검출함으로, 기기의 건전성을 매우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출된 기기의 건전성에 대한 우수한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와 다음 제어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가 고장이 발생하기 전 상태에서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와 다음 제어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 사이의 구간이 구획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구간별 건전 지수값 설정을 통해 구축된 제1 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이용한 건전성 지수값의 추출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동작하는 정상 상태의 기기에서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끝나는 시점까지 소모된 시간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동작하는 고장이 발생하기 전 상태의 기기에서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끝나는 시점까지 소모된 시간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 사이의 구간이 구획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 구간별 건전 지수값 설정을 통해 구축된 제2 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이용한 건전성 지수값의 추출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건전성 지수 기준표와 제2 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이용한 건전성 지수값의 추출 과정과 출력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다음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을 측정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이용한 건전성 지수값의 추출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의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100)은 건전 정보 수집단계(S10)와, 불량 정보 수집단계(S20)와, 설정단계(S30)와, 검출단계(S40)와, 출력단계(S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건전 정보 수집단계(S10)는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동작하는 기기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와 다음 제어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을 측정 수집하는 단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와 다음 제어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을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기가 반복적으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제어부로부터 반복적인 제어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수행하게 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전 정보 수집단계(S10)는 기기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동작을 반복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로부터 전송받는 제어 출력신호 간의 시간 간격을 수집하게 되며, 이렇게 수집되는 제어 출력신호 간의 시간 간격 정보들은 후설될 상기 설정단계(S30)에서 기기의 건전성을 검출하기 위해 설정되는 건전 기준 값의 기반이 된다.
도 2는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연속적으로 구멍을 천공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정상적인 상태의 천공기기를 도시한 것이며, 도 2에 도시된 파형은 기기가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소모되는 에너지(전원) 값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가 고장이 발생하기 전 상태에서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와 다음 제어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을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같이, 상기 불량 정보 수집단계(S20)는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동작하는 기기가 고장이 발생하기 전 상태에서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와 다음 제어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을 측정 수집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불량 정보 수집단계(S20)에서 측정 수집되는 제어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 정보들은 상기 설정단계(S30)에서 기기의 건전성을 검출하기 위해 설정되는 불량 기준 값의 기반이 된다.
도 3에 도시된,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이 도 2에 도시된,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보다 더 길게 소요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기기의 상태가 불량할수록 기기가 수행하는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이 점차 증가되어 자연스럽게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 역시 증가됨을 짐작할 수 있다.
상기 설정단계(S30)는 상기 건전 및 불량 정보 수집단계(S10,S20)에서 수집된 제어 출력신호 간의 시간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 출력신호 간의 시간 간격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건전 기준 값은 상기 건전 정보 수집단계(S10)에서 수집되는 제어 출력신호 간의 시간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하며, 상기 불량 기준 값은 상기 불량 정보 수집단계(S20)에서 수집되는 제어 출력신호 간의 시간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기기의 고장이 발생하기 전에 비정상적으로 변화(증대)되는 시간 간격 값들을 기반으로 설정하게 된다.
상기 검출단계(S40)는 실시간으로 기기의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와 다음 제어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 값을 측정 수집하고, 그 수집되는 시간 간격 값과 상기 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건전 및 불량 기준 값을 비교하여 기기의 건전성 지수 값을 검출하는 것으로, 구획과정(S41)과, 설정과정(S42)과, 검출과정(S4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획과정(S41)은 상기 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제어 출력신호 간의 시간 간격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 사이의 구간을 적어도 둘 이상의 구간으로 구획하는 과정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 사이의 구간이 구획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은 서로 값의 (크기)차이가 존재하고, 그 차이만큼 상기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 사이의 구간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간을 동일한 간격으로 둘 이상의 구간으로 구획한다.
여기서, 상기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 사이의 구획은 후설될 상기 검출과정(S43)에서 기기의 건전성을 얼마나 정밀하게 검출할 것인지에 따라 구간의 구획 횟수를 설정하는데, 일 예로 상기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 사이를 10개의 구간으로 구획하는 것에 대비하여 100개의 구간으로 구획하는 것이 기기의 건전성을 보다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100)에서는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 사이의 구간을 10개의 구간으로 구획하나, 이러한 개수로 한정하여 구획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상기 설정과정(S42)은 상기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 사이의 구획된 구간을 상기 건전 기준 값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1구간, 제2구간, …, 제n구간으로 설정하는 동시에, 각각의 구간에 대한 건전성 지수 값을 설정하여 제1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구축하는 과정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구간별 건전 지수값 설정을 통해 구축된 제1 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과정(S41)에서 상기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 사이의 구간을 10개의 구간으로 구획되면, 그 구획된 구간을 상기 건전 기준 값에서부터 제1구간, 제2구간, …, 제10구간으로 설정한 후, 그 각각의 구간에 대한 건전성 지수 값을 설정하여 제1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구축하는데, 본 발명의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100)에서는 건전성 지수 값을 최소 10부터 최대 100까지로 범위를 한정하고, 그 한정된 건전성 지수 값을 각각의 구간에 부여하여 기기의 건전성을 검출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건전성 지수 값을 10~100으로 범위를 한정하고, 상기 건전성 지수의 값이 크면 기기의 상태가 건전한 것이고, 상기 건전성 지수의 값이 작아지면 기기의 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설정하였으나, 이러한 상기 건전성 지수 값의 범위 한정 및 설정은 일 예로 설명하기 위해 임의로 정한 것으로, 상기 건전성 지수 값은 다양한 범위와 설정으로 정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검출과정(S43)은 실시간으로 기기에서 측정 수집되는 제어 출력신호 간의 시간 간격 값을 상기 제1건전성 지수 기준표에 적용시켜 측정된 시간 간격 값이 해당하는 구간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구간의 건전성 지수 값을 추출하는 과정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이용한 건전성 지수값의 추출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 값을 측정 수집하고, 그 측정된 시간 간격 값을 상기 제1건전성 지수 기준표에 적용시켜 해당하는 구간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구간에 해당하는 건전성 지수 값을 추출(획득)한다.
상기 출력단계(S50)는 상기 검출단계(S40)에서 검출되는 기기의 건전성 지수 값을 출력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검출단계(S40)의 과정을 거쳐 실시간으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값이 추출되면, 그 추출된 건전성 지수 값을 통상의 모니터를 통하여 영상으로 출력함으로써 관리자가 기기의 건전성 상태를 명확하게 인지하여 기기의 건전성에 따라 관리자가 효과적으로 대처(점검/수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동작하는 정상 상태의 기기에서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끝나는 시점까지 소모된 시간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동작하는 고장이 발생하기 전 상태의 기기에서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끝나는 시점까지 소모된 시간을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전 및 불량 정보 수집단계(S10,S20)에서는,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동작하는 기기에서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끝나는 시점까지 소모된 시간을 더 측정 수집할 수 있다.
도 7 및 8에 도시된 파형에서 에너지 값이 임의로 설정되는 일정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시점을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으로 하고 일정값 이하로 낮아지는 시점을 끝나는 시점으로 하여 기기의 한 동작에 대해 소모되는 시간을 측정 수집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으로 한정하여 기기의 동작에 대해 소모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상기 설정단계(S30)에서는 상기 건전 및 불량 정보 수집단계(S10,S20)에서 수집된 기기의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기기의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을 설정한다.
상기 검출단계(S40)에서는 실시간으로 기기의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끝나는 시점까지 소모되는 시간 값을 측정 수집하고, 그 수집되는 시간 값과 상기 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을 비교하여 기기의 건전성 지수 값을 검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 사이의 구간이 구획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과정(S41)에서 상기 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기기의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 사이의 구간을 적어도 둘 이상의 구간으로 구획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 구간별 건전 지수값 설정을 통해 구축된 제2 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정과정(S42)은 기기의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 사이의 구획된 구간을 상기 건전 기준 값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1구간, 제2구간, …, 제n구간으로 설정하는 동시에, 각각의 구간에 대한 건전성 지수 값을 설정하여 제2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구축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2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상기 제1건정성 지수 기준표와 동일하게 구간을 구획하고 건전성 지수 값을 설정하였으나, 상기 제2건전성 지수 기준표 역시 상기 제1건전성 지수 기준표와 같이 다양한 구간과 건전성 지수 값으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이용한 건전성 지수값의 추출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출과정(S43)은 실시간으로 기기에서 측정 수집되는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 값을 상기 제2건전성 지수 기준표에 적용시켜 측정된 시간 값에 해당하는 구간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구간의 건전성 지수 값을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건전성 지수 값을 상기 출력단계(S50)에서 출력되게 함으로써, 관리자가 기기의 건전성 상태를 명확하게 인지하여 기기의 건전성에 따라 기기의 효과적인 관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건전성 지수 기준표와 제2 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이용한 건전성 지수값의 추출 과정과 출력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검출단계(S40)는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기기의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 값이 적용되는 제2건전성 지수 기준표에 의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값과, 기기로 전송되는 제어 출력신호 간의 시간 간격 값이 적용되는 제1건전성 지수 기준표에 의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값을 각각 검출하고, 상기 출력단계(S50)를 통해 독립적으로 출력되도록 하거나, 그 검출된 각각의 건전성 지수 값을 평균하여 하나의 평균 건전성 지수 값으로 검출하여 상기 출력단계(S50)를 통해 단독으로 출력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기기의 건전성을 다양한 방식으로 검출할 수 있어 검출되는 기기의 건전성에 대한 우수한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기기의 건전성에 대한 검출 결과는 기기가 운영되는 환경(여건)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 제공할 수 있어 본 발명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다음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을 측정한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전 및 불량 정보 수집단계(S10,S20)에서 제어부에서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와 다음 제어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을 측정 수집하는 것을 대신하여, 기기에서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다음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을 측정 수집한다.
상기 설정단계(S30)에서는 상기 건전 및 불량 정보 수집단계(S10,S20)에서 수집된 기기의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다음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기기의 한 동작과 다음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 간의 시간 간격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을 설정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이용한 건전성 지수값의 추출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출단계(S40)는 실시간으로 기기의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다음 한 동작이 시작하는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 값을 측정 수집하고, 그 수집되는 시간 간격 값과 상기 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기기의 한 동작과 다음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을 비교하여 기기의 건전성 지수 값을 검출하도록 한다.
상기 검출단계(S40)는 상기 구획과정(S41)과 설정과정(S42)을 통해 제1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대신하여 기기의 한 동작과 다음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 간의 시간 간격에 대한 제3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구축하고, 상기 검출과정(S43)에서 실시간으로 기기의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다음 한 동작이 시작하는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 값을 측정 수집하고, 그 수집되는 시간 간격 값을 상기 제3건전성 지수 기준표에 적용시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값을 검출하도록 한다.
여기서, 기기의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다음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3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구축하는 방식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2건전성 지수 기준표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축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기기의 건전성을 검출하는 본 발명의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100)은 정상적인 기기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기반을 설정되는 건전 기준 값과 고장 발생 전의 기기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불량 기준 값을 기반으로 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구축한 후, 기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시간 정보를 건전성 지수 기준표에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기기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건전성 지수 값을 출력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 관리자는 건전성 지수를 통해 기기의 실시간 건전성을 명확하게 인지하여 기기의 점검이나 관리에 대한 계획을 자체적으로 수립할 수 있어 기기의 전반적인 관리를 매우 능동적이고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기기의 갑작스런 고장으로 인한 안전사고 및 금전적인 손실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기에서 건전성을 검색하기 위해 다양한 검출조건을 제시하고, 그 검출조건을 기반으로 기기의 건전성을 검출함으로, 기기의 건전성을 매우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출된 기기의 건전성에 대한 우수한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100)은 제어부에서 기기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기반으로 설명하였으나, 제어부에서 출력하여 기기로 입력되는 제어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기술을 적용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설비의 자동화 공정을 위해 사용되는 각종 기기들의 안정적인 작동에 적용가능하다.

Claims (12)

  1.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동작하는 기기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와 다음 제어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을 측정 수집하는 건전 정보 수집단계(S10);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동작하는 기기가 고장이 발생하기 전 상태에서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와 다음 제어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을 측정 수집하는 불량 정보 수집단계(S20);
    상기 건전 정보 수집단계(S10) 및 상기 불량 정보 수집단계(S20)에서 수집된 제어 출력신호 간의 시간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 출력신호 간의 시간 간격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을 설정하는 설정단계(S30);
    실시간으로 기기의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와 다음 제어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 값을 측정 수집하고, 그 수집되는 시간 간격 값과 상기 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건전 및 불량 기준 값을 비교하여 기기의 건전성 지수 값을 검출하는 검출단계(S40); 및
    상기 검출단계(S40)에서 검출되는 건전성 지수 값을 출력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출력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S40)는,
    상기 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제어 출력신호 간의 시간 간격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 사이의 구간을 적어도 둘 이상의 구간으로 구획하는 구획과정(S41);
    상기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 사이의 구획된 구간을 상기 건전 기준 값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1구간, 제2구간, …, 제n구간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구간에 대한 건전성 지수 값을 설정하여 제1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구축하는 설정과정(S42); 및
    실시간으로 기기에서 측정 수집되는 제어 출력신호 간의 시간 간격 값을 상기 제1건전성 지수 기준표에 적용시켜 측정된 시간 간격 값이 해당하는 구간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구간의 건전성 지수 값을 추출하는 검출과정(S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전 정보 수집단계(S10) 및 상기 불량 정보 수집단계(S20)에서는,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전송받아 동작하는 기기에서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끝나는 시점까지 소모된 시간을 더 측정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S30)에서는, 상기 건전 정보 수집단계(S10) 및 상기 불량 정보 수집단계(S20)에서 수집된 기기의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기기의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S40)에서는, 실시간으로 기기의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끝나는 시점까지 소모되는 시간 값을 측정 수집하고, 그 수집되는 시간 값과 상기 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을 비교하여 기기의 건전성 지수 값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S40)는,
    상기 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기기의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 사이의 구간을 적어도 둘 이상의 구간으로 구획하는 구획과정(S41);
    기기의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 사이의 구획된 구간을 상기 건전 기준 값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1구간, 제2구간, …, 제n구간으로 설정하는 동시에, 각각의 구간에 대한 건전성 지수 값을 설정하여 제2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구축하는 설정과정(S42);
    실시간으로 기기에서 측정 수집되는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 값을 상기 제2건전성 지수 기준표에 적용시켜 측정된 시간 값에 해당하는 구간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구간의 건전성 지수 값을 추출하는 검출과정(S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계(S50)에서는,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기기의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 값에 대한 건전성 지수 값과, 기기로 전송되는 제어 출력신호 간의 시간 간격 값에 대한 건전성 지수 값을 각각 독립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S40)에서는,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기기의 한 동작에 소모되는 시간 값에 대한 건전성 지수 값과, 기기로 전송되는 제어 출력신호 간의 시간 간격 값에 대한 건전성 지수 값을 평균하여 하나의 평균 건전성 지수 값으로 검출하고,
    상기 출력단계(S50)에서는, 상기 하나의 평균 건전성 지수 값을 단독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전 정보 수집단계(S10) 및 상기 불량 정보 수집단계(S20)에서는, 제어부에서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제어 출력신호와 다음 제어 출력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을 측정 수집하는 것을 대신하여 기기에서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다음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을 더 측정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S30)에서는, 상기 건전 정보 수집단계(S10) 및 상기 불량 정보 수집단계(S20)에서 수집된 기기의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다음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기기의 한 동작과 다음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 간의 시간 간격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S40)에서는, 실시간으로 기기의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다음 한 동작이 시작하는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 값을 측정 수집하고, 그 수집되는 시간 간격 값과 상기 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기기의 한 동작과 다음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에 대한 건전 기준 값과 불량 기준 값을 비교하여 기기의 건전성 지수 값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S40)는 기기의 한 동작과 다음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 간의 시간 간격에 대한 제3건전성 지수 기준표를 구축하고, 실시간으로 기기의 한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다음 한 동작이 시작하는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 값을 측정 수집하고, 그 수집되는 시간 간격 값을 상기 제3건전성 지수 기준표에 적용시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값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PCT/KR2019/017643 2019-06-25 2019-12-12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WO202026278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558,827 US11977372B2 (en) 2019-06-25 2021-12-22 Integrity index detecting method for device by means of control output signal
US17/558,778 US20220113712A1 (en) 2019-06-25 2021-12-22 Integrity index detecting method for device by means of control output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794 2019-06-25
KR1020190075794A KR102316463B1 (ko) 2019-06-25 2019-06-25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7/558,827 Continuation US11977372B2 (en) 2019-06-25 2021-12-22 Integrity index detecting method for device by means of control output signal
US17/558,778 Continuation US20220113712A1 (en) 2019-06-25 2021-12-22 Integrity index detecting method for device by means of control output sig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62781A1 true WO2020262781A1 (ko) 2020-12-30

Family

ID=74060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7643 WO2020262781A1 (ko) 2019-06-25 2019-12-12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220113712A1 (ko)
KR (1) KR102316463B1 (ko)
WO (1) WO20202627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220A (ko) * 2021-10-27 2023-05-04 (주)아이티공간 삼상 종행 피크를 이용한 기기의 예지 보전방법
KR102510106B1 (ko) * 2021-10-27 2023-03-14 (주)아이티공간 삼상 종행 피크를 이용한 기기의 예지 보전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3076A (ko) * 2011-04-04 2012-10-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블 고장 진단 방법 및 시스템
US20140039833A1 (en) * 2012-07-31 2014-02-06 Joseph Hiserodt Sharpe, JR. Systems and methods to monitor an asset in an operating process unit
KR101543636B1 (ko) * 2014-09-15 2015-08-21 주식회사 일산이엔씨 비접촉의 적외선 온도 감지 및 과도대지전압 감지에 의한 열화 고장진단 기능의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분전반, 모터제어반
KR101643599B1 (ko) * 2015-07-15 2016-07-28 (주)아이티공간 차체 조립 라인의 구동부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29749A (ko) * 2017-08-11 2019-03-20 (주)아이티공간 구동부의 정밀 예지 보전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4650B2 (en) * 2005-07-11 2015-08-11 Brooks Automation, Inc. Intelligent condition monitoring and fault diagnostic system for preventative maintenance
US9100301B2 (en) * 2012-09-05 2015-08-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manage alarm configurations of servers
US9983575B2 (en) * 2013-04-09 2018-05-29 Fisher-Rosemount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to graphically display process control system information
GB2541682B (en) * 2015-08-25 2017-09-06 Airbus Operations Ltd Pump health monitoring
US10481595B2 (en) * 2015-10-05 2019-11-19 Fisher-Rosemount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the collective health of multiple process control systems
KR101830308B1 (ko) 2015-10-15 2018-02-20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장진단 및 전력변동성 계측을 위한 원격계측시스템
US10235853B2 (en) * 2016-06-20 2019-03-19 General Electric Company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for alarms
US10695907B2 (en) * 2017-09-29 2020-06-30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robot health in manufacturing environme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3076A (ko) * 2011-04-04 2012-10-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블 고장 진단 방법 및 시스템
US20140039833A1 (en) * 2012-07-31 2014-02-06 Joseph Hiserodt Sharpe, JR. Systems and methods to monitor an asset in an operating process unit
KR101543636B1 (ko) * 2014-09-15 2015-08-21 주식회사 일산이엔씨 비접촉의 적외선 온도 감지 및 과도대지전압 감지에 의한 열화 고장진단 기능의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분전반, 모터제어반
KR101643599B1 (ko) * 2015-07-15 2016-07-28 (주)아이티공간 차체 조립 라인의 구동부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29749A (ko) * 2017-08-11 2019-03-20 (주)아이티공간 구동부의 정밀 예지 보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77372B2 (en) 2024-05-07
US20220113712A1 (en) 2022-04-14
KR102316463B1 (ko) 2021-10-22
KR20210000532A (ko) 2021-01-05
US20220113713A1 (en)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62781A1 (ko)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WO2020262840A2 (ko) 다중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WO2021075842A1 (ko) 분포도를 통한 기기의 예지 보전방법
WO2019177239A1 (ko) 구동부의 정밀 예지 보전방법
WO2020138695A1 (ko) 구동부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WO2019177241A1 (ko) 구동부의 정밀 예지 보전방법
WO2020060305A1 (ko) 지중케이블의 고장위치 탐지장치 및 그 방법
WO2019177238A1 (ko) 구동부의 정밀 예지 보전방법
WO2021112577A1 (ko) 인공지능을 통한 기기의 이상 부위 학습 검출방법
WO2019031682A1 (ko) 구동부의 정밀 예지 보전방법
WO2019177237A1 (ko) 구동부의 정밀 예지 보전방법
WO2021075855A1 (ko) 분포도를 통한 기기의 예지 보전방법
WO2020262841A2 (ko)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WO2021075857A1 (ko) 분포도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WO2021075845A1 (ko) 분포도를 통한 기기의 예지 보전방법
WO2020262782A1 (ko)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WO2020262845A1 (ko)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예지 보전방법
WO2011040663A1 (ko) 전력품질 모니터링 시스템 및 전력품질측정 방법
WO2023033567A1 (ko) 피크에 대한 각도를 통한 기기의 예지 보전방법
WO2019221362A1 (ko) 셀프 파워 계전기 및 이의 오동작 방지 방법
WO2020262842A2 (ko)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예지 보전방법
WO2021075859A1 (ko) 분포도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WO2020262843A1 (ko) 제어 출력신호를 통한 기기의 예지 보전방법
WO2023033568A1 (ko) 피크에 대한 각도를 통한 기기의 건전성 지수 검출방법
WO2019177234A1 (ko) 구동부의 정밀 예지 보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345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345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