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13819A1 -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 Google Patents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13819A1
WO2020213819A1 PCT/KR2020/000469 KR2020000469W WO2020213819A1 WO 2020213819 A1 WO2020213819 A1 WO 2020213819A1 KR 2020000469 W KR2020000469 W KR 2020000469W WO 2020213819 A1 WO2020213819 A1 WO 202021381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uration
signal
channel
pulse signal
current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046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도형
김평규
서주완
이원장
Original Assignee
㈜뉴아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아인 filed Critical ㈜뉴아인
Priority to CN202080028584.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3677393B/zh
Priority to EP20791493.8A priority patent/EP3957357B1/en
Priority to BR112021020621A priority patent/BR112021020621A2/pt
Priority to AU2020257753A priority patent/AU2020257753B2/en
Priority to CA3135938A priority patent/CA3135938C/en
Priority to GB2114033.0A priority patent/GB2596694B/en
Priority to JP2021561646A priority patent/JP7245929B2/ja
Publication of WO202021381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1381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4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the ey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125Details of circuitry or electric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567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ore than one type of semiconductor device, e.g. BIMOS, composite devices such as IGB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nd more particularly, by applying a current pulse signal as a stimulation signal through a multi-channel attached to a plurality of areas close to the eye, effectively regenerating damaged corneal nerves. It relates to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 nerve regeneration can be regulated by its intrinsic characteristics, and that in the regeneration of peripheral nerves, the regeneration of nerves and tissues can be accelerated by using microscopic electrical stimula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treat damaged corneal nerves by applying a current pulse signal as a stimulation signal through a multi-channel attached to a plurality of areas close to the eye.
  • a current pulse signal as a stimulation signal
  • a multi-channel attached to a plurality of areas close to the eye.
  • the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ng damaged corneal nerves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is attached between the upper left eye and the left eyebrow to transmit a stimulation signal.
  • a multi-channel unit including a second channel formed of the conductive material and attached between the upper right eye and the right eyebrow to transmit the stimulation signal;
  • a stimulation signal module providing a current pulse signal as the stimulation signal to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channel, wherein the multi-channel unit is integrally formed between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channel to provide the stimulation signal.
  • the current pulse signal is a positive current pulse signal during a first duration, a current signal of 0 during a second duration that is next to the first duration, and the During a third duration following the second duration, a negative current pulse signal, during a fourth duration following the third duration, a current signal of 0, and a fifth duration following the fourth duration.
  • a current signal of 0 during a sixth duration following the fifth duration, a positive current pulse signal during a seventh duration following the sixth duration, and the seventh During the eighth duration, which is next to the duration, a current signal of 0 is configured, the length of the first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2 to 15 times the length of the third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and the current The length of the fifth duration of the pulse signal is characterized in that 2 to 15 times the length of the seventh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 magnets are disposed on the contactor of the multi-channel unit and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respectively, so that the contactor and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of the multi-channel unit When approaching within this predetermined range, the contactor of the multi-channel unit and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may be self-aligned by the attractive force of the magnets respectively disposed.
  • the current pulse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 button of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the current pulse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 button.
  •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pulse signal when the magnitude of the signal is increased and pressure is applied to the down button of the stimulus signal module,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pulse signal may be reduc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down button.
  • the pulse width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 button.
  • the amplitude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controlled to increase, and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down button, the pulse width modulated signal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down button.
  • the fourth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may be 5 to 2000 times the second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 the eighth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may be 5 to 2000 times the sixth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 the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pulsed current signal of the first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the third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equal to the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pulse current signal
  • the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pulse current signal of the fifth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the positive pulse current of the seventh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t can be the same as the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signal.
  • the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pulsed current signal of the first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the third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2 to 15 times the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pulse current signal
  • the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pulse current signal of the fifth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the amount of the seventh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t may be 2 to 15 times the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pulse current signal of.
  • the current pulse signal may be in a charge-balanced state.
  •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receives the current pulse signal for the first duration and the current pulse signal for the seventh duration.
  • a current pulse signal for the third duration and a current pulse signal for the fifth duration may be provided to the second channel.
  • the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ng damaged corneal nerves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is attached to the upper left eyebrow to transmit a stimulation signal, and the conductive A twelfth channel formed of a material and attached to the lower left eye to transmit the stimulation signal, a twenty-first channel made of the conductive material and attached to the upper right eyebrow to transmit the stimulation signal, and formed of the conductive material
  • a multi-channel unit including a 22nd channel attached to the lower right eye and transmitting the stimulus signal;
  • a stimulation signal module providing a current pulse signal as the stimulation signal to the eleventh channel, the 12th channel, the 21st channel, and the 22nd channel, wherein the multi-channel unit comprises the eleventh channel and the A contactor integrally formed between the 21 channels and electrically contacting the stimulus signal module, wherein the current pulse signal is a positive current pulse signal during a first duration, and a second second after the first duration A current signal of 0 during a duration, a negative current
  • magnets are disposed on the contactor of the multi-channel unit and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respectively, so that the contactor and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of the multi-channel unit When approaching within this predetermined range, the contactor of the multi-channel unit and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may be self-aligned by the attractive force of the magnets respectively disposed.
  • the current pulse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 button of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the current pulse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 button.
  •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pulse signal when the magnitude of the signal is increased and pressure is applied to the down button of the stimulus signal module,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pulse signal may be reduc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down button.
  • the pulse width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 button.
  • the amplitude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controlled to increase, and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down button, the pulse width modulated signal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down button.
  • the fourth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may be 5 to 2000 times the second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 the eighth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may be 5 to 2000 times the sixth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 the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pulsed current signal of the first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the third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d signal. Is equal to the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pulse current signal, and the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pulse current signal of the fifth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the positive pulse current of the seventh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t can be the same as the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signal.
  • the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pulsed current signal of the first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the third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d signal. Is 2 to 15 times the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pulse current signal, and the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pulse current signal of the fifth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the amount of the seventh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t may be 2 to 15 times the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pulse current signal of.
  • the current pulse signal may be in a charge-balanced state.
  •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receives the current pulse signal for the first duration and the current pulse signal for the seventh duration.
  • a current pulse signal for the third duration and a current pulse signal for the fifth duration to the twelfth channel, and the current pulse signal for the first duration and the seventh duration A current pulse signal for a period of time may be provided to the 21st channel, and a current pulse signal for the third duration and a current pulse signal for the fifth duration may be provided to the 22nd channel.
  • the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can effectively regenerate damaged corneal nerves by applying a current pulse signal as a stimulation signal through a multi-channel attached to a plurality of areas close to the eye. .
  •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multi-channel unit of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ulti-channel unit of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ng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region close to a human eye.
  •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ulti-channel unit and a stimulation signal module of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ttached to a region close to a human eye.
  •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stimulation signal module of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oltage control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pressure recovery of an up button or a down button employed in a stimulation signal module of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showing a current pulse signal provided by a stimulation signal module of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multi-channel unit of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ulti-channel unit of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region close to a human eye.
  •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ulti-channel unit and a stimulation signal module of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ttached to a region close to a human eye.
  • FIG. 10 is a block diagram of a stimulation signal module of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oltage control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pressure recovery of an up button or a down button employed in a stimulation signal module of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urrent pulse signal provided by a stimulation signal module of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photograph of measuring the degree of treatment of the epithelial cells of the damaged cornea after 0, 3 and 7 days elapse while being treated using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confocal view of the degree of regeneration of nerve cells in the damaged cornea after 1 week, 2 weeks and 4 weeks while treatment using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Photo taken under a microscope.
  • FIGS. 1 to 6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ng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multi-channel unit of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multi-channel unit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multi-channel unit of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stimulation signal module of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 voltage control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pressure recovery of an up button or a down button employed in a stimulation signal module of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 the multi-channel unit 1100 of the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is attached between the upper left eye and the left eyebrow, as shown in FIGS. 1 and 2.
  • a first channel 1110 for transmitting the stimulation signal a second channel 1120 formed of the conductive material and attached between the upper right eye and the right eyebrow to transmit the stimulation signal, and the first channel 1110
  • the second channel 1120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ctor 1130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1200 may be formed of Ag, AgCl, Au, Pt, or stainless steel.
  •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1200 provides a current pulse signal as the stimulation signal to the first channel 1110 and the second channel 1120, and as shown in FIG. 3, as if wearing goggles, a person
  • the contactor 1130 and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1200 of the multi-channel unit 1100 may be worn between the eyes and the nose of the multi-channel unit 1100, respectively, a magnet is disposed to the contactor 1130 of the multi-channel unit 1100 )
  •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1200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contactor 1130 and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1200 of the multi-channel unit 1100 by the attractive force of the magnets respectively disposed It is self-aligned.
  • the above-described stimulation signal module 1200 includes stimulation signal providing units 1221 and 1222 for generating a current pulse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timulation signal providing units 1221 and 1222 ( 1210), an up button 1231, a down button 1232, a communication unit 1240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a charging unit 1250.
  •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 button 1231, and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reduc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down button 1232.
  •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1200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 button 1231,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1200 includes the number of pulses of the pulse width modulated signal PWM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 button 1231.
  • the pulse width modulated signal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down button 1232
  • the current pulse signal is controlled to decrease in magnitude.
  •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 button 1231 is three times, as shown in FIG. 5, three pulse width modulated signals PWM are transmitted to the transistor Q1 and thus three pulse widths are applied. Since the transistor Q1 is turned on during the modulation signal PWM, the voltage boosted by the inductor L1 is charged in the capacitors C2 and C3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urrent flowing during the thre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s PWM. . Therefore, since the voltage boost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pulse width modulated signals PWM is charged in the capacitors C2 and C3,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 button 1231. Conversely, the size of the current pulse signal may be reduc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down button 1232.
  • the current pulse signal is a positive current pulse signal during a first duration (1D), and a current signal of zero during a second duration (2D) following the first duration (1D).
  • the fourth duration (4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5 to 2000 times the second duration (2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 the eighth duration (8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the current pulse signal. Is 5 to 2000 times of the sixth duration of (6D).
  • the fourth duration (4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25 ⁇ s to 10,000 ⁇ s
  • the sixth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When the duration time 6D is 5 ⁇ s, the eighth duration time 8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25 ⁇ s to 10,000 ⁇ s.
  • the magnitude (1A)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pulsed current signal of the first duration (1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pulsed current signal of the third duration (3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equal to the magnitude (3A)
  • the magnitude (5A)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pulsed current signal of the fifth duration (5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the amount of the seventh duration (7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equal to the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pulsed current signal (7A).
  • the magnitude (1A)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pulsed current signal of the first duration (1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pulsed current signal of the third duration (3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 the magnitude (5A)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pulse current signal of the fifth duration (5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2 to 15 times the magnitude (3A) of the current pulse signal (7D) ) Is 2 to 15 times the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pulse current signal (7A).
  • the first duration 1D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pulse current signal is composed of 2mA ⁇ 15mA,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pulse current signal of the seventh duration (7D) is the same during the fifth duration (5D) and the seventh duration (7D).
  •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pulse current signal of the fifth duration 5D is configured to be 2 mA to 15 mA, and the current pulse signal is configured to be in a charge-balanced state.
  • the length of the first duration (1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third duration (3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and the length of the fifth duration (5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It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seventh duration 7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 the length of the first duration (1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2 to 15 times the length of the third duration (3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 the fifth duration (5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The length of is 2 to 15 times the length of the seventh duration 7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 the magnitude (1A)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pulse current signal of the first duration (1D) and the magnitude (3A) of the negative pulse current signal of the third duration (3D) are the same,
  • the first duration (1D) is composed of 20 ⁇ s to 300 ⁇ s, and the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pulse current signal of the fifth duration (5D) (5A) and the fifth duration (5D) when the magnitude (7A)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pulse current signal of the seventh duration (7D) is the same and the length of the seventh duration (7D) is 10 ⁇ s Is composed of 20 ⁇ s to 300 ⁇ s, and the current pulse signal is configured to be in a charge-balanced state.
  •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1200 provides the current pulse signal for the first duration (1D) and the current pulse signal for the seventh duration (7D) to the first channel 1110, the A current pulse signal for a third duration 3D and a current pulse signal for the fifth duration 5D are provided to the second channel 1120.
  • FIGS. 7 to 12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ng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2.
  •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multi-channel unit of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multi-channel unit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multi-channel unit of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block diagram of a stimulation signal module of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1 is a voltage control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pressure recovery of an up button or a down button employed in a stimulation signal module of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diagram showing a current pulse signal provided by a stimulation signal module of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the multi-channel unit 2100 of the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ng damaged corneal nerves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is attached to the upper left eyebrow to transmit a stimulation signal 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eleventh channel 2111, the twelfth channel 2112, the 21st channel 2121, the 22nd channel 2122 and the contactor 2130 are Ag, AgC
  •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2200 provides a current pulse signal as the stimulation signal to the eleventh channel 2111, the 12th channel 2112, the 21st channel 2121, and the 22nd channel 2122. And, as shown in Figure 9, like wearing goggles, it can be worn between the eyes and nose of a person, the contactor 2130 of the multi-channel unit 2100 and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2200, respectively When a magnet is disposed so that the contactor 2130 of the multi-channel unit 2100 and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2200 approach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multi-channel unit ( The contactor 2130 of 2100 and the stimulus signal module 2200 are self-aligned.
  •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2200 described above includes stimulation signal providing units 2221 and 2222 generating current pulse signals,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stimulation signal providing units 2221 and 2222 ( 2210), an up button 2231, a down button 2232, a communication unit 2240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a charging unit 2250.
  •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 button 2231, and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reduc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down button 2232.
  •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2200 is the number of pulses of the pulse width modulated signal PWM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 button 2231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 button 2231 By adjusting the pulse width modulated signal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down button 2232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down button 2232 and,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down button 2232 By adjusting the number of pulses of (PWM), the current pulse signal is controlled to decrease in magnitude.
  •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 button 2231 is three times, as shown in FIG. 11, three pulse width modulated signals PWM are transmitted to the transistor Q1 and thus three pulse widths are applied. Since the transistor Q1 is turned on during the modulation signal PWM, the voltage boosted by the inductor L1 is charged in the capacitors C2 and C3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urrent flowing during the thre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s PWM. . Therefore, since the voltage boost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pulse width modulated signals PWM is charged in the capacitors C2 and C3,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 button 2231. Conversel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ize of the current pulse signal to decreas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down button 2232.
  • the current pulse signal is a positive current pulse signal during a first duration (1D), and a current signal of zero during a second duration (2D) following the first duration (1D).
  • the fourth duration (4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5 to 2000 times the second duration (2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 the eighth duration (8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the current pulse signal. Is 5 to 2000 times of the sixth duration of (6D).
  • the fourth duration (4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25 ⁇ s to 10,000 ⁇ s
  • the sixth duration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When the duration time 6D is 5 ⁇ s, the eighth duration time 8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25 ⁇ s to 10,000 ⁇ s.
  • the magnitude (1A)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pulsed current signal of the first duration (1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pulsed current signal of the third duration (3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equal to the magnitude (3A)
  • the magnitude (5A)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pulsed current signal of the fifth duration (5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the amount of the seventh duration (7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equal to the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pulsed current signal (7A).
  • the magnitude (1A)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pulsed current signal of the first duration (1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pulsed current signal of the third duration (3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 the magnitude (5A)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pulse current signal of the fifth duration (5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2 to 15 times the magnitude (3A) of the current pulse signal (7D) ) Is 2 to 15 times the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pulse current signal (7A).
  • the first duration 1D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pulse current signal is composed of 2mA ⁇ 15mA,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pulse current signal of the seventh duration (7D) is the same during the fifth duration (5D) and the seventh duration (7D).
  •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pulse current signal of the fifth duration 5D is configured to be 2 mA to 15 mA, and the current pulse signal is configured to be in a charge-balanced state.
  • the length of the first duration (1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third duration (3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and the length of the fifth duration (5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It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seventh duration 7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 the length of the first duration (1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is 2 to 15 times the length of the third duration (3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 the fifth duration (5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The length of is 2 to 15 times the length of the seventh duration 7D of the current pulse signal.
  • the magnitude (1A)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pulse current signal of the first duration (1D) and the magnitude (3A) of the negative pulse current signal of the third duration (3D) are the same,
  • the first duration (1D) is composed of 20 ⁇ s to 300 ⁇ s, and the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negative pulse current signal of the fifth duration (5D) (5A) and the fifth duration (5D) when the magnitude (7A)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ve pulse current signal of the seventh duration (7D) is the same and the length of the seventh duration (7D) is 10 ⁇ s Is composed of 20 ⁇ s to 300 ⁇ s, and the current pulse signal is configured to be in a charge-balanced state.
  •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2200 provides a current pulse signal for the first duration (1D) and a current pulse signal for the seventh duration (7D) to the eleventh channel (2111), and the A current pulse signal for a third duration (3D) and a current pulse signal for the fifth duration (5D) are provided to the twelfth channel (2112), and a current pulse during the first duration (1D) A signal and a current pulse signal for the seventh duration (7D) are provided to the twenty-first channel (2121), and the current pulse signal for the third duration (3D) and the fifth duration (5D) A current pulse signal of is provided to the 22nd channel 2122. That is, the stimulation signal module 2200 provides the same current pulse signal to the eleventh channel 2111 and the 21st channel 2121, and the same current pulse signal to the 12th channel 2112 and the 22nd channel 2122. Provides.
  • FIG. 13 is a photograph of measuring the degree of treatment of the epithelial cells of the damaged cornea after 0, 3 and 7 days elapse while being treated using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 group measured the damaged cornea after receiving normal treatment (e.g., antibiotic administration) to the cornea of a patient who had undergone vision correction surgery to cut a part of the cornea, and the first protocol experimental group cut a part of the cornea.
  • normal treatment e.g., antibiotic administration
  • a current pulse signal of 20 Hz is used using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amaged cornea was measured while treating the damaged corneal nerve, and in the second protocol experimental group, in addition to the usual treatment (e.g., administration of antibiotics) to the cornea of a patient who had undergone vision correction to cut a part of the cornea,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amaged cornea was measured while treating the damaged corneal nerve with a current pulse signal of 2 Hz using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the damaged corneal nerve according to.
  • FIG. 14 is a confocal view of the degree of regeneration of nerve cells in the damaged cornea after 7 days, 14 days and 28 days while treatment using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damaged corneal nerv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is is a picture measured with a microscope.
  • the control group measured the degree of regeneration of nerve cells in the damaged cornea after receiving normal treatment (e.g., antibiotic administration) to the cornea of a patient who had undergone vision correction by cutting a part of the cornea.
  • normal treatment e.g., antibiotic administration
  • the damaged corneal nerve is treated using a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on of the damaged corneal ner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gree of regeneration of nerve cells in the damaged cornea was measu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좌측 눈 상부와 좌측 눈썹 사이에 부착되어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제 1 채널과, 상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우측 눈 상부와 우측 눈썹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제 2 채널을 포함하는 멀티 채널 유닛 및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에 상기 자극 신호로 전류 펄스 신호를 제공하는 자극 신호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 채널 유닛은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자극 신호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컨택터를 포함하는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본 발명은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눈에 근접한 다수의 영역에 부착되는 멀티 채널을 통해서 자극 신호로 전류 펄스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손상된 각막 신경을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990년 중반 미국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 허가 이후에, 전 세계 약 3,000만 명이 근시치료 목적으로 시력교정술을 시술받았으며, 국내에서도 최근 인구 고령화와 디지털 기기 사용 급증으로 인하여 인구 절반 이상은 시력교정술을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매년 20만 명 이상이 레이저 시력교정술을 시술받고 있다고 추정되며, 이러한 레이저 시력교정술은 굴절 이상을 교정시키기 위해 각막 상피에 물리적인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각막 신경다발에 손상을 입히게 되었다.
상술한 레이저 시력교정술 시술 후 6개월이 지나도 실제 각막 신경다발의 밀도와 감각 기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레이저 시력교정술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부작용인 안구 건조증과 각막 통증은 각막 신경다발과의 상관 관계가 밀접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최근에, 신경조절술(neuromodulation)의 비약적인 발전과 뇌신경 연구에 힘입어, 신경 세포의 성장과 기능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축적된 기술에 의하면 신경 재생이 내재적인 특징에 의해 활동 조절이 가능하며, 말초 신경의 재생에 있어서는 미세한 전기 자극을 이용하여 신경과 조직의 재생을 가속화시킬 수있음이 시사되었다.
따라서, 미세한 전기 자극을 이용하여 시각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프로브를 통해서 단순하게 전기 자극을 시행하고 있을 뿐이어서 효과적인 치료가 어려웠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2018년 11월 26일자에 공개되어 있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125997에 게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눈에 근접한 다수의 영역에 부착되는 멀티 채널을 통해서 자극 신호로 전류 펄스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손상된 각막 신경을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좌측 눈 상부와 좌측 눈썹 사이에 부착되어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제 1 채널과, 상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우측 눈 상부와 우측 눈썹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제 2 채널을 포함하는 멀티 채널 유닛; 및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에 상기 자극 신호로 전류 펄스 신호를 제공하는 자극 신호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 채널 유닛은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자극 신호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컨택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 펄스 신호는 제 1 지속 시간 동안에는 양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1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2 지속 시간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이며, 상기 제 2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3 지속 시간 동안에는 음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3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4 지속 시간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이며, 상기 제 4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5 지속 시간 동안에는 음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5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6 지속 시간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이며, 상기 제 6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7 지속 시간 동안에는 양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7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8 지속 시간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로 구성되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1 지속 시간의 길이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3 지속 시간의 길이의 2배 ~ 15배이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5 지속 시간의 길이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7 지속 시간의 길이의 2배 ~ 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은, 상기 멀티 채널 유닛의 컨택터와 상기 자극 신호 모듈에 각각 자석이 배치되어 상기 멀티 채널 유닛의 컨택터와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이 소정의 범위 내로 접근하는 경우에, 상기 각각 배치되어 있는 자석의 인력에 의해서 상기 멀티 채널 유닛의 컨택터와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이 셀프 얼라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은,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의 업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업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비례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증가되고,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의 다운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다운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반비례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은,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이 상기 업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업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비례해서 펄스 폭 변조 신호의 펄스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운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다운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반비례해서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펄스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4 지속 시간이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2 지속 시간의 5배 ~ 2000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8 지속 시간이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6 지속 시간의 5배 ~ 2000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1 지속 시간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3 지속 시간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와 동일하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5 지속 시간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7 지속 시간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1 지속 시간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3 지속 시간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의 2배 ~ 15배이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5 지속 시간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7 지속 시간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의 2배 ~ 15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은, 상기 전류 펄스 신호가 전하 균형 상태(charge-balanced)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은,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이 상기 제 1 지속 시간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와 상기 제 7 지속 시간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를 상기 제 1 채널로 제공하고, 상기 제 3 지속 시간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와 상기 제 5 지속 시간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를 상기 제 2 채널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좌측 눈썹 상부에 부착되어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제 11 채널과, 상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좌측 눈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제 12 채널과, 상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우측 눈썹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제 21 채널과, 상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우측 눈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제 22 채널을 포함하는 멀티 채널 유닛; 및 상기 제 11 채널, 상기 제 12 채널, 상기 제 21 채널 및 상기 제 22 채널에 상기 자극 신호로 전류 펄스 신호를 제공하는 자극 신호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 채널 유닛은 상기 제 11 채널과 상기 제 21 채널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자극 신호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컨택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 펄스 신호는 제 1 지속 시간 동안에는 양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1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2 지속 시간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이며, 상기 제 2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3 지속 시간 동안에는 음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3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4 지속 시간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이며, 상기 제 4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5 지속 시간 동안에는 음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5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6 지속 시간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이며, 상기 제 6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7 지속 시간 동안에는 양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7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8 지속 시간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로 구성되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1 지속 시간의 길이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3 지속 시간의 길이의 2배 ~ 15배이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5 지속 시간의 길이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7 지속 시간의 길이의 2배 ~ 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은, 상기 멀티 채널 유닛의 컨택터와 상기 자극 신호 모듈에 각각 자석이 배치되어 상기 멀티 채널 유닛의 컨택터와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이 소정의 범위 내로 접근하는 경우에, 상기 각각 배치되어 있는 자석의 인력에 의해서 상기 멀티 채널 유닛의 컨택터와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이 셀프 얼라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은,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의 업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업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비례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증가되고,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의 다운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다운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반비례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은,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이 상기 업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업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비례해서 펄스 폭 변조 신호의 펄스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운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다운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반비례해서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펄스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4 지속 시간이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2 지속 시간의 5배 ~ 2000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8 지속 시간이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6 지속 시간의 5배 ~ 2000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1 지속 시간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3 지속 시간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와 동일하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5 지속 시간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7 지속 시간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1 지속 시간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3 지속 시간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의 2배 ~ 15배이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5 지속 시간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7 지속 시간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의 2배 ~ 15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은, 상기 전류 펄스 신호가 전하 균형 상태(charge-balanced)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은,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이 상기 제 1 지속 시간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와 상기 제 7 지속 시간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를 상기 제 11 채널로 제공하고, 상기 제 3 지속 시간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와 상기 제 5 지속 시간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를 상기 제 12 채널로 제공하며, 상기 제 1 지속 시간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와 상기 제 7 지속 시간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를 상기 제 21 채널로 제공하고, 상기 제 3 지속 시간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와 상기 제 5 지속 시간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를 상기 제 22 채널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은 눈에 근접한 다수의 영역에 부착되는 멀티 채널을 통해서 자극 신호로 전류 펄스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손상된 각막 신경을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멀티 채널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멀티 채널 유닛이 사람의 눈에 근접한 영역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멀티 채널 유닛 및 자극 신호 모듈이 사람의 눈에 근접한 영역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자극 신호 모듈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자극 신호 모듈에 채용되는 업 버튼 또는 다운 버튼의 압력 회수에 따른 전압 조절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자극 신호 모듈이 제공하는 전류 펄스 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멀티 채널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멀티 채널 유닛이 사람의 눈에 근접한 영역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멀티 채널 유닛 및 자극 신호 모듈이 사람의 눈에 근접한 영역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자극 신호 모듈의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자극 신호 모듈에 채용되는 업 버튼 또는 다운 버튼의 압력 회수에 따른 전압 조절 회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자극 신호 모듈이 제공하는 전류 펄스 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을 이용하여 치료하면서 0일, 3일 및 7일 경과한 후에 손상된 각막의 상피세포의 치료 정도를 측정한 사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을 이용하여 치료하면서 1주일, 2주일 및 4주일 경과한 후에 손상된 각막의 신경세포의 재생 정도를 공초점(confocal) 현미경으로 측정한 사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멀티 채널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멀티 채널 유닛이 사람의 눈에 근접한 영역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멀티 채널 유닛 및 자극 신호 모듈이 사람의 눈에 근접한 영역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자극 신호 모듈의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자극 신호 모듈에 채용되는 업 버튼 또는 다운 버튼의 압력 회수에 따른 전압 조절 회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자극 신호 모듈이 제공하는 전류 펄스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멀티 채널 유닛(1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좌측 눈 상부와 좌측 눈썹 사이에 부착되어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제 1 채널(1110)과, 상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우측 눈 상부와 우측 눈썹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제 2 채널(1120)과, 상기 제 1 채널(1110)과 상기 제 2 채널(1120)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자극 신호 모듈(120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컨택터(11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채널(1110), 상기 제 2 채널(1120) 및 상기 컨택터(1130)는 Ag, AgCl, Au, Pt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극 신호 모듈(1200)은 상기 제 1 채널(1110)과 상기 제 2 채널(1120)에 상기 자극 신호로 전류 펄스 신호를 제공하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고글을 착용하듯이, 사람의 눈과 코 사이에 착용될 수 있고, 상기 멀티 채널 유닛(1100)의 컨택터(1130)와 상기 자극 신호 모듈(1200)은 각각 자석이 배치되어 상기 멀티 채널 유닛(1100)의 컨택터(1130)와 상기 자극 신호 모듈(1200)이 소정의 범위 내로 접근하는 경우에, 상기 각각 배치되어 있는 자석의 인력에 의해서 상기 멀티 채널 유닛(1100)의 컨택터(1130)와 상기 자극 신호 모듈(1200)이 셀프 얼라인된다.
한편, 상술한 자극 신호 모듈(1200)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전류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자극 신호 제공부(1221, 1222)와, 상기 자극 신호 제공부(1221, 1222)를 제어하는 제어부(1210)와, 업 버튼(1231)과, 다운 버튼(1232)과,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부(1240)와, 충전부(1250)를 포함한다.
상기 자극 신호 모듈(1200)의 업 버튼(1231)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업 버튼(1231)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비례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증가되고, 상기 자극 신호 모듈(1200)의 다운 버튼(1232)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다운 버튼(1232)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반비례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감소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극 신호 모듈(1200)은 상기 업 버튼(1231)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업 버튼(1231)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비례해서 펄스 폭 변조 신호(PWM)의 펄스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운 버튼(1232)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다운 버튼(1232)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반비례해서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PWM)의 펄스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제어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업 버튼(1231)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가 3 회인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3개의 펄스 폭 변조 신호(PWM)가 트랜지스터(Q1)로 전달되어 3개의 펄스 폭 변조 신호(PWM) 동안에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므로, 3개의 펄스 폭 변조 신호(PWM) 동안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량에 비례해서 인덕터(L1)에 의해서 승압된 전압이 커패시터(C2, C3)에 충전된다. 따라서, 펄스 폭 변조 신호(PWM)의 개수에 비례해서 승압된 전압이 커패시터(C2, C3)에 충전되므로, 업 버튼(1231)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비례해서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반대로 다운 버튼(1232)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반비례해서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류 펄스 신호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지속 시간(1D) 동안에는 양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1 지속 시간(1D)의 다음인 제 2 지속 시간(2D)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이며, 상기 제 2 지속 시간(2D)의 다음인 제 3 지속 시간(3D) 동안에는 음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3 지속 시간(3D)의 다음인 제 4 지속 시간(4D)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이며, 상기 제 4 지속 시간(4D)의 다음인 제 5 지속 시간(5D) 동안에는 음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5 지속 시간(5D)의 다음인 제 6 지속 시간(6D)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이며, 상기 제 6 지속 시간(6D)의 다음인 제 7 지속 시간(7D) 동안에는 양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7 지속 시간(7D)의 다음인 제 8 지속 시간(8D)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로 구성된다.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4 지속 시간(4D)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2 지속 시간(2D)의 5배 ~ 2000배이며,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8 지속 시간(8D)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6 지속 시간(6D)의 5배 ~ 2000배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2 지속 시간(2D)이 5㎲인 경우에,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4 지속 시간(4D)은 25㎲ ~ 10,000㎲이며,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6 지속 시간(6D)이 5㎲인 경우에,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8 지속 시간(8D)은 25㎲ ~ 10,000㎲이다.
또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1 지속 시간(1D)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1A)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3 지속 시간(3D)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3A)와 동일하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5 지속 시간(5D)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5A)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7 지속 시간(7D)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7A)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1 지속 시간(1D)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1A)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3 지속 시간(3D)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3A)의 2배 ~ 15배이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5 지속 시간(5D)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5A)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7 지속 시간(7D)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7A)의 2배 ~ 15배이다.
예시적으로, 동일한 제 1 지속 시간(1D)과 제 3 지속 시간(3D) 동안에 제 3 지속 시간(3D)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이 1mA인 경우에 제 1 지속 시간(1D)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은 2mA ~ 15mA로 구성하며, 동일한 제 5 지속 시간(5D)과 제 7 지속 시간(7D) 동안에 제 7 지속 시간(7D)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이 1mA인 경우에 제 5 지속 시간(5D)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은 2mA ~ 15mA로 구성하여, 상기 전류 펄스 신호는 전하 균형 상태(charge-balanced)가 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1 지속 시간(1D)의 길이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3 지속 시간(3D)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5 지속 시간(5D)의 길이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7 지속 시간(7D)의 길이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1 지속 시간(1D)의 길이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3 지속 시간(3D)의 길이의 2배 ~ 15배이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5 지속 시간(5D)의 길이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7 지속 시간(7D)의 길이의 2배 ~ 15배이다.
예시적으로, 제 1 지속 시간(1D)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1A)와 제 3 지속 시간(3D)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3A)가 동일하고 제 3 지속 시간(3D)의 길이가 10㎲인 경우에 제 1 지속 시간(1D)은 20㎲ ~ 300㎲로 구성하며, 제 5 지속 시간(5D)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5A)와 제 7 지속 시간(7D)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7A)가 동일하고 제 7 지속 시간(7D)의 길이가 10㎲인 경우에 제 5 지속 시간(5D)은 20㎲ ~ 300㎲로 구성하여, 상기 전류 펄스 신호는 전하 균형 상태(charge-balanced)가 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자극 신호 모듈(1200)은 상기 제 1 지속 시간(1D)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와 상기 제 7 지속 시간(7D)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를 상기 제 1 채널(1110)로 제공하고, 상기 제 3 지속 시간(3D)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와 상기 제 5 지속 시간(5D)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를 상기 제 2 채널(1120)로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멀티 채널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멀티 채널 유닛이 사람의 눈에 근접한 영역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멀티 채널 유닛 및 자극 신호 모듈이 사람의 눈에 근접한 영역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자극 신호 모듈의 블록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자극 신호 모듈에 채용되는 업 버튼 또는 다운 버튼의 압력 회수에 따른 전압 조절 회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자극 신호 모듈이 제공하는 전류 펄스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멀티 채널 유닛(210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좌측 눈썹 상부에 부착되어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제 11 채널(2111)과, 상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좌측 눈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제 12 채널(2112)과, 상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우측 눈썹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제 21 채널(2121)과, 상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우측 눈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제 22 채널(2122)과, 상기 제 11 채널(2111)과 상기 제 21 채널(2121)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자극 신호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컨택터(21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1 채널(2111), 상기 제 12 채널(2112), 상기 제 21 채널(2121), 상기 제 22 채널(2122) 및 상기 컨택터(2130)는 Ag, AgCl, Au, Pt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극 신호 모듈(2200)은 상기 제 11 채널(2111), 상기 제 12 채널(2112), 상기 제 21 채널(2121) 및 상기 제 22 채널(2122)에 상기 자극 신호로 전류 펄스 신호를 제공하며,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고글을 착용하듯이, 사람의 눈과 코 사이에 착용될 수 있고, 상기 멀티 채널 유닛(2100)의 컨택터(2130)와 상기 자극 신호 모듈(2200)은 각각 자석이 배치되어 상기 멀티 채널 유닛(2100)의 컨택터(2130)와 상기 자극 신호 모듈(2200)이 소정의 범위 내로 접근하는 경우에, 상기 각각 배치되어 있는 자석의 인력에 의해서 상기 멀티 채널 유닛(2100)의 컨택터(2130)와 상기 자극 신호 모듈(2200)이 셀프 얼라인된다.
한편, 상술한 자극 신호 모듈(2200)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전류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자극 신호 제공부(2221, 2222)와, 상기 자극 신호 제공부(2221, 2222)를 제어하는 제어부(2210)와, 업 버튼(2231)과, 다운 버튼(2232)과,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부(2240)와, 충전부(2250)를 포함한다.
상기 자극 신호 모듈(2200)의 업 버튼(2231)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업 버튼(2231)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비례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증가되고, 상기 자극 신호 모듈(2200)의 다운 버튼(2232)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다운 버튼(2232)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반비례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감소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극 신호 모듈(2200)은 상기 업 버튼(2231)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업 버튼(2231)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비례해서 펄스 폭 변조 신호(PWM)의 펄스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운 버튼(2232)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다운 버튼(2232)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반비례해서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PWM)의 펄스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제어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업 버튼(2231)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가 3 회인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3개의 펄스 폭 변조 신호(PWM)가 트랜지스터(Q1)로 전달되어 3개의 펄스 폭 변조 신호(PWM) 동안에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므로, 3개의 펄스 폭 변조 신호(PWM) 동안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량에 비례해서 인덕터(L1)에 의해서 승압된 전압이 커패시터(C2, C3)에 충전된다. 따라서, 펄스 폭 변조 신호(PWM)의 개수에 비례해서 승압된 전압이 커패시터(C2, C3)에 충전되므로, 업 버튼(2231)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비례해서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반대로 다운 버튼(2232)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반비례해서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류 펄스 신호는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지속 시간(1D) 동안에는 양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1 지속 시간(1D)의 다음인 제 2 지속 시간(2D)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이며, 상기 제 2 지속 시간(2D)의 다음인 제 3 지속 시간(3D) 동안에는 음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3 지속 시간(3D)의 다음인 제 4 지속 시간(4D)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이며, 상기 제 4 지속 시간(4D)의 다음인 제 5 지속 시간(5D) 동안에는 음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5 지속 시간(5D)의 다음인 제 6 지속 시간(6D)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이며, 상기 제 6 지속 시간(6D)의 다음인 제 7 지속 시간(7D) 동안에는 양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7 지속 시간(7D)의 다음인 제 8 지속 시간(8D)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로 구성된다.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4 지속 시간(4D)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2 지속 시간(2D)의 5배 ~ 2000배이며,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8 지속 시간(8D)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6 지속 시간(6D)의 5배 ~ 2000배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2 지속 시간(2D)이 5㎲인 경우에,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4 지속 시간(4D)은 25㎲ ~ 10,000㎲이며,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6 지속 시간(6D)이 5㎲인 경우에,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8 지속 시간(8D)은 25㎲ ~ 10,000㎲이다.
또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1 지속 시간(1D)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1A)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3 지속 시간(3D)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3A)와 동일하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5 지속 시간(5D)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5A)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7 지속 시간(7D)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7A)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1 지속 시간(1D)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1A)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3 지속 시간(3D)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3A)의 2배 ~ 15배이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5 지속 시간(5D)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5A)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7 지속 시간(7D)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7A)의 2배 ~ 15배이다.
예시적으로, 동일한 제 1 지속 시간(1D)과 제 3 지속 시간(3D) 동안에 제 3 지속 시간(3D)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이 1mA인 경우에 제 1 지속 시간(1D)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은 2mA ~ 15mA로 구성하며, 동일한 제 5 지속 시간(5D)과 제 7 지속 시간(7D) 동안에 제 7 지속 시간(7D)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이 1mA인 경우에 제 5 지속 시간(5D)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은 2mA ~ 15mA로 구성하여, 상기 전류 펄스 신호는 전하 균형 상태(charge-balanced)가 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1 지속 시간(1D)의 길이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3 지속 시간(3D)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5 지속 시간(5D)의 길이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7 지속 시간(7D)의 길이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1 지속 시간(1D)의 길이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3 지속 시간(3D)의 길이의 2배 ~ 15배이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5 지속 시간(5D)의 길이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7 지속 시간(7D)의 길이의 2배 ~ 15배이다.
예시적으로, 제 1 지속 시간(1D)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1A)와 제 3 지속 시간(3D)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3A)가 동일하고 제 3 지속 시간(3D)의 길이가 10㎲인 경우에 제 1 지속 시간(1D)은 20㎲ ~ 300㎲로 구성하며, 제 5 지속 시간(5D)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5A)와 제 7 지속 시간(7D)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7A)가 동일하고 제 7 지속 시간(7D)의 길이가 10㎲인 경우에 제 5 지속 시간(5D)은 20㎲ ~ 300㎲로 구성하여, 상기 전류 펄스 신호는 전하 균형 상태(charge-balanced)가 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자극 신호 모듈(2200)은 상기 제 1 지속 시간(1D)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와 상기 제 7 지속 시간(7D)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를 상기 제 11 채널(2111)로 제공하고, 상기 제 3 지속 시간(3D)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와 상기 제 5 지속 시간(5D)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를 상기 제 12 채널(2112)로 제공하며, 상기 제 1 지속 시간(1D)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와 상기 제 7 지속 시간(7D)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를 상기 제 21 채널(2121)로 제공하고, 상기 제 3 지속 시간(3D)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와 상기 제 5 지속 시간(5D)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를 상기 제 22 채널(2122)로 제공한다. 즉, 상기 자극 신호 모듈(2200)은 제 11 채널(2111)과 제 21 채널(2121)에 동일한 전류 펄스 신호를 제공하고, 제 12 채널(2112)과 제 22 채널(2122)에 동일한 전류 펄스 신호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을 이용하여 손상된 각막 신경을 치료했던 실험 결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을 이용하여 치료하면서 0일, 3일 및 7일 경과한 후에 손상된 각막의 상피세포의 치료 정도를 측정한 사진이다. 여기에서, 대조군은 각막의 일부를 절삭하는 시력교정술을 시술받은 환자의 각막에 통상의 치료(예를 들면, 항생제 투여)를 받은 후에 손상된 각막을 측정했고, 제 1 프로토콜 실험군은 각막의 일부를 절삭하는 시력교정술을 시술받은 환자의 각막에 통상의 치료(예를 들면, 항생제 투여)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을 이용하여 20 Hz의 전류 펄스 신호로 손상된 각막 신경을 치료하면서 손상된 각막을 측정했으며, 제 2 프로토콜 실험군은 각막의 일부를 절삭하는 시력교정술을 시술받은 환자의 각막에 통상의 치료(예를 들면, 항생제 투여)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을 이용하여 2 Hz의 전류 펄스 신호로 손상된 각막 신경을 치료하면서 손상된 각막을 측정했다.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0일차에는 대조군, 제 1 프로토콜 실험군 및 제 2 프로토콜 실험군은 서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3일 경과한 후에는 대조군의 상대 상처 면적은 54%가 잔존했고, 제 1 프로토콜 실험군의 상대 상처 면적은 32%가 잔존했으며, 제 2 프로토콜 실험군의 상대 상처 면적은 39%가 잔존했다.
한편, 7일 경과한 후에는 대조군의 상대 상처 면적은 31%가 잔존했고, 제 1 프로토콜 실험군의 상대 상처 면적은 4.7%가 잔존했으며, 제 2 프로토콜 실험군의 상대 상처 면적은 9.0%가 잔존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을 이용하여 치료하면서 7일, 14일 및 28일 경과한 후에 손상된 각막의 신경세포의 재생 정도를 공초점(confocal) 현미경으로 측정한 사진이다. 여기에서, 대조군은 각막의 일부를 절삭하는 시력교정술을 시술받은 환자의 각막에 통상의 치료(예를 들면, 항생제 투여)를 받은 후에 손상된 각막의 신경세포의 재생 정도를 측정했고, 실험군은 각막의 일부를 절삭하는 시력교정술을 시술받은 환자의 각막에 통상의 치료(예를 들면, 항생제 투여)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을 이용하여 손상된 각막 신경을 치료하면서 손상된 각막의 신경세포의 재생 정도를 측정했다.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시간이 더 많이 경과될수록 손상된 각막의 신경세포가 더욱 활발하게 재생됨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좌측 눈 상부와 좌측 눈썹 사이에 부착되어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제 1 채널과, 상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우측 눈 상부와 우측 눈썹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제 2 채널을 포함하는 멀티 채널 유닛; 및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에 상기 자극 신호로 전류 펄스 신호를 제공하는 자극 신호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 채널 유닛은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자극 신호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컨택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 펄스 신호는 제 1 지속 시간 동안에는 양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1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2 지속 시간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이며, 상기 제 2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3 지속 시간 동안에는 음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3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4 지속 시간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이며, 상기 제 4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5 지속 시간 동안에는 음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5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6 지속 시간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이며, 상기 제 6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7 지속 시간 동안에는 양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7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8 지속 시간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로 구성되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1 지속 시간의 길이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3 지속 시간의 길이의 2배 ~ 15배이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5 지속 시간의 길이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7 지속 시간의 길이의 2배 ~ 15배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 채널 유닛의 컨택터와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은 각각 자석이 배치되어 상기 멀티 채널 유닛의 컨택터와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이 소정의 범위 내로 접근하는 경우에, 상기 각각 배치되어 있는 자석의 인력에 의해서 상기 멀티 채널 유닛의 컨택터와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이 셀프 얼라인되는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의 업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업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비례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증가되고,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의 다운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다운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반비례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감소되는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은 상기 업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업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비례해서 펄스 폭 변조 신호의 펄스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운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다운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반비례해서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펄스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4 지속 시간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2 지속 시간의 5배 ~ 2000배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8 지속 시간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6 지속 시간의 5배 ~ 2000배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1 지속 시간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3 지속 시간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와 동일하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5 지속 시간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7 지속 시간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와 동일한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1 지속 시간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3 지속 시간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의 2배 ~ 15배이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5 지속 시간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7 지속 시간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의 2배 ~ 15배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는 전하 균형 상태(charge-balanced)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는 전하 균형 상태(charge-balanced)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은 상기 제 1 지속 시간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와 상기 제 7 지속 시간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를 상기 제 1 채널로 제공하고, 상기 제 3 지속 시간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와 상기 제 5 지속 시간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를 상기 제 2 채널로 제공하는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12.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좌측 눈썹 상부에 부착되어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제 11 채널과, 상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좌측 눈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제 12 채널과, 상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우측 눈썹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제 21 채널과, 상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우측 눈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제 22 채널을 포함하는 멀티 채널 유닛; 및
    상기 제 11 채널, 상기 제 12 채널, 상기 제 21 채널 및 상기 제 22 채널에 상기 자극 신호로 전류 펄스 신호를 제공하는 자극 신호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 채널 유닛은 상기 제 11 채널과 상기 제 21 채널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자극 신호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컨택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 펄스 신호는 제 1 지속 시간 동안에는 양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1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2 지속 시간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이며, 상기 제 2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3 지속 시간 동안에는 음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3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4 지속 시간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이며, 상기 제 4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5 지속 시간 동안에는 음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5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6 지속 시간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이며, 상기 제 6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7 지속 시간 동안에는 양의 전류 펄스 신호이고, 상기 제 7 지속 시간의 다음인 제 8 지속 시간 동안에는 0의 전류 신호로 구성되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1 지속 시간의 길이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3 지속 시간의 길이의 2배 ~ 15배이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5 지속 시간의 길이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7 지속 시간의 길이의 2배 ~ 15배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멀티 채널 유닛의 컨택터와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은 각각 자석이 배치되어 상기 멀티 채널 유닛의 컨택터와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이 소정의 범위 내로 접근하는 경우에, 상기 각각 배치되어 있는 자석의 인력에 의해서 상기 멀티 채널 유닛의 컨택터와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이 셀프 얼라인되는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의 업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업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비례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증가되고,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의 다운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다운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반비례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감소되는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은 상기 업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업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비례해서 펄스 폭 변조 신호의 펄스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운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다운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회수에 반비례해서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펄스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4 지속 시간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2 지속 시간의 5배 ~ 2000배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8 지속 시간은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6 지속 시간의 5배 ~ 2000배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1 지속 시간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3 지속 시간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와 동일하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5 지속 시간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7 지속 시간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와 동일한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19.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1 지속 시간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3 지속 시간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의 2배 ~ 15배이고,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5 지속 시간의 음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는 상기 전류 펄스 신호의 제 7 지속 시간의 양의 펄스 전류 신호의 절대값의 크기의 2배 ~ 15배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는 전하 균형 상태(charge-balanced)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21.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류 펄스 신호는 전하 균형 상태(charge-balanced)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22.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자극 신호 모듈은 상기 제 1 지속 시간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와 상기 제 7 지속 시간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를 상기 제 11 채널로 제공하고, 상기 제 3 지속 시간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와 상기 제 5 지속 시간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를 상기 제 12 채널로 제공하며, 상기 제 1 지속 시간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와 상기 제 7 지속 시간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를 상기 제 21 채널로 제공하고, 상기 제 3 지속 시간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와 상기 제 5 지속 시간 동안의 전류 펄스 신호를 상기 제 22 채널로 제공하는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PCT/KR2020/000469 2019-04-16 2020-01-10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WO2020213819A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28584.7A CN113677393B (zh) 2019-04-16 2020-01-10 用于受损角膜神经再生的多通道刺激系统
EP20791493.8A EP3957357B1 (en) 2019-04-16 2020-01-10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ng damaged corneal nerves
BR112021020621A BR112021020621A2 (pt) 2019-04-16 2020-01-10 Sistema de estimulação multicanal para regenerar nervos da córnea danificados
AU2020257753A AU2020257753B2 (en) 2019-04-16 2020-01-10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ng damaged corneal nerves
CA3135938A CA3135938C (en) 2019-04-16 2020-01-10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ng damaged corneal nerves
GB2114033.0A GB2596694B (en) 2019-04-16 2020-01-10 Multichannel stimulation system for regenerating damaged corneal nerves
JP2021561646A JP7245929B2 (ja) 2019-04-16 2020-01-10 損傷された角膜神経の再生のためのマルチチャンネル刺激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505 2019-04-16
KR1020190044505A KR102064546B1 (ko) 2019-04-16 2019-04-16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3819A1 true WO2020213819A1 (ko) 2020-10-22

Family

ID=6915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0469 WO2020213819A1 (ko) 2019-04-16 2020-01-10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695566B1 (ko)
EP (1) EP3957357B1 (ko)
JP (1) JP7245929B2 (ko)
KR (1) KR102064546B1 (ko)
CN (1) CN113677393B (ko)
AU (1) AU2020257753B2 (ko)
BR (1) BR112021020621A2 (ko)
CA (1) CA3135938C (ko)
GB (1) GB2596694B (ko)
WO (1) WO20202138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546B1 (ko) * 2019-04-16 2020-01-09 주식회사 뉴아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KR102409445B1 (ko) * 2020-06-02 2022-06-14 주식회사 뉴아인 안면 신경 자극 시스템
KR20220122174A (ko) 2021-02-26 2022-09-0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신경세포 재생 및 면역질환 억제를 위한 장치
KR20230126977A (ko) * 2022-02-24 2023-08-3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각막조직 재생을 위한 미세전류 자극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2872A (ja) * 1993-11-12 1995-06-02 Sanyo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WO2017048731A1 (en) * 2015-09-15 2017-03-23 Amerivision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ocular microcurrent stimulation therapy
KR20170132236A (ko) * 2015-03-30 2017-12-01 세팔리 테크놀로지 에스피알엘 삼차 신경의 경피 전기 자극을 위한 장치
KR20180125997A (ko) 2016-03-16 2018-11-26 노바 오큘러스 캐나다 매뉴팩처링 유엘씨 시각 질환 치료용 미세전류 장치 및 방법
KR102064546B1 (ko) * 2019-04-16 2020-01-09 주식회사 뉴아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KR102064547B1 (ko) * 2019-04-16 2020-01-09 주식회사 뉴아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사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796B1 (ko) * 2004-07-09 2006-06-19 주식회사 대창 복합식 토출관을 구비한 얼음 디스펜서
US20070244523A1 (en) * 2006-04-13 2007-10-18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retinal stimulation
US20130066283A1 (en) * 2009-10-23 2013-03-14 Nexisvision, Inc. Corneal Denervation for Treatment of Ocular Pain
AU2011242889B2 (en) 2010-04-19 2014-05-22 Boston Scientific Neuromodulation Corporation Neurostimulation system with means for activating an incremental energy transition
US9199080B2 (en) * 2011-09-12 2015-12-01 Okuvision Gmbh Method for treating an eye
US10293161B2 (en) * 2013-06-29 2019-05-21 Thync Global,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transdermal electrical stimulation of nerves to modify or induce a cognitive state
ES2696707T3 (es) * 2013-06-29 2019-01-17 Cerevast Medical Inc Dispositivos de estimulación eléctrica transcutánea y métodos para modificar o inducir el estado cognitivo
WO2016138025A2 (en) * 2015-02-23 2016-09-01 Tissuetech,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treating ophthalmic diseases and disorders
JP6763510B2 (ja) 2015-06-10 2020-09-30 国立大学法人千葉大学 網膜に電気刺激を与え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EP3481492B1 (en) * 2016-07-08 2024-03-13 Cala Health, Inc. Systems for stimulating n nerves with exactly n electrodes and improved dry electrodes
WO2018203132A1 (en) * 2017-05-02 2018-11-08 Nova Oculus Canada Manufacturing Ulc Direct electrical stimulation delivery system for the treatment of visual diseas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2872A (ja) * 1993-11-12 1995-06-02 Sanyo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KR20170132236A (ko) * 2015-03-30 2017-12-01 세팔리 테크놀로지 에스피알엘 삼차 신경의 경피 전기 자극을 위한 장치
WO2017048731A1 (en) * 2015-09-15 2017-03-23 Amerivision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ocular microcurrent stimulation therapy
KR20180125997A (ko) 2016-03-16 2018-11-26 노바 오큘러스 캐나다 매뉴팩처링 유엘씨 시각 질환 치료용 미세전류 장치 및 방법
KR102064546B1 (ko) * 2019-04-16 2020-01-09 주식회사 뉴아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KR102064547B1 (ko) * 2019-04-16 2020-01-09 주식회사 뉴아인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사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7357A1 (en) 2022-02-23
BR112021020621A2 (pt) 2021-12-07
CA3135938C (en) 2023-10-17
CN113677393B (zh) 2023-11-03
CA3135938A1 (en) 2020-10-22
AU2020257753B2 (en) 2022-11-17
GB2596694A (en) 2022-01-05
EP3957357B1 (en) 2024-05-22
GB2596694B (en) 2022-10-05
EP3957357A4 (en) 2022-07-06
CN113677393A (zh) 2021-11-19
JP7245929B2 (ja) 2023-03-24
AU2020257753A1 (en) 2021-10-28
US10695566B1 (en) 2020-06-30
GB202114033D0 (en) 2021-11-17
KR102064546B1 (ko) 2020-01-09
JP2022539940A (ja)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13819A1 (ko)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
WO2020213820A1 (ko) 손상된 각막 신경 재생을 위한 멀티 채널 자극 시스템의 사용 방법
White et al. Multichannel cochlear implants: Channel interactions and processor design
WO2019142995A1 (ko) 신경 자극기
DE60141574D1 (de) Künstliche netzhaut mit stimulations- und rückführelektrodenan gegenüberliegenden seiten der neuroretina und verfahren zur anbringung
WO2021187877A1 (ko)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2138169A2 (ko) 오심·구토 제어용 저주파 전기 자극 신호 발생장치
Della Santina et al. Electrical stimulation to restore vestibular function development of a 3-d vestibular prosthesis
WO2012157948A2 (ko) 다채널 전기 자극용 글러브 및 이를 이용한 치료 시스템
Sabel Unrecognized Potential of Surviving Neurons:: Within-systems Plasticity, Recovery of Function, and the Hypothesis of Minimal Residual Structure
Engelage et al. Enucleation enhances ipsilateral flash evoked responses in the ectostriatum of the zebra finch (Taeniopygia guttata castanotis Gould)
Dedo et al. Current evidence for the organic etiology of spastic dysphonia
WO2018174439A1 (ko) 대비 감도 향상을 위한 인공 망막 시스템
Broussard et al. Expression of motor learning in the response of the primate vestibuloocular reflex pathway to electrical stimulation
WO2023096360A1 (ko) 복합 자극의 제어 방법 및 복합 자극 장치
Otto Restoration of function in the paralyzed rabbit orbicularis oculi muscle by direct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WO2022182037A1 (ko) 신경세포 재생 및 면역질환 억제를 위한 장치
WO2019190012A1 (ko) 이미지 떨림 기능을 가진 인공 망막 자극기 및 장치
WO2018105940A1 (ko) 인공 망막 시스템
WO2021221322A1 (ko) 신체 기관에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전극선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시스템
Dinse et al. Auditory cortical plasticity under operation: reorganization of auditory cortex induced by electric cochlear stimulation reveals adaptation to altered sensory input statistics
WO2023163484A1 (ko) 각막조직 재생을 위한 미세전류 자극장치
WO2023075014A1 (ko) 비침습적 전기 자극 방법 및 장치
Low et al. Voltage clamp study of electrophysiologically-identified horizontal cells in carp retina
WO2024090875A1 (ko) 신경 신호 분석에 기반한 적응형 뇌자극 조절 시스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914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14033

Country of ref document: GB

Kind code of ref document: A

Free format text: PCT FILING DATE = 20200110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3135938

Country of ref document: C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61646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21020621

Country of ref document: BR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257753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200110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7914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1116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21020621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ffective date: 2021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