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96975A1 -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 Google Patents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96975A1
WO2020196975A1 PCT/KR2019/004195 KR2019004195W WO2020196975A1 WO 2020196975 A1 WO2020196975 A1 WO 2020196975A1 KR 2019004195 W KR2019004195 W KR 2019004195W WO 2020196975 A1 WO2020196975 A1 WO 202019697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film
fabric
measuring
sil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419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전관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큐브머티리얼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큐브머티리얼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큐브머티리얼즈
Publication of WO202019697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9697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2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125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e of electrod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for measuring a living body signal.
  • an electrode In order to measure a vital signal such as an electrocardiogram, an electrode must be attached to the skin. Usually used by attaching a clip or patch with electrodes to the skin, but the activity is not free, and the method of attaching the patch using a tape causes skin rash when used for a long time.
  • FIGS. 1 and 2 are exemplary diagrams of Toray's smart wear products.
  • pads are directly attached to or formed by using nanofiber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conductive fiber manufacturing technology. This is a method of attaching to the human body by applying water to the conductive cloth of the electrode part and using it as an electrolyte.
  • this is an example diagram of a smart wear measuring ECG of OM Signal in Canada. This is a method of making electrodes and wires with silver thread, pressing strongly against the body with elastic clothes, and measuring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by putting water on the electrodes (US 2018/0249767 A1).
  • the electrode structure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uses an electrically conductive fiber.
  • Silver nitrate or silver sulfate is reduced to pure silver on polyester fiber, and when coated, electrical conductivity occurs in the fiber.
  •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olyester fiber made in this way is called silver yarn, and its electrical conductivity is between 10 and 100 ohms per m.
  • the silver thread is installed on the sewing machine instead of the lower thread, and it is sewn into clothing along with the general thread and used as an electric wire, or is inserted at regular intervals when weaving fabric to give the fabric and clothing electrical conductivity.
  • Eunsa is used for washing durability of only 10 times, reinforcing durability by connecting a number of wires in parallel, and reducing the problem caused by disconnection rather than eliminating it.
  • the conventional products as described above did not have an electrostatic shielding structure or function of the electrode portion.
  • static electricity becomes noise and enters the transmitter, and only a part of the signal processing of the smartphone is filtered, leaving it as noise in the ECG graph.
  • a method of making an electrode by crimping silver thread on a fabric in a zigzag manner, and a method of making a conductive cloth by cross-weaving silver and ordinary fibers, and cutting it and using it as an electrode are mainly used.
  • Japanese NTT DATA made a conductive cloth by weaving a conductive polymer coated fiber, and cut it and used it as an electrode. This is the case where silver is replaced by a conductive polymer.
  • the contact resistance of the electrode with the human body is about 3Mohm, so that the ECG signal is difficult to pick up. Therefore, it is a method of lowering contact resistance by gradually sweating or applying water to the electrode in advance, and if sweat or water acts as an electrolyt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human body, it falls to the level of 0.5M ⁇ and is a moisture-dependent electrode that can catch high signal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de structure capable of measuring a living body signal that can be washed by attaching to a smart wear, an electrode structure having an electrostatic shielding function, an electrode with improved electrical adhesion to the human body, and a smart wear using the same. It is to do.
  • a silver coated cloth can be considered as a washable electrode.
  • the silver gradually falls off by washing, so that durability is poor, and the resistance value changes due to moisture.
  • The'fabric reinforced silver coating film' is a film in which a fabric with excellent strength is sandwiched between flexible hot melt films and thermally bonded to each other, and a silver coating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film.
  • clothing is made by entangled fibers, which are fine non-conductors with a thickness of several ⁇ m, and static electricity is generated when friction occurs between them. Such static electricity flows into the bio-signal measuring electrode and lowers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signal.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in two layers by inserting an insulating layer between two sheets of fabric-reinforced silver coating film.
  • the film attached to clothing is made larger than the film attached to the human body.
  • the electrode structure for measuring a bio-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and firmly attached to clothing by using a fabric-reinforced hot melt film as an electrode base, and it is soft and flexible, yet has excellent tensile strength and does not stretch well unlike ordinary hot melts.
  • the fabric reinforced hot melt film by applying silver coating to the fabric reinforced hot melt fil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between silver particles from being broken due to the elongation of the film. Accordingly, it can be attached to clothes and washed, and normal vital signs can be measured even during physical activities such as exercise.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departure from the human body and enabling accurate biometric signal measurement even in movements with a large amount of exercise by additionally using an electrode coating gel or silicon electrode that can improve the electrical contact performance with the human body. .
  • 1 and 2 are examples of smart wear products for measuring biometric signals according to the prior art.
  • 3A to 3D are explanatory diagrams of an electrode structure for measuring a biological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electrode for measuring a biological signal and a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show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5A and 5B are configuration diagrams of an electrode structure for measuring a living body signal having an electrostatic shie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of a conductive silicone adhesive pad for a biosignal measuring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of a conductive silicone adhesive pad for a biosignal measuring electr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A) to (C) is an exemplary shape of the bio-signal measuring electrode for smar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A) to (D) is another shape example of the bio-signal measuring electrode for smar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mart wear electrode configuration for measuring an electrocardi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A) to (D) is an example of the attachment position and shape of the electrode for smart wear for measuring the electrocardi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reinforcing fabric is inserted between two hot melt films and formed into one body by thermocompression, and a silver coated sid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abric-reinforced hot melt film to produce a fabric-reinforced silver coated film,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silver coated It provides a bio-signal measuring electrode structure for smart wear that is attached to clothing by thermocompressing it on clothing.
  • the hot melt contains TPU and has excellent flexibility, and as the reinforcing fabric, a polyester plain mesh fabric is used, and the silver coated surface is coated using silver nanowire ink using TPU as a binder. It is characterized.
  • a biosignal measurement electrode structure for a smart we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a waterproof film is coated on the reinforcing fabric, silver ink is coated on the waterproof film to form a silver coated surface, and a hot melt is thermally pressed to the fabric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ilver coating to form a fabric reinforced silver coating film, and the hot mel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mart bio-signal measuring electrode structure that attaches a part to clothing by thermocompression.
  • the reinforcing fabric is preferably made of a weaving method that has excellent tensile strength and does not stretch well, such as polyester plain weave and twill weav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waterproof membrane coated with PU or TPU so that flexibility such as a fabric comes out.
  • the hot melt is attach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ilver coating of the fabric, and the hot melt does not penetrate well when the fabric of the clothing is densely woven when adhering to the clothing. Hot melt can be attached.
  • a polymer film such as polyester or polyimide film may be used instead of the fabric for coating the waterproof film, and a soft film such as hot melt or PU or TPU may be coated or added to the polymer film. It is less flexible than the fabric, but the rustling disappears.
  • Alternative hot melts include EVA-based hot melt, amide-based hot melt, polyester-based hot melt, PE-based hot melt, and PP-based hot melt.
  • It is composed of a laminated structure by coating an insulating film on the silver coated surface of the first fabric-reinforced silver coating film for attaching to clothing, and attaching a second fabric-reinforced silver coating film for electrodes to contact the human bod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sulating film. It features.
  • the edge outline of the first fabric-reinforced silver coating film protrudes outward wider than the edge outline of the insulating film, and the edge outline of the insulating film protrudes outward wider than the edge outline of the second fabric-reinforced silver coating fil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tacked in a size that is.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ir circulation hole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ilm constituting the electrode so as to prevent skin rash when used for a long time.
  • irregularities may be formed on the silver-coated surface of the electrode pad to reduce skin rash, or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holes may be formed together with the formation of irregularities.
  • a gel applied to an electrode is prepared by mixing an aloe gel component, water, and glycerin to reduce electrical contact resistance with the human body.
  • a conductive silicone adhesive pad attached to the fabric-reinforced silver coating film may be further included to reduce electrical contact resistance with the human body.
  • the conductive silicone adhesive pad is a conductive silicone adhesive pad coated with silicone mixed with glycerin and a conductive filler on both sides of a polymer nonwoven fabric or polymer fabric, or coated with silicone mixed with a conductive filler on both sides of a polymer nonwoven fabric or polymer fabric, and the It may be a conductive silicone adhesive pad coated with glycerin on the surface of the silicone.
  • the electrod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 scissors type electrode unit by splitting a line type electrode uni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to two or more branches.
  • the branch part is divided into a "Y" shape di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or a tree branch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branches are formed.
  • it may be a "c" type or a "t” typ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o be divided.
  • a pair of electrode portions may be attached to the clothing having good elasticity so as to contact the ribs on the side of the human body.
  • a silver-coated cloth can be considered as a washable electrode.
  • the silver gradually falls off by washing, resulting in poor durability, and the resistance value is changed by moisture.
  • The'fabric reinforced silver coating film' is a film in which a fabric with excellent strength is sandwiched between flexible hot melt films and thermally bonded to each other, and a silver coating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film.
  • 3A to 3D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lectrode structure for measuring a biological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 the reinforcing fabric 12 is inserted between the two hot melt films 11 and thermally compressed to form one body (Fig. 3 (A)).
  • a silver coating is applied to either side of the fabric-reinforced hot melt film (Fig. 3(B)).
  • Fabric-reinforced silver coating film 10 is produced (Fig. 3 (C)).
  •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ilver coating may be attached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to the clothing 50.
  • the hot melt film 11a is melted and impregnated into the fabric of the clothing 50 (FIG. 3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bric-reinforced silver coating film 10 with a bio-signal measuring electrode structure for smart wear.
  • the hot melt film 11 is a film composed of EVA, TPU, polyamide, wax, etc., having a low melting point and good adhesion. It is generally used as a thin adhesive in clothes, shoes, and bags.
  • the hot melt flows into the hot melt film 11 and the fabric is reinforced in the middle to form a hot melt film. It can be attached to clothing by heating it again, and it is soft and flexible, and unlike ordinary hot melts, it has excellent tensile strength and does not stretch well.
  • the silver coating surface 13 By forming the silver coating surface 13 he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between the silver particles from being broken due to the elongation of the film.
  • the hot melt film 11 contains TPU and has excellent flexibility.
  • Polyester mesh was used as the reinforcing fabric 12. It was a 200 mesh plain weave and had a thickness of 90 um. Plain weave mesh was found to be the best material for this technology. This is because thick polyester single yarn is used so that it does not stretch well and has excellent tensile strength. In addition, the mesh has more pores than ordinary fabrics, so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well bent.
  • the silver coated surface 13 is made of silver nanowire. Silver nanowires are resistant to folding and bending, so form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surface on clothing is the most durable material for washing.
  • the binder uses TPU to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hot melt, and secures the flexibility of the silver coated surface (13).
  • the coating thickness was made with an average of 5 ⁇ m,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0.2 ohm/sq in terms of sheet resistance.
  • the hot melt adhesive method is a method of partially impregnating the clothes by melting the hot melt by applying heat and pressure.
  • the hot melt film 11 is impregnated in both the clothing 50 and the reinforcing fabric 12 to have a strong adhesive strength with excellent washing durability.
  • Two kinds of'fabric reinforced silver coating film' can be produced.
  • One is a film composed of a hot-melt film and a silver coated surface in which the fabric is embedded as a reinforcing material
  • the other is a film in which a waterproof film is formed with a polymer on one side of the fabric and a silver coated surface is formed on the waterproof film.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de structure for measuring a biological signal and a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show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waterproof film silver coating film forms a waterproof film 22 by coating a polymer on the fabric 21.
  • a silver coating name 23 is formed on the waterproof film 22.
  • a hot melt film 24 is attach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ilver coated surface 23.
  • Direct printing or coating of silver ink on the fabric cannot have good adhesion strength and durability due to the property that the fabric absorbs only the binder first.
  • a method of forming a waterproof film 22 on the fabric 21 and printing silver ink on the waterproof film 22 was used. It is preferable to use the waterproof membrane 22 coated with PU or TPU so that the fabric-like flexibility comes out. Silver coating is applied to this waterproofing film.
  • the fabric 21 is preferably made of a weaving method that has excellent tensile strength and does not stretch well, such as polyester plain weave and twill weave.
  • a hot melt 24 is attach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abric 21 in the silver coating direction, and the hot melt is melted and bonded to the clothing in the subsequent assembly process. Because hot melt does not fit well into dense fabrics, PU or TPU coated in several ⁇ m thickness may be used to improve the adhesion of hot melt.
  • a polymer film having a high tensile strength may be used, which does not stretch as well as polyester or polyimide film, although performance is deteriorated. If a stiff polymer film is coated or added with a soft film such as hot melt or PU, TPU, the flexibility is lower than that of the fabric, but the rustling disappears.
  • the fabric 21 used as a reinforcing material in the above may be a non-woven fabric or a thin fabric instead of a mesh.
  • non-woven fabrics have low tensile strength and general fabrics have a high hot-melt absorption because they are thick. Therefore, thin or strong nonwoven fabrics are suitable.
  • the alternative hot melt 24 includes an EVA-based hot melt, an amide-based hot melt, a polyester-based hot melt, a PE-based hot melt, and a PP-based hot melt.
  • a silver flake may be used, or a conductive paste obtained by mixing silver nanowire and silver flake may be used.
  • Silver flakes are plate-shaped silver with a thickness of 200 nm and a diameter of about 6 ⁇ m, and when printed in a paste form, they create a stacked structure in which the silver flakes are stacked, maintaining electrical conductivity in bending or bending. The change in conductivity is larger than that of silver nanowir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CG-measured clothing that allows a change in conductivity by washing up to 10 kohm, silver flakes can also be used as washable electrically conductive electrodes.
  • ECG measurement smart clothing measures a signal with a potential as low as 1mV from the heart muscle and transmits it to a transmitter.
  • static electricity is the cause of the most noise or distortion of the waveform.
  • Clothing is made by intertwining fine non-conductor fibers with a thickness of several ⁇ m, and static electricity is generated when friction occurs between them.
  • the ECG signal is not captured.
  •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fiber polarizes the hot melt, which generates a voltage on the silver-coated electrode or wire.
  • Ground electrodes and ground wires were introduced to block or reduce the inflow of static electricity to electrodes and wires. This structure and function was not found in existing smart clothing, and because existing products use silver thread, it is quite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make double electrodes or wires.
  • 5A and 5B are configuration diagrams of an electrode for measuring a living body signal having an electrostatic shie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ctrode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is a static electricity shielding electrode 110 attached to clothing, and the edge of the electrode surface of the static electricity shielding electrode 110 has a predetermined width.
  • the insulating layer 120 is formed to be exposed, and the bio-signal measuring electrode 130 is formed so that the edge of the insulating layer 120 is exposed to a predetermined width.
  • the electrodes 110 and 130 may have the configuration of FIG. 3. It may be composed of a fabric-reinforced silver coating film 10 formed by inserting a reinforcing fabric 12 between two sheets of hot melt film 11 and then thermocompression bonding, and forming a silver coated surface 13 on one side.
  • the electrodes 110 and 130 may have the configuration of FIG. 4.
  • a waterproof film with a polymer waterproof film 2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material 21, a silver coated surface 2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proof film 22, and a hot melt 24 attached to the silver coating surface It may be composed of a coating film 20.
  • the static electricity shielding electrode 110 and the bio-signal measuring electrode 130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or different configurations.
  • the main technique is to make two layers of silver coated film.
  • the electrode film for static electricity shielding attached to clothing among the two layers is made larger than the electrode film for measuring biometric signals attached to the human body. That is, the exposed electrode surface of the electrostatic shielding electrode 110 and the electrode surface of the biosignal measuring electrode 130 are both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 the most important part is to make the electrode shield structure.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reduce about 70% of the static electricity captured by the ECG signal. In addition, about 80% of static electricity could be reduced through the shielding structure of the wire.
  • the electrode patch of the conventional ECG measuring medical device uses Ag-AgCl aqueous solution or Ag-AgCl hydrogel (gel containing aqueous solution), so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human body is low, 0.15 ⁇ 0.5Mohm.
  • the product of NTT Data sprays water between the conductive polymer electrode and the human body, and shows a contact resistance of 0.3Mohm due to the penetration of moistur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 water is rapidly absorbed into the human body and conductive fibers, and after 3 hours of evaporation into the atmosphere, the effect disappears from the effect of reducing contact resistance. In other words, there is a hassle of having to bury water every 3 hours.
  • the silver coated film has low resistance, but the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is not good, so if you make a 4x4cm2 electrode and attach it to the human body, it shows a resistance value of 10 (in case of weak pressure) ⁇ 2 (in case of strong pressure) Mohm. This is because the silver thread of the existing product shows the same performance, because the skin of the human body is a dry stratum corneum without moisture and is a non-conductor. Therefore, contact resistance is reduced only when there is an electrolyte layer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electrode and the moisture layer of the subcutaneous layer.
  • Electrolytic gels are PVP (Polyvinyl pyrrolidone), CMC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Xanthan Gum, Carboxy Vinyl Polymer, Carbomer, Sodium Hyaluronate, Arabic Gum, Guar Gum, Karaya Gum, Tragacanth Gum, Locust bean Gum, Gelatin, Contains one or more of Pectin and water.
  • PVP Polyvinyl pyrrolidone
  • CMC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 Xanthan Gum Carboxy Vinyl Polymer
  • Carbomer Sodium Hyaluronate
  • Arabic Gum Guar Gum
  • Karaya Gum Karaya Gum
  • Tragacanth Gum Locust bean Gum
  • Gelatin Contains one or more of Pectin and water.
  • These materials have high binding power to moisture and are deliquescent, so they absorb moisture from the skin and have electrical conductivity.
  • the above materials have a property of maintaining a moisture content of 0.5 to 20 wt% when in contact with the skin, so they are not completely dry on the skin and have electrical conductivity.
  • glycerin slows the drying of moisture and maintains the initial fit and electrical conductivity for a long time.
  • PVP 1 DI water was mixed in a weight ratio of 2, and 0.1g/cm2 was applied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kin, worn for 48 hours, and the resistance change was observed.
  • the initial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kin was 0.4Mohm, and after 3 hours it increased to 0.6Mohm. After 6 hours, 0.8Mohm rose, and the 0.8Mohm state was maintained even after 48 hours.
  • PVP 1 Na-Carboxymethyl cellulose: 0.1: DI water 4 was mixed evenly in a weight ratio, and 0.1g/cm2 was applied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kin, and the resistance change was observed for 48 hours.
  • the initial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kin was 0.4Mohm, and after 3 hours, it increased to 0.5Mohm. After 6 hours, 0.6Mohm was increased, and 0.6Mohm was maintained even after 48 hours.
  • PVP 1 Na-Carboxymethyl cellulose: 0.1: DI water 4: NaCl was mixed evenly at a weight ratio of 0.05, applied 0.1g/cm2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kin, and the resistance change was observed for 48 hours.
  • the initial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kin was 0.3Mohm, and after 3 hours, it increased to 0.4Mohm. After 6 hours, 0.5Mohm increased, and the 0.5Mohm state was maintained even after 48 hours.
  • the electrode structure that adheres to the human body is also special.
  • a plurality of holes 140 are drilled in the electrode for air circulation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body, as shown in FIGS. 8B and 8C, and used as an air circulation passage.
  • the air circulation passage was best with a 5 ⁇ 10mm interval. There are two ways to create an air circulation passage.
  • One is to make a hole 140 in the electrode and attach it to clothing.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does not damage the appearance of the clothing.
  • the other is to attach the electrode to the garment and make a hole including the garment. It's a better way to circulate air, but it can damage the appearance of your clothing.
  • the easiest uneven processing method is to put the silver-coated hot melt film against the uneven-processed Teflon film, apply heat of 110 degrees or more, compress, cool and remove.
  • a conductive silicone adhesive film was developed to reduce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human body while allowing the electrode to adhere to the human body during vigorous exercise.
  • a basic conductive silicone is prepared by adding a carbon-based conductive filler such as carbon nanotubes and graphene to silicon having low hardness, and such a method is a known method.
  • Silicon that is suitable for the silver-coated film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reduces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human body, and silicon containing a reinforcing material and glycerin inside the silicon, and silicon partially coated with glycerin on the surface were developed.
  • FIG. 6 is a process chart of manufacturing a conductive silicone adhesive pad for a biosignal measuring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ep of mixing a carbon-based conductive filler and glycerin in silicone (S11), applying a silicone mixture in which the conductive filler and glycerin are mixed on both sides of a reinforcing material (S12), and heating and curing to conductivity. It includes a step (S13) of manufacturing a silicone adhesive pad.
  • the reinforcing material may be a polymer nonwoven fabric or a polymer fabric.
  • Silicone containing glycerin and a reinforcing material inside the silicone is made by coating a polymer nonwoven fabric or silicone mixed with a conductive filler on both sides of a polymer fabric.
  • Example 4 To 8.75 g of DOW's silicon MG7-9800 silicon was mixed with 0.25 g of carbon nanotubes having a diameter of 20 nm and 1 g of glycerin. Most of the carbon nanotubes are evenly dispersed in silicon, and because glycerin is not mixed with silicon, it becomes droplets of tens to hundreds of um and is dispersed in silicon. 10g of silicone-carbon nanotube-glycerin mixture was evenly applied to both sides of a polyester nonwoven fabric having a thickness of 100 um and an area of 400 cm 2 and cured at 130 degrees.
  • a conductive silicon film with a sheet resistance of 10kohm is made, and when it is cut and put between the silver coating film and the human body, the contact resistance is lowered to 0.5Mohm.
  • FIG. 7 is a process chart of manufacturing a conductive silicone adhesive pad for a biosignal measuring electr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ilicone partially coated with glycerin on the silicone surface is made of a film with an uneven surface of silicone mixed with a conductive filler. To remain. Through such partial coating, contact resistance can be reduced and the adhesion of silicone to the skin can be maintained.
  • Example 5 0.25 g of carbon nanotubes having a diameter of 20 nm were mixed with 9.75 g of DOW's silicon MG7-9800 silicon. A 10g silicone-carbon nanotube-glycerin mixture was evenly applied to both sides of a polyester nonwoven fabric having a thickness of 100um and an area of 400cm2, and a Teflon film with irregularities on one side was pressed and cured at 130 degrees.
  • Comparative Example 1 0.25 g of carbon nanotubes having a diameter of 20 nm were mixed with 9.75 g of DOW's silicon MG7-9800 silicon. A mixture of 10 g of silicone-carbon nanotube-glycerin was evenly applied to both sides of a polyester nonwoven fabric having a thickness of 100 um and an area of 400 cm2 and cured at 130 degrees. A conductive silicone film with a sheet resistance of 10 kohm is made, and when it is cut and placed between the silver coating film and the human body, the contact resistance is high as 2Mohm. The reason is that even if the hardness of silicone is low, it cannot penetrate the stratum corneum and reach the subcutaneous layer.
  • Example 5 in which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ilicone is uneven and glycerin is applied, and then used as an adhesive pad by removing the glycerin at the upper end of the unevenness, can reduce the contact resistance with the human body.
  • Figure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lectrode arrangement of the ECG measurement smar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ECG measurement smart clothing is composed of an elastic clothing that adheres to the body and a pair of electrodes for measuring bio-signals 100 and a transmitter 200, and the electrode 100 for measuring bio-signals is a conductive electrode part 100a, a conductive wire part. It is composed of (110b), the electrode portion (100a) and the wire (110a) is made of the same structure, provided that the wire portion (110b) is formed by covering the insulating layer 150.
  •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100 and the position of the transmitter 200 are important for ease of use, and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is the most important for reliability of measurement.
  • FIG. 11 is an exemplary view of electrode installation of an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smar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ide of the film showed a high reliability of signal measurement while having little resistance to attachment to the human body.
  • the skin around the ribs of the flank was in a good position for measuring ECG signals as the sensitivity was low and the movement was small and the skin was thin.
  • FIGS. 8 and 9 are exemplary diagrams of an electrode structure for measuring a living body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parated two elongated electrodes may be made in a "c" shape as shown in (A) of FIG. 9, and may be separated like scissors with an angle as shown in (A) to (C) of FIG. 8.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from 10 to 170 in a similar way.
  • it may be separated into three and a "t"-shaped electrode may be made or separated like a finger with an angle.
  •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holes 140 may be formed in the electrode part 100a to reduce skin ra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과 이를 이용하는 스마트 웨어에 관한 것이다. 생체신호 측정용 전극은, 핫멜트 필름 2장 사이에 보강용 직물을 삽입하고 열압착시켜 한몸으로 형성하고, 직물이 보강된 핫멜트 필름의 어느 한면에 은코팅면을 형성하여 직물 보강 은코팅 필름으로 구성되고, 상기한 직물 보강 은코팅 필름 두장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하되, 하층의 필름의 가장자리가 노출되게 절연층이 적층되고, 절연층의 가장자리가 노출되게 상층 필름이 적층된 구조로 구성하여 정전기 차폐기능이 있는 전극으로 구성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의류에 핫멜트를 녹여 부착하고, 전극부를 둘 이상으로 갈라진 라인형으로 구성하여 의류에 부착형성함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본 발명은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에 관한 것이다.
심전도와 같은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극을 피부에 부착하여야 한다. 통상 전극이 달려있는 클립이나 패치를 피부에 부착시켜 사용되는데, 활동이 자유롭지 못하고, 테이프를 사용하여 패치를 부착하는 방식은 장시간 사용시 피부 발진을 유발한다.
최근들어서는 의류의 착용만으로 심전도 측정이 가능하게 한 제품들이 개발되어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사용되는 스마트 웨어들이 다양한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심전도 측정용으로 개발된 스마트 웨어의 일예로서, 도 1 및 도 2는 도레이의 스마트 웨어 제품 예시도이다. 이는 나노섬유 제조기술과 전도성 섬유 제조기술을 사용하여 패드를 의류에 직접 부착하거나 형성하는 제품이 있다. 이는 전극부분의 전도성 천에 물을 묻혀 전해질로 사용하여 인체에 부착하는 방식이다.
또다른 예로서, 캐나다 OM Signal의 심전도 측정 스마트웨어 예시도이다. 이는 은사로 전극과 전선을 제작하고 신축성 옷으로 몸에 강하게 압박하고 상기 전극에 물을 묻혀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는 방식이다.(US 2018/0249767 A1)
또다른 예로서, 캐나다 HEXOSKIN 제품 있다. 전극과 전선의 기본 기술은, OM Signal 제품과 같으며, 측정위치에 차이가 있다.(WO2013134856A1)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전극구조는, 전기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다. 폴리에스터 섬유에 질산은이나 황산은 등을 순수 은으로 환원시키며 코팅을 하면 섬유에 전기전도성이 발생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전기전도성 폴리에스터 섬유를 은사라고 하며, 전기전도성은 m당 10~100옴 사이를 이룬다.
은사는 재봉틀에 밑실 대신 장착되어 일반실과 함께 의류에 박음질되어 전선으로 사용되거나 천을 직조할 때 일정 간격으로 집어넣어 천과 의류에 전기전도성을 부여한다. 은사는 세탁 내구성이 10회 정도에 불과하여 다수의 전선을 병렬로 연결시켜 내구성을 보강하고 단선에 의한 문제를 없애는 것이 아닌 감소시키며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제품은, 전극부의 정전기 차폐 구조나 기능은 없었다. 특히 정전기는 노이즈가 되어 트랜스미터로 들어오고 스마트폰의 신호처리에서 일부만 필터링 되어 심전도 그래프에 그대로 노이즈로 남았다.
또한, 은사를 지그재그로 천에 누벼서 전극을 만드는 방식과 은사와 일반 섬유를 교차 직조하여 전도성 천을 만들고 이를 잘라서 전극으로 사용하는 방식이 주로 쓰인다. OMsigmal과 Hexoskin이 이에 해당한다. 일본의 NTT DATA는 전도성폴리머 코팅 섬유를 직조하여 전도성 천을 만들고 이를 잘라서 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은이 전도성폴리머로 대체된 경우이다.
두 경우 모두 아무런 처리없이 스마트의류로 만들어 착용하면 전극의 인체와 접촉저항은 3Mohm 정도를 나타내서 심전도 신호가 잘 잡히지 않는다. 따라서 서서히 땀이 나거나 물을 미리 전극에 묻혀서 접촉저항을 떨어뜨리는 방식이며, 땀이나 물이 전극과 인체 간의 전해질로 작용하면 0.5MΩ 수준으로 떨어져서 높은 신호를 잡아낼 수 있는 수분 의존형 전극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스마트웨어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의류 세탁의 안정성 문제와, 정전기 차폐문제와, 전극과 인체의 전기적 접촉 저항 감소 문제와, ECG측정 신호의 전달등의 문제를 고려해야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웨어에 부착하여 세탁이 가능한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전극구조와, 정전기 차폐기능을 갖는 전극구조, 인체와의 전기적 밀착 특성을 향상시킨 전극 및 이를 이용하는 스마트 웨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생체신호 측정 전극을 의류에 부착하였을때, 세탁 가능한 전극으로 은코팅 천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은이 세탁에 의해 서서히 떨어져 나가 내구성이 떨어지며 수분에 의해 저항값이 변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의 개선을 위해 '직물 보강 은코팅 필름'을 개발하여 세탁 가능한 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직물 보강 은코팅 필름'은 강도가 우수한 직물을 유연한 핫멜트 필름 사이에 넣고 열접합한 필름과 이 필름의 한 면에 은코팅을 실시한 필름이다.
한편, 의류는 수um 굵기의 미세한 부도체인 섬유가 얽혀서 만들어지는 관계로 서로간에 마찰이 생길 때 정전기가 발생된다. 이러한 정전기는 생체진호 측정전극으로 흘러들어가 측정신호의 신뢰도를 떨어뜨린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직물 보강 은코팅 필름 2장 사이에 절연층을 삽입하여 2겹으로 제작한다. 2겹 중 의류에 부착하는 필름을 인체에 부착하는 필름보다 크게 만드는 것이다. 이런 구조를 통해 의류에서 발생한 정전기는 의류에 부착된 은코팅 필름으로 넘어가고 다시 인체로 흘러 들어가서 인체에 부착하는 필름은 정전기 영향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구조는, 직물 보강 핫멜트 필름을 전극 베이스로 사용함으로써 의류에 쉽고 견고하게 붙일 수도 있으며, 부드럽고 유연하면서도 일반 핫멜트와 달리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잘 늘어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직물보강 핫멜트 필름에 은코팅을 함으로써 필름의 늘어남에 의한 은 입자간의 전기전도성이 깨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에따라 의류에 부착하여 세탁이 가능하고, 운동등과 같은 신체활동시에도 정상적인 생체 신호 측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두장의 직물 보강 은코팅 필름 두장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하여 2단 구조로 제조함으로써, 정전기 차폐가 가능해져 생체 신호에 잡음이 포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와 전기적 밀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극 도포용 겔이나, 실리콘 전극을 추가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운동량이 큰 움직임에서도 인체와의 이탈을 줄이고 정확한 생체 신호 측정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생체 신호 측정 스마트 웨어 제품 예시도.
도 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구조와 그 제조 공정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구조와 그 제조 공정 설명도.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 차폐구조를 갖는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구조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생체신호측정 전극용 전도성 실리콘 점착 패드 제조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생체신호측정 전극용 전도성 실리콘 점착 패드 제조 공정도.
도 8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웨어용 생체 신호 측정 전극의 형상 예시도.
도 9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웨어용 생체 신호 측정 전극의 또 다른 형상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심전도 측정을 위한 스마트 웨어 전극 구성 예시도.
도 11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의한 심전도 측정을 위한 스마트 웨어용 전극의 부착 위치와 형상 예시도.
본 발명은,
핫멜트 필름 2장 사이에 보강용 직물을 삽입하고 열압착시켜 한몸으로 형성하고, 직물이 보강된 핫멜트 필름의 어느 한면에 은코팅면을 형성하여 직물 보강 은코팅 필름으로 제작하며, 상기 은코팅 반대면을 의류에 열압착시켜 의류에 부착하는 스마트웨어용 생체 신호 측정 전극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핫멜트는, TPU를 함유하여 유연성이 우수한 종류를 사용하고, 상기 보강용 직물로는 폴리에스터 평직 메쉬 직물을 사용하며, 상기 은코팅면은 바인더로서 TPU를 사용한 은나노와이어 잉크를 이용하여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의류에 쉽게 부착할 수 있고 세탁내구성이 좋은 생체신호 측정 전극을 제공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웨어용 생체 신호 측정 전극구조는,
보강용 직물에 방수막을 코팅하고, 방수막 위에 은잉크를 코팅하여 은코팅면을 형성하며, 상기 은코팅 반대면의 직물에 핫멜트를 열압착시켜 부착하여 직물 보강 은코팅 필름을 형성하고, 상기 핫멜트 부분을 의류에 열압착시켜 부착하는 스마트용 생체 신호 측정 전극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강용 직물은, 폴리에스터 평직, 능직과 같이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잘 늘어나지 않는 직조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방수막은, 직물과 같은 유연성이 나오도록 PU 또는 TPU를 코팅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직물의 은코팅 반대면에 핫멜트를 부착하여 주고, 의류에 접착할때 의류의 직물이 칙밀한 직조인 경우 핫멜트가 잘 침투되지 않으므로, 의류의 직물에PU 또는 TPU를 코팅한 상태에서 상기 핫멜트를 부착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방수막을 코팅하는 직물 대신에 폴리에스터나 폴리이미드 필름과 같은 폴리머 필름을 사용할 수 있고, 폴리머 필름에 핫멜트나 PU, TPU 등의 연질 필름을 코팅하거나 덧붙여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직물보다 유연성은 떨어지지만 바스락거림은 사라진다.
상기에서 대체 가능한 핫멜트는 EVA계 핫멜트, 아마이드계 핫멜트, 폴리에스터계 핫멜트, PE계 핫멜트, PP계 핫멜트가 있다.
한편, 정전기 차폐를 위한 전극 구조는,
의류에 부착하기 위한 제1직물보강 은코팅 필름의 은코팅면에 절연필름을 코팅하고, 상기 절연필름의 상부에 인체와 접촉시키기 위한 전극용 제2직물보강 은코팅 필름을 부착하여 적층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직물보강 은코팅 필름의 가장자리 외곽선은 상기 절연필름의 가장자리 외곽선보다 더 넓게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절연필름의 가장자리 외곽선은 상기 제2직물보강 은코팅 필름의 가장자리 외곽선보다 더 넓게 외측으로 돌출되는 사이즈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장시간 사용시 피부 발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극을 이루는 필름에 일정한 간격으로 공기순환구멍을 형성함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피부 발진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전극 패드의 은코팅면에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고, 요철을 형성함과 아울러 다수의 공기순환구멍을 함께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인체와의 전기 접촉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전극에 도포하는 겔을, 알로에겔 성분과, 물, 글리세린을 혼합하여 제조함에 특징이 있다.
또한, 인체와 전기 접촉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직물 보강된 은코팅 필름에 부착하는 전도성 실리콘 점착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실리콘 점착 패드는, 폴리머 부직포 또는 폴리머 직물 양면에 글리세린과 전도성 필러를 혼합한 실리콘을 코팅한 전도성 실리콘 점착 패드이나, 또는 폴리머 부직포 또는 폴리머 직물 양면에 전도성 필러를 혼합한 실리콘을 코팅하고, 그 실리콘의 표면에 글리세린을 도포한 전도성 실리콘 점착 패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부는, 소정폭의 라인형 전극부가 둘 이상의 가지로 갈라져서 가위형 전극부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지부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갈라진 "Y"형이나 복수의 가지가 형성되는 나뭇 가지 형상으로 갈라진다. 또한, "ㄷ"형 또는 "ㅌ"형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갈라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심전도 측정용 스마트 의류에 있어서, 인체의 옆구리 갈비뼈 부분에 접촉되도록 한쌍의 전극부를 탄력성이 좋은 의류에 부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인 폴리에스터필름이나 PP필름, PI필름 등을 사용하면 세탁 시의 구김이나 접힘, 당김 등을 견디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평소 의류와 접합해서 사용할 시 까칠거림과 바스럭거리는 소리를 견뎌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세탁 가능한 전극으로 은코팅 천을 생각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은이 세탁에 의해 서서히 떨어져 나가 내구성이 떨어지며 수분에 의해 저항값이 변하는 문제가 있다.
<세탁 가능한 전극구조>
상기와 같은 문제의 개선을 위해 '직물 보강 은코팅 필름'을 개발하여 세탁 가능한 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직물 보강 은코팅 필름'은 강도가 우수한 직물을 유연한 핫멜트 필름 사이에 넣고 열접합한 필름과 이 필름의 한 면에 은코팅을 실시한 필름이다.
도 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구조와 그 제조 공정 설명도이다.
핫멜트 필름(11) 2장 사이에 보강용 직물(12)을 삽입하고 열압착시켜 한몸으로 형성한다(도 3의 (A)). 직물이 보강된 핫멜트 필름의 어느 한면에 은코팅을 한다(도 3의 (B)). 직물 보강 은코팅 필름(10)으로 제작한다(도 3의 (C)). 상기 은코팅 반대면을 의류(50)에 열압착시켜 부착할 수 있다. 은코팅 필름(10)의 하면을 의류(50)에 대고 열압착시키면, 핫멜트 필름(11a)이 녹아 의류(50)의 직물 속에 함침된다(도 3의 (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직물 보강 은코팅 필름(10)을 스마트웨어용 생체 신호 측정 전극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핫멜트 필름(11)은, EVA, TPU, 폴리아마이드, 왁스 등으로 이루어진 용융점이 낮고 접착력이 좋은 필름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신발, 가방 등에서 얇은 접착제로 사용된다.
핫멜트 필름(11) 2장 사이에 기공이 많은 직물(12)을 놓고 열압착하면 핫멜트가 흘러들어가서 직물이 중간에 보강된 핫멜트 필름이 만들어진다. 다시 열을 줘서 의류와 붙일 수도 있으며, 부드럽고 유연하면서도 일반 핫멜트와 달리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잘 늘어나지 않게 된다. 여기에 은코팅면(13)을 형성함으로써 필름의 늘어남에 의한 은 입자간의 전기전도성이 깨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핫멜트 필름(11)은, TPU를 함유하여 유연성이 우수한 종류를 사용하였다.
보강용 직물(12)로는 폴리에스터 메쉬를 사용하였다. 200메쉬에 평직으로 두께가 90um였다. 평직의 메쉬는 본 기술에 최적의 소재로 나타났다. 굵은 폴리에스터 단사가 사용되어 잘 늘어나지 않고, 인장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메쉬는 기공이 일반 직물보다 많아서 잘 휘어진다는 장점도 있다.
은코팅면(13)은 은나노와이어로 만들어졌다. 은나노와이어는 접힘과 굽힘에 강해서 의류에 전기전도성 면을 형성하면 세탁에 대한 내구성이 가장 우수한 소재이다. 바인더는 TPU를 사용하여 핫멜트와 결합력을 높이고, 은코팅면(13)의 유연성을 확보하였다. 코팅두께는 평균 5um로 만들었으며, 전기전도성은 면저항으로 0.2ohm/sq를 나타내었다.
직물 보강 핫멜트 필름(10)의 은코팅면(13) 반대쪽은 의류(50)에 접착하게 된다. 핫멜트의 의류 접착 방식은 열과 압력을 줘서 핫멜트를 녹여 의류에 침투시켜서 부분적으로 함침시키는 방식이다. 핫멜트 필름(11)은 의류(50)와 보강용 직물(12) 모두에 함침되어 세탁 내구성이 우수한 강한 접착력을 가진다.
'직물 보강 은코팅 필름'은 2종류 제작이 가능하다. 하나는 상기의 직물을 보강재로 내장한 핫멜트 필름과 은코팅면으로 구성된 필름이며, 다른 하나는 직물 한면에 폴리머로 방수막을 형성하고, 방수막에 은코팅면을 형성한 필름이다.
<직물에 방수막을 입히고 은코팅한 필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구조와 그 제조 공정 설명도이다.
방수막 은코팅 필름은, 직물(21)에 폴리머를 코팅하여 방수막(22)을 형성한다. 상기 방수막(22)에 은코팅명(2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은코팅면(23)의 반대쪽에는 핫멜트 필름(24)을 부착한다.
직물에 은잉크를 직접 인쇄하거나 코팅하는 것은 직물이 바인더만을 먼저 흡수하는 특성으로 인해 부착강도와 내구성이 좋을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물(21)에 방수막(22)을 형성하고 방수막(22)에 은잉크를 인쇄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방수막(22)은 직물과 같은 유연성이 나오도록 PU 또는 TPU를 코팅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방수막에 은코팅을 실시한다.
직물(21)은 폴리에스터 평직, 능직과 같이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잘 늘어나지 않는 직조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직물(21)의 은코팅 방향 반대쪽은 핫멜트(24)를 부착해두고, 이후 조립과정에서 이 핫멜트를 녹여 의류와 접착하게 된다. 치밀한 직물에는 핫멜트가 잘 들어가지 않으므로 핫멜트의 부착력 향상을 위해 PU 또는 TPU를 수um 두께로 코팅한 것을 사용할 수 도 있다.
상기 직물(21) 대신에 성능 저하는 있지만 폴리에스터나 폴리이미드 필름과 같이 잘 늘어나지 않고, 인장강도 높은 폴리머 필름을 사용할 수 도 있다. 뻣뻣한 폴리머 필름에 핫멜트나 PU, TPU 등 연질 필름을 코팅하거나 덧붙이면 직물보다 유연성은 떨어지지만 바스락거림은 사라진다.
상기에서 보강재로 사용되는 직물(21)은 메쉬 대신에 부직포나 얇은 직물을 사용 할 수도 있다. 하지만 부직포는 인장강도가 낮은 단점과 일반 직물은 두꺼워서 핫멜트 흡수량이 높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얇은 직물이나 강한 부직포가 적합하다.
상기에서 대체 가능한 핫멜트(24)는 EVA계 핫멜트, 아마이드계 핫멜트, 폴리에스터계 핫멜트, PE계 핫멜트, PP계 핫멜트가 있다.
은코팅면(23)의 은나노와이어 대신에 실버플레이크로 대체하거나 은나노와이어와 실버플레이크를 혼합한 전도성 페이스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실버플레이크는 두께 200nm에 직경이 6um 정도인 판상은으로서 페이스트 상태로 인쇄하면 실버플레이크들이 겹겹이 쌓이는 적층구조를 만들어서 굽힘이나 밴딩에서 전기전도성이 유지된다. 전도성의 변화폭은 은나노와이어의 경우보다 크다. 세탁에 의한 전도성 변화가 10kohm까지 허용되는 ECG측정 의류의 특성상 실버플레이크도 세탁가능한 전기전도성 전극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정전기 차폐 전극구조>
ECG 측정 스마트의류는 심장근육에서 나오는 1mV정도의 낮은 전위의 신호를 측정하여 트랜스미터로 전달한다. 이 과정에서 가장 많은 파형의 외곡이나 노이즈를 발생시키는 원인은 정전기이다. 의류는 수um 굵기의 미세한 부도체인 섬유가 얽혀서 만들어지는 관계로 서로간에 마찰이 생길 때 정전기가 발생하고, 그 크기는 수mV에서 수백V로 대부분이 심장근육의 신호보다 높아서 정전기가 전극인 전선에 유입되면 심전도 신호가 잡히지 않게 된다. 정전기의 유입 경로는 섬유에서 발생한 정전기가 핫멜트를 분극시키고, 이것이 은코팅 전극이나 전선에 전압을 발생시키게 된다.
정전기의 전극과 전선 유입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하여 접지전극과 접지전선을 도입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와 기능은 기존 스마트의류에서는 없던 구조로 기존 제품들은 은사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중 전극이나 전선을 만들기가 상당히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이었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 차폐구조를 갖는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구조 구성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전극면이 형성되고, 하면이 의류에 부착되는 정전기 차폐 전극(110)과, 상기 정전기 차폐 전극(110)의 전극면의 가장자리가 소정폭으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절연층(120)과, 상기 절연층(120)의 가장자리가 소정폭으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생체 신호 측정 전극(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극(110)(130)은, 도 3의 구성일 수 있다. 핫멜트 필름(11) 2장 사이에 보강용 직물(12)을 삽입하여 열압착하고, 어느 한면에 은코팅면(13)을 형성한 직물보강 은코팅 필름(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상기 전극(110)(130)은, 도 4의 구성일 수 있다. 보강재(21)의 상면에 폴리머 방수막(22)을 형성하고, 방수막(22)의 상면에 은코팅면(23)을 형성하며, 은코팅 반대면에 핫멜트(24)를 부착한 방수막 은코팅 필름(2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정전기 차폐전극(110)과, 상기 생체 신호 측정 전극(130)은, 동일 구성일수도 있고, 서로 다른 구성일 수도 있다.
주요한 기술은 은코팅 필름을 2겹으로 만드는 것이다. 또한 2겹 중 의류에 부착하는 정전기 차폐용 전극 필름을 인체에 부착하는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필름보다 크게 만드는 것이다. 즉, 정전기 차폐전극(110)의 노출된 전극면과,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130)의 전극면은 모두 인체에 접하게 된다.
이런 구조를 통해 의류에서 발생한 정전기는 의류에 부착된 은코팅 필름 즉, 정전기 차폐 전극(110)으로 넘어가고 다시 인체로 흘러서 정전기를 차폐한다. 이에 따라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130)은 정전기 영향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
가장 주요한 부분은 전극을 차폐 구조를 만드는 것이 좋다. 이를 통해 심전도 신호에 잡히는 정전기의 약 70%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추가로 전선의 차폐 구조를 통해 정전기의 약 80%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인체와 전기적 밀착 가능한 전극구조>
기존의 ECG측정 의료기기의 전극 패치는 Ag-AgCl 수용액이나 Ag-AgCl 하이드로겔(수용액을 포함한 겔)을 써서 전극과 인체의 접촉저항이 0.15~0.5Mohm으로 낮다.
앞서 NTT data의 제품은 전도성폴리머 전극과 인체 사이에 물을 뿌려 수분의 인체 침투력과 전기전도성에 의해 0.3Mohm의 접촉저항을 보인다. 하지만 물은 인체와 전도성 섬유 안으로 빠르게 흡수되고, 대기 중으로 기화되어 3시간 정도가 지나면 효과가 접촉저항 감소효과가 없어지게 된다. 즉, 물은 3시간마다 묻혀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은코팅 필름은 자체의 저항은 낮으나 인체와 전기적 접촉이 좋지 않아서 4x4cm2의 전극을 만들어 인체에 부착하면 10(약한 압박 시) ~2(강한 압박 시)Mohm의 저항값을 보인다. 이는 기존 제품의 은사도 같은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인체의 피부는 수분이 없는 건조한 각질층으로 부도체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극과 피하층의 수분층을 전기적으로 이어주는 전해질층이 있어야 접촉저항이 감소하게 된다.
1mV 정도의 낮은 심전도 신호를 잡아서 송신기(트랜서미터)로 보내기 위해서는 전극과 인체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기술이 크게 중요하다.
우리는 전극과 인체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고, 3시간 마다 관리해줘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하여 전해겔도 개발하였다.
전해겔은 PVP(Polyvinyl pyrrolidone), CMC(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쟁탄검(Xanthan Gum), Carboxy Vinyl Polymer, Carbomer, Sodium Hyaluronate , Arabic Gum, Guar Gum , Karaya Gum , Tragacanth Gum , Locust bean Gum, Gelatin , Pectin 중 하나 이상과 수분을 포함한다.
상기 물질들은 수분과 결합력이 높고, 조해성이 있어서 피부의 수분을 흡수하여 전기전도성을 가진다. 상기 물질들은 피부와 접촉상태에서 0.5 ~ 20wt%의 함수율을 유지하는 특성이 있어서 피부에서 완전히 건조하지 않고 전기전도성을 띄는 특징이 있다.
좀 더 좋은 전기전도성을 갖기 위해서는 상기 물질과 수분 그리고, NaCl, 등의 금속염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NaCl 등의 금속염은 수분에서 Na+와 Cl-로 분리되어 전기전도성을 증가시킨다.
좀 더 좋은 사용감을 갖게 하기 위해는 상기 조합에 글리세린을 추가하는 것이 좋다. 글리세린은 수분의 건조를 늦춰서 초기 착용감과 전기전도성을 오랫동안 유지시키준다.
실시예1)
PVP 1: DI water 2의 중량비로 섞어서 전극과 피부 사이에 0.1g/cm2 을 바르고 48시간 착용하며 저항변화를 관찰하였다. 전극과 피부 사이의 초기 접촉저항은 0.4Mohm 이었으며, 3시간 후에는 0.6Mohm으로 상승하였다. 6시간 후에는 0.8Mohm올 상승하였으며, 48시간 후에도 0.8Mohm 상태를 유지하였다.
실시예2)
PVP 1: Na-Carboxymethyl cellulose : 0.1 : DI water 4 의 중량비로 고르게 섞어서 전극과 피부 사이에 0.1g/cm2 을 바르고 48시간 저항변화를 관찰하였다. 전극과 피부 사이의 초기 접촉저항은 0.4Mohm 이었으며, 3시간 후에는 0.5Mohm으로 상승하였다. 6시간 후에는 0.6Mohm올 상승하였으며, 48시간 후에도 0.6Mohm 상태를 유지하였다.
실시예3)
PVP 1: Na-Carboxymethyl cellulose : 0.1 : DI water 4 : NaCl 0.05 의 중량비로 고르게 섞어서 전극과 피부 사이에 0.1g/cm2 을 바르고 48시간 저항변화를 관찰하였다. 전극과 피부 사이의 초기 접촉저항은 0.3Mohm 이었으며, 3시간 후에는 0.4Mohm으로 상승하였다. 6시간 후에는 0.5Mohm올 상승하였으며, 48시간 후에도 0.5Mohm 상태를 유지하였다.
인체에 밀착하는 전극구조도 특별하게 만들었다.
필름이 인체에 밀착된 구조이기 때문에 피부발진이 생길 가능성은 항상 있다. 피부발진을 감소시키는 최선의 방법은 공기를 순환시키는 방법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8의 (B) 및 (C)와 같이 전극과 신체 사이의 공기순환을 위하여 전극에 다수의 구멍(140)을 뚫어서 공기순환 통로로 사용하였다. 공기순환통로는 5~10mm 간격이 가장 좋았다. 공기순환 통로를 만드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하나는 전극에 구멍(140)을 뚫어서 의류에 부착하는 것이다. 이 경우는 의류의 외관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하나는 전극을 의류에 부착 후 의류를 포함하여 구멍을 내는 것이다. 공기순환에 더 좋은 방식이지만 의류의 외관 손상을 주게 된다.
공기순환에 보다 유리한 구조를 위하여 은코팅면과 핫멜트의 표면을 요철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요철에 의해 돌출부는 인체와 접촉하고 오목한 부분은 공기순환 통로가 되는 것이다.
가장 쉬운 요철 가공법은 은코팅된 핫멜트 필름을 요철가공된 테프론 필름에 맞대고 110도 이상의 열을 주며 압착하고, 냉각해서 떼어내는 방법이다.
<인체와 전기적 밀착 가능한 실리콘 전극구조>
심전도 의류를 격렬한 운동이나 수영 중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극과 인체간 전기적 접촉을 물이나 글리세린에만 의존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전극이 피부에서 자주 떨어져서 심전도 신호가 끊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이다.
격렬한 운동 중에도 전극이 인체에 잘 달라붙게 해주면서 전극과 인체간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도성 실리콘 점착 필름을 개발하였다.
경화 후 경도가 낮은 실리콘에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의 카본계 전도성 필러를 넣어서 기본적인 전도성 실리콘을 제조하며, 이와 같은 방법은 알려진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은코팅 필름 전극에 적합하고, 전극과 인체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실리콘으로 실리콘 내부에 보강재와 글리세린을 함유한 실리콘과, 표면에 부분적으로 글리세린을 코팅한 실리콘을 개발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신호 측정 전극용 전도성 실리콘 점착 패드 제조 공정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에 카본계 전도성 필러와 글리세린을 혼합하는 단계(S11)와, 보강재의 양면에 상기 전도성 필러와 글리세린이 혼합된 실리콘 혼합액을 도포하는 단계(S12)와, 가열 경화시켜 전도성 실리콘 접착 패드로 제조하는 단계(S13)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재는 폴리머 부직포 또는 폴리머 직물일 수 있다.
실리콘 내부에 보강재와 글리세린을 함유한 실리콘은 폴리머 부직포 또는 폴리머 직물 양면에 글리세린과 전도성 필러를 혼합한 실리콘을 코팅하여 만든다.
실시예4) DOW사의 실리콘 MG7-9800 실리콘 8.75g에 직경 20nm의 탄소나노튜브 0.25g과 글리세린 1g을 섞어주었다. 탄소나노튜브는 대부분에 실리콘에 고르게 분산되며, 글리세린은 실리콘에 혼합되지 않으므로 수십~수백um의 방울이 되어 실리콘 내에 분산된다. 두께 100um, 면적 400cm2의 폴리에스터 부직포 양면에 10g의 실리콘-탄소나노튜브-글리세린 혼합액을 고르게 바르고 130도에서 경화시켰다.
면저항 10kohm의 전도성 실리콘 필름이 만들어지며, 이를 잘라서 은코팅 필름과 인체 사이에 넣고 밀착하면 접촉저항은 0.5Mohm으로 낮아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생체 신호 측정 전극용 전도성 실리콘 점착 패드 제조 공정도이다.
실리콘에 카본계 전도성 필러를 혼합하는 단계(S21)와, 보강재의 양면에 필러가 혼합된 실리콘 혼합액을 코팅하는 단계(S22)와, 상기 살라콘 혼합액 코팅면을 요철 형상으로 가공하여 경화하는 단계(S23)와, 상기 요철면에 글리세린을 도포하는 단계(S24), 상기 요철면의 상단부의 글리세린을 긁어내고, 요철부 사이의 글리세린은 남겨 글리세린을 부분 제거하는 단계(S2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작된 전도성 실리콘 접착 패드는, 상기 직물보강 은코팅 필름으로 제조된 전극면에 부착하여 인체에 부작하게 된다. 상기 요철 형상으로 가공하는 방법은, 한면에 요철이 형성된 테프론 필름을 상기 실리콘 도포면에 부착하여 경화시키고, 테프론 필름을 제거하여 요철을 갖는 실리콘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실시예는, 실리콘 표면에 부분적으로 글리세린을 코팅한 실리콘은 전도성 필러와 혼합한 실리콘을 표면이 울퉁불퉁한 필름 상으로 만들고, 표면에 글리세린을 얇게 코팅하고 긁어내어 실리콘의 오목한 부분에만 글리세린이 남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부분 코팅을 통해 접촉저항은 감소시키고, 실리콘의 피부와 점착력은 유지시킬 수 있다.
실시예5) DOW사의 실리콘 MG7-9800 실리콘 9.75g에 직경 20nm의 탄소나노튜브 0.25g을 섞어주었다. 두께 100um, 면적 400cm2의 폴리에스터 부직포 양면에 10g의 실리콘-탄소나노튜브-글리세린 혼합액을 고르게 바르고, 한 면에 요철이 있는 테프론 필름을 압착키고 130도에서 경화시켰다.
경화 후 실리콘 필름에는 테프론의 요철을 따른 요철이 형성되었다. 이 표면에 글리세린을 충분히 바르고 원통형의 테프론봉을 눕혀서 누르며 2~3회 서서히 긁어내었다. 실리콘의 돌출부에는 글리세린이 거의 사라져서 점착력이 우수해졌고, 실리콘의 오목한 부분에는 글리세린이 남아서 은코팅 필름과 인체 사이에 넣고 밀착하면 접촉저항은 0.5Mohm으로 나타났다.
비교예1) DOW사의 실리콘 MG7-9800 실리콘 9.75g에 직경 20nm의 탄소나노튜브 0.25g을 섞어주었다. 두께 100um, 면적 400cm2의 폴리에스터 부직포 양면에 10g의 실리콘-탄소나노튜브-글리세린 혼합액을 고르게 바르고 130도에서 경화시켰다. 면저항 10kohm의 전도성 실리콘 필름이 만들어지며, 이를 잘라서 은코팅 필름과 인체 사이에 넣고 밀착하면 접촉저항은 2Mohm으로 높다. 그 원인은 실리콘의 경도가 낮다 하여도 피부의 각질층 사이를 뚫고 피하층까지 도달하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도성 실리콘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여 글리세린을 도포후 요철 상단부 글리세린을 제겨하여 점착패드로 사용하는 실시예 5)가 인체와의 접촉저항을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ECG측정 의류 구조>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ECG측정 스마트 웨어의 전극 배치 구성도이다.
ECG측정 스마트의류는 몸에 밀착되는 신축성 의류와 한쌍의 생체신호측정용전극(100) 및 송신기(200)로 구성되며, 생체신호 측정용 전극(100)은 전도성 전극부(100a), 전도성 전선부(110b)로 구성되고, 전극부(100a)와 전선(110a)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다만 전선부(110b)에는 절연층(150)이 피복되어 구성된다.
이때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서는 전극(100)의 위치와 트랜스미터(200)의 위치가 중요하며, 측정의 신뢰성을 위해서는 전극의 위치가 가장 중요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심전도 측정 스마트 웨어의 전극 설치 예시도이다.
우리는 기존 방식처럼 가슴 밑(횡격막 앞)에 전극을 위치시키는 시도를 해본 결과 사용의 편의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것을 알았다. 가슴 밑은 민감한 부분으로 필름이 물이나 글리세린 등으로 부착되면 불편함이 많이 느껴지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필름의 인체 부착에 거부감이 적으면서도 높은 신호 측정의 신뢰성을 보이는 부위가 옆구리였다. 특히 옆구리의 갈비뼈 주변 피부는 민감도가 떨어지면서도 움직임이 작고 피부가 얇아 심전도 신호 측정에 좋은 위치였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구조 예시도이다.
우리는 전극을 하나의 큰 전극으로 만들던 통념을 깨고 2개의 가늘고 긴 전극으로 분리하였다. 분리를 통해 이물감을 더 줄일 수 있었으며, 피부발진을 감소시키고, 피부와 부착력을 더 높였다. 분리한 2개의 가늘고 긴 전극은 도 9의 (A)와 같이 "ㄷ"자 형태로 만들어 질 수도 있으며, 도 8의 (A) 내지 (C)와 같이 각을 가지고 가위와 같이 분리될 수도 있다. 유사한 방법으로 10~170까지 각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도 9의 (B)와 같이 3개로 분리시키고 "ㅌ "자 형태의 전극을 만들거나 각도를 갖고 손가락과 같이 분리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의 (C), (D)와 같이 나뭇 가지 형상으로 분리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피부 발진을 줄일 수 있도록 전극부(100a)에는 다수의 공기순환용 구멍(140)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에 있어서,
    의류에 부착되는 정전기 차폐용 전극과,
    상기 정전기 차폐용 전극의 상면에 형성되는 전극면의 가장자리가 소정폭으로 노출되게 부착되는 절연필름과,
    상기 절연필름의 가장자리가 소정폭으로 노출되게 부착되고, 상면에 전극면이 형성되는 측정용 전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차폐용 전극과 상기 측정용 전극은,
    핫멜트 필름 2장 사이에 보강용 직물을 삽입하고 열압착시켜 한몸으로 형성하고, 직물이 보강된 핫멜트 필름의 어느 한면에 은코팅면을 형성하여 직물 보강 은코팅 필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차폐용 전극과 상기 측정용 전극은,
    보강용 직물에 방수막을 코팅하고, 방수막 위에 은코팅면을 형성하며, 상기 은코팅 반대면의 보강용 직물에 핫멜트를 열압착시켜 부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차폐용 전극과 상기 측정용 전극은,
    폴리머 필름에 핫멜트나 PU, TPU와 같은 연질 필름을 코팅하거나 덧붙여서 방수막을 코팅하고, 방수막 위에 은코팅면을 형성하며, 상기 은코팅 반대면에 핫멜트를 부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차폐용 전극과 절연필름 및 측정용 전극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공기순환구멍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차폐용 전극과 상기 측정용 전극은,
    전극면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7.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전극에 발라서 인체와의 전기 접촉저항을 감소시시키기 위한 전도성 전해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해겔은, PVP(Polyvinyl pyrrolidone), CMC(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쟁탄검(Xanthan Gum), Carboxy Vinyl Polymer, Carbomer, Sodium Hyaluronate , Arabic Gum, Guar Gum , Karaya Gum , Tragacanth Gum , Locust bean Gum, Gelatin , Pectin 중 하나 이상의 전해겔 물질과 수분, 금속염 및 글리세린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8.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과 인체 사이에 삽입되어 인체와 전기 접촉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부착하는 전도성 실리콘 점착 패드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전도성 실리콘 점착 패드는, 폴리머 부직포 또는 폴리머 직물 양면에 글리세린과 전도성 필러를 혼합한 실리콘을 코팅한 전도성 실리콘 점착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9.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과 인체 사이에 삽입되어 인체와 전기 접촉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부착하는 전도성 실리콘 점착 패드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전도성 실리콘 점착 패드는, 폴리머 부직포 또는 폴리머 직물 양면에 전도성 필러를 혼합한 실리콘을 코팅하고, 그 실리콘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며, 요철면에 글리세린을 도포한 후, 요철 상부면의 글리세린을 긁어내어 요철 사이의 글리세린을 남긴 전도성 실리콘 점착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PCT/KR2019/004195 2019-03-26 2019-04-09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WO202019697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578A KR20200113833A (ko) 2019-03-26 2019-03-26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KR10-2019-0034578 2019-03-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6975A1 true WO2020196975A1 (ko) 2020-10-01

Family

ID=72610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4195 WO2020196975A1 (ko) 2019-03-26 2019-04-09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113833A (ko)
WO (1) WO202019697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56193A (zh) * 2020-10-19 2021-01-01 华熙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医用导电透明质酸凝胶及制备方法和应用
WO2023208413A1 (de) * 2022-04-29 2023-11-02 Ntt New Textiles Technologies Gmbh Elektrode für ein bekleidungsstück, einen gurt oder eine bandag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1851A (ko) * 2003-06-30 2006-09-26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인간 또는 동물 장벽 막의 치료용 기구
WO2014001577A1 (en) * 2012-06-29 2014-01-03 Smart Solutions Technologies, S.L. Electronic textile assembly
KR20150017931A (ko) * 2013-08-08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연한 용량성 결합 능동전극 및 생체 신호 측정 장치
KR20170104895A (ko) * 2016-03-08 2017-09-18 김영선 키네시오 테이핑 기능을 갖는 전도성 전극이 형성된 기능성의류
JP2018114302A (ja) * 2014-01-28 2018-07-2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生体信号検出衣料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239B1 (ko) 2015-06-25 2017-04-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스마트 웨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1851A (ko) * 2003-06-30 2006-09-26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인간 또는 동물 장벽 막의 치료용 기구
WO2014001577A1 (en) * 2012-06-29 2014-01-03 Smart Solutions Technologies, S.L. Electronic textile assembly
KR20150017931A (ko) * 2013-08-08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연한 용량성 결합 능동전극 및 생체 신호 측정 장치
JP2018114302A (ja) * 2014-01-28 2018-07-2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生体信号検出衣料
KR20170104895A (ko) * 2016-03-08 2017-09-18 김영선 키네시오 테이핑 기능을 갖는 전도성 전극이 형성된 기능성의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56193A (zh) * 2020-10-19 2021-01-01 华熙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医用导电透明质酸凝胶及制备方法和应用
CN112156193B (zh) * 2020-10-19 2022-11-25 华熙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医用导电透明质酸凝胶及制备方法和应用
WO2023208413A1 (de) * 2022-04-29 2023-11-02 Ntt New Textiles Technologies Gmbh Elektrode für ein bekleidungsstück, einen gurt oder eine band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833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3604B2 (ja) 生体電極および衣類
JP6301969B2 (ja) 生体信号検出衣料
WO2018047814A1 (ja) 生体信号検出衣料
WO2020196975A1 (ko)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JP2016106877A (ja) 生体電極および衣類
JP7352839B2 (ja) 衣服型電子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092544A (ja) 生体情報計測用衣類
CN110996783A (zh) 生物体接触型电极和生理信息测量用衣服
CN107734831B (zh) 可穿戴式的伸缩导电布及其制作方法
KR20200113861A (ko) 생체 신호 측정 전극용 전도성 실리콘 점착 패드
JP7215430B2 (ja) 生体情報計測用衣服および伸縮性積層シート
KR20200113863A (ko) 생체 신호 측정 전극용 전도성 실리콘 점착 패드 제조방법
KR20200113854A (ko) 생체 신호 측정 전극용 전도성 실리콘 점착 패드
KR20200113819A (ko)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KR20200113844A (ko) 심전도 측정 스마트 웨어
KR20200113824A (ko)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
KR20200113842A (ko) 생체 신호 측정 스마트 웨어
KR20200113852A (ko) 생체 신호 측정 전극용 전도성 전해겔
CN110678120B (zh) 生理信息测定用衣物
WO2022054487A1 (ja) 伸縮性コンデンサおよびセンシングウェア
WO2022010309A1 (ko) 섬유기반 기능성 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218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218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1.04.2022)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218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