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89834A1 -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루아흐 학습법 - Google Patents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루아흐 학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89834A1
WO2020189834A1 PCT/KR2019/003824 KR2019003824W WO2020189834A1 WO 2020189834 A1 WO2020189834 A1 WO 2020189834A1 KR 2019003824 W KR2019003824 W KR 2019003824W WO 2020189834 A1 WO2020189834 A1 WO 202018983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earning
page
theme
ruach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382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영숙
Original Assignee
이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숙 filed Critical 이영숙
Publication of WO202018983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898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3/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3/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7-step learning textbook for Ruach education and a Ruach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in more detail, the human being of listening, positive attitude, joy, consideration, gratitude, obedience, patience, responsibility, moderation, creativity, honesty, wisdom It is composed of 12 learning themes related to the nature of Ruah, and each learning theme is about the 7-step learning textbook of Ruah education and the Ruah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 the World Economic Forum is a technology necessary for the 21st century, as well as'basic skills' such as literacy and flood comprehension, as well as'capabilities' such as cooperation,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and'capabilities' such as creativity, initiative, and challenge spirit. It is proposed to have'personality'. It is inevitable that a major change in the'education system' is inevitable in order to cultivate talented people with creative and convergent competences, away from the existing education system that had been infused and lectured.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ducate 12 learning themes related to human character through the 7-step learning pattern of Ruach, thereby giving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learner's thoughts, emotions, and behaviors, thereby changing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and education. It is to provide a 7-step learning textbook for Ruach education with a method and a Ruach learning method using i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ven-step learning textbook of Ruah Education, which provides a character education course that promotes desirable changes by giving meaningful influences to thoughts, emotions, and behaviors through education to cultivate leaders of good character, and It is to provide the Ruach learning method us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logical thinking ability of children by utilizing the'thinking-changing technique-questioning technique, the feeling-changing technique-listening technique, the behavior-changing technique-positive feedback, character praise, character-discipline' as children's education methods. It is to provide 7-step learning textbooks for Ruah education that cultivate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Ruach learning method using them.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licit an ultimate change in character through a discussion that fosters good thoughts, good feelings, and good behavior through specific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questions and discussions, -By providing practical educational methods to realize the truth, apply it to life, and put it into practice based on emotional-behavioral understanding, the 7-step learning textbook of Ruah Education that can cultivate future talents with good character and the Ruah learning method using it To provide.
  • each of the 12 learning themes related to human character is composed of a single volume.
  • the single volume based on the learning theme is divided into'open step','step1' and'step2', and the difficulty of the learning content is divided to enable selective learning corresponding to the learner's age, and each learning theme is the first step.
  • the learning textbook includes a theme definition learning page for learning the definition of a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a Ruah topic learning page for learning the theme song for Ruach learning, a Ruah rule learning page for learning the rules of Ruah learning, and a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 Thematic chant learning page for learning ancient acronyms and songs, the theme story learning page where learners and teachers can freely imagine and talk about the story based on illustrations for the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and all about the learning theme.
  • the theme game board page that allows learners to practice the attitude of the learning theme while having fun playing games with friends after the stage of learning, learning necessary at the'Thinking Smart' and'Talking Smart' stages of learning about the learning theme
  • a sticker page that stimulates learning curiosity with a detachable sticker that corresponds to the subject word of the theme or the content of the Ruach story, and the ancient acronyms about the subject word of the learning theme required at the'think smart' stage of learning about the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icture card page in which the sound, meaning, and content are written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used as an auxiliary tool.
  • each of the 12 learning themes related to human character is composed of a single volume.
  • the first step is'Imagination Smart' page
  • the second step is'Speak Smart' page
  • the third step is'Imagination Smart' page
  • the fourth step is'Behavior Smart'
  • a page unit for learning including a page, a fifth step of'Seum Smart' page, a sixth step of'Sharing Smart' page, and a seventh step of'Repeat Education' page
  • Auxiliary including theme definition learning page, Ruah theme learning page, Ruach rule learning page, theme chant learning page, theme story learning page, theme game board page, sticker page, and picture card page
  • a cover page portion accommodating a learning page portion and an auxiliary page portion
  • an unfolding maintenance cover configured to maintain the unfolded state of the corresponding pages during learning and configured in the cover page portion.
  • the spreading holding cover unit includes: a contact band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cover page in an unfolded stat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page; Rolling bars configured to be rollable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adhesion band, and to maintain the unfolded state of the pages when rolling toward the outer surfaces of the center sides of the cover page; Rolling bars for bookmarks configured to be rollable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t both ends of the adhesion band and for providing a bookmark function for the learned page by covering the edges of the pages when rolling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edge portion of the cover page; And it is configured in the contact band section between the rolling bar for anti-folding and the rolling bar for bookmarks, so that when the rolling bar for anti-folding is rolled, the contact band section between the rolling bar for anti-folding and the rolling bar for bookmarks is prevented from rolling, so that the unfolded state of the pages is maintain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bar for preventing rolling.
  • cultivating children's logical thinking skills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by using'thinking-changing skills-questioning skills, emotion-changing skills-listening skills, behavior-changing skills-positive feedback, personality praise, personality discipline' as children's education methods. Provides an effect.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7-step learning textbook of Ruach edu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A to 8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learning pages of steps 1 to 7 of whoah learning in the learning textbook of FIG. 1, respectively;
  • 9 to 16 are respectively a theme definition learning page for Ruah learning in the learning textbook of FIG. 1, a Ruah topic learning page, a Ruah rule learning page, a theme chant learning page, a theme story learning page, a theme game board page, and a sticker page. And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picture card page.
  • 17 and 18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ven-stage learning textbook for Ruach edu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nd FIGS. 19 to 21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relationship concept.
  • the seven-step learning textbook 100 of Ruach education includes listening, positive attitude, joy, consideration, gratitude, obedience, patience, responsibility, moderation, creativity, honesty, wisdom.
  • Each of the 12 learning themes related to human character is composed of a single volume, and the single volume on each learning theme is'open step','step1' and'step2'.
  • each learning theme is the first step'Imagination Smart' page 111, the second step'Story Smart' page 112, and the third step'Imagination Smart' page (113), the 4th step'Behavior Smart' page 114, the 5th step'Sewoom Smart' page 115, the 6th step'Sharing Smart' page 116, and the 7th step'Repetitive Education' 'It has a structure that is subdivided and learned step by step through the page 117.
  • the 12 themes can be divided into themes related to empathic cognitive ability and the themes related to discernment, and listening, positive attitude, joy, consideration, gratitude, and obedience correspond to the themes of empathic cognitive ability, patience, Responsibility, moderation, creativity, honesty, and wisdom are the themes of discernment.
  • the'Thinking Smart' page 111 which is the first step of Ruach learning, is for conducting a thought-opening activity for a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and defines a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Expressing with songs and movements, recognizing the definition of the learning theme through play or games, learning the meaning and sound of the definition or the main word of the learning theme through the ancient acronyms or proverbs It includes an area in which a guide fingerprint to express and learn through songs and chants is started.
  • the definition of the learning theme allows the learner to review the definition of the learning theme by expressing the definition of the learning theme with songs and movements.
  • a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allows learners to write or draw a picture in a corresponding area with a pencil or the like according to a guide phrase or a teacher's instruction, thereby enhancing self-participation through curiosity stimulation.
  • the subject words for the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consist of a learning theme, that is, an old acronym that reveals the Korean 12 character education definition, and a short but condensed sentence like a proverb.
  • the learner can review the subject word of the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 the'story smart' page 112 which is the second stage of Ruach learning, is to enable the Ruach story reading activity for the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to be carried out. Includes an area in which a guide fingerprint that allows learners and teachers to read the story together and recognize the content through questions is opened.
  • the'Talk Smart' page 112 is preferably conducted in the Ruah reading method.
  • the first step in which the teacher reads the Ruah story along with the movement according to the rhyme, the rhyme taught by the teacher and It consists of two stages in which children can imitate and read physical movements together, three stages of recognizing the contents of the Ruach story through questions and discussions, and four stages of reading the Ruach story repeatedly in groups of three.
  • the'Imagination Smart' page 113 which is the third stage of Ruach learning, is intended to conduct a question and discussion activity on a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After reading the story, it includes an area in which a guide fingerprint that encourages creative thinking through various imaginations through questions and discussions is opened.
  • the'Imagination Smart' page 113 allows learners to write or draw in a corresponding area with a pencil or the like in accordance with the teacher's question or guide fingerprint, or freely imagine and announce the answer so that the learner can write the learning content. You can remember and organize them.
  • the'behavior smart' page 114 which is the fourth stage of Ruach learning, is for conducting self-reflection activities on the learning theme, and after reading the Ruach story for the learning theme. Includes the area in which guide fingerprints that allow one to realize through self-reflection and decide to act in action.
  • the'behavior smart' page 114 allows learners to write or draw in a corresponding area with a pencil, etc., according to the teacher's question or guide fingerprint, or to announce their decision so that the learner remembers the learning contents. And organize it.
  • the'Seum Smart' page 115 which is the fifth step of Ruach learning, is intended to enable activities to be presented to the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and is a Ruach story for the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It includes the area in which the information learned through all steps and the information that you have learned in front of your parents and family is presented at home to expand what you know.
  • the'Seum Smart' page 115 allows the presentation activities to proceed through the'Seum stage', and the'Seum stage' refers to the first stage of summarizing, the second stage of talking about what was learned through the Ruach story, and It consists of 3 steps to tell your decision.
  • the'Seum Smart' page 115 provides an area for presenting the contents of the Ruach story to parents and families by using picture materials related to the learning theme, and the area includes cutting and pasting picture materials.
  • the learner can use the picture material as a tool or material necessary for presentation, stimulate curiosity, and have a more progressive attitude toward learning, thereby enhancing the learning effect.
  • the'Sharing Smart' page 116 the sixth stage of Ruach learning, is intended to enable exhibiting activities for the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to be carried out. Includes the area in which guide fingerprints are written to be written down on the relevant page and sent to the teacher by writing down the impressions felt through the child's presentation.
  • the'Sharing Smart' page 116 is a part of listening to the Ruach story announced by the child and writing it as it is, listening to the parent's reaction when the child presents the Ruach story, asking questions, complimenting, and encouraging them. It is divided into a part that asks questions and responds selectively, and a part that allows parents to write down their feelings, so that the teacher is able to grasp the learner's feedback on the activities of the sixth stage of Ruach learning and the learner's parent or family's participation in education. can do.
  • the'repetitive education' page 117 which is the seventh step of Ruach learning, is for repetitive education activities for the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and is for three persons, which is the fourth step of the Ruah reading method.
  • group group activity consisting of, it includes the area in which the guide fingerprints to repeatedly read the Ruach story and practice good thoughts, good feelings, and good actions.
  • the seven-step learning textbook 100 of Ruach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seven-step learning pages as described above, a theme definition learning page 121 for learning the definition of a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and a theme song for Ruach learning.
  • a theme story learning page (125) where learners and teachers learn while freely imagining a story based on illustrations about the learning theme, and learners have fun through games with friends after learning all the stages of the learning theme.
  • Theme game board page (126) that allows you to practice the attitude of the learning theme while playing, and the subject words of the learning theme required in the'Thinking Smart' and'Speak Smart' stages of learning about the learning theme
  • a sticker page 127 that stimulates the curiosity of learning because the corresponding sticker is detachable, and the sound, meaning and content of the ancient acronyms for the subject words of the learning theme required at the'think smart' stage of learning about the learning theme are on one side. It further includes a picture card page 128 that is described on the other side and is used as an auxiliary tool.
  • the theme definition learning page 121 is for learning the definition of the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before the'thinking smart' learning step, and allows learning the definition and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Includes an area where the guide fingerprint is initiated.
  • the theme definition learning page 121 includes a part in which a dictionary meaning or expression for the definition of a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is described, and a part in which a picture for expressing the definition of the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in motion is described, and the teacher It is possible to learn more effectively beforehand and recognize the definition of the learning theme while the learners imitate the movement and speech of
  • the Ruach topic learning page 122 is for learning the theme song for Ruach learning by song, and includes an area in which lyrics are written so that the teacher and the learner can sing the Ruach theme song.
  • the Ruach rule learning page 123 is for learning the rules of Ruach learning, and includes an area in which the rules are written so that teachers and learners learn while repeatedly shouting slogans every day.
  • the theme chant learning page 124 is for learning the ancient acronyms and songs for the subject words of the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before the learning stage of'Thinking Smart'. Includes an area in which guide fingerprints for learning ancient idioms and songs are initiated.
  • the theme chant learning page 124 includes a portion in which an ancient acronym and a meaning of the subject word of the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are described, and a portion in which song lyrics that mean the subject word of the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are recorded, and the teacher's teaching According to this, the subject words and songs of the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can be studied.
  • the theme story learning page 125 is for learning a Ruach story for a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before or during the'story smart stage', and the Ruach story for the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is described above.
  • the Ruahriding method When conducted by the Ruahriding method, it includes an area in which a guide picture is initiated that allows teachers and learners to see and understand the content with their own eyes.
  • the theme story learning page 125 includes an illustrated part that allows learners to see the contents of a corresponding story when a Ruah story progresses by the Ruah reading method, and a Ruah story according to the Ruah reading method on a smartphone. It includes a portion printed with a QR code that can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by playing songs and videos by a terminal such as a terminal.
  • the theme game board page 126 allows learners to practice the attitude of the learning theme while having fun through the game with friends after learning at all stages of the learning theme. Includes an area where the guide fingerprint is initiated.
  • the theme game board page 126 is a game rule and a game board in which learners and friends move the horse as many times as the number of dice thrown with dice and game pieces and perform the mission guided to the portion where the horse is located. Includes.
  • the sticker page 127 is detached from the sticker corresponding to the main words of the learning theme or the contents of the Ruach story required in the stages of'Thinking Smart' and'Speaking Smart' during learning about the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It is configured to be possible.
  • the sticker page 127 includes a portion to which a sticker required in the step of the learning theme is detachably adhered, and a portion in which the number of pages in the step to which the sticker is to be attached is written, and the learner's learning curiosity This can stimulate and improve participation in learning.
  • the picture card page 128 describes the sound, meaning and contents of the ancient acronyms for the subject words of the learning theme required in the'thinking smart' stage of learning about the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 the picture card used as an auxiliary tool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 the picture card page 128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picture card is cut or torn off, and on one side, Korean meanings and sounds for each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haracters of the ancient words are described, and on the other side Hangul pronunciation and meaning of the Chinese characters of the ancient acronyms are written, and it can be used as an auxiliary tool during learning, and the learning effect of the ancient acronyms can be improved.
  • the dictionary meaning of ruah is a Hebrew word that means'character,' that is, a property possessed from birth, which means God's spirit, breath, and wind, and is used to emphasize the good willing aspect of humans.
  • the Ruach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an educational method that aims to cultivate happy future-type talents.
  • characterization is defined as'expression of one person's thoughts, feelings, and actions
  • existing thoughts, feelings, and actions must be changed into better thoughts, better feelings, and better actions.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character education.
  • character education is a "process of pursuing desirable change by having a meaningful effect on thoughts, emotions, and behaviors through education"
  • the Ruach Education Method has a meaningful effect on learners' thoughts, emotions, and behaviors, resulting in better character. It can be said to be a concept encompassing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that change.
  • the Ruach Education Method is a learning method aimed at improving learning ability through activities such as'question','presentation', and'discussion' through the character dialogue method.
  • Skills to change children's listening skills-techniques to change behavior, skills to change behavior-positive feedback, character praise, and character discipline' can be used as children's educational methods to cultivate children's logical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 the Ruach learn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leads to a change in the ultimate character through a question that fosters good thinking, a discussion that fosters good feelings, and a presentation that fosters good behavior, and is based on a cognitive-emotional-behavioral understanding of the knowledge system. It becomes a practical educational method to realize and apply it to life.
  • the 12 themes underlying the Ruach Education Law are closely related to the 12 traits of human beings, especially Koreans.
  •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s are formed negatively by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alist culture of the East, the Confucian culture, the negative function of jeong, the Korean and the shamanism.
  • the Korean 12 character education is a character training.
  • the educational goal is to help individuals express their thoughts, feelings, and actions well.
  • Fig. 19 is a 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ecret-TAPE therapy of establishing a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Empathy cognitive ability is "the ability to empathize with other people's basic emotions, such as pain and joy, pain and romance, and to reduce emotional shock based on understanding of others, not sympathy.”
  • Discernment is "the ability to distinguish between good and evil based on a basic human conscience, and is a virtue that is the basis for proper life, healthy citizenship, and moral behavior.”
  • Fig. 20 is a model of the'two basic virtues' of Korean 12 character education.
  • the Ruach edu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basic direction of Korean 12 character education, which focuses on restoring a happy relationship with another person by expressing thoughts, feelings, and actions well after an individual reflects on himself/herself.
  • character dialogue is to be learned and implemented, and character dialogue is'a dialogue that influences a person's thoughts, emotions, and actions through dialogue and helps to express them with better characteristics'.
  • Character dialogue is dialogue while observing children. This is a dialogue that emphasizes the attitude of observing the motives for which the behavior came rather than evaluating the child only with the revealed behavior, and is in line with what the philosopher Krishnamurti said that "observing without evaluating is the best form of human intelligence.” . It's important to practice talking about what you observe before deciding whether you like or dislike your child's behavior.
  • Character dialogue expresses one's hidden needs by making requests. The willingness to ask for what you want without being forced to do so enriches the relationship.
  • the technique to change the mind-questioning method' is a technique of dialogue that can effectively change the mind without saying'don't' or'do it'.
  • Four questions of character dialogue ?? It is recommended that you use the questionnaire to open your child's thoughts with the How questioning method, future-oriented questioning method, open questioning method, and direct questioning method. Questions are a way to let the other person think about their problem for themselves, find a solution to it, and then open it to themselves.
  • the technique of changing emotions-listening technique' is a technique that observes and listens to a child's thoughts and emotions. To open your child's heart, you need to listen. When you actively listen, you open your mind with a feeling of respect for the other person. When listening, it is important to let the other person feel that you are listening.
  •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six educational goals through the Ruah education method. First, to establish identity, second, to cultivate self-esteem, third, to expand logical thinking ability, fourth, to build a good social relationship, fifth, to promote language development, and sixth, to develop creative thinking.
  • the Ruach Education Method has a total of 7 steps: Step 1'Open to Think (Think Smart)', Step 2'Read stories (Smart Story)', Step 3'Questions/Discussion (Smart Imagination)', Step 4'Self-Reflection (Smart Behavior) )', the 5th step'Presentation (Seum Smart)', the 6th Step'Exhibit (Sharing Smart)', and the 7th Step'Repeat (Repeat Education)'.
  • the first stage of the Ruach Education Act is'Open to Think (Thinking Smart)' is the 12 thematic characteristics of listening, positive attitude, joy, consideration, gratitude, obedience, patience, responsibility, moderation, creativity, honesty and wisdom. It is a stage to stimulate the brain through related lion acronyms and proverbs, character songs and chants, and games.
  • the first step of the Ruah reading method is for the teacher to read the Ruah story first, and it is important to read it along with the movements according to the rhyme.
  • the biggest feature of Ruach Story is the rhyme and movement, that is, the rhyme used in rap and the 70 beat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ild's heart rate.
  • the second stage of the Ruahriding method is the teacher reads and the children follow along. At this time, teach the children to read together by imitating the rhyme and body movements taught by the teacher.
  • the third stage of the Ruah reading method is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contents of the Ruah story through questions and discussions. Questions and discussions help to understand the story in a subjective and three-dimensional manner, rather than passively or fragmentarily.
  • Questions and discussions help to understand the story in a subjective and three-dimensional manner, rather than passively or fragmentarily.
  • the fourth stage of the Ruah reading method is a stage where three people become a group and read the Ruah story over and over again. At this time, make sure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levels between the upper, middle, and lower levels in a group so that they can cooperate with each other so that everyone can understand.
  • the questioning method refers to a method that functions to embody the child's thinking and further expand the thinking by asking a question to an infant. Questions express children's potential, stimulate language development, and promote thinking. However, asking a teacher or parent a question that leads to a fixed answer does not help develop creative thinking.
  • Discussion is also a place where children can freely express their various thoughts, feelings, and actions, and it is an excellent learning method for developing children's creative thinking.
  • the 5th stage of the Ruah Education Method'Present (Seum Smart)' is a step to expand what you know by presenting the Ruah story you have learned so far in front of your parents and family. Sharing what you learn with others is an effective way to remember what you learn for the longest and most.
  • NTL National Training Laboratories
  • the announcement is as follows. The child makes the following presentation in front of his parents.
  • the parents who listened to the children's presentation express Ruah's feedback as follows. Providing feedback in the order of sexual quality ⁇ personality praise ⁇ personality feedback can encourage and praise in detail, which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hild's character and self-esteem.
  • Fig. 21 is a seven-step model of the ruah education method.
  • the 7th step'repetitive education' of the Ruach Education Method is a step in which the Ruach learning materials sent from home to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repeatedly read, and good thoughts, good feelings, and good behavior are practiced.
  • the Ruah story is used as a textbook/discipline in the language field in an educational institution so that the story can be read repeatedly at any time.
  • the reason for grouping with 3 members is not to stay at the individual level, but to experience various differences in thoughts, differences in emotions, and behaviors in groups with differences in upper, middle, and lower levels, and to model or It is to be motivated.
  • the group formation of 3 members is more advanced than the group formation of 2 members (diversified opinion exchange) for questioning, discussion, and presentation, and more stable than the group formation of 4 members (not oriented to the majority in terms of relations) is suitable as a small group. Because.
  • the following rules may be determined and the class may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escribed rules.
  • the above rules can help the learner to recognize the rules and achieve smooth learning by reading the relevant part after the teacher reads it before each time the Ruah class is conducted.
  • a character dialogue technique is required for the lesson according to the Ruach edu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technique that teachers and parents must learn and train, and it helps to make the question to a child a diffuse question rather than a convergent question.
  • the character dialogue skills of the Ruach Education Act are as follows.
  •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step-by-step learning to proceed from the first area to the seventh area, and has a correlation for each step.
  •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xtbook of a learning method invented so that questions,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can be effectively conducted in steps 1 to 7 in context, and the questions asked by teachers and parents step by step are four question methods based on character dialogue. Is to us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riety of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that have a meaningful effect on the learner's thoughts, emotions, and actions by educating 12 learning themes related to human personality through the 7-step learning pattern Can provide.
  • the present invention can cultivate happy future-type talents through a character education course that promotes desirable change by having a meaningful effect on thoughts, emotions, and behaviors through education, and'Technology to change thoughts-questions and emotions.
  • Changing skills-listening, behavior-changing skills-positive feedback, character praise, and character discipline' can be used as children's educational methods to cultivate children's logical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 the present invention leads to a change in the ultimate character through specific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questions and discussions, discussions that foster good thoughts and good feelings, and presentations that foster good behavior, and cognitive-emotional about the knowledge system. -By providing practical educational methods to realize the truth, apply it to life, and put it into practice based on behavioral understanding, future talents with good character can be nurtured.
  • the seven-step learning textbook 100 of Ruach education as shown in Figs. 17 and 18, listening, positive attitude, joy, consideration, gratitude, obedience, patience, responsibility, moderation,
  • Each of the 12 learning themes related to the human character of creativity, honesty, and wisdom is composed of a single volume, and the first step,'Thinking Smart' page 111, the second that enables learning of each learning theme's level.
  • the stage is'Talk Smart' page 112
  • the third stage is'Imagination Smart' page 113
  • the fourth stage is'Behavior Smart' page 114
  • the fifth stage is'Seum Smart' page 115
  • the learning page unit 110 including the sixth step'sharing smart' page 116 and the seventh step'repetitive education' page 117, a theme definition learning page that assists in learning of the learning page unit 110 (121), Ruah theme learning page (122), Ruah rule learning page (123), theme chant learning page (124), theme story learning page (125), theme game board page (126), sticker page ( 127) and an auxiliary page unit 120 including a picture card page 128, a cover page unit 130 for accommodating the learning page unit 110 and the auxiliary page unit 120, and optionally a cover It is configured in a manner such as accommodating or attaching the page unit 130 and includes an unfolding and retaining cover unit 140 for maintaining the unfolded state of the corresponding pages during learning.
  • the learning page unit 110 and the auxiliary page unit 120 for the corresponding learning theme are arranged on the cover page unit 130 to be a single volume.
  • the unfolding holding cover unit 140 is configured while accommodating the cover page unit 130, so as to assist the learner's learning.
  • the cover page unit 130 is also a front cover among the configurations of a known book. Since the configuration is fo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spreading maintenance cover part 140 is configur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page part 130 to stably maintain the spreading state of the pages so that the learner concentrates on learning, and the cover page 130 in the open state It is configured to be bent or rolled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contact band 141 and the center of the contact band 141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cover page 130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page 130 Rolling bar 142 for preventing folding to stably maintain the unfolded state of the pages when bending or rolling toward the outer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page 130, and turning off or rolling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t both ends of the contact band 141 Rolling bar 143 and a rolling bar for preventing folding to provide a bookmark function for the learned page by allowing the edge of the pages to be covered when bending or rolling toward the inner edge of the cover page 130 It is configured in the section of the adhesion band 141 between the rolling bar 142 for the bookmark and the rolling bar 143 for
  • the adhesion band 141 may have a band structur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and is preferably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page 130 through a known adhesive configuration.
  • the rolling bar 142 for anti-folding and the rolling bar 143 for bookmarks maintain a bar shape and have a convex structure on one side when a metal plate having a thin bar shape and elasticity has a concave struc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case,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maintaining a shape that is rolled like a spring or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 the bar bar 144 for preventing rolling is a synthetic resin plate having a thin bar shape and elasticity sufficient to prevent rolling.
  • the folding preventing rolling bar 142 has a length of about 1/4 to 2/4 of the width of the cover page 130 in a folded state.
  • the rolling bar 143 for bookmarks When rolling toward the upper edge of the pages, a bookmark function is provided to the currently-learning page, so that the currently-learning page is not folded or covered, and a stable unfolding state can be maintained.
  • the spreading maintenance cover 140 when configuring the spreading maintenance cover 140 on the cover page 130 of the textbook, even if the textbook has a large number of pages and the thickness is thick, the page spread for learning cannot be maintained in an unfolded state by the resilience of the pages and is prevented from being covered. This eliminates the hassle of allowing the learner to open the page that was being studied again,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focus on learning, thereby maximizing the learning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경청, 긍정적인 태도, 기쁨, 배려, 감사, 순종, 인내, 책임감, 절제, 창의성, 정직, 지혜라는 인간의 성품과 관련된 12가지 학습테마를 주제로 각각 단권으로 구성되고, 각 학습테마를 주제로 하는 단권은 'open step', 'step1' 및 'step2'로 학습내용의 난이도가 구분되어 학습자의 연령에 대응되는 선택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며, 각 학습테마는 제1단계인 '생각 똑똑' 페이지, 제2단계인 '이야기 똑똑' 페이지, 제3단계인 '상상 똑똑' 페이지, 제4단계인 '행동 똑똑' 페이지, 제5단계인 '세움 똑똑' 페이지, 제6단계인 '나눔 똑똑' 페이지 및 제7단계인 '반복 교육' 페이지를 통하여 단계적으로 세분 학습되는 구조를 가지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루아흐 학습법
본 발명은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루아흐 학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청, 긍정적인 태도, 기쁨, 배려, 감사, 순종, 인내, 책임감, 절제, 창의성, 정직, 지혜라는 인간의 성품과 관련된 12가지 학습테마로 구성되고, 각각의 학습테마는 루아흐(Ruah)교육의 7단계 학습패턴으로 구성되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루아흐 학습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한민국은 입시위주ㅇ출세주의 교육풍토가 가져오는 사회병리적 현상을 대부분의 사회구성원이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대학 입시, 대기업 취업만을 위한 교육풍토의 흐름을 변화시키지 못하고 있다. 또한 시험에 합격만 하면 된다는 교육풍토 때문에 과거 산업화 시대에 적합했던 강의식ㅇ암기식 교육방법이 여전히 주 교육방법으로 실행되고 있으며 학생들은 혼자서만 공부하는 학습방식을 반복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지식기반사회와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지 못하게 만드는 장애 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교육은 입시위주와 출세주의(성공지향주의) 교육으로 전락하여 갖은 문제점을 양산하고 있다. 성공지향주의에 입각한 교육을 받은 개인은 많은 지식으로 좋은 스펙을 쌓고, 그 스펙이 다시 좋은 직장을 보장하는 성공의 지름길이라고 생각해왔다. 지금도 시험 합격만을 위한 주입식, 암기식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혼자서만 공부하는 학습 방식을 반복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많은 학부모와 학생들은 미래의 성공을 위해 현재의 행복을 포기하는 고통을 받고 있고, 성공에서 도태된 이들은 열등감과 패배감에 사로잡혀 있다. OECD 국가 중 12년째 자살률 1위, 청소년 행복지수 꼴찌라는 오명은 지나친 입시위주와 출세주의 교육이 우리나라를 병들게 하고 있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는 통계다.
또한, 입시위주와 출세주의 교육은 우리나라의 교육시스템이 시대에 맞게 변화지 못하게 만든 원인이기도 하다. 우리나라는 산업화 초기부터 지금까지 표준화된 지식과 기술을 갖춘 인력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교육 시스템을 운영해왔다. 강의식, 주입식, 암기식 교육을 통해 일정한 지식과 기술을 배운 수많은 인력이 국가 경제 발전을 일으키는 인적 자본 역할을 한 것이다.
그러나 우리 사회가 산업사회에서 지식기반사회로 변모하면서 '단순히 지식을 쌓는 교육'으로는 미래사회에 적합한 인재를 길러낼 수 없다는 것이 드러나고 있다. 지식기반사회는 지식과 정보를 생산, 유통, 활용하며 융합할 수 있는 사람을 인재로 정의하고 있다. 즉, 지식을 융합하여 창의적인 산업을 이끌어내는 사람을 인재로 정의하는 것이다.
우리나라가 창의적 인재를 양성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나라의 교육이 온통 "어떻게 하면 현재의 교육시스템 안에서 좋은 성적으로 명문 대학, 대기업에 갈 수 있을까"에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인공지능, 로봇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은 혁신적인 인재 양성의 필요성을 촉구하고 있다. 2016년 세계경제 포럼직업 보고서에는 "5년 안에 전 세계에서 700만 개가 넘는 일자리가 사라지고 새로 생기는 것은 200만 개에 그친다"고 언급되었으며, 현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어린이의 65%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 직업에 종사하게 된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 우리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급격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옴에 따라 미래사회 인력이 갖추어야할 역량도 변화하고 있다.
실제로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은 21세기에 필요한 기술로 문해와 수해능력과 같은 '기초 능력'뿐만 아니라 협력, 의사소통, 문제해결력 같은 '역량'과 창의성, 주도성, 도전정신과 같은 '인성'을 갖추도록 제안하고 있다. 주입식, 강의식으로 이루어졌던 기존 교육시스템에서 벗어나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역량을 갖춘 인재의 양성을 위해 '교육 시스템'의 대대적인 변화가 불가피한 상황인 것이다.
따라서 성공만을 지향하는 입시위주, 출세주의 교육풍토와 그러한 교육풍토에 최적화 돼있는 주입식 교육방법에서 탈피하고, 성공과 행복을 동시에 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한편,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역량을 발휘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시스템과 교육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간의 성품과 관련된 12가지 학습테마를 루아흐 7단계 학습패턴을 통해 교육함으로써, 학습자의 생각, 감정, 행동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어 더 좋은 성품으로 변화시키는 다양한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을 가진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루아흐 학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좋은 성품의 지도자를 양성하도록 교육을 통해 생각, 감정, 행동에 각각 의미 있는 영향을 주어 바람직한 변화를 도모하는 성품교육과정을 제공하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루아흐 학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각을 바꾸는 기술-질문법, 감정을 바꾸는 기술-경청법, 행동을 바꾸는 기술-긍정적인 피드백, 성품칭찬, 성품훈계'를 어린이 교육법으로 활용하여 어린이의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적 사고력을 함양하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루아흐 학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질문과 토의라는 구체적인 대화법을 통해 좋은 생각을 키우는 질문과 좋은 감정을 키우는 토의, 좋은 행동을 키우는 발표를 통해 궁극적인 성품의 변화를 이끌어 내고, 지식체계에 대한 인지적-감정적-행동적 이해를 바탕으로 진리를 깨달아 생활에 적용하고 실천하는 실제적인 교육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좋은 성품을 갖춘 미래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루아흐 학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청, 긍정적인 태도, 기쁨, 배려, 감사, 순종, 인내, 책임감, 절제, 창의성, 정직, 지혜라는 인간의 성품과 관련된 12가지 학습테마를 주제로 각각 단권으로 구성되고, 각 학습테마를 주제로 하는 단권은 'open step', 'step1' 및 'step2'로 학습내용의 난이도가 구분되어 학습자의 연령에 대응되는 선택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며, 각 학습테마는 제1단계인 '생각 똑똑' 페이지, 제2단계인 '이야기 똑똑' 페이지, 제3단계인 '상상 똑똑' 페이지, 제4단계인 '행동 똑똑' 페이지, 제5단계인 '세움 똑똑' 페이지, 제6단계인 '나눔 똑똑' 페이지 및 제7단계인 '반복 교육' 페이지를 통하여 단계적으로 세분 학습되는 구조를 가지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학습교재는, 해당 학습테마의 정의를 학습하는 테마정의학습 페이지, 루아흐학습에 대한 주제가를 학습하는 루아흐주제가학습 페이지, 루아흐학습의 규칙을 학습하는 루아흐규칙학습 페이지,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고사성어와 노래를 학습하는 테마챈트(chant)학습 페이지,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삽화를 토대로 학습자들과 교사가 이야기를 상상하여 자유롭게 이야기하면서 학습하는 테마스토리학습 페이지,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전(全)단계 학습 이후에 학습자들이 친구들과 게임을 통해 재미있게 놀이를 하면서 해당 학습테마의 태도를 연습하도록 하는 테마게임판 페이지,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학습 중 '생각 똑똑' 및 '이야기 똑똑' 단계에서 필요한 학습테마의 주제어나 루아흐 스토리에 대한 내용에 해당되는 스티커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학습 호기심을 자극하는 스티커 페이지 및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학습 중 '생각 똑똑' 단계에서 필요한 학습테마의 주제어에 대한 고사성어의 음과 뜻 및 내용이 일면과 타면에 기재되어 보조 도구로 활용되는 그림카드 페이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경청, 긍정적인 태도, 기쁨, 배려, 감사, 순종, 인내, 책임감, 절제, 창의성, 정직, 지혜라는 인간의 성품과 관련된 12가지 학습테마를 주제로 각각 단권으로 구성되고, 각 학습테마의 단계를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제1단계인 '생각 똑똑' 페이지, 제2단계인 '이야기 똑똑' 페이지, 제3단계인 '상상 똑똑' 페이지, 제4단계인 '행동 똑똑' 페이지, 제5단계인 '세움 똑똑' 페이지, 제6단계인 '나눔 똑똑' 페이지 및 제7단계인 '반복 교육' 페이지를 포함하는 학습용 페이지부; 학습용 페이지부의 학습을 보조하는 테마정의학습 페이지, 루아흐주제가학습 페이지, 루아흐규칙학습 페이지, 테마챈트(chant)학습 페이지, 테마스토리학습 페이지, 테마게임판 페이지, 스티커 페이지 및 그림카드 페이지를 포함하는 보조용 페이지부; 학습용 페이지부와 보조용 페이지부가 수용되는 커버용 페이지부; 및 커버용 페이지부에 구성되고 학습중 해당 페이지들의 펼쳐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펼침유지커버부를 포함하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가 제공된다.
여기서, 펼침유지커버부는, 펼쳐진 상태의 커버용 페이지 양측 길이에 대응된 길이를 가지고 커버용 페이지의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밴드; 밀착밴드의 중심 양측부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롤링 가능하게 구성되고 커버용 페이지의 중심 양측 부분 외면을 향해 롤링시 페이지들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접힘방지용 롤링바; 밀착밴드의 양단부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롤링 가능하게 구성되고 커버용 페이지의 가장자리 부분 내면을 향해 롤링시 페이지들의 가장자리 부분이 커버되도록 하여 학습된 페이지에 대한 서표 기능을 제공하는 서표용 롤링바; 및 접힘방지용 롤링바와 서표용 롤링바 사이의 밀착밴드 구간에 구성되어 접힘방지용 롤링바의 롤링시 접힘방지용 롤링바와 서표용 롤링바 사이의 밀착밴드 구간이 롤링되는 것을 방지하여 페이지들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롤링방지용 막대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인간의 성품과 관련된 12가지 학습테마를 루아흐 7단계 학습패턴을 통해 교육함으로써, 학습자의 생각, 감정, 행동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어 더 좋은 성품으로 변화시키는 다양한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교육을 통해 생각, 감정, 행동에 각각 의미 있는 영향을 주어 바람직한 변화를 도모하는 성품교육과정을 통하여 좋은 성품의 지도자를 양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생각을 바꾸는 기술-질문법, 감정을 바꾸는 기술-경청법, 행동을 바꾸는 기술-긍정적인 피드백, 성품칭찬, 성품훈계'를 어린이 교육법으로 활용하여 어린이의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적 사고력을 함양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질문과 토의라는 구체적인 대화법을 통해 좋은 생각을 키우는 질문과 좋은 감정을 키우는 토의, 좋은 행동을 키우는 발표를 통해 궁극적인 성품의 변화를 이끌어 내고, 지식체계에 대한 인지적-감정적-행동적 이해를 바탕으로 진리를 깨달아 생활에 적용하고 실천하는 실제적인 교육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좋은 성품을 갖춘 미래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a 내지 도 8은 각각 도 1의 학습교재에 있어서 후아흐학습 1단계 내지 7단계의 학습 페이지를 나타낸 예시도;
도 9 내지 도 16은 각각 도 1의 학습교재에 있어서 루아흐학습을 위한 테마정의학습 페이지, 루아흐주제가학습 페이지, 루아흐규칙학습 페이지, 테마챈트학습 페이지, 테마스토리학습 페이지, 테마게임판 페이지, 스티커 페이지 및 그림카드 페이지를 나타낸 예시도; 및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9.07.2020] 
도 17과 도 18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19 내지 도21은 관계개념을 설명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100)는, 경청, 긍정적인 태도, 기쁨, 배려, 감사, 순종, 인내, 책임감, 절제, 창의성, 정직, 지혜라는 인간의 성품과 관련된 12가지 학습테마를 주제로 각각 단권으로 구성되고, 각 학습테마를 주제로 하는 단권은 'open step', 'step1' 및 'step2'로 학습내용의 난이도가 구분되어 학습자의 연령에 대응되는 선택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며, 각 학습테마는 제1단계인 '생각 똑똑' 페이지(111), 제2단계인 '이야기 똑똑' 페이지(112), 제3단계인 '상상 똑똑' 페이지(113), 제4단계인 '행동 똑똑' 페이지(114), 제5단계인 '세움 똑똑' 페이지(115), 제6단계인 '나눔 똑똑' 페이지(116) 및 제7단계인 '반복 교육' 페이지(117)를 통하여 단계적으로 세분 학습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12가지 테마는 공감인지능력에 관한 테마와 분별력에 관한 테마로 구분될 수 있으며, 경청, 긍정적인 태도, 기쁨, 배려, 감사, 순종이 공감인지능력에 관한 테마에 해당되고, 인내, 책임감, 절제, 창의성, 정직, 지혜가 분별력에 관한 테마에 해당된다.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아흐학습의 제1단계인 '생각 똑똑' 페이지(111)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생각 열기 활동이 실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정의를 노래와 동작으로 표현하고,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정의를 놀이나 게임을 통해 인지하며,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정의 또는 주제어를 고사성어나 속담의 고사성어를 통해 뜻과 음을 학습하고, 상기 고사성어를 노래와 챈트를 통해 표현 및 학습하도록 하는 안내지문이 개시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해당 학습테마의 정의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정의를 노래와 동작으로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해당 학습테마의 정의에 대한 복습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해당 학습테마의 정의는 안내 문구나 교사의 지시에 따라 학습자가 직접 해당 영역에 연필 등으로 글씨를 적거나 그림을 그리도록 하여 호기심 자극을 통한 자기참여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주제어는 학습테마 즉, 한국형 12성품교육 정의가 드러나는 고사성어와 속담과 같이 짧지만 뜻이 압축된 문장으로 이루어지고, 학습자가 고사성어 등의 뜻과 음을 보고 글자에 맞는 스티커를 붙이도록 하는 구성을 통하여, 학습자의 자기참여를 향상시켜 진취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주제어를 노래와 행동(또는 신체)으로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해당 학습테마의 주제어에 대한 복습을 가능하게 한다.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아흐학습의 제2단계인 '이야기 똑똑' 페이지(112)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루아흐 스토리 읽기 활동이 실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루아흐 스토리를 학습자와 교사가 함께 읽어보고 질문을 통해 내용을 인지하도록 하는 안내지문이 개시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이때, '이야기 똑똑' 페이지(112)는, 루아흐리딩법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루아흐리딩법은, 교사가 운율에 맞춰 동작과 함께 루아흐 스토리를 읽어주는 1단계, 교사가 가르쳐주는 운율과 신체동작을 어린이들이 따라하며 함께 읽을 수 있도록 하는 2단계, 루아흐 스토리의 내용을 질문과 토의를 통해 인지하는 3단계 및 3명이 한 모둠이 되어 반복해서 루아흐 스토리를 읽는 4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야기 똑똑' 페이지(112)는, 상기 루아흐리딩법의 1단계 내지 3단계가 선행된 후, 교사의 질문이나 안내지문에 맞게 학습자들이 직접 해당 영역에 연필 등으로 글씨를 적거나 그림을 그리도록 하여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기억하고 정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아흐학습의 제3단계인 '상상 똑똑' 페이지(113)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질문 및 토의 활동이 실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루아흐 스토리를 읽은 후 질문과 토의를 통해 다양한 상상으로 창의적 사고를 키우도록 하는 안내지문이 개시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상 똑똑' 페이지(113)는, 교사의 질문이나 안내지문에 맞게 학습자들이 직접 해당 영역에 연필 등으로 글씨를 적거나 그림을 그리고 또는 자유롭게 상상하고 대답을 발표하도록 하여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기억하고 정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아흐학습의 제4단계인 '행동 똑똑' 페이지(114)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자기 성찰 활동이 실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루아흐 스토리를 읽은 후 자기 성찰을 통해 자신이 깨닫고 행동으로 실천할 것을 결심하도록 하는 안내지문이 개시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행동 똑똑' 페이지(114)는, 교사의 질문이나 안내지문에 맞게 학습자들이 직접 해당 영역에 연필 등으로 글씨를 적거나 그림을 그리고 또는 자신의 결심을 발표하도록 하여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기억하고 정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아흐학습의 제5단계인 '세움 똑똑' 페이지(115)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발표 하기 활동이 실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루아흐 스토리와 전(全)단계를 통해 배운 내용을 가정에서 부모님과 가족들 앞에서 발표하도록 하여 자신이 알고 있는 내용을 확장하도록 하는 안내지문이 개시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세움 똑똑' 페이지(115)는, 발표 하기 활동이 '세움 단계'를 통해 진행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세움 단계'는, 요약해서 말하는 1단계, 루아흐 스토리를 통해 배운 것을 말하는 2단계 및 나의 결심을 말하는 3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세움 똑똑' 페이지(115)는, 해당 학습테마와 관련된 그림 자료를 이용하여 부모님과 가족들에게 루아흐 스토리의 내용을 발표하도록 하는 영역을 제공하고 있으며, 상기 영역은 그림 자료를 오리고 붙이는 것을 통해 학습자가 그림 자료를 발표에 필요한 도구나 소재로 활용하도록 하여, 호기심을 보다 자극하여 학습에 보다 진취적인 자세를 가지도록 하여 학습 효과를 고취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아흐학습의 제6단계인 '나눔 똑똑' 페이지(116)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전시 하기 활동이 실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학습자 즉, 자녀가 발표한 내용을 부모가 해당 지면에 적고 자녀의 발표를 통해 느낀 소감을 적어 교사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안내지문이 기재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나눔 똑똑' 페이지(116)는, 자녀가 발표한 루아흐 스토리를 듣고 있는 그대로 적는 부분과, 자녀가 루아흐 스토리를 발표할 때 부모의 반응을 경청하기, 질문하기, 칭찬하기, 격려하기 등으로 구분하여 질의하고 선택 답변하도록 하는 부분과, 부모의 소감을 적도록 하는 부분으로 구분되어, 교사로 하여금 학습자의 루아흐학습 6단계의 활동에 대한 피드백과 학습자 부모나 가족의 교육 참여 정도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아흐학습의 제7단계인 '반복 교육' 페이지(117)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반복 교육 활동이 실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루아흐리딩법의 4단계인 3인으로 구성된 조모임 활동을 통해 루아흐 스토리를 반복적으로 읽고 좋은 생각, 좋은 감정, 좋은 행동을 연습하도록 하는 안내지문이 개시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100)는, 상기와 같은 7단계의 학습 페이지들 이외에, 해당 학습테마의 정의를 학습하는 테마정의학습 페이지(121), 루아흐학습에 대한 주제가를 학습하는 루아흐주제가학습 페이지(122), 루아흐학습의 규칙을 학습하는 루아흐규칙학습 페이지(123),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고사성어와 노래를 학습하는 테마챈트(chant)학습 페이지(124),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삽화를 토대로 학습자들과 교사가 이야기를 상상하여 자유롭게 이야기하면서 학습하는 테마스토리학습 페이지(125),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전(全)단계 학습 이후에 학습자들이 친구들과 게임을 통해 재미있게 놀이를 하면서 해당 학습테마의 태도를 연습하도록 하는 테마게임판 페이지(126),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학습 중 '생각 똑똑' 및 '이야기 똑똑' 단계에서 필요한 학습테마의 주제어나 루아흐 스토리에 대한 내용에 해당되는 스티커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학습 호기심을 자극하는 스티커 페이지(127) 및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학습 중 '생각 똑똑' 단계에서 필요한 학습테마의 주제어에 대한 고사성어의 음과 뜻 및 내용이 일면과 타면에 기재되어 보조 도구로 활용되는 그림카드 페이지(128) 등을 더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마정의학습 페이지(121)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정의가 '생각 똑똑' 학습 단계 이전에 학습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정의와 동작을 학습하도록 하는 안내지문이 개시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테마정의학습 페이지(121)는, 해당 학습테마의 정의에 대한 사전적인 의미나 표현이 기재되는 부분과, 해당 학습테마의 정의를 동작으로 표현하도록 하는 그림이 기재되는 부분을 포함하며, 교사의 동작과 말을 학습 대상자들이 따라 하면서 해당 학습테마의 정의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선행 학습 및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아흐주제가학습 페이지(122)는, 루아흐학습에 대한 주제가를 노래로 학습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사와 학습자가 루아흐학습 주제가를 부를 수 있도록 가사가 기재된 영역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아흐규칙학습 페이지(123)는, 루아흐학습의 규칙을 학습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사와 학습자가 매일 구호를 반복해서 외치면서 학습하도록 규칙이 기재된 영역을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마챈트학습 페이지(124)는, 해당 학습테마의 주제어에 대한 고사성어와 노래가 '생각 똑똑' 학습 단계 이전에 학습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당 학습테마의 주제어에 대한 고사성어와 노래를 학습하도록 하는 안내지문이 개시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테마챈트학습 페이지(124)는, 해당 학습테마의 주제어에 대한 고사성어와 의미가 기재되는 부분과, 해당 학습테마의 주제어를 뜻하는 노래 가사가 기재되는 부분을 포함하며, 교사의 가르침에 따라 해당 학습테마의 주제어와 노래를 학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마스토리학습 페이지(125)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루아흐 스토리가 '이야기 똑똑 단계' 이전 또는 그 단계에서 학습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루아흐 스토리가 상기 루아흐리딩법에 의해 진행될 때 교사와 학습자들이 그 내용을 눈으로 보면서 이해를 돕도록 하는 안내그림이 개시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테마스토리학습 페이지(125)는, 상기 루아흐리딩법에 의해 루아흐 스토리가 진행될 때 해당 스토리에 대한 내용을 학습자들이 눈으로 보도록 하는 삽화가 그려진 부분과, 상기 루아흐리딩법에 따른 루아흐 스토리가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기에 의해 노래 및 영상 등으로 재생되도록 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QR코드가 인쇄된 부분을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마게임판 페이지(126)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전(全)단계 학습 이후에 학습자들이 친구들과 게임을 통해 재미있게 놀이를 하면서 해당 학습테마의 태도를 연습하도록 하는 안내지문이 개시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테마게임판 페이지(126)는, 학습자와 친구들이 주사위와 게임용 말을 가지고 주사위를 던져 나온 수 만큼 말을 이동하면서 그 말이 위치된 부분에 안내된 미션을 수행하는 게임규칙과 게임판이 그려진 부분을 포함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커 페이지(127)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학습 중 '생각 똑똑' 및 '이야기 똑똑' 단계에서 필요한 학습테마의 주제어나 루아흐 스토리에 대한 내용에 해당되는 스티커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스티커 페이지(127)는, 해당 학습테마의 단계에서 필요한 스티커가 탈착 가능하게 접착되어 있는 부분과, 상기 스티커가 부착되어야 할 단계의 페이지 숫자가 기재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며, 학습자의 학습 호기심이 자극시키고 학습참여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림카드 페이지(128)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학습 중 '생각 똑똑' 단계에서 필요한 학습테마의 주제어에 대한 고사성어의 음과 뜻 및 내용이 일면과 타면에 기재되어 보조 도구로 활용되는 그림카드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그림카드 페이지(128)는, 상기 그림카드가 오려지거나 뜯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일면에는 고사성어의 한자(漢字)와 각 한자(漢字)에 대한 한글 뜻과 음이 기재되고 타면에는 고사성어의 한자에 대한 한글발음과 그 뜻이 기재되며, 학습시 보조도구로 활용되도록 하고 고사성어에 대한 학습 효과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루아흐(ruah)의 사전적 의미는 '성품' 즉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성질이라는 뜻의 히브리어로 하나님의 영, 호흡, 바람이라는 뜻이며 인간의 선한 의지적 측면을 강조할 때 사용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루아흐학습법은 행복한 미래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두는 교육법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성품을 '한 사람의 생각, 감정, 행동의 표현이라고 정의할 때, 좋은 성품을 계발하려면 기존의 생각, 감정, 행동을 더 좋은 생각, 더 좋은 감정, 더 좋은 행동으로 변화시켜야 하는데, 이는 성품교육을 통해 이끌어 낼 수 있다.
예컨대, 성품교육이란 "교육을 통해 생각, 감정, 행동에 각각 의미 있는 영향을 주어 바람직한 변화를 도모하는 과정"으로서, 루아흐교육법은 학습자의 생각, 감정, 행동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어 더 좋은 성품으로 변화시키는 다양한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을 아우르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루아흐교육법은 성품대화법을 통한 '질문', '발표', '토의' 등의 활동으로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목표를 둔 학습법으로서, 성품대화의 기술인 '생각을 바꾸는 기술-질문법, 감정을 바꾸는 기술-경청법, 행동을 바꾸는 기술-긍정적인 피드백, 성품칭찬, 성품훈계'를 어린이 교육법으로 활용하여 어린이의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적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다.
또한, 질문과 토의라는 구체적인 대화법을 교육방법으로 활용하게 되는데, 그 예로는 소크라테스식 질문법, 하브루타식 질문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루아흐학습법은 좋은 생각을 키우는 질문과 좋은 감정을 키우는 토의, 좋은 행동을 키우는 발표를 통해 궁극적인 성품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식체계에 대한 인지적-감정적-행동적 이해를 바탕으로 진리를 깨달아 생활에 적용하고 실천하는 실제적인 교육방법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를 이용한 루아흐학습법을 학습하게 되면 좋은 성품을 갖춘 미래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새로운 학습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루아흐교육법의 바탕이 되는 12가지 테마는 인간, 특히 한국인의 12가지 성품과 깊은 관계가 있다.
한국인의 성품은 동양의 관계주의 문화권, 유교문화권, 정(情)의 부정적 기능, 한(恨), 샤머니즘의 영향을 받아 부정적으로 형성된 부분이 있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한국형 12성품교육은 성품 훈련으로 개인의 생각, 감정, 행동을 잘 표현하도록 돕는 것을 교육목표로 한다.
또한 다른 사람의 감정에 잘 공감하면서도 옳고 그름은 잘 분별할 수 있도록 공감인지능력과 분별력의 덕목을 동시에 키우는 교육을 지향한다.
그리고 '관계 맺기의 비밀-TAPE 요법'을 통해 관계의 문을 열고 친밀한 관계를 회복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9.07.2020]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관계맺기의 비밀-TAPE 요법을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9.07.2020]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9.07.2020] 
상기 도 19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감사하기', '용서하기', '요청하기', '내마음 표현하기'의 균형 학습을 통해 수평적 관계맺기와 수직적 관계맺기에 대한 개념을 숙지하고 바른 성품을 키우도록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자신을 성찰함으로써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을 책임감 있게 선택하여 어려운 문제와 갈등을 이겨낼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이를 한국형 12성품교육이라 할 수 있는데, 기존 인성교육이 추상적인 지식 취득에만 머물러 있어 문제점과 한계를 가졌던 것과는 달리 교육현장에서 좋은 성품을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감인지능력(empathy)과 분별력(conscience)이라는 두 가지 기본 덕목과 이를 구체화한 열두 가지 주제 성품을 체계적인 교육내용과 방법론으로 제시한다.
공감인지능력이란 "다른 사람의 기본적인 정서 즉 고통과 기쁨, 아픔과 슬픔에 공감하는 능력으로 동정이 아닌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정서적 충격을 감소시켜 주는 능력"이다.
분별력이란 "인간의 기본적인 양심을 기초로 하여 선악을 구별하는 능력으로 올바른 생활과 건강한 시민정신, 도덕적인 행동을 위한 토대가 되는 덕목"이다.
이 두 덕목을 기둥을 삼을 때 이 기둥에서 가지를 뻗어 가듯 다양한 가치관들이 이어질 수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9.07.2020] 
도 20은 한국형 12성품교육의 '2가지 기본 덕목' 모형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9.07.2020]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9.07.2020] 
상기 도 20에서와 같이 공감인지능력을 통해서는 경청, 긍정적인 태도, 기쁨, 배려, 감사, 순종이라는 여섯 가지의 좋은 성품이 뻗어 가고, 분별력을 통해서는 인내, 책임감, 절제, 창의성, 정직, 지혜라는 여섯 가지 좋은 성품이 뻗어 나온다.
상기한 본 발명의 루아흐교육법은 한 개인이 자신을 성찰한 뒤, 생각, 감정, 행동을 잘 표현하여 다른 사람과 행복한 관계를 회복하는 것에 중점을 둔 한국형 12성품교육의 기본 방향을 바탕으로 한다.
또한, 공감인지능력(empathy)과 분별력(conscience)이라는 두 가지 기본 덕목과 이를 구체화한 열두 가지 주제 성품을 다양한 교육법으로 배우고 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형 12성품교육론의 장점을 동일하게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성품대화를 학습하고 구현하고자 하는 바, 성품대화란 '대화를 통해 한 사람의 생각, 감정, 행동에 영향을 끼쳐 더 좋은 성품으로 표현되도록 돕는 대화'이다.
이는 다른 사람의 생각과 마음, 행동까지 수용하며 마음을 열어 친밀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대화로 말하는 사람의 생각, 느낌, 행동을 열어 함께 의사소통함으로써 서로의 성품을 자라게 하는 대화를 말한다.
성품대화를 잘 하기 위해서는 4가지 마음을 준비해야 한다. 4가지 마음 중 첫째는, 존중하는 마음이다. 성품대화는 상대방을 존중하는 마음에서 출발한다. "존중이란 나와 상대방을 공손하고 소중하게 대함으로써 그 가치를 인정하며 높여주는 태도"이다. "너는 언제나 이 모양이야"라든가 "늘 그렇지 뭐" 등 아이의 생각이나 행동을 쉽게 단정해버리는 말을 일컬어 '꼬리표를 붙인 말'이라 하는데, 존중하는 마음이 없을 때 나오는 말이다. 이런 말들이 관계를 망치게 된다.
아이를 존중하는 마음으로 대화를 시작해야 꼬리표를 붙인 말들을 멈출 수 있다.
둘째, 관찰하는 마음이다. 성품대화는 자녀를 관찰하면서 하는 대화이다. 이는 드러난 행동만으로 아이를 평가하기보다 그 행동이 나오게 된 동기를 관찰하려는 태도를 강조하는 대화로서, 철학자 크리슈나무르티가 "평가하지 않으며 관찰하는 것이 인간 지성의 최고 형태"라고 말한 것과 맥락을 같이 한다. 자녀의 행동이 마음에 드는지 그렇지 않은지 판단하기 전에 관찰한 바를 그대로 이야기하는 식의 대화를 연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느낌 뒤에 숨겨진 욕구를 찾는 마음이다. 말이 주는 느낌 뒤에 숨어 있는 욕구를 찾아야 한다. 가령 자녀가 "아빠는 나를 절대로 이해 못해요"라고 말했다면 아빠는 그 말이 주는 부정적 느낌에 반응하기보다 그 말 뒤에 숨어 있는 욕구 곧 '아빠, 나 좀 이해해 주세요'라는 욕구를 찾아서 표현해 줘야 한다.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에는 몇 가지가 있다. 목표를 스스로 선택할 자유에 대한 욕구, 기념일에 축하 받고 싶은 욕구, 공동체에서 상호 의존하고 싶은 욕구, 자신의 개별성을 인정받고 싶은 욕구, 재미에 대한 욕구, 신체적 만족을 추구하는 욕구, 영적으로 만족하길 원하는 욕구 등이 그것이다.
넷째, 요청하는 마음이다. 성품대화는 요청함으로써 자신의 숨은 욕구를 표현한다. 강요하지 않으면서 원하는 바를 요청하려는 마음가짐은 관계를 풍성하게 해준다.
효과적으로 요청하는 비결은 2가지다. 첫째, 구체적인 행동을 요청한다. 모호하게 표현하면 내면에 혼란을 야기하여 관계가 답답해진다. 둘째, 긍정적인 언어로 요청한다. "하지 마!"라고 요청하면 반항심을 불러일으키지만 "컴퓨터는 모든 숙제를 마치고 한 시간씩만 하도록 하자"라고 긍정적으로 말하는 편이 더 효과적이다.
성품대화의 기술에는 크게 3가지가 있다.
첫 번째, '생각을 바꾸는 기술-질문법'은 "하지 마라", "해라"라고 말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생각을 바꿀 수 있는 대화의 기술이다. 성품대화의 4가지 질문법 ?? How질문법, 미래지향적 질문법, 열린 질문법, 직접적인 질문법으로 자녀의 생각을 열기 위해서는 질문법을 사용할 것을 권한다. 질문은 상대에게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생각하고 그 해결법을 찾게 한 후 스스로 열게 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 '감정을 바꾸는 기술-경청법'은 자녀의 생각, 감정을 잘 관찰하여 듣는 기술이다. 자녀의 마음을 열려면 경청해야 한다. 적극적으로 경청하면 상대방은 존중받는다는 느낌을 갖고 마음을 열게 된다. 경청할 때는 자신이 경청하고 있음을 상대방이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 번째, '행동을 바꾸는 기술-긍정적인 피드백과 성품칭찬'은 상대방의 행동에 대해 긍정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피드백을 전달함으로써 구체적인 동기를 부여해 상대방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기술이다. 긍정적인 피드백이란 상대방의 행동에서 장점을 찾아 칭찬하고 격려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루아흐교육법을 통해 다음과 같은 6가지 교육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정체성을 확립하고 둘째, 자존감을 함양하며 셋째, 논리적 사고 능력을 확장하고 넷째, 사회적 관계를 잘 구축하며 다섯째, 언어발달을 촉진하고 여섯째, 창의적인 사고를 계발하는 것이다.
이 6가지 교육목표는 좋은 성품의 미래형 인재를 양성하는데 적합한 교육목표가 될 수 있고, 루아흐스토리(성경, 탈무드, 이솝우화 등)를 바탕으로 한 질문과 토의, 발표 활동을 통해 달성되며, 교육의 최종적 목표는 행복한 미래형 인재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루아흐교육법은 총 7단계로, 1단계 '생각 열기(생각 똑똑)', 2단계 '스토리 읽기(이야기 똑똑)', 3단계 '질문/토의(상상 똑똑)', 4단계 '자기성찰(행동 똑똑)', 5단계 '발표하기(세움 똑똑)', '6단계 '전시하기(나눔 똑똑)', 7단계 '반복하기(반복 교육)'으로 구성된다.
루아흐교육법 1단계는 '생각 열기(생각 똑똑)'은 한국형 12성품교육의 경청, 긍정적인 태도, 기쁨, 배려, 감사, 순종, 인내, 책임감, 절제, 창의성, 정직, 지혜라는 12가지 주제성품과 관련된 사자성어와 속담, 성품 노래와 챈트, 게임을 통해 뇌를 자극하는 단계다.
사자성어와 속담과 같이 짧지만 뜻이 압축된 문장은 어린이들의 지적 호기심을 끌어올린다. 또한 노래, 챈트 속의 운율은 시각뿐만 아니라 청각을 자극하고, 심적 이완을 도와 어린이들의 집중력을 높인다. 게임은 아이들의 흥미를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는 방법으로, 간단한 게임을 통해 학생들의 뇌를 자극할 뿐만 아니라 신체적인 자극에도 효과가 있다.
루아흐교육법 2단계는 '스토리 읽기(이야기 똑똑)'은 루아흐교육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다양한 스토리를 선생님과 친구들이 함께 읽어보고 질문을 통해 내용을 인지하는 단계다. 스토리를 읽고 질문을 던지는 과정은 '루아흐리딩법 4단계'에 입각하여 진행한다.
루아흐리딩법의 1단계는 먼저 교사가 루아흐스토리를 읽는 것인데, 이때 운율에 맞춰 동작과 함께 읽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루아흐스토리의 가장 큰 특징은 운율과 동작, 즉 랩에서 사용하는 라임(rhyme)과 어린이의 심박수를 고려한 70비트(beat)에 있다. 어린이들의 흥미를 높이고, 스토리를 따라 부를 수 있도록 연령별 수준에 맞는 운율이 있으며, 몸을 움직이면서 동작으로 신체표현을 하며 읽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사는 스토리 내의 운율과 신체 동작을 구현하여 어린이들의 집중도를 높인다.
루아흐리딩법의 2단계는 교사가 읽어주고 어린이가 따라 읽는 것인데, 이때 어린이들이 교사가 가르쳐주는 운율과 신체동작을 따라하며 함께 읽을 수 있도록 지도한다.
루아흐리딩법의 3단계는 루아흐스토리의 내용을 질문과 토의를 통해 인지하는 과정이다. 질문과 토의는 스토리를 수동적, 단편적으로 이해하지 않고 주체적이고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루아흐스토리의 흐름을 따라가면서 논리적인 사고를 키운다.
루아흐리딩법의 4단계는 3명이 한 모둠이 되어 반복해서 루아흐(Ruah)스토리를 읽는 단계다. 이때 한 모둠에 상, 중, 하의 레벨 차이가 있도록 하여, 서로 협력하여 모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돕게 한다.
루아흐교육법 3단계는 '질문/토의(상상 똑똑)'은 루아흐(Ruah)스토리를 읽은 후 질문과 토의를 통해 다양한 상상으로 창의적 사고를 키우는 단계다. 질문법이란 유아에게 질문을 함으로써 아동의 사고를 구체화하고 나아가 사고를 확장시키는 기능을 하는 방법을 말한다. 질문은 아이들의 잠재능력을 표현하고 언어발달 자극은 물론 사고를 촉진한다. 그러나 교사나 부모가 정해진 답을 유도하는 질문을 하는 것은 창의적 사고를 계발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질문이 개방적이고 발산적일수록 어린이의 창의적 사고는 증진된다. 토의도 아동의 다양한 생각, 감정, 행동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장으로서, 아동의 창의적 사고를 계발하는 훌륭한 학습법이 된다.
루아흐교육법 4단계는 '자기성찰(행동 똑똑)'은 루아흐(Ruah)스토리를 읽고 자기 성찰을 통해 자신이 깨닫고 행동으로 실천할 것을 결심하는 단계다. 결심을 통해 자신이 배운 것을 어떻게 실천해야 하는지 명료하게 정리할 수 있다. 결심한 것은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하도록 지도한다.
루아흐교육법 5단계 '발표하기(세움 똑똑)'은 그동안 배운 루아흐(Ruah)스토리를 가정에서 부모님과 가족들 앞에서 발표함으로써 자신이 알고 있는 내용을 확장하는 단계다. 배운 것을 다른 사람과 나누는 것은 학습 내용을 가장 오래, 그리고 많이 기억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학습방법이다.
미국의 NTL(National Training Laboratories)의 '학습 피라미드(The Learning Pyramid) 연구에서도 듣고, 읽으며 학습하고 24시간이 지나면 5%, 10%밖에 기억 못하지만 남에게 배운 것을 나누고 가르치는 경우에는 90% 이상을 기억한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발표하기(세움 똑똑)'은 부모-자녀 간의 유대감을 높이는 단계다. 밥상머리 교육과 베갯머리 교육이 부모와 자녀가 친밀하게 좋은 생각, 감정, 행동을 나눔으로써 유대감을 높이듯, '발표하기(세움 똑똑)' 또한 자녀가 배운 것을 발표하고 부모는 긍정적인 피드백을 줌으로써 자녀의 자존감이 향상되고 부모-자녀 간의 돈독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귀중한 소통의 시간이다.
발표하는 요령은 다음과 같다. 어린이는 부모님 앞에서 다음과 같이 발표한다.
1. 요약해서 말하기,
2. 루아흐(Ruah)스토리를 통해 배운 것을 말하기,
3. 나의 결심을 말하기
한편, 어린이의 발표를 들은 부모는 다음과 같이 루아흐(Ruah)피드백을 표현한다. 성품질문 → 성품칭찬 → 성품 피드백의 순서대로 피드백을 전하면 구체적으로 격려하고 칭찬할 수 있어 자녀의 성품과 자존감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루아흐교육법 6단계 '전시하기(나눔 똑똑)'는 자녀가 발표한 내용을 부모가 루아흐(Ruah)워크북에 적고 부모의 소감을 적어 교육기관에 돌려보내는 단계다. 교육기관에서는 부모의 피드백을 학생들에게 발표해주고 전시함으로써 어린이의 자존감을 키워주고, 다음의 성취를 위한 동기로 작용하게 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9.07.2020] 
도21은 루아흐(ruah) 교육법의 7단계 모형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9.07.2020]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9.07.2020] 
상기 도21에서와 같이 루아흐교육법 7단계 '반복 교육'은 가정에서 교육기관으로 보내온 루아흐 학습교재를 반복적으로 읽고, 좋은 생각, 좋은 감정, 좋은 행동을 연습하는 단계다. 단짝 친구(베프:best friend) 3인으로 구성된 조모임 활동 시, 루아흐(Ruah)스토리를 언제든지 반복하여 읽을 수 있도록 교육기관에서의 언어영역 교재/교구로 활용한다.
이때, 3인으로 조편성을 하는 이유는 개인 차원의 학습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상,중,하 레벨 차이가 있는 조에서 다양한 생각의 차이, 감정의 차이, 행동의 차이를 경험하게 하고 서로에게 모델링 또는 동기부여자가 되게 하기 위함이다.
특히, 3인의 조편성은 질문, 토의, 발표를 진행하기에 2인의 조편성보다 발전적이고(다양한 의견 교류) 4인의 조편성보다 안정적인(관계적 측면에서 다수에 치우지지 않음) 소그룹 형태로 적합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루아흐교육법에 따른 수업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규칙을 정하고 정해진 규칙 따라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첫째, 상대방을 존중합니다.
① 교사:"밝은 얼굴과 기분 좋은 목소리로"
학습자:"발표합니다."
② 교사:"나쁜 말이나 비난하는 말은"
학습자:"사용하지 않습니다."
③ 교사:"다른 사람이 말할 때는"
학습자:"도중에 끼어들지 않습니다."
④ 교사:"내가 더 많이 알고 있다는 것을"
학습자:"자랑하지 않고,"
⑤ 교사:"내가 모르는 것을"
학습자:"부끄러워하지 않습니다."
둘째, 상대방을 관찰합니다.
① 교사:"잘 관찰하여 잘하는 친구를"
학습자:" 칭찬해 줍니다."
② 교사:"잘 관찰하여 잘 못하는 친구를"
학습자:" 격려합니다."
③ 교사:"모두가 협력하여 재미있는"
학습자:"루아흐교육시간을 만듭니다."
셋째, 내 마음을 잘 표현합니다.
① 교사:"친구와 갈등이 일어날 때"
학습자:"긍정적인 태도로 내 마음을 표현합니다."
② 교사:"친구가 잘할 때는"
학습자:"아낌없이 칭찬합니다."
- 루아흐의 칭찬법: 엄지 척
③ 교사:"친구가 못할 때는"
학습자:"격려하는 말로 표현합니다."
- 루아흐(Ruah)의 격려법: 괜찮아, 괜찮아, 할 수 있어, 괜찮아!
넷째, 어려울 때 요청합니다.
① 교사:"다시 말해 줄래? 라고"
학습자:"요청합니다."
② 교사:"내 말 좀 들어봐 라고"
학습자:"요청합니다."
위의 규칙들은 루아흐(Ruah)수업을 진행할 때마다 교사가 앞서 읽고, 그 뒤로 학습자가 해당되는 부분을 읽음으로, 학습자가 규칙을 인지함과 동시에 원활한 학습이 이뤄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루아흐교육법에 의한 수업에는 성품대화기술이 필요한데, 이 기술은 교사와 부모가 배우고 훈련해야하는 기술로서, 어린이에게 건네는 질문이 수렴적 질문이 아닌 확산적ㅇ개방적 질문이 되도록 돕게 된다.
즉, 어린이의 창의적, 논리적 사고를 향상시키는 성품대화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루아흐교육법의 성품대화기술은 다음과 같다.
(1) 생각을 여는 기술 - 질문법
다양한 질문법을 통하여 생각을 열고 뇌의 활성화를 돕습니다.
(예) "어떻게 된 일이니?" (How 질문법)
"그러면 앞으로 네가 어떻게 해야 할까?" (미래지향적 질문법)
"너는 어떻게 생각하니?" (열린 질문법)
"너라면 어떻게 행동할거니?" (직접적인 질문법)
(2) 감정을 바꾸는 기술 - 경청법
첫째, 열린 마음의 자세와 태도로 참여합니다.
둘째, 상대방에게 눈을 맞춰 집중하여 경청의 자세를 보여줍니다.
(예) "아~ 그렇구나"
"그렇게 생각했구나"
셋째, 상대방에게 말할 때는 중간에 끼어들거나 이야기를 끊지 않고 들어줍니다.
(3) 행동을 바꾸는 기술 - 긍정적인 피드백, 성품칭찬, 성품훈계
(예) "이야기를 끝까지 잘 듣는 네 모습을 보니 기쁘구나"
"네가 결심한 것을 꼭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줄게!"
"나는 네가 자랑스러워"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제1영역에서 제7영역까지 단계별 학습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각 단계별 연관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1단계부터 7단계가 맥락을 가지고 질문, 토의, 발표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발명된 학습방법을 교재화한 것으로서, 교사와 부모가 단계별로 던지는 질문은 성품대화법에 근거한 4가지 질문법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토의(토론)가 가능하도록 2단계에서 루아흐리딩법 적용시 4단계에서 조별로 읽기 활동을 진행하고, 발표를 체계적으로 훈련하도록 2단계, 3단계, 4단계에서 배우고 연습한 내용을 5단계에서 발표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또한, 질문, 토의, 발표의 일련의 과정들을 행복한 경험으로 기억하도록 6단계에서 부모의 피드백을 받아 전시하고 7단계에서 반복적으로 루아흐 학습교재를 활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인간의 성품과 관련된 12가지 학습테마를 루아흐 7단계학습패턴을 통해 교육함으로써, 학습자의 생각, 감정, 행동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어 더 좋은 성품으로 변화시키는 다양한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육을 통해 생각, 감정, 행동에 각각 의미 있는 영향을 주어 바람직한 변화를 도모하는 성품교육과정을 통해 행복한 미래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고, '생각을 바꾸는 기술- 질문법, 감정을 바꾸는 기술-경청법, 행동을 바꾸는 기술-긍정적인 피드백, 성품칭찬, 성품훈계'를 어린이 교육법으로 활용하여 어린이의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적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질문과 토의라는 구체적인 대화법을 통해, 좋은 생각을 키우는 질문과 좋은 감정을 키우는 토의, 좋은 행동을 키우는 발표를 통해 궁극적인 성품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식체계에 대한 인지적-감정적-행동적 이해를 바탕으로 진리를 깨달아 생활에 적용하고 실천하는 실제적인 교육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좋은 성품을 갖춘 미래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100)는, 도 17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청, 긍정적인 태도, 기쁨, 배려, 감사, 순종, 인내, 책임감, 절제, 창의성, 정직, 지혜라는 인간의 성품과 관련된 12가지 학습테마를 주제로 각각 단권으로 구성되고, 각 학습테마의 단계를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제1단계인 '생각 똑똑' 페이지(111), 제2단계인 '이야기 똑똑' 페이지(112), 제3단계인 '상상 똑똑' 페이지(113), 제4단계인 '행동 똑똑' 페이지(114), 제5단계인 '세움 똑똑' 페이지(115), 제6단계인 '나눔 똑똑' 페이지(116) 및 제7단계인 '반복 교육' 페이지(117)를 포함하는 학습용 페이지부(110), 학습용 페이지부(110)의 학습을 보조하는 테마정의학습 페이지(121), 루아흐주제가학습 페이지(122), 루아흐규칙학습 페이지(123), 테마챈트(chant)학습 페이지(124), 테마스토리학습 페이지(125), 테마게임판 페이지(126), 스티커 페이지(127) 및 그림카드 페이지(128) 등을 포함하는 보조용 페이지부(120), 학습용 페이지부(110)와 보조용 페이지부(120)가 수용되는 커버용 페이지부(130) 및 선택적으로 커버용 페이지부(130)를 수용하거나 부착 등의 방식으로 구성되고 학습중 해당 페이지들의 펼쳐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펼침유지커버부(140) 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100)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학습용 페이지부(110)와 보조용 페이지부(120)가 커버용 페이지부(130)에 배열 구성되어 단권으로 제본된 상태에서, 펼침유지커버부(140)가 커버용 페이지부(130)를 수용하면서 구성되어, 학습자의 학습을 보조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용 페이지부(110)와 보조용 페이지부(120)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또한, 커버용 페이지부(130) 역시도 공지의 책의 구성 중 겉면 표지에 대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펼침유지커버부(140)는, 커버용 페이지부(130)의 외면에 구성되어 페이지들의 펼쳐짐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학습자가 학습에 집중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펼쳐진 상태의 커버용 페이지(130) 양측 길이에 대응된 길이를 가지고 커버용 페이지(130)의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밴드(141), 밀착밴드(141)의 중심 양측부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꺽임 또는 롤링 가능하게 구성되고 커버용 페이지(130)의 중심 양측 부분 외면을 향해 꺽임 또는 롤링시 페이지들의 펼쳐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접힘방지용 롤링바(142), 밀착밴드(141)의 양단부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꺼임 또는 롤링 가능하게 구성되고 커버용 페이지(130)의 가장자리 부분 내면을 향해 꺽임 또는 롤링시 페이지들의 가장자리 부분이 커버되도록 하여 학습된 페이지에 대한 서표 기능을 제공하는 서표용 롤링바(143) 및 접힘방지용 롤링바(142)와 서표용 롤링바(143) 사이의 밀착밴드(141) 구간에 구성되어 접힘방지용 롤링바(142)의 롤링시 접힘방지용 롤링바(142)와 서표용 롤링바(143) 사이의 밀착밴드(141) 구간이 롤링되는 것을 방지하여 페이지들의 펼쳐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롤링방지용 막대바(144) 등을 포함한다.
밀착밴드(141)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합성수지 재질의 띠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공지의 접착 구성을 통해 커버용 페이지(130)의 외면에 밀착되는 것이 좋다.
접힘방지용 롤링바(142)와 서표용 롤링바(143)는, 얇은 막대 형상과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이 길이방향에 대해 일면이 오목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막대 형상을 유지하고 반대로 일면이 볼록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태엽처럼 롤링되거나 소정의 각도로 꺽이는 형상을 유지하는 특성을 가진다.
롤링방지용 막대바(144)는, 얇은 막대 형상과 롤링이 되지 않을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접힘방지용 롤링바(142)는 접혀진 상태의 커버용 페이지(130)의 가로폭 길이에 1/4 내지 2/4 정도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펼침유지커버부(140)에 의하면, 교재를 양쪽을 펼치는 경우, 접힘방지용 롤링바(142)의 롤링에 의해 양쪽으로 펼쳐지는 페이지들의 중심 양측 1/4 내지 2/4 정도 길이에만 꺽이거나 롤링되는 힘이 작용되고, 페이지들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은 롤링방지용 막대바(144)에 의해 롤링되는 힘이 작용되지 못하여 페이지가 안정적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서표용 롤링바(143)가 페이지들의 가장자리 상면을 향해 롤링시 현재 학습중인 페이지에 서표 기능이 제공되어, 현재 학습중인 페이지가 접히거나 덮혀지지 않고 안정적인 펼침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교재의 커버용 페이지(130)에 펼침유지커버부(140) 구성시, 교재의 페이지수가 많아 두께가 두껍더라도 학습을 위해 펼쳐진 페이지가 페이지들의 복원력에 의해 펼쳐짐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덮히는 것을 방지하여 학습자가 다시 학습중이던 페이지를 펼치도록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이를 통하여, 학습 집중을 가능하게 하여 학습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 나타낸 도안 이외의 문자나 문장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뒷받침하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나 특징을 가지지 않으므로, 발명의 범위에서 제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20)

  1. 경청, 긍정적인 태도, 기쁨, 배려, 감사, 순종, 인내, 책임감, 절제, 창의성, 정직, 지혜라는 인간의 성품과 관련된 12가지 학습테마를 주제로 각각 단권으로 구성되고,
    각 학습테마를 주제로 하는 단권은 'open step', 'step1' 및 'step2'로 학습내용의 난이도가 구분되어 학습자의 연령에 대응되는 선택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며,
    각 학습테마는 제1단계인 '생각 똑똑' 페이지(111), 제2단계인 '이야기 똑똑' 페이지(112), 제3단계인 '상상 똑똑' 페이지(113), 제4단계인 '행동 똑똑' 페이지(114), 제5단계인 '세움 똑똑' 페이지(115), 제6단계인 '나눔 똑똑' 페이지(116) 및 제7단계인 '반복 교육' 페이지(117)를 통하여 단계적으로 세분 학습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생각 똑똑' 페이지(111)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정의를 노래와 동작으로 표현하고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정의를 놀이나 게임을 통해 인지하며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정의 또는 주제어를 고사성어를 통해 뜻과 음을 학습하고 상기 고사성어를 노래와 챈트를 통해 표현 및 학습하도록 하는 안내지문이 개시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해당 학습테마의 정의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정의를 노래와 동작으로 표현하며,
    해당 학습테마의 정의는 안내 문구나 교사의 지시에 따라 학습자가 직접 해당 영역에 글씨를 적거나 그림을 그리도록 하고,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주제어는 학습테마의 정의가 드러나는 짧지만 뜻이 압축된 문장으로 이루어지고 학습자가 뜻과 음을 보고 글자에 맞는 스티커를 붙이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며,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주제어를 노래와 행동(또는 신체)으로 표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3. 제2항에 있어서, '이야기 똑똑' 페이지(112)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루아흐 스토리를 학습자와 교사가 함께 읽어보고 질문을 통해 내용을 인지하도록 하는 안내지문이 개시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루아흐리딩법으로 진행되며,
    상기 루아흐리딩법은,
    교사가 운율에 맞춰 동작과 함께 루아흐 스토리를 읽어주는 1단계, 교사가 가르쳐주는 운율과 신체동작을 어린이들이 따라하며 함께 읽을 수 있도록 하는 2단계, 루아흐 스토리의 내용을 질문과 토의를 통해 인지하는 3단계 및 3명이 한 모둠이 되어 반복해서 루아흐 스토리를 읽는 4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루아흐리딩법의 1단계 내지 3단계가 선행된 후, 교사의 질문이나 안내지문에 맞게 학습자들이 해당 영역에 글씨를 적거나 그림을 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상 똑똑' 페이지(113)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루아흐 스토리를 읽은 후 질문과 토의를 통해 다양한 상상으로 창의적 사고를 키우도록 하는 안내지문이 개시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교사의 질문이나 안내지문에 맞게 학습자들이 해당 영역에 글씨를 적거나 그림을 그리고 또는 자유롭게 상상하고 대답을 발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5. 제4항에 있어서, '행동 똑똑' 페이지(114)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루아흐 스토리를 읽은 후 자기 성찰을 통해 자신이 깨닫고 행동으로 실천할 것을 결심하도록 하는 안내지문이 개시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교사의 질문이나 안내지문에 맞게 학습자들이 해당 영역에 글씨를 적거나 그림을 그리고 또는 자신의 결심을 발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6. 제5항에 있어서, '세움 똑똑' 페이지(115)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루아흐 스토리와 전(全)단계를 통해 배운 내용을 가정에서 부모님과 가족들 앞에서 발표하도록 하여 자신이 알고 있는 내용을 확장하도록 하는 안내지문이 개시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세움 단계'를 통해 진행되며,
    상기 '세움 단계'는,
    요약해서 말하는 1단계, 루아흐 스토리를 통해 배운 것을 말하는 2단계 및 나의 결심을 말하는 3단계로 이루어지고,
    해당 학습테마와 관련된 그림 자료를 이용하여 부모님과 가족들에게 루아흐 스토리의 내용을 발표하도록 하는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영역은 그림 자료를 오리고 붙이는 것을 통해 학습자가 그림 자료를 발표에 필요한 도구나 소재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7. 제6항에 있어서, '나눔 똑똑' 페이지(116)는,
    학습자가 발표한 내용을 부모가 해당 지면에 적고 학습자의 발표를 통해 느낀 소감을 적어 교사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안내지문이 기재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자녀가 발표한 루아흐 스토리를 듣고 있는 그대로 적는 부분과, 자녀가 루아흐 스토리를 발표할 때 부모의 반응을 경청하기, 질문하기, 칭찬하기, 격려하기로 구분하여 질의하고 선택 답변하도록 하는 부분과, 부모의 소감을 적도록 하는 부분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8. 제7항에 있어서, '반복 교육' 페이지(117)는,
    상기 루아흐리딩법의 4단계인 3인으로 구성된 조모임 활동을 통해 루아흐 스토리를 반복적으로 읽고 좋은 생각, 좋은 감정, 좋은 행동을 연습하도록 하는 안내지문이 개시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9. 제1항에 있어서,
    해당 학습테마의 정의를 학습하는 테마정의학습 페이지(121), 루아흐학습에 대한 주제가를 학습하는 루아흐주제가학습 페이지(122), 루아흐학습의 규칙을 학습하는 루아흐규칙학습 페이지(123),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고사성어와 노래를 학습하는 테마챈트(chant)학습 페이지(124),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삽화를 토대로 학습자들과 교사가 이야기를 상상하여 자유롭게 이야기하면서 학습하는 테마스토리학습 페이지(125),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전(全)단계 학습 이후에 학습자들이 친구들과 게임을 통해 재미있게 놀이를 하면서 해당 학습테마의 태도를 연습하도록 하는 테마게임판 페이지(126) 및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학습 중 '생각 똑똑' 단계에서 필요한 학습테마의 주제어에 대한 고사성어의 음과 뜻 및 내용이 일면과 타면에 기재되어 보조 도구로 활용되는 그림카드 페이지(1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10. 제9항에 있어서,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학습 중 '생각 똑똑' 및 '이야기 똑똑' 단계에서 필요한 학습테마의 주제어나 루아흐 스토리에 대한 내용에 해당되는 스티커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학습 호기심을 자극하는 스티커 페이지(12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11. 제9항에 있어서, 테마정의학습 페이지(121)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정의와 동작을 학습하도록 하는 안내지문이 개시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해당 학습테마의 정의에 대한 사전적인 의미나 표현이 기재되는 부분과, 해당 학습테마의 정의를 동작으로 표현하도록 하는 그림이 기재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12. 제9항에 있어서, 루아흐주제가학습 페이지(122)는,
    교사와 학습자가 루아흐학습 주제가를 부를 수 있도록 가사가 기재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13. 제9항에 있어서, 루아흐규칙학습 페이지(123)는,
    교사와 학습자가 매일 구호를 반복해서 외치면서 학습하도록 규칙이 기재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14. 제9항에 있어서, 테마챈트학습 페이지(124)는,
    해당 학습테마의 주제어에 대한 고사성어와 노래를 학습하도록 하는 안내지문이 개시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해당 학습테마의 주제어에 대한 고사성어와 의미가 기재되는 부분과, 해당 학습테마의 주제어를 뜻하는 노래 가사가 기재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15. 제9항에 있어서, 테마스토리학습 페이지(125)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루아흐 스토리가 루아흐리딩법에 의해 진행될 때 교사와 학습자들이 그 내용을 눈으로 보면서 이해를 돕도록 하는 안내그림이 개시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루아흐리딩법에 의해 루아흐 스토리가 진행될 때 해당 스토리에 대한 내용을 학습자들이 눈으로 보도록 하는 삽화가 그려진 부분과, 루아흐리딩법에 따른 루아흐 스토리가 노래 및 영상으로 재생되도록 하는 QR코드가 인쇄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16. 제9항에 있어서, 테마게임판 페이지(126)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전(全)단계 학습 이후에 학습자들이 친구들과 게임을 통해 재미있게 놀이를 하면서 해당 학습테마의 태도를 연습하도록 하는 안내지문이 개시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학습자와 친구들이 주사위와 게임용 말을 가지고 주사위를 던져 나온 수 만큼 말을 이동하면서 그 말이 위치된 부분에 안내된 미션을 수행하는 게임규칙과 게임판이 그려진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17. 제10항에 있어서, 스티커 페이지(127)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학습 중 '생각 똑똑' 및 '이야기 똑똑' 단계에서 필요한 학습테마의 주제어나 루아흐 스토리에 대한 내용에 해당되는 스티커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해당 학습테마의 단계에서 필요한 스티커가 탈착 가능하게 접착되어 있는 부분과, 상기 스티커가 부착되어야 할 단계의 페이지 숫자가 기재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18. 제9항에 있어서, 그림카드 페이지(128)는,
    해당 학습테마에 대한 학습 중 '생각 똑똑' 단계에서 필요한 학습테마의 주제어에 대한 고사성어의 음과 뜻 및 내용이 일면과 타면에 기재되어 보조 도구로 활용되는 그림카드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그림카드가 오려지거나 뜯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일면에는 고사성어의 한자(漢字)와 각 한자(漢字)에 대한 한글 뜻과 음이 기재되고 타면에는 고사고사의 한자에 대한 한글발음과 그 뜻이 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19. 경청, 긍정적인 태도, 기쁨, 배려, 감사, 순종, 인내, 책임감, 절제, 창의성, 정직, 지혜라는 인간의 성품과 관련된 12가지 학습테마를 주제로 각각 단권으로 구성되고,
    각 학습테마의 단계를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제1단계인 '생각 똑똑' 페이지(111), 제2단계인 '이야기 똑똑' 페이지(112), 제3단계인 '상상 똑똑' 페이지(113), 제4단계인 '행동 똑똑' 페이지(114), 제5단계인 '세움 똑똑' 페이지(115), 제6단계인 '나눔 똑똑' 페이지(116) 및 제7단계인 '반복 교육' 페이지(117)를 포함하는 학습용 페이지부(110);
    학습용 페이지부(110)의 학습을 보조하는 테마정의학습 페이지(121), 루아흐주제가학습 페이지(122), 루아흐규칙학습 페이지(123), 테마챈트(chant)학습 페이지(124), 테마스토리학습 페이지(125), 테마게임판 페이지(126), 스티커 페이지(127) 및 그림카드 페이지(12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용 페이지부(120);
    학습용 페이지부(110)와 보조용 페이지부(120)가 수용되는 커버용 페이지부(130); 및
    커버용 페이지부(130)에 구성되고 학습중 해당 페이지들의 펼쳐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펼침유지커버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20. 제19항에 있어서, 펼침유지커버부(140)는,
    펼쳐진 상태의 커버용 페이지(130) 양측 길이에 대응된 길이를 가지고 커버용 페이지(130)의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밴드(141);
    밀착밴드(141)의 중심 양측부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꺽임 또는 롤링 가능하게 구성되고 커버용 페이지(130)의 중심 양측 부분 외면을 향해 꺽임 또는 롤링시 페이지들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접힘방지용 롤링바(142);
    밀착밴드(141)의 양단부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꺽임 또는 롤링 가능하게 구성되고 커버용 페이지(130)의 가장자리 부분 내면을 향해 꺽임 또는 롤링시 페이지들의 가장자리 부분이 커버되도록 하여 학습된 페이지에 대한 서표 기능을 제공하는 서표용 롤링바(143); 및
    접힘방지용 롤링바(142)와 서표용 롤링바(143) 사이의 밀착밴드(141) 구간에 구성되어 접힘방지용 롤링바(142)의 꺽임 또는 롤링시 접힘방지용 롤링바(142)와 서표용 롤링바(143) 사이의 밀착밴드(141) 구간이 롤링되는 것을 방지하여 페이지들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롤링방지용 막대바(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PCT/KR2019/003824 2019-03-19 2019-04-01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루아흐 학습법 WO202018983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190 2019-03-19
KR1020190031190A KR102034158B1 (ko) 2019-03-19 2019-03-19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루아흐 학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9834A1 true WO2020189834A1 (ko) 2020-09-24

Family

ID=68462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3824 WO2020189834A1 (ko) 2019-03-19 2019-04-01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루아흐 학습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302824A1 (ko)
KR (1) KR102034158B1 (ko)
WO (1) WO20201898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30231B1 (ja) * 2021-06-10 2022-03-04 株式会社バンダイ 知育玩具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53696B1 (ko) * 2021-11-29 2023-07-11 주식회사 인투드리머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스피치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교육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2102U (ja) * 1994-12-07 1995-06-13 名成化学工業株式会社 読書用ページ押え具
KR20010044483A (ko) * 2001-02-26 2001-06-05 조동금 어린이 인성교육을 위한 학습교재
KR20110099398A (ko) * 2010-03-02 2011-09-08 이영숙 성품 교육훈련 학습방법
KR20180104553A (ko) * 2018-01-10 2018-09-21 이영숙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방법 및 학습교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9235B1 (ko) * 1996-02-24 1999-04-01 김상도 북 화일 기능을 갖는 독서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2102U (ja) * 1994-12-07 1995-06-13 名成化学工業株式会社 読書用ページ押え具
KR20010044483A (ko) * 2001-02-26 2001-06-05 조동금 어린이 인성교육을 위한 학습교재
KR20110099398A (ko) * 2010-03-02 2011-09-08 이영숙 성품 교육훈련 학습방법
KR20180104553A (ko) * 2018-01-10 2018-09-21 이영숙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방법 및 학습교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UAH RUAH: "Educational Fairy Tale 18 Piece Set for Enhancing Good Personalities", 2 March 2017 (2017-03-02),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7051874000708&orderClick=LAG&Kc=>> [retrieved on 2019120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158B1 (ko) 2019-10-18
US20200302824A1 (en)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tínez et al. Unpacking ideologies of linguistic purism: How dual language teachers make sense of everyday translanguaging
Kröger et al. Puppet as a pedagogical tool: A literature review
Egan Reflections on effective use of graphic organizers
Meskill Triadic scaffolds: Tools for teaching English language learners with computers
Ergashevich Some Pedagogical Technologies Used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Training Session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ennessey Using foreign films to develop proficiency and to motivate the foreign language student
WO2020189834A1 (ko)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루아흐 학습법
Fisher The teacher’s role
Raza Teaching listening to EFL students
Bax Appropriate methodology: The content of teacher development activities
KR102054891B1 (ko) 루아흐교육의 7단계 학습법 및 학습교재
Setyawati IMPROVING CONFIDENCE AND ENGLISH LANGUAGE SPEAKING SKILLS USING ROLE PLAY TECHNIQUE WITH TALK SHOW FOR 8th GRADE STUDENTS; A CASE STUDY SMP N 1 KARANGGENENG LAMONGAN
Wegerif Walking or dancing? Images of thinking and learning to think in the classroom
Gulnoza USE OF INNOVATIVE TECHNOLOGIES AS A MEANS OF FORMING COGNITIVE INTEREST TO A FOREIGN LANGUAGE
Makhliyo EXPLAIN HOW TO MATCH LEARNERS'NEEDS TO APPROPRIATE TEACHING TECHNIQUES AND ACTIVITIES
Hariyanti Improving Speaking Skill By Using English Drama (A Pre-Experimental Research at The Second Year Student of SMA Negeri 7 Pinrang)
Ismayani et al. Teaching English to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Study on A School for Disabilities Students in East Lombok
Adilbekovna MODERN METHODS OF TEACHING ENGLISH IN PRESCHOOL INSTITUTIONS
Chornous Communicative Approach as a Means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in Higher Education
Sumarni et al. The Use of Classroom Languages in Teaching English
Evzhenko et al. DIDACTIC MATERIALS AT ENGLISH LANGUAGE LESSONS
RAHMI Teaching English to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Study on A School for Disabilities Students in East Lombok
Ernazarov SOME PEDAGOGICAL TECHNOLOGIES USED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TRAINING SESSION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Shevelova-Harkusha The use of communicative activities for developing speaking skills of students at english lessons
Mamajonovna IMPORTANCE OF INTEGRATING FOUR SKILLS IN LANGUAGE TEAC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203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203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