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71371A1 - 자궁 검진을 위한 탈락세포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자궁 검진을 위한 탈락세포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71371A1
WO2020171371A1 PCT/KR2020/000003 KR2020000003W WO2020171371A1 WO 2020171371 A1 WO2020171371 A1 WO 2020171371A1 KR 2020000003 W KR2020000003 W KR 2020000003W WO 2020171371 A1 WO2020171371 A1 WO 202017137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rod
movable rod
locking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000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임욱빈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다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다인 filed Critical (주)바이오다인
Priority to CN202080006958.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3164169B/zh
Priority to AU2019430111A priority patent/AU2019430111B2/en
Priority to EP20759473.0A priority patent/EP3928716A4/en
Priority to NZ776440A priority patent/NZ776440A/en
Priority to US17/292,698 priority patent/US20210393244A1/en
Priority to JP2021528985A priority patent/JP7086434B2/ja
Priority to CA3120848A priority patent/CA3120848C/en
Publication of WO202017137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7137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91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for ute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2010/0074Vaginal or cervical secre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08Biopsy devices with actuators, e.g. with triggered sp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16Sampling brush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llecting deciduous cells from the cervix and its surroundings for uterine examination.
  •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female cervix and the brush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it into an insertion brush and a tension brush, and changes the shape of the tension brush step by step by the user's operation to recover the cervix and deciduous cells around it. It relates to a technique to show good usability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 of the cervix and its surroundings in collecting.
  • a collection brush e.g., a disposable brush
  • collects the collected contents It may be possible to request a test by placing a part of the collection brush with its contents (eg brush part) in a vial, for example, and sending it to an inspection institution (eg hospital).
  •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periphery of the uterus and cervix.
  • a relatively narrow passage a cervix
  • an internal os is located from the cervix toward the inside of the uterus.
  • cervix) to the inside of the vagina is the ectocervix.
  • the external os, inner cervix, and endocervical canal are located sequentially from the inside of the vagina toward the inside of the uterus.
  • the names of the cervix and its surroundings in FIG. 1 are the cervix and various parts around the cervix at the time of the uterine examination, and when the deciduous cells are collected, the collection brush may be collected while moving the location. Each location is named to explain that it is possible, and it should be stated in advance that the site is not medically specific.
  • the shape of the cervix and its surroundings changes according to biological age and also according to health conditions.
  • the ectocervix Is relatively wider than that of older women, and the length of the cervix from the inside of the vagina to the inside of the uterus is relatively wider and shorter than that of older women.
  • the shape of the collection brush needs to be provided in various standards.
  • the collection brush is inserted into the vagina, so some components (e.g., the brush part) fall off when the collection brush is inserted into the vagina (e.g., dangerous situation) ) May occur, so a safety device is also required to prevent the brush part from being separated in a situation not intended by the user.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vide the brush contacting inside and outside the vagina of a woman into an insertion brush and a tension brush, and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tension brush step by step by the user's operation. It is to provide a device for collecting deciduous cells for examination of the uterus that allows good usability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 of the cervix and its surroundings (eg, shape of the cervix).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collecting deciduous cells for uterine examination that can prevent some components from being deviated from within the vagina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brush and the tension brush are inserted into the vagina.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collecting deciduous cells from a woman's cervix and its surroundings for uterine examination, including: an insertion brush (111) inserted into the cervix; A detachable rod 120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insertion brush and being strok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insertion brush; An outer cylinder member 130 configured in a hollow shape to allow access to the rear end of the rod to be released to guide the front and rear strokes of the rod to be released; A holder member 112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in a form surrounding the front end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One end of its own is connected to the holder member so that it can be compatible with the shape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ervix and its surroundings, and its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insertion brush, and a plurality of rods are moun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lder member When the front stroke of the holder member is interlocked with the
  • a tension brush 113 showing a gradual lateral expansion structure along the way;
  • a movable rod 140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rod to be detached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and strokes the rod to be detach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 a pressing block 141 for making a front and rear stroke of the movable rod as it protrudes and protrudes in and out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t the rear end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whil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movable rod; It includes; a tension pressing member 150 for fix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vable rod by blocking the natural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movable rod by pressing the inner wall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in a stat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ovable rod in a vertical direction.
  • the outer cylinder member 130 includes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131 passing throug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ody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adjacent to the tension press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locking holes, a locking slot 132 long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so as to be relatively positioned on the holder member side, and the tension pressing member 150 is a direction in which the inner wall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a plurality of positioning locking protrusions 151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locking hole; The plurality of positioning locking protrusions protrud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ension-pressing member so that they are relatively positioned on the holder member side, and are inserted into the locking slo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on-pressing member.
  • the movable rod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slot, when pressed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a pressing locking protrusion 152 that enables a position change of the locking hole of the positioning locking protrusion is provided, and the movable rod is in a form surrounding the movable rod from the inside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 the movable rod may further include a rear pressing member 160 that provides a rear elastic force to the movable rod so that the movable rod continuously indicates the rear movement force.
  • a rod stopper 171 protruding from the outer wall of the movable rod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of the rear pressing member to block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rear press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movable rod;
  • the external cylinder stopper 172 blocks the forward movement of the rear press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cylinder member as it protrudes inward from the inner wall of the external cylinder member on which the movable rod is loc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ront end of the rear pressing member.
  • the movable rod may be configured to continuously display a rear moving force.
  • the movable rod 140 is provided with a first locking hook 142 formed by bending its front end so as to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rod to be detached in the form of a mutual hook, and the rod to be detached 120 is the first
  • a second locking hook 121 formed by bending its rear end so as to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ocking hook in a hook shape;
  • a guide rib 122 protru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its body adjacent to the second locking hook to abut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to guide the front and rear strokes of the rod to be released may be provided.
  • the front maximum stroke of the movable rod when the front maximum stroke of the movable rod, it is mounted on the outer cylinder member adjacent to the first locking hook and pushes the front end of the movable rod from the inner wall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to release the first locking hook from the second locking hook 180 );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more.
  • a tension hook member 190 that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member during successive front strokes of the rod to be released through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ange the shape of the tension brush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 of the cervix and its surroundings by providing the locking hole and the locking slot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the positioning locking projection of the tension pressing member and the pressing locking projection. Show.
  • the present invention can sufficiently widen the contact area with the cervix and its surroundings by stepwise adjusting the shape of the tension brush in response to the current state of the cervix and its surroundings. It show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ffectively collect.
  • the rotation angle (for example, when a user collects deciduous cells for a specimen through the tension brush) It also show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pain that users can feel because it is possible to collect a sufficient amount even with a small amount of 90 degrees).
  • the user can simultaneously collect the cervix and the inner lining of the uterus through one operation of collecting the deciduous cells for a specimen.
  • the movable rod is separated even when the movable rod is sufficiently moved forward before the manipulation of the push release member is applied. It shows the advantage that the planned rod is stably attach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movable rod.
  • the present invention also exhibit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deciduous cell sample because the intended release rod is separated from the movable ro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sh release member.
  •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periphery of the uterus and cervix.
  •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rod is moved to the rearmost pos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rod is moved forward one step in FIG. 2.
  •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rod is moved forward one step in FIG. 3;
  •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rod moves forward and the holder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tension hook member in FIG. 4, and the second locking hook is suspended from the first locking hook and the rod and the movable rod to be released are connected.
  •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locking hook is separated from the first locking hook by operating the push release member in FIG. 5.
  •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member and the rod to be separated from the outer cylinder member in FIG. 6 are completely separated.
  •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ciduous cell collecting device of FIG. 2 is applied to FIG. 1.
  • FIG.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ciduous cell collecting device of FIG. 4 is applied to FIG. 1.
  •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djusting the shape of the tension brush in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end is separated and put into a vial in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rod is moved to the rearmost pos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rod is moved forward one step
  •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rod is moved forward one step in FIG. 3 and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 FIG. 5 is a view in which the movable rod moves forward in FIG. 4 so that the holder member is moved from the tension hook member.
  • It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locking hook is suspended from the first locking hook in a detached state and the rod to be released and the movable rod are connect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collecting a woman's cervix and deciding cells around the cervix for a uterine examination, an insertion brush 111, a rod to be released 120, an external cylinder member 130 ), holder member 112, tension brush 113, movable rod 140, pressing block 141, tension pressing member 150, rear pressing member 160, rod stopper 171, outer cylinder stopper 172 ), a push release member 180, and a tension hook member 190.
  • the insertion brush 111 is a part that is inserted into the cervix and may be preferably formed in a pointed shape as shown in FIGS. 2 to 5.
  • the rod 120 to be released has its front end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insertion brush 111, its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movable rod 140, and the front and rear strokes of the movable rod 140 In conjunction with the insertion brush 111 may be strok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outer cylinder member 130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so that the rear end of the rod 120 to be released can be accessed and guide the front and rear strokes of the rod 120 to be released.
  • the holder member 112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s shown in FIGS. 2 to 5 and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outer cylindrical member 130 in a form surrounding the distal end of the outer cylindrical member 130.
  • the tension brush 113 has its one end connected to the holder member 112 and its other end is the insertion brush 111 so that it can be compatible with the shape of the cervix and its surroundings as shown in FIGS. 2 to 5. It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holder member 112 may be mounted in pluralit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tension brush 113 is gradually spread in conjunction with the front stroke of the rod 120 to be released based on the holder member 112 As a result, it may represent a gradual front and rear expansion structure from FIG. 2 to FIG. 4.
  • the tension brush 113 is gradually folded in conjunction with the rear stroke based on the holder member 112 when the rear stroke of the rod 120 to be separated from Figs. 4 to 2 occurs. It can represent a gradual lateral expansion structure up to.
  • the tension brush 113 collects deciduous cells around the entrance of the cervix from the inside of the vagina to the inside of the uterus. It shows a suitable structure.
  • the tension brush 113 when the shape of the tension brush 113 is largely expanded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as shown in FIG. 4, the tension brush 113 is located at the inner entrance of the cervix because the tip portion can enter the inside of the cervix. It shows a structure suitable for collecting deciduous cells.
  • the movable rod 14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rod 120 to be released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130 as shown in FIGS. 2 to 5, and extend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130 Accordingly, the rod 120 to be separated is stroked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 the pressure block 141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movable rod 140 as shown in FIGS. 2 to 5, and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130 according to the user's push operation from the rear end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130
  • the movable rod 140 is stroked forward and backward as it appears.
  • the tension pressing member 150 is a natural front and rear side of the movable rod 140 by pressing the inner wall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130 in a stat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ovable rod 140 in a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2 to 5. By blocking the movemen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vable rod 140 is fixed.
  • the rear pressing member 160 may be a spring as shown in FIGS. 2 to 5.
  • the rear pressing member 160 is connected to the movable rod 140 in a form surrounding the movable rod 140 from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130, and the movable rod 140 continues to show the rear moving force. ) To provide a rear elastic force.
  • the tension pressing member 150 moves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external cylinder member 130,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vable rod 140 can be fixed.
  • 130 may include a locking hole 131 and a locking slot 132, and the tension pressing member 150 may include a positioning locking protrusion 151 and a pressing locking protrusion 152.
  • the locking hole 13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outer tube member 130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outer tube member 130 adjacent to the tension pressing member 150 as shown in FIGS. 2 to 4. I can.
  • the locking slot 132 has a slot shape that penetrates long inside and outsid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130 so as to be located on the holder member 112 side relative to the plurality of locking holes 131 as shown in FIGS. 2 to 4 It can be composed of.
  • the position adjustment locking protrusion 151 is the length of the tension pressing member 15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locking holes 131 in a direc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130 as in FIGS. 2 to 4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direction.
  • a plurality of positioning locking protrusions 151 are provided,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locking holes 13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on pressing member 150, and a movable rod 140 by the user's operation. ), the position of the engaging hole 131 to be fitted among the plurality of engaging holes 131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front and rear stroke of the).
  • a position change of the locking hole 131 into which the positioning locking protrusion 151 is inserted from FIGS. 2 to 4 is made, or the positioning locking protrusion 151 is inserted from FIG. 4 to FIG. 2.
  • the position of the locking hole 131 may be changed.
  • the pressing locking protrusion 152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ension pressing member 150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holder member 112 side relative to the plurality of positioning locking protrusions 151 as in FIGS. 2 to 4. I can.
  • the pressing locking protrusion 152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slot 132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on pressing member 150 as shown in FIGS. 2 to 4 and is formed to protrude relatively more than the positioning locking protrusion 151.
  • the position of the positioning locking protrusion 151 with respect to the locking hole 131 can be changed.
  • the rod stopper 171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wall of the movable rod 140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of the rear pressing member 160 as shown in FIGS. 2 to 5 so that the rear pressing member 160 for the movable rod 140 Block the rearward movement of
  • the rod stopper 171 is configured such that its rim abuts the inner wall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130 as in FIGS. 2 to 5, the movable rod 140 is stroked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inside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130.
  • the movable rod 140 is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out shaking left and right.
  • the outer cylinder stopper 172 protrudes inward from the inner wall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130 in which the movable rod 140 is loc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ront end of the rear pressing member 160, so that the rear pressing member 160 for the outer cylinder member 130 ) To block forward movement.
  • the rear pressing member 160 presses the rod stopper 171 with respect to the outer cylinder stopper 172, so that the movable rod 140 shows a continuous elastic force to the rear. I can.
  • the movable rod 140 includes a first locking hook 142
  • the detachable rod 120 includes a second locking hook 121 and a guide rib 122. can do.
  • the first locking hook 142 may be formed by bending its front end por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2 to 5 so as to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rod 120 to be released in a hook shape.
  • the second locking hook 121 may be formed such that its rear end is bent laterally as shown in FIGS. 2 to 5 so as to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locking hook 142 in a hook shape.
  • the guide rib 122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circumference of its body adjacent to the second locking hook 121 to contact the inner wall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130 as shown in FIGS. Guide forward and backward strokes.
  • the guide rib 122 is configured such that its rim abuts the inner wall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130, as shown in FIGS. 2 to 5, the rod 120, which is scheduled to be separat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130, has a front and rear stroke When the rod 120 is to be released, it is possi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out shaking left and right.
  • the push release member 180 may preferably be mounted on the outer cylinder member 130 adjacent to the first locking hook 142 during the maximum forward stroke of the movable rod 140 as shown in FIGS. 2 to 5.
  • the push release member 180 pushes the front end of the movable rod 140 from the inner wall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130 according to the user's push operation, thereby disengaging the first locking hook 142 from the second locking hook 121. I can.
  • the tension hook member 190 may be preferably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outer cylinder member 130 connected to the holder member 112 as shown in FIG. 5.
  • the tension hook member 190 slides into the inside of the holder member 112
  • the tension hook member 19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member 112 in the form of a hook as shown in FIGS. 2 to 4 by an elastic force, and the front of the rod 120 to be released.
  • the rod 120 may be detached from the holder member 112 as shown in FIG. 5 when consecutive front strokes of the rod 120 are to be detached.
  • the tension brush 113 may be arranged to show the front and rear expansion structure as shown in FIG. 4.
  • the tension pressing member 150 inside the outer cylinder member 13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ar pressing member 160 Is arranged as in FIG. 2 and the tension brush 113 may also have the same shape as in FIG. 2.
  • the user gradually presses the pressure block 141 from Figs. 2 to 4 while gripping the outer cylinder member 130 in the shape of the tension brush 113 in response to the current state of the cervix and its surroundings. Can change.
  •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locking hook is separated from the first locking hook by operating the push release member in FIG. 5
  • FIG. 7 is a state in which the holder member and the intended release rod ar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outer cylinder member in FIG. It is a view showing.
  • the tension hook as in FIG. 5 according to the successive front strokes of the disengaging rod 120 through the front and rear expansion structure of the tension brush 113 according to the front stroke of the disengaging rod 120 Even if the member 190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member 112, the first locking hook 142 and the second locking hook 121 are hook-connected to each other inside the outer cylinder member 130, so the front end of the movable rod 140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rod 120 to be released is connected.
  • the insertion brush 111, the tension brush 113, the holder member 112, and the detachable rod 120 are separated from the outer cylinder member 130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integrally connected.
  •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ciduous cell collecting device of FIG. 2 is applied to FIG. 1.
  • the tension brush 113 when the tension brush 113 is extended wide in the lateral direction as in FIG. 8, the tension brush 113 is in contact with the ectocervix relatively widely, and the insertion brush 111 Represents a structure that is slightly inserted into the cervix.
  • the tension brush 113 and the insertion brush 111 have been modified to be suitable for young women, and the tension brush 113 can collect relatively large numbers of deciduous cells in the ectocervix, and insert The brush 111 will be able to intensively collect the deciduous cells of the endocervix and external os of the cervix.
  • FIG.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ciduous cell collecting device of FIG. 4 is applied to FIG. 1.
  • the tension brush 113 when the tension brush 113 is extended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as shown in FIG. 9, the tension brush 113 is inserted further inside the uterus in the cervix. Accordingly, the tension brush 113 may be able to relatively more effectively collect the deciduous cells in the cervix than in the case of FIG. 8.
  • the insertion brush 111 may be inserted into an internal os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of the inside of the uterus by penetrating the cervix at its tip due to its structure.
  • the tension brush 113 and the insertion brush 111 have been changed to be suitable for an older woman, and the tension brush 113 focuses on deciduous cells located inside the cervix rather than the ectocervix part.
  • the insertion brush 111 may be collected by penetrating the cervix and collecting the deciduous cells of the internal os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entrance of the uterus.
  • the user can simultaneously collect from the cervix and the inner lining of the uterus through one operation in which the user collects the dropout cells for the specimen.
  •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djusting the shape of the tension brush 113 in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ends 111 and 113 are separated and put into a vial in the deciduous cell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venient device structure for collecting deciduous cells from various points of the cervix. For uterine examination, it is necessary to collect deciduous cells from the outside of the cervix and inside the vagina. Since these areas have completely different collection environments, it was common to use a separate collection tool in the past, which was a very inconvenient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device structure capable of collecting deciduous cells from several points with one device.
  • the user can collect the fallen cells at that point by contacting the outside of the cervix while making the tension brush 113 fat. Subsequently, when trying to collect the deciduous cells from the inside of the body, the movable rod 140 is pushed forward to make the tension brush 113 appropriately pointed and then pushed into the body.
  • the front end of the device for collecting deciduous c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insertion brush 111 and the tension brush 113 are buried with the deciduous cells collected from the user.
  •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part with the deciduous cells from the main body of the collecting device and putting it into the vial follows.
  • the tension brush 113 is configured to be in the sharpest state when the front end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 the tension brush 113 when the front end of the deciduous cell collecting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the tension brush 113 must be in a pointed state to be safely inserted into the vial as in (a).
  • the tension brush 113 if the tension brush 113 is separated from the body in a fat state, the risk of getting caught in the vial inlet increases. Contamination may occur due to contact at the entrance of the vial, and depending on the user's operation type, it may protrude out of the vial and become completely useless.
  •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ension brush 113 is in a pointed state when the front end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 the state in which the tension brush 113 is pointed has a problem that overlaps with the situation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user's body. If the user does a little careless manipulation while collecting the deciduous cells inside the body, there may be a risk that the front end part falls off the body while the deciduous cell collection device is inserted inside the user's body.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sidered a configuration for ensuring that the user can safely use the deciduous cell collecting device without such a situation.
  • the rear pressing member 160 provides a rear elastic force to the movable rod 140 through a cooperative operation with the rod stopper 171 and the outer cylinder stopper 172 so that the movable rod continuously creates a force to move backward. Configured.
  • the departure condition was limited so that there must be a clear manipulation of the user.
  • the mechanical engagement and release conditions between the release scheduled rod 120 and the push release member 180 is configured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is not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by a general operation mista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궁 검진을 위해 자궁경부와 그 주변의 탈락세포를 채취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여성의 자궁경부와 그 주변에 접촉되는 브러쉬를 삽입브러쉬와 텐션브러쉬로 구분하고 사용자의 조작으로 텐션브러쉬의 형태를 단계적으로 변형시켜 자궁경부와 그 주변의 탈락세포를 채취함에 있어서 자궁경부와 그 주변의 현재 상태에 따라 양호한 사용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로드의 제 1 걸림후크와 이탈예정 로드의 제 2 걸림후크가 상호 후크 형태로 걸려 연결됨에 따라 푸시이탈부재의 조작이 가해지기 전에는 가동로드가 전방으로 충분히 이동한 경우에도 이탈예정 로드가 가동로드로부터 이탈됨없이 안정적으로 붙어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궁 검진을 위한 탈락세포 채취장치
본 발명은 자궁 검진을 위해 자궁경부와 그 주변의 탈락세포를 채취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여성의 자궁경부와 그 주변에 접촉되는 브러쉬를 삽입브러쉬와 텐션브러쉬로 구분하고 사용자의 조작으로 텐션브러쉬의 형태를 단계적으로 변형시켜 자궁경부와 그 주변의 탈락세포를 채취함에 있어서 자궁경부와 그 주변의 현재 상태에 따라 양호한 사용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궁의 건강 상태를 검진하기 위해 자궁경부와 그 주변에서 탈락세포를 채취하여 이를 검사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자궁경부와 그 주변의 탈락세포를 채취함에 있어서 향후에는 사용자가 스스로 채취브러쉬(예: 1회용 브러쉬)를 이용하여 자신의 자궁경부와 그 주변의 탈락세포를 채취한 후 그 채취한 내용물과 그 내용물이 묻어있는 채취브러쉬의 일부 구성(예: 브러쉬 부분)을 예컨대 바이알에 담아 검사기관(예: 병원)에 보내어 검사를 의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채취브러쉬의 특성상 양호한 사용성과 사용상의 안전성이 있어야 한다.
먼저, 도 1은 자궁과 자궁경부의 주변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질 내부로부터 자궁 내부로 진입하는 경계 부분에는 상대적으로 좁은 통로인 자궁경부(cervix)가 위치하고 그 자궁경부(cervix)에서 자궁 내부 쪽으로 내자궁구(internal os)가 위치하고 자궁경부(cervix)에서 질 내부 쪽으로는 외자궁경부(ectocervix)가 위치한다. 그리고, 자궁경부(cervix)에서도 질 내부로부터 자궁 내부 쪽을 향해 순차적으로 외자궁구(external os), 속자궁경부(endocervix), 자궁경관(endocervical canal)이 위치한다.
도 1에서의 자궁경부(cervix)와 그 주변의 명칭은 자궁 검진시 자궁경부(cervix)와 그 주변의 여러 부위를 검진 대상으로 하여 탈락세포를 채취할 때 채취브러쉬가 그 위치를 이동하면서 채취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해 각 위치를 명명한 것으로서, 해당 부위를 의학적으로 특정한 것이 아님을 미리 밝힌다.
도 1을 참조하면, 자궁경부(cervix)와 그 주변의 형태는 생물학적인 나이에 따라서도 그 형태가 변하고 건강상태에 따라서도 그 형태가 변하는데, 일례로 젊은 여성인 경우에는 외자궁경부(ectocervix)가 나이든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고 질 내부로부터 자궁 내부에 이르는 자궁경부(cervix)의 길이도 나이든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고 짧다.
그 결과, 자궁경부(cervix)와 그 주변의 탈락세포를 채취함에 있어서도 채취브러쉬의 형태는 다양한 규격으로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때, 사용자가 스스로 자신의 질 내로 채취브러쉬를 삽입한 상태로 자궁경부와 그 주변의 형태에 적합한 채취브러쉬의 형태를 알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채취브러쉬를 소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사용자의 자궁경부(cervix)나 그 주변의 현재 상태(예: 나이, 건상상태)에 따라 브러쉬 부분의 형태를 변경함에 따라 다양한 상황(예: 나이의 많고 적음, 건강상태의 변화)에서 자궁경부(cervix)와 그 주변의 탈락세포를 원활하게 채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자궁경부와 그 주변의 탈락세포를 채취하기 위해서는 채취브러쉬가 질 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그 채취브러쉬가 질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부 구성(예: 브러쉬 부분이)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예: 위험한 상황)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그 브러쉬 부분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도 필요하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채취브러쉬의 형태를 변경함은 물론 그 채취브러쉬의 일부 구성이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질 내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를 채택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성의 질 내외에 접촉되는 브러쉬를 삽입브러쉬와 텐션브러쉬로 구분하고 사용자의 조작으로 텐션브러쉬의 형태를 단계적으로 변형시킴에 따라 자궁경부와 그 주변의 현재 상태(예: 자궁경부의 모양)에 따라 양호한 사용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자궁 검진을 위한 탈락세포 채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궁경부와 그 주변의 현재 상태에서 대응하여 접촉면적을 넓힘에 따라 충분한 양의 검체용 탈락세포를 채취할 수 있는 자궁 검진을 위한 탈락세포 채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삽입브러쉬와 텐션브러쉬가 질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질 내에서 일부 구성이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는 자궁 검진을 위한 탈락세포 채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궁 검진을 위해 여성의 자궁경부와 그 주변의 탈락세포를 채취하기 위한 장치로서, 자궁경부 내로 삽입되는 삽입브러쉬(111); 삽입브러쉬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삽입브러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방 스트로크되는 이탈예정 로드(120); 이탈예정 로드의 후단부가 출입 가능하도록 속이 빈 형태로 이루어져 이탈예정 로드의 전후방 스트로크를 가이드하는 외통부재(130); 외통부재의 선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외통부재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홀더부재(112); 자궁경부의 내외부와 그 주변의 형태에 호환될 수 있도록 자신의 일단부가 홀더부재에 연결되고 자신의 타단부는 삽입브러쉬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홀더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 장착되고 이탈예정 로드의 전방 스트로크시 홀더부재를 기준으로 이탈예정 로드의 전방 스트로크에 연동하여 점차적으로 펼쳐짐에 따라 점진적인 전후방 확장구조를 나타내고 이탈예정 로드의 후방 스트로크시 홀더부재를 기준으로 후방 스트로크에 연동하여 점차적으로 접힘에 따라 점진적인 측방향 확장구조를 나타내는 텐션브러쉬(113); 외통부재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이탈예정 로드의 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외통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 스트로크 됨에 따라 이탈예정 로드를 전후방 스트로크 시키는 가동로드(140); 가동로드의 후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외통부재의 후단부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외통부재의 내외부를 출몰함에 따라 가동로드를 전후방 스트로크 시키는 가압블록(141); 가동로드의 측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결된 상태로 외통부재의 내벽을 가압함에 따라 가동로드의 자연적인 전후방 움직임을 차단하여 가동로드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는 텐션가압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외통부재(130)는, 텐션가압부재에 인접하는 외통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신 몸체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걸림공(131); 복수 개의 걸림공에 대해 상대적으로 홀더부재 쪽에 위치하도록 자신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외부를 길게 관통하는 걸림슬롯(132);을 구비하고, 텐션가압부재(150)는, 외통부재의 내벽을 밀착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걸림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텐션가압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텐션가압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복수 개의 걸림공에 각각 끼워지며 가동로드의 전후방 스트로크에 따라 복수 개의 걸림공 중 끼워지는 걸림공의 위치 변화가 가능한 복수 개의 위치조정 걸림돌기(151); 복수 개의 위치조정 걸림돌기에 대해 상대적으로 홀더부재 쪽에 위치하도록 텐션가압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텐션가압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슬롯에 끼워지며 위치조정 걸림돌기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 형성됨에 따라 걸림슬롯에 끼워진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눌리는 경우 위치조정 걸림돌기의 걸림공에 대한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압 걸림돌기(152);를 구비하고, 외통부재의 내측에서 가동로드를 감싸는 형태로 가동로드에 연결됨에 따라 가동로드가 후방 이동력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도록 가동로드에 대한 후방 탄성력을 제공하는 후방가압부재(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가압부재의 후단부에 대응하는 가동로드의 외벽에 돌출 형성되어 가동로드에 대한 후방가압부재의 후방 움직임을 차단하는 로드스토퍼(171); 후방가압부재의 전단부에 대응하여 가동로드가 위치하는 외통부재의 내벽에 내향 돌출됨에 따라 외통부재에 대한 후방가압부재의 전방 움직임을 차단하는 외통스토퍼(17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후방가압부재가 외통스토퍼를 기준으로 로드스토퍼를 가압함에 따라 가동로드가 후방 이동력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동로드(140)는, 이탈예정 로드와 상호 후크 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자신의 전단부가 꺾여 형성된 제 1 걸림후크(142);를 구비하고, 이탈예정 로드(120)는, 제 1 걸림후크와 상호 후크 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자신의 후단부가 꺾여 형성된 제 2 걸림후크(121); 제 2 걸림후크에 인접하는 자신 몸체의 둘레를 따라 외통부재의 내벽에 맞닿도록 돌출 형성되어 이탈예정 로드의 전후방 스트로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리브(122);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가동로드의 전방 최대 스트로크시 제 1 걸림후크에 인접하는 외통부재에 장착되며 외통부재의 내벽으로부터 가동로드의 선단부를 푸시함에 따라 제 2 걸림후크로부터 제 1 걸림후크를 이탈시키는 푸시이탈부재(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홀더부재에 연결되는 외통부재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홀더부재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될 때 탄성력에 의해 홀더부재의 내측에 후크 형태로 끼워지며 이탈예정 로드의 전방 스크로크에 따른 텐션브러쉬의 전후방 확장구조를 거쳐 이탈예정 로드의 연이은 전방 스크로크시 홀더부재로부터 이탈되는 텐션후크부재(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통부재의 걸림공과 걸림슬롯, 텐션가압부재의 위치조정 걸림돌기와 가압 걸림돌기를 구비함으로써 자궁경부와 그 주변의 현재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으로 텐션브러쉬의 형태를 단계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자궁경부와 그 주변의 현재 상태에서 대응하여 텐션브러쉬의 형태를 단계적으로 조정함에 따라 자궁경부 및 그 주변과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넓힐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충분한 양의 검체용 탈락세포를 효과적으로 채취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텐션브러쉬의 형태가 전후방 확장구조 및 측방향 확장구조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입체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그 텐션브러쉬를 통해 검체용 탈락세포를 채취함에 있어서 그 회전하는 각도(예: 90도)를 적게 하여도 충분한 양을 채취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브러쉬와 텐션브러쉬를 함께 구비함에 따라 사용자가 검체용 탈락세포를 채취하는 하나의 동작을 통해서도 자궁경부 및 자궁 내부의 내막에서 동시에 채취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로드의 제 1 걸림후크와 이탈예정 로드의 제 2 걸림후크가 상호 후크 형태로 걸려 연결됨에 따라 푸시이탈부재의 조작이 가해지기 전에는 가동로드가 전방으로 충분히 이동한 경우에도 이탈예정 로드가 가동로드로부터 이탈됨없이 안정적으로 붙어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푸시이탈부재의 조작에 따라 가동로드로부터 이탈예정 로드가 분리되기 때문에 탈락세포 샘플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
도 1은 자궁과 자궁경부의 주변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서 가동로드가 최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와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가동로드가 전방으로 1 단계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와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가동로드가 전방으로 1 단계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와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가동로드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홀더부재가 텐션후크부재로부터 이탈된 상태로 제 2 걸림후크가 제 1 걸림후크에 매달려 이탈예정 로드와 가동로드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서 푸시이탈부재를 조작하여 제 1 걸림후크로부터 제 2 걸림후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서 외통부재로부터 홀더부재와 이탈예정 로드가 완전히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1에 도 2 상태의 탈락세포 채취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도 1에 도 4 상태의 탈락세포 채취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텐션브러쉬의 형태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전단부를 분리하여 바이알에 투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가동로드가 최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와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가동로드가 전방으로 1 단계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와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가동로드가 전방으로 1 단계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와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가동로드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홀더부재가 텐션후크부재로부터 이탈된 상태로 제 2 걸림후크가 제 1 걸림후크에 매달려 이탈예정 로드와 가동로드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자궁 검진을 위해 여성의 자궁경부와 그 주변의 탈락세포를 채취하기 위한 장치로서, 삽입브러쉬(111), 이탈예정 로드(120), 외통부재(130), 홀더부재(112), 텐션브러쉬(113), 가동로드(140), 가압블록(141), 텐션가압부재(150), 후방가압부재(160), 로드스토퍼(171), 외통스토퍼(172), 푸시이탈부재(180), 텐션후크부재(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삽입브러쉬(111)는 자궁경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뾰족하게 일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탈예정 로드(120)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자신의 선단부가 삽입브러쉬(111)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자신의 후단부는 가동로드(140)에 연결되며 가동로드(140)의 전후방 스트로크에 연동하여 삽입브러쉬(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방 스트로크될 수 있다.
외통부재(130)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이탈예정 로드(120)의 후단부가 출입 가능하도록 속이 빈 형태로 이루어져 이탈예정 로드(120)의 전후방 스트로크를 가이드할 수 있다.
홀더부재(112)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고리 형태로 이루어져 외통부재(130)의 선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외통부재(130)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텐션브러쉬(113)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자궁경부의 내외부와 그 주변의 형태에 호환될 수 있도록 자신의 일단부가 홀더부재(112)에 연결되고 자신의 타단부는 삽입브러쉬(111)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홀더부재(112)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 장착될 수 있다.
텐션브러쉬(113)는 도 2로부터 도 4에 이르기까지 이탈예정 로드(120)의 전방 스트로크가 발생하는 경우 홀더부재(112)를 기준으로 이탈예정 로드(120)의 전방 스트로크에 연동하여 점차적으로 펼쳐짐에 따라 도 2로부터 도 4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인 전후방 확장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텐션브러쉬(113)는 도 4로부터 도 2에 이르기까지 이탈예정 로드(120)의 후방 스트로크가 발생하는 경우 홀더부재(112)를 기준으로 후방 스트로크에 연동하여 점차적으로 접힘에 따라 도 4로부터 도 2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인 측방향 확장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텐션브러쉬(113)의 형태가 도 2에서와 같이 측방향으로의 확장이 크게 발생한 경우 텐션브러쉬(113)는 질 내부로부터 자궁 내부 쪽으로 향하는 자궁경부의 입구 주변에 있는 탈락세포를 채취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나타낸다.
그리고, 텐션브러쉬(113)의 형태가 도 4에서와 같이 전후방향으로의 확장이 크게 발생한 경우 텐션브러쉬(113)는 선단부가 자궁경부의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자궁경부의 내측 초입 부분에 위치한 탈락세포를 채취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나타낸다.
가동로드(140)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외통부재(13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이탈예정 로드(120)의 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외통부재(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사용자의 조작으로 전후방 스트로크 됨에 따라 이탈예정 로드(120)를 전후방 스트로크 시킨다.
가압블록(141)은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가동로드(140)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외통부재(130)의 후단부로부터 자신에 대한 사용자의 푸시 조작에 따라 외통부재(130)의 내외부를 출몰함에 따라 가동로드(140)를 전후방 스트로크 시킨다.
텐션가압부재(150)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가동로드(140)의 측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결된 상태로 외통부재(130)의 내벽을 가압함에 따라 가동로드(140)의 자연적인 전후방 움직임을 차단하여 가동로드(140)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킨다.
후방가압부재(160)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용수철이 채택될 수 있다. 후방가압부재(160)는 외통부재(130)의 내측에서 가동로드(140)를 감싸는 형태로 가동로드(140)에 연결되며 가동로드(140)가 후방 이동력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도록 가동로드(140)에 대한 후방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후방가압부재(160)의 탄성력에 연동하여 텐션가압부재(150)가 외통부재(13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움직이면서 가동로드(140)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외통부재(130)는 걸림공(131)와 걸림슬롯(132)을 구비할 수 있고, 텐션가압부재(150)는 위치조정 걸림돌기(151)와 가압 걸림돌기(152)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걸림공(131)은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텐션가압부재(150)에 인접하는 외통부재(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통부재(13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홀로 구성될 수 있다.
걸림슬롯(132)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걸림공(131)에 대해 상대적으로 홀더부재(112) 쪽에 위치하도록 외통부재(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외부를 길게 관통하는 슬롯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조정 걸림돌기(151)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외통부재(130)의 내벽을 밀착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걸림공(131)에 대응하는 위치에 텐션가압부재(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위치조정 걸림돌기(151)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복수 개 구비되어 텐션가압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복수 개의 걸림공(131)에 각각 끼워지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가동로드(140)의 전후방 스트로크에 따라 복수 개의 걸림공(131) 중 끼워지는 걸림공(131)의 위치 변화가 가능하다.
예컨대, 도 2로부터 도 4에 이르기까지 위치조정 걸림돌기(151)가 끼워지는 걸림공(131)의 위치 변화가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4에서 도 2에 이르기까지 위치조정 걸림돌기(151)가 끼워지는 걸림공(131)의 위치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 걸림돌기(152)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위치조정 걸림돌기(151)에 대해 상대적으로 홀더부재(112) 쪽에 위치하도록 텐션가압부재(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압 걸림돌기(152)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텐션가압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슬롯(132)에 끼워지며 위치조정 걸림돌기(151)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 형성됨에 따라 걸림슬롯(132)에 끼워진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눌리는 경우 위치조정 걸림돌기(151)의 걸림공(131)에 대한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한다.
로드스토퍼(171)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후방가압부재(160)의 후단부에 대응하는 가동로드(140)의 외벽에 돌출 형성되어 가동로드(140)에 대한 후방가압부재(160)의 후방 움직임을 차단한다.
여기서, 로드스토퍼(171)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자신의 테두리가 외통부재(130)의 내벽에 맞닿도록 구성됨에 따라 외통부재(130)의 내측에서 가동로드(140)가 전후방 스트로크될 때 가동로드(140)가 좌우로 흔들림없이 전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외통스토퍼(172)는 후방가압부재(160)의 전단부에 대응하여 가동로드(140)가 위치하는 외통부재(130)의 내벽에 내향 돌출됨에 따라 외통부재(130)에 대한 후방가압부재(160)의 전방 움직임을 차단한다.
로드스트퍼(171)와 외통스토퍼(172)로 인해 후방가압부재(160)가 외통스토퍼(172)를 기준으로 로드스토퍼(171)를 가압함에 따라 가동로드(140)가 후방으로 지속적인 탄성력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가동로드(140)는 제 1 걸림후크(142)를 구비하고, 이탈예정 로드(120)는 제 2 걸림후크(121)와 가이드리브(1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걸림후크(142)는 이탈예정 로드(120)와 상호 후크 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자신의 전단부가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측방향으로 꺾여 형성될 수 있다.
제 2 걸림후크(121)는 제 1 걸림후크(142)와 상호 후크 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자신의 후단부가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측방향으로 꺾여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리브(122)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제 2 걸림후크(121)에 인접하는 자신 몸체의 둘레를 따라 외통부재(130)의 내벽에 맞닿도록 돌출 형성되어 이탈예정 로드(120)의 전후방 스트로크를 가이드한다.
즉, 가이드리브(122)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자신의 테두리가 외통부재(130)의 내벽에 맞닿도록 구성됨에 따라 외통부재(130)의 내측에서 이탈예정 로드(120)가 전후방 스트로크될 때 이탈예정 로드(120)가 좌우로 흔들림없이 전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푸시이탈부재(180)는 바람직하게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가동로드(140)의 전방 최대 스트로크시 제 1 걸림후크(142)에 인접하는 외통부재(130)에 장착될 수 있다.
푸시이탈부재(180)는 사용자의 푸시 조작에 따라 외통부재(130)의 내벽으로부터 가동로드(140)의 선단부를 푸시함에 따라 제 2 걸림후크(121)로부터 제 1 걸림후크(142)를 이탈시킬 수 있다.
텐션후크부재(190)는 바람직하게는 도 5에서와 같이 홀더부재(112)에 연결되는 외통부재(130)의 선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텐션후크부재(190)는 홀더부재(112)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될 때 탄성력에 의해 홀더부재(112)의 내측에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후크 형태로 끼워지며 이탈예정 로드(120)의 전방 스크로크에 따른 텐션브러쉬(113)의 전후방 확장구조를 거쳐 이탈예정 로드(120)의 연이은 전방 스크로크시 도 5에서와 같이 홀더부재(112)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탈락세포 채취장치의 판매 포장을 위해서는 도 4에서와 같이 텐션브러쉬(113)가 전후방 확장구조를 나타내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탈락세포 채취장치를 구입한 후 사용할 때에는 우선 가압 걸림돌기(152)를 푸시함에 따라 후방가압부재(160)의 탄성력으로 외통부재(130) 내측의 텐션가압부재(150)가 도 2에서와 같이 배치되고 텐션브러쉬(113)도 도 2에서와 같은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외통부재(130)를 그립한 상태로 가압블록(141)를 도 2로부터 도 4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가압하면서 자궁경부와 그 주변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여 텐션브러쉬(113)의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5에서 푸시이탈부재를 조작하여 제 1 걸림후크로부터 제 2 걸림후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외통부재로부터 홀더부재와 이탈예정 로드가 완전히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에서와 같이 이탈예정 로드(120)의 전방 스크로크에 따른 텐션브러쉬(113)의 전후방 확장구조를 거쳐 이탈예정 로드(120)의 연이은 전방 스크로크에 따라 도 5에서와 같이 텐션후크부재(190)가 홀더부재(112)로부터 이탈되어도 외통부재(130)의 내측에서는 제 1 걸림후크(142)와 제 2 걸림후크(121)가 상호 후크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가동로드(140)의 선단부에 이탈예정 로드(120)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서와 같이 푸시이탈부재(180)에 대한 사용자의 푸시 조작이 발생하면 제 2 걸림후크(121)와 맞물린 제 1 걸림후크(142)가 측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이탈예정 로드(120)가 가동로드(14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7에서와 같이 삽입브러쉬(111), 텐션브러쉬(113), 홀더부재(112), 이탈예정 로드(120)가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외통부재(130)로부터 떨어져 나온다.
도 8은 도 1에 도 2 상태의 탈락세포 채취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과 도 8을 참조하면, 텐션브러쉬(113)가 도 8에서와 같이 측방향으로 넓게 확장된 경우에는 텐션브러쉬(113)가 외자궁경부(ectocervix)에 상대적으로 넓게 접촉되고 삽입브러쉬(111)는 자궁경부(cervix)의 내측으로 약간 삽입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이 경우는 젋은 여성에게 적합하도록 텐션브러쉬(113)와 삽입브러쉬(111)가 변경된 형태로서, 텐션브러쉬(113)는 외자궁경부(ectocervix) 부분의 탈락세포를 상대적으로 많이 채취할 수 있고, 삽입브러쉬(111)는 자궁경부(cervix)의 속자궁경부(endocervix)와 외자궁구(external os) 부분의 탈락세포를 집중적으로 채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도 1에 도 4 상태의 탈락세포 채취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과 도 9를 참조하면, 텐션브러쉬(113)가 도 9에서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확장된 경우에는 텐션브러쉬(113)가 자궁경부(cervix) 내에서 자궁 내부를 향해 더 안쪽까지 삽입됨에 따라 텐션브러쉬(113)가 자궁경부(cervix) 내의 탈락세포를 도 8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더 효과적으로 채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삽입브러쉬(111)는 그 구조상 그 선단부가 자궁경부(cervix)를 관통하여 자궁 내부의 초입에 대응하는 내자궁구(internal os)까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는 나이든 여성에게 적합하도록 텐션브러쉬(113)와 삽입브러쉬(111)가 변경된 형태로서, 텐션브러쉬(113)는 외자궁경부(ectocervix) 부분보다는 자궁경부(cervix)의 내측에 위치한 탈락세포를 집중적으로 채취할 수 있고 삽입브러쉬(111)는 자궁경부(cervix)를 관통하여 자궁 내부의 초입에 대응하는 내자궁구(internal os)의 탈락세포까지 채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삽입브러쉬(111)와 텐션브러쉬(113)가 함께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가 검체용 탈락세포를 채취하는 하나의 동작을 통해서도 자궁경부 및 자궁 내부의 내막에서 동시에 채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텐션브러쉬(113)의 형태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탈락세포 채취장치에서 전단부(111, 113)를 분리하여 바이알에 투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자궁경부의 여러 지점에서 탈락세포를 채취하기에 편리한 장치 구조를 제시하는 것이 해결과제이다. 자궁 검진을 위해서는 자궁경부 외부와 질 내부에서 탈락세포를 채취해야 하는데, 이들 부위는 채취환경이 완전히 상이하기 때문에 종래에는 별도의 채취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이는 상당히 불편한 방식이었다. 반면,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로 여러 지점에서 탈락세포를 채취할 수 있는 장치 구조를 채택하였다.
이를 위해, 탈락세포 채취 부분이 뚱뚱하게 혹은 반대로 뾰족하게 되도록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동로드(140)가 가장 후방에 위치할 때에는 텐션브러쉬(113)가 뚱뚱한 형태로 되고, 가동로드(140)를 전방으로 밀수록 텐션브러쉬(113)는 점점 뾰족해진다.
먼저, 사용자는 텐션브러쉬(113)를 뚱뚱하게 만든 상태에서 자궁경부 외부를 접촉시켜 그 지점의 탈락세포를 채취할 수 있다. 이어서, 신체 내부에서 탈락세포를 채취하려 할 때에는 가동로드(140)를 전방으로 밀어 텐션브러쉬(113)를 적당히 뾰족하게 만든 후에 신체 내부로 밀어넣을 수 있다.
이상의 조작 방식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락세포 채취장치의 전단부, 구체적으로는 삽입브러쉬(111)와 텐션브러쉬(113)에는 사용자로부터 채취한 탈락세포가 묻게 된다. 그 다음으로는, 이렇게 탈락세포가 묻어있는 부분을 채취장치 본체에서 분리시켜 바이알에 담는 과정이 이어진다.
그런데, 탈락세포 채취장치의 전단부를 본체에서 분리하여 바이알에 넣는 과정은 상당히 조심스럽게 다루어져야 한다. 그 채취된 탈락세포가 오염되지 않도록 사용자가 손을 대지않고 바로 바이알 내부로 떨어뜨려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바이알의 입구가 상당히 좁기 때문에 바닥에 떨어뜨릴 위험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단부를 본체에서 분리시킬 떄에 텐션브러쉬(113)가 가장 뾰족해진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탈락세포 채취장치의 전단부가 본체에서 분리될 때에 (a)에서와 같이 텐션브러쉬(113)가 뾰족한 상태가 되어야 바이알 내부로 안전하게 투입할 수 있다. 반대로, (b)에서와 같이 텐션브러쉬(113)가 뚱뚱한 상태에서 본체에서 분리되면 바이알 입구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 바이알 입구에서 접촉에 따른 오염이 발생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조작 형태에 따라서는 바이알 외부로 튀어나가 완전히 못쓰게 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단부를 본체에서 분리시킬 떄에 텐션브러쉬(113)가 뾰족해진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런데, 텐션브러쉬(113)가 뾰족해진 상태는 본 발명이 사용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황과도 겹치는 문제가 있다. 사용자가 신체 내부의 탈락세포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조금만 부주의하게 조작하게 되면 탈락세포 채취장치가 사용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단부가 본체에서 떨어져버리는 위험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고 탈락세포 채취장치를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한 구성이 고려되었다. 특히, 후방가압부재(160)는 로드스토퍼(171)와 외통스토퍼(172)와의 협조 동작을 통해 가동로드(140)에 대한 후방 탄성력을 제공하여 가동로드가 지속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만들어주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탈락세포 채취장치의 전단부가 전방으로 스트로크하여 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지려면 사용자의 명확한 조작이 있어야만 하도록 이탈 조건이 제한되었다. 또한, 이탈예정 로드(120)와 푸시이탈부재(180) 간에 기구적인 걸림 이탈 조건을 한정함으로써 일반적인 조작 실수로는 전단부가 본체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Claims (3)

  1. 자궁 검진을 위해 여성의 자궁경부와 그 주변의 탈락세포를 채취하기 위한 장치로서,
    자궁경부 내로 삽입되는 삽입브러쉬(111);
    상기 삽입브러쉬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삽입브러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방 스트로크되는 이탈예정 로드(120);
    상기 이탈예정 로드의 후단부가 출입 가능하도록 속이 빈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이탈예정 로드의 전후방 스트로크를 가이드하는 외통부재(130);
    상기 외통부재의 선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외통부재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홀더부재(112);
    자궁경부의 내외부와 그 주변의 형태에 호환되도록 자신의 일단부가 상기 홀더부재에 연결되고 자신의 타단부는 상기 삽입브러쉬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홀더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 장착되고 상기 이탈예정 로드의 전방 스트로크에 연동하여 점차적으로 펼쳐져 점진적인 전후방 확장을 나타내고 상기 이탈예정 로드의 후방 스트로크에 연동하여 점차적으로 접혀 점진적인 측방향 확장을 나타내는 텐션브러쉬(113);
    상기 외통부재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이탈예정 로드의 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외통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 스트로크 됨에 따라 상기 이탈예정 로드를 전후방 스트로크 시키는 가동로드(140);
    상기 가동로드의 후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외통부재의 후단부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외통부재의 내외부를 출몰함에 따라 상기 가동로드를 전후방 스트로크 시키는 가압블록(141);
    상기 가동로드의 측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결된 상태로 상기 외통부재의 내벽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가동로드의 자연적인 전후방 움직임을 차단하여 상기 가동로드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는 텐션가압부재(150);
    상기 가동로드에 돌출 형성된 로드스토퍼(171);
    상기 로드스토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방 위치에서 상기 외통부재의 내벽에 내향 돌출 형성된 외통스토퍼(172);
    상기 외통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로드스토퍼(171)와 상기 외통스토퍼(172) 사이에 배치되고 양 단부가 각각 상기 로드스토퍼(171)와 상기 외통스토퍼(172)에 맞닿는 용수철을 구비하여 상기 외통스토퍼(172)를 기준으로 상기 로드스토퍼(171)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가동로드(140)가 후방 이동력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도록 상기 가동로드(140)에 대한 후방 탄성력을 제공하는 후방가압부재(160);
    상기 외통부재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외통부재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가동로드의 선단부를 푸시하는 푸시이탈부재(180);
    상기 홀더부재에 연결되는 상기 외통부재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홀더부재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될 때 탄성력에 의해 상기 홀더부재의 내측에 후크 형태로 끼워지며 상기 이탈예정 로드의 전방 스크로크에 따른 상기 텐션브러쉬의 상기 전후방 확장구조를 거쳐 상기 이탈예정 로드의 연이은 전방 스크로크시 상기 홀더부재로부터 이탈되는 텐션후크부재(19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궁 검진을 위한 탈락세포 채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로드(140)는,
    후크 탈착 가능하도록 자신의 전단부가 꺾여 형성된 제 1 걸림후크(142);
    를 구비하고,
    상기 이탈예정 로드(120)는,
    상기 제 1 걸림후크(142)와 상호 후크 탈착 가능하도록 자신의 후단부가 꺾여 형성된 제 2 걸림후크(121);
    상기 제 2 걸림후크에 인접하는 자신 몸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외통부재의 내벽에 맞닿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탈예정 로드의 전후방 스트로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리브(122);
    를 구비하고,
    상기 푸시이탈부재(180)는 상기 가동로드(140)의 전방 최대 스트로크 상태에서 상기 제 1 걸림후크(142)에 인접하도록 상기 외통부재에 장착되며 자신에 대한 사용자의 푸시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가동로드의 선단부를 푸시함에 따라 상기 제 2 걸림후크(121)로부터 상기 제 1 걸림후크(142)를 이탈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 검진을 위한 탈락세포 채취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재(130)는,
    상기 텐션가압부재에 인접하는 상기 외통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신 몸체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걸림공(131);
    상기 복수 개의 걸림공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홀더부재 쪽에 위치하도록 자신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외부를 길게 관통하는 걸림슬롯(132);
    을 구비하고,
    상기 텐션가압부재(150)는,
    상기 외통부재의 내벽을 밀착하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 개의 걸림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텐션가압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텐션가압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걸림공에 각각 끼워지며 상기 가동로드의 전후방 스트로크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걸림공 중 끼워지는 걸림공의 위치 변화가 가능한 복수 개의 위치조정 걸림돌기(151);
    상기 복수 개의 위치조정 걸림돌기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홀더부재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텐션가압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텐션가압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슬롯에 끼워지며 상기 위치조정 걸림돌기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걸림슬롯에 끼워진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눌리는 경우 상기 위치조정 걸림돌기의 상기 걸림공에 대한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압 걸림돌기(152);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 검진을 위한 탈락세포 채취장치.
PCT/KR2020/000003 2019-02-21 2020-01-01 자궁 검진을 위한 탈락세포 채취장치 WO2020171371A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06958.5A CN113164169B (zh) 2019-02-21 2020-01-01 用于子宫检查的脱落细胞收集装置
AU2019430111A AU2019430111B2 (en) 2019-02-21 2020-01-01 Exfoliative cell collection device for uterus examination
EP20759473.0A EP3928716A4 (en) 2019-02-21 2020-01-01 DEVICE FOR COLLECTING EXFOLIATED CELLS FOR EXAMINATION OF THE UTERUS
NZ776440A NZ776440A (en) 2019-02-21 2020-01-01 Exfoliative cell collection device for uterus examination
US17/292,698 US20210393244A1 (en) 2019-02-21 2020-01-01 Exfoliative cell collection device for uterus examination
JP2021528985A JP7086434B2 (ja) 2019-02-21 2020-01-01 子宮検診のための剥離細胞採取装置
CA3120848A CA3120848C (en) 2019-02-21 2020-01-01 Exfoliative cell collection device for uterus examin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610A KR102009522B1 (ko) 2019-02-21 2019-02-21 자궁 검진을 위한 탈락세포 채취장치
KR10-2019-0020610 2019-0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71371A1 true WO2020171371A1 (ko) 2020-08-27

Family

ID=67613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0003 WO2020171371A1 (ko) 2019-02-21 2020-01-01 자궁 검진을 위한 탈락세포 채취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393244A1 (ko)
EP (1) EP3928716A4 (ko)
JP (1) JP7086434B2 (ko)
KR (1) KR102009522B1 (ko)
CN (1) CN113164169B (ko)
AU (1) AU2019430111B2 (ko)
CA (1) CA3120848C (ko)
NZ (1) NZ776440A (ko)
WO (1) WO20201713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522B1 (ko) * 2019-02-21 2019-08-09 (주)바이오다인 자궁 검진을 위한 탈락세포 채취장치
WO2021033108A1 (en) * 2019-08-20 2021-02-25 The Royal Institution For The Advancement Of Learning/Mcgill University Biological sample collec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111A (ko) * 2004-04-08 2005-10-13 바이오코아 주식회사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KR20060103768A (ko) * 2005-03-28 2006-10-04 (주)메드멕스 액상세포를 이용한 자궁암 검진 세포채취브러쉬
KR20150087230A (ko) * 2012-11-21 2015-07-29 씨. 알. 바드, 인크. 코어 바늘 생검 디바이스
KR20150116997A (ko) * 2014-04-09 2015-10-1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 채취기
KR20170138064A (ko) * 2016-06-03 2017-12-14 주식회사메디아나 생체조직 검체 장치
KR102009522B1 (ko) * 2019-02-21 2019-08-09 (주)바이오다인 자궁 검진을 위한 탈락세포 채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2133A (en) * 1987-03-20 1988-08-09 Medical Dynamics, Inc. Cervical cytology device
US6926677B2 (en) * 1999-11-23 2005-08-09 Michael Owen Richards Cellular collection apparatus and method
TWI253342B (en) * 2004-08-06 2006-04-21 Li-Cheng Lu Cervical smear sampling device
JP4560386B2 (ja) * 2004-11-30 2010-10-13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皮膚切除具
JP2008534005A (ja) 2005-03-28 2008-08-28 メディメッ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腫瘍スクリーニングシステム、液状細胞診(lbc)用コレクションバイアル、頸癌液状細胞診(lbc)用ブラシ及び細胞診用支持溶液
CN201131761Y (zh) * 2007-10-21 2008-10-15 张金花 子宫颈取样器
JP6365534B2 (ja) * 2013-05-24 2018-08-01 ニプロ株式会社 細胞採取装置
CN104622518B (zh) * 2015-03-06 2017-03-15 杭州迪安生物技术有限公司 宫颈细胞采样装置
US11259785B2 (en) * 2016-09-16 2022-03-01 Lida Aghdam Vagina probe with brush
JP7303748B2 (ja) * 2016-12-09 2023-07-05 マラノウスカ-ステガ,ザネッタ ブラシ生検装置、キット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111A (ko) * 2004-04-08 2005-10-13 바이오코아 주식회사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KR20060103768A (ko) * 2005-03-28 2006-10-04 (주)메드멕스 액상세포를 이용한 자궁암 검진 세포채취브러쉬
KR20150087230A (ko) * 2012-11-21 2015-07-29 씨. 알. 바드, 인크. 코어 바늘 생검 디바이스
KR20150116997A (ko) * 2014-04-09 2015-10-1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 채취기
KR20170138064A (ko) * 2016-06-03 2017-12-14 주식회사메디아나 생체조직 검체 장치
KR102009522B1 (ko) * 2019-02-21 2019-08-09 (주)바이오다인 자궁 검진을 위한 탈락세포 채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11426A (ja) 2022-01-31
AU2019430111B2 (en) 2021-11-11
AU2019430111A1 (en) 2021-05-27
CA3120848A1 (en) 2020-08-27
EP3928716A4 (en) 2022-10-19
CN113164169B (zh) 2023-12-29
KR102009522B1 (ko) 2019-08-09
JP7086434B2 (ja) 2022-06-20
CA3120848C (en) 2023-07-04
EP3928716A1 (en) 2021-12-29
NZ776440A (en) 2023-07-28
US20210393244A1 (en) 2021-12-23
CN113164169A (zh)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38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diagnostics
WO2020171371A1 (ko) 자궁 검진을 위한 탈락세포 채취장치
US5158563A (en) Single-operator hemorrhoid ligator
US6569091B2 (en) Disconnectable vaginal speculum with removeable blades
WO2012102508A2 (ko) 의료용 스네어
US20110034776A1 (en) vaginal speculum
EP0304321A1 (en) Vaginal testing applicator and method
EP0197879A2 (en) Endoscope particularly useful as an anoscope
US6926677B2 (en) Cellular coll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6402700B1 (en) Pap smear apparatus and method
CN110537937B (zh) 一种妇科检查取样装置
WO2023282432A1 (ko) 자궁 검진을 위한 탈락세포 채취장치
KR100766340B1 (ko) 액상세포를 이용한 자궁암 검진 세포채취브러쉬
CN202489995U (zh) 痔核两用套扎钳
WO2020138528A1 (ko) 자궁 조직 채취도구
CN214632203U (zh) 一种妇科临床白带取样送检装置
WO2017188709A1 (ko) 수술도구 정리패드
CN114027887B (zh) 一种基于病理专业实操用多功能取样装置
CN112168128A (zh) 一种辅助后穹隆分泌物采集阴道扩张器
RU2785186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бора слущенных клеток для обследования матки
CN220714141U (zh) 妇科取环器
WO2020138923A1 (ko) 자궁 조직 채취도구
CN220175074U (zh) 一种可更换式内窥镜插管总成
WO1997025897A9 (en) Pap smear glove
CN214857304U (zh) 一种可装配内窥镜的宫颈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594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2898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Ref document number: 3120848

Country of ref document: C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430111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200101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7594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