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39024A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39024A1
WO2020139024A1 PCT/KR2019/018610 KR2019018610W WO2020139024A1 WO 2020139024 A1 WO2020139024 A1 WO 2020139024A1 KR 2019018610 W KR2019018610 W KR 2019018610W WO 2020139024 A1 WO2020139024 A1 WO 202013902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agnet
housing
liquid lens
disposed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861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태진
민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419,13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113456A1/en
Publication of WO202013902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3902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7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n element with variable 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 G02B26/00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based on electrowe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15Electrowet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Definitions

  •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camera module.
  •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side wall, a second side wall disposed opposite the first side wall, and a third side wall and a fourth side wall disposed opposite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wherein
  • the magnet includes a first magnet disposed in a first corner where the first side wall meets the third side wall, a second magnet disposed in a second corner where the first side wall meets the fourth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 a third magnet disposed in a third corner where the fourth side wall meets, and a fourth magnet disposed in a fourth corner where the second side wall meets the third side wall, and wherein the coil of the substrate is the first magnet. It may include a first coil facing the first magnet, a second coil facing the second magnet, a third coil facing the third magnet, and a fourth coil facing the fourth magnet.
  • the conductive line is printed or formed in a line shape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conductive line and the terminal of the liquid lens, and the conductive line and the wire may be connected by any one or more of conductive epoxy and solder balls.
  •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 conductive line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quid lens module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lan view (conceptual view) showing a partial modification of the liquid lens module of FIG. 6 and a related configuration.
  •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optical axis direction' used hereinafter is defined as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may correspon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mage sensor.
  • the'optical axis direction' may correspond to'up and down direction','z axis direction', and the like.
  • the optical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unit.
  • the display unit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 the display unit may output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quid lens module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a) of the liquid lens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equivalent circuit (b) of the liquid lens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quid lens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 view) of the liquid lens module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OIS structure for correcting shaking using a wire 710 or a plate spring 720 on the liquid lens module 200 that functions as an auto focus.
  • the camera module may include a housing 100.
  • the liquid lens 202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100.
  • the liquid lens 202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100.
  • the liquid lens 202 may be fixed to the housing 100.
  • the housing 100 may be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the cover 800 and the base 400.
  • the housing 10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liquid lens module 200.
  •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hole 105.
  • the liquid lens module 200 may be disposed in the hole 105 of the housing 100.
  • the housing 1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ver 800 and the liquid lens module 200.
  •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cover 800.
  •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by injection.
  • the camera module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 the connection unit may connect the liquid lens and at least one wire 710 among the plurality of wires 710.
  • the liquid lens and the substrate 6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through at least one wire 710.
  • the connection portion may include a conductive line 110.
  • the connection part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line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100.
  •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 surface electrode or a surface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100.
  •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a separate terminal using a spring or plate.
  • the connection par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electrode 204 and the lower electrode 205 of the liquid lens 202.
  • the connection part may be combined with the terminal 210.
  • the connection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100.
  • the connection part may be formed of a member separate from the housing 100.
  •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hole.
  • a wire 710 may be disposed in the hole of the housing 100.
  • the hole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wires 710.
  • the ho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 the hole may include four holes corresponding to four wires.
  • the hole of the housing 100 may be a “wire hole”.
  • the diameter of the hole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710 by a predetermined size.
  • the hole may penetrate the housing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optical axis direction).
  •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groove.
  • a wire 710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of the housing 100.
  • the groove of the housing 100 may replace the hole of the housing 100.
  • the hole or groove of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in a corner area of the housing 100. However, as a modification, a hole or a groove may be formed in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0.
  • the liquid lens module 200 may include a liquid lens 202.
  • the liquid lens 202 whose focal length is adjusted in response to the driving voltage may be applied with an operating voltage through the upper electrode 204.
  • the upper electrode 204 may have the same angular distance, and may include four individual terminals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 the upper electrode 204 may be an'upper terminal'.
  • the lower electrode 205 may be a “lower terminal”.
  • the liquid lens 20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olid lens 220. In this embodiment, the epoxy may be appli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liquid lens 202 and the solid lens 220, and active alignment of the liquid lens 202 may be performed.
  • the liquid lens 202 may include a liquid, a first plate 207-1 and an electrode.
  • the liquid lens 202 may include a conductive liquid 203-1 and a non-conductive liquid 203-2.
  • the first plate 207-1 may include a cavity 209 in which the conductive liquid 203-1 and the non-conductive liquid 203-2 are disposed.
  • the cavity 209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 the upper electrode 204 and the lower electrode 205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plate 207-1.
  • the upper electrode 204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plate 207-1.
  • the lower electrode 205 may be disposed under the first plate 207-1.
  • the liquid lens 202 may include a second plate 207-2 disposed on the upper electrode 204.
  • the liquid lens 202 may include a third plate 116 that may be disposed under the lower electrode 205. As illustrated, one embodiment of the liquid lens 202 may include an interface 203-3 formed by two different liquids. Also, the liquid lens 20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erminal 210 disposed in the holder 201 to receive a voltage. The edge of the liquid lens 202 may be thinner than the center of the liquid lens 202.
  • the liquid lens 202 may include two different liquids, for example, a conductive liquid 203-1 and a non-conductive liquid 203-2.
  • the liquid lens 202 may be adjusted by the curvature and shape of the interface 203-3 formed by the two liquids by a driving voltage supplied to the liquid lens 202.
  • the driving voltage supplied to the liquid lens 202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210.
  • the upper electrode 204 of the liquid lens 20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211 and the lower electrode 205 of the liquid lens 20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212.
  • the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terminal 210 may be applied to the upper electrode 204 and the lower electrode 205 exposed at each corner of the liquid lens 202.
  • the liquid lens 202 is located between the third plate 207-3 and the second plate 207-2, the third plate 207-3 and the second plate 207-2 including a transparent material.
  • a first plate 207-1 including an opening area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ed surface may be included.
  • the liquid lens 202 may include a cavity 209 that is determined by the opening areas of the third plate 207-3, the second plate 207-2, and the first plate 207-1.
  • the cavity 209 may be filled with a conductive liquid 203-1 and a non-conductive liquid 203-2, and an interface 203 between the conductive liquid 203-1 and the non-conductive liquid 203-2. -3) may be formed.
  • the liquid lens 202 may include an insulating layer 208 disposed on an inclined surface to which the conductive liquid 203-1 can contact.
  • the insulating layer 208 may cover the lower electrode 205 and expose a portion of the upper electrode 204 to apply electric energy to the conductive liquid 203-1.
  • the lower electrode 205 may include at least one electrode sector
  • the upper electrode 204 may include two or more electrode sectors.
  • the upper electrode 204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 sectors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optical axis in a clockwise direction.
  • the electrode sector may be a'sub electrode'.
  • the upper electrode 204 may also include one electrode sector.
  • the liquid lens module 200 may include a lens area 203.
  • the interface 203-3 of the lens region 203 of the liquid lens module 20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pplied current and/or voltage.
  • the degree of refraction of the incident ligh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interface 203-3 of the lens region 203. Through this, the liquid lens module 200 may perform an auto focus function.
  • the liquid lens 202 may be arranged in an add-in method.
  • the liquid lens 20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group lens and the second group lens of the solid lens 220.
  • the first group lens includes one or two or more lenses
  • the second group lens is one. It may include two or three to four lenses or five or more lenses.
  • the first group lens may be disposed above the liquid lens 202 and the second group lens may be disposed below the liquid lens 202.
  • the liquid lens 202 may be arranged in an add-on method.
  • the liquid lens 202 may be disposed on the uppermost lens (outermost lens) of the solid lens 220.
  • the liquid lens 202 may be dispo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arrel 230.
  • a guide portion such as a projection for fixing the liquid lens 20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rrel 230.
  • an energizing structure of the liquid lens 202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rrel 230.
  • the liquid lens module 200 may include a terminal 210.
  • the terminal 21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liquid lens 202 in a configuration disposed on the holder 201.
  • the terminal 210 of the liquid lens modul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line 110 of the housing 100.
  • the terminal of the liquid lens module 200 may be coupled to the conductive line 110 of the housing 100 by soldering.
  • the terminal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rminals.
  • the terminal 210 may include a total of two terminals.
  • the terminal 210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211 and a second terminal 212.
  • the first terminal 211 and the second terminal 212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liquid lens module 200 (see FIG. 6 and the like). 6, the first terminal 211 and the second terminal 212 may be disposed at the same height.
  • the terminal 210a of the modification example of FIG. 2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211a and a second terminal 212a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 the first terminal 211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liquid lens module 200 and the second terminal 212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the surfac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one surface) of the liquid lens module 200 ( 7, 8, etc.).
  • the first terminal 211 and the second terminal 212 may be disposed in diagonal directions with each other.
  • the first terminal 211 and the second terminal 212 may be arrang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of the liquid lens module 200.
  • the terminal 210 may include a test terminal. Terminal 210 may be formed of three or more, including a test terminal.
  • the terminals 211 and 212 and the conductive line 110 may be coupled by a solder ball S or conductive epoxy.
  • the liquid lens module 200 may include a support part supporting the terminal 210.
  • the support portion of the liquid lens module 200 may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210.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100.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may overlap the housing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optical axis direction). Through this, when the liquid lens module 200 is seated on the housing 100 from the upper side, the liquid lens module 200 may be fixed to the housing 100 without falling down.
  • the optical axis of the first liquid lens module 200-1 and the optical axis of the second liquid lens module 200-2 may be parallel.
  • the first liquid lens module 200-1 and the second liquid lens module 200-2 may be contacted.
  • One surface of the first liquid lens module 200-1 may be fix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liquid lens module 200-2.
  • An adhesiv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liquid lens module 200-1 and the second liquid lens module 200-2.
  • the first liquid lens module 200-1 and the second liquid lens module 200-2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 the first liquid lens module 200-1 and the second liquid lens module 200-2 may be formed to have siz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 Each of the first liquid lens module 200-1 and the second liquid lens module 200-2 may provide an auto focus function.
  •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may be a'dual camera module'.
  • the magnet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agnets.
  • the plurality of magnets may include four magnets.
  • the four magnets may be disposed on the four side walls of the housing 100, respectively.
  • the magnet 300 may include first to fourth magnets 311, 312, 313, and 314.
  • the magnet 300 includes a first magnet 311 disposed on the first side wall 101, a second magnet 312 disposed on the second side wall 102, and a third disposed on the third side wall 103.
  • a magnet 313 and a fourth magnet 314 disposed on the fourth side wall 104 may be included (see FIG. 10 ).
  • the camera module may include a stator 20.
  • the stator 20 may be disposed under the mover 10.
  • the stator 20 may moveably support the mover 10 through a support member (wire, plate spring, etc.).
  • the stator 20 can move the mover 10.
  • the stator 20 may include a base 400, a coil 500, and a substrate 600.
  • the coil 5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ils.
  • the plurality of coils may include four coils.
  • the coil 500 may include first to fourth coils 511, 512, 513, and 514.
  • the coil 500 includes a first coil 511 facing the first magnet 311, a second coil 512 facing the second magnet 312, and a third magnet facing the third magnet 313.
  • a coil 513 and a fourth coil 514 facing the fourth magnet 314 may be included (see FIG. 9 ).
  • the first coil 511 and the second coil 512 are the first coil unit for moving the magnet 300 in the first direction
  • the third coil 513 and the fourth coil 514 are the magnet 300
  • the coil 5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may include first to fourth coils 521, 522, 523 and 524.
  • the coil 500 includes a first coil 521 that faces the first magnet 321, a second coil 522 that faces the second magnet 322, and a third electrode that faces the third magnet 323.
  • a coil 523 and a fourth coil 524 facing the fourth magnet 324 may be included (see FIG. 11 ).
  • the first coil 521 and the third coil 523 is a first coil unit for moving the magnet 300 in the first direction
  • the second coil 522 and the fourth coil 524 are the magnet 300
  • the view of the plate spring 720 viewed from the side is zigzag, but the view of the plate spring 720 viewed from the side may have a plate (date) shape.
  • the plate spring 720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the substrate 60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a part (or one end, etc.) of the leaf spring 720 may be connected to a connection portion (such as a conductive line) formed in the housing 100 with solder or conductive epoxy (Ag epoxy).
  • connection portion (conduction line, etc.) is formed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 the plate spring 720 includes a portion b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in a part, the bending of the plate spring 720 The portio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p surface of the housing 100.
  • a portion of the plate spring 7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ate spring 720 by a separate member without bending portions.
  • a connecting portion (such as a conductive line) is form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part) of the housing 100, and a part of the plate spring 7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quid lens 202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0. have.
  • the camera module may include a first hall sensor.
  • the first hall sensor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600.
  • the first Hall sensor may face the first magnet 311 or the second magnet 312 (see FIG. 10 ).
  • the first hall sensor may face the first magnet 321 or the third magnet 323 (see FIG. 12 ).
  • the first hole sensor may sense the magnetic force of the opposing magnet and detect the position and/or movement amount of the magnet 30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gnet 300 in the first axis direction. Since the magnet 300 is fixed to the housing 100 and the liquid lens module 200 is also fixed to the housing 100, the first hole sensor detects the position and/or movement amount of the magnet 300 to detect the housing 100 and the liquid. The position and/or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lens module 200 can also be detected. Meanwhile, the'first axis direction' may be an'x-axis direction'.
  • the camera module may include a filter.
  • the filter may include an infrared filter.
  • the infrared filter may block light from the infrared region from entering the image sensor.
  • the infrared filt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iquid lens module 200 and the image sensor.
  • the infrared filter may be disposed in the hole of the base 400.
  • the camera module may include an image sensor.
  • the image sensor can be arrang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 the image sensor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 the image sensor may be coupl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by surface mounting technology (SMT).
  • 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
  • the image sensor may be coupl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by flip chip technology.
  • the image sensor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lens and the optical axis coincide. That is, the optical axis of the image sensor and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area 203 may be aligned.
  • the image sensor may convert light irradiated to the effective image area of the image sensor into an electrical signal.
  • the image sensor may be any one of a charge coupled device (CCD), a metal oxide semi-conductor (MOS), a CPD, and a CID.
  • CCD charge coupled device
  • MOS metal oxide semi-condu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하우징; 하우징에 배치되는 액체렌즈; 하우징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하우징과 이격 배치되는 베이스;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코일을 포함하고 베이스에 배치되는 기판; 하우징과 기판에 연결되는 복수의 와이어; 및 액체렌즈와 복수의 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액체렌즈와 기판은 연결부와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있다. 한편, 최근의 카메라 모듈에는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촬영자의 손떨림에 의해 영상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류 인가에 따라 렌즈의 형상이 변형되는 액체렌즈 모듈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액체렌즈 모듈을 통해 오토 포커스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 모두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온도와 중력의 영향 등 외부적인 요소까지 고려해야하는 액체렌즈의 특성상 오토 포커스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 모두에 대한 완벽한 수행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액체렌즈 모듈을 통해 오토 포커스 기능을 수행하고 손떨림 보정 기능은 기구적으로 실현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액체렌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하우징과 이격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하우징과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복수의 와이어; 및 상기 액체렌즈와 상기 복수의 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렌즈와 상기 기판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되는 도전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라인의 일단부는 상기 액체렌즈의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도전라인의 타단부는 상기 와이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액체렌즈는 제1단자와 제2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액체렌즈의 상기 제1단자와 연결되는 제1와이어와, 상기 액체렌즈의 상기 제2단자와 연결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측벽과,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측벽 사이에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벽과 제4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제1측벽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와, 상기 제2측벽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와, 상기 제3측벽에 배치되는 제3마그네트와, 상기 제4측벽에 배치되는 제4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상기 코일은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1코일과, 상기 제2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2코일과, 상기 제3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3코일과, 상기 제4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4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 또는 상기 제2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1홀센서; 및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제3마그네트 또는 상기 제4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2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액체렌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와,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와, 상기 제3코일과 상기 제4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와, 상기 제1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와, 상기 제2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측벽과,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측벽 사이에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벽과 제4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3측벽이 만나는 제1코너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와,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4측벽이 만나는 제2코너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와, 상기 제2측벽과 상기 제4측벽이 만나는 제3코너에 배치되는 제3마그네트와, 상기 제2측벽과 상기 제3측벽이 만나는 제4코너에 배치되는 제4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상기 코일은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1코일과, 상기 제2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2코일과, 상기 제3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3코일과, 상기 제4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4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라인은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라인형태로 인쇄 또는 형성되고, 상기 도전라인과 상기 액체렌즈의 단자 및 상기 도전라인과 상기 와이어는 도전성 에폭시 및 솔더볼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홀을 포함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는 측판을 포함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와 상기 베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도전라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의 상기 복수의 단자는 총 14개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14개의 단자는 상기 액체렌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단자와,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단자와, 상기 제3코일과 상기 제4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단자와, 상기 제1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4개의 단자와, 상기 제2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4개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액체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렌즈는 상기 액체렌즈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전극과 상기 액체렌즈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에는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제1단자와,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제2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액체렌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하우징과 이격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복수의 판스프링; 및 상기 액체렌즈와 상기 복수의 판스프링 중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렌즈와 상기 기판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액체렌즈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단자와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액체렌즈와 상기 제1액체렌즈와 이격되는 제2액체렌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과 이격되는 기판; 상기 하우징과 상기 기판을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부재; 상기 제1액체렌즈와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중 제1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액체렌즈와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중 제2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액체렌즈와 상기 기판은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지지부재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액체렌즈와 상기 기판은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오토 포커스 기능만을 수행하는 액체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손떨림 보정 기능을 추가로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액체렌즈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액체렌즈의 사시도(a)와 액체렌즈의 등가회로(b)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액체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액체렌즈 모듈의 단면도(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액체렌즈 모듈의 평면도(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의 액체렌즈 모듈의 일부 변형례와 관련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구성의 저면도(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코일과 관련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코일과 대향하는 마그네트와 관련 구성을 도시하는 저면도(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코일의 변형례와 관련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코일과 대향하는 마그네트와 관련 구성을 도시하는 저면도(개념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카메라 모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개념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카메라 모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개념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개념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구성의 저면도(개념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 방향'은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때, 렌즈의 광축은 이미지 센서의 광축과 대응할 수 있다. 한편, '광축 방향'은 '상하 방향', 'z축 방향' 등과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 기능'는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이 얻어질 수 있도록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를 변형 또는 이동시켜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오토 포커스'는 'AF(Auto Focus)'와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은 외력에 의해 이미지 센서에 발생되는 진동(움직임)을 상쇄하도록 렌즈를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틸트시키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손떨림 보정'은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와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광학기기는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네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광학기기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광학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
광학기기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광학기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는 카메라 모듈을 수용할 수 있다. 본체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본체의 일면에 디스플레이부 및 카메라 모듈이 배치되고 본체의 타면(일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면)에 카메라 모듈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광학기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본체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광학기기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본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일부가 본체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본체의 일면 및 본체의 타면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와 그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액체렌즈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액체렌즈의 사시도(a)와 액체렌즈의 등가회로(b)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액체렌즈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액체렌즈 모듈의 단면도(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액체렌즈 모듈의 평면도(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의 액체렌즈 모듈의 일부 변형례와 관련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개념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구성의 저면도(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코일과 관련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개념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코일과 대향하는 마그네트와 관련 구성을 도시하는 저면도(개념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코일의 변형례와 관련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개념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코일과 대향하는 마그네트와 관련 구성을 도시하는 저면도(개념도)이고, 도 13은 도 1의 카메라 모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개념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개념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카메라 모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개념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개념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개념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구성의 저면도(개념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개념도)이다.
다만, 도 2, 도 6, 도 7, 도 10, 도 12, 도 18에는 단자(210)의 배치가 변형된 변형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오토 포커스 기능을 하는 액체렌즈 모듈(200)에 와이어(710) 또는 판스프링(720)을 사용하여 흔들림을 보정하는 OIS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가동자(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자(10)는 고정자(20)와 상호작용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가동자(10)는 OIS 구동 시 이동할 수 있다. 가동자(10)는 하우징(100)과 액체렌즈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에는 액체렌즈(202)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에는 액체렌즈(202)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00)에는 액체렌즈(202)가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커버(800)와 베이스(4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액체렌즈 모듈(200) 밖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홀(105)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홀(105)에는 액체렌즈 모듈(200)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커버(800)와 액체렌즈 모듈(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커버(800)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절연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사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외측 측면은 커버(800)의 측판(820)의 내면과 이격될 수 있다. 하우징(100)과 커버(80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하우징(100)은 OIS 구동을 위해 이동할 수 있다. 하우징(100)에는 마그네트(300)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과 마그네트(300)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는 자외선(UV), 열 및 레이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경화되는 에폭시(epoxy)일 수 있다.
하우징(100)은 4개의 측벽과, 상기 4개의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4개의 코너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측벽은 '측부'일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제1 내지 제4측벽(101, 102, 103, 104)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제1측벽(101)과, 제1측벽(101)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측벽(102)과, 제1측벽(101)과 제2측벽(102) 사이에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벽(103)과 제4측벽(104)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제1측벽(101)과 제3측벽(103)이 만나는 제1코너와, 제1측벽(101)과 제4측벽(104)이 만나는 제2코너와, 제2측벽(102)과 제4측벽(104)이 만나는 제3코너와, 제2측벽(102)과 제3측벽(103)이 만나는 제4코너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는 액체렌즈와 복수의 와이어(710) 중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7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액체렌즈와 기판(600)은 연결부와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71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는 도전라인(11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는 하우징(100)의 표면에 도전라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는 하우징(100)의 표면에 표면전극 또는 표면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는 스프링 또는 플레이트를 이용한 별도의 단자일 수 있다. 연결부는 액체렌즈(202)의 상부 전극(204) 및 하부 전극(2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는 단자(210)와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는 하우징(1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는 하우징(100)과 별도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도전라인(1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라인(110)은 하우징(100)의 일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전라인(110)은 하우징(100)의 상면 또는 하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전라인(110)은 하우징(100)의 외면 또는 표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전라인(110)은 하우징(100)의 표면에 라인패턴(라인형태)으로 형성 또는 인쇄될 수 있다. 도전라인(110)은 MID(Molded Interconnect Device) 기술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불순물을 포함하여 빛과 열 중 적어도 하나를 가할 경우 물리적 성질이 변하는 재질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이때, 도전라인(110)은 하우징(100)의 외면 중 노광에 의해 물리적 성질이 통전 가능하게 변경된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3실시예에서 도전라인(110)의 일단부는 액체렌즈 모듈(200)의 단자(210)에 연결되고, 도전라인(110)의 타단부는 와이어(7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전라인(110)과 액체렌즈 모듈(200)의 단자(210)는 도전성 에폭시 및 솔더볼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전라인(110)과 와이어(710)는 도전성 에폭시 및 솔더볼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전성 에폭시는 Ag 에폭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제4실시예에서 도전라인(110)의 일단부는 액체렌즈 모듈(200)의 단자(210)에 연결되고, 도전라인(110)의 타단부는 판스프링(7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전라인(110)과 판스프링(720)은 도전성 에폭시 및 솔더볼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라인(110)을 통해 액체렌즈와 와이어(710)가 연결되므로 액체렌즈의 단자(210)와의 연결 공정이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하우징(100)은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홀에는 와이어(710)가 배치될 수 있다. 홀은 와이어(710)의 개수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홀은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홀은 4개의 와이어와 대응하는 4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홀은 '와이어 홀'일 수 있다. 홀의 직경은 와이어(710)의 직경 보다 소정 크기 만큼 클 수 있다. 홀은 하우징(100)을 수직방향(광축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홈(groove)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홈에는 와이어(710)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홈은 하우징(100)의 홀을 대체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홀 또는 홈은 하우징(100)의 코너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변형례로서 하우징(10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에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스페이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는 액체렌즈 모듈(200)과 하우징(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 모듈(200)이 배치된 스페이서가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변형례에서 하우징(100)과는 별도의 고정부재가 추가될 수 있다. 스페이서는 적어도 일부에서 하우징(100)과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는 적어도 일부에서 액체렌즈 모듈(200)과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액체렌즈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 모듈(200)은 하우징(100)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변형례로서 홀더(201)는 생략되고 액체렌즈(202)가 직접 하우징(100)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 모듈(200)은 하우징(100)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 모듈(200)은 하우징(100)의 홀(105)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 모듈(200)은 오토 포커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액체렌즈 모듈(200)은 와이어(710) 또는 판스프링(720)을 통해 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액체렌즈 모듈(200)은 하우징(100)에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액체렌즈 모듈(200)은 하우징(100)에 본딩결합과 같은 무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액체렌즈 모듈(200)은 홀더(201)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201)는 내부에 액체렌즈(202)를 수용할 수 있다. 홀더(201)는 액체렌즈(202) 밖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201)는 액체렌즈(202)와 하우징(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202)는 하우징(100)에 홀더(201)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홀더(201)에는 단자(210)가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202)는 홀더(201)에 수용되는 한편 액체렌즈(202)의 단자(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액체렌즈 모듈(200)은 액체렌즈(20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3의 (a)를 참조하면, 구동 전압에 대응하여 초점 거리가 조정되는 액체렌즈(202)는 상부 전극(204)을 통해서 동작 전압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상부 전극(204)은 동일한 각 거리를 가질 수 있고, 서로 다른 방향에 배치된 4개의 개별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전극(204)을 통해서 동작 전압이 인가되면 렌즈영역(203)에 형성된 도전성 액체와 비도전성 액체의 계면(203-3)이 변형될 수 있다. 상부 전극(204)은 '상부 단자'일 수 있다. 하부 전극(205)은 '하부 단자'일 수 있다. 액체렌즈(202)는 고체렌즈(220)와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체렌즈(202)와 고체렌즈(2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에폭시가 도포될 수 있고, 액체렌즈(202)의 액티브 얼라인먼트(active alignment)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를 참조하면, 액체렌즈(202)는 일측은 상부 전극(204)으로부터 동작 전압을 인가 받고, 다른 일측은 하부 전극(205)과 연결된 복수의 캐패시터(206)로 설명할 수 있다. 여기서, 등가회로에 포함된 복수의 캐패시터(206)는 약 200 피코패럿(pF) 수준의 작은 캐패시턴스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액체렌즈(202)의 상부 전극(204)은 개별 단자이고 하부 전극(205)은 공통 단자일 수 있다. 또는, 액체렌즈(202)의 상부 전극(204)은 공통 단자이고 하부 전극(205)은 개별 단자일 수 있다. 액체렌즈(202)는 상부 전극(204)과 하부 전극(205)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전도성 액체(203-1)와 비전도성 액체(203-2) 사이에 형성되는 계면(203-3)이 변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AF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렌즈(202)는 액체, 제1플레이트(207-1) 및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202)는 전도성 액체(203-1) 및 비전도성 액체(20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레이트(207-1)는 전도성 액체(203-1) 및 비전도성 액체(203-2)가 배치되는 캐비티(cavity)(209)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209)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전극(204)과 하부 전극(205)은 제1플레이트(207-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전극(204)은 제1플레이트(207-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전극(205)은 제1플레이트(207-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202)는 상부 전극(204) 상부에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207-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체렌즈(202)는 하부 전극(205) 하부에 배치될 수 있는 제3플레이트(1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렌즈(202)의 일 실시예는 서로 다른 두 액체가 형성하는 계면(203-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체렌즈(202)는 전압을 공급받기 위해 홀더(201)에 배치되는 단자(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액체렌즈(202)의 모서리는 액체렌즈(202)의 중심부보다 두께가 얇을 수 있다.
액체렌즈(202)는 서로 다른 두 액체, 예를 들면 전도성 액체(203-1)와 비전도성 액체(203-2)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202)는 두 액체가 형성하는 계면(203-3)의 곡률, 형상은 액체렌즈(202)에 공급되는 구동 전압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액체렌즈(202)에 공급되는 구동 전압은 단자(21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액체렌즈(202)의 상부 전극(204)은 제1단자(211)와 연결되고 액체렌즈(202)의 하부 전극(205)은 제2단자(212)와 연결될 수 있다. 단자(210)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은 액체렌즈(202)의 각 모서리에 노출되는 상부 전극(204)과 하부 전극(205)에 인가될 수 있다.
액체렌즈(202)는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는 제3플레이트(207-3) 및 제2플레이트(207-2), 제3플레이트(207-3) 및 제2플레이트(207-2) 사이에 위치하며 기 설정된 경사면을 가지는 개구영역을 포함하는 제1플레이트(207-1)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202)는 제3플레이트(207-3), 제2플레이트(207-2) 및 제1플레이트(207-1)의 개구영역에 의해 결정되는 캐비티(20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캐비티(209)에는 전도성 액체(203-1)와 비전도성 액체(203-2)가 충진될 수 있으며, 전도성 액체(203-1)와 비전도성 액체(203-2) 사이에는 계면(203-3)이 형성될 수 있다.
액체렌즈(202)에 포함되는 두 액체 중 적어도 하나는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액체렌즈(202)는 전도성 액체(203-1)가 맞닿을 수 있는 경사면에 배치되는 절연층(208)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절연층(208)은 하부 전극(205)을 덮고, 상부 전극(204)의 일부를 노출시켜 전도성 액체(203-1)에 전기 에너지가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전극(205)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섹터를 포함하고, 상부 전극(204)은 둘 이상의 전극섹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전극(204)은 광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섹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섹터는 '서브전극'일 수 있다. 또는, 상부 전극(204)도 하나의 전극섹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202)에 포함된 상부 및 하부 전극(204, 205)에 구동 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단자(210)가 연결될 수 있다. 구동 전압에 대응하여 액체렌즈(202) 내 형성되는 계면(203-3)의 굴곡, 경사도 등이 변하면서 액체렌즈(202)의 초점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다만, 변형례에서 액체렌즈(202)의 상부 전극(204)과 하부 전극(205)은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액체렌즈(202)의 상부 전극(204)의 단자는 하우징(100)의 도전라인(110)과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액체렌즈(202)의 하부 전극(205)의 단자는 하우징(100)의 도전라인(110)과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액체렌즈(202)의 상부 및 하부 전극(204, 205)은 하우징(100)과 이격되며 하우징(100)의 연결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액체렌즈(202)의 상면과 하우징(100)의 상면은 대응할 수 있다. 액체렌즈(202)의 상면과 하우징(100)의 상면은 하나의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 모듈(20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00)의 상면 보다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액체렌즈 모듈(200)의 고체렌즈(220)의 일부는 하우징(100)의 상면 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 모듈(200)은 렌즈영역(203)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 모듈(200)의 렌즈영역(203)의 계면(203-3)은 인가되는 전류 및/또는 전압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렌즈영역(203)의 계면(203-3)의 변화에 따라 입사되는 광의 굴절되는 정도가 변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액체렌즈 모듈(200)은 오토 포커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액체렌즈 모듈(200)은 고체렌즈(22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 모듈(200)은 배럴(2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체렌즈(220)는 배럴(230)에 수용될 수 있다. 고체렌즈(220)는 배럴(230) 안에 배치될 수 있다. 고체렌즈(220)는 배럴(230)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고체렌즈(220)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고체렌즈(22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1군 렌즈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2군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액체렌즈(202)는 애드-인(Add-in)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202)는 고체렌즈(220)의 제1군 렌즈와 제2군 렌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군 렌즈는 1매 또는 2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고 제2군 렌즈는 1매. 2매 또는 3 내지 4매의 렌즈 또는 5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군 렌즈는 액체렌즈(202) 위에 배치되고 제2군 렌즈는 액체렌즈(202) 아래 배치될 수 있다.
변형례로 액체렌즈(202)는 애드-온(Add-on)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202)는 고체렌즈(220)의 최상단 렌즈(최외곽 렌즈)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202)는 배럴(23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배럴(230)의 상면에는 액체렌즈(202)의 고정을 위한 돌기 등의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럴(230)의 외면에는 액체렌즈(202)의 통전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액체렌즈 모듈(200)은 단자(21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210)는 홀더(201)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액체렌즈(202)와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액체렌즈 모듈(200)의 단자(210)는 하우징(100)의 도전라인(110)과 연결될 수 있다. 액체렌즈 모듈(200)의 단자는 하우징(100)의 도전라인(110)과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단자(210)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210)는 총 2개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210)는 제1단자(211)와 제2단자(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단자(211)와 제2단자(212)는 액체렌즈 모듈(20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도 6 등 참조). 도 6과 같이 제1단자(211)와 제2단자(212)는 같은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2의 변형례의 단자(210a)는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는 제1단자(211a)와 제2단자(212a)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단자(211)는 액체렌즈 모듈(200)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2단자(212)는 액체렌즈 모듈(200)의 타면(일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도 7, 도 8 등 참조). 이때, 제1단자(211)와 제2단자(212)는 서로 대각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단자(211)와 제2단자(212)는 액체렌즈 모듈(200)의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단자(210)는 테스트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210)는 테스트 단자를 포함하여 3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자(211, 212)와 도전라인(110)은 솔더볼(S) 또는 도전성 에폭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액체렌즈 모듈(200)은 단자(210)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 모듈(200)의 지지부는 단자(21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00)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수직 방향(광축 방향)으로 하우징(100)과 오버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액체렌즈 모듈(200)이 상측으로부터 하우징(100)에 안착되면 액체렌즈 모듈(200)이 아래로 빠지지 않고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제4실시예에서 액체렌즈 모듈(200)은 제1액체렌즈 모듈(200-1)과 제2액체렌즈 모듈(20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액체렌즈 모듈(200-1)은 인가되는 전류 및/또는 전압에 따라 계면이 변화되는 렌즈영역(2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액체렌즈 모듈(200-1)은 하우징(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액체렌즈 모듈(200-2)은 인가되는 전류 및/또는 전압에 따라 계면이 변화되는 렌즈영역(2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액체렌즈 모듈(200-2)은 하우징(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액체렌즈 모듈(200-1)과 제2액체렌즈 모듈(200-2)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1액체렌즈 모듈(200-1)과 제2액체렌즈 모듈(200-2)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액체렌즈 모듈(200-1)의 광축과 제2액체렌즈 모듈(200-2)의 광축은 평행할 수 있다. 제1액체렌즈 모듈(200-1)과 제2액체렌즈 모듈(200-2)은 접촉될 수 있다. 제1액체렌즈 모듈(200-1)의 일면은 제2액체렌즈 모듈(200-2)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액체렌즈 모듈(200-1)과 제2액체렌즈 모듈(200-2) 사이에는 접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액체렌즈 모듈(200-1)과 제2액체렌즈 모듈(200-2)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액체렌즈 모듈(200-1)과 제2액체렌즈 모듈(200-2)은 서로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액체렌즈 모듈(200-1)과 제2액체렌즈 모듈(200-2) 각각은 오토 포커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3실시예와 제4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듀얼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제1액체렌즈 모듈(200-1)과 제2액체렌즈 모듈(200-2) 각각이 2개씩 단자(210)를 포함하여 총 4개의 단자가 구비되지만, 변형례에서는 제1액체렌즈 모듈(200-1)과 제2액체렌즈 모듈(200-2) 각각에 개별 전극 1개가 배치되고 공통 전극은 1개만 배치되어 총 3개의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액체렌즈 모듈(200-1)과 제2액체렌즈 모듈(200-2)은 개별 전극은 별도로 사용하고 공통 전극은 공통으로 1개만 사용할 수 있다. 변형례에서 하우징(100)에 배치되는 도전라인(110)은 3개만 배치될 수 있고 와이어(710) 또는 판스프링(720)도 3개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변형례에서 하우징(100)은 서로 이격되는 2개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액체렌즈 모듈(200-1)과 제2액체렌즈 모듈(200-2)은 2개의 하우징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하우징 각각에는 4개의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마그네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300)는 하우징(100)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300)는 하우징(100)의 내측 홈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300)는 하우징(100)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마그네트(300)는 코일(500)과 대향할 수 있다. 마그네트(300)는 코일(500)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마그네트(300)는 하우징(100)의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마그네트(300)는 평판(flat plate) 형상을 갖는 평판 마그네트일 수 있다. 변형예로, 마그네트(300)는 하우징(100)의 코너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마그네트(300)는 내측 측면이 외측 측면 보다 넓은 육면체 형상을 갖는 코너 마그네트일 수 있다.
마그네트(300)는 복수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마그네트는 4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마그네트는 하우징(100)의 4개의 측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300)는 제1 내지 제4마그네트(311, 312, 313, 314)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300)는 제1측벽(101)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311)와, 제2측벽(102)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312)와, 제3측벽(103)에 배치되는 제3마그네트(313)와, 제4측벽(104)에 배치되는 제4마그네트(314)를 포함할 수 있다(도 10 참조).
변형례에 따른 마그네트(300)는 제1 내지 제4마그네트(321, 322, 323, 324)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마그네트는 하우징(100)의 4개의 코너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300)는 제1측벽(101)과 제3측벽(103)이 만나는 제1코너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321)와, 제1측벽(101)과 제4측벽(104)이 만나는 제2코너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322)와, 제2측벽(102)과 제4측벽(104)이 만나는 제3코너에 배치되는 제3마그네트(323)와, 제2측벽(102)과 제3측벽(103)이 만나는 제4코너에 배치되는 제4마그네트(324)를 포함할 수 있다(도 12 참조).
카메라 모듈은 고정자(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자(20)는 가동자(1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자(20)는 지지부재(와이어, 판스프링 등)를 통해 가동자(1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고정자(20)는 가동자(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고정자(20)는 베이스(400), 코일(500) 및 기판(60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베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400)는 하우징(100)과 이격될 수 있다. 베이스(400)는 하우징(1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400)는 기판(6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400)의 상면에는 기판(600)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400)는 커버(800)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400)는 인쇄회로기판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400)는 판스프링(720)과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400)는 액체렌즈 모듈(200)의 렌즈영역(203)과 대응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400)는 측면에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400)의 단차부에는 커버(800)의 측판(820)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400)의 측면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400)의 홈에는 기판(600)의 단자부(610)가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코일(50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500)은 마그네트(300)와 대향할 수 있다. 코일(500)은 마그네트(300)와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코일(500)에 전류가 공급되어 코일(500)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면, 코일(500)과 마그네트(30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마그네트(300)가 코일(50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코일(500)은 마그네트(30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하우징(100) 및 액체렌즈 모듈(200)을 베이스(400)에 대하여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코일(500)은 기판(600)에 일체로 형성되는 미세 패턴 코일(FP coil, Fine Pattern coil)일 수 있다. 코일(500)은 마그네트(300)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코일 유닛과, 마그네트(300)를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코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500)은 복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코일은 4개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500)은 제1 내지 제4코일(511, 512, 513, 514)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500)은 제1마그네트(311)와 대향하는 제1코일(511)과, 제2마그네트(312)와 대향하는 제2코일(512)과, 제3마그네트(313)와 대향하는 제3코일(513)과, 제4마그네트(314)와 대향하는 제4코일(514)을 포함할 수 있다(도 9 참조). 이때, 제1코일(511)과 제2코일(512)은 마그네트(300)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코일 유닛이고, 제3코일(513)과 제4코일(514)은 마그네트(300)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코일 유닛일 수 있다.
변형례에 따른 코일(500)은 제1 내지 제4코일(521, 522, 523, 524)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500)은 제1마그네트(321)와 대향하는 제1코일(521)과, 제2마그네트(322)와 대향하는 제2코일(522)과, 제3마그네트(323)와 대향하는 제3코일(523)과, 제4마그네트(324)와 대향하는 제4코일(524)을 포함할 수 있다(도 11 참조). 이때, 제1코일(521)과 제3코일(523)은 마그네트(300)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코일 유닛이고, 제2코일(522)과 제4코일(524)은 마그네트(300)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코일 유닛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기판(60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600)은 베이스(400)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600)은 하우징(100)과 베이스(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600)은 코일(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600)은 액체렌즈 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600)은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600)은 연성의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600)은 일부에서 절곡될 수 있다. 기판(600)의 하면에는 제1홀센서와 제2홀센서가 실장될 수 있다.
기판(600)은 액체렌즈 모듈(200)의 렌즈영역(203)과 대응하는 제1홀(6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홀(601)은 기판(600)의 중심부를 광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홀(601)을 통해 액체렌즈 모듈(200)의 렌즈영역(203)을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로 입사될 수 있다.
기판(600)은 와이어(710)가 통과하는 제2홀(6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홀(602)의 직경은 와이어(710)의 직경과 대응하거나 소폭 클 수 있다. 제2홀(602)을 통과한 와이어(710)의 하단은 기판(600)의 하면에 솔더링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2홀(602)은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홀(602)은 와이어(710)와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홀(602)은 기판(600)의 4개의 코너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기판(600)은 코일(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기판(600)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고 코일(500)은 상기 FPCB에 결합되는 FP 코일(Fine Pattern Coil)일 수 있다. 코일(500)은 기판(600)과는 별개의 구성일 수 있다. 또는, 코일(500)은 기판(600)의 일구성일 수 있다. 이때, 코일(500)은 기판(600)에 추가된 레이어에 FP코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600)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단자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610)는 베이스(40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단자부(610)는 베이스(400)의 하면 보다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즉, 단자부(610)의 하단은 베이스(400)의 하단 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단자부(610)는 기판(600)의 몸체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단자부(610)에는 복수의 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단자부(610) 각각에는 7개의 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1개의 단자부(610)에는 6개의 단자가 배치되고 다른 1개의 단자부(610)에 8개의 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판(600)은 복수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600)의 복수의 단자는 액체렌즈 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단자와, 제1코일(511)과 제2코일(5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단자와, 제3코일(513)과 제4코일(5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단자와, 제1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4개의 단자와, 제2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4개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단자는 총 14개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4코일(511, 512, 513, 514)는 변형례의 제1 내지 제4코일(521, 522, 523, 524)로 대체될 수 있다.
변형례로, 제1 내지 제4코일(511, 512, 513, 514), 제1홀센서 및 제2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는 기판(600)의 단자부(610)에 배치되고 액체렌즈 모듈(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는 별도의 단자로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는 하우징(100)과 기판(600) 또는 하우징(100)과 베이스(40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재는 하우징(100)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는 하우징(100)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는 적어도 일부에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재는 'OIS 지지부재'일 수 있다. 지지부재는 와이어(710) 및 판스프링(7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달리하여 와이어(710)와 판스프링(720)을 설명하지만 변형례로 와이어(710)와 판스프링(720)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제4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는 하우징(100)과 기판(600)을 연결할 수 있다. 제1액체렌즈 모듈(200-1), 제1지지부재 및 기판(6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액체렌즈 모듈(200-2), 제2지지부재 및 기판(6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지지부재는 제1액체렌즈 모듈(200-1)의 도전라인으로 이용되고 제2지지부재는 제2액체렌즈 모듈(200-2)의 도전라인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와이어(wire)(710)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710)는 하우징(100)과 기판(600)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710)의 상단부는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다. 와이어(710)의 상단부는 하우징(100)의 도전라인(110)에 솔더링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710)는 하우징(100)을 관통할 수 있다. 와이어(710)는 하우징(100)의 홀을 통과할 수 있다. 와이어(710)의 상단부는 하우징(100)의 도전라인(110)에 도전성 에폭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710)는 기판(600)의 제2홀(602)을 통과할 수 있다. 와이어(710)의 하단부는 기판(600)에 고정될 수 있다. 와이어(710)의 하단부는 기판(600)의 하면에 솔더링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710)의 하단부는 기판(600)의 하면에 도전성 에폭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710)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710)는 총 4개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710)는 액체렌즈 모듈(200)의 제1단자(211)와 연결되는 제1와이어(711)와, 액체렌즈 모듈(200)의 제2단자(212)와 연결되는 제2와이어(7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와이어(711)와 제2와이어(712)는 액체렌즈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와이어(711)와 제2와이어(712)는 액체렌즈를 중심으로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와이어(711)는 제2와이어(71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710)는 제1 내지 제4와이어(711, 712, 713, 7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와이어(711, 712, 713, 714)는 하우징(100)의 4개의 코너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3실시예에서 액체렌즈 모듈(200), 와이어(710) 및 기판(6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제4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판스프링(leaf spring)(720)을 포함할 수 있다. 판스프링(720)은 복수의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판스프링(720)은 총 4개의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판스프링(720)은 액체렌즈 모듈(200)의 제1단자(211)와 연결되는 제1판스프링과, 액체렌즈 모듈(200)의 제2단자(212)와 연결되는 제2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판스프링은 하우징(100)의 4개의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제4실시예에서 액체렌즈 모듈(200), 판스프링(720) 및 기판(6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9 등에서 판스프링(720)을 측방에서 본 모습을 지그재그로 도시하였으나, 판스프링(720)을 측방에서 본 모습은 플레이트(일자) 형상일 수 있다. 판스프링(720)은 하우징(100)의 측면과 기판(600)에 결합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판스프링(720)의 일부(또는 일단 등)는 하우징(100)에 형성된 연결부(도전라인 등)에 솔더 또는 전도성 에폭시(Ag에폭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도전라인 등)는 하우징(100)의 상면에만 형성되고, 판스프링(720)은 일부에서 하우징(100)의 상면으로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고, 판스프링(720)의 절곡된 부분이 하우징(100)의 상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판스프링(720)에 절곡 부분 없이 판스프링(720)의 일부와 하우징(100)의 상면이 별도의 부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연결부(도전라인 등)가 하우징(100)의 상면과 측면(일부)까지 형성되고, 판스프링(720)의 일부가 하우징(100)의 측면을 통해 전기적으로 액체렌즈(202)와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커버(8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800)는 베이스(400)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800)는 하우징(100)을 안에 수용할 수 있다. 커버(800)는 카메라 모듈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800)는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커버(800)는 비자성체일 수 있다. 커버(800)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800)는 금속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800)는 인쇄회로기판의 그라운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800)는 그라운드될 수 있다. 커버(800)는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커버(800)는 'EMI 쉴드캔'으로 호칭될 수 있다.
커버(800)는 상판(810)과 측판(82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800)는 홀을 포함하는 상판(810)과, 상판(810)의 가장자리(edge) 또는 외주(outer periphery)로부터 아래로 연장되고 베이스(400)와 결합되는 측판(82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800)의 측판(820)의 내면은 베이스(400)와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판(810)은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 모듈(200)의 렌즈영역(203)의 적어도 일부는 상판(810)의 홀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측판(820)은 복수의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측판(820)은 4개의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제1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홀센서는 기판(6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홀센서는 제1마그네트(311) 또는 제2마그네트(312)와 대향할 수 있다(도 10 참조). 변형례에서 제1홀센서는 제1마그네트(321) 또는 제3마그네트(323)와 대향할 수 있다(도 12 참조). 제1홀센서는 대향하는 마그네트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마그네트(300)의 제1축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른 마그네트(300)의 위치 및/또는 이동량을 감지할 수 있다. 마그네트(300)는 하우징(100)에 고정되고 액체렌즈 모듈(200)도 하우징(100)에 고정되므로 제1홀센서는 마그네트(300)의 위치 및/또는 이동량을 감지하여 하우징(100) 및 액체렌즈 모듈(200)의 위치 및/또는 이동량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축 방향'은 'x축 방향'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제2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홀센서는 기판(6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홀센서는 제3마그네트(313) 또는 제4마그네트(314)와 대향할 수 있다(도 10 참조). 변형례에서 제2홀센서는 제2마그네트(322) 또는 제4마그네트(324)와 대향할 수 있다(도 12 참조). 제2홀센서는 대향하는 마그네트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마그네트(300)의 제2축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른 마그네트(300)의 위치 및/또는 이동량을 감지할 수 있다. 마그네트(300)는 하우징(100)에 고정되고 액체렌즈 모듈(200)도 하우징(100)에 고정되므로 제2홀센서는 마그네트(300)의 위치 및/또는 이동량을 감지하여 하우징(100) 및 액체렌즈 모듈(200)의 위치 및/또는 이동량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축 방향은 상기 제1축 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 상기 '제2축 방향'은 'y축 방향'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적외선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액체렌즈 모듈(200)과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베이스(400)의 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에는 베이스(40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인쇄회로기판과 베이스(400) 사이에 별도의 센서 베이스가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기판(600)의 단자부(6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에는 이미지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에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에 플립 칩(flip chip) 기술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와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의 광축과 렌즈영역(203)의 광축은 얼라인먼트(alignment) 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 센서의 유효화상 영역에 조사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액체렌즈 모듈(200) 및/또는 코일(500)에 공급하는 전류의 방향, 세기 및 진폭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손떨림 보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홀센서와 제2홀센서를 통해 손떨림 보정에 대한 피드백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액체렌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하우징과 이격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하우징과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복수의 와이어; 및
    상기 액체렌즈와 상기 복수의 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렌즈와 상기 기판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되는 도전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라인의 일단부는 상기 액체렌즈의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도전라인의 타단부는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렌즈는 제1단자와 제2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액체렌즈의 상기 제1단자와 연결되는 제1와이어와, 상기 액체렌즈의 상기 제2단자와 연결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측벽과,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측벽 사이에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벽과 제4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제1측벽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와, 상기 제2측벽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와, 상기 제3측벽에 배치되는 제3마그네트와, 상기 제4측벽에 배치되는 제4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상기 코일은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1코일과, 상기 제2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2코일과, 상기 제3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3코일과, 상기 제4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4코일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 또는 상기 제2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1홀센서; 및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제3마그네트 또는 상기 제4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2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액체렌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와,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와, 상기 제3코일과 상기 제4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와, 상기 제1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와, 상기 제2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측벽과,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측벽 사이에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벽과 제4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3측벽이 만나는 제1코너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와,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4측벽이 만나는 제2코너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와, 상기 제2측벽과 상기 제4측벽이 만나는 제3코너에 배치되는 제3마그네트와, 상기 제2측벽과 상기 제3측벽이 만나는 제4코너에 배치되는 제4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상기 코일은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1코일과, 상기 제2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2코일과, 상기 제3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3코일과, 상기 제4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4코일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라인은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라인형태로 인쇄 또는 형성되고,
    상기 도전라인과 상기 액체렌즈의 단자 및 상기 도전라인과 상기 와이어는 도전성 에폭시 및 솔더볼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홀을 포함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는 측판을 포함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와 상기 베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도전라인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0.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액체렌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하우징과 이격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복수의 판스프링; 및
    상기 액체렌즈와 상기 복수의 판스프링 중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렌즈와 상기 기판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PCT/KR2019/018610 2018-12-28 2019-12-27 카메라 모듈 WO2020139024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19,135 US20220113456A1 (en) 2018-12-28 2019-12-27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577A KR20200082209A (ko) 2018-12-28 2018-12-28 카메라 모듈
KR10-2018-0172577 2018-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39024A1 true WO2020139024A1 (ko) 2020-07-02

Family

ID=71129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8610 WO2020139024A1 (ko) 2018-12-28 2019-12-27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13456A1 (ko)
KR (1) KR20200082209A (ko)
TW (1) TW202030512A (ko)
WO (1) WO20201390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9089A1 (en) * 2021-05-31 2022-12-07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Actuator, camera unit an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473B1 (ko) * 2007-04-26 2008-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체렌즈를 갖는 오토 포커싱용 카메라 모듈
KR20150142196A (ko) * 2014-06-11 2015-1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160060219A (ko) * 2014-11-19 2016-05-30 (주)옵티스 카메라 모듈
KR20170034640A (ko) * 2015-09-21 2017-03-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80088237A (ko) * 2017-01-26 2018-08-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체 렌즈 모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액체 렌즈 모듈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5962B2 (en) * 2018-01-25 2021-08-31 Tdk Taiwan Corp. Optica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optical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473B1 (ko) * 2007-04-26 2008-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체렌즈를 갖는 오토 포커싱용 카메라 모듈
KR20150142196A (ko) * 2014-06-11 2015-1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160060219A (ko) * 2014-11-19 2016-05-30 (주)옵티스 카메라 모듈
KR20170034640A (ko) * 2015-09-21 2017-03-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80088237A (ko) * 2017-01-26 2018-08-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체 렌즈 모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액체 렌즈 모듈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9089A1 (en) * 2021-05-31 2022-12-07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Actuator, camera unit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30512A (zh) 2020-08-16
KR20200082209A (ko) 2020-07-08
US20220113456A1 (en)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04643A1 (ko) 카메라 모듈
WO2011145907A2 (en) Camera module having mems actuator, connecting method for shutter coil of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WO2014010865A1 (en) Camera module
WO2015130051A1 (ko) 렌즈구동모터
WO2020197150A1 (ko) 카메라 장치
WO2018182203A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WO2014157998A1 (en) Camera lens module
WO2012074224A1 (en) Camera module
WO2017122993A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15160155A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20045960A1 (ko)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WO2014003492A1 (en) Camera module
WO2017119757A1 (ko) 렌즈 어셈블리,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19031817A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17119760A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18182348A1 (ko)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18139894A1 (ko) 액체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40038689A (ko) 카메라 모듈,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17164435A1 (ko) 렌즈 구동 장치
WO2018147670A1 (ko)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20139024A1 (ko) 카메라 모듈
WO2021040341A1 (ko)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WO2015190717A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단말
WO2021256712A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20149701A1 (ko)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045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045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