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80789A1 - Bottom-fixed type rolling pillow - Google Patents

Bottom-fixed type rolling pil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80789A1
WO2020080789A1 PCT/KR2019/013498 KR2019013498W WO2020080789A1 WO 2020080789 A1 WO2020080789 A1 WO 2020080789A1 KR 2019013498 W KR2019013498 W KR 2019013498W WO 2020080789 A1 WO2020080789 A1 WO 202008078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ser
base member
floor
roller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3498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천영호
Original Assignee
천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영호 filed Critical 천영호
Priority to US17/278,38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10353081A1/en
Priority to CN201980066037.5A priority patent/CN112822963A/en
Publication of WO202008078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8078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ttom-fixed type rolling pillow which can continuously maintain the right comfortable sleeping position of a user by moving the central axis of a cushion member by means of the movements of the user. The bottom-fixed rolling pillow comprises: a base member which provides a supporting force while being located on the floor, and has a groove-shaped receiving space having a circular arc-shaped upper surface so as to receive the head of the user in the receiving space; a cushion member which is movably moun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ase member and supports the head of the user; and a cushion moving member which movably couples the cushion member to the base member and allows the cushion member to be moved by the movements of the user.

Description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Floor fixed rolling pillow
본 발명은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쿠션부재의 중심축이 자연스럽게 이동하여 편안하고 올바른 수면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type rolling pill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or-type rolling pillow capable of continuously maintaining a comfortable and correct sleeping posture by naturally moving the central axis of the cushion member by a user's movement.
일반적으로 수면의 기본 자세는 양쪽 어깨를 바닥에 대고 천장을 보고 누운 자세이며, 이와 같은 자세로 수면시간의 50%만 잘 수 있어도 수면건강에 이상이 없다고 알려져 있다.In general, the basic posture of sleeping is a posture lying on the floor with both shoulders on the floor, and it is known that even if you can sleep only 50% of the sleep time with this posture, there is no problem with your sleep health.
통상적으로, 수면을 위해 눕게되면 온몸으로 중력을 받게되며, 평균 20~30회 정도의 뒤척임이 발생하게 된다.Typically, when you lie down for sleep, you will receive gravity all over your body, and an average of 20 to 30 turns will occur.
이때, 일반적인 베개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뒤척일 경우 사용자의 중심축이 변하기 때문에 목과 어깨가 틀어지고, 이에 따라 목이나 어깨에 힘이 들어가게 되어 편안한 수면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who is using the normal pillow is turned back, the central axis of the user is changed, so that the neck and shoulders are twisted, and accordingly, power is applied to the neck or shoulder, thereby preventing a comfortable sleep.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632호에 개시된 수면자세 교정용 베개가 있다.As a related prior art, there is a pillow for correcting sleep posture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69632.
이러한 선행기술은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몸체의 상면 좌우측에 상향으로 연장되는 상향벽체를 구비하여, 이 상향벽체에 사용자의 머리가 상향벽체에 간섭되어 사용자가 옆으로 구르지 못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눕지 못하게 하는 기술이다.This prior art has an upward wall extending upwardly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supporting the user's head, whereby the user's head interferes with the upward wall and prevents the user from rolling to the side, so that the user returns to the side. It is a technique that prevents you from lying dow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몸체의 바닥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 누울 때 사용자의 머리와 상향벽체가 간섭되어 사용자의 얼굴이 항상 하늘을 보는 방향으로 수면자세가 고정되기 때문에 오히려 경추 및 척추에 무리를 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is formed flat and the user's head and the upward wall interfere when the user turns to the side, the sleeping position is fixed in the direction that the user's face is always looking at the sky. Rather, there is a problem that can cause strain on the cervical spine and spin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수면상태에서 사용자의 뒤척임이 일어날 경우 쿠션부재의 움직임을 통해 사용자의 중심축을 유지시킴으로써 편안한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n the sleeping state, a floor capable of continuously maintaining a comfortable posture by maintaining the central axis of the user through the movement of the cushion member when the user is turned over. The aim is to provide a stationary rolling pillow.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쿠션부재의 움직임을 길이방향이나 폭방향으로 허용함으로써 어깨나 목이 틀어지지 않고 바른 자세로 유지될 수 있는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Specific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or-type rolling pillow that can be maintained in a correct posture without twisting a shoulder or neck by allowing the movement of the cushion member in a lengthwise or widthwise direction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또한, 본 발명은 쿠션부재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쿠션부재를 고정된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는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or-type rolling pillow that can be used in a fixed state by selectively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cushion memb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는, 바닥에 놓인 상태로 지지력을 제공하며, 상면에 원호형을 이루는 홈형태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수용공간에 이동가능하게 안착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쿠션부재; 및 상기 쿠션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상기 쿠션부재의 이동을 허용하는 쿠션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loor-type rolling pillow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ing force in a state placed on the floor, and a groove-shaped receiving space forming an arc shape o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to form a user's head A base member accommodating the accommodation space; A cushion member movably se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base member to support a user's head; And a cushion moving member that movably couples the cushion member to the base member and allows movement of the cushion member by a user's movement.
예컨대, 상기 쿠션이동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수용공간 상면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쿠션부재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레일; 상기 쿠션부재의 저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ushion moving member may include: a guide rail formed in at least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an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base member to provide a movement path of the cushion member; A slider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member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And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roller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to support the slider.
예컨대,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형태로 형성되는 가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휠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레일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가로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이드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guide rail includes a horizontal rail formed in a groove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and the roller is formed in a wheel shape and rotates forward or revers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rail.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wheel for moving the slider along the horizontal rail while rotating.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형태로 형성되는 가로레일;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레일과 직교상태를 이루는 세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볼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레일 및 상기 세로레일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가로레일 및 상기 세로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이드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rail, a horizontal rail formed in a groove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And a vertical rail formed in a groove shap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to form an orthogonal state with the horizontal rail, and the roller is formed in a ball shape and defin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rail and the vertical rail.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ball for moving the slider along the horizontal rail and the vertical rail while rotating or reverse rotation.
또한, 상기 쿠션이동부재는, 상기 롤러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면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롤러브레이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cushion mov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roller brake that selectively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roller and selectively allows the slider to move.
예컨대, 상기 롤러브레이크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상기 롤러의 일부분에 걸리면서 상기 롤러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oller brak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ressing protrusion that is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and prevents the roller from rotating arbitrarily while being caught by a portion of the roller by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쿠션부재가 쿠션이동부재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이동이 허용됨에 따라 수면상태에서 사용자의 뒤척임이 발생할 경우에도 쿠션부재의 움직임을 통해 사용자의 중심축이 유지됨으로써 편안하고 바른 수면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the floor-type rolling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hion member supporting the user's head is allowed to move by the user's movement through the cushion moving member, even when the user's backseat occurs in the sleeping state. Through the movement of the user, the central axis of the user is maintained, so that a comfortable and correct sleeping posture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쿠션부재가 슬라이더와 함께 롤러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므로 쿠션부재가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서도 중심축이 유지되어 어깨나 목이 틀어짐이 없이 수면자세가 유지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ushion member moves along the guide rail by the roller together with the slider, the cushion member can be smoothly moved by the user's movement, and accordingly, the central axis is maintained even by the user's movement, so that the shoulder or neck Sleep position can be maintained without distortion.
또한, 본 발명은 롤러가 가이드휠로 구성될 경우에는 쿠션부재가 가로방향으로 이동이 허용될 수 있으며, 롤러가 가이드볼로 구성될 경우에는 쿠션부재가 가로방향은 물론 세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oller is composed of a guide wheel, the cushion member may be allowed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when the roller is composed of a guide ball, the cushion member may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well as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은 롤러브레이크에 의해 롤러의 회전이 선택적으로 제한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쿠션부재를 고정식으로도 용이하게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of the roller can be selectively limited by the roller brake, so that the cushion member can be easily switched to a fixed type if necessary.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btained in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r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disclos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belong. It can be understo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or-type rolling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or-type rolling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의 쿠션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shion member of the floor-type rolling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의 쿠션부재 및 슬라이더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shion member and slider of the floor-type rolling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mov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이동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ushion mov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general-purpose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thu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ure form,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n elem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s present,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의 쿠션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의 쿠션부재 및 슬라이더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이동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or-type rolling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or-type rolling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removing the cushion member of the floor-type rolling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of removing the cushion member and slider of the floor-type rolling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ushion mov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는 사용자의 수면시 머리를 지지하여 베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머리가 움직일 경우 머리움직임에 따라 쿠션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중심축을 유지시키는 기술이다.The floor-type rolling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head during sleep and functions as a pillow. When the user's head moves, the user moves the cushion member according to the head movement to maintain the central axis of the user. .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00), 쿠션부재(200) 및 쿠션이동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loor-type rolling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ase member 100, a cushion member 200 and a cushion moving member 300 as shown in FIGS. have.
상기 베이스부재(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의 몸체를 이루면서 바닥에 놓인 상태로 지지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The base member 100 forms a body of the floor-type rolling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support in a state placed on the floor.
구체적으로, 베이스부재(100)는 블록형태로 형성되어 바닥에 놓이며, 상면에 사용자의 머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10)이 원호형의 홈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후술되는 쿠션부재(200)를 매개로 사용자의 머리를 수용하면서 지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se member 100 is formed in a block form and placed on the floor, and the receiving space 110 for accommodating the user's head o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an arc-shaped groove shape, thereby providing a cushion member 200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supported by accommodating the user's head as a medium.
즉, 수용공간(110)은 베이스부재(100)의 상면에 'C'자형의 단면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수용할 수 있다.That is, the receiving space 110 is formed while forming a cross-section of a 'C'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100 to accommodate the user's head.
이러한 베이스부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논슬립패드(120)가 설치되어 바닥면을 지지하면서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base member 100 is provided with a non-slip pad 120 on the bottom surface to prevent slippage while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여기서, 논슬립패드(120)는 복수로 구성되면서 베이스부재(100) 저면의 꼭지점 부분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이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베이스부재(100)의 높이 또는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non-slip pad 120 may be installed at a vertex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member 100 while being composed of a plurality, each of which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so that the height or inclination angle of the base member 100 can be adjusted. have.
예컨대, 논슬립패드(120)는 다단의 텔레스코픽 봉형태로 구성되어 길이가 신축하면서 다단봉의 연결부위를 조여서 고정하는 조임링에 의해 신축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non-slip pad 120 may be formed in a multi-stage telescopic rod shape, and may be fixed in a stretched state by a fastening ring that tightens and secures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multi-stage rod while being stretched in length.
상기 쿠션부재(200)는 사용자의 머리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부재이다.The cushion member 200 is a member that directly supports the user's head.
이러한 쿠션부재(200)는 사용자의 머리와 목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쿠션이동부재(300)를 매개로 베이스부재(100)의 수용공간(110)에 이동가능하게 안착될 있다.The cushion member 200 is formed in a shape capable of supporting the user's head and neck, and is movably seated in the receiving space 110 of the base member 100 through the cushion moving member 300 described later. .
즉, 쿠션부재(200)는 베이스부재(100)의 수용공간(110)과 대응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수용공간(100)의 상면에 이동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That is, the cushion member 200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space 110 of the base member 100 to be movab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00.
여기서, 쿠션부재(200)는 페브릭재질이나 섬유재, 합성수지배 또는 피혁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면에 미도시된 지압돌기가 형성되어 목이나 머리부분을 지압돌기로 지지할 수도 있다.Here, the cushion member 200 may be formed of a fabric material or a fibrous material, a synthetic resin or a leather material, and an acupressure protrus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to support the neck or head with acupressure protrusions.
상기 쿠션이동부재(300)는 전술한 쿠션부재(200)를 베이스부재(100)의 수용공간(1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수면시 발생하는 사용자의 움직임(뒤척임)의 발생시 쿠션부재(200)의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중심축(무게중심)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The cushion moving member 300 is movably coupled to the above-described cushion member 200 to the receiving space 110 of the base member 100, so that the cushion member when the user's movement (backward) occurs when the user sleeps It is a component that allows the user's central axis (center of gravity) to be maintained by allowing the movement of the 200.
즉, 쿠션이동부재(300)는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이 수면 중 움직일 경우 머리 또는 목이 쿠션부재(200)에 접촉한 상태에서 쿠션부재(200)를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어깨나 몸의 중심이 비틀림이 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s head or neck moves during sleep, the cushion moving member 300 moves the cushion member 200 in a state where the head or neck is in contact with the cushion member 200 so that the center of the user's shoulder or body is not twisted. Can be maintained.
이러한 쿠션이동부재(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10), 슬라이더(320) 및 롤러(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ushion moving member 3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rail 310, a slider 320 and a roller 330 as shown in Figures 3 and 4.
상기 가이드레일(310)은 쿠션부재(20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The guide rail 310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a movement path of the cushion member 200.
가이드레일(310)은 베이스부재(100)의 수용공간(110) 상면에 길이방향이나 폭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쿠션부재(200)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guide rail 310 may be formed to extend in at least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10 of the base member 100 and provide a movement path of the cushion member 200.
이러한 가이드레일(31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00)의 상면에 홈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연장될 수도 있다.The guide rail 310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100 as shown in FIGS. 4 and 6, or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fferent shape.
구체적으로, 가이드레일(3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 즉, 가로방향(횡방향)을 따라 홈형태로 연장되는 가로레일(3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guide rail 3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orizontal rail 311 extending in a groove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100, that i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ransverse direction) as shown in FIG. have.
또한, 가이드레일(3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 즉, 가로방향(횡방향)을 따라 홈형태로 연장되는 가로레일(311) 및 베이스부재(100)의 폭방향 즉, 세로방향(종방향)을 따라 홈형태로 연장되면서 가로레일(311)과 직교상태를 이루는 세로레일(3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guide rail 310, as shown in Figure 5 of the length of the base member 100, that is, the transverse rail 311 and the base member 100 extending in a groove shape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transverse direc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vertical rail 312 that forms an orthogonal state with the horizontal rail 311 while extending in a groove shape along a width direction, that is, a vertical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여기서, 가로레일(3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를 이루면서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달리 단수로 구성되어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도 있다.Here, the horizontal rails 311 may be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hile forming a plurality as shown in FIG. 4, and may be formed in a singular form as shown in FIG. 4 and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100.
또한, 세로레일(31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rail 312 may be composed of a single number, as shown in Figure 5, may be configured in a plurality may exten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상기 슬라이더(320)는 쿠션부재(200)와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 쿠션부재(200)의 저면에 고정된 상태로 가이드레일(3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가이드레일(3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slider 320 is moved together with the cushion member 200, and is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310 in a stat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member 200, thereby guiding the rail 310 by the user's movement. Can move along.
구체적으로, 슬라이더(320)는 베이스부재(100)의 수용공간(110)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10)의 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321)가 형성되어 가이드레일(3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lider 32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space 110 of the base member 100, as shown in Figure 3 is coupled to the groove of the guide rail 310 The protrusion 321 may be formed to be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310.
여기서, 결합돌기(321) 및 가이드레일(310)은 슬라이더(32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engaging projection 321 and the guide rail 310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slider 320 is not separated arbitrarily.
예컨대, 결합돌기(321) 및 가이드레일(310)은 하광상협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결합돌기(3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별도의 이탈방지돌기가 돌출되고 가이드레일(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탈방지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engaging projection 321 and the guide rail 3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lower light negotiation, unlike this, a separate departure preventing projection protru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ngaging projection 321 and the guide rail 310 Deviation prevention grooves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가이드레일(310)에는 슬라이더(320)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미도시된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rail 310 may be provided with an unshown stopper that can prevent excessive movement of the slider 320.
상기 롤러(330)는 슬라이더(32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The roller 330 is a component that movably supports the slider 320.
좀 더 구체적으로, 롤러(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00)의 상면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슬라이더(320)의 저면을 지지함으로써 슬라이더(320)가 쿠션부재(200)와 함께 가이드레일(3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the roller 330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slider 320 in an idle stat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100 so that the slider 320 has a cushion member 200 With it, it is possible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310.
이러한 롤러(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휠(33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4, the roller 330 may include a guide wheel 331 formed in a wheel shape as illustrated in FIG. 4.
즉, 가이드휠(331)은 통상의 바퀴형태로 형성되어 회전축을 통해 베이스부재(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가로레일(311)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정회전하거나 역회전하면서 슬라이더(320)를 가로레일(311)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That is, the guide wheel 331 is formed in a conventional wheel shape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member 100 through a rotating shaft, and the slider is rotated forward or revers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rail 311 The 320 can be moved along the horizontal rail 311.
즉, 롤러(330)는 가이드휠(331)로 구성될 경우, 슬라이더(320)를 가로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roller 330 is configured with the guide wheel 331, the slider 320 can be supported to be movable on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한편, 롤러(3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볼(33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roller 33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ball 335 formed in a ball shape as shown in FIG. 5.
즉, 가이드볼(335)은 구체로 형성되어 베이스부재(100)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됨으로써 여러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로레일(311) 및 세로레일(312)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정회전하거나 역회전하면서 슬라이더(320)를 이동시킬 수 있다.That is, the guide ball 335 is formed of a sphere and is rotatably built into the base member 100 so that it can rotate in various directions. Accordingly, the guide ball 335 is fix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rail 311 and the vertical rail 312. The slider 320 may be moved while rotating or reversing.
종합하면, 가이드레일(310)이 가로레일(311)로만 구성될 경우에는 롤러(330)가 가이드휠(331)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310)이 가로레일(311) 및 세로레일(312)로 구성될 경우에는 롤러(330)가 가이드볼(335)로 구성될 수 있다.In summary, when the guide rail 310 is composed of only the horizontal rail 311, the roller 330 may be composed of the guide wheel 331, and the guide rail 310 includes the horizontal rail 311 and the vertical rail ( 312), the roller 330 may be configured as a guide ball 335.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브레이크(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loor-fixed rolling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oller brake 350 as shown in FIG. 5.
롤러브레이크(350)는 전술한 롤러(33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함으로써 슬라이더(32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구성요소이다.The roller brake 350 is a component that selectively allows the movement of the slider 320 by selectively restraining the rotation of the roller 330 described above.
즉, 롤러브레이크(350)는 슬라이더(320)의 이동을 제한하여 쿠션부재(200)를 고정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That is, the roller brake 350 is a component that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slider 320 so that the cushion member 200 can be fixedly used.
이러한 롤러브레이크(3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00)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롤러(330)의 일부분에 걸리거나 롤러(330)를 가압하는 가압돌기(35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5, the roller brake 350 is installed in a state protruding from the base member 100 as illustrated in FIG. 5 and is caught in a portion of the roller 330 by the user's pressure or pressurized protrusions for pressing the roller 330 ( 351).
이러한 가압돌기(351)는 롤러(330)를 가압한 상태로 록킹될 수 있도록 미도시된 록킹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언록킹시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미도시된 리턴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The pressing protrusion 351 may be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not shown) so that it can be locked in a state where the roller 330 is pressed, and an unshown return spring may be provide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unlocking. have.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는 쿠션부재(200)가 슬라이더(320)와 함께 롤러(330)에 의해 가이드레일(310)을 따라 이동하므로 쿠션부재(200)가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서도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유지되어 어깨나 몸이 틀어짐이 없이 수면자세가 유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loor-type rolling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ushion member 200 moves along the guide rail 310 by the roller 330 together with the slider 320, the cushion member 200 ) Can be moved smoothly by the user's movement, and accordingly, the user's center of gravity is maintained even by the user's movement, so that the sleeping position can be maintained without the shoulder or body being distorted.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The examples presented are only specific examples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실시예><Example>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의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가 유도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가이드휠 형태의 롤러가 구비된 제1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와 가이드볼 형태의 롤러가 구비된 제2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를 사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수면을 취하도록 한 다음 사용한 사용자들의 신체변화에 대한 역학 연구를 수행하였다.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induced by the floor-type rolling pillow having a structure as shown in FIGS. 1 to 5, the first floor-type rolling pillow provided with a guide wheel-shaped roller and the second floor provided with a roller-shaped guide ball After using a fixed rolling pillow to sleep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 epidemiological study of the body changes of the users was performed.
(1) 사용자 선택(1) User selection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가 갖는 사용자들의 신체변화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목이나 허리에 근골격계 질환의 병력이 없고 건강상태가 양호한 30대 남성 16인을 사용자로 선정하여 신체 역학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실험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모두 오른손을 사용하는 사람으로 선정하였고, 사용자들의 인체 측정치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floor-fixed rolling pillow on the body changes of users, 16 males in their 30s who have no history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their neck or waist and who are in good health were selected as users and carried out physical epidemiology studies. In order to minimize errors, all were selected as people using the right hand, and the anthropometric values of the users are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PCTKR2019013498-appb-img-000001
Figure PCTKR2019013498-appb-img-000001
(2) 목 자세 분석(2) neck posture analysis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를 사용할 경우에 유도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수면시 발생되는 사용자의 목 자세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이때, 시판되는 일반 베개와 메모리폼 베개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induced when using a floor-type rolling pillow, changes in the user's neck posture during sleep were analyzed, and at this time, commercially available pillows and memory foam pillows were used as controls.
목 자세 분석을 위해, 사용자 16인 모두에게 편안한 복장을 착용하게 하고 목 자세 변화 측정에 필요한 기준점(귀구슬점, 어깨가쪽점, 뒤통수점, 목뒤점)을 찾아 표시한 다음 전극 부착점을 알코올로 소독(alcohol preparation)하였으며, 6개 채널(channel)의 표면전극(surface electrode)을 각각 부착시켰다. For neck posture analysis, all 16 users are required to wear comfortable clothing and find and mark the reference points (ear ball point, shoulder point point, back head point, neck back point) necessary for measuring neck posture change, and then use the electrode attachment point as alcohol. It was sterilized (alcohol preparation), and each surface electrode of six channels was attached.
목 자세 변화 측정에 필요한 기준점을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바로 서도록 하여 사진촬영을 실시하였으며, 제1 및 제2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 일반 베개 또는 메모리폼 베개를 베고 바로 누운 자세에서 가장 편안한 자세를 스스로 찾게 하고, 가장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누워있는 목 자세를 다시 촬영하였다. 촬영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카메라는 삼각대에 고정하여 위치변화가 없도록 설정하였다.Mark the reference points needed to measure neck posture change, take the picture by letting the user stand upright, and find the most comfortable posture in the supine position by first and second floor fixed rolling pillows, normal pillows or memory foam pillows Then, the lying neck position was taken again while maintaining the most comfortable position. To reduce the error of shooting, the camera was fixed to a tripod so that there was no position change.
참고로,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 또는 베개의 기능 중 중요한 요소는 사용자가 서있는 상태에서 목의 자세를 자연스럽게 유지하는 것이다. 목의 자세를 자연스럽게 유지한다는 것은 7개의 경추가 일직선으로 바르게 정렬되어 경추만곡(cervical curvature) 상태를 이루고 있음을 뜻한다. 하지만, 경추가 바르게 정렬되지 않고 중심선에서 많이 벗어나게 될 경우 벗어나는 방향과 반대반향으로 전단력(shearforce)이 발생하게 되어 경추만곡이 흐트러지게 된다. 이때, 전단력이란 물체 내 특정면을 기준으로 크기가 같고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면을 따라 평행되게 작용하는 힘을 의미하며, 만약, 부적합한 베개를 사용할 경우 경추만곡이 흐트러질 수 있고, 흐트러진 부분에서 흐트러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전단력이 발생하며, 전단력이 발생할 경우 경추의 안정도가 깨지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목각도가 0°에 가까울 때 경추는 안정하다고 볼 수 있다. For reference, an important element of the function of the floor-mounted rolling pillow or pillow is to maintain the natural posture of the neck while the user is standing. Maintaining the natural posture of the neck means that the 7 cervical vertebrae are aligned in a straight line to form a cervical curvature. However, if the cervical spine is not properly aligned and deviates from the center line a lot, shear force is gene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ervical spine is distorted. At this time, the shearing force refers to a force acting in parallel along the surface so that the size is the same and the directions are opposite to each other based on a specific surface in the object. If an inappropriate pillow is used, cervical curvature may be disturbed, and Shear force occur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sheveled direction, and when shear force occurs, it can be said that the stability of the cervical vertebra is broken.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cervical spine is stable when the woodcarving degree is close to 0 °.
상기와 같은 조건을 기준으로 3시간 동안 수면을 취하도록 하고, 바로 누운 자세에서의 목 각도 변화량을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Based on the conditions as described above, sleep was performed for 3 hours, and the amount of change in neck angle in the supine position was measured and expressed as an average valu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Figure PCTKR2019013498-appb-img-000002
Figure PCTKR2019013498-appb-img-0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를 사용하여 수면을 취하도록 한 사용자들의 경우, 일반베개 및 메모리폼 베개를 사용하여 수면을 취하도록 한 사용자들의 경우에 비해서 목 각도 변화량이 현저히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가이드볼 형태의 롤러가 구비된 제2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를 사용하여 수면을 취하도록 한 사용자들의 목 각도 변화량이 더욱 낮아 가장 자연스러운 자세를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As shown in Table 2,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neck angl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ase of users who had to sleep using the floor-type rolling pillow, compared to those with the pillow and memory foam pillow. Coul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neck angle of the users who took the sleep by using the second floor fixed rolling pillow equipped with the guide ball-shaped roller was lower, thereby maintaining the most natural posture.
이는, 본 발명의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를 사용하여 수면을 취할 경우 자세가 변경되어도 자동적으로 똑바로 누워 자는 자세를 유지하도록 정렬하고 목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여 바르게 눕는 자세를 유지시켜 주기 때문에 가장 자연스러운 자세를 유지시켜 줄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This is the most natural posture because it maintains a proper lying posture by automatically aligning to maintain a sleeping position and keeping the balance of the neck even when the posture is changed when sleeping by using the floor-type rolling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judged to be able to maintain.
(3) 체압분포 측정(3) Body pressure distribution measurement
제1 및 제2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 일반 베개 또는 메모리폼 베개를 베고 누웠을 때 체압이 얼마나 고르게 분포하는지 측정하기 위하여 압력센서를 이용해 머리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인 체압(Body Pressure)을 측정하였다. 압력 측정점으로는 뒤통수점이 만나는 지점 두 곳(S1 및 S2), 뒤통수돌출점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상하에 위치하는 두 곳(S3 및 S4), 머리반가시근(Semispinalis capitis, S5 및 S6), 옆머리점과 평행한 가상선을 기준으로 두 곳(S7 및 S8)의 총 8개의 지점(S1 및 S8)에서 측정하였고, 측정시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사용자의 머리 표면에 센서를 직접 부착하지 않고 두께를 무시할 수 있는 얇은 천을 사용하여 센서를 부착한 후 측정하였다.Body pressure, which i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head surface, was measured using a pressure sensor to measure how evenly the body pressure is distributed when the first and second floor-type rolling pillows, a general pillow, or a memory foam pillow are cut and laid. The pressure measurement points are two points (S1 and S2) where the posterior head point meets, two points located up and down parallel to the posterior head protrusion point (S3 and S4), the semi-parpical muscles (Semispinalis capitis, S5 and S6), the lateral head Measured at a total of eight points (S1 and S8) at two points (S7 and S8) based on the imaginary line parallel to the point, and the thickness is negligible without directly attaching the sensor to the user's head surface to reduce errors when measuring. It was measured after attaching the sensor using a thin cloth.
참고로, 특정부분에서 체압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은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 또는 베개가 머리 무게를 분산시키지 못하고 국부적으로 압력이 발생하며, 이러한 국부압력이 계속 유지될 경우 압력점에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이다. For reference, the fact that the body pressure is high in a specific part is that the floor-mounted rolling pillow or pillow does not distribute the weight of the head, and local pressure occurs, and if this local pressure is maintained, it is possible that it may cause pain at the pressure point. It means that there is.
근육의 활동도 분석에서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 또는 베개를 사용해 바로 누운 자세에서의 근육의 활동도가 어느 정도 분포하는가 알아보기 위하여 머리 표면 체압(g/cm 3)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In the analysis of muscle activity, the head surface body pressure (g / cm 3 ) was measured to find out how much the muscle activity in the reclined position is distributed using a floor-fixed rolling pillow or pillow,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he table below. It is shown in 3.
Figure PCTKR2019013498-appb-img-000003
Figure PCTKR2019013498-appb-img-000003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 일반 베개, 메모리폼 베개 모두 뒤통수점(S1 및 S2)과 뒤통수 돌출점(S3 및 S4)에 압력이 가해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메모리폼 베개의 경우 그 형태의 특성상 뒤통수점 등과 같은 특정 부분에 압력이 집중적으로 가해져 제1 및 제2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와 일반 베개에 비해 상대적으로 체압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3, it was confirmed that the first and second floor-type rolling pillows, general pillows, and memory foam pillows both had pressure applied to the back through points S1 and S2 and the back through protrusions S3 and S4. , In the case of the memory foam pillow, pressure was intensively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such as a back through poin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pe, and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body pressure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floor fixed rolling pillows and general pillows.
하지만, 제1 및 제2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를 착용한 사용자의 경우에는 일반 베개 또는 메모리폼 베개를 사용한 사용자에 비해 머리 표면 체압이 균등하게 분포하여 균형있는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users wearing the first and second floor-type rolling pillows, it was confirmed that the body surface pressure was evenly distributed to maintain a balanced posture compared to a user using a normal pillow or a memory foam pillow.
또한, 수면 중에 몸을 틀게 되었을 때, 제1 및 제2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의 경우 두부를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적절한 형태를 유지하여 체압이 한 곳에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체압이 고르게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에, 일반 베개 또는 메모리폼 베개를 사용하는 경우 체압이 한 곳에 집중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body is turned during sleep, in the case of the first and second floor-type rolling pillows, the body shape is not evenly distributed because the body pressure is not concentrated in one place by maintaining the proper shape to support the head as a whole.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a general pillow or a memory foam pillow, it was confirmed that body pressure is frequently concentrated in one place.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실시예에 따른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는 사용시 쿠션부재가 슬라이더와 함께 롤러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므로 쿠션부재가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서도 중심축이 유지되어 어깨나 목이 틀어짐이 없이 바른 수면자세가 유지되도록 돕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Through the above results, the floor-fixed rolling pill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orms a structure in which the cushion member moves smoothly by the movement of the user because the cushion member moves along the guide rail by the roller together with the slider when used,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the central axis is maintained even by the user's movement to help maintain the correct sleeping position without distorting the shoulders or neck.
특히, 가이드휠 형태의 롤러가 구비된 제2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의 경우 쿠션부재가 가로방향은 물론 세로방향으로 이동하는 효과가 있어 보다 바른 수면자세가 유지되도록 돕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second floor-type rolling pillow equipped with a guide wheel type roller, it was confirmed that the cushion member has an effect of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well a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by helping to maintain a more proper sleeping posture.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on onl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long can easily be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all the changed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codes]
100 : 베이스부재 110 : 수용공간100: base member 110: accommodation space
120 : 논슬립패드 200 : 쿠션부재120: non-slip pad 200: cushion member
300 : 쿠션이동부재 310 : 가이드레일300: cushion moving member 310: guide rail
311 : 가로레일 312 : 세로레일311: Horizontal rail 312: Vertical rail
320 : 슬라이더 330 : 롤러320: slider 330: roller
331 : 가이드휠 335 : 가이드볼331: guide wheel 335: guide ball
350 : 롤러브레이크 351 : 가압돌기350: roller brake 351: pressurized projection

Claims (6)

  1. 바닥에 놓인 상태로 지지력을 제공하며, 상면에 원호형을 이루는 홈형태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하는 베이스부재;A base member that provides a support force in a state placed on the floor, and has a groove-shaped receiving space forming an arc shape on the upper surface to receive the user's head in the receiving space;
    상기 베이스부재의 수용공간에 이동가능하게 안착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쿠션부재; 및A cushion member movably se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base member to support a user's head; And
    상기 쿠션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상기 쿠션부재의 이동을 허용하는 쿠션이동부재를 포함하는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A floor-fixed rolling pillow comprising a cushion moving member that movably couples the cushion member to the base member and allows movement of the cushion member by a user's movement.
  2. 제 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쿠션이동부재는,The cushion moving member,
    상기 베이스부재의 수용공간 상면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쿠션부재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레일;A guide rail formed in at least one of a length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an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base member to provide a movement path of the cushion member;
    상기 쿠션부재의 저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 및A slider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member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And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A floor-mounted rolling pillow comprising a roller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supports the slider.
  3. 제 2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2,
    상기 가이드레일은,The guide rail,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형태로 형성되는 가로레일을 포함하며,It includes a horizontal rail formed in a groove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상기 롤러는,The roller,
    휠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레일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가로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이드휠을 포함하는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A floor-type rolling pillow comprising a guide wheel formed in a wheel shape and moving the slider along the horizontal rail while forward or reverse rotation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rail.
  4. 제 2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2,
    상기 가이드레일은,The guide rail,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형태로 형성되는 가로레일; 및A horizontal rail formed in a groove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And
    상기 베이스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레일과 직교상태를 이루는 세로레일을 포함하고,It includes a longitudinal rail formed in a groove shap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to form an orthogonal state with the horizontal rail,
    상기 롤러는,The roller,
    볼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레일 및 상기 세로레일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가로레일 및 상기 세로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이드볼을 포함하는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A floor-type rolling pillow comprising a guide ball formed in a ball shape and moving the slider along the horizontal rail and the vertical rail while forward or reverse rotation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rail and the vertical rail.
  5. 제 2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2,
    상기 쿠션이동부재는,The cushion moving member,
    상기 롤러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면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롤러브레이크를 더 포함하는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And a roller brake that selectively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roller and selectively allows movement of the slider.
  6.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롤러브레이크는,The roller brake,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상기 롤러의 일부분에 걸리면서 상기 롤러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바닥 고정식 롤링 필로우.A floor-mounted rolling pillow comprising a pressing protrusion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to prevent the roller from rotating arbitrarily while being caught by a portion of the roller by the user.
PCT/KR2019/013498 2018-10-17 2019-10-15 Bottom-fixed type rolling pillow WO2020080789A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78,387 US20210353081A1 (en) 2018-10-17 2019-10-15 Bottom-fixed type rolling pillow
CN201980066037.5A CN112822963A (en) 2018-10-17 2019-10-15 Floor fixed type rolling pil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499 2018-10-17
KR1020180123499A KR102075845B1 (en) 2018-10-17 2018-10-17 Rolling pillow with fixed on bottom ty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80789A1 true WO2020080789A1 (en) 2020-04-23

Family

ID=69627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3498 WO2020080789A1 (en) 2018-10-17 2019-10-15 Bottom-fixed type rolling pillow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353081A1 (en)
KR (1) KR102075845B1 (en)
CN (1) CN112822963A (en)
WO (1) WO202008078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66010S1 (en) * 2021-05-20 2022-10-11 Oleksandr Volodymyrovych Nevalidov Orthopedic pillow for sleeping
USD992308S1 (en) * 2022-01-19 2023-07-18 Ryan Lee Pillow with rod-shaped insert
KR102451173B1 (en) * 2022-02-07 2022-10-06 박우진 Pillow type neck retractor with neck support pa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482B1 (en) * 2014-04-07 2015-10-15 신준식 Functional pillow
KR101684211B1 (en) * 2016-01-20 2016-12-07 안준용 pillow for sound sleep
US20170112302A1 (en) * 2015-10-26 2017-04-27 Ellen Taurins Pillow System for Good Health and Sleep
KR200483469Y1 (en) * 2016-03-11 2017-06-08 천영호 Pillow
KR20170068880A (en) * 2015-12-10 2017-06-20 현재훈 Pillow for preventing positional deformity of hea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9613B2 (en) * 2003-11-25 2006-08-15 Jeffrey R Cohen Flexing head support suspension system
KR200393865Y1 (en) * 2005-06-08 2005-08-25 조천오 Pillow for baby
CN201185805Y (en) * 2008-04-18 2009-01-28 何小可 Follow-up pillow
US20100229306A1 (en) * 2009-03-11 2010-09-16 Ralph F. Reeder, Inc. Infant Head Cradle
CN201538350U (en) * 2009-06-06 2010-08-04 单云祥 Adjustable bearing and braking device for chair wheel
KR200469632Y1 (en) 2013-07-18 2013-10-28 박웅식 Pillow for correcting sleep posture
CN108577412A (en) * 2018-03-20 2018-09-28 王立明 A kind of severe medical use nursing pillow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482B1 (en) * 2014-04-07 2015-10-15 신준식 Functional pillow
US20170112302A1 (en) * 2015-10-26 2017-04-27 Ellen Taurins Pillow System for Good Health and Sleep
KR20170068880A (en) * 2015-12-10 2017-06-20 현재훈 Pillow for preventing positional deformity of head
KR101684211B1 (en) * 2016-01-20 2016-12-07 안준용 pillow for sound sleep
KR200483469Y1 (en) * 2016-03-11 2017-06-08 천영호 Pill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845B1 (en) 2020-02-10
US20210353081A1 (en) 2021-11-18
CN112822963A (en)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80789A1 (en) Bottom-fixed type rolling pillow
US5448790A (en) Selectively arrangeable cushion assembly
WO2015178686A1 (en) Functional pillow
WO2016153225A2 (en) Functional sleeping gear for correction of posture
WO2015119403A1 (en) Health pillow capable of body type correction
WO2017010727A1 (en) Bed mattress assembly having spine correction function
WO2022197014A1 (en) Functional chair adjustable according to individual body shape
WO2019160258A1 (en) Sport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cervical vertebrae
WO2019088663A1 (en)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WO2023182797A1 (en) Posture correction and waist traction functional chair
US6868565B2 (en) Bed including user adaptable support structure
US20030014818A1 (en) Orthopedic body segment support
WO2021215760A1 (en) Height-adjustable and angle-adjustable pillow
WO2023022426A1 (en) Functional pillow
WO2019135607A1 (en) Functional pillow
WO2016010281A2 (en) Multifunctional pillow
WO2010123234A2 (en) Roller-type seat board and functional chair using same
WO2017073980A1 (en) Axilla support for protecting lumbar spine and preventing varicose veins
CN212973316U (en) Nephrology department is with multi-functional nursing bed
WO2020122305A1 (en) Coupling-type functional pillow
WO2009131360A2 (en) Chair for correcting posture
CN113081677A (en) Nursing device for rehabilitation training
WO2021225337A1 (en) Stretching backrest
WO2021149999A1 (en) Electronic device holder
WO2016039567A1 (en) Massage back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732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26.08.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732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