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80579A1 - 경사 방향에 따라 유체의 흐름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 - Google Patents

경사 방향에 따라 유체의 흐름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80579A1
WO2020080579A1 PCT/KR2018/012396 KR2018012396W WO2020080579A1 WO 2020080579 A1 WO2020080579 A1 WO 2020080579A1 KR 2018012396 W KR2018012396 W KR 2018012396W WO 2020080579 A1 WO2020080579 A1 WO 202008057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opening
fluid
valve
valve body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239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현대강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강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강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008057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805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25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being operated by particular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209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the valve having a particular passage, e.g. provided with a filter, throttle or safety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281Guillotine or blade-type valves, e.g. no passage through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lve capable of controlling the flow direction of a fluid flowing therein,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lve configured to allow fluid to flow only from a high place to a low place according to an inclined direction of the valve.
  • valve basically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luid.
  •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6-0051801 filed by the applicant a valve is proposed that is applied to the inside of a shoe sole to control the flow of fluid in only one direction.
  • various types of valves have been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lve capable of allowing the flow of fluid only in one direction from a high position to a low position depending on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valv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lve that allows only one-way flow from a high position to a low position, while the connection between the valve body and the fluid casing is the simplest.
  •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form a space through which the fluid can flow, the valve body having a first inlet and a second inlet on each side; A first partition wall and a second partition wall which are installed inside the valve bodies adjacent to the first entrance and the second entrance and form inner passages on each inner side, and a through hole connecting the inner passage and the outside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It is supported on the out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bulkheads, respectively, to open and close the through-holes by vertical movements of the first and second bulkheads, and the first and second bulkheads by the force of the fluid exiting the through-holes in the inner passage.
  • a first opening / closing slider and a second opening / closing slider spaced apart from the partition wall and allowing fluid to pass therethrough; And it moves to a low place by the inclination of the valve body, it is composed of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hrough hole by contacting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slider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slider.
  • valve body to form a space through which the fluid can flow, and having first to fourth outlets on both sides, respectively;
  • a first partition wall to a fourth partition wall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valve bodies adjacent to the first to fourth entrances to form internal passages inside each other, and having a through hole connecting the internal passage and the exterior at the lower end; Support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outside of the first to fourth bulkheads, the first and second bulkheads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bulkheads, and the first bulkhead is driven by the force of the fluid exiting the through-holes in the inner passage.
  • the roller member moves to a lower portion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valve body, and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each opening / closing slider and contacts the roller member. It is composed of an interlocking portion having an ascending bottom surface.
  • each partition wall is preferably installed to have a high inclination toward the center from the inside of the valve body.
  • the roller portion is composed of a pair
  • the roller member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pair of roller portions.
  • the linking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 is also composed of a pair corresponding to the roller portion.
  •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outlet are respectively connected through a connecting portion, and ar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irst fluid casing and a second fluid casing containing a fluid.
  • the valve when the valve is inclined, it is always possible to flow the fluid only from a high place to a low place.
  • the flow direction control of the fluid can be said to be convenient, for example, by moving the fluid from a high position fluid casing to a low position fluid casing in an inclined state.
  • connection between the valve body and the fluid casing storing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valve body can be connected at the shortest distance. It can be seen that the advantage of this configuration is that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valve may be simplified, and on the basis of this, there is a practical advantage that can be sufficiently implemented even in a space-constrained location.
  • FIG.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ined.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r B-B in FIG. 4;
  • Figure 6 is a front view of the roller portion of the roller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longitudinal section of a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in a perspective view form a detailed view of a configuration inside a valve body of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stant internal space, and among these internal spaces, a valve body 10 having an internal passage P through which fluid can flow, , A pair of fluid casings (Ca, Cb) connected to the valve body 10 through connection parts 12a and 12b and containing fluid, respectively.
  • the connecting portions 12a and 12b are for connecting the fluid casing with the inside of the valve body 10.
  • the portion connecting the valve body 10 and the connecting portions 12a and 12b may be substantially referred to as the outlets 14a and 14b through which the fluid enters and exits the valve body 10.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inner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s 12a and 12b can actually be referred to as the doorway of the valve body, which ultimately means that the connecting portion has the same meaning as the doorway or the doorway forms part of the connection part. . This is the same in the description of all the embodiments below.
  • each fluid casing (Ca, Cb)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with the shortest path to the connection portion (12a, 12b) of the nearest valve body (10).
  • the pair of partition walls 20a and 20b are installed as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high inclination toward the center, so that when a pair is combined, it has a hat shape, and the through holes 22aa and 22ba are partition walls ( 20a, 20b).
  • the partition walls 20a and 20b are for forming an inner passage P through which fluid can flow in the lower portion and the inside of the valve body 10, the left and right ends of which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alve body 10. Is tight. And the partition wall (20a, 20b) can only flow through the through holes (22aa, 22ba)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longitudinal).
  • the inner passage P means a space or passage through which fluid formed by the partition walls 20a and 20b can flow, for example, the right side (center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20a. It means the left (center side) space (passageway) of the partition wall 20b.
  •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s 30a and 30b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hrough holes 22aa and 22ba of the partition walls 20a and 20b are slid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utside) of the partition walls 20a and 20b.
  •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s 30a and 30b are basically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through holes 22aa and 22ba, and are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s 20a and 20b, and at the same time spaced apart from the partition walls 20a and 20b. To be installed.
  •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s (30a, 30b) are guided or supported so as to be slidable along the partition walls (20a, 20b), or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s (30a, 30b) are within the range of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artition walls (20a, 20b)
  • a separate guide structure or guide element that guides or supports to be spaced apart.
  •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s 30a and 30b ar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hrough holes 22aa and 22ba, and the fluid passing holes 22aa and 22ba allow fluid to flow from the outside of each partition 20a and 20b to the inner passage P. Opening is made by interlocking action with a pair of roller members 40a and 40b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that is heavier than the fluid.
  •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s 30a and 30b are provided with protruding linkage parts 32a and 32b having bottom surfaces 32aa and 32ba contacting the roller members 40a and 40b. It is natural that the interlocking parts 32a and 32b should b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 to be interlocked with the roller member.
  • the roller member (40a, 40b) and the through hole (22aa, 22ba) are arranged not to overlap each other.
  • the roller members 40a and 40b have a pair of roller portions 40r disposed at both ends, and it is preferable to arrange such roller portions 40r so as not to block the through holes 22aa and 22ba.
  • the interlocking portions 32a and 32b in contact with the pair of roller portions 40r also need to be molded at both ends of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s 30a and 30b.
  • roller members 40a and 40b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portion 40c, and are designed to be disposed at the left and right end portions inside the valve body 10.
  • the roller members 40a and 40b roll or slid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alve body 10 in response to the inclination of the valve body 10, so that the roller members 40a and 40b ar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s of the linkage parts 32a and 32b of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s 30a and 30b. It is sufficient if it is possible to push the opening / closing sliders 30a and 30b along the upper surfaces of the partition walls 30a and 30b while applying force while contacting them.
  • the roller members 40a and 40b may be composed of only a pair of roller parts 40r or one roller rib 40r.
  • the roller member is installed in the middle part so as to be configured to move left and right.
  • the linkages 32a and 32b of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s 30a and 30b should also be installed as one in the central portion.
  • the roller portion 40r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oller member 40 is composed of one each, and such one roller portion 40r rolls or opens and close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alve body 10 The operation of raising (30a, 30b) is performed.
  • the roller portion 40r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a first roller portion rolling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valve body 10 and a roller portion that lifts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s 30a and 30b.
  • each roller portion should be configured to mov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roller portion 40r of the roller members 40a and 40b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alve body 10 it may be possible to form a rail-shaped guide projecting upward, for example in FIG.
  • the guide G as illustrated can be installed.
  • the guide for guiding the accurate movement of the roller member or the roller part may be configured as a guide groove configured in a groove shape.
  • the roller members 40a and 40b may be mov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valve body 10 so that the roller parts 40r and the connecting parts 40c can be independently moved, so that the roller parts 40a and 40b can move independently. It is thought to be helpful in minimizing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part in contact with it.
  • both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s 30a and 30b on both sides ar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valve body 10 as they are in contact with the partition walls 20a and 20b. Therefore, the through holes 22aa and 22ba of the partition walls 20a and 20b are block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s 30a and 30b.
  • the fluid cannot pass through the inner passage P from the outside of the partition walls 20a and 20b in which the respective passing holes 22aa and 22ba are formed, in a certain direction in the horizontal state of the valve body 10 Even fluid flow is not allowed.
  •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side (right side) having an inclination as high as a certain angle ⁇ .
  • the second roller member 40b on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moves to the lower side by its own weight. This movement of the second roller member 40b will push up the bottom surface 32ba of the linkage portion 32b of the second opening / closing slider 30b.
  • the second opening / closing slider 30b is sli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20b, the second passage hole 22ba blocked by the second opening / closing slider 30b is opened.
  • the fluid flows from the outside to the inner passage P.
  • the fluid of the second fluid casing (Cb) by the external force enters the interior of the valve body 10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b)
  •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2ba) to the internal passage
  • the force that the fluid moves from the second fluid casing (Cb) to the inside of the valve body (10) is a separate thing, for example, the force of pressing the second fluid casing (Cb) or a pump using electricity, etc. You can.
  • the first roller member 40a is fixed to the lower leftmost part of the drawing by the inclination of the valve body 10.
  • the fluid flowing into the inner passage P of the valve body 10 exits the outer passage P through the through hole 22aa of the first partition 20a.
  • the force of the fluid exit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2aa pushes the first opening / closing slide 30a to slightly space it from the first partition wall 20a to creat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luid can move.
  • the fluid exiting the through hole 20aa of the first partition wall 20a enters the first fluid casing Ca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2a.
  • the first opening / closing slider 30a is rather the first passing hole ( Since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partition wall 20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22aa), the flow of fluid from the first fluid casing Ca to the inner passage P is regulated.
  • valve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llow fluid flow from a high position to a low position.
  • fluid flows from the first fluid casing (Ca) to the second fluid casing (Cb) through the inner passage (P) of the valve body (10). It can flow, and the flow of fluid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regulated.
  •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er specific gravity than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valve body, so if there is no external force, it descends to close the through hole. And by the inclination of the valve body, the roller portion of the roller member raises the bottom surface of the linkage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 thereby opening and closing the through hole.
  • the force of the roller member moving by the inclination must act as a force capable of raising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 which is based on the difference in weight.
  • FIGS. 4 and 5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S. 4 and 5 will be described. Whil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as for a valve having a pair of fluid casings, this embodiment is for two pairs of fluid casings, that is, a valve having a plurality of fluid inlets (connections) over a pair. You can.
  • the two valve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3 are configured to intersect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4 and 5, preferably, four fluid casings (Ca, Cb, Cc, Cd) arranged at equal intervals through four connecting parts 112a, 112b, 112c, 112d, the valve body ( 10).
  • the connection parts 112a, 112b, 112c, and 112d may be referred to as an entrance through which the fluid enters and exits the valve body 110.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r line B-B in FIG. 4.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valv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has a symmetrical structure with respect to both the x-axis and the y-axi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structure shown in FIG. 5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FIG. 1. That is, FIG. 5 is the same as in FIG. 1 except that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 Passing holes 122aa and 122ba are formed in the pair of partition walls 120a and 120b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artition walls and the through holes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described above. Further, opening and closing sliders 130a and 130b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hrough holes 122aa and 122ba of the partition walls 120a and 120b are slid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partition walls 120a and 120b.
  •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s 130a and 130b are installed to be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s 120a and 120b an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artition walls 120a and 120b at the same time.
  •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s 130a and 130b are provided with protruding linkage portions 132a and 132b having bottom surfaces 132aa and 132ba in contact with the roller members 140a and 140b.
  • the configuration of the roller member (140a, 140b) itself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the roller member (140a, 140b) by opening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s (130a, 130b) through holes (122aa, 122ba) is opened from above As described.
  • fluid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valve body 110 from the connection parts 112a, 112b, 112c, and 112d at high positions according to the inclined direction, and the fluid can be discharged to the connection part at the lower part.
  • Each of the partition walls 20b,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s 30b, and the roller member 40b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3 are in the same state. That is,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s 130a and 130c are raised by the roller members 140a and 140c, and the first through holes 122aa and the third through holes 122ca are opened.
  • each fluid casing (Ca, Cb, Cc, C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valve body 110 through the shortest connecting portion (112a, 112b, 112c, 112d). Therefore,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fluid to flow only from the high fluid casing (Ca, Cc) to the low fluid casing (Cb, Cd).
  • the other part of the valve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inclination in which the connection part is in a high state,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aid that it is natural that the fluid can flow from a high place to a low direction.
  • valve body and the fluid casing can be connected by the simplest path, and the basic technical idea is to configure the fluid to flow only from the high part to the low part in the inclined state.
  • the partition wall may be defined to be formed so as to substantially flow the fluid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inner passage (for the central portion of the valve body).
  • the opening / closing slider has a basic func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through-hole by the relative motion with the partition wall. The movement of the fluid from each partition to the inside is made by opening the through hole by opening and closing the slider. And it is explained that the movement of the flui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each partition is made by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s being separated from the partition by a certain distance by the force of the moving fluid.
  • the partition wall can be variously modified in its shape within the category having the above func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luid.
  • the partition wall can be variously modified in its shape within the category having the above func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luid.
  • it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s having a high inclination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valve body, but it is obvious that it cannot be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possible to be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and there are many modifications to its shape. I think it is possible.
  •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of passing a fluid by opening and closing a through hole of a partition wall and a function of passing a fluid by being slightly spaced from the partition wall,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range. For example, it is expected that many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relative structure of raising and closing the sliding slider.
  • the opening / closing slider is configured to rise by raising the interlocking portion by movement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roller member, but it is consider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n this regard.
  • the roller member is composed of a pair of roller parts connected by a connecting part.
  • the roller member is expected to be sufficiently operable with only one pair or one roller portion. In this case, it is natural that the position of the linkage portion of the opening / closing slider should be designed to interlock with one roller.
  • the roller portion 40r of this embodiment is composed of a large diameter portion (40ra, 40rb) on both sides of a large diameter and a connection portion (40rc) connecting the large diameter portion (40ra, 40rb).
  • the connecting portion 40rc is configured to rotate independently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s 40ra and 40rb.
  • the large diameter portions 40ra and 40rb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valve body to roll or slide, and the connection portion 40rc contacts the linkage portions 32aa and 32ba of the opening and closing slider. Therefore, the roller portion 40r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expected to be able to efficiently lift and open the slider through the linkage portion, such as the most smooth and stable movement po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 방향에 따라서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만 유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밸브는,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양측에 제1출입구(14a) 및 제2출입구(14b)를 각각 구비하는 밸브바디(10)와; 상기 제1출입구 및 제2출입구와 근접한 밸브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각의 내측에 내부통로(P)를 형성하며, 내부통로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과공(22aa,22ba)이 하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1격벽(20a) 및 제2격벽(20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격벽 및 제2격벽의 외측에 각각 접촉상태로 지지되어 상하운동에 의하여 통과공을 개폐하고, 내부통로에서 통과공을 나가는 유체의 힘에 의하여 제1격벽 및 제2격벽에서 이격되어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제1개폐슬라이더(30a) 및 제2개폐슬라이더(30b) 및 밸브바디의 경사에 의하여 낮은 곳으로 이동하고, 제1개폐슬라이더 및 제2개폐슬라이더와 접촉하여 이를 상승시켜 통과공을 개폐하는 롤러부재(40a,40b)도 포함한다.

Description

경사 방향에 따라 유체의 흐름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
본 발명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의 경사 방향에 따라서 유체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밸브는 기본적으로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6-0051801호에는, 신발 밑창의 내부에 적용되어 유체의 흐름을 일방향으로만 제어할 수 있는 밸브가 제안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선행 특허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밸브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 기술에 의하면, 밸브바디의 경사 방향에 따라서,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유체의 일방향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유체케이싱과 밸브바디의 연결 부분이 다소 복잡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전체적인 밸브 어셈블리의 구성이 복잡하게 된다는 것은, 공간적인 제약이 있는 장소(예를 들면 신발 밑창)에 실시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의 경사 방향에 따라서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를 향하는 일방향으로만 유체의 흐름을 허용할 수 있는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밸브바디와 유체케이싱의 연결이 가장 단순하면서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를 향하는 일방향의 흐름만 허용하는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밸브는,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양측에 제1출입구 및 제2출입구를 각각 구비하는 밸브바디; 상기 제1출입구 및 제2출입구와 근접한 밸브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각의 내측에 내부통로를 형성하며, 내부통로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과공이 하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1격벽 및 제2격벽; 제1격벽 및 제2격벽의 외측에 각각 지지되어 제1격벽 및 제2격벽에 대한 상하운동에 의하여 통과공을 개폐하고, 내부통로에서 통과공을 나가는 유체의 힘에 의하여 제1격벽 및 제2격벽에서 이격되어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제1개폐슬라이더 및 제2개폐슬라이더; 그리고 밸브바디의 경사에 의하여 낮은 곳으로 이동하고, 제1개폐슬라이더 및 제2개폐슬라이더와 접촉하여 이를 상승시켜 통과공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밸브는,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양측에 제1출입구 내지 제4출입구를 각각 구비하는 밸브바디; 상기 제1출입구 내지 제4출입구와 근접한 밸브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각의 내측에 내부통로를 형성하며, 내부통로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과공이 하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1격벽 내지 제4격벽; 제1격벽 내지 제4격벽의 외측에 각각 접촉상태로 지지되고 제1격벽 및 제2격벽에 대한 상하운동에 의하여 통과공을 개폐하고, 내부통로에서 통과공을 나가는 유체의 힘에 의하여 제1격벽 내지 제4격벽에서 이격되어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제1개폐슬라이더 내지 제4개폐슬라이더; 그리고 밸브바디의 경사에 의하여 낮은 곳으로 이동하고, 제1개폐슬라이더 내지 제4개폐슬라이더와 접촉하여 이를 상승시켜 통과공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밸브에서, 상술한 개폐수단에 대한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하면, 밸브바디의 경사에 따라 낮은 부분으로 이동하는 롤러부재와, 각각의 개폐슬라이더의 외측에 구비되고 롤러부재와 접촉하여 상승하는 저면을 가지는 연동부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각각의 격벽은 밸브바디의 내측에서 중심을 향하여 높은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롤러부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롤러부재는 한 쌍의 롤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개폐슬라이더의 연동부도 롤러부에 대응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제1출입구 및 제2출입구와 각각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되고, 유체를 내장하고 있는 제1유체케이싱 및 제2유체케이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가 경사지게 되면 항상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만 유체가 흐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유체의 흐름 방향 제어는, 예를 들면 경사진 상태에서 높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에서 낮은 곳의 유체케이싱으로 유체를 이동시킴으로써, 방향성에 따른 유체의 일방향 제어가 편리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바디와, 밸브바디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를 저장하고 있는 유체케이싱과의 연결이 최단거리로 연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상의 잇점은 궁극적으로는 전체적인 밸브의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을 것이고, 이에 기초하여 공간적으로 제약을 받는 장소에서도 충분히 구현될 수 있는 실용적인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밸브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밸브의 내부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 밸브가 경사진 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밸브의 다른 실시 예의 횡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 또는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롤러부재의 롤러부의 정면 예시도.
이하에서는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밸브의 종단면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밸브의 밸브바디 내부의 구성을 자세히 도시하기 위하여 사시도 형식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밸브는, 일정한 내부공간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내부공간 중에서도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내부통로(P)를 구비하고 있는 밸브바디(10)와, 상기 밸브바디(10)의 반대측에서 각각 연결부(12a,12b)를 통하여 연결되고 유체를 내장하고 있는 한 쌍의 유체케이싱(Ca,Cb)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연결부(12a,12b)는 밸브바디(10)의 내부와 유체케이싱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바디(10)와 연결부(12a,12b)를 연결하는 부분은 실질적으로 밸브바디(10)에서 유체가 출입하는 출입구(14a,14b)라고도 할 수 있다. 즉, 연결부(12a,12b)의 내측단부는 실제로 밸브바디의 출입구라고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는 궁극적으로 연결부는 출입구와 동등한 의미를 가지거나 출입구는 연결부의 일부를 형성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이는 이하 모든 실시 예의 설명에서도 동일하다.
본 발명의 밸브바디(10)는, 도면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면, 높은 곳(예를 들면 밸브바디의 우측)에서 낮은 곳(예를 들면 밸브바디의 좌측)으로만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제어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밸브바디(10)의 경사에 따라서, 밸브바디(10)의 내부에서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만 유체가 흐를 수 있게 제어되어, 궁극적으로 높은 위치의 유체케이싱(Cb)에서 낮은 위치의 유체케이싱(Ca)으로만 유체가 흐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밸브 자체의 구성을 더욱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유체케이싱(Ca,Cb)은 가장 근접한 밸브바디(10)의 연결부(12a,12b)와 최단경로를 가지고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밸브바디(10) 내부에는, 유체가 흐르는 내부통로(P)를 형성하면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통과공(22aa,22ba)이 각각 성형되어 있는 한 쌍의 격벽(20a,20b)이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한 쌍의 격벽(20a,20b)은 중심을 향하여 높은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한 쌍을 결합하면 삿갓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통과공(22aa,22ba)은 격벽(20a,20b)의 하단부에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격벽(20a,20b)은, 그 하부와 밸브바디(10)의 내부에서 유체가 흐를 수 있는 내부통로(P)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그 좌우 단부는 밸브바디(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있다. 그리고 격벽(20a,20b)은 그 통과공(22aa,22ba)을 통해서만 좌우 방향(길이 방향)으로 유체가 흐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내부통로(P)는 격벽(20a,20b)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공간 또는 통로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제1격벽(20a)의 우측(중심측) 및 제2격벽(20b)의 좌측(중심측) 공간(통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격벽(20a,20b)의 통과공(22aa,22ba)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슬라이더(30a,30b)가 상기 격벽(20a,20b)의 상면(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개폐슬라이더(30a,30b)는, 기본적으로 상기 통과공(22aa,22ba)을 개폐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격벽(20a,20b)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함과 동시에 격벽(20a,20b)와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개폐슬라이더(30a,30b)가 격벽(20a,20b)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내 또는 지지하거나, 개폐슬라이더(30a,30b)가 격벽(20a,20b)에서 일정 간격의 범위 내에서 이격될 수 있도록 안내 또는 지지하는 별도의 가이드구조물 또는 가이드 요소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개폐슬라이더(30a,30b)는 통과공(22aa,22ba)을 개폐하기 위한 것인데, 각 격벽(20a,20b)의 외측에서 내부통로(P)로 유체가 흐르도록 유체 통과공(22aa,22ba)을 여는 것은, 유체보다 무거운 비중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되는 한 쌍의 롤러부재(40a,40b)와의 연동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개폐슬라이더(30a,30b)는, 롤러부재(40a,40b)와 접촉하는 저면(32aa,32ba)을 가지고 있는 돌출된 연동부(32a,32b)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연동부(32a,32b)는 개폐슬라이더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어야, 롤러부재와 연동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다.
도 2에 도시한 실시 예를 같이 참고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롤러부재(40a,40b)와 통과공(22aa,22ba)은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면 롤러부재(40a,40b)는 양측 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부(40r)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롤러부(40r)는 통과공(22aa,22ba)을 막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한 쌍의 롤러부(40r)가 접촉하는 연동부(32a,32b)도 개폐슬라이더(30a,30b)의 양측 단부에 성형해야 한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롤러부재(40a,40b)는 연결부(40c)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어서, 밸브바디(10) 내부에서 좌우측단부에 배치되도록 설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롤러부재(40a,40b)는 밸브바디(10)의 경사에 반응하여 밸브바디(10)의 저면에서 구르거나 슬라이딩하여, 개폐슬라이더(30a,30b)의 연동부(32a,32b)의 저면에 접촉하면서 힘을 가하여, 개폐슬라이더(30a,30b)를 격벽(30a,30b)의 상면을 따라 밀어 올릴 수 있으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롤러부재(40a,40b)를 한 쌍의 롤러부(40r) 또는 하나의 롤러브(40r)로만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롤러부재는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개폐슬라이더(30a,30b)의 연동부(32a,32b)도 중앙부분에 하나로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롤러부재에 의한 유체의 이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통과공(22aa,22ba)은 롤러부재가 위치하는 부분인 중앙부분을 제외하고 양측에 2개소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 예에서, 롤러부재(40)의 양단에 구비되는 롤러부(40r)는 각각 하나로 구성되고 있고, 이러한 하나의 롤러부(40r)는 밸브바디(10)의 저면에서 구르거나 개폐슬라이더(30a,30b)를 상승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여기서 롤러부(40r)에 대한 다른 실시 예로서, 밸브바디(10)의 저면을 따르 구르는 제1롤러부와, 개폐슬라이더(30a,30b)를 상승시키는 롤러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롤러부로 구성할 때, 각각의 롤러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롤러부재(40a,40b)의 롤러부(40r)를 밸브바디(10)의 저면상에서 보다 정확하게 이동하기 위하여, 상방으로 돌출한 레일 형태의 가이드를 성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인데, 예를 들면 도 4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가이드(G)를 설치할 수 있다. 또는 롤러부재 또는 롤러부의 정확한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는, 홈형태로 구성되는 가이드홈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롤러부(40r)와 연결부(40c)를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도, 밸브바디(10)의 경사에 따라서 롤러부재(40a,40b)가 이동할 때, 그것과 접촉하는 부분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밸브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수평 상태에서는 양측의 개폐슬라이더(30a,30b)가 모두 격벽(20a,20b)에 접촉됨과 같이 밸브바디(10)의 저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격벽(20a,20b)의 통과공(22aa,22ba)이 개폐슬라이더(30a,30b)에 의하여 막혀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각각의 통과공(22aa,22ba)이 성형된 격벽(20a,20b)의 외측에서 내부통로(P)로 유체가 통과할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밸브바디(10)의 수평상태에서는 어느 방향으로도 유체의 흐름이 허용되지 않는 상태이다.
그리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밸브가 일측(우측)이 어느 정도의 각도(α)만큼 높은 경사를 가지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사 상태가 되면, 도면 상 우측의 제2롤러부재(40b)가 자중에 의하여 낮은 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제2롤러부재(40b)의 이와 같은 움직임은, 제2개폐슬라이더(30b)의 연동부(32b)의 저면(32ba)을 밀어올리게 될 것이다. 제2개폐슬라이더(30b)가 제2격벽(20b)의 상면에서 위로 슬라이딩되면, 제2개폐슬라이더(30b)에 의하여 막혀 있던 제2통과공(22ba)이 열린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제2격벽(20b)의 상태를 보면, 외측에서 내부통로(P)로 유체의 흐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제2유체케이싱(Cb)의 유체가 제2연결부(12b)를 통하여 밸브바디(10)의 내부로 들어 오면, 이러한 유체는 통과공(22ba)를 통과하여 내부통로(P)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2유체케이싱(Cb)에서 밸브바디(10)의 내부로 유체가 이동하는 힘은 별개의 것인데, 예를 들면 제2유체케이싱(Cb)를 누르는 힘 또는 전기를 이용한 펌프 등의 힘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롤러부재(40a)는 밸브바디(10)의 경사에 의하여 도면 상 좌측 최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밸브바디(10)의 내부통로(P)로 유입된 유체는, 제1격벽(20a)의 통과공(22aa)을 통하여 내부통로(P)의 외측으로 나가게 된다. 상기 통과공(22aa)을 통하여 나가는 유체의 힘은 제1개폐슬라이드(30a)를 밀어서 제1격벽(20a)에서 약간 이격시켜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게 된다.
이와 같이 제1격벽(20a)의 통과공(20aa)을 나온 유체는 제1연결부(12a)를 통하여 제1유체케이싱(Ca)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1유체케이싱(Ca)의 유체가 제1연결부(12a)를 통하여 유입되어 제1개폐슬라이더(30a)를 가압하게 되더라도, 제1개폐슬라이더(30a)는 오히려 제1통과공(22a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1격벽(20a)에 밀착되기 때문에 제1유체케이싱(Ca)에서 내부통로(P)로 유체의 흐름은 규제되는 상태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밸브바디(10)는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유체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도 3과는 반대로 밸브바디(10)의 좌측이 높은 상태가 되면, 제1유체케이싱(Ca)에서 밸브바디(10)의 내부통로(P)를 거쳐 제2유체케이싱(Cb)으로 유체가 흐를 수 있고, 그 반대 방향의 유체의 흐름은 규제된다.
밸브바디(10) 내부의 구성을 정리하면, 본 발명에서의 개폐슬라이더는 밸브바디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보다 높은 비중을 가지고 있어서 외력이 없으면 하강하여 통과공을 닫고 있다. 그리고 밸브바디의 경사에 의하여 롤러부재의 롤러부가 개폐슬라이더의 연동부의 저면을 상승시키는 것에 의하여, 개폐슬라이더는 통과공을 열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서는 경사에 의하여 이동하는 롤러부재의 힘이, 개폐슬라이더를 상승시킬 수 있는 힘으로 작용하여야 할 것이고, 이는 무게의 차이에 의한 것을 기초로 하고 있다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는 한 쌍의 유체케이싱을 가지고 있는 밸브에 대한 것이었음에 비하여, 본 실시 예는 두 쌍의 유체케이싱, 즉 한 쌍을 넘는 다수의 유체 출입구(연결부)를 가지는 밸브에 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실시 예의 밸브 두 개를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기로는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4개의 유체케이싱(Ca,Cb,Cc,Cd)이 4개의 연결부(112a,112b,112c,112d)를 통하여 밸브바디(10)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12a,112b,112c,112d)는 실질적으로 밸브바디(110)에서 유체가 출입하는 출입구라고 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또는 B-B선 단면도이다. 즉, 도 5에 도시한 실시 예의 밸브는 x축 및 y축에 대하여 모두 대칭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구조는 실질적으로 도 1과 동일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5는 도 1에서 제1격벽과 제2격벽이 일정 간격 이격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본 실시 예의 밸브바디(110) 내부 구조를 도 5에 기초하여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한 쌍의 격벽(120a,120b)에는, 통과공(122aa,122ba)이 각각 성형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격벽 및 통과공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격벽(120a,120b)의 통과공(122aa,122ba)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슬라이더(130a,130b)가 격벽(120a,120b)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개폐슬라이더(130a,130b)는, 격벽(120a,120b)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함과 동시에 격벽(120a,120b)와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개폐슬라이더(130a,130b)는, 롤러부재(140a,140b)와 접촉하는 저면(132aa,132ba)을 가지고 있는 돌출된 연동부(132a,132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롤러부재(140a,140b) 자체의 구성도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고, 롤러부재(140a,140b)가 상기 개폐슬라이더(130a,130b)를 들어올림으로써 통과공(122aa,122ba)이 열리게 되는 것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경사 방향에 따라서 높은 위치에 있는 연결부(112a,112b,112c,112d)에서 밸브바디(110)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게 되고, 낮은 부분에 있는 연결부로 유체가 나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제1유체케이싱(Ca)와 제1연결부(112a) 및 제3유체케이싱(Cc)와 제3연결부(112c)가, 제2유체케이싱(Cb)와 제2연결부(112b) 및 제4유체케이싱(Cd)와 제4연결부(112d)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사 방향을 가지게 되면, 제1연결부(112a)와 제3연결부(112c), 그리고 그것과 인접한 격벽(120a,120c), 개폐슬라이더(130a,130c), 그리고 롤러부재(140a,140c)는, 각각 도 3의 우측에 도시한 격벽(20b), 개폐슬라이더(30b), 그리고 롤러부재(40b)와 같은 상태로 된다. 즉 롤러부재(140a,140c)에 의하여 개폐슬라이더(130a,130c)가 상승하여 제1통과공(122aa) 및 제3통과공(122ca)이 열리게 된다.
그리고 제2연결부(112b)와 제4연결부(112d), 그리고 그것과 인접한 격벽(120b,120d), 개폐슬라이더(130b,130d), 그리고 롤러부재(140b,140d)는 각각 도 3의 좌측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내부통로(P)에서 제2통과공(122ba) 및 제4통과공(122da)을 통하여 유체의 압력이 작용하게 되어, 개폐슬라이더(130b,130d)가 열리게 된다. 따라서 제1통과공(122aa) 및 제3통과공(122ca)를 통하여 내부통로(P)로 들어온 유체는 제2통과공(122ba) 및 제4통과공(122da)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실시 예에 있어서도, 각각의 유체케이싱(Ca,Cb,Cc,Cd)은 가장 짧은 연결부(112a,112b,112c,112d)를 통하여 밸브바디(110)의 내부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밸브는, 유체가 높은 유체케이싱(Ca,Cc)에서 낮은 유체케이싱(Cb,Cd)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 예의 밸브에서 다른 일부의 연결부가 높은 상태가 되는 경사를 가지게 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높은 곳에서 낮은 방향으로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밸브바디와 유체케이싱을 가장 간단한 경로로 연결할 수 있고, 경사 상태에서 높은 부분에서 낮은 부분으로만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당연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 이외에 변형 가능한 다른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격벽은, 실질적으로 그 내측(밸브바디의 중심부분)으로 내부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하단부에 성형된 통과공을 통하여 유체를 흐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슬라이더는 이러한 격벽과의 상대 운동에 의하여 통과공을 개폐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격벽에서 외부에서 내부로의 유체 이동은 개폐슬라이더가 상승함으로써 통과공을 여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각의 격벽의 내부에서 외부로의 유체이동은 이동하는 유체의 힘에 의하여 개폐슬라이더가 격벽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격벽은 유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위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범주 내에서 그 형상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위에서 도시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밸브바디의 중심방향으로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될 수 없음은 자명하고, 예를 들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그 형상에 대해서는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개폐슬라이더는 격벽의 통과공을 개폐함으로써 유체를 통과시키는 기능 및 격벽에서 약간 이격됨으로써 유체를 통과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이와 같은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개폐슬라이더를 상승시키는 상대적인 구조에는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즉, 롤러부재와의 상대적인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롤러부재의 경사에 따른 이동에 의하여 연동부를 상승시킴으로써 개폐슬라이더가 상승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 부분과 관련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롤러부재는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롤러부로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롤러부재는 한 쌍 또는 하나의 롤러부만으로도 충분히 동작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술한 개폐슬라이더의 연동부의 위치에 대해서도 하나의 롤러와 연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함은 당연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롤러부에 대한 다른 실시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 예의 롤러부(40r)는, 지름이 큰 양측의 큰지름부분(40ra,40rb)과, 상기 큰지름부분(40ra,40rb)을 연결하는 연결부분(40rc)로 구성된다. 여기서 연결부분(40rc)은 큰지름부분(40ra,40rb)과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면, 큰지름부분(40ra,40rb)은 밸브바디의 바닥면에 접촉하여 구르거나 미끄러지고, 연결부분(40rc)은 개폐슬라이더의 연동부(32aa,32ba)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롤러부(40r)는 가장 원활하고 안정된 운동이 가능함과 같이 연동부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개폐슬라이더를 상승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6)

  1.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양측에 제1출입구 및 제2출입구를 각각 구비하는 밸브바디;
    제1출입구 및 제2출입구와 근접한 밸브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각의 내측에 내부통로를 형성하며, 내부통로와 연결되는 통과공이 하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1격벽 및 제2격벽;
    제1격벽 및 제2격벽의 외측에 각각 접촉상태로 지지되어 제1격벽 및 제2격벽에 대한 상하운동에 의하여 통과공을 개폐하고, 내부통로에서 통과공을 통하여 나가는 유체의 힘에 의하여 제1격벽 및 제2격벽에서 이격되어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제1개폐슬라이더 및 제2개폐슬라이더; 그리고
    밸브바디의 경사에 의하여 낮은 곳으로 이동하고, 제1개폐슬라이더 및 제2개폐슬라이더와 접촉하여 이를 상승시켜 통과공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으로 구성되는 밸브.
  2.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제1출입구 내지 제4출입구를 각각 구비하는 밸브바디;
    상기 제1출입구 내지 제4출입구와 근접한 밸브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각의 내측에 내부통로를 형성하며, 내부통로와 연결되는 통과공이 하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1격벽 내지 제4격벽;
    제1격벽 내지 제4격벽의 외측에 각각 접촉상태로 지지되어 제1격벽 및 제2격벽에 대한 상하운동에 의하여 통과공을 개폐하고, 내부통로에서 통과공을 나가는 유체의 힘에 의하여 제1격벽 내지 제4격벽에서 이격되어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제1개폐슬라이더 내지 제4개폐슬라이더; 그리고
    밸브바디의 경사에 의하여 낮은 곳으로 이동하고, 제1개폐슬라이더 내지 제4개폐슬라이더와 접촉하여 이를 상승시켜 통과공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으로 구성되는 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개폐수단은;
    밸브바디의 경사에 따라 낮은 부분으로 이동하는 롤러부를 구비하는 롤러부재와, 각각의 개폐슬라이더의 외측에 구비되고 롤러부와 접촉하여 상승하는 저면을 가지는 연동부로 구성되는 밸브.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격벽은 밸브바디의 내측에서 중심을 향하여 높은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밸브.
  5. 제 3 항에 있어서,
    롤러부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롤러부재는 한 쌍의 롤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개폐슬라이더의 연동부도 롤러부에 대응하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밸브.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출입구와 각각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되고, 유체를 내장하고 있는 유체케이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밸브.
PCT/KR2018/012396 2018-10-18 2018-10-19 경사 방향에 따라 유체의 흐름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 WO202008057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466 2018-10-18
KR1020180124466A KR101942502B1 (ko) 2018-10-18 2018-10-18 경사 방향에 따라 유체의 흐름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80579A1 true WO2020080579A1 (ko) 2020-04-23

Family

ID=6616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2396 WO2020080579A1 (ko) 2018-10-18 2018-10-19 경사 방향에 따라 유체의 흐름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42502B1 (ko)
WO (1) WO20200805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848B1 (ko) * 2019-10-15 2020-10-27 현대강전(주) 외부 압력이 있어도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만 유체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밸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0315A (ja) * 2001-04-17 2002-10-23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弁装置
KR101709666B1 (ko) * 2016-04-27 2017-02-23 김용수 경사도에 따라 부분적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 밑창
KR101709667B1 (ko) * 2016-05-18 2017-02-23 김용수 경사 방향에 따라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어셈블리
KR101865096B1 (ko) * 2017-09-13 2018-06-07 현대강전(주) 경사 방향에 따라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 어셈블리
KR20180065254A (ko) * 2016-12-07 2018-06-18 김용수 수평 상태 및 경사 방향에 따라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0315A (ja) * 2001-04-17 2002-10-23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弁装置
KR101709666B1 (ko) * 2016-04-27 2017-02-23 김용수 경사도에 따라 부분적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 밑창
KR101709667B1 (ko) * 2016-05-18 2017-02-23 김용수 경사 방향에 따라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어셈블리
KR20180065254A (ko) * 2016-12-07 2018-06-18 김용수 수평 상태 및 경사 방향에 따라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어셈블리
KR101865096B1 (ko) * 2017-09-13 2018-06-07 현대강전(주) 경사 방향에 따라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2502B1 (ko) 201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80580A1 (ko)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만 유체가 흐르는 밸브
WO2020080579A1 (ko) 경사 방향에 따라 유체의 흐름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
US7195515B2 (en) Wire harness leading-out structure
WO2013168943A1 (ko) 분리 착탈 가능한 세그먼트 구조의 도어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한 슬라이딩 창호 설치 구조
WO2017200127A1 (ko) 경사 방향에 따라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어셈블리
WO2019054533A1 (ko) 경사 방향에 따라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 어셈블리
WO2013015507A1 (ko) 자동문 및 반자동문용 창호 장치
SE8802736L (sv) Av polykarbonat framstaelld jalusi bestaaende av horisontella sektioner
WO2017086615A1 (ko) 배수구 형성용 지지부재를 구비한 유리난간대
WO2019189982A1 (ko) 다수의 출입구를 가지는 밸브 어셈블리
WO2017217679A1 (ko) 전동접이식 도어 시스템
ITMI942267A1 (it) Struttura modulare di supporto e guida di canne scorrevoli particolarmente per torrette di sommergibili.
KR20180065254A (ko) 수평 상태 및 경사 방향에 따라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어셈블리
WO2012002627A1 (ko) 수처리용 카트리지 유닛
WO2018105811A1 (ko) 경사 방향에 따라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어셈블리
WO2021075633A1 (ko) 외부 압력이 있어도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만 유체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밸브
WO2020067587A1 (ko) 컨트롤 밸브 장치
WO2016137073A1 (ko) 차등인양장치
WO2013025044A2 (ko) 창문용 추락방지 장치
JP2008156119A (ja) 少なくとも1つの乗り換え階を有する建物のエレベータ装置
WO2021141177A1 (ko) 이동 하중을 이용하는 밸브
WO2021054486A1 (ko) 산업용 자동문 장치
ITRM930627A1 (it) Dispositivo di supporto e di scorrimento di tende a due canali.
CN105133551B (zh) 固定卷扬式闸门启闭机钢丝绳绳槽封闭装置
US1275591A (en)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373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9373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