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55053A1 - 인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55053A1
WO2020055053A1 PCT/KR2019/011599 KR2019011599W WO2020055053A1 WO 2020055053 A1 WO2020055053 A1 WO 2020055053A1 KR 2019011599 W KR2019011599 W KR 2019011599W WO 2020055053 A1 WO2020055053 A1 WO 202005505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jog
wire rope
rail
withdrawal system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159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두면
김금규
Original Assignee
(주)세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고스 filed Critical (주)세고스
Publication of WO202005505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5505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8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87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47B2210/0037Roll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thdrawal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at least two slide rails having a fixed rail, an intermediate rail arranged to slide on the fixed rail, and a movable rail arranged to slide on the intermediate rail, and provided on both sides It relates to a withdrawal system including a synchronization means for synchronizing the motion of the slide rail.
  • a drawer assembly is installed in a mounting structure such as a refrigerator, a dishwasher, an oven, and a drawer to be able to withdraw and draw an object.
  • the drawer assembly is provided with a slide rail so that the drawer can be easily withdrawn from the mounting structure and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 the slide rail is provided with a rolling means in the form of a ball or roller, so that it can be moved more smoothly when sliding, and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 the slide rail is composed of a fixed rail fix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drawer installation space and one or more movable rails slid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fixed rail. Therefore, by sliding the moving rail with respect to the fixed rail, it is possible to easily draw and withdraw the drawer.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nely adjust the tension of the wire rope through the tension control jog, the tension of the slide rail is preferred regardless of the width dimension tolerance of the slide rail. It is to provide a withdrawal system having a synchronization means that can be synchronized.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 least two slide rails having a fixed rail, an intermediate rail arranged to be slidably moved on the fixed rail, and a movable rail arranged to be slidably moved on the intermediate rail, and It includes a synchronization means for synchronizing the movement of each of the moving rails, the synchronization means provides a withdrawal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wire rope.
  • it may be a withdraw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leev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wire rope.
  • the synchronization means may be a withdraw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roller assembly for guiding and deflecting the wire rope.
  • the roller assembly includes a housing, a pillar portion fixed to the housing, and a roller formed around the pillar portion and reducing frictional force of the wire rope by rotational movement. It can be a withdrawal system.
  • the synchronization means may be a withdraw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tension control jog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wire rope.
  • the tension control jog includes a lower jog and an upper jog engaged with the lower jog, and the upper jog is rotatable in one direction based on the lower jog and restrained in the other direction It can be a withdraw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piral meshing structure.
  • the tension control jog the tension of the wire rope is tightly adjusted as the upper jog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pulling the upper jo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lower jog causes the spiral meshing.
  • It may be a withdraw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the tension of the wire rope can be loosely adjusted while the structure is released.
  • the lower jog includes a fixing portion fixed to a slide rail and a first jo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first jog portion is formed with a stepped protrusion. It may be a withdrawal system.
  • the upper jog may include a second jog portion, and the second jog portion may be a withdraw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stepped locking portion is formed.
  • the stepped protrusion may be a withdraw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tep shape that is repeatedly connected in order of the first sliding portio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first flat portion.
  • the stepped locking portion may be a withdraw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tep shape that is repeatedly connected in order of the second sliding portion, the locking groove portion and the second flat portion.
  • the synchronization means includes a tension control jog, the tension of the wire rope can be easily adjusted to absorb the width dimensional tolerance.
  • the service life of the withdrawal system can be extended by restoring to the initially set tension through the tension control jog.
  • the slide rail is synchronized by a wire rope having a desirable tension, so that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motion between the slide rails on both sides can be reduced, and accordingly, smooth movement of the slide rail can be ensur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thdrawal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withdrawal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one side of the slide rail 100 and the synchronization mean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slide rail 100 and the synchronization mean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roller assembly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6A and 6B are perspective and side views, respectively, of the lower jog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A and 7B are perspective and side views, respectively, of an upper jog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8 (a) and 8 (b) are exploded views and a combined view of the tension control jog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FIG. 9 is a sid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combined tension control jog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A and 10B are use state diagrams showing operations when the tension control jog 250 is rotated and reversed,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thdrawal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ront view of a withdrawal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thdrawal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slide rails 100 and synchronization means 200 for synchronizing movement of the slide rails 100.
  • the slide rail 100 includes a fixed rail 110 fixed to a side wall of a mounting structure such as a drawer, dishwasher, and refrigerator, and a moving rail 130 provided to be slidable on the fixed rail 110. Therefore, the slide rail 100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moving rail 130 slides to one side or the other to draw and withdraw an object according to a user's need.
  • the slide rail 100 may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rail 120 provided to be slidable between the fixed rail 110 and the moving rail 130. More specifically, the intermediate rail 120 and the moving rail 130 are movable rails, the intermediate rail 120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fixed rail 110, and the moving rail 130 is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rail 120. ) Can be installed to be slidable.
  • the slide rail 100 can be used in various sized drawers.
  • a rolling means such as a ball or a roller is installed between the fixed rail 110, the intermediate rail 120 and the moving rail 130 to reduce friction between rails to form a smooth sliding movement.
  •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one side of the slide rail 100 and the synchronization mean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other side of the slide rail 100 and the synchroniza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00)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roller assembly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lide rail 100 may be provided with synchronization means 200 for synchronizing the movement of the slide rail 100.
  • the synchronization means 200 when the synchronization means 200 is mount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lide rail 100, when the one side slide rail 100 is open (open) operation, the other side slide rail 100 is also open operation, one side slide When the rail 100 is closed, the movement of the slide rail 100 is synchronized so that the other slide rail 100 is also closed.
  • the synchronization means 200 includes a wire rope 210, a roller assembly 220 and a tension control jog 250.
  • the wire rope 210 is used for the purpose of synchronization between the slide rails 100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can be mounted on the slide rails 100 in several steps. Further, the wire rope 210 may be formed of a cable such as a wire, but may also be formed of any other cable, band, or other deflectable element.
  • Sleeves 211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wire rope 210 to be retained in the retainer 111 and the tension control jog 250 formed on the slide rail 100. That is, the sleeve 211 allows the wire rope 210 to synchronize with the desired tension by fixing the wire rope 210 to the retainer 121 and the tension control jog 250 or the like.
  • the roller assembly 220 rotates around a housing 221 fixed to the moving rail 130, a pillar 222 fixed to the housing, and the pillar 222 It includes at least one roller 223 that is formed as possible.
  • the roller assembly 220 is formed in the rear region of the moving rail 130, is in contact with the wire rope 210, and serves to enable a smooth synchronization by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ller 223. .
  • the wire rope 210 passes through the slot 224 formed on the sidewall surface of the housing 221, and is deflected by the roller 223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21 to the other slide rail 100. Can be connected.
  • the wire rope 210 starts from the retainer 111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ixed rail 110 on one side, is deflected by the roller 223 formed on the rear of the moving rail 130, and then moves to the other. After being deflected again by the roller 223 formed at the rear of the 130, it is fixed to the tension control jog 250 formed at the front of the other fixing rail 110.
  • This structure is the same for the wire rope 210 starting from the retainer 111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other fixed rail 100.
  • FIGS. 6 (a) and (b) are perspective and side views, respectively, of the lower jog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7 (a) and (b) are respective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8 (a) and 8 (b) are exploded and combined views of the tension control jog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nsion control jog 250 is engaged with the lower jog 230 and the lower jog 230 fixed to the front of the fixed rail 110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wire rope 210 It includes an upper jog 240.
  • the tension control jog 250 is formed of a spiral engagement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jog 240 is rotatable in one direction and restrained in the other direction based on the fixed lower jog 230.
  • the tension of the wire rope 210 interlocked with the lower jog 230 and the upper jog 24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egree of 240, so that the slide rail 100 can be synchronized with a desired tension.
  • the lower jog 230 includes a fixed portion 231 fixed to the fixed rail 110 and a first jog portion 232 formed connected to the fixed portion 231.
  • the fixing part 231 may be fixed to the fixing rail 110 by welding or adhesive or mechanical fixing means, and one side of the fixing part 231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jog 240 to engage 1
  • the jog portion 232 may be formed.
  • the first jog portion 232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receiving portion 234 therein and open to one side, and a stepped protrusion 233 may b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jog portion 232. You can.
  • the first jog portion 232 when viewed from the side, is formed in a step shape that rises sequentially.
  • the stepped protrusion 233 may be formed by dividing into one or two or more segments over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jog portion 232.
  • the upper jog 240 may rise (or descend) along the stepped protrusion 233 through a rotation operation to one side.
  • a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first jog portion 232 to allow the wire rope 210 to pass therethrough.
  • the upper jog 240 includes a second jog portion 241 and a coupling portion 243 formed inside the second jog portion 241.
  • the coupling part 243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rope receiving hole 244 may be formed so that the wire rope 210 can penetrate.
  • the second jog portion 241 may be a cylindrical shape formed by surrounding the coupling portion 243,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jog portion 241 may be formed with a stepped locking portion 242 .
  • the second jog portion 241 when viewed from the side, is formed in a step shape that rises in sequence.
  • the stepped locking portion 242 may be formed by dividing into one or two or more segments over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jog portion 241.
  • the upper jog 240 may contact and engage the lower jog 230. Furthermore, the upper jog 240 may be raised (or lowered) while rotating to one side based on the fixed lower jog 230, and the setting position may be fixed step by step.
  • the wire rope 210 is connected through a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lower jog 230 and a rope accommodation hole 244 formed in the upper jog 240, and the wire rope 210 ) It is fixed to the upper jog 240 by the sleeve 211 formed at the end.
  • the sleeve 211 connected to the upper jog 240 also rises (or Descending), and accordingly, the tension of the wire rope 210 connected to the sleeve 211 may be adjusted.
  • FIGS. 10A and 10B are respectively tension control jo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in the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of 250.
  • the stepped protrusion 233 of the lower jog 230 includes a protrusion 233a, a first sliding portion 233b and a first flat portion 233c, and an upper jog
  • the stepped locking portion 242 of 240 includes a locking groove portion 242a, a second sliding portion 242b, and a second flat portion 242c.
  • the stepped protrusion 233 is formed in a step shape that is repeatedly connected in order in the order of the first sliding portion 233b, the protruding portion 233a and the first flat portion 233c, and the stepped jam
  • the portion 242 is formed in a step shape that is repeatedly connected in order in the order of the second sliding portion 242b, the locking groove portion 242a, and the second flat portion 242c.
  • the width dimension tolerance can be absorbed by easil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wire rope 210.
  • the mounting width of the slide rail 100 is A
  • the mounting width is A + b due to the tolerance
  • the tension of the wire rope 210 is loosened by a jog operation, and the mounting width is increased by the tolerance.
  • the dimensional tolerance can be absorbed by tightening the tension of the wire rope 210 by a jog operation.
  • the service life of the withdrawal system 1000 may be extended by restoring the tension to the initially set tension through the tension control jog 250. You can.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배치되는 중간레일, 그리고 상기 중간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배치되는 이동레일을 갖는 적어도 두개의 슬라이드레일 및 각각의 상기 이동레일의 운동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인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출 시스템
본 발명은 인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배치되는 중간레일, 상기 중간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배치되는 이동레일을 갖는 적어도 두개의 슬라이드레일 및 양측에 구비된 상기 슬라이드레일의 운동을 동기화하는 동기화수단을 포함하는 인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식기 세척기, 오븐, 서랍 등의 장착구조물에는 물체를 인출 및 인입시킬 수 있도록 결합되는 서랍조립체가 설치된다.
이러한 서랍조립체에는 서랍이 장착구조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되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레일이 구비된다. 또한, 슬라이드레일은 볼 또는 롤러 형태의 구름 수단이 구비되어 슬라이딩 시 보다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통상 슬라이드레일은 서랍 설치 공간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레일과, 고정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이동레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정레일에 대해 이동레일이 슬라이딩 함으로써 서랍의 인출 및 인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서랍 양측의 슬라이드레일은 서로에 대해 구속되지 않고,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양측 슬라이드레일의 이동량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서랍의 자세가 틀어져서 인출입에 보다 많은 힘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끼임 동작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양측 슬라이드레일의 이동량 차이를 줄이고 원활한 이동을 가능케 하는 동기화수단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다만, 종래 동기화수단의 경우, 슬라이드레일을 설치함에 있어, 장착구조물의 폭, 치수 변화에 따라 매번 새롭게 제작되어야 하고, 제작되더라도 치수 공차에 따른 차이까지 수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8-0010559 (2018.01.3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텐션컨트롤조그를 통해 와이어로프의 장력을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슬라이드레일의 폭 치수 공차에 관계없이 슬라이드레일의 운동을 바람직한 텐션으로 동기화할 수 있는 동기화수단을 갖는 인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배치되는 중간레일, 그리고 상기 중간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배치되는 이동레일을 갖는 적어도 두개의 슬라이드레일 및 각각의 상기 이동레일의 운동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인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양 끝단에는 슬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수단은 상기 와이어로프를 가이드하고 편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를 중심으로 형성되고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로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수단은 상기 와이어로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텐션컨트롤조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텐션컨트롤조그는 로어조그 및 상기 로어조그와 맞물리는 어퍼조그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조그가 상기 로어조그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타방향으로는 구속되는 나선형 치합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텐션컨트롤조그는, 상기 어퍼조그를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로프의 장력이 팽팽하게 조정되고, 상기 어퍼조그를 상기 로어조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나선형 치합구조가 해제되면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장력이 느슨하게 조정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어조그는 슬라이드레일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조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그부에는 계단형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퍼조그는 제2 조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그부에는 계단형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계단형 돌기부는 제1 미끄럼부, 돌출부 및 제1 평탄부의 순서로 반복되어 연결되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계단형 걸림부는 제2 미끄럼부, 걸림홈부 및 제2 평탄부의 순서로 반복되어 연결되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동기화수단이 텐션컨트롤조그를 포함함으로써 설계 치수에 맞게 설치된 슬라이드레일에 폭 치수 공차가 존재하더라도 와이어로프의 장력을 손쉽게 조절하여 상기 폭 치수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레일 초기 설정된 와이어로프의 장력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게 될 경우, 텐션컨트롤조그를 통해 초기 설정된 장력으로 복원함으로써 인출 시스템의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레일이 바람직한 장력을 갖는 와이어로프에 의해 동기화 됨으로써, 양측 슬라이드레일의 운동량 차이가 줄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레일의 매끄러운 이동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 시스템(10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 시스템(1000)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측 슬라이드레일(100)과 동기화수단(20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측 슬라이드레일(100)과 동기화수단(20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어셈블리(22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조그(230)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조그(240)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컨트롤조그(250)의 분해도 및 결합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된 텐션컨트롤조그(250)의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컨트롤조그(250)의 회전 및 역회전 시 동작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 시스템(10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 시스템(1000)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출 시스템(1000)은 한 쌍의 슬라이드레일(100) 및 상기 슬라이드레일(100)의 이동을 동기화하는 동기화수단(200)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레일(100)은 서랍, 식기세척기, 냉장고 등의 장착구조물 측벽에 고정되는 고정레일(110)과 상기 고정레일(1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레일(13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레일(10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이동레일(130)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물체를 인입 및 인출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레일(100)은 고정레일(110)과 이동레일(130)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중간레일(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간레일(120)과 이동레일(130)은 움직이는 레일로서, 고정레일(110)에 중간레일(12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중간레일(120)에 이동레일(13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고정레일(110)에 대해 상대이동한 중간레일(120)에서 이동레일(130)의 상대이동이 가능해지므로 슬라이드레일(100)의 길이가 필요에 따라 신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레일(100)은 다양한 크기의 서랍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레일(110), 중간레일(120) 및 이동레일(130)의 사이에는 볼, 롤러 등의 구름수단이 설치되어 레일간 마찰력을 감소시켜 보다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측 슬라이드레일(100)과 동기화수단(200)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측 슬라이드레일(100)과 동기화수단(200)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어셈블리(22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드레일(100)에는 상기 슬라이드레일(100)의 이동을 동기화하는 동기화수단(200)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기화수단(200)은 일측 또는 양측 슬라이드레일(100)에 장착되어 일측 슬라이드레일(100)이 오픈(open) 동작을 하면 타측 슬라이드 레일(100)도 오픈 동작을 하고, 일측 슬라이드레일(100)이 클로즈(close) 동작을 하면 타측 슬라이드레일(100)도 클로즈 동작을 하게 되도록 슬라이드레일(100)의 이동을 동기화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수단(200)은 와이어로프(210), 롤러 어셈블리(220) 및 텐션컨트롤조그(250)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로프(210)는 좌, 우 양측에 구비된 슬라이드레일(100) 간 동기화를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며, 몇 개의 단계로 슬라이드레일(10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로프(210)는 와이어 등의 케이블로 형성될 수 있지만, 임의의 다른 케이블, 밴드 또는 편향 가능한 그 밖의 요소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와이어로프(210)의 양 끝단부에는 슬라이드레일(100)에 형성된 리테이너(111) 및 텐션컨트롤조그(250) 등에 걸릴 수 있도록 슬리브(2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리브(211)는 와이어로프(210)가 상기 리테이너(121) 및 텐션컨트롤조그(250) 등에 걸려 고정되게 함으로써 와이어로프(210)가 바람직한 텐션으로 동기화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롤러 어셈블리(220)는 이동레일(130)에 고정되는 하우징(221), 상기 하우징에 고정 배치되는 기둥부(222) 및 상기 기둥부(22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223)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 어셈블리(220)는 이동레일(130)의 후방 영역에 형성되고, 와이어로프(210)와 접촉되며 롤러(223)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마찰력을 감소시켜 원활한 동기화 작용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와이어로프(210)는 상기 하우징(221)의 측벽면에 형성된 슬롯(224)을 통과하고, 상기 하우징(221) 내부에 구비된 롤러(223)에 의해 편향되어 타측 슬라이드레일(1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와이어로프(210)는 일측 고정레일(110)의 후방 끝단부에 형성된 리테이너(111)에서 시작하여 일측 이동레일(130)의 후방에 형성된 롤러(223)에 의해 편향되어 나아간 다음 타측 이동레일(130)의 후방에 형성된 롤러(223)에 의해 다시 편향된 후 타측 고정레일(110)의 전방에 형성된 텐션컨트롤조그(250)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는 타측 고정레일(100)의 후방 끝단부에 형성된 리테이너(111)에서 시작하는 와이어로프(210)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도 6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조그(230)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7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조그(240)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8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컨트롤조그(250)의 분해도 및 결합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텐션컨트롤조그(250)는 고정레일(110)의 전방에 고정되는 로어조그(230)와 상기 로어조그(230)와 맞물리며 와이어로프(210)의 텐션을 조절하는 어퍼조그(24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텐션컨트롤조그(250)는 고정된 로어조그(230)를 기준으로 어퍼조그(240)가 일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타방향으로 구속되는 나선형 치합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어퍼조그(240)의 회전정도에 따라 로어조그(230) 및 어퍼조그(240)와 연동된 와이어로프(210)의 장력이 조절됨으로써 바람직한 텐션으로 슬라이드레일(100)을 동기화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로어조그(230)는 고정레일(110)에 고정되는 고정부(231) 및 상기 고정부(231)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1 조그부(232)를 포함한다.
즉, 상기 고정부(231)는 용접 또는 접착 또는 기계적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레일(1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231)의 일측에는 어퍼조그(240)와 접촉하여 맞물리는 제1 조그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조그부(232)는 내부에 수용부(234)를 갖고 일측으로 개방된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제1 조그부(232)의 둘레면에는 계단형 돌기부(23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조그부(232)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차례로 상승하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저층부터 일정 높이까지의 계단 형상을 하나의 세그먼트라 하면, 상기 계단형 돌기부(233)는 상기 제1 조그부(232)의 둘레에 걸쳐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세그먼트로 나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퍼조그(240)는 일측으로의 회전동작을 통해 상기 계단형 돌기부(233)를 따라 상승(또는 하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조그부(232)에는 와이어로프(2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어퍼조그(240)는 제2 조그부(241) 및 상기 제2 조그부(241)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부(243)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243)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와이어로프(210)가 관통할 수 있도록 로프수용홀(24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조그부(241)는 상기 결합부(243)를 감싸며 형성되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제2 조그부(241)의 둘레면에는 계단형 걸림부(24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조그부(241)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차례로 상승하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저층부터 일정 높이까지의 계단 형상을 하나의 세그먼트라 하면, 상기 계단형 걸림부(242)는 상기 제2 조그부(241)의 둘레에 걸쳐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세그먼트로 나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퍼조그(240)는 로어조그(230)와 접촉하여 맞물릴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어퍼조그(240)는 고정된 상기 로어조그(230)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회전하면서 상승(또는 하강)할 수 있으며, 단계별로 세팅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와이어로프(210)는 상기 로어조그(230)에 형성된 홀(미도시) 및 상기 어퍼조그(240)에 형성된 로프수용홀(244)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와이어로프(210) 끝단부에 형성된 슬리브(211)에 의해 상기 어퍼조그(240)에 고정된다.
따라서, 어퍼조그(240)가 상기 고정레일(110)에 고정된 로어조그(230)를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승(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어퍼조그(240)와 연결된 슬리브(211) 역시 상승(또는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슬리브(211)와 연결된 와이어로프(210)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된 텐션컨트롤조그(250)의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10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컨트롤조그(250)의 회전 및 역회전 시 동작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로어조그(230)의 상기 계단형 돌기부(233)는 돌출부(233a), 제1 미끄럼부(233b) 및 제1 평탄부(233c)를 포함하고, 어퍼조그(240)의 상기 계단형 걸림부(242)는 걸림홈부(242a), 제2 미끄럼부(242b) 및 제2 평탄부(242c)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계단형 돌기부(233)는 제1 미끄럼부(233b), 돌출부(233a) 및 제1 평탄부(233c)의 순서로 차례로 반복되어 연결되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계단형 걸림부(242)는 제2 미끄럼부(242b), 걸림홈부(242a) 및 제2 평탄부(242c)의 순서로 차례로 반복되어 연결되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로어조그(230)와 어퍼조그(240)가 맞물리는 경우, 일방향으로의 회전은 상기 제1 미끄럼부(233b)와 상기 제2 미끄럼부(242b)가 서로 미끄러지면서 가능하지만, 타방향으로의 회전은 상기 돌출부(233a)가 상기 걸림홈부(242a)에 걸리면서 구속된다.
즉, 사용자가 고정된 로어조그(230)를 기준으로 어퍼조그(2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어퍼조그(240)와 로어조그(230)의 간격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로프(210)의 장력이 팽팽하게 조성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어퍼조그(240)를 고정된 로어조그(2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가하면 상기 로어조그(230)와 맞물렸던 치합구조가 해제되고, 이에 따라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되면서 상기 와이어로프(210)의 장력이 느슨하게 조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텐션컨트롤조그(250)를 통해, 설계 치수에 맞게 설치된 슬라이드레일(100)에 폭 치수 공차가 존재하더라도 와이어로프(210)의 장력을 손쉽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폭 치수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드레일(100)의 장착 폭을 A라 할 때, 공차에 의하여 장착 폭이 A+b가 되면 조그동작으로 와이어로프(210)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고, 공차에 의하여 장착 폭이 A-c가 되면 조그동작으로 와이어로프(210)의 장력을 팽팽하게 함으로써 폭 치수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나아가, 슬라이드레일(100) 초기 설정된 와이어로프(210)의 장력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게 되면, 상기 텐션컨트롤조그(250)를 통해 초기 설정된 장력으로 복원함으로써 인출 시스템(1000)의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부호의 설명
1000 인출 시스템
100 슬라이드레일
110 고정레일
120 중간레일
130 이동레일
200 동기화수단
210 와이어로프
211 슬리브
220 롤러 어셈블리
221 하우징
222 기둥부
223 롤러
224 슬롯
230 로어조그
231 고정부
232 제1 조그부
233 계단형 돌기부
233a 돌출부
233b 제1 미끄럼부
233c 제1 평탄부
234 수용부
240 어퍼조그
241 제2 조그부
242 계단형 걸림부
242a 걸림홈부
242b 제2 미끄럼부
242c 제2 평탄부
243 결합부
244 로프수용홀
250 텐션컨트롤조그

Claims (11)

  1.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배치되는 중간레일, 그리고 상기 중간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배치되는 이동레일을 갖는 적어도 두개의 슬라이드레일; 및
    각각의 상기 이동레일의 운동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인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양 끝단에는 슬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수단은 상기 와이어로프를 가이드하고 편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를 중심으로 형성되고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로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수단은 상기 와이어로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텐션컨트롤조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컨트롤조그는 로어조그 및 상기 로어조그와 맞물리는 어퍼조그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조그가 상기 로어조그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타방향으로는 구속되는 나선형 치합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컨트롤조그는,
    상기 어퍼조그를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로프의 장력이 팽팽하게 조정되고,
    상기 어퍼조그를 상기 로어조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나선형 치합구조가 해제되면서 역방향 회전이 가능해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조그는 슬라이드레일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조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그부에는 계단형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조그는 제2 조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그부에는 계단형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형 돌기부는 제1 미끄럼부, 돌출부 및 제1 평탄부의 순서로 반복되어 연결되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형 걸림부는 제2 미끄럼부, 걸림홈부 및 제2 평탄부의 순서로 반복되어 연결되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PCT/KR2019/011599 2018-09-12 2019-09-09 인출 시스템 WO202005505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977A KR102156567B1 (ko) 2018-09-12 2018-09-12 인출 시스템
KR10-2018-0108977 2018-09-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5053A1 true WO2020055053A1 (ko) 2020-03-19

Family

ID=6977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1599 WO2020055053A1 (ko) 2018-09-12 2019-09-09 인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6567B1 (ko)
WO (1) WO202005505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2964A (en) * 1971-07-07 1973-03-27 Oxford Pendaflex Corp Extensible drawer support
US20160128475A1 (en) * 2013-06-14 2016-05-12 Paul Hettich Gmbh & Co. Kg Pull-out system
WO2018002191A1 (de) * 2016-06-29 2018-01-04 Paul Hettich Gmbh & Co. Kg Verfahren zur montage eines schubelementes und bausatz zur verschiebbaren lagerung eines schubelementes, möbel und haushaltsgerät
CN106016938B (zh) * 2016-05-25 2018-05-1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滑轨机构及具有其的冰箱
KR20180099249A (ko) * 2017-02-28 2018-09-05 (주)세고스 슬라이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9995A (ko) * 2014-04-16 2015-10-27 (주)세고스 슬라이드 장치
KR20170093665A (ko) * 2016-02-05 2017-08-16 (주)세고스 이동이 제한되는 이너리테이너가 구비된 슬라이더
KR20180010559A (ko) 2016-07-21 2018-01-31 (주)세고스 서랍의 가이드레일 동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2964A (en) * 1971-07-07 1973-03-27 Oxford Pendaflex Corp Extensible drawer support
US20160128475A1 (en) * 2013-06-14 2016-05-12 Paul Hettich Gmbh & Co. Kg Pull-out system
CN106016938B (zh) * 2016-05-25 2018-05-1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滑轨机构及具有其的冰箱
WO2018002191A1 (de) * 2016-06-29 2018-01-04 Paul Hettich Gmbh & Co. Kg Verfahren zur montage eines schubelementes und bausatz zur verschiebbaren lagerung eines schubelementes, möbel und haushaltsgerät
KR20180099249A (ko) * 2017-02-28 2018-09-05 (주)세고스 슬라이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292A (ko) 2020-03-20
KR102156567B1 (ko)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68943A1 (ko) 분리 착탈 가능한 세그먼트 구조의 도어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한 슬라이딩 창호 설치 구조
WO2019151820A1 (en) Refrigerator
WO2011052953A2 (ko) 전동식 루버 시스템
WO2019074271A1 (ko) 슬라이딩 장치
WO2011016660A2 (ko) 자동 폐쇄 장치가 설치된 하부 장착형 슬라이딩 장치
WO2018139718A1 (ko) 링크구조를 채용한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WO2018159878A1 (ko) 슬라이딩 장치
WO2018008821A1 (ko) 의류 수납기구
WO2013157784A1 (ko) 서랍용 슬라이드 장치
WO2020246796A1 (en) Home appliance including display module
WO2016178530A1 (ko) 비간섭 전면개폐형 프레임의 구조
WO2013122399A1 (ko) 롤 블라인드
WO2011040674A1 (ko) 리프트장치
WO2018038500A1 (ko) 서랍장 가구의 안전 잠금장치
WO2020055053A1 (ko) 인출 시스템
WO2019182412A1 (ko) 창호 개폐장치
WO2011096666A2 (ko) 슬라이드 레일 고정 장치
WO2019124798A1 (ko) 서랍용 슬라이딩 장치
WO2015182988A1 (ko) 콘센트 안전장치
WO2020013512A1 (en) Roll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h washer having the same
WO2020060138A1 (ko) 인출 시스템
WO2022092696A1 (ko) 슬라이딩 장치
WO2023027378A1 (ko) 슬라이딩 장치
WO2020045762A1 (ko) 립스틱 케이스
WO2022014896A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5941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5941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