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45787A1 -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45787A1
WO2020045787A1 PCT/KR2019/004823 KR2019004823W WO2020045787A1 WO 2020045787 A1 WO2020045787 A1 WO 2020045787A1 KR 2019004823 W KR2019004823 W KR 2019004823W WO 2020045787 A1 WO2020045787 A1 WO 202004578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ot
data
based sensor
information data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482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영규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공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공간 filed Critical (주)아이티공간
Priority to CN201980047018.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2514353A/zh
Publication of WO202004578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4578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xtracting and transmitting data of an IoT-based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partitioning a plurality of setting sections from information data measured and collected by an IoT-based sensor, and having meaningful meaning among information data of the setting section. After extracting only the target data, the plurality of setting sections are constrained to the set section, and the target data of the setting sections included in the set section are transmitted in one transmission process, thereby preparing for the method of transmitting information based on the conventional IoT-based senso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extracting and transmitting data of an IoT-based sensor that enables the IoT-based sensor to be easily used even in a harsh environment in which limited power is required by significantly reducing power consumed to transmit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an IoT-based sensor. .
  • IoT Internet of Things
  • IoT-based sensors transmit all the information data measured in real time throug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 conventional IoT-based sensors require the use of too much power to transmit the collected information data. There is a problem.
  • the conventional IoT-based sensor has a large amount (capacity) of information data to be transmitted due to the nature of transmitting all the information data to be measured, which causes a problem in that the communication spee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sensor is reduc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divide the information data measured and collected by the IoT-based sensor into a plurality of setting sections, and a meaningful target among the information data of the setting sections. After extracting only the data, the target data of the set sections included in the set section are transmitted in one transmission process by constraining a plurality of set sections to the set section. It provides a data extraction and transmission method of IoT-based sensor that can easily apply and use IoT-based sensor in the harsh environment where limited power should be used by drastically reducing the power consumed to transmit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sensor based on have.
  • the IoT-based which can enhance the function of the IoT-based sensor by greatly improving the data transmission speed through the IoT-based senso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extracting and transmitting data from a sensor.
  • Data extraction and transmission method of the IoT-based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arrangement step of collecting the information data measured by the IoT (Internet of Things) -based sensor and arranged over time, the A partitioning step of partitioning the information data arranged over time in an arrangement step into a repetitive setting section, a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one or more target data from the information data of the setting section, and a repetition of the information section And a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target data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 IoT Internet of Things
  • the information data measured by the IoT-based sensor may be implemented as any one of a measurement value selected from temperature, pressure, flow rate, vibration, tilt, sound, luminance, smell, and taste.
  • the setting section in the partitioning step may be set in predetermined time units, and the information data may be repeatedly partitioned at set intervals.
  • one or more values selected from the largest value, the smallest value, the median value, and the average value among the measured values of the set period may be extracted as the target data.
  • a set section including two or more set sections is set, and when the target data of the set section included in the set section is extracted, the target data of all set sections included in the set section are transmitted in one transmission process. Can be sent.
  • Setting sections included in the set section are sequentially 1, 2,... , n-th serial number may be assigned and transmitted.
  • the information data measured and collected by the IoT-based senso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tting sections, a meaningful target among the information data of the set setting section
  • the target data of the set sections included in the set section are transmitted in a single transmission process by constraining a plurality of set sections to the set section, thereby preparing for the IoT-based sensor.
  • Significantly reduce the power consumed to transmit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sensor based on the IoT it is easy to use the IoT-based sensor in the harsh environment that must use a limited power supply.
  •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is greatly reduced compared to the method of transmitting information by IoT-based sensors in the related art,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data transmission speed through the IoT-based sensor, thereby enhancing the function of the IoT-based sensor. have.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extraction and transmission method of an IoT-bas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collected information data over time in the arrangement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shows that the information data is repeatedly partitioned at intervals of a set time unit in the partition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llustrates extraction of a predetermined value as target data among measured values of a setting section in the extraction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llustrates setting a set section and transmitting target data of a set section included in the set section at one time in the transmission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extraction and transmission method of an IoT-bas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ata extraction and transmission method 100 of the IoT-base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S10), partitioning step (S20), extraction step (S30), and transmission step (S40) ).
  • the arrangement step S10 of FIG. 1 is a process of collecting information data measured by an IoT-based sensor and arrang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data over time.
  • Figure 2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collected information data over time in the arrangement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ocess of collecting information data from the IoT-based sensor is a measurement function unique to a typical sensor, and the collected information data is temperature, pressure, flow rate, vibration, tilt, sound, luminance, olfactory, It may be implemented as one of the measured values selected from the taste.
  • the partitioning step S20 of FIG. 1 is a process of partitioning the information data arranged over time in the arrangement step S10 into repetitive setting sections.
  • FIG. 3 shows that the information data is repeatedly partitioned at intervals of a set time unit in the partition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tting section is set in predetermined time units, and information data is repeatedly partitioned at intervals of the set time units.
  • a repetitive setting section in units of 10 seconds is formed by successively dividing the information data arranged over time at intervals of 10 seconds.
  • the time unit of the setting section may be set in various time units in consideration of circumstances such as an environment, a condition in which an IoT based sensor is used.
  • the extracting step S30 of FIG. 1 is a process of extracting one or more target data from the information data of the set section.
  • FIG. 4 illustrates extraction of a predetermined value as target data among measured values of a setting section in the extraction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one or more values selected from the largest value, the smallest value, the median value, and the average value among the measured values of the set period are extracted as target data.
  • the extracting step (S30) is a process of extracting a meaningful value (target data) from the measured values (information data) measured by the IoT-based sensor, and thus extracting only the target data from the information data of the setting section.
  • IoT-based sensors transmit all the measured values collected in real time to the outside, which consumes too much power for data transmission, and at the same time, a large amount of data transmission causes a decrease in communication speed. .
  • the IoT-based sensor there are many meaningless values among the measured values measured by the IoT-based sensor. For example, when the administrator requests specific value information such as the largest value, the smallest value, the median value, and the average value in the measured value of the setting section. In addition to the specific value, the remaining measurement values become meaningless, and if the unnecessary measurement values are transmitted to the outside, too much power is consumed for data transmission or the data transmission speed is reduced.
  • the extracting step (S30) by extracting only the meaningful target data from the measured values collected and measured by the IoT-based sensor, so that only the target data extracted in the transmission step (S40) to be described later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Minimize the power consumed by IoT-based sensors, while attaining excellent data transmission speed.
  • the largest value means the largest measurement value among the information data of the setting section
  • the smallest value means the smallest measurement value among the information data of the setting section
  • the intermediate value of the information data of the setting section It means a measured value located in the middle
  • the mean value means an average value of the average information data of the set period.
  • the transmitting step S40 of FIG. 1 is a process of transmitting the target data extracted in the repetitive setting section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 FIG. 5 illustrates setting a set section and transmitting target data of a set section included in the set section at one time in the transmission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set section including at least two set sections is set, and when the target data of the set section included in the set section is extracted, all the settings included in the set section in one transmission process.
  • the target data of the section is transmitted, but the set sections included in the set section are sequentially 1, 2,... In this case, the nth serial number is assigned to be transmitted.
  • the transmitting step S40 when the target data of the plurality of setting sections are extracted by setting the set section, the power consumed by the IoT-based sensor is more effectively transmitted by transmitting the target data of the plurality of setting sections at once.
  • the serial numbers are sequentially assigned to each setting section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tting step (S40), so that the receiver can clearly recognize a plurality of setting sections, thereby providing excellent information transmission. You can expect
  • the method 100 for extracting and transmitting data of an IoT-based sensor divides a plurality of setting sections from information data measured and collected by an IoT-based sensor, and sets the information data of the setting section. After extracting only meaningful target data from among, and constraining a plurality of setting sections to a set section, by transmitting the target data of the setting sections included in the set section in one transmission process, a conventional IoT-based sensor transmits information. In preparation for this, the power consumed to transmit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IoT-based sensor is greatly reduced, so that the IoT-based sensor can be easily used even in the harsh environment where limited power is required.
  •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is greatly reduced compared to the method of transmitting information by IoT-based sensors in the related art,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transmission speed of data through the IoT-based sensor, thereby enhancing the function of the IoT-based sensor. have.
  • IoT-based sensors can be easily used in the harsh environment where limited power is required by greatly reducing the power consumed to transmit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IoT-bas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배열하는 배열단계, 상기 배열단계에서 시간에 흐름에 따라 배열된 정보 데이터를 반복적인 설정구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단계, 상기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목표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단계, 및 반복적인 상기 설정구간에서 추출된 목표 데이터를 유·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30.04.2019]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본 발명은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 수집되는 정보 데이터를 다수의 설정구간을 구획하고, 그 설정된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 중에서 의미 있는 목표 데이터만을 추출한 후, 다수의 설정구간을 세트구간으로 구속하여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설정구간들의 목표 데이터를 한 번의 전송과정으로 송신함으로써, 종래에 IoT 기반의 센서가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에 대비하여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 정보를 전송하는데 소모되는 전원을 대폭 절감하여 한정적인 전원을 사용해야 하는 극악의 환경에서도 IoT 기반의 센서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디바이스(모바일 전화기, 기계장비, 센서, 가전 등)들이 인터넷과 연결되어 보다 가치있는 정보와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IoT 기반의 각종 센서는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모든 정보 데이터를 유·무선통신을 통해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특성상, 종래의 IoT 기반의 센서는 측정 수집되는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너무 많은 전원의 사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IoT 기반의 센서가 내장되는 배터리에 의지하여 작동하거나 태양광 시스템에서 발전되는 한정적인 전원을 통해 작동해야 하는 환경에서는 적용 사용하기 곤란하여 센서의 사용한계성이 있다.
또한, 종래의 IoT 기반의 센서는 측정되는 모든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특성상 전송되는 정보 데이터의 양(용량)이 많아 센서를 통해 정보가 전송되는 통신속도가 저하되어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정보 데이터 중에서 의미 있는 정보 데이터만을 추출 전송하여 센서에서 소모되는 전원을 절감하고 데이터 전송속도는 향상시킬 수 있는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 수집되는 정보 데이터를 다수의 설정구간을 구획하고, 그 설정된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 중에서 의미 있는 목표 데이터만을 추출한 후, 다수의 설정구간을 세트구간으로 구속하여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설정구간들의 목표 데이터를 한 번의 전송과정으로 송신함으로, 종래에 IoT 기반의 센서가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에 대비하여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 정보를 전송하는데 소모되는 전원을 대폭 절감하여 한정적인 전원을 사용해야 하는 극악의 환경에서 IoT 기반의 센서를 용이하게 적용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종래에 IoT 기반의 센서가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에 대비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양이 대폭 절감되므로 IoT 기반의 센서를 통한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대폭 향상시켜 IoT 기반 센서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은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배열하는 배열단계, 상기 배열단계에서 시간에 흐름에 따라 배열된 정보 데이터를 반복적인 설정구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단계, 상기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목표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단계 및 반복적인 상기 설정구간에서 추출된 목표 데이터를 유·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정보 데이터는 온도, 압력, 유량, 진동, 기울기, 음향, 휘도, 후각, 미각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측정값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구획단계에서의 설정구간은 소정의 시간 단위로 설정되며, 설정된 시간 단위의 간격으로 정보 데이터가 반복 구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추출단계에서는, 상기 설정구간의 측정값 중에서 가장 큰 값, 가장 작은 값, 중간 값 및 평균값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값을 목표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전송단계에서는, 둘 이상의 설정구간을 포함하는 세트구간이 설정되고, 상기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설정구간의 목표 데이터가 추출되면 한 번의 전송과정으로 상기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모든 설정구간의 목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설정구간은 순차적으로 1, 2, …, n차의 일련번호가 부여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에 의하면,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 수집되는 정보 데이터를 다수의 설정구간을 구획하고, 그 설정된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 중에서 의미 있는 목표 데이터만을 추출한 후, 다수의 설정구간을 세트구간으로 구속하여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설정구간들의 목표 데이터를 한 번의 전송과정으로 송신함으로써, 종래에 IoT 기반의 센서가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에 대비하여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 정보를 전송하는데 소모되는 전원을 대폭 절감하여 한정적인 전원을 사용해야 하는 극악의 환경에서 IoT 기반의 센서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 IoT 기반의 센서가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에 대비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양이 대폭 절감되므로 IoT 기반의 센서를 통한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대폭 향상시켜 IoT 기반 센서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열단계에서, 수집된 정보 데이터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배열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획단계에서, 설정된 시간 단위의 간격으로 정보 데이터가 반복 구획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단계에서, 설정구간의 측정값 중에서 소정 값을 목표 데이터로 추출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송단계에서, 세트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설정구간의 목표 데이터를 한 번에 전송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100)은 배열단계(S10), 구획단계(S20), 추출단계(S30), 및 전송단계(S40)를 포함한다.
도 1의 배열단계(S10)는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정보 데이터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배열하는 과정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열단계에서, 수집된 정보 데이터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배열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IoT 기반의 센서에서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은 통상적인 센서 고유의 측정 기능이며, 이때 수집되는 정보 데이터는 사용되는 센서 종류에 따라 온도, 압력, 유량, 진동, 기울기, 음향, 휘도, 후각, 미각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측정값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의 구획단계(S20)는 상기 배열단계(S10)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배열된 정보 데이터를 반복적인 설정구간으로 구획하는 과정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획단계에서, 설정된 시간 단위의 간격으로 정보 데이터가 반복 구획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설정구간은 소정의 시간 단위로 설정되며, 그 설정된 시간 단위의 간격으로 정보 데이터가 반복 구획되어 있다.
일 예로, 상기 설정구간을 10초 시간 단위로 설정하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배열되는 정보 데이터를 10초 간격으로 연속 구획하여 10초 단위의 반복적인 설정구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설정구간의 시간 단위는 IoT 기반의 센서가 사용되는 환경, 조건 등의 상황을 고려하여 다양한 시간 단위로 설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의 추출단계(S30)는 상기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목표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단계에서, 설정구간의 측정값 중에서 소정 값을 목표 데이터로 추출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설정구간의 측정값 중에서 가장 큰 값, 가장 작은 값, 중간 값 및 평균값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값을 목표 데이터로 추출하도록 한다.
즉, 상기 추출단계(S30)는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정보 데이터) 중에서 의미 있는 값(목표 데이터)을 추출하는 과정이며, 이렇게 상기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에서 목표 데이터만을 추출하는 이유는 통상적으로 IoT 기반 센서는 실시간으로 측정 수집되는 측정값을 모두 외부로 전송하게 되므로 데이터 전송에 너무 많은 전원이 소모되는 동시에, 대량의 데이터 전송은 결국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속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상기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측정값 중에서 무의미한 값들이 많은데, 일 예로 관리자가 설정구간의 측정값에서 가장 큰 값, 가장 작은 값, 중간 값 및 평균값 등의 특정 값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특정 값 외에 나머지 측정값은 무의미하게 되며, 이러한 불필요한 측정값을 외부로 전송하게 되면 데이터 전송에 너무 많은 전원이 소모되거나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추출단계(S30)는 상기 IoT 기반의 센서를 통해 측정 수집되는 측정값 중에서 의미 있는 목표 데이터만을 추출함으로써, 후술할 전송단계(S40)에서 추출된 목표 데이터만이 외부로 전송되게 하여 상기 IoT 기반의 센서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우수한 데이터 전송 속도가 확보되도록 유도한다.
한편, 상기 가장 큰 값은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 중에서 가장 큰 측정값을 의미하며, 상기 가장 작은 값은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 중에서 가장 작은 측정값을 의미하며, 상기 중간 값은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 중에서 중간에 위치되는 측정값을 의미하며, 상기 평균값은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를 평균한 평균값을 의미한다.
도 1의 전송단계(S40)는 반복적인 상기 설정구간에서 추출된 목표 데이터를 유·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송단계에서, 세트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설정구간의 목표 데이터를 한 번에 전송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설정구간을 포함하는 세트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상기 설정구간의 목표 데이터가 추출되면 한 번의 전송과정으로 상기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모든 상기 설정구간의 목표 데이터를 전송하되, 상기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상기 설정구간은 순차적으로 1, 2, …, n차의 일련번호가 부여되어 전송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전송단계(S40)는 세트구간을 설정하여 다수의 상기 설정구간의 목표 데이터가 추출되면 한 번에 다수의 상기 설정구간의 목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IoT 기반의 센서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전송단계(S40)를 통해 전송되는 각각의 설정구간이 순차적으로 일련번호가 부여됨으로써, 수신자는 다수의 설정구간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어 우수한 정보 전달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100)은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 수집되는 정보 데이터를 다수의 설정구간을 구획하고, 그 설정된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 중에서 의미 있는 목표 데이터만을 추출한 후, 다수의 설정구간을 세트구간으로 구속하여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설정구간들의 목표 데이터를 한 번의 전송과정으로 송신함으로써, 종래에 IoT 기반의 센서가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에 대비하여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 정보를 전송하는데 소모되는 전원을 대폭 절감하여, 한정적인 전원을 사용해야 하는 극악의 환경에서도 IoT 기반의 센서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 IoT 기반의 센서가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에 대비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양이 대폭 절감되므로 IoT 기반의 센서를 통한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대폭 향상시켜 IoT 기반 센서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 정보를 전송하는데 소모되는 전원을 대폭 절감하여 한정적인 전원을 사용해야 하는 극악의 환경에서 IoT 기반의 센서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IoT 기반의 센서를 통한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대폭 향상시켜 IoT 기반 센서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Claims (6)

  1.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배열하는 배열단계;
    상기 배열단계에서 시간에 흐름에 따라 배열된 정보 데이터를 반복적인 설정구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단계;
    상기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목표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단계; 및
    반복적인 상기 설정구간에서 추출된 목표 데이터를 유·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정보 데이터는 온도, 압력, 유량, 진동, 기울기, 음향, 휘도, 후각, 미각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측정값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단계에서의 설정구간은 소정의 시간 단위로 설정되며, 설정된 시간 단위의 간격으로 정보 데이터가 반복 구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에서는, 상기 설정구간의 측정값 중에서 가장 큰 값, 가장 작은 값, 중간 값 및 평균값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값을 목표 데이터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에서는, 둘 이상의 설정구간을 포함하는 세트구간이 설정되고, 상기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설정구간의 목표 데이터가 추출되면 한 번의 전송과정으로 상기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모든 설정구간의 목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설정구간은 순차적으로 1, 2, …, n차의 일련번호가 부여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PCT/KR2019/004823 2018-08-26 2019-04-22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WO202004578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47018.8A CN112514353A (zh) 2018-08-26 2019-04-22 一种食品冷冻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948 2018-08-26
KR1020180099948A KR102180149B1 (ko) 2018-08-26 2018-08-26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5787A1 true WO2020045787A1 (ko) 2020-03-05

Family

ID=6964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4823 WO2020045787A1 (ko) 2018-08-26 2019-04-22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180149B1 (ko)
CN (1) CN112514353A (ko)
WO (1) WO20200457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489B1 (ko) 2022-07-12 2023-09-13 이재학 빅데이터, 머신러닝 기반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예측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014A (ko) * 2007-10-30 2009-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센서 데이터 기반 버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적용되는 센서 데이터 관리 서버
US20090271729A1 (en) * 2006-10-31 2009-10-29 Disetronic Licensing Ag Method for processing a chronological sequence of measurements of a time dependent parameter
US20130103657A1 (en) * 2010-05-14 2013-04-25 Hitachi, Ltd. Time-series data management device, system, method, and program
US20140122022A1 (en) * 2012-10-31 2014-05-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cessing time series data from multiple sensors
JP2017124086A (ja) * 2016-01-15 2017-07-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トレーニング分類システム、トレーニング分類方法およびトレーニング分類サー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2783A (ko) * 2011-08-26 2013-03-0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클러스터화된 선박 센서 네트워크 및 이의 효율적인 데이터 병합방법
KR101290166B1 (ko) * 2011-12-28 2013-07-30 국방과학연구소 통신 기기의 통신 방법
CN103997532B (zh) * 2014-05-30 2017-05-17 长沙瑞和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物联网边缘中间件系统
JP6710644B2 (ja) * 2017-01-05 2020-06-17 株式会社東芝 動作解析装置、動作解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659612A (zh) * 2017-08-17 2018-02-02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基于设备分组的数据传输控制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1729A1 (en) * 2006-10-31 2009-10-29 Disetronic Licensing Ag Method for processing a chronological sequence of measurements of a time dependent parameter
KR20090044014A (ko) * 2007-10-30 2009-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센서 데이터 기반 버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적용되는 센서 데이터 관리 서버
US20130103657A1 (en) * 2010-05-14 2013-04-25 Hitachi, Ltd. Time-series data management device, system, method, and program
US20140122022A1 (en) * 2012-10-31 2014-05-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cessing time series data from multiple sensors
JP2017124086A (ja) * 2016-01-15 2017-07-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トレーニング分類システム、トレーニング分類方法およびトレーニング分類サ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14353A (zh) 2021-03-16
KR102180149B1 (ko) 2020-11-17
KR20200027065A (ko)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259952B (zh) 波束指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7297058B2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通信機器
WO20141757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discovery signal resources in device-to-device wireless communications
WO2017083542A3 (en) Communicating subframe timing of an access point on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RU2017125245A (ru) Выделение ресурсов
WO2011065743A3 (ko) 다중 사용자 기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전송방법
CN111278160B (zh) 一种映射方法、终端设备及网络侧设备
EP1402685A4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MULTIPLE LOGIC DATA FLOW IN A VARIABLE DATA RATE ENVIRONMENT
RU2012113552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приема опорного сигнала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WO2020045787A1 (ko)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CN111277381B (zh) 物理下行控制信道监听、监听配置方法、终端及网络设备
EP0862290A3 (en) Transmitter, receiver,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220166589A1 (en) Scheduling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CN111615195A (zh) 确定波束信息的方法及装置、通信设备
RU2009111600A (ru) Способ улучшения пропускной способности в системе, включающей в себя постоянные присваивания
WO2011149154A1 (ko) 무선 신체 통신 망에서의 맥 프로토콜을 위한 동적 cfp 할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통신 방법
CN107425879A (zh) 一种基于公共烟道环境的无线通信方法
US20180309555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dica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resource
JP2022542999A (ja) Dci伝送方法及び通信機器
RU2007134594A (ru) Способ радиопередачи в ячейке радиосвязи системы аварий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WO2016148440A2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송신 전력 분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송신 노드
CN111182643A (zh) 一种非授权调度配置的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WO2017078462A1 (ko)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EP2374224A2 (en) Method for transmitting pilot allocation information to user equipment in a 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CN101554020A (zh) 利用带有utp电缆的因特网提供移动通信服务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558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558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