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065A -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065A
KR20200027065A KR1020180099948A KR20180099948A KR20200027065A KR 20200027065 A KR20200027065 A KR 20200027065A KR 1020180099948 A KR1020180099948 A KR 1020180099948A KR 20180099948 A KR20180099948 A KR 20180099948A KR 20200027065 A KR20200027065 A KR 20200027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based sensor
data
information dat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0149B1 (ko
Inventor
이영규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공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공간 filed Critical (주)아이티공간
Priority to KR1020180099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149B1/ko
Priority to PCT/KR2019/004823 priority patent/WO2020045787A1/ko
Priority to CN201980047018.8A priority patent/CN112514353A/zh
Publication of KR20200027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배열하는 배열단계(S10);와, 상기 배열단계(S10)에서 시간에 흐름에 따라 배열된 정보 데이터를 반복적인 설정구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단계(S20);와, 상기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목표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단계(S30);와, 반복적인 상기 설정구간에서 추출된 목표 데이터를 유·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 수집되는 정보 데이터를 다수의 설정구간을 구획하고, 그 설정된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 중에서 의미 있는 목표 데이터만을 추출한 후, 다수의 설정구간을 세트구간으로 구속하여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설정구간들의 목표 데이터를 한 번의 전송과정으로 송신함으로, 종래에 IoT 기반의 센서가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에 대비하여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 정보를 전송하는데 소모되는 전원을 대폭 절감하여 한정적인 전원을 사용해야 하는 극악의 환경에서 IoT 기반의 센서를 용이하게 적용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 IoT 기반의 센서가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에 대비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양이 대폭 절감되므로 IoT 기반의 센서를 통한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대폭 향상시켜 IoT 기반 센서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Data extraction and transmission method of IoT based sensor}
본 발명은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 수집되는 정보 데이터를 다수의 설정구간을 구획하고, 그 설정된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 중에서 의미 있는 목표 데이터만을 추출한 후, 다수의 설정구간을 세트구간으로 구속하여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설정구간들의 목표 데이터를 한 번의 전송과정으로 송신함으로, 종래에 IoT 기반의 센서가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에 대비하여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 정보를 전송하는데 소모되는 전원을 대폭 절감하여 한정적인 전원을 사용해야 하는 극악의 환경에서 IoT 기반의 센서를 용이하게 적용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디바이스(모바일 전화기, 기계장비, 센서, 가전 등)들이 인터넷과 연결되어 보다 가치있는 정보와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IoT 기반의 각종 센서는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모든 정보 데이터를 유·무선통신을 통해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특성상, 종래의 IoT 기반의 센서는 측정 수집되는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너무 많은 전원의 사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IoT 기반의 센서가 내장되는 배터리에 의지하여 작동하거나 태양광 시스템에서 발전되는 한정적인 전원을 통해 작동해야 하는 환경에서는 적용 사용하기 곤란하여 센서의 사용한계성이 있다.
또한, 종래의 IoT 기반의 센서는 측정되는 모든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특성상 전송되는 정보 데이터의 양(용량)이 많아 센서를 통해 정보가 전송되는 통신속도가 저하되어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정보 데이터 중에서 의미 있는 정보 데이터만을 추출 전송하여 센서에서 소모되는 전원을 절감하고 데이터 전송속도는 향상시킬 수 있는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 수집되는 정보 데이터를 다수의 설정구간을 구획하고, 그 설정된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 중에서 의미 있는 목표 데이터만을 추출한 후, 다수의 설정구간을 세트구간으로 구속하여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설정구간들의 목표 데이터를 한 번의 전송과정으로 송신함으로, 종래에 IoT 기반의 센서가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에 대비하여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 정보를 전송하는데 소모되는 전원을 대폭 절감하여 한정적인 전원을 사용해야 하는 극악의 환경에서 IoT 기반의 센서를 용이하게 적용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종래에 IoT 기반의 센서가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에 대비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양이 대폭 절감되므로 IoT 기반의 센서를 통한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대폭 향상시켜 IoT 기반 센서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은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배열하는 배열단계(S10);와, 상기 배열단계(S10)에서 시간에 흐름에 따라 배열된 정보 데이터를 반복적인 설정구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단계(S20);와, 상기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목표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단계(S30);와, 반복적인 상기 설정구간에서 추출된 목표 데이터를 유·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획단계(S20)의 설정구간은 소정의 시간 단위로 설정되며, 그 설정된 시간 단위의 간격으로 정보 데이터가 반복 구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정보 데이터는 온도, 압력, 유량, 진동, 기울기, 음향, 휘도, 후각, 미각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측정값으로 구현되며,
상기 추출단계(S30)는 상기 설정구간의 측정값 중에서 가장 큰 값, 가장 작은 값, 중간 값 및 평균값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값을 목표 데이터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송단계(S4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설정구간을 포함하는 세트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상기 설정구간의 목표 데이터가 추출되면 한 번의 전송과정으로 상기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모든 상기 설정구간의 목표 데이터를 전송하되, 상기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상기 설정구간은 순차적으로 1, 2, …, n차의 일련번호가 부여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에 의하면,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 수집되는 정보 데이터를 다수의 설정구간을 구획하고, 그 설정된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 중에서 의미 있는 목표 데이터만을 추출한 후, 다수의 설정구간을 세트구간으로 구속하여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설정구간들의 목표 데이터를 한 번의 전송과정으로 송신함으로, 종래에 IoT 기반의 센서가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에 대비하여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 정보를 전송하는데 소모되는 전원을 대폭 절감하여 한정적인 전원을 사용해야 하는 극악의 환경에서 IoT 기반의 센서를 용이하게 적용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 IoT 기반의 센서가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에 대비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양이 대폭 절감되므로 IoT 기반의 센서를 통한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대폭 향상시켜 IoT 기반 센서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의 블럭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의 블럭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100)은 배열단계(S10)와, 구획단계(S20)와, 추출단계(S30)와, 전송단계(S4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열단계(S10)는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정보 데이터를 아래의 [그림 1]과 같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배열하는 과정이다.
[그림 1]
Figure pat00001
여기서, 상기 IoT 기반의 센서에서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은 통상적인 센서 고유의 측정 기능이며, 이때 수집되는 정보 데이터는 사용되는 센서 종류에 따라 온도, 압력, 유량, 진동, 기울기, 음향, 휘도, 후각, 미각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측정값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단계(S20)는 상기 배열단계(S10)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배열된 정보 데이터를 반복적인 설정구간으로 구획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상기 구획단계(S20)의 설정구간은 아래의 [그림 2]과 같이 소정의 시간 단위로 설정되며, 그 설정된 시간 단위의 간격으로 정보 데이터가 반복 구획되도록 한다.
[그림 2]
Figure pat00002
일 예로, 상기 설정구간을 10초 시간 단위로 설정하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배열되는 정보 데이터를 10초 간격으로 연속 구획하여 10초 단위의 반복적인 설정구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설정구간의 시간 단위는 IoT 기반의 센서가 사용되는 환경, 조건 등의 상황을 고려하여 다양한 시간 단위로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출단계(S30)는 상기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목표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으로,
아래의 [그림 3]과 같이, 상기 설정구간의 측정값 중에서 가장 큰 값, 가장 작은 값, 중간 값 및 평균값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값을 목표 데이터로 추출하도록 한다.
[그림 3]
Figure pat00003
즉, 상기 추출단계(S30)는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정보 데이터) 중에서 의미 있는 값(목표 데이터)을 추출하는 과정이며, 이렇게 상기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에서 목표 데이터만을 추출하는 이유는 통상적으로 IoT 기반 센서는 실시간으로 측정 수집되는 측정값을 모두 외부로 전송하게 되므로 데이터 전송에 너무 많은 전원이 소모되는 동시에, 대량의 데이터 전송은 결국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속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고,
또한, 상기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측정값 중에서 무의미한 값들이 많은데, 일 예로 관리자가 설정구간의 측정값에서 가장 큰 값, 가장 작은 값, 중간 값 및 평균값 등의 특정 값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특정 값 외에 나머지 측정값은 무의미하게 되며, 이러한 불필요한 무의미한 측정값을 외부로 전송하게 되면 더욱 상기와 같이 데이터 전송에 너무 많은 전원이 소모되거나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추출단계(S30)는 상기 IoT 기반의 센서를 통해 측정 수집되는 측정값 중에서 의미 있는 목표 데이터만을 추출함으로, 후설될 상기 전송단계(S40)에서 추출된 목표 데이터만이 외부로 전송되게 하여 상기 IoT 기반의 센서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우수한 데이터 전송 속도가 확보되도록 유도한다.
한편, 상기 가장 큰 값은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 중에서 가장 큰 측정값을 의미하며, 상기 가장 작은 값은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 중에서 가장 작은 측정값을 의미하며, 상기 중간 값은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 중에서 중간에 위치되는 측정값을 의미하며, 상기 평균값은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를 평균한 평균값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송단계(S40)는 반복적인 상기 설정구간에서 추출된 목표 데이터를 유·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상기 전송단계(S40)는 아래의 [그림 4]와 같이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설정구간을 포함하는 세트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상기 설정구간의 목표 데이터가 추출되면 한 번의 전송과정으로 상기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모든 상기 설정구간의 목표 데이터를 전송하되, 상기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상기 설정구간은 순차적으로 1, 2, …, n차의 일련번호가 부여되어 전송되도록 한다.
[그림 4]
Figure pat00004
즉, 상기 전송단계(S40)는 세트구간을 설정하여 다수의 상기 설정구간의 목표 데이터가 추출되면 한 번에 다수의 상기 설정구간의 목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IoT 기반의 센서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전송단계(S40)를 통해 전송되는 각각의 설정구간이 순차적으로 일련번호가 부여됨으로 인해 수신자는 다수의 설정구간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어 우수한 정보전달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100)은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 수집되는 정보 데이터를 다수의 설정구간을 구획하고, 그 설정된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 중에서 의미 있는 목표 데이터만을 추출한 후, 다수의 설정구간을 세트구간으로 구속하여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설정구간들의 목표 데이터를 한 번의 전송과정으로 송신함으로, 종래에 IoT 기반의 센서가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에 대비하여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 정보를 전송하는데 소모되는 전원을 대폭 절감하여 한정적인 전원을 사용해야 하는 극악의 환경에서 IoT 기반의 센서를 용이하게 적용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 IoT 기반의 센서가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에 대비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양이 대폭 절감되므로 IoT 기반의 센서를 통한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대폭 향상시켜 IoT 기반 센서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S10. 배열단계
S20. 구획단계
S30. 추출단계
S40. 전송단계
100.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Claims (4)

  1.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배열하는 배열단계(S10);
    상기 배열단계(S10)에서 시간에 흐름에 따라 배열된 정보 데이터를 반복적인 설정구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단계(S20);
    상기 설정구간의 정보 데이터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목표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단계(S30);
    반복적인 상기 설정구간에서 추출된 목표 데이터를 유·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단계(S20)의 설정구간은 소정의 시간 단위로 설정되며, 그 설정된 시간 단위의 간격으로 정보 데이터가 반복 구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IoT 기반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정보 데이터는 온도, 압력, 유량, 진동, 기울기, 음향, 휘도, 후각, 미각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측정값으로 구현되며,
    상기 추출단계(S30)는 상기 설정구간의 측정값 중에서 가장 큰 값, 가장 작은 값, 중간 값 및 평균값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값을 목표 데이터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S4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설정구간을 포함하는 세트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상기 설정구간의 목표 데이터가 추출되면 한 번의 전송과정으로 상기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모든 상기 설정구간의 목표 데이터를 전송하되, 상기 세트구간에 포함되는 상기 설정구간은 순차적으로 1, 2, …, n차의 일련번호가 부여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KR1020180099948A 2018-08-26 2018-08-26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KR102180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948A KR102180149B1 (ko) 2018-08-26 2018-08-26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PCT/KR2019/004823 WO2020045787A1 (ko) 2018-08-26 2019-04-22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CN201980047018.8A CN112514353A (zh) 2018-08-26 2019-04-22 一种食品冷冻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948A KR102180149B1 (ko) 2018-08-26 2018-08-26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065A true KR20200027065A (ko) 2020-03-12
KR102180149B1 KR102180149B1 (ko) 2020-11-17

Family

ID=6964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948A KR102180149B1 (ko) 2018-08-26 2018-08-26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180149B1 (ko)
CN (1) CN112514353A (ko)
WO (1) WO20200457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489B1 (ko) 2022-07-12 2023-09-13 이재학 빅데이터, 머신러닝 기반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예측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014A (ko) * 2007-10-30 2009-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센서 데이터 기반 버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적용되는 센서 데이터 관리 서버
KR20130022783A (ko) * 2011-08-26 2013-03-0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클러스터화된 선박 센서 네트워크 및 이의 효율적인 데이터 병합방법
KR20130076436A (ko) * 2011-12-28 2013-07-08 국방과학연구소 통신 기기의 통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18837A1 (en) * 2006-10-31 2008-05-07 F. Hoffmann-La Roche AG Method for processing a chronological sequence of measurements of a time dependent parameter
CN102859517B (zh) * 2010-05-14 2016-07-06 株式会社日立制作所 时序数据管理装置、系统以及方法
CN103794006B (zh) * 2012-10-31 2016-12-21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处理多个传感器的时序数据的方法和装置
CN103997532B (zh) * 2014-05-30 2017-05-17 长沙瑞和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物联网边缘中间件系统
JP6505614B2 (ja) * 2016-01-15 2019-04-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トレーニング分類システム、トレーニング分類方法およびトレーニング分類サーバ
JP6710644B2 (ja) * 2017-01-05 2020-06-17 株式会社東芝 動作解析装置、動作解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659612A (zh) * 2017-08-17 2018-02-02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基于设备分组的数据传输控制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014A (ko) * 2007-10-30 2009-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센서 데이터 기반 버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적용되는 센서 데이터 관리 서버
KR20130022783A (ko) * 2011-08-26 2013-03-0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클러스터화된 선박 센서 네트워크 및 이의 효율적인 데이터 병합방법
KR20130076436A (ko) * 2011-12-28 2013-07-08 국방과학연구소 통신 기기의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14353A (zh) 2021-03-16
KR102180149B1 (ko) 2020-11-17
WO2020045787A1 (ko)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4606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utilizing big data for online gameplay
US1029263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54784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0412557A (zh) 一种基于ofdm信号的测量速度和距离的方法及装置
CN103733543A (zh) 用于支持设备到设备服务的装置和方法
KR20150132800A (ko) 단말장치, 클라우드 장치, 단말장치의 구동방법,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200027065A (ko) IoT 기반 센서의 데이터 추출 및 전송방법
CN108376099B (zh) 一种优化时延与能效的移动终端计算迁移方法
JP6869147B2 (ja) 計算機及び計算機システム
CN111684537B (zh) 更新习得模型
Wielandt et al. TDD LoRa and delta encoding in low-power networks of environmental sensor arrays for temperature and deformation monitoring
CN106372649B (zh) 基于量化的集值卡尔曼滤波方法
SE0300435D0 (sv) Signal Transmission Management System
CN116489764A (zh) 一种通信感知一体化的方法、设备和系统
CN106060626A (zh) 机顶盒及在机顶盒上实现虚拟传感器的方法
CN107124638B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Khan et al. A Novel Cognitive Radio Enabled IoT System for Smart Irrigation.
CN104965915A (zh) 一种用户访问行为数据的处理方法和系统
US11689908B2 (en) Connectionless obtainment of dynamic information over wireless transmission
CN104182231B (zh) 一种加速度传感器应用功能的运行控制方法及系统
CN110457411A (zh) 计步数据的展示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13949746A (zh) 物联网虚拟传感器实现方法、装置及智能终端
CN112416618A (zh) 应用层数据的传输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WO2020149141A1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端末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CN109215786A (zh) 一种空气中过敏原的个性化监测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