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32492A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자원의 리스트럭처링에 기반한 v2x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자원의 리스트럭처링에 기반한 v2x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32492A1
WO2020032492A1 PCT/KR2019/009677 KR2019009677W WO2020032492A1 WO 2020032492 A1 WO2020032492 A1 WO 2020032492A1 KR 2019009677 W KR2019009677 W KR 2019009677W WO 2020032492 A1 WO2020032492 A1 WO 202003249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information
resource
data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967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곽규환
이승민
채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267,58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10314919A1/en
Publication of WO202003249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3249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t period may be defined in advance or set from the base station.
  • 26 illustrates a vehicle or an autonomous vehicl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which connects multiple devices and objects to provide various services anytime and anywhere, is also one of the major issues to be considered in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system design considering services / terminals that are sensitive to reliability and latency has been discussed.
  • next-generation wireless access technologies in consideration of such enhanced mobile broadband communication, massive MT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and the like, are discus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Is called new RAT or NR.
  • a UE means a terminal of a user.
  • the network equipment such as an eNB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UEs
  • the network equipment such as an eNB may also be regarded as a kind of UE.
  • the number of slots corresponding to the UL region of the cell-specific semi-fixed resources set within 20 ms is 11, it may be set to 11 bits.
  • the first wireless device 100 includes one or more processors 102 and one or more memories 104, and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transceivers 106 and / or one or more antennas 108.
  • the processor 102 controls the memory 104 and / or the transceiver 106 and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the functions, procedures, and / or methods described / proposed above.
  • the processor 102 may process the information in the memory 104 to generate the first information / signal, and then transmit the wireless signal including the first information / signal through the transceiver 106.
  • the processor 102 may receive the radio signal including the second information / signal through the transceiver 106 and store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of the second information / signal in the memory 104.
  • the resource mapper 1050 may map modulation symbols of each antenna port to time-frequency resources.
  • the time-frequency resour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ymbols (eg, CP-OFDMA symbols, DFT-s-OFDMA symbols) in the time domain,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carriers in the frequency domain.
  • CP Cyclic Prefix
  • DAC Digital-to-Analog Converter
  • the controller 120 may be configured as a set of a communication control processor, an application processor,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 graphics processing processor, a memory control processor, and the like.
  • the memory unit 130 may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dynamic RAM (DRAM), read only memory (ROM), flash memory, volatile memory, and non-volatile memory. volatile memory) and / or combinations thereof.
  • the sensor unit 140b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an illumination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 gyro sensor, an inertial sensor, an IR sensor, a fingerprint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optical sensor, a microphone, a radar, and the like.
  • the driver 140c may perform various physical operations such as moving a robot joint.
  • the driving unit 140c may allow the robot 100 to travel on the ground or to fly in the air.
  • the driving unit 140c may include an actuator, a motor, a wheel, a brake, a propeller, and the like.
  • AI devices are fixed devices or mobile devices, such as TVs, projectors, smartphones, PCs, laptop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tablet PCs, wearable devices, set-top boxes, radios, washing machines, refrigerators, digital signage, robots, vehicles, etc. It can be implemented as a possibl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vehicle-to-everything)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V2X 동작에 관련된 자원 풀 설정을 위해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을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하고 및 리스트럭처링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 상에서 상기 V2X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자원의 리스트럭처링에 기반한 V2X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자원의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에 기반한 V2X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3GPP 표준화 단체에서는 5G 무선 통신 시스템인 NR 시스템에서 단일 물리 네트워크 상에 복수의 논리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방안을 고려되고 있다. 상기 논리 네트워크는 다양한 요구 조건을 갖는 서비스 (e.g., eMBB, mMTC, URLLC 등)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하며, NR 시스템의 물리 계층 시스템에서는 상기 다양한 서비스에 따라 가변적인 뉴멀로지(Numerology)를 가질 수 있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지원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NR(New RAT) 시스템에서는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영역마다 서로 독립적인 뉴멀로지를 갖는 OFDM 방식 (또는 Multiple Access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Uu 인터페이스 기반의 통신 (기지국-단말 통신)에서 하향링크로 사용되는 자원의 경우, 해당 자원에서 사이드링크(sidelink)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간섭(interference)으로 인해 퍼포먼스가 매우 떨어질 수 있으므로, Uu 인터페이스 기반의 통신에서 상향링크로 사용되는 자원을 대상으로 사이드링크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자원의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에 기반한 V2X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자원의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에 기반한 V2X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vehicle-to-everything)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V2X 동작에 관련된 자원 풀 설정을 위해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을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하고 및 리스트럭처링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 상에서 상기 V2X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은 셀 특정적으로 설정된 자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은 기 설정된 구간 단위로 리스트럭처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 설정된 구간은 상기 자원 풀 설정을 위한 기본 단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기 설정된 구간은 심볼 단위에 기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 설정된 구간을 구성하는 심볼이 이격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리스트럭처링이 수행되는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의 구간이 상기 기 설정된 구간의 배수가 아닌 경우,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의 상기 구간에서 남는 상향링크 자원은 상기 자원 풀 설정의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 설정된 구간은 사전에 정의되거나 혹은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은 서로 다른 길이로 구성된 구간 단위로 리스트럭처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V2X(vehicle-to-everything)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은,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기(Transceiver) 및 상기 송수신기와 결합하여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V2X 동작에 관련된 자원 풀 설정을 위해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에 대해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하고, 및 리스트럭처링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 상에서 상기 V2X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V2X(vehicle-to-everything)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V2X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되, 상기 V2X 동작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V2X 동작에 관련된 자원 풀 설정을 위해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을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하는 것에 관련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자원의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에 기반하여 V2X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보다 효율적으로 사이드링크를 위한 자원 풀 설정을 위해 V2X 동작이 수행되는 자원을 결정할 수 있기에, 무선 통신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2는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radio protocol architecture)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상향링크(DL/UL) 슬롯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3GPP 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6은 3GPP 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NR이 적용되는 차세대 무선 접속 네트워크(New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NG-RAN)의 시스템 구조를 예시한다.
도 8은 NG-RAN과 5GC 간의 기능적 분할을 예시한다.
도 9는 D2D 동작이 적용되는 시스템 구조를 예시한다.
도 10은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리소스 유닛의 일 예를 도식한 것이다.
도 11은 NR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식한 것이다.
도 12는 NR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에 대한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식한 것이다.
도 13은 V2X 서비스의 종류 및 이에 대한 요구 사항을 개략적으로 도식한 것이다.
도 14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셀 특정적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예의 순서도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 방법의 순서도다.
도 16은 단말이 기 설정된 타임 유닛 단위로 상향링크 자원을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하는 방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식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점에서의 자원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 방법의 순서도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점에서의 자원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 장치의 일례를 도식한 블럭도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관점에서의 V2X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관점에서의 V2X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를 도식한 블록도의 일례다.
도 2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을 예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기기를 예시한다.
도 23은 전송 신호를 위한 신호 처리 회로를 예시한다.
도 2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선 기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2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휴대 기기를 예시한다.
도 2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을 예시한다.
도 2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량을 예시한다.
도 2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XR 기기를 예시한다.
도 2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로봇을 예시한다.
도 3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AI 기기를 예시한다.
이하에서, 별도로 정의되지 않은 용어 또는 약어는, 3GPP TS 36 시리즈 또는 TS 38시리즈에서 정의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이는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LTE-A 시스템이라고도 불릴 수 있다.
E-UTRAN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에게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제공하는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MT(mobile terminal),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20)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 30), 보다 상세하게는 S1-MME를 통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S1-U를 통해 S-GW(Serving Gateway)와 연결된다.
EPC(30)는 MME, S-GW 및 P-GW(Packet Data Network-Gateway)로 구성된다. MME는 단말의 접속 정보나 단말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에 주로 사용된다. S-GW는 E-UTRA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며, P-GW는 PD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다.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 (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기준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 (제1계층), L2 (제2계층), L3(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제1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전송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하며, 제 3계층에 위치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무선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RRC 계층은 단말과 기지국간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도 2는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radio protocol architecture)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사용자 평면은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이고, 제어 평면은 제어신호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물리계층(PHY(physical) layer)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 계층인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전송채널을 통해 MAC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로 데이터가 이동한다. 전송채널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가 어떻게 어떤 특징으로 전송되는가에 따라 분류된다.
서로 다른 물리계층 사이, 즉 송신기와 수신기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채널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변조될 수 있고,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자원으로 활용한다.
MAC 계층의 기능은 논리채널과 전송채널간의 맵핑 및 논리채널에 속하는 MAC SDU(service data unit)의 전송채널 상으로 물리채널로 제공되는 전송블록(transport block)으로의 다중화/역다중화를 포함한다. MAC 계층은 논리채널을 통해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RLC SDU의 연결(concatenation), 분할(segmentation) 및 재결합(reassembly)를 포함한다. 무선베어러(Radio Bearer; RB)가 요구하는 다양한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기 위해, RLC 계층은 투명모드(Transparent Mode, TM), 비확인 모드(Unacknowledged Mode, UM) 및 확인모드(Acknowledged Mode, AM)의 세 가지의 동작모드를 제공한다. AM RLC는 ARQ(automatic repeat request)를 통해 오류 정정을 제공한다.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은 제어 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 베어러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는 단말과 네트워크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1 계층(PHY 계층) 및 제2 계층(MAC 계층, RLC 계층, PDCP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논리적 경로를 의미한다.
사용자 평면에서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의 기능은 사용자 데이터의 전달,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및 암호화(ciphering)를 포함한다. 제어 평면에서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의 기능은 제어 평면 데이터의 전달 및 암호화/무결정 보호(integrity protection)를 포함한다.
RB가 설정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RB는 다시 SRB(Signaling RB)와 DRB(Data RB) 두가지로 나누어 질 수 있다. SRB는 제어 평면에서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되며, DRB는 사용자 평면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된다.
단말의 RRC 계층과 E-UTRAN의 RRC 계층 사이에 RRC 연결(RRC Connection)이 확립되면, 단말은 RRC 연결(RRC connected) 상태에 있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RRC 아이들(RRC idle) 상태에 있게 된다.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링크 전송채널로는 시스템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과 그 이외에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링크 SCH(Shared Channel)이 있다. 하향링크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메시지의 경우 하향링크 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링크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와 그 이외에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전송채널 상위에 있으며, 전송채널에 매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은 시간 영역에서 여러 개의 OFDM 심벌과 주파수 영역에서 여러 개의 부반송파(Sub-carrier)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Sub-frame)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벌(Symbol)들로 구성된다. 자원블록은 자원 할당 단위로, 복수의 OFDM 심벌들과 복수의 부반송파(sub-carrier)들로 구성된다. 또한 각 서브프레임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즉, L1/L2 제어채널을 위해 해당 서브프레임의 특정 OFDM 심벌들(예, 첫번째 OFDM 심볼)의 특정 부반송파들을 이용할 수 있다.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서브프레임 전송의 단위시간이다.
도 4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상향링크(DL/UL) 슬롯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도 4는 3GPP LTE(-A) 시스템의 자원격자(resource grid)의 구조를 나타낸다. 안테나 포트당 1개의 자원격자가 있다.
슬롯은 시간 도메인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OFDM 심볼은 일 심볼 구간을 의미하기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슬롯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NDL /UL RB*NRB sc개의 부반송파(subcarrier)와 NDL/UL symb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는 자원격자(resource grid)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NDL RB은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의 개수를 나타내고, NUL RB은 UL 슬롯에서의 RB의 개수를 나타낸다. NDL RB와 NUL RB은 DL 전송 대역폭과 UL 전송 대역폭에 각각 의존한다. NDL symb은 하향링크 슬롯 내 OFDM 심볼의 개수를 나타내며, NUL symb은 UL 슬롯 내 OFDM 심볼의 개수를 나타낸다. NRB sc는 하나의 RB를 구성하는 부반송파의 개수를 나타낸다.
OFDM 심볼은 다중 접속 방식에 따라 OFDM 심볼, SC-FDM 심볼 등으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채널 대역폭, CP의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normal) CP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나, 확장(extended) CP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6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슬롯이 7 OFDM 심볼로 구성되는 서브프레임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른 개수의 OFDM 심볼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도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OFDM 심볼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NDL /UL RB*NRB sc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부반송파의 유형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부반송파, 참조신호의 전송 위한 참조신호 부반송파, 가드 밴드(guard band) 및 DC 성분을 위한 널 부반송파로 나뉠 수 있다. DC 성분을 위한 널 부반송파는 미사용인 채 남겨지는 부반송파로서, OFDM 신호 생성 과정 혹은 주파수 상향변환 과정에서 반송파 주파수(carrier freqeuncy, f0)로 맵핑된다. 반송파 주파수는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라고도 한다.
일 RB는 시간 도메인에서 NDL /UL symb개(예를 들어, 7개)의 연속하는 OFDM 심볼로서 정의되며, 주파수 도메인에서 NRB sc개(예를 들어, 12개)의 연속하는 부반송파에 의해 정의된다. 참고로, 하나의 OFDM 심볼과 하나의 부반송파로 구성된 자원을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 혹은 톤(tone)이라고 한다. 따라서, 하나의 RB는 NDL/UL symb*NRB sc개의 자원요소로 구성된다. 자원격자 내 각 자원요소는 일 슬롯 내 인덱스 쌍 (k, 1)에 의해 고유하게 정의될 수 있다. k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0부터 NDL/UL RB*NRB sc-1까지 부여되는 인덱스이며, l은 시간 도메인에서 0부터 NDL /UL symb-1까지 부여되는 인덱스이다.
일 서브프레임에서 NRB sc개의 연속하는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면서, 상기 서브프레임의 2개의 슬롯 각각에 1개씩 위치하는 2개의 RB를 물리자원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 쌍이라고 한다. PRB 쌍을 구성하는 2개의 RB는 동일한 PRB 번호(혹은, PRB 인덱스라고도 함)를 갖는다. VRB는 자원할당을 위해 도입된 일종의 논리적 자원할당 단위이다. VRB는 PRB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VRB를 PRB로 맵핑하는 방식에 따라, VRB는 로컬라이즈(localized) 타입의 VRB와 분산(distributed) 타입의 VRB로 구분된다. 로컬라이즈 타입의 VRB들은 PRB들에 바로 맵핑되어, VRB 번호(VRB 인덱스라고도 함)가 PRB 번호에 바로 대응된다. 즉, nPRB=nVRB가 된다. 로컬라이즈 타입의 VRB들에는 0부터 NDL VRB-1 순으로 번호가 부여되며, NDL VRB=NDL RB이다. 따라서, 로컬라이즈 맵핑 방식에 의하면, 동일한 VRB 번호를 갖는 VRB가 첫 번째 슬롯과 두 번째 슬롯에서, 동일 PRB 번호의 PRB에 맵핑된다. 반면, 분산 타입의 VRB는 인터리빙을 거쳐 PRB에 맵핑된다. 따라서, 동일한 VRB 번호를 갖는 분산 타입의 VRB는 첫 번째 슬롯과 두 번째 슬롯에서 서로 다른 번호의 PRB에 맵핑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의 두 슬롯에 1개씩 위치하며 동일한 VRB 번호를 갖는 2개의 PRB를 VRB 쌍이라 칭한다.
도 5는 3GPP 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DL 서브프레임은 시간 도메인에서 제어영역과 데이터영역으로 구분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에서 앞부분에 위치한 최대 3(혹은 4)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제어영역(control region)에 대응한다. 이하, DL 서브프레임에서 PDCCH 전송에 이용가능한 자원영역을 PDCCH 영역이라 칭한다. 제어영역으로 사용되는 OFDM 심볼(들)이 아닌 남은 OFDM 심볼들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데이터영역(data region)에 해당한다. 이하, DL 서브프레임에서 PDSCH 전송에 이용가능한 자원영역을 PDSCH 영역이라 칭한다. 3GPP LTE에서 사용되는 DL 제어 채널의 예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등을 포함한다. PCFICH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어 채널의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나른다. PHICH는 UL 전송의 응답으로 HARQ ACK/NACK(acknowledgment/negative-acknowledgment) 신호를 나른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라고 지칭한다. DCI는 UE 또는 UE 그룹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및 다른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DCI는 DL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 DL-SCH)의 전송 포맷 및 자원 할당 정보, UL 공유 채널(uplink shared channel, UL-SCH)의 전송 포맷 및 자원 할당 정보,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PCH) 상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에서 전송되는 랜덤 접속 응답과 같은 상위-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정보, UE 그룹 내의 개별 UE들에 대한 Tx 파워 제어 명령 세트, Tx 파워 제어 명령, VoIP(Voice over IP)의 활성화 지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일 PDCCH가 나르는 DCI는 DCI 포맷에 따라서 그 크기와 용도가 다르며, 부호화율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PDCCH가 DL 서브프레임의 PDCCH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UE는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BS는 UE에게 전송될 DCI에 따라 DCI 포맷을 결정하고, DCI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부가한다. CRC는 PDCCH의 소유자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식별자(예,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로 마스킹(또는 스크램블)된다. 예를 들어, PDCCH가 특정 UE을 위한 것일 경우, 해당 UE의 식별자(예, cell-RNTI (C-RNTI))가 CRC에 마스킹 될 수 있다. PDCCH가 페이징 메시지를 위한 것일 경우, 페이징 식별자(예, paging-RNTI (P-RNTI))가 CRC에 마스킹 될 수 있다. PDCCH가 시스템 정보(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를 위한 것일 경우, SI-RNTI(system information RNTI)가 CRC에 마스킹 될 수 있다. PDCCH가 랜덤 접속 응답을 위한 것일 경우, RA-RNTI(random access-RNTI)가 CRC에 마스킹 될 수 있다. CRC 마스킹(또는 스크램블)은 예를 들어 비트 레벨에서 CRC와 RNTI를 XOR 연산하는 것을 포함한다.
PDCCH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된 제어 채널 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들의 집성(aggregation) 상에서 전송된다. CCE는 PDCCH에 무선 채널 상태에 기초한 코딩 레이트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논리적 할당 유닛이다. CCE는 복수의 자원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 REG)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CCE는 9개의 REG에 대응되고 하나의 REG는 4개의 RE에 대응한다. 4개의 QPSK 심볼이 각각의 REG에 맵핑된다. 참조신호(RS)에 의해 점유된 자원요소(RE)는 REG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주어진 OFDM 심볼 내에서 REG의 개수는 RS의 존재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REG 개념은 다른 DL 제어채널(즉, PCFICH 및 PHICH)에도 사용된다. DCI 포맷 및 DCI 비트의 개수는 CCE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CCE들은 번호가 매겨져 연속적으로 사용되고, 복호 프로세스를 간단히 하기 위해, n개 CCE들로 구성된 포맷을 가지는 PDCCH는 n의 배수에 해당하는 번호를 가지는 CCE에서만 시작될 수 있다. 특정 PDCCH의 전송에 사용되는 CCE의 개수, 다시 말해, CCE 집성 레벨은 채널 상태에 따라 BS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좋은 DL 채널을 가지는 UE(예, BS에 인접함)를 위한 PDCCH의 경우 하나의 CCE로도 충분할 수 있다. 그러나, 열악한 채널을 가지는 UE(예, 셀 경계에 근처에 존재)를 위한 PDCCH의 경우 충분한 로버스트(robustness)를 얻기 위해서는 8개의 CCE가 요구될 수 있다.
도 6은 3GPP 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UL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어영역과 데이터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 또는 여러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를 나르기 위해, 상기 제어영역에 할당될 수 있다. 하나 또는 여러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가 사용자 데이터를 나르기 위해, UL 서브프레임의 데이터영역에 할당될 수 있다. UL 서브프레임 내 제어영역과 데이터영역은 PUCCH 영역과 PUSCH 영역으로 각각 불리기도 한다.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사운딩 참조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가 할당될 수도 있다. SRS는 시간 도메인에서는 UL 서브프레임의 가장 마지막에 위치하는 OFDM 심볼, 주파수 도메인에서는 상기 UL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전송 대역, 즉, 데이터영역 상에서 전송된다. 동일한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OFDM 심볼에서 전송/수신되는 여러 UE들의 SRS들은 주파수 위치/시퀀스에 따라 구분이 가능하다.
UE가 UL 전송에 SC-FDMA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 단일 반송파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3GPP LTE 릴리즈(release) 8 혹은 릴리즈 9 시스템에서는, 일 반송파 상에서는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전송할 수 없다. 3GPP LTE 릴리즈 10 시스템에서는, PUCCH와 PUSCH의 동시 전송 지원 여부가 상위 계층에서 지시될 수 있다.
UL 서브프레임에서는 DC(Direct Current) 부반송파를 기준으로 거리가 먼 부반송파들이 제어영역으로 활용된다. 다시 말해, UL 전송 대역폭의 양쪽 끝부분에 위치하는 부반송파들이 상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에 할당된다. DC 부반송파는 신호 전송에 사용되지 않고 남겨지는 성분으로, 주파수 상향변환 과정에서 반송파 주파수 f0로 맵핑된다. 일 UE에 대한 PUCCH는 일 서브프레임에서, 일 반송파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자원들에 속한 RB 쌍에 할당되며, 상기 RB 쌍에 속한 RB들은 두 개의 슬롯에서 각각 다른 부반송파를 점유한다. 이와 같이 할당되는 PUCCH를, PUCCH에 할당된 RB 쌍이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 호핑된다고 표현한다. 다만, 주파수 호핑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RB 쌍이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한다.
이하, 새로운 무선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 new RAT)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새로운 무선 접속 기술은 NR(new radio)라 약칭할 수도 있다.
더욱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기존의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에 비해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mobile broadband) 통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기기 및 사물들을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시브 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역시 차세대 통신에서 고려될 주요 이슈 중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신뢰도(reliability) 및 지연(latency)에 민감한 서비스/단말을 고려한 통신 시스템 디자인이 논의되고 있다. 이와 같이 확장된 모바일 브로드밴드 커뮤니케이션(enhanced mobile broadband communication), massive MTC,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등을 고려한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해당 기술(technology)을 new RAT 또는 NR이라고 부른다.
도 7은 NR이 적용되는 차세대 무선 접속 네트워크(New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NG-RAN)의 시스템 구조를 예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NG-RAN은, 단말에게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termination)을 제공하는 gNB 및/또는 eN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gNB만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gNB 및 eNB는 상호 간에 Xn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있다. gNB 및 eNB는 5세대 코어 네트워크(5G Core Network: 5GC)와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과는 NG-C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고, UPF(user plane function)과는 NG-U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도 8은 NG-RAN과 5GC 간의 기능적 분할을 예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gNB는 인터 셀 간의 무선 자원 관리(Inter Cell RRM), 무선 베어러 관리(RB control), 연결 이동성 제어(Connection Mobility Control), 무선 허용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측정 설정 및 제공(Measurement configuration & Provision), 동적 자원 할당(dynamic resource allocation)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AMF는 NAS 보안, 아이들 상태 이동성 처리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UPF는 이동성 앵커링(Mobility Anchoring), PDU 처리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는 단말 IP 주소 할당, PDU 세션 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 D2D (device-to-device) 동작>
이하, 단말간 직접 통신(D2D;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기법에 대한 요소들을 설명한다.
도 9는 D2D 동작이 적용되는 시스템 구조를 예시한다.
도 9에서 UE는 사용자의 단말을 의미하지만, eNB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가 UE 사이의 통신 방식에 따라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eNB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 또한 일종의 UE로 간주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UE1은 일련의 자원의 집합을 의미하는 리소스 풀(resource pool) 내에서 특정한 자원에 해당하는 리소스 유닛(resource unit)을 선택하고, 해당 resource unit을 사용하여 D2D 신호를 송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송신에 대한 수신 UE인 UE2는, UE1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리소스 풀을 설정(configure)받고 해당 풀(pool)내에서 UE1의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리소스 풀은, UE1이 기지국의 연결 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기지국이 알려줄 수 있으며, 기지국의 연결 범위 밖에 있는 경우에는 다른 UE가 알려주거나 혹은 사전에 정해진 자원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리소스 풀은 복수의 리소스 유닛으로 구성되며, 각 UE는 하나 혹은 복수의 리소스 유닛을 선정하여,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유닛을 자신의 D2D 신호 송신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리소스 유닛의 일 예를 도식한 것이다.
도 10의 예시는, 전체 주파수 자원이 NF개로 분할되고 전체 시간 자원이 NT개로 분할되어, 총 NF*NT 개의 리소스 유닛이 정의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도 10의 예시에서는 해당 리소스 풀이 NT 서브프레임(subframe)을 주기로 반복된다고 할 수 있다. 특징적으로 한 리소스 유닛은 도 10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나타날 수 있다. 혹은 시간이나 주파수 차원에서의 다이버시티(diversity) 효과를 얻기 위해서, 하나의 논리적인 리소스 유닛이 매핑(mapping)되는 물리적 리소스 유닛의 인덱스(index)가 시간에 따라서 사전에 정해진 패턴(pattern)으로 변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리소스 유닛 구조에 있어서, 리소스 풀은 D2D 신호를 송신하고자 하는 UE가 송신에 사용할 수 있는 리소스 유닛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리소스 풀은 여러 종류로 세분화될 수 있다. 먼저 각 리소스 풀에서 전송되는 D2D 신호의 컨텐츠(content)에 따라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아래와 같이 D2D 신호의 컨텐츠는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에 대하여 별도의 리소스 풀이 설정될 수도 있다.
- 스케줄링 어사인먼트(Scheduling assignment; SA) 또는 D2D(sidelink) 컨트롤 채널:
각 송신 UE가 후행 하거나, 같은 서브프레임(SF)에 전송되는 D2D 데이터 채널의 리소스의 위치 및 그 외 데이터 채널의 복조를 위해서 필요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나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 방식,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
이 신호는 동일 리소스 유닛 상에서 D2D 데이터와 함께 멀티플랙스(multiplex)되어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SA 리소스 풀이란 SA가 D2D 데이터와 멀티플랙스되어 전송되는 리소스의 풀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다른 이름으로 D2D (sidelink) 컨트롤 채널로 불릴 수도 있다.
- D2D 데이터 채널:
SA를 통하여 지정된 리소스를 사용하여 송신 UE가 유저 데이터(user data)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리소스의 풀.
만일 동일 리소스 유닛 상에서 D2D 데이터와 함께 멀티플랙스되어 전송되는 것도 가능한 경우에는, D2D 데이터 채널을 위한 리소스 풀에서는 SA 정보를 제외한 형태의 D2D 데이터 채널만이 전송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SA 리소스 풀내의 개별 리소스 유닛상에서 SA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었던 리소스 엘리먼트(resource element)를 D2D 데이터 채널 리소스 풀에서는 여전히 D2D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 Discovery channel:
송신 UE가 자신의 ID등의 정보를 전송하여 인접 UE로 하여금 자신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message를 위한 리소스 풀.
이상에서 설명한 D2D 신호의 컨텐츠가 동일한 경우에도 D2D 신호의 송수신 속성에 따라서 상이한 리소스 풀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동일한 D2D 데이터 채널이나 디스커버리 메시지(discovery message)라 하더라도 D2D 신호의 송신 타이밍 결정 방식(예를 들어 동기 기준 신호의 수신 시점에서 송신되는지 아니면 거기에서 일정한 타이밍 어드밴스를 적용하여 전송되는지)이나, 자원 할당 방식(예를 들어 개별 신호의 전송 자원을 eNB가 개별 송신 UE에게 지정해주는지 아니면 개별 송신 UE가 풀 내에서 자체적으로 개별 신호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지), 시그널 포맷(signal format)(예를 들어 각 D2D 신호가 한 서브프레임에서 차지하는 심볼의 개수나, 한 D2D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subframe의 개수), eNB로부터의 신호 세기, 또는 D2D UE의 송신 전력 세기 등에 따라서, 다시 상이한 리소스 풀로 구분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D2D 커뮤니케이션에서 eNB가 D2D송신 UE의 송신 자원을 직접 지시하는 방법을 Mode 1, 전송 자원 영역이 사전에 설정되어 있거나, eNB가 전송 자원 영역을 지정하고, UE가 직접 송신 자원을 선택하는 방법을 Mode 2라 부르기로 한다.
D2D 디스커버리의 경우에는 eNB가 직접 자원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Type 2, 사전에 설정된 자원영역 혹은 eNB가 지시한 자원 영역에서 UE가 직접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경우는 Type 1이라 부르기로 한다.
상기 언급한 D2D는 사이드링크(sidelink)라고 불릴 수도 있으며, SA는 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CCH), D2D synchronization signal은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SSS), SSS와 함께 전송되는 D2D통신이전에 가장 기본적인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을 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 (PSBCH), 혹은 다른 이름으로 PD2DSCH (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이라고 부를 수 있다.
특정 단말이 자신이 주변에 있음을 알리기 위한 신호, 이때 이 신호에는 특정 단말의 ID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채널을 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 (PSDCH)라 부를 수 있다.
Rel. 12 D2D에서는 D2D 커뮤니케이션 UE만이 PSBCH를 SSS와 함께 전송하였고, 이로 인하여, SSS의 측정(measurement)은 PSBCH의 DMRS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out-커버리지 UE는 PSBCH의 DMRS를 측정(measure)하여보고, 이 신호의 RSRP등을 측정하여 자신이 동기화 소스(synchronization source)가 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 NR (New RAT)>
더욱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기존의 RAT(radio access technology)에 비해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mobile broadband) 통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기기 및 사물들을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시브(massive)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s) 역시 차세대 통신에서 고려될 주요 이슈 중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신뢰도(reliability) 및 레이턴시(latency)에 민감한 서비스/UE 를 고려한 통신 시스템 디자인이 논의되고 있다.
이와 같이 확대된 모바일 브로드밴드 커뮤니케이션(enhanced mobile broadband communication), 매시브(massive) MTC,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등을 고려한 차세대 RAT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해당 기술(technology)을 NR 이라고 부른다.
< NR에 대한 프레임 구조>
도 11은 NR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식한 것이다.
도 11에 따르면, NR 의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는 하나의 프레임 단위 내에 DL 컨트롤 채널, DL or UL 데이터, UL 컨트롤 채널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는 self-contained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이 때, DL 컨트롤 채널 에서는 DL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 UL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 등이 전송될 수 있고, UL 컨트롤 채널 에서는 DL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정보, CSI 정보(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정보, MIMO 전송 관련 정보 등), 스케줄링 리퀘스트 등이 전송될 수 있다.
도 11에서 컨트롤 영역과 데이터 영역 사이에는 DL-to-UL 혹은 UL-to-DL 스위칭(switching)을 위한 타임 갭(time gap)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프레임 내에 DL 컨트롤/DL 데이터/UL 데이터/UL 컨트롤 중 일부는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혹은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채널(일 예로, DL 컨트롤/DL 데이터/UL 컨트롤/UL 데이터 or UL 컨트롤/UL 데이터/DL 컨트롤/DL 데이터 등)별 순서가 달라질 수 있다.
도 11의 예시와 함께 설명한 NR 시스템의 프레임 스트럭쳐(frame structure)는 도 12와 같은 4 가지 타입(Type)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도 12는 NR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에 대한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식한 것이다.
- 타입 A: DL 컨트롤 + DL 데이터
즉, 타입 A에 따르면, 하나의 슬롯(혹은 프레임)은 DL 컨트롤 영역과 DL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 타입 B: UL 데이터 + UL 컨트롤
즉, 타입 B에 따르면, 하나의 슬롯(혹은 프레임)은 UL 데이터 영역과 UL 컨트롤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UL 컨트롤은 다이나믹(dynamic) 하게 생략될 수 있다.
- 타입 C: DL 컨트롤 + DL 데이터 + GP(guard period) + UL 컨트롤
즉, 타입 C에 따르면, 하나의 슬롯(혹은 프레임)은 DL 컨트롤 영역, DL 데이터 영역, GP(guard period) 영역 및 UL 컨트롤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 타입 D: DL 컨트롤 + GP + UL 데이터 + UL 컨트롤
즉, 타입 D에 따르면, 하나의 슬롯(혹은 프레임)은 DL 컨트롤 영역, GP 영역, UL 데이터 영역, UL 컨트롤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UL 데이터와 UL 컨트롤의 위치는 바뀔 수 도 있고, 혹은 UL 컨트롤은 다이나믹 하게 생략될 수 도 있다.
<Analog beamforming >
mmW에서는 파장이 짧아져서 동일 면적에 다수개의 안테나 설치가 가능해 진다. 즉 30GHz 대역에서 파장은 1cm로써 5 by 5 cm의 패널(panel)에 0.5 lambda(파장) 간격으로 2-차원(dimension) 배열 형태로 총 100개의 안테나 엘리먼트(element) 설치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mmW에서는 다수개의 안테나 element를 사용하여 빔포밍(beamforming; BF) 이득을 높여 커버리지를 증가시키거나, 쓰루풋(throughput)을 높이려고 한다.
이 경우에 안테나 엘리먼트 별로 전송 파워 및 위상 조절이 가능하도록 TXRU(transceiver unit)을 가지면 주파수 자원 별로 독립적인 빔포밍 이 가능하다. 그러나 100여개의 안테나 엘리먼트 모두에 TXRU를 설치하기에는 가격측면에서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TXRU에 다수개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맵핑하고 아날로그 페이즈 쉬프터(analog phase shifter)로 빔(beam)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식이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아날로브 빔포밍(analog beamforming) 방식은 전 대역에 있어서 하나의 빔 방향만을 만들 수 있어 주파수 선택적 beaming을 해줄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디지털 빔포밍(Digital BF)와 아날로그 빔포밍(analog BF)의 중간 형태로 Q개의 안테나 엘리먼트보다 적은 개수인 B개의 TXRU를 갖는 하이브리드 빔포밍(hybrid BF)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 B개의 TXRU와 Q개의 안테나 엘리먼트의 연결 방식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빔의 방향은 B개 이하로 제한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D2D 통신을 확장하여 차량 간의 신호 송수신에 적용할 수 있으며, 차량 (VEHICLE)과 관련된 통신을 특별히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이라고 부른다. V2X에서 'X'라는 용어는 PEDESTRIAN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DEVICE CARRIED BY AN INDIVIDUAL(예: HANDHELD TERMINAL CARRIED BY A PEDESTRIAN, CYCLIST, DRIVER OR PASSENGER), 이 때, V2X는 V2P로 표시할 수 있다), VEHICLE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V2V), INFRASTRUCTURE/NETWORK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ROADSIDE UNIT (RSU)/NETWORK (예) RSU IS A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ENTITY (예) AN ENTITY TRANSMITTING SPEED NOTIFICATIONS) IMPLEMENTED IN AN eNB OR A STATIONARY UE)) (V2I/N) 등을 의미한다. 보행자(혹은 사람)가 소지한 (V2P 통신 관련) 디바이스를 "P-UE"로 명명하고, 차량(VEHICLE)에 설치된 (V2X 통신 관련) 디바이스를 "V-UE"로 명명한다. 본 발명에서 '엔티티(ENTITY)' 용어는 P-UE, V-UE, RSU(/NETWORK/INFRASTRUCTURE) 중 적어도 하나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V2X 통신 모드는 (대표적으로) (A) 기지국 지시 기반으로 동작하는 모드(예컨대, LTE(A)에 따를 경우에는, ((기지국(/네트워크)으로부터)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V2X 자원 풀 상에서) V2X 메시지 송(/수신) 관련 스케줄링 정보를 기지국이 시그널링(/제어)하는 모드 (MODE#3) (예를 들어, 기지국 통신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그리고/혹은 RRC_CONNECTED 상태의) 단말이 주된 대상임)) 그리고/혹은 (B) 단말이 자유도를 가지고 센싱 등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모드(예컨대 LTE(A)에 따를 경우에는, ((기지국(/네트워크)으로부터)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V2X 자원 풀 상에서) V2X 메시지 송(/수신) 관련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이 (독자적으로) 결정(/제어)하는 모드 (MODE#4) (예를 들어, 기지국 통신 커버리지 내/밖에 위치한 (그리고/혹은 RRC_CONNECTED/IDLE 상태의) 단말이 주된 대상임))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본 발명에서 “센싱 동작” 워딩은 (디코딩 성공한 PSCCH가 스케줄링하는) PSSCH DM-RS SEQUENCE 기반의 PSSCH-RSRP 측정 동작 그리고/혹은 (V2X 자원 풀 관련 서브채널 기반의) S-RSSI 측정 동작 등으로 해석될 수 도 있다.
이하, V2X 서비스의 종류 및 이에 대한 요구 사항에 대해 도면을 통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V2X 서비스의 종류 및 이에 대한 요구 사항을 개략적으로 도식한 것이다.
도 13에 따르면, V2X에서 지원되는 서비스의 종류는 레이턴시 및 신뢰도를 한 축(즉, 도 13에서의 세로 축)으로 하고, 데이터 레이트를 나머지 한 축(즉, 도13에서의 가로 축)으로 하는 그래프로써 표현될 수 있다.
우선, V2X에서 지원되는 서비스의 종류에 대한 일례로, E2E(end-to-end) 100msec 미만의 레이턴시, 10-1 에러 레이트(error rate) 미만의 신뢰도 및/또는 비클(vehicle) 당 100kbps 미만의 데이터 레이트가 요구되는, 베이직 로드 세이프티(Basic road safety)(1310) 및/또는 베이직 인포테인먼트(Basic infotainment)(1320)와 같은 사용 케이스(use case)가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직 로드 세이프티(Basic road safety)(1310)에 대한 예시에는, 순방향 충돌 경고(forward collision warning)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베이직 인포테인먼트(Basic infotainment)(1320)에 대한 예시에는, 교통 흐름 최적화(traffic flow optimiz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V2X에서 지원되는 서비스의 종류에 대한 다른 예로, E2E(end-to-end) 10msec 미만의 레이턴시, 10-4 에러 레이트(error rate) 미만의 신뢰도, 비클(vehicle) 당 1000Mbps 미만의 데이터 레이트 및/또는 단말들 간 0.1m의 상대적 위치 정확도가 요구되는, 자동 운전(Automated driving)(1330), 센서 데이터 디스세미네이션(Sensor data dissemination)(1340), 및/또는 어드밴스드 인포테인먼트(Advanced infotainment)(1350)와 같은 사용 케이스가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 운전(Automated driving)(1330)에 대한 예시에는, 협동 충돌 회피(cooperative collision avoidance), 원격 주행(remote driving), 고밀도 플래투닝(high-density platooning)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센서 데이터 디스세미네이션(Sensor data dissemination)(1340)에 대한 예시에는, 집단적 인식(collective percep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어드밴스드 인포테인먼트(Advanced infotainment)(1350)에 대한 예시에는, 동적 지도 업데이트(dynamic map update), 고품질 멀티미디어(high-quality multimedia), 증강 현실 네비게이션(augmented reality navig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사용 케이스(use case)를 지원할 수 있는데, 예컨대, 자율주행차량, 스마트 카(smart car) 혹은 컨넥티드 카(connected car) 등의 통신을 위한 서비스를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위해 각 차량은 통신 가능한 단말로서 정보를 주고 받게 되고, 상황에 따라 기지국의 도움을 받거나 혹은 기지국 도움 없이 통신을 위한 자원을 선택하고 단말 간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차량사물통신에서 자원 풀 설정(resource pool configuration)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의 발명사항 그리고/혹은 실시 예는 하나의 제안 방식으로 간주될 수도 있지만, 각 발명사항 그리고/혹은 실시 예 간의 조합 또한 새로운 방식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발명 사항이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정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모든 (파라미터) 그리고/혹은 (동작) 그리고/혹은 (각 파라미터 그리고/혹은 동작 간의 조합) 그리고/혹은 (해당 파라미터 그리고/혹은 동작의 적용 여부) 그리고/혹은 (각 파라미터 그리고/혹은 동작 간의 조합의 적용 여부)의 경우 기지국이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 그리고/혹은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physical layer signaling)을 통해 (미리)설정 하거나 사전에 시스템에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TTI는 서브-슬롯(sub-slot)/슬롯(slot)/서브프레임(subframe) 혹은 전송 기본 단위인 베이직 유닛(basic unit) 등 다양한 길이의 단위에 대응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단말은 차량, 페데스트리언(pedestrian) 단말 등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에 대응될 수 있다.
현재 NR의 경우 TDD 기반으로 동작하고, 해당 TDD 관련 설정(configuration)을 보다 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설정 방법이 정의되어 있다. NR에서 14 심볼로 정의되는 슬롯은 다양한 구성으로 (예를 들어, 상향링크 심볼(들), 하향링크 심볼(들), 그리고 플랙서블 심볼(들)) 설정될 수 있는데, 이하에선, TDD 관련 설정을 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예를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셀 특정적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예의 순서도다.
도 14에 따르면, 단말은 기지국을 통해 셀 특정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410). 여기서, 단말은 셀 특정적(cell specific)한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즉, 셀 특정적 정보)을 통해 반-고정적(semi-static)하게 상향링크(uplink), 하향링크(downlink), 그리고 플랙서블(flexible) 심볼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셀 특정적 정보는 TS 38시리즈의 예를 따르면, 예컨대, 'TDD-UL-DL-ConfigurationCommon'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단말은, 단말 특정적(UE specific)한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셀 특정적하게 설정된 플랙서블 심볼에 대해 추가적인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특정 포맷(format)의 DCI를 통해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으로 설정된 플랙서블 심볼 영역에 대해 동적으로 심볼을 구성할 수 있다.
단말은 단말에게 설정된 상향링크 심볼, 하향링크 심볼, 또는 플랙서블 심볼 상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1420).
여기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는 슬롯 포맷에 대한 예시는 아래 표 1과 같을 수 있다. 이때의 슬롯 포맷은 예컨대 노멀 CP일 때의 슬롯 포맷에 해당할 수 있다.
[표 1]
Figure PCTKR2019009677-appb-I000001
Figure PCTKR2019009677-appb-I000002
표 1에서, D는 하향링크(downlink) 심볼을 의미하고, U는 상향링크(uplink) 심볼을 의미하며, 그리고 F는 플렉서블(flexible) 심볼을 의미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표 1을 기준으로 슬롯 포맷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슬롯 포맷 0의 경우, 하나의 슬롯 안에 존재하는 심볼들 전체(즉, 심볼 0부터 심볼 13까지)가 하향링크 심볼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슬롯 포맷 1의 경우, 하나의 슬롯 안에 존재하는 심볼들 전체가 업링크 심볼임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슬롯 포맷 55의 경우, 심볼 0, 심볼 1, 심볼 8 내지 심볼 13까지는 하향링크 심볼이고, 심볼 2 내지 심볼 4까지는 플렉서블 심볼, 심볼 5 내지 심볼 7까지는 업링크 심볼일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동작하는 사이드링크를 위한 리소스 풀 설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Uu 인터페이스 기반의 통신 (기지국-단말 통신)에서 하향링크로 사용되는 자원의 경우, 해당 자원에서 사이드링크(sidelink)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간섭(interference)으로 인해 퍼포먼스가 매우 떨어질 수 있으므로, Uu 인터페이스 기반의 통신에서 상향링크로 사용되는 자원을 대상으로 사이드링크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단, 사이드링크 통신은 기지국과 통신이 가능한 인-커버리지 단말과 기지국과의 통신 영역 밖에 존재하는 아웃-커버리지 단말을 모두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리소스 풀(resource pool) 정보가 상기 인-커버리지/아웃-커버리지 단말 간 공유될 필요가 있다.
이 때 아웃-커버리지 단말의 경우 동적으로 리소스 풀을 설정 받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간단한게는 반-고정적하게 셀 특정적하게 설정된 UL 자원을 대상으로 사이드링크를 위한 리소스 풀을 설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예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해당 상황을 가정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항은 반-고정적하게 셀 특정적하게 설정된 UL 자원에서의 동작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플랙서블 심볼로 설정된 영역까지 포함해서 사이드링크를 위한 리소스 풀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하, 셀 특정적하게 반-고정적 UL 자원이 설정될 때, 해당 반-고정적 UL 영역을 일정 시간 구간(time duration)(예컨대, 다수개의 심볼 단위)으로 나누어 사이드링크를 위한 자원 풀 설정을 위해 리스트럭처링하는 예를,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아래의 단말(예컨대, 장치)는, 아래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이동 단말기, 네트워크 및 상기 장치 이외의 자율 주행 차량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는, (자율 주행) 장치일 수 있다.
혹은, 상기 장치는 장치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신호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기능을 구현하는, (자율 주행) 장치일 수 있다.
혹은, 상기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장치의 주행 모드를 자율 주행 모드에서 수동 주행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수동 주행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하는, (자율 주행) 장치일 수 있다.
혹은, 상기 장치는 외부 오브젝트 정보를 기반으로 자율 주행하되, 상기 외부 오브젝트 정보는 오브젝트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 상기 장치와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기 장치와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장치일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 방법의 순서도다.
도 15에 따르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V2X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510). 여기서 예컨대, V2X 동작에 관련된 정보는 앞서 설명했던,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는 정보(예컨대, 셀 특정적 설정 정보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V2X 동작에 관련된 정보는 단말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혹은 물리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이때, V2X 동작에 관련된 정보는 전용 시그널링 또는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응용 계층 시그널링(application layer signaling), L3 시그널링, L2 시그널링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 계층 시그널링은 L1 시그널링일 수 있다.
한편, V2X 동작에 관련된 정보는 반드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단말에는 V2X 동작에 관련된 정보가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했던 예시에 더하여, V2X 동작에 관련된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단말은 V2X 동작에 관련된 자원 풀 설정을 위해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을 리스트럭처링할 수 있다(S1520).
여기서 예컨대,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은 기 설정된 구간 단위(예컨대, 타임 유닛(time unit))로 리스트럭처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 설정된 구간은 상기 자원 풀 설정을 위한 기본 단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구간은 심볼 단위에 기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구간을 구성하는 심볼이 이격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리스트럭처링이 수행되는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의 구간이 상기 기 설정된 구간의 배수가 아닌 경우,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의 상기 구간에서 남는 상향링크 자원은 상기 자원 풀 설정의 대상에서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구간은 사전에 정의되거나 혹은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될 수도 있다. 이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16은 단말이 기 설정된 타임 유닛 단위로 상향링크 자원을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하는 방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식한 것이다.
도 16에 따르면, 각각의 슬롯에는 서로 상향링크 심볼이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슬롯은 서로 다른 개수의 상향링크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의 슬롯에 서로 다른 개수의 상향링크 심볼이 포함되는 예를 도식하였으나, 각각의 슬롯에 동일한 개수의 상향링크 심볼이 포함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예시에 해당한다. 이 뿐만이 아니라, 어떤 슬롯의 경우에는, 상향링크 심볼이 전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은 V2X 동작(예컨대, 사이드링크 동작)을 위한 자원 풀 설정을 위해, 각각의 슬롯에 포함된 상향링크 자원들을, 일정한 개수 단위로(예컨대, 도 16에서의 타임 유닛으로) 리스트럭처링 할 수 있다.
도 16의 예에서는, 첫 번째 슬롯에는 상향링크 심볼이 두 개 포함되어 있고, 두 번째 슬롯에는 상향링크 심볼이 세 개 포함되어 있고, 세 번째 슬롯에는 상향링크 심볼이 네 개 포함되어 있을 경우, 각각의 슬롯에 포함되어 있는 상향링크 심볼들을 다섯 개의 심볼 단위(즉, 도 16에서의 타임 유닛)로 리스트럭처링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이 각각의 슬롯에 포함된 상향링크 자원들을 일정한 개수 단위로 리스트럭처링한다는 것은, 논리적 측면에서 상향링크 자원들을 리스트럭처링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5로 돌아와서, 다시 말해, Uu 인터페이스에서 설정된 반-고정적 UL 자원을 일정 길이의 타임 유닛 단위로 나누어, 사이드링크를 위한 자원 풀 설정을 위한 기본 단위로 새롭게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반-고정적 설정이 유효한 구간 내에 이격되어 구성된 UL 자원 전체 단위로 수행될 수도 있고, 혹은 연속된 심볼로 구성된 영역 단위로 한정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Uu 인터페이스의 셀 특정적하게 설정된 반-고정적 리소스 설정에 따라, 상기 일정 길이를 가지는 타임 유닛의 경우 여러 슬롯에 걸쳐 구성될 수도 있고, 슬롯 단위 내에 한정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타임 유닛의 길이는 시스템에 사전에 정의되거나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그리고/혹은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사전에 (미리)설정될 수 있고, 반-고정적 UL 자원 설정에서 연속된 심볼로 구성된 영역 단위 중 가장 짧은 길이 혹은 사이드링크를 위해 전송되는 동기화(synchronization) 시그널이 전송되는 블록의 심볼 길이로 정의될 수도 있다.
타임 유닛 길이의 그래뉴래러티(granularity)는 슬롯 단위 혹은 심볼 단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스트럭처링을 수행하는 구간이, 상기 방식으로 결정된 타임 유닛 단위의 배수로 딱 맞지 않는 경우, 해당 구간 내 남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역은 자원 풀 설정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Uu 인터페이스를 위한 PUCCH 전송(예컨대, 짧은 심볼로 구성되는 PUCCH)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리스트럭처링이 수행되는 영역의 일부 심볼을 사전에 사이드링크를 위한 자원 풀 설정 대상에서 제외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해당 설정은 시스템에 사전에 정의되거나 기지국이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그리고/혹은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미리)설정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자원 풀 설정의 대상이 되는 리소스를 심볼 그래뉴래러티로 설정할 수도 있는데, 예컨대, 상기 셀 특정적하게 설정되는 반-고정적 UL 자원 내에서 사이드링크 자원 풀 설정의 대상이 되는 리소스가 시작하는 심볼 및 해당 구간의 길이로 알려줄 수도 있다. 해당 영역 내에서 상기 타임 유닛 단위 관련 리스트럭처링 동작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타임 유닛을 구성하는 심볼이 이격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타임 유닛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심볼들이 다수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시간적으로 이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이는 Uu 인터페이스의 리소스 설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타임 유닛을 구성하는 이격된 심볼 그룹의 개수 그리고/혹은 다수개의 심볼 그룹이 구성되는 구간의 길이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며, 일례로 이는 RS의 전송 구성에 따라 채널 코히어런스 타임(channel coherence time)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고, 시스템에 사전에 정의되거나 기지국이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그리고/혹은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미리)설정할 수 있다.
이 외에, 시간적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심볼 그룹을 구성할 때, 심볼 그룹 단위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심볼 개수에 대한 제한이 있을 수 있으며, 예컨대 이는 RS의 전송 구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시스템에 사전에 정의되거나 기지국이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그리고/혹은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미리)설정할 수 있다.
해당 심볼 개수를 만족하지 못하는 심볼 그룹의 경우 타임 유닛을 구성하는 심볼 그룹 구성에서 배제할 수 있고, 해당 심볼 그룹은 자원 풀 설정 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만일 상기 제한 조건 중, 단일 타임 유닛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심볼 그룹에 대한 구간 길이 제한 내에 타임 유닛이 구성되지 않는 경우 latency를 고려하여, 타임 유닛을 구성할 수 있는 다수개의 심볼 그룹 중 제일 빠른 시점의 심볼 그룹부터 타임 유닛 구성에서 배제할 수 있고 해당 심볼 그룹은 자원 풀 설정 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식 외에 서로 다른 길이로 구성된 타임 유닛 단위로 사이드링크를 위한 리소스 풀을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은 서로 다른 길이로 구성된 구간 단위로 리스트럭처링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반-고정적 UL 자원 구성 시 연속된 심볼로 구성된 UL 영역의 구간 길이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위를 그대로 리소스 풀을 구성하는 단위로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슬롯 별로 슬롯 단위 내에서 반-고정적 UL 자원이 구성될 수 있고, 이 때 슬롯 별로 반-고정적 UL 자원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단위의 길이에 따라 주파수축 리소스의 구성단위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고, 예컨대, 서브채널(subchannel)의 사이즈를 다르게 구성하여 하나의 '시간 x 주파수' 영역 단위의 크기가 서로 다른 길이로 설정된 반-고정적 UL 영역 간 동일해지도록 혹은 최대한 유사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구간 길이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 경우 해당 구간의 길이가 특정 길이 이상인 단위만을 대상으로 리소스 풀을 구성할 수 있다.
자원 풀 설정을 위한 리소스가 결정된 후, 기지국은 단말에게 비트맵(bitmap)을 통해 사이드링크를 위해 사용하는 리소스 풀을 설정할 수 있다.
LTE 시스템의 경우 기지국이 설정한 특정 길이의 비트맵을 정해진 구간 내에서 반복하여 적용하도록 동작한다. 이 때 정해진 구간 내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스페셜(special) 서브프레임, SL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경우 자원 풀 설정을 위한 리소스에서 배제되고, 설정된 비트맵의 길이를 고려하여 예약된 서브프레임을 계산하여 해당 서브프레임 또한 자원 풀 설정을 위한 리소스에서 배제한다.
여기서 예약된 서브프레임의 경우 해당 자원에서 실제로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트맵 의 반복 적용 동작을 고려하여 배제되는 자원이기 때문에, 이러한 예약된 서브프레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동작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한편, 상기 사항대로 사이드링크는 Uu 인터페이스에서 셀 특정적하게 설정된 반-고정적 UL 자원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NR과 같이 슬롯 단위로 전송이 수행되는 상황을 가정하면, 셀 특정적하게 설정된 반-고정적 UL로 설정된 슬롯 (혹은 셀 특정적하게 설정된 반-고정적 UL로 설정된 심볼을 포함하는 슬롯) 중 SLSS가 전송되는 슬롯은 자원 풀 설정의 대상이 되는 자원에서 배제될 수 있다.
또한 비트맵의 경우 상기 셀 특정적하게 설정되는 반-고정적 자원 설정이 전송되는 주기 혹은 해당 주기의 배수에 대응되는 구간 내의 UL 자원(예컨대, 슬롯)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해당 주기의 배수에 대응되는 구간'은 비트맵이 반복 적용되는 구간 길이의 약수에 대응될 수 있다.
이 때 예약된 슬롯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비트맵이 반복 적용되는 구간 내에서 SLSS를 전송하는 주기를 결정할 때 비트맵의 크기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트맵이 반복 적용되는 구간 내에서 비트맵의 크기의 배수에 해당하는 횟수에 대응되는 주기를 갖도록 SLSS 전송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R의 경우 20 ms 주기로 셀 특정적하게 설정된 반-고정적 자원이 설정된다. 이 때 해당 셀 특정적 반-고정적 자원 중 UL 영역에 해당하는 슬롯에 대해 비트맵이 예컨대 슬롯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 ms 내에 설정된 셀 특정적 반-고정적 자원 중 UL 영역에 해당하는 슬롯 개수가 11개인 경우 11 bit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해당 비트맵이 반복 적용되는 구간 길이가 10240 ms으로 설정되는 경우, 해당 구간 내에서 SLSS가 전송되는 횟수는 비트맵의 크기인 11의 배수에 해당할 수 있고, SLSS 전송 주기는 해당 구간과 해당 전송 횟수에 대응되는 값으로 결정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 10240 ms에 해당하는 SFN 주기 내에서 동기화(sync.) 시그널이 전송되는 자원의 주기는 셀 특정적하게 설정되는 반-고정적 자원 설정이 전송되는 주기의 배수로 구성할 수 있다.
동기화 시그널이 전송되는 자원의 주기는 상기 원리에 따라 시스템에 사전에 정의되거나 기지국이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그리고/혹은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미리)설정 할 수 있다.
이 경우, 비트맵의 크기는 동기화 시그널이 전송되는 자원의 주기에 대응되는 구간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비트맵이 설정되는 리소스 풀에 동기화 시그널이 전송되는 자원 또한 포함하되, 해당 자원이 리소스 풀로 설정되고, 데이터 전송 타이밍이 해당 자원과 겹치는 경우 해당 전송을 드랍할 수도 있고, 만일 동기화 시그널이 해당 자원 내 일부에 전송되는 경우, 나머지 영역 (이는 동기화 시그널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시간축 자원만을 의미할 수도 있고, 동기화 시그널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시간축과 주파수축 자원 모두를 의미할 수도 있다.)에 데이터를 펑쳐링 혹은 레이트-매칭(rate-matching)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이후, 단말은 리스트럭처링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 상에서 V2X 동작 수행할 수 있다(S1530). 단말이 리스크럭처링된 상향링크 자원 상에서 V2X 동작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5의 내용을 단말 관점에서 설명하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점에서의 자원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 방법의 순서도다.
도 17에 따르면, 단말은 V2X 동작에 관련된 자원 풀 설정을 위해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을 리스트럭처링할 수 있다(S1710). 여기서, 단말이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을 리스트럭처링하는 구체적인 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단말은 리스트럭처링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 상에서 V2X 동작 수행할 수 있다(S1720). 여기서, 단말이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 상에서 V2X 동작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점에서의 자원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 장치의 일례를 도식한 블럭도다.
도 18에 따르면, 프로세서(1800)는 리스트럭처링 수행부(1810), V2X 동작 수행부(18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800)는 도 21 내지 도 17에서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도 있다.
리스트럭처링 수행부(1810)는 V2X 동작에 관련된 자원 풀 설정을 위해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을 리스트럭처링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이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을 리스트럭처링하는 구체적인 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V2X 동작 수행부(1820)는 리스트럭처링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 상에서 V2X 동작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이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 상에서 V2X 동작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의 내용을 기지국 관점에서 설명하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관점에서의 V2X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다.
도 19에 따르면, 기지국은 V2X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1910). 여기서 상기 V2X 동작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V2X 동작에 관련된 자원 풀 설정을 위해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을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하는 것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V2X 동작에 관련된 정보의 구체적인 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관점에서의 V2X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를 도식한 블록도의 일례다.
도 20에 따르면, 프로세서(2000)는 V2X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V2X 동작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V2X 동작에 관련된 자원 풀 설정을 위해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을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하는 것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V2X 동작에 관련된 정보의 구체적인 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제안들은 기기들간에 무선 통신/연결(예, 5G)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이하의 도면/설명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다르게 기술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하드웨어 블블록, 소프트웨어 블록 또는 기능 블록을 예시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을 예시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은 무선 기기, 기지국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기기는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New RAT), LTE(Long Term Evolution))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를 의미하며, 통신/무선/5G 기기로 지칭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선 기기는 로봇(100a), 차량(100b-1, 100b-2), XR(eXtended Reality) 기기(100c), 휴대 기기(Hand-held device)(100d), 가전(100e), IoT(Internet of Thing) 기기(100f), AI기기/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차량, 자율 주행 차량, 차량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은 UAV(Unmanned Aerial Vehicle)(예, 드론)를 포함할 수 있다. XR 기기는 AR(Augmented Reality)/VR(Virtual Reality)/MR(Mixed Reality) 기기를 포함하며, HMD(Head-Mounted Device), 차량에 구비된 HUD(Head-Up Display), 텔레비전, 스마트폰,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전 기기,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 차량, 로봇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 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웨어러블 기기(예, 스마트워치, 스마트글래스), 컴퓨터(예, 노트북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은 TV, 냉장고, 세탁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oT 기기는 센서, 스마트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네트워크는 무선 기기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특정 무선 기기(200a)는 다른 무선 기기에게 기지국/네트워크 노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무선 기기(100a~100f)는 기지국(200)을 통해 네트워크(300)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에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무선 기기(100a~100f)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AI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3G 네트워크, 4G(예, LTE) 네트워크 또는 5G(예, NR)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는 기지국(200)/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지만, 기지국/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e.g. 사이드링크 통신(sidelink communication))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들(100b-1, 100b-2)은 직접 통신(e.g. V2V(Vehicle to Vehicle)/V2X(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을 할 수 있다. 또한, IoT 기기(예, 센서)는 다른 IoT 기기(예, 센서) 또는 다른 무선 기기(100a~100f)와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기지국(200)-기지국(200)/무선 기기(100a~100f) 간에는 무선 통신/연결(150a, 150b)이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연결은 상향/하향링크 통신(150a)과 사이드링크 통신(150b)(또는, D2D 통신)은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무선 통신/연결(150a, 150b)을 통해 무선 기기와 기지국/무선 기기는 서로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연결(150a, 150b)은 도 A1의 전체/일부 과정에 기반하여 다양한 물리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양한 제안들에 기반하여, 무선 신호의 송신/수신을 위한 다양한 구성정보 설정 과정, 다양한 신호 처리 과정(예, 채널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자원 매핑/디매핑 등), 자원 할당 과정 등 중 적어도 일부가 수행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기기를 예시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1 무선 기기(100)와 제2 무선 기기(200)는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예, LTE, NR)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선 기기(100), 제2 무선 기기(200)}은 도 21의 {무선 기기(100x), 기지국(200)} 및/또는 {무선 기기(100x), 무선 기기(100x)}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무선 기기(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및/또는 송수신기(106)를 제어하며, 앞에서 설명/제안한 기능,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1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송수신기(106)을 통해 제1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송수신기(106)를 통해 제2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2 정보/신호의 신호 처리로부터 얻은 정보를 메모리(10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10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앞에서 설명/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02)와 메모리(104)는 무선 통신 기술(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프로세서(102)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RF(Radio Frequency) 유닛과 혼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선 기기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제2 무선 기기(2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 하나 이상의 메모리(204)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및/또는 송수신기(206)를 제어하며, 앞에서 설명/제안한 기능,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3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송수신기(206)를 통해 제3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2)는 송수신기(206)를 통해 제4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4 정보/신호의 신호 처리로부터 얻은 정보를 메모리(20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20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앞에서 설명/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02)와 메모리(204)는 무선 통신 기술(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프로세서(202)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RF 유닛과 혼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선 기기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하, 무선 기기(100, 200)의 하드웨어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계층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계층(예, PHY, MAC, RLC, PDCP, RRC, SDAP와 같은 기능적 계층)을 구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PDU(Protocol Data Unit) 및/또는 하나 이상의 SDU(Service Data Unit)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에 따라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에 따라 PDU, SDU,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예,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로부터 신호(예, 베이스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에 따라 PDU, SDU,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하나 이상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하나 이상의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하나 이상의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또는 하나 이상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들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모듈, 절차, 기능 등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포함되거나,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에 저장되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 또는 방법들은 코드, 명령어 및/또는 명령어의 집합 형태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 메시지, 정보, 프로그램, 코드, 지시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ROM, RAM, 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컴퓨터 판독 저장 매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과 같은 다양한 기술을 통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본 문서의 방법들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고,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또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또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를 통해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송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이거나, 복수의 논리 안테나(예, 안테나 포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를 이용하여 처리하기 위해, 수신된 무선 신호/채널 등을 RF 밴드 신호에서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Convert)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를 이용하여 처리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베이스밴드 신호에서 RF 밴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아날로그) 오실레이터 및/또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은 전송 신호를 위한 신호 처리 회로를 예시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 회로(1000)는 스크램블러(1010), 변조기(1020), 레이어 매퍼(1030), 프리코더(1040), 자원 매퍼(1050), 신호 생성기(10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23의 동작/기능은 도 22의 프로세서(102, 202) 및/또는 송수신기(106, 206)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23의 하드웨어 요소는 도 22의 프로세서(102, 202) 및/또는 송수신기(106, 206)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1010~1060은 도 22의 프로세서(102, 202)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블록 1010~1050은 도 22의 프로세서(102, 202)에서 구현되고, 블록 1060은 도 22의 송수신기(106, 206)에서 구현될 수 있다.
코드워드는 도 23의 신호 처리 회로(1000)를 거쳐 무선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여기서, 코드워드는 정보블록의 부호화된 비트 시퀀스이다. 정보블록은 전송블록(예, UL-SCH 전송블록, DL-SCH 전송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도 A1의 다양한 물리 채널(예, PUSCH, PDSCH)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드워드는 스크램블러(1010)에 의해 스크램블된 비트 시퀀스로 변환될 수 있다. 스크램블에 사용되는 스크램블 시퀀스는 초기화 값에 기반하여 생성되며, 초기화 값은 무선 기기의 ID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스크램블된 비트 시퀀스는 변조기(1020)에 의해 변조 심볼 시퀀스로 변조될 수 있다. 변조 방식은 pi/2-BPSK(pi/2-Binary Phase Shift Keying), m-PSK(m-Phase Shift Keying), m-QAM(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소 변조 심볼 시퀀스는 레이어 매퍼(1030)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전송 레이어로 매핑될 수 있다. 각 전송 레이어의 변조 심볼들은 프리코더(1040)에 의해 해당 안테나 포트(들)로 매핑될 수 있다(프리코딩). 프리코더(1040)의 출력 z는 레이어 매퍼(1030)의 출력 y를 N*M의 프리코딩 행렬 W와 곱해 얻을 수 있다. 여기서, N은 안테나 포트의 개수, M은 전송 레이어의 개수이다. 여기서, 프리코더(1040)는 복소 변조 심볼들에 대한 트랜스폼(transform) 프리코딩(예, DFT 변환)을 수행한 이후에 프리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리코더(1040)는 트랜스폼 프리코딩을 수행하지 않고 프리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자원 매퍼(1050)는 각 안테나 포트의 변조 심볼들을 시간-주파수 자원에 매핑할 수 있다. 시간-주파수 자원은 시간 도메인에서 복수의 심볼(예, CP-OFDMA 심볼, DFT-s-OFDMA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생성기(1060)는 매핑된 변조 심볼들로부터 무선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무선 신호는 각 안테나를 통해 다른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호 생성기(1060)는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모듈 및 CP(Cyclic Prefix) 삽입기, DAC(Digital-to-Analog Converter), 주파수 상향 변환기(frequency uplink conver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기기에서 수신 신호를 위한 신호 처리 과정은 도 23의 신호 처리 과정(1010~1060)의 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기기(예, 도 22의 100, 200)는 안테나 포트/송수신기를 통해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무선 신호는 신호 복원기를 통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호 복원기는 주파수 하향 변환기(frequency downlink converter), ADC(analog-to-digital converter), CP 제거기, FFT(Fast Fourier Transfor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베이스밴드 신호는 자원 디-매퍼 과정, 포스트코딩(postcoding) 과정, 복조 과정 및 디-스크램블 과정을 거쳐 코드워드로 복원될 수 있다. 코드워드는 복호(decoding)를 거쳐 원래의 정보블록으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신호를 위한 신호 처리 회로(미도시)는 신호 복원기, 자원 디-매퍼, 포스트코더, 복조기, 디-스크램블러 및 복호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선 기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무선 기기는 사용-예/서비스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도 21, 도 25~30 참조).
도 24를 참조하면, 무선 기기(100, 200)는 도 22의 무선 기기(100,200)에 대응하며, 다양한 요소(element), 성분(component), 유닛/부(unit), 및/또는 모듈(module)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기기(100, 2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및 추가 요소(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통신 회로(112) 및 송수신기(들)(11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112)는 도 22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202) 및/또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204)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들)(114)는 도 22의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2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208)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10), 메모리부(130) 및 추가 요소(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무선 기기의 제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코드/명령/정보에 기반하여 무선 기기의 전기적/기계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정보를 통신부(110)을 통해 외부(예, 다른 통신 기기)로 무선/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거나,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예, 다른 통신 기기)로부터 무선/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추가 요소(140)는 무선 기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요소(140)는 파워 유닛/배터리, 입출력부(I/O unit), 구동부 및 컴퓨팅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선 기기는 로봇(도 21, 100a), 차량(도 21, 100b-1, 100b-2), XR 기기(도 21, 100c), 휴대 기기(도 21, 100d), 가전(도 21, 100e), IoT 기기(도 21, 100f), 디지털 방송용 단말, 홀로그램 장치, 공공 안전 장치, MTC 장치, 의료 장치, 핀테크 장치(또는 금융 장치), 보안 장치, 기후/환경 장치, AI 서버/기기(도 21, 400), 기지국(도 21, 200), 네트워크 노드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기기는 사용-예/서비스에 따라 이동 가능하거나 고정된 장소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4에서 무선 기기(100, 200) 내의 다양한 요소, 성분, 유닛/부, 및/또는 모듈은 전체가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통신부(110)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기기(100, 200) 내에서 제어부(120)와 통신부(110)는 유선으로 연결되며, 제어부(120)와 제1 유닛(예, 130, 140)은 통신부(110)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무선 기기(100, 200) 내의 각 요소, 성분, 유닛/부, 및/또는 모듈은 하나 이상의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통신 제어 프로세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ECU(Electronic Control Unit), 그래픽 처리 프로세서, 메모리 제어 프로세서 등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부(130)는 RAM(Random Access Memory), DRAM(Dynamic RAM),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4의 구현 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휴대 기기를 예시한다. 휴대 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웨어러블 기기(예, 스마트워치, 스마트글래스), 휴대용 컴퓨터(예,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기기는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또는 WT(Wireless terminal)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100)는 안테나부(108), 통신부(110),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전원공급부(140a), 인터페이스부(140b) 및 입출력부(140c)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부(108)는 통신부(110)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블록 110~130/140a~140c는 각각 도 24의 블록 110~130/140에 대응한다.
통신부(110)는 다른 무선 기기, 기지국들과 신호(예, 데이터,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휴대 기기(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휴대 기기(100)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파라미터/프로그램/코드/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3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0a)는 휴대 기기(100)에게 전원을 공급하며, 유/무선 충전 회로,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0b)는 휴대 기기(100)와 다른 외부 기기의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0b)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다양한 포트(예, 오디오 입/출력 포트, 비디오 입/출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c)는 영상 정보/신호, 오디오 정보/신호,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입력 받거나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c)는 카메라, 마이크로폰, 사용자 입력부, 디스플레이부(140d), 스피커 및/또는 햅틱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통신의 경우, 입출력부(140c)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신호(예, 터치, 문자, 음성, 이미지, 비디오)를 획득하며, 획득된 정보/신호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무선 신호를 다른 무선 기기에게 직접 전송하거나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다른 무선 기기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수신된 무선 신호를 원래의 정보/신호로 복원할 수 있다. 복원된 정보/신호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뒤, 입출력부(140c)를 통해 다양한 형태(예, 문자, 음성, 이미지, 비디오, 헵틱)로 출력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을 예시한다.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은 이동형 로봇, 차량, 기차, 유/무인 비행체(Aerial Vehicle, AV), 선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100)은 안테나부(108), 통신부(110), 제어부(120), 구동부(140a), 전원공급부(140b), 센서부(140c) 및 자율 주행부(140d)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부(108)는 통신부(110)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블록 110/130/140a~140d는 각각 도 24의 블록 110/130/140에 대응한다.
통신부(110)는 다른 차량, 기지국(e.g. 기지국, 노변 기지국(Road Side unit) 등), 서버 등의 외부 기기들과 신호(예, 데이터,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100)의 요소들을 제어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40a)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100)을 지상에서 주행하게 할 수 있다. 구동부(140a)는 엔진, 모터, 파워 트레인, 바퀴, 브레이크, 조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0b)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100)에게 전원을 공급하며, 유/무선 충전 회로,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40c)는 차량 상태, 주변 환경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얻을 수 있다. 센서부(140c)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스티어링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페달 포지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율 주행부(140d)는 주행중인 차선을 유지하는 기술,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같이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술, 정해진 경로를 따라 자동으로 주행하는 기술, 목적지가 설정되면 자동으로 경로를 설정하여 주행하는 기술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110)는 외부 서버로부터 지도 데이터, 교통 정보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자율 주행부(140d)는 획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율 주행 경로와 드라이빙 플랜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드라이빙 플랜에 따라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100)이 자율 주행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부(140a)를 제어할 수 있다(예, 속도/방향 조절). 자율 주행 도중에 통신부(110)는 외부 서버로부터 최신 교통 정보 데이터를 비/주기적으로 획득하며, 주변 차량으로부터 주변 교통 정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자율 주행 도중에 센서부(140c)는 차량 상태,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율 주행부(140d)는 새로 획득된 데이터/정보에 기반하여 자율 주행 경로와 드라이빙 플랜을 갱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차량 위치, 자율 주행 경로, 드라이빙 플랜 등에 관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들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AI 기술 등을 이용하여 교통 정보 데이터를 미리 예측할 수 있고, 예측된 교통 정보 데이터를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량을 예시한다. 차량은 운송수단, 기차, 비행체, 선박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통신부(110),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입출력부(140a) 및 위치 측정부(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 110~130/140a~140b는 각각 도 24의 블록 110~130/140에 대응한다.
통신부(110)는 다른 차량, 또는 기지국 등의 외부 기기들과 신호(예, 데이터,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차량(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차량(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파라미터/프로그램/코드/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a)는 메모리부(130) 내의 정보에 기반하여 AR/VR 오브젝트를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a)는 HUD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40b)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차량(100)의 절대 위치 정보, 주행선 내에서의 위치 정보, 가속도 정보, 주변 차량과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40b)는 GPS 및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100)의 통신부(110)는 외부 서버로부터 지도 정보, 교통 정보 등을 수신하여 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40b)는 GPS 및 다양한 센서를 통하여 차량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지도 정보, 교통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 등에 기반하여 가상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입출력부(140a)는 생성된 가상 오브젝트를 차량 내 유리창에 표시할 수 있다(1410, 1420). 또한, 제어부(120)는 차량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100)이 주행선 내에서 정상적으로 운행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차량(100)이 주행선을 비정상적으로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40a)를 통해 차량 내 유리창에 경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주변 차량들에게 주행 이상에 관한 경고 메세지를 방송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관계 기관에게 차량의 위치 정보와, 주행/차량 이상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XR 기기를 예시한다. XR 기기는 HMD, 차량에 구비된 HUD(Head-Up Display), 텔레비전, 스마트폰,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전 기기,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 차량, 로봇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XR 기기(100a)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입출력부(140a), 센서부(140b) 및 전원공급부(140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 110~130/140a~140c은 각각 도 24의 블록 110~130/140에 대응한다.
통신부(110)는 다른 무선 기기, 휴대 기기, 또는 미디어 서버 등의 외부 기기들과 신호(예, 미디어 데이터,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데이터는 영상, 이미지, 소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XR 기기(100a)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비디오/이미지 획득, (비디오/이미지) 인코딩, 메타데이터 생성 및 처리 등의 절차를 제어 및/또는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XR 기기(100a)의 구동/XR 오브젝트의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파라미터/프로그램/코드/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a)는 외부로부터 제어 정보, 데이터 등을 획득하며, 생성된 XR 오브젝트를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a)는 카메라, 마이크로폰, 사용자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및/또는 햅틱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40b)는 XR 기기 상태, 주변 환경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얻을 수 있다. 센서부(140b)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관성 센서, RGB 센서, IR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마이크로폰 및/또는 레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0c)는 XR 기기(100a)에게 전원을 공급하며, 유/무선 충전 회로,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XR 기기(100a)의 메모리부(130)는 XR 오브젝트(예, AR/VR/MR 오브젝트)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예, 데이터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a)는 사용자로부터 XR 기기(100a)를 조작하는 명령을 회득할 수 있으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구동 명령에 따라 XR 기기(100a)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XR 기기(100a)를 통해 영화, 뉴스 등을 시청하려고 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컨텐츠 요청 정보를 다른 기기(예, 휴대 기기(100b)) 또는 미디어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다른 기기(예, 휴대 기기(100b)) 또는 미디어 서버로부터 영화, 뉴스 등의 컨텐츠를 메모리부(130)로 다운로드/스트리밍 받을 수 있다. 제어부(120)는 컨텐츠에 대해 비디오/이미지 획득, (비디오/이미지) 인코딩, 메타데이터 생성/처리 등의 절차를 제어 및/또는 수행하며, 입출력부(140a)/센서부(140b)를 통해 획득한 주변 공간 또는 현실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XR 오브젝트를 생성/출력할 수 있다.
또한, XR 기기(100a)는 통신부(110)를 통해 휴대 기기(100b)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XR 기기(100a)의 동작은 휴대 기기(100b)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100b)는 XR 기기(100a)에 대한 콘트롤러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XR 기기(100a)는 휴대 기기(100b)의 3차원 위치 정보를 획득한 뒤, 휴대 기기(100b)에 대응하는 XR 개체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로봇을 예시한다. 로봇은 사용 목적이나 분야에 따라 산업용, 의료용, 가정용, 군사용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로봇(100)은 통신부(110),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입출력부(140a), 센서부(140b) 및 구동부(140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 110~130/140a~140c은 각각 도 24의 블록 110~130/140에 대응한다.
통신부(110)는 다른 무선 기기, 다른 로봇, 또는 제어 서버 등의 외부 기기들과 신호(예, 구동 정보,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로봇(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로봇(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파라미터/프로그램/코드/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a)는 로봇(100)의 외부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며, 로봇(100)의 외부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a)는 카메라, 마이크로폰, 사용자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및/또는 햅틱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40b)는 로봇(100)의 내부 정보, 주변 환경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얻을 수 있다. 센서부(140b)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관성 센서, IR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마이크로폰, 레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40c)는 로봇 관절을 움직이는 등의 다양한 물리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40c)는 로봇(100)을 지상에서 주행하거나 공중에서 비행하게 할 수 있다. 구동부(140c)는 액츄에이터, 모터, 바퀴, 브레이크, 프로펠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AI 기기를 예시한다. AI 기기는 TV, 프로젝터, 스마트폰, PC,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태블릿 PC, 웨어러블 장치, 셋톱박스(STB), 라디오, 세탁기, 냉장고, 디지털 사이니지, 로봇, 차량 등과 같은, 고정형 기기 또는 이동 가능한 기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AI 기기(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입/출력부(140a/140b), 러닝 프로세서부(140c) 및 센서부(140d)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110~130/140a~140d는 각각 도 24의 블록 110~130/140에 대응한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AI 기기(예, 도 21, 100x, 200, 400)나 AI 서버(200) 등의 외부 기기들과 유무선 신호(예, 센서 정보, 사용자 입력, 학습 모델,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메모리부(130) 내의 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거나,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메모리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또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결정되거나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AI 기기(100)의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AI 기기(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결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러닝 프로세서부(140c) 또는 메모리부(130)의 데이터를 요청, 검색, 수신 또는 활용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 중 예측되는 동작이나,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AI 기기(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AI 장치(100)의 동작 내용이나 동작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등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수집하여 메모리부(130) 또는 러닝 프로세서부(140c)에 저장하거나, AI 서버(도 21, 400) 등의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수집된 이력 정보는 학습 모델을 갱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AI 기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130)는 입력부(140a)로부터 얻은 데이터, 통신부(110)로부터 얻은 데이터, 러닝 프로세서부(140c)의 출력 데이터, 및 센싱부(140)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30)는 제어부(120)의 동작/실행에 필요한 제어 정보 및/또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140a)는 AI 기기(100)의 외부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모델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 및 학습 모델이 적용될 입력 데이터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입력부(140a)는 카메라, 마이크로폰 및/또는 사용자 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40b)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출력부(140b)는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및/또는 햅틱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AI 기기(100)의 내부 정보, AI 기기(100)의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얻을 수 있다.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관성 센서, RGB 센서, IR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마이크로폰 및/또는 레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러닝 프로세서부(140c)는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된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러닝 프로세서부(140c)는 AI 서버(도 21, 400)의 러닝 프로세서부와 함께 AI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러닝 프로세서부(140c)는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러닝 프로세서부(140c)의 출력 값은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로 전송되거나/되고, 메모리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Claims (1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vehicle-to-everything)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V2X 동작에 관련된 자원 풀 설정을 위해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을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하고; 및
    리스트럭처링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 상에서 상기 V2X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은 셀 특정적으로 설정된 자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은 기 설정된 구간 단위로 리스트럭처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구간은 상기 자원 풀 설정을 위한 기본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구간은 심볼 단위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구간을 구성하는 심볼이 이격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리스트럭처링이 수행되는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의 구간이 상기 기 설정된 구간의 배수가 아닌 경우,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의 상기 구간에서 남는 상향링크 자원은 상기 자원 풀 설정의 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구간은 사전에 정의되거나 혹은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은 서로 다른 길이로 구성된 구간 단위로 리스트럭처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V2X(vehicle-to-everything)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은,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기(Transceiver); 및
    상기 송수신기와 결합하여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V2X 동작에 관련된 자원 풀 설정을 위해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에 대해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하고, 및
    리스트럭처링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 상에서 상기 V2X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V2X(vehicle-to-everything)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V2X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되,
    상기 V2X 동작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V2X 동작에 관련된 자원 풀 설정을 위해 복수의 상향링크 자원을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하는 것에 관련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CT/KR2019/009677 2018-08-10 2019-08-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자원의 리스트럭처링에 기반한 v2x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20032492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67,589 US20210314919A1 (en) 2018-08-10 2019-08-02 Method for v2x operation based on restructuring of plurality of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17709P 2018-08-10 2018-08-10
US62/717,709 2018-08-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32492A1 true WO2020032492A1 (ko) 2020-02-13

Family

ID=69414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9677 WO2020032492A1 (ko) 2018-08-10 2019-08-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자원의 리스트럭처링에 기반한 v2x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314919A1 (ko)
WO (1) WO20200324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50365A (zh) * 2023-06-15 2023-07-18 北京智芯微电子科技有限公司 智能终端的重构方法、系统、装置和管理平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2360A (zh) * 2018-09-17 2021-04-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523A1 (ko) * 2016-04-01 2017-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기 간 통신과 셀룰라 통신의 공존 방법 및 장치
WO2017176099A1 (ko) * 2016-04-07 201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서브프레임에 대해 v2x 자원 풀을 할당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2102B2 (en) * 2016-03-17 2019-02-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uffering V2X message for path switch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171526A1 (ko) * 2016-04-01 201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US11057925B2 (en) * 2016-08-07 2021-07-0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Deactivation timer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EP3510818B1 (en) * 2016-08-12 2021-04-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of handling collisions between multiple semi-persistent grants
JP6637541B2 (ja) * 2017-04-26 2020-01-29 華碩電腦股▲ふん▼有限公司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制御要素送信のためにリソースを要求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1044748B2 (en) * 2018-05-01 2021-06-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sidelink communications and resource allocation
JPWO2020008539A1 (ja) * 2018-07-03 2021-07-15 株式会社Nttドコモ 通信装置及び基地局
US11463204B2 (en) * 2019-07-23 202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idelink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10336756A1 (en) * 2020-04-24 2021-10-28 Hyukjin Chae Sidelink Resource Pool Configuration for Sidelink Communic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523A1 (ko) * 2016-04-01 2017-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기 간 통신과 셀룰라 통신의 공존 방법 및 장치
WO2017176099A1 (ko) * 2016-04-07 201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서브프레임에 대해 v2x 자원 풀을 할당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L CORPORATION: "On Sidelink Resource Pool Sharing for eNB-Controlled and UE-Autonomous V2V Transmission Modes", RL-1806484. 3GPP TSG RAN WG1 #93, 12 May 2018 (2018-05-12), Busan, Korea, XP051462544 *
PANASONIC: "Discussion on remaining issues on PUCCH resource allocation", R1-1806183. 3GPP TSG RAN WG1 #93, 11 May 2018 (2018-05-11), Busan. Korea, XP051461764 *
POTEVIO: "Resource allocation mechanism for PC5 interface of V2X", R2-161636. 3GPP TSG RAN WG2 #93, 6 February 2016 (2016-02-06), St.Julians, Malta, XP05106588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50365A (zh) * 2023-06-15 2023-07-18 北京智芯微电子科技有限公司 智能终端的重构方法、系统、装置和管理平台
CN116450365B (zh) * 2023-06-15 2023-11-24 北京智芯微电子科技有限公司 智能终端的重构方法、系统、装置和管理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14919A1 (en)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32698A1 (ko) Nr v2x에서 이종 rat과 관련된 사이드링크 통신이 공존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091380A1 (ko) Nr v2x에서 위치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032687A1 (ko) Nr v2x에서 혼잡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231201A1 (ko) Nr v2x에서 복수의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226372A1 (ko) Nr v2x에서 사이드링크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091494A1 (ko) Nr v2x에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13059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bwp 스위칭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1006500A1 (ko) Nr v2x에서 피드백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017885A1 (ko) Nr v2x에서 tbs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09134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사이드링크 동작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20145780A1 (ko) Nr v2x에서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자원을 기반으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027635A1 (ko) Nr v2x에서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032679A1 (ko) Nr v2x에서 유연한 슬롯 포맷을 고려한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20180098A1 (ko) 사이드링크 자원에 대한 정보
WO2020027637A1 (ko) Nr v2x에서 캐리어 (재)선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071783A1 (ko) Nr v2x에서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067843A1 (ko) Nr v2x에서 사이드링크 자원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067842A1 (ko) Nr v2x에서 혼잡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027636A1 (ko) Nr v2x에서 파워 컨트롤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204642A1 (ko) Pscch 및 pssch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226408A1 (ko)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에 관한 정보
WO2020226409A1 (ko) 그룹캐스트 전송에 대한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
WO2021006499A1 (ko) Nr v2x에서 피드백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085885A1 (ko) Nr v2x에서 재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1029585A1 (ko) Nr v2x에서 pssch를 위한 dmrs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469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469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