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13634A1 -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13634A1
WO2020013634A1 PCT/KR2019/008574 KR2019008574W WO2020013634A1 WO 2020013634 A1 WO2020013634 A1 WO 2020013634A1 KR 2019008574 W KR2019008574 W KR 2019008574W WO 2020013634 A1 WO2020013634 A1 WO 202001363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uel additive
additive composition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857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병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이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이기술
Publication of WO202001363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136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6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6Hydrocarbons
    • C10L1/1608Well defined compounds, e.g. hexane, benzen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0L1/18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hydroxy groups; Salts thereof
    • C10L1/182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hydroxy groups; Salts thereof hydroxy group directly attached to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L1/182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hydroxy groups; Salts thereof hydroxy group directly attached to (cyclo)aliphatic carbon atoms mono-hydrox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0L1/185Ethers; Acetals; Ketals; Aldehydes; Ketones
    • C10L1/1852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0Use of additives to fuels or fires for particular purposes
    • C10L10/10Use of additives to fuels or fires for particular purposes for improving the octane numb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00/00Components of fuel compositions
    • C10L2200/02Inorganic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 H or O, e.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atoms or metal organic complexes
    • C10L2200/0254Oxyge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00/00Components of fuel compositions
    • C10L2200/04Organic compounds
    • C10L2200/0407Specifically defined hydrocarbon fractions as obtained from, e.g. a distillation column
    • C10L2200/0415Light distillates, e.g. LPG, naphtha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00/00Components of fuel compositions
    • C10L2200/04Organic compounds
    • C10L2200/0407Specifically defined hydrocarbon fractions as obtained from, e.g. a distillation column
    • C10L2200/043Kerosene, jet fue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fuel additive composition used for automobile fuels such as gasoline, diesel, and the lik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utomobile fuels including the same.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544568 discloses a fuel additive in which an amine-based stabilizer, hydrogen peroxide, sodium hydroxide and borax are mixed in a predetermined ratio in order to increase the combustion efficiency and thermal efficiency and to remove the contaminants.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0584224 discloses a fuel additiv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aining a hydrocarbon solvent as a main component and adding an antioxidant, an antiwoven agent, an oil additive, and the like to promote efficient combustion of fuel and reduce soot.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390973 discloses lactide derivatives such as D-lactide, L-lactide and D-glycolide extracted from fruits to increase the combustion rate of gasoline and diesel, and to improve the composition of exhaust gas.
  • a fuel additive in which a carrier and MTBE are mixed at a predetermined ratio is disclosed.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s. 2001-0089264 and 2001-0073722 each disclose fuel additives in which mineral seal oils, mineral spirits, glycol alkyl ethers, and alkyl aromatic ethoxylated surfactants are mixed at predetermined ratios to reduce emissions.
  • a gasoline alternative fuel and a gasoline additive comprising certain alcohol components are disclosed.
  •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technical background, automotive fuel additive composition that can reduce the smoke, such as carbon monoxide or unburned hydrocarbons emitted when added to automotive fuels such as gasoline or diese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utomobile fuel and automobile fuel comprising the same.
  • Kerosine 62-75 parts by weight Kerosine 62-75 parts by weight.
  • the content of isopropyl alcohol is 12 to 16 parts by weight
  • the content of butyl cellosolve is 5 to 6 parts by weight
  • the content of kerosene is preferably 67 to 75 parts by weight.
  • the automotive fuel additive composition described above can be used to make automotive fuel by adding it to automotive fuel, which can be used to drive automobiles.
  • automotive fuels include gasoline, diesel, biofuel, mixtures thereof, and the like, and preferably gasoline or diesel.
  • compositional components of the vehicle fuel addit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cause problems when added to the vehicle fuel, and greatly reduce the soot, such as carbon monoxide and unburned hydrocarbons emitted.
  • the vehicle fuel mixed with the vehicle fuel addit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reatly improves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 the automotive fuel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useful as an additive for automobile fuels such as gasoline and diesel.
  • FIG. 1 is a photograph of a result of measuring exhaust gas of a gasoline vehicle before adding an automotive fuel addit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hotograph of the exhaust gas measurement result screen after driving the vehicle fuel additiv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ed to the gasoline vehicle.
  • Figure 3 is a photograph of the emission gas measurement result screen of the diesel vehicle before adding the vehicle fuel addit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hotograph of the exhaust gas measurement result screen after driving and adding the vehicle fuel additive composition to the diese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Kerosine 62-75 parts by weight Kerosine 62-75 parts by weight.
  • the automotive fuel addit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3 to 5 parts by weight of white oleic acid.
  • WHITE OLEIC ACID (C 17 H 33 COOH) is a nonionic surfactant, and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engine cleaning, water emulsification, and fuel softening. If the content ratio is less than 3 parts by weight, a problem may occur in adjusting the PH of the vehicle fuel to be added, and if it exceeds 5 parts by weight, damage may occur to the fuel injection device and the engine.
  • the automotive fuel addit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12 to 20 parts by weight of isopropyl alcohol.
  • Isopropyl alcohol (IPA, Iso propylalcohol, CH 3 CH (OH) CH 3 ) is an anionic surfactant, it can smoothly perform the cleaning, synthesis intermediate, freezing prevention, dehydration function of the fuel line in the above-described content range.
  • the more preferable content ratio is 12 to 16 parts by weight.
  • the automotive fuel addit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5 to 10 parts by weight of butyl cellosolve.
  • Butyl cellosolve (BC, Butyl cellosolve, C 6 H 14 O 2 ) is an anionic surfactant may perform a role such as water dispersion, spray cleaning. If the content ratio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injector cleaning may not be sufficient, and if it exceeds 10 parts by weight, problems due to overcleaning may occur. More preferable content rate is 5-6 weight part.
  • the automotive fuel addit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5 to 6 parts by weight of styrasitol.
  • Styracitol (STR, Styracitol, C 6 H 12 O 5 ) can be extracted from the skin of Styrax obassia, and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composition. Modification, dispersion and corrosion protection can be performed. If the content ratio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soot gas reduction may not be sufficient, and if it exceeds 6 parts by weight, economic problems may occur.
  • the automotive fuel addit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62 to 75 parts by weight of kerosene.
  • KEROSINE is a commercially available substance called kerosene,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base of the additive composition and can perform heat increase, ignition rate control, internal combustion process cleaning and moisture removal. Help with combustion activities If the content is less than 62 parts by weight, the output of the vehicle may not be sufficiently increased, and if the content exceeds 75 parts by weight, problems may occur during the initial start-up in winter. More preferable content rate is 67-75 weight part.
  • the above-described automotive fuel additive composition may be prepared by a method of uniformly mixing each componen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the automotive fuel entra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only the five components described above, but it will be obvious that other additives may be further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compositional components of the vehicle fuel addit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cause problems when added to the vehicle fuel and greatly reduce the soot emissions of carbon monoxide and unburned hydrocarbons, etc. Also, mixing the vehicle fuel addit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car fuel also significantly improves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car.
  • Such a fuel additive composition may be prepared as a vehicle fuel by adding it to a vehicle fuel.
  • the vehicle fuel additive composition may be added by adding the vehicle fuel additive composition at a ratio of 0.6 to 1 mL per 1 L of vehicle fuel. It may be prepar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utomotive fuel include gasoline, diesel, biofuel, mixtures thereof, and the like, but are preferably gasoline or diesel.
  • An automobile fuel additive composition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described in Table 1 below.
  • Example 1 White Oleic Acid (parts by weight) 3 5 Isopropyl Alcohol (parts by weight) 12 16 Butyl Cellosolve (by weight) 5 6 Styrcitol (parts by weight) 5 6 Kerosene (parts by weight) 75 67
  • Gasoline-powered vehicles (vehicle number: 62 degrees 5240, model year: SM5 2014 model) were tested at the Automobile Inspection Center located in Hwasun-eup, Jeollanam-do, Korea as follows.
  • FIG. 1 is a screen showing the result of measuring the exhaust gas in the state of not injecting the fuel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on May 20, 2018. Immediately after confirming these results, a total of 30 mL of the fuel additive of Example 1 was injected at a rate of 0.6 mL per 1 L of gasoline, and then operated for 210 days without additional injection of fuel additive and gasoline until May 27, 2018. After the exhaust gas was measured (FIG. 2), the results of FIGS. 1 and 2 are summarized in Table 2 below.
  • a diesel vehicle (vehicle number: 11mer 4726, model year: Traze 2004) was tested at the Automobile Inspection Center in Hwasun-eup, Jeollanam-do, Korea as follows.
  • Figure 3 is a screen showing the result of measuring the exhaust gas in the state of not injecting the fuel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June 19, 2018. Immediately after confirming these results, 32 mL of the fuel additive of Example 2 was added at a rate of 0.8 mL per 1 L of diesel oil, and then traveled for 260 km without additional injection of fuel additives and diesel oil for about 7 days until June 25, 2018. After the exhaust gas was measured (FIG. 4), the results of FIGS. 3 and 4 are summarized in Table 3 below.
  • the output of the fuel additive of Example 2 before and after injecting a total of 35 mL of the fuel additive of Example 2 at a rate of 0.7 mL per 1 L of diesel fuel was measured for the vehicles described in Table 4 belo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quid Carbonaceous Fuels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휘발유, 경유 등의 자동차 연료에 사용되는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로서, 화이트올레익애시드 3 내지 5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12 내지 20 중량부; 부틸셀로솔브 5 내지 10 중량부; 스티라시톨 5 내지 6 중량부; 및 케로신 62 내지 7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을 첨가한 자동차 연료는 매연 배출이 저감되고 출력도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
본 발명은 휘발유, 경유 등의 자동차 연료에 사용되는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연료의 제조방법 및 자동차 연료에 관한 것이다.
휘발유, 경유, 바이오 연료 등 자동차 연료의 연소시 배출되는 일산화탄소나 미연소된 탄화수소와 같은 매연을 감소시키면서 출력 특성을 개선하려는 시도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 중 하나로서, 자동차 연료를 더욱 잘 연소시키면서 매연 배출 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자동차 연료 첨가제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4568호는 연소 효율과 열효율 증대와 함께 오염물질의 제거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아민계열 안정제, 과산화수소, 수산화나트륨 및 붕사를 소정 비율로 혼합한 연료 첨가제를 개시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4224호는 연료의 효율적인 연소를 촉진시키고 매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탄화수소계 용매를 주성분으로 하되, 산화방지제, 부직방지제, 오일첨가제 등을 첨가한 내연기관용 연료 첨가제를 개시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90973호는 휘발유, 경유 등의 연소 속도를 증가시키고 배기가스의 조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과일에서 추출한 D-락티드, L-락티드, D-글리코라이드 등의 락티드 유도체와 담체 및 MTBE를 소정 비율로 혼합한 연료 첨가제를 개시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특2001-0089264호 및 특2001-0073722호는 각각 배출가스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각각 미네랄 시일 오일, 미네랄 스피리트, 글리콜 알킬 에테르 및 알킬 방향족 에톡실화 계면활성제를 소정 비율로 혼합한 연료 첨가제와, 소정 알코올 성분들을 포함하는 가솔린 대체연료 및 가솔린 첨가제를 개시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성분을 이용한 연료 첨가제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환경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자동차 연료 첨가제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과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휘발유나 경유와 같은 자동차 연료에 첨가 시 배출되는 일산화탄소나 미연소된 탄화수소와 같은 매연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연료의 제조방법 및 자동차 연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과제는 자동차 연료에 첨가 시 자동창의 출력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연료의 제조방법 및 자동차 연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은,
화이트올레익에시드 3 내지 5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12 내지 20 중량부;
부틸셀로솔브 5 내지 10 중량부;
스티라시톨 5 내지 6 중량부; 및
케로신 62 내지 7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에 있어서, 이소프로필알코올의 함량은 12 내지 16 중량부이고, 부틸셀로솔브의 함량은 5 내지 6 중량부이고, 케로신의 함량은 67 내지 7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은 자동차 연료에 첨가하는 방법으로 자동차 연료를 제조할 수 있고, 이러한 자동차 연료는 자동차를 운행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차 연료로는 휘발유, 경유, 바이오 연료,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휘발유 또는 경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의 조성 성분들은 자동차 연료에 첨가시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배출되는 일산화탄소와 미연소된 탄화수소 등의 매연을 크게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을 혼합한 자동차 연료는 자동차의 출력 특성도 큰 폭으로 개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동차 연료 첨가제는 휘발유, 경유 등의 자동차 연료의 첨가제로서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을 첨가하기 전의 휘발유 차량의 배출가스 측정 결과 화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을 휘발유 차량에 첨가하고 주행한 후의 배출가스 측정 결과 화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을 첨가하기 전의 경유 차량의 배출가스 측정 결과 화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을 경유 차량에 첨가하고 주행한 후의 배출가스 측정 결과 화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은,
화이트올레익애시드 3 내지 5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12 내지 20 중량부;
부틸셀로솔브 5 내지 10 중량부;
스티라시톨 5 내지 6 중량부; 및
케로신 62 내지 7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은 화이트올레익애시드를 3 내지 5 중량부 포함한다.
화이트올레익애시드(WHITE OLEIC ACID, C 17H 33COOH)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이며, 엔진세정, 수분유화, 연료유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함유 비율이 3 중량부 미만이면 첨가되는 대상물인 자동차 연료의 PH 조절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연료분사 장치 및 엔진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은 이소프로필알코올을 12 내지 20 중량부 포함한다.
이소프로필알코올(IPA, Iso propylalcohol, CH 3CH(OH)CH 3)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 전술한 함량 범위에서 연료 라인의 세정, 합성중간체, 동결방지, 탈수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함유 비율은 12 내지 16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은 부틸셀로솔브를 5 내지 10 중량부 포함한다.
부틸셀로솔브(BC, Butyl cellosolve, C 6H 14O 2)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 수분분산, 분사기 세정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함유 비율이 5 중량부 미만이면 분사기 세정이 충분치 않을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다세정으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함유 비율은 5 내지 6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은 스티라시톨을 5 내지 6 중량부 포함한다.
스티라시톨(STR, Styracitol, C 6H 12O 5)은 쪽동백(Styrax obassia, 때죽나무과)의 과피에서 추출할 수 있으며, 본 조성물의 필수적인 조성성분으로서 파라핀계 및 나프틴계 화합물에 작용하여 연료개질, 분산, 부식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함유 비율이 5 중량부 미만이면 매연 가스 저감이 충분치 않을 수 있고, 6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제적인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은 케로신을 62 내지 75 중량부 포함한다.
케로신(KEROSINE)은 시중에서 등유라고 불리는 물질로서, 첨가제 조성물의 베이스를 담당하면서 열량 증가와 점화속도의 조절 기능, 엔진 내부의 연소 프로세스 세정 기능과 수분제거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엔진의 연소활동에 도움을 준다. 그 함유 비율이 62 중량부 미만이면 자동차의 출력이 충분히 증대되지 않을 수 있고 75 중량부를 초과하면 겨울철 초기 시동 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함유 비율은 67 내지 75 중량부이다.
전술한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각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연료 참가제 조성물은 전술한 5가지 조성성분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목적으로 저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기타 다른 첨가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의 조성 성분들은 자동차 연료에 첨가시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배출되는 일산화탄소와 미연소된 탄화수소 등의 매연을 크게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을 혼합한 자동차 연료는 자동차의 출력 특성도 큰 폭으로 개선한다.
이러한 연료 첨가제 조성물은 자동차 연료에 첨가하는 방법으로 자동차 연료로 제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자동차 연료 1 L 당 0.6 내지 1 mL의 비율로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을 첨가하여 첨가제가 혼합된 자동차 연료를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동차 연료로는 휘발유, 경유, 바이오 연료,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휘발유 또는 경유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1~2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화이트올레익애시드 (중량부) 3 5
이소프로필알코올 (중량부) 12 16
부틸셀로솔브 (중량부) 5 6
스티라시톨 (중량부) 5 6
케로신 (중량부) 75 67
<매연 저감 측정>
실험예 1
휘발유 사용 차량 (차량번호: 62도 5240, 차명연식: SM5 2014년식)을 실험 대상으로 대한민국 전라남도 화순읍에 위치한 자동차 종합 검사소에서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도 1은 2018년 5월 20일 본 발명의 연료 첨가제를 주입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배출가스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화면이다. 이러한 결과를 확인한 후 바로 실시예 1의 연료 첨가제를 휘발유 1L 당 0.6 mL의 비율로 총 30 mL를 주입한 후, 2018년 5월 27일까지 약 7일간 연료 첨가제 및 휘발류의 추가 주입 없이 210km를 주행한 후 배출가스를 측정하였고(도 2), 도 1 및 도 2의 결과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구 분 HC(탄화수소, ppm) CO(일산화탄소, ppm)
실시예 1의 연료 첨가제 주입 전(Before) 9 0.24
실시예 1의 연료 첨가제 주입 및 주행 후(After) 1 0.00
결 과 88.88% 감소 100% 감소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료 첨가제를 휘발유에 주입하여 주행한 후의 휘발유 차량의 탄화수소 및 일산화탄소의 배출양은 매우 크게 저감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경유 사용 차량 (차량번호: 11머 4726, 차명연식: 트라제 2004년식)을 실험 대상으로 대한민국 전라남도 화순읍에 위치한 자동차 종합 검사소에서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도 3은 2018년 6월 19일 본 발명의 연료 첨가제를 주입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배출가스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화면이다. 이러한 결과를 확인한 후 바로 실시예 2의 연료 첨가제를 경유 1L 당 0.8 mL의 비율로 총 32 mL를 첨가한 후, 2018년 6월 25일까지 약 7일간 연료 첨가제 및 경유의 추가 주입 없이 260km를 주행한 후 배출가스를 측정하였고(도 4), 도 3 및 도 4의 결과를 하기 표 3에 정리하였다.
구 분 매연농도(%)
실시예 2의 연료 첨가제 주입 전(Before) 89
실시예 2의 연료 첨가제 주입 후(After) 24
결 과 73% 감소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료 첨가제를 경유에 주입하여 주행한 후의 경유 차량의 매연 농도는 매우 크게 저감된 것을 알 수 있다.
<출력 증가율 측정>
하기 표 4에 기재된 차량들을 대상으로 실시예 2의 연료 첨가제를 경유 1L 당 0.7 mL의 비율로 총 35 mL를 주입하기 전과 후의 출력을 측정하였다.
유종 차종 연식 연료 첨가제 RPM 측정마력
경유 투산 2467 2012 주입전 3950 73
3500 72
3250 69
주입후 4100 77
3600 76
3100 74
카렌스5687 2008 주입전 4100 68
3520 67
3310 67
주입후 3960 71
3800 71
3250 69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료 첨가제를 경유에 주입한 경유 차량의 출력은 5 내지 10% 정도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화이트올레익애시드 3 내지 5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12 내지 20 중량부;
    부틸셀로솔브 5 내지 10 중량부;
    스티라시톨 5 내지 6 중량부; 및
    케로신 62 내지 75 중량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프로필알코올의 함량은 12 내지 16 중량부이고, 부틸셀로솔브의 함량은 5 내지 6 중량부이고, 케로신의 함량은 67 내지 7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
  3. 제1항의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을 자동차 연료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연료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연료는 휘발유 또는 경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의 제조방법.
  5. 제1항의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동차 연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연료는 휘발유 또는 경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PCT/KR2019/008574 2018-07-11 2019-07-11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 WO202001363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691 2018-07-11
KR1020180080691A KR101950489B1 (ko) 2018-07-11 2018-07-11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3634A1 true WO2020013634A1 (ko) 2020-01-16

Family

ID=6556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8574 WO2020013634A1 (ko) 2018-07-11 2019-07-11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0489B1 (ko)
WO (1) WO20200136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398A (ko) * 2020-09-14 2022-03-23 주식회사 동이기술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한 선박용 연료첨가제 및 첨가제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489B1 (ko) * 2018-07-11 2019-02-20 주식회사 동이기술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293B1 (ko) * 2006-06-15 2007-04-02 이용만 바이오에탄올과 탄화수소용제를 함유한 내연기관용연료조성물
KR20110119132A (ko) * 2010-04-26 2011-11-02 주식회사 그린에너존 디젤 에멀젼유용 유화제 조성물
KR20130125880A (ko) * 2012-05-10 2013-11-20 주식회사 영진 경유용 다목적 연료첨가제
JP2017506288A (ja) * 2014-02-24 2017-03-02 トータル・マーケティング・サービシーズ 添加剤組成物、およびそのような組成物を含む高機能燃料
KR101950489B1 (ko) * 2018-07-11 2019-02-20 주식회사 동이기술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3525B1 (en) 1998-09-18 2001-02-06 American Energy Group, Inc. Fuel additive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fuels
KR20010073722A (ko) 2000-01-19 2001-08-01 성정숙, 김일두 가솔린대체연료및가솔린첨가제
KR100390973B1 (en) 2002-02-06 2003-07-12 Millae Tech Co Ltd Enzyme-based fuel additive
KR100544568B1 (ko) 2002-08-26 2006-01-23 오미혜 연소효율을 개선한 연료첨가제
KR100584224B1 (ko) 2005-02-03 2006-05-29 안성월 내연기관용 연료 첨가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293B1 (ko) * 2006-06-15 2007-04-02 이용만 바이오에탄올과 탄화수소용제를 함유한 내연기관용연료조성물
KR20110119132A (ko) * 2010-04-26 2011-11-02 주식회사 그린에너존 디젤 에멀젼유용 유화제 조성물
KR20130125880A (ko) * 2012-05-10 2013-11-20 주식회사 영진 경유용 다목적 연료첨가제
JP2017506288A (ja) * 2014-02-24 2017-03-02 トータル・マーケティング・サービシーズ 添加剤組成物、およびそのような組成物を含む高機能燃料
KR101950489B1 (ko) * 2018-07-11 2019-02-20 주식회사 동이기술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398A (ko) * 2020-09-14 2022-03-23 주식회사 동이기술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한 선박용 연료첨가제 및 첨가제 공급장치
KR102481523B1 (ko) 2020-09-14 2022-12-27 주식회사 동이기술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한 선박용 연료첨가제 및 첨가제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489B1 (ko) 201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13634A1 (ko)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
CN114907891B (zh) 一种清洁燃料及其制备方法
CN1766066A (zh) 一种柴油添加剂及其应用
US6419715B1 (en) Diesel fuel additive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diesel fuels
Miyamoto et al. Influence of the molecular structure of hydrocarbon fuels on diesel exhaust emissions
WO2017164637A2 (ko) 내연기관용 촉매 조성물
WO2017047932A1 (ko) 온실가스, 질소산화물 및 입자상 물질 저감을 위한 연료첨가제
CA2343083C (en) Diesel fuel additive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diesel fuels
CN110938478B (zh) 一种车用醇基燃料及其制备方法
CA2275573A1 (en) Diesel fuel additives
EP1251161A1 (en) Low-pollution liquid fue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3415632A (en) Fuel oil compositions
BR0108703A (pt) Composição combustìvel, método de operar um motor de combustão interna e uso de ácido oleico ou um derivado do mesmo.
KR102503500B1 (ko) 내연기관용 연료첨가제 조성물
KR102503505B1 (ko) 내연기관용 연료첨가제 조성물
KR20220007929A (ko) 친환경 개선 자동차 연료 첨가제 조성물
KR20050006005A (ko) 자동차 엔진용 알콜 혼합 연료 첨가제
CN1434104A (zh) 汽油清洁剂
WO2014168276A2 (ko) 연료 첨가제 및 제조방법
RU2299233C1 (ru)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ЭМИССИИ ОКСИДОВ АЗОТА NOx С ОТРАБОТАВШИМИ ГАЗАМИ ДИЗЕЛЕЙ
KR940009045B1 (ko) 연료의 개질제(改質劑)
CN108865299A (zh) 一种混合柴油清洁剂
KR20040083951A (ko) 가솔린 첨가제 및 가솔린 대체 알콜연료
JPH01152192A (ja) ディーゼル燃料油の燃焼改善添加剤
Luo Control Automotive Exhausts and Fuel-Saving by Introducing Improved Detergent Addi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334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334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