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13404A1 - 광 확산렌즈 - Google Patents

광 확산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13404A1
WO2020013404A1 PCT/KR2018/015853 KR2018015853W WO2020013404A1 WO 2020013404 A1 WO2020013404 A1 WO 2020013404A1 KR 2018015853 W KR2018015853 W KR 2018015853W WO 2020013404 A1 WO2020013404 A1 WO 202001340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ight
diffusing lens
light diffusing
curvatur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585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기호경
고석채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엘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엘옵틱스 filed Critical (주)에이치엘옵틱스
Publication of WO202001340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1340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diffusing lens.
  • LCDs liquid crystal displays
  • the liquid crystal panel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oes not emit light by itself, the liquid crystal panel includes a backlight unit for providing light to the liquid crystal panel under the liquid crystal panel.
  • the backlight unit includes a lamp, a light guide plate, a reflective sheet, an optical sheet, and the like.
  • the lamp uses a cold cathode ray tube lamp having a relatively low heat generation, generating white light close to natural light, and a long lifespan, or an LED lamp using a light emitting diode (LED) that has good color reproduction and low power consumption. do.
  • LED light emitting diode
  • a cold cathode ray tube type lamp is mainly used. However, since LED type lamps have good color reproducibility and consume less power, LED type lamp products are widely used.
  • the light emitted by the LED is straight and tends to be concentrat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LED. 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technology for effectively and uniformly diffusing the light of LEDs.
  • Figures 1a and 1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light path and the light distribution form of a typical one-side light emitting LED, respectively
  • Figures 2a and 2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light path and light distribution form of a typical five-side light emitting LED, respectively.
  • the ratio of light directed to the side is increased by about 30% compared to the existing 1-sided LED.
  • the light path is irradiated within 30 degrees of the top surface of the PCB on which the 5-sided LED is mounted, and the light path is determined by the side shape of the lens, thereby greatly affecting light diffusing and light quality improvement of the lens. .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 light diffusion lens capable of improving light diffusion and image quality of light when implementing asymmetric light distribution.
  •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hen implementing asymmetric light distribution by using a rotationally symmetrical emission surface and an asymmetrical entrance surface, using the side surface forming a free curve of the emission surface and It is to provide a light diffusing lens for improving the light quality.
  • the light diffusion len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An entrance surface concave inwardly from one region (incident opening) of the lower surface; And an emission surface on which light incident through the entrance surface is emitted, the emission surface comprising: an upper surface convex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side surfac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optical axis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wherein, in the side surface, the first height of the first side portion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and as perpendicular to the first side portion
  • the second heights of the second sides facing each other based on the optical axis may be formed differently.
  • the first height may be higher than the second height.
  • the upper side of the side surface may be curved to connect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 the upper side of the side surface, the first curvature to form a convex upward from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curvature can be achieved as a curved shape convex downward from the second side.
  • the first curvature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econd curvature.
  • the inlet may be elliptical.
  • the first side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entrance hole
  • the second side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minor axis direction of the entrance hole.
  • the lower surface, the concave shape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curvature of the lower surface may be greater than the curvatur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 the lower surface may have a planar shape from the side surface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enter direction, and may be convex downward from the point where the planar shape ends to the center.
  •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long axis to the length of the short axis of the entrance hole may range from more than 1 to less than 1.5.
  • the ratio of the first height to the second height may range from more than 1 to less than 2.
  • the shape of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incident surface may be a semi-elliptic shape or parabolic shape.
  • the upper surface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virtual vertical plane passing through the optical axis.
  • the upper surface may be a convex shape in which the curvature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central portion to the outer portion.
  • the present invention when implementing the asymmetric light distribution, there is an effect to increase the diffusion of light and the image quality of the light by using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side surface.
  • 1A and 1B are exemplary views each showing a light path and a light distribution form of a general one-side light emitting LED.
  • 2A and 2B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optical paths and light distribution forms of a typical 5-sided LED.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diffusing len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lan view of a light diffusing len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bottom view of the light diffusing len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light diffusing len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ide view of the light diffusing len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major axis direction of the light diffusing len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short axis direction of the light diffusing len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light diffusing lens for explaining a comparative example
  • FIG.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light distribution form according to a ratio of a long axis to a short axis of the light diffusing lens of FIG. 10.
  • FIG. 1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light distribution type of a light diffusing lens in consideration of a ratio of a long axis to a shortening of an entrance hole and a ratio of a height of a first side portion to a height of a second side portion of a side surface.
  • FIG. 1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light source applied to the light diffusion len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above terms. The term may only b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Can be. In addi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erpreted as meanings common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diffusing len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lan view of a light diffusing len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bottom view of a light diffusing len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light diffusing len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ide view of the light diffusing len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light diffusing len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9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short axis direction of the light diffusing len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lan view of a light diffusing len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bottom view of a light diffusing len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light diffusing len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x direction is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entrance hole
  • the y direction is the short axis direction of the entrance hole
  • the z direction represents the optical axis direction.
  •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4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FIG. 4.
  • the light diffusing lens 1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ght diffusing lens for diffu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 the light diffusing lens 1 may implement asymmetric light distribution by using the aspherical entrance face 200 and the rotationally symmetric exit face 300.
  • the light diffusing lens 1 since the light diffusing lens 1 is designed to have only the incident surface 200 in an aspheric shape, the light diffusing lens 1 can be easily designed and miniaturized.
  • light diffusion and light quality may be improved by using a height ratio of the side surface 320 forming a free curve of the emission surface 300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pper side of the side surface 320 forms a free curv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atio of the long axis to the short axis of the entrance hole 210, so that the light diffusion and the image quality of the light are realized while implementing various asymmetric light distributions. It can be improved.
  • the light diffusion lens 1 has a bottom surface 100, an incident surface 200 through which light is incident, and light incident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200. It may include an exit surface 300 to be emitted.
  • the exit surface 300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310 and a side surface 320.
  • the upper surface 310 may be formed convexly toward the upper side.
  • 'upper side' and 'lower side' are relative expressions, and unless otherwise defined below, the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100 to the upper surface 310 is determined as the upper side (upper side), and vice versa.
  • the direction toward the lower surface 100 is determined as the lower side (lower side).
  • the light diffusing lens 1 diffus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entrance hole 210. At this time, since the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is changed by the shape of the entrance surface 200 and the exit surface 300, the entrance surface 200 and the exit surface 300 is formed in the shape and aspherical shape The arrangement of the incident surface 200 serves as the largest element of light distribution due to the change of the path of light.
  • the light diffusing lens 1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using a material of polycarbonate or polymethmethylacrylate.
  • the refractive index of polycarbonate is 1.58 and the refractive index of polymethmethylacrylate is 1.49.
  • the lower surface 10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 which the entrance hole 210 is disposed at the center thereof.
  • the lower surface 100 may be formed in a convex shape or a planar shape in a downward direction.
  • the lower surface 100 convex in the downward direction may be a curved surface having a curvature greater than that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310.
  • the lower surface 100 is an example that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of the convex shape in the downward dire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lower surface 100 may have a planar shape from the edge to the center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have a lower convex surface shape from the point where the plane ends. That is, the lower surface 100 may have a curvature of 0 for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edge to the center direction, and a curvature increases from the predetermined length to the center and then decreases again.
  • the lower surface 100 having the lower convex surface can be more totally refl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light emitted to the lower sid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 the plane may be disposed outside the lower convex surface so that light is totally reflected by the lower convex surface.
  • the incident surface 200 is a surface portion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positioned at the entrance port 210 is incident into the light diffusion lens 1.
  • the aspherical incident surface 200 may be formed to be concave inward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100. Accordingly, the entrance hole 210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100.
  • the entrance hole 21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lliptic shape, as shown in FIG. 5, the entrance hole 210 has a long axis 211 and a short axis 212.
  • the ratio Dr of the length D1 of the long axis 211 to the length D2 of the short axis 212 is greater than 1 to 1.5. It may be in the range below.
  • the hinge piece,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incident surface 200 may be formed in a semi-elliptic sphere shape, a rugby ball shape or a parabolic shape. Accordingly, the incident surface 200 may be formed as an aspherical surface.
  • the entrance hole 210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100 such that the intersection of the long axis 211 and the short axis 212 of the entrance hole 210 and the center point of the lower surface 200 coincide with each other.
  • the light source 10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entrance hole 210. Accordingly, an air lay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ight source 10 and the incident surface 200. Therefor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to the air layer may be refracted by the incident surface 200 of the light diffusing lens 1 having a different refractive index.
  • the emission surface 300 is a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 through which the light incident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200 is emitted, and may be formed to be rotationally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C. 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when viewed from the optical axis C direction, the exit surface 30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 the optical axis C is the center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10 and may coincide with the center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
  • the emission surface 300 may include a convex upper surface 310 and a side surface 320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310 and the lower surface 100.
  • the side surface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C).
  • some of the light incident into the light diffusion lens 1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200 may be refracted through the upper surface 310 and emitted to the outside.
  • the upper surface 310 may be formed convexly in a hemispherical shape or a rotationally symmetrical shape.
  • the upper surface 310 may be convex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z direction).
  • the upper surface 310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virtual vertical plane passing through the optical axis (C). 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310 may implement a symmetrical optical path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C.
  • the upper surface 310 may be formed in a convex shape in which the curvature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top center portion to the edge portion. Alternatively, the uppermost cent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310 may be flatter than the edge portion.
  • FIG.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light diffusing lens for explaining a comparative example
  • FIG.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light distribution form according to a ratio of a long axis to a short axis of the light diffusing lens of FIG. 10.
  • the shape of the side surface 2a of the light diffusing lens 2 of FIG. 10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ide surface 320 of the example light diffusing lens 1 is different.
  • the incident angl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cident surface.
  • the light incident on the incident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lens 2 in the short axis direction is incident at the first incident angle ⁇ 1 and then refracted at the first refractive angle ⁇ 3.
  • the light incident on the incident surface in the short axis direction and the light incident on the incident surface in the long axis direction in the light diffusing lens 2 of the comparative example are different when the light path reaches the exit surface (point a, b).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1, a phenomenon (spot or dark portion) in which light quality deteriorates occurs in the light diffusion lens 2 of the comparative example.
  • the light diffusing lens 1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light diffusing property and the image quality by using the side surface 320 which forms a free curve so that a height difference occurs on the upper side of the emission surface 300. Asymmetrical light distribution can be achieved.
  • the side surface 320 has a pair of first side portions 321 having a height of H1. ,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second side portions 322 having a height of H2.
  • each of the pair of first side portions 321 and the pair of second side portions 322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C.
  • H1 is formed higher than H2 based on the lower edge of the lower surface 100 or the side surface 320.
  • H1 may be the maximum height of side surface 320 and H2 may be the minimum height of side surface 320.
  • the first side part 321 may be formed i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entrance hole 210, and the second side part 322 may be formed in the minor direction of the entrance hole 210.
  • the first side part 321 i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a virtual AA ′ line that crosses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entrance hole 210, and crosses the short direction of the entrance hole 210.
  • the second side portion 322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the slicing virtual BB 'line.
  • the ratio Hr of the height H1 of the first side portion 321 and the height H2 of the second side portion 322 to prevent the formation of mura (unevenness) to improve the light uniformity of the light diffusing lens 1. May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ratio (Dr) of the length of the long axis to the length of the short axis of the entrance hole 210.
  • the light diffusing lens 2 of the comparative example has already been described in that the position of the light reaching the emission surface in the short axis direction and the long axis direction may be different in height, such as points a and b.
  • the height H1 of the first side portion 321 is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H2 of the second side portion 322, and the ratio Hr of H1 to H2 is 1 ⁇ Hr. It may range from ⁇ 2. In particular, in consideration of light uniformity and light quality, the ratio Hr of H1 to H2 is preferably 1.5.
  • FIG. 1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light distribution type of a light diffusing lens in consideration of a ratio of a long axis to a shortening of an entrance hole and a ratio of a height of a first side portion to a height of a second side portion of a side surface.
  • the height of the second side portion 322 is high.
  • the ratio Hr of the height H1 of the first side portion 321 to H2 is 1 ⁇ Hr ⁇ 2
  • an area where the upper surface 310 and the side surface 320 meet may be formed in a curved line.
  • the curve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 the upper side of the side surface 320 may have a curved shape in which the height of the side surface 320 decreases from the first side portion 321 to the second side portion 322.
  •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ide portion 321 is a convex upward curve among the curves where the upper surface 310 and the side surface 320 contact each other, and is formed to have a first curvature (1 / R1).
  •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ide portion 322 may be formed with a second curvature 1 / R2 as a downwardly convex curve.
  • the first curvature (1 / R1) and the second curvature (1 / R2) may be the same.
  • FIG. 1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light source applied to the light diffusion len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ight source 10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incident surface 200 may include an upper light emitting surface 11 and four side light emitting surfaces 12. Accordingly, the light source 10 may implement five-sided light emission. In this case,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source 10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0.
  • Light irradiated from the upper light emitting surface 11 of the light source 10 may be irradiat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z direction), and light irradiated from the side light emitting surface 12 may be irradiat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light diffusion lens 1. have.
  • the light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side light emitting surface 12 may be changed by the side surface 320 having an aspherical surface and the upper side curved.
  • the LED may be used as the light source 10.
  • a yellow phosphor may be applied to the LED.
  • light irradiated 30 degrees or less through the side light emitting surface 12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source 10 is directed to the first side portion 321 and the second side portion 322 having different heights of the side surface 320.
  • the light quality can be improv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nses (AREA)

Abstract

광 확산렌즈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는, 하부면, 상기 하부면의 일영역(입사구)으로부터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출사면은, 광축방향으로 볼록 형상의 상부면, 및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 사이에서 광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측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부면에서,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1측부의 제1높이와, 상기 제1측부와 수직으로서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2측부의 제2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 확산렌즈
본 발명은 광 확산렌즈에 대한 것이다.
근래 들어오면서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반도체 기술을 중심으로 하여, 소형 및 경량화되면서 성능이 더욱 향상된 평판 표시장치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 중에서 근래에 각광받고 있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소형화, 경량화 및 저전력 소비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어서 기존의 브라운관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 수단으로서 점차 주목받아 왔고, 현재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필요한 거의 모든 정보 처리 기기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에서의 액정패널은 스스로 발광하지 못하는 수광소자이므로, 액정패널 하부에서 액정패널에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백라이트 유닛은 램프, 도광판, 반사 시트 및 광학 시트류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램프는 비교적 발열량이 적으며 자연광에 가까운 백색광을 발생시키고 수명이 긴 냉음극선관 방식 램프나, 색 재현성이 좋고 저전력이 소비되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이용한 LED 방식 램프를 사용한다. 종래에는 냉음극선관 방식의 램프가 주로 사용되었지만, 현재에는 LED 방식 램프가 색 재현성이 좋고 소비전력이 적게 소모되므로, LED 방식 램프 제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LED가 방출하는 빛은 직진성이 강해 LED 정면 방향으로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그에 따라, LED의 빛을 효과적으로 그리고 균일하게 확산시키기 위한 기술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1면 발광 LED의 광경로 및 배광 형태를 각각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일반적인 5면 발광 LED의 광경로 및 배광 형태를 각각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5면 발광 LED의 경우 기존 1면 발광 LED에 비해 측면으로 향하는 빛의 비율이 약 30% 정도 증가하게 된다. 특히, 5면 발광 LED가 실장되는 PCB의 상면을 기준으로 30도 이내로 조사되는 광은 렌즈의 측면 형상에 의해 광 경로가 결정되며, 그에 따라 렌즈의 광 확산성과 광 화질 개선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때, 비대칭 형태의 배광을 구현하기 위해 입광면과 출광면이 모두 비대칭으로 구현되는 렌즈의 경우, 입광면과 출광면에 대한 설계가 어렵고, 렌즈의 소형화가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렌즈의 단가가 상승하는 요인이 발생한다.
따라서, 비대칭 형태의 배광을 구현할 때, 광의 확산 및 광의 화질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렌즈의 단가 감소 및 설계의 용이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 또한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비대칭 형태의 배광을 구현할 때, 광의 확산 및 광의 화질을 높일 수 있는 광 확산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회전대칭 형상의 출사면과 비대칭 형상의 입사면을 이용하여 비대칭 형태의 배광을 구현할 때, 출사면 중 자유 곡선을 형성하는 측부면을 이용하여 광 확산성과 광 화질을 개선하는 광 확산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는, 하부면; 상기 하부면의 일영역(입사구)으로부터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출사면은, 광축방향으로 볼록 형상의 상부면; 및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 사이에서 광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측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부면에서,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1측부의 제1높이와, 상기 제1측부와 수직으로서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2측부의 제2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높이는 상기 제2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측부면의 상부측은, 상기 제1측부와 상기 제2측부를 잇는 곡선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측부면의 상부측은, 상기 제1측부에서 위로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서 제1곡률을 이루고, 제2측부에서 아래로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서 제2곡률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곡률은, 상기 제2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입사구는 타원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측부는, 상기 입사구의 장축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제2측부는, 상기 입사구의 단축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하부면은, 아래 방향으로 불록한 형상으로서, 상기 하부면의 곡률은 상기 상부면의 중심부분의 곡률보다 더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하부면은, 상기 측부면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일정한 길이까지 평면 형상이고, 상기 평면 형상이 끝나는 지점부터 중심까지 아래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입사구의 단축의 길이에 대한 장축의 길이의 비율은 1 초과 내지 1.5 미만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높이에 대한 제1높이의 비율은 1 초과 내지 2 미만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입사면의 수직 단면의 형상은, 반타원 형상 또는 포물선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면은, 광축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평면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면은, 중심부분으로부터 외곽으로 갈수록 곡률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볼록 형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비대칭 형태의 배광을 구현할 때, 측부면의 높이차를 이용하여 광의 확산 및 광의 화질을 높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즉, 회전대칭 형상의 출사면과 비대칭 형상의 입사면을 이용하여 비대칭 형태의 배광을 구현할 때, 출사면 중 자유곡선을 형성하는 측부면을 이용하여 광 확산성과 광 화질을 개선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1면 발광 LED의 광경로 및 배광 형태를 각각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일반적인 5면 발광 LED의 광경로 및 배광 형태를 각각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의 장축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의 단축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비교예를 설명하기 위한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광 확산렌즈의 단축에 대한 장축의 비율에 따른 배광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입사구의 단축에 대한 장축의 비율과 측부면의 제2측부의 높이에 대한 제1측부의 높이의 비율을 고려한 광 확산렌즈의 배광 형태를 나타내는 일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에 적용되는 광원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의 장축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의 단축방향의 단면도이다. 이때, 도 3에서 x 방향은 입사구의 장축방향이고, y 방향은 입사구의 단축방향이며, z 방향은 광축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도 8은 도 4의 A-A' 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4의 B-B' 선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1)는 광원(10)에서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렌즈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1)는 비구면 형상의 입사면(200)과 회전대칭 형상의 출사면(300)을 이용하여 비대칭 형태의 배광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광 확산렌즈(1)는 입사면(200)만을 비구면 형상으로 설계하기 때문에, 광 확산렌즈(1)의 설계가 용이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1)의 출사면(300)의 자유곡선을 형성하는 측부면(320)의 높이 비율을 이용하여 광 확산 및 광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나아가, 측부면(320)의 상부측이 자유곡선을 형성하기 때문에, 입사구(210)의 단축에 대한 장축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비대칭 형태의 배광을 구현하면서도 광 확산 및 광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1)는 하부면(100),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200) 및 입사면(200)을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300)을 포함할 수 있다.
출사면(300)은 상부면(310)과 측부면(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면(310)은 상부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측'과 '하부측'은 상대적인 표현으로써, 이하에서 별다른 정의가 없다면 하부면(100)에서 상부면(310)으로 향하는 방향을 상부측(위쪽)으로 정하고, 이와 반대로 상부면(310)에서 하부면(100)으로 향하는 방향을 하부측(아래쪽)으로 정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1)는 입사구(210)의 중앙에 배치되는 광원(10)에서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킨다. 이때, 입사면(200)과 출사면(300)의 형상에 의해 광원(10)에서 출사되는 광의 경로가 변경되기 때문에, 입사면(200)과 출사면(300)의 형상 및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입사면(200)의 배치가 광의 경로 변경에 따른 배광의 가장 큰 요소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1)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의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폴리카보네이트의 굴절율은 1.58이고, 폴리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의 굴절률은 1.49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면(100)은 중앙에 입사구(210)가 배치되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면(100)은 아래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 또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아래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하부면(100)은 상부면(310)의 중심 부분의 곡률보다 더 큰 곡률을 가지는 곡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하부면(100)은 아래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하부면(100)은 가장자리에서 중심 방향으로 일정 길이까지는 평면 형상이고, 이 평면이 끝나는 지점부터 중심측으로 하부 볼록면 형상일 수 있다. 즉, 하부면(100)은 가장자리에서 중심 방향으로 일정 길이동안 곡률이 0이고, 일정 길이 이상부터 중심까지는 곡률이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형상일 수도 있다.
평면만으로 구성된 하부면과 비교해 볼 때, 하부볼록면을 구비하는 하부면(100)의 경우 광원(10)에서 출사되는 광 중에서 하부측으로 출사되는 광을 상부측으로 더 많이 전반사 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하부볼록면에 의해 우선적으로 광이 전반사되도록, 평면은 하부볼록면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입사면(200)은 입사구(210)에 위치하는 광원(10)에서 출사되는 광이 광 확산렌즈(1)의 내부로 입사되는 표면 부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구면 형상의 입사면(200)은 하부면(100)의 중앙에서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부면(100)의 중앙에는 입사구(21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입사구(210)는 타원 형상이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구(210)는 장축(211)과 단축(212)이 형성된다. 장축(211)의 길이를 D1이라 하고, 단축(212)의 길이 D2라 하면, 단축(212)의 길이(D2) 대비 장축(211)의 길이(D1)의 비율(Dr)은 1 초과 내지 1.5 미만의 범위일 수 있다.
힌편, 입사면(200)의 수직 단면은 반타원구 형상, 반럭비(rugby)공 형상 또는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입사면(200)은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입사구(210)의 장축(211)과 단축(212)의 교점과 하부면(200)의 중심점이 일치하도록, 입사구(210)는 하부면(10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입사구(210)의 중앙에는 광원(10)이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광원(10)과 입사면(200) 사이에는 공기층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10)에서 공기층으로 출사되는 광은 굴절율이 다른 광 확산렌즈(1)의 입사면(200)에서 굴절될 수 있다.
출사면(300)은 입사면(200)을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광 확산렌즈(1)의 표면으로서, 광축(C)을 기준으로 회전 대칭(rotational symmetry)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C) 방향에서 바라볼 때, 출사면(300)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광축(C)은 광원(10)에서 조사되는 광의 중심이며, 광 확산렌즈(1)의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출사면(300)은 볼록 형상의 상부면(310), 및 상부면(310)과 하부면(100) 사이에 배치되는 측부면(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측부면은 광축(C)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입사면(200)을 통해 상기 광 확산렌즈(1)의 내부로 입사된 광 중 일부는 상부면(310)을 통해 굴절되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상부면(310)은 반구면 형상 또는 회전 대칭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부면(310)은 광축 방향(z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면(310)은 광축(C)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평면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부면(310)은 광축(C)을 기준으로 대칭적 광 경로를 구현할 수 있다.
상부면(310)은 최상단 중심 부분에서 가장자리 부분으로 갈수록 곡률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부면(310)의 최상단 중심 부분은 가장자리 부분보다 평탄할 수도 있다.
도 10은 비교예를 설명하기 위한 광 확산렌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광 확산렌즈의 단축에 대한 장축의 비율에 따른 배광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의 광 확산렌즈(2)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1)를 비교해 볼 때, 도 10의 광 확산렌즈(2)는 측부면(2a)의 형상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1)의 측부면(320)과 상이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광원(10)으로부터 동일한 각도로 조사된 광은, 광 확산렌즈(2)의 입사면에 도달할 때, 입사면의 형상에 따라 입사각이 달라지게 된다.
즉,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확산렌즈(2)의 단축 방향의 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은 제1 입사각(θ1)으로 입사된 후 제1 굴절각(θ3)으로 굴절되어 출사면 중 포인트 a에서 출사된다.
또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확산렌즈(2)의 장축 방향의 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은 제2 입사각(θ2)으로 입사된 후 제2 굴절각(θ4)으로 굴절되어 출사면 중 포인트 b에서 출사된다.
즉, 비교예의 광 확산렌즈(2)에서 단축 방향의 입사면으로 입사된 광과 장축 방향의 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은 광 경로가 달라 출사면에 도달했을 때 도달 위치(도 10의 포인트 a, b 참조)가 다르게 된다. 그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의 광 확산렌즈(2)에는 광 화질이 저하되는 현상(스팟 또는 암부)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1)는, 출사면(300) 중 상부측에 높이차가 발생하도록 자유곡선을 형성하는 측부면(320)을 이용하여 광 확산성과 광 화질을 개선하면서도 비대칭 형태의 배광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1)는, 측부면(320)의 상부측이 곡선의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측부면(320)은 높이가 H1인 한쌍의 제1측부(321)와, 높이가 H2인 한쌍의 제2측부(32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한쌍의 제1측부(321)와 한쌍의 제2측부(322) 각각은 광축(C)을 기준으로 각각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부면(100) 또는 측부면(320)의 하부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H1은 H2 보다 높게 형성된다. 그에 따라, H1은 측부면(320)의 최대 높이가 될 수 있고, H2는 측부면(320)의 최소 높이가 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입사구(210)의 장축 방향으로 제1측부(321)가 형성되며, 입사구(210)의 단축 방향으로 제2측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구(210)의 장축 방향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A-A' 선상에는 제1측부(321)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입사구(210)의 단축 방향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B-B' 선상에는 제2측부(322)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때, 무라(고르지 못함)의 형성을 방지하여 광 확산렌즈(1)의 광 균일도를 향상시키도록, 제1측부(321)의 높이 H1과 제2측부(322)의 높이 H2의 비율(Hr)은 입사구(210)의 단축의 길이에 대한 장축의 길이의 비율(Dr)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의 광 확산렌즈(2)는 단축 방향과 장축 방향에 대한 출사면에 도달하는 광의 위치가 포인트 a 및 포인트 b처럼 높이가 다를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1)는 제1측부(321)의 높이 H1이 제2측부(322)의 높이 H2보다 높게 형성되며, H2에 대한 H1의 비율 Hr이 1<Hr<2의 범위일 수 있다. 특히, 광 균일도 및 광 화질을 고려해 볼 때, H2에 대한 H1의 비율 Hr은 1.5가 바람직하다.
도 12는 입사구의 단축에 대한 장축의 비율과 측부면의 제2측부의 높이에 대한 제1측부의 높이의 비율을 고려한 광 확산렌즈의 배광 형태를 나타내는 일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측부의 높이 H2에 대한 제1측부의 높이 H1의 비율 Hr이 2.5인 경우 암부가 발생하여 광 화질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입사구(210)의 단축(212)의 길이에 대한 장축(211)의 길이의 비율 Dr이 1<Dr<1.5일 때, 제2측부(322)의 높이 H2에 대한 제1측부(321)의 높이 H1의 비율(Hr)이 1<Hr<2인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1)의 광 화질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부면(310)과 측부면(320) 만나는 영역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곡선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측부면(320)의 상부측은 제1측부(321)에서 제2측부(322)로 갈수록 측부면(320)의 높이가 감소하는 곡선의 형상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310)과 측부면(320)이 접하는 곡선중 제1측부(321)의 상부측은 위로 볼록한 곡선으로서, 제1곡률(1/R1)로 형성될 수 있고, 제2측부(322)의 상부측은 아래로 볼록한 곡선으로서 제2곡률(1/R2)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곡률(1/R1)과 상기 제2곡률(1/R2)은 동일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광 확산렌즈에 적용되는 광원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입사면(200)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10)은 상부발광면(11)과 네 개의 측부발광면(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광원(10)은 5면 발광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광원(10)의 하면은 기판(20)의 상면과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광원(10)의 상부발광면(11)에서 조사되는 광은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조사되고, 측부발광면(12)에서 조사되는 광은 광 확산렌즈(1)의 반경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측부발광면(12)에서 조사되는 광은 비구면 형상의 입사면(200)과 상부측이 곡선으로 형성된 측부면(320)에 의해 광 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10)으로는 LED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LED에는 노란색 형광체가 도포될 수 있다.
한편, 광원(10)의 하면을 기준으로 측부발광면(12)을 통해 30도 이하로 조사되는 광은 측부면(320)의 높이가 다른 제1측부(321)와 제2측부(322)에 의해 각각 굴절되어 광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하부면;
    상기 하부면의 일영역(입사구)으로부터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출사면은,
    광축방향으로 볼록 형상의 상부면; 및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 사이에서 광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측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부면에서,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1측부의 제1높이와, 상기 제1측부와 수직으로서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2측부의 제2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광 확산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높이는 상기 제2높이보다 높은 광 확산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면의 상부측은, 상기 제1측부와 상기 제2측부를 잇는 곡선형상인 광 확산렌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면의 상부측은, 상기 제1측부에서 위로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서 제1곡률을 이루고, 제2측부에서 아래로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서 제2곡률을 이루는 광 확산렌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곡률은, 상기 제2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광 확산렌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구는 타원형상인 광 확산렌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부는, 상기 입사구의 장축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제2측부는, 상기 입사구의 단축방향에 형성되는 광 확산렌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면은,
    아래 방향으로 불록한 형상으로서, 상기 하부면의 곡률은 상기 상부면의 중심부분의 곡률보다 더 큰 광 확산렌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면은,
    상기 측부면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일정한 길이까지 평면 형상이고, 상기 평면 형상이 끝나는 지점부터 중심까지 아래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인 광 확산렌즈.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구의 단축의 길이에 대한 장축의 길이의 비율은 1 초과 내지 1.5 미만의 범위인 광 확산렌즈.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높이에 대한 제1높이의 비율은 1 초과 내지 2 미만의 범위인 광 확산렌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의 수직 단면의 형상은, 반타원 형상 또는 포물선 형상인 광 확산렌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은,
    광축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평면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광 확산렌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은,
    중심부분으로부터 외곽으로 갈수록 곡률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볼록 형상인 광 확산렌즈.
PCT/KR2018/015853 2018-07-09 2018-12-13 광 확산렌즈 WO202001340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402 2018-07-09
KR10-2018-0079402 2018-07-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3404A1 true WO2020013404A1 (ko) 2020-01-16

Family

ID=69143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5853 WO2020013404A1 (ko) 2018-07-09 2018-12-13 광 확산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001340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2915A (ja) * 2008-02-15 2009-08-27 Sony Corp レンズ、光源ユニット、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KR20150024125A (ko) * 2013-08-26 2015-03-06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면 조명용 렌즈 및 발광 모듈
KR20170093391A (ko) * 2016-02-05 2017-08-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원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KR20170096370A (ko) * 2016-02-16 2017-08-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렌즈, 발광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KR20180034929A (ko) * 2016-09-28 2018-04-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렌즈, 광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2915A (ja) * 2008-02-15 2009-08-27 Sony Corp レンズ、光源ユニット、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KR20150024125A (ko) * 2013-08-26 2015-03-06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면 조명용 렌즈 및 발광 모듈
KR20170093391A (ko) * 2016-02-05 2017-08-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원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KR20170096370A (ko) * 2016-02-16 2017-08-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렌즈, 발광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KR20180034929A (ko) * 2016-09-28 2018-04-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렌즈, 광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6844B2 (en) Emission devic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KR101329413B1 (ko) 광학 렌즈, 이를 구비하는 광학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백라이트 유닛
WO2014025193A1 (ko) 발광다이오드용 렌즈,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유닛 및 표시장치
WO201102510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WO2020141919A1 (en) Display apparatus
WO2020184903A1 (ko) 미니 led 또는 마이크로 led를 광원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WO2021153869A1 (ko) 집중적이고 균일한 배광 제어가 가능한 리플렉터 구조를 구비한 엘이디 조명장치
WO2016010214A1 (ko) 광 확산 렌즈, 이를 구비한 발광 디바이스
WO2014014186A1 (en) Display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WO2021002655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ffuser plate thereof
KR102053010B1 (ko) 광 확산렌즈
WO2021015433A1 (en) Display apparatus
WO2020166864A1 (ko) 미니 led 또는 마이크로 led 백라이트 유닛용 광학 필름
WO2015088087A1 (ko) 파리눈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젝터용 광학엔진
WO2016099195A1 (ko) 확산렌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WO2020171506A1 (en) Optical structure for light-emitting diode device and light-emitting diode device for lighting application including the same
WO2020013404A1 (ko) 광 확산렌즈
WO2018208056A1 (ko) 확산렌즈 및 이를 채용한 발광장치
WO2012039532A1 (en) Optical sheet, optical unit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WO2020251131A1 (ko)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WO2019088457A1 (ko) 광학렌즈
WO2014067194A1 (zh) 背光模块及显示装置
KR20050121578A (ko) 백라이트 유닛
WO2020004849A1 (ko) 미니 led 또는 마이크로 led 백라이트 유닛용 광학 필름
KR102062782B1 (ko) 광 확산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263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9263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