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68208A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68208A1
WO2019168208A1 PCT/KR2018/002359 KR2018002359W WO2019168208A1 WO 2019168208 A1 WO2019168208 A1 WO 2019168208A1 KR 2018002359 W KR2018002359 W KR 2018002359W WO 2019168208 A1 WO2019168208 A1 WO 201916820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esture
function
grip
information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235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정민
전현주
변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8/00235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68208A1/ko
Publication of WO201916820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6820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detecting an operation of gripping the terminal.
  • Terminals may be divided into mobile / portable terminals and stationary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mobility.
  • the mobile terminal may be further classifi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ed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a user can directly carry it.
  • the functions of mobile terminals are diversifying. For example,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taking a picture and video with a camera, recording a voice, playing a music file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outputting an image or video to a display unit.
  • Some terminals have an electronic game play function or a multimedia player function.
  • recent mobile terminals may receive multicast signals that provide visual content such as broadcasting, video, and television programs.
  • such a terminal is a multimedia player having a complex function such as taking a picture or a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playing a game, or receiving a broadcast. Is being implemented.
  •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face that can improve user convenience by utilizing various user inputs applied through the grip sensor.
  • a grip sensor for sensing a grip input appli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a grip input through the grip sensor, detects a sensing time for detecting a grip input through the grip sensor. And when the sensing time of the grip input is detected to be less than a threshold time, determining the grip input as a first gesture,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in response to the first gesture, and sensing time of the grip input.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the grip input as a second gesture and to execute a function related to a voice in response to the second gesture when the grip input is detected at the threshold time or more.
  • the control unit may set a specific function based on a user control command among a plurality of functions executable by the first gesture.
  • any one of a first state in which the illumination is turned on to display the visual information and a second state in which the illumination is turned off to display the visual information cannot be displayed.
  • a touch screen having one state, wherein the controller is further configured to switch the touch screen to a second state in response to the first gesture being sensed through the grip sensor in the first state.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cameras, and the controller may activate at least one of the one or more cameras to capture an image based on the first gesture.
  •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for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ler executes a screen capture function for capturing the currently displayed visual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first gesture being applied.
  •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wherein the controller is further configured to perform a function related to the currently executing function when the first gesture is detected while the execution screen of the currently executing function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t is characterized by executing.
  • the voice related function may include a voice assistance function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using a voice command received from a user, a voice typing function for converting vo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into text information, or a voice received from the user. And a voice memo function for storing information in a memory.
  • the function related to speech recognition is a voice assistance function, and when the voice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while the second gesture is detected, in response to the second gesture being released, And execut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voice command.
  •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displaying visual information.
  •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the voice command based on the visual information when a voice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while the second gesture is detected. Determining the priority of the plurality of related information.
  • the microphone and the controller execute a voice memo function in response to the second gesture being appli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all function for the call counterpart, and received while the second gesture is detected. And controlling the microphone so that voice information is not transmitted to the call counterpart, and in response to the second gesture being released, storing the received voice information in a memory.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for outputting a keypad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execute the voice typing function when a second gesture input is applied while the keypad is output. It features.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camera to capture a still image through the camera in response to the first gesture, and in response to the second gesture, through the camera.
  • the camera is controlled to shoot a video.
  •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grip input detec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within a preset time as a third gesture, and based on the detected third gesture, of the plurality of functions currently executed in the background. It is characterized by executing the most recently executed function in the foreground.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displaying visual information, and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s hand applying the grip input is the left hand or the right han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grip input. Based on the result, the output position of the mini-view screen on which the visual information is reduced may be determined.
  •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grip inpu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osition information, number information, and area information of a finger.
  • the method further includes: detecting a grip input applied to at least one of both sides of the main body through a grip sensor; and when a grip input is sensed through the grip sensor, a grip input is sensed through the grip sensor. Determining a detected detection time and determining that the grip input is less than a threshold time, and determining the grip input as a first gesture, and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in response to the first gesture. And when the sensing time of the grip input is detecte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time, determining the grip input as a second gesture, and in response to the second gesture, executing a function related to a voice.
  • the specific function executed by the first gesture may be set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functions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a user control command.
  • At least one of one or more cameras is activated for image capturing based on the first gesture.
  • 2C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grip sensor attached to a substrate.
  • 4A to 4E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 setting operation related to a grip sensor.
  • FIGS. 7A to 7D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executing a function related to screen information displayed on a touch screen when a first gesture is applied.
  • FIG. 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executing a voice typing function.
  • 11A to 11D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when the first and second gestures are applied in a locked state.
  • FIG. 1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witching operation between currently running applications according to a multi-grip input.
  • 15A and 15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camera activation according to a grip position of a hand held by a terminal.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components,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100, or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server It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therebetween.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100 to one or more networks.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camera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n image signal, a microphone 122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 audio input unit, or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 Touch keys, mechanical keys, and the like.
  • the voice data or the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as a control command of the user.
  • the mobile terminal disclosed herein may use a combination of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A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Furthermore,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which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an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 Two or more broadcast receiving modules may be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for simultaneous broadcast reception or switching of broadcast channels for at least two broadcast channels.
  •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may include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schemes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CDMA2000), and EV).
  •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 CDMA2000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 EV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DO), Wideband CDMA (W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and the like to transmit and receive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 CDMA2000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 EV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DO)
  • WCDMA Wideband CDMA
  • HSDPA High
  •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embedded or external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Wireless LAN (WLAN), Wireless-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Wireless Broadband (WiBro), and WiMAX (World).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for performing a wireless Internet acces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13 May be understood as a kind of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is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includes Bluetooth TM,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t least one of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y can be used to support short-range communication.
  •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may be configured between a mobile terminal 1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100, or through the wireless area networks. ) And a network in which the other mobile terminal 100 (or an external server) is located.
  •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short rang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 the other mobile terminal 100 is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exchanging (or interworking)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smartwatch, smart glasses). (smart glass), head mounted display (HMD).
  •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may sense (or recognize) a wearable device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around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data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 The transmiss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wearable device through 114. Therefore, the user of the wearable device may use data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wearable device. For example, according to this, when a call is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he user performs a phone call through the wearable device or when a message is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he receiv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message.
  •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obtaining a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or a Wireless Fidelity (WiFi) module.
  •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 Wi-Fi Wireless Fidelity
  • the mobile terminal may acquire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 the mobile terminal may acquire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access point (AP) transmitting or receiving the Wi-Fi module and the wireless signal.
  •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may perform any function of other modul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o substitute or additionally obtain data regard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used to obtain the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is not limited to a module that directly calculates or obtains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 the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image information (or signal), audio information (or signal), data, or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 the mobile terminal 100 is one.
  • the plurality of cameras 121 may be provided.
  • the camera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all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or stored in the memory 170.
  • the plurality of cameras 121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arranged to form a matrix structure, and through the camera 121 forming a matrix structure in this way, the mobile terminal 100 may have various angles or focuses.
  • the plurality of pieces of image information may be input.
  • the plurality of cameras 121 may be arranged in a stereo structure to acquire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for implementing a stereoscopic image.
  • the microphone 122 processes external sound signals into electrical voice data.
  •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variously used according to a function (or an application program being executed)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Meanwhile,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122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 the sensing unit 140 sens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driving o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perform data processing, function or operation related to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based on the sensing signal. Representative sensors among various sensor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 the controller 180 processes data (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detected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141 as described above, and further, provides vis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cessed data. It can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Further,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mobile terminal 100 to process different operations or data (or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touch on the same point on the touch screen is a proximity touch or a touch touch. .
  • the touch sensor applies a touch (or touch inp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or the display unit 151) using at least one of various touch methods such as a resistive film method, a capacitive method, an infrared method, an ultrasonic method, and a magnetic field method. Detect.
  •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 the controller 1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is touched.
  • the touch controller may be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controller 180 or may be the controller 180 itself.
  • the ultrasonic sensor may recognize location information of a sensing object using ultrasonic waves.
  • the controller 180 can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wave generation source through the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optical sensor and the plurality of ultrasonic sensors.
  • the position of the wave sourc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property that the light is much faster than the ultrasonic wave, that is, the time that the light reaches the optical sensor is much faster than the time when the ultrasonic wave reaches the ultrasonic sensor. 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wave generation source may be calculated using a time difference from the time when the ultrasonic wave reaches the light as the reference signal.
  • the camera 121 and the laser sensor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detect a touch of a sensing object with respect to a 3D stereoscopic image.
  • the photo sensor may be stacked on the display element, which is configured to scan the movement of the sensing object in proximity to the touch screen. More specifically, the photo sensor mounts a photo diode and a transistor (TR) in a row / column and scans contents mounted on the photo sensor by using an electrical signal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applied to the photo diode. That is, the photo sensor calculates coordinates of the sensing object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change, and thu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object can be obtained.
  • TR transistor
  • the haptic module 153 may not only deliver a tactile effect through direct contact, but also may allow a user to feel the tactile effect through a muscle sense such as a finger or an arm. Two or more haptic modules 153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configuration aspect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interface unit 160 may be a passage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cradle to the mobile terminal 100 or may be input from the cradle by a user.
  • Various command signals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transmitted.
  • Various command signals or power input from the cradle may operate as signals for recognizing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 the memory 17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80 and may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 the memory 170 may store data regarding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 when a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is performed.
  • controller 180 may perform control and processing related to voice call, data communication, video call, or the like, or may perform pattern recognition processing for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a touch screen as text and images, respectively. Can be. Furthermore,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ny one or a plurality of component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implement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o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configured to charge the battery in a wireless manner without using the connection port.
  • the power supply unit 190 uses one or more of an inductive coupling based on a 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or a magnetic resonance coupling based on an electromagnetic resonance phenomenon from an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mitter. Power can be delivered.
  • the second camera 121b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arranged along at least one line.
  • the plurality of lenses may be arranged in a matrix format.
  • Such a camera may be referred to as an "array camera.”
  • the second camera 121b is configured as an array camera, images may be photographed in various ways using a plurality of lenses, and images of better quality may be obtained.
  •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terminal body.
  •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and may be used to implement a speakerphone mode during a call.
  • FIGS. 2A to 2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of a grip sensor mounted o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ecution screen for setting the threshold pressure may further include guide information 420 and 420a and an initialization icon 430 for setting the threshold pressure to be equal to the factory state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set threshold pressure.
  • the guide information may include a scroll bar 420 indicating an external force currently applied by the user through the grip sensor and an icon 420a indicating the set threshold pressure.
  •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e first gesture (or the short grip input) when the grip time is less than the threshold time.
  • the sensing time here is the time at which the grip input above the threshold pressure is continuously detected.
  • FIGS. 7A to 7D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executing a function related to scree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in response to the first gesture.
  • the memo information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70 of the terminal, such as text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 the controller 180 may consider that the lock screen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when the voice information is recognized.
  • the controller 180 may set a high priority of information related to weather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when voice information is recognized.
  • the controller 180 may not display the keypad image any more. Instead, the execution screen of the voice typing function can be displayed. Therefore, when the user needs a keypad input while operating the terminal with one hand, the user can easily perform key input through voice without any additional manipulation.
  • the controller 180 may detect a first gesture in a state where a lock screen indicating a lock state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In this case, similarly, the controller 180 can output an animation effect of gradually changing the illumination of the touch screen 151 gradually. Then, as shown in (b) of FIG. 12B, a security screen for releasing security may be output. As shown in (c) of FIG. 12B, after outputting a security screen for security release,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n execution screen of a schedule application set to be executed by the first gesture on the touch screen 151. have.
  • 15A and 15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camera activation according to a grip position of a hand held by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를 그립하는 동작의 감지가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 상기 본체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가해지는 그립 입력을 감지하는 그립 센서 및 상기 그립 센서를 통하여 그립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그립 센서를 통하여 그립 입력이 감지되는 감지 시간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그립 입력의 감지 시간이 임계 시간 미만으로 감지되면, 상기 그립 입력을 제1제스처로 판단하고, 상기 제1제스처에 응답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며, 상기 그립 입력의 감지 시간이 상기 임계 시간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그립 입력을 제2제스처로 판단하고, 상기 제2제스처에 응답하여, 음성 인식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단말기를 그립하는 동작의 감지가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위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사용자가 단말기를 그립하는 그립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그립센서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그립센서를 통하여 새로운 방식의 사용자 입력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고자 하는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그립센서를 통하여 가해지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활용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가해지는 그립 입력을 감지하는 그립 센서 및 상기 그립 센서를 통하여 그립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그립 센서를 통하여 그립 입력이 감지되는 감지 시간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그립 입력의 감지 시간이 임계 시간 미만으로 감지되면, 상기 그립 입력을 제1제스처로 판단하고, 상기 제1제스처에 응답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며, 상기 그립 입력의 감지 시간이 상기 임계 시간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그립 입력을 제2제스처로 판단하고, 상기 제2제스처에 응답하여, 음성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제스처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사용자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특정 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조명을 온(On)하여, 시각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제1상태 및 조명을 오프(Off)하여, 시각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제2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제1상태에서, 상기 그립 센서를 통하여 제1제스처가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2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제스처에 근거하여, 영상 촬영을 위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제스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현재 표시된 시각 정보를 캡처하는 스크린 캡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현재 실행 중인 기능의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현재 실행 중인 기능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음성과 관련된 기능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성 명령으로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음성 어시스턴스 기능,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를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는 음성 타자 기능 또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음성 메모 기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과 관련된 기능은 음성 어시스턴스 기능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제스처가 감지되는 동안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2제스처가 해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제스처가 감지되는 동안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시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명령과 관련된 복수의 정보들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마이크와 상기 제어부는 통화 상대방과 통화를 수행하는 통화 기능의 실행 중 제2제스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음성 메모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2제스처가 감지되는 동안 수신된 음성 정보가 상기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마이크를 제어하며, 상기 제2제스처가 해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복수의 키들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2제스처 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음성 타자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정지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고, 상기 제2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기 설정된 횟수 이상 감지되는 그립 입력을 제3제스처로 판단하고, 상기 제3제스처가 감지되는 것에 근거하여, 현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복수의 기능들 중 가장 최근에 실행된 기능을 포그라운드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립입력의 특성정보에 근거하여, 그립입력을 가하는 사용자의 손이 왼손 또는 오른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시각 정보를 축소한 미니뷰 화면의 출력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그립입력의 특성정보는, 손가락의 위치 정보, 개수 정보 및 면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그립 센서를 통하여, 본체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가해지는 그립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그립 센서를 통하여 그립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그립 센서를 통하여 그립입력이 감지되는 감지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상기 그립 입력의 감지 시간이 임계 시간 미만으로 감지되면, 상기 그립 입력을 제1제스처로 판단하고, 상기 제1제스처에 응답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그립 입력의 감지 시간이 상기 임계 시간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그립 입력을 제2제스처로 판단하고, 상기 제2제스처에 응답하여, 음성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제스처에 의하여 실행되는 특정 기능은, 사용자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복수의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제스처에 응답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이 조명을 온(On)하여, 시각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제1제스처가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을 조명을 오프(Off)하여, 시각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제스처에 응답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제스처에 근거하여, 영상 촬영을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제스처에 응답하여 음성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2제스처가 감지되는 동안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2제스처가 해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그립센서에서 감지되는 그립 입력의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다양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다양한 제어 명령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한 방식과 전혀 다른 새로운 형태의 사용자 입력으로 보다 편리한 단말기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그립센서의 구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c는 기판에 부착된 그립센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그립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그립센서와 관련된 설정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서로 다른 그립입력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6e는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화면 정보와 상관 없이, 제1제스처에 의하여 항상 실행되는 기능의 실시 예들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제1제스처가 가해지면,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화면 정보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음성 어시스턴스 기능을 실행하는 실시 예들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통화 중 음성 메모 기능을 실행하는 실시 예들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10은 음성 타자 기능을 실행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잠금 상태에서 제1 및 제2제스처가 가해지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한 개념도들이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잠금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그립입력에 의하여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보안 설정 여부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13은 AOD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그립입력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이 실행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는 멀티 그립 입력에 따라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전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단말기는 쥐는 손의 파지 위치에 따른 카메라 활성화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 전자장치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휴대 전자장치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그립(grip)하는 것을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가할 수 있도록, 이동 단말기 상에 그립센서가 장착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그립의 감지 방식에 따른 그립센서의 구조 및 동작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그립센서의 구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립센서는 단말기 본체의 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의 측면부에 복수의 영역(A1, A2, A3, A4, A5, A6)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영역(A)에 복수의 그립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그립센서는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인가되는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각각의 그립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압력에 근거하여, 각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복수의 그립센서 각각이 감지하는 면적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그립센서 간의 거리는 일정하지 아니할 수 있다.
도 2c는 기판에 부착된 그립센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101, 도 1a 및 도 1b참조)의 본체의 측면을 이루는 일 영역에 배치되는 그립센서(10)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는 그립센서(10)에 외력이 잘 전달되도록 변형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그립센서(10)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내면에 부착되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는 본체의 측면에 인가되는 압력에 의하여 일 영역이 눌리면서 변형된다. 이에,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일 영역이 눌리면 상기 그립센서(10)가 변형되어 변형 부재의 저항값의 변경에 의하여 압력이 인가되었음이 감지될 수 있다.
도 2c의 기판(30)은 본 발명의 전자장치의 프론트 케이스(101)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그립센서(10)는 상기 기판(30) 상에 접착부재(20)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그립센서(10)는 베이스기판(11) 및 상기 베이스 기판(11)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변형부재(12, 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변형부재(12, 13)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서로 이격되게 상기 베이스 기판(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립센서(10)가 부착된 상기 기판(30) 상에 압력(F)이 인가되면, 상기 기판(30)이 변형된다. 상기 기판(30)이 상기 압력(F)이 인가되는 방향으로 변형되면, 상기 베이스 기판(11)도 동일한 방향으로 휘어진다. 상기 베이스 기판(11)의 양면에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변형부재(12, 13)는 서로 반대되게 변형된다. 상기 제1 변형부재(12)는 변형된 베이스 기판(11)의 오목한 면에 배치되는 바 수축되고, 상기 제2 변형부재(13)는 변형된 상기 베이스 기판(11)의 볼록한 면에 배치되는 바 확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그립센서(10)의 상기 제1 변형부재(12)는 수축에 의하여 저항값이 떨어지고, 상기 제2 변형부재(13)는 확장에 의하여 저항값이 증가한다. 상기 제1 및 제2 변형부재(12, 13) 저항값의 변화에 의한 출력값의 변화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압력이 인가되었는지 여부 및 인가되는 압력의 정도 및 압력이 인가된 방향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그립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그립센서(300)는 상기 본체의 상부(TA) 및 하부(BA)를 연결하는 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그립센서(300)는 사용자의 그립에 의한 터치입력 및 압력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그립센서(300)에 의하여 감지되는 터치 및/또는 압력에 근거하여 제어명령을 형성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그립센서(300)는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그립센서(300)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일 단은 연성회로기판(181)에 의하여 메인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그립센서(300)는 베이스(310) 및 복수의 피에조센서(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3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연성회로기판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피에조센서(320)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연성회로기판(181)은 상기 베이스(310)로부터 연장된 연장부(181a)와 상기 메인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패드부(181b)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피에조센서(320)는 교대로 Tx부 및 Rx부로 구현된다. 상기 피에조센서(320)에 고주파수의 AC고전압을 걸어주면(예를 들어 약 700KHZ, 약 250Ma), 상기 피에조센서(320)의 진동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피에조센서(320)에 압력이 인가되면 AC전압이 비례하여 발생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미세 진동패턴의 변화에 의하여 터치입력을 감지하고, AC전압이 발생하는 것에 근거하여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손가락이 터치되면 상기 Tx부의 피에조 센서에서 초음파 패턴을 출력하고, Rx부의 피에조 센서에서 초음파 패턴의 변화를 감지한다. 초음파 패턴의 변화가 감지되면 터치입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초음파 패턴을 출력하면 미세한 진동이 발생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310) 상에 복수의 피에조센서(310)가 서로 특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피에조센서(310)의 상부에 접착부재(301)가 형성되어 상기 전자장치(100)의 프론트 케이스(101)의 내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그립센서(300)는 프론트 케이스(101)를 쥐는 사용자의 그립에 의한 터치 입력 및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그립을 감지하기 위한 그립센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압력 감지에 의한 그립센서와 초음파 감지에 의한 그립센서 모두에 활용 가능한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그립센서와 관련된 설정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그립센서와 관련된 설정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본체의 측면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하도록 측면에 그립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본체를 쥐는(또는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그립센서를 통하여 외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외력의 인식정보에 근거하여, 그립입력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외력의 인식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그립입력을 서로 다른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서로 다른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외력의 인식정보는, 외력의 압력, 외력의 감지 시간, 감지 위치 및 감지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임계 압력 이상의 외력이 감지되면, 제스처로 인식하고, 임계 압력 미만의 외력이 감지되면, 외력을 제스처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임계 시간 미만의 외력이 감지되면, 제1제스처(또는 숏 그립 입력)로 인식하고, 임계 시간 이상의 외력이 감지되면, 제2제스처(또는 롱 그립 입력)로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소정 시간 이내에 서로 다른 외력이 기 설정된 횟수 이상 감지되면, 멀티 그립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그립입력의 특성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를 쥐고 있는 손이 오른손인지 왼손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그립입력의 특성정보는, 손가락의 위치 정보, 개수 정보 및 면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그립입력의 특성정보에 근거하여, 오른손 또는 왼손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을 바라보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단말기의 우측에 손가락 4개가 감지되고, 좌측에 손가락 1개가 감지되면, 왼손으로 판단하고, 반대로, 단말기의 우측에 손가락 1개가 감지되고, 좌측에 손가락 4개가 감지되면, 오른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립 센서를 통하여 단말기의 쥐고 있는 손이 오른손인지 왼손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립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사용자 입력을 그립입력으로 명명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제1제스처, 제2제스처 등의 별도의 언급이 없이 그립입력으로 설명한 경우, 임의의 그립입력에 대하여 모두 동작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그립입력과 관련된 설정 동작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제어부(180)는 임계 압력 이상의 그립 입력을 특정 기능의 실행을 위한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임계 압력은 사용자가 단말기를 단순히 쥐는 동작을 취하였는지 또는 사용자가 그립센서를 통하여 제스처를 입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값이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그립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그립 입력의 압력이 임계 압력 이상인 경우에만, 해당 그립 입력을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순히 단말기 본체를 손으로 쥐는 동작과, 단말기 본체를 움켜쥐어, 제스처 입력을 가하는 동작을 구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임계 압력이 낮게 설정될수록 그립센서의 민감도가 높아지며, 상기 임계 압력이 높게 설정될수록 그립센서의 민감도가 낮아진다고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임계 압력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4a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 상에 임계 압력을 설정하기 위한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임계 압력을 설정하기 위한 실행 화면에는 임계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크롤 바(4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크롤 바(410)는 현재 설정된 임계 압력값을 나타내는 스크롤 박스(410a)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스크롤 바(410) 또는 스크롤 박스(410a)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스크롤 박스(410a)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된 스크롤 박스(410a)가 표시된 위치에 해당하는 압력값으로 임계 압력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임계 압력을 설정하기 위한 실행 화면에는 설정된 임계 압력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 정보(420, 420a) 및 임계 압력을 공장 출고 상태와 동일하게 설정하는 초기화 아이콘(4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4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정보에는, 사용자가 현재 그립센서를 통하여 가하는 외력을 나타내는 스크롤 바(420) 및 설정된 임계 압력을 나타내는 아이콘(420a)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4a의 (b)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그립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그립입력의 압력이 임계 압력 이상으로 감지되면, 피드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신호를 알림음, 햅틱 신호 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종래 입력 방식과 다른 새로운 사용자 입력방식인 그립입력의 사용 방법을 편리하게 학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그립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그립 입력의 감지 시간에 따른 서로 다른 제스처에 따라 실행될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4b의 (a)와 같이,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 상에 그립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서로 다른 그립 입력에 따라 실행될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서로 다른 그립 입력에 따라 실행될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정보에는, 제1제스처 탭(440a), 제2제스처 탭(440b)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b의 (a)에 도시된 제1제스처는, 임계 시간 미만으로 감지되는 그립입력으로 숏 그립 입력으로도 명명될 수 있으며, 제2제스처는, 임계 시간 이상으로 감지되는 그립입력으로 롱 그립 입력으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그립 입력에 따라 실행될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정보에는, 앞서 설명한 그립 민감도 설정을 위한 민감도 설정 탭(450a), 그립입력에 따른 시각적 피드백 효과 설정 탭(450b), 햅틱 피드백 효과 설정 탭(450c)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시각적 피드백은, 터치 스크린(151)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면서 출력되는 그래픽 객체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각 탭에 대한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각 기능들을 활성화/비활성화 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도 4b의 (b)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1제스처 탭에 터치 입력이 가해지면, 제1제스처 탭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설정 가능한 추천 기능들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제1제스처 탭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설정 가능한 추천 기능들은 터치 스크린의 조명을 끄는 화면 끄기 기능, 터치 스크린의 화면을 캡처하는 스크린 캡처 기능, 전면 카메라를 활성화하는 셀프 카메라 기능, 후면 카메라를 활성화하는 카메라 기능, 플래쉬를 켜거나 끄는 기능, 한 손으로 터치 입력 가능하도록 터치 스크린에 출력되는 화면 정보를 축소하여 출력하는 미니뷰(mini-view)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제1제스처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들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기능을 제1제스처에 의하여 실행될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하 제1제스처에 의한 동작 방법은 도 6a 내지 도 7d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 4b의 (c)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2제스처 탭에 터치 입력이 가해지면, 제2제스처 탭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설정 가능한 추천 기능들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제스처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설정 가능한 추천 기능들은 음성과 관련된 기능일 수 있다. 상기 음성과 관련된 기능에는, 음성 인식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음성 어시스턴스(assistance) 기능, 음성 정보를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여 텍스트 정보를 메모리(170)에 저장하는 음성 메모 기능, 키패드 입력을 음성으로 대체하는 음성 타자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제2제처에 의한 동작 방법은 도 8a 내지 도 10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그립센서를 통하여 그립 입력이 최초로 감지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151) 상에 그립입력의 사용법을 포함한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c의 (a) 및 (b)와 같이, 상기 가이드 정보(460)는 팝업창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정보(460)에는 그립센서의 동작 설정에 곧바로 진입하기 위한 설정 아이콘(470)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설정 아이콘(470)에 터치 입력이 가해지면, 도 4c의 (c)와 같이, 그립센서의 설정을 위한 설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고, 취소 아이콘(480)에 터치 입력이 가해지면, 도 4c의 (d)와 같이, 이전 화면 정보(예, 홈 스크린 페이지)를 다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의 설정동작과 마찬가지로, 터치 스크린의 상단에 표시된 상태표시바(490)를 이용하여 그립센서의 설정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상태표시바(490)는, 이동 단말기의 상태와 관련된 상태 정보(예, 배터리 잔량, 시간, 알람 출력, 무선 통신 상태 등)를 표시하는 막대 형태의 그래픽 객체이다. 상태표시바(490)는, 터치 스크린(151)의 상단 영역에 고정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태표시바(490)는 상태표시바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터치 스크린(151)의 전체 출력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상태표시바(490)가 전체 영역에 출력된 형태를 상태 윈도우(410)라고 명명할 수 있다. 상태 윈도우에는, 그립센서의 설정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바로가기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립센서의 설정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바로가기탭을 터치하여, 그립센서의 설정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그립입력과 관련된 설정값들이 설정된 후, 상기 그립센서를 통하여 그립 입력이 감지되면, 시각적 피드백 효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e의 (a)와 같이, 제어부(180)는 임의의 시각 정보가 터치 스크린(151) 상에 출력된 상태에서, 그립입력이 감지되면, 도 4e의 (b)와 같은 그래픽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객체는 터치 스크린의 출력 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그립입력의 압력에 따라, 상기 그래픽 객체의 두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e의 (c)와 같이, 제어부(180)는 그립입력의 압력이 증가하면, 그래픽 객체의 출력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그립입력에 대응되는 제스처에 응답하여, 특정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그래픽 객체를 터치 스크린(151) 상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그립입력의 압력 정보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그립센서의 일반적인 설정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설정동작에 따라 설정된 서로 다른 그립입력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서로 다른 그립입력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그립센서를 통하여 그립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S510). 상기 제어부(180)는 그립 센서를 통하여 임계 압력 이상의 그립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그립입력의 감지 시간이 임계 시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20). 상기 임계 시간은 그립입력의 제스처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시간으로, 이동 단말기의 공장 출고 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그립입력의 감지 시간이 임계 시간 미만인 경우, 제1제스처(또는 숏 그립 입력)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감지 시간은, 임계 압력 이상의 그립 입력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시간이다.
상기 제어부(180)는 그립입력의 감지 시간이 임계 시간 이상인 경우, 제2제스처(또는 롱 그립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그립입력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제스처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상기 그립 입력이 제1제스처인 경우, 그립 입력에 대응되는 제1제스처에 응답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S530)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그립 입력이 제2제스처인 경우, 그립 입력에 대응되는 제2제스처에 응답하여, 음성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S540)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동일한 제스처일지라도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화면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 상에 복수의 키들을 포함하는 키패드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2제스처가 감지되면, 음성 타자 기능을 실행하고, 터치 스크린(151) 상에 키패드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음성 어시스턴스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잠금 상태에서 그립입력이 감지되면, 그립입력에 의하여 실행될 기능에 따라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화면 정보를 표시하거나, 잠금 상태를 곧바로 해제하고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그립 입력의 감지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그립 입력에 대응되는 제1제스처 또는 제2제스처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제1제스처에 의하여 실행되는 기능들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살펴본다.
도 6a 내지 도6d는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화면 정보와 상관 없이, 제1제스처에 의하여 항상 실행되는 기능의 실시 예들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제1제스처가 가해지면,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화면 정보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우선 제어부(180)는 사용자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제1제스처에 의하여 실행될 기능으로 화면 끄기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화면 끄기 기능은 터치 스크린 상에 시각 정보가 표시되지 않도록 터치 스크린의 조명을 끄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도 6a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 상에 임의의 화면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1제스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터치 스크린(151) 상에 시각 정보가 표시되지 않도록 터치 스크린(151)의 조명을 끌 수 있다. 여기에서, 임의의 화면 정보는, 현재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홈 스크린 페이지, 잠금 화면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의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 제1제스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터치 스크린(151)의 조명을 켜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제어부(180)는 사용자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제1제스처에 의하여 실행될 기능으로 스크린 캡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캡처 기능은 현재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화면 정보를 이미지(610)로 캡처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도 6b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웹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1제스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스크린 캡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부(180)는 제2제스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화면 정보를 동영상으로 캡쳐하는 동영상 캡처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동영상 캡처 기능으로 캡처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151) 상에 표시된 화면 정보의 변화 과정을 동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사용자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제1제스처에 의하여 실행될 기능으로 셀프 카메라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도 6c의 (a) 및 (b)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1제스처가 가해지면, 전면 카메라(121a)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터치 스크린(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전면 카메라(121a)를 활성화하고, 전면 카메라(121a)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터치 스크린(151) 상에 프리뷰 영상으로 출력함으로써, 셀프 카메라에 보다 빠르게 진입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사용자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제1제스처에 의하여 실행될 기능으로 후면 카메라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도 6d의 (a) 및 (b)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1제스처가 가해지면, 후면 카메라(121b)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터치 스크린(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아니하고, 카메라 기능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
나아가,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그립입력에 대응되는 제1제스처에 응답하여, 전면 또는 후면 카메라를 활성화한 경우,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프리뷰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다시 제1제스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리뷰 영상에 대한 별도의 터치 조작 없이 그립입력만으로 영상의 촬영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프리뷰 영상에 대한 시야 확보와 동시에 보다 빠른 영상 촬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사용자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제1제스처에 의하여 실행될 기능으로 미니뷰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미니뷰 기능은 한 손 조작이 가능하도록 현재 표시된 화면을 축소한 미니뷰 화면을, 엄지 손가락과 가까운 위치에 표시하는 기능이다.
상기 제어부(180)는 제1제스처에 응답하여 미니뷰 기능이 실행되도록 설정된 경우, 제1제스처가 가해지면, 그립입력의 특성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단말기를 쥐고 있는 손이 오른손인지 왼손인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e의 (a) 및 (b)와 같이, 제어부(180)는 단말기를 쥐고 있는 손이 왼손이라고 판단되면, 미니뷰 화면을 좌측 아래쪽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6e의 (c) 및 (d)와 같이, 제어부(180)는 단말기를 쥐고 있는 손이 오른손이라고 판단되면, 미니뷰 화면을 우측 아래쪽에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그립입력에 대응되는 제1제스처에 응답하여, 미니뷰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다시 제1제스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미니뷰 기능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미니뷰 실행 이전의 화면 크기로 화면 정보를 터치 스크린(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앞선 설명에서는 터치 스크린(151) 상에 표시된 화면 정보와 상관없이, 제1제스처에 의하여 항상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제1제스처에 응답하여, 터치 스크린(151) 상에 표시된 화면 정보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제1제스처에 응답하여, 터치 스크린(151) 상에 표시된 화면 정보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7a의 (a) 및 (b)와 같이, 제어부(180)는 복수의 키들이 포함된 키패드 이미지(710)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1제스처가 가해지면, 음성 타자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키패드 이미지(710)는 터치 스크린(151) 상에서 사라지고, 음성 타자 기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정보(720)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음성 타자 기능은, 음성 입력을 통하여, 문자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이다.
또한, 도 7a의 (c)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 타자 기능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제1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음성 타자 기능을 종료하고, 다시 키패드 이미지(710)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7b의 (a) 및 (b)와 같이, 제어부(180)는 AOD(Always On Display) 화면에서 제1제스처가 가해지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메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AOD 화면은 터치 스크린(151)의 전체 출력 영역 중 일 영역만을 활성화하여, 상기 활성화된 일 영역 상에 기 설정된 정보(시간, 날짜)를 표시한 화면 정보이다. 상기 영역의 활성화는 상기 영역에 시각 정보가 표시되도록 조명을 켜는 동작을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 정보 출력을 위하여, AOD 화면의 일 영역과 다른 타 영역을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타 영역에 메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메모 정보는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등 단말기의 메모리(170)에 저장된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메모 정보의 생성 시간 조건, 중요 메모로 설정될 조건, 현재 시간, 현재 위치와 관련된 조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AOD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제스처가 가해지면, 가장 최근에 생성된 메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AOD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제스처가 가해지면, 중요 메모로 설정된 메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AOD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제스처가 가해지면, 현재 시간과 가장 관련도가 높은 메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관련도는, 메모 정보의 내용을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AOD(Always On Display) 화면에서 제1제스처가 가해지면, 현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뮤직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현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요약 정보를 간단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는, 도 7c의 (a)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호 신호가 수신되면, 터치 스크린(151) 상에 호신호가 수신 중임을 나타내는 화면 정보를 출력하고, 음성 출력부를 통하여 호 신호가 수신 중임을 알리는 알림음을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7c의 (a) 및 (b)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호신호가 수신 중임을 나타내는 화면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1제스처가 감지되면, 호 신호가 수신 중임을 알리는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음성 출력부를 통하여 호 신호가 수신 중임을 알리는 알림음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호신호 알림음의 출력을 보다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도 7d의 (a) 및 (b)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알람 기능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제1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알람을 중지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알람 기능은 현재 시간이 사용자가 설정된 특정 시간에 해당하는 경우,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알람이 울리는 경우, 보다 편리하게 알람을 해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제스처에 응답하여 화면 정보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립입력을 통하여 기존의 터치 입력 방식보다 빠르고 직관적으로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제스처에 응답하여, 음성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8a 내지 도 8d는 음성 어시스턴스 기능을 실행하는 실시 예들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통화 중 음성 메모 기능을 실행하는 실시 예들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10은 음성 타자 기능을 실행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임계 시간 이상의 그립 입력에 대응되는 제2제스처에 응답하여, 음성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음성과 관련된 기능에는, 음성 어시스턴스 기능, 음성 메모 기능, 음성 타자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음성 어시스턴스 기능, 음성 메모 기능, 음성 타자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2제스처에 의하여 실행될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음성 어시스턴스 기능 및 음성 메모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과 음성 타자 기능을 제2제스처에 의하여 실행될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 상에 키패드 이미지의 표시된 경우, 음성 타자 기능을 실행하고, 터치 스크린(151) 상에 키패드 이미지의 표시되지 않은 경우, 음성 어시스턴스 기능 및 음성 메모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기능 별로 동작 방법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제어부(180)는 사용자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음성 어시스턴스 기능을 제2제스처에 의하여 실행될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8a의 (a) 및 (b)와 같이, 제어부(180)는 임의의 화면 정보(예를 들어, 홈 스크린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2제스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음성 어시스턴스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어시스턴스 기능은 음성 인식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이다.
도 8a의 (b)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제2제스처가 감지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의 (b)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2제스처가 감지된 상태에서 “메시지 앱을 실행해줘”라는 음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제2제스처가 감지되는 동안,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 정보만을 음성 인식 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제스처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를 인식한 인식 결과를 기반으로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의 (c)와 같이, 제어부(180)는 메시지 앱을 실행하고, 메시지 앱의 실행 화면을 터치 스크린(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제2제스처가 해제되는 시점에 음성 인식 결과를 기반으로 특정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어시스턴스 기능 실행 시, 터치 스크린(151) 상에 표시된 화면 정보에 근거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 정보의 음성 인식 결과가 복수로 검색된 경우, 터치 스크린(151) 상에 표시된 화면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음성 인식 결과의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의 (a)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 상에 잠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제스처가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음성 어시스턴스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제2제스처가 감지되는 동안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음성 인식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수신된 음성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음성 인식 알고리즘은 종래 알려진 알고리즘이 사용되며, 본 명세서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 정보의 인식 시, 터치 스크린(151) 상에 잠금 화면이 표시된 상태임을 고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 상에 잠금 화면(8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음성 정보의 인식 시, 날씨 정보 및 시간 정보와 관련된 정보의 우선 순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의 (b)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2제스처가 감지되는 동안 “오늘 뭐 입고 가야되지?”라는 음성 정보가 수신되면, 도 8b의 (d)와 같이, 음성 인식 결과로 일정 정보와 관련된 정보인 “저녁에 미팅이 있습니다. 정장을 추천합니다”와 날씨 정보와 관련된 정보인 “오늘 일교차가 큽니다, 가벼운 외투를 추천합니다”이 생성(820)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잠금 화면 상이 표시된 상태임을 고려하여, 날씨 정보와 관련된 결과인 “오늘 일교차가 큽니다, 가벼운 외투를 추천합니다”의 우선 순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b의 (c)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제2제스처가 감지되지 않으면, “오늘 일교차가 큽니다, 가벼운 외투를 추천합니다”(830)를 터치 스크린(151) 상에 출력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잠금 화면 상에서 사용자의 음성 인식 시, 날씨 또는 시간과 관련된 정보의 우선 순위를 높게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로 하는 정보들을 보다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8c의 (a)와 같이,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 상에 뮤직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840)이 출력된 상태에서, 제2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8c의 (b)와 같이, 제어부(180)는 음성 어시스턴스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제2제스처가 감지되는 동안 “그리워”라는 음성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를 음성 인식 알고리즘으로 분석할 수 있다. 도 8c의 (d)와 같이, 음성 인식 결과로, 음원과 관련된 정보인 “그리워 ?음원”, 도서와 관련된 정보인 “그리워 ?책”, 사전과 관련된 정보인 “그리워-국어사전”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 상에 뮤직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임을 근거로, 음원 관련 정보의 우선 순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그리워 ?음원”, “그리워 ?책”, “그리워-국어사전” 순서로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제2제스처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그리워-음원”의 검색 결과를 근거로, “그리워”에 해당하는 음원을 재생(860)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에 근거하여, 음성 인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애플리케이션의 직관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2제스처에 응답하여 현재 포그라운드(foreground)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기능의 바로가기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d의 (a)와 같이, 제어부(180)는 통화 기능의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제스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고,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가 현재 포그라운드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음성 정보인 경우, 상기 음성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d의 (b)와 같이, 제어부(180)는 “가장 최근에 연락한 번호를 Minji로 저장해줘”라는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도 8d의 (c)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 정보가 통화 기능과 관련된 음성 정보임이 판단되면, 상기 음성 정보에 근거하여, 통화 기능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가장 최근에 연락한 번호를 추출하고, 이를 Minji라는 이름으로 저장하기 위한 화면 정보(880)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락처 저장 기능의 바로 가기 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제스처에 따라 실행될 기능이 음성 어시스턴스 기능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통화 중 음성 메모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9a 및 도 9b와 함께 살펴본다.
제어부(180)는 통화 상대방인 외부 단말기와 음성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통화 기능은 통화 상대방과 사용자 간의 통화를 수행하는 기능이다. 한편, 도 9a의 (a)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통화 기능의 실행 중 제2제스처가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음성 메모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음성 메모 기능이 실행되면, 상대방의 음성 정보와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모두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제2제스처 입력이 가해지는 동안 사용자 및 통화 상대방이 발화한 음성 정보를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제2제스처 입력이 해제되면, 상기 음성 메모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성 메모 기능에 의하여 저장 및 음성 인식되는 음성 정보들을 직접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9a의 (b)와 같이, 제어부(180)는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저장된 음성 정보를 인식한 결과 정보를 터치 스크린(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화 중 발화한 음성과 관련된 내용에 대한 관련 정보를 편리하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상기 저장된 음성 정보의 인식이 실패한 경우, 관련 정보에 대한 검색을 유도하기 위한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알림 정보는, 키워드 검색을 위한 웹 페이지에 바로 가기 기능과 연계된 정보로써, 사용자는 통화 종료와 동시에 보다 편리하게 관련 정보의 검색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통화 중 제2제스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및 음성 메모 기능과 함께 사용자의 음성이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일시적인 음소거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음소거 기능은 사용자의 음성이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마이크를 비활성화하는 기능이다.
상기 제어부(180)는 제2제스처가 감지되는 동안 음소거 기능을 실행하고, 제2제스처의 감지가 종료되면, 음소거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도 9b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통화 중 제2제스처가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의 음성을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도 9b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2제스처가 감지되면,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하지 않도록 음소거 기능을 실행하고, 이와 함께 음성 메모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9b의 (b)와 같이, 제어부(180)는 음소거 기능이 실행되면,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하지 않고, 음성 메모 기능에 의하여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9b의 (c)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2제스처 입력이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음소거 기능 및 음성 메모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음성 정보를 인식한 인식 결과를 터치 스크린(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제2제스처의 해제와 동시에 인식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고, 통화 종료 후 인식 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는 이동 단말기의 공장 출고 시 또는 통화 애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설정값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통화 중 음성 메모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음성 타자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키패드 이미지가 터치 스크린(151) 상에 표시된 경우, 제2제스처에 의하여 실행될 기능으로 음성 타자 기능을 설정하고, 키패드 이미지가 터치 스크린(151) 상에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제스처에 의하여 실행될 기능을 음성 어시스턴스 기능 또는 음성 메모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 상에 복수의 키들이 포함된 키패드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2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키패드 이미지는, 키 입력을 위한 사용자 제어 명령이 가해지는 경우에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웹 페이지의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입력이 가해지거나,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에 터치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키패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의 (b)와 같이, 제어부(180)는 음성 타자 기능이 실행되면, 키패드 이미지를 더 이상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음성 타자 기능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 단말기를 조작하는 상태에서 키패드 입력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조작 없이도 음성을 통하여 쉽게 키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제스처에 의하여 음성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터치 스크린의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 제1 및 제2제스처가 가해지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잠금 상태에서 제1 및 제2제스처가 가해지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한 개념도들이다.
도 11a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의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 제1제스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터치 스크린의 조명을 켜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a의 (b)와 같이,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 상에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잠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제1제스처에 의하여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이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 상에 홈 스크린 페이지 대신 특정 기능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11b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의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 제2제스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터치 스크린의 조명을 켜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b의 (b)와 같이,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 상에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잠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2제스처에 의하여 음성 어시스턴스 기능이 실행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이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 어시스턴스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의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 제2제스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터치 스크린의 조명을 켜는 것과 함께, 제2제스처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설정된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특정 기능은 잠금 상태의 해제 없이도 곧바로 실행 가능하도록 설정된 기능으로, 긴급 통화, 카메라 기능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c의 (a) 및 (b)와 같이,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의 조명이 꺼진 잠금 상태에서, 제2제스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카메라 기능을 곧바로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순간 포착을 위하여, 카메라를 보다 빠르게 활성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1d의 (a) 및 (b)와 같이,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의 조명이 꺼진 잠금 상태에서, 제2제스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긴급 전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긴급한 통화를 보다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터치 스크린의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 그립입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잠금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그립입력에 의하여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보안 설정 여부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잠금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그립입력에 의하여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보안 설정 여부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제어부(180)는 잠금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그립입력에 의하여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립입력에 의하여 실행될 기능으로 보안 설정된 애플리케이션과 보안 설정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만일 그립입력에 의하여 실행될 기능으로 보안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180)는 그립입력에 근거하여, 보안 설정을 해제하기 위한 보안 화면을 출력하고, 그립입력에 의하여 실행될 기능으로 보안 설정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180)는 그립 입력에 근거하여, 보안 설정을 해제하지 위한 보안 화면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a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 상에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잠금 화면을 표시된 상태에서, 제1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의 조명을 점차적으로 희미하게 변경하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출력할 수 있다. 그 후, 도 12a의 (b)와 같이, 그립입력에 의하여 실행될 기능으로 보안 설정되지 않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설정된 경우, 곧바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잠금 상태에서 그립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보안이 별도로 필요치 않은 경우, 보안 해제를 위한 보안 화면 없이도 곧바로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2b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 상에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잠금 화면을 표시된 상태에서, 제1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찬가지로,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의 조명을 점차적으로 희미하게 변경하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b의 (b)와 같이, 보안 해제를 위한 보안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2b의 (c)와 같이, 제어부(180)는 보안 해제를 위한 보안 화면을 출력한 이후, 상기 제1제스처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설정된 일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터치 스크린(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잠금 화면이 출력된 이하에서는 잠금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그립입력에 의하여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보안 설정 여부에 따른 동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서로 다른 그립입력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이 실행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AOD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그립입력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이 실행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어부(180)는 AOD 화면에서 서로 다른 그립입력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제스처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제스처에 응답하여, 미확인 이벤트와 관련된 요약 정보 및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요약 정보를 AOD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AOD 화면은 화면의 전체 영역 중 일부 영역만을 활성화하여, 특정 시각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다. 상기 미확인 이벤트와 관련된 요약 정보는 미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미확인 이벤트와 관련된 외부 단말기의 식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요약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실행 중인 상태를 요약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3의 (a) 및 (c)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2제스처에 응답하여, 미확인 이벤트와 관련된 상세 정보 및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이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상세 정보를 AOD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미확인 이벤트와 관련된 상세 정보는 이벤트의 내용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 상에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프리뷰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제스처가 가해지면, 정지 영상을 촬영하고, 제2제스처가 가해지면,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 상에 메모리(170)에 저장된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1제스처가 가해지면, 이미지를 캡쳐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제2제스처가 가해지면, 이미지에 연계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기능 또는 이미지를 잠금 화면 또는 홈 화면으로 설정하는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그립입력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멀티 그립 입력에 따라,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전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멀티 그립 입력에 따라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전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상기 멀티 그립 입력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그립 입력이 기 설정된 횟수 이상 감지되는 입력이다. 예를 들어, 5초 이내에 2번 그립 입력이 감지되거나, 10초 이내에 3번 그립입력이 감지되는 입력일 수 있다.
그립 입력이 감지되는 횟수에 따라 2번 그립 입력이 감지되면, 더블 그립 입력(double grip input), 3번 그립 입력이 감지되면, 트리플 그립 입력(triple grip input) 등으로 명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 그립 입력을 제3제스처로도 명명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포그라운드(foreground) 및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멀티 태스킹(multi-tasking)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멀티 그립 입력을 이용하여,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간에 포그라운드 실행을 전환할 수 있다.
여기에서, 포그라운드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은, 터치 스크린 상에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도록 실행되는 동작이고, 백구라운드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은, 터치 스크린 상에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지 않도록 실행되는 동작이다.
예를 들어, 도 14의 (a)와 같이, 제어부(180)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이 포그라운드로 실행 중이고,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로 실행 중인 경우, 터치 스크린(151) 상에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4의 (b)와 같이, 제어부(180)는 멀티 그립 입력이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포그라운드로 실행하고,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로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151) 상에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사라지고,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될 애플리케이션을 전환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4의 (c)와 같이, 제어부(180)는 멀티 그립 입력이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포그라운드로 실행하고,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로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그라운드 실행 앱 간의 전환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백그라운드에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이 가장 최근에 실행된 실행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포그라운드로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애플리케이션, 제2애플리케이션, 제3애플리케이션이 순차적으로 포그라운드로 실행된 경우, 멀티 그립 입력이 가해지면, 가장 최근에 실행되었던 제3애플리케이션, 제2애플리케이션, 제1애플리케이션 순서대로 포그라운드로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멀티 그립 입력을 통하여 멀티 태스킹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단말기를 쥐는 손의 파지 형태에 따른 미니뷰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a 및 도 15b는 단말기는 쥐는 손의 파지 위치에 따른 카메라 활성화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어부(180)는 그립입력의 특성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쥐는 손바닥이 단말기의 전면을 마주보는지 혹은 후면을 마주보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그립입력의 면적, 감지 위치, 감지 개수에 근거하여, 단말기를 쥐는 손바닥이 단말기의 전면을 마주보는지 혹은 후면을 마주보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5a의 (a) 및 (b)와 같이, 제어부(180)는 단말기를 쥐는 손바닥이 단말기의 전면을 마주보는 경우, 그립입력에 응답하여, 후면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도 15b의 (a) 및 (b)와 같이, 제어부(180)는 단말기를 쥐는 손바닥이 단말기의 후면을 마주보는 경우, 그립입력에 응답하여, 전면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그립센서에서 감지되는 그립 입력의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다양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다양한 제어 명령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한 방식과 전혀 다른 새로운 형태의 사용자 입력으로 보다 편리한 단말기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본체 ;
    상기 본체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가해지는 그립 입력을 감지하는 그립 센서 ; 및
    상기 그립 센서를 통하여 그립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그립 센서를 통하여 그립 입력이 감지되는 감지 시간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그립 입력의 감지 시간이 임계 시간 미만으로 감지되면, 상기 그립 입력을 제1제스처로 판단하고, 상기 제1제스처에 응답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며,
    상기 그립 입력의 감지 시간이 상기 임계 시간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그립 입력을 제2제스처로 판단하고, 상기 제2제스처에 응답하여, 음성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제스처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사용자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특정 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조명을 온(On)하여, 시각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제1상태 및 조명을 오프(Off)하여, 시각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제2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제1상태에서, 상기 그립 센서를 통하여 제1제스처가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2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제스처에 근거하여, 영상 촬영을 위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제스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현재 표시된 시각 정보를 캡처하는 스크린 캡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현재 실행 중인 기능의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현재 실행 중인 기능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과 관련된 기능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성 명령으로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음성 어시스턴스 기능,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를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는 음성 타자 기능 또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음성 메모 기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과 관련된 기능은 음성 어시스턴스 기능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제스처가 감지되는 동안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2제스처가 해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제스처가 감지되는 동안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시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명령과 관련된 복수의 정보들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7항에 있어서,
    마이크 ;
    상기 제어부는
    통화 상대방과 통화를 수행하는 통화 기능의 실행 중 제2제스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음성 메모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2제스처가 감지되는 동안 수신된 음성 정보가 상기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마이크를 제어하며,
    상기 제2제스처가 해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키들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2제스처 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음성 타자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정지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고,
    상기 제2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기 설정된 횟수 이상 감지되는 그립 입력을 제3제스처로 판단하고,
    상기 제3제스처가 감지되는 것에 근거하여, 현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복수의 기능들 중 가장 최근에 실행된 기능을 포그라운드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립입력의 특성정보에 근거하여, 그립입력을 가하는 사용자의 손이 왼손 또는 오른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시각 정보를 축소한 미니뷰 화면의 출력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그립입력의 특성정보는,
    손가락의 위치 정보, 개수 정보 및 면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그립 센서를 통하여, 본체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가해지는 그립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그립 센서를 통하여 그립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그립 센서를 통하여 그립입력이 감지되는 감지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상기 그립 입력의 감지 시간이 임계 시간 미만으로 감지되면, 상기 그립 입력을 제1제스처로 판단하고, 상기 제1제스처에 응답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그립 입력의 감지 시간이 상기 임계 시간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그립 입력을 제2제스처로 판단하고, 상기 제2제스처에 응답하여, 음성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스처에 의하여 실행되는 특정 기능은, 사용자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복수의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스처에 응답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이 조명을 온(On)하여, 시각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제1제스처가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을 조명을 오프(Off)하여, 시각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스처에 응답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제스처에 근거하여, 영상 촬영을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스처에 응답하여 음성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2제스처가 감지되는 동안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2제스처가 해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PCT/KR2018/002359 2018-02-27 2018-02-27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9168208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2359 WO2019168208A1 (ko) 2018-02-27 2018-02-27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2359 WO2019168208A1 (ko) 2018-02-27 2018-02-27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68208A1 true WO2019168208A1 (ko) 2019-09-06

Family

ID=67806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2359 WO2019168208A1 (ko) 2018-02-27 2018-02-27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16820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84974A (zh) * 2021-12-17 2022-04-22 泰安北航科技园信息科技有限公司 云集切换中控
WO2023226031A1 (zh) * 2022-05-27 2023-11-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快捷操作执行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68135A1 (en) * 2012-12-19 2014-06-19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101418163B1 (ko) * 2011-09-28 2014-07-09 애플 인크.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한 음성 인식 복구
KR20140147647A (ko) * 2013-06-20 2014-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
KR20150143671A (ko) * 2013-04-19 2015-12-2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휴대용 디바이스들 상에서의 한 손 및 멀티모드 상호작용을 위한 그립 포스 센서 어레이 및 방법들
KR20170086538A (ko) * 2014-10-30 2017-07-26 티모시 징 인 스제토 터치 감지, 압력 감지 및 디스플레이 가능 측면을 갖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163B1 (ko) * 2011-09-28 2014-07-09 애플 인크.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한 음성 인식 복구
US20140168135A1 (en) * 2012-12-19 2014-06-19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20150143671A (ko) * 2013-04-19 2015-12-2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휴대용 디바이스들 상에서의 한 손 및 멀티모드 상호작용을 위한 그립 포스 센서 어레이 및 방법들
KR20140147647A (ko) * 2013-06-20 2014-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
KR20170086538A (ko) * 2014-10-30 2017-07-26 티모시 징 인 스제토 터치 감지, 압력 감지 및 디스플레이 가능 측면을 갖는 전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84974A (zh) * 2021-12-17 2022-04-22 泰安北航科技园信息科技有限公司 云集切换中控
WO2023226031A1 (zh) * 2022-05-27 2023-11-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快捷操作执行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82508A1 (ko) 와치형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003018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6035921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WO2020171287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장치
WO2017007064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WO2015199270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057803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7119529A1 (ko) 이동 단말기
WO2017030223A1 (ko) 카드유닛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7047854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052814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6032045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7094926A1 (ko)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19168238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5133658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8043844A1 (ko) 이동 단말기
WO2016010202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WO2018124343A1 (ko) 전자장치
WO2016039498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8124334A1 (ko) 전자장치
WO2015105257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5126012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5194723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010595A1 (ko) 키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단말 시스템
WO2017200182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080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9080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