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7647A -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647A
KR20140147647A KR1020130128151A KR20130128151A KR20140147647A KR 20140147647 A KR20140147647 A KR 20140147647A KR 1020130128151 A KR1020130128151 A KR 1020130128151A KR 20130128151 A KR20130128151 A KR 20130128151A KR 20140147647 A KR20140147647 A KR 20140147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grip pattern
grip
touch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9110B1 (ko
Inventor
김명식
김준우
박주완
김선아
오윤제
정선태
홍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4172405.4A priority Critical patent/EP2816442B1/en
Priority to US14/310,860 priority patent/US9626029B2/en
Publication of KR20140147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647A/ko
Priority to US15/489,123 priority patent/US9778775B2/en
Priority to US15/710,386 priority patent/US1004879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상기 터치 센서 및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그립 패턴을 감지하고,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ING GRIP SENSING IN TH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디바이스들이 늘어나면서 직관적인 입/출력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UI: User Interface)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들은 키보드, 키 패드, 마우스 등의 별도 구성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 받는 전통적인 UI 방식에서 손가락이나 터치용 전자 펜 등을 이용하여 화면을 직접 터치하거나 음성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 받는 직관적 UI 방식으로 점차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UI 기술은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보다 편리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할 뿐만 아니라 직관적이면서 인간 중심적인 UI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의 전자 디바이스 그립 상태 변화, 그립 패턴, 그립 시간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의 전자 디바이스 회전 시 그립 상태 변화에 따라 화면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목적은 전자 디바이스가 잠금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그립 패턴 및 그립 시간에 따라 잠금 해제를 제어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목적은 전자 디바이스의 그립 감지 면에 터치 감지에 따라 볼륨 또는 줌 조절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목적은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 발생 시 그립된 상태인지에 따라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무시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에 다른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상기 터치 센서 및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그립 패턴을 감지하고,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그립 패턴을 감지하는 동작과, 상기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회전하면 무조건 화면을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전자 디바이스가 회전된 상태에서 그립 패턴이 변했을 때 화면을 회전하므로 의도치 않은 화면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회전함에 따라 제1 화면이 회전된 제2 화면으로 변했을 때, 다시 회전 전인 제1 화면을 보고 싶을 경우 압력을 가하는 쉽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원하는 제1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전자 디바이스 그립 동작을 이용하여 기능을 바로 실행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쉽고 간단하게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기능을 수행할 때 어떤 그립 패턴으로 전자 디바이스를 쥐었는지를 이용하여 그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그립 명령을 생성함으로써, 보다 쉽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쥐는 그립 동작만으로 잠금 상태를 해제하거나, 전원 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 별도의 잠금 해제를 위한 조작이나 전원 온을 위한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서 편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쥔 상태에서 그립 영역을 문지르는 동작만으로 볼륨이나 줌을 조절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손에 쥠에 따라 그립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상에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을 무시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상에 불필요한 터치 입력을 무시할 수 있어서 정확한 터치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그립 패턴 변화를 이용한 화면 회전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그립 패턴 변화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패턴에 따른 기능 수행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그립 패턴 일예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패턴을 이용한 명령 생성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감지를 이용한 잠금 해제 및 전원 온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영역에 미리 정해진 방식의 입력이 감지됨에 따른 볼륨 조절 또는 줌 조절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볼륨 조절 또는 줌 조절을 나타낸 화면 일예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무시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 무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무시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 무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는 터치 센서(10), 압력 센서(20), 저전력 MPU(Micro Processor Unit)(30),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10)는 전자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면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를 사용자가 쥐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전자 디바이스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터치 센서(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어레이(11-1 내지 111-N),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제어부(13-1 내지 13-N)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어레이(11-1 내지 111-N) 각각은 손가락, 터치 도구 등의 터치 가능한 객체에 의한 터치에 의한 터치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제어부(13-1 내지 13-N)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어레이(11-1 내지 111-N) 각각에 의한 터치 감지 신호에 따라 터치된 지점을 판단하고, 터치된 지점에 해당하는 터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압력 센서(20)는 터치 센서(10)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면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트레인 게이지(21-1 내지 21-N), 적어도 하나 이상의 ADC(23-1 내지 23-N)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트레인 게이지(21-1 내지 21-N) 각각은 손가락, 가압체 등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객체의 가압에 의한 압력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ADC(23-1 내지 23-N)는 아날로그 압력 감지 신호를 디지털 압력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저전력 MPU(30)는 저전력으로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저전력 MPU(30)는 저전력으로 터치 센서(10) 및 압력 센서(20)로부터 터치 정보 및 압력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저전력 MPU(30)는 전자 디바이스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터치 센서(10) 및 압력 센서(20)로부터 터치 정보 및 압력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전력 MPU(30)는 전자 디바이스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터치 센서(10) 및 압력 센서(20)로부터 터치 정보 및 압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그립 상태, 그립 패턴, 그립 시간 중 어느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립 상태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쥐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립 패턴은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어떤 패턴으로 쥐고 있는지 나타낼 수 있다. 그립 시간은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얼마의 시간 동안 쥐고 있는지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40)는 터치 정보, 압력 정보를 이용하여 그립 여부, 그립 패턴, 그립 시간을 판단할 수 있고, 그립 여부, 그립 패턴, 그립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다양한 기능 중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터치 센서(10), 압력 센서(20), 저전력 MPU(30),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전자 디바이스라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자 디바이스가 휴대형 이동 단말(100)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2에서는 전자 디바이스가 휴대형 이동 단말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이하 '장치'라고도 칭함)(10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및 커넥터(165)를 이용하여 외부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장치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도시되지 아니함) 및 서버(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또한, 장치(100)는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또한, 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5), 저전력 MPU(185)를 포함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CPU(111),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전원공급부(185), 저전력 MPU(185), 저장부(185),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손으로 쥐는 등 그립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그립을 감지하고 그립 감지에 따라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 근거리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예를 들면, 무선 랜 안테나 또는 WIFI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 AP(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도시되지 아니함)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GPS 모듈(155)는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151) 또는 제2 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 플래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는 상기 장치(100) 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52)는 상기 장치(10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장치(100)의 하우징(101)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상기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장치(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상기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터치스크린(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장치(100)와 외부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원이 입력되거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172), 또는 장치(100)의 동작(예, 장치(100)의 회전, 장치(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가속도센서(17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센서(174)는 장치(100)의 방향 및 기울기를 포함하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170)은 사용자가 장치(100)를 잡거나 움켜쥐는 그립(grip) 동작('파지'라고도 함)에 의해 장치(100)에 발생하는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176)와 사용자가 장치(100)에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1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176)는 장치(100)의 적어도 일면 예컨대 장치(100)를 사용자가 쥐었을 때 터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장치(10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터치 센서(176)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어레이들(도시되지 아니함)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제어부들(도시되지 아니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어레이 각각은 손가락, 터치 도구 등의 터치 가능한 객체에 의한 터치에 의한 터치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제어부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어레이 각각에 의한 터치 감지 신호에 따라 터치된 지점을 판단하고, 터치된 지점에 해당하는 터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압력 센서(178)는 터치 센서(176)과 같이 장치(100)의 적어도 일면 예컨대 장치(10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트레인 게이지(도시되지 아니함), 적어도 하나 이상의 ADC(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트레인 게이지 각각은 손가락, 가압체 등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객체의 가압에 의한 압력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ADC는 아날로그 압력 감지 신호를 디지털 압력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저전력 MPU(180)는 저전력으로 장치(100)의 일부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저전력 MPU(180)는 저전력으로 터치 센서(176) 및 압력 센서(178)로부터 터치 정보 및 압력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저전력 MPU(180)는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터치 센서(176) 및 압력 센서(178)로부터 터치 정보 및 압력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전력 MPU(180)는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터치 센서(176) 및 압력 센서(178)로부터 터치 정보 및 압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그립 상태, 그립 패턴, 그립 시간 중 어느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립 상태는 사용자가 장치(100)를 쥐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립 패턴은 사용자가 장치(100)를 어떤 패턴으로 쥐고 있는지 나타낼 수 있다. 그립 시간은 사용자가 장치(100)를 얼마의 시간 동안 쥐고 있는지 나타낼 수 있다.
전원공급부(18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의 배터리 팩(41) 또는 복수의 배터리 팩(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 팩은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5)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다양한 물체들 예컨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 예컨대 전자펜(스타일러스 펜) 등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에서 검출 가능한 간격은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전자기유도(EMR:Electronic Magnetic Resonance) 방식(이하 EMR 방식이라 칭함)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방식이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 스크린(190)뿐만 아니라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및 센서모듈(170) 등을 통해 수신되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터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제스쳐, 음성, 눈동자 움직임, 생체신호 등 상기 장치(100) 내로 입력되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동작 또는 기능이 장치(100) 내에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센서(176) 및 압력 센서(178)는 사용자에 의한 전자 디바이스(100)의 그립 감지가 용이하도록 미리 정해진 그립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그립 영역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측면 둘레(100b)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손에 쥐고(griped) 사용될(handheld) 수 있는 크기일 수 있으며, 하우징(101)으로 이루어진 바형 단말기일 수 있다. 하우징(101)의 전면(100a) 중앙에는 터치스크린(19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90)은 전면(100a)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측면(100b)은 그립 영역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그립 감지가 용이하도록 그립 영역(100b)에 터치 센서(176) 및 압력 센서(178)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손으로 쥐는 등 그립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그립을 감지하고 그립 감지에 따라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100)가 회전했어도 그립 패턴이 변화되지 않으면 이전에 표시되고 있던 제1 화면이 고정적으로 계속 표시되도록 하는 로테이션 락(Rotation Lock)과, 이전에 표시되고 있던 제1 화면이 제2 화면으로 변했을 때, 사용자가 제2 화면으로 변하기를 원치 않는 경우 압력 감지에 따라 다시 제1 화면이 표시되는 로테이션 백(Rotation Back)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로테이션 락 및 로테이션 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그립 패턴 변화를 이용한 화면 회전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그립 패턴 변화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410 동작에서 전자 디바이스(100)의 회전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100)는 가속도 센서(174)를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의 회전 여부 및 회전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회전된 것으로 판단되면, 420 동작에서 그립 패턴이 변화되었는지 판단한다. 그립 패턴은 손 등의 객체가 그립 영역(100b)에 접촉된 면의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 5의 (a)와 같이 제1 화면(510)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그립 패턴이 변화되었는지 판단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 패턴이 변화되었으면 430동작에서 도 5의 (c)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화면이 회전된 제2 화면(52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 패턴이 변화되지 않았으면 410동작으로 되돌아가 도 5의 (b)와 같이 제1 화면을 계속해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회전하면 무조건 화면을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전자 디바이스(100)가 회전된 상태에서 그립 패턴이 변했을 때 화면을 회전하므로 의도치 않은 화면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자 디바이스(100)는 상기 회전된 제2 화면을 표시하고 나서 440동작에서 압력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압력 센서(178)를 통해 그립 영역에서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압력이 감지되면 450 동작에서 제2 화면을 다시 제1 화면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 6의 (a)와 같이 제2 화면(620)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압력이 감지되면 도 6의(c)와 같이 제2 화면(620)을 다지 회전되기 전의 제1 화면(610)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압력이 감지되지 않았으면 제2 화면을 계속해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회전함에 따라 제1 화면이 회전된 제2 화면으로 변했을 때, 다시 회전 전인 제1 화면을 보고 싶을 경우 압력을 가하는 쉽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원하는 제1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그립 패턴대로 전자 디바이스(100)를 그립하면 미리 정해진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그립 투 런(Grip to run)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그립 투 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그립 패턴에 따른 기능 수행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그립 패턴 일예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710 동작에서 그립 감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그립 영역(100b)에 구비된 터치 센서(176)을 통해 획득한 터치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쥐었는지 여부 즉, 그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이 감지되었으면, 720 동작에서 그립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의 (a)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오른손으로 쥐었을 때(그립하였을 때) 그립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오른손으로 쥐었을 경우 엄지가 전자 디바이스(100)의 오른쪽 측면에 접촉하게 되고, 중지, 약지, 소지가 전자 디바이스(100)의 왼쪽 측면에 접촉함에 따른 그립 패턴이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왼손으로 쥐었을 때 그립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왼손으로 쥐었을 경우 엄지가 전자 디바이스(100)의 왼쪽 측면에 접촉하게 되고, 중지, 약지, 소지가 전자 디바이스(100)의 오른쪽 측면에 접촉함에 따른 그립 패턴이 판단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100)는 손 등의 객체가 그립 영역(100b)에 접촉된 부분들을 이용하여 그립 패턴을 판단할 수 있으며, 그립 패턴은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어떻게 쥐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 패턴이 판단되면, 730 동작에서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그립 패턴별로 실행할 프로그램 또는 실행할 기능이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다.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 또는 기능은 카메라 기능, 웹 브라우져 기능, 게임 프로그램, 문자 메시지 전송 프로그램, 음악 재생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전자 기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능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전자 디바이스(100) 그립 동작을 이용하여 기능을 바로 실행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쉽고 간단하게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어떠한 한 기능 수행 시 동일한 그립 패턴이 반복되면, 반복되는 그립 패턴을 기능 수행 명령으로 생성하도록 하는 그립 커맨드 제너레이션(Grip command generation)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그립 커맨드 제너레이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그립 패턴을 이용한 명령 생성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910 동작에서 기능이 수행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기능은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 또는 기능이 될 수 있으며, 카메라 기능, 웹 브라우져 기능, 게임 프로그램, 문자 메시지 전송 프로그램, 음악 재생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전자 기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능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능이 수행되면 920 동작에서 그립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능 수행 시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쥠에 따라 그립 영역(100b)에 발생하는 접촉 부분을 이용하여 그립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930 동작에서 그립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940 동작에서 기능 수행 시 동일 그립 패턴이 반복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기능 수행 시마다의 그립 패턴이 동일 그립 패턴으로 반복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능 수행 시 동일 그립 패턴이 반복되면, 950 동작에서 그립 패턴을 이용한 기능 수행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 기능 수행 시마다 그립 패턴이 동일 그립 패턴으로 반복되었다면, 해당 그립 패턴이 감지되면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립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기능을 수행할 때 어떤 그립 패턴으로 전자 디바이스(100)를 쥐었는지를 이용하여 그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그립 명령을 생성함으로써, 보다 쉽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잠금 상태에서 사용자의 전자 디바이스(100) 그립 패턴에 따라 잠금 해제되도록 하는 그립 패턴 언락(grip pattern unlock)과, 전원 오프 상태에서 사용자의 전자 디바이스(100) 그립 시간에 따라 전원 온되도록 하는 그립 투 온(grip to on)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그립 패턴 언락 및 그립 투 온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감지를 이용한 잠금 해제 및 전원 온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1010 동작에서 그립 감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그립 영역(100b)에 구비된 터치 센서(176)을 통해 획득한 터치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쥐었는지 여부 즉, 그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이 감지되었으면, 1020 동작에서 잠금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잠금 상태이면 1030 동작에서 그립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100)는 손 등의 객체가 그립 영역(100b)에 접촉된 부분들을 이용하여 그립 패턴을 판단할 수 있으며, 그립 패턴은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어떻게 쥐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 패턴이 판단되면, 1040 동작에서 상기 판단된 그립 패턴이 미리 정해진 그립 패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그립 패턴은 잠금 해제를 수행하도록 미리 정해진 그립 패턴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미리 정해진 그립 패턴이면 1050 동작에서 잠금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잠금 상태가 아니면 1060 동작에서 전원 오프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전원 오프 상태이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1070 동작에서 그립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립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1080 동작에서 전원 온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면 전원 온 여부를 묻는 메시지 또는 화면을 터치 스크린(190)상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전원 온을 확인받은 후 전원 온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쥐는 그립 동작만으로 잠금 상태를 해제하거나, 전원 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 별도의 잠금 해제를 위한 조작이나 전원 온을 위한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서 편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된 상태에서 그립 영역(100b)에 미리 정해진 방식의 입력이 감지됨에 따라 스피커 볼륨 조절 또는 카메라 줌 조절이 되도록 하는 스트렝쓰 컨트롤(Strength control)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렝쓰 컨트롤에 대해 설명하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그립 영역에 미리 정해진 방식의 입력이 감지됨에 따른 볼륨 조절 또는 줌 조절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볼륨 조절 또는 줌 조절을 나타낸 화면 일예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1110 동작에서 그립 감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그립 영역(100b)에 구비된 터치 센서(176)을 통해 획득한 터치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쥐었는지 여부 즉, 그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이 감지되었으면, 1120 동작에서 그립 영역(100b) 중 일부 영역에 문지르는 입력 예컨대 스와이프(swipe) 입력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스와이프 입력이란 손가락을 댄 후 일직선으로 드래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스크롤(scroll)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스와이프 입력이 감지되면 1130 동작에서 스피커 기능이 수행 중인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스피커 기능이 수행 중이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1140 동작에서 스와이프 방향 및 길이에 따라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 13의 (a)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측면 좌측의 일부분에 스와이프 입력이 있으면, 스와이프 방향이 위인 경우 위로 스와이프 입력 길이에 따라 줌 인을 수행하고, 스와이프 방향이 아래인 경우 아래로의 스와이프 입력 길이에 따라 줌 아웃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 13의 (b)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가 좌측으로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좌측 일부분에 스와이프 입력이 있으면, 스와이프 방향이 위인 경우 위로 스와이프 입력 길이에 따라 줌 인을 수행하고, 스와이프 방향이 아래인 경우 아래로의 스와이프 입력 길이에 따라 줌 아웃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100)는 스피커 기능 및 카메라 기능 수행 중이 아니면 1170 동작에서 다른 기능에 따라 해당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진 보기 기능인 경우 사진 확대 또는 축소 조절 기능을 수행하거나, 웹 브라우져 기능 인 경우 웹 페이지 스크롤업 또는 스크롤다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쥔 상태에서 그립 영역(100b)을 문지르는 동작만으로 볼륨이나 줌을 조절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터치 스크린(190) 상에 터치 입력이 있으면, 그립된 상태인지 판단하여 그립된 상태인 경우 그립에 의해 접촉되는 부위에 의한 터치 입력을 무시할 수 있도록 하는 팜 리젝션(palm rejection)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터치 스크린(190)상에 터치 입력이 있으면, 터치 입력이 사용자가 의도한 터치가 아닌 그립에 의해 접촉된 부위에 의한 터치 입력을 무시할 수 있도록 하는 팜 리젝션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팜 리젝션에 대해 설명하면, 도 14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 시 그립된 상태인지에 따른 터치 입력 무시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그립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 무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4 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1410 동작에서 터치 스크린(190) 상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터치 스크린(190) 상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1420 동작에서 전자 디바이스(100)가 그립된 상태인지 판단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 영역(100b)에 구비된 터치 센서(176)을 통해 획득한 터치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쥐었는지 여부 즉, 그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된 상태이면 1430 동작에서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을 무시할 수 있다. 만약 그립된 상태가 아니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1440 동작에서 터치 스크린(190) 상에 터치 입력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 15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손에 쥠에 따라 그립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190)상에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1500)이 발생한 경우, 터치 스크린(190) 상의 터치 입력을 무시함으로써, 터치 스크린(190) 상에 불필요한 터치 입력을 무시할 수 있어서 정확한 터치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그립에 의해 접촉이 예상되는 부위에 실제 터치 입력이 일어나는 경우에 대해 상기 팜 리젝션은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무시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 무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1602 동작에서 그립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 영역(100b)에 구비된 터치 센서(176)를 통해 획득한 터치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쥐었는지 여부 즉, 그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된 상태이면 1604 동작에서 그립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오른손으로 쥐었을 경우 엄지가 전자 디바이스(100)의 오른쪽 측면에 접촉하게 되고, 중지, 약지, 소지가 전자 디바이스(100)의 왼쪽 측면에 접촉함에 따른 그립 패턴이 판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왼손으로 쥐었을 경우 엄지가 전자 디바이스(100)의 왼쪽 측면에 접촉하게 되고, 중지, 약지, 소지가 전자 디바이스(100)의 오른쪽 측면에 접촉함에 따른 그립 패턴이 판단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100)는 손 등의 객체가 그립 영역(100b)에 접촉된 부분들을 이용하여 그립 패턴을 판단할 수 있으며, 그립 패턴은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어떻게 쥐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 패턴이 판단되면 1606 동작에서 터치 스크린(190) 상에 터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 17의 (a)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손에 쥠에 따라 그립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190)상에 손바닥(팜)이 닿은 경우, 팜에 의한 터치 입력(1700)을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터치 스크린(190) 상에 터치 입력이 없으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1608 동작에서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거나,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때 그립 패턴별로 실행할 프로그램 또는 실행할 기능이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다.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 또는 기능은 카메라 기능, 웹 브라우져 기능, 게임 프로그램, 문자 메시지 전송 프로그램, 음악 재생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전자 기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능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 패턴이 판단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190)상에 터치 입력이 있으면, 1610 동작에서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1612 동작에서 그립 패턴의 접촉 위치와 터치 스크린(190) 상의 터치 위치를 비교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1614 동작에서 상기 그립 패턴 상의 접촉 위치와 터치 스크린(190) 상의 터치 위치의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 17의 (b)와 같이 그립 패턴 상의 접촉 위치들(1701, 1702, 1703, 1704, 1705) 각각과 터치 스크린(190) 상의 터치 위치(1700) 사이의 거리(d1, d2, d3, d4, d5)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지 판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만약 그립 패턴 상의 접촉 위치와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위치의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지 않으면, 1616 동작에서 터치 스크린(190)상에 터치에 대응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 패턴 상의 접촉 위치와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위치의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으면 1618 동작에서 터치 스크린(190) 상의 터치 위치 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팜의 터치인 경우에는 터치 위치의 변화가 작으므로, 터치 위치의 변화값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190) 상의 터치가 팜의 터치에 의한 것인지, 팜의 터치에 의한 것이 아닌지가 판단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1620 동작에서 터치 스크린(190) 상의 터치 위치 변화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임계값은 팜의 터치였을 경우와 팜의 터치가 아니었을 경우를 실험하여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만약 터치 위치 변화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지 않으면, 터치 스크린(190) 상의 터치(1700)가 팜에 의한 터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1616 동작으로 돌아가 터치 스크린(190) 상의 터치에 대응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터치 위치 변화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으면, 터치 스크린(190) 상의 터치(1700)가 팜에 의한 터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1622 동작에서 터치 스크린(190) 상의 터치(1700)를 무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휴대형 전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휴대형 전자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1)

  1.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상기 터치 센서 및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그립 패턴을 감지하고,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측면의 그립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회전된 경우,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그립 패턴이 변화되지 않으면 제1 화면이 고정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회전된 경우,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그립 패턴이 변화되면 제1 화면을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 제2 화면으로 변경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그립 패턴에 따라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되면 미리 정해진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능 수행 시 동일한 그립 패턴이 반복되면, 반복되는 그립 패턴을 기능 수행 명령으로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 그립 패턴에 따라 잠금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 그립 패턴 유지 시간에 따라 전원 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 영역에 미리 정해진 방식의 입력이 감지됨에 따라 스피커 볼륨 조절 및 카메라 줌 조절 중 어느 하나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된 상태인지 판단하여 그립된 상태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무시하도록 제어 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이 있으면, 상기 터치 입력이 팜에 의한 터치 입력인지 판단하여 상기 팜에 의한 터치 입력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무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2.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그립 패턴을 감지하는 동작과,
    상기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회전을 감지되면 그립 패턴을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그립 패턴이 변화되지 않으면 제1 화면이 고정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회전을 감지되면 그립 패턴을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그립 패턴이 변화되면 제1 화면을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 제2 화면으로 변경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그립 패턴이 미리 정해진 그립 패턴인지 판단하는 동작과,
    미리 정해진 그립 패턴에 따라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되면 미리 정해진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은,
    기능 수행 시 동일한 그립 패턴이 반복되는지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동일한 그립 패턴이 반복되면, 반복되는 그립 패턴을 기능 수행 명령으로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은,
    잠금 상태에서 상기 그립 패턴을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그립 패턴에 따라 잠금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은,
    전원 오프 상태에서 상기 그립 패턴 유지 시간을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그립 패턴 유지 시간에 따라 전원 온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 영역에 미리 정해진 방식의 입력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미리 정해진 방식의 입력이 감지됨에 따라 스피커 볼륨 조절 및 카메라 줌 조절 중 어느 하나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은,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터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된 상태인지 판단하여 그립된 상태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무시하도록 제어 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터치 입력이 있으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이 팜에 의한 터치 입력인지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이 팜에 의한 터치 입력이면 상기 팜에 의한 터치 입력을 무시하도록 제어 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30128151A 2013-06-20 2013-10-25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 KR102139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72405.4A EP2816442B1 (en) 2013-06-20 2014-06-13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grip sensing
US14/310,860 US9626029B2 (en) 2013-06-20 2014-06-20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grip sensing
US15/489,123 US9778775B2 (en) 2013-06-20 2017-04-1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grip sensing
US15/710,386 US10048793B2 (en) 2013-06-20 2017-09-20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grip sen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037 2013-06-20
KR1020130071037 2013-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647A true KR20140147647A (ko) 2014-12-30
KR102139110B1 KR102139110B1 (ko) 2020-07-30

Family

ID=52676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151A KR102139110B1 (ko) 2013-06-20 2013-10-25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11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683A (ko) * 2016-11-29 2018-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립 센서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ui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WO2019168208A1 (ko) * 2018-02-27 2019-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579181B2 (en) 2017-01-24 2020-03-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726715B2 (en) 2015-11-12 2020-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operations according to proximity of external object
KR20200110298A (ko) * 2018-02-13 2020-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1215663A1 (ko) * 2020-04-24 2021-10-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405500B2 (en) 2019-10-08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 structure, key inpu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WO2023106830A1 (ko) * 2021-12-08 2023-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 손 조작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747227B2 (en) 2019-07-16 2023-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rce key structure
US11934602B2 (en) 2021-12-08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one handed operation mo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5728A1 (ko) * 2022-04-05 2023-10-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소모 전류 개선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9194A (ko) * 2008-10-06 2010-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접촉 패턴에 따른 GUI(Graphic User Interface) 표시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장치
US20110304648A1 (en) * 2010-06-15 2011-12-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US20120287076A1 (en) * 2011-05-12 2012-11-15 Motorola Mobility, Inc. Touch-scree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touch-screen device
KR20130032596A (ko) * 2011-09-23 2013-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동 화면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9194A (ko) * 2008-10-06 2010-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접촉 패턴에 따른 GUI(Graphic User Interface) 표시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장치
US20110304648A1 (en) * 2010-06-15 2011-12-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US20120287076A1 (en) * 2011-05-12 2012-11-15 Motorola Mobility, Inc. Touch-scree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touch-screen device
KR20130032596A (ko) * 2011-09-23 2013-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동 화면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6715B2 (en) 2015-11-12 2020-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operations according to proximity of external object
KR20180060683A (ko) * 2016-11-29 2018-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립 센서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ui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US10579181B2 (en) 2017-01-24 2020-03-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00110298A (ko) * 2018-02-13 2020-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9168208A1 (ko) * 2018-02-27 2019-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747227B2 (en) 2019-07-16 2023-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rce key structure
US11405500B2 (en) 2019-10-08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 structure, key inpu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WO2021215663A1 (ko) * 2020-04-24 2021-10-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995264B2 (en) 2020-04-24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a touch input
WO2023106830A1 (ko) * 2021-12-08 2023-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 손 조작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934602B2 (en) 2021-12-08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one handed operation m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110B1 (ko)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110B1 (ko)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
US1004879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grip sensing
KR10208018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잠금 해제 방법
KR102141155B1 (ko) 모바일 장치의 상태에 대응하는 변경된 숏컷 아이콘을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13683B1 (ko) 문지르기 제스처를 검출하여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90567B1 (ko) 외부 입력 장치와 결합된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160045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a pen
US201403620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object by using multi-touch,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064836B1 (ko) 모바일 장치에서의 메뉴 표시 장치 및 방법
AU2014287980B2 (en) Portable device for providing combined UI compon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40365950A1 (en) 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method in portable terminal
US20140281962A1 (en) Mobile device of executing action in display unchecking mod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40111790A (ko) 가상 키보드에서 난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40119546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186815B1 (ko)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US20140062965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coordinat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261996B2 (en) Mobile terminal including touch screen supporting multi-touch inpu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40348334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cting earphone connection
KR20140110646A (ko)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에서 화면 표시 방법
KR102115727B1 (ko) 하이브리드 위젯을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49324A (ko) 필기 입력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102146832B1 (ko)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 지점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26110A (ko) 아이콘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KR2014011709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23794A (ko) 메모용 어플리케이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