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39190A1 - 근관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근관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39190A1
WO2019139190A1 PCT/KR2018/000616 KR2018000616W WO2019139190A1 WO 2019139190 A1 WO2019139190 A1 WO 2019139190A1 KR 2018000616 W KR2018000616 W KR 2018000616W WO 2019139190 A1 WO2019139190 A1 WO 20191391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nal
filling material
contact portion
root canal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061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용식
Original Assignee
조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식 filed Critical 조용식
Priority to US16/960,89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10369410A1/en
Publication of WO20191391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391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 A61C5/55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with heating means, e.g. for heating gutta perch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6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or mixing capping or filling materials, e.g. amalgam presses
    • A61C5/62Applicators, e.g. syringes or gu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ot canal fill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ot canal filling apparatus for filling a filler in a root canal in which damaged or contaminated dimensions are removed.
  • a tooth of a tooth is removed by using a perforating device, and when the dimension is damaged, the damaged or contaminated dimension is removed, And a method of prosthesis is used.
  • a Gutta Percha cone and a root canal sealer are used as a permanent filling material that allows the filling material to penetrate the root canal and seal it completely.
  • Gata percha is a natural vegetable extract which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emi-solid state at room temperature, or a solidified rubber by applying pressure or heat. The wax, coloring matter, etc. are put in this, and they are taken out in the form of a plate in combination with a roll or a blender, and then cut into a conical shape for each size.
  • the criz percha cone thus produced is the most commonly used material in root canal filling today and is most suitable for living organisms because it has little toxicity to apical root.
  • the currently available katta percha cone consists of a standardized cone, a non-standardized cone, and an accessory cone.
  • the root canal filler sealer is a viscous ointment type dental cement that solidifies when it has been applied to the root canal for a few hours and maintains a constant sealing force by changing into a stable phase of in vivo inertness.
  • Gata Purge alone, it is not expected to seal up to the detailed parts of the adjacent canal and main canal. Therefore, when filling the Gata percha into the canal, it is necessary to seal the canal filling sealer together to secure the sealing force.
  • a root canal filler sealer is applied to the root canal wall so that no more infectious source occurs in the root canal, To fix the filler in the root canal. At this time, it is important that the gutta-percha cone is completely adhered to the root canal wall and the nail side, and a sufficient amount of the root canal filling sealer must be applied.
  • a dental root canal filling devic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138839 is disclosed, but it is not intended to use a generally used gutta-percha and root canal filling-up sealer, Is a device for applying a root canal filling material to a root canal.
  • the conventional canal filling method has various techniques. Basically, it can be divided into the non-heating side pressing method and the vertical pressing method.
  • the non-heating side pressing method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position of the putter in the root can be controll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cedure is difficult, the procedure takes a long time, the space between the gutta percha is not homogeneous, the suitability of the sealer for filling the root canal falls to the inner wall of the root canal, and vertical fracture of the root can be caused.
  • the vertical pressurizing method is a method of applying heat to the gutta-percha to fit the gutta-peritoneal wall and filling the gutta-percha with a sealer for filling the root canal into the root canal.
  • the root canal of the root canal is sealed by pressing with the heat, and then the remaining root canal is closed with softened gutta-percha using an injection gun, and then pressed again with a separate condenser.
  • the heat-pressing tip and the injection gun are expensive to purchase, require high heat to be generated, and require a large maintenance cost.
  • the main conduit is connected to the filling material molten portion driven by the power source and the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filling material molten portion or the heat generated by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in canal having the root canal-
  • the endocardial filling device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lling material melting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lling material fus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filling material is filled in the main canal and a nearby canal by transferring the first filling material to the first filling material or the second filling material .
  • a contact portion contacting and pressing the first filler or the second filler injected into the main canal to allow the first filler to be filled in the main canal or the nearby canal;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heat or vibration provided from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through the connection unit and the contact unit to the contact unit via the connection unit,
  • the contact portion includes: a first contact portion formed to have a first taper ratio in a direction from the end side toward the transmission portion;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formed to have a second taper ratio relatively larger than the first taper ratio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to the transmission portion side.
  • the second contact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marking portion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adjacent to the boundary with the transmission portion.
  • the taper ratio of each of the contact portions may be in the range of 0 to 0.1.
  • the contact portion may have a length of 1 mm to 8 mm.
  • the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end of 0.40 mm to 1.40 mm.
  • the end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in a flat surface.
  • the transfer unit may include a first transfer unit connected to the contact unit and having a second length; And a second transmitting part connected to the transmitting part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rt on the other side and formed to have a third length, wherein the first straight line extending from the axis of the first transmitting part and the imaginary first straight line extending from the axis of the second transmitting part The extended imaginary second straight line can form the first angle.
  • the transmit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a second taper ratio that increases from the contact portion toward the second transmission portion.
  • the second taper ratio may be 0.02 to 0.10.
  • the second length may be in the range of 12 mm to 25 mm.
  • the imaginary third straight line extending from the second straight line and the axis of the connecting portion may form a second angle.
  • a second filling material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ain canal is inserted into the main canal, and in a state where the first filling material is filled in a space other than the filling space of the second filling material in the main canal,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acking may be softened through the heat of the first temperature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portion.
  • the first contact portion may pressurize the skin layer of the second filler during curing in a state where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is off, so that the first filler in the softened state is filled in the neighboring tube.
  • the canal fil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filling efficiency of the main canal and the nearby canal of the Gutta Percha and the canal filling sealer.
  • the field of view can be ensured and the operation can be simplified to provide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ltrasonic generator equipped with a root canal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ot canal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root canal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delivery unit of a root canal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portion of a root canal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 to 11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root canal fil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pparatus for filling a root canal fil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filling a gutta percha and a root canal filling sealer in a main canal and a nearby canal having a dimension removed when a vertical canal filling method is applied.
  • a sealer for filling a root canal is inserted into a patient's main canal and an adjacent canal, coated on a Gutta percha, to protect the main canal and the surrounding canal from moisture or foreign material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s used.
  • the canal fil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main canal and the nearby canal whose dimensions have been removed are filled with a Gutta Percha and a canal filling sealer, the main canal filling apparatus of the Gutta Percha and the sealer, And the charging efficiency of the nearby pipe is improved, and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is provided.
  •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ltrasonic generator equipped with a root canal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ot canal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root canal filling apparatus 1 is connected to an ultrasonic wave generating apparatus W driven by a power source and is provided from an ultrasonic wave generating apparatus W Is transmitted to the filling material filled in the root canal so that the filling material is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root canal (the main canal P and the nearby canal Q).
  •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W can be replaced with a device that generates vibration or generates heat.
  •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ultrasonic waves, vibration, and heat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filler melting sec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 the filler fused portion W may be a device used for ordinary tooth scaling to remove tarta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ace bonded epithelium of a tooth.
  • the filler molten portion W may be a new design device that implements the same function as the device used for scaling.
  • the vibr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 value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element is generated, and this causes the ultrasonic wave To be transmitted to the sound wave of the region band.
  • a piezoelectric element when a piezoelectric element is thinly formed to a thickness enough to obtain a desired frequency, electrodes are attached to both surfaces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and an alternating voltage is applied for a short time, the piezoelectric element is deformed and restored alternately, Ultrasonic waves having a certain frequency are generated, and heat accompanying vibration energy is generated.
  • the canal fill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30, a contacting portion 10, and a transmitting portion 20 as shown in Figs. 2 and 3.
  • connection portion 30 is connected to the filler melt portion W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ructure with the filler melt portion W.
  • the contact portion 10 contacts and pressurizes the first filling material S or the second filling material G injected into the main canal P so that the first filling material S contacts the main canal P or the adjacent tube Q, .
  • the transfer portion 20 is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30 and the contact portion 10 via the connection portion 30 and the contact portion 10 and the heat or vibration provided from the filler molten portion W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30, To the contact portion (10).
  • the transfer unit 20 is configured to allow the heat or vibr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30 to be transmitted to the contact unit 10 stably and efficiently, and at the same time, And the contact portion 10, as shown in Fig.
  • the contact portion 10 of the canonical filling device 1 includes a sealer (a first filler S and a second filler G, 6) to allow at least a portion of the filler to soften through the heat of the first temperature delivered from the transfer portion 20.
  • the first temperature is a softening temperature of the filler (first filler or second filler),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second filler, but may be preferably from 40 to 200.
  • the contact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heat and vibration to the outside of the periphery of the root canal inlet,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heat to the root of the root canal. The possibility of such high heat transmission is fundamentally blocked.
  • the contact portion 10 can be divided into a first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point A to a point B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point B to the point C.
  • the transfer unit 20 is divided into a first transfer unit 20 and a second transfer unit 24 according to the angle.
  • the contact portion 10 and the transfer portion 20 in this embodiment are formed to have a characteristic length and an inclination in order to implement the respective functions. Particularly, one of the main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by the length and the inclination of the contact portion 10. [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 Table 1 shows the diameter of each part of the contact portion 10 and the transfer portion 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 the ti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with various diameters depending on the kind or size of teeth. However, when the sizes of the teeth to be treated are large, the diameters at the points A and B are relatively large, but the diameters at the points E and F are the same, and the diameters at the points C and D are the diameters of the points A and B As shown in FIG.
  • such a diameter may be formed within a range of approximately 10% or less i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limits.
  • Table 2 shows the distance (L-ab) between the points A and B, the distance (L-bc) between the points B and C, the distance (L-cd) between the points C and D, (L-de) between the points, and the distance (L-ef) between the points E and F in millimeters.
  • the tip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ormed the same length to each point. However, considering the intentional or unintentional error, this length can be formed 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10% or less i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limits.
  • the length L1 of the contact portion 10 is the optimal length to be inserted for hydrodynamic pressure generation at the root canal portion, It may be a length calculated based on the length of the root canal. That is, when the first length L1 is less than 1 mm,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condenser for the finishing work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length L1 is more than 8 mm, it is difficult to form the inclination of the contact portion, that is, the taper ratio,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in the root canal.
  • the first transmission portion 22 may be between 12 mm and 25 mm.
  • the length of the first transmitting portion 22 is set to be shorter than the taper ratio of the first transmitting portion 22 when the practitioner performs the canal to be treated, It is a physical specification that can provide space.
  • the length and taper ratio of the first delivery portion 22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size of the statistical oral structure.
  • Table 3 shows the slope of each section calculated from Tables 1 and 2.
  • the slope per unit length between points A and B that is, the taper ratio
  • D-ab the taper ratio
  • the first contact portion 10_AB is formed to have a slope of 0% or 4%
  • the second contact portion 10_BC is formed to have a very small inclination, that is, a cylindrical shape, So that a function similar to that of a piston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emphasized. That is, although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can be formed with the same inclina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ontact portion 10 is divided into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the inclination degree is separately formed.
  •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first transmitting portion 22 extending from the portion C to the portion F for each tip is set at the end portion A, which is approximately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ameter of the rotor. Also, the inclination of each part to the points D, E, F of each tip should also be formed so as not to be excessive.
  • the taper ratio represents a change ratio of the diameter with a length change of 1 mm.
  • the first taper ratio represents the increase or decrease rate of the diameter of the contact portion 10 with respect to the length change of 1 mm, ) And the transmitting portion 20 in the range of 0.00 to 0.10.
  • the taper ratio of 0 means that the thickness is not changed per unit length, and it is cylindrical or polygonal.
  • 0.00 means that the contact portion 10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 the function as the capacitor of the contact portion can be considered to be faithful, there are disadvantages in terms of functioning as a piston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in the root canal.
  • the inclination of the contact portion 10 that is, the first taper ratio is 0.10 or more, insertion into the root canal becomes difficult.
  • the contact portion 10 when the contact portion 10 is too thin, particularly when the area of the end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10 is too small, the pressure is concentrated by reducing the surface area of the pressure due to vibration or exter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portion 20, If it is too thick, insertion into the root canal is difficult and it may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filling material G. [ This is also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scaling device. That is, in the case of the simple scaling device, since the filling material does not act as a piston, the cross-sectional area does not need to be a certain level or more.
  • the surface of the cured filling material is pressurized, Should be formed to have a cross sectional area of more than a certain area so as to be filled up to the main canal and the nearby canal, and the shape of the end portion should not be sharp and the flatness should be formed at a certain level or more.
  • the end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10 is preferably formed in a circular plane or a curved surface close to a plane. In this way, since the end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10 is formed in a flat shape,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finishing work for finishing the filling of the root canal which was performed using the conventional condenser after filling the in-canal filling material and the finishing work for scraping the contamination of the root canal inlet Do.
  • the first marking portion M1 can be forme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point C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10.
  • the first marking portion M1 is formed using a laser marking method or the lik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from the point C toward the point B, preferably about 1 mm.
  • the first marking portion M1 functions to help intuitively determine the depth at which the contact portion 10 is inserted in the root canal filling process, the depth immersed in the sealer in the process of pressing the sealer, and the like.
  • At least one second marking portion L2 may be formed from the first marking portion M1 by a predetermined length, preferably about 3 mm.
  • the second marking unit L2 is formed by a laser marking method or the like in order to improve the ease of operation by enabling intuitive judgment in the oral cavity during the canal filling process as in the case of the first marking unit M1.
  • the first angle A1 and the second angle A2 may be formed in a suitable size based on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statistical oral structure.
  • the first angle A1 can be formed in a range of 60 degrees to 120 degrees
  • the second angle A2 can be formed in an angle range of 90 degrees to 180 degrees. For example, when the second angle A2 is formed at 180 degrees, problems may occur such as intra-oral treatment or excessive wrist twisting of a doctor's wrist during treatment.
  • the shape characteristic of the first delivering portion 22, the second delivering portion 24 and the connecting portion 30 is such that rigidity due to heat or force is secured during the procedure of the canal filling procedure using the canal filling device 1
  • the second angle A2 formed by the filler melt W may be provided with appropriate elasticity and rigidity to the lateral pressure applied from the practitioner or the filler molten portion W during the procedure.
  • FIG. 5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portion of a root canal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nection portion 30 may be inser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ller melt portion W.
  • FIG. 5 is an embodiment for showing the mutual coupling relation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30 and the filler molten portion W,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FIG.
  • the end of the connection part 30 can be changed into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fastening structure with the ultrasonic generator W.
  • FIG. 6 to 11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root canal fil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anine fill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operation by the canine filling apparatus 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 a puncture mechanism (not shown) or the like is used to puncture the infected area to remove infected nerve tissue, thereby preparing a root canal having a dimension removed.
  • the main canal (P) is an anatomical space in the center of the root, and the main canal (P) (R) can be differentiated by individual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 the adjacent tube (Q) means a twin canal branched from the main canal (P), and the number and shape of the canal exist in various forms for each individual.
  • the filler to be filled in the root canal can be divided into a first filler S and a second filler G and the first filler S can be at least one of a sealer for filling a root canal or a cement for filling a root canal
  • the second filler G may be formed of an insoluble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gutta percha, zinc oxide, and barium sulfate.
  • the second packing G is a solid and hardly elastic state at room temperature.
  • the first filling material S and the second filling material G may be constituted of a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component of a root canal filling sealer or a root canal filling cement.
  • the root canal filling sealer which is the first filling material S, is filled to cover the walls of the main canal P and the nearby canal Q to prevent moisture or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canal.
  • the second filling material G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ain canal P. Specifically, the second filling G does not necessarily coincide with the shape of the main canal P but is made so as to touch the bottom of the main canal P and a part of the wall of the main canal P.
  • the first filling material S may be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illing material G, and the first filling material S may be independently implanted into the root canal.
  • the second filler G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10 at the first temperature is softened, and the first filler S in contact with the second filler G is also softened. At this time,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packing S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acking G is introduced into the neighboring pipe Q branched from the main canal P.
  • the contact portion 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filler G hardened due to the release of the contact with the second filler G, (G).
  • a second filling material G coated with the first filling material S is inserted into the main canal P so as to prevent the infected root from being removed.
  • the second filling material (G) in the solid state can be prepa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ot canal whose dimensions have been removed. A portion of the second filling material G exposed to the outside is removed so that the second filling material G inserted into the main canal P does not protrude too far from the inlet of the main canal P.
  • the contact portion 10 of the root canal filling apparatus 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packing G protruding from the entrance of the main canal P by a certain distance. 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10 softens the second filler G or the first filler S whose surface is hardened by the ultrasonic vibration and heat provided from the ultrasonic generator W.
  • the ultrasonic vibration and heat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packing G disperses and softens the first packing S and the second packing G filled in the main canal P and the vicinity of the tube Q, A portion of the first filler S inserted into the main canal P and the neighboring tube Q is introduced into the fine surrounding tube Q of the twig shape derived from the neighboring tube Q and the neighboring tube Q ≪ / RTI > Also, the first filler (S) is introduced into the main canal (P) where the ecological variation (R) site due to genetic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appears.
  •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only one mechanism from the root canal inlet to the heating, pressurization and finishing operation,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manual pressurization method in which a high-temperature instrument is inserted into the deep portion of the root canal and various additional instruments have to be used,
  • the time is greatly shortened and the apparatuses which are additionally required can be excluded, and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can be greatly improved.
  • the contact portion 10 in contact with the second filler G is allow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filler G, and the contact portion 10 is cooled at room temperatur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t this time,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acking G is partially cured in a state exposed to the outside.
  • the contact portion 1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filling material G exposed at the inlet side of the main canal P is cured, the contact portion 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ured second filling material G, And presses the second packing G inward in the main canal P.
  • the pressurization of the second packing G can be realized by the vibration caused by the drive of the filler molten portion W, or can be realized by the external force by the practitioner without driving the filler molten portion W .
  • the first contact portion of the end described above transmits a force for pressing the second packing G directly,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having a relatively larger inclination than the first contact portion is pressed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main canal And thus, it functions like a piston of a syringe. Due to this function, the sealer including the second filler G functions to be injected up to the minute region.
  • the second filling material G is hardened, The surface of the filling material G can be pressed.
  • the second packing G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main canal P while closing the inlet of the main canal P by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ured second filling G. At this time, The first filling material S and the second filling material G are pushed into the main canal P by the cured second filling material G.
  • the first filling material S is pushed into the space provided by the nearby pipe Q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all of the nearby pipe Q, and further, So that it penetrates into the tube (Q).
  • the softened second filler G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10 of the first temperature starts to harden due to the release of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10 and the outer portion of the second filler G, It begins to cure from the exposed site.
  • the contact portion 10 presses at least a part of the cured second filling material G
  • the cured portion of the second filling material G is pushed into the main canal P
  • the second filling material G and the first filling material 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can be pushed into the main canal P and the surrounding pipe Q regardless of the shape thereof. 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hardened second filling material G functions as a kind of piston which pushes the first filling material S and the second filling material G in the softened state to the inside of the root canal .
  • the contact portion 10 can press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filler G in a hardened state by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transfer portion 20, or in a state where the drive of the filler melt portion W is stopped, It is possible to press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filling material G in a hardened state by an external force by the operator. Of course,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filling material G, which is in a cured state, may be pressed by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portion 20 and the external force by the operator simultaneously.
  • the first filling material S filled in the main canal P and a portion of the nearby tube Q by the pressure applied to at least a part of the cured second filling material G is formed into a twig shape (R) of the distal end of the adjacent canal (Q) or the main canal (P).
  •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filling material G hardened due to the release of the contact portion 10 from the contact with the second filling material G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filling material S and the second filling material G, So that the softened first filler S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but is filled in the nearby pipe Q.
  • the second filling material G in the softened state is moved so as to block the entrance of the main canal P by adhesion force or gravity in the root canal wall and after the entrance is cured in the sealed state, Since the second filling material G hardened in the form of the first filling material G is moved into the main canal P smaller than the entrance of the main canal P and is further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main canal P wall, The first filling material S or the second filling material G in the softened state is not allowed to leak to the outside.
  • the softened first filler S is pushed by the hardened second filler G and filled in the end of the near pipe type Q derived from the nearby pipe Q or the nearby pipe Q.
  • the canal fill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nal filling apparatus 1 is provided with the canal filling apparatus 1 as described above, from the main canal P, the nearby canal Q and the nearby canal Q, (S) (sealer) is filled, thereby preventing the entry of moisture or foreign matter into the canal having the dimension remov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관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충전재 용융부와 연결되어 상기 충전재 용융부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상기 진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근관 - 치수가 제거된 주근관 및 상기 주근관으로부터 분기된 부근관 - 에 충전되는 제1 충전물 또는 제2 충전물에 전달하여 상기 제1 충전물이 상기 근관의 주근관 및 부근관에 충전되도록 하는 근관 충전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근관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재 용융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주근관에 주입된 상기 제1 충전물 또는 상기 제2 충전물과 접촉 및 가압하여 상기 제1 충전물이 상기 주근관 또는 상기 부근관에 충전되도록 하는 접촉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접촉부를 매개하며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열 또는 진동이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접촉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전달부 측 방향으로 제1 테이퍼비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상기 전달부 측으로 상기 제1 테이퍼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제2 테이퍼비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근관 충전 장치
본 발명은 근관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손상된 치수나 오염된 치수가 제거된 근관에 충전재를 충전하는 근관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병원에서 충치를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치아의 썩은 부위를 천공 기구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치수가 손상된 경우, 손상되거나 오염된 치수를 제거한 후, 치료 부위인 근관에 충전재를 채워 넣어 밀폐시킨 상태에서 보철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근관을 충전할 때에는 그 충전재가 근관에 침투하여 이를 완전히 밀폐할 수 있도록 하는 영구 충전물로서 가타 퍼쳐(Gutta Percha) 콘과 근관 충전용 실러(root canal sealer)를 이용하게 된다.
가타 퍼쳐는 천연의 식물성 추출물로서 상온에서는 반고체 상태이나 압력을 가하거나 열을 가하여 고형화된 고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 왁스, 색소 등을 넣고 롤이나 믹서기 등에서 조합하여 판상으로 뽑아 낸 후, 이것을 절단하여 각 사이즈 별로 원추형의 모양으로 만들게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가타 퍼쳐 콘은 근관 충전에 있어, 오늘날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로서 치근단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어 생체에 가장 적합하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가타 퍼쳐 콘은 규격화된 콘(standardized cone), 비규격화된 콘(non-standardized cone), 보조콘(accessory cone)으로 구성된다.
근관 충전용 실러는 점성을 갖는 연고 형태의 치과용 시멘트(cement)로서 근관 내에 적용 후 수 시간이 경과하면 응고 되어 생체 비활성의 안정적 상으로 변해 지속적인 밀폐력을 유지한다. 가타 퍼쳐 단독으로는 부근관 및 주근관의 세밀한 부위까지 밀폐를 기대할 수 없어 가타 퍼쳐를 근관 내에 충전 시 근관 충전용 실러를 함께 도포하여 밀폐력을 확보해야 한다.
근관 치료 시에는, 천공 기구로 치수 감염부를 천공하여 감염된 신경조직 등을 제거한 후, 근관에 더 이상 감염원이 생기지 않도록 근관 벽에 근관 충전용 실러를 도포하고 상기 근관에 적합한 사이즈의 가타 퍼쳐 콘을 삽입하여 상기 충전재를 근관 내에 고정시킨다. 이 때, 상기 가타 퍼쳐 콘이 근관벽 및 근첨 측으로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충분한 양의 근관 충전용 실러가 도포되어야 한다.
근관에 삽입되는 충전물을 충전하는 장치에 관하여는, 한국등록특허 제1138839호에 개시된 치과용 근관 충전기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타 퍼쳐와 근관 충전용 실러를 사용하기 위함이 아니고 특수 재료의 근관 충전재를 근관 내에 적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참고적으로, 종래의 근관 충전 방법에는 다양한 기술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비가열 측방가압법과 수직가압법으로 나눌 수 있는데, 비가열 측방가압법은 근관 내 가타 퍼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시술이 어렵고, 시술 시간이 오래 걸리고, 가타 퍼쳐 사이의 공간이 균질 하지 않으며, 근관 내벽에 근관 충전용 실러의 적합성이 떨어지고, 치근의 수직적인 파절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수직가압법은 가타 퍼쳐에 열을 가하여 근관벽에 적합시켜 충전하는 방법으로서, 근관 내에 근관 충전용 실러(sealer)를 묻힌 가타 퍼쳐를 넣은 다음, 가열된 수직 가압용 펜을 이용해 가터 퍼쳐를 일정 부분 잘라낸 후, 열과 함께 가압하여 근관의 치근단 부위를 밀봉하고, 그 다음, 주입용 건을 이용하여 연화된 가타 퍼쳐로 나머지 근관을 막은 후, 다시 별도의 컨덴서로 가압해 다져 주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가타 퍼쳐에 열을 가하기 위해 근관의 매우 깊은 부위까지 열기구를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치아 주위 조직의 열손상을 초래할 수 있고, 조작 시간이 길며, 시술 과정이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고가의 장비를 구비해야 할뿐더러 수직 가압력에 의한 과충전의 위험이 매우 크다는 단점이 있다.
그런데, 전술한 수직가압법은, 열가압용 팁을 사용 시, 가터 퍼쳐의 연화를 위해 자체적으로 200 정도의 고열을 발생하게 되는 바, 화상 및 치근의 치근막 손상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더불어 사용되는 주입용 건 자체의 크기가 커서 시술을 위한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열가압용 팁과 주입용 건은 구입 비용이 비싸고, 고열을 발생시켜야 하는 바 유지 비용도 많이 소요되며, 고장이나 파손 시 보수 비용 또한 만만치 않은 실정이었다.
뿐만 아니라, 주입용 건을 이용하여 근관을 완전히 막은 후, 가터 퍼쳐가 굳기 전에 또다시 별도의 컨덴서를 이용해 다져주고 근관 입구를 정리하는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시술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가압법을 이용한 근관 충전방법에 있어서, 치수가 제거된 주근관 및 부근관에 근관 충전용 실러(sealer)를 충전하는 경우, 실러(sealer)의 상기 부근관 및 주근관의 세밀한 부위까지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키고, 기존의 수직가압법 적용 시에 발생 가능했던 치아 주위 조직에 대한 열손상 및 과충전의 위험성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며, 술자의 시술 편의성을 제공하는 근관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충전재 용융부와 연결되어 상기 충전재 용융부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상기 진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근관 - 치수가 제거된 주근관 및 상기 주근관으로부터 분기된 부근관 - 에 충전되는 제1 충전물 또는 제2 충전물에 전달하여 상기 제1 충전물이 상기 근관의 주근관 및 부근관에 충전되도록 하는 근관 충전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근관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재 용융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주근관에 주입된 상기 제1 충전물 또는 상기 제2 충전물과 접촉 및 가압하여 상기 제1 충전물이 상기 주근관 또는 상기 부근관에 충전되도록 하는 접촉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접촉부를 매개하며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열 또는 진동이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접촉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전달부 측 방향으로 제1 테이퍼비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상기 전달부 측으로 상기 제1 테이퍼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제2 테이퍼비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접촉부에는 상기 전달부와의 경계에 인접하도록 일정 두께의 마킹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마킹부로부터 상기 제2 접촉부 측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2 마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 중 각 부분의 테이퍼 비는 0 내지 0.1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1mm 내지 8m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끝단의 단면적의 직경이 0.40mm 내지 1.40mm인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의 단부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접촉부와 연결된 채, 제2 길이로 형성되는 제1 전달부; 및 전달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며 제3 길이로 형성되는 제2 전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전달부의 축선을 연장한 가상의 제1 직선과 상기 제2 전달부의 축선을 연장한 가상의 제2 직선이 제1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2 전달부를 향해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제2 테이퍼 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테이퍼 비는 0.02 내지 0.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길이는 12mm 내지 25mm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직선과 상기 연결부의 축선을 연장한 가상의 제3 직선은 제2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근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충전물이 상기 주근관 내에 삽입되고, 상기 주근관 내 상기 제2 충전물의 충전공간 이외의 공간에 상기 제1 충전물이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제1 온도의 열을 통해 적어도 상기 제2 충전물의 일부분이 연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촉부는 경화중인 상기 제2 충전물의 표피층을 상기 초음파 발생장치가 오프인 상태에서 가압하여 연화 상태인 상기 제1 충전물이 상기 부근관에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관 충전 장치는 가타 퍼쳐(Gutta Percha) 및 근관 충전용 실러(sealer)의 주근관 및 부근관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수직가압법 적용 시에 발생 가능했던 치아 주위 조직에 대한 열손상 및 과충전의 위험성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가 환자의 근관에 충전물을 충전함에 있어서,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며 술식을 단순화하여 시술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스케일링 초음파 발생장치와 호환되므로, 별도의 부대 비용이 요구되지 않아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 장치가 장착된 초음파 발생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 장치의 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 장치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근관 충전 장치는, 근관 충전 방법 중 수직가압법에 따른 시술 시, 치수가 제거된 주근관 및 부근관에 가타 퍼쳐(Gutta Percha와 근관 충전용 실러(sealer)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근관 충전용 실러(sealer)는 가타 퍼쳐(Gutta percha)에 코팅된 채, 환자의 주근관 및 부근관에 삽입되어, 주근관 및 부근관을 외부로부터 유입된 수분 또는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근관 충전 장치는 치수가 제거된 주근관 및 부근관에 가타 퍼쳐(Gutta Percha)와 근관 충전용 실러(sealer)를 충전하는 경우, 가타 퍼쳐(Gutta Percha)와 실러(sealer)의 주근관 및 부근관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키고, 시술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 장치(1)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 장치가 장착된 초음파 발생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 장치(1)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초음파 발생 장치(W)와 연결되어, 초음파 발생 장치(W)로부터 제공되는 열 또는 진동이 근관에 충전되는 충전물에 전달되도록 하여, 충전물이 근관(주근관(P) 및 부근관(Q))에 고르게 분포하여 충전되도록 한다. 이 때 초음파 발생 장치(W)는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열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대체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러한 초음파, 진동, 열 발생을 위한 장치를 충전재 용융부라 통칭한다.
충전재 용융부(W)는, 치아의 표면 접합 상피의 상부에 있는 치석을 제거하는 통상의 치아 스케일링에 사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충전재 용융부(W)는, 스케일링에 사용되는 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는 새로운 디자인의 장치여도 무방하다.
또한, 충전재 용융부(W)는 일반적으로 압전 특성을 가진 압전 소자를 사용하여 얻게 되는데, 압전 소자 재료에 에너지를 가하면, 소자를 구성하는 재료 자체의 특성값과 대응되는 진동이 발생되며, 이것이 초음파 영역 대의 음파로 전달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압전 소자를 원하는 주파수를 얻을 수 있을 만큼의 두께로 얇게 성형하여 양면에 전극을 붙인 후, 교류 전압을 짧은 시간 동안 주파수로 인가해주면, 압전 소자의 변형과 복원이 교대로 일어나 진동에너지가 발생되어 일정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가 발생되며, 진동에너지에 따른 열이 수반된다.
본 발명의 근관 충전 장치(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0), 접촉부(10) 및 전달부(20)를 포함한다.
연결부(30)는, 충전재 용융부(W)와 연결되며, 충전재 용융부(W)와의 연결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접촉부(10)는, 주근관(P)에 주입된 제1 충전물(S) 또는 제2 충전물(G)과 접촉 및 가압하여 제1 충전물(S)이 주근관(P) 또는 부근관(Q)에 충전되도록 한다.
전달부(20)는, 연결부(30)와 접촉부(10)를 매개 즉, 연결부(30)와 접촉부(10) 사이에 배치되며, 충전재 용융부(W)로부터 제공된 열 또는 진동이 연결부(30)를 통해 접촉부(10)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 때, 전달부(20)는, 연결부(30)를 통한 열 또는 진동이 접촉부(10)로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함과 동시에 구강 내의 치료 부위에 효율적으로 이러한 기능을 전달하기 위하여 연결부(30)와 접촉부(10) 사이에서 형상적 특징을 가진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 장치(1)의 접촉부(10)는, 주근관에 삽입된 실러(제1 충전물(S) 및 제2 충전물(G), 도 6 참조)와 접촉되어 전달부(20)로부터 전달된 제1 온도의 열을 통해 충전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연화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 온도는, 충전재(제1 충전물 또는 제2 충전물)의 연화되는 온도이며, 특히 제2 충전물의 조성 비율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200일 수 있다. 기존의 수직가압법 적용 시 상기 온도로 가열된 기구가 근관 내에 매우 깊숙이 적용되므로 치아 주위 조직에 대한 열손상 가능성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접촉부는 근관 입구 주변 외부에서 가열 및 진동을 가하기 때문에 치근에 필요이상의 고열이 전달되는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차단한다.
접촉부(10)는 단부인 A지점으로부터 B지점에 이르는 제1 접촉부와 B지점으로부터 C 지점에 이르는 제2 접촉부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전달부(20)는 각도에 따라 제1 전달부(20)와 제2 전달부(24)로 구분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접촉부(10)와 전달부(20)는 각각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징적인 길이와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접촉부(10)의 길이 및 경사도에 의하여 구현된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른 각 부분별 물리적인 규격을 설명한다.
A B C D E F
Tip 0.50 0.62 0.92 1.40 2.00 2.00
상기 표 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10)와 전달부(20)의 각 부분별 직경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팁(Tip)은 치아의 종류 또는 사이즈에 따라 다양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치료 대상 치아의 사이즈가 큰 경우 A 및 B 지점에서의 직경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나, E 및 F 지점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되며, C 및 D 지점에서의 직경은 A 및 B 지점의 직경에 따른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직경은 의도적인 또는 비의도적인 오차를 고려하면 약 상하한 각각 10% 내외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L-ab L-bc L-cd L-de L-ef
길이(mm) 3 3 8 2 4
표 2는 A지점과 B 지점 사이의 길이(L-ab)와, B지점과 C지점 사이의 거리(L-bc), C지점과 D지점 사이의 거리(L-cd), D지점과 E지점 사이의 거리(L-de), E지점과 F지점 사이의 거리(L-ef)를 밀리미터 단위로 나타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팁들은 각 지점에 이르는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다만, 이러한 길이는 의도적인 또는 비의도적인 오차를 고려하면 약 상하한 각각 10% 내외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측면에서, 접촉부(10)의 길이, 즉 A지점으로부터 C지점에 이르는 거리(L1)는 근관 입구 부분에서 유체역학적 압력 발생을 위해 삽입되어야 할 최적의 길이인데, 이 길이는 통계학적 영구치의 근관의 길이를 바탕으로 산출된 길이일 수 있다. 즉, 제1 길이(L1)가 1mm 미만인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마무리 작업을 위한 콘덴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다. 또한 제1 길이(L1)가 8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근관 내의 형상에 맞추어 접촉부의 경사도, 즉 테이퍼 비를 형성하기 어렵게 된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제1 전달부(22)는 12mm 내지 25mm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달부(22)의 길이는 제1 전달부(22)의 테이퍼 비와 함께 시술자가 치료 대상인 근관을 시술함에 있어서, 치료를 위한 시야 확보 및 시술 시행 시 정교한 작업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물리적인 규격이다. 제1 전달부(22)의 길이 및 테이퍼 비는 통계학적 구강 구조의 크기를 바탕으로 산출될 수 있다.
D-ab D-bc D-cd D-de D-ef
Tip 0.04 0.10 0.06 -
표 3은 표 1 및 표 2로부터 산출된 각 구간별 경사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A와 B 지점 사이의 단위 길이당 경사도, 즉 테이퍼 비는 D-ab로 표시하였다. 이러한 규격 중 특히 접촉부(10), 즉 제1 접촉부의 테이퍼 비(D-ab) 및 제2 접촉부의 테이퍼 비(D-bc)가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제1 접촉부(10_AB)의 경우 0% 또는 4%의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타 부분에 비하여 매우 작은 경사도, 즉 원통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접촉부(10_BC)는 약 4% 또는 10% 의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피스톤과 같은 기능이 강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를 동일한 경사도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위와 같이 접촉부(10)를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로 구분하여 경사도를 개별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각 팁들의 단부측 직경이 상이하고, 접촉부(10)의 경사도의 상한과 F 지점의 직경이 결정되어 있으므로 각 팁별 C 부분으로부터 F 부분에 이르는 제1 전달부(22)의 경사도는 단부(A)의 직경에 대략적으로 반비례하게 된다. 또한 각 팁들의 D, E, F 지점에 이르는 각 부분의 경사도 또한 과도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테이퍼 비는 구체적으로 1mm의 길이 변화에 따른 직경의 변화 비를 나타낸 것으로, 제1 테이퍼 비는 접촉부(10)의 1mm 길이 변화 대비 직경의 증가 또는 감소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접촉부(10) 및 전달부(20) 각 부분에서 0.00 내지 0.10의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테이퍼 비가 0이라함은 단위 길이 당 두께의 변화가 없는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임을 의미한다.
이 때 0.00는 접촉부(10)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접촉부의 콘덴서로서의 기능에는 충실하다고 볼 수 있으나, 근관 내의 형상에 맞추어 피스톤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면에서는 불리한 면이 있다. 반면, 접촉부(10)의 경사도, 즉 제1 테이퍼비가 0.10 이상인 경우에는 근관 내에 삽입하기가 어려워지게 된다.
한편, 접촉부(10)가 너무 가늘게 되면, 특히 접촉부(10) 단부의 면적이 너무 작은 경우 전달부(20)로부터 전달된 진동 또는 외력에 의한 압력의 표면적을 줄여 압력이 집중되므로 경화된 제2 충전물(G)을 파쇄하거나 관통할 수 있으며, 너무 두꺼우면 근관 내로의 삽입이 어려워, 제2 충전물(G)과 접촉되지 못할 수 있다. 기존의 스케일링 장치 등과는 이러한 면에서도 차이가 있다. 즉, 단순 스케일링 장치의 경우 충전물을 피스톤과 같이 가압하는 작용을 하지 않기 때문에 단면적이 일정 수준 이상일 필요가 없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 장치의 경우에는 경화된 충전물의 표면을 가압하여 연화 상태인 충전물을 주근관 및 부근관에까지 충전되도록 하기 때문에 단면적인 일정한 면적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단부의 형상 또한 첨예하게 형성되어서는 안되고 편평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접촉부(10)의 끝 단부는 원 형상의 평면 또는 평면에 가까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접촉부(10)의 단부가 평면으로 형성됨으로써 근관 내 충전물을 충전한 후 기존의 콘덴서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던 근관 내 충전물을 다지는 마무리 작업과 근관 입구의 오염을 긁어 내리는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2 접촉부(10)의 C 지점에 인접하도록 제1 마킹부(M1)을 형성할 수 있다 . 제1 마킹부(M1)는 C지점으로부터 B 지점을 향하여 일정한 두께, 바람직하게는 약 1mm 정도의 두께로 레이저 마킹 방법등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제1 마킹부(M1)는 근관 충전 과정에서 접촉부(10)가 삽입되어 있는 깊이, 실러등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실러 내로 침지된 깊이 등을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1 마킹부(M1)로부터 일정한 길이, 바람직하게는 약 3mm 단위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마킹부(L2)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마킹부(L2)는 제1 마킹부(M1)와 마찬가지로 근관 충전 과정에서 구강내에서의 직관적인 판단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레이저 마킹 방법 등으로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전달부(22)의 축선을 연장한 가상의 제1 직선(B1)과 제2 전달부(24)의 축선을 연장한 가상의 제2 직선(B2)은 제1 각도(A1)를 형성한다. 제2 직선(B2)과 연결부(30)의 축선을 연장한 가상의 제3 직선(B3)은 제2 각도(A2)를 형성한다. 제1 각도(A1)와 제2 각도(A2)는 통계학적 구강 구조의 크기 및 구조를 바탕으로 적당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각도(A1)는 60도 내지 120도의 범위에서, 제2 각도(A2)는 90도 내지 180도의 각도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각도(A2) 가 180도로 형성되는 경우 구강 내 진료 또는 치료 시 의사의 손목을 과도하게 비틀어야 하는 문제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달부(22), 제2 전달부(24) 및 연결부(30)의 형상적 특징은, 근관 충전 장치(1)를 이용한 근관 충전 시술 시, 열 또는 힘에 의한 강성이 확보되도록 하고, 시술자의 시야 확보 및 편의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제1 전달부(22)와 제2 전달부(24)가 형성하는 제1 각도(A1) 및 제2 전달부(24)와 연결부(30)가 형성하는 제2 각도(A2)는, 시술 과정에서 시술자 또는 충전재 용융부(W)로부터 인가된 횡압력에 적절한 탄성 및 강성이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 장치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연결부(30)의 끝단은 충전재 용융부(W)에 삽입된 채 체결될 수 있다. 도 5은 연결부(30)와 충전재 용융부(W)의 상호 결합 관계를 보여 주기 위한 일 실시예에 해당되므로 도 5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결부(30)의 끝단은 초음파 발생장치(W)와의 체결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6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 방법은, 도 1 내지 도 5을 참조로 설명한 근관 충전 장치(1)에 의한 시술 방법이다.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천공 기구(미도시) 등으로 치수 감염부위를 천공하여 감염된 신경조직 등을 제거함으로써 치수가 제거된 근관이 준비되도록 한다.
한편, 치수가 제거된 근관은, 크게 주근관(P)과 부근관(Q)으로 나눌 수 있으며, 주근관(P)은 치근의 중앙부위에 있는 해부학적 공간을 의미하고, 주근관(P)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에 의해 생태학적 변이 부위(R)가 개인별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부근관(Q)은 주근관(P)으로부터 분기된 잔가지 형태의 근관을 의미하며, 개인별로 그 개수 및 형태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근관에 충전되는 충전물은, 제1 충전물(S) 및 제2 충전물(G)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제1 충전물(S)은 근관 충전용 실러(sealer) 또는 근관 충전용 시멘트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충전물(G)은 가터 퍼쳐(Gutta percha), 산화아연 및 황산바륨 중 적어도 하나의 성품을 포함한 불용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충전물(G)은 상온에서 딱딱하고 탄성이 없는 고체상태이다.
여기서, 제1 충전물(S)과 제2 충전물(G)은 근관 충전용 실러(sealer) 또는 근관 충전용 시멘트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충전물(S)인 근관 충전용 실러는 주근관(P) 및 부근관(Q)의 벽이 커버되도록 충전되어 근관 내로 수분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충전물(G)은, 주근관(P)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충전물(G)은 주근관(P)의 형상과 꼭 일치할 필요는 없지만, 주근관(P)의 바닥 및 주근관(P)의 벽의 일부분에 닿을 수 있을 정도로 제작된다. 여기서, 제1 충전물(S)은 제2 충전물(G)의 외면에 코팅될 수 있으며, 제1 충전물(S)은 독자적으로 근관 내에 주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1 온도의 접촉부(10)와 접촉된 제2 충전물(G)은 연화되며, 제2 충전물(G)과 접촉 상태인 제1 충전물(S) 또한 연화된다. 이 때, 제2 충전물(G)의 외면에 코팅된 제1 충전물(S)의 적어도 일부분은 주근관(P)으로부터 분기된 부근관(Q)으로 유입된다.
또한, 접촉부(10)는, 제2 충전물(G)과의 접촉 해제로 인해 경화된 제2 충전물(G)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되어 전달부(20)로부터 전달된 진동 또는 외력에 의해 제2 충전물(G)을 가압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치수가 제거된 근관에 더 이상 감염원이 생기지 않도록 주근관(P) 내에 제1 충전물(S)이 코팅된 제2 충전물(G)을 삽입한다. 이 때, 고체 상태의 제2 충전물(G)은 치수가 제거된 근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기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주근관(P)에 삽입된 제2 충전물(G)이 주근관(P)의 입구로부터 너무 돌출 되지 않도록 외부로 노출된 제2 충전물(G)의 일부분을 제거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주근관(P)의 입구로부터 일정 부분 돌출된 제2 충전물(G)에 근관 충전 장치(1)의 접촉부(10)가 접촉되도록 한다. 이 때, 접촉부(10)는 초음파 발생장치(W)로부터 제공된 초음파 진동 및 열에 의해 제2 충전물(G) 또는 표면이 경화된 제1 충전물(S)을 연화시킨다.
여기서, 제2 충전물(G)을 통해 전달된 초음파 진동 및 열은 주근관(P) 및 부근관(Q)의 일부에 충전된 제1 충전물(S) 및 제2 충전물(G)을 산포 및 연화되도록 하여, 주근관(P) 및 부근관(Q)에 삽입된 제1 충전물(S)의 일부분은 부근관(Q) 및 부근관(Q)으로부터 파생된 잔가지 형태의 미세한 부근관(Q) 내로 유입된다. 또한,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에 의한 생태학적 변이(R) 부위가 나타나는 주근관(P) 내에도 제1 충전물(S)이 유입된다.
기존의 수직가압법의 경우 근관의 매우 깊은 부위에서 제2 충전물(G)을 연화시키고 가압하기 때문에 조절이 불가능한 과도한 압력이 발생하여 연화된 제2 충전물(G)이 주근관의 치근단부로 밀려 나가 치아 주위 조직으로 과충전될 위험성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근관의 입구에서 제2 충전물(G)의 일부만 연화시키고 그 일부만을 가압하기 때문에 치근단부에서의 과도한 압력의 발생을 차단하여 과충전의 위험성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근관의 깊은 부위까지 고열의 기구를 삽입하고 여러 종류의 추가적 기구를 사용해야 했던 기존의 수작가압법에 반해, 본 발명은 근관 입구에서 가열 및 가압, 마무리 작업까지 단 하나의 기구로 이루어지므로 시술 시간이 매우 단축되며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기구를 배제할 수 있어 시술의 편의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충전물(G)과 접촉된 상태였던 접촉부(10)를 제2 충전물(G)과 접촉 해제되도록 하여, 일정 시간 상온에서 냉각시킨다. 이 때 제2 충전물(G)의 상부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경화된다.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근관(P)의 입구 측에 노출된 제2 충전물(G)이 경화되었다고 판단되면, 접촉부(10)를 경화된 제2 충전물(G)에 접촉되도록 하여, 제2 충전물(G)을 주근관(P) 내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여기서, 제2 충전물(G)의 가압은 충전재 용융부(W)의 구동에 따른 진동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충전재 용융부(W)를 구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술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앞서 설명한 단부의 제1 접촉부는 제2 충전물(G)을 직접 접촉하여 가압하는 힘을 전달하고, 제1 접촉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경사도가 큰 제2 접촉부는 가압 과정에서 주근관의 내벽과 보다 밀착됨으로써 마치 주사기의 피스톤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로한 기능으로 인하여 제2 충전물(G)을 포함하는 실러가 미세한 영역에 이르기까지 주입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제2 충전물(G)의 삽입없이 제1 충전물(S)만을 주근관(P) 내에 주입한 경우에는 제2 충전물(G)의 표면이 경화된 상태에서 접촉부(10)를 이용하여 경화된 제2 충전물(G)의 표면을 가압할 수 있다.
경화된 제2 충전물(G)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제2 충전물(G)은 주근관(P) 입구를 폐쇄한 채, 주근관(P) 내측으로 이동되고 이 때, 아직 경화되지 못한 연화 상태의 제1 충전물(S) 및 제2 충전물(G)은 경화된 제2 충전물(G)에 의해 주근관(P) 내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 때, 제1 충전물(S)은, 부근관(Q)이 제공하는 공간으로 밀려나게 되어 부근관(Q)의 벽과 밀착되고 나아가 부근관(Q)으로부터 파생된 잔가지 형태의 밀착되어 있던 부근관(Q)으로 침투하여 위치하게 된다.
요약하면, 제1 온도의 접촉부(10)와 접촉되어 연화된 제2 충전물(G)은 접촉부(10)와의 접촉 해제로 인해 경화되기 시작하며, 외부 공기와 접촉되는 제2 충전물(G)의 외부 노출 부위부터 경화되기 시작한다.
이 때, 접촉부(10)가 경화된 제2 충전물(G)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압하면, 제2 충전물(G)의 경화된 부위는, 주근관(P)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며, 이는 아직 경화되지 않은 제2 충전물(G) 및 제1 충전물(S)이 주근관(P) 및 부근관(Q)의 형상에 구애 받지 않고, 밀려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즉, 경화된 제2 충전물(G)의 적어도 일부분이 연화 상태인 제1 충전물(S) 및 제2 충전물(G)을 근관 내측으로 밀어내는 일종의 피스톤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접촉부(10)는 전달부(20)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경화 상태인 제2 충전물(G)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압할 수 있으며 또는, 충전재 용융부(W)의 구동이 멈춘 상태에서, 시술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경화 상태인 제2 충전물(G)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압할 수 있다. 물론, 전달부(20)로부터 전달된 진동과 시술자에 의한 외력이 동시에 작용하도록 하여 경화 상태인 제2 충전물(G)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압할 수도 있다.
경화된 제2 충전물(G)의 적어도 일부분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주근관(P) 및 부근관(Q)의 일부에 충전된 제1 충전물(S)은 부근관(Q)으로부터 파생된 잔가지 형태의 부근관(Q)의 말단 또는 주근관(P)의 생태학적 변이(R)에 의해 형성된 불규칙한 공간을 메우게 된다.
또한, 접촉부(10)의 제2 충전물(G)과의 접촉 해제로 인해 경화된 제2 충전물(G)의 적어도 일부분은, 연화 상태의 제1 충전물(S) 및 제2 충전물(G)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 채, 가압되도록 하여 연화 상태의 제1 충전물(S)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부근관(Q)에 충전되도록 한다.
이는, 연화된 상태에서의 제2 충전물(G)은 근관벽 내의 부착력 또는 중력에 의해 주근관(P)의 입구를 봉쇄하도록 이동 되고, 입구가 봉쇄된 상태에서 경화가 된 후, 입구를 봉쇄한 형태로 경화된 제2 충전물(G)은 주근관(P)의 입구보다 작은 주근관(P) 내로 이동되면서, 주근관(P) 벽과 더욱 밀착되기 때문에 경화된 제2 충전물(G)의 하측에 위치한 연화 상태의 제1 충전물(S) 또는 제2 충전물(G)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것이다.
연화 상태의 제1 충전물(S)이 경화된 제2 충전물(G)에 의해 밀려나 부근관(Q) 또는 부근관(Q)으로부터 파생된 잔가지 형태의 부근관(Q)의 말단에 충전된다.
본 발명의 근관 충전 방법은, 상술한 근관 충전 장치(1)에 의해 주근관(P), 부근관(Q), 부근관(Q)으로부터 파생된 잔가지 형태의 부근관(Q)까지 제1 충전물(S)(실러, sealer)이 충전되도록 하여, 치수가 제거된 근관 내로의 수분 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한다.
또한, 상술한 근관 충전 방법은 도 1 내지 도 5을 참조로 설명한 근관 충전장치(1)에 의해 구현되므로, 도 1 내지 도 5을 참조로 설명한 근관 충전 장치(1)의 설명에 있어서 이해를 돕기 위한 근관 충전 방법에 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4)

  1.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충전재 용융부와 연결되어 상기 충전재 용융부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상기 진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근관 - 치수가 제거된 주근관 및 상기 주근관으로부터 분기된 부근관 - 에 충전되는 제1 충전물 또는 제2 충전물에 전달하여 상기 제1 충전물이 상기 근관의 주근관 및 부근관에 충전되도록 하는 근관 충전 장치로서,
    상기 충전재 용융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주근관에 주입된 상기 제1 충전물 또는 상기 제2 충전물과 접촉 및 가압하여 상기 제1 충전물이 상기 주근관 또는 상기 부근관에 충전되도록 하는 접촉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접촉부를 매개하며 상기 충전재 용융부로부터 제공되는 열 또는 진동이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접촉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전달부 측 방향으로 제1 테이퍼비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상기 전달부 측으로 상기 제1 테이퍼비와 같거나 상기 제1 테이퍼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제2 테이퍼비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는 근관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부에는 상기 전달부와의 경계에 인접하도록 일정 두께의 마킹부가 표시되는 근관 충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킹부로부터 상기 제2 접촉부 측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2 마킹부를 더 포함하는 근관 충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중 각 부분의 테이퍼 비는 0 내지 0.1의 범위에서 형성되는 근관 충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1mm 내지 8mm의 길이로 형성되는 근관 충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끝단의 단면적의 직경이 0.40mm 내지 1.40mm인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근관 충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단부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근관 충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접촉부와 연결된 채, 제2 길이로 형성되는 제1 전달부; 및
    전달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며 제3 길이로 형성되는 제2 전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전달부의 축선을 연장한 가상의 제1 직선과 상기 제2 전달부의 축선을 연장한 가상의 제2 직선이 60 내지 120도 범위 내의 제1 각도를 형성하는 근관 충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2 전달부를 향해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제2 테이퍼 비를 갖도록 형성되는 근관 충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이퍼 비는 0.02 내지 0.10인 근관 충전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길이는 12mm 내지 25mm 범위에서 형성되는 근관 충전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직선과 상기 연결부의 축선을 연장한 가상의 제3 직선은 90도 내지 180도 범위 내의 제2 각도를 형성하는 근관 충전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근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충전물이 상기 주근관 내에 삽입되고, 상기 주근관 내 상기 제2 충전물의 충전공간 이외의 공간에 상기 제1 충전물이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제1 온도의 열을 통해 적어도 상기 제2 충전물의 일부분이 연화되도록 하는 근관 충전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는 경화중인 상기 제2 충전물의 표피층을 상기 충전재 용융부가 오프인 상태에서 가압하여 연화 상태인 상기 제1 충전물이 상기 부근관에 충전되도록 하는 근관 충전 장치.
PCT/KR2018/000616 2018-01-11 2018-01-12 근관 충전 장치 WO2019139190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60,892 US20210369410A1 (en) 2018-01-11 2018-01-12 Root canal fill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659 2018-01-11
KR1020180003659A KR102041099B1 (ko) 2018-01-11 2018-01-11 근관 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9190A1 true WO2019139190A1 (ko) 2019-07-18

Family

ID=67218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0616 WO2019139190A1 (ko) 2018-01-11 2018-01-12 근관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369410A1 (ko)
KR (1) KR102041099B1 (ko)
WO (1) WO20191391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9407U1 (ru) * 2021-07-12 2022-03-1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о-медицинская академия имени С.М. Киро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МедА) Насадка для нагревания композита в полости зуба при пломбировании зубов с кариозными дефектам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941B1 (ko) 2018-07-03 2021-07-1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용 펩티드 및 그의 용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3345A (en) * 1971-12-30 1975-02-04 Oscar Malmin Endodontic sealing system and apparatus
US4392827A (en) * 1981-11-04 1983-07-12 Howard Martin Self-contained root canal heated condenser dental instrument
US20030219699A1 (en) * 2002-05-22 2003-11-27 Howard Martin Stepped root canal plugger
KR100531015B1 (ko) * 2002-07-12 2005-11-24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치과용 복합 근관충전 장치
JP2007061286A (ja) * 2005-08-30 2007-03-15 Manii Kk 根管治療器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5460A (en) * 1995-04-26 1997-02-25 Tulsa Dental Products, L.L.C. Endodontic instrument and procedure
US5868570A (en) * 1996-12-13 1999-02-09 San Diego Swiss Machining, Inc. Ultrasonic dental tool
CN2815300Y (zh) * 2005-08-05 2006-09-13 张少华 超声波多功能牙胶尖根管充填器
KR101110443B1 (ko) * 2010-05-19 2012-02-16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
KR101685958B1 (ko) * 2015-06-02 2016-12-13 주식회사슈어덴트 치과용 근관 충전재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3345A (en) * 1971-12-30 1975-02-04 Oscar Malmin Endodontic sealing system and apparatus
US4392827A (en) * 1981-11-04 1983-07-12 Howard Martin Self-contained root canal heated condenser dental instrument
US20030219699A1 (en) * 2002-05-22 2003-11-27 Howard Martin Stepped root canal plugger
KR100531015B1 (ko) * 2002-07-12 2005-11-24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치과용 복합 근관충전 장치
JP2007061286A (ja) * 2005-08-30 2007-03-15 Manii Kk 根管治療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9407U1 (ru) * 2021-07-12 2022-03-1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о-медицинская академия имени С.М. Киро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МедА) Насадка для нагревания композита в полости зуба при пломбировании зубов с кариозными дефектам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099B1 (ko) 2019-11-06
US20210369410A1 (en) 2021-12-02
KR20190085603A (ko) 2019-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0887B2 (en) Device for performing an endodontic treatment
JP7284098B2 (ja) 光硬化デンタルシステム
US11116604B2 (en) Dental matrix devices specific to anterior teeth, and injection molded filling techniques and devices
US6270343B1 (en) Endodontic thermal condenser dental instrument
US8047841B2 (en) Application dental materials to the oral cavity
WO2019139190A1 (ko) 근관 충전 장치
US5051093A (en) Root canal filling device including releasably reusable inserter tool
US5098299A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pairing and sealing rubber dams and isolating tissue
KR100959639B1 (ko) 근관치료기의 니들유닛
KR101132750B1 (ko) 치과용 충전기
EP0797961A3 (en) Device for the application of an impression material to the occlusal surface of teeth
US7252508B2 (en) Endodontic obturator
WO2020075892A1 (ko) 분리형 밀폐 커버를 구비하는 체강 삽입형 초음파 장치
WO20030570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oot canal obturation
WO2021107633A1 (ko) 상악동 내막 수압 거상기구
JP2023553467A (ja) 歯に固定する歯科対象物
WO2014062025A1 (ko) 상악동 점막 거상장치
Glickman et al. Contemporary perspectives on canal obturation
KR101118599B1 (ko) 근관 충전기
WO2015142088A1 (ko) 임시 레진계 치관
Fillion Up-to-date Lingual Indirect Bonding Procedure.
WO2019066267A1 (en) INTERNAL HOLE LOAD FOR IMPLANT
US10206763B1 (en) Restored anterior endodontically treated teeth
KR20220000668U (ko) 근관 치료기용 절단팁
KR100317420B1 (ko) 지피포인터 컷팅용 치과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0020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90020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