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17338A1 -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17338A1
WO2019117338A1 PCT/KR2017/014596 KR2017014596W WO2019117338A1 WO 2019117338 A1 WO2019117338 A1 WO 2019117338A1 KR 2017014596 W KR2017014596 W KR 2017014596W WO 2019117338 A1 WO2019117338 A1 WO 201911733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ower consumption
eigenvalue
unit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459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호원
김지현
김재현
김해용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911733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1733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Definitions

  • the recently introduced household energy management system provides services such as historical data on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s of electric energy usage, and real-time billing.
  • the data processing modeling unit 30 includes a power consumption analysis unit 30a for receiving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interface unit 20 and analyzing the power consumption, An eigen value classifying unit 30b for extracting and classifying the eigenvalues of the home appliances that are classified by the eigenvalue classifying unit 30b and an eigenvalue transmitter 30c for transmitting home appliance eigenvalue information classified by the eigenvalue classifying unit 30b to the database 40, .
  • the database 40 includes an eigenvalue information comparing unit 40a for comparing the eigenvalu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ata processing modeling unit 30 with a stored eigenvalue list for each appliance, A list extracting unit 40b for extracting a household appliance candidate list in which the initial environment sett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ng unit 40a; And a lis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40c for transmitting the list information to the server interface unit 20.
  • 5A and 5B illustrate an example of constructing a data processing model for extracting eigenvalues of a home applian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가에서 에너지 관리 시스템 사용 시에 최초 설정 및 등록(Configuration) 과정의 편리성을 높인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용가의 총 소비전력 정보를 서비스 공급자의 서버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수신한 소비전력 정보를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로 전송하고 가전기기 후보리스트의 전송 및 확인을 하는 서버 인터페이스부;상기 서버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소비전력 정보를 받고, 소비전력을 분석하여 가전기기 분류를 위한 고유값 분류 및 전송을 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로부터 받은 고유값 정보를 비교하고 가전기기 후보 리스트를 추출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수용가에서 에너지 관리 시스템 사용 시에 최초 설정 및 등록(Configuration) 과정의 편리성을 높인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가정에서도 전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최근 보급되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총 소비전력에 대한 히스토리 데이터, 전기 에너지 사용패턴, 실시간 과금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과거 전기 에너지 사용패턴을 분석하여, 미래 전기에너지 소모 예상량을 알려주고 소비전력 기반 가전기기 분류 기술(NILM, Non-intrusive Load Monitoring)을 이용하여 가전기기별로 전기 에너지 사용 패턴을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 사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과금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가전기기 분류 기술을 이용하여 가전 기기별 전기 에너지 사용을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또는 딥러닝(Deep Learning) 기법을 사용한다.
두 가지 기술 모두 개별 가전기기의 소비전력 데이터를 학습하여 가전기기 분류 모델을 생성한다.
이때, 해당 수용가의 가전기기별 소비전력 데이터가 필요하게 되는데 서비스 공급자는 최초 서비스 실행시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데이터 확보를 위해서 일정기간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사용자로부터 가전기기와 해당 기기의 소비전력 정보를 입력받아야 한다.
이점은 서비스를 사용하는 입장에서 매우 불편한 과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용가에서 에너지 관리 시스템 사용 시에 최초 설정 및 등록(Configuration) 과정의 편리성을 높인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용가에서 에너지 관리 시스템 사용 시에 최초 설정 및 등록(Configuration) 과정에서 사용자가 가전기기들의 종류와 소비전력 정보를 입력하는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전기기 분류 모델이 있는 서버에서 가전기기별 고유의 특성을 추출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초기 수집되는 소비전력 정보를 분석하여 수용가의 가전기기 리스트를 추출하고 사용자에게 확인 응답을 받는 서비스 플로우를 사용하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에서 가전 기기를 분류하기 위한 가전 기기 고유값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전류 센서에서 측정된 고주파수 성분과 주기 내 Peak값을 이용한 주파수 분석을 통해 가전기기의 임피던스를 모델링 하고, 이를 분류 모델의 입력데이터로 활용하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는 수용가의 총 소비전력 정보를 서비스 공급자의 서버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수신한 소비전력 정보를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로 전송하고 가전기기 후보리스트의 전송 및 확인을 하는 서버 인터페이스부;상기 서버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소비전력 정보를 받고, 소비전력을 분석하여 가전기기 분류를 위한 고유값 분류 및 전송을 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로부터 받은 고유값 정보를 비교하고 가전기기 후보 리스트를 추출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가전기기 후보 리스트 정보는 사용자에게 전송되고 사용자의 확인을 통하여 가전기기의 최초 환경설정(Configuration)시에 자동으로 가전기기가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설정 등록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 인터페이스부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가전기기 후보 리스트 정보를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확인 메시지 전송부와,사용자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가전기기의 최초 환경설정(Configuration)시에 자동으로 가전기기가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설정 등록이 되도록 사용자 메시지를 확인하는 사용자 메시지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는, 서버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소비전력 정보를 받아 소비전력을 분석하는 소비전력 분석부와,구축된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을 통하여 최초 등록되는 가전기기의 고유값을 추출하여 분류하는 고유값 분류부와,고유값 분류부에서 분류된 가전기기 고유값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는 고유값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는, 서버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소비전력 정보를 받아 소비전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류량의 변화와 위상각의 변화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모델링을 하고 이를 이용한 가전 기기 분류를 위한 고유값을 추출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로부터 고유값 정보를 받아 저장하고 있는 가전기기별 고유값 리스트와 비교하는 고유값 정보 비교부와,고유값 정보 비교부의 비교 결과를 기준으로 최초 환경설정(Configuration)이 이루어지는 가전기기 후보 리스트를 추출하는 리스트 추출부와,리스트 추출부에서 추출된 리스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확인받기 위하여 서버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리스트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방법은 가정용 게이트웨이에서 수용가의 총 소비전력 정보를 서비스 공급자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서버 인터페이스부에서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Data Processing Model)부로 소비전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데이터 프로세싱 모델(Data Processing Model)부에서 소비전력 정보를 분석하여, 고유값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데이터베이스에서 고유값 정보를 비교하여 수용가의 가전기기 리스트에서 후보 리스트를 추출하여 서버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단계;서버 인터페이스부에서 사용자 확인 메시지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여 사용자 확인을 받아 가전기기의 최초 환경설정(Configuration)시에 자동으로 가전기기가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설정 등록이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서버 인터페이스부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가전기기 후보 리스트 정보를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확인 메시지 전송 단계와,사용자로부터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가전기기의 최초 환경설정(Configuration)시에 자동으로 가전기기가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설정 등록이 되도록 하는 사용자 메시지 확인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는, 서버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소비전력 정보를 받아 소비전력을 분석하는 소비전력 분석 단계와,구축된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을 통하여 최초 등록되는 가전기기의 고유값을 추출하여 분류하는 고유값 분류 단계와,고유값 분류 단계에서 분류된 가전기기 고유값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는 고유값 전송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로부터 받은 고유값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가전기기별 고유값 리스트와 비교하는 고유값 정보 비교 단계와,고유값 정보 비교 단계의 비교 결과를 기준으로 최초 환경설정(Configuration)이 이루어지는 가전기기 후보 리스트를 추출하는 리스트 추출 단계와,리스트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리스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확인받기 위하여 서버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리스트 정보 전송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가전기기별 전기 에너지 관리 서비스 실행시 발생되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둘째, 수용가에서 에너지 관리 시스템 사용 시에 최초 설정 및 등록(Configuration) 과정에서 사용자가 가전기기들의 종류와 소비전력 정보를 입력하는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가전기기 분류 모델이 있는 서버에서 가전기기별 고유의 특성을 추출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초기 수집되는 소비전력 정보를 분석하여 수용가의 가전기기 리스트를 추출하고 사용자에게 확인 응답을 받는 서비스 플로우를 통하여 최초 환경 설정의 효율성을 높인다.
넷째,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에서 가전 기기를 분류하기 위한 가전 기기 고유값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전류 센서에서 측정된 고주파수 성분과 주기 내 Peak값을 이용한 주파수 분석을 통해 가전기기의 임피던스를 모델링 하고, 이를 분류 모델의 입력데이터로 활용하여 가전기기 분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서버 인터페이스부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데이터베이스의 상세 구성도
도 5a와 도5b는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에서의 가전 기기 고유값 추출을 위한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플로우 차트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의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서버 인터페이스부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3은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4는 데이터베이스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자들이 최초 서비스 실행 시 가전기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받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가전기기 분류 모델이 있는 서버에서 가전기기별 고유의 특성을 추출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초기 수집되는 소비전력 정보를 분석하여, 수용가의 가전기기 리스트를 추출하고 사용자에게 확인 응답을 받는 서비스 플로우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수용가에서 에너지 관리 시스템 사용 시, 최초 환경설정(Configuration)과정에서 사용자가 가전기기들의 종류와 소비전력 정보를 입력하는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수용가의 총 소비전력 정보를 서비스 공급자의 서버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10)와, 수신한 소비전력 정보를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30)로 전송하고 가전기기 후보리스트의 전송 및 확인을 하는 서버 인터페이스부(20)와, 서버 인터페이스부(20)로부터 소비전력 정보를 받고, 소비전력을 분석하여 가전기기 분류를 위한 고유값 분류 및 전송을 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30)와,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30)로부터 받은 고유값 정보를 비교하고 가전기기 후보 리스트를 추출하는 데이터베이스(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40)에서 추출된 가전기기 후보 리스트 정보는 사용자에게 전송되고 사용자의 확인을 통하여 가전기기의 최초 환경설정(Configuration)시에 자동으로 가전기기가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설정 등록이 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총 소비전력 정보는 수용가의 분전반에서 특정 시간간격으로 수집되는 수용가 전체의 소비전력 데이터를 의미한다.
그리고 서버 인터페이스부(20)는 도 2에서와 같이, 데이터베이스(40)로부터 추출된 가전기기 후보 리스트 정보를 게이트웨이(1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확인 메시지 전송부(20a)와, 사용자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가전기기의 최초 환경설정(Configuration)시에 자동으로 가전기기가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설정 등록이 되도록 하는 사용자 메시지 확인부(20b)를 포함한다.
그리고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30)는 도 3에서와 같이, 서버 인터페이스부(20)로부터 소비전력 정보를 받아 소비전력을 분석하는 소비전력 분석부(30a)와, 구축된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을 통하여 최초 등록되는 가전기기의 고유값을 추출하여 분류하는 고유값 분류부(30b)와, 고유값 분류부(30b)에서 분류된 가전기기 고유값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로 전송하는 고유값 전송부(30c)를 포함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40)는 도 4에서와 같이,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30)로부터 받은 고유값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가전기기별 고유값 리스트와 비교하는 고유값 정보 비교부(40a)와, 고유값 정보 비교부(40a)의 비교 결과를 기준으로 최초 환경설정(Configuration)이 이루어지는 가전기기 후보 리스트를 추출하는 리스트 추출부(40b)와, 리스트 추출부(40b)에서 추출된 리스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확인받기 위하여 서버 인터페이스부(20)로 전송하는 리스트 정보 전송부(40c)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30)에서의 가전기기 고유값을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도 5a 및 도 5b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의 구성은 가전기기 고유값을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을 구축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5a와 도 5b는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에서의 가전 기기 고유값 추출을 위한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a는 가전 기기 고유값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전류 센서에서 측정된 고주파수 성분과 주기 내 Peak값을 이용한 주파수 분석을 통해 가전기기의 임피던스를 모델링하기 위한 구성으로, 소비 전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전력센서(51)와, 전력센서(51)에서 소비 전력 데이터를 스트림으로 입력받아 저주파 성분을 추출하는 저주파 통과 필터(52) 및 전력센서(51)에서 소비 전력 데이터를 스트림으로 입력받아 고주파 성분을 추출하는 고주파 통과 필터(53)와, 저주파 통과 필터(52)의 저주파 성분으로부터 전력량 데이터를 출력하는 전력량 데이터 출력부(54)와, 저주파 통과 필터(52)의 저주파 성분으로부터 해당 데이터의 추이를 이용한 전력 분석 데이터를 출력하는 전력 분석 데이터 출력부(55)와, 고주파 통과 필터(53)의 고주파 성분으로부터 위상각 데이터를 출력하는 위상각 데이터 출력부(56)와, 고주파 통과 필터(53)의 고주파 성분으로부터 주파수 분석 데이터를 출력하는 주파수 분석 데이터 출력부(5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생성 변환된 에너지 데이터 셋(전력량 데이터, 전력 분석 데이터, 위상각 데이터, 주파수 분석 데이터)의 전체 혹은 일부의 조합을 이용하여 가전기기 분류를 한다.
도 5b는 변환 기법을 통해 추출된 데이터의 시간 변화를 이용하여 새로운 기기의 추가와, multi-state의 기기의 상태 감지에 활용 가능한 임피던스를 모델링 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임피던스 모델링부는 소비전류, 전력의 전체량이 아닌 전류량의 변화와 위상각의 변화를 기준으로 2차 추출하는 임피던스 분석부(58) 및 이를 이용한 가전 기기 분류부(59)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수용가에서 가전기기별 전기 에너지 관리 시스템 사용시 초기 가전기기 리스트 Auto-Configuration을 위한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최초 가정용 게이트웨이에서 수용가의 총 소비전력 정보를 서비스 공급자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서버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한 소비전력 정보를 가전기기별 고유값으로 분류하기 위하여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부로 전송하는 단계;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부에서 소비전력 정보를 분석하여, 고유값으로 분류하고 가전기기별 고유값 리스트가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부로부터 받은 고유값 정보를 비교하여 수용가의 가전기기 리스트와 후보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추출된 가전기기 리스트를 서버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단계;서버 인터페이스부에서 사용자에게 추출된 가전기기 리스트가 맞는지 확인을 위하여 확인 메시지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사용자는 수신된 가전기기 리스트와 후보 리스트를 확인한 후 응답을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후, 서비스 제공자는 수용가의 가전기기 리스트를 기반으로 가전기기별 소비전력 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부에서 새로운 고유값을 감지할 경우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수용가의 가전기기 리스트를 자동으로 업데이트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최초 가정용 게이트웨이(10)에서 수용가의 총 소비전력 정보를 서비스 공급자의 서버로 전송한다.(S701)
이어, 서버 인터페이스부(20)에서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Data Processing Model)부(30)로 소비전력 정보를 전송한다.(S702)
그리고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Data Processing Model)부(30)에서 소비전력 정보를 분석하여, 고유값으로 분류하고 가전기기별 고유값 리스트가 있는 데이터베이스(40)로 전송한다.(S703)
이어, 데이터베이스(40)에서 고유값 정보를 비교하여 수용가의 가전기기 리스트에서 후보 리스트를 추출하여 서버 인터페이스부(20)로 전송한다.(S704)
그리고 서버 인터페이스부(20)에서 사용자에게 확인 메시지를 게이트웨이(10)로 전송하여 사용자 확인을 받는다.(S705)
이와 같이 추출된 가전기기 후보 리스트 정보는 사용자에게 전송되고 사용자의 확인을 통하여 가전기기의 최초 환경설정(Configuration)시에 자동으로 가전기기가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설정 등록이 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서버 인터페이스부(20)는 데이터베이스(40)로부터 추출된 가전기기 후보 리스트 정보를 게이트웨이(1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확인 메시지 전송 단계와, 사용자로부터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가전기기의 최초 환경설정(Configuration)시에 자동으로 가전기기가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설정 등록이 되도록 하는 사용자 메시지 확인 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30)는, 서버 인터페이스부(20)로부터 소비전력 정보를 받아 소비전력을 분석하는 소비전력 분석 단계와, 구축된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을 통하여 최초 등록되는 가전기기의 고유값을 추출하여 분류하는 고유값 분류 단계와, 고유값 분류 단계에서 분류된 가전기기 고유값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로 전송하는 고유값 전송 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40)는,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30)로부터 받은 고유값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가전기기별 고유값 리스트와 비교하는 고유값 정보 비교 단계와, 고유값 정보 비교 단계의 비교 결과를 기준으로 최초 환경설정(Configuration)이 이루어지는 가전기기 후보 리스트를 추출하는 리스트 추출 단계와, 리스트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리스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확인받기 위하여 서버 인터페이스부(20)로 전송하는 리스트 정보 전송 단계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은 서비스 제공자들이 최초 서비스 실행 시 가전기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받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전기기 분류 모델이 있는 서버에서 가전기기별 고유의 특성을 추출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초기 수집되는 소비전력 정보를 분석하여, 수용가의 가전기기 리스트를 추출하고 사용자에게 확인 응답을 받는 서비스 플로우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명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수용가에서 에너지 관리 시스템 사용 시에 최초 설정 및 등록(Configuration) 과정의 편리성을 높인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10)

  1. 수용가의 총 소비전력 정보를 서비스 공급자의 서버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수신한 소비전력 정보를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로 전송하고 가전기기 후보리스트의 전송 및 확인을 하는 서버 인터페이스부;
    상기 서버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소비전력 정보를 받고, 소비전력을 분석하여 가전기기 분류를 위한 고유값 분류 및 전송을 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로부터 받은 고유값 정보를 비교하고 가전기기 후보 리스트를 추출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가전기기 후보 리스트 정보는 사용자에게 전송되고 사용자의 확인을 통하여 가전기기의 최초 환경설정(Configuration)시에 자동으로 가전기기가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설정 등록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인터페이스부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가전기기 후보 리스트 정보를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확인 메시지 전송부와,
    사용자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가전기기의 최초 환경설정(Configuration)시에 자동으로 가전기기가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설정 등록이 되도록 사용자 메시지를 확인하는 사용자 메시지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는,
    서버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소비전력 정보를 받아 소비전력을 분석하는 소비전력 분석부와,
    구축된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을 통하여 최초 등록되는 가전기기의 고유값을 추출하여 분류하는 고유값 분류부와,
    고유값 분류부에서 분류된 가전기기 고유값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는 고유값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는,
    서버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소비전력 정보를 받아 소비전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류량의 변화와 위상각의 변화를 기준으로 임피던스 모델링을 하고 이를 이용한 가전 기기 분류를 위한 고유값을 추출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로부터 고유값 정보를 받아 저장하고 있는 가전기기별 고유값 리스트와 비교하는 고유값 정보 비교부와,
    고유값 정보 비교부의 비교 결과를 기준으로 최초 환경설정(Configuration)이 이루어지는 가전기기 후보 리스트를 추출하는 리스트 추출부와,
    리스트 추출부에서 추출된 리스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확인받기 위하여 서버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리스트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
  7. 가정용 게이트웨이에서 수용가의 총 소비전력 정보를 서비스 공급자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서버 인터페이스부에서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Data Processing Model)부로 소비전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Data Processing Model)부에서 소비전력 정보를 분석하여, 고유값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에서 고유값 정보를 비교하여 수용가의 가전기기 리스트에서 후보 리스트를 추출하여 서버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단계;
    서버 인터페이스부에서 사용자 확인 메시지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여 사용자 확인을 받아 가전기기의 최초 환경설정(Configuration)시에 자동으로 가전기기가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설정 등록이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서버 인터페이스부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가전기기 후보 리스트 정보를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확인 메시지 전송 단계와,
    사용자로부터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가전기기의 최초 환경설정(Configuration)시에 자동으로 가전기기가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설정 등록이 되도록 하는 사용자 메시지 확인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는,
    서버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소비전력 정보를 받아 소비전력을 분석하는 소비전력 분석 단계와,
    구축된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을 통하여 최초 등록되는 가전기기의 고유값을 추출하여 분류하는 고유값 분류 단계와,
    고유값 분류 단계에서 분류된 가전기기 고유값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는 고유값 전송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프로세싱 모델링부로부터 받은 고유값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가전기기별 고유값 리스트와 비교하는 고유값 정보 비교 단계와,
    고유값 정보 비교 단계의 비교 결과를 기준으로 최초 환경설정(Configuration)이 이루어지는 가전기기 후보 리스트를 추출하는 리스트 추출 단계와,
    리스트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리스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확인받기 위하여 서버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리스트 정보 전송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방법.
PCT/KR2017/014596 2017-12-12 2017-12-13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911733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70709 2017-12-12
KR10-2017-0170709 2017-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7338A1 true WO2019117338A1 (ko) 2019-06-20

Family

ID=6682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4596 WO2019117338A1 (ko) 2017-12-12 2017-12-13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11733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22557A (zh) * 2021-08-25 2021-11-30 广州东部发展燃气有限公司 一种燃气供销差的确定方法及装置
CN113722557B (zh) * 2021-08-25 2024-05-24 广州东部发展燃气有限公司 一种燃气供销差的确定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6737A (ko) * 2011-08-18 2012-04-18 더베스트 주식회사 전류소비패턴 생성 및 분석방법
KR101196287B1 (ko) * 2011-12-13 2012-11-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 관리 장치 및 그의 디바이스 등록 방법
KR20150052474A (ko) * 2013-11-06 2015-05-14 전자부품연구원 소비자 가전의 판별 정보를 활용한 가상 UPnP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0481A (ko) * 2014-06-24 2016-01-05 이정환 전력소비 패턴 분석을 통한 디바이스 인식장치 및 그 방법
KR101642044B1 (ko) * 2015-03-04 2016-07-22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에너지 소비 기기의 연관성에 따른 이상 사용 판단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6737A (ko) * 2011-08-18 2012-04-18 더베스트 주식회사 전류소비패턴 생성 및 분석방법
KR101196287B1 (ko) * 2011-12-13 2012-11-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 관리 장치 및 그의 디바이스 등록 방법
KR20150052474A (ko) * 2013-11-06 2015-05-14 전자부품연구원 소비자 가전의 판별 정보를 활용한 가상 UPnP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0481A (ko) * 2014-06-24 2016-01-05 이정환 전력소비 패턴 분석을 통한 디바이스 인식장치 및 그 방법
KR101642044B1 (ko) * 2015-03-04 2016-07-22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에너지 소비 기기의 연관성에 따른 이상 사용 판단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22557A (zh) * 2021-08-25 2021-11-30 广州东部发展燃气有限公司 一种燃气供销差的确定方法及装置
CN113722557B (zh) * 2021-08-25 2024-05-24 广州东部发展燃气有限公司 一种燃气供销差的确定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26029A1 (ko) 전력 인입점 에너지 계측 장치 및 이를 통한 에너지 계측 정보 레이블링 시스템
WO2019117337A1 (ko) 전력 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가전기기 분류를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5023100A1 (ko) 에너지 정보 제공 장치 및 시스템
WO2013032062A1 (ko) 태양광 모듈 모니터링 시스템
WO2020111561A1 (ko) 머신러닝 기반 태양광 발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4169443A1 (zh) 供电设备的识别电路以及受电设备
WO2013089303A1 (ko) 에너지 관리 장치 및 그의 디바이스 등록 방법
WO2014021619A2 (ko) 멀티노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무선 충전 방법
WO2020111560A1 (ko) 태양광 발전 밸런싱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9083098A1 (ko) 전력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
CN106170913A (zh) 模块化多电平转换器的联网控制
WO20170480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CN107356831A (zh) 不入户式户表识别器
WO2014182034A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에너지 고효율을 위한 시간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네트워크
JP2017147935A (ja) 電力管理機能を有するシステムおよびユーザ端末並びにその電力管理方法
Sandhya et al. Extraction of data from an rs-485 enabled multi function meter for building monitoring systems
CN107037277A (zh) 以太网络供电系统的多个受电装置检测装置及方法
WO2018062624A1 (ko) 스카다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장치
CN113241848B (zh) 配电网综合监控系统
WO2012043916A1 (ko) 스마트 배전시스템과 ami 시스템을 연계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연계방법
WO2019117338A1 (ko)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설정 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5026094A1 (ko) 에너지 사용 기기 및 에너지 정보 수집 장치
WO2018044016A1 (ko) 이동 통신망 장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210867288U (zh) 一种电费控制系统
WO2023128320A1 (ko) 인공지능 검증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9344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9344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