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93817A2 - 신발용 악세서리 - Google Patents

신발용 악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93817A2
WO2019093817A2 PCT/KR2018/013621 KR2018013621W WO2019093817A2 WO 2019093817 A2 WO2019093817 A2 WO 2019093817A2 KR 2018013621 W KR2018013621 W KR 2018013621W WO 2019093817 A2 WO2019093817 A2 WO 2019093817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hoelace
shoe
accessory
decorative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362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9093817A3 (ko
Inventor
김진만
Original Assignee
김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만 filed Critical 김진만
Publication of WO2019093817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93817A2/ko
Publication of WO2019093817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93817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4Ornamental buckles;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out fastening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8/00Machines for cutting, ornamenting, marking or otherwise working up shoe part blanks
    • A43D8/16Ornament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accesso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 accessory for fitting a removable accessory to a shoe strap so as to satisfy a desire to pursue a unique design of the shoe by a user will be.
  • shoes are an essential tool for people to walk, with tools that protect their feet and prevent them from slipping.
  • today's shoes are developed and released in a wide variety of forms ranging from shoes that are worn for walking to activities, sneakers that are used for various sports, and fashion to produce their own personality.
  • the registra- tion utility model includes an elongated portion formed in a shape having various patterns and colors and a pair of hooks bent in the form of fins at the bottom of the elongated portion, Circular, and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s with the fastening portions formed at the raised portions and fastening portions of the insertion pin portions are fastened to the lower ends of the fastening portions to integrally join the fastening portions. As shown in FIG.
  • this conventional technique has a problem that the ornaments are detached from the string insertion hole of the sneaker when the sneaker collides with an external object during a walk or rapidly walks.
  • the sneakers may be exposed to foreign objects such as soil, thereby giving a messy image to the shoe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by providing an accessory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strap of a shoe, Accessories.
  • a decorative part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patterns, and
  • the detachable part is fitted to the shoelace so that the ornamental part is disposed in the instep portion of the shoe.
  • a decorative part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patterns
  • a detachable portion including a plate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decorative portion and a protrusion protruding along both ends of the plate so that the decorative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hoelace,
  • the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plate-like body portion located at the foot portion of the shoe,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shoe strap, A pair of guide portion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so as to open or close the upper ends of the protrusions; And the plate is seated on the stopper when the protrusion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 the holder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rod shape and having a grip portion for gripping a lower end portion thereof, a hook portion bent in one direction at an upper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rotation part that is axial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guide part and rotates the main body part.
  • the shoe access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ttach or detach a decorative part to a shoelace so that various accessories can be attached to the shoe.
  • the attaching / detaching portion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ecorative portion and the fastening portion coupled to the shoelace can be easily attached to / detach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accessory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shoe.
  • the decorative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hoe even if it performs heavy exercise such as sport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appearance of a shoe access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appearance of a shoe accesso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portion is rotated.
  •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attaching / detach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portion of FIG. 3 are engag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appearance of a shoe access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hoe accessory 10 includes a decorative part 100 and a detachable part 200.
  • the shoe strap S is inserted into the decorative portion 100 and the shoelace S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patterns.
  • the detachable portion 200 is fitted in the shoelace S so that the decorative portion 100 is disposed in the foot portion of the shoe.
  • the decorative part 100 is disposed in the foot part of the shoe so as to decorate the shoe more brilliantly.
  • the decorative part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patterns. And it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 the detachable portion 200 protrude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ecorative portion 100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 the detachable part 200 is provided with a pad or concavity formed inside the detachable part 200 so that the shoelace S can be fitted into the detachable part 200 so that the shoelace S and the detachable part 20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 the shoe accessory 10 is combined with the shoelace S that is located at the instep portion of the shoe by the detachable portion 200, .
  • the shoe accessor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except that a detachable portion and a fastening portion are formed.
  • FIGS. 2 to 5 elements identical or corresponding to those in the embodiment will be given lik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se elements will be omitted below.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appearance of a shoe accesso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is rotated, 3 and the fastening portio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 the shoe accessory 1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corative part 100', a detachable part 200 'and a fastening part 300.
  • a shoe accessory 10 ' is a shoe accessory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ccessories to and from a shoelace S, And a protrusion 210 protruding along both ends of the plate 210.
  • the protrusion 210 protrudes along both ends of the plate 210, And a coupling part 300, one side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shoe strap 200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with the detachable part.
  • the decorative part 100 is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patterns, and is disposed in the foot part of the shoe, and acts as an accessory to decorate the shoe more beautifully.
  • the detachable part 200 '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ecorative part 100' so that the decorative part 1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hoelace S.
  • the detachable portion 200 ' comprises a plate 210 and a protrusion 220.
  • the plate 21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ecorative part 100 '. Also, although the plate 2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the drawing,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triangular, circular, and rhombic.
  • the protrusions 210 are protruded along the opposite ends of the plate 210.
  • the protrusion 210 can be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unit 330 described later.
  • the protrusion 210 prevents the protrusion 210 from being detached when the protrusion 210 is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330, thereby allowing the ornamental portion 100 'to be disposed in the instep portion of the shoe.
  • the fastening part 300 has one side inserted into the shoelace S and the other side coupled with the detachable part 200 '.
  • the fastening part 300 includes a body part 310, a coupling part 320, a guide part 330, and a holder part 340.
  • the body 310 is located in the foot portion of the shoe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 the coupling hole 320 protrude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310 and serves to insert the shoelace S into the body 310. That is, the coupling hole 320 forms a certain spac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310 and protrudes, so that the shoelace S is inserted.
  • a thin plat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hole 320 to provide a reinforcing member which is bent at both ends of the shoelace. Such a reinforcing material prevents the decorative portion 100 'from being shaken or detached from the user's severe movement while being coupled to the shoelace S.
  • the guide portions 3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310 and have a groove formed therein and a stopper 331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 To slide into the groove. That is, the guide portions 330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alf body 310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holder part 34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guide part 330 and serves to open or close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part 220.
  • the holder portion 340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341, a grip portion 342, a hook portion 343, and a rotation portion 344,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rip portion 342 and on both sides of the guide portion 330 So that the main body portion 341 is rotated.
  • the main body portion 341 has a rod shape and a grip portion 342 is formed to grip the lower end portion.
  • the hook portion 343 is formed by being bent in one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341. [ That is, the hook portions 343 are formed as a pair and are bent so as to face each other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341.
  • the rotation part 344 is axi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grip part 342 and both sides of the guide part 330 to rotate the main body part 341.
  • the rotation part 344 rotates the main body part 341 so that the hook part 343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part 341 moves along the main body part 341 Rotate.
  • the protrusion 220 is coupled to the guide part 330 in order to couple the decorative part 100 'to the fastening part 300.
  • the main body portion 341 rotates to its original position about the axis.
  • the hook portion 343 closes the protruding portion 220 to prevent the detachable portion 200 'from being detached or shaken from the coupling portion 300.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용 악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끈에 악세서리를 착탈하는 신발용 악세서리에 있어서, 다양한 모양과 무늬로 형성되는 장식부 및 상기 신발끈에 끼워지도록 상기 장식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된 착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신발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장식부가 신발의 발등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악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용 악세서리
본 고안은 신발용 악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의 끈에 착탈이 가능한 악세서리를 끼움결합 시켜 신발의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의 독톡한 디자인을 추구하는 욕구를 충족시키도록 하는 신발용 악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람들이 걷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발을 보호하는 기능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등이 있는 도구이다.
신발들 중에서 운동화의 경우, 끈이나 벨크로 파스너를 이용하여 보행 중에 발이 신발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다.
근래 들어 신발은 발의 보호 및 기능 향상의 면을 넘어 사용자의 요구 및 용도가 다양해지면서 여러 가지의 신발이 출시되고 있다.
이를테면, 활동 시 보행용으로 많이 착용하는 단화, 각종 운동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운동화, 자신만의 개성을 연출하기 위한 패션화 등에 이르기까지 오늘날 신발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개발 및 출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새로운 신발을 구매하고자 할 때에 사용자에게 있어서 경제적인 부담이될 뿐만 아니라 착용하지 않는 동안 대개 신발장에서 오랫동안 보관 및 방치됨으로 낡아서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 또는 흙길이 있는 공원과 비포장도로 등을 보행하면 더러워져 세탁으로 인해 신발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의 사용자들은 신발의 디자인에 많은 부분 신경을 씀으로 신발의 디자인이 식상하게 되면 신발을 방치하거나 버리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선행기술문헌들의 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38674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 등록실용신안은 다양한 무늬 모양 및 색체를 가진 형태로 제작되는 장신부와, 장신부 저면에서 핀의 형태로 절곡하되, 끝단은 상부로 상승하는 상승단을 형성하고, 타단은 라운드지게 절곡한 후크부를 형성하여 상승시키며, 상승된 부위에 체결부를 구성한 단면 형상이 판형, 원형 및 다각 형상으로 제작된 삽입핀부 및 장신부의 하단에 삽입핀부의 체결부가 체결되어 일체로 결합한 상태로 운동화의 끈 삽입공에 끼워지는 장신구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은 보행시 외부의 물체들과 부딪히거나 빠르게 보행할 경우에 장신구가 운동화의 끈 삽입공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신구가 운동화의 끈 삽입공에만 끼워져 이를 제외한 운동화에 흙과 같은 이물질이 묻을 경우에 그대로 노출되어 신발에 대해 지저분한 이미지를 주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발의 끈에 착탈이 가능한 악세서리를 끼움결합 시켜 신발의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의 독톡한 디자인을 추구하는 욕구를 충족시키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신발용 악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신발끈에 악세서리를 착탈하는 신발용 악세서리에 있어서,
다양한 모양과 무늬로 형성되는 장식부 및
상기 신발끈에 끼워지도록 상기 장식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된 착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신발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장식부가 신발의 발등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악세서리를 제공한다.
또한, 신발끈에 악세서리를 착탈하는 신발용 악세서리에 있어서,
다양한 모양과 무늬로 형성되는 장식부,
상기 신발끈에 상기 장식부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상기 장식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을 따라 단차를 이루며 돌출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진 착탈부 및
상기 신발끈에 일측이 끼워지며, 타측이 상기 착탈부와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신발용 악세서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신발의 발등부에 위치하는 판형상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신발끈이 삽입되는 결합구, 상기 바디부의 전면에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배치되며, 내부에 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바디부의 전면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돌기부의 상단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돌출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스토퍼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그립부가 형성되는 메인바디부, 상기 메인바디부의 상단부에서 일방향으로 절곡되는 후크부 및 상기 그립부의 일측 및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에 축 결합되어 상기 메인바디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는 신발끈에 장식부를 착탈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상의 악세서리를 신발에 부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장식부의 후면에 형성된 착탈부와 신발끈에 결합된 체결부가 서로 착탈이 용이하여 신발에 간편하게 악세서리를 부착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홀더부를 통해 착탈부와 체결부가 결합되는 경우, 스포츠와 같은 격한 운동을 하더라도 장식부가 신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홀더부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착탈부 및 체결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난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10)는 장식부(100) 및 착탈부(2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S)에 악세서리를 착탈하는 신발용 악세서리에 있어서, 다양한 모양과 무늬로 형성되는 장식부(100) 및 신발끈(S)에 끼워지도록 장식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된 착탈부(200)를 포함하고, 착탈부(200)는 신발끈(S)에 끼워짐으로써, 장식부(100)가 신발의 발등부에 배치된다.
장식부(100)는 신발의 발등부에 배치되어 신발을 보다 화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장식부(100)는 다양한 모양과 무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착탈부(200)는 장식부(100)의 후면으로부터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며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착탈부(200)는 신발끈(S)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되, 신발끈(S)과 착탈부(200)사이가 밀착되도록, 착탈부(200)의 내부에 패드 또는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10)는 착탈부(200)에 의해 신발의 발등부에 위치하는 신발끈(S)과 결합됨으로써, 장식부(100)가 신발의 상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신발에 다양한 악세서리를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독특한 디자인을 추구하는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신발용 악세서리(10')는 착탈부 및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2 내지 도 5에서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 생략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홀더부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착탈부 및 체결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10')는 장식부(100'), 착탈부(200') 및 체결부(3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10')는 신발끈(S)에 악세서리를 착탈하는 신발용 악세서리에 있어서, 다양한 모양과 무늬로 형성되는 장식부(100'), 신발끈에 장식부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장식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210)와 플레이트의 양단을 따라 단차를 이루며 돌출되는 돌기부(210)로 이루어진 착탈부(200) 및 신발끈에 일측이 끼워지며, 타측이 착탈부와 결합되는 체결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장식부(100')는 다양한 모양과 무늬로 형성되며 신발의 발등부에 배치되어 신발을 보다 화려하게 장식할 수 있는 악세서리 역할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착탈부(200')는 신발끈(S)에 장식부(100')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장식부(100')의 후면에 형성된다. 이를 위해, 착탈부(200')는 플레이트(210) 및 돌기부(220)로 이루어진다.
플레이트(210)는 장식부(100')의 후면에 형성된다. 또한, 플레이트(210)는 비록 여기 도면에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삼각형, 원형, 마름모형의 다양한 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10)는 플레이트(210)의 양단을 따라 단차를 이루며 돌출된다. 이러한 돌기부(210)는 후술하는 가이드부(33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돌기부(210)는 기이드부(330)에 결합 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여 장식부(100')가 신발의 발등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체결부(300)는 신발끈(S)에 일측이 끼워지며, 타측이 착탈부(200')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체결부(300)는 바디부(310), 결합구(320), 가이드부(330) 및 홀더부(340)를 포함한다.
바디부(310)는 신발의 발등부에 위치하며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구(320)는 바디부(31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신발끈(S)이 삽입되는 역할을 한다. 즉, 결합구(320)는 바디부(310)의 후면으로부터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며 돌출됨에 따라, 신발끈(S)이 끼워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기재하지 않았지만, 결합구(320)의 내부에 얇은 판부재가 삽입되어, 신발의 신발끈 양측단에서 휘어지는 보강재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보강재는 장식부(100')가 신발끈(S)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격한 운동에도 흔들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부(330)는 바디부(310)의 전면에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배치되며, 내부에 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스토퍼(331)가 형성되어 돌기부(220)가 홈으로 슬라이딩 결합되게 해준다. 즉, 가이드부(330)는 반디부(310)의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서로 일정거리로 이격되어 한 쌍의 배치된다. 그리고 돌기부(22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어, 가이드부(300)에 돌기부(220)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경우, 플레이트(210)가 스토퍼(331)에 안착됨으로써, 장식부(100')의 후면에 형성된 착탈부(200')가 체결부(300)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홀더부(340)는 가이드부(330)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돌기부(220)의 상단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홀더부(340)는 메인바디부(341), 그립부(342), 후크부(343) 및 회전부(344)를 포함하고, 그립부(342)의 일측 및 가이드부(330)의 양측에 축 결합되어 메인바디부(341)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메인바디부(341)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그립부(342)가 형성된다.
후크부(343)는 메인바디부(341)의 상단부에서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즉, 후크부(34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메인바디부(341)의 상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회전부(344)는 그립부(342)의 일측 및 가이드부(330)의 양측에 축 결합되어 메인바디부(341)를 회전시킨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회전부(344)는 메인바디부(341)를 회전시킴에 따라, 메인바디부(341)의 상단부에 형성된 후크부(343)가 메인바디부(341)를 따라 회전한다. 이와 같이, 회전부(344)에 위해 회전한 이후, 장식부(100')를 체결부(300)에 결합시키기 위해 돌출부(220)를 가이드부(330)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파지하고 있던 그립부(342)를 해제하면, 메인바디부(341)는 축을 중심으로 원래 위치로 회전한다. 이때, 후크부(343)는 돌기부(220)를 폐쇄하여 착탈부(200')가 체결부(300)로부터 이탈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Claims (4)

  1. 신발끈에 악세서리를 착탈하는 신발용 악세서리에 있어서,
    다양한 모양과 무늬로 형성되는 장식부; 및
    상기 신발끈에 끼워지도록 상기 장식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된 착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신발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장식부가 신발의 발등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악세서리.
  2. 신발끈에 악세서리를 착탈하는 신발용 악세서리에 있어서,
    다양한 모양과 무늬로 형성되는 장식부;
    상기 신발끈에 상기 장식부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상기 장식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을 따라 단차를 이루며 돌출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진 착탈부; 및
    상기 신발끈에 일측이 끼워지며, 타측이 상기 착탈부와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신발용 악세서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신발의 발등부에 위치하는 판형상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신발끈이 삽입되는 결합구;
    상기 바디부의 전면에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배치되며, 내부에 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돌기부의 상단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돌출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스토퍼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악세서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그립부가 형성되는 메인바디부;
    상기 메인바디부의 상단부에서 일방향으로 절곡되는 후크부; 및
    상기 그립부의 일측 및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에 축 결합되어 상기 메인바디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신발용 악세서리.
PCT/KR2018/013621 2017-11-09 2018-11-09 신발용 악세서리 WO2019093817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755U KR200489236Y1 (ko) 2017-11-09 2017-11-09 신발용 악세서리
KR20-2017-0005755 2017-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3817A2 true WO2019093817A2 (ko) 2019-05-16
WO2019093817A3 WO2019093817A3 (ko) 2019-06-27

Family

ID=66438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3621 WO2019093817A2 (ko) 2017-11-09 2018-11-09 신발용 악세서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9236Y1 (ko)
WO (1) WO201909381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393A (ko) 2021-01-27 2022-08-03 설보경 가습기가 부착된 연필꽂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716A (ko) * 1998-07-01 2000-02-07 이건수 장식이 부착된 신발끈
JP2006181601A (ja) 2004-12-27 2006-07-13 Fuji Heavy Ind Ltd ベベルギヤの製造方法、ベベルギヤ、及びベベルギヤを用いた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KR100680852B1 (ko) * 2005-11-08 2007-02-09 한창훈 신발끈 악세서리
KR100696881B1 (ko) * 2006-05-01 2007-03-20 한창훈 신발끈 악세서리
KR20110000989U (ko) * 2009-07-22 2011-01-28 주식회사 남광정밀 신발끈 장식구
KR101060212B1 (ko) * 2011-01-11 2011-08-30 (주)슈추어 신발용 장식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3817A3 (ko) 2019-06-27
KR200489236Y1 (ko) 2019-05-20
KR20190001179U (ko) 201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84683U (ja)
US5950333A (en) Water-proof golf footwear
US7117615B2 (en) Shoe with reversible upper
US20090038181A1 (en) Footwear with detachable straps
WO2011021801A2 (ko) 신발용 수준기
CA2455632A1 (en) Coupling device for a detachable shoe upper on a shoe
US20100184349A1 (en) Toy for mounting on a child's shoe
WO2019093817A2 (ko) 신발용 악세서리
CA2886734A1 (en) Shoe with magnetically attachable decorative accessory
WO2013066004A1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WO2015076484A1 (ko) 신축성을 가지는 착탈식 연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모자
WO2013122382A1 (ko)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WO2009075477A2 (en) Mobile available for utilization of both sides
WO2011021787A2 (ko) 신발
WO2010085032A2 (ko) 신발의 솔 구조
WO2013089304A1 (ko) 신발 장신구
KR200480336Y1 (ko)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
KR20040103263A (ko) 기능성 구두 뒷굽
WO2016159733A1 (ko) 무지외반증 교정 및 액세서리 기능 겸용의 발가락 교정기
WO2015080301A1 (ko) 하이힐 슈즈의 패션형 쿠션 악세사리
KR200357397Y1 (ko) 슈레이스를 고정하는 버클의 구조물
KR200375323Y1 (ko) 장탈착식 구두 장식 장치
KR20220003934A (ko) 착탈이 가능한 신발용 악세사리
KR200246452Y1 (ko) 벨트 고정 장치
WO2016125954A1 (ko) 골프티 및 볼마커용 휴대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754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754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